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03125B1 - Dual Vanity Unit or Dual Sink Unit - Google Patents

Dual Vanity Unit or Dual Sink Uni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03125B1
KR102103125B1 KR1020190170590A KR20190170590A KR102103125B1 KR 102103125 B1 KR102103125 B1 KR 102103125B1 KR 1020190170590 A KR1020190170590 A KR 1020190170590A KR 20190170590 A KR20190170590 A KR 20190170590A KR 102103125 B1 KR102103125 B1 KR 1021031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nk
water
cold
hot water
fauc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70590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염명훈
Original Assignee
염명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염명훈 filed Critical 염명훈
Priority to KR10201901705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03125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031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0312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00Wash-stands; Appurtenances therefor
    • A47K1/04Basins; Jugs; Holding device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77/00Kitchen cabinets
    • A47B77/02General layout, e.g. relative arrangement of compartments, working surface or surfaces, supports for apparatu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E03C1/04Water-basin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to wash-basins or baths
    • E03C1/0408Water installations especially for shower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E03C1/04Water-basin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to wash-basins or baths
    • E03C1/0412Constructional or functional features of the faucet handle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14Wash-basins connected to the waste-pipe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18Sinks, whether or not connected to the waste-pi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wo-stage washstand, in which an upper end washstand for usual adults is provided on an upper portion of a storage closet and a lower end washstand is additionally provided in the storage closet. Therefore, use inconvenience caused by a height of a user can be removed. The lower end washstand is installed such that a position can be changed in a vertical direction in the storage closet so as to be withdrawn at a height in which a user can be conveniently used. Control of the water amount, water temperature, and supply shapes (outage, water supply, and conversion in supply directions) of the water can be implemented in accordance with the shapes in which a lever of a faucet installed on the upper and lower end washstands or upper and lower end sinks is operated.

Description

2단 세면대 또는 2단 싱크대{Dual Vanity Unit or Dual Sink Unit}Double vanity unit or dual sink unit

본 발명은 2단 세면대 또는 2단 싱크대에 관한 것으로, 더 구체적으로는, 수납장의 상부에 상단 세면대 등이 설치되고, 상단 세면대 등과 동일한 기능의 보조 세면대(하단 세면대라고 하는 경우도 있다.) 등이 수납장 내에 수납되거나 수납장으로부터 인출 가능하게 설치된 2단 세면대 또는 2단 싱크대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wo-stage sink or a two-stage sink, more specifically, an upper sink or the like is installed at the top of the cabinet, and an auxiliary sink having the same function as the upper sink (sometimes referred to as a lower sink). It relates to a two-stage sink or two-stage sink accommodated in a cabinet or installed to be withdrawn from the cabinet.

또한, 본 발명은 상·하단 세면대 등에 구비되어 있는 수전의 레버(또는 손잡이)를 조작하는 태양(態樣)에 따라, 용수(用水, 손발과 얼굴을 씻거나 설거지 등에 사용되는 물)의 수량과 수온 및 공급형태(단수, 급수, 공급방향의 전환) 등을 조절할 수 있는 2단 세면대 또는 2단 싱크대에 관한 것이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depending on the sun (態 樣) operating the lever (or handle) of the faucet provided on the upper and lower sinks, the amount of water (用水, hands and feet used for washing dishes or washing dishes, etc.) It relates to a two-stage sink or a two-stage sink capable of adjusting water temperature and supply type (single water, water supply, switching of supply direction), and the like.

본 발명의 배경이 되는 선행기술로서, 예를 들면, 본 출원인의 선등록특허인 특허문헌 1과 특허문헌 2의 분배기 일체형 레버 구조가 공지되어 있다.As a prior art that is the background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example, a dispenser-integrated lever structure of Patent Document 1 and Patent Document 2, which are the pre-registered patents of the present applicant, is known.

특허문헌 1 및 2에 개시된 분배기 일체형 레버 구조에 의하면, 레버(손잡이)의 조작만으로 물의 배출방향과 수전(faucet, 수도꼭지)으로 공급되는 냉수와 온수의 혼합비율을 결정할 수 있는 한편, 냉수 및 온수가 샤워기 쪽에 독립적으로 공급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dispenser-integrated lever structure disclosed in Patent Documents 1 and 2, it is possible to determine the mixing ratio of cold water and hot water supplied to a faucet and faucet by discharging water and only by operating the lever (handle), while cold water and hot water are used. It can be supplied independently on the shower side.

다른 선행기술로서, 특허문헌 3 및 4에는, 성인용 세면대를 어린이가 사용할 수 있도록, 성인용 세면대의 하부측에 수평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시킬 수 있는 발판을 설치한 세면대가 개시되어 있다.As another prior art, in Patent Documents 3 and 4, a sink having a footrest capable of sliding in a horizontal direction on a lower side of an adult sink is provided so that a child can use the adult sink.

본 발명의 배경이 되는 또 다른 선행기술로서, 특허문헌 5에는, 상대적으로 높은 위치에 배치되어 일반 사용자(성인)가 쓰기에 적합한 제1 세면조, 및, 제1 세면조보다 낮은 위치에 배치되어 어린이나 휠체어 사용자가 이용하기에 편리한 제2 세면조로 구성되며, 제1 세면조와 제2 세면조가 연결부를 통해 일체로 이어진 구조의 세면대가 개시되어 있다.As another prior art that is the background of the present invention, Patent Document 5 is disposed at a relatively high position, and is disposed at a lower position than the first wash basin, and a first wash basin suitable for general users (adults). It is composed of a second wash basin that is convenient for children or wheelchair users to use, and a wash basin having a structure in which the first wash basin and the second wash basin are integrally connected through a connection unit is disclosed.

특허문헌 1: 등록번호 KR 10-0878378Patent Document 1: Registration No. KR 10-0878378 특허문헌 2: 등록번호 KR 10-1266654Patent Document 2: Registration No. KR 10-1266654 특허문헌 3: 공개번호 KR 10-2019-0075383Patent Document 3: Publication No. KR 10-2019-0075383 특허문헌 4: 등록번호 KR 20-0219870Patent Document 4: Registration No. KR 20-0219870 특허문헌 5: 공개번호 KR 10-2015-0123010Patent Document 5: Publication No. KR 10-2015-0123010

통상적으로, 세면대나 싱크대의 설치는, 구매자(또는, 사용자)가 시공자에게 특별히 요구하지 않는 한, 시공자 나름의 기준에 따라, 예를 들면 통계자료로 발표된 일반 성인의 평균 신장(키) 등을 고려하여 적합한 높이로 설치된다.Typically, the installation of a sink or sink is based on the contractor's own standards, for example, the average height (height) of an average adult published by statistics, unless the buyer (or user) specifically requests the contractor. Considered, it is installed at a suitable height.

따라서 아파트나 다가구 주택과 같은 집합건물에 설치되는 세면대 등은 일반 성인이 사용하기에 적합한 높이로 설치되므로, 신장이 작은 사람(예를 들면, 어린이 등)이나 휠체어 사용자 등은 세면대 등을 사용하기가 불편하다.Therefore, sinks installed in a collective building such as an apartment or multi-family house are installed at a height suitable for general adults, so it is difficult for people with small heights (for example, children) or wheelchair users to use a sink. Uncomfortable.

본 발명은 이러한 불편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다양한 물품(가재도구나 위생용품 등)을 수납하는 수납장(또는 수납공간)의 상부에 일반 성인용 세면대(상단 세면대) 등이 구비되는 한편, 사용시에 수납장으로부터 인출되고 미사용시에 수납장에 격납되는 보조 세면대(하단 세면대) 등이 수납장 내에 추가로 구비됨으로써, 사용자 신장에 따른 사용시의 불편함이 해소될 수 있도록 구성된 2단 세면대 또는 2단 싱크대를 제공하는 데에 목적(제1 특징)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to solve this inconvenience, while a general adult sink (top sink) or the like is provided at the top of a storage cabinet (or storage space) that accommodates various items (such as household items or sanitary products), while being used. To provide a two-stage sink or two-stage sink configured to eliminate the inconvenience of use due to the height of the user by additionally provided in the cabinet, such as a secondary sink (lower sink) that is withdrawn from the cabinet and stored in the cabinet when not in use There is a purpose (first feature).

