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06090B1 - 하이브리드 커플러 - Google Patents

하이브리드 커플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06090B1
KR102106090B1 KR1020190116641A KR20190116641A KR102106090B1 KR 102106090 B1 KR102106090 B1 KR 102106090B1 KR 1020190116641 A KR1020190116641 A KR 1020190116641A KR 20190116641 A KR20190116641 A KR 20190116641A KR 102106090 B1 KR102106090 B1 KR 1021060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ing bar
coupling
supports
housing
hybrid coup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166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제동
Original Assignee
오제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제동 filed Critical 오제동
Priority to KR10201901166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0609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060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060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PWAVEGUIDES; RESONATORS, LINES, OR OTHER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11/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waveguides or resonators, lines, or other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PWAVEGUIDES; RESONATORS, LINES, OR OTHER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1/00Auxiliary devices
    • H01P1/04Fixed joi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PWAVEGUIDES; RESONATORS, LINES, OR OTHER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5/00Coupling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5/12Coupling devices having more than two ports
    • H01P5/16Conjugate devices, i.e. devices having at least one port decoupled from one other por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하이브리드 커플러가 개시된다. 하이브리드 커플러는 전도체 재질의 하우징, 하우징의 일면에 결합되는 전도체 재질의 커버, 하우징 내부에 고정되는 절연체 재질로 이루어진 복수의 지지대, 복수의 지지대 중 일부에 의해 지지되는 제1 커플링바 및 복수의 지지대 중 나머지 일부에 의해 지지되는 제2 커플링바를 포함하며, 하우징 내부에는 복수의 홈이 형성되며, 복수의 홈에 의해 복수의 지지대가 고정된다. 이에 따라, 흔들림이나 외부의 충격에도 안정적이면서 PIMD가 감소된 하이브리드 커플러가 제공된다

Description

하이브리드 커플러{HYBRID COUPLER}
본 발명은 하이브리드 커플러(Hybrid Coupler)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안정적으로 고정가능한 하이브리드 커플러에 관한 것이다.
커플링(Coupking)이란 독립된 공간 또는 선로 간에서 전자계적으로 교류 신호 에너지가 상호 전달되는 현상을 의미한다. 커플러(Coupler)는 이러한 커플링의 정도를 인위적으로 조절하는 것으로, 선로의 길이와 간격을 임의로 조절하여 한쪽에 원하는 전력이 전달되도록 하는 장치이다.
이동 통신 장비에 있어서, RF 신호의 전달을 위해 하이브리드 커플러가 사용되는데, 종래 기술의 하이브리드 커플러는 커플리을 위해 두 도전부재 즉, 커플링바가 이격되어 위치한다. 이러한 구조로 인해, 흔들림이나 외부의 충격에 약한 단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 기술의 하이브리드 커플러는 임피던스 매칭을 위하여 스터브를 이용하는데, 스터브를 이용하는 경우, 스터브로 인한 PIMD(Passive Intermodulation Distortion)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서비스의 증대와 통화품질의 개선에는 항시 채널간의 간섭이 중요한 문제인데, 이 간섭문제 중의 한 중요한 인자가 상호변조 왜곡(IMD: Intermodulation Distortion)이다.
IMD란 두 개 이상의 신호 주파수들이 서로 간섭 현상을 일으켜 원치 않는 기생 신호를 발생시키는 것으로 이와 같은 현상이 수동 소자에서 나타날 때 PIMD라고 한다. 이와 같은 PIMD는 이동 통신 시스템의 여러 스테이지에서 문제가 될 수 있으며, 특히 기지국 시스템 내에서도 예상치 못한 노이즈 발생의 주요한 요인이 되고 있다.
따라서, 외부의 충격에 대해 내구성을 갖으면서 PIMD를 감소시킬 수 있는 해결방안의 필요성이 증대되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흔들림이나 외부의 충격에도 안정적으로 고정되면서 PIMD를 감소시키는 하이브리드 커플러를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커플러는, 전도체 재질의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일면에 결합되는 전도체 재질의 커버, 상기 하우징 내부에 고정되는 절연체 재질로 이루어진 복수의 지지대, 상기 복수의 지지대 중 일부에 의해 지지되는 제1 커플링바 및 상기 복수의 지지대 중 나머지 일부에 의해 지지되는 제2 커플링바를 포함하며, 상기 하우징 내부에는 복수의 홈이 형성되며, 상기 복수의 홈에 의해 상기 복수의 지지대가 고정된다.
여기서, 상기 제1 및 제2 커플링바는, 상기 복수의 지지대와 결합되기 위한 홀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복수의 지지대는 상기 제1 및 제2 커플링바의 하부에서 지지하는 하부 지지대, 상기 제1 및 제2 커플링바의 홀을 관통하는 원통형 지지대 및 상기 제1 및 제2 커플링바의 상부에서 지지하는 상부 지지대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하부 지지대, 원통형 지지대 및 상부 지지대는 상기 커버 및 하우징의 결합에 의한 압력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 커플링바 각각의 말단은, 오목한 형상을 가진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 커플링바는, 서로 이격된채로 겹쳐지되 서로 배치되는 방향으로 향하도록 배열된다.
