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03935B1 - Optical transceiver - Google Patents

Optical transceiv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03935B1
KR102103935B1 KR1020150170922A KR20150170922A KR102103935B1 KR 102103935 B1 KR102103935 B1 KR 102103935B1 KR 1020150170922 A KR1020150170922 A KR 1020150170922A KR 20150170922 A KR20150170922 A KR 20150170922A KR 102103935 B1 KR102103935 B1 KR 1021039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m
amplifier
level
value
level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7092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70065079A (en
Inventor
서완석
홍순원
박근섭
정주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오이솔루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오이솔루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오이솔루션
Priority to KR10201501709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03935B1/en
Publication of KR201700650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6507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039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0393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0Transmission systems employing electromagnetic waves other than radio-waves, e.g.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or employing corpuscular radiation, e.g. quantum communication
    • H04B10/40Transceiver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3/00Amplifiers with only discharge tubes or only semiconductor devices as amplifying elements
    • H03F3/04Amplifiers with only discharge tubes or only semiconductor devices as amplifying elements with semiconductor devices only
    • H03F3/08Amplifiers with only discharge tubes or only semiconductor devices as amplifying elements with semiconductor devices only controlled by ligh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0Transmission systems employing electromagnetic waves other than radio-waves, e.g.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or employing corpuscular radiation, e.g. quantum communication
    • H04B10/25Arrangements specific to fibre transmission
    • H04B10/2507Arrangements specific to fibre transmission for the reduction or elimination of distortion or dispers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Amplifiers (AREA)
  • Optical Communication System (AREA)

Abstract

실시 예는, 광수신기의 출력신호를 증폭하는 제1증폭기; 상기 제1증폭기의 제1출력신호를 증폭하는 제2증폭기; 및 상기 제1출력신호의 VEM 데이터를 생성하는 연산부; 및 상기 VEM 데이터를 이용하여 제2증폭기의 슬라이스 레벨을 결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광트랜시버를 개시한다.Embodiments, the first amplifier for amplifying the output signal of the optical receiver; A second amplifier amplifying the first output signal of the first amplifier; And an operation unit generating VEM data of the first output signal. And a control unit that determines a slice level of the second amplifier using the VEM data.

Description

광트랜시버{OPTICAL TRANSCEIVER}Optical transceiver {OPTICAL TRANSCEIVER}

실시 예는 광트랜시버에 관한 것이다.An embodiment relates to an optical transceiver.

광통신은 광섬유를 통해 빛을 투입하여 신호를 송신하는 디지털 통신 방식이다. 이런 방식은 전기 신호에 비해 더 빨리, 더 많은 양의 정보를 교환할 수 있다. 장거리 광 전송시스템의 광 신호는 신호 감소와 분산, 비선형 효과의 영향을 받는다. 이 영향으로 비트오율(BER)이 증가한다. 비트오율을 개선하고 수신감도를 향상하기 위해 광 수신기의 슬라이스 레벨(Slice level)을 조절할 필요가 있다.Optical communication is a digital communication method that transmits a signal by inputting light through an optical fiber. This way, it can exchange a greater amount of information faster than an electrical signal. Optical signals in long-distance optical transmission systems are affected by signal reduction, dispersion, and nonlinear effects. This effect increases the bit error rate (BER). It is necessary to adjust the slice level of the optical receiver in order to improve the bit error rate and the reception sensitivity.

실시 예는 리미트 증폭기의 슬라이스 레벨을 조절하는 광트랜시버를 제공한다.The embodiment provides an optical transceiver for adjusting the slice level of the limit amplifier.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광트랜시버는, 수신기의 출력신호를 증폭하는 제1증폭기; 상기 제1증폭기의 제1출력신호를 증폭하는 제2증폭기; 및 상기 제1출력신호의 VEM 데이터를 생성하는 연산부; 및 상기 VEM 데이터를 이용하여 제2증폭기의 슬라이스 레벨을 결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An optical transcei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first amplifier for amplifying the output signal of the receiver; A second amplifier amplifying the first output signal of the first amplifier; And an operation unit generating VEM data of the first output signal. And a control unit for determining the slice level of the second amplifier using the VEM data.