후술하는 실시예의 설명으로부터 더욱 명확하게 이해되겠지만, 보조 세면대(하단 세면대) 등은 사용자가 쓰기 편리한 높이로 인출되도록 수납장 내에 구비되며, 수납장 내에서 상하방향(또는 높이방향)으로 위치변동이 가능한 위치조절형(제2 특징) 또는 상하방향으로 위치변동이 불가능한 위치결정형 중 어느 하나의 구조로 설치될 수 있다.As will be more clearly understood from the description of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the auxiliary sink (lower sink), etc. is provided in the cabinet to be drawn out at a height convenient for the user to use, and the position can be adjusted in the vertical direction (or height direction) in the cabinet. It can be installed as either a type (second feature) or a positioning type that cannot be moved up and down.

또한, 본 발명은 상단 세면대 등 및/또는 하단 세면대 등에 설치되는 수전의 레버(손잡이)를 조작하는 태양(態樣)에 따라, 용수(用水)의 수량, 수온, 공급형태(단수, 급수, 공급방향 전환) 등의 조절이나 제어가 적절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된 2단 세면대 또는 2단 싱크대를 제공하는 데에 목적(제3 특징)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 가능하게 하는 기술적 사상(구성수단, 작동원리)은, 본 출원인의 선등록특허인 특허문헌 1 및 2에 나타나 있는 분배기 일체형 레버 구조로부터 통상의 기술자가 용이하게 도입할 수 있으며, 후술하는 실시예의 설명을 통해 더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the aspect of operating the lever (handle) of the faucet installed on the top sink and / or the bottom sink, etc., the amount of water, water temperature, supply type (single water, water supply, supply The purpose (third feature) is to provide a two-stage sink or two-stage sink configured to properly adjust or control direction change. The technical idea (configuration means, operating principle) to achieve this purpose can be easily introduced by a person skilled in the art from the structure of the lever integrated with the divider shown in Patent Documents 1 and 2, which are the pre-registered patents of the present applicant, and will be described later. It will be understood more clearly through the description of the embodiment.

본 발명의 다른 특징과 목적 등은,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Other features, objects, and the lik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상기 과제들은 다음과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The above objects can be achieved by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follows.

[1] 수납장과; 수납장의 상단부에 설치되어 외부로 노출되는 상단 세면대 또는 상단 싱크대와; 미사용시는 수납장에 격납하고 사용시는 수납장에서 인출 가능하도록 수납장 내에 설치되는 하단 세면대 또는 하단 싱크대와; 상·하단 세면대 또는 상·하단 싱크대에 연결되는 배수관; 및 상단 세면대 또는 상단 싱크대에 연결되는 냉·온수관; 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하단 세면대 또는 상·하단 싱크대에 각각 구비되는 수전의 레버를 조작하는 태양(態樣)에 따라, 용수(用水) 공급형태의 제어가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단 세면대 또는 2단 싱크대.[1] a cabinet; A top sink or top sink which is installed at the top of the cabinet and exposed to the outside; A bottom sink or bottom sink installed in the cabinet to store in the cabinet when not in use and to be withdrawn from the cabinet when in use; A drain pipe connected to the upper and lower sinks or the upper and lower sinks; And a cold / hot water pipe connected to the top sink or top sink. A two-stage sink comprising: a water supply type control according to the sun operating the lever of the faucet provided in the upper and lower sinks or the upper and lower sinks, respectively. Or two-level sink.

[2] 상기 [1]에서, 용수 공급형태의 제어는, 상·하단 세면대 또는 상·하단 싱크대에의 급수 또는 단수와, 용수의 수량 및 수온 중 하나 이상을 조절하는 제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2단 세면대 또는 2단 싱크대.[2] In the above [1], the control of the water supply type is a control for adjusting one or more of the water supply or the number of stages to the upper and lower sinks or the upper and lower sinks, and the quantity and temperature of the water. Single sink or two-level sink.

[3] 상기 [1] 또는 [2]에서, 상·하단 세면대 또는 상·하단 싱크대에 구비된 수전의 레버를 조작하는 태양은, 단수 모드, 사용 모드, 출수방향 전환 모드 중 어느 하나의 모드이며, 상단 세면대 또는 상단 싱크대의 수전의 레버가 단수 모드로 조작된 때에는, 상·하단 세면대 또는 상·하단 싱크대가 모두 단수되고, 상단 세면대 또는 상단 싱크대의 수전의 레버가 사용 모드로 조작된 때에는, 상단 세면대 또는 상단 싱크대만 용수의 사용이 가능한 상태로 되면서 하단 세면대 또는 하단 싱크대로의 급수가 정지되며, 상단 세면대 또는 상단 싱크대의 수전의 레버가 출수방향 전환 모드로 조작된 때에는, 상단 세면대 또는 상단 싱크대에서의 용수 사용이 금지되면서 하단 세면대 또는 하단 싱크대로의 급수가 행해져 하단 세면대 또는 하단 싱크대만 용수 사용이 가능한 상태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단 세면대 또는 2단 싱크대.[3] In the above [1] or [2], the aspect of operating the lever of the faucet provided in the upper and lower sinks or the upper and lower sinks is any one of a singular mode, a use mode, and an exit direction switching mode. , When the lever of the faucet of the top sink or the top sink is operated in the singular mode, both the top and bottom sinks or the top and bottom sinks are disconnected, and when the lever of the faucet of the top sink or the top sink is operated in the use mode, the top When only the sink or top sink is ready for use of water, the water supply to the bottom sink or bottom sink is stopped, and when the lever of the faucet in the top sink or top sink is operated in the water discharge direction switching mode, the top sink or top sink As the use of water is prohibited, water is supplied to the bottom sink or bottom sink, so only the bottom sink or bottom sink uses water. Two-stage or two-stage sink basin, characterized in that a usable state.

[4] 상기 [1] 내지 [3]에서, 샤워기 호스가 하단 세면대 또는 하단 싱크대에 접속되어, 하단 세면대 또는 하단 싱크대에 구비된 수전의 레버를 조작하는 태양에 따라, 샤워기 호스로의 급수 또는 단수가 행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단 세면대 또는 2단 싱크대.[4] In the above [1] to [3], the shower hose is connected to the lower sink or lower sink, and according to the aspect of operating the lever of the faucet provided in the lower sink or lower sink, water supply or single water supply to the shower hose A two-stage sink or two-stage sink, characterized in that is performed.

[5] 상기 [1] 내지 [4]에서, 상단 세면대 또는 상단 싱크대는, 저수 및 배수 가능한 상단 세정조와, 상단 세정조에 용수를 공급할 수 있는 상단 수전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단 수전은, 냉·온수 공급로와, 냉·온수 배출로와, 용수 공급형태를 제어하는 레버와, 레버를 조작하는 태양에 따라 냉·온수의 혼합비율이 달라지는 용수를 상단 세정조에 배출하는 용수 배출로와, 냉·온수 공급로와 용수 배출로를 연결하는 냉·온수 연통로와, 레버의 조작에 연동하여 수평방향으로 일정 각도범위 내에서 회전하는 조절판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조절판에는, 냉·온수 공급로와 냉·온수 배출로의 연결을 단속하는 출수방향 전환구멍(냉·온수 교반홈)과, 용수가 용수 배출로 쪽으로 흐르게 하는 용수 출수구멍(주교반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단 세면대 또는 2단 싱크대.[5] In the above [1] to [4], the upper sink or upper sink includes a top washing tank capable of storing and draining water, and a top faucet capable of supplying water to the top washing tank. A hot water supply path, a cold and hot water discharge path, a lever for controlling the water supply type, a water discharge path for discharging water in which the mixing ratio of cold and hot water varies depending on the mode of operating the lever to the upper washing tank, It consists of a cold and hot water communication path connecting the hot water supply path and a water discharge path, and a control plate that rotates within a certain angular rang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in connection with the operation of the lever. A two-stage washing face characterized by having a water discharge direction switching hole (cold / hot water agitation groove) that interrupts the connection to the hot water discharge path, and a water discharge hole (stirring groove) that allows water to flow toward the water discharge path. Or two sinks.

[6] 상기 [1] 내지 [5]에서, 하단 세면대 또는 하단 싱크대는, 저수 및 배수 가능한 하단 세정조와, 하단 세정조에 용수를 공급할 수 있는 하단 수전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하단 수전은, 냉·온수 공급로와, 냉·온수 배출로와, 용수 공급형태를 제어하는 레버와, 레버를 조작하는 태양에 따라 냉·온수의 혼합비율이 달라지는 용수를 하단 세정조에 배출하는 용수 배출로와, 냉·온수 공급로와 용수 배출로를 연결하는 냉·온수 연통로와, 레버의 조작에 연동하여 수평방향으로 일정 각도범위 내에서 회전하는 조절판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조절판에는, 냉·온수 공급로와 냉·온수 배출로의 연결을 단속하는 출수방향 전환구멍(냉·온수 교반홈)과, 용수가 용수 배출로 쪽으로 흐르게 하는 용수 출수구멍(주교반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단 세면대 또는 2단 싱크대.[6] In the above [1] to [5], the bottom sink or bottom sink includes a bottom washing tank capable of storing and draining water, and a bottom faucet capable of supplying water to the bottom washing tank. A hot water supply path, a cold and hot water discharge path, a lever for controlling the water supply type, and a water discharge path for discharging water in which the mixing ratio of cold and hot water varies depending on the mode of operating the lever to the lower washing tank, It consists of a cold and hot water communication path connecting the hot water supply path and a water discharge path, and a control plate that rotates within a certain angular rang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in connection with the operation of the lever. A two-stage washing face characterized by having a water discharge direction switching hole (cold / hot water agitation groove) that interrupts the connection to the hot water discharge path, and a water discharge hole (stirring groove) that allows water to flow toward the water discharge path. Or two sinks.

