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02633B1 - 소형 광각 렌즈 시스템 - Google Patents

소형 광각 렌즈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02633B1
KR102102633B1 KR1020190043295A KR20190043295A KR102102633B1 KR 102102633 B1 KR102102633 B1 KR 102102633B1 KR 1020190043295 A KR1020190043295 A KR 1020190043295A KR 20190043295 A KR20190043295 A KR 20190043295A KR 102102633 B1 KR102102633 B1 KR 1021026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ns
angle
refractive power
satisfies
lens syste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432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순철
노기연
남승남
김성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세코닉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세코닉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세코닉스
Priority to KR10201900432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02633B1/ko
Priority to US16/576,183 priority patent/US11119297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026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026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3/00Optical objectives specially designed for the purposes specified below
    • G02B13/04Reversed telephoto objectiv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9/00Optical objectives characterised both by the number of the components and their arrangements according to their sign, i.e. + or -
    • G02B9/62Optical objectives characterised both by the number of the components and their arrangements according to their sign, i.e. + or - having six components only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3/00Optical objectives specially designed for the purposes specified below
    • G02B13/001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 G02B13/0015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characterised by the lens design
    • G02B13/002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characterised by the lens design having at least one aspherical surface
    • G02B13/0045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characterised by the lens design having at least one aspherical surface having five or more lens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3/00Optical objectives specially designed for the purposes specified below
    • G02B13/18Optical objectives specially designed for the purposes specified below with lenses having one or more non-spherical faces, e.g. for reducing geometrical aberrat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en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총 6매의 렌즈로 구성된 광각 렌즈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광축을 따라 물체로부터 제1렌즈, 제2렌즈, 제3렌즈, 제4렌즈, 제5렌즈 및 제6렌즈로 배열된 소형 광각 렌즈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제1렌즈는 양면이 모두 물체측으로 볼록하고, 상기 제1렌즈의 중심두께 Tc, 상기 제1렌즈의 유효경최외곽의 두께 Te는 1.1 < Tc/Te < 1.5를 만족하고, 상기 제1렌즈의 굴절능 P1은 -0.06 < P1 < 0.06을 만족하고, 상기 제2렌즈는 양의 굴절능을 가지며, 전면이 물체측으로 볼록하고, 후면의 곡률반경 R4는 10 < |R4|를 만족하고, 상기 제3렌즈는 음의 굴절능을 가지며, 후면이 상측으로 오목하고, 전면의 곡률반경 R5는 10 < |R5|를 만족하고, 상기 제4렌즈는 양면이 물체측으로 오목하고, 상기 제5렌즈는 양의 굴절능을 가지며, 상기 제6렌즈는 음의 굴절능을 가지는 것으로, 상기 제1렌즈와 상기 제2렌즈의 유효경 내에서의 렌즈의 간격 T12는 T12 < 0.2mm를 만족하고, 상기 제2렌즈와 상기 제3렌즈 유효경 내에서의 렌즈의 간격 T23은 T23 < 0.1mm를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광각 렌즈 시스템을 기술적 요지로 한다. 본 발명은 광축을 따라 물체로부터 제1렌즈, 제2렌즈, 제3렌즈, 제4렌즈, 제5렌즈 및 제6렌즈로 배열된 렌즈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렌즈의 굴절능, 형태 등을 적절히 설계하여, 소형 경량이면서 왜곡이 보정되도록 하여 수평 화각이 78도 이상을 만족하며, 길이가 짧은 렌즈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어, 두께가 얇거나 소형의 카메라 모듈, 특히 스마트폰에 용이하게 적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소형 광각 렌즈 시스템{Small photographing wide angle lens system}
본 발명은 총 6매의 렌즈로 구성된 광각 렌즈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렌즈의 굴절능, 형태 등을 적절히 설계하여, 소형 경량이면서 왜곡이 보정되도록 하여 고해상도의 화상을 제공할 수 있으며, 광각 화상을 얻을 수 있는 소형 광각 렌즈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의 휴대 단말기는 화상 통화 및 사진 촬영이 가능하도록 카메라를 구비하고 있다. 아울러, 휴대 단말기에서 카메라가 차지하는 기능이 점차 커지면서, 휴대 단말기용 카메라의 고해상도 및 광각에 대한 요구가 점차 커지고 있으며, 휴대하기에 간편하게 소형화를 요구하는 추세이다.
이러한 고화질, 고성능, 소형화의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최근에는 카메라의 렌즈를 유리보다 가벼운 플라스틱 재질로 제작하고 있으며, 고해상도의 구현을 위해 6매 이상의 렌즈로 렌즈 시스템을 구성하고 있다.
특히 스마트폰에 장착되는 소형렌즈는 스마트폰의 두께의 제약 때문에 렌즈 시스템의 길이(total track length)가 짧을수록 유리하다.
도 1에 도시된 미국 특허 US8379323호 렌즈 시스템의 경우, 총 6매의 렌즈로 형성되어 잇으며, 제1렌즈는 양의 굴절능, 제6렌즈는 음의 굴절능을 가지는 렌즈인데, 렌즈의 길이와 관련 있는 ImagH(상면 높이), TTL(렌즈 전면에서 상면까지 거리)의 관계인 TTL/ImagH = 1.78로 렌즈의 길이가 길어 두께가 얇은 스마트폰에 적용하기에 한계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렌즈의 굴절능, 형태 등을 적절히 설계하여, 소형 경량이면서 왜곡이 보정되도록 하여 고해상도의 화상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고 전체 렌즈 시스템의 길이가 최소화된 소형 광각 렌즈 시스템의 제공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것으로, 광축을 따라 물체로부터 제1렌즈, 제2렌즈, 제3렌즈, 제4렌즈, 제5렌즈 및 제6렌즈로 배열된 소형 광각 렌즈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제1렌즈는 양면이 모두 물체측으로 볼록하고, 상기 제1렌즈의 중심두께 Tc, 상기 제1렌즈의 유효경최외곽의 두께 Te는 1.1 < Tc/Te < 1.5를 만족하고, 상기 제1렌즈의 굴절능 P1은 -0.06 < P1 < 0.06을 만족하고, 상기 제2렌즈는 양의 굴절능을 가지며, 전면이 물체측으로 볼록하고, 후면의 곡률반경 R4는 10 < |R4|를 만족하고, 상기 제3렌즈는 음의 굴절능을 가지며, 후면이 상측으로 오목하고, 전면의 곡률반경 R5는 10 < |R5|를 만족하고, 상기 제4렌즈는 양면이 물체측으로 오목하고, 상기 제5렌즈는 양의 굴절능을 가지며, 상기 제6렌즈는 음의 굴절능을 가지는 것으로, 상기 제1렌즈와 상기 제2렌즈의 유효경 내에서의 렌즈의 간격 T12는 T12 < 0.2mm를 만족하고, 상기 제2렌즈와 상기 제3렌즈 유효경 내에서의 렌즈의 간격 T23은 T23 < 0.1mm를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광각 렌즈 시스템을 기술적 요지로 한다.
