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04945B1 - 컴퓨터 파워 세이브 모드 수행 방법 및 이러한 방법을 수행하는 장치 - Google Patents

컴퓨터 파워 세이브 모드 수행 방법 및 이러한 방법을 수행하는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04945B1
KR102104945B1 KR1020190054044A KR20190054044A KR102104945B1 KR 102104945 B1 KR102104945 B1 KR 102104945B1 KR 1020190054044 A KR1020190054044 A KR 1020190054044A KR 20190054044 A KR20190054044 A KR 20190054044A KR 102104945 B1 KR102104945 B1 KR 1021049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ule
computer
power save
save mode
de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540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변상환
Original Assignee
비엔피협동조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비엔피협동조합 filed Critical 비엔피협동조합
Priority to KR10201900540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0494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049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049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06F1/3203Power management, i.e. event-based initiation of a power-saving mod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wer Sour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컴퓨터 파워 세이브 모드 수행 방법 및 이러한 방법을 수행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컴퓨터 파워 세이브 모드 수행 방법은 컴퓨터가 복수의 파워 세이브 모드를 설정하는 단계와 컴퓨터가 복수의 파워 세이브 모드를 기반으로 전원을 관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컴퓨터 파워 세이브 모드 수행 방법 및 이러한 방법을 수행하는 장치{Method for performing power save mode of computer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the method}
본 발명은 컴퓨터 파워 세이브 모드 수행 방법 및 이러한 방법을 수행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전력 사용 패턴에 대한 학습을 기반으로 컴퓨터의 파워 세이브 모드를 수행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재 많은 PC(personal computer)들이 보급되어 있으며, 개인용 PC 뿐만 아니라, 대학, 컴퓨터 학원 등의 교육 기관을 비롯하여, PC 방, 연구소 등은 대규모로 PC를 갖추고 있다. 그러나 이들 기관들에 설치된 PC 들은 사용자가 스스로 PC를 끄거나 껴는 등 PC의 전원을 자율적으로 관리한다. 이런 경우 대부분의 사용자는 PC를 사용하지 않고 자리를 뜰 때, PC를 끄지 않는다.
대부분의 운영체제들은 이런 상황에서 PC의 전력 소모를 줄이기 위해 PC의 사용 상태에 따라 자동으로 PC의 전원을 관리하도록 작동한다. 하지만 시스템 관리자가 PC 전원이 자동으로 관리되도록 운영체제를 잘 관리하지 않는다면, 사용되지 않는 PC들은 여전히 켜져 있어 불필요한 전력이 소모된다.
전원 관리는 그린 IT(Green IT), 즉 환경 친화적인 컴퓨팅에 있어 가장 중요한 부분이다. 이미 여러 기업 들에서 PC 들의 전원을 관리하는 소프트웨어를 개발하여 판매하고 있다. 예를 들어, 원격으로 네트워크에 연결된 PC를 24시간 언제든지 켤 수 있는 하드웨어, 근무시간, 비 근무시간 등에 따라 PC의 모니터를 끄거나, 대기 모드, 최대 절전모드로 PC의 전원 상태를 자동으로 전환하는 소프트웨어들이 시장에 다수 판매되고 있다.
하지만, 아직까지 그 전원 관리의 효율이 높지 않고, 이러한 PC의 전원 관리를 보다 효율적으로 하기 위한 방법이 필요하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모두 해결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파워 세이브 알고리즘을 기반으로 컴퓨터에서 불필요하게 소비되는 전력을 최소화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의 컴퓨터 성능 및 사용자의 컴퓨터에서 동작하고 있는 프로그램에 대해 판단하고, 효과적으로 전력을 절약하면서도 보다 빠르게 파워 세이브 모드와 액티브 모드를 전환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대표적인 구성은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컴퓨터 파워 세이브 모드 수행 방법은 컴퓨터가 복수의 파워 세이브 모드를 설정하는 단계와 상기 컴퓨터가 상기 복수의 파워 세이브 모드를 기반으로 전원을 관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복수의 파워 세이브 모드는 제1 파워 세이브 모드, 제2 파워 세이브 모드 및 제3 파워 세이브 모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파워 세이브 모드, 상기 제2 파워 세이브 모드 및 상기 제3 파워 세이브 모드의 순서로 상기 컴퓨터의 전력 소비를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파워 세이브 모드는 제1 모듈의 전원을 관리하고, 상기 제2 파워 세이브 모드는 제2 모듈의 전원을 관리하고, 상기 제1 모듈 및 상기 제2 모듈은 상기 컴퓨터의 하드웨어 및/또는 소프트웨어 모듈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모듈은 ON/OFF에 대한 전환 및/또는 컴퓨터 상에서 현재 수행되는 작업물에 대한 딜레이를 제1 임계 시간 이내로 발생시키는 모듈이고, 상기 제2 모듈은 상기 ON/OFF에 대한 전환 및/또는 상기 컴퓨터 상에서 현재 수행되는 작업물에 대한 딜레이를 제2 임계 시간 이내로 발생시키는 모듈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태양에 따르면, 컴퓨터 파워 세이브 모드를 수행하는 컴퓨터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복수의 파워 세이브 모드를 설정하고, 상기 복수의 파워 세이브 모드를 기반으로 전원을 관리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복수의 파워 세이브 모드는 제1 파워 세이브 모드, 제2 파워 세이브 모드 및 제3 파워 세이브 모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파워 세이브 모드, 상기 제2 파워 세이브 모드 및 상기 제3 파워 세이브 모드의 순서로 전력 소비를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파워 세이브 모드는 제1 모듈의 전원을 관리하고, 상기 제2 파워 세이브 모드는 제2 모듈의 전원을 관리하고, 상기 제1 모듈 및 상기 제2 모듈은 상기 컴퓨터의 하드웨어 및/또는 소프트웨어 모듈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모듈은 ON/OFF에 대한 전환 및/또는 컴퓨터 상에서 현재 수행되는 작업물에 대한 딜레이를 제1 임계 시간 이내로 발생시키는 모듈이고, 상기 제2 모듈은 상기 ON/OFF에 대한 전환 및/또는 상기 컴퓨터 상에서 현재 수행되는 작업물에 대한 딜레이를 제2 임계 시간 이내로 발생시키는 모듈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파워 세이브 알고리즘을 기반으로 컴퓨터에서 불필요하게 소비되는 전력이 최소화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의 컴퓨터 성능 및 사용자의 컴퓨터에서 동작하고 있는 프로그램에 대한 판단이 수행되고, 효과적으로 전력을 절약하면서도 보다 빠르게 파워 세이브 모드와 액티브 모드가 전환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파워 세이브 모드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파워 세이브 모드 동작 방법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파워 세이브 모드 동작 방법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점유율 범위별로 모듈의 전환 시간 및 딜레이 시간을 결정하는 방법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듈별 딜레이 시간 및 전환 시간 결정 방법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듈별 ON/OFF 제어 순서를 나타내는 방법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 모듈 및 제2 모듈을 결정하기 위한 임계 시간의 결정 방법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러한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본 명세서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일 실시예로부터 다른 실시예로 변경되어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도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행하여 지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특허청구범위의 청구항들이 청구하는 범위 및 그와 균등한 모든 범위를 포괄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야 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여러 바람직한 실시예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파워 세이브 모드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1에서는 사용자의 컴퓨터의 사용 패턴에 대한 학습을 통해 사용자의 컴퓨터 전력 소비를 효과적으로 줄이기 위한 파워 세이브 모드 알고리즘이 개시된다.
