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01637B1 - 어댑터의 psr 가변 정전류 제어를 위한 피드백 신호의 노이즈를 제거하는 제어 회로 및 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어댑터의 psr 가변 정전류 제어를 위한 피드백 신호의 노이즈를 제거하는 제어 회로 및 그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01637B1
KR102101637B1 KR1020140195249A KR20140195249A KR102101637B1 KR 102101637 B1 KR102101637 B1 KR 102101637B1 KR 1020140195249 A KR1020140195249 A KR 1020140195249A KR 20140195249 A KR20140195249 A KR 20140195249A KR 102101637 B1 KR102101637 B1 KR 1021016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ulation
signal
feedback
value
feedback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952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83494A (ko
Inventor
유제현
차상현
이연중
이창석
이혜진
문수현
박득희
Original Assignee
솔루엠 (허페이) 세미컨덕터 씨오., 엘티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솔루엠 (허페이) 세미컨덕터 씨오., 엘티디. filed Critical 솔루엠 (허페이) 세미컨덕터 씨오., 엘티디.
Priority to KR10201401952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01637B1/ko
Publication of KR201600834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834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016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016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3/0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 H02M3/2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 H02M3/2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 H02M3/28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 H02M3/30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using devices of a thyratron or thyristor type requiring extinguishing means
    • H02M3/31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using devices of a thyratron or thyristor type requiring extinguishing mean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 H02M3/315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using devices of a thyratron or thyristor type requiring extinguishing mean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with automatic control of the output voltage or current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1/00Details of apparatus for conversion
    • H02M1/14Arrangements for reducing ripples from dc input or output
    • H02M1/143Arrangements for reducing ripples from dc input or output using compensating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Dc-Dc Converters (AREA)

Abstract

어댑터의 PSR 가변 정전류 제어를 위한 피드백 신호의 노이즈를 제거하는 제어 회로 및 그 제어 방법이 개시된다. 제어 회로는, 일차 전압을, 일차 권선 및 이차 권선의 권선비에 따라 이차 전압으로 변환하는 변환부, 상기 변환부로부터의 출력전압에 대한 전압 피드백 정보 서로 다른 복수의 변조방식으로 각각 변조하여 변조된 신호들을 포함하는 피드백 신호를 일차측 제어부로 전달하는 이차측 제어부 및 상기 피드백 신호에 포함된 변조된 신호들을 상기 서로 다른 복수의 변조방식에 대응하는 서로 다른 복수의 복조방식으로 각각 복원하고, 복원된 신호들을 이용하여 상기 피드백 신호에서 노이즈를 제거하는 상기 일차측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어댑터의 PSR 가변 정전류 제어를 위한 피드백 신호의 노이즈를 제거하는 제어 회로 및 그 제어 방법{REGULATION CIRCUIT FOR CANCELLING NOISE OF FEEDBACK SIGNAL FOR PRIMARY SIDE REGULATION VARIABLE CONSTANT CURRENT REGULATION OF ADAPTER AND REGULATION METHOD THEREOF}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어댑터의 PSR 가변 정전류 제어를 위한 피드백 신호의 노이즈를 제거하는 제어 회로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어댑터(Adapter Application)에서 충전시간은 중요한 특성으로, 이러한 충전시간을 만족시키기 위해서는 전력(Power)을 증가시켜야 한다.
이를 위해, 어댑터에서는 정전압(Constant Voltage, CV) 제어(regulation) 값 및/또는 정전류(Constant Current, CC) 제어 값을 고정하지 않고, 가변함으로써 퀵 차지(Quick Charger) 기능을 수행한다. 이때, 전원 IC는, 어댑터와 연결된 제품에서 보내주는 출력가변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출력가변신호에 따라 정전압 제어의 레벨 또는 정전류 제어의 레벨을 가변한다.
그러나, 종래기술에서는 SSR(Secondary-Side Regulation)로 정전압이나 정전류를 위한 회로를 구현하기 때문에 별도의 센싱(sensing) 저항을 사용해야 하고, 센싱 저항의 사용에 따라 발생하는 전력손실에 의해 효율에 악영향을 미치게 된다.
