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05593B1 - Prefab square table - Google Patents

Prefab square tab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05593B1
KR102105593B1 KR1020200004304A KR20200004304A KR102105593B1 KR 102105593 B1 KR102105593 B1 KR 102105593B1 KR 1020200004304 A KR1020200004304 A KR 1020200004304A KR 20200004304 A KR20200004304 A KR 20200004304A KR 102105593 B1 KR102105593 B1 KR 1021055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braces
connecting rod
top plate
support angl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04304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장광식
Original Assignee
(주)대한오에이퍼니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대한오에이퍼니쳐 filed Critical (주)대한오에이퍼니쳐
Priority to KR10202000043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05593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055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0559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00Extensible tables
    • A47B1/08Extensible tables with extensible frames or with additional leg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00Extensible tables
    • A47B1/10Slide mechanism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3/00Details of tables or desks
    • A47B13/02Underframes
    • A47B13/021Fastening devices of the feet or leg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1/00Feet for furniture in general
    • A47B91/02Adjustable feet

Landscapes

  • Tables And Desks Characterized By Structural Shape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ctangular table widely used for the purpose of studying, office work, meetings, or work. More specifically, support angles in four directions are included, and bearing reinforcing bars connecting the support angles are arranged on upper portions of the support angles. The support angles and the bearing reinforcing bars are used to tightly fix an upper plate. Each bearing reinforcing bar is divided into both sides. The divided bearing reinforcing bars are connected and fixed on each other by an extension connection bar. All of the support angles and the bearing reinforcing bars of single entities can be used in common in response to upper plates having front, rear, left, and right widths of various dimensions to reduce manufacturing costs and drastically increase production efficiency. The rectangular table is very efficient in transport or storage of each component and material supply aspects. Since the length of bearing reinforcing bars is markedly shorter than a conventional technique, the bearing reinforcing bars can be stored and packed in a box for packing support angles in delivery and transport processes to reduce packing and delivery costs. The entire table can be easily and quickly assembled and installed by anyone to provide excellent handling and user convenience.

Description

사방 확장형 지지프레임을 구비한 조립식 사각 테이블 {Prefab square table}Prefab square table with four-way extended support frame

본 발명은 학습이나 사무 또는 회의나 작업의 용도로 널리 사용되는 사각 테이블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각 테이블의 지지프레임에 있어 상판의 저면에 밀착 고정되어 상기의 상판에 작용하는 하중을 분산 및 지지하기 위한 버팀보강대를 각기 분할 형성하고, 상기 분할의 버팀보강대는 별도 구비의 확장연결대를 통해 상호 연결 고정되도록 하여, 상기 확장연결대에 대한 버팀보강대의 체결 위치에 따라 지지각의 이격 폭을 가변시킬 수 있어 다양한 크기의 상판에 공통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것이고, 버팀보강대 자체의 길이가 현저히 축소되어 포장 및 운반 등이 매우 편리한 것은 물론 생산 및 조립성이 크게 개선된 특징의 조립식 사각 테이블에 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quare table widely used for the purpose of learning, office work, conferences, or work, and more specifically, it is fixed to the bottom surface of a top plate in a support frame of a square table to distribute loads acting on the top plate. Each of the support braces for supporting is separately formed, and the support braces of the division are fixed to each other through an additional expansion connecting rod, so that the separation width of the support angle can be varied according to the fastening position of the brace for the expansion connecting rod. Because it can be applied to various sizes of the top plate in common, the length of the brace itself is significantly reduced, so it is very convenient for packaging and transportation, as well as for a prefabricated square table with greatly improved production and assembleability.

일반적으로 학습용 책상이나 사무용 책상 및 회의를 하거나 작업을 하기 위한 각종 테이블은 다양한 형태 및 구조와 크기를 갖고 있는 것으로, 가장 보편적으로는 평면상 사각 형태의 테이블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In general, study desks, office desks, and various tables for meeting or work have various shapes, structures, and sizes, and most commonly, a square-shaped table is mainly used.

상기와 같은 사각 테이블은 통상적으로 사방으로 수직의 지지각이 세워 설치되고 상기의 지지각을 이용하여 평판 형태의 상판이 고정되는 것으로, 상기의 지지각은 전,후로 배치되는 일측 한 쌍의 지지각을 선단의 받침대로 서로 연결하여 한 쌍의 지지프레임으로 구성한 후 상기 지지프레임의 받침대 상에 상판을 고정하는 형태로 만들어지거나, 사방의 지지각을 각기 개별적으로 구성하여 이들 각 지지각을 별도의 가로대로 연결한 후 상기의 가로대 상에 상판을 고정하는 형태로 만들어지는 것이 가장 일반적이다.The rectangular table as described above is usually installed in a vertical support angle in all directions, and the top plate in the form of a flat plate is fixed by using the support angle, and the support angle is a pair of support angles arranged before and after. Is composed of a pair of support frames connected to each other with a pedestal at the tip, and then made in the form of fixing the top plate on the pedestal of the support frame, or each of the support angles are individually configured to separate each of these support angles. It is most common to make the top plate on the crossbar after connecting as it is.

또한, 상기와 같은 지지각과 상판의 조합에 의한 사각 테이블은 테이블의 저면에 단일 혹은 한 쌍의 버팀보강대를 고정 형성하되, 상기의 버팀보강대는 지지프레임의 받침대에 연결 고정하거나, 지지각에 결합된 가로대에 연결 구성함에 따라 상판 자체의 하중은 물론 상판에 작용하는 다양한 크기 및 형태의 하중으로부터 상기의 상판이 처지거나 휘는 것을 방지하도록 만들어지는 것으로, 상기의 버팀보강대는 통상적으로 사각 단면의 강재 혹은 금속 절곡체 또는 사각 관체를 주로 사용하게 되는 것이다.In addition, the square table by the combination of the support angle and the top plate as described above is fixed to form a single or a pair of braces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table, the braces are fixed to the support frame connected to the support, or coupled to the support angle It is made to prevent the top plate from sagging or deflecting from loads of various sizes and shapes acting on the top plate as well as the load of the top plate itself as it is connected to the crossbar, and the braces are usually square cross-section steel or metal. It is mainly used to bend or square tube.

이어, 근자에 들어서는 등록특허 제10-1287403호와 같이 사각파이프로 된 상측 전면측과 일측면측에는 상부는 넓고 하부는 좁게 개구된 연결부재가 일체로 고정된 각각의 다리와; 상기 다리의 연결부재에 삽입되어 고정되게 상측는 넓고 하측는 좁게 형성된 결합부재가 사각파이프로 된 양측 하단에 일체로 고정된 각각의 상부프레임과; 상기 상부프레임의 상부에 목재 또는 합성수지재로 형성된 상판이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테이블이 안출 및 등록된 바 있다.Subsequently, as shown in Patent No. 10-1287403, the upper front side and one side side made of square pipes have upper legs wide and lower legs narrowly open, and each leg is integrally fixed; Each upper frame is fixed to the bottom of both sides of the coupling member formed of a square pipe is wide and the lower side is narrowly inserted into the connecting member of the leg; The prefabricated table characterized in that the top plate formed of wood or synthetic resin is fixed to the upper part of the upper frame has been created and registered.