또한, 상기 커버의 일면에는 기설정된 패턴의 홈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하우징은, 상기 커버가 상기 하우징에 고정되어 부착되도록 홈이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커플러는, 상기 제1 및 제2 커플링바 각각의 말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복수의 커넥터를 더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커넥터 각각은 커넥터 속심을 통해 상기 제1 및 제2 커플링바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여기서, 상기 커넥터 속심은 'H' 컷팅으로 가공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흔들림이나 외부의 충격에도 안정적이면서 PIMD가 감소된 하이브리드 커플러가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커플러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a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1 커플링바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2 커플링바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a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커버에 배열된 홈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커버의 측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c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커버에 배열된 홈 및 커플링바의 배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하우징의 내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가 위치할 자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 및 제1, 2 커플링바가 설치된 하이브리드 커플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a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1, 2 커플링바와 복수의 지지대의 배치에 관한 좌측면도이다.
도 7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1, 2 커플링바와 복수의 지지대의 배치에 관한 전면도이다.
도 7c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1, 2 커플링바와 복수의 지지대의 배치에 관한 우측면도이다.
도 8a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의 속심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 내지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커플러의 효과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4 내지 2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커플러의 각 구성에 대한 실제 사진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된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커플러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따르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커플러(100)는 하우징(110), 커버(120), 복수의 지지대(130: 131, 132, 133, 134, 135, 136, 137, 138, 139, 132-1, 134-1, 135-1, 137-1, 138-1, 132-2, 133-2, 134-2, 137-2, 138-2), 제1 커플링바(140) 및 제2 커플링바(150)를 포함한다. 여기서, 하우징(110)은 전도체 재질로 구성될 수 있으며, 커버(120) 역시 전도체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커버(120)는 하우징(110)의 일면에 결합될 수 있으며, 하우징(110)에 형성된 홈과 맞물려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하우징(110) 및 커버(130)는 금속 재질로 제작될 수 있으며, 접지 전위를 가질 수 있다. 금속 재질로 제작된 하우징(110) 및 커버(130)는 전자파 차폐의 기능을 가지며, 이에 따라 제1 커플링바(140) 및 제2 커플링바(150)을 통해 전달되는 RF 신호를 보호할 수 있다.
한편, 하우징(110)에는 RF 신호의 입출력을 위한 단자가 형성될 수 있으며, 커넥터는 단자에 삽입되어 제1 커플링바(140) 및 제2 커플링바(150)와 접촉할 수 있는데, 이에 대해서는 추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복수의 지지대(130)는 하우징(110) 내부에 고정될 수 있으며, 절연체 재질로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제1 커플링바(140) 및 제2 커플링바(150)가 복수의 지지대(130)와 접촉하여 지지를 받더라도, 제1 커플링바(140) 및 제2 커플링바(150)를 통해 전달되는 RF 신호에 대한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다.
여기서, 복수의 지지대는 제1 커플링바(140) 및 제2 커플링바(150)의 하부에서 지지하는 하부 지지대(131, 132, 133, 134, 135, 136, 137, 138, 139), 제1 커플링바(140) 및 제2 커플링바(150)의 홀을 관통하는 원통형 지지대(132-1, 134-1, 135-1, 137-1, 138-1) 및 제1 커플링바(140) 및 제2 커플링바(150)의 상부에서 지지하는 상부 지지대(132-2, 133-2, 134-2, 137-2, 138-2)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하부 지지대(130: 131, 132, 133, 134, 135, 136, 137, 138, 139)는 하우징(110)의 내부에 형성된 홈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하우징(110) 내부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홈(111, 112, 113, 114, 115, 116, 117, 118, 119)이 형성되며, 복수의 홈(111, 112, 113, 114, 115, 116, 117, 118, 119)에 하부 지지대(130: 131, 132, 133, 134, 135, 136, 137, 138, 139)가 각각 꽂힘으로써 고정될 수 있다.
이러한 복수의 홈(111, 112, 113, 114, 115, 116, 117, 118, 119)의 사이즈는 직경이 2.6mm이며, 복수의 홈(111, 112, 113, 114, 115, 116, 117, 118, 119)의 배치는 제1 커플링바(140) 및 제2 커플링바(150)가 서로 반대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도록 정해질 수 있다. 물론, 하우징(110) 내부에 형성되는 복수의 홈의 사이즈, 개수 및 배치 구성이 변경가능함은 당연하다.
한편, 제1 커플링바(140)는 하부 지지대(130: 131, 132, 133, 134, 135, 136, 137, 138, 139) 중 일부에 의해 지지될 수 있고, 제2 커플링바(150)는 하부 지지대(130: 131, 132, 133, 134, 135, 136, 137, 138, 139) 중 나머지 일부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1을 참조하면, 제1 커플링바(140)는 하부 지지대(130: 131, 132, 133, 134, 135, 136, 137, 138, 139) 중 일부 지지대(136, 137, 133, 138, 139)에 의해 지지될 수 있고, 제2 커플링바(150)는 하부 지지대(130: 131, 132, 133, 134, 135, 136, 137, 138, 139) 중 나머지 일부 지지대(131, 132, 133, 138, 139)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물론, 하부 지지대(130: 131, 132, 133, 134, 135, 136, 137, 138, 139) 중 하나(133)은 제1 커플링바(140) 및 제2 커플링바(150)가 공유하고 있으나, 이를 제외한 나머지 지지대는 모두 제1 커플링바(140) 및 제2 커플링바(150)를 지지하는데 있어서 두 개의 그룹으로 나누어지게 된다.
한편, 하부 지지대(131, 132, 133, 134, 135, 136, 137, 138, 139)는 제1 커플링바(140) 및 제2 커플링바(150)를 하부에서 지지하고, 하부 지지대 중 일부(132, 133, 134, 137, 138)는 내부에 홈이 파여져 있어, 원통형 지지대(132-1, 133-1, 134-1, 137-1, 138-1)가 꽂힐 수 있다.
