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02483B1 - 메시지 제어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메시지 제어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02483B1
KR102102483B1 KR1020130121195A KR20130121195A KR102102483B1 KR 102102483 B1 KR102102483 B1 KR 102102483B1 KR 1020130121195 A KR1020130121195 A KR 1020130121195A KR 20130121195 A KR20130121195 A KR 20130121195A KR 102102483 B1 KR102102483 B1 KR 1021024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ssage
control information
terminal
information
recei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211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43586A (ko
Inventor
정재윤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Priority to KR10201301211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02483B1/ko
Publication of KR201500435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435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024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024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2Messaging; Mailboxes; Announc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18Service support devices; Network management devices
    • H04W88/184Messaging devices, e.g. message centre

Abstract

메시지 제어 장치가 개시된다. 그 장치는 사용자로부터 수신 단말로 전송할 메시지에 대한 메시지 제어 정보를 입력 받는 제어 정보 입력부, 상기 메시지 제어 정보를 상기 메시지의 일부 영역에 삽입하는 제어 정보 삽입부 및 상기 메시지를 상기 수신 단말로 전송하는 메시지 전송부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메시지 제어 정보는 상기 메시지의 발신자 정보 숨김 여부, 상기 메시지의 전달(forwarding) 허용 여부 및 상기 메시지의 캡쳐(capture) 허용 여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메시지 제어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OF CONTROLLING MESSAGE}
아래 실시예들은 메시지 제어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메시지에 삽입된 제어 정보에 기초하여 메시지를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모바일 단말의 보급에 따라 IM(Instant Message), SMS(Short Message Service), MMS(Multimedia Messaging Service) 및 이메일과 같은 다양한 메시징 툴이 제공되고 있다. 이런 툴에는, 사용자 편의를 위해 수신한 메시지에 대한 전달 기능도 함께 제공되고 있다. 그러나, 메시지에 포함된 내용이 최초의 수신자 이외의 다른 대상에게 공유되는 것이 부적절한 경우가 존재한다. 또한, 메시지를 전달 받은 사람도 해당 메시지를 최초로 발신했던 사용자가 누구인지 알 수 없는 불편함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과 관련하여, 한국 공개특허공보 2006-0058578호는 휘발성 단문메시지 제어시스템 및 방법을 개시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선행 발명은 단문메시지를 전송하거나 수신하기 위한 발/착신 이동통신 단말과; 상기 전송될 단문메시지에 특정 시간계수 정보를 입력하여 착신 이동통신 단말에서 단문메시지를 한 번 확인하는 경우 바로 삭제되거나, 특정 시간이 경과된 후 자동으로 삭제되도록 제어하는 단문메시지 서버; 상기 단문메시지 서버와 연동되어 착신 이동통신 단말에 수신된 단문메시지를 사용자에 의해 확인되는 특정 시간을 계수하는 시간 계수부; 상기 단문메시지 서버와 연동되어 수신된 단문 메시지를 착신 이동통신 단말의 사용자에 의한 확인 여부를 판단하며, 상기 확인된 단문메시지의 특정 시간이 경과될 때 해당 단문메시지를 자동으로 삭제하는 단문메시지 확인/삭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휘발성 단문메시지 제어시스템을 개시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메시지 발신자는 메시지의 공유가 제한되도록 메시지를 제어하여 메시지 발신자의 프라이버시를 보호할 수 있다. 메시지 수신자 는 메시지의 전달 이력을 확인하여 메시지의 신뢰성 판단할 수 있다.
메시지 제어에는 메시지의 전달을 허용할지 여부, 메시지의 캡춰를 허용할지 여부 및 메시지의 발신자를 공개할지 여부가 포함될 수 있다. 사용자는 메시지를 발송하기 전뿐만 아니라 메시지를 발송한 이후에도 메시지를 제어할 수 있다. 사용자는 메시지의 전달 히스토리를 조회함으로써, 메시지의 전달 경로를 파악할 수 있으며, 메시지의 신뢰성을 판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메시지 발신 단말은 사용자로부터 수신 단말로 전송할 메시지에 대한 메시지 제어 정보를 입력 받는 제어 정보 입력부; 상기 메시지 제어 정보를 상기 메시지의 일부 영역에 삽입하는 제어 정보 삽입부; 및 상기 메시지를 상기 수신 단말로 전송하는 메시지 전송부를 포함하고, 상기 메시지 제어 정보는 상기 메시지의 발신자 정보 숨김 여부, 상기 메시지의 전달(forwarding) 허용 여부 및 상기 메시지의 캡쳐(capture) 허용 여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상기 일부 영역은 상기 메시지의 헤더 정보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메시지 발신 단말은 메시징 서버와 연동하여, 이미 전송된 하나 이상의 발신 메시지에 대한 정보를 조회하는 발신 메시지 조회부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어 정보 입력부는, 상기 발신 메시지 조회부를 통해 조회된 상기 발신 메시지에 대한 업데이트된 메시지 제어 정보를 더 입력 받되, 상기 업데이트된 메시지 제어 정보는 상기 메시징 서버로 전송되고, 상기 메시징 서버는 상기 업데이트된 메시지 제어 정보를 상기 수신 단말로 전송하며, 상기 수신 단말은 상기 업데이트된 메시지 제어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메시지의 상기 일부 영역을 업데이트할 수 있다.
