KR102106279B1 - Wheelchair having Cushion for Preventing Bedsore - Google Patents

Wheelchair having Cushion for Preventing Bedsor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06279B1
KR102106279B1 KR1020190114026A KR20190114026A KR102106279B1 KR 102106279 B1 KR102106279 B1 KR 102106279B1 KR 1020190114026 A KR1020190114026 A KR 1020190114026A KR 20190114026 A KR20190114026 A KR 20190114026A KR 102106279 B1 KR102106279 B1 KR 1021062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cushion
wheelchair
crankshaft
rotating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14026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하진
임우진
김도윤
Original Assignee
김하진
임우진
김도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하진, 임우진, 김도윤 filed Critical 김하진
Priority to KR10201901140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06279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062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0627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1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A61G5/1043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wheelchai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7/00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 A47C27/08Fluid mattresses or cushions
    • A47C27/081Fluid mattresses or cushions of pneumatic typ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7/00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 A47C27/08Fluid mattresses or cushions
    • A47C27/10Fluid mattresses or cushions with two or more independently-fillable chamb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1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A61G5/1091Cushions, seats or abduction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1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A61G5/12Res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for the head or the feet
    • A61G5/124Res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for the head or the feet for pelvis or buttock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2203/0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 A61G2203/7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with special adaptations, e.g. for safety or comfor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97/00Chairs and seats
    • Y10S297/04Wheelchai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attresses And Other Support Structures For Chairs And Beds (AREA)
  • Invalid Beds And Related Equipment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heelchair having a cushion for bedsore prevention. The wheelchair comprises a chair unit allowing a user to sit thereon and a wheel unit positioned underneath a side of the chair unit to be moved by rotation. The wheelchair further comprises: an air cushion which is attached to and detached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chair unit to be used, forms an air inlet/outlet unit, and allows air to be discharged and injected thereinto through the air inlet/outlet unit; and a pump assembly which is connected and mounted on the wheel unit, is connected to change a wheel unit-side rotating motion into a straight-line reciprocating motion to inject air into the air inlet/outlet unit of the air cushion and discharge air from the air inlet/outlet unit by pumping operations, and induces a continuous change in an air cushion-side cushion pressure during a wheelchair movement to forcibly contract and relax muscles by forcibly pressing and releasing a hip side of a wheelchair us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ip-side bedsores can be prevented by allowing a forcible movement of muscles by allowing a continuous change in a cushion volume by using injection and discharge of air by a pumping operation by combining a wheelchair-side air cushion and a pump assembly connected to the air cushion.

Description

욕창 방지용 방석을 구비한 휠체어{Wheelchair having Cushion for Preventing Bedsore}Wheelchair with cushion for preventing bedsores {Wheelchair having Cushion for Preventing Bedsore}

본 발명은 하반신이 마비되어 거동이 불편한 장애인의 둔부 측 욕창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욕창 방지용 방석을 구비한 휠체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휠체어와 신체의 피부 사이에 공간을 형성하는 에어방석을 휠체어 상에 탈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신체의 특정부위에 미치는 하중을 분산시켜 혈액순환 장애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하며, 한편 휠체어 측 바퀴의 구동력을 이용하여 에어방석 측 쿠션의 압박력(볼륨감)을 변화시킴으로써 사용자의 둔부 결절 주변에 집중되어 있던 하중을 주기적으로 변화시켜주어 둔부 및 그 주변에 발생할 수 있는 욕창을 사전에 예방 및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욕창 방지용 방석을 구비한 휠체어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heelchair equipped with a cushion for preventing bedsores to prevent a pressure ulcer on the buttocks side of a disabled person with paralysis of the lower body and more particularly, an air cushion that forms a space between the wheelchair and the skin of the body. It is configured to be detachable on the wheelchair and can be used to disperse the load on a specific part of the body to prevent blood circulation disorders. Meanwhile, using the driving force of the wheels on the wheelchair side, the compressive force of the cushion on the air cushion side (volume feeling) It relates to a wheelchair equipped with a cushion for preventing bedsores to prevent and prevent pressure sores that may occur around the buttocks and the surroundings by periodically changing the load concentrated around the buttocks of the user by changing.

욕창(褥瘡, bedsore)은 우리 몸의 어느 부위든 지속적인 또는 반복적인 압박이 가해지고, 특히 뼈의 돌출부에 그 압박이 가해짐으로써 혈액순환이 잘되지 않아 신체조직이 죽게 되고 이로 인해 발생한 궤양(염증이나 괴사로 인해 그 조직표면이 국소적으로 결손되거나 함몰된 것)을 의미한다.Bedsores are caused by persistent or repetitive pressure on any part of our body, especially when the pressure is applied to the protrusions of the bones, resulting in poor blood circulation, resulting in the death of body tissues and ulcers (inflammatory) Or necrosis, which means that the tissue surface is locally defective or depressed).

이러한 욕창은 일정 시기가 지나면 생명까지 위협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보건복지부 대한의학회, 2010), 이와 같은 욕창을 예방하는 가장 좋은 방법은 지속적으로 자세를 바꿔줌으로써 한 부위만 오래 눌려 혈액순환이 방해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These pressure sores are known to be life-threatening after a certain period of tim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Korean Medical Association, 2010) .The best way to prevent such pressure sores is to continuously change the posture and press only one part for a long time to prevent blood circulation. It is to prevent it.

그런데, 움직임이 불편한 노약자나 지체 부자유자를 비롯한 기타 환자의 경우에는 이러한 통증을 해소하기 위한 움직임이 불가능할 경우 압박된 부분의 피부 측 혈행이 나빠지기 때문에 처음에는 창백해지면서 주위가 붉어져 압통이 생길 뿐만 아니라 나중에는 물집이 생기고 더 진행하면 거무스름해지며 괴저(壞疽)를 일으킨 부분은 탈락하고 궤양을 형성하여 악취가 나는 분비물이 나오게 된다.However, in the case of other patients, such as the elderly and the physically disabled, who are inconvenient to move, if the movement to relieve these pains is impossible, the blood circulation on the skin of the compressed part deteriorates, and at the beginning, the surrounding area becomes red and tenderness occurs. But later, blisters develop and become darker as you progress further, and the part that caused the gangrene falls out and forms ulcers, resulting in a odorous secretion.

한편, 거동이 불편한 환자나 장애인 등의 경우에는 전동 휠체어를 포함하는 모든 기종의 휠체어를 사용하고 있는데, 전동 휠체어를 포함한 모든 휠체어는 사용자의 착석을 위한 의자가 구비되며, 상기 의자는 주로 솜이나 스폰지와 같은 쿠션을 외피가 감싸는 형태로 되어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a patient with a disability, or a person with a disability, wheelchairs of all types including electric wheelchairs are used, and all wheelchairs including electric wheelchairs are provided with chairs for seating of the user, and the chairs are mainly cotton or sponge. It is in the form that the outer shell wraps the same cushion.

하지만, 종래의 휠체어가 갖는 의자는 환자나 장애인 등의 사용자가 앉았을 때 환부나 신체의 특정부위가 항상 의자에 접촉되어 압박상태에 있게 된다.However, in the chair of a conventional wheelchair, when a user such as a patient or a disabled person sits down, a specific part of the affected area or body is always in contact with the chair and is in a compressed state.

이렇게, 휠체어 의자에 앉은 상태에서 좌골이나 골반 또는 허벅지의 피부가 장시간 압박을 받게 되면, 피부 내부의 혈관도 압박을 받게 되어 혈액순환의 장애가 발생하게 되고, 이는 욕창 등의 발생원인이 되어 환자나 장애인 등 휠체어 사용자의 고통을 가중시키게 됨은 물론 치료에도 여러 가지 어려움을 더하게 되며, 욕창이 심해지는 경우 사망에까지 이르는 경우도 발생된다.In this way, when the skin of the sciatic bone, pelvis, or thigh is pressed for a long time while sitting in a wheelchair chair, the blood vessels inside the skin are also compressed, causing blood circulation disorders, which may cause bedsores, etc. Not only does it increase the pain of wheelchair users, but it also adds a variety of difficulties to treatment, and it can also result in death if the pressure sore gets worse.

이에 따라, 상기와 같은 혈액순환의 장애로 인한 욕창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휠체어 의자와 신체의 접촉면을 가능한 한 자주 바꾸어서 하중을 분산시키거나 일어나서 통풍을 시켜주어야 하는데, 거동이 불편한 휠체어 사용자나 중환자의 경우에는 간병인의 도움에 의해서만 접촉면을 바꾸어 줄 수 있기 때문에 이는 욕창 방지를 위한 근본적인 해결책이 될 수 없다.Accordingly, in order to prevent pressure sores due to the disorder of blood circulation as described above, the contact surface of the wheelchair chair and the body should be changed as often as possible to distribute the load or to ventilate the air. This cannot be a fundamental solution to prevent bedsores, because the contact surface can only be changed with the help of a caregiver.