그리고, 원통형 지지대(132-1, 133-1, 134-1, 137-1, 138-1)는 제1 커플링바(140)에 구비된 홀 및 제2 커플링바(150)에 구비된 홀을 관통하게 되며, 관통된 원통형 지지대(132-1, 133-1, 134-1, 137-1, 138-1)는 제1 커플링바(140) 및 제2 커플링바(150)의 상부에 위치하는 상부 지지대(132-2, 133-2, 134-2, 137-2, 138-2)와 결합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상부 지지대(132-2, 133-2, 134-2, 137-2, 138-2)는 원통형 지지대(132-1, 133-1, 134-1, 137-1, 138-1)가 꽂힐 수 있도록 홈이 파여져 있거나, 링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하부 지지대(131, 132, 133, 134, 135, 136, 137, 138, 139), 원통형 지지대(132-1, 133-1, 134-1, 137-1, 138-1) 및 상부 지지대(132-2, 133-2, 134-2, 137-2, 138-2)는 커버(120) 및 하우징(110)의 결합에 의한 압력에 의해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는데, 이에 대해서는 추후 도면을 통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제1 커플링바(140) 및 제2 커플링바(150) 사이에는 아주 얇은 링(160)이 삽입되어 제1 커플링바(140)와 제2 커플링바(150)를 이격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는 제1 커플링바(140)와 제2 커플링바(150) 간에 커플링이 일어날 수 있도록 간격을 만들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링(160)의 두께는 0.4mm이나, 이는 커플링의 효과를 고려하여 변경가능하다.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1 커플링바 및 제2 커플링바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2 커플링바(150)는 도시된 바와 같이 기 설정된 형상을 갖도록 설계될 수 있으며, 소정의 두께를 갖도록 제작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2a에 도시된 제2 커플링바(150)의 형태는 하이브리드 커플러(100)를 통해 전송되는 신호의 손실을 최대한 줄여서 최적의 성능을 낼 수 있도록 설계된 것이다.
예를 들면, 파여져 있는 영역(156, 157)과 튀어나와 있는 영역(158, 159)은 모두 최적의 성능을 내기 위해 설계된 것으로서, 이는 추후 설명할 커버(120)에 형성된 홈과 연관성이 있다. 특히, 튀어나와 있는 영역(158, 159)은 스터브로 볼 수 있다.
또한, 제2 커플링바(150)는 원통형 지지대(132-1, 133-1, 134-1)와 결합되기 위한 홀(151, 152, 153)을 포함한다. 여기서, 원통형 지지대(132-1, 133-1, 134-1)와 결합되기 위한 홀(151, 152, 153)의 사이즈는 직경이 2.7mm로 구현되고 있으나, 이 또한 변경가능하다. 즉, 원통형 지지대(132-1, 133-1, 134-1) 각각은 제2 커플링바(150)에 형성된 홀(151, 152, 153)에 끼워질 수 있다.
그리고, 원통형 지지대(132-1, 133-1, 134-1) 각각이 제2 커플링바(150)의 홀(151, 152, 153)에 끼워진 상태에서 하부 지지대(132, 133, 134)가 제2 커플링바(150)의 하부 방향에서 원통형 지지대(132-1, 133-1, 134-1)에 끼워지게 되고, 상부 지지대(132-2, 133-2, 134-2)는 제2 커플링바(150)의 상부 방향에서 원통형 지지대(132-1, 133-1, 134-1)에 끼워지게 된다.
한편, 제2 커플링바(150)는 3개의 홀(151, 152, 153)을 포함하고 있으나, 홀의 개수가 변경가능함은 당연하다.
이렇게 원통형 지지대(132-1, 133-1, 134-1)가 제2 커플링바(150)에 형성된 홀(151, 152, 153)에 끼워지고 하부 지지대(132, 133, 134) 및 상부 지지대(132-2, 133-2, 134-2)가 제2 커플링바(150)의 하부 및 상부에서 지지함으로써, 제2 커플링바(150)는 외부의 충격이나 흔들림이 있더라도 견고하게 고정되어 안정적으로 기능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도 2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1 커플링바(140)는 도시된 바와 같이 기 설정된 형상을 갖도록 설계될 수 있으며, 소정의 두께를 갖도록 제작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2b에 도시된 제1 커플링바(140)의 형태는 제2 커플링바(150)와 대칭되는 형태이며, 이러한 형태 역시 하이브리드 커플러(100)를 통해 전송되는 신호의 손실을 최대한 줄여서 최적의 성능을 낼 수 있도록 설계된 것이다.
예를 들면, 파여져 있는 영역(146, 147)과 튀어나와 있는 영역(148, 149)은 모두 최적의 성능을 내기 위해 설계된 것으로서, 이는 추후 설명할 커버(120)에 형성된 홈과 연관성이 있다. 특히, 튀어나와 있는 영역(148, 149)은 스터브로 볼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1 커플링바(140)는 원통형 지지대(133-1, 137-1, 138-1)와 결합되기 위한 홀(141, 142, 143)을 포함한다. 여기서, 원통형 지지대(133-1, 137-1, 138-1)와 결합되기 위한 홀(141, 142, 143)의 사이즈는 직경이 2.7mm로 구현되고 있으나, 이 또한 변경가능하다. 그리고, 원통형 지지대(133-1, 137-1, 138-1) 각각은 제1 커플링바(140)에 형성된 홀(141, 142, 143)에 끼워질 수 있다.