상기 연산부는 임계전압에 따른 제1레벨 신호와 제2레벨 신호의 VEM 데이터를 각각 산출할 수 있다.The calculating unit may calculate VEM data of the first level signal and the second level signal according to the threshold voltage, respectively.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레벨 신호의 VEM 데이터값이 미리 정해진 기준값을 만족하는 제1임계전압값 및 상기 제1레벨 신호의 VEM 데이터가 미리 정해진 기준값을 만족하는 제2임계전압값을 각각 산출하고, 상기 제1임계전압값과 제2임계전압값의 평균값을 슬라이스 레벨로 결정할 수 있다.The controller calculates a first threshold voltage value at which the VEM data value of the first level signal satisfies a predetermined reference value, and a second threshold voltage value at which VEM data of the first level signal satisfies a predetermined reference value, respectively. The average value of the first threshold voltage value and the second threshold voltage value may be determined as a slice level.

상기 기준값은 제1레벨신호와 제2레벨신호의 최대 VEM 값의 5% 내지 20%일 수 있다.The reference value may be 5% to 20% of the maximum VEM value of the first level signal and the second level signal.

상기 기준값은 제1레벨신호와 제2레벨신호의 최대 VEM 값의 10%일 수 있다.The reference value may be 10% of the maximum VEM value of the first level signal and the second level signal.

상기 연산부는 설정된 제1전압 범위 내에서 임계 전압을 점차 감소시키면서 상기 제1레벨 신호의 VEM 데이터를 산출하고, 설정된 제2전압 범위 내에서 임계전압을 점차 증가시키면서 상기 제2레벨 신호의 VEM 데이터를 산출할 수 있다.The calculating unit calculates VEM data of the first level signal while gradually decreasing the threshold voltage within the set first voltage range, and gradually increases the threshold voltage within the set second voltage range while receiving the VEM data of the second level signal. Can be calculated.

상기 제1전압범위는 -300mV 내지 0mV이고, 상기 제2전압범위는 0mV 내지 300mV일 수 있다.The first voltage range may be -300 mV to 0 mV, and the second voltage range may be 0 mV to 300 mV.

상기 결정된 술라이스 레벨로 상기 제2증폭기의 슬라이스 레벨을 조절하는 레벨 조절부를 포함할 수 있다.It may include a level control unit for adjusting the slice level of the second amplifier to the determined sulice level.

실시 예에 따르면, 광수신기의 입력신호에 따라 리미트 증폭기의 슬라이스 레벨을 조절할 수 있으므로 비트오율(BER)을 낮출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slice level of the limit amplifier can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input signal of the optical receiver, so that the bit error rate (BER) can be reduced.

본 발명의 다양하면서도 유익한 장점과 효과는 상술한 내용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는 과정에서 보다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various and beneficial advantages and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 and will be more readily understood in the course of describing specific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광트랜시버의 블록도이고,
도 2은 리미트 증폭기의 슬라이스 레벨을 결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3은 아이(eye) 다이어그램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리미트 증폭기의 슬라이스 레벨을 결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고,
도 5는 전송거리에 따른 광수신기의 VEM 커브 변화를 측정한 그래프이고,
도 6은 전송거리가 80km인 경우 광수신기의 VEM 커브를 측정한 그래프이고,
도 7은 전송거리가 80km인 경우 수신 감도 그래프이다.
1 is a block diagram of an optical transcei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view for explaining a method of determining the slice level of the limit amplifier,
3 is an eye diagram,
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determining a slice level of a limit amplif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graph measuring the VEM curve change of the optical receiver according to the transmission distance,
6 is a graph measuring the VEM curve of the optical receiver when the transmission distance is 80 km,
7 is a graph of reception sensitivity when the transmission distance is 80 km.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를 도면에 예시하고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 실시 예를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실시 예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various changes and may have various embodiments, and specific embodiments will be illustrated and described in the drawings. 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o specific embodiments, and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embodiments.