제1 집적회로에서 보조 권선으로부터 전류 피드백 정보 및 제2 집적회로로부터 수신된 전압 피드백 정보를 이용하여 정전압 및 정전류 신호 레벨을 제어할 수 있는 제어 회로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제2 집적회로에서 커패시터 커플링을 이용하여 전압 피드백 정보를 제1 집적회로로 출력할 수 있는 제어 회로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제2 집적회로에서 커패시터 커플링을 이용하여 출력가변신호를 전압 피드백 정보와 함께 이중신호로 전달할 수 있는 제어 회로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커패시터 커플링(또는 인덕티브 커플링)의 신호 전달 방식에서 이중 변복조 방식과 노이즈 제거 회로를 이용하여 노이즈 면역력을 향상시킴으로써 리플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오작동을 제거 또는 감소시킬 수 있는 제어 회로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출력전압에 대한 전압 피드백 정보를 하나의 변조방식이 아닌 서로 다른 복수의(일례로, 두 개의) 변조방식으로 각각 변조하여 변조된 신호들을 포함하는 피드백 신호를 일차측 제어부로 전달하고, 피드백 신호에 포함된 변조된 신호들을 서로 다른 복수의 변조방식에 대응하는 서로 다른 복수의 복조방식으로 각각 복원함으로써, 복원된 신호들을 이용하여 피드백 신호에서 노이즈를 제거할 수 있는 제어 회로가 제공된다.
일측에 따르면, 이차측 제어부는, 출력전압에 대한 오차증폭기의 출력값을 제1 변조방식(일례로, 펄스폭변조 방식)으로 변조하여 상기 제1 변조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출력값을 제2 변조방식(일례로, 펄스진폭변조 방식)으로 변조하여 제2 변조신호를 생성하며 제1 변조신호와 제2 변조신호를 믹싱하여 피드백 신호를 생성함으로써, 서로 다른 변조방식으로 변조된 신호를 일차측 제어부로 전달할 수 있다.
다른 측면에 따르면, 일차측 제어부는, 피드백 신호를 제1 변조방식에 대응하는 제1 복조방식과 제2 변조방식에 대응하는 제2 복조방식으로 각각 복조하여 제1, 2 피드백 값을 복원함으로써, 변조방식들이 서로 다른 종류의 노이즈에 대해 취약한 점을 활용하여 노이즈 제거를 위한 팩터들을 생성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제1 변조방식 및 제2 변조방식은, 펄스폭변조(Pulse Width Modulation, PWM), 펄스진폭변조(Pulse Amplitude Modulation, PAM), 펄스위상변조(Pulse Phase Modulation, PPM) 및 펄스주파수변조(Pulse Frequency Modulation, PFM) 등과 같이 다양한 변조방식들 중에서 선택된 서로 다른 변조방식들이 이용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일차측 제어부는, 노이즈가 포함된 신호의 값이 증가하는 특징을 이용하여 복원된 신호들의 값들(제1, 2 피드백 값) 중 상대적으로 작은 값을 선택하여 피드백 신호의 값을 결정함으로써, 피드백 신호에서 노이즈를 제거할 수 있다.
제1 집적회로에서 보조 권선으로부터 전류 피드백 정보 및 제2 집적회로로부터 수신된 전압 피드백 정보를 이용하여 정전압 및 정전류 신호 레벨을 제어할 수 있다.
제2 집적회로에서 커패시터 커플링을 이용하여 전압 피드백 정보를 제1 집적회로로 출력할 수 있다.
제2 집적회로에서 커패시터 커플링을 이용하여 출력가변신호를 전압 피드백 정보와 함께 이중신호로 전달할 수 있다.
가변 PSR 정전류 제어를 통해 별도의 전류 센싱저항의 사용이 요구되지 않기 때문에 더 높은 효율의 제어 회로를 제공할 수 있다.