[7] 상기 [1] 내지 [6]에서, 하단 세면대 또는 하단 싱크대는, 수납장 내에서 상하방향(또는 높이방향)으로 위치변동이 가능한 위치조절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2단 세면대 또는 2단 싱크대.[7] In the above [1] to [6], the lower sink or lower sink is a two-stage sink or two-stage sink, characterized in that it is a position-adjustable type that can be moved in the vertical direction (or height) in the cabinet.

본 발명에 따른 2단 세면대 또는 2단 싱크대는, 평균 신장의 일반 성인이 사용하기 편리한 높이에 고정된 상단 세면대 등과, 휠체어 사용자나 작은 신장의 사용자가 사용하기 편리한 높이에 배치된 하단 세면대 등을 각각 구비하고 있으므로, 개개의 사용자가 신장(키)에 관계없이 편하게 쓸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에 의해, 본 발명의 제1 특징이 달성된다.The two-stage sink or the two-stage sin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top sink fixed to a height convenient for an average adult to use, and a bottom sink disposed at a height convenient for a wheelchair user or a user of a small height to use, respectively. Since it is provided, there is an advantage that each user can conveniently use regardless of height (key). Thereby, the first characteristic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chieved.

또한, 본 발명에 따른 2단 세면대 또는 2단 싱크대는, 하단 세면대 등의 위치가 수납장 내에서 상하방향(또는 높이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므로, 사용자의 신장을 고려한 최적의 사용높이(사용위치)에서 하단 세면대 등이 인출되도록 조정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본 발명의 제2 특징이 달성된다.In addition, in the two-stage sink or two-stage sin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position of the bottom sink or the like can be moved in the vertical direction (or height direction) in the cabinet, at the optimal use height (used position) in consideration of the user's height The bottom sink can be adjusted to withdraw. Thereby, the second characteristic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chieved.

또한, 본 발명에 따른 2단 세면대 또는 2단 싱크대는, 상·하단 세면대 등에 설치된 수전의 레버(손잡이)를 조작하는 태양에 따라, 용수의 수량, 수온, 공급형태(단수, 급수, 공급방향 전환) 등을 조절하거나 제어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본 발명의 제3 특징이 달성된다.In addition, the two-stage sink or two-stage sin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epending on the aspect of operating the lever (handle) of the faucet installed in the upper and lower sinks, water quantity, water temperature, supply type (single, water, supply direction switching ) Can be adjusted or controlled. Thereby, the third characteristic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chieved.

도 1은 특허문헌 1(등록번호 10-0878378)에 개시된 수전(분배기 일체형 레버 구조)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도 1에서의 수전(분배기 일체형 레버 구조)의 함몰부에 복수 개가 형성되는 구멍의 배치도.
도 3은 도 1에서의 수전(분배기 일체형 레버 구조)의 받침부를 구성하는 일부 부품을 도시한 것으로, 도 3 (a)는 하부받침의 사시도, 도 3 (b)는 입출구편의 사시도, (c)는 교반편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2단 세면대의 사시도로, 하단 세면대가 수납장 내에 격납된 미사용 상태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2단 세면대의 사시도로, 하단 세면대가 수납장에서 인출된 사용 상태의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단 세면대에 승강 기구와 인출 기구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하단 수전 사이의 유체연결 상태를 나타낸 모식도.
도 8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상·하단 수전과 샤워기의 유체연결 상태를 나타낸 모식도로서, 하단 수전이 사용 중인 상태의 모식도.
도 8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상·하단 수전과 샤워기의 유체연결 상태를 나타낸 모식도로서, 샤워기가 사용 중인 상태의 모식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전의 본체와 조절판에 형성되는 구멍의 배치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도 9 (a)는 수전의 본체의 함몰부에 형성된 구멍의 배치도, 도 9 (b)는 수전의 본체의 함몰부에 결합시킬 조절판에 형성된 구멍의 배치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전이 출수방향 전환 모드일 때의 수전의 본체에 형성된 복수의 구멍과 조절판에 형성된 복수의 구멍의 위치관계를 나타낸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전이 단수 모드일 때의 수전의 본체에 형성된 복수의 구멍과 조절판에 형성된 복수의 구멍의 위치관계를 나타낸 도면.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faucet (distributor-integrated lever structure) disclosed in Patent Document 1 (Registration No. 10-0878378).
Fig. 2 is a layout view of a plurality of holes formed in the recessed portion of the faucet (distributor-integrated lever structure) in Fig. 1;
3 is a view showing some parts constituting the support portion of the faucet (distributor-integrated lever structure) in Figure 1, Figure 3 (a)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lower support, Figure 3 (b)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entry and exit, (c)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stirring piece.
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of a two-stage sin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ower sink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unused state stored in the cabinet.
5 is a perspective view of a two-stage sin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erspective view of a use state with the lower sink taken out from the cabinet.
Figure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lifting mechanism and the withdrawal mechanism is coupled to the lower sin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the fluid connection state between the upper and lower receiving tap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8a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the fluid connection state of the upper and lower faucets and shower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schematic diagram of the lower faucet in use.
Figure 8b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the fluid connection state of the upper and lower faucets and a show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schematic diagram of a state in which the shower is in use.
9 is a view showing the arrangement of the holes formed in the main body and the control panel of the fauc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9 (a) is a layout of the holes formed in the depression of the main body of the faucet, Figure 9 (b) Is a layout view of the holes formed in the throttle to be joined to the depression of the body of the faucet.
10 is a view showing a positional relationship between a plurality of holes formed in a main body of a faucet and a plurality of holes formed in a control plate when the fauc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 the outflow direction switching mode.
FIG. 11 is a view showing a positional relationship between a plurality of holes formed in a main body of a faucet and a plurality of holes formed in a control plate when the fauc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 a single mode.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형태가 설명된다. 여기서, 세면대와 싱크대는 용도와 설치장소가 구별되는 것이지만, 구성 및 작동원리는 실질적으로 동일하다는 점에서, 아래의 설명은 2단 세면대로 특정하여 행하는 것에 유의하기 바란다.Hereinafter, specific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ere, the sink and the sink are different in use and installation place, but it is noted that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principle are substantially the same, and the following description is performed by specifying the two-stage sink.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단 세면대에 구비되는 수전은, 본 출원인의 선등록특허인 특허문헌 1에 개시된 수전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원리로 작동되는 수전이므로, 후술하는 실시예가 더 용이하게 이해될 수 있도록, 우선, 특허문헌 1에 개시된 수전에 대한 개요가 도 1을 참조하여 설명된다.In addition,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aucet provided in the upper sink is a faucet operated in substantially the same principle as the faucet disclosed in Patent Literature 1, which is the pre-registered patent of the applicant, so that the embodiments described later are more easily understood. First, an overview of the faucet disclosed in Patent Document 1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

도 1은 특허문헌 1의 분배기 일체형 레버 구조(본 발명에서의 수전에 대응된다.)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로서, 수도꼭지 본체와, 받침부와, 케이스부와, 샤프트와, 레버 손잡이가 조립된 구조로 되어 있다.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dispenser-integrated lever structure (corresponds to a faucet in the present invention) of Patent Document 1, in a structure in which a faucet body, a base, a case, a shaft, and a lever handle are assembled. It is done.