도 1을 참조하면, 일반적인 컴퓨터의 경우, 전환 시간의 설정을 통해 컴퓨터의 동작 모드가 전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x분 후에 디스플레이를 끄고, y분 후에 컴퓨터를 절전 모드로 전환하고, z분 후에 컴퓨터의 전원을 OFF 상태로 전환하는 것과 같이 사용자의 직접적인 설정에 따라 컴퓨터의 동작 모드가 전환될 수 있다.
하지만, 전원 관리를 위한 일률적인 타이머 설정보다 더욱 효과적으로 컴퓨터의 전력을 제어할 수 있는 파워 세이빙 알고리즘이 필요하다. 구체적으로 사용자의 컴퓨터 성능 및 사용자의 컴퓨터에서 동작하고 있는 프로그램 등과 같은 사용자 컴퓨터 사용 환경에 대해 판단하고, 효과적으로 전력을 절약하면서도 보다 빠르게 파워 세이브 모드와 액티브 모드를 전환하기 위한 방법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컴퓨터의 파워 세이브 모드 동작 방법에서는 사용자의 컴퓨터 사용 환경에 대한 정보가 수집되고, 이에 따라 적응적인 파워 세이브 동작이 수행될 수 있다.
파워 세이브 동작 모드는 복수개의 파워 세이브 모드로 분류될 수 있다.
제1 파워 세이브 모드(110)는 컴퓨터 중 제1 모듈(예를 들어, 디스플레이)(115)의 전원을 제어하는 파워 세이브 모드이다.
제2 파워 세이브 모드(120)는 컴퓨터 중 제1 모듈(115)과 제2 모듈(125)의 전원을 제어하는 파워 세이브 모드이다.
제1 모듈(115) 및 제2 모듈(125)은 파워 세이브 모드의 수행시 ON/OFF(ON 및/또는 OFF) 제어가 가능한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를 포함하는 개념일 수 있다. 제1 모듈(115)과 제2 모듈(125)은 사용자의 컴퓨터 상의 현재 수행 작업에 따라 적응적으로 설정될 수 있다.
제1 모듈(115)은 사용자의 컴퓨터 상에서 전력을 소비하되, ON/OFF에 대한 전환을 수행시 사용자의 작업물에 영향을 주지 않고, ON/OFF에 대한 전환 및/또는 컴퓨터 상에서 현재 수행되는 작업물에 대한 딜레이를 제1 임계 시간 이내로 발생시키는 모듈일 수 있다.
제2 모듈(125)은 사용자의 컴퓨터 상에서 전력을 소비하되, ON/OFF에 대한 전환을 수행시 사용자의 작업물에 영향을 주지 않고, ON/OFF에 대한 전환 및/또는 컴퓨터 상에서 현재 수행되는 작업물에 대한 딜레이를 제2 임계 시간 이내로 발생시키는 모듈일 수 있다.
여기서, 제1 임계 시간 및 제 2임계 시간은 사용자의 컴퓨터 사용 패턴/컴퓨터 사용 환경에 따라 적응적으로 조정될 수 있다. 제2 임계 시간은 제1 임계 시간보다 긴 시간일 수 있다. 제1 임계 시간과 제2 임계 시간의 조정은 구체적으로 후술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제1 모듈(115)과 제2 모듈(125)은 컴퓨터 상에서 현재 수행되는 작업물, 컴퓨터 상에서 수행되는 프로그램 및 컴퓨터의 현재 성능 등과 같은 컴퓨터 사용 환경 요소에 따라 적응적으로 변화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구체적으로 후술한다.
제3 파워 세이브 모드(130)는 컴퓨터의 모든 모듈의 전원을 제어하는 파워 세이브 모드이다. 즉, 제3 파워 세이브 모드(130)에서는 이후 컴퓨터의 전원을 켰을 경우, 복원을 위해 현재 컴퓨터 상에서 수행되는 작업물에 대한 기록을 남겨두기 위한 모듈을 제외하고 가능한 컴퓨터의 모든 모듈의 전원을 OFF 상태로 전환하는 상태일 수 있다.
사용자의 컴퓨터의 전원은 제1 파워 세이브 모드(110), 제2 파워 세이브 모드(120) 및 제3 파워 세이브 모드(130)의 순서대로 제어될 수 있다. 이하, 구체적인 제1 모듈(115) 및 제2 모듈(125)의 설정 방법과 제1 임계 시간 및 제2 임계 시간에 대한 설정 방법이 개시된다.