제 1, 제 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실시 예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 2 구성 요소는 제 1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1 구성 요소도 제 2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Terms including ordinal numbers such as first and second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are not limited by the terms. Th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other components. For example, the second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the first component, and similarly, the first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the second component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rights of the embodiment. The term and / or includes a combination of a plurality of related described items or any one of a plurality of related described items.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 실시 예를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erms us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are only used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In this application, the terms "include" or "have" are intended to indicate the presence of features, numbers, steps, ac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existence or addition possibilities of fields or numbers, steps, ac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are not excluded in advance.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but the same or corresponding components are assigned the same reference numbers regardless of reference numerals, and overlapping descriptions thereof will be omitt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광트랜시버의 블록도이고, 도 2은 리미트 증폭기의 슬라이스 레벨을 결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3은 아이(eye) 다이어그램이다.1 is a block diagram of an optical transcei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method of determining a slice level of a limit amplifier, and FIG. 3 is an eye diagram.

도 1을 참고하면, 광트랜시버는 광송신기(110), 광수신기(120), 연산부(133), 및 제어부(14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1, the optical transceiver includes an optical transmitter 110, an optical receiver 120, an operation unit 133, and a control unit 140.

광트랜시버는 SFP(Small Form Factor Pluggable) 타입일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MSA 규약(Multiple Source Agreement)을 만족하는 다양한 타입의 광모듈일 수도 있다.The optical transceiver may be a small form factor pluggable (SFP) type, bu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and may be various types of optical modules that satisfy a multiple source agreement (MSA).

광송신기(110)는 송신처리부에서 출력되는 제1전기신호(ES1)를 제1광신호(OS1)로 변환하여 외부로 전송하고, 광수신기(120)는 외부로부터 제2광신호(OS2)를 수신하여 제2전기신호(ES2)로 변환한다. 이때, 제1광신호(OS1)와 제2광신호(OS2)는 단일 광선로를 통해 전송되며 동일한 파장대역을 가질 수 있다. 송신처리부(131)는 레이저 드라이버를 포함할 수 있다.The optical transmitter 110 converts the first electrical signal ES1 output from the transmission processor into a first optical signal OS1 and transmits it to the outside, and the optical receiver 120 transmits the second optical signal OS2 from the outside. It is received and converted into a second electrical signal ES2. At this time, the first optical signal OS1 and the second optical signal OS2 are transmitted through a single optical path and may have the same wavelength band. The transmission processing unit 131 may include a laser driver.

수광소자(121)는 제2광신호(OS2)를 제2전기신호(ES2)로 변환할 수 있다. 제2전기신호(ES2)는 입사된 신호에 담겨있는 디지털 신호와 같은 '1'과 '0'의 비트들로 구성될 수 있다.The light receiving element 121 may convert the second optical signal OS2 into a second electrical signal ES2. The second electrical signal ES2 may be composed of bits of '1' and '0', such as a digital signal contained in the incident signal.

제1증폭기(122)는 수광소자(121)에서 변환된 전류를 잡음이 적도록 증폭하여 제1출력신호(Q1)를 생성할 수 있다. 제1증폭기(122)는 TIA(Transimpedance Amplifier)일 수 있다. The first amplifier 122 may generate a first output signal Q1 by amplifying the current converted by the light receiving element 121 to have less noise. The first amplifier 122 may be a TIA (Transimpedance Amplifier).

제2증폭기(132)는 제1출력신호(Q1)를 다시 증폭할 수 있다. 제2증폭기(132)에 의해 증폭된 신호는 SERDES(serializer and deserializer)와 같은 디지털 소자로 인가되므로 출력은 디지털 신호의 크기로 증폭될 수 있다. 제2증폭기(132)는 리미트 증폭기(Limiting amplifier)일 수 있다.The second amplifier 132 may amplify the first output signal Q1 again. Since the signal amplified by the second amplifier 132 is applied to a digital device such as a serializer and deserializer (SERDES), the output can be amplified to the size of the digital signal. The second amplifier 132 may be a limiting amplifier.

연산부(133)는 제1출력신호(Q1)의 VEM(Vertical Eye Monitoring)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연산부(133)는 제1출력신호(Q1)를 이용하여 제1레벨 신호와 제2레벨 신호에 대해 각각 VEM 커브를 생성할 수 있다. The operation unit 133 may generate VEM (Vertical Eye Monitoring) data of the first output signal Q1. The calculator 133 may generate VEM curves for the first level signal and the second level signal, respectively, using the first output signal Q1.