또한, 등록특허 제10-1734681호와 같이 사각형을 이루도록 종횡 수평배치되어 테이블을 구성하는 상판의 저면을 지지하며, 대향 배치된 적어도 한 쌍의 단부 둘레면에는 볼트가 조립되는 볼트공이 형성된 복수개의 수평종횡바; 상기 수평종횡바와 결합되어 하향 연장되며 상단에는 U자형으로 오목하며 종방향으로 연장된 종방향 끼움홈이 형성된 다리부재; 및 단면 U자의 채널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다리부재의 상단의 종방향 끼움홈에 끼움결합되어 상기 수평종횡바의 단부가 개방된 상면을 통해 삽입 안착되고, 둘레면에는 상기 볼트가 관통되는 관통공이 형성된 종바연결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 테이블용 조립식 지지프레임이 안출 및 등록된 바 있는 것이다.In addition, as shown in Patent No. 10-1734681, it is horizontally and horizontally arranged to form a square to support the bottom surface of the top plate constituting the table, and a plurality of horizontally formed bolt holes are assembled on the circumferential surfaces of at least one pair of oppositely arranged ends. Longitudinal bars; A leg member that extends downwardly in combination with the horizontal and vertical bars and has a U-shaped concave at the top and a longitudinal fitting groove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a cross-sectional U-shaped channel shape, fitted into the longitudinal fitting groove of the upper end of the leg member, and inserted and seated through the upper surface of which the end of the horizontal and vertical bar is opened, and a through hole through which the bolt penetrates is formed on the circumferential surface. The prefabricated support frame for the table, including the vertical bar connecting member; has been created and registered.

이어, 등록특허 제10-1633855호와 같이 사각형상으로 구성되고, 목재 및 강판과 같은 소재로 구성되며, 사무용품, 도서책 등 다양한 물품을 배치하는 테이블용 상판과, 테이블용 상판의 하단부에 구성되고, 테이블용 상판을 지지하는 지지프레임을 포함하는 프레임과, 테이블용 상판의 하단부의 각 모서리에 구성되고, 테이블용 상판을 지지하며, 테이블용 상판에 고정부재를 통해 체결하는 복수의 체결홀과 지지프레임을 내측으로 삽입하여 체결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된 프레임지지홀이 구비된 상판지지대와, 상판지지대의 하단부에 구성되고 지지프레임과 체결이 이루어지며 지지프레임을 고정부재로 체결이 이루어지도록 일 측에 체결홈이 구비된 하부프레임으로 이루어진 상판받침부재 및 테이블의 정면부에 구성되고, 사용자의 하반신의 일부를 사람들의 시선, 바람, 자외선 등으로부터 차단하는 가림패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판받침부재가 구비된 테이블이 선행하여 출원 및 등록된 바 있다.Subsequently, it has a rectangular shape as in the registered patent No. 10-1633855, is composed of a material such as wood and steel plate, and is composed of a table top for arranging various items such as office supplies and book books, and a bottom portion of the table top. , A frame including a support frame for supporting a table top, and a plurality of fastening holes and supports configured at each corner of the lower end of the table top, supporting the table top, and fastening to the table top through a fixing member. A top plate support provided with a frame support hole configured to be inserted by inserting the frame inward, and a bottom portion of the top plate support, formed with the support frame and fastened to one side so that the support frame is fastened with a fixing member It is composed of the upper frame supporting member and the front part of the table made of the lower frame, and a part of the user's lower body Table with a top support member,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cover panel that blocks from the gaze, wind, ultraviolet light, etc. of the prior application and registration.

또한, 등록특허 제10-1816594호와 같이 직사각형상의 통상적인 탁자 또는 테이블을 구성하는 상판과; 상판을 지탱하는 2개의 테이블다리로 이루어지는 테이블에 있어서, 상기의 테이블다리는 각관을 경사 커팅해 사각 또는 직사각 중 선택되는 어느 한 형태로 테이블다리프레임을 일체로 용착 형성하고, 용착 형성된 테이블다리프레임의 내측 사방 테두리에는 일정규격의 직사각형태의 펀칭홈을 일정간격마다 형성하며, 테이블다리프레임 상측 좌우편에는; 수평바닥에 볼트구멍이 뚫린 T자형의 상판조립힌지를 일체로 용착 형성하고, 하측 좌우편에는 볼트붙이 쿠션굽이 볼트 체결되며, 상기의 테이블다리프레임 내측에는 소비자의 취향에 맞는 다양한 문양, 또는 부조형상, 사진액자 형태 중 선택되는 어느 한 형태로 구비된 패턴교체가 용이한 패턴보드로 테이블다리의 문양이나 패턴이 싫증 나는 경우에는 수시로 간단하게 패턴보드를 교체할 수 있어, 실내디자인에도 도움을 주는 효과를 제공하는 테이블 다리구조가 안출 및 등록된 바 있다.In addition, the upper plate constituting a conventional table or table in a rectangular shape as in Patent No. 10-1816594; In a table consisting of two table legs supporting a top plate, the table legs are angled by cutting each tube to integrally weld and form a table leg frame in a form selected from a square or a rectangular shape. On the inner rim, a rectangular punching groove of a certain size is formed at regular intervals, and on the upper left and right sides of the table leg frame; The T-shaped top plate assembly hinge with the bolt hole drilled on the horizontal floor is integrally welded, and the cushion heels with bolts are fastened to the lower left and right sides, and various patterns or reliefs to suit the taste of the consumer are provided inside the table leg frame. It is a pattern board that can be easily replaced with a pattern that is provided in one of the photo frame types. If you are tired of patterns or patterns on the table legs, you can easily replace the pattern board from time to time, which helps the interior design. The provided table leg structure has been devised and registered.

그러나, 기존의 사각 테이블은 평면상 직사각 형태로 된 상판의 전,후 또는 좌,우 방향 폭에 따라 하부의 지지각에 연결되어 있는 버팀보강대를 상판의 전,후 또는 좌,우 폭에 알맞게 모두 개별적으로 제작하여야 하는 비경제적인 문제점을 갖고 있는 것이다.However, in the existing square table, the props connected to the lower support angle according to the width of the front, rear, or left and right sides of the top plate in a planar rectangular shape are all suitable for the front, rear, left and right widths of the top plate. It has a non-economic problem that needs to be produced individually.

즉, 사각 테이블에서의 상판 전,후 폭은 600~1000mm의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제작되는 것이고, 상판의 좌,우 폭은 통상적으로 사용 용도에 따라 1200mm와 1400mm, 1600mm, 1800mm로 구분 제작되는 것이고, 이 또한 제조 및 제작 업체마다 각기 다른 규격을 갖고 있는 것으로, 이처럼 다양한 전,후 방향으로의 폭 또는 좌,우 폭을 갖는 상판에 맞추에 상기 버팀보강대 역시 대응하는 길이를 갖고 개별적으로 구분 제작되어야 하는 것이다.That is, the width of the front and rear of the top plate in the square table is variously manufactured within a range of 600 to 1000 mm, and the left and right widths of the top plate are usually produced by dividing into 1200 mm, 1400 mm, 1600 mm, and 1800 mm depending on the intended use. , This also has a different standard for each manufacturer and manufacturer, and the bracing supports must also be individually manufactured with corresponding lengths to match the top plate with various front and rear widths or left and right widths. Is to do.

따라서, 상판의 종류에 따라 대응하는 길이를 갖는 버팀보강대를 각기 개별적으로 제작 및 조합하여 포장 및 보관과 배송을 하여야 하는 것으로, 구성품의 개체수가 지나치게 과도하여 대량 생산성이 떨어지는 것은 물론 생산 원가가 상승하는 문제점을 갖고 있으며, 물류 포장 단계에서 작업자의 실수로 인해 잘못된 길이의 버팀보강대가 포함되기도 하는 것으로 작업 효율성의 측면에서 지극히 불합리한 것이다.Therefore, according to the type of the top plate, it is necessary to individually manufacture and assemble the braces with corresponding lengths for packaging, storage, and delivery. As the number of components is excessive, mass productivity decreases and production cost increases. It has a problem, and it is extremely unreasonable in terms of work efficiency as it may include an incorrect length of brace due to an operator's mistake in the logistics packaging stage.

