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05148B1 - Travel bag with mating structure - Google Patents

Travel bag with mating structur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05148B1
KR102105148B1 KR1020200014595A KR20200014595A KR102105148B1 KR 102105148 B1 KR102105148 B1 KR 102105148B1 KR 1020200014595 A KR1020200014595 A KR 1020200014595A KR 20200014595 A KR20200014595 A KR 20200014595A KR 102105148 B1 KR102105148 B1 KR 1021051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il
bag
rail groove
sub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14595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현서
Original Assignee
김현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현서 filed Critical 김현서
Priority to KR10202000145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05148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051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0514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7/00Collapsible or extensible purses, luggage, bags or the like
    • A45C7/0018Rigid or semi-rigid luggage
    • A45C7/0045Rigid or semi-rigid luggage comprising a plurality of separable elements which can be used independently of one another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26Special adaptations of handles
    • A45C13/262Special adaptations of handles for wheeled luggag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5/00Rigid or semi-rigid luggage
    • A45C5/14Rigid or semi-rigid luggage with built-in roll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26Special adaptations of handles
    • A45C13/262Special adaptations of handles for wheeled luggage
    • A45C2013/267Special adaptations of handles for wheeled luggage the handle being slidable, extractable and lockable in one or more positions

Landscapes

  • Purses, Travelling Bags, Baskets, Or Suitcases (AREA)

Abstract

A travel bag equipped with a coupling structur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main bag in which a first handle formed to enable height adjustment is arranged at one side and a rigid part having rail groove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wo vertical directions is arranged at the other side; and a sub bag in which rail parts corresponding to the rail grooves are arranged on one side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wo vertical directions. The main bag and the sub bag are coupled to each other by sliding the rail parts to be inserted into the rail grooves.

Description

결합구조를 구비한 여행용 가방{TRAVEL BAG WITH MATING STRUCTURE}Traveling bag with combined structure {TRAVEL BAG WITH MATING STRUCTURE}

본 발명은 여행용 가방에 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항공기 이용시 수하물로 적재할 수 있는 메인가방과 기내로 반입 가능한 서브가방을 상호 탈부착 가능하도록 구성된 결합구조를 구비한 여행용 가방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ravel bag, and more particularly, to a travel bag having a coupling structure configured to detachably attach a main bag that can be loaded as baggage and a sub bag that can be carried into the cabin when using an aircraft.

최근 주 5일제가 정착되어 여행객들이 늘어나면서 다양한 수요자가 다양한 목적으로 여행용 가방을 사용하게 되었으며, 이에 따라 다양한 목적에 맞는 다양한 형태의 여행용 가방이 제작되고 있다.As the 5 days a week system has been settled recently, as the number of travelers has increased, various customers have used travel bags for various purposes, and accordingly, various types of travel bags have been produced for various purposes.

일반적으로 여행용 가방은 장기간 체류를 위해 각종 짐이 가능한 한 컴팩트하면서도 다량 수납 가능하게 구성되며, 손잡이의 길이조절이 가능하여 이동이 용이하게 구비되고, 하부에 바퀴를 설치하여 다양한 외부환경에 즉각 대처할 수 있게 만들어진다.In general, the travel bag is configured to accommodate as much as possible while storing various luggage for long-term stay, and it is possible to adjust the length of the handle so that it can be easily moved, and the wheel can be installed at the bottom to immediately cope with various external environments. Is made.

특히 여행용 가방은 그 용도에 따라 항공기 수화물로 적재하기 위한 대용량 가방과, 기내에 반입할 수 있는 소용량 가방으로 구분될 수 있으며, 장기 여행을 위해서는 대용량 가방 및 소용량 가방을 함께 소지하는 경우가 많아지고 있다.In particular, the travel bag can be classified into a large-capacity bag for loading as an aircraft luggage and a small-capacity bag that can be carried on board depending on its use, and for long-term travel, a large-capacity bag and a small-capacity bag are often carried together. .

이 경우 공항 내에서 대용량 가방 및 소용량 가방을 함께 이동시키는 것이 불편하며, 따라서 대용량 가방 및 소용량 가방을 필요에 따라 탈부착 가능하도록 구성된 여행용 가방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In this case, it is inconvenient to move the large-capacity bag and the small-capacity bag together at the airport, and accordingly, there is a need for a travel bag configured to detach the large-capacity bag and the small-capacity bag as necessary.