이에, 상기와 같은 혈액순환의 장애로 인한 욕창을 방지하기 위한 방법으로 휠체어 상에 센서나 통신수단, 서버, 배터리 등의 다양한 장치를 설치하고, 전기적인 모니터링 및 의자의 움직임을 유발하도록 하고 있으나, 구성이 복잡하고 전기를 사용하여야 하므로 배터리를 주기적으로 충전하여야 하는 등 사용에 있어 불편하고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었다.Accordingly, various devices such as sensors, communication means, servers, and batteries are installed on the wheelchair to prevent pressure sores caused by the disorder of blood circulation as described above, and cause electrical monitoring and movement of the chair. Since the configuration is complicated and the electricity has to be used,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is inconvenient and cumbersome to use such as periodically charging the battery.

부연하여, 전동방식이 아니면서 상술한 불편함과 번거로움 없이 간편하고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며, 단순한 구성을 갖는 휠체어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에 있다.Incidentally, it is in a situation in which the development of a wheelchair having a simple configuration is required so that it can be conveniently and easily used without the inconvenience and hassle described above without being a motorized method.

한편, 욕창 방지 구조를 갖는 휠체어에 관한 종래 선행기술을 살펴보았을 때, 국내등록특허 제10-1656411호, 제10-1412731호, 제101648941호 등지에서는 "바퀴의 구동력을 이용하고 이러한 바퀴의 구동력을 전달하는 방식으로 캠 방식 또는 크랭크 방식을 접목하되 시트부에 연결 구성함으로써 시트부의 일부를 반복적으로 승하강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사용자의 둔부 결절 주변에 집중되어 있던 하중을 주기적으로 변화시켜 둔부 주변에 발생할 수 있는 욕창을 사전에 예방할 수 있도록 하는 욕창 방지 휠체어"를 제안 및 개시하고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looking at the prior art related to a wheelchair having an anti-bedsore structure, in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s. 10-1656411, 10-1412731, and 101648941, “The driving force of the wheel is used and the driving force of these wheels is used. Combining the cam method or the crank method as a transmission method, but by connecting and connecting the seat portion, the part of the seat portion is repeatedly raised and lowered to periodically change the load concentrated around the user's buttocks tubercle, which may occur around the buttocks. Proposals and disclosures of anti-bedsore wheelchairs that can prevent bedsores in advance.

이러한 종래 선행기술은 시트부 자체를 승하강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시트부 자체에 대한 개선된 구조를 포함하는 것으로서, 구조변경에 따른 어려움이 잇고, 더욱이 타격을 통해 둔부를 가격하는 방식이므로 어느 특정 타격부위에 과도한 압력이 가해져 피부가 손상되는 문제점이 있었다.The prior art includes an improved structure for the sheet itself to allow the sheet part itself to be raised and lowered, and there is a difficulty in changing the structure, and furthermore, it is a method of priceing the buttocks through a blow. There was a problem that the skin was damaged due to excessive pressure applied to the hitting portion.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656411호Republic of Korea Registered Patent Publication No. 10-1656411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412731호Republic of Korea Registered Patent Publication No. 10-1412731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648941호Republic of Korea Registered Patent Publication No. 10-1648941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휠체어와 신체의 피부 사이에 공간을 형성하는 에어방석을 휠체어 상에 탈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휠체어 사용자의 신체의 특정부위에 미치는 하중을 분산시켜 혈액순환 장애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하며, 휠체어 사용자의 둔부 및 그 주변에 강제적인 압박 및 해제를 통해 장시간 동일한 자세가 유지되지 않도록 함은 물론 일정부위에 대한 장시간 짓눌림을 방지하여 휠체어를 이용한 이동 중 둔부 측 욕창의 발생을 예방 및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새로운 구성을 갖는 욕창 방지용 방석을 구비한 휠체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by configuring the air cushion to form a space between the wheelchair and the skin of the body can be detachably used on the wheelchair to be used to specific parts of the body of the wheelchair user It prevents blood circulation disorder by dispersing the load on the body, and prevents the same posture for a long time through forced compression and release of the hips and surroundings of the wheelchair user, as well as preventing long-term crushing of certain parts. Therefore,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wheelchair with a cushion for preventing bedsores having a new configuration to prevent and prevent the occurrence of bedsores on the buttocks during movement using a wheelchair.

본 발명은 휠체어 측 바퀴의 구동력을 이용하여 에어방석 측 쿠션의 압박력에 대한 변화가 계속 발생하도록 구현함으로써 사용자의 둔부 결절 주변에 집중되어 있던 하중을 주기적으로 변화시켜줄 수 있도록 하여 둔부 및 그 주변에 발생할 수 있는 욕창을 사전에 예방 및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욕창 방지용 방석을 구비한 휠체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implemented so that a change in the pressing force of the cushion on the side of the air cushion is continuously generated by using the driving force of the wheel on the side of the wheelchair, so that the load concentrated around the hip buttock of the user can be periodically changed, and the hip and the surrounding area may occur.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wheelchair equipped with a cushion for preventing bedsores to prevent and prevent bedsores in advance.

본 발명은 휠체어의 바퀴에서 발생되는 구동력을 이용하여 직선 왕복운동으로의 전환을 통한 펌프 작동을 가능하게 구비하고 에어방석에 연결함으로써 공기의 주입 및 배출을 통해 에어방석 측 쿠션 압박력(볼륨감)에 연속적인 변화를 줄 수 있도록 한 욕창 방지용 방석을 구비한 휠체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ump operation through the conversion to a linear reciprocating motion by using the driving force generated from the wheel of the wheelchair and connected to the air cushion to the cushioning force (volume feeling) of the air cushion side through the injection and discharge of air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wheelchair equipped with a cushion for preventing bedsores so that continuous changes can be made.

본 발명은 에어방석에 대해 사분면(四分面)으로 구획 형성하고, 휠체어의 바퀴에서 발생되는 구동력을 이용한 펌프 작동방식을 통해 공기의 주입 및 배출이 독립적으로 이루어지게 구성함으로써 에어방석의 사분면 각각에 대한 쿠션 압박력(볼륨감)의 변화를 유도 및 서로 다른 쿠션 볼륨감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한 욕창 방지용 방석을 구비한 휠체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air cushion is divided into quadrants, and each of the quadrants of the air cushion is constructed by independently injecting and discharging air through a pump operation method using a driving force generated from a wheel of a wheelchair.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wheelchair equipped with a cushion for preventing bedsores so as to induce changes in the cushioning force (volume feeling) and to form different cushion volume feelings.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욕창 방지용 방석을 구비한 휠체어는, 사용자가 앉을 수 있도록 구비되는 의자부와 상기 의자부의 측부 하측에 위치하여 회전에 의해 이동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바퀴부를 포함하는 휠체어에 있어서, 상기 의자부의 상면에 탈부착하여 사용하도록 구비되는 것으로서, 공기입출부를 형성하고, 상기 공기입출부를 통해 내부로 공기를 주입 및 배출시킬 수 있도록 구비되는 에어방석; 상기 바퀴부 상에 연결 장착되고, 바퀴부 측 회전운동을 직선 왕복운동으로 전환시킴으로써 펌핑 작동을 통해 에어방석의 공기입출부로 공기를 주입 및 공기입출부로부터 공기를 배출시키도록 연결 구비되며, 휠체어 이동 중에 에어방석 측 쿠션 압박력에 연속적인 변화를 유도함으로써 휠체어 사용자의 둔부 측 강제적인 압박과 해제로 근육을 강제 수축 및 이완시킬 수 있게 하는 펌프어셈블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wheelchair provided with a cushion for preventing bedsor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a wheelchair including a chair part provided to allow a user to sit and a wheel part provided to be movable by rotation located at a lower side of the chair part In the air cushion provided to be detachably attach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chair portion to form an air inlet and outlet, and to inject and discharge air into the air through the air inlet and outlet portion; It is connected to the wheel part and is provided to be connected to inject air into the air inlet and out of the air cushion through the pumping operation by converting the rotational movement of the wheel part into a linear reciprocating motion and to discharge air from the air inlet and out of the wheelchair.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by inducing a continuous change in the cushioning force on the cushion side of the air cushion, forcibly compressing and releasing the muscle by forcing and releasing the hip side of the wheelchair user.

여기에서, 상기 에어방석은, 사분면(四分面) 영역으로 나누어 4개소로 구획 형성하고, 상기 구획된 4개소의 각 영역에 공기의 주입 및 배출이 개별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펌프어셈블리 측과 연결되는 구성을 갖게 할 수 있다.Here, the air cushion is divided into quadrants, and is divided into four parts, and is configured to be connected to the pump assembly side so that air is injected and discharged individually into each of the four divided areas. You can have.

여기에서, 상기 에어방석은, 구획된 4개소의 영역에 대해 공기의 주입 및 배출에 의한 쿠션 볼륨감의 상사점과 하사점이 상반되게 작용토록 펌프어셈블리 측과 연결 구비하여 에어방석의 일측 영역에서는 압박 동작을 수행함과 동시에 타측 영역에서는 해제 동작이 이루어지도록 구성할 수 있다.Here, the air cushion is connected to the pump assembly side so that the top dead center and the bottom dead center of the cushion volume sense by injecting and discharging the air against the four divided areas are pressed against one side of the air cushion. At the same time as performing the operation, the release operation may be performed in the other region.