또한, 상기의 버팀보강대는 지지각의 길이에 비하여 지나치게 길어 지지각이 수납되는 포장박스에 함께 넣어 운반 또는 판매자 및 소비자에게 제공할 수 없는 것으로, 기존에는 조립식 사각 테이블을 보관 및 배송하기 위한 박스 포장을 하고자 하는 경우 상판 수납박스와 지지각 수납박스 및 버팀보강대 수납박스를 각기 개별적으로 제작하여 각각의 수납박스에 해당 구성품을 넣어 운반 및 보관하거나 배송하여야 하는 것으로, 부피를 그다지 차지하지 않고 있음에도 서로 길이가 다른 지지프레임과 버팀보강대를 부득이 각기 다른 개별 포장박스에 담아 이를 보관 및 운반하여야 하므로 그에 따른 과도한 물류비의 발생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는 것이다.In addition, the above-mentioned brace is too long compared to the length of the support angle, and cannot be provided to the transporter or the seller and the consumer by putting it together in the packaging box in which the support angle is stored. In the past, the box packaging for storing and shipping the prefabricated square table If you want to do this, you need to individually manufacture and store or ship the top plate storage box, support angle storage box, and brace storage box, and store and deliver the components in each storage box. In other words, it is necessary to store and transport different support frames and braces in different individual packaging boxes, which is a factor that causes excessive logistics costs.

대한민국등록특허 10-1287403 (2013.07.12. 등록)Korea Registered Patent 10-1287403 (Registration on July 12, 2013) 대한민국등록특허 10-1734681 (2017.05.02. 등록)Korea Registered Patent 10-1734681 (Registration on May 2, 2017) 대한민국등록특허 10-1633855 (2016.06.21. 등록)Korea Registered Patent 10-1633855 (Registration on June 21, 2016) 대한민국등록특허 10-1816594 (2018.01.03. 등록)Korea Registered Patent 10-1816594 (Registration on Jan. 3, 2018)

본 발명은 전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한 것으로서, 사방의 지지각이 구비되고 각각의 지지각의 상부에는 각각의 지지각을 서로 연결하는 버팀보강대가 구비되어, 이들 지지각 및 버팀보강대를 이용하여 상판을 상호 밀착 고정하여 구성하되, 상기 각각의 버팀보강대는 양측으로 분할 형성하고, 각기 분할된 버팀보강대는 별도 구비의 확장연결대를 통해 상호 연결 고정되도록 구성함에 따라,The present invention is to improve the problems as described above, the support angles are provided in all directions, and the upper support of each support angle is provided with braces that connect each support angle to each other, using these support angles and braces The top plate is configured to be fixed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and each of the braces is dividedly formed on both sides, and the divided braces are configured to be fixed to each other through a separate expansion connecting rod,

다양한 상판의 전,후 및 좌,우 폭에 따라 버팀보강대와 확장연결대 간의 상호 체결 위치를 달리하여 지지각의 이격 폭이 조절될 수 있도록 하여, 다양한 규격의 상판에 단일 개체의 지지각과 버팀보강대를 공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동시에 버팀보강대의 개별 길이가 현저히 단축되어 포장 및 보관 등의 물류비가 크게 감소될 수 있도록 한 사방 확장형 지지프레임을 구비한 조립식 사각 테이블을 제공함에 본 발명의 목적이 있는 것이다.By varying the interlocking positions between the strut and extension rods according to the widths of the front, rear, and left and right of the various tops, the separation width of the support angles can be adjusted, so that the support angles and struts of a single object are applied to the tops of various specifications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prefabricated square table with a support frame extending in one direction so that it can be used in common, and the individual length of the brace is significantly shortened to significantly reduce the logistics cost of packaging and storage.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사방으로 세워 설치되는 지지각의 선단에 평면상 직각 방향으로 배치된 절곡안치부가 고정 형성되고, 각 지지각의 절곡안치부에 각 끝단이 삽입되는 별도 구비의 버팀보강대를 통해 상기의 지지각은 평면상 사각틀체 형태로 결합 고정되며, 별도 구비의 상판은 상기 지지각의 선단 및 버팀보강대의 상단에 밀착되어 상기 절곡안치부와 버팀보강대의 하부로부터 상판을 향하여 관통 삽입되는 체결볼트에 의해 상호 밀착 고정되게 한 조립식 사각 테이블에 있어서,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object as described above is fixed to the bending end portion dispos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plane on the front end of the support angle is installed to be installed in all directions, each end is inserted into the bending end portion of each support angle The support angle is fixed and coupled in the form of a square frame on a flat surface through a separate brace, and the top plate of the separate brace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front end of the support angle and the upper end of the brace, from the bending rest portion and the lower part of the brace. In the prefabricated square table to be fixed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by fastening bolts inserted through the top plate,

상기의 버팀보강대는 길이방향을 따라 양측으로 분할 구성하여 각각의 버팀보강대 일측 끝단만이 지지각의 절곡안치부 내에 삽입되게 하고, 상기 분할된 버팀보강대의 상호 대향의 끝단부는 별도 구비의 확장연결대를 통해 상호 연결 고정되도록 구성하되, 상기 버팀보강대의 끝단부에는 수직 방향으로의 조립공을 관통 형성하고, 상기 확장연결대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반복의 확장체결공을 관통 형성하여, 상기 확장연결대의 확장체결공으로 삽입되는 체결볼트가 버팀보강대의 조립공을 통해 상판의 하부에 나사 고정되도록 구성하여 이루어지는 것이다.The braces are divided into two side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so that only one end of each brace is inserted into the bending rest portion of the support angle, and the opposite ends of the divided braces are provided with separate extension connectors. It is configured to be fixed through interconnection, and the end of the brace is formed through an assembling hole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the expansion connecting hole is formed through a repetitive expansion fastening hole along the lengthwise direction, to the expansion fastening hole of the expansion connecting rod. The fastening bolt to be inserted is configured to be screw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upper plate through the assembly hole of the brace.

본 발명은, 다양한 규격의 전,후 및 좌,우 폭을 갖는 상판에 대응하여 단일 개체의 지지각과 버팀보강대를 모두 공용으로 사용할 수 있어 제작 비용의 감소 및 생산 효율성의 획기적인 증대가 뚜렷한 것이고, 각 구성품의 운반이나 보관 및 자재 수급의 측면에서도 매우 효율적인 것이며, 배송 및 운반 과정에서도 버팀보강대의 길이가 기존에 비하여 현저히 짧아지므로 지지각을 포장하기 위한 박스에 버팀보강대도 함께 수납 포장할 수 있어 포장 및 배송 비용의 절감이 가능한 것이고, 테이블 전체가 누구라도 손쉽고 빠르게 조립 설치할 수 있어 취급성 및 사용상의 편리함이 매우 뛰어난 것이다.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use both a single object support angle and a brace supporter in common in response to a top plate having front, back and left and right widths of various standards, thereby reducing manufacturing costs and dramatically increasing production efficiency. It is also very efficient in terms of transporting, storing, and supplying materials, and the length of the brace is significantly shorter than in the past during delivery and transportation, so the brace can also be stored and packed in a box for packaging the support angle.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shipping cost, and the entire table can be easily and quickly assembled and installed by anyone, so it is very easy to handle and us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테이블의 저면 전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테이블의 저면 전체 분리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테이블의 지지프레임 분리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테이블의 버팀보강대 연결부 확대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테이블의 상판 규격별 전,후 방향 확장 조립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테이블의 상판 규격별 좌,우 방향 확장 조립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테이블의 확장연결대에 대한 다른 실시예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테이블의 버팀보강대 연결부에 대한 다른 실시예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테이블의 버팀보강대 연결부에 대한 또 다른 실시예도
1 is an overall perspective view of the bottom of the prefabricated tab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entire bottom of the prefabricated tab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support frame of the prefabricated tab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the support brace connection part of the prefabricated tab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n example of extending the assembly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according to the top plate specification of the prefabricated tab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n example of extended assembly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by the top plate specification of the prefabricated tab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nother embodiment of the expansion connecting rod of the prefabricated tab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8 is another embodiment of the bracing support connection portion of the prefabricated tab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9 is another embodiment of the bracing support connection portion of the prefabricated tab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추가적인 목적들, 특징들 및 장점들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 도면으로부터 보다 명료하게 이해될 수 있다.Additional objects, feature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more clearly understood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and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앞서,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도모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바, 아래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예시들은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Prior to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capable of various changes, and may have various embodiments. The examples described below and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re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o specific embodiments. No, it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Also, when a compon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or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but other components may exist in the middl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On the other hand, when a component is said to be "directly connected" or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no other component exists in the middle.