상기 구성 요소 중, 수도꼭지 본체(10)는, 냉·온수가 소정의 비율로 혼합된 용수(用水)를 토출하는 수도꼭지 출구(11)가 수도꼭지 본체(10)의 전방으로 돌출되어 있고, 수도꼭지 본체(10)의 후방 좌우에는 냉·온수 유입구(14)(15)가 형성되어 있으며, 수도꼭지 본체(10)의 후방 중앙에는 냉·온수 샤워기출구(12)(13)가 형성되어 있고, 수도꼭지 출구(11)와 냉·온수 샤워기출구(12)(13)와 냉·온수 유입구(14)(15)와 각각 유체연결되는 복수의 구멍(16')이 형성된 함몰부(16)가 수도꼭지 본체(10)의 상면 중앙에 형성되어 있다.Among the components, the faucet body 10 has a faucet outlet 11 for discharging water mixed with cold and hot water at a predetermined ratio, protruding toward the front of the faucet body 10, and the faucet body ( Cold and hot water inlets 14 and 15 are formed at the rear left and right sides of the 10), and cold and hot water shower outlets 12 and 13 are formed at the rear center of the faucet body 10, and the faucet outlet 11 ) And the cold and hot water shower outlet (12) (13) and the cold and hot water inlet (14) (15), respectively, a plurality of holes (16 ') are formed in the recess 16 is formed of the faucet body (10) It is formed in the center of the upper surface.

또한, 냉·온수 샤워기출구(12)(13)에는 샤워기 쪽으로 용수를 내보내는 플렉시블 호스(45)가 연결되며, 수도꼭지 본체(10)에 냉·온수를 공급하는 냉·온수관이 냉·온수 유입구(14)(15)에 각각 연결된다.In addition, the cold and hot water shower outlet (12) (13) is connected to a flexible hose (45) for discharging water toward the shower, and the cold and hot water pipes for supplying cold and hot water to the faucet body (10) are cold and hot water inlets ( 14) (15) respectively.

여기서, 수도꼭지 본체(10)의 함몰부(16)에 형성되는 복수의 구멍(16')은,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수도꼭지 출구(11)와 유체연결(연통)되는 출수공(16a)과, 냉·온수 유입구(14)(15)와 각각 유체연결되는 제1 냉·온수 유입공(16b)(16c)과, 냉·온수 유입구(14)(15)와 각각 유체연결되는 제2 냉·온수 유입공(16d)(16e)과, 냉·온수 샤워기출구(12)(13)와 각각 유체연결되는 냉·온수 토출공(16f)(16g)으로 이루어져 있다.Here, the plurality of holes 16 'formed in the recessed portion 16 of the faucet body 10, as shown in Fig. 2, and the outlet 16, which is in fluid communication (communication) with the faucet outlet (11) , The first cold and hot water inlet holes (16b) (16c) are respectively fluidly connected to the cold and hot water inlet (14) (15), and the second cold, respectively fluidly connected to the cold and hot water inlets (14, 15) It consists of a hot water inlet hole (16d) (16e), cold and hot water shower outlets (12, 13), respectively, the cold and hot water discharge hole (16f) (16g) fluidly connected.

다음으로, 상기 받침부는,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수도꼭지 본체(10)의 함몰부(16)에 설치되고 함몰부(16)의 복수의 구멍(16'; 16a∼16g)에 대응하는 복수의 연결공(21')이 형성된 하부받침(21)과, 하부받침(21)에 결합되며 복수의 연결공(21')과 연통되는 복수의 분화공(22')이 형성된 입출구편(22)과, 입출구편(22)의 상면에서 슬라이딩되며 복수의 분화공(22')과 선택적으로 연통되는 복수의 교반홈(23')이 형성된 교반편(23)과, 교반편(23)의 상면에 결합되어 교반편과 함께 슬라이딩되거나 회전되는 가이드 슬라이더(24)와, 가이드 슬라이더(24)의 상면에 배치되어 가이드 슬라이더를 수평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면서 가이드 슬라이더와 함께 회전되는 회전드럼(25)과, 하부받침(21)의 상측에 결합되고 회전드럼(25)의 회전을 제한하는 내부 돌기가 형성된 상부받침(26)으로 이루어져 있다.Next, as shown in FIG. 3, the support portion is provided in the recessed portion 16 of the faucet body 10 and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holes 16 '(16a to 16g) of the recessed portion 16 The lower support 21 formed with the connecting hole 21 ', and the entrance / exit piece 22 formed with a plurality of differentiation holes 22' connected to the lower support 21 and communicating with the plurality of connecting holes 21 ' , Agitation piece 23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agitation piece 23 and the agitation piece 23, which is sli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inlet / outlet piece 22 and is formed with a plurality of agitation grooves 23 'selectively communicating with a plurality of eruption holes 22' The guide slider 24 is rotated or rotated together with the stirring piece, and is dispos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guide slider 24 to support the guide slider horizontally while rotating with the guide slider 25 and the lower support It is coupled to the upper side of (21) and the upper support (26) is formed with an inner projection to limit the rotation of the rotating drum (25) It is made.

여기서, 교반편(23)에 형성되는 복수의 교반홈(23')은, 도 1, 도 2 및 도 3 (c)로부터 인식되는 바와 같이, 함몰부(16)의 제1 냉·온수 유입공(16b)(16c)과 출수공(16a)이 유체연결되도록 하는 주교반홈(23a)과, 함몰부(16)의 제2 냉·온수 유입공(16d)(16e)과 냉·온수 토출공(16f)(16g)이 유체연결되도록 하는 냉·온수 교반홈(23b)(23c)으로 이루어져 있다.Here, the plurality of stirring grooves 23 'formed in the stirring piece 23, as recognized from FIGS. 1, 2 and 3 (c), the first cold and hot water inflow hole of the depression 16 (16b) (16c) and the main stirring groove (23a) for fluid connection of the outlet hole (16a), the second cold and hot water inlet hole (16d) (16e) of the depression (16) and the cold and hot water discharge hole (16f) (16g) is made of a cold and hot water stirring groove (23b) (23c) to be fluidly connected.

그리고 입출구편(22)에 형성되는 복수의 분화공 중에서, 함몰부(16)의 제1 냉·온수 유입공(16b)(16c)과 유체연결되는 분화공(22")은 교반편(23)이 닫힘 위치에서 회전되는 동안에 주교반홈(23a)과 유체연결되지 않도록 일부분이 막혀 있다.And, among the plurality of eruption holes formed in the entry and exit pieces 22, the eruption holes 22 "fluidly connected to the first cold and hot water inflow holes 16b and 16c of the depressions 16 are stirring pieces 23 A part is blocked so as not to be in fluid contact with the main stirring groove 23a while rotating in this closed position.

다음으로, 상기 케이스부는, 상기 받침부의 상측에 위치되어 수도꼭지 본체(10)의 함몰부(16)의 상단에 결합되는 내부 케이스(31)와, 수도꼭지 본체(10)의 상측에 위치되어 내부 케이스(31)와 결합되며 레버 손잡이(35)의 움직임을 안내하는 외부 케이스(32)와, 레버 손잡이(35)에 한쪽이 결합되고 상기 받침부의 회전드럼(25)의 상측에 다른쪽이 결합되어 레버 손잡이(35)의 조작에 따라 회전드럼(25)을 작동시키는 샤프트(33)로 이루어져 있다.Next, the case portion, the inner case 31 is located on the upper side of the recess portion 16 is coupled to the upper end of the recessed portion 16 of the faucet body 10, and the upper case of the faucet body 10, the inner case ( 31) is coupled to the outer case 32 for guiding the movement of the lever handle 35, one side is coupled to the lever handle 35 and the other side is coupled to the upper side of the rotating drum 25 of the support portion, the lever handle It consists of a shaft 33 for operating the rotating drum 25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35).

실시예Example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세면대와 싱크대는 용도와 설치장소가 다르지만 구성 및 작동원리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위생 기구 설비이다.As mentioned above, the sink and the sink are different in use and installation place, but the construction and operation principle are substantially the same sanitary appliance installation.

따라서 본 발명의 적용대상을 명확하게 표현하려는 취지에서, 청구범위의 말미가 「2단 세면대 또는 2단 싱크대」로 되어 있지만, 구성 및 작용·효과 측면에서 또는 위생 기구 설비라는 상위 개념의 측면에서, 2단 세면대와 2단 싱크대는 동일 대상인 것으로 보아야 한다.Therefore, in order to clearly express the object of appl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lthough the end of the claims is "two-stage sink or two-stage sink", in terms of configuration and action and effect, or in terms of the higher concept of sanitary appliance equipment, The two-tier sink and the two-tier sink should be considered the same.

이러한 관점에서, 실시예에 관한 구체적인 설명은 2단 세면대로 특정하여 행해지지만, 2단 싱크대에도 그대로 적용된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In this regard, it should be noted that the specific description of the embodiment is performed by specifying the two-stage sink, but it is also applied to the two-stage sink.