여기에서, 상기 에어방석은, 상기 펌프어셈블리 측 작동에 의해 공기가 주입되는 경우 돌출되어 쿠션 볼륨감을 형성하는 단위에어셀을 포함하며, 상기 단위에어셀의 다수 배열로 이루어지게 구성할 수 있다.Here, the air cushion includes a unit air cell that protrudes when air is injected by the pump assembly side operation to form a cushion volume feeling, and may be configured to be composed of a plurality of arrays of the unit air cells.

여기에서, 상기 펌프어셈블리는, 상기 바퀴부의 회전축 상에 연결 장착되어 회전되는 회전체; 상기 회전체의 일측에 일단이 힌지 결합되고, 회전체의 회전에 따라 전후진 이동되는 크랭크축; 상기 크랭크축의 타단에 핀 고정되어 결합되고, 전후진에 따라 공기압 또는 흡입력을 생성시키는 피스톤로드; 상기 피스톤로드의 전후진을 가이드하고, 선단면 중앙에 공기주입구를 갖는 실린더; 상기 실린더의 공기주입구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이 에어방석의 공기입출부에 연결되는 연결호스;를 포함하는 구성을 갖게 할 수 있다.Here, the pump assembly, the rotating body is connected to the rotating shaft of the wheel portion is rotated; A crank shaft having one end hinged to one side of the rotating body and moved back and forth according to rotation of the rotating body; A piston rod fixedly coupled to the other end of the crankshaft and generating air pressure or suction force according to forward and backward movement; A cylinder that guides the front and rear of the piston rod and has an air inlet in the center of the front end surface; One end is connected to the air inlet of the cylinder and the other end is connected to the air inlet and outlet of the air cushion.

여기에서, 상기 에어방석은, 구획된 4개소의 각 영역에 공기의 주입 및 배출이 개별적으로 이루어지게 공기입출부를 각각 형성하여 구비하며; 상기 펌프어셈블리는, 상기 바퀴부를 구동하는 회전축의 양측부에 각각 장착되는 제1회전체 및 제2회전체; 상기 제1회전체의 일측에 일단이 힌지 결합되고, 제1회전체의 회전에 따라 전후진 이동되는 제1크랭크축; 상기 제1크랭크축의 타단에 핀 고정되어 결합되고, 전후진에 따라 공기압 또는 흡입력을 생성시키는 제1피스톤로드; 상기 제1피스톤로드의 전후진을 가이드하고, 선단면 중앙에 한쌍의 공기주입구를 갖는 제1실린더; 상기 제1실린더가 갖는 한쌍의 공기주입구에 일단이 각각 연결되고 타단이 에어방석의 일측 공기입출부에 연결되는 한쌍의 제1연결호스; 상기 제2회전체의 일측에 일단이 힌지 결합되고, 제2회전체의 회전에 따라 전후진 이동되는 제2크랭크축; 상기 제2크랭크축의 타단에 핀 고정되어 결합되고, 전후진에 따라 공기압 또는 흡입력을 생성시키는 제2피스톤로드; 상기 제2피스톤로드의 전후진을 가이드하고, 선단면 중앙에 한쌍의 공기주입구를 갖는 제2실린더; 상기 제2실린더가 갖는 한쌍의 공기주입구에 일단이 각각 연결되고 타단이 에어방석의 타측 공기입출부에 연결되는 한쌍의 제2연결호스;를 포함하는 구성을 갖게 할 수 있다.Here, the air cushions are provided by forming air inlets and outlets, respectively, so that air is injected and discharged individually in each of the four divided areas; The pump assembly includes a first rotating body and a second rotating body respectively mounted on both sides of a rotating shaft driving the wheel portion; A first crank shaft having one end hinged to one side of the first rotating body and moved back and forth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first rotating body; A first piston rod that is fixedly coupled to the other end of the first crankshaft and generates air pressure or suction force according to forward and backward movements; A first cylinder that guides the forward and backward movement of the first piston rod and has a pair of air inlets in the center of the front end face; A pair of first connection hoses, one end of which is connected to a pair of air inlets of the first cylinder and the other end of which is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air inlet and outlet of the air cushion; A second crankshaft having one end hinged to one side of the second rotating body and moved back and forth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second rotating body; A second piston rod that is pinned and coupled to the other end of the second crankshaft, and generates air pressure or suction force according to forward and backward movements; A second cylinder that guides the forward and backward movement of the second piston rod and has a pair of air inlets in the center of the front end surface; It is possible to have a configuration including; a pair of second connection hoses, one end of which is connected to a pair of air inlets of the second cylinder and the other end of which is connected to the other air inlet and outlet of the air cushion.

여기에서, 상기 제1회전체에 일단이 연결되는 제1크랭크축과 상기 제2회전체에 일단이 연결되는 제2크랭크축의 연결위치를 상측과 하측으로 상반되게 배치함으로써 제1크랭크축과 제2크랭크축의 상사점과 하사점에 차이를 갖게 하여 바퀴부의 회전상태에 따라 제1피스톤로드와 제2피스톤로드 측 공기압과 흡입력 생성이 상반되게 이루어지도록 구성할 수 있다.Here, the first crankshaft and the second crankshaft by arranging the connection positions of the first crankshaft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first rotating body and the second crankshaft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second rotating body opposite to the upper side and the lower side. The difference between the top dead center and the bottom dead center of the crankshaft may be configured such that air pressure and suction force generation on the first piston rod and the second piston rod side are made in opposition according to the rotational state of the wheel portion.

여기에서, 상기 휠체어에 앉은 이용자가 수동으로 조절하여 에어방석의 공기주입부 측에 공기를 주입 또는 배출할 수 있도록 한 수동조절기구; 를 포함하되, 상기 수동조절기구는, 볼 타입의 튜브형 구조를 갖는 공기주입펌프; 상기 공기주입펌프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이 에어방석의 공기주입부에 연결되는 공기주입호스; 및 상기 공기주입펌프를 통해 공기주입부로 주입되는 공기를 외부 배출 가능하게 연결 구비되는 에어배출밸브; 를 포함하는 한편, 상기 에어배출밸브는 공기주입펌프와 공기주입호스의 사이에 개재하여 연결 구비하고, 사용자가 상기 펌프어셈블리 또는 수동조절기구의 사용을 선택할 수 있도록 연결호스와 공기주입호스를 연결하는 삼방밸브를 더 형성할 수 있다. Here, the manual adjustment mechanism that allows the user sitting in the wheelchair to manually inject or discharge air to the air inlet side of the air cushion by manually adjusting; Including, but the manual adjustment mechanism, the air injection pump having a ball-type tubular structure; An air injection hose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air injection pump and the other end connected to the air injection portion of the air cushion; And an air discharge valve provided to connect the air injected into the air injection part through the air injection pump to be externally discharged. On the other hand, the air discharge valve is provided with an intervening connection between the air injection pump and the air injection hose, and connects the connection hose and the air injection hose so that the user can select the use of the pump assembly or manual control mechanism. A three-way valve can be further formed.

본 발명에 따르면, 휠체어를 이용하여 이동하는 경우 휠체어의 바퀴에서 발생되는 구동력을 이용하여 직선 왕복운동으로의 전환을 통한 펌프 작동을 가능하게 구비함으로써 반복적인 공기의 주입 및 배출에 의한 에어방석 측 쿠션 압박력에 변화를 줄 수 있어 둔부 및 그 주변에 대해 강제적인 압박 및 해제 기능을 반복적으로 제공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둔부 및 그 주변에 대한 근육 수축 및 이완을 갖게 하므로 휠체어를 타고 이동중 장시간 동일 자세가 유지되는 것을 방지 및 짓눌림을 방지할 수 있고 원활한 혈액순환을 도울 수 있어 둔부 및 그 주변에 욕창이 발생되는 것을 사전 예방 및 방지할 수 있는 유용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moving using a wheelchair, by using a driving force generated from the wheel of the wheelchair to enable the pump operation through the conversion to a linear reciprocating motion, the cushion of the air cushion side by repeated injection and discharge of air Because it can change the compression force, it can repeatedly provide the compulsory compression and release function for the buttocks and its surroundings, and through this, it has muscle contraction and relaxation for the buttocks and its surroundings. It can prevent maintenance and prevent crushing and can help smooth blood circulation, thereby providing a useful effect to prevent and prevent pressure sores from occurring in and around the buttocks.