한편, 하기 선행기술문헌에는 수하물용 여행가방에 부착된 상태로 비콘신호를 출력하며 사용자가 소지한 단말기를 통해 동작설정 및 확인이 이루어지도록 하되, 비행 상태를 자동으로 판단하여 절전모드로 전환함으로 불필요한 전력소모를 방지하고 수하물 수령시 인증되지 않은 사용자가 집어들 경우 경보를 출력할 수 있는 항공 수하물용 여행가방 분실방지 장치에 관한 내용이 개시되어 있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는 개시하고 있지 않다. On the other hand, in the following prior art documents, a beacon signal is output in a state attached to a baggage travel bag, and operation setting and confirmation are performed through a terminal carried by the user, but it is automatically determined by the flight status and switched to a power saving mode. Disclosed is a description of a device for preventing loss of a travel bag for air baggage that prevents power consumption and outputs an alert when an unauthorized user picks up upon receipt of baggage, and does not disclose the technical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2007720호Republic of Korea Registered Patent Publication No. 10-2007720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결합구조를 구비한 여행용 가방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해결과제를 목적으로 한다.A travel bag having a coupling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ims to solve the problems described above.

항공기를 이용한 여행시 사용자의 이동 편의성을 담보할 수 있는 여행용 가방을 제공하는 것이다. It is to provide a travel bag that can secure the user's mobility when traveling by aircraft.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해 기술분야에 있어서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The problem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ose mentioned above, and other problem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결합구조를 구비한 여행용 가방은 일측에는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제1 손잡이가 배치되고, 타측에는 상호 이격된 두 개의 수직 방향의 레일홈이 형성된 강직부가 배치되는 메인가방; 및 일측에 상기 레일홈과 대응되는 두 개의 수직 방향의 레일부가 상호 이격되도록 배치되는 서브가방;을 포함하고, 상기 메인가방 및 상기 서브가방은 상기 레일부가 상기 레일홈에 슬라이딩 삽입되어 상호 결합된다.A travel bag having a coupling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first handle formed to be adjustable in height on one side, and a rigid portion formed with two vertically spaced rail grooves on the other side is disposed. Main bag; And a sub bag disposed on one side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wo vertical rail portions corresponding to the rail groove, wherein the main bag and the sub bag are coupled to each other by slidingly inserting the rail portion into the rail groove.

상기 레일홈의 하부에는 제1 완충부가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a first buffer part is disposed under the rail groove.

상기 레일부는, 상기 레일홈의 최하단과의 완충을 위한 제2 완충부; 및 상기 레일홈과의 슬라이딩 결합시 측면 마찰을 방지하기 위한 마찰방지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rail portion, the second buffer portion for buffering with the bottom of the rail groove; And a friction preventing part for preventing side friction when sliding with the rail groove.

상기 레일부는 복수 개의 불연속 레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rail portion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discontinuous rails.

보드 및 상기 보드의 일측에 배치되고 상기 레일홈에 인입되는 돌출레일을 포함하는 무게측정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레일홈의 최하단에는 로드셀이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t further comprises a weight measuring module including a board and a protruding rail that is disposed on one side of the board and is introduced into the rail groove, and a load cell is preferably disposed at the bottom of the rail groove.

상기 레일홈은 상기 강직부의 표면으로부터 내측방향으로 형성되는 제1 홈부 및 상기 제1 홈부의 끝단으로부터 측면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제2 홈부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rail groove is preferably composed of a first groove portion formed inward from the surface of the rigid portion and a second groove portion extending in a lateral direction from an end of the first groove portion.

상기 강직부의 상부에는 상기 제1 홈부와 중첩되지 않되 상기 제2 홈부와 중첩되도록 배치되는 볼트공이 형성되고,The upper portion of the rigid portion is formed with a bolt hole that is not overlapped with the first groove portion but is disposed to overlap the second groove portion,

상기 레일부를 상기 레일홈의 끝단까지 인입한 후 상기 볼트공에 볼트를 체결하여 상기 메인가방으로부터의 상기 서브가방의 이탈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o prevent the separation of the sub bag from the main bag by fastening a bolt to the bolt hole after drawing the rail portion to the end of the rail groove.

