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05552B1 - Massage chair system for improving cognitive ability of user - Google Patents

Massage chair system for improving cognitive ability of us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05552B1
KR102105552B1 KR1020190010019A KR20190010019A KR102105552B1 KR 102105552 B1 KR102105552 B1 KR 102105552B1 KR 1020190010019 A KR1020190010019 A KR 1020190010019A KR 20190010019 A KR20190010019 A KR 20190010019A KR 102105552 B1 KR102105552 B1 KR 1021055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ssage
ability
cognitive ability
user
g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1001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90102992A (en
Inventor
한성호
남형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국에이치엠디
한성호
남형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국에이치엠디, 한성호, 남형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국에이치엠디
Publication of KR201901029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0299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055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0555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7/00Accessories for massag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G09B19/0023Colour matching, recognition, analysis, mixture or the like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 G16H20/3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physical therapies or activities, e.g. physiotherapy, acupressure or exercis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1Constructive details
    • A61H2201/0119Support for the device
    • A61H2201/0138Support for the device incorporated in furniture
    • A61H2201/0149Seat or chai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50Control means thereof
    • A61H2201/5007Control means thereof computer controll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50Control means thereof
    • A61H2201/5023Interfaces to the us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50Control means thereof
    • A61H2201/5023Interfaces to the user
    • A61H2201/5043Display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physic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의 인지능력 개선을 위한 안마의자 시스템은, 치매 또는 경도인지장애를 갖는 사용자에게 인지능력 개선을 위한 게임 컨텐츠들을 제공하는 HMD(Head Mounted Display) 디바이스; 및 신체에 대한 복수의 안마 컨텐츠들의 동작을 수행하고, 통신망을 통해 연결된 상기 HMD 디바이스에 대한 상기 게임 컨텐츠의 동작 수행을 제어하는 안마의자를 포함하고, 상기 안마의자는, 인지능력 문답정보와 상기 생체등록정보를 근거로 하여, 상기 사용자에 대한 기억력, 행위수행능력, 시지각 인지력, 주의력 및 언어능력을 포함하는 인지능력을 분석하고, 상기 인지능력의 분석에 따라 상기 사용자에 대응하는 인지능력 분석정보를 생성하는 인지능력 분석부; 상기 안마 컨텐츠들 중에서 상기 인지능력 분석정보에 대응하는 안마종류 및 안마레벨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매칭 안마컨텐츠를 결정하는 안마컨텐츠 결정부; 상기 게임 컨텐츠들 중에서 상기 인지능력 분석정보에 대응하는 게임종류 및 게임레벨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매칭 게임컨텐츠를 결정하는 게임컨텐츠 결정부; 상기 안마컨텐츠 결정부 및 상기 게임컨텐츠 결정부의 결정 결과에 따라, 상기 매칭 안마컨텐츠에 대응하는 안마 동작의 수행을 제어하고, 상기 매칭 게임컨텐츠에 대응하는 게임 동작의 수행을 제어하는 동작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massage chair system for improving a user's cognitive abilit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ead mounted display (HMD) device providing game contents for improving cognitive ability to a user with dementia or mild cognitive impairment; And a massage chair performing an operation of a plurality of massage contents on the body and controlling the performance of the game contents on the HMD device connected through a communication network, wherein the massage chair includes cognitive ability answering information and the living body. Based on the registration information, analyzes cognitive abilities including memory, behavioral performance, visual perception cognition, attention, and language ability for the user, and cognitive ability analysis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user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the cognitive ability Cognitive ability analysis unit for generating; A massage content determination unit for determining at least one matching massage content including a massage type and a massage level corresponding to the cognitive ability analysis information among the massage contents; A game content determination unit for determining at least one matching game content including a game type and a game level corresponding to the cognitive ability analysis information among the game contents; In accordance with the determination result of the massage content determination unit and the game content determination unit, and controls the performance of the massage operation corresponding to the matching massage content, and includes an operation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performance of the game operation corresponding to the matching game content It is characterized by.

Description

사용자의 인지능력 개선을 위한 안마의자 시스템{Massage chair system for improving cognitive ability of user}Massage chair system for improving cognitive ability of user}

본 발명은 HMD(Head Mounted Display) 디바이스와 연동되는 안마의자의 제어기술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치매 또는 경도인지장애를 갖는 사용자의 인지능력 개선을 위한 안마의자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trol technology of a massage chair interlocked with a head mounted display (HMD)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massage chair system for improving cognitive ability of a user with dementia or mild cognitive impairment.

현대 사회에서 평균 수명이 증대됨에 따라, 사회 구성원들 중에서 상당수의 노인층이 형성되어 있는데, 이들 노인들이 가장 피하고 싶은 병중에 하나가 치매이다. 치매(dementia)는 지적 수준이 정상이던 사람이 뇌의 각종 질환으로 인하여, 정상인의 지정 능력을 상실한 상태를 의미한다. 이러한 치매는 알츠하이머병(alzheimer's disease), 혈관성 치매(vascular dementia), 증상호전 가능성이 있는 치매(reversible or treatable dementia) 등으로 구분되는데, 알츠하이머병은 퇴행성 치매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것으로서, 정상적인 기능을 수행하던 뇌세포들이 특정한 원인 없이 서서히 죽어 가면서 발병하게 된다. 혈관성 치매와 증상호전 가능성이 있는 치매는 모두 증상을 중지시키거나, 호전시킬 수 있는 것으로서, 대략 40 퍼센트 정도에 해당한다.As the average life expectancy increases in modern society, a significant number of the elderly are formed among the members of the society, and one of the diseases that the elderly most want to avoid is dementia. Dementia refers to a condition in which a person whose intellectual level is normal has lost the designated ability of the normal person due to various diseases of the brain. The dementia is divided into Alzheimer's disease, vascular dementia, and reversible or treatable dementia. Brain cells develop slowly and die without specific cause. Both vascular dementia and symptomatic dementia can stop or improve symptoms, which is about 40 percent.

또한, 치매에 이르지 전단계로서의 경도인지장애는 동일 연령대에 비해 인지기능, 특히 기억력이 떨어져 있는 상태를 의미한다. 이러한 경도인지장애는 일상생활을 수행하는 능력은 보존되어 있어 아직은 치매가 아니지만, 정상노화와 치매의 중간 단계라고 할 수 있다. 경도인지장애는 알츠하이머병으로 이행할 수 있는 고위험군으로 지목되고 있으며, 이 상태는 알츠하이머병을 가장 이른 시기에 발견할 수 있는 단계이며 치료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다는 점에서 임상적으로 중요하다.In addition, mild cognitive impairment as a pre-dementia stage refers to a state in which cognitive function, especially memory, is poor compared to the same age group. Such mild cognitive impairment is not yet dementia because the ability to perform daily life is preserved, but it can be said to be an intermediate step between normal aging and dementia. Mild cognitive impairment is regarded as a high-risk group capable of transitioning to Alzheimer's disease, and this condition is clinically important in that it is the stage in which Alzheimer's disease can be detected at the earliest stage and the therapeutic effect is maximized.

그런데, 치매 또는 경도인지장애는 치유가 어려운 것으로 생각되는 사회적 인식 부족, 또한 간호 인력 부족, 경제적이 부담, 초기 진단 및 조기 발견의 어려움 등으로 인하여 환자 본인뿐만 아니라, 가족들은 엄청난 육체적 또는 정신적 고통에 시달리고 있다. 이러한 이유로, 치매와 같은 뇌질환 또는 인지 장애환자의 진단, 재활, 예방 또는 치료를 위한 프로그램 또는 시스템이 개발되고 있다.However, dementia or mild cognitive impairment is due to the lack of social awareness, which is thought to be difficult to cure, and the lack of nursing manpower, economic burden, and difficulty in initial diagnosis and early detection. Is suffering. For this reason, programs or systems for diagnosis, rehabilitation, prevention or treatment of patients with brain diseases or cognitive disorders such as dementia have been developed.

그러나, 종래에는 치매 또는 경도인지장애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프로그램 또는 시스템의 개발이 주를 이루고 있으며, 치매 또는 경도인지장애에 속하는 환자 또는 위험군에 대한 인지능력 향상을 위한 효과적인 시스템이 존재하고 있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However, conventionally, the development of a program or a system for determining whether or not dementia or mild cognitive impairment is predominant, and there is no effective system for improving cognitive ability for patients or risk groups belonging to dementia or mild cognitive impairment. There is this.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치매 또는 인경도인지장애가 있는 사용자에게 인지능력 개선시키기 위한 사용자의 인지능력 개선을 위한 안마의자 시스템을 제공한다.The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assage chair system for improving a user's cognitive ability to improve cognitive ability to a user with cognitive impairment or dementia.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의 인지능력 개선을 위한 안마의자 시스템은, 치매 또는 경도인지장애를 갖는 사용자에게 인지능력 개선을 위한 게임 컨텐츠들을 제공하는 HMD(Head Mounted Display) 디바이스; 및 신체에 대한 복수의 안마 컨텐츠들의 동작을 수행하고, 통신망을 통해 연결된 상기 HMD 디바이스에 대한 상기 게임 컨텐츠의 동작 수행을 제어하는 안마의자를 포함하고, 상기 안마의자는, 상기 사용자에 대한 인지능력 문답정보를 입력받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상기 사용자와 관련한 생체등록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정보 저장부; 상기 인지능력 문답정보와 상기 생체등록정보를 근거로 하여, 상기 사용자에 대한 기억력, 행위수행능력, 시지각 인지력, 주의력 및 언어능력을 포함하는 인지능력을 분석하고, 상기 인지능력의 분석에 따라 상기 사용자에 대응하는 인지능력 분석정보를 생성하는 인지능력 분석부; 상기 안마 컨텐츠들 중에서 상기 인지능력 분석정보에 대응하는 안마종류 및 안마레벨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매칭 안마컨텐츠를 결정하는 안마컨텐츠 결정부; 상기 게임 컨텐츠들 중에서 상기 인지능력 분석정보에 대응하는 게임종류 및 게임레벨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매칭 게임컨텐츠를 결정하는 게임컨텐츠 결정부; 상기 안마컨텐츠 결정부 및 상기 게임컨텐츠 결정부의 결정 결과에 따라, 상기 매칭 안마컨텐츠에 대응하는 안마 동작의 수행을 제어하고, 상기 매칭 게임컨텐츠에 대응하는 게임 동작의 수행을 제어하는 동작 제어부; 상기 동작 제어부의 안마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매칭 안마컨텐츠의 동작을 수행하는 안마 수행부; 및 상기 매칭 게임컨텐츠의 동작 수행을 위한 게임 제어신호를 상기 통신망을 통해 상기 HMD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통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massage chair system for improving a user's cognitive abilit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includes: a head mounted display (HMD) device providing game contents for improving cognitive ability to a user with dementia or mild cognitive impairment; And a massage chair performing an operation of a plurality of massage contents on the body and controlling the performance of the game contents on the HMD device connected through a communication network, wherein the massage chair answers the cognitive ability to the user. A user interface unit that receives information; An information storage unit that stores biometric registration information related to the user; Based on the cognitive ability question and answer information and the biometric registration information, analyzes cognitive ability including memory, behavior performance ability, visual perception cognitive ability, attention, and language ability for the user, and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the cognitive ability A cognitive ability analysis unit generating cognitive ability analysis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a user; A massage content determination unit for determining at least one matching massage content including a massage type and a massage level corresponding to the cognitive ability analysis information among the massage contents; A game content determination unit for determining at least one matching game content including a game type and a game level corresponding to the cognitive ability analysis information among the game contents; An operation control unit controlling performance of a massage operation corresponding to the matching massage contents, and controlling performance of a game operation corresponding to the matching game contents according to the determination result of the massage content determination unit and the game content determination unit; A massage performing unit performing an operation of the matching massage contents according to the massage control signal of the operation control unit; And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communication unit for transmitting the game control signal for performing the operation of the matching game content to the HMD device through the communication network.

상기 인지능력 분석부는, 상기 기억력 중 시지각 기억력, 대상 기억력 및 순차 기억력 각각에 대한 기억력 정확도, 기억 신속성, 검사 난이도 및 테스트 힌트 별의 점수에 기억력 가중치가 적용된 평균값으로부터 상기 사용자에 대한 기억력 지수를 상기 인지능력 분석정보로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cognitive ability analysis unit recalls the memory power index for the user from the average value of memory weights applied to the scores for each of the visual perception memory, the target memory power, and the sequential memory power, memory accuracy, memory speed, test difficulty, and test hint. It is characterized by calculating with cognitive ability analysis information.

상기 인지능력 분석부는, 상기 행위수행능력 중 일과계획능력, 계산능력 및 시간계획능력 각각에 대한 계획 완성도, 계획수행 정확도, 계산능력 정확도, 검사 난이도, 및 테스트 힌트 별의 점수에 행위수행능력 가중치가 적용된 평균값으로부터 상기 사용자에 대한 행위수행능력 지수를 상기 인지능력 분석정보로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cognitive ability analysis unit, the performance completion ability weighting is assigned to the scores of each of the performance planning ability, planning completion accuracy, planning performance accuracy, calculation ability accuracy, test difficulty, and test hint among each of the performance performance capabilities.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performance performance index for the user is calculated from the applied average value as the cognitive ability analysis information.

상기 인지능력 분석부는, 상기 시지각 인지력 중 탐색 및 관찰능력, 시각 운동속도능력, 눈과 손의 협응력 각각에 대한 시각 및 지각 정확도, 시각 및 지각 속도, 검사 난이도 및 테스트 힌트 별의 점수에 시지각인지력 가중치가 적용된 평균값으로부터 상기 사용자에 대한 시지각 인지력지수를 상기 인지능력 분석정보로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cognitive ability analysis unit includes visual and perceptual accuracy, visual and perceptual speed, visual difficulty, and test difficulty and scores for each test hint among the visual perception cognition, search and observation ability, visual motor speed ability, and eye-hand coordination.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visual perception cognitive index for the user is calculated from the average value to which the cognitive weight is applied, as the cognitive ability analysis information.