또한, 상기 제1렌즈, 상기 제2렌즈 및 상기 제3렌즈의 합성초점거리 f123과, 상기 제5렌즈와 상기 제6렌즈의 합성초점거리 f56은, 0.4 <|f123/f56|< 0.8 을 만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면 높이 ImagH, 렌즈 시스템의 전면에서 상면까지의 거리 TTL은, TTL/ImagH < 1.45를 만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4렌즈는, 양의 굴절능을 가지며, 굴절능 P4는 0 < P4 < 0.1을 만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렌즈의 아베수(abbe number) V1, 상기 제2렌즈의 아베수 V2, 상기 제3렌즈의 아베수 V3, 상기 제4렌즈의 아베수 V4, 상기 제5렌즈의 아베수 V5, 상기 제6렌즈의 아베스 V6는, 50 < V1 < 60, 50 < V2 < 60, 15 < V3 < 30, 15 < V4 < 30, 50 < V5 < 60, 50 < V6 < 60 을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렌즈 내지 제6렌즈는 모두 플라스틱 재료로 모든 면이 비구면이며, 상기 제5렌즈와 상기 제6렌즈의 양면은, 주변부에서 상측으로 볼록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상기 소형 광각 렌즈 시스템의 화각은 78도 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것으로, 스마트폰에 장착되며, 광축을 따라 물체로부터 제1렌즈, 제2렌즈, 제3렌즈, 제4렌즈, 제5렌즈 및 제6렌즈로 배열된 소형 광각 렌즈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제1렌즈는 양면이 모두 물체측으로 볼록하고, 상기 제1렌즈의 중심두께 Tc, 상기 제1렌즈의 유효경최외곽의 두께 Te는 1.1 < Tc/Te < 1.5를 만족하고, 상기 제1렌즈의 굴절능 P1은 -0.06 < P1 < 0.06을 만족하고, 상기 제2렌즈는 양의 굴절능을 가지며, 전면이 물체측으로 볼록하고, 후면의 곡률반경 R4는 10 < |R4|를 만족하고, 상기 제3렌즈는 음의 굴절능을 가지며, 후면이 상측으로 오목하고, 전면의 곡률반경 R5는 10 < |R5|를 만족하고, 상기 제4렌즈는 양면이 물체측으로 오목하고, 양의 굴절능을 가지며, 굴절능 P4는 0 < P4 < 0.1을 만족하고, 상기 제5렌즈는 양의 굴절능을 가지고, 상기 제6렌즈는 음의 굴절능을 가지며, 상기 제1렌즈, 상기 제2렌즈 및 상기 제3렌즈의 합성초점거리 f123과, 상기 제5렌즈와 상기 제6렌즈의 합성초점거리 f56은, 0.4 <|f123/f56|< 0.8 을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광각 렌즈 시스템을 또 다른 기술적 요지로 한다.
또한, 상기 제1렌즈와 상기 제2렌즈의 유효경 내에서의 렌즈의 간격 T12는 T12 < 0.2mm를 만족하고, 상기 제2렌즈와 상기 제3렌즈 유효경 내에서의 렌즈의 간격 T23은 T23 < 0.1mm를 만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면 높이 ImagH, 렌즈 시스템의 전면에서 상면까지의 거리 TTL은, TTL/ImagH < 1.45를 만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렌즈의 아베수(abbe number) V1, 상기 제2렌즈의 아베수 V2, 상기 제3렌즈의 아베수 V3, 상기 제4렌즈의 아베수 V4, 상기 제5렌즈의 아베수 V5, 상기 제6렌즈의 아베스 V6는, 50 < V1 < 60, 50 < V2 < 60, 15 < V3 < 30, 15 < V4 < 30, 50 < V5 < 60, 50 < V6 < 60 을 만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렌즈 내지 제6렌즈는 모두 플라스틱 재료로 모든 면이 비구면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5렌즈와 상기 제6렌즈의 양면은, 주변부에서 상측으로 볼록하게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상기 소형 광각 렌즈 시스템의 화각은 78도 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광축을 따라 물체로부터 제1렌즈, 제2렌즈, 제3렌즈, 제4렌즈, 제5렌즈 및 제6렌즈로 배열된 렌즈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렌즈의 굴절능, 형태 등을 적절히 설계하여, 소형 경량이면서 왜곡이 보정되도록 하여 수평 화각이 78도 이상을 만족하는 소형 광각 렌즈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특히, 렌즈 시스템의 전면에서 상면까지의 거리에 대한 상면의 높이가 1.45보다 작아, 길이가 짧은 렌즈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어, 두께가 얇거나 소형의 카메라 모듈, 특히 스마트폰에 용이하게 적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 종래의 소형 광각 렌즈 시스템에 대한 모식도.
도 2 - 본 발명에 따른 소형 광각 렌즈 시스템의 제1실시예를 나타낸 도.
도 3 -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수차도를 나타낸 도.
도 4 - 본 발명에 따른 소형 광각 렌즈 시스템의 제2실시예를 나타낸 도.
도 5 -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수차도를 나타낸 도.
도 6 - 본 발명에 따른 소형 광각 렌즈 시스템의 제3실시예를 나타낸 도.
도 7 -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수차도를 나타낸 도.
도 8 -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소형 광각 렌즈 시스템의 제4실시예를 나타낸 도.
도 9 -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수차도를 나타낸 도.
도 10 -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소형 광각 렌즈 시스템의 제5실시예를 나타낸 도.
도 11 -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수차도를 나타낸 도.
본 발명은 총 6개의 렌즈로 구성된 렌즈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광축을 따라 물체로부터 제1렌즈, 제2렌즈, 제3렌즈, 제4렌즈, 제5렌즈 및 제6렌즈로 배열된 렌즈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또한, 렌즈의 굴절능, 형태 등을 적절히 설계하여, 소형 경량이면서 왜곡이 보정되도록 하여 수평 화각이 78도 이상을 만족하는 소형 광각 렌즈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특히, 상면의 높이와 렌즈 시스템의 전면에서 상면까지의 거리가 1.45보다 작아, 길이가 짧은 렌즈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어, 두께가 얇거나 소형의 카메라 모듈, 특히 스마트폰에 용이하게 적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소형 광각 렌즈 시스템의 제1실시예를 나타낸 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수차도를 나타낸 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고해상도 망원렌즈 시스템의 제2실시예를 나타낸 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수차도를 나타낸 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망원렌즈 시스템의 제3실시예를 나타낸 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수차도를 나타낸 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망원렌즈 시스템의 제4실시예를 나타낸 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수차도를 나타낸 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망원레즈 시스템의 제5실시예를 나타낸 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수차도를 나타낸 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소형 광각 렌즈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광축을 따라 물체로부터 제1렌즈(L1), 제2렌즈(L2), 제3렌즈(L3), 제4렌즈(L4), 제5렌즈(L5) 및 제6렌즈(L6)로 배열된 소형 광각 렌즈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제1렌즈(L1)는 양면이 모두 물체측으로 볼록하고, 상기 제1렌즈(L1)의 중심두께 Tc, 상기 제1렌즈(L1)의 유효경최외곽의 두께 Te는 1.1 < Tc/Te < 1.5를 만족하고, 상기 제1렌즈(L1)의 굴절능 P1은 -0.06 < P1 < 0.06을 만족하고, 상기 제2렌즈(L2)는 양의 굴절능을 가지며, 전면이 물체측으로 볼록하고, 후면의 곡률반경 R4는 10 < |R4|를 만족하고, 상기 제3렌즈(L3)는 음의 굴절능을 가지며, 후면이 상측으로 오목하고, 전면의 곡률반경 R5는 10 < |R5|를 만족하고, 상기 제4렌즈(L4)는 양면이 물체측으로 오목하고, 상기 제5렌즈(L5)는 양의 굴절능을 가지며, 상기 제6렌즈(L6)는 음의 굴절능을 가지는 것으로, 상기 제1렌즈(L1)와 상기 제2렌즈(L2)의 유효경 내에서의 렌즈의 간격 T12는 T12 < 0.2mm를 만족하고, 상기 제2렌즈(L2)와 상기 제3렌즈(L3) 유효경 내에서의 렌즈의 간격 T23은 T23 < 0.1mm를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는 렌즈 시스템을 이루는 각 렌즈가 양과 음의 굴절능이 고르게 분포하도록 하여, 고화소 렌즈 시스템에 적합한 고성능의 구현이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특히, 상기 제1렌즈(L1)는 양면이 모두 물체측으로 볼록하고, 상기 제1렌즈(L1)의 중심두께 Tc, 상기 제1렌즈(L1)의 유효경최외곽의 두께 Te는 1.1 < Tc/Te < 1.5를 만족하고, 상기 제1렌즈(L1)의 굴절능 P1은 -0.06 < P1 < 0.06을 만족하도록 한다.
즉, 광축 영역에서는 매우 약한 굴절능을 가지고 주변부는 양의 굴절능을 가지며, 양면 모두 물체측으로 볼록하게 하여 배럴 내 공간을 확보하도록 하여 소형 렌즈 시스템에 적합하도록 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제2렌즈(L2)는 양의 굴절능을 가지며, 전면이 물체측으로 볼록하고, 후면의 곡률반경 R4는 10 < |R4|를 만족, 즉 후면의 곡률반경 |R4|를 10mm보다 크게 하여 제3렌즈(L3)와 매우 근접하도록 하여 소형 렌즈 시스템을 구현하고자 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제3렌즈(L3)는 음의 굴절능을 가지며, 후면이 상측으로 오목하고, 전면의 곡률반경 R5는 10 < |R5|를 만족, 즉 전면의 곡률반경 |R5|를 10mm보다 크게 하여 제2렌즈(L2)와 매우 근접하도록 하여 소형 렌즈 시스템을 구현하고자 한 것이다.
