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04786B1 - Apparatus tooth orthonontic and method thereof - Google Patents

Apparatus tooth orthonontic and method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04786B1
KR102104786B1 KR1020190096127A KR20190096127A KR102104786B1 KR 102104786 B1 KR102104786 B1 KR 102104786B1 KR 1020190096127 A KR1020190096127 A KR 1020190096127A KR 20190096127 A KR20190096127 A KR 20190096127A KR 102104786 B1 KR102104786 B1 KR 1021047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terior
posterior
teeth
wire
bra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96127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노원기
Original Assignee
클리어테크놀로지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클리어테크놀로지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클리어테크놀로지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961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04786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047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0478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12Brackets; Arch wires; Combinations thereof; Accessories therefor
    • A61C7/14Brackets; Fixing brackets to teeth
    • A61C7/145Lingual bracke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9/00Dental auxiliary appliances
    • A61C19/003Apparatus for curing resins by radi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12Brackets; Arch wires; Combinations thereof; Accessories therefor
    • A61C7/14Brackets; Fixing brackets to teeth
    • A61C7/16Brackets; Fixing brackets to teeth specially adapted to be cemented to teet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12Brackets; Arch wires; Combinations thereof; Accessories therefor
    • A61C7/28Securing arch wire to bracke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6/00Preparations for dentistry
    • A61K6/30Compositions for temporarily or permanently fixing teeth or palates, e.g. primers for dental adhesives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vice for orthodontic treatment and an orthodontic treatment method using the same. The device for orthodontic treat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anterior region-connecting wire having a curved shape corresponding to the set of teeth in the anterior region; an anterior region-fixing bracket fixing the anterior region-connecting wire to the lingual side; a first anterior region-drawing wire formed in the anterior region-connecting wire in such a manner that a drawing member for drawing the anterior region in one direction may be connected thereto; a posterior region-fixing bracket fixed to the lingual side of the posterior region to be connected to the anterior region-connecting wire at one end; a posterior region-connecting wire connected to the posterior region-fixing bracket; and a second anterior region-drawing wire provided in the anterior region-connecting wire to be connected to the drawing member. In the device, the anterior region-fixing bracket and the posterior region-fixing bracket have at least one anterior region-fixing hole and posterior region-fixing hole formed to penetrate therethrough.

Description

치아교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치아 교정 방법{APPARATUS TOOTH ORTHONONTIC AND METHOD THEREOF}Orthodontic appliance and orthodontic method using the same {APPARATUS TOOTH ORTHONONTIC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치아교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치아에 부착되는 치아교정장치의 면적을 최소화하면서도 치아교정장치의 부착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치아교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치아 교정 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ntal orthodontic applian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dental orthodontic appliance capable of improving the adhesion of the orthodontic appliance while minimizing the area of the orthodontic appliance attached to the tooth and a method of orthodontic using the same.

치아는 외부로 보이는 부분이기 때문에 외모에 미치는 영향이 크다. 이에 따라, 많은 사람들이 치열이 일정하며 정상적인 교합을 가지는 치아를 선호하고 있다. Since teeth are visible parts, they have a great influence on appearance. Accordingly, many people prefer teeth having a constant dentition and normal occlusion.

우선, 치아는 치아의 모양이나 크기, 치아 우식증, 구순구개열 등의 선천적인 영향이나 섭취하는 음식물, 생활습관 등 환경적 영향, 좋지 않은 습관 등 후천적인 영향과 같은 다양한 원인에 의해 부정교합이 발생된다. First of all, malocclusion is caused by various causes such as the shape or size of teeth, dental caries, and innate effects such as cleft palate, environmental effects such as eating food and lifestyle, and acquired effects such as bad habits. .

여기서, 부정교합이랑 어떠한 원인에 의해 치아의 배열이 가지런하지 않거나 위 턱과 아래 턱의 맞물림의 상태가 정상의 위치를 벗어나서 심미적, 기능적으로 문제가 되는 교합관계를 의미한다. Here, it refers to an occlusal relationship in which the alignment of teeth is not aligned due to malocclusion or any cause, or the state of engagement of the upper jaw and the lower jaw deviates from the normal position and is aesthetically and functionally problematic.

부정교합은 치아 배열이 가지런하지 않기 때문에 치아 사이에 음식물 찌꺼기가 남아있기 쉽고, 정확한 칫솔질을 하는 것이 쉽지 않기 때문에 구강 질환이 쉽게 발생하게 된다. 더욱이, 정상 치열에서 많이 벗어난 치아가 있거나 턱의 위치가 비정상이라면 외부에서 가해진 충격에 의해 치아 파절 등의 치아 손상을 입을 수 있다. Since malocclusion does not have a proper arrangement of teeth, food residues are easily left between teeth, and it is not easy to accurately brush teeth. Moreover, if there are teeth that deviate from the normal dentition, or if the position of the jaw is abnormal, teeth may be damaged, such as a tooth fracture, by an external impact.

부정교합은 치아가 어떤 힘을 받으면 이동하는 성질을 이용하는데, 부정교합의 원인이나 부정교합을 치료하는 시기, 연령 등을 고려하여 다양한 방법이 사용되고 있다. Malocclusion uses the property that a tooth moves when it receives a certain force, and various methods are used in consideration of the cause of malocclusion, the time to treat malocclusion, and age.

일반적으로, 부정교합을 치료하기 위한 방법으로는 치아색깔의 투명한 세라믹 브라켓을 사용하는 방법, 전통적인 금속 브라켓을 사용하는 방법, 그리고 심미적인 효과를 위해 외관상 보이지 않는 설측 브라켓을 사용하는 방법으로 나눌 수 있다. In general, methods for treating malocclusion can be divided into a method of using a transparent ceramic bracket of a tooth color, a method of using a traditional metal bracket, and a method of using a lingual bracket that is invisible for aesthetic effect. .

우선, 치아의 표면에 붙이는 금속 브라켓의 경우에는 부정교합을 치료하는데 있어서 그 기능이 우수하기는 하지만 외부로 노출되기 때문에 미관상 보기 좋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또한, 금속 브라켓을 치아에 단단하게 부착하더라도 치아로부터 금속 브라켓이 잘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더욱이, 치아에 대한 금속 브라켓의 접착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치아와 금속 브라켓의 접촉 면적을 넓히게 될 경우에는 치아에 손상이 발생될 가능성이 있는 문제점이 있다. First, in the case of a metal bracket attached to the surface of a tooth, although it has a superior function in treating malocclusion,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is unsightly aesthetic because it is exposed to the outside. In addition, even if the metal bracket is firmly attached to the tooth, there is a disadvantage that the metal bracket is well removed from the tooth. Moreover, in order to improve the adhesion of the metal bracket to the teeth, when the contact area between the teeth and the metal bracket is widened, there is a possibility that damage to the teeth may occur.

또한, 설측 브라켓을 사용하는 방법은 외부로 노출되지 않기 때문에 미관상 보기 좋으며 부정 교합을 교정하는 기능에 있어서도 금속 브라켓을 사용하거나 세라믹 브라켓을 사용하는 것에 비하여 뒤지지 않는다. 그러나, 설측 브라켓은 치아의 설측면에 부착되는 것이기 때문에 환자가 교정 중에 발음을 하는데 있어서 많은 어려움이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method of using the lingual bracket is not exposed to the outside, it is aesthetically pleasing, and the function of correcting malocclusion is not inferior to that of using a metal bracket or a ceramic bracket. However, because the lingual bracket is attached to the lingual side of the tooth, there are many difficulties in the patient's pronunciation during orthodontics.

더욱이, 치아 교정 단계에 따른 치아 이동 과정에서 설측 브라켓 또는 금속 브라켓 등의 교정장치를 당기게 되면 치아와의 접착이 떨어져서 교정이 실패하는 문제점이 있다. Furthermore, if the orthodontic device such as a lingual bracket or a metal bracket is pulled in the process of moving the teeth according to the orthodontic step,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orthodontics fails because the adhesion to the teeth is poor.

이에,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 설측 교정장치의 이점을 살리면서 환자가 발음을 하는데 있어서 영향을 주지 않고, 치아와의 접착성을 유지하면서도 치아의 손상을 최소로 줄일 수 있는 치아교정장치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Accordingly, there is a need for the development of a orthodontic appliance that can reduce damage to the teeth while minimizing damage to the teeth while maintaining the adhesiveness with the teeth without affecting the pronunciation of the patient while taking advantage of the lingual orthodontic appliance that is not exposed to the outside. It is becoming.

따라서, 본 출원인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을 제안하게 되었으며, 이와 관련된 선행기술문헌으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1200379호 (발명의 명칭: 돌출입 교정와이어 및 이를 갖는 돌출입 교정시스템, 등록일: 2012.11.06)가 있다.Therefore, the present applicant has proposed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related prior art documents include Korean Registered Patent Publication No. 10-1200379 (Invention name: Protruding mouth straightening wire and stone having the same) Access calibration system, registration date: 2012.11.06).

본 발명의 목적은 치아에 대한 치아교정장치의 접촉 면적을 최소화하면서도 치아교정장치의 부착력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치아의 손상을 줄일 수 있는 치아교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치아 교정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orthodontic appliance and a method of orthodontic using the same, which minimizes the contact area of the orthodontic appliance to the tooth while improving the adhesion of the orthodontic appliance and at the same time reducing damage to the teeth.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The problems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problems mentioned above, and other problem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상기의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전치부의 치열에 맞게 곡률진 형상의 전치부 연결와이어; 전치부 연결와이어를 전치부의 설측면에 고정되도록 하는 전치부 고정브라켓; 전치부 연결와이어에 형성되어 전치부가 일 방향으로 당겨지도록 하는 견인부재가 연결되는 제1 전치부 견인와이어; 구치부의 설측면에 고정되며, 일단부에 전치부 연결와이어가 연결되는 구치부 고정브라켓; 구치부 고정브라켓와 연결되는 구치부 연결와이어; 및 구치부 연결와이어에 마련되며 견인부재가 연결되는 제2 전치부 견인와이어; 를 포함하고, 전치부 고정브라켓 및 구치부 고정브라켓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치부 고정홀 및 구치부 고정홀이 관통 형성되는 치아교정장치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The above object i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accordance with the dentition of the anterior teeth curvature-shaped anterior connection wire; An anterior fixing bracket for fixing the anterior connection wire to the lingual side of the anterior portion; A first anterior traction wire formed on the anterior connection wire and connected to a traction member that allows the anterior portion to be pulled in one direction; A posterior teeth fixing bracket fixed to the tongue side surface of the posterior teeth, and connected to the anterior teeth connecting wire at one end; Posterior teeth connecting wires connected to the posterior brackets; And a second anterior traction wire provided in the posterior connection wire and to which the traction member is connected. Including, the anterior fixed bracket and the posterior fixed bracket can be achieved by a orthodontic device through which at least one anterior fixed hole and the posterior fixed hole are formed.