이러한 컴퓨터 파워 세이브 모드를 수행하는 컴퓨터의 파워 세이브 모드 동작은 컴퓨터의 프로세서를 기반으로 수행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파워 세이브 모드 동작 방법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2에서는 파워 세이브 모드 상에서 제1 모듈과 제2 모듈을 설정하기 위한 방법이 개시된다.
도 2를 참조하면, 제1 모듈(250)과 제2 모듈(260)은 1) 사용자 현재 사용 프로그램, 2) 사용자 배경 프로그램 및 3) 사용자 컴퓨터 성능 등과 같은 다양한 컴퓨터 사용 환경(200)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즉, 제1 모듈(250) 및 제2 모듈(260)은 사용자의 컴퓨터와 사용자의 컴퓨터 사용 패턴, 사용자 컴퓨터에서 사용되는 프로그램 등과 같은 다양한 컴퓨터 사용 환경(200)에 따라 적응적으로 상이하게 결정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모듈(250)과 제2 모듈(260)은 사용자의 컴퓨터 상에서 전력을 소비하되, 모듈의 ON/OFF에 대한 전환을 수행시 사용자의 작업물에 영향을 주지 않는 모듈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컴퓨터에서 사용자의 사용 프로그램에 따라 전환 시간과 딜레이 시간이 판단되고 그에 따라 제1 모듈(250)과 제2 모듈(260)이 결정될 수 있다.
컴퓨터 상에서 제1 모듈(250)과 제2 모듈(260)을 결정하기 위해 사용자의 입력이 없는 경우, 기준 모듈을 결정하여 사용자의 사용 프로그램에 따른 전환 시간과 딜레이 시간이 결정될 수 있다. 기준 모듈은 제1 모듈(250)과 제2 모듈(260)을 결정하기 위해 기준이 되는 모듈로서 다른 모듈과 비교하기 위한 기준이 되는 모듈일 수 있다. 기준 모듈은 전환 기준 모듈(210)과 딜레이 기준 모듈(220)을 포함할 수 있다.
전환 기준 모듈(210)은 전환 시간을 기준으로 제1 모듈(250)과 제2 모듈(260)을 구별하기 위한 기준 모듈이고, 딜레이 기준 모듈(220)은 딜레이 시간을 기준으로 제1 모듈(250)과 제2 모듈(260)을 구별하기 위한 기준 모듈일 수 있다.
컴퓨터 상에서 전환 기준 모듈(210)은 모듈 간의 전환 시간에 대한 체크를 통해 중간값을 가지는 모듈일 수 있고, 딜레이 기준 모듈(220)은 모듈로 인해 발생되는 딜레이 시간에 대한 체크를 통해 중간값을 가지는 모듈일 수 있다. 모듈들은 전환 기준 모듈(210)을 기준으로 상대적인 전환 시간을 결정할 수 있고, 딜레이 기준 모듈(220)을 기준으로 상대적인 딜레인 시간을 결정할 수 있다. 전환 기준 모듈(210), 딜레이 기준 모듈(220)은 고정된 것이 아니라, 사용자의 컴퓨터 사용에 따른 결과를 기록하여 계속적으로 변화될 수 있다. 또한, 다른 모듈의 전환 기준 모듈(210), 딜레이 기준 모듈(220)을 기준으로 한 전환 시간, 딜레이 시간 또한 사용자의 컴퓨터 사용에 따른 결과를 기록하여 계속적으로 변화될 수 있다.
이러한 상대적인 전환 시간 및 딜레이 시간의 설정 통해 컴퓨터 사용 환경(200)을 고려한 적응적인 파워 세이브 모드의 설정이 가능할 수 있다.
딜레이 기준 모듈(220) 및 전환 기준 모듈(210)을 기준으로 제1 임계 시간(230) 및 제2 임계 시간(240)을 설정하여 제1 모듈(250), 제2 모듈(260)이 결정될 수 있다.
전환 기준 모듈(210), 딜레이 기준 모듈(220) 및 전환 기준 모듈(210), 딜레이 기준 모듈(220)을 기준으로 한 전환 시간, 딜레이 시간은 사용자의 컴퓨터의 개별적인 사용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모듈의 전환 시간, 딜레이 시간은 파워 세이브 모드로 전환시에 수행되는 실제 사용자에 의해 수행되는 수행 프로그램의 개수, 백그라운드 프로그램의 개수, 컴퓨터 성능 등과 같은 컴퓨터 사용 환경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전환 기준 모듈(210), 딜레이 기준 모듈(220), 전환 기준 모듈(210), 딜레이 기준 모듈(220)을 기준으로 한 전환 시간, 딜레이 시간은 동일한 컴퓨터라도 파워 세이브 모드로 전환 당시 사용되던 프로그램의 종류, 개수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보다 정확한 제1 모듈(250) 및 제2 모듈(260)의 설정을 위해 컴퓨터 사용 환경(200)을 고려한 전환 기준 모듈(210), 딜레이 기준 모듈(220), 전환 기준 모듈(210), 딜레이 기준 모듈(220)을 기준으로 한 그 외 모듈의 전환 시간, 딜레이 시간의 설정 방법이 개시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파워 세이브 모드 동작 방법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3에서는 보다 정확한 제1 모듈 및 제2 모듈의 설정을 위해 컴퓨터 환경을 고려한 전환 기준 모듈, 딜레이 기준 모듈의 결정 및 전환 기준 모듈, 딜레이 기준 모듈을 기준으로 한 그 외 모듈의 전환 시간, 딜레이 시간의 설정 방법이 개시된다.
도 3을 참조하면, 우선 컴퓨터 사용 환경을 고려하여 전환 기준 모듈, 딜레이 기준 모듈이 설정될 수 있다. 컴퓨터 사용 환경은 현재 컴퓨터 상에서 돌아가는 프로그램, 현재 컴퓨터 성능과 관련될 수 있다. 이하, 하드웨어 사용 점유율을 기반으로 컴퓨터 사용 환경을 판단하여 전환 기준 모듈, 딜레이 기준 모듈으 설정하는 방법이 개시된다.