상기 인지능력 분석부는, 상기 주의력 중 선택적 주의집중력, 지속적 주의집중력 및 동시적 협응능력 각각에 대한 선택적 집중도, 지속적 집중도, 동시적 협응도, 검사 난이도 및 테스트 힌트 별의 점수에 주의력 가중치가 적용된 평균값으로부터 상기 사용자에 대한 주의력 지수를 상기 인지능력 분석정보로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cognitive ability analysis unit, from the average value to which the attentional weight is applied to the scores for the selective attention concentration, continuous attention concentration, simultaneous attention, test difficulty, and test hint scores for each of the attention attention, selective attention concentration, and continuous attention concentration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attention index for the user is calculated as the cognitive ability analysis information.

상기 인지능력 분석부는, 상기 언어능력 중 단어 능력, 문장 능력 및 상황 능력 각각에 대한 이해도, 해석도, 표현도, 검사 난이도 및 테스트 힌트 별의 점수에 언어능력 가중치가 적용된 평균값으로부터 상기 사용자에 대한 언어능력 지수를 상기 인지능력 분석정보로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cognitive ability analysis unit, for the user from the average value of the language ability weight applied to the scores for each of the comprehension, interpretation, expression, test difficulty, and test hint of each of the word ability, sentence ability, and situational ability among the language ability. Characterized in that the language ability index is calculated as the cognitive ability analysis information.

상기 안마컨텐츠 결정부는, 상기 인지능력 분석정보에 속하는 상기 사용자에 대한 기억력 지수, 행위수행능력 지수, 시지각 인지력 지수, 주의력 지수 및 언어능력 지수에 따라, 상기 안마 컨텐츠들 중에서 주무름 컨텐츠, 두드림 컨텐츠, 손날 두드림 컨텐츠 및 지압 컨텐츠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컨텐츠와 이에 대응하는 안마 레벨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massage content determining unit, according to the memory index, behavioral performance index, visual perception cognitive index, attention index and language ability index for the user belonging to the cognitive ability analysis information, among the massage contents, wrinkle content, tapping content, It is characterized by determining at least one content of the hand tapping content and the acupressure content and a massage level corresponding thereto.

상기 게임컨텐츠 결정부는, 상기 인지능력 분석정보에 속하는 상기 사용자에 대한 기억력 지수, 행위수행능력 지수, 시지각 인지력 지수, 주의력 지수 및 언어능력 지수에 따라, 상기 게임 컨텐츠들 중에서 언어게임 컨텐츠, 기억력게임 컨텐츠, 집중력게임 컨텐츠, 지남력게임 컨텐츠 중 적어도 하나 이상과 이에 대응하는 게임 레벨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game content determining unit, among the game contents, the language game content, the memory game, according to the memory index, the performance index, the perception perception index, the attention index, and the language ability index for the user belonging to the cognitive ability analysis information It is characterized by determining at least one of the content, the concentration game content, and the namnam game content and the game level corresponding thereto.

복수의 매칭 안마컨텐츠들 및 복수의 매칭 게임컨텐츠들의 조합에 따른 적어도 하나 이상의 컨텐츠 그룹핑정보를 생성하는 그룹핑정보 생성부; 및 생성된 복수개의 컨텐츠 그룹핑정보들을 조합한 테마 정보를 생성하여 등록하는 테마 등록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동작 제어부는, 상기 테마 정보에 따라, 상기 사용자에 대한 복수의 매칭 안마컨테츠들 또는 매칭 게임컨테츠들을 순차적으로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grouping information generator configured to generate at least one content grouping information according to a combination of a plurality of matching massage contents and a plurality of matching game contents; And a theme registration unit for generating and registering theme information combining a plurality of generated content grouping information, and the operation control unit includes a plurality of matching massage contents or matching game contents for the user according to the theme information. It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trol to perform sequentially.

상기 테마 등록부는, 감성 가중치가 반영된 테마 인자값을 이용하여 상기 복수개의 컨텐츠 그룹핑정보들을 조합하여 상기 테마 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한다.The theme registration un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theme information is generated by combining the plurality of content grouping information using a theme factor value reflecting the emotion weight.

본 발명에 따르면, 안마의자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인지능력 분석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인지능력 분석정보에 대응하는 안마 종류와 안마 레벨 또는 게임 종류와 게임 레벨을 결정하고, 결정된 안마 종류와 안마레벨 또는 게임종류와 게임레벨에 대응하는 안마 컨텐츠 또는 게임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안마의자를 통해 치매 또는 경도인지장애를 갖는 사용자의 인지능력을 효과적으로 개선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s cognitive ability analysis information is generated using a massage chair, and the massage type and massage level or game type and game level corresponding to the generated cognitive ability analysis information are determined, and the determined massage type and massage level are determined. Alternatively, by providing massage content or game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game type and game level,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improve the cognitive ability of a user with dementia or mild cognitive impairment through a massage chair.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의 인지능력 개선을 위한 안마의자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안마의자를 설명하기 위한 일 실시예의 세부구성 블록도이다.
도 3 a 내지 도 3d는 HMD 디바이스에 표시되는 게임컨텐츠들의 디스플레이화면을 예시하는 참조도이다.
도 4는 테마 등록부의 동작을 위한 테마 인자값을 설명하기 위한 일 실시예의 참조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massage chair system for improving a user's cognitive abilit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detailed block diagram of an embodiment for describing the massage chair shown in FIG. 1.
3A to 3D are reference views illustrating a display screen of game contents displayed on an HMD device.
4 is a reference diagram of one embodiment for describing a theme parameter value for the operation of the theme registration unit.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며, 아래의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의 실시예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오히려, 이들 실시예는 본 개시를 더욱 충실하고 완전하게 하며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을 완전하게 전달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provided to more fully describe the present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the following embodiments can be modified in various other forms,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t is not limited to the following embodiments. Rather, these examples are provided to make the present disclosure more faithful and complete and to fully convey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의 인지능력 개선을 위한 안마의자 시스템(10)을 설명하기 위한 시스템 구성 블록도이다.1 is a system configuration block diagram for explaining a massage chair system 10 for improving a user's cognitive abilit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안마의자 시스템(10)은 HMD(Head Mounted Display) 디바이스(100), 통신망(200) 및 안마의자(30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1, the massage chair system 10 includes a head mounted display (HMD) device 100, a communication network 200, and a massage chair 300.

HMD 디바이스(100)는 사용자의 머리에 착용되어 상기 사용자에게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제공한다. 또한, HMD 디바이스(100)는 사용자의 설정 명령 또는 제어 명령에 따른 신호를 생성하고, 생성된 신호를 안마의자(300)로 전송한다. HMD 디바이스(100)는 멀티미디어 컨텐츠 특히, 치매 또는 경도인지장애의 개선을 위한 게임 컨텐츠 등을 제공한다. The HMD device 100 is worn on the user's head to provide multimedia content to the user. In addition, the HMD device 100 generates a signal according to a user's setting command or control command, and transmits the generated signal to the massage chair 300. The HMD device 100 provides multimedia content, particularly game content for improving dementia or mild cognitive impairment.

HMD 디바이스(100)는 안경, 헤드셋 또는 헬멧 등의 형상을 가지며, 사용자의 양안에 영상을 제공할 수 있다. 이 경우, HMD 디바이스(100)의 조작용 트랙 패드, 리턴 버튼, 음량 조정 키 등이 탑재될 수 있다. HMD 디바이스(100)는 별도의 디스플레이를 필요로 하는 디바이스로 구현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HMD 디바이스(100)는 안경, 헤드셋 또는 헬멧 등의 형상을 갖는 본체이고, 스마트폰 또는 태블릿 등이 본체의 전면에 부착되어 사용자의 양안에 영상을 제공할 수도 있다.The HMD device 100 has a shape of glasses, a headset, or a helmet, and can provide images to both eyes of a user. In this case, a track pad for operating the HMD device 100, a return button, a volume adjustment key, and the like may be mounted. The HMD device 100 may be implemented as a device that requires a separate display. For example, the HMD device 100 is a body having a shape such as glasses, a headset, or a helmet, and a smartphone or tablet may be attached to the front of the body to provide images to both eyes of the user.

또한, HMD 디바이스(100)는 사용자의 머리 움직임을 추적하여 가상현실영상을 표시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HMD 디바이스(100)를 머리에 착용하면 360도 입체 영상과 음향을 제공하며, HMD 디바이스(100)에 구비된 자이로 센서와 가속도 센서 등을 통해 사용자의 고개 움직임을 감지하여 그 방향에 알맞은 시각효과를 표시할 수 있다. 이를 위해, HMD 디바이스(100)은 감지모듈로서, 지자기 센서, 자이로 센서, 가속도 센서, 근접 센서 등을 포함한다. 감지모듈은 회전, 기울기, 압력, 접근 등과 같은 다양한 동작을 감지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HMD device 100 may display a virtual reality image by tracking the user's head movement. For example, when the user wears the HMD device 100 on the head, it provides a 360-degree stereoscopic image and sound, and detects the user's head movement through a gyro sensor and an acceleration sensor provided in the HMD device 100, and It is possible to display visual effects suitable for the direction. To this end, the HMD device 100 is a sensing module, and includes a geomagnetic sensor, a gyro sensor, an acceleration sensor, and a proximity sensor. The sensing module can detect various motions such as rotation, tilt, pressure, and approach.

통신망(200)은 HMD 디바이스(100)와 안마의자(300) 사이에서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망으로, 유선통신망 또는 무선통신망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통신망(200)은 HDMI (high-definition multimediainterface), USB (universalserial bus) 등의 유선 케이블을 이용한 유선 통신망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통신망(200)은 와이파이 통신망, 블루투스 통신망, NFC 통신망 등의 근거리 무선 통신망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통신망(200)은 무선 통신망로서 WiFi와 같은 무선인터넷, WiBro 또는 WiMax와 같은 휴대인터넷, LTE망 또는 LTE-Advanced망과 같은 4G 이동통신망, 및 5G 이동통신망 등을 포함할 수 있다.The communication network 200 is a network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between the HMD device 100 and the massage chair 300, and includes a wired communication network or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For example, the communication network 200 may include a wired communication network using a wired cable such as HDMI (high-definition multimediainterface), USB (universalserial bus). In addition, the communication network 200 may include a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such as a Wi-Fi communication network, Bluetooth communication network, NFC communication network. In addition, the communication network 200 may include a wireless Internet such as WiFi, a portable Internet such as WiBro or WiMax, a 4G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such as an LTE network or an LTE-Advanced network, and a 5G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안마의자(300)는 사용자의 제어 명령에 따라 다양한 안마 동작을 수행하는 기기이다. 안마의자(300)는 신체에 대한 복수의 안마 컨텐츠들의 동작을 수행하고, 또한, 안마의자(300)는 HMD 디바이스(100)에 대한 게임 컨텐츠의 동작 수행을 제어한다. 이를 위해, 안마의자(300)는 통신망(200)을 통해 HMD 디바이스(100)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어 있다. The massage chair 300 is a device that performs various massage operations according to a user's control command. The massage chair 300 performs an operation of a plurality of massage contents on the body, and the massage chair 300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game content on the HMD device 100. To this end, the massage chair 300 is wired or wirelessly connected to the HMD device 100 through the communication network 200.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안마의자(300)를 설명하기 위한 일 실시예의 세부구성 블록도이다. FIG. 2 is a detailed block diagram of an embodiment for describing the massage chair 300 shown in FIG. 1.

도 2를 참조하면, 안마의자(30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302), 정보 저장부(304), 인지능력 분석부(306), 안마컨텐츠 결정부(308), 게임컨텐츠 결정부(310), 동작 제어부(312), 안마 수행부(314), 통신부(316), 그룹핑정보 생성부(318), 테마 등록부(320)를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 2, the massage chair 300 includes a user interface unit 302, an information storage unit 304, a cognitive ability analysis unit 306, a massage content determination unit 308, a game content determination unit 310, It includes an operation control unit 312, a massage performing unit 314, a communication unit 316, a grouping information generating unit 318, and a theme registration unit 320.

사용자 인터페이스부(302)는 치매 또는 경도인지장애를 갖는 사용자로부터 인지능력을 판단하기 위한 인지능력 문답정보를 입력받는다. 인지능력 문답정보는 사용자에 대한 치매 또는 경도인지장애가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기억력, 행위수행능력, 시지각 인지력, 주의력 및 언어능력 등을 평가하기 위한 문의사항정보 및 행동요청정보 등을 포함한다. The user interface unit 302 receives cognitive ability question and answer information for determining cognitive ability from a user with dementia or mild cognitive impairment. Cognitive ability question-and-answer information includes inquiry information and behavior request information for evaluating memory, behavior performance ability, visual perception cognitive ability, attention, and language ability to determine whether the user has dementia or mild cognitive impairment.

사용자 인터페이스부(302)는 인지능력 문답정보를 디스플레이 화면을 통해 표시하고,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정보를 상기 인지능력 문답정보로 수신하여 정보 저장부(304)에 전달한다. The user interface unit 302 displays cognitive ability question-and-answer information through a display screen, receives the information input from the user as the cognitive ability question-and-answer information, and transmits the information to the information storage unit 304.

정보 저장부(304)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302)로부터 전달받은 상기 인지능력 문답정보를 저장한다. 한편, 정보 저장부(304)는 사용자에 대한 생체등록정보를 저장하고 있다. 여기서, 생체등록정보는 사용자의 나이, 성별, 혈액형, 혈관 정보, 유전적 질병정보, 자가진단에 의한 인지능력에 관한 정보, 또는 의사의 진단에 의한 인지능력 건강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정보 저장부(304)는 생체등록정보에 대해 사용자로부터 제공받아서 저장할 수도 있고, 의료기관의 의료정보 시스템으로부터 제공받아서 저장할 수도 있다. 또한, 정보 저장부(304)는 안마의자(300)의 동작을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 정보를 저장하고 있다. The information storage unit 304 stores the cognitive ability question and answer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user interface unit 302. Meanwhile, the information storage unit 304 stores biometric registration information for the user. Here, the biometric registration information may include a user's age, gender, blood type, blood vessel information, genetic disease information, information about cognitive ability by self-diagnosis, or cognitive ability health information by a doctor's diagnosis. The information storage unit 304 may receive and store biometric registration information from a user or may be provided and stored by a medical information system of a medical institution. In addition, the information storage unit 304 stores various program information for the operation of the massage chair 300.