상기 메인가방 및 서브가방 사이에 배치되는 결합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결합모듈은, 결합판재; 상기 결합판재의 일측에 배치되고 상기 레일홈과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제1 서브레일; 및 상기 결합판재의 타측에 배치되고 상기 레일부와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제2 서브레일;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Further comprising a coupling module disposed between the main bag and the sub bag, the coupling module, the coupling plate; A first subrail disposed on one side of the coupling plate and formed to correspond to the rail groove; And a second subrail disposed on the other side of the coupling plate and formed to correspond to the rail por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결합구조를 구비한 여행용 가방은 수하물로 적재할 수 있는 메인가방과 기내로 반입 가능한 서브가방을 상호 탈부착할 수 있는 결합구조를 구비함으로써 사용자의 여행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A travel bag having a coupling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coupling structure capable of detachably attaching a main bag that can be loaded as baggage and a sub bag that can be carried into the cabin, thereby improving the convenience of the user's travel. There are advantages.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해 기술분야에 있어서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질 수 있을 것이다.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ose mentioned above,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may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결합구조를 구비한 여행용 가방의 결합전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결합구조를 구비한 여행용 가방 중 서브가방의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결합구조를 구비한 여행용 가방의 결합후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결합구조를 구비한 여행용 가방에서의 서브가방의 다른 구현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결합구조를 구비한 여행용 가방에서 무게측정모듈의 사용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결합구조를 구비한 여행용 가방에서 볼트공 및 볼트 체결의 사용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결합구조를 구비한 여행용 가방에서 결합모듈의 사용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1 is a view showing a state before coupling of a travel bag having a coupling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view of a sub-bag of a travel bag having a coupling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view showing a state after the combination of the travel bag with a coupling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sub-bag in the travel bag having a coupling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use of the weighing module in the travel bag with a coupling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and 7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use of a bolt hole and bolt fastening in a travel bag having a coupling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use of a coupling module in a travel bag having a coupling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The preferred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but the same or similar elements are assigned the same reference numbers regardless of the reference numerals, and redundant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사상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의 사상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됨을 유의해야 한다.In addition, in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detailed descriptions of related known technologies ma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detailed descriptions thereof will be omitted. In addition, it should be noted that the accompanying drawings are only for easy understanding of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should not be interpreted as limiting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the accompanying drawings.

이하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결합구조를 구비한 여행용 가방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Hereinafter, a travel bag having a coupling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8.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결합구조를 구비한 여행용 가방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가방(100) 및 서브가방(200)을 포함하도록 구성되되, 서브가방(200)이 메인가방(100)에 용이하게 탈부착 가능하도록 형성된다. The travel bag having a coupling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to include the main bag 100 and the sub bag 200 as shown in FIGS. 1 to 3, but the sub bag 200 is main It is formed to be easily detachable to the bag 100.

메인가방(100)은 비행기 기내에 반입이 불가하여 수하물로 적재하여야 하는 가방으로, 구체적으로 본체(110)와, 본체 일측에는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제1 손잡이(120)가 배치되고, 본체(110) 하부에는 용이한 이동을 위한 바퀴가 배치된다. The main bag 100 is a bag that cannot be brought into the airplane cabin and must be loaded as baggage. Specifically, the main body 110 and a first handle 120 formed to be adjustable in height are disposed on one side of the main body. A wheel for easy movement is disposed under the (110).

아울러, 본체(110)의 타측, 즉 제1 손잡이(120)가 배치되는 일측과 대향되는 면에는 강직부(150)가 배치되며, 이러한 강직부(150)에는 레일홈(158)이 형성된다.In addition, a rigid portion 150 is disposed on the other side of the body 110, that is, a side facing the one side where the first handle 120 is disposed, and a rail groove 158 is formed in the rigid portion 150.

구체적으로 강직부(150)에는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호 평행하게 이격된 2개의 레일홈(158)이 수직방향으로 형성되는데, 이러한 레일홈(158)은 강직부(150)의 표면으로부터 내측방향으로 형성되는 제1 홈부 및 제1 홈부의 끝단으로부터 측면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제2 홈부로 구성됨으로써 레일홈(158)의 단면이 'ㄱ'자 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Specifically, as shown in FIGS. 1 and 3, two rail grooves 158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vertical direction are formed in the rigid portion 150, and such rail grooves 158 are provided in the rigid portion 150. It is preferable that the cross section of the rail groove 158 is formed in an 'a' shape by being composed of a first groove portion formed inward from the surface and a second groove portion extending in a lateral direction from the end of the first groove portion.

나아가 후술할 서브가방(200)과의 결합시 서브가방(200)의 자중에 의한 레일홈(158)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하여 레일홈(158)의 하부에는 제1 완충부(172)가 배치될 수 있으며, 이러한 제1 완충부(172)는 고무재질, 실리콘 등의 탄성이 있는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Further, in order to prevent damage to the rail groove 158 due to the weight of the sub bag 200 when combined with the sub bag 200 to be described later, the first buffer portion 172 is disposed under the rail groove 158. It may be, such a first buffer portion 172 is preferably formed of a rubber material, an elastic material such as silicone.

서브가방(200)은 상술한 메인가방(100)과 탈부착 가능하도록 구성된 구성으로, 도 1 내지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브가방 본체(210), 제2 손잡이(220)를 포함하도록 구성되며, 특히 일측에는 상술한 레일홈(158)과 대응되는 레일부(238)가 배치된다. The sub bag 200 is configured to be detachable from the main bag 100 described above, and is configured to include the sub bag body 210 and the second handle 220 as shown in FIGS. On one side, a rail portion 238 corresponding to the above-described rail groove 158 is disposed.