전치부 및 구치부에는 접착물질이 도포되고, 접착물질은 유동성을 가지고 치아의 표면에서 빛에 의해 경화되는 레진(resin)으로 마련되며, 전치부 고정브라켓 및 구치부 고정브라켓은 도포된 접착물질를 이용하여 전치부 및 구치부에 고정될 수 있다. An adhesive material is applied to the anterior and posterior teeth, and the adhesive material is provided with a resin that has fluidity and is cured by light on the surface of the teeth, and the anterior and posterior brackets are applied using the coated adhesive material. Can be fixed on.

전치부에 도포된 접착물질의 일부는 전치부와 전치부 고정브라켓의 일단부 사이로 빠져나와서 제1 전치부 접착층을 형성하고, 전치부에 도포된 접착물질의 나머지는 전치부 고정홀을 통해 전치부 고정브라켓의 타단부 쪽으로 빠져나와서 제2 전치부 접착층을 형성하며, 제2 전치부 접착층에 광을 조사하여 굳힘으로써 제2 전치부 접착층의 일면에 제3 전치부 광중합층이 형성될 수 있다. A part of the adhesive material applied to the anterior portion passes between the anterior portion and one end of the anterior fixing bracket to form a first anterior adhesive layer, and the rest of the adhesive material applied to the anterior portion passes through the anterior fixing hole to the other end of the anterior fixing bracket. After forming the second anterior layer adhesive layer, the third anterior layer photopolymerization layer may be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second anterior layer adhesive layer by irradiating and hardening the second anterior layer adhesive layer.

전치부 고정브라켓은 전치부 연결와이어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 배치되어 전치부에 각각 고정되며 전치부와 동일한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The anterior fixing brackets are arrang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anterior connecting wires and fixed to the anterior teeth, respectively, and may be provided in the same shape as the anterior teeth.

구치부에 도포된 접착물질의 일부는 구치부와 구치부 고정브라켓의 일단부 사이로 빠져나와서 제1 구치부 접착층을 형성하고, 구치부에 도포된 접착물질의 나머지는 구치부 고정홀을 통해 구치부 고정브라켓의 타단부 쪽으로 빠져나와서 제2 구치부 접착층을 형성하며, 제2 구치부 접착층에 광을 조사하여 굳힘으로써 제2 구치부 접착층의 일면에 제3 구치부 광중합층이 형성될 수 있다. A part of the adhesive material applied to the posterior teeth passes between the posterior teeth and one end of the posterior bracket to form a first posterior adhesive layer, and the remainder of the adhesive material applied to the posterior teeth is passed through the posterior teeth fixing hole toward the other end of the posterior bracket. The second posterior posterior adhesive layer may be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second posterior posterior adhesive layer by forming a second posterior posterior adhesive layer and hardening by irradiating the second posterior posterior adhesive layer with light.

구치부 고정브라켓은 구치부의 치열에 대응되도록 나란하게 마련될 수 있다. The posterior bracket may be provided side by side to correspond to the dentition of the posterior teeth.

구치부 고정브라켓에는 와이어 지지브라켓이 구비되고, 와이어 지지브라켓에는 전치부 연결와이어의 단부가 삽입되어 전치부 연결와이어가 구치부 쪽으로 이동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A wire support bracket is provided on the posterior fixed bracket, and an end portion of the anterior connection wire is inserted into the wire support bracket so that the anterior connection wire can be formed to be movable toward the posterior portion.

와이어 지지브라켓에는 제2 전치부 견인와이어가 형성되고, 견인부재는 제1 전치부 견인와이어 및 제2 전치부 견인와이어를 한꺼 번에 연결하여 전치부를 구치부 쪽으로 당겨지도록 할 수 있다. A second anterior traction wire is formed on the wire support bracket, and the traction member connects the first anterior traction wire and the second anterior traction wire all at once to pull the anterior portion toward the posterior teeth.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아교정장치를 이용한 치아 교정 방법에 있어서, 전치부 고정브라켓과 전치부 연결와이어 및 구치부 고정브라켓과 구치부 연결와이어가 교정 대상인 치아에 대해 시적되는지 판단하는, 와이어 시적 단계; 교정 대상인 치아의 구치부에 접착물질을 도포하여 구치부에 구치부 고정브라켓 및 구치부 연결와이어를 부착하는, 구치부 부착 단계; 구치부에 도포된 접착물질은 구치부 고정홀을 통해 구치부 고정브라켓의 일단부 및 타단부 쪽으로 빠져나오고 구치부 고정브라켓의 타단부 쪽으로 빠져나온 접착물질을 향해 광을 조사하는, 구치부 광중합 단계; 교정 대상인 치아의 전치부에 접착물질을 도포하여 전치부에 전치부 고정브라켓을 부착하는, 전치부 부착 단계; 전치부에 도포된 접착물질을 전치부 고정홀을 통해 전치부 고정브라켓의 일단부 및 타단부 쪽으로 빠져나오고, 전치부 고정브라켓의 타단부 쪽으로 빠져나온 접착물질을 향해 광을 조사하는, 전치부 광중합 단계; 및 제1 전치부 견인와이어 또는 제2 전치부 견인와이어에 견인부재를 연결하여 전치부를 교정하고자 하는 방향으로 당기는, 견인부재 연결단계; 를 포함하여 달성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in the orthodontic method using the orthodontic applian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anterior fixing bracket and the anterior connecting wire and the posterior fixing bracket and the posterior connecting wire are suitable for the teeth to be corrected. ; Attaching the posterior teeth to the posterior teeth of the teeth to be corrected and attaching the posterior bracket to the posterior teeth and the posterior connection wire; The adhesive material applied to the posterior teeth is exposed to one end and the other end of the posterior brackets through the posterior teeth fixing hole and irradiates light toward the adhesive material exiting toward the other end of the posterior brackets, posterior teeth photopolymerization step; Attaching an anterior fixing bracket to the anterior teeth by applying an adhesive material to the anterior teeth of the teeth to be corrected; An anterior portion photopolymerization step of irradiating the adhesive material applied to the anterior portion to one end and the other end portion of the anterior portion fixing bracket through the anterior portion fixing hole, and irradiating light toward the adhesive material exiting to the other end portion of the anterior portion fixing bracket; And connecting the traction member to the first anterior traction wire or the second anterior traction wire, and pulling the anterior portion in a direction to be corrected. It can be achieved, including.

구치부 부착 단계에서, 구치부 고정브라켓의 일단부 쪽으로 빠져나온 접착물질은 구치부와 구치부 고정브라켓의 일단부 사이에서 제1 구치부 접착층을 형성하고, 구치부 고정브라켓의 타단부 쪽으로 빠져나온 접착물질은 구치부 고정브라켓의 타단부에 대해 제2 구치부 접착층을 형성하며, 구치부 광중합 단계에서, 구치부 타단부 쪽으로 빠져나온 접착물질에 대해 광을 조사하면 제2 구치부 접착층에 제3 구치부 광중합층이 형성되고, 전치부 부착 단계에서, 전치부 고정브라켓의 일단부 쪽으로 빠져나온 접착물질을 전치부와 전치부 고정브라켓의 일단부 사이에서 제1 전치부 접착층을 형성하고, 전치부 고정브라켓의 타단부 쪽으로 빠져나온 접착물질은 전치부 고정브라켓의 타단부에 대해 제2 전치부 접착층을 형성하며, 전치부 광중합 단계에서, 전치부 타단부 쪽으로 빠져나온 접착물질에 대해 광을 조사하면 제2 전치부 접착층에 제3 전치부 광중합층이 형성될 수 있다. In the attachment of the posterior teeth, the adhesive material exiting toward one end of the posterior bracket is formed by forming a first adhesive layer on the posterior teeth between the posterior teeth and the posterior bracket, and the adhesive material exiting toward the other end of the posterior bracket is the posterior bracket. A second posterior tooth adhesive layer is formed on the other end of the tooth, and in the photopolymerization stage of the posterior teeth, when light is irradiated to the adhesive material exiting toward the other end of the posterior teeth, a third posterior posterior photopolymerization layer is formed on the second posterior adhesive layer, and in the anterior attachment step , A first anterior adhesive layer is formed between the anterior portion and one end of the anterior fixing bracket, and the adhesive material that has exited toward the other end of the anterior fixing bracket is attached to the other end of the anterior fixing bracket. To form a second anterior adhesive layer, in the anterior photopolymerization step, When light is irradiated to the adhesive material exiting toward the other end of the tooth, a third precured photopolymerization layer may be formed on the second anterior adhesive layer.

전치부 부착 단계 이전에, 전치부 연결와이어가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전치부 고정브라켓에 부착되지 않은 전치부 연결와이어의 단부를 와이어 지지브라켓에 삽입하고, 견인부재 연결단계에서, 하나의 견인부재를 이용하여 제1 전치부 견인와이어 및 제2 전치부 견인와이어를 한꺼 번에 연결되도록 할 수 있다. Before the anterior attachment step, the end of the anterior connection wire not attached to the anterior fixing bracket is inserted into the wire support bracket so that the anterior connection wire can be moved forward or backward, and in the connection step of the traction member, one traction member is used. The first anterior traction wire and the second anterior traction wire may be connected at a time.

본 발명의 치아교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치아 교정 방법은, 치아에 대한 치아교정장치의 접촉 면적을 줄임으로써 치아의 손상범위를 최소화하면서도 치아교정장치의 부착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더 나아가, 치아에 치아교정장치를 부착하기 위한 접착물질을 적게 사용하기 때문에 치아 교정에 소요되는 치료비를 절감할 수 있다. The orthodontic applianc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orthodontic method using the same can improve the adhesion of the orthodontic appliance while minimizing the range of damage to the tooth by reducing the contact area of the orthodontic appliance to the tooth. Furthermore, since less adhesive material is used to attach the orthodontic appliance to the teeth, the treatment cost required for orthodontics can be reduced.