그리고, 원통형 지지대(133-1, 137-1, 138-1) 각각이 제1 커플링바(140)의 홀(141, 142, 143)에 끼워진 상태에서 하부 지지대(133, 137, 138)가 제1 커플링바(140)의 하부 방향에서 원통형 지지대(133-1, 137-1, 138-1)에 끼워지게 되고, 상부 지지대(133-2, 137-2, 138-2)는 제1 커플링바(140)의 상부 방향에서 원통형 지지대(133-1, 137-1, 138-1)에 끼워지게 된다.
한편, 제1 커플링바(140)는 3개의 홀(141, 142, 143)을 포함하고 있으나, 홀의 개수가 변경가능함은 당연하다.
이렇게 하여, 제1 커플링바(140) 역시 외부의 충격이나 흔들림이 있더라도 견고하게 고정되어 안정적으로 기능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1 커플링바(140) 및 제2 커플링바(150)는 형성된 홀(141, 142, 143, 151, 152, 153)에 의해 원통형 지지대(132-1, 133-1, 134-1, 137-1, 138-1)와 결합됨으로써, 사이드 방향에서 작용하는 힘의 영향력이 사라지게 되어 신호의 전송에 있어서 영향력이 작아지게 되고 결과적으로 PIMD도 줄어들게 된다.
이러한 제1 커플링바(140) 및 제2 커플링바(150) 각각의 말단(144, 145, 154, 155)은 오목한 형상을 가진다. 일반적으로, 제1 커플링바(140) 및 제2 커플링바(150) 각각의 말단(144, 145, 154, 155)은 커넥터 속심과의 직접적인 접촉을 위해 형성되며, 커넥터 속심과 연결이 용이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여기서, 제1 커플링바(140) 및 제2 커플링바(150) 각각의 말단(144, 145, 154, 155)이 오목한 형상을 갖는 이유는 제1 커플링바(140) 및 제2 커플링바(150)가 하우징(110) 내부에 배치될 때, 제1 커플링바(140) 및 제2 커플링바(150) 각각의 말단(144, 145, 154, 155)은 커넥터가 위치할 단자쪽으로 배치되는데, 추후 커넥터의 속심과 접촉시키는데 필요한 공정을 용이하게 하기 위함이다.
즉, 커넥터의 속심은 'H'컷팅 공정을 통하게 되며, 이렇게 공정된 커넥터 속심은 제1 커플링바(140) 및 제2 커플링바(150) 각각의 말단(144, 145, 154, 155)의 오목한 형상에 딱 들어맞게 되며, 이를 통해 추후 납땜이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및 제2 커플링바(140, 150)는 서로 겹쳐지되 서로 배치되는 방향으로 향하도록 배열된다. 도 6을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을 참조하면, 제1 커플링바(140)는 하부 지지대(133, 136, 137, 138, 139)에 의해 지지되고, 제2 커플링바(150)는 하부 지지대(131, 132, 133, 134, 135)에 의해 지지된다. 그리고, 제1 커플링바(140)의 중심과 제2 커플링바(150)의 중심은 동일한 하부 지지대(133)에 의해 지지됨과 동시에 서로 이격된채로 겹쳐지게 된다.
구체적으로, 제1 커플링바(140)의 중심과 제2 커플링바(150)의 중심 영역 사이에는 아주 얇은 링(160)이 배치되어 서로 이격되어 있으며, 이에 따라 제1 커플링바(140)와 제2 커플링바(150)가 겹쳐지는 부분에서 신호를 커플링으로 전달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제1 커플링바(140)와 제2 커플링바(150)는 각각의 중심으로부터 각 입출력 단자(610, 620, 630, 640)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커플링바(140)는 제1 커플링바(140)의 중심인 하부 지지대(133)로부터 입출력 단자(620, 630)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고, 제2 커플링바(150)는 제2 커플링바(150)의 중심인 지지대(133)로부터 입출력 단자(610, 640)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므로, 서로 다른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기 때문에 겹쳐지지 않는 부분에서는 커플링이 일어나지 않게 된다.
구체적으로,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제1 커플링바(140) 및 제2 커플링바(150)가 도 6에 도시된 것처럼 배치되어 있다고 가정하고 설명한다.
제1 커플링바(140)의 제1 말단(144)에 입력된 제1 RF 신호는 직접 연결된 제1 커플링바(140)의 중심 방향 즉, 홀(142)이 있는 방향으로 전달되고, 홀(142)이 있는 부분에서 제1 RF 신호의 일부는 직접 연결된 제1 커플링바(140)의 제2 말단(145)으로 출력되고, 제1 RF 신호의 나머지 일부는 홀(142)이 있는 부분에서 제2 커플링바(150)로 커플링되어 제2 커플링바(150)의 제1 말단(154)으로 출력된다.
한편, 제2 커플링바(150)의 제2 말단(155)에 입력된 제2 RF 신호는 직접 연결된 제2 커플링바(150)의 중심 방향 즉, 홀(152)이 있는 방향으로 전달되고, 홀(152)이 있는 부분에서 제2 RF 신호의 일부는 직접 연결된 제2 커플링바(150)의 제1 말단(154)으로 출력되고, 제2 RF 신호의 나머지 일부는 홀(152)이 있는 부분에서 제1 커플링바(140)로 커플링되어 제1 커플링바(140)의 제2 말단(155)으로 출력된다.