인지능력 분석부(306)는 인지능력 문답정보와 상기 건강등록정보를 근거로 하여, 상기 사용자에 대한 기억력, 행위수행능력, 시지각 인지력, 주의력 및 언어능력을 포함하는 인지능력을 분석하고, 상기 인지능력의 분석에 따라 상기 사용자에 대응하는 인지능력 분석정보를 생성한다. The cognitive ability analysis unit 306 analyzes the cognitive ability including cognitive ability question and answer information and the health registration information, including memory, behavior performance ability, visual perception cognitive ability, attention and language ability for the user, and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cognitive ability, cognitive ability analysis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user is generated.

인지능력 분석부(306)는 인지능력 문답정보와 상기 건강등록정보로부터 사용자에 대한 기억력, 행위수행능력, 시지각 인지력, 주의력 및 언어능력에 대응하는 각각의 분석인자의 점수를 산출한다. 그 후, 인지능력 분석부(306)는 산출된 분석 인자의 점수를 가중 평균하여 상기 사용자에 대응하는 인지능력 분석정보를 생성한다. The cognitive ability analysis unit 306 calculates scores of respective analysis factors corresponding to memory, behavior performance ability, visual perception cognitive ability, attention, and language ability for the user from the cognitive ability question and answer information and the health registration information. Thereafter, the cognitive ability analysis unit 306 generates the cognitive ability analysis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user by weighted average of the scores of the calculated analysis factors.

인지능력 분석부(306)는 상기 기억력 중 시지각 기억력, 대상 기억력 및 순차 기억력 각각에 대한 기억력 정확도, 기억 신속성, 검사 난이도 및 테스트 힌트 별의 점수에 기억력 가중치가 적용된 평균값으로부터 상기 사용자에 대한 기억력 지수를 상기 인지능력 분석정보로서 산출한다.The cognitive ability analysis unit 306 is a memory index for the user from an average value of memory weights applied to scores according to memory accuracy, memory quickness, test difficulty, and test hints for each of visual perception memory, target memory, and sequential memory among the memory. Is calculated as the cognitive ability analysis information.

다음의 표 1은 기억력과 관련한 인지능력 분석정보를 산출하기 위한 기억력 테이블 정보를 예시하는 표이다. 표 1의 기억력 테이블 정보는 정보 저장부(304)에 저장되어 있다. Table 1 below is a table illustrating memory table information for calculating cognitive ability analysis information related to memory. The memory table information in Table 1 is stored in the information storage unit 304.

기억력 종류Memory type 분석 인자Analytical factors 기억력 적용 점수Memory application score 시지각
기억력
Visual perception
memory
기억력 정확도(A1)Memory accuracy (A1) 1One 22 33 44 55 66 77 88 99 1010
기억 신속성(A2)Memory swiftness (A2) 1One 22 33 44 55 66 77 88 99 1010 검사 난이도(A3)Difficulty level (A3) 1One 22 33 44 55 66 77 88 99 1010 테스트 힌트(A4)Test hint (A4) -1-One -2-2 -3-3 -4-4 -5-5 -6-6 -7-7 -8-8 -9-9 -10-10 대상
기억력
object
memory
기억력 정확도(B1)Memory accuracy (B1) 1One 22 33 44 55 66 77 88 99 1010
기억 신속성(B2)Memory swiftness (B2) 1One 22 33 44 55 66 77 88 99 1010 검사 난이도(B3)Difficulty level (B3) 1One 22 33 44 55 66 77 88 99 1010 테스트 힌트(B4)Test hint (B4) -1-One -2-2 -3-3 -4-4 -5-5 -6-6 -7-7 -8-8 -9-9 -10-10 순차
기억력
Sequential
memory
기억력 정확도(C1)Memory Accuracy (C1) 1One 22 33 44 55 66 77 88 99 1010
기억 신속성(C2)Memory swiftness (C2) 1One 22 33 44 55 66 77 88 99 1010 검사 난이도(C3)Test difficulty (C3) 1One 22 33 44 55 66 77 88 99 1010 테스트 힌트(C4)Test hint (C4) -1-One -2-2 -3-3 -4-4 -5-5 -6-6 -7-7 -8-8 -9-9 -10-10

인지능력 분석부(306)는 다음의 수학식 1을 사용해 인지능력 분석정보에 해당하는 기억력 지수를 산출할 수 있다. The cognitive ability analysis unit 306 may calculate a memory index corresponding to the cognitive ability analysis information using Equation 1 below.

Figure 112019009335464-pat00001
Figure 112019009335464-pat00001

여기서, A1, A2, A3, A4, B1, B2, B3, B4, C1, C2, C3, C4는 각각 기억력 지수를 산출하기 위한 분석인자에 해당한다. A1은 시지각 기억력 중 기억력 정확도 점수를 의미하고, A2는 시지각 기억력 중 기억 신속성 점수를 의미하고, A3은 시지각 기억력 중 검사 난이도 점수를 의미하고, A4는 시지각 기억력 중 테스트 힌트 점수를 의미하고, Av는 전체 시지각 기억력 점수를 의미한다. 또한, B1은 대상 기억력 중 기억력 정확도 점수를 의미하고, B2는 대상 기억력 중 기억 신속성 점수를 의미하고, B3은 대상 기억력 중 검사 난이도 점수를 의미하고, B4는 대상 기억력 중 테스트 힌트 점수를 의미하고, Bv는 전체 대상 기억력 점수를 의미한다. 또한, C1은 순차 기억력 중 기억력 정확도 점수를 의미하고, C2는 순차 기억력 중 기억 신속성 점수를 의미하고, C3은 순차 기억력 중 검사 난이도 점수를 의미하고, C4는 순차 기억력 중 테스트 힌트 점수를 의미하고, Cv는 전체 순차 기억력 점수를 의미한다.Here, A1, A2, A3, A4, B1, B2, B3, B4, C1, C2, C3, and C4 correspond to analysis factors for calculating the memory index. A1 means memory accuracy score among visual perception memories, A2 means memory quickness score among visual perception memories, A3 means test difficulty score among visual perception memories, and A4 means test hint score among visual perception memories And Av means the total visual perception memory score. In addition, B1 means a memory accuracy score among the target memories, B2 means a memory quickness score among the target memories, B3 means a test difficulty score among the target memories, and B4 means a test hint score among the target memories, Bv means the total target memory score. In addition, C1 means a memory accuracy score among sequential memories, C2 means a memory quickness score among sequential memories, C3 means a test difficulty score among sequential memories, C4 means a test hint score among sequential memories, Cv stands for the overall sequential memory score.

한편, 기억력 지수의 산출에 적용되는 α1는 시지각 기억력에 적용되는 가중치를 의미하고, α2는 대상 기억력에 적용되는 가중치이고, α3 순차 기억력에 적용되는 가중치이다. 이때, 기억력 가중치 α1, α2, α3는 각각 시지각 기억력, 대상 기억력 및 순차 기억력의 중요도에 따라 해당 가중치의 점수 비율이 조정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α 1 applied to the calculation of the memory index is a weight applied to the visual perception memory, α 2 is a weight applied to the target memory, α 3 is This is a weight applied to sequential memory. In this case, the memory weights α 1 , α 2 , and α 3 may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importance of visual perception memory, target memory, and sequential memory, respectively.

전술한 수학식 1에 따르면, 인지능력 분석부(306)는 시지각 기억력에서 가감되는 점수의 평균값, 대상 기억력에서 가감되는 점수의 평균값 및 순차 기억력에서 가감되는 점수의 평균값에 기억력 가중치를 각각 반영하여 인지능력 분석정보에 해당하는 기억력 지수를 산출할 수 있다. According to Equation 1 described above, the cognitive ability analysis unit 306 reflects the memory power weights on the average value of the scores added and decreased in the visual perception memory, the average value of the scores added and decreased in the target memory, and the average value of the scores added and decreased in the sequential memory. A memory index corresponding to the cognitive ability analysis information can be calculated.

또한, 인지능력 분석부(306)는 상기 행위수행능력 중 일과계획능력, 계산능력 및 시간계획능력 각각에 대한 계획 완성도, 계획수행 정확도, 계산능력 정확도, 검사 난이도, 및 테스트 힌트 별의 점수에 행위수행능력 가중치가 적용된 평균값으로부터 상기 사용자에 대한 행위수행능력 지수를 인지능력 분석정보로서 산출한다.In addition, the cognitive ability analysis unit 306 acts on scores according to the degree of planning completion, planning performance accuracy, calculation ability accuracy, test difficulty, and test hints for each of the performance planning ability, calculation ability, and time planning ability among the performance performance ability. The performance performance index for the user is calculated as cognitive ability analysis information from the average value to which the performance ability weight is applied.

다음의 표 2는 행위수행능력의 인지능력 분석정보를 산출하기 위한 행위수행능력 테이블 정보를 예시하는 표이다. 표 2의 행위수행능력 테이블 정보는 정보 저장부(304)에 저장되어 있다. The following Table 2 is a table illustrating the information on the performance performance table for calculating the performance analysis information on the performance performance. The performance information table of Table 2 is stored in the information storage unit 304.

행위수행능력
종류
Performance ability
Kinds
분석인자Analysis factor 행위수행능력 적용 점수Points for applying performance
일과계획능력Daily planning ability 계획 완성도(D1)Plan completeness (D1) 1One 22 33 44 55 66 77 88 99 1010 계획수행정확도(D2)Plan execution accuracy (D2) 1One 22 33 44 55 66 77 88 99 1010 계산능력정확도(D3)Accuracy of calculation ability (D3) 1One 22 33 44 55 66 77 88 99 1010 검사 난이도(D4)Difficulty level (D4) 1One 22 33 44 55 66 77 88 99 1010 테스트 힌트(D5)Test hint (D5) -1-One -2-2 -3-3 -4-4 -5-5 -6-6 -7-7 -8-8 -9-9 -10-10 계산능력Computing ability 계획 완성도(E1)Plan completeness (E1) 1One 22 33 44 55 66 77 88 99 1010 계획수행정확도(E2)Plan execution accuracy (E2) 1One 22 33 44 55 66 77 88 99 1010 계산능력정확도(E3)Accuracy of calculation ability (E3) 1One 22 33 44 55 66 77 88 99 1010 검사 난이도(E4)Difficulty level (E4) 1One 22 33 44 55 66 77 88 99 1010 테스트 힌트(E5)Test hint (E5) -1-One -2-2 -3-3 -4-4 -5-5 -6-6 -7-7 -8-8 -9-9 -10-10 시간계획능력Time planning ability 계획 완성도(F1)Plan completeness (F1) 1One 22 33 44 55 66 77 88 99 1010 계획수행정확도(F2)Plan execution accuracy (F2) 1One 22 33 44 55 66 77 88 99 1010 계산능력정확도(F3)Accuracy of calculation ability (F3) 1One 22 33 44 55 66 77 88 99 1010 검사 난이도(F4)Test difficulty (F4) 1One 22 33 44 55 66 77 88 99 1010 테스트 힌트(F5)Test hint (F5) -1-One -2-2 -3-3 -4-4 -5-5 -6-6 -7-7 -8-8 -9-9 -10-10

인지능력 분석부(306)는 다음의 수학식 2를 사용해 인지능력 분석정보에 해당하는 행위수행능력 지수를 산출할 수 있다.The cognitive ability analysis unit 306 may calculate the behavior performance ability index corresponding to the cognitive ability analysis information using Equation 2 below.

Figure 112019009335464-pat00002
Figure 112019009335464-pat00002

여기서, D1, D2, D3, D4, D5, E1, E2, E3, E4, E5, F1, F2, F3, F4, F5는 각각 행위수행능력 지수를 산출하기 위한 분석인자에 해당한다. D1은 일과계획능력 중 계획완성도 점수를 의미하고, D2는 일과계획능력 중 계획수행 정확도 점수를 의미하고, D3은 일과계획능력 중 계산능력 정확도 점수를 의미하고, D4는 일과계획능력 중 검사 난이도 점수를 의미하고, D5는 일과계획능력 중 테스트 힌트 점수를 의미하고, Dv는 전체 일과계획능력 점수를 의미한다. 또한, E1은 계산능력 중 계획완성도 점수를 의미하고, E2는 계산능력 중 계획수행 정확도 점수를 의미하고, E3은 계산능력 중 계산능력 정확도 점수를 의미하고, E4는 계산능력 중 검사 난이도 점수를 의미하고, E5는 계산능력 중 테스트 힌트 점수를 의미하고, Ev는 전체 계산능력 점수를 의미한다. 또한, F1은 시간계획능력 중 계획완성도 점수를 의미하고, F2는 시간계획능력 중 계획수행 정확도 점수를 의미하고, F3은 시간계획능력 중 계산능력 정확도 점수를 의미하고, F4는 시간계획능력 중 검사 난이도 점수를 의미하고, F5는 시간계획능력 중 테스트 힌트 점수를 의미하고, Fv는 전체 시간계획능력 점수를 의미한다. Here, D1, D2, D3, D4, D5, E1, E2, E3, E4, E5, F1, F2, F3, F4, F5, respectively, are analysis factors for calculating the performance index. D1 means the plan completion score among the daily planning abilities, D2 means the planning performance accuracy score among the daily planning abilities, D3 means the calculation ability accuracy score among the daily planning abilities, and D4 the test difficulty score among the daily planning abilities. Means, D5 means the test hint score of the daily planning ability, and Dv means the overall daily planning ability score. In addition, E1 means the plan completion score among the computing power, E2 means the planning performance accuracy score among the computing power, E3 means the computing power accuracy score among the computing power, and E4 means the test difficulty score among the computing power. E5 is the test hint score among the computational abilities, and Ev is the overall computational score. In addition, F1 means the planning completion score among the time planning abilities, F2 means the planning performance accuracy score among the time planning abilities, F3 means the computing power accuracy score among the time planning abilities, and F4 checks among the time planning abilities. Difficulty score means, F5 means test hint score among time planning ability, Fv means total time planning ability score.