컴퓨터 상에서 CPU(central processing unit), GPU(graphics processing unit), RAM(random access memory) 등과 같은 하드웨어 사용 점유율을 기준으로 전환 기준 모듈, 딜레이 기준 모듈이 설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하드웨어 사용 점유율은 제1 점유율 범위(310), 제2 점유율 범위(320), 제3 점유율 범위(330)와 같이 특정 범위로 구분될 수 있고, 각 점유율 범위마다 전환 기준 모듈, 딜레이 기준 모듈이 설정될 수 있다. 각 점유율 범위마다 다른 모듈의 전환 시간, 딜레이 시간을 보다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는 전환 기준 모듈, 딜레이 기준 모듈이 결정될 수 있고, 점유율 범위마다 각 모듈의 상대적인 전환 시간, 딜레이 시간이 결정될 수 있다.
점유율 범위는 컴퓨터 성능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점유율 범위는 전환 기준 모듈의 전환 시간 및 딜레이 기준 모듈의 딜레이 시간이 임계 퍼센트 이상 변화된 경우, 새로운 범위로 설정되도록 결정될 수 있다. 또는 점유율에 따른 컴퓨터 프로세싱 성능의 변화를 고려하여 프로세싱 성능의 변화가 임계 퍼센트 이상 되는 범위가 점유율 범위로서 설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하드웨어 사용 점유율이 제1 점유율 범위(310)인 경우, 전환 기준 모듈(제1 점유율 범위)(313), 딜레이 기준 모듈(제1 점유율 범위)(316)가 결정될 수 있고, 제2 점유율 범위(320)인 경우, 전환 기준 모듈(제2 점유율 범위) (323), 딜레이 기준 모듈(제2 점유율 범위)(326)가 결정될 수 있고, 제3 점유율 범위(330)인 경우, 전환 기준 모듈(제3 점유율 범위)(333), 딜레이 기준 모듈(제3 점유율 범위)(336)가 결정될 수 있다. 즉, 각 점유율 범위 별로 개별적인 딜레이 기준 모듈 및 전환 기준 모듈이 설정될 수 있다.
이후, 점유율 범위 별로 모듈의 전환 시간 및 딜레이 시간이 결정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이러한 점유율 범위에 따라 제1 모듈 및 제2 모듈을 결정하기 위한 제1 임계 시간 및 제2 임계 시간이 서로 다르게 결정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점유율 범위별로 모듈의 전환 시간 및 딜레이 시간을 결정하는 방법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4에서는 점유율 범위에 따라 모듈의 전환 시간 및 딜레이 시간을 결정하기 위한 방법이 개시된다.
도 4를 참조하면, 가장 낮은 점유율 범위(예를 들어, 제1 점유율 범위(410))일 경우, 모듈들의 전환 시간 및 딜레이 시간은 테스트를 통해 결정될 수 있다. 테스트는 개별적인 모듈의 ON/OFF 전환 테스트 및 딜레이 값 테스트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테스트를 기반으로 모듈별 딜레이 시간 및 전환 시간이 결정되고, 이에 따라 제1 점유율 범위(410)에서의 제1 모듈(450) 및 제2 모듈(460)이 결정될 수 있다.
가장 낮은 점유율 범위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점유율 범위(예를 들어, 제2 점유율 범위(420) 및 제3 점유율 범위)에서는 상대적인 가중치 값을 곱하여 제1 모듈(450) 및 제2 모듈(460)이 결정될 수 있다. 곱해지는 가중치는 1) 점유율 변화에 따른 프로세싱 속도 변화, 2) 변화된 딜레이 기준 모듈의 딜레이 시간, 변화된 전환 기준 모듈의 전환 시간, 3) 가장 낮음 점유율 범위 상에서 측정된 개별 모듈들의 모듈별 딜레이 시간 및 전환 시간 등을 기반으로 변화될 수 있다. 이러한 가중치 값을 고려하여 다시 점유율 범위 각각에 대한 제1 모듈(450) 및 제2 모듈(460)이 우선적으로 결정될 수 있다.
제1 모듈(450) 및 제2 모듈(460)의 결정 이후, 실제 모듈별 파워 세이브 동작을 고려하여 제1 모듈(450) 및 제2 모듈(460)에 대한 재분류가 진행될 수 있다.
이하, 가장 낮음 점유율 범위 상에서 측정된 개별 모듈들의 모듈 별 딜레이 시간 및 전환 시간 각각은 딜레이 시간(최소), 전환 시간(최소)라는 용어로 표현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듈별 딜레이 시간 및 전환 시간 결정 방법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5에서는 점유율 변화에 따른 모듈별 딜레이 시간 및 전환 시간을 결정하는 방법이 개시된다.
도 5를 참조하면, 곡선은 점유율 변화에 따른 프로세싱 성능 변화 곡선일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점유율(520)에 따른 컴퓨터 프로세싱 성능 변화(510)를 고려하여 프로세싱 성능 변화(510)가 임계 퍼센트 이상 되는 범위가 점유율 범위로서 설정될 수 있다.
점유율 변화에 따른 프로세싱 성능 변화 정보가 추출되면, 해당 점유율 범위에서의 프로세싱 성능 변화 그래프가 추출될 수 있다. 이때 점유율 범위 별 프로세싱 성능 변화 그래프 상에서 프로세싱 성능 최대값(530) 및 프로세싱 성능 최소값(540)이 결정된 후 프로세싱 성능 평균값(550)이 결정될 수 있다. 이후, 프로세싱 성능 변화 그래프 내에서 프로세싱 성능 변화율을 고려하여 프로세싱 성능 평균값(550)이 보정되어 최종적으로 해당 점유율 범위에서의 최종 프로세싱 성능이 결정될 수 있다. 프로세싱 성능 변화율이 작은 경우, 최종 프로세싱 성능은 프로세싱 성능 평균값보다 상대적으로 큰 값으로 보정되고, 반대로, 프로세싱 성능 변화율이 큰 경우, 최종 프로세싱 성능은 프로세싱 성능 평균값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값으로 보정될 수 있다. 프로세싱 성능 변화율에 따라 프로세싱 성능 평균값의 보정 크기가 다를 수 있다.