도 4와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2단 세면대에서의 하단 세면대가 수납장 내에 격납된 상태(미사용 상태) 및 하단 세면대가 수납장에서 인출된 상태(사용 상태)를 각각 나타낸 사시도이다.4 and 5 are perspective views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bottom sink in the two-stage sin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tored in the cabinet (unused state) and a state in which the bottom sink is withdrawn from the cabinet (used state), respectively.

일 실시예에 따른 2단 세면대는, 수납장(100)과, 수납장(100)의 상단부에 설치되어 외부로 노출되는 상단 세면대(200)와, 수납장(100) 내에 설치되는 하단 세면대(300)로 구성되어 있다.The two-stage sink according to an embodiment includes a cabinet 100, an upper sink 200 installed outside the cabinet 100 and exposed to the outside, and a lower sink 300 installed in the cabinet 100. It is done.

일 실시예에서, 수납장(100)의 전면(前面)에는 2개의 여닫이문이 좌우 양측에 설치되어 있지만, 하나의 여닫이문으로 개폐하는 형태여도 되고, 하나의 셔터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개폐하는 형태여도 무방하다.In one embodiment, the front (front side) of the cabinet 100 is provided with two swing doors on both sides of the left and right sides, but may be in the form of opening and closing with a single opening door, or in the form of opening and clos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by a single shutter It is okay.

또한, 도 4 및 도 5에 도시되지 않지만, 상·하단 세면대(200)(300) 모두에 배수관이 접속되어 있고, 상단 세면대(200)에 냉·온수관이 각각 접속되어 있다.Further, although not shown in FIGS. 4 and 5, drain pipes are connected to both the upper and lower sinks 200 and 300, and cold and hot water pipes are respectively connected to the upper sink 200.

상기 배수관은 상·하단 세면대(200)(300)에서 사용된 용수가 하수관 쪽으로 배수되도록 하는 배관으로서, 상·하단 세면대(200)(300)의 배수구(261)(361)에 한쪽 단부가 연결되고, 다른쪽 단부가 하수관에 연통(유체연결)된다. 이와는 다른 실시예로서, 하단 세면대(300)에 접속된 배수관은 다른쪽 단부가 하수관에 연결되지 않고, 상단 세면대(200)의 배수관에 연결되어도 된다.The drain pipe is a pipe through which the water used in the upper and lower sinks 200 and 300 is drained toward the sewer pipe, and one end is connected to the drains 261 and 361 of the upper and lower sinks 200 and 300. , The other end is in communication (fluid connection) to the sewer pipe. As another embodiment, the drain pipe connected to the lower sink 300 may not be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drain pipe, but may be connected to the drain pipe of the upper sink 200.

한편, 상단 세면대(200)에 접속시키는 배수관은 플렉시블 배관이어도 그렇지 않은 배관이어도 무방하지만, 하단 세면대(300)에 접속시키는 배수관은 플렉시블 배관인 것이 바람직하다.On the other hand, the drain pipe connected to the upper sink 200 may be a flexible pipe or a pipe that is not, but the drain pipe connected to the lower sink 300 is preferably flexible pipe.

또한, 상·하단 세면대(200)(300) 모두는, 저수 및 배수 가능한 상·하단 세정조(260)(360)와, 상·하단 세정조(260)(360)에 용수를 공급할 수 있는 상·하단 수전(250)(350)을 가진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In addition, both the upper and lower sinks 200 and 300 are capable of supplying water to the upper and lower washing tanks 260 and 360 and the upper and lower washing tanks 260 and 360 capable of storing and draining water. · It consists of a structure with a bottom faucet (250) (350).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하단 세면대(300)의 좌우 양측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출 기구(370)와 승강 기구(380)가 결합되어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lower sink 300, as shown in Figure 6, the withdrawal mechanism 370 and the lifting mechanism 380 is coupled.

구체적으로, 인출 기구(370)는 책상 서랍 등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수평 레일과 수평 슬라이더의 조립체로 이루어져 있으며, 승강 기구(380)는 수직 레일과 수직 슬라이더의 조립체로 이루어져 있다.Specifically, the withdrawal mechanism 370 is composed of an assembly of horizontal rails and horizontal sliders commonly found in desk drawers, etc., and the lifting mechanism 380 is composed of an assembly of vertical rails and vertical sliders.

따라서 일 실시예의 승강 기구(380)는 인출 기구(370)를 90° 회전시킨 것과 같다고 할 수 있다.Therefore, it can be said that the lifting mechanism 380 of one embodiment is the same as rotating the take-out mechanism 370 by 90 °.

하단 세면대(300)가 수납장(100) 내에서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고 또 수납장(100)에서 인출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인출 기구(370)의 수평 레일이 승강 기구(380)의 수직 슬라이더에 고정되어 있다.In order to allow the lower sink 300 to move up and down in the cabinet 100 and to be withdrawn from the cabinet 100, the horizontal rail of the drawing mechanism 370 is fixed to the vertical slider of the lifting mechanism 380 It is done.

일 실시예와 다른 구조로서, 인출 기구(370)의 수평 레일에 기어(피니언)가 더 구비되는 한편, 승강 기구(380)로서 상기 기어가 회전 가능하게 맞물리는 랙이 채용될 수 있다. 기어의 회전은 수동(手動) 또는 전동(電動)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수동일 경우는 기어 측에 손잡이 등이 구비될 필요가 있고, 전동일 경우는 기어가 전동모터의 모터축에 결합될 필요가 있다.As a structure different from one embodiment, a gear (pinion) is further provided on a horizontal rail of the take-out mechanism 370, while a rack in which the gear is rotatably engaged as a lifting mechanism 380 may be employed. The rotation of the gear can be done manually or electrically. In the case of manual operation, a handle or the like needs to be provided on the gear side. In the case of transmission, the gear needs to be coupled to the motor shaft of the electric motor. have.

한편, 인출 기구(370)의 수평 레일과 승강 기구(380)의 수직 슬라이더 사이에, 볼 너트가 수직방향으로 이동되도록 볼 스크류 기구를 배치하고, 볼 너트에 인출 기구(370)의 수평 레일과 승강 기구(380)의 수직 슬라이더를 고정하는 구성에 의해, 하단 세면대(300)를 원하는 위치까지 이동시켜 그 위치에 머물게 하면서 수평방향으로의 인출만 가능하게 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between the horizontal rail of the take-out mechanism 370 and the vertical slider of the lifting mechanism 380, a ball screw mechanism is disposed so that the ball nut moves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the ball rail is lifted and lifted from the horizontal rail of the take-out mechanism 370. By the configuration of fixing the vertical slider of the mechanism 380, it is possible to move the lower sink 300 to a desired position so that it can only be pulled out in the horizontal direction while staying there.

그 외의 실시형태로서, 승강 기구(380)의 채용 없이, 인출 기구(370)만 채용하는 것도 가능하지만, 이 경우에는 하단 세면대(300)가 수납장에 설치되고 나서의 높이 조절을 행할 수 없게 된다.As other embodiments, it is also possible to employ only the take-out mechanism 370 without employing the lifting mechanism 380, but in this case, it is impossible to adjust the height after the lower sink 300 is installed in the cabinet.

다음으로, 도 7∼도 11을 참조하여, 용수 공급형태의 제어에 관해 설명한다.Next, control of the water supply mod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7 to 11.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단 수전(250)이 상단 세면대(200)에 구비되고, 일반 수전(400)이 하단 세면대(300)에 구비된 경우를 도시한 것으로, 상단 수전(250)과 일반 수전(400) 사이의 유체연결(연통)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FIG. 7 illustrates a case where the top faucet 25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in the top sink 200, and the general faucet 400 is provided in the bottom sink 300, the top faucet 250 ) Is a schematic diagram for explaining the fluid connection (communication) state between the general faucet 400.

상단 수전(250)은 유체연결에 관계되는 구멍(통로, 유로)의 위치관계를 제외하고, 도 1∼도 3에서 설명했던 특허문헌 1의 분배기 일체형 레버 구조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The upper faucet 250 has a structure substantially the same as that of the distributor-integrated lever structure of Patent Document 1 described in FIGS. 1 to 3 except for the positional relationship of holes (paths and flow paths) related to fluid connection.

일 실시예에 따른 상단 수전(250)에서, 유체연결에 관계되는 복수의 유로는, 냉·온수 공급로(255)(252)와, 냉·온수 배출로(254)(253)와, 레버(251)의 조작 태양에 따라 냉·온수의 혼합 비율이 달라지는 용수를 상단 세정조(260)에 배출하는 용수 배출로(258)와, 냉·온수 공급로(255)(252)와 용수 배출로(258)를 연결하는 냉·온수 연통로(257)(256)로 이루어져 있다.In the upper faucet 250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plurality of flow paths related to the fluid connection include a cold / hot water supply path 255, 252, a cold / hot water discharge path 254, 253, and a lever ( 251) a water discharge path 258 for discharging water having a different mixing ratio of cold and hot water to the upper cleaning tank 260, a cold and hot water supply channel 255, 252 and a water discharge path ( It consists of a cold and hot water communication path (257) (256) connecting the 258).

