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05557B1 - 엘리베이터를 이용한 멀티 발전 시스템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를 이용한 멀티 발전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05557B1
KR102105557B1 KR1020190008682A KR20190008682A KR102105557B1 KR 102105557 B1 KR102105557 B1 KR 102105557B1 KR 1020190008682 A KR1020190008682 A KR 1020190008682A KR 20190008682 A KR20190008682 A KR 20190008682A KR 102105557 B1 KR102105557 B1 KR 1021055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vator
power generation
hoistway
generation device
circumferential su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086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함영욱
Original Assignee
함영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함영욱 filed Critical 함영욱
Priority to KR10201900086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0555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055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055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0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dynamo-electric machines, e.g. structural association with mechanical driving motors or auxiliary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18Structural association of electric generators with mechanical driving motors, e.g. with turbines
    • H02K7/1807Rotary generators
    • H02K7/1823Rotary generator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urbines or similar engines
    • H02K7/183Rotary generator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urbines or similar engines wherein the turbine is a wind turbi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005Constructional features of hoistw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2Cages, i.e. cars
    • B66B11/0226Constructional features, e.g. walls assembly, decorative panels, comfort equipment, thermal or sound insulatio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14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for charging batteries from dynamo-electric generators driven at varying speed, e.g. on vehicl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35/00Generators with reciprocating, oscillating or vibrating coil system, magnet, armature or other part of the magnetic circuit
    • H02K35/02Generators with reciprocating, oscillating or vibrating coil system, magnet, armature or other part of the magnetic circuit with moving magnets and stationary coil systems

Abstract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를 이용한 멀티 발전 시스템을 개시한다. 즉,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의 운행에 따라 엘리베이터 하부에 형성된 회전체를 이용하여 발전 장치를 통해 전기를 생산하고, 엘리베이터가 이동하는 승강로의 일측의 내주면에 형성된 코일과 상기 엘리베이터의 외주면에 형성된 자석에 의한 유도 기전력을 이용해서 전기를 생산함으로써, 기존 설비의 변형을 최소화하여 최적의 전기를 생산할 수 있고, 다중으로 전기를 생산함에 따른 전력 생산 효율을 높일 수 있다.

Description

엘리베이터를 이용한 멀티 발전 시스템{Multi-generating system using elevator}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를 이용한 멀티 발전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엘리베이터의 운행에 따라 엘리베이터 하부에 형성된 회전체를 이용하여 발전 장치를 통해 전기를 생산하고, 엘리베이터가 이동하는 승강로의 일측의 내주면에 형성된 코일과 상기 엘리베이터의 외주면에 형성된 자석에 의한 유도 기전력을 이용해서 전기를 생산하는 엘리베이터를 이용한 멀티 발전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엘리베이터는 복층 구조의 건물에서 승객을 이동시키는 장치이다.
이러한 엘리베이터는 단순히 승객을 이동시키는데 그치고 있어, 그 활용도가 한정적인 상태로, 다용도의 활용이 필요한 실정이다.