또한, 치아에 대한 치아교정장치의 접촉 면적이 작기 때문에 치아교정장치를 제거할 때 치아에 많은 손상을 가하지 않고 손쉽게 제거할 수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contact area of the orthodontic appliance to the tooth is small, it can be easily removed without causing much damage to the tooth when removing the orthodontic appliance.

또한, 본 발명의 치아교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치아 교정 방법은, 치아교정장치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기 때문에 치아 교정 환자의 미관을 해치지 않고 치아 교정 환자가 사회생활을 하는데 있어 발생되는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orthodontic applianc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orthodontic method using the same, since the orthodontic appliance is not exposed to the outside, it does not harm the aesthetics of the orthodontic patient and can solve the inconvenience caused by the orthodontic patient in social life. You can.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ose mentioned above,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아교정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치아교정장치가 치아에 부착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한 치아교정장치가 치아에 부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한 치아교정장치를 이용하여 전치부가 이동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3에 도시한 치아교정장치를 이용하여 전치부가 이동되는 모습의 변형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도 3의 A 및 B 부분을 간략하게 나타낸 도면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n orthodontic applian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a state in which the orthodontic appliance shown in FIG. 1 is attached to a tooth.
FIG. 3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orthodontic appliance shown in FIG. 2 is attached to a tooth.
4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anterior portion is moved using the orthodontic appliance shown in FIG. 3.
5 is a view showing a modified example of a state in which the anterior portion is moved using the orthodontic appliance shown in FIG. 3.
FIG. 6 is a diagram briefly showing parts A and B of FIG. 3.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can easily practice.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도면들은 개략적이고 축적에 맞게 도시되지 않았다는 것을 일러둔다. 도면에 있는 부분들의 상대적인 치수 및 비율은 도면에서의 명확성 및 편의를 위해 그 크기에 있어 과장되거나 감소되어 도시되었으며 임의의 치수는 단지 예시적인 것이지 한정적인 것은 아니다. 그리고 둘 이상의 도면에 나타나는 동일한 구조물, 요소 또는 부품에는 동일한 참조 부호가 유사한 특징을 나타내기 위해 사용된다. It is noted that the drawings are schematic and not drawn to scale. The relative dimensions and proportions of the parts in the figures are shown exaggerated or reduced in size for clarity and convenience in the drawings, and any dimensions are merely illustrative and not limiting. And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to indicate similar features in the same structures, elements, or parts appearing in two or more drawings.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상적인 실시예들을 구체적으로 나타낸다. 그 결과, 도면의 다양한 변형이 예상된다. 따라서 실시예는 도시한 영역의 특정 형태에 국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제조에 의한 형태의 변형도 포함한다.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specifically represent ideal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s a result, various modifications of the drawings are expected. Therefore, the embodiment is not limited to a specific form of the illustrated area, and includes, for example, modification of the form by manufacturing.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치아교정장치(10) 및 이를 이용한 치아 교정 방법을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orthodontic appliance 10 and the orthodontic method using the same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우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아교정장치(10)는 치아(1)의 전치부(1a) 및 구치부(1b)에 부착되는데, 전치부(1a)는 좌우 중절치, 좌우 측절치, 좌우 견치 등 여섯개의 치아들을 의미하고, 구치부(1b)는 어금니에 형성된 양쪽 각각 형성된 3개의 치아를 의미한다. First, the orthodontic appliance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ttached to the anterior portion 1a and the posterior portion 1b of the tooth 1, and the anterior portion 1a includes six left and right middle incisors, left and right lateral incisors, left and right canines. Means the teeth of the dog, and the posterior teeth (1b) means three teeth each formed on both sides of the molars.

이러한, 치아교정장치(10)는 전치부(1a)의 부정 교합을 교정하기 위한 것으로서, 전치부(1a)를 이동시켜서 부정교합을 치료한다. The orthodontic device 10 is for correcting the malocclusion of the anterior portion 1a and moves the anterior portion 1a to treat the malocclusion.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아교정장치(10)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1 to 6, the orthodontic appliance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1 내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아교정장치(10)는 전치부(1a)의 치열에 맞게 형성된 전치부 연결와이어(112), 전치부 연결와이어(112)를 전치부(1a)에 고정되도록 하는 전치부 고정브라켓(110), 전치부(1a)가 일 방향으로 당겨지도록 하는 견인부재(130)가 연결되는 제1 전치부 견인와이어(114), 구치부(1b)와 연결되는 구치부 연결와이어(122), 구치부 연결와이어(122)를 구치부(1b)에 고정되도록 하는 구치부 고정브라켓(120) 및 구치부 연결와이어(122)에 마련되며 견인부재(130)가 연결되는 제2 전치부 견인와이어(124)를 포함한다. 1 to 5, the orthodontic appliance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nterior teeth connecting wire 112, anterior teeth connecting wire 112 formed in accordance with the dentition of the anterior teeth 1a First anterior traction wire 114 to which the anterior portion fixing bracket 110 to be fixed to (1a), the traction member 130 to which the anterior portion 1a is pulled in one direction, and the posterior portion connected to the posterior portion 1b Connection wire 122, posterior connection wire 122 is provided in the posterior fixing bracket 120 and posterior connection wire 122 to secure the posterior connection wire 122 to the posterior portion 1b, and the second anterior towing wire to which the traction member 130 is connected 124.

참고로, 도 1 내지 도 5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아교정장치(10)가 하악 치아에만 구비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하악 치아가 아닌 상악 치아에만 구비되도록 할 수도 있고 상악 및 하악 치아에 모두 구비할 수도 있다. For reference, in FIGS. 1 to 5, the orthodontic appliance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llustrated as being provided only on the mandibular teeth,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provided on the maxillary teeth, not the mandibular teeth. It can be provided on both the upper and lower teeth.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전치부 연결와이어(112)는 전치부(1a)의 치열에 맞게 곡선의 곡률진 형상으로 형성된다. 1 and 2, the anterior connection wire 112 is formed in a curved curvature shape to match the dentition of the anterior portion 1a.

전치부 연결와이어(112)는 교정하고자 하는 대상인 전치부(1a)의 형상에 따라 형상이 기억될 수 있도록 형상기억합금으로 제조될 될 수 있으며, Ni-Ti 합금 등 인체에 무해한 소재로 제조될 수 있다. The anterior connection wire 112 may be made of a shape memory alloy so that the shape can be memorized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anterior portion 1a to be corrected, and may be made of a material harmless to the human body such as a Ni-Ti alloy.

또한, 전치부 연결와이어(112)는 다양한 직경을 가질 수 있고, 치아교정장치(10)를 사용하는 치아 교정 환자에 따라 다양한 직경으로 제조될 수 있다. 더욱이, 전치부 연결와이어(112)의 직경은 치아 교정을 하고자 하는 환자가 이물감을 느끼지 않도록 적당한 직경 또는 종래에 사용하던 와이어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the anterior connection wire 112 may have various diameters, and may be manufactured in various diameters depending on the orthodontic patient using the orthodontic device 10. Moreover, the diameter of the anterior connection wire 112 is preferably formed to a suitable diameter or a diameter smaller than the diameter of a wire used in the related art so that a patient who wants to orthodontize does not feel a foreign body.

이러한, 전치부 연결와이어(112)는 전치부(1a)에 고정되는 전치부 고정브라켓(110)에 연결된다. 다시 말해서, 전치부 고정브라켓(110)은 전치부 연결와이어(112)를 전치부(1a)의 설측면에 고정되도록 하는 것이다. This, the anterior connection wire 112 is connected to the anterior fixing bracket 110 is fixed to the anterior portion (1a). In other words, the anterior portion fixing bracket 110 is to secure the anterior portion connection wire 112 to the lingual surface of the anterior portion 1a.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전치부 고정브라켓(110)은 전치부 연결와이어(112)와 하나의 부재로 형성될 수도 있고, 각각의 부재로 형성하여 용접 등을 통해 하나의 부재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전치부 고정브라켓(110)은 전치부 연결와이어(112)와 동일한 부재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1 and 2, the anterior fixing bracket 110 may be formed of one member with the anterior connecting wire 112, or may be formed of each member to form one member through welding or the like. have. Accordingly, it is preferable that the anterior portion fixing bracket 110 is formed of the same member as the anterior portion connecting wire 112.

참고로, 전치부 고정 브라켓(110)과 전치부 연결와이어(112)가 하나의 부재로 형성될 경우 3D 프린터 등의 장치를 통해 형성될 수도 있다. For reference, when the anterior portion fixing bracket 110 and the anterior portion connecting wire 112 are formed as one member, it may be formed through a device such as a 3D printer.

한편, 전치부 고정브라켓(110)은 전치부 연결와이어(112)와는 다르게 전치부(1a)의 설측면에 부착되어야 하기 때문에, 일면에 평평한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전치부 고정브라켓(110)은 원형, 사각형 등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특히 일면이 평평하게 형성함으로써 전치부(1a)에 잘 부착되도록 한다. On the other hand, since the anterior fixing bracket 110 is to be attached to the lingual surface of the anterior portion 1a, unlike the anterior connection wire 112, it is preferable to be formed in a flat shape on one surface. For example, the anterior fixing bracket 110 may be formed in various forms such as a circular shape, a square shape, and the like, so that one surface is flat, it is well attached to the anterior portion 1a.

전치부 고정브라켓(110)은 전치부 연결와이어(112)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 배치되어 전치부(1a)에 고정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전치부 고정브라켓(110)이 전치부(1a)의 설측면에 부착되는 것이 용이하도록 전치부(1a)와 동일한 형상으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anterior portion fixing bracket 110 i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anterior portion connecting wire 112 and fixed to the anterior portion 1a. As described above, it is preferable that the anterior fixing bracket 110 is provided in the same shape as the anterior portion 1a to facilitate attachment to the tongue side surface of the anterior portion 1a.

또한, 전치부 고정브라켓(110)은 전치부(1a)와 동일한 크기로 마련될 수도 있고 작은 크기로 마련될 수도 있으나 가급적이면 작은 크기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약, 전치부 고정브라켓(110)이 전치부(1a) 보다 큰 크기로 마련되거나 또는 동일한 크기로 마련될 경우에는 치아 교정 환자가 치아교정장치(10)의 착용에 있어서 이물감을 느낄 수 있기 때문에 오랜 시간이 소요되는 치아 교정을 진행하는데 있어서 어려울 수 있기 때문이다. In addition, the anterior fixing bracket 110 may be provided in the same size as the anterior portion (1a) or may be provided in a small size, but preferably it is preferably provided in a small size. If, when the anterior fixing bracket 110 is provided in a larger size than the anterior portion (1a) or provided in the same size, the orthodontic patient can feel a foreign body in the wearing of the orthodontic device 10, a long time This is because it can be difficult to proceed with the required orthodontics.