이에 의해 상기 제1렌즈(L1)와 상기 제2렌즈(L2)의 유효경 내에서의 렌즈의 간격 T12는 T12 < 0.2mm를 만족하고, 상기 제2렌즈(L2)와 상기 제3렌즈(L3) 유효경 내에서의 렌즈의 간격 T23은 T23 < 0.1mm를 만족하도록 하여, 길이가 매우 짧은 초소형 렌즈 시스템에 유효하게 적용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렌즈(L1), 상기 제2렌즈(L2) 및 상기 제3렌즈(L3)의 합성초점거리 f123과, 상기 제5렌즈(L5)와 상기 제6렌즈(L6)의 합성초점거리 f56은, 0.4 <|f123/f56|< 0.8 을 만족한다. 이는 상기 제1렌즈(L1), 상기 제2렌즈(L2) 및 상기 제3렌즈(L3)의 합성초점거리에 대한 제5렌즈(L5) 및 제6렌즈(L6)의 합성초점거리 값을 설정하여, 강한 굴절능을 가지도록 하여, 렌즈 시스템의 소형화 및 광각을 유도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제4렌즈(L4)는 양면이 물체측으로 오목하고, 양의 굴절능을 가지며, 굴절능 P4는 0 < P4 < 0.1을 만족함으로써, 렌즈 시스템의 수차를 보정하고, 소형화 및 광각을 유도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제5렌즈(L5)는 양의 굴절능을 가지며, 상기 제6렌즈(L6)는 음의 굴절능을 가지면서, 상기 제5렌즈(L5)와 상기 제6렌즈(L6)의 양면은 주변부에서 상측으로 볼록하게 형성되어, 각종 수차의 보정이 용이하며, 왜곡도 보정하여 소형 광각 렌즈 시스템에 적합하다.
그리고, 색수차 보정을 위해 상기 제1렌즈(L1)의 아베수(abbe number) V1, 상기 제2렌즈(L2)의 아베수 V2, 상기 제3렌즈(L3)의 아베수 V3, 상기 제4렌즈(L4)의 아베수 V4, 상기 제5렌즈(L5)의 아베수 V5, 상기 제6렌즈(L6)의 아베스 V6는, 50 < V1 < 60, 50 < V2 < 60, 15 < V3 < 30, 15 < V4 < 30, 50 < V5 < 60, 50 < V6 < 60 을 만족하며, 상기 제1렌즈 내지 제6렌즈(L1~L6)는 모든 면이 비구면이다. 이는 각 렌즈들의 아베수를 고르게 분포시켜 파워를 분배시키고, 색수차를 보정하도록 한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렌즈 시스템에 있어서, 상면 높이 ImagH, 렌즈 시스템의 전면에서 상면까지의 거리 TTL은, TTL/ImagH < 1.45를 만족하여, 길이가 짧은 소형 렌즈 시스템의 제공이 가능하여 두께가 얇은 스마트폰과 같은 소형 전자기기에 적용에 적합하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렌즈 시스템에 따른 화각은 78도 이상(수평 화각이 78도 내지 130도 사이의 광각 화상을 제공)을 만족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총 6개의 렌즈로 구성된 렌즈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광축을 따라 물체로부터 제1렌즈(L1), 제2렌즈(L2), 제3렌즈(L3), 제4렌즈(L4), 제5렌즈(L5) 및 제6렌즈(L6)로 배열된 렌즈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또한, 렌즈의 굴절능, 형태 등을 적절히 설계하여, 소형 경량이면서 왜곡이 보정되도록 하여 수평 화각이 78도 이상을 만족하는 소형 광각 렌즈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특히, 상면의 높이와 렌즈 시스템의 전면에서 상면까지의 거리가 1.45보다 작아, 길이가 짧은 렌즈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어, 두께가 얇거나 소형의 카메라 모듈, 특히 스마트폰에 용이하게 적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고자 한다.
<제1실시예>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고해상도 광각 렌즈 시스템의 제1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광축을 따라 물체(object)로부터 제1렌즈(L1), 제2렌즈(L2), 제3렌즈(L3), 제4렌즈(L4), 제5렌즈(L5) 및 제6렌즈(L6)의 순서로 배치되게 된다.
다음 표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광학계를 구성하는 렌즈들의 수치데이터를 나타낸 것이다.
surface(면번호) RDY(곡률반경) THI(두께) Nd(굴절률) Vd(아베수)
OBJECT INFINITY INFINITY
1 1.588 0.31 1.5441 56.0
STOP 1.474 0.05
3 1.36381 0.54 1.5441 56.0
4 48.067 0.03
5 32.120 0.18 1.67 19.4
6 3.591 0.27
7 -33.390 0.45 1.615 25.6
8 -12.028 0.49
9 5.243 0.48 1.5441 56.0
10 -7.038 0.26
11 -67.116 0.44 1.535 56.0
12 1.515 0.12
13 INFINITY 0.11 1.517 64.2
14 INFINITY 0.62
IMAGE INFINITY 0.00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체(object) 측으로부터 제1렌즈(L1), 제2렌즈(L2), 제3렌즈(L3), 제4렌즈(L4), 제5렌즈(L5), 제6렌즈(L6)가 배치되며, 광축방향을 X, 광축에 직교하는 방향을 Y축으로 설정할 때, 비구면식은 다음과 같다.
Figure 112019037966588-pat00001
비구면은 상기 수학식 1의 비구면식에 의해 얻어지는 곡선을 광축의 주위로 회전시켜 얻어지는 곡면이며, R은 곡률반경, K는 원추상수, A3, A4, A5, A6,...,A14는 비구면계수이다.
상기 수학식 1로부터 위의 각 렌즈들의 데이타를 갖는 비구면계수는 다음 표 2와 같다.
K A3 A4 A5 A6 A7 A8 A9 A10 A11
s1 -1.68354 -9.135210E-03 -1.977800E-01 1.073990E+00 -3.724600E+00 7.684350E+00 -9.924380E+00 7.828560E+00 -3.410470E+00 6.203180E-01
s2 0.00000 -3.177920E-01 -4.509810E-02 4.873110E-01 -3.761770E-01 -1.989240E+00 6.282960E+00 -7.698360E+00 4.352180E+00 -9.320990E-01
s3 0.00000 -2.154250E-01 -1.468580E-02 3.302650E-01 -1.464590E-01 -1.062050E+00 2.963970E+00 -3.281370E+00 1.608630E+00 -2.765250E-01
s4 0.00000 -2.160360E-01 8.986120E-01 -2.206100E+00 3.155870E+00 -4.773380E+00 1.064800E+01 -1.513420E+01 1.011790E+01 -2.499830E+00
s5 0.00000 -2.480890E-01 1.502310E+00 -5.415160E+00 1.680570E+01 -4.490120E+01 8.680110E+01 -1.038570E+02 6.752070E+01 -1.823670E+01
s6 14.60859 -1.198430E-01 7.584650E-01 -2.908320E+00 9.673240E+00 -2.496660E+01 4.285460E+01 -4.364530E+01 2.305520E+01 -4.703900E+00
s7 0.00000 -2.200980E-01 5.645700E-01 -3.587180E+00 1.631240E+01 -4.883520E+01 9.437340E+01 -1.129380E+02 7.632140E+01 -2.230880E+01
s8 0.00000 -1.781930E-01 1.216440E-01 -1.946860E-01 7.791700E-02 6.478400E-01 -1.520680E+00 1.582000E+00 -7.902330E-01 1.503870E-01
s9 -98.94196 4.404520E-02 -2.232690E-01 3.307630E-01 -5.169110E-01 5.119830E-01 -3.514480E-01 1.648520E-01 -4.403670E-02 4.828390E-03
s10 3.46665 -1.664980E-02 5.691430E-02 -1.528560E-02 -9.313970E-02 9.683550E-02 -4.163900E-02 9.131070E-03 -9.966710E-04 4.188350E-05
s11 69.15039 -5.379400E-01 6.065740E-01 -3.980440E-01 1.690450E-01 -4.619580E-02 7.904220E-03 -7.963250E-04 4.087090E-05 -7.022660E-07
s12 -11.69187 -2.048840E-01 1.845660E-01 -1.145710E-01 4.725720E-02 -1.274480E-02 2.167440E-03 -2.198180E-04 1.194070E-05 -2.620360E-07
상기 제1렌즈(L1)의 유효경최외곽의 두께 Te에 대한 상기 제1렌즈(L1)의 중심두께 Tc(Tc/Te)는 1.36이고, 상기 제1렌즈(L1)의 굴절능 P1은 -0.001, 상기 제2렌즈(L2) 후면의 곡률반경의 절대치 |R4|는 48.1, 상기 제3렌즈(L3) 전면의 곡률반경의 절대치 |R5|는 32.1이다.