한국등록특허 제10-1242200호 [제목: 엘리베이터의 브레이크 시스템을 이용한 발전기]
본 발명의 목적은 엘리베이터의 운행에 따라 엘리베이터 하부에 형성된 회전체를 이용하여 발전 장치를 통해 전기를 생산하고, 엘리베이터가 이동하는 승강로의 일측의 내주면에 형성된 코일과 상기 엘리베이터의 외주면에 형성된 자석에 의한 유도 기전력을 이용해서 전기를 생산하는 엘리베이터를 이용한 멀티 발전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엘리베이터의 운행에 따라 엘리베이터가 이동하는 승강로의 최하단 또는 바닥에 형성된 회전체를 이용해서 발전 장치를 통해 전기를 생산하는 엘리베이터를 이용한 멀티 발전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를 이용한 멀티 발전 시스템은 건축물의 일측에 형성하며, 출입문이 설치된 영역을 제외한 내주면에 코일부가 형성된 승강로; 상기 승강로에 배치되어, 동력을 이용하여 상기 건축물의 상층에서 하층 사이를 이동하며, 출입문이 설치된 일면을 제외한 적어도 일면의 외주면에 자석이 형성되는 엘리베이터; 상기 엘리베이터의 하단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엘리베이터의 운행에 의해 상기 승강로에서 형성되는 바람을 이용해서 발전하여 전기를 생산하는 제 1 발전 장치; 상기 승강로의 하부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엘리베이터의 운행에 의해 상기 승강로에서 형성되는 바람을 이용해서 발전하여 전기를 생산하는 제 2 발전 장치; 상기 승강로의 내주면에 형성된 코일부에 의해 상기 승강로를 이동하는 상기 엘리베이터의 외주면에 형성된 자석에 의해 유도 기전력을 생성하여 전기를 생산하는 제 3 발전 장치; 및 상기 제 1 발전 장치, 상기 제 2 발전 장치 및 상기 제 3 발전 장치에 의해 생산된 전기를 저장하는 배터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제 1 발전 장치는, 상기 엘리베이터 본체의 하단 일측에 형성되는 제 1 회전체; 및 상기 엘리베이터의 운행에 의해 상기 승강로에서 형성되는 바람에 의해 회전하는 상기 제 1 회전체의 회전을 근거로 구동되어 전기를 생산하는 제 1 발전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제 1 발전 장치는, 상기 엘리베이터의 운행 동작에 영향을 주지 않기 위해서, 상기 엘리베이터가 하층에서 상층으로 이동하는 중에는 동작하지 않도록 구성하며, 상기 엘리베이터가 상층에서 하층으로 이동하는 중에 상기 엘리베이터가 특정층에 멈추기 위해서 속도를 감속하는 운행을 시도하는 경우에 동작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제 2 발전 장치는, 상기 승강로의 하부 일측에 형성되는 제 2 회전체; 및 상기 엘리베이터의 운행에 의해 상기 승강로에서 형성되는 바람에 의해 회전하는 상기 제 2 회전체의 회전을 근거로 구동되어 전기를 생산하는 제 2 발전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제 3 발전 장치는, 상기 승강로의 내주면 중 상기 엘리베이터가 멈추는 출입문이 설치된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내주면에 형성되는 상기 코일부; 및 상기 코일부와 전선을 통해 연결되며, 상기 승강로로 상기 자석이 형성된 엘리베이터가 이동함에 따라, 상기 승강로의 내주면에 형성된 코일부와 상기 엘리베이터의 외주면에 형성된 자석에 의해 유도되는 유도전압을 전류로 변환하고, 상기 변환된 전류를 상기 배터리부에 저장하는 발전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의 운행에 따라 엘리베이터 하부에 형성된 회전체를 이용하여 발전 장치를 통해 전기를 생산하고, 엘리베이터가 이동하는 승강로의 일측의 내주면에 형성된 코일과 상기 엘리베이터의 외주면에 형성된 자석에 의한 유도 기전력을 이용해서 전기를 생산함으로써, 기존 설비의 변형을 최소화하여 최적의 전기를 생산할 수 있고, 다중으로 전기를 생산함에 따른 전력 생산 효율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의 운행에 따라 엘리베이터가 이동하는 승강로의 최하단 또는 바닥에 형성된 회전체를 이용해서 발전 장치를 통해 전기를 생산함으로써, 전체 발전 시스템의 운영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를 이용한 멀티 발전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를 이용한 멀티 발전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 1 발전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 2 발전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 3 발전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도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님을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본 발명에서 특별히 다른 의미로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포괄적인 의미로 해석되거나,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기술적인 용어가 본 발명의 사상을 정확하게 표현하지 못하는 잘못된 기술적 용어일 때에는 당업자가 올바르게 이해할 수 있는 기술적 용어로 대체되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바에 따라, 또는 전후 문맥상에 따라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구성된다" 또는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발명에 기재된 여러 구성 요소들 또는 여러 단계를 반드시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며, 그 중 일부 구성 요소들 또는 일부 단계들은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고, 또는 추가적인 구성 요소 또는 단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제 1, 제 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 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 1 구성 요소는 제 2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 요소도 제 1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사상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의 사상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됨을 유의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를 이용한 멀티 발전 시스템(10)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를 이용한 멀티 발전 시스템(10)의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엘리베이터를 이용한 멀티 발전 시스템(10)은 승강로(100), 엘리베이터(200), 센서부(300), 제 1 발전 장치(400), 제 2 발전 장치(500), 제 3 발전 장치(600), 제어부(700) 및 배터리부(800)로 구성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엘리베이터를 이용한 멀티 발전 시스템(10)의 구성 요소 모두가 필수 구성 요소인 것은 아니며,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구성 요소보다 많은 구성 요소에 의해 엘리베이터를 이용한 멀티 발전 시스템(10)이 구현될 수도 있고, 그보다 적은 구성 요소에 의해서도 엘리베이터를 이용한 멀티 발전 시스템(10)이 구현될 수도 있다.