전치부(1a)에 부착되는 전치부 고정브라켓(110)은 접착물질(R)에 의해 전치부(1a)에 고정된다. 다시 말해서, 전치부(1a)에는 유동성을 가지고 치아의 표면에서 경화되는 레진(resin)으로 마련되는 접착물질(R)이 도포되고, 도포된 접착물질(R)의 접착력에 의해 전치부 고정브라켓(110)이 고정된다. The anterior portion fixing bracket 110 attached to the anterior portion 1a is fixed to the anterior portion 1a by an adhesive material R. In other words, the anterior portion (1a) is coated with an adhesive material (R) provided with a resin that has fluidity and cures on the surface of the tooth, and the anterior fixing bracket (110) by the adhesive force of the applied adhesive material (R) This is fixed.

이때,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치부 고정브라켓(110)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치부 고정홀(111)이 형성된다. At this time, as shown in FIGS. 1 and 2, at least one anterior fixing hole 111 is formed in the anterior fixing bracket 110.

전치부(1a)에 접착물질(R)을 도포하게 되면, 도포된 접착물질(R)의 일부는 전치부(1a)와 전치부 고정브라켓(110)의 일단부에 위치되고 도포된 접착물질(R)의 나머지는 전치부 고정홀(111)을 통해 전치부 고정브라켓(110)의 타단부 쪽에 위치된다. When the adhesive material R is applied to the anterior portion 1a, a part of the applied adhesive material R is located at one end of the anterior portion 1a and the anterior fixing bracket 110 and is applied to the applied adhesive material R. The rest is located on the other end side of the anterior fixing bracket 110 through the anterior fixing hole 111.

구체적으로, 도 6의 (a)를 참조하면, 전치부(1a)에 도포된 접착물질(R)의 일부는 전치부 고정홀(111)을 통해 전치부(1a)와 전치부 고정브라켓(110)의 일단부 사이에 위치되어 제1 전치부 접착층(110a)을 형성한다. 또한, 전치부(1a)에 도포된 접착물질(R)의 나머지는 전치부 고정홀(111)을 통해 전치부 고정브라켓(110)의 타단부 쪽으로 빠져나와서 제2 전치부 접착층(110b)을 형성한다. Specifically, referring to (a) of FIG. 6, a part of the adhesive material R applied to the anterior portion 1a is one end of the anterior portion 1a and the anterior portion fixing bracket 110 through the anterior portion fixing hole 111. Located between to form the first anterior adhesive layer (110a). In addition, the rest of the adhesive material R applied to the anterior portion 1a passes through the anterior fixing hole 111 toward the other end of the anterior fixing bracket 110 to form the second anterior adhesive layer 110b.

여기서, 제2 전치부 접착층(110b)에는 광이 조사되고, 조사된 광에 의해 제2 전치부 접착층(110b)의 일부가 굳게되어 제2 전치부 접착층(110b)의 일면에 제3 전치부 광중합층(110c)이 형성된다. Here, the second anterior adhesive layer 110b is irradiated with light, and a part of the second anterior adhesive layer 110b is hardened by the irradiated light, so that the third anterior adhesive layer 110b is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second anterior adhesive layer 110b. It is formed.

즉, 전치부(1a)에 도포되는 접착물질(R)은 전치부 고정홀(111)을 통해 전치부(1a)와 전치부 고정브라켓(110)의 일단부 사이 및 전치부 고정브라켓(110)의 타단부 쪽으로 빠져나가고, 전치부 고정브라켓(110)의 타단부 쪽으로 빠져나간 접착물질(R)을 향해 광을 조사하여 굳히는 과정을 거치기 때문에 전치부(1a)와 전치부 고정브라켓(110)의 접착력이 더욱 향상되게 되는 것이다. That is, the adhesive material R applied to the anterior portion 1a falls between the anterior portion 1a and one end of the anterior portion fixing bracket 110 through the anterior portion fixing hole 111 and toward the other end portion of the anterior portion fixing bracket 110. The adhesive force of the anterior portion 1a and the anterior portion fixing bracket 110 is further improved because it goes through the process of irradiating and hardening the light toward the adhesive material R exiting toward the other end portion of the anterior portion fixing bracket 110.

한편, 전치부 연결와이어(112)는 견인부재(130)를 연결하기 위한 제1 전치부 견인와이어(114)가 형성된다. On the other hand, the anterior connection wire 112 is a first anterior traction wire 114 for connecting the traction member 130 is formed.

제1 전치부 견인와이어(114)는 전치부 연결와이어(112)에 형성되고, 견인부재(130)가 연결된다. The first anterior portion traction wire 114 is formed on the anterior portion connection wire 112, the traction member 130 is connected.

여기서, 견인부재(130)는 전치부(1a)가 일 방향으로 당겨지도록 하는 견인력을 발생시킨다. 이러한, 견인부재(130)는 고무줄이나 스프링과 같은 형태로 형성된다. 이에 따라, 제1 전치부 견인와이어(114)는 견인부재(130)가 잘 걸려서 연결되도록 끝 부분이 고리 형태로 형성된다. Here, the traction member 130 generates a traction force to pull the anterior portion (1a) in one direction. The traction member 130 is formed in the form of a rubber band or a spring. Accordingly, the first anterior portion traction wire 114 is formed in a ring shape with an end portion so that the traction member 130 is hooked and connected.

또한,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전치부 견인와이어(114)는 전치부 연결와이어(112)에 한 쌍으로 구비된다. In addition, as shown in FIGS. 3 and 4, the first anterior traction wire 114 is provided as a pair on the anterior connection wire 112.

만약, 제1 전치부 견인와이어(114)가 여섯개의 치아들로 구성된 전치부(1a)를 연결하는 전치부 연결와이어(112)에 하나만 구비될 경우에는 전치부(1a)를 균형적으로 교정하고자 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이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If the first anterior traction wire 114 is provided with only one in the anterior connection wire 112 connecting the anterior portion 1a consisting of six teeth, the anterior portion 1a is moved in a direction to be balancedly corrected. Because it is impossible.

이에 따라, 제1 전치부 견인와이어(114)는 전치부 연결와이어(112)의 전치부(1a)의 좌측 및 우측에 위치된 중절치와 인접한 부분에 각각, 한 쌍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Accordingly, it is preferable that the first anterior traction wire 114 is formed in pairs, respectively, at portions adjacent to the middle incisors locat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anterior portion 1a of the anterior connection wire 112.

견인부재(130)는 한 쌍의 제1 전치부 견인와이어(114)에 각각 연결되어 전치부(1a)를 견인하고자 하는 방향으로 당기는 것이다. The traction member 130 is connected to each of the pair of first anterior traction wires 114 and pulls the anterior portion 1a in a direction to be traction.

참고로,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견인부재(130)의 일단부는 제1 전치부 견인와이어(114)와 연결된다. 견인부재(130)의 타단부는 후술할 제2 전치부 견인와이어(124)에 연결될 수도 있고 구개부(미도시) 쪽에 식립되는 미니스크류(screw, 미도시)에 연결될 수도 있다. 견인부재(130)를 이용하여 전치부(1a)를 이동시키는 것은 하기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For reference, referring to FIGS. 3 to 5, one end of the traction member 130 is connected to the first anterior traction wire 114. The other end of the traction member 130 may be connected to the second anterior traction wire 124,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or may be connected to a mini-screw (not shown) placed on the palatal portion (not shown). Moving the anterior portion 1a using the traction member 13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elow.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구치부(1b)에는 구치부 연결와이어(122)가 연결된다. 구치부 연결와이어(122)도 전치부 연결와이어(112)와 동일하게 인체에 무해한 Ni-Ti 합금 등의 형상기억합금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1 and 2, the posterior teeth connection wire 122 is connected to the posterior teeth 1b. The posterior connection wire 122 may be formed of a shape memory alloy such as Ni-Ti alloy, which is harmless to the human body, as well as the anterior connection wire 112, but is not limited thereto.

더욱이, 구치부 연결와이어(122)는 치아교정장치(10)의 제조 비용을 줄이고 제조 상에 있어서 편리하도록 전치부 연결와이어(112)와 동일한 형태 및 크기, 그리고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Moreover, the posterior connection wire 122 is preferably formed of the same shape, size, and material as the anterior connection wire 112 to reduce the manufacturing cost of the orthodontic device 10 and to be convenient in manufacturing.

또한, 구치부 연결와이어(122)는 종래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와이어의 형태로 형성되되, 다양한 직경을 가질 수 있고, 치아교정장치(10)를 사용하는 치아 교정 환자에 따라 다양한 직경으로 제조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posterior connection wire 122 is formed in the form of a wire generally used in the prior art, may have various diameters, and may be manufactured in various diameters depending on the orthodontic patient using the orthodontic device 10. .

한편, 구치부 연결와이어(122)는 구치부(1b)에 고정되는 구치부 고정브라켓(120)에 연결된다. 다시 말해서, 구치부 고정브라켓(120)은 구치부 연결와이어(122)가 구치부(1b)의 설측면에 고정되도록 하는 것이다. On the other hand, the posterior connection wire 122 is connected to the posterior fixing bracket 120 fixed to the posterior portion (1b). In other words, the posterior teeth fixing bracket 120 is such that the posterior teeth connecting wire 122 is fixed to the tongue side surface of the posterior teeth 1b.

전술한 전치부 고정브라켓(110) 및 전치부 연결와이어(112)와 마찬가지로 구치부 고정브라켓(120) 및 구치부 연결와이어(122)도 하나의 연결된 부재의 형태를 갖기 때문에, 구치부 고정브라켓(120)도 구치부 연결와이어(122)와 동일한 부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Like the aforementioned anterior fixing bracket 110 and the anterior connecting wire 112, the posterior fixing bracket 120 and the posterior connecting wire 122 also have the form of one connected member, so the posterior fixing bracket 120 also connects the posterior teeth It is preferably formed of the same member as the wire 122.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구치부 고정브라켓(120)은 구치부(1b)의 설측면에 부착된다. 여기서, 구치부(1b)는 어금니의 형태이기 때문에 전치부(1a)와는 다르게 설측면이 평평하지 않고 볼록한 형태로 마련된다. 이에 따라, 구치부 고정브라켓(120)은 볼록한 형태로 마련되는 구치부(1b)를 감쌀 수 있도록 일면이 오목한 형태로 형성된다. 1 and 2, the posterior fixing bracket 120 is attached to the tongue side surface of the posterior portion 1b. Here, because the molar portion 1b is in the form of a molar, unlike the anterior portion 1a, the lingual surface is not flat and is provided in a convex shape. Accordingly, the posterior fixing bracket 120 is formed in a concave shape so that one side can wrap the posterior portion 1b provided in a convex shape.