이어,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는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Subsequently, the terms used in this specification are only used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In this specification, terms such as “include” or “have” are intended to indicate that a feature, number, step, operation, component, part, or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exists, and that one or more other features are pres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existence or addition possibilities of fields or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are not excluded in advance.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유닛",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In addition, terms such as "... unit", "... unit", "... module"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mean a unit that processes at least one function or operation, which is hardware or software or hardware and It can be implemented with a combination of software.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In addition, in the description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assigned to the same components regardless of reference numerals, and redundant descriptions thereof will be omitted. In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detailed descriptions of related known technologies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detailed descriptions thereof will be omitted.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테이블의 저면 전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테이블의 저면 전체 분리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테이블의 지지프레임 분리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테이블의 버팀보강대 연결부 확대 사시도이다.1 is an overall perspective view of the bottom of the prefabricated tab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n overall perspective view of the bottom of the prefabricated tab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support frame of the prefabricated tab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It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the support brace connection part of the prefabricated table according to the invention.

도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테이블은, 사방으로 세워 설치되는 지지각(210)(210')을 별도 구비의 버팀보강대(220)(220')로 서로 연결하여 전체적으로 평면상 사각틀체 형태로 된 지지프레임 구조체를 완성한 후, 별도 구비의 상판(230)을 상기 지지각(210)(210') 및 버팀보강대(220)(220') 상에 나사 고정시킴에 따라 사각 테이블이 완성되는 것으로, 상기와 같은 조립 구조의 테이블은 견고한 지지 고정력은 물론 손쉬운 조립 특성을 갖고 있는 것이다.The prefabricated tab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the figure, the support angles 210 and 210 'which are installed in all directions are connected to each other with a separate support brace 220 and 220' to form a square frame on the whole. After completing the support frame structure, the square table is completed by screwing the top plate 230 separately provided on the support angles 210, 210 'and the braces 220, 220'. The table with the assembly structure as described above has a solid support fixing force and easy assembly characteristics.

여기서, 상기의 지지각(210)(210')은 원형관체 또는 사각관체 등 다양한 단면 형상의 관체가 혹은 절곡체가 사용될 수 있는 것으로, 이러한 지지각(210)(210')의 선단에는 평면상 직각 방향으로 위치하는 한 쌍의 절곡안치부(211)(211')가 돌출 형태로 고정되어 있는 것이다.Here, the support angles 210 and 210 'may be a tube or bent body having various cross-sectional shapes such as a circular tube or a square tube, and the front ends of the support angles 210 and 210' may be perpendicular to the plane. A pair of bending rest portions 211 and 211 'positioned in the direction are fixed in a protruding shape.

이때, 상기의 절곡안치부(211)(211')는 상향 개구된 "ㄷ"자 형태를 갖고 있는 것이고 양측에는 플랜지부가 돌출 형성되어 있어 상기 플랜지부를 이용하여 상기 절곡안치부(211)(211')를 상판(230) 저면에 견고하게 밀착 고정시킬 수 있도록 만들어져 있는 것이다.At this time, the bending rest portion 211, 211 'has a "c" shape that is opened upward, and the flange portions are formed to protrude on both sides, so that the bending rest portion 211, 211 is used. ') Is made so that the top plate 230 can be firmly fixed to the bottom surface.

이어, 상기의 버팀보강대(220)(220')는 통상적으로는 사각단면의 관체로 이루어져 있는 것으로, 사방으로 배치된 지지각(210)(210')을 좌,우 방향으로 연결하는 동시에 전,후 방향으로 배치된 지지각(210)(210')을 연결하기 위한 것인데, 상기 버팀보강대(220)(220')의 양측 끝단을 좌,우 및 전,후로 배치된 지지각(210)(210') 상의 절곡안치부(211)(211') 내에 삽입시킴에 따라 상기 버팀보강대(220)(220')의 길이로 인해 상기의 지지각(210)(210')은 좌,우 및 전,후 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을 갖고 배치될 수 있는 것이다.Subsequently, the support braces 220 and 220 ′ are usually made of a rectangular cross-section tube, and the support angles 210 and 210 ′ arranged in all directions are connected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and before, It is intended to connect the support angles 210 and 210 'disposed in the rear direction, and the support angles 210 and 210 disposed at the left, right and front and rear sides of both ends of the braces 220 and 220' ') Due to the length of the brace (220, 220') as it is inserted into the bending rest portion 211, 211 'on the upper, the support angles 210, 210' are the left, right and front, It can be arranged at regular intervals in the rear direction.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지지각(210)(210') 및 버팀보강대(220)(220')의 상부에 상판(230)을 올려놓은 후, 지지각(210)(210')의 절곡안치부(211)(211')를 고정볼트를 사용하여 상판(230)의 저면에 견고하게 나사 고정시키고, 상기 버팀보강대(220)(220') 역시 버팀보강대(220)(220')를 관통하는 고정볼트가 상판(230)의 저면에 견고하게 나사 고정되도록 조립함에 따라 견고하고 안정적인 상태의 테이블이 완성될 수 있는 것이다.In this state, after placing the top plate 230 on top of the support angles 210, 210 'and braces 220, 220', the bending rest portion of the support angles 210, 210 ' 211) (211 ') using a fixing bolt to securely screw the bottom surface of the top plate 230, the braces 220, 220' also fixed bolts penetrating the braces 220, 220 ' The table in a sturdy and stable state can be completed by assembling so that it is fixedly screw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upper plate 230.

이러한 테이블의 상판(230) 자체의 하중 및 상판(230)에 작용하는 하중은 상판(230)의 저면에 밀착 고정된 상태의 지지각(210)(210') 및 절곡안치부(211)(211')와 버팀보강대(220)(220')로 고르게 분산되면서 하중에 대한 효율적인 지지가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The load of the top plate 230 itself and the load acting on the top plate 230 of such a table are the support angles 210, 210 'and the bending setters 211, 211 fixed in close contact with the bottom surface of the top plate 230 ') And the support beams (220, 220)) is evenly distributed, so that efficient support for the load can be achieved.