상기 승강로(hoist way)(100)는 건물, 빌딩 등의 건축물에 형성되는 엘리베이터(200)가 이동하는 통로이다.
또한, 상기 승강로(100) 중 일부에는 코일부(610)가 형성된 상태일 수 있다.
즉, 상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승강로(100) 중에서 상기 엘리베이터(200)가 멈추는 지점(또는 출입문이 설치된 지점/영역)을 제외한 영역(또는 상기 엘리베이터(200)가 이동하는 영역/층과 층 사이의 엘리베이터(200)가 이동하는 영역)의 해당 승강로(100)의 내주면에는 상기 코일부(610)가 형성된 상태일 수 있다.
상기 엘리베이터(또는 승강기)(200)는 상기 승강로(100)에 배치되어, 동력을 이용하여 상기 건물, 빌딩 등의 상층 ~ 하층 사이를 운행한다.
또한, 상기 엘리베이터(200) 중 출입문이 설치된 일면을 제외한 적어도 일면에는 자석이 형성(또는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자석은 N극과 S극으로 구성된다.
즉, 상기 엘리베이터(200) 중 출입문이 설치된 일면을 제외한 3측면의 외주면에는 자석이 형성되어, 상기 엘리베이터(200)가 상기 승강로(100)를 이동함에 따라, 상기 승강로(100)의 내주면에 형성된 코일부(610)에 의해 자기장을 변화시켜 유도 기전력을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센서부(300)는 상기 엘리베이터(200)의 일측에 형성(또는 구성/배치/설치)된다.
또한, 상기 센서부(300)는 상기 엘리베이터(200)의 운행에 따른 속도 변화 등을 측정한다.
또한, 상기 센서부(300)는 미리 설정된 시간 간격으로(또는 미리 설정된 주기마다) 상기 승강로(100)를 이동하는 상기 엘리베이터(200)에 의한 자기장의 세기 등을 측정하기 위한 센서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센서부(300)는 상기 측정된 엘리베이터(200)의 운행에 따른 속도 변화, 상기 승강로(100)를 이동하는 상기 엘리베이터(200)에 의한 자기장의 세기 등의 정보를 상기 제어부(700)에 제공한다.
이때, 상기 센서부(300)와 상기 제어부(700)가 이격되어 설치된 경우, 유/무선 통신 방식에 의해 해당 센서부(300)에서 측정된 정보들(예를 들어 상기 측정된 엘리베이터(200)의 운행에 따른 속도 변화, 상기 승강로(100)를 이동하는 상기 엘리베이터(200)에 의한 자기장의 세기 등 포함)이 상기 제어부(700)에 전송될 수 있다.