여기서, 구치부 고정브라켓(120)은 구치부의 치열에 대응되도록 나란하게 마련된다. 다시 말해서, 구치부 고정브라켓(120)은 전치부 고정브라켓(110)과는 다르게 구치부(1b)의 치열에 따라 3개의 구치부(1b)를 고정하기 위하여 연결된 형태로 형성됨으로써 구치부(1b)에 부착되어 구치부(1b)를 안정적으로 지지한다. Here, the posterior fixing bracket 120 is provided side by side to correspond to the teeth of the posterior teeth. In other words, the posterior fixing bracket 120 is formed in a connected form to fix the three posterior teeth 1b according to the dentition of the posterior teeth 1b, unlike the anterior teeth fixing bracket 110, thereby being attached to the posterior teeth 1b (1b) is stably supported.

한편, 구치부 고정브라켓(120)은 전치부 고정브라켓(110)과 마찬가지로 접착물질(R)에 의해 구치부(1b)에 고정된다. On the other hand, the posterior fixing bracket 120 is fixed to the posterior teeth 1b by an adhesive material R, like the anterior fixing bracket 110.

구체적으로, 구치부 고정브라켓(120)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구치부 고정홀(121)이 형성된다. 접착물질(R)은 구치부(1b)의 설측면에 도포된다. Specifically, at least one posterior fixing hole 121 is formed in the posterior fixing bracket 120. The adhesive material R is applied to the tongue side surface of the posterior teeth 1b.

이때, 구치부(1b)에 도포된 접착물질(R) 중의 일부는 구치부 고정홀(121)을 통해서 구치부(1b)와 구치부 고정브라켓(120)의 일단부 사이에 위치되어 제1 구치부 접착층(120a)을 형성한다. 또한, 구치부(1b)에 도포된 접착물질(R)중의 다른 일부, 즉 나머지는 구치부 고정브라켓(120)의 타단부 쪽으로 빠져나와서 제2 구치부 접착층(120b)을 형성한다. At this time, some of the adhesive material R applied to the posterior teeth 1b is located between the posterior teeth 1b and one end of the posterior teeth fixing bracket 120 through the posterior teeth fixing hole 121, the first posterior teeth adhesive layer 120a To form. Further, another part of the adhesive material R applied to the posterior teeth 1b, that is, the rest of the adhesive exits toward the other end of the posterior teeth fixing bracket 120 to form the second posterior teeth adhesive layer 120b.

여기서, 제2 구치부 접착층(120b)에는 광이 조사되고 조사된 광에 의해 제2 구치부 접착층(120b)의 일부분이 굳게 된다. 이에 따라, 제2 구치부 접착층(120b)의 일면에는 제3 구치부 광중합층(120c)이 형성되게 된다. Here, light is irradiated to the second posterior adhesive layer 120b, and a part of the second posterior adhesive layer 120b is hardened by the irradiated light. Accordingly, the third posterior teeth photopolymerization layer 120c is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second posterior teeth adhesive layer 120b.

이와 같이, 구치부(1b)에 도포되는 접착물질(R) 중의 일부는 구치부 고정홀(121)을 통해 구치부(1b)와 구치부 고정브라켓(120)의 일단부 사이에 위치되어 구치부(1b)와 구치부 고정브라켓(120)의 일단부 간의 접착력을 향상시키고, 접착물질(R)의 나머지 일부는 구치부 고정홀(121)을 통해 구치부 고정브라켓(120)의 타단부 쪽에 위치됨으로써 구치부(1b)에 대하여 구치부 고정브라켓(120)이 잘 부착되도록 하는 것이다. 더욱이, 구치부 고정브라켓(120)의 타단부를 향해 광을 조사하여 구치부 고정브라켓(120)의 타단부를 굳힘으로써 구치부(1b)에 대한 구치부 고정브라켓(120)의 부착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As described above, a part of the adhesive material R applied to the posterior teeth 1b is located between the posterior teeth 1b and one end of the posterior teeth fixing bracket 120 through the posterior teeth fixing hole 121 and the posterior teeth 1b and posterior teeth To improve the adhesion between the one end of the fixing bracket 120, the rest of the adhesive material (R) is located on the other end side of the posterior fixing bracket 120 through the posterior fixing hole 121, the posterior portion with respect to the posterior portion (1b) It is to ensure that the fixing bracket 120 is well attached. Moreover, by irradiating light toward the other end of the posterior fixing bracket 120 to harden the other end of the posterior fixing bracket 120, it is possible to further improve the attachment force of the posterior fixing bracket 120 to the posterior fixing portion 1b. .

참고로, 구치부(1b)에 도포되는 접착물질(R)도 전치부(1a)에 도포되는 접착물질(R)과 동일한 레진(resin)으로 마련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른 소재로 대체될 수도 있다. For reference, the adhesive material R applied to the posterior teeth 1b is also made of the same resin as the adhesive material R applied to the anterior teeth 1a,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replaced with other materials. have.

한편,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구치부 고정브라켓(120)에는 와이어 지지브라켓(126)이 마련된다. 다시 말해서, 와이어 지지브라켓(126)은 구치부 고정브라켓(120)에 연결된 구치부 연결와이어(122)에 연결된다. Meanwhile, referring to FIGS. 1 to 4, a wire support bracket 126 is provided on the posterior fixing bracket 120. In other words, the wire support bracket 126 is connected to the posterior teeth connecting wire 122 connected to the posterior teeth fixing bracket 120.

와이어 지지브라켓(126)은 전치부 연결와이어(112)가 구치부(1b)에 대해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The wire support bracket 126 is to allow the anterior portion connecting wire 112 to be moved forward or backward relative to the posterior portion 1b.

이에 따라, 와이어 지지브라켓(126)은 내부가 중공인 원통 형태로 형성되고, 그 내부에 전치부 연결와이어(112)의 단부가 삽입되어 전후방 이동 가능하게 된다. Accordingly, the wire support bracket 126 is formed in a hollow cylindrical shape, and an end portion of the anterior connection wire 112 is inserted therein to move forward and backward.

와이어 지지브라켓(126)을 따라 전치부 연결와이어(112)가 후방(구치부 쪽)으로 이동됨에 따라서 전치부 연결와이어(112)에 연결된 전치부 고정브라켓(110)도 후방으로 당겨지게 되고, 결국 전치부(1a)가 교정하고자 하는 방향, 즉 구치부(1b) 쪽으로 이동되게 된다. As the anterior connection wire 112 moves along the wire support bracket 126 to the rear (side of the posterior portion), the anterior fixing bracket 110 connected to the anterior connection wire 112 is also pulled backward, and eventually the anterior portion 1a Is moved in the direction to be corrected, that is, toward the posterior teeth 1b.

여기서,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와이어 지지브라켓(126)은 좌측 및 우측에 위치된 구치부(1b)에 연결된 구치부 연결와이어(122)에 각각 한 쌍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전치부(1a)의 치열에 맞게 곡선의 곡률진 형상으로 형성된 전치부 연결와이어(112)를 통해 전치부(1a)가 교정하고자 하는 방향으로 균형적으로 이동되도록 할 수 있게 된다. Here, referring to FIGS. 3 and 4, the wire support brackets 126 are preferably formed in pairs in the posterior connection wires 122 connected to the posterior teeth 1b locat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respectively. Accordingly, the anterior portion 1a can be balancedly moved in a direction to be corrected through the anterior portion connection wire 112 formed in a curved curvature shape to match the dentition of the anterior portion 1a.

만약, 와이어 지지브라켓(126)이 어느 한 쪽의 구치부 연결와이어(122)에만 형성될 경우, 전치부(1a)와 연결된 어느 하나의 전치부 연결와이어(112) 만을 당기기 때문에 전치부(1a)를 균형적으로 이동시키는 것이 불가능하고, 그럴 경우 전치부(1a)의 교정이 원하는 형태로 되지 않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도 있기 때문이다. If, when the wire support bracket 126 is formed only on one of the posterior connection wire 122, because only one of the anterior connection wire 112 connected to the anterior portion (1a) pulls the anterior portion (1a) in a balanced manner This is because it is impossible to move, and in that case, a problem may arise in which the anterior portion 1a is not corrected in a desired shape.

또한, 도 1 및 도 2를 참고하면, 구치부 연결와이어(122)에는 제2 전치부 견인와이어(124)가 형성된다. 이러한, 제2 전치부 견인와이어(124)는 제1 전치부 견인와이어(114)와 함께 전치부(1a)를 일 방향, 즉 구치부 쪽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것이다. In addition, referring to FIGS. 1 and 2, the second anterior traction wire 124 is formed in the posterior connection wire 122. The second anterior traction wire 124 is for moving the anterior portion 1a together with the first anterior traction wire 114 in one direction, that is, the molar portion.

제2 전치부 견인와이어(124)는 제1 전치부 견인와이어(114)와 마찬가지로 한 쌍으로 구비된다. 한 쌍의 제2 전치부 견인와이어(124) 중에서 어느 하나는 좌측에 위치된 구치부(1b)에 고정된 구치부 연결와이어(122)에 연결되고, 다른 하나는 우측에 위치된 구치부(1b)에 고정된 구치부 연결와이어(122)에 연결된다. The second anterior traction wire 124 is provided in a pair, like the first anterior traction wire 114. One of the pair of second anterior traction wires 124 is connected to the posterior teeth connection wire 122 fixed to the posterior teeth 1b located on the left side, and the other is fixed to the posterior teeth 1b located on the right side. It is connected to the posterior teeth connection wire (122).