상단 수전(250)은, 레버(251)를 조작하는 태양(態樣)에 따라, 단수 모드, 사용 모드, 출수방향 전환 모드 중 어느 하나의 모드로 제어되며, 사용 모드에서는 용수의 토출 수량과 수온이 조절된다.The upper faucet 250 is controlled by any one of a singular mode, a use mode, and a water discharge direction switching mode according to the sun operating the lever 251, and the discharge quantity and water temperature of the water in the use mode This is regulated.

도 7에서, 상단 수전(250)은 출수방향 전환 모드로 조작되어 있는데, 이때의 레버(251)는 전단부(前端部)가 상단 수전(250)의 본체에 가장 근접해 있도록 가장 낮은 위치로 내려져 있다. 일반 수전(400)에서는 이 상태가 폐쇄 상태, 즉, 수도꼭지 출구로 용수가 나오지 않는 단수 모드이다.In FIG. 7, the upper faucet 250 is operated in the water discharge direction switching mode, and the lever 251 is lowered to the lowest position so that the front end portion is closest to the main body of the upper faucet 250. . In the general faucet 400, this state is a closed state, that is, a singular mode in which water does not flow through the faucet outlet.

이에 대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단 수전(250)은 단수 모드와 출수방향 전환 모드의 둘 다에서 레버(251)의 전단부가 최저 위치에 있으며, 수평방향으로 행해지는 레버(251)의 회전에 의해, 단수 모드와 출수방향 전환 모드가 구별된다. 예를 들면, 수평면 내에서의 레버(251)의 위치가 회전가능범위의 정중앙 위치(회전 가능한 각도범위를 1/2로 분할하는 위치)에 있을 때가 출수방향 전환 모드이고, 이 정중앙 위치로부터 ±45° 이격된 각도 위치에 있을 때가 단수 모드에 해당하는 것이다.On the other hand,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pper end faucet 250 has a front end of the lever 251 in both the single-stage mode and the water-exit direction switching mode, the lowest position of the lever 251 is perform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By rotation, the singular mode and the exit direction switching mode are distinguished. For example, when the position of the lever 251 in the horizontal plane is in the center position of the rotatable range (the position dividing the rotatable angular range by 1/2) is the water exit direction switching mode, ± 45 from this center position. ° When in the angular position spaced apart, it corresponds to the singular mode.

상단 수전(250)이 출수방향 전환 모드일 때, 온수 공급로(252)와 온수 배출로(253)가 유체연결(연통)되며, 온수 배출로(253)에 접속된 온수 유출관(500)을 통해, 하단 세면대(300)에 구비된 일반 수전(400)의 온수 유입로(402)로 온수가 흘러들어 간다. 또한, 이때, 상단 수전(250)의 냉수 공급로(255)와 냉수 배출로(254)도 유체연결(연통)되며, 냉수 배출로(254)에 접속된 냉수 유출관(501)을 통해, 하단 세면대(300)에 구비된 일반 수전(400)의 냉수 유입로(403)로 냉수가 공급된다.When the upper faucet 250 is in the outflow direction switching mode, the hot water supply passage 252 and the hot water discharge passage 253 are fluidly connected (communicated), and the hot water outlet pipe 500 connected to the hot water discharge passage 253 is connected. Through, hot water flows into the hot water inflow path 402 of the general faucet 400 provided in the lower sink 300. In addition, at this time, the cold water supply path 255 of the upper faucet 250 and the cold water discharge path 254 are also fluidly connected (communicated), and through the cold water outlet pipe 501 connected to the cold water discharge path 254, the lower Cold water is supplied to the cold water inflow path 403 of the general faucet 400 provided in the sink 300.

그리고 이와 같이 냉·온수가 하단 세면대(300)의 일반 수전(400)에 공급된 상태에서, 일반 수전(400)에 구비된 레버(401)의 전단부를 위쪽으로 들어올리면, 냉·온수 유입로(402)(403) 측에 도달해 있는 냉·온수가 용수 배출로(404) 쪽으로 유동하면서 혼합되어 수도꼭지 출구를 통해 하단 세정조에 배출된다.And in this state, when the cold and hot water is supplied to the general faucet 400 of the lower sink 300, when the front end of the lever 401 provided in the general faucet 400 is lifted upward, the cold and hot water inflow path ( Cold and hot water reaching the 402) (403) side is mixed while flowing toward the water discharge path 404 and is discharged to the lower washing tank through the faucet outlet.

이때, 레버(401)가 위쪽으로 들리는 정도에 따라 용수의 토출 수량이 조절되며, 레버(401)가 회전가능범위 내에서 수평방향으로 회전되는 정도에 따라 냉·온수의 혼합비율이 달라져서 수온이 조절된다.At this time, the discharge amount of water is adjusted according to the degree to which the lever 401 is lifted upward, and the mixing ratio of cold and hot water is changed according to the degree to which the lever 401 is rotat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within the rotatable range to adjust the water temperature. do.

다음으로, 도 8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상·하단 수전(250)(350)과 샤워기의 유체연결 상태를 나타낸 모식도로, 하단 수전(350)이 사용 중인 상태의 모식도이다.Next, FIG. 8A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fluid connection state between the upper and lower faucets 250 and 35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s a schematic diagram of a state in which the lower faucet 350 is in use.

상·하단 수전(250)(350) 모두는, 도 7에서 설명된 상단 수전(250)과 동일한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Both the upper and lower faucets 250 and 350 have the same structure as the upper faucet 250 described in FIG. 7.

따라서, 상단 수전(250)이 출수방향 전환 모드일 때, 온수 공급로(252)와 온수 배출로(253)가 유체연결(연통)되며, 온수 배출로(253)에 접속되어 있는 온수 유출관(500)을 통해, 하단 세면대(300)에 구비된 하단 수전(350)의 온수 공급로(352)로 온수가 유입되고, 냉수 배출로(254)에 접속된 냉수 유출관(501)을 통해, 하단 수전(350)의 냉수 공급로(355)로 냉수가 공급된다.Therefore, when the upper faucet 250 is in the water discharge direction switching mode, the hot water supply passage 252 and the hot water discharge passage 253 are fluidly connected (communicated), and the hot water outlet pipe connected to the hot water discharge passage 253 ( 500), hot water flows into the hot water supply path 352 of the lower faucet 350 provided in the lower sink 300, and through the cold water outlet pipe 501 connected to the cold water discharge path 254, the lower Cold water is supplied to the cold water supply channel 355 of the faucet 350.

냉·온수가 하단 수전(350)의 냉·온수 공급로(355)(352) 측에 도달해 있는 상태에서, 하단 수전(350)의 레버(351)가 사용 모드로 조작되면, 하단 수전(350)의 냉·온수 공급로(355)(352)와 냉·온수 연통로(358)(356)와 용수 배출로(358)가 유체연결되어 하단 수전(350)의 수도꼭지 출구로 용수가 토출된다.When the cold / hot water reaches the cold / hot water supply path 355, 352 side of the lower faucet 350, when the lever 351 of the lower faucet 350 is operated in the use mode, the lower faucet 350 ), The cold / hot water supply path 355, 352, the cold / hot water communication path 358, 356, and the water discharge path 358 are fluidly connected, and water is discharged to the faucet outlet of the lower faucet 350.

한편, 하단 수전(350)이 출수방향 전환 모드로 조작된 때에는, 샤워기 호스(600) 쪽으로 용수가 배출된다.Meanwhile, when the lower faucet 350 is operated in the water discharge direction switching mode, water is discharged toward the shower hose 600.

다음으로, 도 8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상·하단 수전(250)(350)과 샤워기의 유체연결 상태를 나타낸 모식도로, 샤워기가 사용 중인 상태의 모식도이다.Next, Figure 8b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the fluid connection state of the upper and lower faucets 250, 350 and the show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schematic diagram of a state in which the shower is in use.

도 8b에 도시된 상·하단 수전(250)(350)은 도 1∼도 3에서 설명된 특허문헌 1의 분배기 일체형 레버 구조와 동일하다.The upper and lower faucets 250 and 350 shown in FIG. 8B are the same as the structure of the distributor-integrated lever of Patent Document 1 described in FIGS. 1 to 3.