이에 본 발명에서는 상기의 버팀보강대(220)(220')를 길이 방향으로 분할 형성하고, 분할된 버팀보강대(220)(220')는 별도 구비의 확장연결대(240)를 통해 견고하게 연결 고정되도록 하되, 버팀보강대(220)(220')와 확장연결대(240) 상호 간의 체결 위치에 따라 상기 지지각(210)(210')의 상호 이격 폭이 가변될 수 있도록 하여 다양한 상판(230)의 전,후 및 좌,우 폭에 따라 상기 지지각(210)(210')과 버팀보강대(220)(220') 및 확장연결대(240)를 모두 공용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Accordingly,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upport braces 220 and 220 'are dividedly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divided braces 220 and 220' are firmly connected and fixed through a separate expansion connector 240. However, depending on the fastening position between the support brace (220) (220 ') and the extension connecting rod 240, the mutual separation width of the support angle (210) (210') is variable so that the various upper plates (230) According to the widths of the rear, left, and right sides, the support angles 210, 210 ', and the braces 220, 220', and the extension connecting rod 240 can be used in common.

즉, 상기의 버팀보강대(220)(220')는 전기한 바와 같이 기존의 버팀보강대(220)(220')에 대하여 중간 부분을 절단한 형태로 양측으로 분할 형성함에 따라 각각의 버팀보강대(220)(220')는 일측 끝단만 상기 지지각(210)(210')의 절곡안치부(211)(211')에 삽입 고정될 수 있는 것이고, 각기 분할된 상호 대향의 버팀보강대(220)(220') 타측 끝단부는 별도의 확장연결대(240)를 통해 상호 견고히 연결 고정하면 되는 것이다.That is, as described above, each of the support braces 220 and 220 'is formed by dividing and forming the middle part with respect to the existing support braces 220 and 220', respectively, in the form of a split portion on both sides. ) (220 ') is only one end can be fixed to be inserted into the bending rest portion (211, 211') of the support angle (210, 210 '), each of the mutually opposing braces 220, ( 220 ') The other end may be fixed and securely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a separate extension connector 240.

이때, 상기 버팀보강대(220)(220')의 분할측 끝단에는 저면에 수직의 조립공(221)(221')을 관통 형성한 것이고, 상기 확장연결대(240)에는 일정 간격으로 다수의 확장체결공(241)(241')을 관통 형성한 것으로, 상기 확장연결대(240)에 대하여 버팀보강대(220)(220')의 상호 체결 위치의 조정에 따라 전,후 방향으로 배치된 지지각(210)(210')의 상호 이격 폭이 조절되거나 좌,우 방향으로 배치된 지지각(210)(210')의 이격 폭이 신속하고 간편하게 조절될 수 있는 것이다.At this time, at the end of the split side of the braces 220 and 220 ', vertical assembly holes 221 and 221' are formed through the bottom surface, and the expansion connecting rod 240 has a plurality of expansion fasteners at regular intervals. (241) (241 ') formed through, the support angle 210 disposed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according to the adjustment of the mutual fastening position of the brace (220, 220') with respect to the expansion connecting rod 240 The mutually spaced width of the 210 'can be adjusted or the spaced width of the support angles 210 and 210' arranged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can be quickly and easily adjusted.

따라서, 상판의 전,후 또는 좌,우 폭 규격에 따라 상기 지지각(210)(210')을 배치시킨 상태에서 지지각(210)(210')의 절곡안치부(211)(211')에 각 버팀보강대(210)(210')의 일측 끝단을 삽입시킨 후, 상호 대향하고 있는 버팀보강대(210)(210')의 분할측 끝단에 상기 확장연결대(240)를 덧댄 상태에서, 상기 확장연결대(240)의 확장체결공(241)(241')으로부터 버팀보강대(220)(220')의 조립공(221)(221')을 관통하여 삽입되는 체결볼트가 상기 상판(230)의 저면에 나사 고정되도록 하면 상기 분할의 버팀보강대(220)(220')는 상호 견고하게 연결된 상태로 상판(230) 저면에 밀착 고정된 상태를 연출하게 된다.Accordingly, the bending angles 211 and 211 'of the support angles 210 and 210' are arranged in a state in which the support angles 210 and 210 'are disposed according to the front, rear or left and right width standards of the top plate. After inserting one end of each of the braces (210, 210 '), in the state where the extension connecting rod (240) is put on the end of the dividing side of the brace (210, 210') facing each other, the expansion Fastening bolts inserted through the expansion holes 241 and 241 'of the connecting rod 240 through the assembly holes 221 and 221' of the braces 220 and 220 'are attach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upper plate 230. When the screws are to be fixed, the braces 220 and 220 'of the division are in a state of being closely fix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top plate 230 in a state of being firmly connected to each other.

이에, 본 발명은 상기 버팀보강대(220)(220')를 테이블의 전,후 방향으로 분할한 후, 도 5의 도시와 같이 상판의 규격에 따라 간격 조정된 상태의 버팀보강대(220)(220')를 별도의 확장연결대(140)를 통해 연결하여 상판(230) 저면에 밀착 고정되도록 조립하므로 보다 다양한 전,후 방향으로의 규격을 갖는 상판에 대응하여 조립 생산이 가능한 것이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after dividing the braces (220, 220 ')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of the table, as shown in Figure 5, the braces 220, 220 in a space adjusted state according to the specifications of the top plate ') Is assembled to be fix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top plate 230 by connecting it through a separate extension connecting rod 140, so that it is possible to assemble and produce in response to a top plate having a variety of specifications in front and rear directions.

또한, 상기 버팀보강대(220)(200')를 테이블의 좌,우 폭 방향으로 분할 형성한 후, 도 6의 도시와 같이 상판의 규격에 따라 간격 조정된 상태의 버팀보강대(220)(220')를 별도의 확장연결대(240)를 통해 연결하여 상판(230) 저면에 밀착 고정되도록 조립하므로 보다 다양한 좌,우 방향으로의 규격을 갖는 상판에 대응하여 조립 생산이 가능한 것으로, 사방으로 사용되는 버팀보강대(220)(220')를 모두 분할 구성함에 따라 결국 전,후 방향으로의 폭 조절 및 좌,우 방향으로의 폭 조절이 매우 빠르고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In addition, after forming the braces 220 and 200 'in the left and right width directions of the table, as shown in FIG. 6, the braces 220 and 220' in an interval adjusted according to the specifications of the top plate ) Is assembled to be closely fixed to the bottom of the top plate 230 by connecting it through a separate extension connecting rod 240, so as to be possible to assemble and produce in response to the top plate having various standards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As the steel strips 220 and 220 'are all divided, the width adjustment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and the width adjustment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can be made very quickly and easily.

특히, 상기 확장연결대(240)의 확장체결공(241)(241')에 대한 이격 간격을 대략 5~10cm로 형성하는 경우, 5~10cm 단위로 상기 버팀보강대(220)(220') 및 지지각(210)(210')의 상호 이격 폭에 대한 조정이 가능하여 기존에 출시되는 다양한 상판 규격에 모두 대응할 수 있는 것이다.Particularly, when the spacing between the expansion fastening holes 241 and 241 'of the expansion connecting rod 240 is formed to be approximately 5 to 10 cm, the braces 220 and 220' and the support in 5 to 10 cm increments are provided. It is possible to adjust the mutual separation width of each of the 210 and 210 ', so that it can cope with all of the various standard specifications of the market.