본 발명에 따르면, 에어방석을 사분면(四分面)으로 구획 형성하는 경우, 에어방석의 사분면 각각에 대한 쿠션 압박력(볼륨감)의 변화를 유도할 수 있고 서로 다른 쿠션 상태를 반복적으로 형성하여줄 수 있고, 특히 에어방석의 사분면 각각에 대해 에어셀 구성을 갖게 하는 경우 더욱 세분화한 영역으로 압박 및 해제 기능을 제공하여 근육 수축 및 이완을 갖게 하는 등 휠체어 사용자의 둔부 및 그 주변에 대한 욕창 발생을 더욱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유용함을 달성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air cushion is partitioned into quadrants, it is possible to induce a change in the cushion pressing force (volume feeling) for each of the quadrants of the air cushion and repeatedly form different cushion states.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having an air cell configuration for each of the quadrants of the air cushion, it is possible to generate pressure sores on the buttocks and surroundings of wheelchair users, such as providing muscle contraction and relaxation by providing compression and release functions to a more subdivided area. It is possible to achieve usefulness that can be effectively prevented.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욕창 방지용 방석을 구비한 휠체어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욕창 방지용 방석을 구비한 휠체어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욕창 방지용 방석을 구비한 휠체어에 있어 에어방석과 이에 연결되는 펌프어셈블리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욕창 방지용 방석을 구비한 휠체어에 있어 펌프어셈블리 측 공기 주입과 흡입에 대한 동작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욕창 방지용 방석을 구비한 휠체어에 있어 에어방석의 구획 배치를 나타낸 일 예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욕창 방지용 방석을 구비한 휠체어에 있어 구획 배치한 에어방석과 이에 연결되는 펌프어셈블리를 나타낸 일 예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욕창 방지용 방석을 구비한 휠체어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욕창 방지용 방석을 구비한 휠체어에 있어 공기압조절기구와 삼방밸브의 연결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wheelchair with a cushion for preventing bedsor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side view showing a wheelchair with a cushion for preventing bedsor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 air cushion and a pump assembly connected thereto in a wheelchair having a cushion for preventing bedsor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view showing for explaining the operating state for the air injection and suction side of the pump assembly in a wheelchair equipped with a cushion for preventing bedsor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the arrangement of the air cushion in the wheelchair with a cushion for preventing bedsor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n air cushion arranged in a compartment and a pump assembly connected thereto in a wheelchair having a cushion for preventing bedsor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side view showing a wheelchair with a cushion for preventing bedsor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nection of the air pressure regulating mechanism and the three-way valve in a wheelchair equipped with a cushion for preventing bedsor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항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erms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terms defined in consideration of functions in the present invention, which may vary depending on the intention or custom of the user or operator, and thus, definitions of these terms are consistent with technical matter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should be interpreted as a concept.

첨부도면 도 1 내지 6은 본 발명에 따른 욕창 방지용 방석을 구비한 휠체어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도면들이다.1 to 6 are drawings showing to explain a wheelchair with a cushion for preventing bedsor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른 욕창 방지용 방석을 구비한 휠체어(100)는 도 1 내지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휠체어 사용자가 앉을 수 있도록 구비되는 의자부(110)와, 상기 의자부(110)의 앞쪽 하측으로 연결 구비되는 발판부(120), 및 상기 의자부(111)를 포함하는 휠체어의 위치이동이 가능하도록 구동(131)축 상에 연결되어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바퀴부(130)를 포함한다.Wheelchair 100 equipped with a cushion for preventing bedsor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ures 1 to 6, the chair portion 110 is provided to allow the wheelchair user to sit, and the front of the chair portion 110 to the lower side It includes a footrest part 120 that is provided with a connection, and a wheel part 130 that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drive 131 shaft to enable movement of a wheelchair including the chair part 111.

또한, 상기 의자부(110)의 상면에 탈부착하여 사용하도록 구비되는 것으로서, 공기입출부(142)를 형성하고 상기 공기입출부(142)를 통해 내부로 공기를 주입 및 배출시킬 수 있도록 구비되며 공기 주입시 공기압에 의한 쿠션 압박력을 제공하는 볼륨감을 형성하도록 구비되는 에어방석(140)을 포함한다.In addition, it is provided to be detachably us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hair portion 110, and is formed to form an air inlet and outlet portion 142 and to inject and discharge air into the air through the air inlet and outlet portion 142. It includes an air cushion 140 is provided to form a sense of volume that provides a cushion pressing force by the air pressure during injection.

또한, 상기 바퀴부(130) 상에 연결 장착되고, 바퀴부(130) 측 회전운동을 직선 왕복운동으로 전환시킴으로써 펌핑 작동을 통해 에어방석(140)의 공기입출부(142)로 공기를 주입 및 공기입출부(142)로부터 공기를 흡입하여 배출시키도록 연결 구비되며, 이를 통해 휠체어(100)의 이동 중에 에어방석(140) 측 쿠션 압박력, 즉 쿠션 볼륨감에 연속적인 변화를 유도함으로써 휠체어 사용자의 둔부 측 강제적인 압박과 해제로 근육을 강제 수축 및 이완시킬 수 있게 하는 펌프어셈블리(150)를 더 포함한다.In addition, it is connected to the wheel portion 130, and injects air into the air inlet 142 of the air cushion 140 through a pumping operation by converting the rotational movement of the wheel portion 130 into a linear reciprocating motion. It is provided to be connected to inhale and discharge air from the air inlet / outlet portion 142, thereby inducing a continuous change in the cushion pressing force of the air cushion 140 side, that is, cushion volume feeling, during the movement of the wheelchair 100. It further includes a pump assembly 150 to force the muscles to contract and relax by forcing and releasing the buttocks.

더욱 구체적으로, 상기 에어방석(140)은 사각블록체의 베이스기재 상면에 쿠션 볼륨감에 의한 압박력을 형성하도록 하는 돌출형 구조의 단위에어셀(141)을 포함하며, 상기 단위에어셀(141)을 사각블록체의 베이스기재 상면 전체에 걸쳐 다수 배열한 구성을 갖도록 한다.More specifically, the air cushion 140 includes a unit air cell 141 having a protruding structure to form a pressing force due to a cushion volume feeling on a base surface of a square block body, and the unit air cell 141 is blind It is intended to have a configuration in which a plurality of blocks are arranged over the entire upper surface of the base material.

상기 에어방석(140)은 하면에 벨크로부재나 자석 등의 탈부착수단을 고정 배치하는 구성과 상기 의자부(110)의 상면에 이에 상응하는 대응고정수단을 고정 배치하는 구성을 통해 의자부(110) 상에 탈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The air cushion 140 is a chair part 110 through a configuration in which a detachable means such as a velcro member or a magnet is fixedly arranged on a lower surface and a corresponding fixing means corresponding to the upper surface of the chair part 110 is fixedly arranged. It can be attached and detached on the top.

여기에서, 상기 에어방석(140)은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펌프어셈블리(150)와 연결하는 구성을 갖게 할 수 있다.Here, the air cushion 140, as shown in Figure 3, may have a configuration that is connected to the pump assembly 150.

이를 위해, 상기 펌프어셈블리(150)는 상기 바퀴부(130)의 구동축(131) 상에 연결 장착되어 360도 회전되는 회전체(151)와, 상기 회전체(151)의 일측에 일단이 힌지 결합되고 회전체(151)의 회전에 따라 전후진 이동되는 크랭크축(152)와, 상기 크랭크축(152)의 타단에 핀 고정되어 결합되고 전후진 이동상태에 따라 공기압 또는 흡입력을 생성시키는 피스톤로드(153)와, 상기 피스톤로드(153)의 전후진 이동을 가이드하고 선단면 중앙에 공기주입구(154a)를 갖는 실린더(154), 및 상기 실린더(154)의 공기주입구(154a)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이 에어방석(140)의 공기입출부(142)에 연결되는 연결호스(155)로 구성한다.To this end, the pump assembly 150 is connected to the drive shaft 131 of the wheel part 130 and is rotated 360 degrees, and one end hinged to one side of the rotating body 151 The crankshaft 152 being moved forward and backward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rotating body 151, and a pin fixed to the other end of the crankshaft 152 and coupled to the piston rod to generate air pressure or suction force according to the forward and backward movement state ( 153), the cylinder 154 having guided forward and backward movement of the piston rod 153 and having an air inlet 154a in the center of the front end surface, and one end connected to the air inlet 154a of the cylinder 154 The other end is composed of a connecting hose 155 that is connected to the air inlet 142 of the air cushion 140.

상기 펌프어셈블리(150)는 상기 바퀴부(130) 측 구동축(131)의 좌우 방향 어느 일측에 장착하거나 또는 양측에 모두 위치되게 장착하는 형태로 구비할 수도 있다.The pump assembly 150 may be provided in a form that is mounted on either side of the drive shaft 131 on the side of the wheel 130 or on both sides.

상기 펌프어셈블리(150)는 필요에 따라 크랭크축(152)과 피스톤로드(153)의 사이에 커넥팅로드를 개재하여 연결하는 구성을 갖게 할 수도 있으며, 이를 통해 피스톤로드(153) 측 전후진 이동을 더욱 원활하게 수행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The pump assembly 150 may have a configuration to connect the crankshaft 152 and the piston rod 153 via a connecting rod, if necessary, to move the piston rod 153 side forward and backward. It can be configured to perform more smoothly.

상기 연결호스(155)는 고정 연결하는 방식도 가능하나, 탈부착하는 형태로 구비함이 더욱 바람직하다.The connecting hose 155 may be fixedly connected, but is more preferably provided in a detachable form.