커패시터 커플링(또는 인덕티브 커플링)의 신호 전달 방식에서 이중 변복조 방식과 노이즈 제거 회로를 이용하여 노이즈 면역력을 향상시킴으로써 리플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오작동을 제거 또는 감소시킬 수 있다.
도 1은 고정된 전압-전류 커브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2는 가변 전압-전류 커브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3은 어댑터를 구성하는 회로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전압 피드백 정보를 일차측 집적회로로 전달하는 회로 구성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전압 피드백 정보와 출력가변신호의 이중신호를 일차측 집적회로로 전달하는 회로 구성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일차측 제어부 및 이차측 제어부의 내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PSR 가변 정전류 제어를 위한 제어 회로의 제어 방법의 예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피드백 값에 대한 시뮬레이션 결과의 예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9는 피드백 전달을 위한 회로의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피드백 전달을 위한 회로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제어 회로가 포함하는 일차측 제어부 및 이차측 제어부의 내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제어 회로의 제어 방법의 예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13 및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노이즈의 유무에 따른 신호들의 출력파형의 예를 나타낸 도면들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일례로, 모바일 기기의 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한 충전용 어댑터와 같은 장치에 구비되는 제어 회로 및 제어 회로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백그라운드(Background)
도 1은 고정된 전압-전류 커브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그래프(100)의 x-축은 전류(Io)를, y-축은 전압(Vo)을 각각 나타내고 있으며, 각각 정전압(Constant Voltage) 구간과 정전류(Constant Current) 구간을 나타내고 있다.
정전류 충전법은, 일정한 전류를 계속 흘리면서 충전하는 방법으로, 배터리가 충전됨에 따라 전압이 높아지기 때문에 전류를 공급하는 쪽의 전압을 계속 높여주어야 한다. 충전완료시간의 예상이 가능한 반면, 예상시간을 넘기면 그만큼 과 충전될 우려가 있다.
정전압 충전법은 전원 전압을 일정하게 유지하면서 충전하는 방법으로, 충전 초기에는 충전 전류가 급격히 증가하다가 점차 감소한다. 짧은 시간 내에 충전을 완료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나, 충전 완료 시간을 예측하기 어렵다.
도 2는 가변 전압-전류 커브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그래프(200)는 정전압 제어의 레벨이나 정전류 제어의 레벨을 가변함으로써, 퀵 차지 기능을 수행할 수 있음을 나타내고 있다.
예를 들어, 어댑터를 구성하는 전원 집적회로는 외부(일례로, 어댑터가 연결된 제품)로부터 수신되는 출력가변신호에 따라 정전압 제어(Constant Voltage Regulation)의 레벨이나 정전류 제어(Constant Current Regulation)의 레벨을 가변하여 필요한 정전압 또는 정전류를 선택적으로 공급할 수 있다.
도 3은 어댑터를 구성하는 회로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SSR(Secondary side Regulation) 방식의 제어회로(300)로서, 일차측 집적회로(310)와 이차측 집적회로(320)를 활용하는 예를 나타내고 있다.
이차측 집적회로(320)는 외부로부터(일례로, 도 3의 단자들(330 및 340)을 통해) 출력가변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출력가변신호에 따라 이차측 회로에서의 정전류 제어의 레벨 및/또는 정전압 제어의 레벨을 변형함으로써, 출력을 가변한다.
이때, 제어회로(300)는 정전류 제어를 위해 출력라인 부분에서 전류의 센싱을 위한 별도의 센싱저항(점선타원(350)으로 표시된 저항)을 사용한다.
그러나 출력라인 부분은 큰 전류(일례로, 약 2A)가 흐르는 곳으로, 센싱저항에서 발생하는 전력 손실이 전류의 제곱과 저항에 비례함을 고려하면 센싱저항의 사용에 따라 발생하는 전력 손실은 효율에 악영향을 미치게 된다. 최대한 작은 저항을 사용하더라도 효율에 미치는 영향은 무시할 수 없는 수준이다.