이때, 상기의 확장연결대(240)는 상향 개구된 "ㄷ"자 형태의 단면을 갖도록 제작함에 따라 사각관체로 된 버팀보강대(220)(220')의 저면 및 측면에 밀착된 상태로 상호 견고한 밀착 고정이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고, 상기 "ㄷ"자 형태의 저면에 확장체결공(241)(241')을 관통 형성함에 따라 상기 버팀보강대(220)(220')의 조립공(221)(221')을 통해 상판(230) 저면에 나사 고정되면서 확장연결대(240)의 양측 선단이 상판(230)의 저면을 밀착 지지할 수 있는 것이다.At this time, the expansion connecting rod 240 is manufactured to have a cross section in the form of an "c" shaped upwardly open, and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bottom and side surfaces of the braces 220 and 220 'made of a square tube, thereby firmly contacting each other. It can be fixed, as the "c" shaped bottom through the expansion fastening hole (241) (241 ') through the assembling 221, 221' of the brace (220, 220 ') Through the screw is fix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top plate 230, both ends of the expansion connecting rod 240 can closely support the bottom surface of the top plate 230.

또한, 상기의 확장연결대(240)를 상향 개구된 "ㄷ"자 형태로 구성하되, 도 7에서의 (a)도시와 같이 하부에 형성되는 확장체결공(241)(241')을 확장연결대(240)의 측부에도 관통 형성하고, 상기 버팀보강대(220)(220')의 조립공(221)(221') 역시 측부에도 관통 형성함에 따라 하부에 형성되는 확장체결공(241)(241')은 상판(230)과의 체결력을 높이기 위해 사용되게 하고, 측부에 형성되는 확장체결공(241)(241') 및 조립공(221)(221')은 확장연결대(240)와 버팀보강대(220)(220') 상호 간의 체결력을 높이는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어, 이들 상호 간의 더욱 견고한 체결력을 얻을 수 있어 상판(230)에 작용하는 다양한 크기의 하중을 온전히 감당할 수 있는 것이다.In addition, the expansion connecting rod 240 is configured in the form of an "c" shaped upwardly opening, but the expansion connecting holes 241 and 241 'formed in the lower portion as shown in (a) in FIG. 240) is formed through the side, and the assembling holes 221 and 221 'of the braces 220 and 220' are also formed through the side, so that the expansion fasteners 241 and 241 'formed at the bottom are formed. To be used to increase the fastening force with the top plate 230, the expansion fasteners 241, 241 'and the assemblers 221, 221' formed on the side are the expansion connecting rod 240 and the support reinforcement 220, ( 220 ') can be used for the purpose of increasing the fastening force between each other, it is possible to obtain a more robust fastening force between each other to fully bear the load of various sizes acting on the top plate 230.

이어, 상기 확장연결대(240)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도 7에서의 (b)도시와 같이 상향 개구된 "ㄷ"자 형태로 절곡 형성하되, 양측 절곡부의 선단에 외향 절곡의 플랜지부(242)(242')를 돌출 형성하고 상기 플랜지부(242)(242')에는 수직 관통의 밀착고정공(243)(243')을 일정 간격으로 형성함에 따라, 상기 확장연결대(240)의 조립시 상기의 플랜지부(242)(242')가 상판(230)의 저면에 넓게 밀착되도록 하고, 상기 플랜지부(242)(242')의 밀착고정공(243)(243')을 통해 확장연결대(240)의 플랜지부(242)(242')가 상판(230) 저면에 직접 밀착 고정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상기 버팀보강대(220)(220')의 상호 연결 고정력을 증대시키는 동시에 확장연결대(240) 자체가 상판(230) 저면에 더욱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하여 상판(230)에 작용하는 하중이 상기의 지지각(210)(210')과 버팀보강대(220)(220')는 물론 상기 확장연결대(240)의 플랜지부(242)(242')를 통해서도 고르게 확산 및 분산되도록 하여 더욱 안정적인 고정 설치 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Subsequently, as another embodiment of the expansion connecting rod 240, as shown in (b) in FIG. 7, the bent in the form of a “c” shaped upwardly opened, but the flange portion 242 of the outward bending at the front ends of both bending portions (242 ') protrudingly formed and the flange portions 242 and 242' are formed with a vertical through-contact fixing hole 243 and 243 'at regular intervals. The flange portion 242, 242 'of the top plate 230 so that the wide contact with the bottom, and the flange portion 242, 242' of the fixing fasteners 243, 243 'through the expansion connector 240 ) By configuring the flange portions 242 and 242 'to be directly and securely fix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top plate 230, thereby increasing the interconnection fixing force of the braces 220 and 220', and the extension connecting rod 240 itself. The load acting on the top plate 230 to be more firmly fix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top plate 230, as well as the support angles 210, 210 'and the braces 220, 220' It is to be spread and distributed evenly through the flange portions 242 and 242 'of the expansion connecting rod 240 to maintain a more stable fixed installation state.

또한, 도 7의 (c)도시와 같이 밀착고정공(243)(243')이 형성된 플랜지부(242)(242')를 갖는 확장연결대(240)의 측부에 대하여도 확장체결공(241)(241')을 관통 형성함에 따라 플랜지부(242)(242')에 의한 고정력의 증대와 함께 상기 버팀보강대(220)(220')와의 상호 고정력이 가일층 향상되도록 구성함으로써, 분할 형성된 버팀보강대(220)(220')에 의한 구조적 취약성을 극복하는 동시에 상판(230)에 작용하는 하중으로부터 더욱 견고한 지지 및 고정 상태가 연출될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는 것이다.Also, as shown in Fig. 7 (c), the expansion fastening hole 241 is also applied to the side portion of the expansion connecting rod 240 having the flange portions 242 and 242 'having the contact fixing holes 243 and 243' formed thereon. By forming (241 ') through the forming of the flange portion 242, 242' by increasing the holding force and the mutual holding force with the brace (220, 220 ') is further improved to be further configured, the divided brace reinforcement ( It can also be configured to overcome the structural fragility caused by 220) (220 ') and at the same time, a more robust support and fixation can be produced from the load acting on the top plate 230.

이어, 본 발명에서는 분할 구성된 버팀보강대(220)(220')의 분할 연결부에서의 취약점을 극복하기 위한 방안으로서, 도 8의 도시와 같이 상기 버팀보강대(220)(220')의 길이방향 양측에 계지홈부(222)(222')를 형성하고, 상기 확장연결대(240)의 양측 내면에는 상기 계지홈부(222)(222')와 대응하는 형태의 계지턱부(244)(244')를 돌출 형성함에 따라, 분할된 버팀보강대(220)(220')를 확장연결대(240)를 통해 연결 고정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 확장연결대(240)의 계지턱부(244)(244')가 버팀보강대(220)(220')의 계지홈부(222)(222')에 일치 삽입되면서 상호 간의 강력한 계지력이 발생되는 것이고, 이와 같은 길이 방향으로의 상호 계지력은 상판(230)에 작용하는 하중으로부터 상호 간의 계지 결합부에 의해 충분한 지지력을 갖게 하므로 더욱 견고하고 안정적인 체결 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Subsequently, in the present invention, as a method for overcoming vulnerabilities in the divided connection portion of the divided reinforcement braces 220 and 220 ', as shown in FIG. 8, on both side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races 220 and 220'. The locking grooves 222 and 222 'are formed, and the locking jaws 244 and 244' having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locking grooves 222 and 222 'are formed on both inner surfaces of the extension connecting rod 240. Accordingly, when the divided braces 220 and 220 'are to be connected and fixed through the extension connecting rod 240, the locking jaws 244 and 244' of the extension connecting rod 240 are supported by the brace 220 and ( As it is inserted into the locking groove part 222, 222 'of 220'), a strong locking force is generated between each other, and the mutual locking forc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s a coupling between each other from the load acting on the top plate 230. Sufficient support is provided by the part, so a more robust and stable tightening condition is continuously We can stop it.