그리고 상기 제1렌즈(L1)와 상기 제2렌즈(L2)의 최대 간격 T12는 0.18mm, 제2렌즈(L2)와 제3렌즈(L3)의 최대 간격 T23은 0.06mm, 상기 제1렌즈, 상기 제2렌즈(L2)와 상기 제3렌즈(L3)의 합성초점거리 f123과 상기 제5렌즈(L5)와 상기 제6렌즈(L6)의 합성초점거리 f56의 절대치의 비(|f123/f56|)는 0.58이고, 상면 높이 ImagH에 대한 렌즈 시스템의 전면에서 상면까지의 거리 TTL(TTL/ImagH)은 1.35이고, 상기 제4렌즈(L4)의 굴절능 P4는 0.03이며, 전체 렌즈 시스템의 화각은 79.6도 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수차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의 첫 번째 데이타는 구면수차를 나타낸 것으로서, 가로축은 초점(mm)을, 세로축은 상고(mm)를 나타내며, 각 그래프는 입사되는 광선의 파장을 나타내는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그래프들이 중심수직축선에 근접할수록 그리고 서로 근접할수록 구면수차의 보정성이 좋은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본 발명에 따른 제1실시예의 구면수차는 0.025mm(초점) 이하로 양호한 것으로 판단된다.
도 3의 두 번째 데이타는 비점수차를 나타낸 것으로서, 가로축은 초점(mm)을, 세로축은 상고(mm)를 나타내며, 그래프 S는 렌즈와 수평방향으로 입사하는 광선인 새지털(sagital)을 나타내고, 그래프 T는 렌즈와 직각방향으로 입사하는 광선인 탄젼셜(tangential)을 나타낸다. 여기에서 그래프 S와 T가 가까울수록 그리고 중심수직축에 근접할수록 비점수차의 보정성이 좋은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본 발명에 따른 제1실시예의 비점수차는 0.025mm(초점) 이하로 양호한 것으로 판단된다.
도 3의 세 번째 데이타는 왜곡수차를 나타낸 것으로서, 가로축은 왜곡도(%)를, 세로축은 상고(mm)를 나타내며, 일반적으로 수차곡선이 -2~2% 범위 내에 들면 양호한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본 발명에 따른 제1실시예의 왜곡수차로 optical distortion(광학적 왜곡)은 2% 이하로 양호한 것으로 판단된다.
<제2실시예>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고해상도 광각 렌즈 시스템의 제2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광축을 따라 물체(object)로부터 제1렌즈(L1), 제2렌즈(L2), 제3렌즈(L3), 제4렌즈(L4), 제5렌즈(L5) 및 제6렌즈(L6)의 순서로 배치되게 된다.
다음 표 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광학계를 구성하는 렌즈들의 수치데이터를 나타낸 것이다.
surface(면번호) RDY(곡률반경) THI(두께) Nd(굴절률) Vd(아베수)
OBJECT INFINITY INFINITY
1 1.609 0.28 1.5441 56.0
STOP 1.308 0.05
3 1.22801 0.58 1.5441 56.0
4 -335.675 0.03
5 49.121 0.18 1.67 19.4
6 3.529 0.27
7 -53.452 0.44 1.615 25.6
8 -11.885 0.51
9 4.885 0.47 1.5441 56.0
10 -7.727 0.26
11 -61.599 0.44 1.535 56.0
12 1.513 0.12
13 INFINITY 0.11 1.517 64.2
14 INFINITY 0.62
IMAGE INFINITY 0.00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체(object) 측으로부터 제1렌즈(L1), 제2렌즈(L2), 제3렌즈(L3), 제4렌즈(L4), 제5렌즈(L5), 제6렌즈(L6)가 배치되며, 광축방향을 X, 광축에 직교하는 방향을 Y축으로 설정할 때, 비구면식은 상기 수학식 1과 같다.
비구면은 상기 수학식 1의 비구면식에 의해 얻어지는 곡선을 광축의 주위로 회전시켜 얻어지는 곡면이며, R은 곡률반경, K는 원추상수, A3, A4, A5, A6,...,A14는 비구면계수이다.
상기 수학식 1로부터 위의 각 렌즈들의 데이타를 갖는 비구면계수는 다음 표 4와 같다.
K A3 A4 A5 A6 A7 A8 A9 A10 A11
s1 -2.15805 -1.517490E-02 -1.943610E-01 1.073600E+00 -3.717800E+00 7.679940E+00 -9.924380E+00 7.828560E+00 -3.410470E+00 6.203180E-01
s2 0.00000 -3.535200E-01 -5.633560E-02 4.875390E-01 -3.881040E-01 -1.983330E+00 6.282960E+00 -7.698360E+00 4.352180E+00 -9.320990E-01
s3 0.00000 -2.257270E-01 -2.805440E-02 3.000700E-01 -1.485160E-01 -1.049610E+00 2.963970E+00 -3.281370E+00 1.608630E+00 -2.765250E-01
s4 0.00000 -2.064710E-01 9.096410E-01 -2.204510E+00 3.147930E+00 -4.773380E+00 1.064800E+01 -1.513420E+01 1.011790E+01 -2.499830E+00
s5 0.00000 -2.704840E-01 1.578930E+00 -5.477560E+00 1.640920E+01 -4.197080E+01 7.817350E+01 -9.086100E+01 5.752490E+01 -1.512310E+01
s6 13.44960 -1.516610E-01 8.700420E-01 -3.218260E+00 1.046680E+01 -2.563560E+01 4.112250E+01 -3.879320E+01 1.860390E+01 -3.264260E+00
s7 0.00000 -2.349600E-01 5.870480E-01 -3.614220E+00 1.634890E+01 -4.883520E+01 9.437340E+01 -1.129380E+02 7.632140E+01 -2.230880E+01
s8 0.00000 -1.855470E-01 1.110900E-01 -9.466490E-02 -3.062890E-01 1.537500E+00 -2.773120E+00 2.628160E+00 -1.256910E+00 2.341920E-01
s9 -98.94196 6.452980E-02 -2.562080E-01 3.636790E-01 -5.284720E-01 4.900230E-01 -3.100420E-01 1.312150E-01 -3.077160E-02 2.809240E-03
s10 3.46665 -1.517970E-02 7.275200E-02 -6.057080E-02 -3.741540E-02 5.760280E-02 -2.519230E-02 5.083410E-03 -4.553920E-04 1.138080E-05
s11 69.15039 -5.379400E-01 6.065740E-01 -3.980440E-01 1.690450E-01 -4.619580E-02 7.904220E-03 -7.963250E-04 4.087090E-05 -7.022660E-07
s12 -11.69187 -2.048840E-01 1.845660E-01 -1.145710E-01 4.725720E-02 -1.274480E-02 2.167440E-03 -2.198180E-04 1.194070E-05 -2.620360E-07
상기 제1렌즈(L1)의 유효경최외곽의 두께 Te에 대한 상기 제1렌즈(L1)의 중심두께 Tc(Tc/Te)는 1.21이고, 상기 제1렌즈(L1)의 굴절능 P1은 -0.05, 상기 제2렌즈(L2) 후면의 곡률반경의 절대치 |R4|는 335.7, 상기 제3렌즈(L3) 전면의 곡률반경의 절대치 |R5|는 49.1이다.