즉, 좌측에 위치된 제2 전치부 견인와이어(124)는 그 전방에 위치된 제1 전치부 견인와이어(114)와 하나의 견인부재(130)에 의해 연결되고, 우측에 위치된 제2 전치부 견인와이어(124)는 그 전방에 위치된 제1 전치부 견인와이어(114)와 다른 하나의 견인부재(130)에 의해 연결됨으로써 전치부(1a)를 교정하고자 하는 방향으로 균형적으로 이동될 수 있게 된다. That is, the second anterior traction wire 124 located on the left side is connected by the first anterior traction wire 114 and one traction member 130 positioned on the front side, and the second anterior traction wire located on the right side The 124 is connected to the first anterior traction wire 114 and the other traction member 130 located in front thereof, so that the anterior portion 1a can be balancedly moved in a direction to be corrected.

이하,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치아교정장치(10)를 이용한 치아 교정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Hereinafter, a method of orthodontics using the orthodontic appliance 1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3 to 5.

치아교정장치(10)를 이용한 치아 교정 방법은 와이어 시적 단계, 구치부 부착 단계, 구치부 광중합 단계, 전치부 부착 단계, 전치부 광중합 단계 및 견인부재 연결단계를 포함한다. The method of orthodontics using the orthodontic appliance 10 includes a wire trial step, a posterior teeth attachment step, a posterior teeth photopolymerization step, an anterior teeth attachment step, an anterior teeth photopolymerization step and a traction member connection step.

먼저, 와이어 시적 단계는 전치부 고정브라켓(110)과 전치부 연결와이어(112) 및 구치부 고정브라켓(120)과 구치부 연결와이어(122)가 교정 대상인 치아에 대하여 잘 맞는지 치아에 대응시켜보는 단계를 말한다. 만약, 와이어 시적 단계에서 전치부 고정브라켓(110)과 전치부 연결와이어(112) 및 구치부 고정브라켓(120)과 구치부 연결와이어(122)가 교정 대상인 치아에 대해 잘 맞지 않을 경우에는, 교정 대상인 치아를 형태 및 크기를 다시 확인하여 전치부 고정브라켓(110)과 전치부 연결와이어(112) 및 구치부 고정브라켓(120)과 구치부 연결와이어(122)의 형태를 변경한 후에 와이어 시적 단계를 다시 거쳐야 한다. First, the wire poetic step refers to a step of matching the teeth to see if the anterior fixing bracket 110 and the anterior connecting wire 112 and the posterior fixing bracket 120 and the posterior connecting wire 122 fit well with respect to the teeth to be corrected. If, in the wire poetic stage, the anterior fixing bracket 110 and the anterior connecting wire 112 and the posterior fixing bracket 120 and the posterior connecting wire 122 do not fit well with the teeth to be corrected, the teeth to be corrected are shaped. And after checking the size again, after changing the shape of the anterior fixing bracket 110 and the anterior connecting wire 112 and the posterior fixing bracket 120 and the posterior connecting wire 122, the wire trial step must be performed again.

그 다음, 구치부 부착 단계는, 구치부 고정브라켓(120) 및 구치부 연결와이어(122)를 교정 대상인 치아의 구치부(1b)에 부착하는 단계이다. 이때, 구치부(1b)에 접착물질(R)을 도포하여, 구치부(1b)에 구치부 고정브라켓(120) 및 구치부 연결와이어(122)를 부착한다. Next, the attachment of the posterior teeth is a step of attaching the posterior teeth fixing bracket 120 and the posterior teeth connecting wire 122 to the posterior teeth 1b of the teeth to be corrected. At this time, by applying an adhesive material (R) to the posterior portion (1b), attaching the posterior fixing bracket 120 and the posterior connection wire 122 to the posterior portion (1b).

참고로, 구치부 고정브라켓(120) 및 구치부 연결와이어(122)는 서로 연결되어 하나의 부재인 상태이기 때문에, 구치부(1b)에 구치부 고정브라켓(120)을 부착하게 되면 구치부 연결와이어(122)도 구치부(1b)에 함께 부착되게 된다. For reference, since the posterior fixing bracket 120 and the posterior connection wire 122 are connected to each other and are in a single member state, when the posterior fixing bracket 120 is attached to the posterior portion 1b, the posterior connection wire 122 is also provided. It is attached to the posterior teeth 1b together.

그 다음, 구치부 광중합 단계에서는, 구치부 고정브라켓(120)에 도포된 접착물질(R)을 향해 광을 조사하여 굳히는 단계이다. Then, in the photopolymerization stage of the posterior teeth, it is a step of irradiating and hardening the light toward the adhesive material R applied to the posterior teeth fixing bracket 120.

구체적으로, 구치부 부착 단계에서, 구치부(1b)에 도포된 접착물질(R)은 구치부 고정홀(121)을 통해 구치부 고정브라켓(120)의 일단부 및 구치부 고정브라켓(120)의 타단부 쪽에 위치된다. 구치부 고정홀(121)을 통하여 구치부(1b)와 구치부 고정브라켓(120)의 일단부 쪽으로 빠져나온 접착물질(R)은 제1 구치부 접착층(120a)을 형성한다. 또한, 구치부 고정홀(121)을 통하여 구치부 고정브라켓(120)의 타단부 쪽으로 빠져나온 접착물질(R)은 제2 구치부 접착층(120b)을 형성한다. Specifically, in the attachment of the posterior teeth, the adhesive material R applied to the posterior teeth 1b is positioned at one end of the posterior teeth fixing bracket 120 and the other end of the posterior teeth fixing bracket 120 through the posterior teeth fixing hole 121. do. The adhesive material R exiting toward one end of the posterior teeth 1b and the posterior teeth fixing bracket 120 through the posterior teeth fixing hole 121 forms the first posterior teeth adhesive layer 120a. In addition, the adhesive material R exiting toward the other end of the posterior teeth fixing bracket 120 through the posterior teeth fixing hole 121 forms the second posterior teeth adhesive layer 120b.

이때, 구치부 고정브라켓(120)을 구치부(1b)에 대해 완전히 고정시키기 위해서는, 구치부 고정브라켓(120)의 타단부 쪽으로 위치되는 접착물질(R)을 굳히는 것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구치부 광중합 단계에서, 구치부 고정브라켓(120)의 타단부에 형성된 제2 구치부 접착층(120b)에 광을 조사하여 굳히게 되고, 이때 구치부 고정브라켓(120)의 타단부에는 제3 구치부 광중합층(120c)이 형성되게 된다. At this time, in order to completely fix the posterior fixed bracket 120 with respect to the posterior 1b, it is necessary to harden the adhesive material R located at the other end of the posterior fixed bracket 120. To this end, in the photopolymerization stage of the posterior teeth, the second posterior adhesive layer 120b formed at the other end of the posterior bracket fixing bracket 120 is irradiated with light to solidify, and at this time, the third posterior posterior photopolymerization layer at the other end of the posterior bracket fixing 120 120c is formed.

그 다음, 전치부 부착 단계는, 전치부(1a)에 전치부 고정브라켓(110) 및 전치부 연결와이어(112)를 부착하는 단계이다. 이때, 구치부 부착 단계와 마찬가지로, 전치부(1a)에 접착물질(R)을 도포하여 전치부 고정브라켓(110)를 전치부(1a)에 부착하면, 전치부 고정브라켓(110)과 하나의 부재로 형성된 전치부 연결와이어(112)도 전치부(1a)에 부착되게 된다. Next, the step of attaching the anterior teeth is a step of attaching the anterior teeth fixing bracket 110 and the anterior teeth connecting wire 112 to the anterior teeth 1a. At this time, as in the step of attaching the posterior teeth, when the anterior fixing bracket 110 is attached to the anterior teeth 1a by applying an adhesive material R to the anterior teeth 1a, the anterior teeth fixing bracket 110 and the anterior teeth formed of one member are connected. The wire 112 is also attached to the anterior portion 1a.

한편, 전치부 부착 단계 이전에, 전치부 고정브라켓(110)에 부착되지 않은 전치부 연결와이어(112)의 단부를 와이어 지지브라켓(126)에 삽입하여 전치부 고정브라켓(110) 및 전치부 연결와이어(112)와 연결된 전치부(1a)를 구치부(1b) 쪽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현한다. On the other hand, before the step of attaching the anterior teeth, the ends of the anterior connection wires 112 that are not attached to the anterior fixing brackets 110 are inserted into the wire support brackets 126 and the anterior fixing brackets 110 and the anterior connection wires 112 The connected anterior portion 1a is implemented to be movable toward the posterior portion 1b.

그 다음, 전치부 광중합 단계는, 전치부 고정브라켓(110)에 도포된 접착물질(R)을 향해 광을 조사하여 굳히는 단계이다. Next, the photopolymerization step of the anterior portion is a step of irradiating and hardening the light toward the adhesive material R applied to the anterior portion fixing bracket 110.

구체적으로, 전치부 부착 단계에서, 전치부(1a)에 도포된 접착물질(R)은 전치부 고정홀(111)을 통해 전치부(1a)와 전치부 고정브라켓(110)의 일단부 및 전치부 고정브라켓(110)의 타단부 쪽에 위치된다. 전치부 고정홀(111)을 빠져나온 접착물질(R)의 일부는 전치부(1a)와 전치부 고정브라켓(110)의 일단부 사이에 위치되어 제1 전치부 접착층(110a)을 형성하고, 전치부 고정홀(111)을 빠져나온 접착물질(R)의 나머지는 전치부 고정브라켓(110)의 타단부 쪽에 위치되어 제2 전치부 접착층(110b)을 형성한다. Specifically, in the step of attaching the anterior teeth, the adhesive material R applied to the anterior teeth 1a has one end of the anterior teeth 1a and the anterior teeth fixing bracket 110 and an anterior teeth fixing bracket 110 through the anterior teeth fixing hole 111. It is located on the other end side. Part of the adhesive material R exiting the anterior fixing hole 111 is located between the anterior portion 1a and one end of the anterior fixing bracket 110 to form a first anterior adhesive layer 110a, and the anterior fixing hole ( The rest of the adhesive material R exiting 111) is positioned at the other end of the anterior fixing bracket 110 to form the second anterior adhesive layer 110b.