연산부(133)는 설정된 제1전압 범위 내에서 임계 전압을 점차 감소시키면서 제1레벨 신호의 VEM 데이터를 산출하고, 설정된 제2전압 범위 내에서 임계전압을 점차 증가시키면서 제2레벨 신호의 VEM 데이터를 산출할 수 있다. 제1레벨신호는 -300mV 내지 0mV이고, 제2레벨 신호는 0mV 내지 300mV일 수 있다.The calculating unit 133 calculates VEM data of the first level signal while gradually decreasing the threshold voltage within the set first voltage range, and gradually increases the threshold voltage within the set second voltage range while receiving the VEM data of the second level signal. Can be calculated. The first level signal may be -300 mV to 0 mV, and the second level signal may be 0 mV to 300 mV.

제어부(140)는 연산부(133)로부터 제1레벨 신호와 제2레벨 신호의 VEM 데이터와 미리 설정된 기준값을 매칭하여 이너 아이 영역을 설정할 수 있다. 제어부(140)는 MCU일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The control unit 140 may set the inner eye region by matching the VEM data of the first level signal and the second level signal from the operation unit 133 with a preset reference value. The control unit 140 may be an MCU, but is not limited thereto.

도 2를 참고하면, 제어부(140)는 제1레벨 신호(LS0)의 VEM 데이터값이 기준값(S)을 만족하는 제1임계전압값(P1)을 산출하고, 제2레벨 신호(LS1)의 VEM 데이터가 미리 정해진 기준값(S)을 만족하는 제2임계전압값(P2)을 각각 산출한다.Referring to FIG. 2, the control unit 140 calculates a first threshold voltage value P1 in which the VEM data value of the first level signal LS0 satisfies the reference value S, and the second level signal LS1 Each of the second threshold voltage values P2 for which the VEM data satisfies a predetermined reference value S is calculated.

기준값(S)은 제1레벨 신호(LS0)와 제2레벨 신호(LS1)의 최대 VEM 값의 5% 내지 20%일 수 있다. 기준값(S)은 제1레벨 신호(LS0)와 제2레벨 신호(LS1)의 최대 VEM 값의 10%로 설정될 수 있다.The reference value S may be 5% to 20% of the maximum VEM value of the first level signal LS0 and the second level signal LS1. The reference value S may be set to 10% of the maximum VEM value of the first level signal LS0 and the second level signal LS1.

제1임계전압값(P1)과 제2임계전압값(P2) 사이의 영역은 이너 아이(Inner eye) 영역으로 정의할 수 있다. 제어부(140)는 제2증폭기(132)의 슬라이스 레벨은 이너 아이의 50% 지점을 산정할 수 있다. 즉, 제1임계전압값(P1)과 제2임계전압값(P2)의 평균값(P4)을 슬라이스 레벨로 결정할 수 있다. 도 3을 참고하면, 아이 패턴내에서 슬라이스 레벨(P4)은 제1레벨 신호와 제2레벨 신호의 중간 지점(P3)에서 시프트될 수 있다.The region between the first threshold voltage value P1 and the second threshold voltage value P2 may be defined as an inner eye region. The control unit 140 may calculate a 50% point of the inner eye of the slice level of the second amplifier 132. That is, the average value P4 of the first threshold voltage value P1 and the second threshold voltage value P2 may be determined as a slice level. Referring to FIG. 3, in the eye pattern, the slice level P4 may be shifted at an intermediate point P3 between the first level signal and the second level signal.

다시 도 1을 참고하면, 레벨 조절부(134)는 제어부(140)가 결정한 슬라이스 레벨에 따라 제2증폭기(132)의 슬라이스 레벨을 조절할 수 있다. 하나의 프로세서(130)에 의해 송신 처리부(131), 연산부(133) 및 레벨 제어부(140)의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Referring back to FIG. 1, the level adjusting unit 134 may adjust the slice level of the second amplifier 132 according to the slice level determined by the control unit 140. The functions of the transmission processing unit 131, the operation unit 133, and the level control unit 140 may be implemented by one processor 130.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리미트 증폭기의 슬라이스 레벨을 결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determining a slice level of a limit amplif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참고하면, 먼저 프로세서를 VEM 모드로 설정(S101)한 후, 임계전압을 0mV로 설정하여 VEM을 측정한다(S105). 이후, VEM값이 미리 설정한 기준값을 만족하는지 판단한다(S106). 기준값(S)을 만족하지 않는 경우 임계전압을 2.35mV씩 감소시켜 최대 -300mV까지 임계전압에 따른 VEM을 측정한다(S103, S104).Referring to FIG. 4, first, the processor is set to the VEM mode (S101), and then the threshold voltage is set to 0 mV to measure the VEM (S105). Thereafter,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VEM value satisfies a preset reference value (S106). If the reference value (S) is not satisfied, the threshold voltage is decreased by 2.35 mV in steps to measure VEM according to the threshold voltage up to -300 mV (S103, S104).