이러한 구성을 갖는 상기 펌프어셈블리(150)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바퀴부(130)의 회전에 따라 그 구동력을 이용하여 전후진 이동 및 왕복 운동하도록 구비되며, 이를 통해 휠체어(100)의 이동 중에 에어방석(140) 측에 공기를 주입함과 더불어 흡입을 통해 공기를 배출할 수 있도록 작동하여 에어방석(140)의 단위에어셀(141)들에 대한 쿠션 압박력의 변화를 유도할 수 있다.The pump assembly 150 having such a configuration is provided to move forward and backward and reciprocate using its driving force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wheel 130, as shown in FIG. 4, through which the movement of the wheelchair 100 During the operation, the air cushion 140 is operated to inject air into the air and discharge air through suction, thereby inducing a change in the cushion pressing force on the unit air cells 141 of the air cushion 140.

즉, 상기 에어방석(140) 측 쿠션 볼륨감에 변화를 줄 수 있으며, 이러한 쿠션 볼륨감의 변화를 통해 휠체어(100)를 이용하는 사용자의 둔부 및 그 주변 근육을 강제 수축 및 이완되게 할 수 있어 욕창을 사전 예방 및 방지할 수 있다.That is, the cushion volume of the air cushion 140 side can be changed, and through the change in the cushion volume, the user's buttocks and surrounding muscles of the user using the wheelchair 100 can be forced to contract and relax. Can prevent and prevent them.

부연하여, 상기 펌프어셈블리(150) 측 작동에 의한 에어방석(140) 측 쿠션 압박력의 변화 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Incidentally, a description will be given of a state of change in the pressure of the cushion on the side of the air cushion 140 due to the operation of the pump assembly 150 as follows.

휠체어(100)를 움직여 이동하게 되면 바퀴부(130)가 회전하는데, 이와 같은 바퀴부(130)의 회전에 따라 회전체(151)가 360도 회전하게 되고, 이러한 회전은 크랭크축(152)에 연계되는 작동을 통해 도 4의 (a)에서와 같이 크랭크축(152)을 전진 배치시킨 이후에 도 4의 (b)에서와 같이 크랭크축(152)을 후진 배치시킨다.When the wheelchair 100 is moved and moved, the wheel 130 rotates, and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wheel 130, the rotating body 151 rotates 360 degrees, and this rotation is applied to the crankshaft 152. After the crankshaft 152 is forwardly disposed as shown in FIG. 4 (a) through the linked operation, the crankshaft 152 is reversely disposed as shown in FIG. 4 (b).

이러한 크랭크축(152)의 전진시 실린더(154) 내에 배치된 피스톤로드(153)가 전진 배치되면서 공기압을 발생시키고 이를 공기주입구(154a)와 이에 연결된 연결호스(155)를 통해 에어방석(140)의 공기입출부(142)로 실린더(154) 측에서 발생된 공기를 주입하게 되며, 이와 반대로 크랭크축(152)의 후진시 실린더(154) 내에 배치된 피스톤로드(153)가 후진 배치되면서 흡입력을 발생시키고 연결호스(155)를 통해 에어방석(140)의 공기입출부(142)로부터 공기를 흡입 처리하게 된다.When the crankshaft 152 is advanced, the piston rod 153 disposed in the cylinder 154 is disposed forward, thereby generating air pressure and air cushion 140 through the air inlet 154a and a connecting hose 155 connected thereto. The air generated from the cylinder 154 side is injected into the air inlet / outlet portion 142. On the contrary, when the crankshaft 152 is retracted, the piston rod 153 disposed in the cylinder 154 is disposed in reverse direction to absorb suction power. It is generated and sucks air from the air inlet 142 of the air cushion 140 through the connecting hose 155.

이에, 휠체어(100) 측 바퀴부(130)의 회전에 따라 연동하도록 구비된 상기 펌프어셈블리(150) 측 작동을 통해 에어방석(140)의 공기입출부(142)로 공기를 주입한 후 연속 동작하여 에어방석(140)의 공기입출부(142)로부터 공기를 흡입하는 동작을 수행하게 되며, 이때 휠체어(100)의 의자부(110)에 앉은 상태에 있는 사용자의 둔부 및 그 주변 근육에 접촉되는 에어방석(140) 측 단위에어셀(141)들이 쿠션 볼륨감의 형성 및 해제를 통해 압박력을 제공 및 해제하게 되고, 이를 반복적인 동작으로 수행되게 하므로 둔부 측에 강제적인 압박과 해제 기능을 제공하며, 둔부 측 근육에 대한 강제 수축과 이완을 갖게 하므로 혈액을 순환시켜주는 작용을 하게 된다.Accordingly, the air is injected into the air inlet 142 of the air cushion 140 through the operation of the pump assembly 150 provided to interlock with rotation of the wheel 130 on the side of the wheelchair 100, and then continuously operated. By performing the operation of inhaling air from the air inlet 142 of the air cushion 140, at this time, the user's buttocks and the muscles around the user sitting in the chair 110 of the wheelchair 100 The unit air cells 141 on the air cushion 140 side provide and release the pressing force through the formation and release of the cushion volume feeling, and since this is performed in a repetitive motion, it provides a forced pressing and release function on the buttocks side, Forced contraction and relaxation of the muscles of the buttocks, which acts to circulate blood.

즉, 휠체어(100)의 이동중에 바퀴부(130) 측 구동력을 이용한 펌프 작동을 유도하고, 에어방석(140) 측에 쿠션 볼륨감에 의한 압박력의 변화를 유도하여 강제적인 압박 및 해제 기능을 하므로 휠체어(100)의 의자부(110)에 앉은 사용자의 둔부 측 혈액순환을 도울 뿐만 아니라 신체의 특정부위에 욕창이 발생되는 것을 사전에 예방 및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할 수 있다.That is, during the movement of the wheelchair 100 induces the pump operation using the driving force of the wheel portion 130 side, and induces a change in the pressing force due to the cushion volume feeling on the air cushion 140 side, thereby forcing the pressing and releasing function. In addition to helping blood circulation at the buttocks side of the user sitting in the chair portion 110 of the wheelchair 100, it is possible to provide an advantage of preventing and preventing pressure sores from occurring in a specific part of the body in advance.

한편, 상기 에어방석(140)은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나로 완전체를 이루는 방석이되, 제1 내지 제4 분면으로 나누어 구획 형성하는 구성을 갖게 할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 5, the air cushion 140 may be a cushion that forms a complete body as one, and may be divided into first to fourth quadrants to form a compartment.

부연하여, 상기 에어방석(140)은 사분면(四分面) 영역으로 나누어 4개소로 구획 형성하고, 상기 구획된 4개소의 각 영역에 공기의 주입 및 배출이 개별적으로 이루어지도록 구성할 수 있다.Incidentally, the air cushion 140 may be divided into four quadrants to form a section in four places, and may be configured to individually inject and discharge air into each of the four sections.

이때, 상기 에어방석(140)에는 구획된 4개소의 각 영역에 대해 상기 펌프어셈블리(150)의 작동을 통한 공기의 주입 및 배출이 개별적으로 이루어지게 사분면 각각에 공기입출부(142)를 형성하여 구비한다.At this time, in the air cushion 140, air inlets and outlets 142 are formed in each of the quadrants so that injecting and discharging of air through the operation of the pump assembly 150 is performed separately for each of the four divided areas. Be equipped.

여기에서도 상기 에어방석(140)은 사각블록체의 베이스기재 상면에 쿠션 볼륨감에 의한 압박력을 형성하도록 하는 돌출형 구조의 단위에어셀(141)을 포함하되, 상기 단위에어셀(141)을 사각블록체의 베이스기재 상면 전체에 걸쳐 다수 배열한 구성을 갖게 할 수 있으며, 단위에어셀(141) 또한 4개소의 분배된 영역별로 공기의 입출에 의한 압박력의 변화를 유도하도록 구성 및 해당 위치에 따라 쿠션 볼륨감의 상태에 차이가 발생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Here, the air cushion 140 also includes a unit air cell 141 having a protruding structure to form a pressing force due to a feeling of cushion volume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material of the square block body, but the unit air cell 141 is a square block body. It is possible to have a plurality of arrangements over the entire upper surface of the base substrate, and the unit air cell 141 is also configured to induce changes in the pressing force due to the inflow and out of the air for each of the four distributed areas and the cushion volume is sensed according to the position. It can be configured to cause a difference in the state of the.

이와 더불어, 상기 에어방석(140)은 상기와 같이 구획된 4개소의 영역으로 나누어 구성한 상태에 펌핑 작동에 의한 공기의 주입시 또는 흡입 배출시 쿠션 압박력을 위한 쿠션 볼륨감의 상사점과 하사점이 상반되게 작용하도록 펌프어셈블리(150) 측과 연결 구비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에어방석(140)의 일측 영역에서는 볼륨감 형성에 의한 압박 동작을 수행함과 동시에 타측 영역에서는 볼륨감 해제에 의한 압박 해제 동작이 이루어지게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air cushion 140 is divided into four areas divided as described above, and when the air is injected or discharged by the pumping operation in the state configured, the upper and lower dead centers of the cushion volume for cushioning force are opposite. It can be provided with a connection to the pump assembly 150 so as to act, through which the pressure action by forming a sense of volume in one area of the air cushion 140, and at the same time, the pressure release action by the release of volume in the other area Can be done.