그리고 상기 제1렌즈(L1)와 상기 제2렌즈(L2)의 최대 간격 T12는 0.19mm, 제2렌즈(L2)와 제3렌즈(L3)의 최대 간격 T23은 0.05mm, 상기 제1렌즈(L1), 상기 제2렌즈(L2)와 상기 제3렌즈(L3)의 합성초점거리 f123과 상기 제5렌즈와 상기 제6렌즈의 합성초점거리 f56의 절대치의 비(|f123/f56|)는 0.59이고, 상면 높이 ImagH에 대한 렌즈 시스템의 전면에서 상면까지의 거리 TTL(TTL/ImagH)은 1.35이고, 상기 제4렌즈(L4)의 굴절능 P4는 0.04이며, 전체 렌즈 시스템의 화각은 79.9도 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수차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5의 첫 번째 데이타는 구면수차를 나타낸 것으로서, 가로축은 초점(mm)을, 세로축은 상고(mm)를 나타내며, 각 그래프는 입사되는 광선의 파장을 나타내는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그래프들이 중심수직축선에 근접할수록 그리고 서로 근접할수록 구면수차의 보정성이 좋은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본 발명에 따른 제2실시예의 구면수차는 0.025mm(초점) 이하로 양호한 것으로 판단된다.
도 5의 두 번째 데이타는 비점수차를 나타낸 것으로서, 가로축은 초점(mm)을, 세로축은 상고(mm)를 나타내며, 그래프 S는 렌즈와 수평방향으로 입사하는 광선인 새지털(sagital)을 나타내고, 그래프 T는 렌즈와 직각방향으로 입사하는 광선인 탄젼셜(tangential)을 나타낸다. 여기에서 그래프 S와 T가 가까울수록 그리고 중심수직축에 근접할수록 비점수차의 보정성이 좋은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본 발명에 따른 제2실시예의 비점수차는 0.025mm(초점) 이하로 양호한 것으로 판단된다.
도 5의 세 번째 데이타는 왜곡수차를 나타낸 것으로서, 가로축은 왜곡도(%)를, 세로축은 상고(mm)를 나타내며, 일반적으로 수차곡선이 -2~2% 범위 내에 들면 양호한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본 발명에 따른 제2실시예의 왜곡수차로 optical distortion(광학적 왜곡)은 2% 이하로 양호한 것으로 판단된다.
<제3실시예>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고해상도 광각 렌즈 시스템의 제3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광축을 따라 물체(object)로부터 제1렌즈(L1), 제2렌즈(L2), 제3렌즈(L3), 제4렌즈(L4), 제5렌즈(L5) 및 제6렌즈(L6)의 순서로 배치되게 된다.
다음 표 5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광학계를 구성하는 렌즈들의 수치데이터를 나타낸 것이다.
surface(면번호) RDY(곡률반경) THI(두께) Nd(굴절률) Vd(아베수)
OBJECT INFINITY INFINITY
1 1.587 0.30 1.5441 56.0
STOP 1.399 0.05
3 1.30853 0.56 1.5441 56.0
4 65.037 0.03
5 37.064 0.18 1.67 19.4
6 3.608 0.27
7 -45.389 0.45 1.615 25.6
8 -13.004 0.50
9 5.180 0.47 1.5441 56.0
10 -6.944 0.26
11 -61.752 0.44 1.535 56.0
12 1.513 0.12
13 INFINITY 0.11 1.517 64.2
14 INFINITY 0.62
IMAGE INFINITY 0.00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체(object) 측으로부터 제1렌즈(L1), 제2렌즈(L2), 제3렌즈(L3), 제4렌즈(L4), 제5렌즈(L5), 제6렌즈(L6)가 배치되며, 광축방향을 X, 광축에 직교하는 방향을 Y축으로 설정할 때, 비구면식은 상기 수학식 1과 같다.
비구면은 상기 수학식 1의 비구면식에 의해 얻어지는 곡선을 광축의 주위로 회전시켜 얻어지는 곡면이며, R은 곡률반경, K는 원추상수, A3, A4, A5, A6,...,A14는 비구면계수이다.
상기 수학식 1로부터 위의 각 렌즈들의 데이타를 갖는 비구면계수는 다음 표 6과 같다.
K A3 A4 A5 A6 A7 A8 A9 A10 A11
s1 -1.79652 -1.079810E-02 -1.963350E-01 1.076000E+00 -3.723140E+00 7.681900E+00 -9.924380E+00 7.828560E+00 -3.410470E+00 6.203180E-01
s2 0.00000 -3.265750E-01 -4.897910E-02 4.858730E-01 -3.778510E-01 -1.989630E+00 6.282960E+00 -7.698360E+00 4.352180E+00 -9.320990E-01
s3 0.00000 -2.172460E-01 -2.137000E-02 3.222740E-01 -1.490900E-01 -1.056500E+00 2.963970E+00 -3.281370E+00 1.608630E+00 -2.765250E-01
s4 0.00000 -2.148790E-01 9.012130E-01 -2.204520E+00 3.154630E+00 -4.773380E+00 1.064800E+01 -1.513420E+01 1.011790E+01 -2.499830E+00
s5 0.00000 -2.514390E-01 1.517160E+00 -5.360020E+00 1.619440E+01 -4.215330E+01 7.991930E+01 -9.409410E+01 6.015420E+01 -1.593860E+01
s6 14.56596 -1.243780E-01 7.783870E-01 -2.921310E+00 9.618740E+00 -2.453410E+01 4.144870E+01 -4.138710E+01 2.128500E+01 -4.164750E+00
s7 0.00000 -2.229570E-01 5.701840E-01 -3.586750E+00 1.631540E+01 -4.883520E+01 9.437340E+01 -1.129380E+02 7.632140E+01 -2.230880E+01
s8 0.00000 -1.789800E-01 1.175670E-01 -1.682380E-01 -1.850720E-03 8.038140E-01 -1.713500E+00 1.726590E+00 -8.488510E-01 1.600730E-01
s9 -98.94196 4.912320E-02 -2.303130E-01 3.465910E-01 -5.554560E-01 5.712090E-01 -4.078810E-01 1.954210E-01 -5.249400E-02 5.755050E-03
s10 3.46665 -1.457400E-02 6.236310E-02 -2.952750E-02 -7.744890E-02 8.490480E-02 -3.554400E-02 7.248080E-03 -6.842910E-04 2.058830E-05
s11 69.15039 -5.379400E-01 6.065740E-01 -3.980440E-01 1.690450E-01 -4.619580E-02 7.904220E-03 -7.963250E-04 4.087090E-05 -7.022660E-07
s12 -11.69187 -2.048840E-01 1.845660E-01 -1.145710E-01 4.725720E-02 -1.274480E-02 2.167440E-03 -2.198180E-04 1.194070E-05 -2.620360E-07
상기 제1렌즈(L1)의 유효경최외곽의 두께 Te에 대한 상기 제1렌즈(L1)의 중심두께 Tc(Tc/Te)는 1.30이고, 상기 제1렌즈(L1)의 굴절능 P1은 -0.02, 상기 제2렌즈(L2) 후면의 곡률반경의 절대치 |R4|는 65.0, 상기 제3렌즈(L3) 전면의 곡률반경의 절대치 |R5|는 37.1이다.
그리고 상기 제1렌즈(L1)와 상기 제2렌즈(L3)의 최대 간격 T12는 0.18mm, 제2렌즈(L2)와 제3렌즈(L3)의 최대 간격 T23은 0.06mm, 상기 제1렌즈(L1), 상기 제2렌즈(L2)와 상기 제3렌즈(L3)의 합성초점거리 f123과 상기 제5렌즈(L5)와 상기 제6렌즈(L6)의 합성초점거리 f56의 절대치의 비(|f123/f56|)는 0.57이고, 상면 높이 ImagH에 대한 렌즈 시스템의 전면에서 상면까지의 거리 TTL(TTL/ImagH)은 1.34이고, 상기 제4렌즈(L4)의 굴절능 P4는 0.03이며, 전체 렌즈 시스템의 화각은 79.7도 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수차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7의 첫 번째 데이타는 구면수차를 나타낸 것으로서, 가로축은 초점(mm)을, 세로축은 상고(mm)를 나타내며, 각 그래프는 입사되는 광선의 파장을 나타내는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그래프들이 중심수직축선에 근접할수록 그리고 서로 근접할수록 구면수차의 보정성이 좋은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본 발명에 따른 제3실시예의 구면수차는 0.025mm(초점) 이하로 양호한 것으로 판단된다.