이러한 SSR 방식의 제어회로의 단점으로 인해 PSR(Primary side Regulation) 방식이 요구된다.
PSR(Primary side Regulation) 방식의 제어 회로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전압 피드백 정보를 일차측 집적회로로 전달하는 회로 구성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PSR 방식의 제어 회로(400)는 일차 전압을, 일차 권선 및 이차 권선의 권선비에 따라 이차 전압으로 변환하는 변환부를 포함하는 어댑터를 위한 회로일 수 있다.
이러한 제어 회로(400)는 이차측 집적회로(410)에서 다양한 방식의 변조방식 중 하나의 방식을 이용하여 전압 피드백 정보(Vo Information)를 일차측 집적회로(420)로 전달한다. 예를 들어, 이차측 집적회로(410)는 오차증폭기(error AMP)의 출력값을 제1 변조방식으로 변조하여 전압 피드백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생성된 전압 피드백 정보는, 이차측 집적회로(410)와 일차측 집적회로(420) 사이에 배치되는 커패시터를 통해, 커패시터 커플링(capacitor coupling) 방식을 이용하여 전압 피드백 정보를 일차측 집적회로(420)로 전달할 수 있다.
일례로, 커플링 커패시터는 직류분을 저지하고 교류분만을 전달하기 위한 커패시터로, 이차측 집적회로(410)와 일차측 집적회로(420)를 커패시턴스를 개입하여 결합하는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때, 일차측 집적회로(420)는 보조 권선(430)으로부터 전류 피드백 정보(Io Information)를 수신하고, 전류 피드백 정보와 이차측 집적회로(410)로부터 전달받은 전압 피드백 정보를 비교하여 정전압 제어를 위한 구역인지 정전류 제어를 위한 구역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일례로, 전류 피드백 정보는 일차 전압, 일차 권선과 이차 권선의 권선비에 따라 변환된 이차 전압, 상기 권선비, 그리고 이차 권선과 보조 권선(430)의 권선비에 기반하여 얻어질 수 있다.
이 경우, 일차측 집적회로(420)는 판단결과에 따라 이차측 회로로 전달하기 위한 전원을 FET(field effect transistor)를 통해 제어하여 정전압 제어 또는 정전류 제어를 처리할 수 있다.
반면, 출력가변신호는 이차측 집적회로(410)로 수신되기 때문에, 가변형 PSR 방식의 사용을 위해서는 출력가변신호를 일차측 집적회로(420)로 전달해야 할 필요성이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전압 피드백 정보와 출력가변신호의 이중신호를 일차측 집적회로로 전달하는 회로 구성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가변 PSR 방식의 제어 회로(500)는 일차 전압을, 일차 권선 및 이차 권선의 권선비에 따라 이차 전압으로 변환하는 변환부를 포함하는 어댑터를 위한 회로일 수 있다.
이러한 제어 회로(500)는 이차측 집적회로(510)에서 제1 변조방식을 이용하여 전압 피드백 정보(Vo Information)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이차측 집적회로(510)는 외부(일례로, 어댑터가 연결된 제품)로부터 수신된 출력가변신호(Variable Signal)를 제2 변조방식으로 변조하여 변조된 출력가변신호와 전압 피드백 정보를 포함하는 이중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차측 집적회로(510)는 전압 피드백 정보와 변조된 출력가변신호를 믹싱하여 이중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제1 변조방식 및 제2 변조방식은 펄스폭변조(Pulse Width Modulation, PWM), 펄스진폭변조(Pulse Amplitude Modulation, PAM), 펄스위상변조(Pulse Phase Modulation, PPM) 및 펄스주파수변조(Pulse Frequency Modulation, PFM) 중에서 선택된 서로 다른 변조방식을 각각 포함할 수 있다.