또한,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된 계지홈부(222)(222')와 계지턱부(244)(244')는 횡방향으로의 상호 자유로운 슬라이딩이 가능하여 상판의 규격에 따른 양측 버팀보강대(220)(220') 간의 간격 조절 역시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the locking grooves 222, 222 'and the locking jaws 244, 244' form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can be mutually freely sliding in the transverse direction, so that the two side braces 220 and 220 according to the specifications of the top plate are possible. ') Interval spacing can also be easily achieved.

이어, 도 9의 도시에서는 상호 분할 구성된 버팀보강대(220)(220') 간의 직접적인 보강 연결이 이루어지도록 구성한 것으로, 사각관체로 된 버팀보강대(220)(220')의 내부에 별도 구비의 삽입연결대(250)를 삽입하여 구성한 것인데, 상기의 삽입연결대(250)는 "ㄷ"자 형태로서 하향 개구된 금속의 절곡체로 이루어져 있는 것이고, 상부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연속된 슬릿공(251)(251')이 수직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상향 개구 형태로 삽입하여도 되고 하향 개구 형태로 삽입하여도 무방할 것이다.Subsequently, in the city of FIG. 9, a direct reinforcement connection between the braces 220 and 220 ', which are mutually divided, is configured to be made, and an insertion connector of a separately provided inside the braces 220 and 220' made of a square tube It is configured by inserting 250, and the insertion connecting rod 250 is formed of a "b" shaped bent body of a downwardly opened metal, and the slit balls 251 and 251 'that are continuou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at the upper portion. ) Is formed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may be inserted in the form of an upward opening or in the form of a downward opening.

따라서, 상기의 삽입연결대(250)를 분할된 버팀보강대(220)(220')의 사이에 위치시켜 삽입연결대(250)의 양측 끝단이 양측의 버팀보강대(220)(220')의 끝단 내측으로 삽입되도록 조립하면 되는 것이고,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분할 부분에 전기한 확장연결대(240)를 덧씌워 상판(230) 저면에 고정되도록 하면, 버팀보강대(220)(220')의 분할 지점에서의 취약점을 극복할 수 있는 동시에 지지각(210)(210')의 간격 조절은 자유롭게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고, 상기 삽입연결대(250)는 확장연결대(240)에 의해 완전히 은폐된 상태를 연출하므로 미관을 해치지도 않게 된다.Therefore, by placing the insertion connecting rod 250 between the divided braces 220 and 220 ', both ends of the insertion connecting rod 250 are inward at the ends of the braces 220 and 220' on both sides. If it is to be assembled so as to be inserted, and in such a state, the extension connecting member 240, which has been described above, is covered with the extension part 240, so that it is fixed to the bottom of the top plate 230, the weakness at the splitting point of the braces 220 and 220 ' At the same time, the adjustment of the spacing of the support angles 210 and 210 'can be made freely, and the insertion connecting rod 250 may create a completely concealed state by the expanding connecting rod 240, thereby harming the aesthetics. It does not.

특히, 고정볼트를 이용하여 확장연결대(240) 및 버팀보강대(220)(220')를 상판 저면에 나사 고정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의 삽입연결대(250)에 형성된 슬릿공(251)(251')에 의해 상호 방해받지 않고 자연스럽게 체결볼트 또는 고정볼트를 관통 삽입시킬 수 있으므로, 사각 테이블의 구조적 강성 및 내구성을 더욱 증대시키는 반면 조립성이나 생산 효율성에 전혀 지장을 주지 않는 것이다.Particularly, in order to screw the extension connecting rod 240 and the brace reinforcement rod 220 and 220 'onto the bottom surface of the upper plate using the fixing bolt, the slit holes 251 and 251' formed in the insertion connecting rod 250 are provided. Since the fastening bolt or the fixing bolt can be naturally inserted through each other without interfering with each other, the structural rigidity and durability of the square table are further increased, while assembling and production efficiency are not impaired at all.

이에 본 발명의 사각 테이블은 명칭 및 상세한 설명에서는 평면상 사각 형태로 한정하였으나 사방의 지지각(210)(210')과 버팀보강대(220)(220')로 이루어진 프레임 구조체에 원형 또는 타원형 혹은 트렉 형태의 상판이 결합되는 테이블에도 적용 가능할 것이고, 상기 버팀보강대(220)(220')의 단면 형태에 따라 확장연결대(240)의 단면 형태도 가변 적용이 가능할 것이며, 상기 버팀보강대(220)(220')에 형성되는 조립공(221)(221')의 개체수와 간격 및 상기 확장연결대(240)에 형성된 확장체결공(241)(241')의 개체수와 간격 역시 다양하게 변경 실시가 가능한 것이다.In this regard, the square tabl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limited to a square shape on a plane in the name and detailed description, but is round or oval or trek in a frame structure composed of support angles 210, 210 'and braces 220, 220' in all directions. It will also be applicable to the table to which the top plate of the form is combined, and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extension connecting rod 240 may be variablely applied according to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braces 220 and 220 ', and the braces 220 and 220 The number and spacing of the assembly holes 221 and 221 'formed in the') and the number and spacing of the expansion fastening holes 241 and 241 'formed in the expansion connecting rod 240 can also be variously changed.

이상과 같은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The configuration described in the embodiments and the drawings described above are only the most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do not represent all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various equivalents and modifications that can replace them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may be examples.

210,210' : 지지각 211,211' : 절곡안치부
220,220' : 버팀보강대 221,221' : 조립공
222,222' : 계지홈부
230 : 상판
240 : 확장연결대 241,241' : 확장체결공
242,242' : 플랜지부 243,243' : 밀착고정공
244,244' : 계지턱부
250 : 삽입연결대 251,251' : 슬릿공
210,210 ': Support angle 211,211': Bending rest
220,220 ': Bracing brace 221,221': Assemblyman
222,222 ': Gyeji Home
230: top
240: expansion connecting rod 241,241 ': expansion fastener
242,242 ': Flange part 243,243': Close fixing hole
244,244 ': Gyejichin
250: Insertion connecting rod 251,251 ': Slit hole

Claims (4)