이때, 전치부 고정브라켓(110)를 전치부(1a)에 대해 완전히 고정시키기 위해서는, 전치부 고정브라켓(110)의 타단부 쪽에 위치된 접착물질(R)을 완전히 굳히는 것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전치부 광중합 단계에서, 전치부 고정브라켓(110)의 타단부에 형성된 제2 전치부 접착층(110b)에 광을 조사한다. 그러면, 제2 전치부 접착층(110b)의 일부가 굳게 되는데, 이때 제2 전치부 접착층(110b)에는 제3 전치부 광중합층(110c)이 형성되게 되는 것이다. At this time, in order to completely fix the anterior portion fixing bracket 110 with respect to the anterior portion 1a, it is necessary to completely harden the adhesive material R located at the other end of the anterior portion fixing bracket 110. To this end, in the photopolymerization step of the anterior portion, light is irradiated to the second anterior adhesive layer 110b formed at the other end portion of the anterior fixing bracket 110. Then, a part of the second anterior adhesive layer 110b is solidified, and a third anterior photopolymerization layer 110c is formed on the second anterior adhesive layer 110b.

그 다음, 견인부재 연결단계는, 전치부(1a)를 구치부(1b) 쪽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견인부재(130)를 전치부(1a)에 연결하는 단계이다. Then, the connecting step of the traction member is a step of connecting the traction member 130 for moving the anterior portion 1a toward the posterior portion 1b to the anterior portion 1a.

견인부재 연결단계에서, 견인부재(130)를 제1 전치부 견인와이어(114) 또는 제2 전치부 견인와이어(124)에 연결하여 전치부(1a)를 교정하고자 하는 방항, 즉 구치부(1b) 쪽으로 이동되도록 한다. In the connecting step of the traction member, the traction member 130 is connected to the first anterior traction wire 114 or the second anterior traction wire 124 to correct the anterior portion 1a, that is, to move toward the posterior portion 1b do.

이때,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나의 견인부재(130)를 이용하여 제1 전치부 견인와이어(114) 및 제2 전치부 견인와이어(124)를 한 꺼번에 연결하여 전치부(1a)가 구치부(1b) 쪽으로 더욱 효과적으로 당겨지도록 한다. At this time, as shown in FIGS. 3 and 4, the first anterior traction wire 114 and the second anterior traction wire 124 are connected to the anterior portion 1a by using one traction member 130. Is to be more effectively pulled toward the posterior teeth (1b).

이와 같이, 하나의 견인부재(130)를 이용하여 전치부(1a)를 구치부(1b) 쪽으로 당겨줌에 따라 치아 교정 환자는 치아 교정을 함에 따라 느끼는 이물감을 조금 덜 느끼도록 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orthodontic patient can make the foreign body feel a little less as the orthodontic patient performs by pulling the anterior portion 1a toward the posterior portion 1b using one traction member 130.

한편,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견인부재(130)의 일단부를 한 쌍의 제1 전치부 견인와이어(114)에 각각 연결하고, 견인부재(130)의 타단부는 구개부(미도시)에 식립되는 미니스크류(미도시)에 연결하여 전치부(1a)를 교정하고자 하는 방향으로 당겨지도록 할 수도 있다. Meanwhile, as illustrated in FIG. 5, one end of the traction member 130 is connected to a pair of first anterior traction wires 114, and the other end of the traction member 130 is connected to a palatal portion (not shown). It is also possible to connect the miniscrew (not shown) to be placed and pull the anterior portion 1a in the direction to be corrected.

상기한 구성에 의하여, 본 발명의 치아교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치아 교정 방법은, 치아에 대한 치아교정장치의 접촉 면적을 줄임으로써 치아의 손상범위를 최소화하면서도 치아교정장치의 부착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더 나아가, 치아에 치아교정장치를 부착하기 위한 접착물질을 적게 사용하기 때문에 치아 교정에 소요되는 치료비를 절감할 수 있다. By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the orthodontic applianc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orthodontic method using the same can improve the adhesion of the orthodontic appliance while minimizing the damage range of the tooth by reducing the contact area of the orthodontic appliance to the tooth. Furthermore, since less adhesive material is used to attach the orthodontic appliance to the teeth, the treatment cost required for orthodontics can be reduced.

또한, 본 발명의 치아 교정장치를 이용한 치아 교정 방법은, 치아에 대한 치아교정장치의 접촉 면적이 작기 때문에 치아교정장치를 제거할 때 치아에 많은 손상을 가하지 않고 손쉽게 제거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orthodontic method using the orthodontic appliance of the present invention, because the contact area of the orthodontic appliance to the tooth is small, when removing the orthodontic appliance can be easily removed without causing much damage to the teeth.

또한, 본 발명의 치아교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치아 교정 방법은, 치아교정장치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기 때문에 치아 교정 환자의 미관을 해치지 않고 치아 교정 환자가 사회생활을 하는데 있어 발생되는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orthodontic applianc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orthodontic method using the same, since the orthodontic appliance is not exposed to the outside, it does not impair the aesthetics of the orthodontic patient and solves the inconvenience caused by the orthodontic patient in social life. You can.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As described above,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has been described by specific matters such as specific components and the like, and limited embodiments and drawings, which are provided only to help the overall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t is not limited,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can make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from these descriptions. Therefore,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and should not be determined, and all claims that are equivalent to or equivalent to the claims, as well as the claims described below, will be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1: 치아
1a: 전치부 1b: 구치부
10: 치아교정장치
110: 전치부 고정브라켓 110a: 제1 전치부 접착층
110b: 제2 전치부 접착층 110c: 제3 전치부 광중합층
111: 전치부 고정홀 112: 전치부 연결와이어
114: 제1 전치부 견인와이어 120: 구치부 고정브라켓
120a: 제1 구치부 접착층 120b: 제2 구치부 접착층
120c: 제3 구치부 광중합층 121: 구치부 고정홀
122: 구치부 연결와이어 124: 제2 전치부 견인와이어
126: 와이어 지지브라켓 130: 견인부재
R: 접착물질
1: teeth
1a: anterior teeth 1b: posterior teeth
10: Orthodontic appliance
110: anterior fixing bracket 110a: first anterior adhesive layer
110b: Second anterior portion adhesive layer 110c: Third anterior portion photopolymerization layer
111: anterior fixed hole 112: anterior connection wire
114: first anterior towing wire 120: posterior teeth fixing bracket
120a: First molar adhesive layer 120b: Second molar adhesive layer
120c: third posterior photopolymerization layer 121: posterior posterior fixation hole
122: posterior teeth connecting wire 124: second anterior towing wire
126: wire support bracket 130: traction member
R: adhesive material

Claims (11)