즉, 레일부(238)는 레일홈(158)과 마찬가지로 2개로 구성되며, 이러한 2개의 레일부(238)는 수직방향으로 상호 평행 이격되도록 형성되는데, 레일부(238)의 단면 또한 제1 홈부 및 제2 홈부로 이루어진 레일홈(158)의 단면과 대응되도록 형성되어야 하며, 이러한 구조에 의하여 서브가방(200)의 레일부(238)는 메인가방(100)의 레일홈(158)을 따라 상측에서 하측 방향으로 슬라이딩 삽입됨으로써 서브가방(200)이 메인가방(100)에 결합되게 된다.That is, the rail portion 238 is composed of two, like the rail groove 158, these two rail portions 238 are form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cross section of the rail portion 238 is also a first groove portion And it should be formed to correspond to the cross-section of the rail groove 158 made of a second groove portion, the rail portion 238 of the sub bag 200 by this structure along the rail groove 158 of the main bag 100, the upper side In the sliding direction in the downward direction, the sub bag 200 is coupled to the main bag 100.

또한, 서브가방(200)의 레일부(238)는 쉽게 변형되지 않도록 견고한 금속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레일부(238)의 최하단에는 실리콘이나 고무 등의 탄성이 있는 재질로 형성된 제2 완충부(236)를 구비함으로써 서브가방(200)을 메인가방(100)에 결합할 경우 서브가방(200)의 자중에 의한 메인가방(100) 레일홈(158)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rail portion 238 of the sub bag 200 is preferably formed of a sturdy metal material so that it is not easily deformed, and a second buffer formed of an elastic material such as silicone or rubber at the bottom of the rail portion 238 When the sub bag 200 is coupled to the main bag 100 by providing the portion 236, damage to the rail groove 158 of the main bag 100 due to the weight of the sub bag 200 can be prevented.

아울러, 레일부(238)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찰방지부(234)를 구비할 수 있는데, 마찰방지부(234)는 신축성이 있는 재질로 형성되어 레일부(238)가 레일홈(158) 내에서 슬라이딩 삽입될 때 발생될 수 있는 레일홈(158)의 측벽 및 레일부(238)의 측면 간의 마찰에 의한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rail portion 238 may be provided with a friction preventing portion 234, as shown in Figure 2, the friction preventing portion 234 is formed of a flexible material, the rail portion 238 is a rail groove ( 158) can be prevented from being damaged by friction between the side wall of the rail portion 238 and the side wall of the rail groove 158, which may occur when the sliding insert.

한편, 서브가방(200)에 다량의 짐이 수납되어 서브가방(200)의 후면이 팽창할 경우 레일부(238) 또한 변형이 일어나 레일부(238)의 레일홈(158)에 슬라이딩 삽입이 불가한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when a large amount of luggage is stored in the sub bag 200 and the rear surface of the sub bag 200 expands, the rail portion 238 also deforms and sliding insertion into the rail groove 158 of the rail portion 238 is impossible. A situation can occur.

이러한 상황을 방지하기 위하여 서브가방(200)의 레일부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 개의 불연속 레일(278)로 구성될 수도 있다.In order to prevent such a situation, the rail portion of the sub bag 200 may be composed of a plurality of discontinuous rails 278 as shown in FIG. 4.

한편, 최근 중소형 가방 등 기내로 반입하려고 하는 가방 등의 무게에 제한을 두는 경우가 많아지고 있으며, 이를 위하여 기내 반입을 위한 가방 등의 물품의 무게를 상시로 체크할 수 있는 수단이 필요하다. On the other hand, in recent years, the weight of bags, such as small and medium-sized bags, which are intended to be carried in the cabin is often limited, and for this purpose, a means capable of constantly checking the weight of items such as bags for carrying in the cabin is required.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결합구조를 구비한 여행용 가방은 기내에 반입하기 위한 가방 등의 무게를 측정하기 위한 무게측정모듈(3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Therefore, the travel bag having a coupling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weighing module 300 for measuring the weight of a bag or the like for carrying in the cabin.

이러한 무게측정모듈(30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드(310)와 강직부(150)의 레일홈(158)에 인입되는 돌출레일(338)을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The weighing module 300 is configured to include a protruding rail 338 that is introduced into the rail groove 158 of the board 310 and the rigid portion 150, as shown in FIG.