상기 발신 메시지에 대한 상기 정보는, 상기 발신 메시지의 상기 메시지 제어 정보, 상기 발신 메시지의 발신자 정보, 수신자 정보, 전달자 정보, 상기 메시지의 전송 시간, 상기 메시지의 수신 시간, 및 상기 메시지를 수신한 단말에서 상기 메시지가 조회되었는지 여부에 관한 정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업데이트된 메시지 제어 정보는 상기 수신 단말에서 상기 발신 메시지가 전달된 전달 단말로 더 전송되고, 상기 전달 단말은 상기 업데이트된 메시지 제어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메시지의 상기 일부 영역을 업데이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메시지 수신 단말은 메시징 서버를 통해, 발신 단말로부터 전송된 메시지를 수신하는 메시지 수신부; 상기 메시지의 일부 영역에 포함된 메시지 제어 정보를 판독하는 제어 정보 판독부; 및 상기 메시지 제어 정보에 따라 상기 메시지에 대한 기능을 제한하도록 처리 하는 처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메시지 제어 정보는 상기 메시지의 발신자 정보 숨김 여부, 상기 메시지의 전달(forwarding) 허용 여부 및 상기 메시지의 캡쳐(capture) 허용 여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상기 메시지 수신부는, 상기 메시징 서버를 통해, 상기 발신 단말로부터 전송된, 상기 메시지에 대한 업데이트된 메시지 제어 정보를 더 수신하고, 상기 처리부는, 상기 업데이트된 메시지 제어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메시지의 상기 일부 영역을 업데이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메시지 수신 단말은 상기 메시지 제어 정보에 따른 상기 메시지의 전달 허용 여부 및 상기 메시지 제어 정보에 따른 상기 메시지의 캡쳐 허용 여부 중 적어도 하나를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공하는 UI(User Interface) 제공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메시징 서버는 메시지의 일부 영역에 상기 메시지의 제어 정보가 포함된 상기 메시지를 발신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메시지 수신부; 상기 메시지의 상기 제어 정보 및 상기 메시지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히스토리 저장부; 및 상기 발신 단말로부터 수신한 상기 메시지를 수신 단말로 전송하는 메시지 전송부를 포함하고, 상기 메시지의 상기 제어 정보는 상기 메시지의 발신자 정보 숨김 여부, 상기 메시지의 전달(forwarding) 허용 여부 및 상기 메시지의 캡쳐(capture) 허용 여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상기 메시지에 대한 상기 정보는, 상기 메시지의 상기 제어 정보, 상기 메시지의 발신자 정보, 수신자 정보, 전달자 정보, 상기 메시지의 전송 시간, 상기 메시지의 수신 시간, 및 상기 메시지를 수신한 단말에서 상기 메시지가 조회되었는지 여부에 관한 정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메시징 서버는 상기 전송 단말의 상기 메시지에 대한 상기 정보의 조회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전송 단말로 상기 메시지에 대한 상기 정보를 전송하는 히스토리 제공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메시징 서버는 상기 발신 단말로부터 상기 메시지에 대한 업데이트된 메시지 제어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업데이트된 메시지 제어 정보를 상기 수신 단말로 전송하는 제어 정보 업데이트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메시지 발신 단말의 동작 방법은 사용자로부터 수신 단말로 전송할 메시지에 대한 메시지 제어 정보를 입력 받는 단계; 상기 메시지 제어 정보를 상기 메시지의 일부 영역에 삽입하는 단계; 및 상기 메시지를 상기 수신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메시지 제어 정보는 상기 메시지의 발신자 정보 숨김 여부, 상기 메시지의 전달(forwarding) 허용 여부 및 상기 메시지의 캡쳐(capture) 허용 여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메시지 발신 단말의 동작 방법은 메시징 서버와 연동하여, 이미 전송된 하나 이상의 발신 메시지에 대한 정보를 조회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메시지 제어 정보를 입력 받는 단계는, 상기 조회된 발신 메시지에 대한 업데이트된 메시지 제어 정보를 더 입력 받되, 상기 업데이트된 메시지 제어 정보는 상기 메시징 서버로 전송되고, 상기 메시징 서버는 상기 업데이트된 메시지 제어 정보를 상기 수신 단말로 전송하며, 상기 수신 단말은 상기 업데이트된 메시지 제어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메시지의 상기 일부 영역을 업데이트할 수 있다.