한편, 행위수행능력 지수의 산출에 적용되는 β1는 일과계획능력에 적용되는 가중치를 의미하고, β2는 계산능력에 적용되는 가중치이고, β3 시간계획능력에 적용되는 가중치이다. 이때, 행위수행능력 가중치 β1, β2, β3는 각각 일과계획능력, 계산능력 및 시간계획능력의 중요도에 따라 해당 가중치의 점수 비율이 조정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β 1 applied to the calculation of the performance ability index means the weight applied to the daily planning ability, β 2 is the weight applied to the computing ability, and β 3 is It is a weight applied to time planning ability. At this time, the performance performance weights β 1 , β 2 , and β 3 can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importance of the daily planning ability, calculation ability, and time planning ability, respectively.

전술한 수학식 2에 따르면, 인지능력 분석부(306)는 일과계획능력에서 가감되는 점수의 평균값, 계산능력에서 가감되는 점수의 평균값 및 시간계획능력에서 가감되는 점수의 평균값에 행위수행능력 가중치를 각각 반영하여 인지능력 분석정보에 해당하는 행위수행능력 지수를 산출할 수 있다. According to Equation 2 described above, the cognitive ability analysis unit 306 assigns the performance performance weight to the average value of the scores added and decreased in the daily planning ability, the average value of the scores added and decreased in the calculation ability, and the average value of the scores added and decreased in the time planning ability. Reflecting each, it is possible to calculate an activity performance ability index corresponding to the cognitive ability analysis information.

또한, 인지능력 분석부(306)는 상기 시지각 인지력 중 탐색 및 관찰능력, 시각운동속도, 눈과 손의 협응력 각각에 대한 시각 및 지각 정확도, 시각 및 지각 속도, 검사 난이도 및 테스트 힌트 별의 점수에 시지각인지력 가중치가 적용된 평균값으로부터 상기 사용자에 대한 시지각 인지력지수를 상기 인지능력 분석정보로 산출한다.In addition, the cognitive ability analysis unit 306 includes visual and perception accuracy, visual and perception speed, test difficulty and test hint scores for each of the visual perception perception, search and observation ability, visual movement speed, and eye-hand coordination. The visual perception cognitive index for the user is calculated from the average value to which the visual perception perception weight is applied to the cognitive ability analysis information.

다음의 표 3은 시지각 인지력의 인지능력 분석정보를 산출하기 위한 시지각 인지력 테이블 정보를 예시하는 표이다. 표 3의 시지각 인지력 테이블 정보는 정보 저장부(304)에 저장되어 있다. The following Table 3 is a table illustrating visual perception cognitive table information for calculating cognitive ability analysis information of visual perception cognitive ability. The visual perception perception table information in Table 3 is stored in the information storage unit 304.

시지각
인지력 종류
Visual perception
Cognitive type
분석 인자Analytical factors 시지각 인지력 적용 점수Visual perception cognitive score
탐색및 관찰능력Search and observation ability 시각지각정확도(G1)Visual perception accuracy (G1) 1One 22 33 44 55 66 77 88 99 1010 시각지각속도(G2)Visual perception speed (G2) 1One 22 33 44 55 66 77 88 99 1010 검사 난이도(G3)Difficulty level (G3) 1One 22 33 44 55 66 77 88 99 1010 테스트 힌트(G4)Test hint (G4) -1-One -2-2 -3-3 -4-4 -5-5 -6-6 -7-7 -8-8 -9-9 -10-10 시각운동속도능력Visual movement speed ability 시각지각정확도(H1)Visual perception accuracy (H1) 1One 22 33 44 55 66 77 88 99 1010 시각지각속도(H2)Visual perception speed (H2) 1One 22 33 44 55 66 77 88 99 1010 검사 난이도(H3)Difficulty level (H3) 1One 22 33 44 55 66 77 88 99 1010 테스트 힌트(H4)Test hint (H4) -1-One -2-2 -3-3 -4-4 -5-5 -6-6 -7-7 -8-8 -9-9 -10-10 눈과 손의 협응력Eye-hand coordination 시각지각정확도(I1)Visual perception accuracy (I1) 1One 22 33 44 55 66 77 88 99 1010 시각지각속도(I2)Visual perception speed (I2) 1One 22 33 44 55 66 77 88 99 1010 검사 난이도(I3)Test difficulty (I3) 1One 22 33 44 55 66 77 88 99 1010 테스트 힌트(I4)Test hint (I4) -1-One -2-2 -3-3 -4-4 -5-5 -6-6 -7-7 -8-8 -9-9 -10-10

인지능력 분석부(306)는 다음의 수학식 3을 사용해 인지능력 분석정보에 해당하는 시지각 인지력 지수를 산출할 수 있다. The cognitive ability analysis unit 306 may calculate the visual perception cognitive index corresponding to the cognitive ability analysis information using Equation 3 below.

Figure 112019009335464-pat00003
Figure 112019009335464-pat00003

여기서, G1, G2, G3, G4, H1, H2, H3, H4, I1, I2, I3, I4는 각각 시지각 인지력 지수를 산출하기 위한 분석인자에 해당한다. G1은 탐색 및 관찰능력 중 시각/지각 정확도 점수를 의미하고, G2는 탐색 및 관찰능력 중 시각/지각 속도 점수를 의미하고, G3은 탐색 및 관찰능력 중 검사 난이도 점수를 의미하고, G4는 탐색 및 관찰능력 중 테스트 힌트 점수를 의미하고, Gv는 전체 탐색 및 관찰능력 점수를 의미한다. 또한, H1은 시각운동속도능력 중 시각/지각 정확도 점수를 의미하고, H2는 시각운동속도능력 중 시각/지각 속도 점수를 의미하고, H3은 시각운동속도능력 중 검사 난이도 점수를 의미하고, H4는 시각운동속도능력 중 테스트 힌트 점수를 의미하고, Hv는 전체 시각운동속도능력 점수를 의미한다. 또한, I1은 눈과 손의 협응력 중 시각/지각 정확도 점수를 의미하고, I2는 눈과 손의 협응력 중 시각/지각 속도점수를 의미하고, I3은 눈과 손의 협응력 중 검사 난이도 점수를 의미하고, I4는 눈과 손의 협응력 중 테스트 힌트 점수를 의미하고, Iv는 전체 눈과 손의 협응력 점수를 의미한다.Here, G1, G2, G3, G4, H1, H2, H3, H4, I1, I2, I3, I4 each corresponds to an analysis factor for calculating the visual perception cognitive index. G1 means visual / perception accuracy score among search and observation skills, G2 means visual / perception speed score among search and observation skills, G3 means test difficulty score during search and observation skills, G4 means search and observation skills Among the observation abilities, it means the test hint score, and Gv means the overall search and observation score. In addition, H1 means visual / perception accuracy score among visual motor speed capabilities, H2 means visual / perception speed score among visual motor speed capabilities, H3 means test difficulty score among visual motor speed capabilities, and H4 The test hint score means the visual hull speed score, and the Hv means the overall visual speed score. In addition, I1 means the visual / perception accuracy score among the eye-hand coordination, I2 means the visual / perception speed score among the eye-hand coordination, and I3 means the test difficulty score during the eye-hand coordination. , I4 means the test hint score among eye-hand coordination, and Iv means the total eye-hand coordination score.

한편, 시지각 인지력 지수의 산출에 적용되는 γ1는 탐색 및 관찰능력에 적용되는 가중치를 의미하고, γ2는 시각운동속도능력에 적용되는 가중치이고, γ3 눈과 손의 협응력에 적용되는 가중치이다. 이때, 시지각인지력 가중치 γ1, γ2, γ3는 각각 탐색 및 관찰능력, 시각운동속도능력 및 눈과 손의 협응력의 중요도에 따라 해당 가중치의 점수 비율이 조정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γ 1 applied to the calculation of the visual perception cognitive index means weight applied to search and observation ability, γ 2 is weight applied to visual motor speed ability, and γ 3 is This is a weight applied to the eye-hand coordination. At this time, the visual perception perception weights γ 1 , γ 2 , and γ 3 may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importance of search and observation, visual speed, and eye-hand coordination, respectively.

전술한 수학식 3에 따르면, 인지능력 분석부(306)는 탐색 및 관찰능력에서 가감되는 점수의 평균값, 시각운동속도능력에서 가감되는 점수의 평균값 및 눈과 손의 협응력에서 가감되는 점수의 평균값에 시지각인지력 가중치를 각각 반영하여 인지능력 분석정보에 해당하는 시지각 인지력 지수를 산출할 수 있다. According to Equation 3 described above, the cognitive ability analysis unit 306 is applied to the average value of the scores added and decreased in search and observation ability, the average value of the points added and decreased in the visual motor speed ability, and the average value of the points added and decreased in the coordination of the eye and hand. The visual perception cognitive index corresponding to the cognitive ability analysis information may be calculated by reflecting each visual perception cognitive weight.

또한, 인지능력 분석부(306)는 상기 주의력 중 선택적 주의집중력, 지속적 주의집중력 및 동시적 협응능력 각각에 대한 선택적 집중도, 지속적 집중도, 동시적 협응도, 검사 난이도 및 테스트 힌트 별의 점수에 주의력 가중치가 적용된 평균값으로부터 상기 사용자에 대한 주의력 지수를 상기 인지능력 분석정보로 산출한다.In addition, the cognitive ability analysis unit 306 selects attention concentration, continuous attention concentration, and simultaneous attention ability among selective attention concentration, continuous concentration, simultaneous cooperation, test difficulty, and test hints, and weights scores for each test hint. The attention index for the user is calculated from the average value applied to the cognitive ability analysis information.

다음의 표 4는 주의력과 관련한 인지능력 분석정보를 산출하기 위한 주의력 테이블 정보를 예시하는 표이다. 표 4의 주의력 테이블 정보는 정보 저장부(304)에 저장되어 있다. Table 4 below is a table illustrating the attention table information for calculating cognitive ability analysis information related to attention. The attention table information in Table 4 is stored in the information storage unit 304.

주의력 종류Attention type 분석 인자Analytical factors 주의력 적용 점수Attention applied score 선택적 주의 집중력 Selective attention 선택적 집중도(J1)Selective concentration (J1) 1One 22 33 44 55 66 77 88 99 1010 검사 난이도(J2)Difficulty level (J2) 1One 22 33 44 55 66 77 88 99 1010 테스트 힌트(J3)Test hint (J3) -1-One -2-2 -3-3 -4-4 -5-5 -6-6 -7-7 -8-8 -9-9 -10-10 지속적
주의 집중력
constantly
Attention
지속적 집중도(K1)Continuous concentration (K1) 1One 22 33 44 55 66 77 88 99 1010
검사 난이도(K2)Difficulty level (K2) 1One 22 33 44 55 66 77 88 99 1010 테스트 힌트(K3)Test hint (K3) -1-One -2-2 -3-3 -4-4 -5-5 -6-6 -7-7 -8-8 -9-9 -10-10 동시적 협응능력Simultaneous coordination ability 동시 협응도(L1)Simultaneous coordination (L1) 1One 22 33 44 55 66 77 88 99 1010 검사 난이도(L2)Difficulty level (L2) 1One 22 33 44 55 66 77 88 99 1010 테스트 힌트(L3)Test hint (L3) -1-One -2-2 -3-3 -4-4 -5-5 -6-6 -7-7 -8-8 -9-9 -10-10

인지능력 분석부(306)는 다음의 수학식 4을 사용해 인지능력 분석정보에 해당하는 주의력 지수를 산출할 수 있다.The cognitive ability analysis unit 306 may calculate the attention index corresponding to the cognitive ability analysis information using Equation 4 below.

Figure 112019009335464-pat00004
Figure 112019009335464-pat00004

여기서, J1, J2, J3, K1, K2, K3, L1, L2, L3는 각각 주의력 지수를 산출하기 위한 분석인자에 해당한다. J1은 선택적 주의 집중력 중 선택적 집중도 점수를 의미하고, J2는 선택적 주의 집중력 중 검사 난이도 점수를 의미하고, J3은 선택적 주의 집중력 중 테스트 힌트 점수를 의미하고, Jv는 전체 선택적 주의 집중력 점수를 의미한다. 또한, K1은 지속적 주의 집중력 중 지속적 집중도 점수를 의미하고, K2는 지속적 주의 집중력 중 검사 난이도 점수를 의미하고, K3은 지속적 주의 집중력 중 테스트 힌트 점수를 의미하고, Kv는 전체 지속적 주의 집중력 점수를 의미한다. 또한, L1은 동시적 협응능력 중 동시적 협응도 점수를 의미하고, L2는 동시적 협응능력 중 검사 난이도 점수를 의미하고, L3은 동시적 협응능력 중 테스트 힌트 점수를 의미하고, Lv는 전체 동시적 협응능력 점수를 의미한다. Here, J1, J2, J3, K1, K2, K3, L1, L2, and L3 correspond to analysis factors for calculating the attention index, respectively. J1 means a selective concentration score among selective attention concentration, J2 means a test difficulty score among selective attention concentration, J3 means a test hint score among selective attention concentration, and Jv means a total selective attention concentration score. In addition, K1 means the continuous concentration score among the continuous attention concentration, K2 means the test difficulty score among the continuous attention concentration, K3 means the test hint score among the continuous attention concentration, and Kv means the overall continuous attention concentration score. do. In addition, L1 means the simultaneous coordination score among the simultaneous coordination abilities, L2 means the test difficulty score among the simultaneous coordination abilities, L3 means the test hint score among the simultaneous coordination abilities, and Lv is the total simultaneous It means the score of enemy coordination ability.

한편, 주의력 지수의 산출에 적용되는 δ1는 선택적 주의집중력에 적용되는 가중치를 의미하고, δ2는 지속적 주의 집중력에 적용되는 가중치이고, δ3는 동시적 협응능력에 적용되는 가중치이다. 이때, 주의력 가중치 δ1, δ2, δ3는 각각 선택적 주의집중력, 지속적 주의집중력 및 동시적 협응능력의 중요도에 따라 해당 가중치의 점수 비율이 조정될 수 있다.Meanwhile, δ 1 applied to the calculation of the attention index is a weight applied to the selective attention concentration, δ 2 is a weight applied to the continuous attention concentration, and δ 3 is a weight applied to the simultaneous coordination ability. At this time, the attention weights δ 1 , δ 2 , and δ 3 may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importance of the selective attention concentration, the continuous attention concentration, and the simultaneous coordination ability, respectively.