추가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싱 성능 변화의 범위에 따라 프로세싱 성능 변화가 변화 임계값 이하인 경우, 프로세싱 성능 변화율에 따른 보정치를 작게 설정하고, 반대로, 프로세싱 성능 변화의 범위에 따라 프로세싱 성능 변화가 변화 임계값 초과인 경우, 프로세싱 성능 변화율에 따른 보정치를 크게 설정할 수 있다.
이후, 이전 점유율 범위에서의 최종 프로세싱 성능과 현재 점유율 범위의 최종 프로세싱 성능을 기반으로 프로세싱 성능 변화율이 결정되고, 프로세싱 성능 변화율의 역수 값을 기반으로 결정된 가중치 값을 딜레이 시간(최소), 전환 시간(최소)에 곱하여 현재 점유율 범위에 모듈의 딜레이 시간, 전환 시간이 결정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듈별 ON/OFF 제어 순서를 나타내는 방법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6에서는 액티브 모드에서 파워 세이브 모드로 변화되는 경우, 파워 세이브 모드에서 액티브 모드로 변화되는 경우, 모듈별 ON/OFF 제어 방법이 개시된다.
도 6을 참조하면, 제1 모듈(610) 및 제2 모듈(620)의 딜레이 시간, 전환 시간이 결정되는 경우, 파워 세이브 모드에 따라 제1 모듈(610) 및/또는 제2 모듈(620)에 대한 모듈 그룹이 설정되고, 모듈 그룹별 ON/OFF 제어가 수행될 수 있다.
우선 제1 모듈(610)과 제2 모듈(620)에 대한 모듈 그룹핑이 수행될 수 있다.
모듈 그룹핑은 모듈별 종속성을 고려하여 수행될 수 있다. 모듈 간의 종속성이 존재하는 경우, 종속성을 가지는 모듈은 우선적으로 그룹핑될 수 있다. 종속성을 고려한 그룹핑 이후 결정된 모듈 그룹이 복수개 존재하는 경우, 복수개의 모듈 그룹의 컴퓨터 프로세싱 성능에 대한 영향도를 결정할 수 있다. 컴퓨터 프로세싱 성능 영향도는 ON/OFF 상태로 제어될 경우, 컴퓨터 프로세싱 성능에 영향을 끼치는 정도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파워 세이브 모드(650)가 수행될 경우, 제1 모듈(610)에 대한 그룹핑이 수행될 수 있다. 즉, 제1 모듈(610)에 해당하는 복수의 모듈에 대한 그룹핑이 수행되어 모듈 그룹(제1 파워 세이브 모드)이 결정될 수 있다. 또한, 제2 파워 세이브 모드(660)가 수행될 경우, 제1 모듈(610)과 제2 모듈(620)에 대한 그룹핑이 수행될 수 있다. 즉, 다시 제1 모듈(610)과 제2 모듈(620) 간의 독립성/종속성을 고려하여 제1 모듈(610) 및 제2 모듈(620)에 해당하는 복수의 모듈에 대한 그룹핑이 수행되어 모듈 그룹(제2 파워 세이브 모드)이 결정될 수 있다. 모듈 그룹(제1 파워 세이브 모드) 및 모듈 그룹(제2 파워 세이브 모드)에 대한 컴퓨터 프로세싱 영향도는 개별적으로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파워 세이브 모드에서는 모듈 그룹 기반의 ON/OFF 제어가 수행될 수 있다. 모듈 그룹 기반의 ON/OFF 제어는 제1 ON/OFF 제어 모드(660) 및 제2 ON/OFF 제어 모드(67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ON/OFF 제어 모드(610)에서는 독립적인 복수의 모듈 그룹 각각에 대해 병렬적으로 ON/OFF 제어가 수행되되, 복수의 모듈 그룹 각각 내에 포함되는 복수의 모듈에 대해서는 종속 관계를 고려하여 순차적으로 ON/OFF 제어가 수행될 수 있다.
제2 ON/OFF 제어 모드(670)에서는 결정된 모듈 그룹의 컴퓨터 프로세싱 성능 영향도에 따라 컴퓨터 프로세싱 성능에 영향을 상대적으로 크게 미치는 순서대로 모듈 그룹에 대한 ON/OFF 제어가 수행될 수 있다. 우선 액티브 모드에서 파워 세이브 모드로 변화되는 경우, 영향도가 큰 순서대로 ON 상태에서 OFF 상태로 전환이 되고, 반대로 파워 세이브 모드에서 액티브 모드로 변화되는 경우, 영향도가 작은 순서대로 OFF 상태에서 ON 상태로 전환이 될 수 있다. 이러한 방법을 통해 보다 빠르게 파워 세이브 모드와 액티브 모드 사이의 전환이 수행될 수 있다.
제1 ON/OFF 제어 모드(660) 및 제2 ON/OFF 제어 모드(670)는 컴퓨터의 프로세싱 성능을 기반으로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액티브 모드에서 파워 세이브 모드로 전환되는 경우가 가정될 수 있다. 하드웨어 사용 점유율이 임계값 이상인 경우, 제2 ON/OFF 제어 모드(670)가 사용되어 하드웨어 사용 점유율을 임계값 미만으로 감소시키고, 하드웨어 사용 점유율을 임계값 미만으로 감소시킨 이후, 제1 ON/OFF 제어 모드(660)를 사용하여 빠른 파워 세이브 모드로 전환을 수행할 수 있다. 하드웨어 사용 점유율이 임계값 미만인 경우, 제1 ON/OFF 제어 모드(660)를 사용하여 액티브 모드가 파워 세이브 모드로 전환될 수 있다.