상기 발신 메시지에 대한 상기 정보는, 상기 발신 메시지의 상기 메시지 제어 정보, 상기 발신 메시지의 발신자 정보, 수신자 정보, 전달자 정보, 상기 메시지의 전송 시간, 상기 메시지의 수신 시간, 및 상기 메시지를 수신한 단말에서 상기 메시지가 조회되었는지 여부에 관한 정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메시지 수신 단말의 동작 방법은 메시징 서버를 통해, 발신 단말로부터 전송된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메시지의 일부 영역에 포함된 메시지 제어 정보를 판독하는 단계; 및 상기 메시지 제어 정보에 따라 상기 메시지에 대한 기능을 제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메시지 제어 정보는 상기 메시지의 발신자 정보 숨김 여부, 상기 메시지의 전달(forwarding) 허용 여부 및 상기 메시지의 캡쳐(capture) 허용 여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상기 발신 단말로부터 전송된 상기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메시징 서버를 통해, 상기 발신 단말로부터 전송된, 상기 메시지에 대한 업데이트된 메시지 제어 정보를 더 수신할 수 있고, 상기 메시지 제어 정보에 따라 상기 메시지에 대한 기능을 제한하는 단계는, 상기 업데이트된 메시지 제어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메시지의 상기 일부 영역을 업데이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메시징 서버의 동작 방법은 메시지의 일부 영역에 상기 메시지의 제어 정보가 포함된 상기 메시지를 발신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메시지의 상기 제어 정보 및 상기 메시지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발신 단말로부터 수신한 상기 메시지를 수신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메시지의 상기 제어 정보는 상기 메시지의 발신자 정보 숨김 여부, 상기 메시지의 전달(forwarding) 허용 여부 및 상기 메시지의 캡쳐(capture) 허용 여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메시징 서버의 동작 방법은 상기 전송 단말의 상기 메시지에 대한 상기 정보의 조회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전송 단말로 상기 메시지에 대한 상기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메시징 서버의 동작 방법은 상기 발신 단말로부터 상기 메시지에 대한 업데이트된 메시지 제어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업데이트된 메시지 제어 정보를 상기 수신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메시지 발신자는 메시지의 공유가 제한되도록 메시지를 제어하여 메시지 발신자의 프라이버시를 보호할 수 있다. 메시지 수신자 는 메시지의 전달 이력을 확인하여 메시지의 신뢰성 판단할 수 있다.
메시지 제어에는 메시지의 전달을 허용할지 여부, 메시지의 캡춰를 허용할지 여부 및 메시지의 발신자를 공개할지 여부가 포함될 수 있다. 사용자는 메시지를 발송하기 전뿐만 아니라 메시지를 발송한 이후에도 메시지를 제어할 수 있다. 사용자는 메시지의 전달 히스토리를 조회함으로써, 메시지의 전달 경로를 파악할 수 있으며, 메시지의 신뢰성을 판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메시지 제어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메시지 제어 시스템을 나타낸 플로우 차트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메시지 발신 단말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메시지 수신 단말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메시징 서버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이하,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메시지 제어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발신 단말(110), 메시징 서버(120), 수신 단말(130) 및 전달 단말(140)이 도시되어 있다.
발신 단말(110)의 사용자는 메시지 발신 전에 메시지에 대한 제어 정보를 설정할 수 있다. 또한, 발신 단말(110)의 사용자는 발신된 메시지의 전달 히스토리 및 발신된 메시지의 설정 상태를 조회할 수 있으며, 발신된 메시지의 제어 정보를 사후적으로 설정할 수 있다. 이하, 각각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메시지 발신 전의 제어 정보 설정>
발신 단말(110)은 수신 단말(130)로 메시지를 전송하기 전에 메시지에 제어 정보를 삽입할 수 있다. 제어 정보는 발신 메시지의 전달, 캡춰, 전달 히스토리 공개 등을 제어하기 위한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메시지의 전달은 수신 단말(130)이 발신 단말(110)로부터 수신한 메시지를 전달 단말(140)로 전송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메시지의 캡춰는 단말의 문자열 복사 기능을 이용하여 메시지에 포함된 문자열을 복사하거나, 단말의 이미지 캡춰 기능을 이용하여 메시지를 하나의 이미지로서 캡춰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전달 히스토리란 특정 메시지를 최초로 발신한 단말, 특정 메시지가 최초로 발신된 시간, 특정 메시지를 수신한 단말, 특정 메시지를 전달한 단말, 특정 메시지를 전달 받은 단말, 특정 메시지가 전달된 시간 및 특정 메시지가 조회 되었는지 여부에 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의미할 수 있으며, 전달 히스토리 공개란 이러한 히스토리를 공개할 것인지를 의미할 수 있다.
<메시지 정보 조회>
발신 단말(110)은 메시징 서버(120)에게 발신 단말(110)이 전송한 메시지의 제어 정보 및 전달 히스토리의 조회를 요청하여 발신 단말(110)이 전송한 메시지의 제어 정보 및 전달 히스토리를 조회할 수 있다. 메시징 서버(120)는 메시지 제어 정보 및 메시지의 전달 히스토리를 메시징 서버(120)의 저장 장치에 저장할 수 있고, 발신 단말(110)의 조회 요청이 있는 경우 발신 단말(110)로 저장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발신 단말(110)에 의해 메시지의 전달 히스토리가 공개될 수 있도록 설정된 경우, 수신 단말(130) 및 전달 단말(140) 중 공개가 허용된 단말은 메시지의 전달 히스토리를 조회할 수 있다. 발신 단말(110)의 사용자는 제어 정보의 업데이트 여부를 결정하기 위해, 조회한 전송 메시지의 제어 정보 및 전달 히스토리를 참조할 수 있다.