도 7의 두 번째 데이타는 비점수차를 나타낸 것으로서, 가로축은 초점(mm)을, 세로축은 상고(mm)를 나타내며, 그래프 S는 렌즈와 수평방향으로 입사하는 광선인 새지털(sagital)을 나타내고, 그래프 T는 렌즈와 직각방향으로 입사하는 광선인 탄젼셜(tangential)을 나타낸다. 여기에서 그래프 S와 T가 가까울수록 그리고 중심수직축에 근접할수록 비점수차의 보정성이 좋은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본 발명에 따른 제3실시예의 비점수차는 0.025mm(초점) 이하로 양호한 것으로 판단된다.
도 7의 세 번째 데이타는 왜곡수차를 나타낸 것으로서, 가로축은 왜곡도(%)를, 세로축은 상고(mm)를 나타내며, 일반적으로 수차곡선이 -2~2% 범위 내에 들면 양호한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본 발명에 따른 제3실시예의 왜곡수차로 optical distortion(광학적 왜곡)은 2% 이하로 양호한 것으로 판단된다.
<제4실시예>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고해상도 광각 렌즈 시스템의 제4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광축을 따라 물체(object)로부터 제1렌즈(L1), 제2렌즈(L2), 제3렌즈(L3), 제4렌즈(L4), 제5렌즈(L5) 및 제6렌즈(L6)의 순서로 배치되게 된다.
다음 표 7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광학계를 구성하는 렌즈들의 수치데이터를 나타낸 것이다.
surface(면번호) RDY(곡률반경) THI(두께) Nd(굴절률) Vd(아베수)
OBJECT INFINITY INFINITY
1 1.599 0.33 1.5441 56.0
STOP 1.476 0.05
3 1.40265 0.58 1.5441 56.0
4 49.061 0.03
5 37.579 0.18 1.67 19.4
6 3.812 0.30
7 -26.062 0.37 1.615 25.6
8 -8.724 0.54
9 4.893 0.42 1.5441 56.0
10 -10.759 0.27
11 -46.006 0.46 1.535 56.0
12 1.559 0.12
13 INFINITY 0.11 1.517 64.2
14 INFINITY 0.60
IMAGE INFINITY 0.00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체(object) 측으로부터 제1렌즈(L1), 제2렌즈(L2), 제3렌즈(L3), 제4렌즈(L4), 제5렌즈(L5), 제6렌즈(L6)가 배치되며, 광축방향을 X, 광축에 직교하는 방향을 Y축으로 설정할 때, 비구면식은 상기 수학식 1과 같다.
비구면은 상기 수학식 1의 비구면식에 의해 얻어지는 곡선을 광축의 주위로 회전시켜 얻어지는 곡면이며, R은 곡률반경, K는 원추상수, A3, A4, A5, A6,...,A14는 비구면계수이다.
상기 수학식 1로부터 위의 각 렌즈들의 데이타를 갖는 비구면계수는 다음 표 8과 같다.
K A3 A4 A5 A6 A7 A8 A9 A10 A11
s1 -1.60634 -9.703060E-03 -2.050810E-01 1.103190E+00 -3.745940E+00 7.676540E+00 -9.904660E+00 7.833990E+00 -3.434090E+00 6.317680E-01
s2 0.00000 -3.065240E-01 -7.324760E-02 5.489740E-01 -4.414440E-01 -2.005810E+00 6.401790E+00 -7.824690E+00 4.418740E+00 -9.460900E-01
s3 0.00000 -1.967580E-01 -5.095550E-02 3.828470E-01 -1.416130E-01 -1.153430E+00 2.949300E+00 -3.140120E+00 1.529330E+00 -2.765250E-01
s4 0.00000 -2.056700E-01 8.577120E-01 -2.098870E+00 3.005610E+00 -4.798060E+00 1.079800E+01 -1.521220E+01 1.011790E+01 -2.499830E+00
s5 0.00000 -2.641540E-01 1.568520E+00 -6.498830E+00 2.336670E+01 -6.713110E+01 1.325040E+02 -1.606120E+02 1.067460E+02 -2.980100E+01
s6 16.17202 -1.365090E-01 8.402780E-01 -4.011120E+00 1.579070E+01 -4.429520E+01 7.987810E+01 -8.635820E+01 5.033870E+01 -1.205220E+01
s7 0.00000 -2.361520E-01 5.373300E-01 -3.576900E+00 1.625520E+01 -4.883520E+01 9.437340E+01 -1.129380E+02 7.632140E+01 -2.230880E+01
s8 0.00000 -1.917810E-01 9.480820E-02 -9.167490E-02 -2.381810E-01 1.166080E+00 -2.012290E+00 1.820500E+00 -8.204470E-01 1.432030E-01
s9 -98.94196 4.545370E-02 -1.715430E-01 1.481930E-01 -1.890750E-01 1.574980E-01 -1.153510E-01 6.713190E-02 -2.069370E-02 2.402230E-03
s10 3.46665 -4.799370E-02 1.310970E-01 -1.654850E-01 8.454760E-02 -3.753740E-02 2.197170E-02 -8.772570E-03 1.723220E-03 -1.291790E-04
s11 69.15039 -5.379400E-01 6.065740E-01 -3.980440E-01 1.690450E-01 -4.619580E-02 7.904220E-03 -7.963250E-04 4.087090E-05 -7.022660E-07
s12 -11.69187 -2.048840E-01 1.845660E-01 -1.145710E-01 4.725720E-02 -1.274480E-02 2.167440E-03 -2.198180E-04 1.194070E-05 -2.620360E-07
상기 제1렌즈(L1)의 유효경최외곽의 두께 Te에 대한 상기 제1렌즈(L1)의 중심두께 Tc(Tc/Te)는 1.32이고, 상기 제1렌즈(L1)의 굴절능 P1은 -0.001, 상기 제2렌즈(L2) 후면의 곡률반경의 절대치 |R4|는 49.1, 상기 제3렌즈(L3) 전면의 곡률반경의 절대치 |R5|는 37.6이다.
그리고 상기 제1렌즈(L1)와 상기 제2렌즈(L2)의 최대 간격 T12는 0.16mm, 제2렌즈(L2)와 제3렌즈(L3)의 최대 간격 T23은 0.05mm, 상기 제1렌즈(L1), 상기 제2렌즈(L2)와 상기 제3렌즈(L3)의 합성초점거리 f123과 상기 제5렌즈(L5)와 상기 제6렌즈(L6)의 합성초점거리 f56의 절대치의 비(|f123/f56|)는 0.66이고, 상면 높이 ImagH에 대한 렌즈 시스템의 전면에서 상면까지의 거리 TTL(TTL/ImagH)은 1.35이고, 상기 제4렌즈(L4)의 굴절능 P4는 0.05이며, 전체 렌즈 시스템의 화각은 79.2도 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수차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9의 첫 번째 데이타는 구면수차를 나타낸 것으로서, 가로축은 초점(mm)을, 세로축은 상고(mm)를 나타내며, 각 그래프는 입사되는 광선의 파장을 나타내는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그래프들이 중심수직축선에 근접할수록 그리고 서로 근접할수록 구면수차의 보정성이 좋은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본 발명에 따른 제4실시예의 구면수차는 0.025mm(초점) 이하로 양호한 것으로 판단된다.
도 9의 두 번째 데이타는 비점수차를 나타낸 것으로서, 가로축은 초점(mm)을, 세로축은 상고(mm)를 나타내며, 그래프 S는 렌즈와 수평방향으로 입사하는 광선인 새지털(sagital)을 나타내고, 그래프 T는 렌즈와 직각방향으로 입사하는 광선인 탄젼셜(tangential)을 나타낸다. 여기에서 그래프 S와 T가 가까울수록 그리고 중심수직축에 근접할수록 비점수차의 보정성이 좋은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본 발명에 따른 제4실시예의 비점수차는 0.025mm(초점) 이하로 양호한 것으로 판단된다.
도 9의 세 번째 데이타는 왜곡수차를 나타낸 것으로서, 가로축은 왜곡도(%)를, 세로축은 상고(mm)를 나타내며, 일반적으로 수차곡선이 -2~2% 범위 내에 들면 양호한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본 발명에 따른 제4실시예의 왜곡수차로 optical distortion(광학적 왜곡)은 2% 이하로 양호한 것으로 판단된다.
<제5실시예>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고해상도 광각 렌즈 시스템의 제5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광축을 따라 물체(object)로부터 제1렌즈(L1), 제2렌즈(L2), 제3렌즈(L3), 제4렌즈(L4), 제5렌즈(L5) 및 제6렌즈(L6)의 순서로 배치되게 된다.