반대로, 파워 세이브 모드에서 액티브 모드로 전환되는 경우가 가정될 수 있다. 하드웨어 사용 점유율이 임계값 이상인 경우, 제2 ON/OFF 제어 모드(670)가 사용되어 순차적으로 하드웨어 사용 점유율을 높이고, 하드웨어 사용 점유율이 임계값 미만인 경우, 제1 ON/OFF 제어 모드(660)를 사용하여 모듈 들을 ON 상태로 전환하되, 하드웨어 사용 점유율이 임계값 이상인 경우, 제2 ON/OFF 제어 모드(670)가 사용되어 순차적으로 하드웨어 사용 점유율을 높일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 모듈 및 제2 모듈을 결정하기 위한 임계 시간의 결정 방법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7에서는 파워 세이브 모드에 따라 ON 상태에서 OFF 상태로 전환되는 제1 모듈 및 제2 모듈을 결정하기 위한 제1 임계 시간 및 제2 임계 시간을 결정하기 위한 방법이 개시된다.
도 7을 참조하면, 제1 임계 시간(710) 및 제2 임계 시간(720)은 사용자의 컴퓨터 사용 패턴(700)을 고려하여 결정될 수 있다.
제1 임계 시간(710) 및 제2 임계 시간(720)은 사용자 컴퓨터 사용 패턴 정보(700)를 고려하여 세이브 모드에서 액티브 모드로의 전환을 고려하여 설정될 수 있다.
컴퓨터 사용 패턴 정보(700)는 사용자 컴퓨터 작업 빈도 및 시간 정보, 실행 중인 컴퓨터 프로그램 정보, 사용자의 컴퓨터 타이핑 속도 정보, 사용자 입력값 입력 빈도 정보 등과 같은 사용자의 컴퓨터 사용과 관련된 정보를 고려하여 결정될 수 있다.
컴퓨터 사용 패턴 정보(700)를 기반으로 사용자의 컴퓨터 사용이 상대적으로 많을수록 제1 임계 시간(710) 및 제2 임계 시간(720)이 상대적으로 짧게 설정되고, 제1 임계 시간(710) 및 제2 임계 시간(720)의 차이가 상대적으로 작게 설정될 수 있다. 반대로, 컴퓨터 사용 패턴 정보(700)를 기반으로 사용자의 컴퓨터 사용이 상대적으로 적을수록 제1 임계 시간(710) 및 제2 임계 시간(720)이 상대적으로 길게 설정되고, 제1 임계 시간(710) 및 제2 임계 시간(720)의 차이가 상대적으로 길게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컴퓨터 사용 빈도가 높고 사용 시간이 상대적으로 길고, 사용자의 타이핑 속도가 상대적으로 빠르고 사용자 입력값 입력 빈도가 상대적으로 높고, 실행 중인 컴퓨터 프로그램의 하드웨어 사용 점유율이 상대적으로 높을수록 제1 임계 시간(710) 및 제2 임계 시간(720)이 짧게 설정되고, 제1 임계 시간(710) 및 제2 임계 시간(720) 간의 차이는 작아질 수 있다. 설정된 제1 임계 시간(710) 및 제2 임계 시간(720)은 이후, 사용자의 사용패턴의 변화에 따라 계속적으로 변화될 수 있다.
이러한 방법을 통해 사용자의 사용이 많을수록 상대적으로 빠른 전환을 하되 상대적으로 낮은 전력 절약이 이루어지고, 사용이 적을수록 상대적으로 느린 전환을 하되 상대적으로 높은 전력 절약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제1 임계 시간(710)과 제2 임계 시간(720)의 설정은 현재 전력 상태(750)에 따라서도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노트북과 같은 경우 베터리 충전률이 높을수록 제1 임계 시간(710) 및 제2 임계 시간(720)이 상대적으로 작은 값으로 설정되어 제1 모듈 및 제2 모듈이 결정될 수 있고, 반대로, 베터리 충전률이 낮을수록 제1 임계 시간 및 제2 임계 시간이 상대적으로 큰 값으로 설정되어 제1 모듈 및 제2 모듈이 결정될 수 있다.
이상 설명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컴퓨터 구성요소를 통하여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어의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어,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어는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분야의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및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um), 및 ROM, 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어를 저장하고 실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어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하여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하여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도 포함된다.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에 따른 처리를 수행하기 위하여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 변경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이 구체적인 구성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하여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이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과 변경을 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상기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또는 이로부터 등가적으로 변경된 모든 범위는 본 발명의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Claims (8)

  1. 컴퓨터 파워 세이브 모드 수행 방법은,
    컴퓨터가 복수의 파워 세이브 모드를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컴퓨터가 상기 복수의 파워 세이브 모드를 기반으로 전원을 관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복수의 파워 세이브 모드는 제1 파워 세이브 모드, 제2 파워 세이브 모드 및 제3 파워 세이브 모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파워 세이브 모드, 상기 제2 파워 세이브 모드 및 상기 제3 파워 세이브 모드의 순서로 상기 컴퓨터의 전력 소비를 감소시키고,
    상기 제1 파워 세이브 모드는 제1 모듈의 전원을 관리하고,
    상기 제2 파워 세이브 모드는 제2 모듈의 전원을 관리하고,
    상기 제1 모듈 및 상기 제2 모듈은 상기 컴퓨터의 하드웨어 및/또는 소프트웨어 모듈이고,