도 8a 및 도 8b에 도시된 상·하단 수전(250)(350)의 차이점은, 냉·온수 연통로(257)(256)(357)(356)와 용수 배출로(258)(358)의 위치관계뿐이다.The difference between the upper and lower faucets 250 and 350 shown in FIGS. 8A and 8B is that of the cold / hot water communication paths 257, 256, 357, 356 and the water discharge paths 258, 358. It is only a positional relationship.

도 8b의 상·하단 수전(250)(350) 모두가 출수방향 전환 모드로 조작된 때, 하단 수전(350)의 냉온수 배출로(354)(353)에 접속된 샤워기 호스(600)로 용수가 배출된다.When both the upper and lower faucets 250 and 350 of FIG. 8B are operated in the water discharge direction switching mode, water is supplied to the shower hose 600 connected to the cold and hot water discharge paths 354 and 353 of the lower faucet 350. Is discharged.

용수의 토출 수량 및 수온의 조절은 하단 수전(350)의 레버(351)를 조작하여 달성할 수도 있지만, 샤워기 헤드에 조절수단이 구비된 경우라면 샤워기 헤드 측에서 조절해도 무방하다.Adjustment of the discharge quantity and the water temperature of the water may be achieved by manipulating the lever 351 of the lower faucet 350, but if the shower head is provided with an adjusting means, the shower head may be adjusted.

다음으로,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하단 수전(250)(350)의 본체와 조절판(700)에 형성되는 구멍(통로, 유로)의 배치를 나타낸 도면으로, 도 9 (a)는 본체의 함몰부 등에 형성된 구멍(통로, 유로)의 배치도이고, 도 9 (b)는 조절판(700)에 형성된 구멍(통로, 유로)의 배치도이다.Next, FIG. 9 is a view showing the arrangement of holes (paths, flow paths) formed in the main body and the control plate 700 of the upper and lower faucets 250 and 35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is a layout view of a hole (passage path, flow path) formed in a depression or the like of the main body, and FIG. 9 (b) is a layout view of a hole (path, flow path) formed in the control plate 700.

도 1∼도 3에서, 7개의 구멍(통로, 유로)은 수전 본체의 함몰부와, 하부받침 및 입출구편에 형성되어 있으며, 교반편(23)에는 3개의 교반홈이 형성되어 있다.In Figs. 1 to 3, seven holes (paths, flow paths) are formed in the recessed portion of the faucet body, the lower support and the inlet and outlet pieces, and three stirring grooves are formed in the stirring piece 23.

앞에서 언급했지만, 본 발명에서의 상하단 수전(250)(350)은, 구멍(통로, 유로)의 위치관계를 제외하고, 특허문헌 1의 수전(분배기 일체형 레버 구조)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다.As mentioned above, the upper and lower power faucets 250 and 350 in the present invention have substantially the same configuration as the faucet (distributor-integrated lever structure) of Patent Document 1, except for the positional relationship of the holes (paths and flow paths). .

따라서 냉·온수 교반홈(701)(702)과 주교반홈(703)을 가지는 조절판(700)은 특허문헌 1의 교반편(23)에 대응되며, 일 실시예에 따른 상하단 수전(250)(350)에는 7개의 구멍이 각각 형성된 하부받침과 입출구편과 함몰부가 구비되어 있다.Therefore, the control plate 700 having the cold and hot water stirring grooves 701 and 702 and the main stirring groove 703 corresponds to the stirring piece 23 of Patent Document 1, and the upper and lower end faucets 25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 350) is provided with a lower support, inlet and outlet pieces and depressions, each of which 7 holes are formed.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하단 수전에서, 7개의 유로(구멍)와 3개의 교반홈이 교차하는 상태에 따라 제어 모드가 달라지는 것을 나타낸 것으로서, 도 10은 출수방향 전환 모드일 때의 수전의 본체에 형성된 복수의 구멍과 조절판(700)에 형성된 복수의 교반홈의 위치관계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1은 단수 모드일 때의 수전의 본체에 형성된 복수의 구멍과 조절판에 형성된 복수의 교반홈의 위치관계를 나타낸 도면이다.10 and 11 show that the control mode is changed according to the state in which the seven flow paths (holes) and the three stirring grooves intersect in the upper and lower end faucet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diagram showing the positional relationship between a plurality of holes formed in the main body of the faucet and a plurality of stirring grooves formed in the control plate 700, and FIG. 11 is formed in a plurality of holes and a control plate formed in the body of the faucet in the singular mode It is a diagram showing the positional relationship of a plurality of stirring grooves.

7개의 구멍과 3개의 교반홈이 레버의 조작에 의해 어떤 형태로 교차하는지에 따라, 용수의 공급형태는 달라지는데, 본 출원인의 선등록특허(특허문헌 1 및 2)에 이에 관한 사항이 상세히 개시되어 있으므로, 여기서는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Depending on how the seven holes and the three stirring grooves intersect by the operation of the lever, the supply form of the water is different, and the matter related to this has been disclosed in detail in the applicant's pre-registered patents (Patent Documents 1 and 2). Therefore, a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here.

이상,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하는 몇몇 실시예가 도면에 근거하여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은 설명된 대로의 구성 및 작용에 국한되는 것이 아니며, 발명의 설명 및 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적 사상의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해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해질 수 있다는 것을 통상의 기술자는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In the above, although some embodiments illustrating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based on the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as described, and deviates from the scope of the technical spirit described in the description and claims of the invention. Without a doubt,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appreciate that many changes and modifications can be made to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ly, all such suitable changes and modifications and equivalents should be considered to be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수납장
200…상단 세면대
250…상단 수전
251…레버
252…온수 공급로
253…온수 배출로
254…냉수 배출로
255…냉수 공급로
256…온수 연통로
257…냉수 연통로
258…용수 배출로
260…상단 세정조
261…배수구
300…하단 세면대
350…하단 수전
351…레버
352…온수 공급로
353…온수 배출로
354…냉수 배출로
355…냉수 공급로
356…온수 연통로
357…냉수 연통로
358…용수 배출로
360…하단 세정조
361…배수구
370…(수평방향) 인출 기구
380…(수직방향) 승강 기구
400…일반 수전
401…레버
402…온수 유입로
403…냉수 유입로
404…용수 배출로
500…온수 유출관
501…냉수 유출관
600…샤워기 호스
700…조절판
701…냉수 교반홈
702…온수 교반홈
703…주교반홈
100… Cabinet
200… Top vanity
250… Top faucet
251… lever
252 ... Hot water supply furnace
253… Hot water outlet
254… Cold water outlet
255… Cold water supply
256… Hot water communication
257… Cold water communication path
258 ... Water outlet
260… Upper cleaning tank
261 ... waterspout
300… Bottom sink
350… Bottom faucet
351… lever
352… Hot water supply furnace
353 ... Hot water outlet
354 ... Cold water outlet
355… Cold water supply
356 ... Hot water communication
357 ... Cold water communication path
358… Water outlet
360… Bottom cleaning tank
361 ... waterspout
370… (Horizontal direction) Withdrawal mechanism
380… (Vertical direction) lifting mechanism
400… General faucet
401… lever
402… Hot water inlet
403… Cold water inlet
404… Water outlet
500… Hot water outlet pipe
501… Cold water outlet pipe
600… Shower hose
700… throttle
701… Cold water stirring groove
702… Hot water stirring groove
703… Alumni Home

Claims (5)