상기 제 1 발전 장치(400)는 상기 엘리베이터(200)의 하단(또는 하부) 일측에 형성(또는 구성)한다. 이때, 상기 제 1 발전 장치(400)는 상기 엘리베이터(200)의 하단 일측에 복수로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발전 장치(400)는 상기 엘리베이터(200)가 상층에서 하층으로 이동하는 경우, 상기 승강로(100)에서 형성되는 바람을 이용해서 발전하여 전기(또는 전력)를 생산한다.
또한, 상기 제 1 발전 장치(400)는 상기 생산된 전기를 상기 배터리부(800)에 충전(또는 저장)한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1 발전 장치(400)는 제 1 회전체(410) 및 제 1 발전기(420)로 구성된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제 1 발전 장치(400)의 구성 요소 모두가 필수 구성 요소인 것은 아니며,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구성 요소보다 많은 구성 요소에 의해 제 1 발전 장치(400)가 구현될 수도 있고, 그보다 적은 구성 요소에 의해서도 제 1 발전 장치(400)가 구현될 수도 있다.
상기 제 1 회전체(410)는 상기 엘리베이터(200)의 본체의 하단 일측에 형성(또는 배치/구성)한다.
또한, 상기 제 1 회전체(410)는 상기 엘리베이터(200)의 본체 하단에 형성되며,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수평의 제 1 회전축(411)과, 상기 제 1 회전축(411)을 기준으로 바람개비 형태로 형성되는 복수의 회전 날개(또는 터빈 날개)(412)로 구성한다. 이때, 상기 제 1 회전체(410)는 바람개비 형태의 로터 및 블레이드(또는 회전 날개)로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회전 날개(412)는 상기 승강로(100)를 이동하는 상기 엘리베이터(200)에 의해 발생하는 공기 흐름(또는 바람)에 의해 회전한다.
이때, 상기 제 1 회전체(410)는 상기 엘리베이터(200)의 상행 이동 및 하행 이동에 있어서, 상기 제 1 회전체(410)에 포함된 회전 날개(412)의 회전에 의해 상기 엘리베이터(200)의 운행 동작(예를 들어 운행 속도 등 포함)에 영향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해당 엘리베이터(200)의 운행 동작에 영향(예를 들어 상기 제 1 회전체(410)의 회전에 의해, 저항력/반발력이 증가하여 상기 엘리베이터(200)가 하층에서 상층으로 이동하기 위해서 상기 제 1 회전체(410)가 회전하기 전보다 더 많은 전력을 필요로 하는 경우 등 포함)을 주지 않기 위해서, 상기 제어부(700)의 제어에 의해, 상기 엘리베이터(200)가 하층에서 상층으로 이동하는 중에는 동작하지 않도록 구성한다.
또한, 상기 제 1 회전체(410)는 상기 제어부(700)의 제어에 의해, 상기 엘리베이터(200)가 상층에서 하층으로 이동하는 중, 상기 엘리베이터(200)가 특정층(또는 목적지층)에 멈추기 위해서 속도를 감속하는 운행(또는 줄이는 운행)을 시도하는 경우에 동작하도록 구성한다.
즉, 상기 제 1 회전체(410)는 상기 제어부(700)의 제어에 의해, 상기 엘리베이터(200)가 상층에서 하층으로 이동하기 위해서 해당 엘리베이터(200)의 속도를 증가시키는 경우(또는 가속하는 경우)에는 동작하지 않으며, 해당 엘리베이터(200)가 특정층에 멈추기 위해서 속도를 줄이는 경우(또는 상층에서 하층으로 운행 중 속도를 줄이는 구간/감속하는 구간)에 동작한다.
상기 제 1 발전기(420)는 상기 엘리베이터(200)의 본체의 하단 일측에 형성(또는 배치/구성)한다.
또한, 상기 제 1 발전기(420)는 상기 엘리베이터(200)가 상층에서 하층으로 운행 중 속도를 줄이는 구간에서 상기 엘리베이터(200)의 이동에 따라 상기 승강로(100)에서 발생하는 공기 흐름에 의해 회전하는 상기 제 1 회전체(410)의 회전을 근거로 구동되어 전기를 생산한다.