제1 변조방식과 제2 변조방식은, 서로 다른 변조방식이라는 점을 제외하면, 다양한 변조방식들 중에서 필요에 따라 선택된 변조방식들을 활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차측 집적회로(510)는 펄스폭변조 방식을 이용하여 전압 피드백 정보를 생성하고, 펄스진폭변조 방식을 이용하여 출력가변신호를 변조할 수 있다.
생성된 이중신호는, 이차측 집적회로(510)와 일차측 집적회로(520) 사이에 배치되는 커패시터를 통해, 커패시터 커플링(capacitor coupling) 방식을 이용하여 일차측 집적회로(520)로 전달될 수 있다.
일례로, 커플링 커패시터는 직류분을 저지하고 교류분만을 전달하기 위한 커패시터로, 이차측 집적회로(510)와 일차측 집적회로(520)를 커패시턴스를 개입하여 결합하는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일차측 집적회로(520)는 보조 권선(530)을 통해 수신되는 전류 피드백 정보, 이중신호가 포함하는 전압 피드백 정보 및 출력가변신호를 이용하여 정전압 제어 또는 정전류 제어를 처리할 수 있다.
이때, 일차측 집적회로(520)는 수신된 이중신호를 제1 변조방식에 대응하는 제1 복조방식을 통해 복조하여 전압 피드백 정보를 복원할 수 있고, 이중신호를 제2 변조방식에 대응하는 제2 복조방식을 통해 복조하여 출력가변신호를 얻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일차측 집적회로(520)는 제1 변조방식이 펄스폭변조 방식인 경우, 펄스폭변조 방식의 복조를 통해 이중신호로부터 전압 피드백 정보를 복원할 수 있다. 또한, 일차측 집적회로(520)는 제2 변조방식이 펄스진폭변조 방식인 경우, 펄스진폭변조 방식의 복조를 통해 이중신호로부터 출력가변신호를 얻을 수 있다.
이때, 일차측 집적회로(520)는 출력가변신호에 따라 정전류 제어의 레벨을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일차측 집적회로(520)는 전압 피드백 정보 및 전류 피드백 정보를 비교하여 더 작은 값을 피드백 값으로 선택함으로써, 정전압 제어 또는 정전류 제어를 선택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일차측 제어부 및 이차측 제어부의 내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6은 제어회로가 포함하는 일차측 제어부(610), 이차측 제어부(일620) 및 출력레벨 제어부(630)를 나타내고 있다. 일차측 제어부(61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PAM 복조부(611), PWM 복조부(612) 및 정전류 제어부(613)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차측 제어부(620)는 오차증폭부(621), PAM 변조부(622), PWM 변조부(623) 및 PWM-PAM 믹싱부(624)를 포함할 수 있다.
도 6의 실시예에서는 제1 변조방식으로 펄스폭변조 방식을, 제2 변조방식으로 펄스진폭변조 방식을 채택한 예를 나타내고 있으나, 제1 변조방식과 제2 변조방식은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펄스폭변조, 펄스진폭변조, 펄스위상변조 및 펄스주파수변조 중에서 선택된 서로 다른 변조방식을 각각 포함할 수 있다.
오차증폭부(621)는 출력 전압과 기준 전압의 차이를 증폭하여 증폭된 차이값을 출력값으로 출력할 수 있다.
PWM 변조부(622)는, 제1 변조방식을 이용하는 제1 변조부의 예로서, 오차증폭부(621)의 출력값을 펄스폭변조 방식으로 변조하여 전압 피드백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PAM 변조부(623)는, 제2 변조방식을 이용하는 제2 변조부의 예로서, 외부로부터 수신된 출력가변신호를 펄스진폭변조 방식으로 변조할 수 있다.
PWM-PAM 믹싱부(624)는, 제1 변조방식을 통해 생성된 전압 피드백 정보와 제2 변조방식을 통해 변조된 출력가변신호를 믹싱하는 믹싱부의 예로서, 펄스진폭변조 방식으로 변조된 출력가변신호와 펄스폭변조 방식으로 변조하여 생성된 전압 피드백 정보를 믹싱하여 이중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제1 변조방식과 제2 변조방식으로 서로 다른 변조방식이 이용된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이미 알려진 다양한 변조방식들 중 두 가지 변조방식들이 제1 변조방식 및 제2 변조방식으로 활용될 수 있다.