보드(310)는 기내로 반입할 수 있는 서브가방(200) 등의 물품을 안착시키기 위한 구성이며, 돌출레일(338)은 강직부(158)의 레일홈(158)에 인입되는 구성으로, 이러한 돌출레일(338)의 단면은 레일홈(158)의 단면과 대응되도록 형성되되 레일홈(158)의 단면보다 작게 형성됨으로써 돌출레일(338)의 측면과 레일홈(158)의 측면 사이의 마찰력에 의하여 대상물품의 무게측정에 오차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Board 310 is a configuration for seating items such as a sub-bag 200 that can be carried into the cabin, the protruding rail 338 is a configuration that is drawn into the rail groove 158 of the rigid portion 158, such The cross-section of the protruding rail 338 is formed to correspond to the cross-section of the rail groove 158, but is formed smaller than the cross-section of the rail groove 158 so that the frictional force between the side surface of the protruding rail 338 and the side surface of the rail groove 158 is applied. Therefore, it is desirable to prevent an error from occurring in the weighing of the object.

이때 레일홈(158)의 하단에는 무게감지를 위한 로드셀(173)이 배치되어야 하며, 메인가방 본체(110) 상부에는 감지된 무게를 출력하거나 또는 오류 메시지 등을 출력하기 위한 디스플레이(350)가 장착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load cell 173 for weight detection should be disposed at the bottom of the rail groove 158, and the display 350 for outputting the detected weight or outputting an error message or the like is mounted on the main bag body 110. You can.

특히,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일홈(158) 및 돌출레일(338)이 각각 2개씩 마련될 경우, 2개의 돌출레일(338)에는 각각 제1 로드셀 및 제2 로드셀이 배치될 수 있다. In particular, as shown in FIG. 5, when two rail grooves 158 and two protruding rails 338 are provided, a first load cell and a second load cell may be respectively disposed on the two protruding rails 338.

이때 제1 로드셀에서 감지한 무게 및 제2 로드셀에서 감지한 무게의 평균값을 디스플레이(350)에 출력할 수도 있으나, 무게측정모듈(300)이 강직부(150)에 비스듬하게 결합되는 경우나 또는 보드(310) 상에 물체를 일측 방향으로 편중되게 안착할 경우 제1 로드셀 및 제2 로드셀에서 각각 측정한 값에 차이가 발생할 수 있으며, 이들의 평균값으로 최종 무게를 일괄적으로 산출할 경우 측정한 무게의 정확성을 담보할 수 없게 된다. At this time, the average value of the weight sensed by the first load cell and the weight sensed by the second load cell may be output to the display 350, but when the weighing module 300 is obliquely coupled to the rigid portion 150 or the board When an object is placed on one side in a biased direction on 310, a difference may occur in the values measured by the first load cell and the second load cell, respectively, and when the final weight is collectively calculated as their average value, the measured weight The accuracy of this cannot be guaranteed.

이러한 문제점을 방지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결합구조를 구비한 여행용 가방에서는 제1 로드셀 및 제2 로드셀이 각각 측정한 값의 차이가 미리 설정된 값보다 클 경우 무게측정모듈(300)을 다시 결합해야 한다거나 또는 보드(310) 상에 물건을 정위치에 놓아야 한다는 등의 경고 메시지를 디스플레이(350)에 출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order to prevent such a problem, in the travel bag having a coupling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f the difference between the values measured by the first load cell and the second load cell is greater than a preset value, the weighing module 300 It is preferable to output a warning message to the display 350, such as re-joining or placing an object on the board 310 in place.

아울러, 제1 로드셀 및 제2 로드셀 중 어느 하나가 고장날 경우 정확한 무게의 측정이 어렵게 되며,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도 5와는 다르게 강직부(150)에는 3개의 레일홈(158)이 형성될 수 있으며, 각각의 레일홈(158) 하부에는 상기 제1 완충부(172)를 대체하거나 상기 제1 완충부(172)의 상측 또는 하측으로 각각 제1 로드셀, 제2 로드셀 및 제3 로드셀이 마련될 수 있으며, 무게측정모듈(300) 또한 3개의 레일홈(158)에 각각 인입되기 위한 3개의 돌출레일(338)을 구비하여야 한다. In addition, when one of the first load cell and the second load cell fails, it is difficult to accurately measure the weight, and in order to prevent this, three rail grooves 158 may be formed in the rigid portion 150 unlike FIG. 5, A first load cell, a second load cell, and a third load cell may be provided below each rail groove 158 to replace the first buffer part 172 or to the upper or lower side of the first buffer part 172, respectively. , The weighing module 300 must also be provided with three protruding rails 338 for entering each of the three rail grooves 158.

상술한 구성을 통하여 로드셀 중 어느 하나가 고장날 경우라도 고장에 의한 측정 오류를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측정이 불가한 상황을 방지할 수 있다. Through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even if any one of the load cells fails, it is possible not only to prevent measurement errors due to failure, but also to prevent situations in which measurement is impossible.