사방으로 세워 설치되는 지지각(210)(210')의 선단에 평면상 직각 방향으로 배치된 절곡안치부(211)(211')가 고정 형성되고, 각 지지각(210)(210')의 절곡안치부(211)(211')에 각 끝단이 삽입되는 별도 구비의 버팀보강대(220)(220')를 통해 상기의 지지각(210)(210')은 평면상 사각의 지지프레임 형태로 결합 고정되며, 별도 구비의 상판(230)은 상기 지지각(210)(210')의 선단 및 버팀보강대(220)(220')의 상단에 밀착되어 상기 절곡안치부(211)(211')와 버팀보강대(220)(220')의 하부로부터 상판(230)을 향하여 관통 삽입되는 체결볼트에 의해 상호 밀착 고정되게 한 조립식 사각 테이블을 구성하되, 상기 버팀보강대(220)(220')는 길이방향을 따라 양측으로 분할 구성하여 각각의 버팀보강대(220)(220') 일측 끝단만이 지지각(210)(210')의 절곡안치부(211)(211') 내에 삽입되게 하고, 상기 분할된 버팀보강대(220)(220')의 상호 대향의 끝단부는 별도 구비의 확장연결대(240)를 통해 상호 연결 고정되도록 하며, 상기 버팀보강대(220)(220')의 끝단부에는 수직 방향으로의 조립공(221)(221')을 관통 형성하고, 상기 확장연결대(240)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반복의 확장체결공(241)(241')을 관통 형성하여, 상기 확장연결대(240)의 확장체결공(241)(241')으로 삽입되는 체결볼트가 버팀보강대(220)(220')의 조립공(221)(221')을 통해 상판(230)의 하부에 나사 고정되도록 구성하여서 된 사방 확장형 지지프레임을 구비한 조립식 사각 테이블에 있어서,
상기 분할 구성된 버팀보강대(220)(220')의 사이에는 별도 구비의 삽입연결대(250)를 구비하여, 상기 삽입연결대(250)의 양단이 각기 분할된 버팀보강대(220)(220')의 끝단을 통해 내측으로 각기 삽입되게 하되, 하향 개구의 "ㄷ"자 형태로 절곡 형성된 삽입연결대(250)의 상측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반복의 슬릿공(251)(251')이 관통 형성되도록 구성하여 됨을 특징으로 하는 사방 확장형 지지프레임을 구비한 조립식 사각 테이블.
The bending end portions 211 and 211 'dispos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plane are fixedly formed at the front ends of the supporting angles 210 and 210' which are installed in all directions, and each of the supporting angles 210 and 210 ' The support angles 210 and 210 'are provided in the form of a rectangular support frame on a flat surface through a separate support brace 220, 220' where each end is inserted into the bending rest portion 211, 211 '. It is fixed and coupled, the separate upper plate 230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front end of the support angle (210) (210 ') and the support brace (220) (220'), the bending rest portion (211, 211 ') And a supporter stiffener (220) (220 ') from the bottom of the upper plate 230 toward the top plate 230 to form a prefabricated square table to be fixed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by fastening bolts, the braces (220, 220') is the length It is divided into two sides along the direction so that only one end of each of the braces 220 and 220 'is inserted into the bending rest portions 211 and 211' of the support angles 210 and 210 ', and the division Old burr The ends of the mutually opposite ends of the team braces 220 and 220 'are fixed to each other through a separate expansion connecting rod 240, and an assembly hole in a vertical direction is provided at the ends of the braces 220 and 220'. (221) (221 ') is formed through, and the expansion connecting rod 240 is formed through a repeating expansion fastening hole (241) (241') of the repeat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expansion fastening hole of the expansion connecting rod 240 (241) (241 ') The fastening bolt inserted into the support plate (220) (220') through the assembly hole (221) (221 ') is configured to be screw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upper plate 230, extending support frame in all directions In the prefabricated square table with a,
Between the divided support struts (220, 220 ') is provided with a separate insertion connecting rod 250, both ends of the insertion connecting rod 250, each end of the divided support brace (220, 220') It is to be inserted inward through each, but the slit hole 251 (251 ') of the repetition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is formed on the upper side of the insertion connector 250 bent in the form of a "c" shape of the downward opening. Prefabricated square table with four-way support fram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200004304A 2020-01-13 2020-01-13 Prefab square table KR10210559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4304A KR102105593B1 (en) 2020-01-13 2020-01-13 Prefab square tab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4304A KR102105593B1 (en) 2020-01-13 2020-01-13 Prefab square tabl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05593B1 true KR102105593B1 (en) 2020-04-28

Family

ID=704560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04304A KR102105593B1 (en) 2020-01-13 2020-01-13 Prefab square tab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05593B1 (en)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18706B1 (en) 2020-10-26 2021-02-23 (주)아모스아인스가구 Single table with structure reinforcement and wire concealment structure
KR102388462B1 (en) * 2022-02-08 2022-05-02 주식회사 이노프 The top board combination structure of table
KR102388459B1 (en) * 2022-02-08 2022-05-02 주식회사 이노프 A Table
KR102556752B1 (en) * 2023-01-17 2023-07-18 주식회사 퍼맥스 Support frame for table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6110B1 (en) * 2010-12-20 2011-09-20 주식회사 엔비스 Height adjustable type table
KR101287403B1 (en) 2013-01-02 2013-07-19 김태호 Prefabricated table
KR20130005155U (en) * 2012-02-22 2013-08-30 임철홍 Collapsible legs and frame structure of the table
KR101415056B1 (en) * 2013-06-20 2014-08-06 고운길 Assembly table
KR101542712B1 (en) * 2015-01-20 2015-08-06 장근대 Desk
KR101549046B1 (en) * 2014-10-31 2015-09-02 주식회사 위노스 Connjecting Member for Table
KR101633855B1 (en) 2015-11-17 2016-06-28 (주)캠퍼스라인 Top board support member is provided with a table
KR101734681B1 (en) 2015-09-25 2017-05-11 최석기 Assembly typed support frame for a table
KR101816594B1 (en) 2016-07-21 2018-01-09 주식회사 끌로하다 the leg of a table structure to do easy change pattern and the structure of pattern board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6110B1 (en) * 2010-12-20 2011-09-20 주식회사 엔비스 Height adjustable type table
KR20130005155U (en) * 2012-02-22 2013-08-30 임철홍 Collapsible legs and frame structure of the table
KR101287403B1 (en) 2013-01-02 2013-07-19 김태호 Prefabricated table
KR101415056B1 (en) * 2013-06-20 2014-08-06 고운길 Assembly table
KR101549046B1 (en) * 2014-10-31 2015-09-02 주식회사 위노스 Connjecting Member for Table
KR101542712B1 (en) * 2015-01-20 2015-08-06 장근대 Desk
KR101734681B1 (en) 2015-09-25 2017-05-11 최석기 Assembly typed support frame for a table
KR101633855B1 (en) 2015-11-17 2016-06-28 (주)캠퍼스라인 Top board support member is provided with a table
KR101816594B1 (en) 2016-07-21 2018-01-09 주식회사 끌로하다 the leg of a table structure to do easy change pattern and the structure of pattern board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18706B1 (en) 2020-10-26 2021-02-23 (주)아모스아인스가구 Single table with structure reinforcement and wire concealment structure
KR102388462B1 (en) * 2022-02-08 2022-05-02 주식회사 이노프 The top board combination structure of table
KR102388459B1 (en) * 2022-02-08 2022-05-02 주식회사 이노프 A Table
KR102556752B1 (en) * 2023-01-17 2023-07-18 주식회사 퍼맥스 Support frame for tabl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05593B1 (en) Prefab square table
KR102092133B1 (en) Prefab square table
US6786017B2 (en) Modular room system and method
US7252273B2 (en) Bracket and bracketed assemblies and system for further assembly
US11337515B2 (en) Quick assembly table
US5350073A (en) Free-standing shelving system
US20050242631A1 (en) Design and assembly technique for ready to assemble furniture
US20220322820A1 (en) Table and Table Assembly
KR102222819B1 (en) Table frame with simple assembly structure
US20050253424A1 (en) Convertible furniture system comprised of modular convertible box frames and methods of forming various furniture configurations therefrom
KR101816594B1 (en) the leg of a table structure to do easy change pattern and the structure of pattern board
US5348170A (en) Free-standing shelving system
US20120187814A1 (en) Furniture System and a Frame Assembly for a Furniture System
KR102332967B1 (en) Assembly type for shelf
KR102092858B1 (en) Steel frame connection structure for furniture
US20170354264A1 (en) Pin channel headboard
KR102461622B1 (en) Table frame with simple assembly structure by fitting
KR100271081B1 (en) Framework for shelving unit
KR101614834B1 (en) Foldable panel for decoration furniture
KR200465616Y1 (en) An assembling bookcase furniture extended to desk and bed
KR102155891B1 (en) Expandable interior shelf assembly
KR102092135B1 (en) Table with expandable assembly structure using split bracket
US11982080B2 (en) Stack-it bracket
KR102341472B1 (en) Prefabricated storage display furniture with expandability and convenience
KR102043676B1 (en) Shelf Assembl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