여기에서, 상기 에어방석(140)과 상기 펌프어셈블리(150)는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휠체어(100) 상에 설치 및 상호 연결되는 구성을 갖게 할 수 있는데, 상기 바퀴부(130) 측 구동축(131)의 좌우 방향 양측부에 모두 위치되게 장착하는 형태로 구비할 수 있다.Here, the air cushion 140 and the pump assembly 150, as shown in Figure 6, can be installed on the wheelchair 100 and have a configuration that is interconnected, the wheel shaft 130 side drive shaft It may be provided in a form that is mounted to be positioned on both sides of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of (131).

이를 위해, 상기 펌프어셈블리(150)는 상기 바퀴부(130)를 구동하는 구동축(131)의 양측부에 각각 장착되는 제1회전체(151A)와 제2회전체(151B)를 포함한다.To this end, the pump assembly 150 includes a first rotating body 151A and a second rotating body 151B respectively mounted on both sides of the drive shaft 131 for driving the wheel portion 130.

상기 제1회전체(151A)에는 그 일측에 일단이 힌지 결합되고 제1회전체(151A)의 회전상태에 따라 전후진 이동되는 제1크랭크축(152A)과, 상기 제1크랭크축(152A)의 타단에 핀 고정되어 결합되고 전후진에 따라 공기압 또는 흡입력을 생성시키는 제1피스톤로드(153A)와, 상기 제1피스톤로드(153A)의 전후진을 가이드하고 선단면 중앙에 공기주입구를 갖는 제1실린더(154A), 및 상기 제1실린더(154A)가 갖는 공기주입구에 일단이 각각 연결되고 타단이 에어방석(140)의 일측 공기입출부(142)에 연결되는 한쌍의 제1연결호스(155A)를 포함한다.A first crankshaft 152A having one end hinged to one side of the first rotatable body 151A and moved back and forth according to the rotational state of the first rotatable body 151A, and the first crankshaft 152A The first piston rod (153A) which is fixedly coupled to the other end of the pin and generates air pressure or suction force according to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and guides the forward and backward movement of the first piston rod (153A) and has an air inlet in the center of the front end face. One cylinder 154A, and a pair of first connection hoses 155A, each of which has one end connected to the air inlets of the first cylinder 154A and the other end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air inlet 142 of the air cushion 140 ).

상기 제2회전체(151B)에는 그 일측에 일단이 힌지 결합되고 제2회전체의 회전상태에 따라 전후진 이동되는 제2크랭크축(152B)과, 상기 제2크랭크축의 타단에 핀 고정되어 결합되고 전후진에 따라 공기압 또는 흡입력을 생성시키는 제2피스톤로드(153B)와, 상기 제2피스톤로드의 전후진을 가이드하고 선단면 중앙에 공기주입구를 갖는 제2실린더(154B), 및 상기 제2실린더가 갖는 공기주입구에 일단이 각각 연결되고 타단이 에어방석(140)의 타측 공기입출부(142)에 연결되는 한쌍의 제2연결호스(155B)를 포함한다.The second rotating body (151B) has one end hinged to one side thereof, and a second crankshaft (152B) that is moved back and forth according to the rotational state of the second rotating body, and pinned to the other end of the second crankshaft. The second piston rod (153B) for generating air pressure or suction force according to the forward and backward movement, the second cylinder (154B) that guides the forward and backward movement of the second piston rod and has an air inlet in the center of the front end surface, and the second It includes a pair of second connection hoses (155B), one end of which is connected to the air inlet of the cylinder, and the other end of which is connected to the other air inlet (142) of the air cushion (140).

여기에서, 상기 제1실린더(154A)와 제2실린더(154B)에는 각각 공기주입구(154a)를 한쌍 구조로 구비하여 한쌍의 제2연결호스(155A)(155B)와 분배 구조가 아닌 각각 연결하는 구성을 갖게 할 수 있다.Here, the first cylinder 154A and the second cylinder 154B are each provided with an air inlet 154a in a pair structure to connect a pair of second connection hoses 155A and 155B, respectively, but not in a distribution structure. You can have a composition.

이때, 상기 제1회전체(151A)에 일단이 연결되는 제1크랭크축(152A)과 상기 제2회전체(151B)에 일단이 연결되는 제2크랭크축(152B)의 연결위치를 상측 방향과 하측 방향으로 상반되게 배치함으로써 휠체어(100)의 이동에 따른 바퀴부(130)의 회전시 제1크랭크축(152A)과 제2크랭크축(152B)의 상사점과 하사점에 차이를 갖게 하는 구성을 갖게 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first crankshaft 152A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first rotating body 151A and the second crankshaft 152B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second rotating body 151B are connected to the upper direction. Arranged to be in the opposite direction in the downward direction so as to have a difference between the top dead center and the bottom dead center of the first crankshaft 152A and the second crankshaft 152B when the wheel 130 rotates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wheelchair 100 You can have.

이를 통해, 상기 바퀴부(130)의 회전상태에 따라 제1피스톤로드(154A)와 제2피스톤로드(154B) 측 공기압과 흡입력 생성이 상반되게 이루어지게 할 수 있으며, 에어방석(140) 측 단위에어셀(141)들에 대한 사분면 측 쿠션 볼륨감에 차별된 변화를 줄 수 있으며, 휠체어(100) 사용자의 둔부 측 혈액순환을 도와 신체 특정부위 측 욕창을 더욱 효과적으로 예방 및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할 수 있다.Through this, the first piston rod (154A) and the second piston rod (154B) side in accordance with the rotational state of the wheel 130, the air pressure and suction force generation can be made to be made contrary, air cushion 140 side unit It can give a differentiated change to the sense of volume of the cushion on the quadrant side of the air cells 141, and provides the advantage of preventing and preventing pressure sores on specific parts of the body more effectively by helping the user of the wheelchair 100 to circulate blood in the buttocks. can do.

예를 들어, 도 5 및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에어방석(140)에 있어 사분면으로 구획한 제1분면과 제3분면이 펌프어셈블리(150) 측 작동시 상사점이 되고 쿠션 볼륨감을 형성함에 의해 쿠션 압박력을 제공하고, 이와 반대로 에어방석(140) 측 제2분면과 제4분면이 하사점이 되는 경우 쿠션 볼륨감이 해제됨에 의해 압박력이 해제되므로 이와 같은 일 영역별 압박과 해제의 반복 동작을 통해 접촉되는 사용자의 근육을 강제 수축 및 이완시킬 수 있어 혈액순환을 돕고 신체를 움직여주므로 특정부위 측 욕창을 사전에 예방 및 방지할 수 있는 유용함을 제공할 수 있다.For example, as shown in FIGS. 5 and 6, the first and third quadrants, which are divided into quadrants in the air cushion 140, become top dead centers when operating the pump assembly 150 side and form a cushion volume feeling. By providing the cushion pressing force, on the contrary, when the second and fourth quadrants of the air cushion 140 become the bottom dead center, the pressing force is released by releasing the cushion volume feeling, thereby repeating the pressing and releasing operation for each area. The muscles of the user in contact can be forcibly contracted and relaxed, thereby helping blood circulation and moving the body, thereby providing usefulness to prevent and prevent pressure sores on a specific site in advance.

한편,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휠체어의 의자부(110)에 앉은 이용자가 수동으로 조절하여 에어방석(140)에 공기를 주입 또는 외부 배출할 수 있도록 한 수동조절기구(160)를 더 포함한다.On the other hand, referring to Figure 7, the user sitting on the chair portion 110 of the wheelchair is manually adjusted further includes a manual adjustment mechanism 160 that allows the air cushion 140 to inject or discharge air to the outside. .

또한, 상기 수동조절기구(160)는 볼 타입의 튜브형 구조를 갖는 공기주입펌프(161)와, 상기 공기주입펌프(161)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이 사분면으로 구획한 어방석(140)의 제1분면 내지 제4분면에 각각 연결되는 공기주입호스(162), 및 상기 공기주입펌프(161)를 통해 에어방석(140)의 각 사분면으로 주입된 공기를 외부 배출 가능하게 연결 구비되는 에어배출밸브(163)로 구성된다.In addition, the manual adjustment mechanism 160 is made of a ball-type tubular structure of the air injection pump 161, and one end is connected to the air injection pump 161 and the other end is divided into quadrants. An air discharge valve provided to connect the air injected into each quadrant of the air cushion 140 through the air injection hose 162 and the air injection pump 161, which are connected to the first to fourth quadrants, respectively. (163).

상기 공기주입펌프(161)는 휠체어(100)를 이용하는 이용자가 손으로 쥐고 압착할 수 있도록 구비된다.The air injection pump 161 is provided to allow a user who uses the wheelchair 100 to squeeze and squeeze by hand.