한편, 도 3a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커버에 배열된 홈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a를 참조하면, 커버(120)의 하면을 나타낸 것으로서, 커버(120)의 하부에는 기설정된 패턴으로 배열된 홈(121, 122, 123, 124, 125, 126, 127)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커버의 측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b를 참조하면, 커버(120)의 측면을 도시한 것으로서, 커버(120)의 하부에 배열된 홈(121, 122, 123, 124, 125, 126, 127)이 음각으로 형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구체적으로, 커버(120)의 하부에 배열된 홈(121, 122, 125, 126)은 0.6mm의 두께로 음각형성되어 있고, 커버(120)의 하부에 배열된 홈(123, 127)은 0.8mm의 두께로 음각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커버(120)의 하부에 배열된 홈(121, 122, 123, 124, 125, 126, 127)의 배열 위치와 형태 그리고, 두께는 VSWR(Voltage Standing Wave Ratio)을 최소화하여 반사손실을 낮추기 위해 설계된 것이다.
한편, 도 3c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커버에 배열된 홈 및 커플링바의 배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구체적으로, 커버(120)의 하부에 배열된 홈 중 일부(123, 127)은 앞서 설명한바와 같이 제1 커플링바(140)의 파여져 있는 영역(146, 147)과 제2 커플링바(150)의 파여져 있는 영역(156, 157)에 대응되도록 음각형성된다.
또한, 커버(120)의 하부에 배열된 홈 중 일부(121, 122, 125, 126)는 제1 커플링바(140)의 말단(144, 145) 및 제2 커플링바(150)의 말단(154, 155)에 대응되도록 음각형성된다.
또한, 제1 커플링바(140)의 튀어나와 있는 영역(148, 149) 및 제2 커플링바(150)의 튀어나와 있는 영역(158, 159)이 커버(120)의 하부에 배열된 홈 중 일부(124)의 안쪽에 위치해 있도록 홈(124)이 음각형성된다.
한편,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하우징의 내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하우징(110)의 내부에는 하부 지지대(130: 131, 132, 133, 134, 135, 136, 137, 138, 139)가 꽂힐 수 있는 복수의 홈(111, 112, 113, 114, 115, 116, 117, 118, 119)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복수의 홈(111, 112, 113, 114, 115, 116, 117, 118, 119)의 사이즈는 직경이 2.6mm이고 깊이가 1.5mm이다.
한편, 하우징(110)과 커버(120)가 결합되는 부분을 참고하면, 하우징(110)은 커버(120)가 하우징(110)에 고정되어 부착되도록 홈이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옆에서 바라보면 계단 형태(410)로 층을 달리하여 형성되어 있으며, 커버(120)에도 이에 대응되는 형태(411)로 형성되어 있어, 서로 맞물려 결합이 가능하게 되어 전자파 차폐 성능이 높아지게 된다.
한편, 하우징(110)과 커버(120)에는 다수의 홀이 형성될 수 있으며, 다수의 홀에 볼트가 삽입되어 하우징(110)과 커버(120)가 결합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가 위치할 자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에 따르면, 커넥터가 위치할 단자(510) 하나가 도시되어 있는 것으로서, 단자 전체의 직경 범위는 11.5mm에서 11.53mm이고, 커넥터 속심이 관통하는 부위의 직경은 4.4mm이다. 그리고, 단자(510)의 길이는 6.97mm이다.
이와 같이, 하우징(110)에는 RF 신호의 입출력을 위한 단자(510)가 복수 개 형성될 수 있으며, 커넥터는 단자(510)에 삽입되어 제1 커플링(140) 및 제2 커플링(150)의 말단(144, 145, 154, 155)과 접촉할 수 있다. 단자(510)는 제1 커플링(140) 및 제2 커플링(150)의 말단(144, 145, 154, 155)의 개수와 상응하게 형성되도록 제작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도 6을 참조하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 및 제1, 2 커플링바가 설치된 하이브리드 커플러를 도시한 도면이다.
즉, 하우징(110)에 단자(510)가 4개 형성된 경우 각각의 단자에 커넥터(610, 620, 630, 640)이 삽입된다. 이에 따라, 제1 RF 신호가 제1 단자(610)를 통해 입력되고, 제2 RF 신호가 제2 단자(620)를 통해 입력되며, 앞서 설명한 제1 커플링바(140)와 제2 커플링바(150) 간의 커플링을 통해 제3 단자(630) 및 제4 단자(640)를 통해 출력 신호가 출력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커플러(100)는 제1 및 제2 커플링바(140, 150) 각각의 말단(144, 145, 154, 155)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복수의 커넥터(610, 620, 630, 640)를 더 포함하며, 복수의 커넥터(610, 620, 630, 640) 각각은 커넥터 속심을 통해 제1 및 제2 커플링바(140, 15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커넥터 속심은 'H' 형태로 컷팅되어 가공되며, 'H' 형태로 컷팅되어 가공되면, 추후 커넥터(610, 620, 630, 640)를 하우징(110)에 삽입하여 납땜을 할 경우, 납이 잘 퍼지게 되어 다 스며들 수 있고 이에 따라, 고정이 용이하며 흔들림이 없게 된다. 결과적으로, PIMD 또한 감소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이와 관련하여, 도 8을 참고하여 커넥터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8a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a를 참조하면, 커넥터(610)는 하우징(110)의 외부로 돌출되어 전기 신호를 입력받거나 출력하는 돌출부(611), 하우징(110)에 구비된 단자(510)에 접촉되어 연결되는 연결부(612) 및 제1 및 제2 커플링바(140, 15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접촉되는 커넥터 속심(613)을 포함한다.
도 8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의 속심을 도시한 도면이다.