측정한 VEM이 기준값(S)을 만족하는 경우 해당 VEM값을 저장한다(S107).If the measured VEM satisfies the reference value (S), the corresponding VEM value is stored (S107).

이후, 임계전압을 다시 0mV로 설정한 후 VEM을 측정한다(S108). 기준값을 만족할 때까지 임계전압을 2.35mV씩 증가시켜 기준값을 만족하는지 판단한다(S111, S112, S110). 임계전압은 최대 300mV까지 측정할 수 있다.Thereafter, the threshold voltage is set to 0 mV again, and then VEM is measured (S108).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reference value is satisfied by increasing the threshold voltages by 2.35 mV until the reference value is satisfied (S111, S112, S110). The threshold voltage can be measured up to 300mV.

측정한 VEM이 기준값을 만족하는 경우 해당 VEM값을 저장한다(S113).If the measured VEM satisfies the reference value, the corresponding VEM value is stored (S113).

이후, 레벨 0에서 검출한 VEM값과 레벨 1에서 검출한 VEM값의 평균값을 제2증폭기(132)의 슬라이스 레벨로 산정한다(S114). 이후 입력신호에 따라 상기 단계를 반복한다.Thereafter, the average value of the VEM value detected at level 0 and the VEM value detected at level 1 is calculated as the slice level of the second amplifier 132 (S114). Then, the above steps are repeated according to the input signal.

도 5는 전송거리에 따른 광수신기의 VEM 커브 변화를 측정한 그래프이고, 도 6은 전송거리가 80km인 경우 광수신기의 VEM 커브를 측정한 그래프이고, 도 7은 전송거리가 80km인 경우 수신 감도 그래프이다.5 is a graph measuring the VEM curve change of the optical receiver according to the transmission distance, FIG. 6 is a graph measuring the VEM curve of the optical receiver when the transmission distance is 80 km, and FIG. 7 is a reception sensitivity when the transmission distance is 80 km It is a graph.

도 5를 참고하면, 전송거리가 길어질수록 그래프의 폭이 좁아지고 점차 좌우 비대칭으로 변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전송 거리가 길어질수록 광신호의 노이즈가 커진다. 따라서, 실시 예에 따르면 전송거리의 변화에 따라 슬라이스 레벨을 각각 산정함으로써 네가티브 스윙과 포지티브 스윙을 대칭되게 조절하여 출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즉, 슬레이스 레벨 조정을 통해 노이즈 마진 및 신호 강도를 개선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5, it can be seen that as the transmission distance increases, the width of the graph becomes narrower and gradually changes to asymmetry. The longer the transmission distance, the greater the noise of the optical signal. Therefor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by calculating the slice level according to the change in the transmission distance, the negative swing and the positive swing can be symmetrically adjusted to improve output. That is, noise margin and signal strength can be improved by adjusting the level of the race.

도 6을 참고하면, 전송거리가 80km인 경우 이너 아이의 레벨 1에 대한 경계점을 60.0mV이고, 레벨 0의 경계점은 -82.3mV이다. 따라서, 슬라이스 레벨은 이너 아이의 50%지점인 -11.1mV로 설정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6, when the transmission distance is 80 km, the boundary point for level 1 of the inner eye is 60.0 mV, and the boundary point for level 0 is -82.3 mV. Therefore, the slice level can be set to -11.1 mV, which is 50% of the inner eye.