즉, 3개의 로드셀들이 각각 측정한 값이 미리 설정된 수치 미만일 경우에는 3개의 로드셀들이 각각 측정한 값의 평균을 측정무게로 출력하도록 구성하고, 3개의 로드셀의 측정값들의 차이가 모두 미리 설정된 수치 이상일 경우 경고메시지를 디스플레이(350)에 출력하면 된다.That is, when the values measured by each of the three load cells are less than a preset value, the three load cells are configured to output the average of the measured values as a measurement weight, and the difference between the measured values of the three load cells is equal to or greater than a preset value. In this case, a warning message may be output to the display 350.

그러나, 3개의 로드셀 중 어느 하나의 로드셀에서 측정한 값이 다른 두 개의 로드셀에서 측정한 값과의 차이가 미리 설정된 제1 수치 이상일 경우, 예를 들면 제1 로드셀에서 측정한 제1 무게가 제2 로드셀 및 제3 로드셀에서 측정한 제2 무게 및 제3 무게와 미리 설정된 제1 수치 이상일 경우 먼저 제1 로드셀에 이상이 있음을 디스플레이(350)를 통해 출력한다.However, when the difference between the value measured by one of the three load cells and the value measured by the other two load cells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first preset value, for example, the first weight measured by the first load cell is the second. When the second and third weights measured by the load cell and the third load cell are greater than or equal to a preset first numerical value, first, the first load cell has an abnormality through the display 350.

동시에 제2 무게 및 제3 무게의 차이가 미리 설정된 제2 수치 미만일 경우에는 제2 무게 및 제3 무게의 평균치를 디스플레이(350)를 통해 출력함으로써, 어느 하나의 로드셀에 이상이 발생할 경우라도 나머지 두 개의 로드셀을 이용한 무게가 출력되도록 함으로써 무게의 측정이 가능함과 동시에 정확한 무게의 측정을 담보할 수 있게 된다. At the same time, if the difference between the second weight and the third weight is less than the preset second value, the average value of the second weight and the third weight is output through the display 350, so that even if an error occurs in any one load cell, the remaining two By outputting the weight using two load cells, it is possible to measure the weight and ensure accurate measurement of the weight.

아울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결합구조를 구비한 여행용 가방은 서브가방(200)을 메인가방(100)에 결합한 이후에 서브가방(200)이 메인가방(100)으로부터 쉽게 이탈되지 않도록 별도의 잠금수단을 구비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travel bag having a coupling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eparate so that the sub bag 200 is not easily disengaged from the main bag 100 after the sub bag 200 is coupled to the main bag 100. It can be provided with a locking means.

구체적으로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강직부(150)의 상부에는 레일홈(158)의 제1 홈부와 중첩되지 않되 제2 홈부와 중첩되도록 배치되는 볼트공(170)이 형성될 수 있다.Specifically, as shown in FIGS. 6 and 7, a bolt hole 170 that is not overlapped with the first groove portion of the rail groove 158 but is disposed to overlap the second groove portion may be form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rigid portion 150. have.

즉, 서브가방(200)의 레일부(238)를 강직부(150)의 레일홈(150)의 최하단까지 인입한 이후에 볼트공(170)에 볼트(270)를 체결함으로써 서브가방(200)이 메인가방(100)으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That is, after entering the rail portion 238 of the sub-bag 200 to the lowest end of the rail groove 150 of the rigid portion 150, the sub-bag 200 by fastening the bolt 270 to the bolt hole 170 It is possible to prevent departure from the main bag 100.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결합구조를 구비한 여행용 가방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별도의 결합모듈(4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travel bag having a coupling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separate coupling module 400 as shown in FIG. 8.

이러한 결합모듈(400)을 서브가방(200)이 메인가방(100)과 결합되기 어려울 정도로 레일부(238)가 파손된 경우 이러한 상황을 극복하기 위한 구성으로, 구체적으로 결합판재(410), 제1 서브레일(458) 및 제2 서브레일(438)을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This coupling module 400 is a configuration for overcoming this situation when the rail unit 238 is damaged to such an extent that it is difficult for the sub bag 200 to be coupled with the main bag 100, specifically, a coupling plate 410, a product It is configured to include one sub-rail 458 and the second sub-rail (438).

제1 서브레일(458)은 결합판재(410)의 일측에 배치되고 메인가방(100)의 레일홈(150)과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구성으로, 그 단면은 레일홈(150)의 단면과 대응되도록 형성되어야 한다. The first sub-rail 458 is disposed on one side of the coupling plate 410 and is configured to correspond to the rail groove 150 of the main bag 100, the cross section of which is to correspond to the cross section of the rail groove 150 Should be formed.

또한 제2 서브레일(438)은 결합판재(410)의 타측에 배치되고 레일부(238)와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구성이며, 이러한 결합모듈(400)의 제2 서브레일(438)은 파손된 레일부(238)에 결합판재(410)의 상부를 하측으로 가압하여 억지끼움방식으로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the second sub-rail 438 is disposed on the other side of the coupling plate 410 and is configured to correspond to the rail portion 238, and the second sub-rail 438 of the coupling module 400 is a damaged le It is preferable that the upper portion of the bonding plate material 410 is coupled to the portion 238 by a downward fitting method.