또한, 상기 제 1 발전기(420)는 상기 생산되는 전기를 상기 배터리부(800)에 저장(또는 충전)한다.
이와 같이, 상기 제 1 발전 장치(400)는 상기 엘리베이터(200)가 상층에서 하층으로 운행하는 도중에 속도를 줄이는 구간에서만 동작하여 전기를 생산함에 따라, 상기 엘리베이터(200)의 운행에 영향을 주지 않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제 2 발전 장치(500)는 상기 승강로(100)의 하부 일측에 형성(또는 구성)한다. 이때, 상기 제 2 발전 장치(500)는 상기 승강로(100)의 하부 일측에 복수로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발전 장치(500)는 상기 승강로(100)를 이동하는 상기 엘리베이터(200)에 의해 형성되는 바람을 이용해서 발전하여 전기(또는 전력)를 생산한다.
또한, 상기 제 2 발전 장치(500)는 상기 생산된 전기를 상기 배터리부(800)에 충전(또는 저장)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2 발전 장치(500)는 제 2 회전체(510) 및 제 2 발전기(520)로 구성된다. 도 5에 도시된 제 2 발전 장치(500)의 구성 요소 모두가 필수 구성 요소인 것은 아니며, 도 5에 도시된 구성 요소보다 많은 구성 요소에 의해 제 2 발전 장치(500)가 구현될 수도 있고, 그보다 적은 구성 요소에 의해서도 제 2 발전 장치(500)가 구현될 수도 있다.
상기 제 2 회전체(510)는 상기 승강로(100)의 하부 일측에 형성(또는 배치/구성)한다.
또한, 상기 제 2 회전체(510)는 상기 승강로(100)의 하부 일측에 형성되며,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수평의 제 2 회전축(511)과, 상기 제 1 회전축(511)을 기준으로 바람개비 형태로 형성되는 복수의 회전 날개(또는 터빈 날개)(512)로 구성한다. 이때, 상기 제 2 회전체(510)는 바람개비 형태의 로터 및 블레이드(또는 회전 날개)로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회전 날개(512)는 상기 승강로(100)를 이동하는 상기 엘리베이터(200)에 의해 발생하는 공기 흐름(또는 바람)에 의해 회전한다.
상기 제 2 발전기(520)는 상기 승강로(100)의 하부 일측에 형성(또는 배치/구성)한다.
또한, 상기 제 2 발전기(520)는 상기 엘리베이터(200)가 상층에서 하층으로 운행하거나 또는, 하층에서 상층으로 운행함에 따라 상기 승강로(100)에서 발생하는 공기 흐름에 의해 회전하는 상기 제 2 회전체(510)의 회전을 근거로 구동되어 전기를 생산한다.
또한, 상기 제 2 발전기(520)는 상기 생산되는 전기를 상기 배터리부(800)에 저장(또는 충전)한다.
이와 같이, 상기 제 2 발전 장치(500)는 상기 승강로(100)를 이동하는 상기 엘리베이터(200)에 의해 발생하는 상기 승강로(100) 내의 공기의 흐름을 이용해서 전기를 생산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3 발전 장치(600)는 코일부(610), 전선(620) 및 발전부(630)로 구성된다. 도 6에 도시된 제 3 발전 장치(600)의 구성 요소 모두가 필수 구성 요소인 것은 아니며, 도 6에 도시된 구성 요소보다 많은 구성 요소에 의해 제 3 발전 장치(600)가 구현될 수도 있고, 그보다 적은 구성 요소에 의해서도 제 3 발전 장치(600)가 구현될 수도 있다.
상기 코일부(610)는 상기 승강로(100)의 내주면 등에 권선(또는 권취/형성/구성)한다.