<제어 정보의 업데이트 >
발신 단말(110)은 수신 단말(130)로 메시지를 전송한 이후에도 메시지 제어 정보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발신 단말(110)의 사용자가 메시지 제어 정보를 업데이트할 경우, 발신 단말(110)은 업데이트된 메시지 제어 정보를 메시징 서버(120)로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메시징 서버(120)는 수신 단말(130) 및 전달 단말(140)로 업데이트된 메시지 제어 정보를 전송할 수 있고, 수신 단말(130) 및 전달 단말(140)은 업데이트된 메시지 제어 정보에 따라 메시지 제어 정보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이하, 메시지 발신 전의 제어 정보 설정, 메시지 정보 조회 및 제어 정보의 업데이트의 구체적 동작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에에 따른 메시지 제어 시스템을 나타낸 플로우 차트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단계(221) 에서, 발신 단말(211)은 발신 단말(211)의 사용자로부터 메시지 제어 정보를 입력 받을 수 있다. 메시지 제어 정보는 메시지의 전달(forwarding) 허용 여부, 메시지의 캡쳐(capture) 허용 여부 및 상기 메시지의 전달 히스토리 숨김 여부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메시지의 전달 히스토리는 메시지의 발신자 정보, 수신자 정보, 전달자 정보, 전송 시간, 수신 시간, 메시지 수신자가 메시지를 조회하였는지 여부를 포함할 수 있다.
메시지 제어 정보는 발신 단말(211)이 제공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될 수 있다. 메시지 제어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메시지의 내용과 함께 표시될 수 있다. 메시지 제어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제어 가능한 항목들이 발신 단말(211)의 화면에 표시된 형태일 수 있고, 메시지의 제어 상태에 따라 각각의 항목들에 상이한 시각적 효과가 발생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메시지 제어는 단말에 기본적으로 제공되는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제공되거나 단말에 기본적으로 제공되는 어플리케이션과는 별도로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라 메시지 제어 정보가 삽입된 메시지는 단말에서 다른 메시지들이 저장되는 저장 영역과 구분된 별도의 영역에 저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라 메시지 제어 정보가 삽입된 메시지에 대해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메시지 제어를 위해 별도로 설치된 어플리케이션 이외의 어플리케이션의 접근이 제한될 수 있다.
단계(231) 에서, 발신 단말(211)은 발신 단말(211)의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메시지 제어 정보를 메시지에 삽입할 수 있다. 메시지 제어 정보는 메시지의 일부 영역에 삽입될 수 있다. 메시지의 일부 영역은 메시지의 헤더 정보일 수 있다.
단계(241) 에서, 발신 단말(211)은 메시징 서버(212)를 통해 수신 단말(213)로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메시지는 메시징 서버(212)를 통해 전송되므로, 메시징 서버(212)는 메시지의 전달 히스토리를 파악할 수 있다. 메시징 서버(212)는 메시지 전송 과정에서 파악된 메시지의 전달 히스토리를 메시징 서버(212)의 저장 장치에 저장할 수 있다. 메시징 서버(212)는 메시지의 전달 히스토리에 대한 조회 권한이 인정되는 단말의 요청에 응답하여, 메시지의 전달 히스토리의 조회를 요청한 단말로 메시지의 전달 히스토리를 전송할 수 있다.
단계(242)에서, 수신 단말(213)은 메시지 제어 정보에 기초하여 메시지에 대한 기능을 제한할 수 있다. 수신 단말(213)은 메시지의 일부 영역에 포함된 메시지 제어 정보를 판독하여 메시지에 대한 제어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메시지에 대한 기능에는 메시지의 히스토리 조회, 메시지의 전달, 메시지의 캡춰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발신 단말(211)이 메시지의 캡춰가 불가능하도록 메시지 제어 정보를 설정한 경우, 수신 단말(213)의 메시지 캡춰 기능은 제한될 수 있다. 발신 단말(211)이 메시지의 전달이 가능하도록 메시지 제어 정보를 설정한 경우, 수신 단말(213)은 전달 단말(214)로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단계(251) 에서, 수신 단말(213)은 메시징 서버(212)를 통해 전달 단말(214)로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수신 단말(213)의 메시지 전송은 메시지의 전달이 가능하도록 메시지의 제어 정보가 설정된 경우에 가능하다. 메시징 서버(212)는 메시지 전달 히스토리에 수신 단말(213)의 메시지 전송 히스토리를 추가할 수 있다. 메시지 전달 히스토리에는 발신 단말(211)의 정보, 수신 단말(213)의 정보, 전달 단말(214)의 정보, 메시지 전송 시간, 메시지 수신 시간, 수신 단말(213)의 메시지 조회 여부 및 전달 단말(214)의 메시지 조회 여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단계(252)에서, 전달 단말(214)은 메시지 제어 정보에 기초하여 메시지에 대한 기능을 제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발신 단말(211)이 메시지의 전달이 불가능하도록 메시지 제어 정보를 설정한 경우, 전달 단말(214)은 더 이상 다른 단말에게 메시지를 전송할 수 없다. 이 때, 전달 단말(214)은 메시지의 전달 기능에 대신하여, 메시지를 캡춰하여 캡춰된 이미지를 다른 달말로 전송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메시지 전달 허용 여부와 메시지 캡춰 허용 여부가 동시에 설정되도록 하는 기능이 추가될 수 있다.