전술한 수학식 4에 따르면, 인지능력 분석부(306)는 선택적 주의집중력에서 가감되는 점수의 평균값, 지속적 주의집중력에서 가감되는 점수의 평균값 및 동시적 협응능력에서 가감되는 점수의 평균값에 주의력 가중치를 각각 반영하여 인지능력 분석정보에 해당하는 주의력 지수를 산출할 수 있다. According to Equation 4 described above, the cognitive ability analysis unit 306 assigns the attention weight to the average value of the scores added or decreased in the selective attention concentration, the average value of the points added or decreased in the continuous attention concentration, and the average value of the points added or decreased in the simultaneous coordination ability. By reflecting each, it is possible to calculate the attention index corresponding to the cognitive ability analysis information.

또한, 인지능력 분석부(306)는 언어능력 중 단어 능력, 문장 능력 및 상황 능력 각각에 대한 이해도, 해석도, 표현도, 검사 난이도 및 테스트 힌트 별의 점수에 언어능력 가중치가 적용된 평균값으로부터 사용자에 대한 언어능력 지수를 인지능력 분석정보로 산출한다.In addition, the cognitive ability analysis unit 306 is a user from the average value of the language ability weight applied to the scores of understanding, interpretation, expression, test difficulty, and test hint for each of the word ability, sentence ability, and situational ability among the language ability. The language ability index for is calculated as cognitive ability analysis information.

다음의 표 5는 언어능력에 해당하는 인지능력 분석정보를 산출하기 위한 언어능력 테이블 정보를 예시하는 표이다. 표 5의 언어능력 테이블 정보는 정보 저장부(304)에 저장되어 있다. The following Table 5 is a table illustrating language ability table information for calculating cognitive ability analysis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language ability. The language ability table information in Table 5 is stored in the information storage unit 304.

언어
능력
종류
language
ability
Kinds
분석인자Analysis factor 언어능력 적용 점수Scores applied for language skills
단어
능력
word
ability
단어 이해도(D1)Word comprehension (D1) 1One 22 33 44 55 66 77 88 99 1010
단어 해석도(D2)Word interpretation diagram (D2) 1One 22 33 44 55 66 77 88 99 1010 단어 표현도(D3)Word representation (D3) 1One 22 33 44 55 66 77 88 99 1010 검사 난이도(D4)Difficulty level (D4) 1One 22 33 44 55 66 77 88 99 1010 테스트 힌트(D5)Test hint (D5) 1One 22 33 44 55 66 77 88 99 1010 문장
능력
sentence
ability
문장 이해도(E1)Sentence comprehension (E1) 1One 22 33 44 55 66 77 88 99 1010
문장 해석도(E2)Sentence Interpretation Diagram (E2) 1One 22 33 44 55 66 77 88 99 1010 문장 표현도(E3)Sentence diagram (E3) 1One 22 33 44 55 66 77 88 99 1010 검사 난이도(E4)Difficulty level (E4) 1One 22 33 44 55 66 77 88 99 1010 테스트 힌트(E5)Test hint (E5) 1One 22 33 44 55 66 77 88 99 1010 상황
능력
situation
ability
상황 이해도(F1)Situational understanding (F1) 1One 22 33 44 55 66 77 88 99 1010
상황 해석도(F2)Situation analysis diagram (F2) 1One 22 33 44 55 66 77 88 99 1010 상황 표현도(F3)Situational representation (F3) 1One 22 33 44 55 66 77 88 99 1010 검사 난이도(F4)Test difficulty (F4) 1One 22 33 44 55 66 77 88 99 1010 테스트 힌트(F5)Test hint (F5) -1-One -2-2 -3-3 -4-4 -5-5 -6-6 -7-7 -8-8 -9-9 -10-10

인지능력 분석부(306)는 다음의 수학식 5를 사용해 인지능력 분석정보에 해당하는 언어능력 지수를 산출할 수 있다.The cognitive ability analysis unit 306 may calculate a language ability index corresponding to the cognitive ability analysis information using Equation 5 below.

Figure 112019009335464-pat00005
Figure 112019009335464-pat00005

여기서, M1, M2, M3, M4, M5, N1, N2, N3, N4, N5, P1, P2, P3, P4, P5는 각각 언어능력 지수를 산출하기 위한 분석인자에 해당한다. M1은 단어능력 중 단어 이해도 점수를 의미하고, M2는 단어능력 중 단어 해석도 점수를 의미하고, M3은 단어능력 중 단어 표현도 점수를 의미하고, M4는 단어능력 중 검사 난이도 점수를 의미하고, M5는 단어능력 중 테스트 힌트 점수를 의미하고, Mv는 전체 단어능력 점수를 의미한다. 또한, N1은 문장능력 중 문장 이해도 점수를 의미하고, N2는 문장능력 중 문장 해석도 점수를 의미하고, N3은 문장능력 중 문장 표현도 점수를 의미하고, N4는 문장능력 중 검사 난이도 점수를 의미하고, N5는 문장능력 중 테스트 힌트 점수를 의미하고, Nv는 전체 문장능력 점수를 의미한다. 또한, P1은 상황능력 중 상황 이해도 점수를 의미하고, P2는 상황능력 중 상황 해석도 점수를 의미하고, P3은 상황능력 중 상황 표현도 점수를 의미하고, P4는 상황능력 중 검사 난이도 점수를 의미하고, P5는 상황능력 중 테스트 힌트 점수를 의미하고, Pv는 전체 상황능력 점수를 의미한다. Here, M1, M2, M3, M4, M5, N1, N2, N3, N4, N5, P1, P2, P3, P4, P5 each correspond to an analysis factor for calculating a language ability index. M1 means word comprehension score among word skills, M2 means word interpretation score among word skills, M3 means word expression score among word skills, M4 means test difficulty score among word skills, , M5 means the test hint score among the word skills, and Mv means the total word skills score. In addition, N1 means a sentence comprehension score among sentence abilities, N2 means a sentence interpretation score among sentence abilities, N3 means a sentence expression score among sentence abilities, and N4 means a test difficulty score among sentence abilities. Meaning, N5 means the test hint score among sentence abilities, and Nv means the total sentence ability score. In addition, P1 means a situational understanding score among situational abilities, P2 means a situational interpretation score among situational abilities, P3 represents a situational expression score among situational abilities, and P4 represents a test difficulty score among situational abilities. Meaning, P5 means the test hint score among situational abilities, and Pv means the overall situational ability score.

한편, 언어능력 지수의 산출에 적용되는 ξ1는 단어능력에 적용되는 가중치를 의미하고, ξ2는 문장능력에 적용되는 가중치이고, ξ3 상황능력에 적용되는 가중치이다. 이때, 언어능력 가중치 ξ1, ξ2, ξ3는 각각 단어능력, 문장능력 및 상황능력의 중요도에 따라 해당 가중치의 점수 비율이 조정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ξ 1 applied to the calculation of the language ability index means a weight applied to the word ability, ξ 2 is a weight applied to the sentence ability, and ξ 3 is It is a weight applied to situational ability. At this time, the weight ratio of the language ability ξ 1 , ξ 2 , and ξ 3 can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importance of the word ability, sentence ability, and situational ability, respectively.

전술한 수학식 5에 따르면, 인지능력 분석부(306)는 단어능력에서 가감되는 점수의 평균값, 문장능력에서 가감되는 점수의 평균값 및 상황능력에서 가감되는 점수의 평균값에 각각의 언어능력 가중치를 반영하여 인지능력 분석정보에 해당하는 언어능력 지수를 산출할 수 있다. According to Equation 5 described above, the cognitive ability analysis unit 306 reflects each language ability weight in the average value of scores added and decreased in word ability, the average value of points added and decreased in sentence ability, and the average value of scores added and decreased in contextual ability. The language ability index corresponding to the cognitive ability analysis information can be calculated.

안마컨텐츠 결정부(308)는 안마 컨텐츠들 중에서 상기 인지능력 분석정보에 대응하는 안마종류 및 안마레벨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매칭 안마컨텐츠를 결정한다. 안마컨텐츠 결정부(308)는 인지능력 분석정보에 속하는 상기 사용자에 대한 기억력 지수, 행위수행능력 지수, 시지각 인지력 지수, 주의력 지수 및 언어능력 지수에 따라, 주무름 컨텐츠, 두드림 컨텐츠, 손날 두드림 컨텐츠 및 지압 컨텐츠를 포함하는 안마컨텐츠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매칭 안마컨텐츠와 이에 대응하는 안마 레벨을 결정한다.The massage content determining unit 308 determines at least one matching massage content including a massage type and a massage level corresponding to the cognitive ability analysis information from among massage contents. Massage content determining unit 308 according to the cognitive ability analysis information, memory performance index, performance performance index, visual perception cognitive index, attention index and language ability index for the user, hand-wrap content, tapping content, tapping content and At least one matching massage content among massage contents including acupressure content and a corresponding massage level are determined.

예를 들어, 안마 컨텐츠들의 종류는 주무름 컨텐츠, 두드림 컨텐츠, 손라두드림 컨텐츠, 지압 컨텐츠, 온열기능 컨텐츠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주무름 컨텐츠는 두개의 마사지볼이 모였다 펴지기를 반복하며 신체 부위를 주무르는 안마방식이다. 두드림 컨텐츠는 주먹으로 두드리는 것과 같은 느낌이 나도록 신체부위를 안마방식이다. 손날두드림 컨텐츠는 주무름과 두드림 기능이 반복적으로 수행되는 안마방식이다. 지압 컨텐츠는 손끝으로 눌러주는 느낌의 안마방식이다. 온열기능 컨텐츠는 등, 엉덩이, 어깨, 하체 등에 대한 온열 히팅기능을 담당한다. For example, the types of massage contents may include wrinkle contents, tap contents, hand tap contents, shiatsu contents, and thermal function contents. The massaging content is a massage method where two massage balls are gathered and the body part is repeated and unfolded. Tapping content is a method of massaging the body part to feel like tapping with a fist. The tapping content is a massage method in which the smoothing and tapping functions are repeatedly performed. Shiatsu content is a massage method with a feeling of pressing with your fingertips. The heating function content is responsible for the heating function for the back, hips, shoulders, and lower body.

인지능력 분석정보로서, 사용자에 대한 기억력 지수, 행위수행능력 지수, 시지각 인지력 지수, 주의력 지수 또는 언어능력 지수가 제공되면, 안마컨텐츠 결정부(308)는 제공된 기억력 지수, 행위수행능력 지수, 시지각 인지력 지수, 주의력 지수 또는 언어능력 지수에 대응하는 값에 매핑된 안마 종류 및 안마레벨을 산출한다. 이를 위해, 정보 저장부(304)은 인지능력 분석정보에 대응하는 안마 종류 및 안마 레벨에 대한 안마 매핑 정보를 저장하고 있다.As the cognitive ability analysis information, if a memory index, a performance index, a visual perception cognitive index, an attention index, or a language ability index for a user is provided, the massage content determination unit 308 provides the provided memory index, the performance index, and the visual index Massage types and massage levels mapped to values corresponding to each cognitive index, attention index, or language ability index are calculated. To this end, the information storage unit 304 stores massage mapping information for a massage type and a massage level corresponding to the cognitive ability analysis information.

다음의 표 6은 인지능력 분석정보에 대응하는 안마 종류 및 안마 레벨에 대한 안마 매핑 정보를 예시하는 표이다.Table 6 below is a table illustrating massage mapping information for massage types and massage levels corresponding to cognitive ability analysis information.

주무름 컨텐츠Wrinkle content 두드림 컨텐츠Tapping content 손날두드림 컨텐츠Touching the content 지압 컨텐츠Shiatsu content 기억력 지수Memory index 상(30 미만)Top (less than 30) 상(25 미만)Top (less than 25) 상(35 미만)Upper (less than 35) 상(40 미만)Upper (less than 40) 중(30 ~ 50)Medium (30 to 50) 중(25 ~ 45)Medium (25 ~ 45) 중(35 ~ 55)Medium (35 ~ 55) 중(40 ~ 60)Medium (40 ~ 60) 하(51 ~ 70)Low (51 ~ 70) 하(46 ~ 65)Lower (46-65) 하(56 ~ 75)Low (56 ~ 75) 하(61 ~ 80)Lower (61 ~ 80) 미동작(70 초과)Non-operation (over 70) 미동작(65 초과)Non-operation (over 65) 미동작(75 초과)Non-operation (over 75) 미동작(80 초과)Non-operation (over 80) 행위수행능력 지수Behavior Performance Index 상(35 미만)Upper (less than 35) 상(30 미만)Top (less than 30) 상(40 미만)Upper (less than 40) 상(45 미만)Upper (less than 45) 중(35 ~ 55)Medium (35 ~ 55) 중(30 ~ 50)Medium (30 to 50) 중(40 ~ 60)Medium (40 ~ 60) 중(45 ~ 65)Medium (45 ~ 65) 하(56 ~ 75)Low (56 ~ 75) 하(51 ~ 70)Low (51 ~ 70) 하(61 ~ 80)Lower (61 ~ 80) 하(66 ~ 85)Low (66 ~ 85) 미동작(75 초과)Non-operation (over 75) 미동작(70 초과)Non-operation (over 70) 미동작(80 초과)Non-operation (over 80) 미동작(85 초과)Non-operation (over 85) 시지각인지력 지수Perception perception index 상(40 미만)Upper (less than 40) 상(35 미만)Upper (less than 35) 상(45 미만)Upper (less than 45) 상(50 미만)Top (less than 50) 중(40 ~ 60)Medium (40 ~ 60) 중(35 ~ 55)Medium (35 ~ 55) 중(45 ~ 65)Medium (45 ~ 65) 중(50 ~ 70)Medium (50 ~ 70) 하(61 ~ 80)Lower (61 ~ 80) 하(56 ~ 75)Low (56 ~ 75) 하(66 ~ 85)Low (66 ~ 85) 하(71 ~ 90)Low (71 ~ 90) 미동작(80 초과)Non-operation (over 80) 미동작(75 초과)Non-operation (over 75) 미동작(85 초과)Non-operation (over 85) 미동작(90 초과)Non-operation (over 90) 주의력 지수Attention Index 상(30 미만)Top (less than 30) 상(25 미만)Top (less than 25) 상(40 미만)Upper (less than 40) 상(40 미만)Upper (less than 40) 중(30 ~ 50)Medium (30 to 50) 중(25 ~ 45)Medium (25 ~ 45) 중(40 ~ 60)Medium (40 ~ 60) 중(40 ~ 60)Medium (40 ~ 60) 하(51 ~ 70)Low (51 ~ 70) 하(46 ~ 65)Lower (46-65) 하(61 ~ 80)Lower (61 ~ 80) 하(61 ~ 80)Lower (61 ~ 80) 미동작(70 초과)Non-operation (over 70) 미동작(65 초과)Non-operation (over 65) 미동작(80 초과)Non-operation (over 80) 미동작(80 초과)Non-operation (over 80) 언어능력 지수Language Proficiency Index 상(50 미만)Top (less than 50) 상(45 미만)Upper (less than 45) 상(55 미만)Upper (less than 55) 상(60 미만)Phase (less than 60) 중(50 ~ 70)Medium (50 ~ 70) 중(45 ~ 65)Medium (45 ~ 65) 중(55 ~ 75)Medium (55 ~ 75) 중(60 ~ 80)Medium (60 ~ 80) 하(71 ~ 90)Low (71 ~ 90) 하(66 ~ 85)Low (66 ~ 85) 하(76 ~ 95)Low (76 ~ 95) 하(81 ~ 100)Low (81 ~ 100) 미동작(90 초과)Non-operation (over 90) 미동작(85 초과)Non-operation (over 85) 미동작(95 초과)Non-operation (over 95) 미동작(100 초과)Non-operation (over 100)