즉, 상기 코일부(610)는 상기 승강로(100)의 내주면 중에서 상기 엘리베이터(200)가 정지하는 영역 이외에, 상기 엘리베이터(200)가 이동하는 승강로(100)의 내주면에 형성한 후 성형하여, 외부에서의 훼손 등을 방지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코일부(610)는 에나멜선 등으로 구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승강로(100)의 내주면에 형성되는 코일부(610)는 전기적으로 상호 연결되며, 상기 발전부(630)와 상기 전선(620)을 통해 연결된다.
또한, 상기 승강로(100)의 내주면에 형성되는 다른 코일부(610)는 전기적으로 상호 연결되며, 상기 발전부(630)와 다른 전선(620)을 통해 연결된다.
상기 발전부(630)는 상기 승강로(100)로 상기 엘리베이터(200)가 이동(또는 통과)함에 따라, 상기 승강로(100)의 내주면에 형성된 코일부(610)와 상기 승강로(100)를 이동하는(또는 통과하는) 상기 엘리베이터(200)의 외주면에 형성된 자석에 의해 유도(또는 발생)되는 유도전압을 전류로 변환한 후, 상기 변환된 전류를 상기 배터리부(800)에 저장(또는 충전)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승강로(100)의 내주면에 형성되는 코일부(610)가 상기 엘리베이터(200)가 정지하지 않고 이동하는 이동로 상에 설치되는 것을 주로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코일부(610)는 상기 엘리베이터(200)가 정지하지 않고 이동하는 이동로뿐만 아니라, 상기 엘리베이터(200)가 이동하는 이동로 중에서 출입문이 동작하는 일면을 제외한 나머지 적어도 하나의 다른 일면에 설치될 수도 있다.
상기 제어부(700)는 상기 멀티 발전 시스템(10)의 전반적인 제어 기능을 실행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700)는 저장부(미도시)에 저장된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이용하여 멀티 발전 시스템(10)의 전반적인 제어 기능을 실행한다. 상기 제어부(700)는 RAM, ROM, CPU, GPU, 버스를 포함할 수 있으며, RAM, ROM, CPU, GPU 등은 버스를 통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CPU는 상기 저장부에 액세스하여,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O/S를 이용하여 부팅을 수행할 수 있으며,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각종 프로그램, 콘텐츠, 데이터 등을 이용하여 다양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700)는 상기 센서부(300)에 의해 측정된 상기 승강로(100)를 이동하는 상기 엘리베이터(200)가 속도를 줄이는 구간에 대한 정보를 근거로 상기 제 1 발전 장치(400)의 동작을 제어하여, 상기 제 1 발전 장치(400)를 통해 전기를 생산한다. 이때, 상기 제어부(700)는 상기 센서부(300) 이외에도 상기 엘리베이터(200)의 동작을 제어하는 다른 제어장치(미도시)와 연동하여, 해당 다른 제어장치로부터 제공되는 상기 엘리베이터(200)의 동작 상태(예를 들어 층별 정지 정보, 속도 가감 정보 등 포함)를 근거로 상기 제 1 발전 장치(400)의 동작을 제어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700)는 상기 제 2 발전 장치(500)의 동작을 제어하여, 상기 제 2 발전 장치(500)를 통해 전기를 생산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700)는 상기 제 3 발전 장치(600)의 동작을 제어하여, 상기 제 3 발전 장치(600)를 통해 전기를 생산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700)는 상기 복수의 발전 장치(400, 500, 600)별로 발전하는 발전량을 산출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700)는 상기 복수의 발전 장치(400, 500, 600)별로 산출된 발전 장치별 발전량을 표시부(미도시)에 표시할 수도 있다.
상기 배터리부(800)는 상기 복수의 발전 장치(400, 500, 600)에 의해 생산되는 전기를 충전(또는 저장)한다.