단계(261)에서, 발신 단말(211)은 이미 전송된 하나 이상의 발신 메시지에 대한 정보 조회를 메시징 서버(212)에 요청할 수 있다. 발신 메시지에 대한 정보는 발신 메시지의 발신자 정보, 수신자 정보, 전달자 정보, 발신 메시지의 전송 시간, 발신 메시지의 수신 시간, 및 메시지를 수신한 단말에서 메시지가 조회되었는지 여부에 관한 정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메시지 제어 정보에 따라 수신 단말(213) 및 전달 단말(214)도 발신 메시지에 대한 정보의 전부 또는 일부를 조회할 수 있다.
단계(262) 에서, 메시징 서버(212)는 발신 단말(211)의 정보 조회 요청에 응답하여 발신 메시지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메시징 서버(212)는 메시지에 대한 정보를 메시징 서버(212)의 저장 장치에 저장하고, 단말의 요청이 있을 경우, 메시지에 대한 정보를 단말에 제공할 수 있다.
단계(271)에서, 발신 단말(211)은 업데이트된 메시지 제어 정보를 메시징 서버(212)로 전송할 수 있다. 발신 단말(211)의 사용자는 메시지 제어 정보의 업데이트를 통해, 메시지 제어 정보를 관리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메시지 제어 정보는 메시지의 전송 이후에도 사후적으로 관리될 수 있다. 메시징 서버(212)는 메시지 제어 정보를 메시징 서버(212)의 저장 장치에 저장하고, 발신 단말(211)로부터 메시지 제어 정보에 대한 업데이트 요청이 있는 경우, 메시징 서버(212)의 저장 장치에 저장된 메시지 제어 정보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단계(272)에서, 메시징 서버(212)는 발신 단말(211)로부터 수신한 업데이트된 메시지 제어 정보를 수신단말(213) 및 전달 단말(214)로 전송할 수 있다. 업데이트된 메시지 제어 정보는 발신 단말(211)로부터 메시지를 수신한 수신 단말(213)뿐만 아니라 수신 단말(213)로부터 메시지를 전달받은 전달 단말(214)에도 전송되므로, 발신 단말(211)은 발신된 메시지에 대한 제어 정보를 일괄적으로 업데이트할 수 있다.
단계(273)에서, 수신 단말(213) 및 전달 단말(214)은 업데이트된 메시지 제어 정보에 따라 메시지 제어 정보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메시지 제어 정보가 업데이트된 경우, 수신 단말(213) 및 전달 단말(214)은 업데이트된 메시지 제어 정보에 따라 메시지에 대한 기능을 제한할 수 있다.
발신 단말(211)이 발신 메시지를 삭제한 경우, 삭제된 메시지에 대한 수신 단말(213) 및 전달 단말(214)의 접근이 차단될 수 있다. 메시징 서버(212)는 수신 단말(213) 및 전달 단말(214)에 메시지의 삭제를 알릴 수 있으며, 삭제된 메시지에 대한 수신 단말(213) 및 전달 단말(214)의 접근을 차단할 수 있다. 또는, 발신 단말(211)이 발신 메시지를 삭제한 경우, 발신 단말(211)은 별도의 설정을 통해 발신 메시지에 대한 발신 단말(211)의 권한이 수신 단말(213) 또는 전달 단말(214)에게 부여되도록 설정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메시지 발신 단말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메시지 발신 단말(300)은 제어 정보 입력부(310), 제어 정보 삽입부(320), 메시지 전송부(330) 및 발신 메시지 조회부(340)로 구성될 수 있다.
제어 정보 입력부(310) 사용자로부터 수신 단말로 전송할 메시지에 대한 메시지 제어 정보를 입력 받을 수 있다. 메시지 제어 정보는 메시지의 전달(forwarding) 허용 여부, 메시지의 캡쳐(capture) 허용 여부 및 메시지의 전달 히스토리 숨김 여부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메시지 제어 정보는 발신 단말이 제공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될 수 있다.
제어 정보 삽입부(320) 메시지 제어 정보를 메시지의 일부 영역에 삽입할 수 있다. 메시지 제어 정보는 메시지의 일부 영역에 삽입될 수 있다. 메시지의 일부 영역은 메시지의 헤더 정보일 수 있다.