다만 파손된 레일부(238)와의 원활한 결합을 위하여 제2 서브레일(438)은 약간의 신축성이 있는 재질로 형성되거나 자세히 도시되어 있지는 않으나, 제2 서브레일(438)은 길이방향을 따라서 신축성 재질과 강직성 재질이 기 설정 영역별로 연속 배치된 형태를 이룸이 바람직하며, 나아가 제2 서브레일(438)이 레일부(238)로부터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하여 제2 서브레일(438)의 상단 및 하단에 이탈방지캡을 결합시키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However, for smooth coupling with the damaged rail portion 238, the second sub-rail 438 is formed of a slightly elastic material or is not shown in detail, but the second sub-rail 438 is an elastic material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It is preferable to form a form in which the rigid material is continuously arranged for each preset region, and further,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second sub-rail 438 are prevented by the second sub-rail 438 from the rail portion 238. It is more preferable to combine the escape prevention cap on.

또한 제2 서브레일(438)과 레일부(238) 사이의 좀 더 견고한 결합을 담보하기 위하여 제2 서브레일(438) 중 일부 영역을 자성체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In addition, in order to secure a more robust coupling between the second sub-rail 438 and the rail portion 238, it may be possible to configure a part of the second sub-rail 438 with a magnetic material.

한편, 상술한 일 실시예에서 메인가방(100)에 레일홈(158)이 구비되고, 서브가방(200)에 레일부(238)가 구비된 형태로 도시되어 있으나, 상기 메인가방(100)에 상기 서브가방(200) 레일부(238)에 체결되는 별도의 레일부가 적용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above-described exemplary embodiment, the rail groove 158 is provided in the main bag 100 and the rail unit 238 is provided in the sub bag 200, but the main bag 100 is shown. A separate rail portion fastened to the sub bag 200 rail portion 238 may be configured.

또한, 상술한 도면들에서는 메인가방(100) 하측에만 이동휠이 적용된 형태가 도시되어 있으나, 서브가방(200) 하측에도 이동휠이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In addition, in the above-described drawings, a form in which the moving wheel is applied only to the lower side of the main bag 100 is illustrated, but it is needless to say that the moving wheel may be applied to the lower side of the sub bag 200.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실시예와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기술적 사상의 일부를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것에 불과하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므로,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자명하다. 본 발명의 명세서 및 도면에 포함된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해 기술분야에 있어서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변형 예와 구체적인 실시예는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are merely illustrative of some of the technical spirit included in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to explain, and it is obvious that the scope of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Within the scope of the technical spirit included in the specification and drawings of the present invention, modifications and specific embodiments that can be easily inferr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are all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interpreted.

100: 메인가방
200: 서브가방
300: 무게측정모듈
400: 결합모듈
100: main bag
200: sub bag
300: weighing module
400: coupling module

Claims (3)

일측에는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제1 손잡이가 배치되고, 타측에는 상호 이격된 두 개의 수직 방향 레일홈이 형성된 강직부가 배치되는 메인가방;
일측에 상기 레일홈과 대응되는 두 개의 수직 방향의 레일부가 상호 이격되도록 배치되는 서브가방; 및
상기 레일홈에 설치되는 무게측정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메인가방 및 상기 서브가방은 상기 레일부가 상기 레일홈에 슬라이딩 삽입되어 상호 결합되는 구조를 이루며,
상기 레일부는 하단부에 단부측으로 순차적으로 마찰방지부와 제2 완충부가 구비되며,
상기 레일홈의 하부에는 로드셀이 배치되며,
상기 무게측정모듈은 평판 형태의 보드 및 상기 보드가 상기 강직부에 수직하게 일면이 배치되도록 상기 보드의 일변측에 구비되며 상기 레일홈에 삽입되는 돌출레일을 포함하며,
상기 메인가방은 상기 로드셀을 통하여 감지된 무게를 출력하기 위한 디스플레이가 구비되며,
상기 레일홈은 상기 레일부보다 길이가 길게 형성되고, 상기 레일부에 대응되는 위치로 상기 강직부 상부에는 볼트공이 형성되되, 상기 레일홈에 상기 레일부를 완전히 삽입 후 상기 볼트공에 볼트를 체결 시 상기 레일부가 상측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이루어지는,
여행용 가방.
A main bag in which a first handle formed to be adjustable in height is disposed on one side, and a rigid portion in which two vertical rail groove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re disposed;
A sub bag disposed on one side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wo vertical rail portions corresponding to the rail groove; And
It includes; a weight measuring module installed in the rail groove;
The main bag and the sub bag form a structure in which the rail portion is slidingly inserted into the rail groove and coupled to each other,
The rail portion is provided with a friction preventing portion and a second buffer portion sequentially to the end portion in the lower end,
A load cell is disposed under the rail groove,
The weighing module includes a flat plate and a protruding rail provided on one side of the board and inserted into the rail groove so that the board is vertically arranged on the rigid portion,
The main bag is provided with a display for outputting the weight sensed through the load cell,
The rail groove is formed to have a longer length than the rail portion, and a bolt hole is formed at the upper portion of the rigid portion to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rail portion. The rail portion is made so as not to deviate upward,
portmanteau.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홈은 "ㄱ"자 형태로 이루어지며,
상기 레일부는 상기 레일홈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여행용 가방.
According to claim 1,
The rail groove is made of a "a" shape,
The rail portion is made of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rail groove,
portmanteau.
삭제delete
KR1020200014595A 2020-02-07 2020-02-07 Travel bag with mating structure KR10210514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4595A KR102105148B1 (en) 2020-02-07 2020-02-07 Travel bag with mating structur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4595A KR102105148B1 (en) 2020-02-07 2020-02-07 Travel bag with mating structur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05148B1 true KR102105148B1 (en) 2020-04-27