이와 같이, 상기 배터리부(800)는 상기 엘리베이터(200)의 운행에 따라 상기 엘리베이터(200)의 하단에서 발생하는 공기의 흐름에 의해 제 1 발전 장치(400)에 의해 생산된 전기와, 상기 엘리베이터(200)의 운행에 따라 상기 승강로(100)에서 발생하는 공기의 흐름에 의해 제 2 발전 장치(500)에 의해 생산된 전기와, 상기 엘리베이터(200)의 외주면에 형성된 자석이 내주면에 코일이 감긴 상기 승강로(100)를 통과하면서 생산된 전기와 같이, 복수의 구성에 의해 생산된 전기를 충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터리부(800)는 상기 제어부(700)의 제어에 의해 임의의 장치(미도시)에 상기 배터리부(800)에 충전된 전기(또는 전력)를 공급(또는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엘리베이터의 운행에 따라 엘리베이터 하부에 형성된 회전체를 이용하여 발전 장치를 통해 전기를 생산하고, 엘리베이터가 이동하는 승강로의 일측의 내주면에 형성된 코일과 상기 엘리베이터의 외주면에 형성된 자석에 의한 유도 기전력을 이용해서 전기를 생산하여, 기존 설비의 변형을 최소화하여 최적의 전기를 생산할 수 있고, 다중으로 전기를 생산함에 따른 전력 생산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엘리베이터의 운행에 따라 엘리베이터가 이동하는 승강로의 최하단 또는 바닥에 형성된 회전체를 이용해서 발전 장치를 통해 전기를 생산하여, 전체 발전 시스템의 운영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전술된 내용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엘리베이터를 이용한 멀티 발전 시스템
100: 승강로 200: 엘리베이터
300: 센서부 400: 제 1 발전 장치
500: 제 2 발전 장치 600: 제 3 발전 장치
700: 제어부 800: 배터리부
410: 제 1 회전체 420: 제 1 발전기
510: 제 2 회전체 520: 제 2 발전기
610: 코일부 620: 전선
630: 발전부

Claims (5)

  1. 건축물의 일측에 형성하며, 출입문이 설치된 영역을 제외한 내주면에 코일부가 형성된 승강로;
    상기 승강로에 배치되어, 동력을 이용하여 상기 건축물의 상층에서 하층 사이를 이동하며, 출입문이 설치된 일면을 제외한 적어도 일면의 외주면에 자석이 형성되는 엘리베이터;
    상기 엘리베이터의 하단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엘리베이터의 운행에 의해 상기 승강로에서 형성되는 바람을 이용해서 발전하여 전기를 생산하는 제 1 발전 장치;
    상기 승강로의 하부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엘리베이터의 운행에 의해 상기 승강로에서 형성되는 바람을 이용해서 발전하여 전기를 생산하는 제 2 발전 장치;
    상기 승강로의 내주면에 형성된 코일부에 의해 상기 승강로를 이동하는 상기 엘리베이터의 외주면에 형성된 자석에 의해 유도 기전력을 생성하여 전기를 생산하는 제 3 발전 장치; 및
    상기 제 1 발전 장치, 상기 제 2 발전 장치 및 상기 제 3 발전 장치에 의해 생산된 전기를 저장하는 배터리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발전 장치는,
    상기 엘리베이터의 운행 동작에 영향을 주지 않기 위해서, 상기 엘리베이터가 하층에서 상층으로 이동하는 중에는 동작하지 않도록 구성하며, 상기 엘리베이터가 상층에서 하층으로 이동하는 중에 상기 엘리베이터가 특정층에 멈추기 위해서 속도를 감속하는 운행을 시도할 때 동작하며,
    상기 제 3 발전 장치는,
    상기 승강로의 내주면 중 상기 엘리베이터가 멈추는 출입문이 설치된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내주면에 형성되는 상기 코일부; 및
    상기 코일부와 전선을 통해 연결되며, 상기 승강로로 상기 자석이 형성된 엘리베이터가 이동함에 따라, 상기 승강로의 내주면에 형성된 코일부와 상기 엘리베이터의 외주면에 형성된 자석에 의해 유도되는 유도전압을 전류로 변환하고, 상기 변환된 전류를 상기 배터리부에 저장하는 발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를 이용한 멀티 발전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발전 장치는,
    상기 엘리베이터 본체의 하단 일측에 형성되는 제 1 회전체; 및
    상기 엘리베이터의 운행에 의해 상기 승강로에서 형성되는 바람에 의해 회전하는 상기 제 1 회전체의 회전을 근거로 구동되어 전기를 생산하는 제 1 발전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를 이용한 멀티 발전 시스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발전 장치는,
    상기 승강로의 하부 일측에 형성되는 제 2 회전체; 및
    상기 엘리베이터의 운행에 의해 상기 승강로에서 형성되는 바람에 의해 회전하는 상기 제 2 회전체의 회전을 근거로 구동되어 전기를 생산하는 제 2 발전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를 이용한 멀티 발전 시스템.