구체적으로, 도 8b를 참조하면, 커넥터 속심(613)은 'H'컷팅으로 가공되어 가장 끝단은 원형이 아닌 사각형의 단면을 갖는 형태로 가공된다. 이와 관련하여, 도 19 및 도 20의 커넥터에 관한 실제 사진을 참고하면 쉽게 이해가 될 수 있다.
한편, 도 7a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1, 2 커플링바와 복수의 지지대의 배치에 관한 좌측면도이다.
구체적으로, 도 7a를 참고하면, 도 6과 같이 제1 및 제2 커플링바(140, 150)가 하우징(110)에 설치되고 커버(120)가 하우징(110)에 결합된 상태에서, 좌측면에서 바라본 구조이다.
즉, 제1 커플링바(140)와 제2 커플링바(150)는 서로 일부가 겹쳐지되, 서로 배치되는 방향으로 향하도록 배열되며, 아주 얇은 링 형태의 부재(160)가 제1 커플링바(140)과 제2 커플링바(150) 사이에 배치됨으로써, 제1 커플링바(140)와 제2 커플링바(150)는 일정 거리가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커플링바(150)는 하부 지지대(131, 132, 133)에 의해 하부 방향으로부터 지지될 수 있고, 제1 커플링바(140)는 하부 지지대(133, 136, 137)에 의해 하부 방향으로부터 지지될 수 있다.
또한, 제1 커플링바(140)는 상부 지지대(133-2, 137-2)에 의해 상부 방향으로부터 지지될 수 있고, 제2 커플링바(150)는 상부 지지대(132-2, 133-2)에 의해 상부 방향으로부터 지지될 수 있다.
그리고, 각각의 상부 지지대(132-2, 133-2, 137-2)는 커버(120)가 하우징(110)에 결합되면서 눌려지는 압력에 의해 각각의 하부 지지대(132, 133, 137)와 함께 제1 커플링바(140) 및 제2 커플링바(150)를 고정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커플링바(140) 및 제2 커플링바(150)가 겹쳐지는 영역은 하우징(110) 바닥으로부터 커버(120)의 홈이 파여져 있는 부분까지의 길이가 20mm이고, 20mm 길이 안에 하부 지지대(133), 제2 커플링바(150), 얇은 링형태의 부재(160), 제1 커플링바(140) 및 상부 지지대(133-2)가 적층되어 쌓이게 된다. 여기서, 제1 및 제2 커플링바(140, 150)의 두께는 각각 2mm이고, 얇은 링형태의 부재(160)는 0.4mm이다. 따라서, 제1 및 제2 커플링바(140, 150)의 두께와 얇은 링형태의 부재(160)의 두께를 제외한 나머지를 하부 지지대(133)와 상부 지지대(133-2)가 채우게 되며, 커버(120)와 하우징(110)의 결합에 의한 압력에 의해 고정이 될 수 있다.
한편, 제1 커플링바(140)와 제2 커플링바(150)가 겹쳐지지 않는 영역에 대해 설명하면, 예를 들어 하부 지지대(137)가 지지하는 영역에 대해 설명한다.
하부 지지대(137)가 지지하는 영역은 제1 커플링바(140) 및 제2 커플링바(150)가 겹쳐지는 영역과 달리 하우징(110)의 바닥으로부터 커버(120)의 하면까지의 길이가 8mm이고, 8mm 길이 안에 하부 지지대(137), 제1 커플링바(140) 및 상부 지지대(137-2)가 적층되어 쌓이게 된다. 마찬가지로 제1 커플링바(140)의 두께는 2mm이고, 나머지는 하부 지지대(137)와 상부 지지대(137-2)가 채우게 되며, 커버(120)와 하우징(110)의 결합에 의한 압력에 의해 고정이 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하부지지대(132)가 지지하는 영역에 대해서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한편, 제1 커플링바(140)의 말단에는 하부 지지대(136)만 배치되어 있으며, 제2 커플링바(150)의 말단에는 하부 지지대(131)만 배치되어 있다.
도 7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1, 2 커플링바와 복수의 지지대의 배치에 관한 전면도이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하부 지지대(132) 및 상부 지지대(132-2)가 지지하는 영역과, 하부 지지대(133) 및 상부 지지대(133-2)가 지지하는 영역에 해당되는 커버(120) 및 하우징(110) 간의 거리는 서로 상이하다. 또한, 제1 커플링바(140) 및 제2 커플링바(150)의 말단에는 하부 지지대(131, 139)만 배치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한편, 전면도를 통해 알 수 있듯이, 커버(120)에 배열된 홈(121, 123, 124, 125, 127)과 제1 및 제2 커플링바(140, 150) 간의 배치를 알 수 있다.
도 7c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1, 2 커플링바와 복수의 지지대의 배치에 관한 우측면도이다.
우측면도 역시 앞서 도 7a에서 설명한 좌측면도의 내용과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도 9 내지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커플러의 효과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커플러(100)를 적용한 경우와 적용하지 않은 경우를 비교한 도면이다.
구체적으로, 도 9을 참조하면, 제1 그래프(710)는 제1 입력단자에서의 개선전 신호 파형(712)과 개선후 신호 파형(711)을 나타낸 것이다. 즉, 개선후 신호 파형(711)의 최저값과 최대값의 차이가 개선전 신호 파형(712)의 최저값과 최대값의 차이보다 줄어들었음이 확인되는바, 정제파비가 낮아졌고 즉, 반사손실(VSWR) 또한 낮아졌음을 알 수 있다.