    상기 제1 모듈은 ON/OFF에 대한 전환 및/또는 컴퓨터 상에서 현재 수행되는 작업물의 실행시 딜레이를 제1 임계 시간 이내로 발생시키는 모듈이고,
    상기 제2 모듈은 상기 ON/OFF에 대한 전환 및/또는 상기 컴퓨터 상에서 현재 수행되는 작업물의 실행시 딜레이를 제2 임계 시간 이내로 발생시키는 모듈이고,
    상기 제1 모듈 및 상기 제2 모듈은 전환 기준 모듈 및 딜레이 기준 모듈을 기반으로 결정되고,
    상기 전환 기준 모듈은 전환 시간을 기준으로 상기 제1 모듈과 상기 제2 모듈을 구별하기 위한 모듈이고,
    상기 딜레이 기준 모듈은 딜레이 시간을 기준으로 상기 제1 모듈과 상기 제2 모듈을 구별하기 위한 모듈이고,
    상기 전환 기준 모듈은 모듈의 전환 시간에 대한 체크를 통해 전환 시간이 중간값을 가지는 모듈이고,
    상기 딜레이 기준 모듈은 모듈로 인해 발생되는 딜레이 시간에 대한 체크를 통해 딜레이 시간이 중간값을 가지는 모듈이고,
    상기 제1 임계 시간 및 상기 제2 임계 시간은 상기 전환 기준 모듈 및 상기 딜레이 기준 모듈을 기반으로 결정되고,
    상기 제1 임계 시간 및 상기 제2 임계 시간은 상기 제1 파워 세이브 모드 및 상기 제2 파워 세이브 모드로 전환시의 컴퓨터 사용 환경을 더 고려하여 변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 사용 환경은 하드웨어 사용 점유율의 범위를 기준으로 구분되고,
    상기 전환 기준 모듈 및 상기 딜레이 기준 모듈은 상기 하드웨어 사용 점유율의 범위에 따라 결정되고,
    상기 하드웨어 사용 점유율의 범위는 상기 하드웨어 사용 점유율에 따른 컴퓨터 프로세싱 성능의 변화를 고려하여 상기 컴퓨터 프로세싱 성능의 변화가 임계 퍼센트 이상 되는 범위로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모듈 및 상기 제2 모듈 각각에 대해 모듈별 종속성을 고려한 모듈 그룹핑이 수행되어 그룹핑된 모듈 그룹 단위로 제어가 수행되고,
    상기 모듈 그룹 단위로 제1 ON/OFF 제어 모드 또는 제2 ON/OFF 제어 모드가 수행되고,
    상기 제1 ON/OFF 제어 모드는 복수의 모듈 그룹 각각에 대해 병렬적으로 ON/OFF 제어가 수행되되, 상기 복수의 모듈 그룹 각각 내에 포함되는 복수의 모듈에 대해서는 종속 관계를 고려하여 순차적으로 ON/OFF 제어가 수행되고,
    상기 제2 ON/OFF 제어 모드는 결정된 모듈 그룹의 컴퓨터 프로세싱 성능 영향도에 따라 상기 컴퓨터 프로세싱 성능에 영향을 상대적으로 크게 미치는 순서대로 모듈 그룹에 대한 ON/OFF 제어가 수행되고,
    상기 제1 ON/OFF 제어 모드 또는 상기 제2 ON/OFF 제어 모드의 사용 여부는 상기 하드웨어 사용 점유율을 기반으로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삭제
  5. 컴퓨터 파워 세이브 모드를 수행하는 컴퓨터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복수의 파워 세이브 모드를 설정하고,
    상기 복수의 파워 세이브 모드를 기반으로 전원을 관리하도록 구현되되,
    상기 복수의 파워 세이브 모드는 제1 파워 세이브 모드, 제2 파워 세이브 모드 및 제3 파워 세이브 모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파워 세이브 모드, 상기 제2 파워 세이브 모드 및 상기 제3 파워 세이브 모드의 순서로 상기 컴퓨터의 전력 소비를 감소시키고,
    상기 제1 파워 세이브 모드는 제1 모듈의 전원을 관리하고,
    상기 제2 파워 세이브 모드는 제2 모듈의 전원을 관리하고,
    상기 제1 모듈 및 상기 제2 모듈은 상기 컴퓨터의 하드웨어 및/또는 소프트웨어 모듈이고,
    상기 제1 모듈은 ON/OFF에 대한 전환 및/또는 컴퓨터 상에서 현재 수행되는 작업물의 실행시 딜레이를 제1 임계 시간 이내로 발생시키는 모듈이고,
    상기 제2 모듈은 상기 ON/OFF에 대한 전환 및/또는 상기 컴퓨터 상에서 현재 수행되는 작업물의 실행시 딜레이를 제2 임계 시간 이내로 발생시키는 모듈이고,
    상기 제1 모듈 및 상기 제2 모듈은 전환 기준 모듈 및 딜레이 기준 모듈을 기반으로 결정되고,
    상기 전환 기준 모듈은 전환 시간을 기준으로 상기 제1 모듈과 상기 제2 모듈을 구별하기 위한 모듈이고,
    상기 딜레이 기준 모듈은 딜레이 시간을 기준으로 상기 제1 모듈과 상기 제2 모듈을 구별하기 위한 모듈이고,
    상기 전환 기준 모듈은 모듈의 전환 시간에 대한 체크를 통해 전환 시간이 중간값을 가지는 모듈이고,
    상기 딜레이 기준 모듈은 모듈로 인해 발생되는 딜레이 시간에 대한 체크를 통해 딜레이 시간이 중간값을 가지는 모듈이고,
    상기 제1 임계 시간 및 상기 제2 임계 시간은 상기 전환 기준 모듈 및 상기 딜레이 기준 모듈을 기반으로 결정되고,
    상기 제1 임계 시간 및 상기 제2 임계 시간은 상기 제1 파워 세이브 모드 및 상기 제2 파워 세이브 모드로 전환시의 컴퓨터 사용 환경을 더 고려하여 변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 사용 환경은 하드웨어 사용 점유율의 범위를 기준으로 구분되고,
    상기 전환 기준 모듈 및 상기 딜레이 기준 모듈은 상기 하드웨어 사용 점유율의 범위에 따라 결정되고,
    상기 하드웨어 사용 점유율의 범위는 상기 하드웨어 사용 점유율에 따른 컴퓨터 프로세싱 성능의 변화를 고려하여 상기 컴퓨터 프로세싱 성능의 변화가 임계 퍼센트 이상 되는 범위로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모듈 및 상기 제2 모듈 각각에 대해 모듈별 종속성을 고려한 모듈 그룹핑이 수행되어 그룹핑된 모듈 그룹 단위로 제어가 수행되고,
    상기 모듈 그룹 단위로 제1 ON/OFF 제어 모드 또는 제2 ON/OFF 제어 모드가 수행되고,
    상기 제1 ON/OFF 제어 모드는 복수의 모듈 그룹 각각에 대해 병렬적으로 ON/OFF 제어가 수행되되, 상기 복수의 모듈 그룹 각각 내에 포함되는 복수의 모듈에 대해서는 종속 관계를 고려하여 순차적으로 ON/OFF 제어가 수행되고,
    상기 제2 ON/OFF 제어 모드는 결정된 모듈 그룹의 컴퓨터 프로세싱 성능 영향도에 따라 상기 컴퓨터 프로세싱 성능에 영향을 상대적으로 크게 미치는 순서대로 모듈 그룹에 대한 ON/OFF 제어가 수행되고,
    상기 제1 ON/OFF 제어 모드 또는 상기 제2 ON/OFF 제어 모드의 사용 여부는 상기 하드웨어 사용 점유율을 기반으로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8. 삭제
KR1020190054044A 2019-05-09 2019-05-09 컴퓨터 파워 세이브 모드 수행 방법 및 이러한 방법을 수행하는 장치 KR1021049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4044A KR102104945B1 (ko) 2019-05-09 2019-05-09 컴퓨터 파워 세이브 모드 수행 방법 및 이러한 방법을 수행하는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4044A KR102104945B1 (ko) 2019-05-09 2019-05-09 컴퓨터 파워 세이브 모드 수행 방법 및 이러한 방법을 수행하는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04945B1 true KR102104945B1 (ko) 2020-04-27