도 7을 참고하면 슬라이스 레벨을 조정한 경우에 수신감도가 1.0dB 개선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수동으로 최적화한 슬라이스 레벨을 적용하여 측정한 수신감도와 능동형 슬라이스 레벨을 적용한 수신감도는 비슷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실시 예에 따른 광트랜시버는 슬라이스 레벨을 능동적으로 조절하여 수신감도를 향상시킬 수 있음을 알 수 있다.Referring to FIG. 7, it can be seen that the reception sensitivity is improved by 1.0 dB when the slice level is adjusted. It can be seen that the reception sensitivity measured by applying the manually optimized slice level is similar to the reception sensitivity applied by the active slice level. Therefore, it can be seen that the optical transceiv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can improve the reception sensitivity by actively adjusting the slice level.

본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부'라는 용어는 소프트웨어 또는 FPGA(field-programmable gate array) 또는 ASIC과 같은 하드웨어 구성요소를 의미하며, '~부'는 어떤 역할들을 수행한다. 그렇지만 '~부'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다. '~부'는 어드레싱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부'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구성요소들과 '~부'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부'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부'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구성요소들 및 '~부'들은 디바이스 또는 보안 멀티미디어카드 내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CPU들을 재생시키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The term '~ unit' used in this embodiment means software or a hardware component such as a field-programmable gate array (FPGA) or an ASIC, and '~ unit' performs certain roles. However, '~ wealth' is not limited to software or hardware. The '~ unit' may be configured to be in an addressable storage medium or may be configured to reproduce one or more processors. Thus, as an example, '~ unit' refers to components such as software components, object-oriented software components, class components and task components, processes, functions, attributes, and procedures. , Subroutines, segments of program code, drivers, firmware, microcode, circuitry, data, database, data structures, tables, arrays, and variables. The functions provided within components and '~ units' may be combined into a smaller number of components and '~ units', or further separated into additional components and '~ units'. In addition, the components and '~ unit' may be implemented to play one or more CPUs in the device or secure multimedia card.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Although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variously modify and change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et forth in the claims below. You can understand that you can.

Claims (10)

광수신기의 출력신호를 증폭하는 제1증폭기;
상기 제1증폭기의 제1출력신호를 증폭하는 제2증폭기; 및
상기 제1출력신호의 VEM (Vertical Eye Monitoring) 데이터를 생성하는 연산부; 및
상기 VEM 데이터를 이용하여 제2증폭기의 슬라이스 레벨을 결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산부는 임계전압에 따른 제1레벨 신호와 제2레벨 신호의 VEM 데이터를 각각 산출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레벨 신호의 VEM 데이터값이 미리 정해진 기준값을 만족하는 제1임계전압값 및 상기 제1레벨 신호의 VEM 데이터가 미리 정해진 기준값을 만족하는 제2임계전압값을 각각 산출하고, 상기 제1임계전압값과 제2임계전압값의 평균값을 상기 제2증폭기의 슬라이스 레벨로 결정하는 광트랜시버.
A first amplifier for amplifying the output signal of the optical receiver;
A second amplifier amplifying the first output signal of the first amplifier; And
A computing unit generating VEM (Vertical Eye Monitoring) data of the first output signal; And
It includes a control unit for determining the slice level of the second amplifier using the VEM data,
The calculating unit calculates VEM data of the first level signal and the second level signal according to the threshold voltage, respectively.
The controller calculates a first threshold voltage value at which the VEM data value of the first level signal satisfies a predetermined reference value and a second threshold voltage value at which VEM data of the first level signal satisfies a predetermined reference value, respectively. An optical transceiver that determines the average value of the first threshold voltage value and the second threshold voltage value as the slice level of the second amplifier.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값은 제1레벨신호와 제2레벨신호의 최대 VEM 값의 5% 내지 20%인 광트랜시버
According to claim 1,
The reference value is 5% to 20% of the maximum VEM value of the first level signal and the second level signa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값은 제1레벨신호와 제2레벨신호의 최대 VEM 값의 10%인 광트랜시버.
According to claim 1,
The reference value is 10% of the maximum VEM value of the first level signal and the second level signa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산부는 설정된 제1전압 범위 내에서 임계 전압을 점차 감소시키면서 상기 제1레벨 신호의 VEM 데이터를 산출하고, 설정된 제2전압 범위 내에서 임계전압을 점차 증가시키면서 상기 제2레벨 신호의 VEM 데이터를 산출하는 광트랜시버.
According to claim 1,
The operation unit calculates VEM data of the first level signal while gradually decreasing the threshold voltage within the set first voltage range, and gradually increases the threshold voltage within the set second voltage range while receiving the VEM data of the second level signal. Calculating optical transceiver.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전압 범위는 -300mV 내지 0mV이고, 상기 제2전압 범위는 0mV 내지 300mV인 광트랜시버.
The method of claim 6,
The first voltage range is -300mV to 0mV, and the second voltage range is 0mV to 300mV optical transceiv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된 술라이스 레벨로 상기 제2증폭기의 슬라이스 레벨을 조절하는 레벨 조절부를 포함하는 광트랜시버.
According to claim 1,
And a level adjuster configured to adjust the slice level of the second amplifier to the determined sulice level.
제1항에 있어서,
광트랜시버는 양방향 송신이 가능한 광트랜시버.
According to claim 1,
Optical transceiver is an optical transceiver capable of two-way transmiss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증폭기는 TIA이고, 제2증폭기는 리미팅 증폭기인 광트랜시버.
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amplifier is a TIA, and the second amplifier is a limiting amplifier.
KR1020150170922A 2015-12-02 2015-12-02 Optical transceiver KR10210393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70922A KR102103935B1 (en) 2015-12-02 2015-12-02 Optical transceiv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70922A KR102103935B1 (en) 2015-12-02 2015-12-02 Optical transceiv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65079A KR20170065079A (en) 2017-06-13
KR102103935B1 true KR102103935B1 (en) 2020-04-27