메시지 전송부(330)는 메시지 제어 정보가 삽입된 메시지를 수신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발신 메시지 조회부(340)는 메시징 서버와 연동하여, 이미 전송된 하나 이상의 발신 메시지에 대한 정보를 조회할 수 있다. 발신 메시지에 대한 정보는 발신 메시지의 제어 정보, 발신 메시지의 발신자 정보, 수신자 정보, 전달자 정보, 메시지의 전송 시간, 메시지의 수신 시간, 및 메시지를 수신한 단말에서 메시지가 조회되었는지 여부에 관한 정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업데이트된 메시지 제어 정보는 메시징 서버로 전송되고, 메시징 서버는 업데이트된 메시지 제어 정보를 수신 단말로 전송하며, 수신 단말은 업데이트된 메시지 제어 정보에 기초하여 메시지의 일부 영역을 업데이트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에에 따른 메시지 수신 단말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메시지 수신 단말(400)은 메시지 수신부(410), 제어 정보 판독부(420), 처리부(430) 및 UI 제공부(440)로 구성될 수 있다. 메시지 수신 단말(400)이 발신 단말로부터 수신한 메시지를 다른 단말로 전달한 경우, 메시지를 전달 받은 전달 단말은 메시지 수신 단말(400)과 동일하게 구성될 수 있다.
메시지 수신부(410)는 메시징 서버를 통해, 발신 단말로부터 전송된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제어 정보 판독부(420)는 메시지의 일부 영역에 포함된 메시지 제어 정보를 판독할 수 있다. 메시지의 일부 영역은 메시지의 헤더 정보일 수 있다.
처리부(430)는 제어 정보에 따라 메시지에 대한 기능을 제한하도록 처리할 수 있다. 메시지 제어 정보는 메시지의 발신자 정보 숨김 여부, 메시지의 전달(forwarding) 허용 여부 및 메시지의 캡쳐(capture) 허용 여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메시지 수신부는 메시징 서버를 통해 발신 단말로부터 전송된 메시지에 대한 업데이트된 메시지 제어 정보를 더 수신하고, 처리부는 업데이트된 메시지 제어 정보에 기초하여 메시지의 일부 영역을 업데이트할 수 있다.
UI 제공부(440)는 메시지 제어 정보에 따른 메시지의 전달 허용 여부 및 메시지 제어 정보에 따른 메시지의 캡쳐 허용 여부 중 적어도 하나를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공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에에 따른 메시징 서버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메시징 서버(500)는 메시지 수신부(510), 메시지 전송부(520), 히스토리 저장부(530), 히스토리 제공부(540) 및 제어 정보 업데이트부(550)로 구성될 수 있다.
메시지 수신부(510)는 메시지의 일부 영역에 메시지의 제어 정보가 포함된 메시지를 발신 단말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메시지의 제어 정보는 메시지의 발신자 정보 숨김 여부, 메시지의 전달(forwarding) 허용 여부 및 메시지의 캡쳐(capture) 허용 여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메시지 전송부(520)는 발신 단말로부터 수신한 메시지를 수신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히스토리 저장부(530)는 메시지의 제어 정보 및 메시지에 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히스토리 제공부(540)는 전송 단말의 메시지에 대한 정보의 조회 요청에 응답하여, 전송 단말로 메시지에 대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수신 단말 또는 전달 단말이 메시지에 대한 정보를 조회할 권한이 있는 경우, 히스토리 제공부(540)는 수신 단말 또는 전달 단말이의 메시지에 대한 정보의 조회 요청에 응답하여, 수신 단말 또는 전달 단말로 메시지에 대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메시지에 대한 정보는, 발신 메시지의 제어 정보, 메시지의 발신자 정보, 수신자 정보, 전달자 정보, 메시지의 전송 시간, 메시지의 수신 시간, 및 메시지를 수신한 단말에서 메시지가 조회되었는지 여부에 관한 정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 정보 업데이트부(550)는 발신 단말로부터 메시지에 대한 업데이트된 메시지 제어 정보를 수신하고, 업데이트된 메시지 제어 정보를 수신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Claims (20)

  1. 사용자로부터 수신 단말로 전송할 메시지에 대한 메시지 제어 정보를 입력 받는 제어 정보 입력부;
    상기 메시지 제어 정보를 상기 메시지의 일부 영역에 삽입하는 제어 정보 삽입부; 및
    상기 메시지를 상기 수신 단말로 전송하는 메시지 전송부
    를 포함하고,
    상기 메시지 제어 정보는 상기 메시지의 전달 허용 여부를 포함하고,
    상기 메시지 제어 정보에 따라 상기 메시지의 전달이 불가하도록 설정된 경우, 상기 수신 단말은 상기 메시지를 다른 단말로 전달하는데 실패하는,
    메시지 발신 단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일부 영역은 상기 메시지의 헤더 정보인,
    메시지 발신 단말.