이중신호는 일차측 제어부(610)와 이차측 제어부(620) 사이에 배치되는 커패시터를 통해, 커패시터 커플링 방식으로 이차측 제어부(620)에서 일차측 제어부(610)로 전달될 수 있다.
PAM 복조부(611)는, 제2 변조방식에 대응하는 제2 복조방식을 이용하여 이중신호에서 출력가변신호를 복조하는 제2 복조부의 예로서, 펄스진폭변조 방식에 대응하는 복조기(demodulator)일 수 있으며, 전달된 이중신호를 복조하여 출력가변신호를 얻을 수 있다.
PWM 복조부(612)는, 제1 변조방식에 대응하는 제1 복조방식을 이용하여 이중신호에서 전압 피드백 정보를 복원하는 제1 복조부의 예로서, 펄스폭변조 방식에 대응하는 복조기일 수 있으며, 전달된 이중신호를 펄스폭변조 방식으로 복조하여 전압 피드백 정보를 얻을 수 있다.
정전류 제어부(613)는, 출력가변신호에 따라 정전류 제어의 레벨을 선택하는 레벨 선택부일 수 있다.
이 외에, 일차측 제어부(610)는, 보조 권선으로부터 전류 피드백 정보를 수신하는 전류 피드백 정보 수신부(미도시) 및 전류 피드백 정보 및 전압 피드백 정보에 기반하여 정전압 제어 또는 정전류 제어를 선택하기 위한 제어 선택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출력레벨 제어부(630)를 통해 정전압 제어 또는 정전류 제어가 처리될 수 있다.
PSR(Primary side Regulation) 방식의 제어 회로의 제어 방법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PSR 가변 정전류 제어를 위한 제어 회로의 제어 방법의 예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본 실시예에 다른 제어 방법은 도 6을 통해 설명한 제어 회로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단계(710)에서 이차측 제어부(620)는 오차증폭기(error AMP)의 출력값을 PWM으로 변조하여 전압 피드백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단계(720)에서 이차측 제어부(620)는 출력가변신호를 PAM으로 변조할 수 있다.
전압 피드백 정보를 위한 변조방식과 출력가변신호를 위한 변조방식은 서로 다른 변조방식이 이용된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다양한 변조방식들 중에서 선택된 변조방식들이 활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출력가변신호는 PAM이 아닌 PFM으로 변조될 수도 있다. 이 경우, 변조된 출력가변신호는 일차측 제어부(610)에서 PFM에 대응하는 복조방식으로 복조될 수 있다.
단계(730)에서 이차측 제어부(620)는 전압 피드백 정보 및 변조된 출력가변신호를 믹싱하여 생성된 이중신호를 커패시터를 통해 일차측 제어부(610)로 전달할 수 있다.
이러한 이중신호는 커패시터 커플링을 통해 이차측 제어부(620)에서 일차측 제어부(610)로 전달될 수 있다. 커패시터 커플링에 대해서는 이미 잘 알려져 있기 때문에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단계(740)에서 일차측 제어부(610)는 PAM 복조를 통해 변조된 출력가변신호를 복조하여 정전류 제어의 레벨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정전류 제어의 레벨들은 도 2의 그래프에서와 같이 기설정될 수 있으며, 일차측 제어부(520)는 출력가변신호가 나타내는 정전류 제어의 레벨을 선택할 수 있다.