Family

ID=592189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70922A KR102103935B1 (en) 2015-12-02 2015-12-02 Optical transceiv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03935B1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080871A1 (en) * 2006-10-02 2008-04-03 Bookham Technology Plc Slice level control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22397A (en) * 1977-02-17 1978-10-24 Gte Automatic Electric Laboratories Incorporated Apparatus and method for timing recovery from a pseudo-ternary signal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080871A1 (en) * 2006-10-02 2008-04-03 Bookham Technology Plc Slice level contro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65079A (en) 2017-06-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36995B2 (en) Optical receiver sensitivity system
ES2714387T3 (en) Transimpedance amplifier for high-speed optical communications based on linear modulations
JP2007020177A (en) Multimode optical fiber communication system
US10371573B2 (en) Electromagnetic power measurement and reporting
US8346101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diagnostic monitoring of optical modulation amplitude at an optical receiver using automatic gain control
JP6175709B2 (en) Method, apparatus, and communication node for suppressing output noise of PCIe optical fiber communication
US20120177367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djusting the gain of an amplifier of an optical receiver module based on link bit error rate (ber) measurements
US20070248357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daptive adjustment and performance monitoring of avalanche photo-diode optical receiver and laser transmitter for fiber link long haul applications
KR20170049580A (en) Methods for determining receiver coupling efficiency, link margin, and link topology in active optical cables
WO2017031962A1 (en) Circuit for controlling extinction ratio, chip and optical module
US10333628B2 (en) Optical receivers
US10862589B2 (en) Histogram based optimization for optical modulation
US8184985B2 (en) Control circuit for optical transmitter/receiver
Huang et al. SPAD-based optical wireless communication with signal pre-distortion and noise normalization
KR102103935B1 (en) Optical transceiver
JP6049824B1 (en) Amplifier circuit
WO2017193538A1 (en) Signal generation method and device
US9667351B2 (en) Simultaneous bandwidth extension at high gain and peaking reduction at minimum gain for wideband, variable gain, linear optical receivers
JP2021190976A (en) Optical receiver with optically compensated amplifier control loop
US10523333B2 (en) Optical signal transmission apparatus for generating multi-level optical signal and method performed by the same
US20150162992A1 (en) Circuit arrangement and method for receiving digital optical signals
US20220329322A1 (en) Systems, devices, and methods for tuning transceivers
JP2008141498A (en) Optical transmitter
KR102264660B1 (en) Free space optical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using coherent beam coupling and apparatus therefor
US11799552B2 (en) Optical network using optical amplifier in gain saturation reg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