표 6에 따르면, 인지능력 분석정보에 따른 주름 컨텐츠, 두드림 컨텐츠, 손날두드림 컨텐츠, 지압 컨텐츠 중 어느 하나 이상에 대한 매핑 정보를 예시하며, 이때, 인지능력 분석정보의 값에 따라 안마의 강도 즉, 안마 레벨이 상, 중, 하 또는 미동작 중 어느 하나로 매핑되어 있다. 표 6에서, 괄호 안의 수치는 기억력 지수, 행위수행능력 지수, 시지각인지력 지수, 주의력 지수 및 언어능력 지수에 대응하는 값을 의미한다. 따라서, 안마컨텐츠 결정부(308)는 표 6에 기재된 안마 매핑 정보를 참조하여, 인지능력 분석정보에 해당하는 기억력 지수, 행위수행능력 지수, 시지각 인지력 지수, 주의력 지수 및 언어능력 지수에 대응하는 안마 컨텐츠들과 이에 대응하는 안마레벨을 결정할 수 있다. According to Table 6, the mapping information for one or more of wrinkle content, tapping content, tapping content, and acupressure content according to the cognitive ability analysis information is exemplified. At this time, the intensity of the massage according to the value of the cognitive ability analysis information, that is Massage levels are mapped to either upper, medium, lower or inactive. In Table 6, the numbers in parentheses indicate values corresponding to the memory index, the performance index, the perception perception index, the attention index, and the language ability index. Therefore, the massage content determining unit 308 refers to the massage mapping information shown in Table 6, and corresponds to the memory index, the performance index, the perception perception index, the attention index, and the language ability index corresponding to the cognitive ability analysis information. Massage contents and a corresponding massage level may be determined.

게임컨텐츠 결정부(310)는 상기 게임 컨텐츠들 중에서 상기 인지능력 분석정보에 대응하는 게임종류 및 게임레벨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매칭 게임컨텐츠를 결정한다. 이때, 게임컨텐츠 결정부(310)는 인지능력 분석정보에 속하는 상기 사용자에 대한 기억력 지수, 행위수행능력 지수, 시지각 인지력 지수, 주의력 지수 및 언어능력 지수에 따라, 언어게임 컨텐츠, 기억력게임 컨텐츠, 집중력게임 컨텐츠, 및 지남력게임 컨텐츠를 포함하는 게임 컨텐츠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매칭 게임컨텐츠와 이에 대응하는 게임 레벨을 결정한다. 이를 위해, 정보 저장부(304)은 인지능력 분석정보에 대응하는 게임 종류 및 게임 레벨에 대한 게임 매핑 정보를 저장하고 있다. 도 3 a 내지 도 3d는 HMD 디바이스에 표시되는 게임컨텐츠들의 디스플레이화면을 예시하는 참조도이다. The game content determining unit 310 determines at least one matching game content including game types and game levels corresponding to the cognitive ability analysis information among the game contents. At this time, the game content determining unit 310 according to the cognitive ability analysis information, memory performance index, behavior performance ability index, visual perception cognitive ability index, attention index and language ability index for the user, language game content, memory game content, At least one matching game content and game levels corresponding to at least one of the game content including the concentration game content and the game power game content are determined. To this end, the information storage unit 304 stores game mapping information for game types and game levels corresponding to cognitive ability analysis information. 3A to 3D are reference views illustrating a display screen of game contents displayed on an HMD device.

다음의 표 7은 인지능력 분석정보에 대응하는 게임 종류 및 게임 레벨에 대한 게임 매핑 정보를 예시하는 표이다.Table 7 below is a table illustrating game mapping information for game types and game levels corresponding to cognitive ability analysis information.

언어게임 컨텐츠Language game content 기억력게임 컨텐츠Memory game content 집중력게임 컨텐츠Concentration game content 지남력게임 컨텐츠Game content 기억력 지수Memory index 상(40 미만)Upper (less than 40) 상(35 미만)Upper (less than 35) 상(30 미만)Top (less than 30) 상(25 미만)Top (less than 25) 중(40 ~ 60)Medium (40 ~ 60) 중(35 ~ 55)Medium (35 ~ 55) 중(30 ~ 50)Medium (30 to 50) 중(40 ~ 60)Medium (40 ~ 60) 하(51 ~ 80)Low (51 ~ 80) 하(56 ~ 75)Low (56 ~ 75) 하(50 ~ 70)Lower (50 ~ 70) 하(61 ~ 80)Lower (61 ~ 80) 미동작(80 초과)Non-operation (over 80) 미동작(75 초과)Non-operation (over 75) 미동작(70 초과)Non-operation (over 70) 미동작(80 초과)Non-operation (over 80) 행위수행능력 지수Behavior Performance Index 상(45 미만)Upper (less than 45) 상(40 미만)Upper (less than 40) 상(35 미만)Upper (less than 35) 상(45 미만)Upper (less than 45) 중(45 ~ 65)Medium (45 ~ 65) 중(40 ~ 60)Medium (40 ~ 60) 중(35 ~ 55)Medium (35 ~ 55) 중(45 ~ 65)Medium (45 ~ 65) 하(66 ~ 85)Low (66 ~ 85) 하(61 ~ 60)Lower (61 ~ 60) 하(56 ~ 75)Low (56 ~ 75) 하(66 ~ 85)Low (66 ~ 85) 미동작(85 초과)Non-operation (over 85) 미동작(80 초과)Non-operation (over 80) 미동작(75 초과)Non-operation (over 75) 미동작(85 초과)Non-operation (over 85) 시지각인지력 지수Perception perception index 상(50 미만)Top (less than 50) 상(45 미만)Upper (less than 45) 상(40 미만)Upper (less than 40) 상(50 미만)Top (less than 50) 중(50 ~ 70)Medium (50 ~ 70) 중(45 ~ 65)Medium (45 ~ 65) 중(40 ~ 60)Medium (40 ~ 60) 중(50 ~ 70)Medium (50 ~ 70) 하(71 ~ 90)Low (71 ~ 90) 하(66 ~ 65)Lower (66-65) 하(61 ~ 80)Lower (61 ~ 80) 하(71 ~ 90)Low (71 ~ 90) 미동작(90 초과)Non-operation (over 90) 미동작(85 초과)Non-operation (over 85) 미동작(80 초과)Non-operation (over 80) 미동작(90 초과)Non-operation (over 90) 주의력 지수Attention Index 상(40 미만)Upper (less than 40) 상(35 미만)Upper (less than 35) 상(35 미만)Upper (less than 35) 상(40 미만)Upper (less than 40) 중(40 ~ 60)Medium (40 ~ 60) 중(35 ~ 55)Medium (35 ~ 55) 중(35 ~ 55)Medium (35 ~ 55) 중(40 ~ 60)Medium (40 ~ 60) 하(61 ~ 80)Lower (61 ~ 80) 하(56 ~ 75)Low (56 ~ 75) 하(56 ~ 75)Low (56 ~ 75) 하(61 ~ 80)Lower (61 ~ 80) 미동작(80 초과)Non-operation (over 80) 미동작(75 초과)Non-operation (over 75) 미동작(75 초과)Non-operation (over 75) 미동작(80 초과)Non-operation (over 80) 언어능력 지수Language Proficiency Index 상(60 미만)Phase (less than 60) 상(55 미만)Upper (less than 55) 상(50 미만)Top (less than 50) 상(60 미만)Phase (less than 60) 중(60 ~ 90)Medium (60 ~ 90) 중(55 ~ 75)Medium (55 ~ 75) 중(50 ~ 70)Medium (50 ~ 70) 중(60 ~ 80)Medium (60 ~ 80) 하(81 ~ 100)Low (81 ~ 100) 하(76 ~ 95)Low (76 ~ 95) 하(71 ~ 90)Low (71 ~ 90) 하(81 ~ 100)Low (81 ~ 100) 미동작(100 초과)Non-operation (over 100) 미동작(95 초과)Non-operation (over 95) 미동작(90 초과)Non-operation (over 90) 미동작(100 초과)Non-operation (over 100)

표 7에 따르면, 인지능력 분석정보에 따른 언어게임 컨텐츠, 기억력게임 컨텐츠, 집중력게임 컨텐츠, 및 지남력게임 컨텐츠 중 어느 하나 이상에 대한 매핑 정보를 예시하며, 이때, 인지능력 분석정보의 값에 따라 게임 난이도 즉, 게임 레벨이 상, 중, 하 또는 미동작 중 어느 하나로 매핑되어 있다. 표 7에서, 괄호 안의 수치는 기억력 지수, 행위수행능력 지수, 시지각인지력 지수, 주의력 지수 및 언어능력 지수에 대응하는 값을 의미한다. 따라서, 게임컨텐츠 결정부(310)는 표 7에 기재된 게임 매핑 정보를 참조하여, 인지능력 분석정보에 해당하는 기억력 지수, 행위수행능력 지수, 시지각 인지력 지수, 주의력 지수 및 언어능력 지수에 대응하는 게임 컨텐츠들과 이에 대응하는 게임 레벨을 결정할 수 있다. According to Table 7, the mapping information for any one or more of language game content, memory game content, concentration game content, and cognitive game content according to the cognitive ability analysis information is exemplified. Difficulty, that is, the game level is mapped to either upper, middle, lower or non-operation. In Table 7, the numbers in parentheses indicate values corresponding to the memory index, the performance index, the perception perception index, the attention index, and the language ability index. Therefore, the game content determining unit 310 refers to the game mapping information shown in Table 7, and corresponds to the memory index, the performance index, the perception perception index, the attention index, and the language ability index corresponding to the cognitive ability analysis information. Game contents and a corresponding game level may be determined.

동작 제어부(312)는 안마의자의 각 구성요소들에 대한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고, 연산이나 통신을 위한 데이터 처리 등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동작 제어부(312)는 중앙처리장치 (central processing unit),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plication processor), 또는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 (communication processor)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The operation control unit 312 controls the overall operation of each component of the massage chair, and performs data processing for operation or communication. To this end, the operation control unit 312 may include one or more of a central processing unit, an application processor, or a communication processor.

또한, 동작 제어부(312)는 상기 안마컨텐츠 결정부(308) 및 상기 게임컨텐츠 결정부(310)의 결정 결과에 따라, 상기 매칭 안마컨텐츠에 대응하는 안마 동작의 수행을 제어하고, 상기 매칭 게임컨텐츠에 대응하는 게임 동작의 수행을 제어한다. 즉, 동작 제어부(312)는 안마컨텐츠 결정부(308)에서 결정된 매칭 안마컨텐츠에 해당하는 안마컨텐츠 및 안마레벨에 따라 안마 동작이 수행되도록 하는 안마 제어신호를 안마 수행부(314)로 전달한다. 또한, 동작 제어부(312)는 게임컨텐츠 결정부(310)에서 결정된 매칭 게임컨텐츠에 해당하는 게임컨텐츠 및 게임 레벨에 따라 게임 동작이 수행되도록 하는 게임 제어신호를 통신부(316)로 전달한다. In addition, the operation control unit 312 controls performance of a massage operation corresponding to the matching massage contents according to the determination results of the massage content determination unit 308 and the game content determination unit 310, and the matching game contents It controls the performance of the game action corresponding to. That is, the operation control unit 312 transmits a massage control signal to perform the massage operation according to the massage contents and massage levels corresponding to the matching massage contents determined by the massage content determination unit 308 to the massage performance unit 314. In addition, the operation control unit 312 transmits a game control signal to perform the game operation according to the game content and game level corresponding to the matched game content determined by the game content determination unit 310 to the communication unit 316.

동작 수행부(314)는 동작 제어부(312)의 안마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매칭 안마컨텐츠의 동작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동작 수행부(314)는 주무름 컨텐츠, 두드림 컨텐츠, 손라두드림 컨텐츠, 지압 컨텐츠, 온열기능 컨텐츠 중에서 매칭 안마컨텐츠에 대응하는 안마 컨텐츠와 이와 대응하는 안마 레벨의 동작을 수행한다. The operation performing unit 314 performs the operation of the matching massage contents according to the massage control signal of the operation control unit 312. For example, the operation performing unit 314 performs massage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matching massage content and massage level corresponding to the matching massage content among the handjob content, the tapping content, the hand tapping content, the acupressure content, and the thermal function content.