다음 표 9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광학계를 구성하는 렌즈들의 수치데이터를 나타낸 것이다.
surface(면번호) RDY(곡률반경) THI(두께) Nd(굴절률) Vd(아베수)
OBJECT INFINITY INFINITY
1 1.700 0.31 1.5441 56.0
STOP 1.597 0.05
3 1.39372 0.61 1.5441 56.0
4 25.603 0.03
5 37.579 0.18 1.67 19.4
6 3.812 0.30
7 -26.062 0.37 1.615 25.6
8 -8.724 0.54
9 4.893 0.42 1.5441 56.0
10 -10.759 0.27
11 -46.006 0.46 1.535 56.0
12 1.559 0.12
13 INFINITY 0.11 1.517 64.2
14 INFINITY 0.60
IMAGE INFINITY 0.00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체(object) 측으로부터 제1렌즈(L1), 제2렌즈(L2), 제3렌즈(L3), 제4렌즈(L4), 제5렌즈(L5), 제6렌즈(L6)가 배치되며, 광축방향을 X, 광축에 직교하는 방향을 Y축으로 설정할 때, 비구면식은 상기 수학식 1과 같다.
비구면은 상기 수학식 1의 비구면식에 의해 얻어지는 곡선을 광축의 주위로 회전시켜 얻어지는 곡면이며, R은 곡률반경, K는 원추상수, A3, A4, A5, A6,...,A14는 비구면계수이다.
상기 수학식 1로부터 위의 각 렌즈들의 데이타를 갖는 비구면계수는 다음 표 10과 같다.
K A3 A4 A5 A6 A7 A8 A9 A10 A11
s1 -4.03589 1.371330E-02 -2.374960E-01 1.067130E+00 -3.702660E+00 7.684310E+00 -9.939710E+00 7.873670E+00 -3.441830E+00 6.234940E-01
s2 0.00000 -4.322430E-01 5.339050E-02 5.402310E-01 -4.506240E-01 -2.101850E+00 6.407930E+00 -7.641880E+00 4.285530E+00 -9.265780E-01
s3 0.00000 -2.870270E-01 4.764210E-02 4.577240E-01 -2.339880E-01 -1.254250E+00 3.044670E+00 -3.100930E+00 1.495820E+00 -2.765250E-01
s4 0.00000 -2.030630E-01 8.933470E-01 -2.299590E+00 3.514440E+00 -5.429730E+00 1.116140E+01 -1.528290E+01 1.011790E+01 -2.499830E+00
s5 0.00000 -2.641540E-01 1.568520E+00 -6.498830E+00 2.336670E+01 -6.713110E+01 1.325040E+02 -1.606120E+02 1.067460E+02 -2.980100E+01
s6 16.17202 -1.365090E-01 8.402780E-01 -4.011120E+00 1.579070E+01 -4.429520E+01 7.987810E+01 -8.635820E+01 5.033870E+01 -1.205220E+01
s7 0.00000 -2.361520E-01 5.373300E-01 -3.576900E+00 1.625520E+01 -4.883520E+01 9.437340E+01 -1.129380E+02 7.632140E+01 -2.230880E+01
s8 0.00000 -1.917810E-01 9.480820E-02 -9.167490E-02 -2.381810E-01 1.166080E+00 -2.012290E+00 1.820500E+00 -8.204470E-01 1.432030E-01
s9 -98.94196 4.545370E-02 -1.715430E-01 1.481930E-01 -1.890750E-01 1.574980E-01 -1.153510E-01 6.713190E-02 -2.069370E-02 2.402230E-03
s10 3.46665 -4.799370E-02 1.310970E-01 -1.654850E-01 8.454760E-02 -3.753740E-02 2.197170E-02 -8.772570E-03 1.723220E-03 -1.291790E-04
s11 69.15039 -5.379400E-01 6.065740E-01 -3.980440E-01 1.690450E-01 -4.619580E-02 7.904220E-03 -7.963250E-04 4.087090E-05 -7.022660E-07
s12 -11.69187 -2.048840E-01 1.845660E-01 -1.145710E-01 4.725720E-02 -1.274480E-02 2.167440E-03 -2.198180E-04 1.194070E-05 -2.620360E-07
상기 제1렌즈(L1)의 유효경최외곽의 두께 Te에 대한 상기 제1렌즈(L1)의 중심두께 Tc(Tc/Te)는 1.45이고, 상기 제1렌즈(L1)의 굴절능 P1은 0.001, 상기 제2렌즈(L2) 후면의 곡률반경의 절대치 |R4|는 25.6, 상기 제3렌즈(L3) 전면의 곡률반경의 절대치 |R5|는 37.6이다.그리고 상기 제1렌즈(L1)와 상기 제2렌즈(L2)의 최대 간격 T12는 0.22mm, 제2렌즈(L2)와 제3렌즈(L3)의 최대 간격 T23은 0.04mm, 상기 제1렌즈(L1), 상기 제2렌즈(L2)와 상기 제3렌즈(L3)의 합성초점거리 f123과 상기 제5렌즈(L5)와 상기 제6렌즈(L6)의 합성초점거리 f56의 절대치의 비(|f123/f56|)는 0.66이고, 상면 높이 ImagH에 대한 렌즈 시스템의 전면에서 상면까지의 거리 TTL(TTL/ImagH)은 1.34이고, 상기 제4렌즈(L4)의 굴절능 P4는 0.05이며, 전체 렌즈 시스템의 화각은 79.4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수차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10의 첫 번째 데이타는 구면수차를 나타낸 것으로서, 가로축은 초점(mm)을, 세로축은 상고(mm)를 나타내며, 각 그래프는 입사되는 광선의 파장을 나타내는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그래프들이 중심수직축선에 근접할수록 그리고 서로 근접할수록 구면수차의 보정성이 좋은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본 발명에 따른 제5실시예의 구면수차는 0.025mm(초점) 이하로 양호한 것으로 판단된다.
도 10의 두 번째 데이타는 비점수차를 나타낸 것으로서, 가로축은 초점(mm)을, 세로축은 상고(mm)를 나타내며, 그래프 S는 렌즈와 수평방향으로 입사하는 광선인 새지털(sagital)을 나타내고, 그래프 T는 렌즈와 직각방향으로 입사하는 광선인 탄젼셜(tangential)을 나타낸다. 여기에서 그래프 S와 T가 가까울수록 그리고 중심수직축에 근접할수록 비점수차의 보정성이 좋은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본 발명에 따른 제5실시예의 비점수차는 0.025mm(초점) 이하로 양호한 것으로 판단된다.
도 10의 세 번째 데이타는 왜곡수차를 나타낸 것으로서, 가로축은 왜곡도(%)를, 세로축은 상고(mm)를 나타내며, 일반적으로 수차곡선이 -2~2% 범위 내에 들면 양호한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본 발명에 따른 제5실시예의 왜곡수차로 optical distortion(광학적 왜곡)은 2% 이하로 양호한 것으로 판단된다.