Family

ID=704679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54044A KR102104945B1 (ko) 2019-05-09 2019-05-09 컴퓨터 파워 세이브 모드 수행 방법 및 이러한 방법을 수행하는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04945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08545A (ko) * 2012-07-05 2014-01-22 주)아이온소프트 컴퓨터의 작동 상태에 따라 소비전력을 감소시키는 방법
KR101692538B1 (ko) * 2016-07-11 2017-01-03 주식회사 리퓨터 Gpio 포트를 이용한 컴퓨터 시스템의 절전 장치 및 방법
KR20170020401A (ko) * 2017-02-13 2017-02-22 주식회사 늑대와여우컴퓨터 운영 상태에 따른 컴퓨터 본체 전원 제어장치
KR101753338B1 (ko) * 2017-03-07 2017-07-19 위더스컴퓨터(주) Pwm 제어 신호를 이용한 컴퓨터 시스템의 단계적인 대기전력 절감 장치 및 방법
KR101815239B1 (ko) * 2017-09-25 2018-01-05 주식회사 티원엘에스 스위칭 소자를 이용한 컴퓨터 시스템의 대기전력 최적화 장치 및 방법
KR20180082786A (ko) * 2017-01-11 2018-07-19 김창현 개인용컴퓨터의 소비전력 자동 저감장치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08545A (ko) * 2012-07-05 2014-01-22 주)아이온소프트 컴퓨터의 작동 상태에 따라 소비전력을 감소시키는 방법
KR101692538B1 (ko) * 2016-07-11 2017-01-03 주식회사 리퓨터 Gpio 포트를 이용한 컴퓨터 시스템의 절전 장치 및 방법
KR20180082786A (ko) * 2017-01-11 2018-07-19 김창현 개인용컴퓨터의 소비전력 자동 저감장치 및 그 방법
KR20170020401A (ko) * 2017-02-13 2017-02-22 주식회사 늑대와여우컴퓨터 운영 상태에 따른 컴퓨터 본체 전원 제어장치
KR101753338B1 (ko) * 2017-03-07 2017-07-19 위더스컴퓨터(주) Pwm 제어 신호를 이용한 컴퓨터 시스템의 단계적인 대기전력 절감 장치 및 방법
KR101815239B1 (ko) * 2017-09-25 2018-01-05 주식회사 티원엘에스 스위칭 소자를 이용한 컴퓨터 시스템의 대기전력 최적화 장치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06108B2 (en) Dynamic selection of group and device power limits
Maheshwari et al. Dynamic energy efficient data placement and cluster reconfiguration algorithm for MapReduce framework
Tan et al. Adaptive power management using reinforcement learning
JP6005895B1 (ja) ワット当たりの最適パフォーマンスのためのインテリジェントマルチコア制御
US8161304B2 (en) Power management for large memory subsystems
JP5075274B2 (ja) 電力認識スレッドスケジューリングおよびプロセッサーの動的使用
US20110047316A1 (en) Solid state memory device power optimization
CN110832434B (zh) 用于处理器的频率调控的方法和系统
US20200019230A1 (en) Managing power consumptions of multiple computing nodes in a hyper-converged computing system
US20130332753A1 (en) Dynamic power limit sharing in a platform
US9026822B2 (en) Dynamically adjusting operating frequency of a arithemetic processing device for predetermined applications based on power consumption of the memory in real time
Li et al. An energy-efficient scheduling approach based on private clouds
US8078890B2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memory performance states in a computing system
US11960738B2 (en) Volatile memory to non-volatile memory interface for power management
WO2014142847A1 (en) Multi-core binary translation task processing
Kim et al. Energy proportionality and performance in data parallel computing clusters
KR102104945B1 (ko) 컴퓨터 파워 세이브 모드 수행 방법 및 이러한 방법을 수행하는 장치
Chou et al. Exploiting replication for energy-aware scheduling in disk storage systems
US8281159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managing power usage based on power-management information from a power grid
US10775876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power consumption of an integrated circuit
Chung et al. Enhancing user experiences by exploiting energy and launch delay trade-off of mobile multimedia applications
KR102166553B1 (ko) 사용 예측을 기반으로 적응적 컴퓨터 전원 상태 제어 방법 및 이러한 방법을 수행하는 장치
Aschberger et al. Energy efficiency in cloud computing
Li et al. An efficient approach for reducing power consumption in a production-run cluster
Bianchini Research directions in power and energy conservation for cluster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