통신부(316)는 매칭 게임컨텐츠의 동작 수행을 위한 게임 제어신호를 통신망(200)을 통해 HMD 디바이스(100)로 전송한다. 통신부(316)는 유선 또는 무선 통신방식에 따라 HMD 디바이스(100)와 통신을 수행한다. 통신부(316)는 동작 제어부(312)의 제어에 따라 HMD 디바이스(100)의 게임 컨텐츠 표시를 위한 제어신호를 통신망(200)을 통해 HMD 디바이스(100)로 전송한다. 이에 따라, HMD 디바이스(100)는 안마의자(300)로부터 전송된 제어신호에 대응하는 게임 컨텐츠의 동작을 수행한다.The communication unit 316 transmits a game control signal for performing the operation of the matching game content to the HMD device 100 through the communication network 200. The communication unit 316 communicates with the HMD device 100 according to a wired or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The communication unit 316 transmits a control signal for displaying the game content of the HMD device 100 to the HMD device 100 through the communication network 200 under the control of the operation control unit 312. Accordingly, the HMD device 100 performs the operation of the game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control signal transmitted from the massage chair 300.

이를 위해, 통신부(316)는 HDMI, USB, 광 인터페이스(optical interface), 또는 D-sub(D-subminiature) 인터페이스, MHL(mobile high-definition link) 인터페이스 등의 유선 통신망을 지원하는 통신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316)는 HMD 디바이스(100)와의 근거리 무선 통신을 위해, 와이파이 통신망, 블루투스 통신망, 또는 NFC 통신망을 지원하는 통신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316)는 무선 통신망로서 WiFi와 같은 무선인터넷, WiBro 또는 WiMax와 같은 휴대인터넷, GSM 또는 CDMA와 같은 2G 이동통신망, WCDMA 또는 CDMA2000과 같은 3G 이동통신망, HSDPA 또는 HSUPA와 같은 3.5G 이동통신망, LTE망 또는 LTE-Advanced망과 같은 4G 이동통신망, 및 5G 이동통신망 등을 지원하는 통신모듈을 포함할 수도 있다.To this end, the communication unit 316 includes a communication module supporting a wired communication network such as HDMI, USB, optical interface (D-sub) interface, D-subminiature (D-sub) interface, mobile high-definition link (MHL) interface, etc. can do. Also, the communication unit 316 may include a communication module supporting a Wi-Fi communication network, a Bluetooth communication network, or an NFC communication network for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HMD device 100. In addition, the communication unit 316 is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such as wireless Internet such as WiFi, mobile Internet such as WiBro or WiMax, 2G mobile communication networks such as GSM or CDMA, 3G mobile communication networks such as WCDMA or CDMA2000, 3.5G movement such as HSDPA or HSUPA It may also include a communication module supporting a 4G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such as a communication network, an LTE network, or an LTE-Advanced network, and a 5G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한편, 그룹핑정보 생성부(318)는 복수의 매칭 안마컨텐츠들 및 복수의 매칭 게임컨텐츠들의 조합에 따른 적어도 하나 이상의 컨텐츠 그룹핑정보를 생성한다. Meanwhile, the grouping information generation unit 318 generates at least one content grouping information according to a combination of a plurality of matching massage contents and a plurality of matching game contents.

안마컨텐츠 결정부(308)에서 인지능력 분석정보에 따라 결정되는 매칭 안마컨텐츠들이 복수개일 수 있다. 또한, 게임컨텐츠 결정부(310)에서 인지능력 분석정보에 따라 결정되는 매칭 게임 컨텐츠들이 복수개일 수 있다. 이에 따라, 그룹핑정보 생성부(318)는 이렇게 결정된 복수개의 매칭 안마컨텐츠들과 매칭 게임컨텐츠들을 상호 조합하여 안마 컨텐츠와 게임 컨텐츠가 상호 매핑된 컨텐츠 그룹핑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그룹핑정보 생성부(318)에서 생성된 켄텐츠 그룹핑정보는 정보 저장부(304)에 저장된다. The massage content determining unit 308 may have a plurality of matching massage content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cognitive ability analysis information. Also, the game content determination unit 310 may have a plurality of matching game content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cognitive ability analysis information. Accordingly, the grouping information generating unit 318 may combine the plurality of matching massage contents and matching game contents determined as described above to generate content grouping information in which massage contents and game contents are mutually mapped. The content grouping information generated by the grouping information generation unit 318 is stored in the information storage unit 304.

테마 등록부(320)는 그룹핑정보 생성부(318)에서 생성된 복수의 컨텐츠 그룹핑정보를 조합한 테마 정보를 생성하여 등록한다. 여기서, 테마 정보는 안마컨텐츠와 게임컨텐츠의 매핑에 의한 컨텐츠 그룹핑정보가 복수개로 상호 조합된 정보이다. The theme registration unit 320 generates and registers theme information combining a plurality of content grouping information generated by the grouping information generation unit 318. Here, the theme information is information in which a plurality of content grouping information by mapping of massage content and game content are mutually combined.

테마 등록부(320)는, 감성 가중치가 반영된 테마 인자값을 이용하여 상기 복수개의 컨텐츠 그룹핑정보들을 조합하여 상기 테마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테마 정보를 정보 저장부(304)에 저장한다. The theme registration unit 320 generates the theme information by combining the plurality of content grouping information using a theme factor value reflecting the emotion weight, and stores the generated theme information in the information storage unit 304.

테마 인자값은 사람의 감성에 따른 감성 키워드별로 감성 정도에 대응하는 감성 가중치가 차등적으로 설정된 값일 수 있다. 감성 키워드는 명랑함, 우울함, 산뜻함, 무거움, 조용함, 시끄러움, 억압됨, 자유로움, 새로움, 낡음, 밝음, 어두움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테마 인자값은 정보 저장부(140)에 저장되어 있다.The theme factor value may be a value in which the emotion weight corresponding to the degree of emotion is differentially set for each emotion keyword according to the emotion of the person. Emotional keywords may include at least one of cheerfulness, depression, neatness, heaviness, quietness, loudness, oppression, freedom, newness, oldness, lightness, and darkness. The theme factor values are stored in the information storage unit 140.

도 4는 테마 등록부의 동작을 위한 테마 인자값을 설명하기 위한 일 실시예의 참조도이다.4 is a reference diagram of one embodiment for describing a theme parameter value for the operation of the theme registration unit.

도 4를 참조하면, 테마 인자값은 감성 키워드로서, 명랑함, 우울함, 산뜻함, 무거움, 조용함, 시끄러움, 억압됨, 자유로움, 새로움, 낡음, 밝음, 어두움에 대한 각각의 감성 가중치가 차등적으로 설정되어 있다. 예를 들어, 감성 키워드 '명랑함'에 대응하는 감성 가중치는 -4 내지 +4 범위 내일 수 있다. 이때, 감상 가중치가 높을수록(즉, +4에 가까울수록) 감성 키워드에 대응하는 감정상태가 극대화 될 수 있으며, 감성 가중치가 낮을수록(즉, -4에 가까울수록) 감성 키워드에 대응하는 감정 상태가 최소화 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4, the theme factor value is a sentiment keyword, and each emotional weighting value for cheerfulness, depression, neatness, heaviness, quietness, loudness, oppression, freedom, novelty, oldness, lightness, and darkness is differentially It is set. For example, the emotional weight corresponding to the emotional keyword 'brightness' may be in the range of -4 to +4. At this time, the higher the sentiment weight (ie, closer to +4), the more emotional state corresponding to the sentiment keyword can be maximized, and the lower the sentiment weight (ie, closer to -4), the more emotional state corresponding to the sentiment keyword. Can be minimized.

예를 들어, 사용자의 테마 설정에 따라, 테마 등록부(32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테마 인자값을 이용하여 기 생성된 컨텐츠 그룹핑정보를 테마 정보로 변경하여 등록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테마 인자값에 해당하는 감성 키워드는 컨텐츠 그룹핑정보와 테마별로 매핑되어 등록되어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기분 상태에 대응하는 테마 정보로서 즐거운 상태인 경우에, 테마 인자값에서 감성 키워드 및 감성 가중치가 각각 명랑함(가중치: 3), 시끄러움(가중치: 4), 자유로움(가중치: 2), 어두움(가중치: -1)로 설정되면, 이에 따라 감성 키워드 및 감성 가중치에 매칭되는 컨텐츠 그룹핑 정보들이 조합되어 등록될 수 있다. For example, according to a user's theme setting, the theme registration unit 320 may change and register previously generated content grouping information into theme information by using a theme factor value as shown in FIG. 4. To this end, the emotional keyword corresponding to the theme factor value is registered by being mapped by content grouping information and each theme. For example, when the them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user's mood state is a pleasant state, the emotional keyword and the emotional weight in the theme factor value are cheerful (weight: 3), noisy (weight: 4), and freedom (weight) : 2), when set to dark (weight: -1), content grouping information matching emotion keywords and emotion weights may be combined and registered accordingly.

이에 따라, 동작 제어부(312)는 정보 저장부(304)에 저장된 테마 정보에 따라, 사용자에 대한 복수의 매칭 안마컨테츠들 또는 매칭 게임컨테츠들을 순차적으로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사용자의 선택 또는 디폴트로 설정된 사용자의 등록정보에 따라, 동작 제어부(312)는 해당 사용자에 대응하는 테마 정보를 정보 저장부(304)로부터 호출한다. 그 훙, 동작 제어부(312)는 호출된 테마 정보에 대응하는 컨텐츠 그룹핑정보들에 포함된 안마컨텐츠 및 안마레벨에 따라 안마 동작이 수행되도록 하는 안마 제어신호를 안마 수행부(314)로 순차적으로 전달한다. 이에 따라, 안마 수행부(314)는 동작 제어부(312)로부터 전송된 안마 제어신호에 따라 안마 동작을 수행한다. 또한, 동작 제어부(312)는 컨텐츠 그룹핑정보들에 포함된 게임컨텐츠 및 게임 레벨에 따라 게임 동작이 수행되도록 하는 게임 제어신호를 통신부(316)로 순차적으로 전달한다. 이에 따라, 통신부(316)가 게임 제어신호를 HMD 디바이스(100)로 전송하면, HMD 디바이스(100)는 수신된 게임 제어신호에 따라 순차적으로 컨텐츠 그룹핑정보들에 대응하는 게임 레벨에 맞게 게임 컨텐트들을 실행한다. Accordingly, the operation control unit 312 may control to sequentially perform a plurality of matching massage contents or matching game contents for the user according to the theme information stored in the information storage unit 304. That is, according to the user's selection or the user's registration information set as the default, the operation control unit 312 calls the them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user from the information storage unit 304. The operation control unit 312 sequentially delivers a massage control signal to the massage execution unit 314 to perform a massage operation according to the massage content and massage level included in the content grouping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called theme information. do. Accordingly, the massage performing unit 314 performs a massage operation according to the massage control signal transmitted from the operation control unit 312. In addition, the operation control unit 312 sequentially transmits a game control signal to perform the game operation according to the game content and game level included in the content grouping information to the communication unit 316 in sequence. Accordingly, when the communication unit 316 transmits the game control signal to the HMD device 100, the HMD device 100 sequentially displays game contents according to the game level corresponding to the content grouping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received game control signal. Run it.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의 게임에 대한 몰입도를 증가시키고, 엔터테인먼트 기능을 향상시키며, 안마의자의 움직임을 사용자의 뇌건강에 맞게 제공할 수 있다. 즉, 안마의자의 에어셀을 이용한 주무름이나 트위스트, 안마볼에 의한 진동 및 두드림 기능 등의 전신 마사지 및 움직임은 뇌를 활성화시키는 세라토닌을 촉진시키고 이때 HMD를 통해 인지능력향상을 위한 다양한 게임에 참여시키며, 인지능력 향상을 위한 교육 및 정보 동영상 컨텐츠를 시청케 한다. 특히 손을 움직여야 하는 고도리 게임 및 두더지 게임 등을 할 경우에 집중적으로 상체의 움직임을 연동해서 주고 시장보기 게임이나 사냥하기 게임처럼 직접 워킹하면서 게임 등을 할 경우에는 집중적으로 하체의 움직임을 연동하게 해서 몰입감의 증대와 인지능력을 올려줄 수 있게 한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immersion degree of the user's game, improve the entertainment function, and provide the movement of the massage chair according to the user's brain health. In other words, massage and movement of the body, such as wrinkles or twists using the massage chair's air cells, vibrations and tapping functions by the massage ball, promotes serotonin, which activates the brain, and participates in various games to improve cognitive ability through HMD. To watch education and information video contents to improve cognitive ability.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high-altitude games and mole games that require hand movement, the upper body movements are intensively interlocked, and in the case of playing games while walking directly, such as a market viewing game or hunting game, the lower body movements are intensively interlocked. It helps to increase immersion and increase cognitive ability.