제2 그래프(720)는 제1 출력단자에서의 개선전 신호 파형(722)과 개선후 신호 파형(721)을 나타낸 것이다. 즉, 개선후 신호 파형(721)의 최저값과 최대값의 차이가 개선전 신호 파형(722)의 최저값과 최대값의 차이보다 줄었들었음이 확인되는 바, 마찬가지로 정제파비가 낮아졌고 즉, 반사손실 또한 낮아졌음을 알 수 있다.
제3 그래프(730)는 손실률을 나타낸 것으로서, 개선전 신호 파형(732)에 비해 개선후 신호 파형(731)이 더 완만하게 변경된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그 손실률 또한 낮아졌음을 알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4 그래프(740) 역시 손실률을 나타낸 것으로서, 개선전 신호 파형(742)에 비해 개선후 신호 파형(741)이 더 완만하게 변경된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그 손실률 또한 낮아졌음을 알 수 있다.
한편, 제5 그래프(750)는 Isolation 값을 나타낸 것으로서, 개선전 신호 파형(752)의 Isolation 값보다 개선후 신호 파형(751)의 Isolation 값이 더 낮아졌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제6 그래프(760) 역시 Isolation 값을 나타낸 것으로서, 개선전 신호 파형(762)의 Isolation 값보다 개선후 신호 파형(761)의 Isolation 값이 더 낮아졌음을 알 수 있다.
한편, 제7 그래프(770)는 PIMD를 나타낸 것으로서, 개선전 신호 파형(772)의 PIMD 값보다 개선후 신호 파형(771)의 PIMD 값이 낮아졌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제8 그래프(780) 역시 PIMD를 나타낸 것으로서, 개선전 신호 파형(782)의 PIMD 값보다 개선후 신호 파형(781)의 PIMD 값이 낮아졌음을 알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도 9를 통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커플러(100)를 통해 신호를 전달할 경우 그 성능이 더 좋아짐을 알 수 있다.
한편,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커플러(100)를 적용하지 않은 경우의 신호 파형을 나타낸 것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커플러(100)가 적용된 경우의 신호 파형을 나타낸 것이다. 도 9에서 이미 비교하여 설명하였는바,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커플러(100)를 적용하지 않은 경우의 PIMD 수치를 나타낸 것이고,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커플러(100)가 적용된 경우의 PIMD 수치를 나타낸 것이다.
구체적으로, 도 12의 PIMD 수치는 각각 -155.8dBc, -174.7dBc이고 도 13의 PIMD 수치는 각각 -165.4dBc, -182.1dBc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커플러(100)가 적용된 경우 그 PIMD 값이 더 낮아짐을 알 수 있다.
한편, 도 14 내지 2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커플러의 각 구성에 대한 실제 사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하우징(110)에 제1 및 제2 커플링바(140, 150)와 상부 지지대 및 커넥터가 결합된 실제 사진이다.
도 15는 제1 커플링바(140) 및 제2 커플링바(150)가 겹쳐지는 부분에 삽입되는 얇은 링 형태의 부재(160)를 통해 실제로 이격되어 있는 모습을 나타낸 실제 사진이다.
도 16은 커버(120)의 하면에 음각형성된 기설정된 패턴의 홈을 나타낸 실제 사진이다.
도 17은 앞서 도 3c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커플링바와 커버의 하면에 형성된 홈 간의 배치 관계를 나타낸 실제 사진이다.
도 18은 제1 및 제2 커플링바의 말단과 커넥터의 속심이 접촉되면서 납땜이 이루어진 모습을 나타낸 실제 사진이다.
도 19는 커넥터의 전체적인 모습과 속심의 'H'컷팅된 모습을 나타낸 실제 사진이다.
도 20은 커넥터 속심이 'H' 컷팅 가공된 형태를 나타낸 실제 사진이다.
도 21은 커플링바의 실제 사진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커플러(100)는 지하철과 같은 이동 수단에 장착될 경우, 흔들림이 발생하거나 외부의 충격이 가해질 경우에도 RF 신호의 전달 기능을 하는 제1 커플링바(140) 및 제2 커플링바(150)가 견고히 고정되어 안정적인 신호 전달이 가능하다.