상기 공기주입호스(162)는 고정 연결하는 방식도 가능하나, 탈부착하는 형태로 구비함이 더욱 바람직하다.The air injection hose 162 may be fixedly connected, but is more preferably provided in a detachable form.

상기 에어배출밸브(163)는 공기주입펌프(161)의 후단에 연결 장착하는 형태로 구비할 수 있다.The air discharge valve 163 may be provided in a form that is connected to the rear end of the air injection pump 161.

특히, 도 8을 참조하면, 연결호스(155)와 공기주입호스(162)를 연결하는 삼방밸브(170)를 형성할 수 있다. 삼방밸브(170)의 채택시 에어배출밸브(163)는 상기 에어배출밸브는 공기주입펌프(161)와 공기주입호스(162)의 사이, 보다 구체적으로 공기주입펌프(161)와 삼방밸브(170) 사이에 개재하여 연결 구비하는 형태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particular, referring to Figure 8, it is possible to form a three-way valve 170 connecting the connecting hose 155 and the air injection hose 162. When the three-way valve 170 is adopted, the air discharge valve 163 is the air discharge valve between the air injection pump 161 and the air injection hose 162, more specifically, the air injection pump 161 and the three-way valve 170 It is preferable to be configured in a form having a connection interposed between).

이로서, 사용자는 삼방밸브(170)를 통해 펌프어셈블리(150) 또는 수동조절기구(160)의 사용을 선택할 수 있다. As such, the user can select the use of the pump assembly 150 or the manual adjustment mechanism 160 through the three-way valve 170.

즉, 이러한 상기 수동조절기구(160)를 통해서는 휠체어(100)를 이동 중 상기 펌프어셈블리(150)를 통해 발생되는 공기주입량에 대한 추가적인 조절이 요구되는 경우 이를 사용하여 에어방석(140) 측에 추가적인 공기를 주입할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하며, 때로는 휠체어(100)를 사용하지 않고 의자부(110)에 앉아 고정한 상태에서도 개별 사용함으로써 휠체어 이용자가 수동으로 에어방석(140) 측에 공기를 주입 또는 해제하여 엉덩이 근육에 강제적인 수축과 이완 작용을 갖게 할 수도 있다.That is, when additional control is required for the amount of air injected through the pump assembly 150 while moving the wheelchair 100 through the manual adjustment mechanism 160, it is used to the air cushion 140 side. It provides the advantage of injecting additional air, and sometimes the wheelchair user manually injects air to the side of the air cushion 140 by using it individually while sitting in the seat 110 without using the wheelchair 100 or It can also be released to force the hip muscles to contract and relax.

뿐만 아니라, 초기에 펌프어셈블리(150)로부터 에어방석(140)에 공기압을 주입 및 흡입 작동을 개시할 시, 즉 사용자가 휠체어 구동이동을 시작하는 시점에, 수동조절기구(160)를 통해 에어방석(140)에 적절한 압력을 세팅하고 펌프어셈블리의 작동을 개시함으로써, 이후 펌프어셈블리로부터 에어방석(140)에 동일한 공기압을 주입 및 흡입할 수 있게 되므로 초기 공기압세팅이 가능해진다.In addition, when the air pressure is injected into the air cushion 140 from the pump assembly 150 and the suction operation starts, that is, when the user starts to move the wheelchair, the air cushion through the manual adjustment mechanism 160 By setting the appropriate pressure at 140 and starting the operation of the pump assembly, since the same air pressure can be injected and sucked into the air cushion 140 from the pump assembly, initial air pressure setting is possible.

특히, 삼방밸브 적용시 이를 통해 사용자가 펌프어셈블리(150) 또는 수동조절기구(160)의 사용을 선택할 수 있게 된다. 즉, 사용자가 수동조절기구(160)의 사용을 선택시 펌프어셈블리(150)로부터 공급되는 공기가 수동조절기구(160)와 연결되어 에어방석(140)에는 펌프어셈블리(150)로부터 공급되는 공기가 차단되고, 수동조절기를 작동시키지 않을 시는 에어방석(140)에 흡입/배출이 정지되는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In particular, when the three-way valve is applied, this allows the user to select the use of the pump assembly 150 or the manual control mechanism 160. That is, when the user selects the use of the manual adjustment mechanism 160, the air supplied from the pump assembly 150 is connected to the manual adjustment mechanism 160 so that the air cushion 140 receives air supplied from the pump assembly 150. When it is blocked and the manual regulator is not operated, it is possible to maintain a state in which suction / discharge is stopped in the air cushion 140.

이로서, 휠체어 사용 중 에어방석(140)의 작동을 중지시키고자 할 경우 사용자는 삼방밸브의 모드를 "수동조절기구(160)의 사용(삼발밸브의 공기유동 통로를 수동조절기구와 연통되게 설정)"을 선택하는 것으로 달성할 수 있게 되므로 "스토퍼"로서의 안전장치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As such, when the user wants to stop the operation of the air cushion 140 while using the wheelchair, the user sets the mode of the three-way valve to “use the manual control mechanism 160 (sets the air flow passage of the three-way valve to communicate with the manual control mechanism). Since it can be achieved by selecting ", it is possible to implement a safety device function as a " stopper ".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고, 명세서에 게시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므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해 해석되고, 그와 균등한 범위 내에 있는 기술적 사항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 above description is illustrativ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specification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are intended to explain the present invention.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will b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idea of. Therefore, the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be interpreted by the matters described in the claims, and technical matters within the equivalent scope thereof should be interpreted to be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휠체어 110: 의자부
120: 발판부 130: 바퀴부
140: 에어방석 141: 단위에어셀
150: 펌프어셈블리 151: 회전체
152: 크랭크축 153: 피스톤로드
154: 실린더 155: 연결호스
160: 공기압조절기구 161: 공기주입펌프
162: 공기주입호스 163: 에어배출밸브
170: 삼방밸브
100: wheelchair 110: chair
120: footrest 130: wheel portion
140: air cushion 141: unit air cell
150: pump assembly 151: rotating body
152: crankshaft 153: piston rod
154: cylinder 155: connecting hose
160: air pressure control mechanism 161: air injection pump
162: air injection hose 163: air discharge valve
170: three-way valve

Claims (3)