Family

ID=704677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14595A KR102105148B1 (en) 2020-02-07 2020-02-07 Travel bag with mating structur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05148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64439B1 (en) * 2020-11-24 2022-02-21 한국생산기술연구원 Multiple suitcase binding system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4455Y1 (en) * 2010-01-29 2011-07-06 주식회사 케이에이치바텍 Hinge module for slide terminal with damper
KR101569684B1 (en) * 2014-11-14 2015-11-27 이상미 Carrier bag having removable bag
KR101729917B1 (en) * 2016-09-28 2017-04-25 삼광기업주식회사 The buffer device for the mobile-rack
KR102007720B1 (en) 2018-06-05 2019-08-07 주식회사 포휴먼테크 Suitcase lost prevention device for air baggage
KR20190122353A (en) * 2018-04-20 2019-10-30 유니티 컴퍼니 리미티드 Improved structure of suitcase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4455Y1 (en) * 2010-01-29 2011-07-06 주식회사 케이에이치바텍 Hinge module for slide terminal with damper
KR101569684B1 (en) * 2014-11-14 2015-11-27 이상미 Carrier bag having removable bag
KR101729917B1 (en) * 2016-09-28 2017-04-25 삼광기업주식회사 The buffer device for the mobile-rack
KR20190122353A (en) * 2018-04-20 2019-10-30 유니티 컴퍼니 리미티드 Improved structure of suitcase
KR102007720B1 (en) 2018-06-05 2019-08-07 주식회사 포휴먼테크 Suitcase lost prevention device for air baggag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64439B1 (en) * 2020-11-24 2022-02-21 한국생산기술연구원 Multiple suitcase binding system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65302B2 (en) Article of luggage with internally built-in weight measurement and display and method therefor
US8353388B2 (en) Forklift scale
US8398029B2 (en) On-board device for measuring the mass and the position of the center of gravity of an aircraft
US9738396B2 (en) Vehicle occupant sensor system and method
KR102105148B1 (en) Travel bag with mating structure
KR100952276B1 (en) Weight and center of gravity measurement apparatus for aircraft
EP2872859B1 (en) Improved luggage and weighing system for luggage
US20150226599A1 (en) Load cell assemblies for off-center loads and associated methods of use and manufacture
ES2891535T3 (en) Self Compensating Weight Sensing Fork Blade Assembly
US20150107913A1 (en) Load cell device
EP3818345A1 (en) Weighing load cells and arrangements employing them in shelves
US11162835B2 (en) Weight measuring apparatus for vehicles
EP2647569B1 (en) Attenuating cargo restraint device
US20140202776A1 (en) Load measuring system
ES2762540T3 (en) Weighing device magnetically applicable to the fork of a forklift truck with wireless data connection
CN102502455B (en) Full-floating type weighing system for forklift truck
CN104229679B (en) Forklift scale weighing module and forklift with same
BR112016017340B1 (en) METHOD OF LOADING A RAIL MAINTENANCE VEHICLE AND RAIL MAINTENANCE VEHICLE
CN204079387U (en) A kind of Balancer for fork trucks Weighing module and there is its fork truck
KR102496682B1 (en) Drone baggage binding structure
KR100825986B1 (en) A cart having a scale
KR100923779B1 (en) Apparatus for measuring weight and bags having the same
KR200467981Y1 (en) check in conveyor
KR101077292B1 (en) Weight measuring apparatus of baggage car or truck
GB2472285A (en) Self-weighing baggage with weighing sensors in feet attached to the base of the ba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