또한, 하부 지지대(131, 132, 133, 134, 135, 136, 137, 138, 139), 원통형 지지대(132-1, 133-1, 134-1, 137-1, 138-1) 및 상부 지지대(132-2, 133-2, 134-2, 137-2, 138-2)에 의해 제1 커플링바(140) 및 제2 커플링바(150)가 고정되는 것으로서 사이드 방향에서의 힘이 작용하지 않게 되고, 커버(120)에 형성된 기설정된 패턴의 홈(121, 122, 123, 124, 125, 126, 127), 커넥터 속심의 'H'컷팅을 통해 반사손실 및 PIMD를 저감시킬 수 있게 되어 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100: 하이브리드 커플러 110: 하우징
120: 커버 130: 하부 지지대
140: 제1 커플링바 150: 제2 커플링바

Claims (10)

  1. 전도체 재질의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일면에 결합되는 전도체 재질의 커버;
    상기 하우징 내부에 고정되는 절연체 재질로 이루어진 복수의 지지대;
    상기 복수의 지지대 중 일부에 의해 지지되는 제1 커플링바; 및
    상기 복수의 지지대 중 나머지 일부에 의해 지지되는 제2 커플링바;를 포함하며,
    상기 하우징 내부에는 복수의 홈이 형성되며, 상기 복수의 홈에 의해 상기 복수의 지지대가 고정되고,
    상기 복수의 지지대는 상기 제1 및 제2 커플링바의 하부에서 지지하는 하부 지지대, 상기 제1 및 제2 커플링바의 홀을 관통하는 원통형 지지대 및 상기 제1 및 제2 커플링바의 상부에서 지지하는 상부 지지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및 제2 커플링바에 작용하는 사이드 방향의 힘의 영향력을 낮춰 PIMD를 감소시키기 위해, 상기 하부 지지대, 원통형 지지대 및 상부 지지대는 상기 커버 및 하우징의 결합에 의한 압력에 의해 고정되고 상기 하부 지지대 중 일부는 상기 제1 및 제2 커플링바 각각의 말단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각각의 말단을 지지하며,
    상기 커버의 일면에는 반사손실을 감소시키기 위해 상기 제1 및 제2 커플링바의 파여져 있는 영역 및 말단과 대응되는 위치에 홈이 형성된 것인, 하이브리드 커플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커플링바는,
    상기 복수의 지지대와 결합되기 위한 홀을 포함하는 것인, 하이브리드 커플러.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커플링바 각각의 말단은,
    오목한 형상을 가지는 것인, 하이브리드 커플러.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커플링바는,
    서로 이격된채로 겹쳐지되 서로 배치되는 방향으로 향하도록 배열되는 것인, 하이브리드 커플러.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커버가 상기 하우징에 고정되어 부착되도록 홈이 형성되는 것인, 하이브리드 커플러.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커플링바 각각의 말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복수의 커넥터;를 더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커넥터 각각은 커넥터 속심을 통해 상기 제1 및 제2 커플링바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인, 하이브리드 커플러.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 속심은 'H' 컷팅으로 가공된 것인, 하이브리드 커플러.
KR1020190116641A 2019-09-23 2019-09-23 하이브리드 커플러 KR1021060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6641A KR102106090B1 (ko) 2019-09-23 2019-09-23 하이브리드 커플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6641A KR102106090B1 (ko) 2019-09-23 2019-09-23 하이브리드 커플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06090B1 true KR102106090B1 (ko) 2020-04-29

Family

ID=704665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16641A KR102106090B1 (ko) 2019-09-23 2019-09-23 하이브리드 커플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06090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53532B1 (ko) * 2021-06-28 2022-01-21 (주)이랑텍 광대역 멀티모드 고출력 rf 필터
KR102411719B1 (ko) * 2021-12-10 2022-06-22 (주)알엔텍 하이브리드 커플러 금속 커플링바 간격 조절을 위한 절연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하이브리드 커플러 자동 튜닝 시스템
KR20220158432A (ko) * 2021-05-24 2022-12-01 주식회사 디에이치디 5g 기반 인빌딩망 구축용 하이브리드 커플러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111426A (ko) * 2011-03-31 2012-10-10 주식회사 에이스테크놀로지 커플링 양 또는 전송 제로를 조절할 수 있는 rf 필터
KR20170129495A (ko) * 2016-05-17 2017-11-27 상신정보통신 주식회사 하이브리드 커플러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111426A (ko) * 2011-03-31 2012-10-10 주식회사 에이스테크놀로지 커플링 양 또는 전송 제로를 조절할 수 있는 rf 필터
KR20170129495A (ko) * 2016-05-17 2017-11-27 상신정보통신 주식회사 하이브리드 커플러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58432A (ko) * 2021-05-24 2022-12-01 주식회사 디에이치디 5g 기반 인빌딩망 구축용 하이브리드 커플러
KR102535523B1 (ko) * 2021-05-24 2023-05-26 (주)앤트테크놀로지 5g 기반 인빌딩망 구축용 하이브리드 커플러
KR102353532B1 (ko) * 2021-06-28 2022-01-21 (주)이랑텍 광대역 멀티모드 고출력 rf 필터
KR102411719B1 (ko) * 2021-12-10 2022-06-22 (주)알엔텍 하이브리드 커플러 금속 커플링바 간격 조절을 위한 절연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하이브리드 커플러 자동 튜닝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06090B1 (ko) 하이브리드 커플러
TWI828624B (zh) 電連接器系統及其使用方法
KR100563181B1 (ko) 고속 전송용 커넥터
US12034255B2 (en) Connector device
US20030022555A1 (en) Ground plane shielding array
US9444192B2 (en) Communication connector and electronic device using communication connector
US9806468B2 (en) Cable connector with wafer structure thereof
EP1303763B1 (en) Spring probe assemblies
JP2017506852A (ja) 偏波共用アンテナおよびアンテナアレイ
CN109638457A (zh) 天线及其移相馈电装置
JP2000030813A (ja) 相補性クロスト―ク遅延の小さい通信用プラグ
TW201036288A (en) Coaxial connector device
CN107808998A (zh) 多极化辐射振子及天线
CN111244600B (zh) 天线结构及具有所述天线结构的无线通信装置
US11721922B2 (en) Multipole connector set
CN207353447U (zh) 多极化辐射振子及天线
TW201216568A (en) Connector
US20070015414A1 (en) Enhanced jack with plug engaging printed circuit board
WO2020203591A1 (ja) 多極コネクタセット
KR101872964B1 (ko) 하이브리드 커플러
JP2006222847A (ja) 分布位相型円偏波アンテナおよび高周波モジュール
JP5987721B2 (ja) ケーブルコネクタおよびケーブルアッセンブリ
US8672690B2 (en) Electronic connector including grounding part having protrusion interposed between terminal connecting parts
CN107994329A (zh) 一种紧凑型4g lte mimo与gps三合一天线
JP3234684U (ja) 高周波接地端子構造とカードエッジ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