  3. 제1항에 있어서,
    메시징 서버와 연동하여, 이미 전송된 하나 이상의 발신 메시지에 대한 정보를 조회하는 발신 메시지 조회부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 정보 입력부는, 상기 발신 메시지 조회부를 통해 조회된 상기 발신 메시지에 대한 업데이트된 메시지 제어 정보를 더 입력 받되,
    상기 업데이트된 메시지 제어 정보는 상기 메시징 서버로 전송되고, 상기 메시징 서버는 상기 업데이트된 메시지 제어 정보를 상기 수신 단말로 전송하며, 상기 수신 단말은 상기 업데이트된 메시지 제어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메시지의 상기 일부 영역을 업데이트하는,
    메시지 발신 단말.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발신 메시지에 대한 상기 정보는, 상기 발신 메시지의 상기 메시지 제어 정보, 상기 발신 메시지의 발신자 정보, 수신자 정보, 전달자 정보, 상기 메시지의 전송 시간, 상기 메시지의 수신 시간, 및 상기 메시지를 수신한 단말에서 상기 메시지가 조회되었는지 여부에 관한 정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메시지 발신 단말.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업데이트된 메시지 제어 정보는 상기 수신 단말에서 상기 발신 메시지가 전달된 전달 단말로 더 전송되고,
    상기 전달 단말은 상기 업데이트된 메시지 제어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메시지의 상기 일부 영역을 업데이트하는,
    메시지 발신 단말.
  6. 메시징 서버를 통해, 발신 단말로부터 전송된 메시지를 수신하는 메시지 수신부;
    상기 메시지의 일부 영역에 포함된 메시지 제어 정보를 판독하는 제어 정보 판독부; 및
    상기 메시지 제어 정보에 따라 상기 메시지에 대한 기능을 제한하도록 처리 하는 처리부
    를 포함하고,
    상기 메시지 제어 정보는 상기 메시지의 전달 허용 여부를 포함하고,
    상기 메시지 제어 정보에 따라 상기 메시지의 전달이 불가하도록 설정된 경우, 메시지 수신 단말은 상기 메시지를 다른 단말로 전달하는데 실패하는,
    메시지 수신 단말.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 수신부는, 상기 메시징 서버를 통해, 상기 발신 단말로부터 전송된, 상기 메시지에 대한 업데이트된 메시지 제어 정보를 더 수신하고,
    상기 처리부는, 상기 업데이트된 메시지 제어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메시지의 상기 일부 영역을 업데이트하는,
    메시지 수신 단말.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 제어 정보에 따른 상기 메시지의 전달 허용 여부 및 상기 메시지 제어 정보에 따른 상기 메시지의 캡쳐 허용 여부 중 적어도 하나를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공하는 UI(User Interface) 제공부
    를 더 포함하는,
    메시지 수신 단말.
  9. 메시지의 일부 영역에 상기 메시지의 제어 정보가 포함된 상기 메시지를 발신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메시지 수신부;
    상기 메시지의 상기 제어 정보 및 상기 메시지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히스토리 저장부; 및
    상기 발신 단말로부터 수신한 상기 메시지를 수신 단말로 전송하는 메시지 전송부
    를 포함하고,
    상기 메시지의 상기 제어 정보는 상기 메시지의 전달 허용 여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 정보에 따라 상기 메시지의 전달이 불가하도록 설정된 경우, 상기 수신 단말은 상기 메시지를 다른 단말로 전달하는데 실패하는,
    메시징 서버.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에 대한 상기 정보는, 상기 메시지의 상기 제어 정보, 상기 메시지의 발신자 정보, 수신자 정보, 전달자 정보, 상기 메시지의 전송 시간, 상기 메시지의 수신 시간, 및 상기 메시지를 수신한 단말에서 상기 메시지가 조회되었는지 여부에 관한 정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메시징 서버.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발신 단말의 상기 메시지에 대한 상기 정보의 조회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발신 단말로 상기 메시지에 대한 상기 정보를 전송하는 히스토리 제공부
    를 더 포함하는 메시징 서버.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발신 단말로부터 상기 메시지에 대한 업데이트된 메시지 제어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업데이트된 메시지 제어 정보를 상기 수신 단말로 전송하는 제어 정보 업데이트부
    를 더 포함하는 메시징 서버.
  13. 사용자로부터 수신 단말로 전송할 메시지에 대한 메시지 제어 정보를 입력 받는 단계;
    상기 메시지 제어 정보를 상기 메시지의 일부 영역에 삽입하는 단계; 및
    상기 메시지를 상기 수신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메시지 제어 정보는 상기 메시지의 전달 허용 여부를 포함하고,
    상기 메시지 제어 정보에 따라 상기 메시지의 전달이 불가하도록 설정된 경우, 상기 수신 단말은 상기 메시지를 다른 단말로 전달하는데 실패하는,
    메시지 발신 단말의 동작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메시징 서버와 연동하여, 이미 전송된 하나 이상의 발신 메시지에 대한 정보를 조회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메시지 제어 정보를 입력 받는 단계는,
    상기 조회된 발신 메시지에 대한 업데이트된 메시지 제어 정보를 더 입력 받되,
    상기 업데이트된 메시지 제어 정보는 상기 메시징 서버로 전송되고, 상기 메시징 서버는 상기 업데이트된 메시지 제어 정보를 상기 수신 단말로 전송하며, 상기 수신 단말은 상기 업데이트된 메시지 제어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메시지의 상기 일부 영역을 업데이트하는,
    메시지 발신 단말의 동작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발신 메시지에 대한 상기 정보는, 상기 발신 메시지의 상기 메시지 제어 정보, 상기 발신 메시지의 발신자 정보, 수신자 정보, 전달자 정보, 상기 메시지의 전송 시간, 상기 메시지의 수신 시간, 및 상기 메시지를 수신한 단말에서 상기 메시지가 조회되었는지 여부에 관한 정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메시지 발신 단말의 동작 방법.