전치부의 치열에 맞게 곡률진 형상으로 형성되는 전치부 연결와이어;
전치부 연결와이어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 배치되어 전치부와 동일한 형상으로 마련되어 전치부 연결와이어를 전치부의 설측면에 각각 고정되도록 하며, 전치부 연결와이어와 하나의 부재로 형성되는 전치부 고정브라켓;
전치부 연결와이어에 형성되어 전치부가 일 방향으로 당겨지도록 하는 견인부재가 연결되는 제1 전치부 견인와이어;
구치부의 치열에 대응하도록 나란하게 마련되어 구치부의 설측면에 고정되되 구치부의 치열에 따라 3개의 구치부를 고정하기 위해 연결된 형태로 형성되는 구치부 고정브라켓;
구치부 고정브라켓과 하나의 연결된 부재의 형태로 형성되는 구치부 연결와이어;
구치부 연결와이어에 구비되며 전치부 연결와이어의 단부가 삽입되어 전치부 연결와이어를 구치부 쪽으로 이동 가능하게 하는 와이어 지지브라켓; 및
와이어 지지브라켓에 형성되며 제1 전치부 견인와이어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제1 전치부 견인와이어에 연결된 견인부재가 연결되는 제2 전치부 견인와이어;
를 포함하고,
전치부 고정브라켓 및 구치부 고정브라켓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치부 고정홀 및 구치부 고정홀이 관통 형성되며,
전치부 및 구치부에는 치아의 표면에서 빛에 의해 경화되며 유동성을 가지는 레진(resin)으로 마련되는 접착물질이 도포되되,
전치부 고정브라켓을 전치부에 각각 도포된 접착물질을 이용하여 고정시키면 전치부 연결와이어도 전치부에 함께 고정되며,
구치부 고정브라켓을 구치부에 도포된 접착물질을 이용하여 고정시키면 구치부 연결와이어도 구치부에 함께 고정되고,
전치부 연결와이어의 일단부는 전치부에 도포된 접착물질에 의해 전치부 고정브라켓과 함께 전치부에 부착되고, 전치부 고정브라켓과 함께 전치부에 고정되지 않은 전치부 연결와이어의 타단부는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가능하도록 와이어 지지브라켓에 삽입되며,
견인부재는 제1 전치부 견인와이어 및 제2 전치부 견인와이어를 한꺼 번에 연결하여 전치부를 구치부 쪽으로 당겨지도록 하되,
제1 전치부 견인와이어는 전치부에 고정된 전치부 연결와이어의 좌측 및 우측에 위치된 중절치와 인접한 부분에 한 쌍으로 형성되고, 와이어 지지브라켓은 좌측 및 우측에 위치된 구치부에 연결된 구치부 연결와이어에 각각 형성되도록 한 쌍으로 마련되며, 제2 전치부 견인와이어도 한 쌍으로 마련된 와이어 지지브라켓의 각각에 형성되도록 한 쌍으로 형성되고,
하나의 견인부재에 하나의 제1 전치부 견인와이어 및 하나의 제2 전치부 견인와이어가 한 꺼번에 연결되도록 하고, 다른 하나의 견인부재에 다른 하나의 제1 전치부 견인와이어 및 다른 하나의 제2 전치부 견인와이어가 한 꺼번에 연결되도록 하여 전치부를 교정하고자 하는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하는, 치아교정장치.
An anterior connection wire formed in a curved shape to match the dentition of the anterior portion;
An anterior fixing bracket which is arrang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anterior connection wire and is provided in the same shape as the anterior portion, so that the anterior connection wires are fixed to the lingual surface of the anterior portion, and the anterior connection wires are formed of one member with the anterior connection wires;
A first anterior traction wire formed on the anterior connection wire and connected to a traction member that allows the anterior portion to be pulled in one direction;
A posterior fixation bracket provided side by side to correspond to the dentition of the posterior teeth and fixed to the tongue side surface of the posterior teeth, but formed in a connected form to fix three posterior teeth according to the dentition of the posterior teeth;
A posterior connection wire formed in the form of a member connected to the posterior bracket;
A wire support bracket provided in the posterior connection wire and the end of the anterior connection wire is inserted to enable the anterior connection wire to be moved toward the posterior portion; And
A second anterior traction wire formed on a wire support bracket and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anterior traction wire and connected to a traction member connected to the first anterior traction wire;
Including,
At least one anterior fixation hole and a posterior fixation hole are formed through the anterior fixation bracket and the posterior fixation bracket,
The anterior and posterior teeth are coated with an adhesive material that is cured by light on the surface of the teeth and is made of a resin having fluidity.
When the anterior fixing brackets are fixed using adhesive materials applied to the anterior teeth, the anterior teeth are fixed together with the anterior teeth even if the anterior teeth are connected.
Fixing the posterior bracket using adhesive material applied to the posterior teeth is fixed together with the posterior teeth even with the posterior teeth connection.
One end of the anterior connection wire is attached to the anterior portion together with the anterior fixing bracket by an adhesive material applied to the anterior portion, and the other end portion of the anterior connection wire not fixed to the anterior portion with the anterior fixing bracket is wire-movable to move forward or backward. Inserted into the bracket,
The traction member connects the first anterior traction wire and the second anterior traction wire together to pull the anterior portion toward the posterior teeth,
The first anterior traction wire is formed in a pair in a portion adjacent to the incisor locat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anterior connection wire fixed to the anterior portion, and the wire support brackets are respectively formed on the posterior connection wires connected to the posterior teeth locat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It is provided in a pair as much as possible, and is formed in a pair so as to be formed on each of the wire support brackets provided in a pair even if the second anterior portion is pulled,
One first anterior traction wire and one second anterior traction wire are connected to one traction member at a time, and the other first anterior traction wire and the other second anterior traction wire are connected to the other traction member Orthodontic device, so that the wire is connected at a time to move the anterior portion in the direction to be corrected.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전치부에 도포된 접착물질의 일부는 전치부와 전치부 고정브라켓의 일단부 사이로 빠져나와서 제1 전치부 접착층을 형성하고,
전치부에 도포된 접착물질의 나머지는 전치부 고정홀을 통해 전치부 고정브라켓의 타단부 쪽으로 빠져나와서 제2 전치부 접착층을 형성하며,
제2 전치부 접착층에 광을 조사하여 굳힘으로써 제2 전치부 접착층의 일면에 제3 전치부 광중합층이 형성되는, 치아교정장치.
According to claim 1,
A part of the adhesive material applied to the anterior portion passes through the anterior portion and one end of the anterior fixing bracket to form a first anterior adhesive layer,
The rest of the adhesive material applied to the anterior teeth exits through the anterior fixing holes to the other end of the anterior fixing brackets to form a second anterior adhesive layer,
The orthodontic appliance in which a third anterior photopolymerization layer is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second anterior adhesive layer by irradiating and hardening the second anterior adhesive layer.
삭제delete 제3항에 있어서,
구치부에 도포된 접착물질의 일부는 구치부와 구치부 고정브라켓의 일단부 사이로 빠져나와서 제1 구치부 접착층을 형성하고,
구치부에 도포된 접착물질의 나머지는 구치부 고정홀을 통해 구치부 고정브라켓의 타단부 쪽으로 빠져나와서 제2 구치부 접착층을 형성하며,
제2 구치부 접착층에 광을 조사하여 굳힘으로써 제2 구치부 접착층의 일면에 제3 구치부 광중합층이 형성되는, 치아교정장치.
According to claim 3,
A part of the adhesive material applied to the posterior teeth passes between the posterior teeth and one end of the posterior bracket to form a first posterior adhesive layer,
The rest of the adhesive material applied to the posterior teeth exits through the posterior teeth fixing hole toward the other end of the posterior teeth fixing bracket to form a second posterior teeth adhesive layer,
The orthodontic appliance in which a third posterior photopolymerization layer is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second posterior posterior adhesive layer by irradiating and hardening the second posterior posterior adhesive layer.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3항에 있어서,
제1 전치부 접착층은 전치부와 전치부 고정브라켓의 일단부 사이에서 형성되고,
제2 전치부 접착층은 전치부 고정브라켓의 타단부에 대해 형성되며,
제3 전치부 광중합층은 전치부 고정브라켓의 타단부 쪽으로 빠져나온 접착물질을 향해 광이 조사되어 제2 전치부 접착층에 형성되는, 치아교정장치.
According to claim 3,
The first anterior adhesive layer is formed between the anterior portion and one end of the anterior fixing bracket,
The second anterior adhesive layer is formed with respect to the other end of the anterior fixing bracket,
The third anterior teeth photopolymerization layer is formed on the second anterior adhesive layer by irradiating light toward the adhesive material exiting toward the other end of the anterior fixing bracket.
제5항에 있어서,
제1 구치부 접착층은 구치부와 구치부 고정브라켓의 일단부 사이에서 형성되고,
제2 구치부 접착층은 구치부 고정브라켓의 타단부에 대해 형성되며,
제3 구치부 광중합층은 구치부 고정브라켓의 타단부 쪽으로 빠져나온 접착물질을 향해 광이 조사되어 제2 구치부 접착층에 형성되는, 치아교정장치.
The method of claim 5,
The first molar adhesive layer is formed between the molar portion and one end of the molar fixing bracket,
The second molar adhesive layer is formed on the other end of the molar fixing bracket,
The third orthodontic photopolymerization layer is formed on the second posterior posterior adhesive layer by irradiating light toward the adhesive material exiting toward the other end of the posterior bracket.
삭제delete
KR1020190096127A 2019-08-07 2019-08-07 Apparatus tooth orthonontic and method thereof KR10210478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6127A KR102104786B1 (en) 2019-08-07 2019-08-07 Apparatus tooth orthonontic and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6127A KR102104786B1 (en) 2019-08-07 2019-08-07 Apparatus tooth orthonontic and method thereof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04786B1 true KR102104786B1 (en) 2020-04-27

Family

ID=704676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96127A KR102104786B1 (en) 2019-08-07 2019-08-07 Apparatus tooth orthonontic and method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04786B1 (en)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854341A1 (en) * 2019-01-22 2021-07-28 Dean UltraThin Retainer, LLC Orthodontic appliance with apertured bonding pad
US20220061963A1 (en) * 2020-09-01 2022-03-03 Dean UltraThin Retainer, LLC Patient specific dental appliances
CN115337121A (en) * 2022-07-01 2022-11-15 有研医疗器械(北京)有限公司 Traction positioning device for embedded teeth and positioning method thereof
KR20230166268A (en) 2022-05-30 2023-12-07 이선희 System for orthodontic treatment having function of positioning by using selective direction of tension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9967B1 (en) * 2003-04-02 2005-04-07 임갑선 Orthodontics materials
JP2009504247A (en) * 2005-08-09 2009-02-05 マヤドンティクス リミテッド ライアビリティ カンパニー Orthodontic apparatus and method
KR20140008727A (en) * 2012-07-11 2014-01-22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Orthodontic bracket assembly
KR101723674B1 (en) * 2016-12-09 2017-04-05 정유미 Lingual orthodontic system
KR101737947B1 (en) * 2016-01-04 2017-05-19 권순용 Orthodontic Appliance For Retraction Of Anterior Teeth And Orthodontic Device Having The Same
JP2019506975A (en) * 2016-03-01 2019-03-14 クリストフ、フォン、マンダッハChristoph Von Mandach Orthodontic bracket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9967B1 (en) * 2003-04-02 2005-04-07 임갑선 Orthodontics materials
JP2009504247A (en) * 2005-08-09 2009-02-05 マヤドンティクス リミテッド ライアビリティ カンパニー Orthodontic apparatus and method
KR20140008727A (en) * 2012-07-11 2014-01-22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Orthodontic bracket assembly
KR101737947B1 (en) * 2016-01-04 2017-05-19 권순용 Orthodontic Appliance For Retraction Of Anterior Teeth And Orthodontic Device Having The Same
JP2019506975A (en) * 2016-03-01 2019-03-14 クリストフ、フォン、マンダッハChristoph Von Mandach Orthodontic bracket
KR101723674B1 (en) * 2016-12-09 2017-04-05 정유미 Lingual orthodontic system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854341A1 (en) * 2019-01-22 2021-07-28 Dean UltraThin Retainer, LLC Orthodontic appliance with apertured bonding pad
US20220061963A1 (en) * 2020-09-01 2022-03-03 Dean UltraThin Retainer, LLC Patient specific dental appliances
KR20230166268A (en) 2022-05-30 2023-12-07 이선희 System for orthodontic treatment having function of positioning by using selective direction of tension
CN115337121A (en) * 2022-07-01 2022-11-15 有研医疗器械(北京)有限公司 Traction positioning device for embedded teeth and positioning method thereof
CN115337121B (en) * 2022-07-01 2024-03-12 有研医疗器械(北京)有限公司 Traction positioning device for embedded teeth and positioning method thereof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04786B1 (en) Apparatus tooth orthonontic and method thereof
KR101723674B1 (en) Lingual orthodontic system
US8257080B2 (en) Low profile orthodontic bite corrector
KR100379987B1 (en) Convertable resin core system for positioning a bracket at a predetermined point of tooth surface
EP0837657A1 (en) Orthopedic incline appliance and method
JP6643234B2 (en) Labial attachment device for use with orthodontic aids and lingual appliance systems
US20110308532A1 (en) Apparatus for Clamping on the Lower or Upper Teeth, and Activator Comprising Such an Apparatus
KR20100020843A (en) Correction apparatus for anterior teeth and/or lip profusion and the method thereof
US6932598B1 (en) Device and method of molar distalization and mandibular protraction
KR101158725B1 (en) Orthodontic Apparatus for Lingual Retracto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TW201417781A (en) Positioning adjusting device for tooth correction
KR101343129B1 (en) Tooth correction device
KR100952423B1 (en) Method and device for dental arch expansion using magnetic
KR101995372B1 (en) Bracket for orthodontic treatment and method for orthodontic treatment thereof
JP2003190185A (en) Occlusion supporting device
KR101249175B1 (en) Orthodontic apparatus
ES2879320T3 (en) Orthodontic appliance for dentistry
CN114246697B (en) Design method and preparation method of tooth correction system
JP5528785B2 (en) Occlusal correction device
TW201924613A (en) Tongue side anterior tooth traction device capable of pulling and moving the anterior tooth along with the tooth root thereof on the upper row more effectively toward the direction of the throat
RU2167626C1 (en) Orthopedic device
KR101379618B1 (en) Ring bracket for orthodontics
US20180235733A1 (en) Device for intra-oral applications to reposition mandibular jaw
JPH11509437A (en) Tongue pressing oral habit retraining device
KR102181712B1 (en) wire fixing bracket for orthodontic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