수납장과;
수납장의 상단부에 설치되어 외부로 노출되는 상단 싱크대와;
미사용시는 수납장에 격납하고 사용시는 수납장에서 인출 가능하도록 수납장 내에 설치되는 하단 싱크대와;
상·하단 싱크대에 연결되는 배수관; 및
상단 싱크대에 연결되는 냉·온수관;
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하단 싱크대에 각각 구비되는 수전의 레버를, 단수 모드, 사용 모드, 출수방향 전환 모드 중 어느 하나의 모드로 조작하는 태양(態樣)에 따라, 상·하단 싱크대에의 급수 또는 단수와, 용수의 수량 및 수온 중 하나 이상을 조절하는 제어가 이루어져서 용수(用水) 공급형태가 제어되며,
상단 싱크대의 수전의 레버가 단수 모드로 조작된 때에는, 상·하단 싱크대가 모두 단수되고,
상단 싱크대의 수전의 레버가 사용 모드로 조작된 때에는, 상단 싱크대만 용수를 사용할 수 있는 상태가 되고 하단 싱크대로의 급수는 정지되며,
상단 싱크대의 수전의 레버가 출수방향 전환 모드로 조작된 때에는, 상단 싱크대에서의 용수 사용은 금지되면서 하단 싱크대로의 급수가 행해져 하단 싱크대만 용수를 사용할 수 있는 상태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단 싱크대.
A storage cabinet;
A top sink which is install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cabinet and exposed to the outside;
A lower sink installed in the cabinet to store in the cabinet when not in use and to be withdrawn from the cabinet when in use;
A drain pipe connected to the upper and lower sinks; And
Cold and hot water pipe connected to the top sink;
It consists of,
The water supply or the number of stages to the upper and lower sinks, depending on the sun operating the lever of the faucet provided in each of the upper and lower sinks in one of a single stage mode, a use mode, and a water discharge direction switching mode, Water supply type is controlled by controlling to control one or more of water quantity and water temperature,
When the lever of the faucet of the upper sink is operated in the singular mode, both the upper and lower sinks are disconnected,
When the lever of the faucet in the upper sink is operated in the use mode, only the upper sink is ready to use water, and the water supply to the lower sink is stopped.
When the lever of the faucet in the upper sink is operated in the water discharge direction switching mode, the use of water in the upper sink is prohibited while water supply to the lower sink is performed, so that only the lower sink can use water. .
청구항 1에 있어서,
샤워기 호스가 하단 싱크대에 접속되어, 하단 싱크대에 구비된 수전의 레버를 조작하는 태양에 따라, 샤워기 호스로의 급수 또는 단수가 행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단 싱크대.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two-stage sink characterized in that the shower hose is connected to the lower sink, and water or single water is supplied to the shower hose according to the aspect of operating the lever of the faucet provided in the lower sink.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단 싱크대는, 저수 및 배수 가능한 상단 세정조와, 상단 세정조에 용수를 공급할 수 있는 상단 수전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단 수전은, 냉·온수 공급로와, 냉·온수 배출로와, 용수 공급형태를 제어하는 레버와, 레버를 조작하는 태양에 따라 냉·온수의 혼합비율이 달라지는 용수를 상단 세정조에 배출하는 용수 배출로와, 냉·온수 공급로와 용수 배출로를 연결하는 냉·온수 연통로와, 레버의 조작에 연동하여 수평방향으로 일정 각도범위 내에서 회전하는 조절판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조절판에는, 냉·온수 공급로와 냉·온수 배출로의 연결을 단속하는 냉·온수 교반홈과, 용수가 용수 배출로 쪽으로 흐르게 하는 주교반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단 싱크대.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The top sink includes a top washing tank capable of storing and draining water, and a top faucet capable of supplying water to the top washing tank,
In the upper faucet, the cold and hot water supply path, the cold and hot water discharge path, the lever for controlling the water supply type, and the water in which the mixing ratio of the cold and hot water varies depending on the mode of operating the lever to the upper washing tank It consists of a cooling and hot water communication path connecting a discharge path, a cold and hot water supply path and a water discharge path, and a control plate that rotates within a certain angular rang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in connection with the operation of the lever.
A two-stage sink,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trol plate is provided with a cold and hot water agitation groove that interrupts the connection between the cold and hot water supply path and a cold and hot water discharge path, and a main agitation groove through which water flows toward the water discharge path.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하단 싱크대는, 저수 및 배수 가능한 하단 세정조와, 하단 세정조에 용수를 공급할 수 있는 하단 수전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하단 수전은, 냉·온수 공급로와, 냉·온수 배출로와, 용수 공급형태를 제어하는 레버와, 레버를 조작하는 태양에 따라 냉·온수의 혼합비율이 달라지는 용수를 하단 세정조에 배출하는 용수 배출로와, 냉·온수 공급로와 용수 배출로를 연결하는 냉·온수 연통로와, 레버의 조작에 연동하여 수평방향으로 일정 각도범위 내에서 회전하는 조절판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조절판에는, 냉·온수 공급로와 냉·온수 배출로의 연결을 단속하는 냉·온수 교반홈과, 용수가 용수 배출로 쪽으로 흐르게 하는 주교반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단 싱크대.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The bottom sink includes a bottom washing tank capable of storing and draining water, and a bottom faucet capable of supplying water to the bottom washing tank,
The bottom faucet is a cold / hot water supply channel, a cold / hot water discharge path, a lever for controlling the water supply type, and water for discharging water in which the mixing ratio of cold / hot water varies depending on the mode of operating the lever to the lower washing tank It consists of a cooling and hot water communication path connecting a discharge path, a cold and hot water supply path and a water discharge path, and a control plate that rotates within a certain angular rang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in connection with the operation of the lever.
A two-stage sink,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trol plate is provided with a cold and hot water agitation groove that interrupts the connection between the cold and hot water supply path and a cold and hot water discharge path, and a main agitation groove through which water flows toward the water discharge path.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하단 싱크대는, 수납장 내에서 상하방향으로의 위치변동이 가능한 위치조절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2단 싱크대.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The lower sink is a two-stage sink, characterized in that it is a position-adjustable type that can be moved up and down in the cabinet.
KR1020190170590A 2019-12-19 2019-12-19 Dual Vanity Unit or Dual Sink Unit KR10210312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0590A KR102103125B1 (en) 2019-12-19 2019-12-19 Dual Vanity Unit or Dual Sink Uni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0590A KR102103125B1 (en) 2019-12-19 2019-12-19 Dual Vanity Unit or Dual Sink Unit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16766A Division KR102060930B1 (en) 2019-09-23 2019-09-23 Dual Vanity Unit or Dual Sink Uni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03125B1 true KR102103125B1 (en) 2020-04-22

Family

ID=704730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70590A KR102103125B1 (en) 2019-12-19 2019-12-19 Dual Vanity Unit or Dual Sink Uni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03125B1 (en)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19870Y1 (en) 2000-09-08 2001-04-16 강자승 A stairway of a washing stand for children
KR20030067104A (en) * 2002-02-07 2003-08-14 배경한 A spare washstand insert washstand
KR100878378B1 (en) 2007-07-03 2009-01-13 염명훈 Lever Assembly With Distributer for Foucet and Shower Head
KR101266654B1 (en) 2012-11-06 2013-05-22 염명훈 Lever assembly with distributer for foucet and shower head
KR20150123010A (en) 2014-04-24 2015-11-03 하주원 a multiple handbasin and installation method thereof
KR20190075383A (en) 2017-12-21 2019-07-01 박현진 Stepped sink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19870Y1 (en) 2000-09-08 2001-04-16 강자승 A stairway of a washing stand for children
KR20030067104A (en) * 2002-02-07 2003-08-14 배경한 A spare washstand insert washstand
KR100878378B1 (en) 2007-07-03 2009-01-13 염명훈 Lever Assembly With Distributer for Foucet and Shower Head
KR101266654B1 (en) 2012-11-06 2013-05-22 염명훈 Lever assembly with distributer for foucet and shower head
KR20150123010A (en) 2014-04-24 2015-11-03 하주원 a multiple handbasin and installation method thereof
KR20190075383A (en) 2017-12-21 2019-07-01 박현진 Stepped sink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67330Y1 (en) A Bathroom faucet with three way outlet changable its direction with a single valve
KR102060930B1 (en) Dual Vanity Unit or Dual Sink Unit
WO2020125269A1 (en) Rotatable and movable integrated cabinet
KR102103125B1 (en) Dual Vanity Unit or Dual Sink Unit
AU2002348043B9 (en) Cabinet spout assembly
KR100960708B1 (en) A Cold And Warm Water Supply System
AU2002348043A1 (en) Cabinet spout assembly
WO2020093858A1 (en) Open toilet integrated cabinet
JPH0585947U (en) Bath room
CN219734297U (en) Pull-out and waterfall type faucet
JP6713870B2 (en) Bathtub equipment
KR100575046B1 (en) Hot and cool water supply apparatus be mounted inner wall
KR102466122B1 (en) 5 holes cartridge for water faucet, water faucet including said cartridge, and 2 stage sink unit or 2 stage cleansing unit with said faucet
KR200368380Y1 (en) Foot touch water saving device
US20220112701A1 (en) Water output device
CN217028262U (en) Shower bath cabinet with changeable space
WO2013011177A1 (en) Tap/flap for sink or worktop
AU2022441342A1 (en) Manual and sensor integrated kitchen tap and control method
KR20100045810A (en) Faucet having three way outlets
JP2001061685A (en) Washstand
WO2014043749A1 (en) Improvements in shower recesses and water distribution apparatus
KR20210144497A (en) Leverless faucets and Cartridge for leverless faucets
KR200441315Y1 (en) Shower compounding hot and cold and Shower system including the same
JP2512564Y2 (en) Sanitary equipment such as washroom or hair wash equipped with a ball
JP2020026666A (en) Water discharge device and wash stan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