  5. 삭제
KR1020190008682A 2019-01-23 2019-01-23 엘리베이터를 이용한 멀티 발전 시스템 KR1021055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8682A KR102105557B1 (ko) 2019-01-23 2019-01-23 엘리베이터를 이용한 멀티 발전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8682A KR102105557B1 (ko) 2019-01-23 2019-01-23 엘리베이터를 이용한 멀티 발전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05557B1 true KR102105557B1 (ko) 2020-04-28

Family

ID=704560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08682A KR102105557B1 (ko) 2019-01-23 2019-01-23 엘리베이터를 이용한 멀티 발전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05557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11954A (ko) * 2009-07-29 2011-02-09 박성희 고층 건물 고속 엘리베이터의 연돌 효과를 이용한 풍력 발전 시스템 및 방법
KR101217879B1 (ko) * 2012-07-05 2013-01-02 문현철 발전 가능한 엘리베이터
KR101242200B1 (ko) 2012-05-08 2013-03-11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엘리베이터의 브레이크 시스템을 이용한 발전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11954A (ko) * 2009-07-29 2011-02-09 박성희 고층 건물 고속 엘리베이터의 연돌 효과를 이용한 풍력 발전 시스템 및 방법
KR101242200B1 (ko) 2012-05-08 2013-03-11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엘리베이터의 브레이크 시스템을 이용한 발전기
KR101217879B1 (ko) * 2012-07-05 2013-01-02 문현철 발전 가능한 엘리베이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17879B1 (ko) 발전 가능한 엘리베이터
CN110745658B (zh) 电梯
EP3228572B1 (en) Uninterrupted rescue operation
KR102650094B1 (ko) 스위치형 플럭스 선형 모터를 가진 도어 오퍼레이터
CN202508725U (zh) 一种空芯绕组式直线电磁提升机
CN101605712A (zh) 电梯装置
EP3210923B1 (en) Advanced smooth rescue operation
KR102105557B1 (ko) 엘리베이터를 이용한 멀티 발전 시스템
CN105460734A (zh) 利用电梯重力势能的发电装置
AU2012258151A1 (en) Turbine having optimised efficiency
CN205034928U (zh) 一种双定子节能电梯曳引机
CN107697772B (zh) 电梯
Ongun et al. Improving the performance and energy efficiency of elevators by direct-landing elevator position control system
KR101234187B1 (ko) 엘리베이터 낙하에너지를 이용한 발전장치
CN101575063B (zh) 民用高层建筑无源势能控速逃生电梯
Gürbüz et al. Linear motor for multi-car elevators, design and position measurement
US20200361747A1 (en) Inclined elevato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reof
CN202785189U (zh) 一种双励磁电机节能电梯
US20200189884A1 (en) Electric linear motor and elevator
KR102130222B1 (ko) 리니어 모터 방식 엘리베이터의 과속 감지 장치
CN203408374U (zh) 高楼逃生装置
CN207536952U (zh) 一种电梯运行速度检测装置及电梯
CN209922855U (zh) 提升机的直流电驱系统
CN107867656B (zh) 一种机器人升降系统
CN209583352U (zh) 一种电梯曳引机曳引轮转子一体化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