단계(750)에서 일차측 제어부(610)는 PWM 복조를 통해 전압 피드백 정보를 복조하고, 전압 피드백 정보와 전류 피드백 정보를 비교하여 정전압 제어 또는 정전류 제어를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차측 제어부(610)는 단계(750)에서 전압 피드백 정보 및 전류 피드백 정보를 비교하여 더 작은 값을 피드백 값으로 선택함으로써, 정전압 제어 또는 정전류 제어를 선택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제어 방법은, 전류 피드백 정보를 얻기 위해, 보조 권선으로부터 전류 피드백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미도시)를 단계(750) 이전에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제어 회로 및 제어 방법을 이용하면, 가변형 PSR 방식을 위해 전압 피드백 정보뿐만 아니라 외부로부터 이차측 제어부로 전달되는 출력가변신호도 이중신호를 통해 일차측 제어부로 전달하여 일차측에서 출력 가변을 위한 정전압 제어 및 정전류 제어가 가능해진다.
시뮬레이션 결과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피드백 값에 대한 시뮬레이션 결과의 예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그래프(800)에서 x-축은 시간축이고, y-축은 각각의 케이스에 대한 값들에 대한 정규화된 값을 나타낼 수 있다. 상단으로부터 첫 번째 파형은 정전압을, 두 번째 파형은 정전류를, 세 번째 파형은 정전류 제어의 레벨을, 네 번째 파형은 PAM 신호를, 그리고 마지막 다섯 번째 파형은 최종 피드백 정보를 각각 나타내고 있다.
네 번째 파형에서 PAM 신호가 증가했을 때, 도 6을 통해 설명한 정전류 제어부(613)에서는 더 높은 레벨의 정전류 피드백 값을 선택하기 때문에 정전류 제어의 레벨이 변화하게 된다.
이때, PAM 신호의 증가에 따라 세 번째 파형에서 점선으로 표시된 낮은 정전류 제어의 레벨에서 실선으로 표시된 높은 정전류 제어의 레벨로 변화되고, 두 번째 파형에서 전류가 증가됨이 나타나 있다. 예를 들어, 200 마이크로 초와 300 마이크로 초 사이의 파형들은 PAM 신호가 증가함에 따라 정전류 제어의 레벨이 증가하여 전류가 증가함을 나타내고 있다.
다섯 번째 파형은, 첫 번째 파형의 정전압 피드백 값과 두 번째 파형의 정전류 피드백 값을 비교하여 얻어지는 파형으로, 두 값 중 작은 값을 따라 최종 피드백 정보가 결정되는 모습을 나타내고 있다. 예를 들어, 200 마이크로 초와 300 마이크로 초 사이에 전압이 전류보다 작아짐에 따라 정전압 제어가 선택될 수 있다.
PSR(Primary side Regulation) 방식의 제어 회로에서의 피드백 전달 방법에 대한 백그라운드
전력변환기(Power Converter) 중에서 절연 타입 변환기(Isolation Type Converter)에서의 피드백 전달 방법은, 통상적으로 포토 커플러(photo coupler)를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소형 어댑터와 같은 어플리케이션에서는, 크기를 줄이고 대기전력을 감소시키기 위해 포터 커플러 외의 방식을 구상하는 경향이 있다. 그 대표적인 예가 커패시터 커플링(capacitor coupling) 방법과 인덕티브 커플링(inductive coupling) 방법이다.
포터 커플러는 많은 양의 전류로 소자를 구동하기 때문에 노이즈가 신호 전달에 끼치는 영향이 거의 무시할 수준이다. 그러나, 커패시터 커플링 또는 인덕티브 커플링의 경우에는 노이즈가 신호 전달에 악영향을 줄 수 있으므로 노이즈 면역력(noise immunity)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방법을 강구해야 한다.
도 9는 피드백 전달을 위한 회로의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이차측의 신호를 커패시터 커플링(capacitor coupling) 방식으로 일차측으로 전달하는 회로의 예로서, 이차측 회로에서는 오차증폭기(Error Amp, 910)의 출력값을 펄스폭변조(Pulse Width Modulation, PWM)를 위한 PWM 모듈레이터(PWM modulator, 920)를 통해 변조하여 커패시터 커플링 방식의 커플러(Coupler, 930)를 통해 일차측 회로로 전달하는 예를 나타내고 있다. 이때, 일차측 회로에서는, PWM 디모듈레이터(PWM demodulator, 940)를 통해 변조된 신호를 복조함으로써, 이차측의 정보를 일차측에서 복원하여 얻을 수 있다.