사용자가 앉을 수 있도록 구비되는 의자부와 상기 의자부의 측부 하측에 위치하여 회전에 의해 이동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바퀴부를 포함하는 휠체어에 있어서,
상기 의자부의 상면에 탈부착하여 사용하도록 구비되는 것으로서, 공기입출부를 형성하고, 상기 공기입출부를 통해 내부로 공기를 주입 및 배출시킬 수 있도록 구비되는 에어방석; 및 상기 바퀴부 상에 연결 장착되고, 바퀴부 측 회전운동을 직선 왕복운동으로 전환시킴으로써 펌핑 작동을 통해 에어방석의 공기입출부로 공기를 주입 및 공기입출부로부터 공기를 배출시키도록 연결 구비되며, 휠체어 이동 중에 에어방석 측 쿠션 압박력에 연속적인 변화를 유도함으로써 휠체어 사용자의 둔부 측 강제적인 압박과 해제로 근육을 강제 수축 및 이완시킬 수 있게 하는 펌프어셈블리; 를 포함하되,
상기 에어방석은, 사분면(四分面) 영역으로 나누어 4개소로 구획 형성하고, 구획된 4개소의 각 영역에 공기의 주입 및 배출이 개별적으로 이루어지게 공기입출부를 각각 형성하여 구비하며;
상기 펌프어셈블리는, 상기 바퀴부를 구동하는 회전축의 양측부에 각각 장착되는 제1회전체 및 제2회전체; 상기 제1회전체의 일측에 일단이 힌지 결합되고, 제1회전체의 회전에 따라 전후진 이동되는 제1크랭크축; 상기 제1크랭크축의 타단에 핀 고정되어 결합되고, 전후진에 따라 공기압 또는 흡입력을 생성시키는 제1피스톤로드; 상기 제1피스톤로드의 전후진을 가이드하고, 선단면 중앙에 한쌍의 공기주입구를 갖는 제1실린더; 상기 제1실린더가 갖는 한쌍의 공기주입구에 일단이 각각 연결되고 타단이 에어방석의 일측 공기입출부에 연결되는 한쌍의 제1연결호스; 상기 제2회전체의 일측에 일단이 힌지 결합되고, 제2회전체의 회전에 따라 전후진 이동되는 제2크랭크축; 상기 제2크랭크축의 타단에 핀 고정되어 결합되고, 전후진에 따라 공기압 또는 흡입력을 생성시키는 제2피스톤로드; 상기 제2피스톤로드의 전후진을 가이드하고, 선단면 중앙에 한쌍의 공기주입구를 갖는 제2실린더; 및 상기 제2실린더가 갖는 한쌍의 공기주입구에 일단이 각각 연결되고 타단이 에어방석의 타측 공기입출부에 연결되는 한쌍의 제2연결호스; 를 포함하되, 상기 제1회전체에 일단이 연결되는 제1크랭크축과 상기 제2회전체에 일단이 연결되는 제2크랭크축의 연결위치를 상측과 하측으로 상반되게 배치함으로써 제1크랭크축과 제2크랭크축의 상사점과 하사점에 차이를 갖게 하여 바퀴부의 회전상태에 따라 제1피스톤로드와 제2피스톤로드 측 공기압과 흡입력 생성이 상반되게 이루어지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욕창 방지용 방석을 구비한 휠체어.
In the wheelchair including a chair portion provided to allow a user to sit and a wheel portion located on the lower side of the chair portion so as to be movable by rotation,
An air cushion provided to be detachably attach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chair portion to form an air inlet and outlet, and to inject and discharge air into the air through the air inlet and outlet portion; And connected to the wheel portion, is provided to be connected to inject air into the air inlet and outlet of the air cushion through the pumping operation by converting the rotational movement of the wheel side to a linear reciprocating motion, and discharge air from the air inlet and outlet, wheelchair A pump assembly capable of forcibly contracting and relaxing muscles by forcibly compressing and releasing the hip side of a wheelchair user by inducing a continuous change in the cushioning force on the air cushion side during movement; Including,
The air cushion is divided into quadrants, divided into four places, and provided with air inlets and outlets, respectively, to inject and discharge air separately into each of the four divided areas;
The pump assembly includes a first rotating body and a second rotating body respectively mounted on both sides of a rotating shaft driving the wheel portion; A first crank shaft having one end hinged to one side of the first rotating body and moved back and forth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first rotating body; A first piston rod that is fixedly coupled to the other end of the first crankshaft and generates air pressure or suction force according to forward and backward movements; A first cylinder that guides the forward and backward movement of the first piston rod and has a pair of air inlets in the center of the front end face; A pair of first connection hoses, one end of which is connected to a pair of air inlets of the first cylinder and the other end of which is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air inlet and outlet of the air cushion; A second crankshaft having one end hinged to one side of the second rotating body and moved back and forth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second rotating body; A second piston rod that is pinned and coupled to the other end of the second crankshaft, and generates air pressure or suction force according to forward and backward movements; A second cylinder that guides the forward and backward movement of the second piston rod and has a pair of air inlets in the center of the front end surface; And a pair of second connecting hoses, one end of which is connected to a pair of air inlets of the second cylinder and the other end of which is connected to the other air inlet and outlet of the air cushion; The first crankshaft and the first crankshaft by arranging the connection positions of the first crankshaft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first rotating body and the second crankshaft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second rotating body oppositely to the upper side and the lower side. 2 Having a difference between the top dead center and the bottom dead center of the crankshaft, the cushion is provided with a cushion for preventing bedsores, characterized in that the air pressure and the suction force of the first piston rod and the second piston rod are made in opposition according to the rotational state of the wheel. bathchair.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휠체어에 앉은 이용자가 수동으로 조절하여 에어방석의 공기주입부 측에 공기를 주입 또는 배출할 수 있도록 한 수동조절기구; 를 포함하되,
상기 수동조절기구는, 볼 타입의 튜브형 구조를 갖는 공기주입펌프; 상기 공기주입펌프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이 에어방석의 공기주입부에 연결되는 공기주입호스; 및 상기 공기주입펌프를 통해 공기주입부로 주입되는 공기를 외부 배출 가능하게 연결 구비되는 에어배출밸브; 를 포함하는 한편,
상기 에어배출밸브는 공기주입펌프와 공기주입호스의 사이에 개재하여 연결 구비하고,
사용자가 상기 펌프어셈블리 또는 수동조절기구의 사용을 선택할 수 있도록 연결호스와 공기주입호스를 연결하는 삼방밸브를 더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욕창 방지용 방석을 구비한 휠체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manual adjustment mechanism that allows a user sitting in the wheelchair to manually adjust and inject or discharge air to the air inlet side of the air cushion; Including,
The manual adjustment mechanism, an air injection pump having a ball-type tubular structure; An air injection hose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air injection pump and the other end connected to the air injection portion of the air cushion; And an air discharge valve provided to connect the air injected into the air injection part through the air injection pump to be externally discharged. On the other hand,
The air discharge valve is provided with an intervening connection between the air injection pump and the air injection hose,
Wheelchair equipped with a cushion for preventing bedsores, further comprising a three-way valve connecting the connecting hose and the air injection hose so that the user can select the use of the pump assembly or the manual adjustment mechanism.


삭제delete
KR1020190114026A 2019-09-17 2019-09-17 Wheelchair having Cushion for Preventing Bedsore KR10210627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4026A KR102106279B1 (en) 2019-09-17 2019-09-17 Wheelchair having Cushion for Preventing Bedsor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4026A KR102106279B1 (en) 2019-09-17 2019-09-17 Wheelchair having Cushion for Preventing Bedsor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06279B1 true KR102106279B1 (en) 2020-05-04

Family

ID=707326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14026A KR102106279B1 (en) 2019-09-17 2019-09-17 Wheelchair having Cushion for Preventing Bedsor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06279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33261A (en) 2021-08-31 2023-03-08 경북보건대학교 산학협력단 Wheelchair air conditioning mat apparatus for preventing pressure ulcer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51990Y1 (en) * 2001-05-08 2001-11-16 천봉우 The air mat for the sicker
KR20040069071A (en) * 2003-01-28 2004-08-04 산재의료관리원 A decubitus prevention cushion's air controller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JP2007044254A (en) * 2005-08-10 2007-02-22 Shinanotekku:Kk Decubitus prevention air mat, rotary valve for use in air mat or wheelchair
KR20130124701A (en) * 2012-05-07 2013-11-15 박윤구 Bedsores preventing cushion
KR101412731B1 (en) 2013-12-23 2014-06-30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Wheelchair for preventing pressure sore
KR101648941B1 (en) 2014-10-23 2016-08-17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Wheelchair for preventing pressure sore
KR101656411B1 (en) 2014-10-23 2016-09-09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Wheelchair for preventing pressure sore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51990Y1 (en) * 2001-05-08 2001-11-16 천봉우 The air mat for the sicker
KR20040069071A (en) * 2003-01-28 2004-08-04 산재의료관리원 A decubitus prevention cushion's air controller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JP2007044254A (en) * 2005-08-10 2007-02-22 Shinanotekku:Kk Decubitus prevention air mat, rotary valve for use in air mat or wheelchair
KR20130124701A (en) * 2012-05-07 2013-11-15 박윤구 Bedsores preventing cushion
KR101412731B1 (en) 2013-12-23 2014-06-30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Wheelchair for preventing pressure sore
KR101648941B1 (en) 2014-10-23 2016-08-17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Wheelchair for preventing pressure sore
KR101656411B1 (en) 2014-10-23 2016-09-09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Wheelchair for preventing pressure sor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33261A (en) 2021-08-31 2023-03-08 경북보건대학교 산학협력단 Wheelchair air conditioning mat apparatus for preventing pressure ulcer
KR102607434B1 (en) 2021-08-31 2023-11-30 경북보건대학교 산학협력단 Wheelchair air conditioning mat apparatus for preventing pressure ulce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46557B2 (en) Health mat and health bed with the health mat
DE2852323A1 (en) BODY-SUPPORTING STRUCTURE WITH EQUIPMENT FOR COMFORT, FOR SUPPORTING BODY IN VARIOUS POSITIONS, AND FOR MEETING NEEDS
CN211797621U (en) Intelligent physiotherapy chair for dredging channels and collaterals
CN209092137U (en) A kind of moxa-moxibustion massage armchair with auxiliary moxibustion device
US20190208911A1 (en) Rocking chair massager
US20110295167A1 (en) Apparatus for muscle loosening and rehabilitation
US6773032B2 (en) Ambulatory apparatus
CN113599113A (en) Separable multifunctional nursing bed
KR102106279B1 (en) Wheelchair having Cushion for Preventing Bedsore
CN108420671A (en) Rehabilitation department massage rehabilitation chair
US20040222611A1 (en) Programmable multifunctional air support reclining and tilting wheelchair
CN111821160A (en) Ultrasonic vibration functional chair for promoting blood cavitation and circulation
KR100739020B1 (en) Lumber traction apparatus
KR102052948B1 (en) A wheelchair equipped with a cushion for preventing pressure ulcers with a built-in thermal function through self-power generation
CN211410074U (en) Ultrasonic vibration functional chair for promoting blood cavitation and circulation
US11628106B1 (en) Wheelchair with integral massaging units
JP2005000259A (en) Massager with head support
CN214157782U (en) Medical multifunctional mattress
CN108392399A (en) It is a kind of to use seat convenient for the stifling of adjusting
KR20180094887A (en) Comprising a verticalizing device, and a movable mobility changing bed
CN209004466U (en) Medical wheelchair
CN208287170U (en) Orthopedic chair
CN215584615U (en) Multifunctional nursing wheelchair
CN210384232U (en) Multifunctional wheelchair with prevention and treatment of pressure sores and climbing
KR200251990Y1 (en) The air mat for the sick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