본 발명은 소프트웨어적인 프로그램으로 구현하여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소정 기록매체에 기록해 둠으로써 다양한 전자장치에 적용할 수 있다. 다양한 전자장치는 PC, 노트북, 휴대용 단말 등일 수 있다. 예컨대, 기록매체는 각 저장장치의 내장형으로 하드디스크, 플래시 메모리, RAM, ROM 등이거나, 외장형으로 CD-R, CD-RW와 같은 광디스크, 콤팩트 플래시 카드, 스마트 미디어, 메모리 스틱, 멀티미디어 카드일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various electronic devices by implementing a software program and recording it on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Various electronic devices may be PCs, laptops, and portable terminals. For example, the recording medium may be a hard disk, flash memory, RAM, ROM, etc. as an internal type of each storage device, or an optical disk such as CD-R, CD-RW, compact flash card, smart media, memory stick, or multimedia card as an external type. have.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균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도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해야 할 것이다.Although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s above,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specif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interpreted by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technologies within the scope equivalent thereto should be interpret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10)

치매 또는 경도인지장애를 갖는 사용자에게 인지능력 개선을 위한 게임 컨텐츠들을 제공하는 HMD(Head Mounted Display) 디바이스; 및
신체에 대한 복수의 안마 컨텐츠들의 동작을 수행하고, 통신망을 통해 연결된 상기 HMD 디바이스에 대한 상기 게임 컨텐츠의 동작 수행을 제어하는 안마의자를 포함하고,
상기 안마의자는,
상기 사용자에 대한 인지능력 문답정보를 입력받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상기 사용자와 관련한 생체등록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정보 저장부;
상기 인지능력 문답정보와 상기 생체등록정보를 근거로 하여, 상기 사용자에 대한 기억력, 행위수행능력, 시지각 인지력, 주의력 및 언어능력을 포함하는 인지능력을 분석하고, 상기 인지능력의 분석에 따라 상기 사용자에 대응하는 인지능력 분석정보를 생성하는 인지능력 분석부;
상기 안마 컨텐츠들 중에서 상기 인지능력 분석정보에 대응하는 안마종류 및 안마레벨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매칭 안마컨텐츠를 결정하는 안마컨텐츠 결정부;
상기 게임 컨텐츠들 중에서 상기 인지능력 분석정보에 대응하는 게임종류 및 게임레벨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매칭 게임컨텐츠를 결정하는 게임컨텐츠 결정부;
상기 안마컨텐츠 결정부 및 상기 게임컨텐츠 결정부의 결정 결과에 따라, 상기 매칭 안마컨텐츠에 대응하는 안마 동작의 수행을 제어하고, 상기 매칭 게임컨텐츠에 대응하는 게임 동작의 수행을 제어하는 동작 제어부;
상기 동작 제어부의 안마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매칭 안마컨텐츠의 동작을 수행하는 안마 수행부; 및
상기 매칭 게임컨텐츠의 동작 수행을 위한 게임 제어신호를 상기 통신망을 통해 상기 HMD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통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의 인지능력 개선을 위한 안마의자 시스템.
A head mounted display (HMD) device that provides game contents for improving cognitive ability to a user with dementia or mild cognitive impairment; And
And a massage chair performing an operation of a plurality of massage contents on the body, and controlling the performance of the game contents on the HMD device connected through a communication network,
The massage chair,
A user interface unit that receives cognitive ability question-and-answer information for the user;
An information storage unit that stores biometric registration information related to the user;
Based on the cognitive ability question-and-answer information and the biometric registration information, a cognitive ability including memory, behavior performance ability, visual perception cognitive ability, attention, and language ability for the user is analyzed, and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the cognitive ability, A cognitive ability analysis unit generating cognitive ability analysis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a user;
A massage content determination unit for determining at least one matching massage content including a massage type and a massage level corresponding to the cognitive ability analysis information among the massage contents;
A game content determination unit for determining at least one matching game content including a game type and a game level corresponding to the cognitive ability analysis information among the game contents;
An operation control unit controlling performance of a massage operation corresponding to the matching massage contents and controlling performance of a game operation corresponding to the matching game contents according to the determination result of the massage content determination unit and the game content determination unit;
A massage performing unit performing an operation of the matching massage contents according to the massage control signal of the operation control unit; And
And a communication unit for transmitting a game control signal for performing the operation of the matching game contents to the HMD device through the communication network.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인지능력 분석부는,
상기 기억력 중 시지각 기억력, 대상 기억력 및 순차 기억력 각각에 대한 기억력 정확도, 기억 신속성, 검사 난이도 및 테스트 힌트 별의 점수에 기억력 가중치가 적용된 평균값으로부터 상기 사용자에 대한 기억력 지수를 상기 인지능력 분석정보로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의 인지능력 개선을 위한 안마의자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cognitive ability analysis unit,
The memory index for the user is calculated as the cognitive ability analysis information from an average value of memory weights applied to the scores for each of the visual perception memory, the target memory, and the sequential memory, the memory accuracy, memory quickness, test difficulty, and test hints. Massage chair system for improving the user's cognitive ability, characterized in that.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인지능력 분석부는,
상기 행위수행능력 중 일과계획능력, 계산능력 및 시간계획능력 각각에 대한 계획 완성도, 계획수행 정확도, 계산능력 정확도, 검사 난이도, 및 테스트 힌트 별의 점수에 행위수행능력 가중치가 적용된 평균값으로부터 상기 사용자에 대한 행위수행능력 지수를 상기 인지능력 분석정보로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의 인지능력 개선을 위한 안마의자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cognitive ability analysis unit,
From the average value of the performance performance weights applied to the scores for each of the performance planning ability, planning completion accuracy, planning performance accuracy, computational accuracy, test difficulty, and test hint among each of the performance performance capabilities, to the user Massage chair system for improving a user's cognitive ability, characterized in that the performance performance index for Korea is calculated as the cognitive ability analysis information.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인지능력 분석부는,
상기 시지각 인지력 중 탐색 및 관찰능력, 시각 운동속도능력, 눈과 손의 협응력 각각에 대한 시각 및 지각 정확도, 시각 및 지각 속도, 검사 난이도 및 테스트 힌트 별의 점수에 시지각인지력 가중치가 적용된 평균값으로부터 상기 사용자에 대한 시지각 인지력지수를 상기 인지능력 분석정보로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의 인지능력 개선을 위한 안마의자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cognitive ability analysis unit,
Among the visual perception cognition, search and observation ability, visual motor speed ability, visual and perceptual accuracy for each eye and hand coordination, visual and perceptual velocity, test difficulty, and test hint scores from the average value applied visual perception perception weight Massage chair system for improving the user's cognitive ability, characterized in that the visual perception cognitive index for the user is calculated as the cognitive ability analysis information.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인지능력 분석부는,
상기 주의력 중 선택적 주의집중력, 지속적 주의집중력 및 동시적 협응능력 각각에 대한 선택적 집중도, 지속적 집중도, 동시적 협응도, 검사 난이도 및 테스트 힌트 별의 점수에 주의력 가중치가 적용된 평균값으로부터 상기 사용자에 대한 주의력 지수를 상기 인지능력 분석정보로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의 인지능력 개선을 위한 안마의자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cognitive ability analysis unit,
Selective attention concentration among the attention, continuous attention concentration, and selective concentration for each of the simultaneous coordination ability, attention concentration index for the user from the average value with attention weighting on the score of each test concentration and test hint Massage chair system for improving the user's cognitive ability, characterized in that calculated as the cognitive ability analysis information.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인지능력 분석부는,
상기 언어능력 중 단어 능력, 문장 능력 및 상황 능력 각각에 대한 이해도, 해석도, 표현도, 검사 난이도 및 테스트 힌트 별의 점수에 언어능력 가중치가 적용된 평균값으로부터 상기 사용자에 대한 언어능력 지수를 상기 인지능력 분석정보로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의 인지능력 개선을 위한 안마의자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cognitive ability analysis unit,
The language ability index for the user is recognized from the average value of the language ability weights applied to the scores for the understanding, interpretation, expression, test difficulty, and test hint of each of the language ability, sentence ability, and situational ability. Massage chair system for improving user's cognitive ability,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alculated by ability analysis information.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안마컨텐츠 결정부는,
상기 인지능력 분석정보에 속하는 상기 사용자에 대한 기억력 지수, 행위수행능력 지수, 시지각 인지력 지수, 주의력 지수 및 언어능력 지수에 따라, 상기 안마 컨텐츠들 중에서 주무름 컨텐츠, 두드림 컨텐츠, 손날 두드림 컨텐츠 및 지압 컨텐츠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컨텐츠와 이에 대응하는 안마 레벨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의 인지능력 개선을 위한 안마의자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massage content determining unit,
According to the memory index, behavioral performance index, visual perception cognitive index, attention index, and language ability index for the user belonging to the cognitive ability analysis information, among the massage contents, handjob content, tapping content, hand tapping content and acupressure content Massage chair system for improving a user's cognitive ability, characterized by determining at least one of the content and a massage level corresponding thereto.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게임컨텐츠 결정부는,
상기 인지능력 분석정보에 속하는 상기 사용자에 대한 기억력 지수, 행위수행능력 지수, 시지각 인지력 지수, 주의력 지수 및 언어능력 지수에 따라, 상기 게임 컨텐츠들 중에서 언어게임 컨텐츠, 기억력게임 컨텐츠, 집중력게임 컨텐츠, 지남력게임 컨텐츠 중 적어도 하나 이상과 이에 대응하는 게임 레벨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의 인지능력 개선을 위한 안마의자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game content determination unit,
Language game content, memory game content, concentration game content, among the game contents, according to the memory index, behavior performance ability index, visual perception perception index, attention index, and language ability index for the user belonging to the cognitive ability analysis information, Massage chair system for improving a user's cognitive ability, characterized by determining at least one of the content of the last year's game and a game level corresponding thereto.
청구항 1에 있어서,
복수의 매칭 안마컨텐츠들 및 복수의 매칭 게임컨텐츠들의 조합에 따른 적어도 하나 이상의 컨텐츠 그룹핑정보를 생성하는 그룹핑정보 생성부; 및
생성된 복수개의 컨텐츠 그룹핑정보들을 조합한 테마 정보를 생성하여 등록하는 테마 등록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동작 제어부는,
상기 테마 정보에 따라, 상기 사용자에 대한 복수의 매칭 안마컨테츠들 또는 매칭 게임컨테츠들을 순차적으로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의 인지능력 개선을 위한 안마의자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grouping information generator configured to generate at least one content grouping information according to a combination of a plurality of matching massage contents and a plurality of matching game contents; And
Further comprising a theme registration unit for generating and registering theme information combining a plurality of generated content grouping information,
The operation control unit,
Massage chair system for improving a user's cognitive ability, characterized in that the plurality of matching massage contents or matching game contents for the user is sequentially controlled according to the theme information.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테마 등록부는,
감성 가중치가 반영된 테마 인자값을 이용하여 상기 복수개의 컨텐츠 그룹핑정보들을 조합하여 상기 테마 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의 인지능력 개선을 위한 안마의자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9,
The theme registration unit,
A massage chair system for improving a user's cognitive ability, characterized in that the theme information is generated by combining the plurality of content grouping information using a theme factor value reflecting emotion weight.
KR1020190010019A 2018-02-26 2019-01-25 Massage chair system for improving cognitive ability of user KR102105552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3130 2018-02-26
KR20180023130 2018-02-2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2992A KR20190102992A (en) 2019-09-04
KR102105552B1 true KR102105552B1 (en) 2020-04-28

Family

ID=679504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10019A KR102105552B1 (en) 2018-02-26 2019-01-25 Massage chair system for improving cognitive ability of us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05552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06752B1 (en) * 2019-12-30 2020-05-06 주식회사 엠쓰리솔루션 Interactive VR system that can interact with multiple groups to enhance brain cognitive function
KR102402126B1 (en) * 2020-12-17 2022-05-26 전남대학교병원 Methods and apparatus for managing clinical trial schedules
KR102336900B1 (en) * 2021-03-11 2021-12-08 서영철 cognitive training curriculum composition system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and method for driving the same
KR102349329B1 (en) * 2021-09-09 2022-01-11 안병문 Massage chair system based on virtual reality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2117B1 (en) 2014-06-25 2015-03-12 주식회사 바디프랜드 User customized healing music massage chair for relieving stress
JP2015508296A (en) 2012-01-20 2015-03-19 ガバプラス.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Brain function improvement system for dementia prevention and its operation method
JP2017536566A (en) 2014-10-23 2017-12-07 ザ リージェンツ オブ ザ ユニバーシティ オブ カリフォルニア Method for enhancing cognition and system for implementing the same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333795A1 (en) * 2009-12-08 2011-06-15 Nanocyl S.A. PTC resistor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508296A (en) 2012-01-20 2015-03-19 ガバプラス.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Brain function improvement system for dementia prevention and its operation method
KR101502117B1 (en) 2014-06-25 2015-03-12 주식회사 바디프랜드 User customized healing music massage chair for relieving stress
JP2017536566A (en) 2014-10-23 2017-12-07 ザ リージェンツ オブ ザ ユニバーシティ オブ カリフォルニア Method for enhancing cognition and system for implement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2992A (en) 2019-09-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05552B1 (en) Massage chair system for improving cognitive ability of user
US20230078793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an artificial intelligence engine to optimize a peak performance
US20220331663A1 (en) System and Method for Using an Artificial Intelligence Engine to Anonymize Competitive Performance Rankings in a Rehabilitation Setting
KR102165592B1 (en) Virtual Reality Contents System for the Treatment of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and Virtual Reality Contents Providing Method
KR20190027354A (en) Method and system for acquiring, analyzing and generating vision performance data and modifying media based on vision performance data
KR101983279B1 (en) Nerve disprder diagnosis apparatus and method using virtual reality
Mei et al. Towards joint attention training for children with ASD-a VR game approach and eye gaze exploration
WO2007016241A2 (en) Interactive systems and methods for mental stimulation
KR102423849B1 (en) System for providing treatment and clinical skill simulation using virtual reality
Porcino et al. Identifying cybersickness causes in virtual reality games using symbolic machine learning algorithms
Fominykh et al. Conceptual framework for therapeutic training with biofeedback in virtual reality: First evaluation of a relaxation simulator
US20200251211A1 (en) Mixed-Reality Autism Spectrum Disorder Therapy
Meusel Exploring mental effort and nausea via electrodermal activity within scenario-based tasks
US11249549B2 (en) Brain connectivity-based visual perception training device, method and program
KR102437583B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User-Customized Color Content For Preferred Colors Using Biosignals
KR20200092659A (en) Medical communication virtual training simulation system and method
Mirzaei et al. Head Up visualization of spatial sound sources in virtual reality for deaf and hard-of-hearing people
CN113748441A (en) Virtual agent team
Dæhlen Towards developing an eye-tracker based virtual reality application for supporting vision screening
Clua et al. Challenges for XR in Games
KR102543337B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User-Customized Color Healing Content Based On Biometric Information Of A User Who has Created An Avatar
KR102617431B1 (en) A System And Method For Calculating The Optimum Temperature For A User-Customized Immersive Content Test Bed Performing Content By Creating An Avatar
Tabbaa Emotional Spaces in Virtual Reality: Applications for Healthcare & Wellbeing
Warnhag et al. Evaluating the Effects of Pre-Attentive Processing on Player Performance and Perception in Platform Video Games
Verzonilla Applications of Virtual Realit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