  16. 메시징 서버를 통해, 발신 단말로부터 전송된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메시지의 일부 영역에 포함된 메시지 제어 정보를 판독하는 단계; 및
    상기 메시지 제어 정보에 따라 상기 메시지에 대한 기능을 제한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메시지 제어 정보는 상기 메시지의 전달 허용 여부를 포함하고,
    상기 메시지 제어 정보에 따라 상기 메시지의 전달이 불가하도록 설정된 경우, 메시지 수신 단말은 상기 메시지를 다른 단말로 전달하는데 실패하는,
    메시지 수신 단말의 동작 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발신 단말로부터 전송된 상기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메시징 서버를 통해, 상기 발신 단말로부터 전송된, 상기 메시지에 대한 업데이트된 메시지 제어 정보를 더 수신하고,
    상기 메시지 제어 정보에 따라 상기 메시지에 대한 기능을 제한하는 단계는,
    상기 업데이트된 메시지 제어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메시지의 상기 일부 영역을 업데이트하는,
    메시지 수신 단말의 동작 방법.
  18. 메시지의 일부 영역에 상기 메시지의 제어 정보가 포함된 상기 메시지를 발신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메시지의 상기 제어 정보 및 상기 메시지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발신 단말로부터 수신한 상기 메시지를 수신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메시지의 상기 제어 정보는 상기 메시지의 전달 허용 여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 정보에 따라 상기 메시지의 전달이 불가하도록 설정된 경우, 상기 수신 단말은 상기 메시지를 다른 단말로 전달하는데 실패하는,
    메시징 서버의 동작 방법.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발신 단말의 상기 메시지에 대한 상기 정보의 조회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발신 단말로 상기 메시지에 대한 상기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메시징 서버의 동작 방법.
  20.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발신 단말로부터 상기 메시지에 대한 업데이트된 메시지 제어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업데이트된 메시지 제어 정보를 상기 수신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메시징 서버의 동작 방법.
KR1020130121195A 2013-10-11 2013-10-11 메시지 제어 방법 및 장치 KR1021024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21195A KR102102483B1 (ko) 2013-10-11 2013-10-11 메시지 제어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21195A KR102102483B1 (ko) 2013-10-11 2013-10-11 메시지 제어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43586A KR20150043586A (ko) 2015-04-23
KR102102483B1 true KR102102483B1 (ko) 2020-04-21

Family

ID=530360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21195A KR102102483B1 (ko) 2013-10-11 2013-10-11 메시지 제어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0248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49878B1 (ko) * 2019-11-18 2022-01-10 주식회사 케이티 동보 메시지 발신 제한 방법 및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97365B1 (ko) * 2005-04-06 2012-11-05 삼성전자주식회사 멀티미디어 메시지 서비스 방법 및 장치
KR100888650B1 (ko) * 2007-02-13 2009-03-13 한솔인티큐브 주식회사 스케줄 메시징 시스템 및 그 서비스 방법
KR101019638B1 (ko) * 2007-11-26 2011-03-07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유무선 통신망을 통한 일정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1151211B1 (ko) * 2010-03-17 2012-07-11 주식회사 마크애니 보안 디지털 문서 제공 방법 및 시스템, 보안 패키지 생성 장치 및 보안 패키지 실행 방법
KR20130041057A (ko) * 2013-04-11 2013-04-24 인포뱅크 주식회사 기업형 메시지 전송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43586A (ko) 2015-04-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819665B2 (en) Messaging system apparatuses circuits and methods of operation thereof
US9930531B2 (en) Multimedia message service method and system
US7729710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filtering short message system spam
KR102104385B1 (ko) 인스턴트 메시지 송수신 시스템, 단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11128588B2 (en) Apparatus, method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storing computer program for restricting electronic file viewing utilizing antivirus software
CN105407032A (zh) 用于社交网络中安全传送消息的方法和系统
KR20090003247A (ko) 전자 메시지 포워딩 제어
CN105165035A (zh) 兼具文本消息传输的多媒体消息传输
US9760590B2 (en) Mobile sender controlled data access and data deletion method and system
KR102102483B1 (ko) 메시지 제어 방법 및 장치
KR101696877B1 (ko) 메일 수신 및 발신 시스템
KR20150098289A (ko) 이동통신사로부터 가입자에게 전송되는 정보를 대리 수신하고 수신된 정보를 가공하여 상기 가입자에게 제공하는 정보 관리 대행 서비스 방법
EP2075968A2 (en)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KR101600864B1 (ko) 이메일의 선택적 수신방법
KR102439775B1 (ko) 메시지 처리 장치 및 방법
KR102284874B1 (ko) 메시지 처리 장치 및 방법
CN105828303A (zh) 一种在终端上删除消息的方法及装置
KR20150095020A (ko) 컨텐츠 공유 시스템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