L1 : 제1렌즈 L2 : 제2렌즈
L3 : 제3렌즈 L4 : 제4렌즈
L5 : 제5렌즈 L6 : 제6렌즈

Claims (15)

  1. 광축을 따라 물체로부터 제1렌즈, 제2렌즈, 제3렌즈, 제4렌즈, 제5렌즈 및 제6렌즈로 배열된 소형 광각 렌즈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제1렌즈는 양면이 모두 물체측으로 볼록하고, 상기 제1렌즈의 중심두께 Tc, 상기 제1렌즈의 유효경최외곽의 두께 Te는 1.1 < Tc/Te < 1.5를 만족하고, 상기 제1렌즈의 굴절능 P1은 -0.06 < P1 < 0.06을 만족하고,
    상기 제2렌즈는 양의 굴절능을 가지며, 전면이 물체측으로 볼록하고, 후면의 곡률반경 R4는 10 < |R4|를 만족하고,
    상기 제3렌즈는 음의 굴절능을 가지며, 후면이 상측으로 오목하고, 전면의 곡률반경 R5는 10 < |R5|를 만족하고,
    상기 제4렌즈는 양면이 물체측으로 오목하고,
    상기 제5렌즈는 양의 굴절능을 가지며,
    상기 제6렌즈는 음의 굴절능을 가지는 것으로,
    상기 제1렌즈와 상기 제2렌즈의 유효경 내에서의 렌즈의 간격 T12는 T12 < 0.2mm를 만족하고,
    상기 제2렌즈와 상기 제3렌즈 유효경 내에서의 렌즈의 간격 T23은 T23 < 0.1mm를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광각 렌즈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렌즈, 상기 제2렌즈 및 상기 제3렌즈의 합성초점거리 f123과, 상기 제5렌즈와 상기 제6렌즈의 합성초점거리 f56은,
    0.4 <|f123/f56|< 0.8 을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광각 렌즈 시스템
  3. 제 1항에 있어서, 상면 높이 ImagH, 렌즈 시스템의 전면에서 상면까지의 거리 TTL은,
    TTL/ImagH < 1.45를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광각 렌즈 시스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4렌즈는,
    양의 굴절능을 가지며, 굴절능 P4는 0 < P4 < 0.1을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광각 렌즈 시스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렌즈의 아베수(abbe number) V1, 상기 제2렌즈의 아베수 V2, 상기 제3렌즈의 아베수 V3, 상기 제4렌즈의 아베수 V4, 상기 제5렌즈의 아베수 V5, 상기 제6렌즈의 아베스 V6는,
    50 < V1 < 60, 50 < V2 < 60, 15 < V3 < 30, 15 < V4 < 30, 50 < V5 < 60, 50 < V6 < 60 을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광각 렌즈 시스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렌즈 내지 제6렌즈는 모두 플라스틱 재료로 모든 면이 비구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광각 렌즈 시스템.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5렌즈와 상기 제6렌즈의 양면은,
    주변부에서 상측으로 볼록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광각 렌즈 시스템.
  8. 제 1항 내지 제 7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소형 광각 렌즈 시스템의 화각은 78도 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광각 렌즈 시스템.
  9. 스마트폰에 장착되며, 광축을 따라 물체로부터 제1렌즈, 제2렌즈, 제3렌즈, 제4렌즈, 제5렌즈 및 제6렌즈로 배열된 소형 광각 렌즈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제1렌즈는 양면이 모두 물체측으로 볼록하고, 상기 제1렌즈의 중심두께 Tc, 상기 제1렌즈의 유효경최외곽의 두께 Te는 1.1 < Tc/Te < 1.5를 만족하고, 상기 제1렌즈의 굴절능 P1은 -0.06 < P1 < 0.06을 만족하고,
    상기 제2렌즈는 양의 굴절능을 가지며, 전면이 물체측으로 볼록하고, 후면의 곡률반경 R4는 10 < |R4|를 만족하고,
    상기 제3렌즈는 음의 굴절능을 가지며, 후면이 상측으로 오목하고, 전면의 곡률반경 R5는 10 < |R5|를 만족하고,
    상기 제4렌즈는 양면이 물체측으로 오목하고, 양의 굴절능을 가지며, 굴절능 P4는 0 < P4 < 0.1을 만족하고,
    상기 제5렌즈는 양의 굴절능을 가지고,
    상기 제6렌즈는 음의 굴절능을 가지며,
    상기 제1렌즈, 상기 제2렌즈 및 상기 제3렌즈의 합성초점거리 f123과, 상기 제5렌즈와 상기 제6렌즈의 합성초점거리 f56은, 0.4 <|f123/f56|< 0.8 을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광각 렌즈 시스템.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제1렌즈와 상기 제2렌즈의 유효경 내에서의 렌즈의 간격 T12는 T12 < 0.2mm를 만족하고,
    상기 제2렌즈와 상기 제3렌즈 유효경 내에서의 렌즈의 간격 T23은 T23 < 0.1mm를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광각 렌즈 시스템.
  11. 제 9항에 있어서, 상면 높이 ImagH, 렌즈 시스템의 전면에서 상면까지의 거리 TTL은,
    TTL/ImagH < 1.45를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광각 렌즈 시스템.
  12.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제1렌즈의 아베수(abbe number) V1, 상기 제2렌즈의 아베수 V2, 상기 제3렌즈의 아베수 V3, 상기 제4렌즈의 아베수 V4, 상기 제5렌즈의 아베수 V5, 상기 제6렌즈의 아베스 V6는,
    50 < V1 < 60, 50 < V2 < 60, 15 < V3 < 30, 15 < V4 < 30, 50 < V5 < 60, 50 < V6 < 60 을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광각 렌즈 시스템.
  13.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제1렌즈 내지 제6렌즈는 모두 플라스틱 재료로 모든 면이 비구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광각 렌즈 시스템.
  14.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제5렌즈와 상기 제6렌즈의 양면은,
    주변부에서 상측으로 볼록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광각 렌즈 시스템.
  15. 제 9항 내지 제 14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소형 광각 렌즈 시스템의 화각은 78도 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광각 렌즈 시스템.
KR1020190043295A 2019-04-12 2019-04-12 소형 광각 렌즈 시스템 KR1021026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3295A KR102102633B1 (ko) 2019-04-12 2019-04-12 소형 광각 렌즈 시스템
US16/576,183 US11119297B2 (en) 2019-04-12 2019-09-19 Small wide-angle lens system having six lenses of −+−++− or ++−++− refractive power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3295A KR102102633B1 (ko) 2019-04-12 2019-04-12 소형 광각 렌즈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02633B1 true KR102102633B1 (ko) 2020-04-22

Family

ID=704728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43295A KR102102633B1 (ko) 2019-04-12 2019-04-12 소형 광각 렌즈 시스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11119297B2 (ko)
KR (1) KR102102633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4035B1 (ko) * 2013-10-23 2015-03-18 삼성전기주식회사 렌즈 모듈
KR20170050735A (ko) * 2015-10-30 2017-05-11 삼성전자주식회사 촬상 광학계
KR20170051080A (ko) * 2015-11-02 2017-05-11 삼성전자주식회사 단초점 렌즈 광학계 및 그를 포함하는 촬상 장치
KR101819650B1 (ko) * 2016-05-26 2018-01-17 오필름코리아(주) 렌즈 모듈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4035B1 (ko) * 2013-10-23 2015-03-18 삼성전기주식회사 렌즈 모듈
KR20170050735A (ko) * 2015-10-30 2017-05-11 삼성전자주식회사 촬상 광학계
KR20170051080A (ko) * 2015-11-02 2017-05-11 삼성전자주식회사 단초점 렌즈 광학계 및 그를 포함하는 촬상 장치
KR101819650B1 (ko) * 2016-05-26 2018-01-17 오필름코리아(주) 렌즈 모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00326514A1 (en) 2020-10-15
US11119297B2 (en) 2021-09-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20032B1 (ko) 고해상도 광각 렌즈 시스템
KR101595220B1 (ko) 공차가 완화된 촬영 렌즈 시스템
KR101547460B1 (ko) 광학 렌즈계
KR101412627B1 (ko) 왜곡이 보정된 광각 촬영 렌즈 시스템
KR20150058972A (ko) 촬상 렌즈 시스템 및 이를 채용한 촬상 장치
KR20150070858A (ko) 촬상 렌즈 시스템 및 이를 채용한 촬상 장치
KR101535086B1 (ko) 왜곡이 보정된 광각 촬영 렌즈 시스템
KR101690481B1 (ko) 고해상도 광각 렌즈 시스템
KR101690482B1 (ko) 소형 광각 렌즈 시스템
KR101412626B1 (ko) 공차가 완화된 촬영 렌즈 시스템
KR20220093077A (ko) 촬상 광학계
KR101690479B1 (ko) 고해상도 촬상 렌즈 시스템
KR102363536B1 (ko) 촬상 광학계
KR102268263B1 (ko) 소형 렌즈 시스템
KR102274547B1 (ko) 소형 렌즈 시스템
KR102268261B1 (ko) 소형 렌즈 시스템
KR102102633B1 (ko) 소형 광각 렌즈 시스템
KR102568944B1 (ko) 촬상 렌즈,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및 디지털 기기
KR102373360B1 (ko) 소형 광각 렌즈 시스템
KR102163870B1 (ko) 망원렌즈 시스템
KR102141188B1 (ko) 소형 렌즈 시스템
KR102340488B1 (ko) 광각 렌즈 시스템
KR102345282B1 (ko) 고해상도 렌즈 시스템
KR101896399B1 (ko) 소형 광각 렌즈 시스템
KR102491911B1 (ko) 고해상도 렌즈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