정보를 변조 및 복조하는 방법으로는, 펄스폭변조(Pulse Width Modulation, PWM), 펄스진폭변조(Pulse Amplitude Modulation, PAM), 펄스위상변조(Pulse Phase Modulation, PPM) 및 펄스주파수변조(Pulse Frequency Modulation, PFM) 등과 같이 다양한 변조/복조 방식들이 존재한다.
그러나, 어떠한 방식으로 신호를 변조 및 복조하여 전달하더라도, 커패시터 커플링 방식(또는 인덕티브 커플링 방식)은 일차측 메인 스위치의 스위칭 노이즈를 비롯하여 다양한 형태의 노이즈가 신호의 인식에 악영향을 줄 수 있다.
일례로, 커플러(930)에서 노이즈가 발생하여 진폭에 영향을 주게 되면, 펄스진폭변조 방식을 통해 변조 및 복조된 신호에 노이즈가 포함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일차측의 PWM 디모듈레이터(940)는 펄스폭변조 방식으로 변조된 신호와 기준전압을 비교기를 통해 비교하여 펄스폭변조 방식으로 변조된 신호를 복원할 수 있다. 이때, 일차측의 그라운드 레벨(ground level)과 이차측의 그라운드 레벨이 서로 달라지는 경우, 펄스폭변조 방식으로 변조된 신호가 계속 기준전압 이상으로 상승해버리기 때문에 펄스폭변조 방식으로 변조된 신호의 복원시에 오차가 발생하게 된다. 이 경우, 일차측에서 펄스폭변조 방식을 통해 변조 및 복조된 신호에 노이즈가 포함될 수 있다.
게이트 컨트롤러(Gate Controller, 950)는, PWM 디모듈레이터(940)에 의해 복원된 신호(피드백 신호)를 이용하여 일차측 스위치의 게이트를 구동하는 기준전압을 생성하여 게이트를 제어할 수 있다. 만약, 노이즈에 의해 피드백 신호에 오차가 발생하는 경우, 피드백 신호가 상승하게 되고, 일차측에서 이차측으로 필요한 값보다 더 많은 에너지를 전달하게 되어 이차측 출력에 오버슈트(overshoot)가 생겨 리플(ripple) 특성에 악영향을 끼치게 된다.
따라서, 커패시터 커플링 또는 인덕티브 커플링을 이용하여 피드백을 전달하는 방법에서 노이즈에 대한 면역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이 요구된다.
PSR(Primary side Regulation) 방식의 제어 회로에서의 새로운 피드백 전달 방법
도 9를 통해 설명한 구조에서는 이차측 정보를 한 가지 방식으로만 변조 및 복조하기 때문에 노이즈를 보상하기 어렵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는 하나의 이차측 신호를 두 가지 서로 다른 변조방식을 이용하여 두 가지 변조된 신호를 생성하고, 생성된 두 신호를 믹싱하여 생성되는 믹싱신호를 일차측으로 전달할 수 있다.
이때, 일차측에서는 수신된 신호를 상술한 두 가지 서로 다른 변조방식에 대응하는 두 가지 서로 다른 복조방식을 통해 복조함으로써, 동일한 신호에 대한 두 개의 신호를 복원할 수 있다. 이때, 일차측에서는 이러한 두 개의 신호를 비교하여 노이즈를 보상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피드백 전달을 위한 회로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도 9를 통해 설명한 오차증폭기(910), PWM 모듈레이터(920), 커플러(930), PWM 디모듈레이터(940) 및 게이트 컨트롤러(950) 외에도, 이차측 회로에 PAM 모듈레이터(PAM modulator, 1010) 및 PWM-PAM 믹서(PWM-PAM mixer, 1020)가 더 포함되고, 일차측 회로에 PAM 디모듈레이터(PAM demodulator, 1030) 및 노이즈 캔셀러(Noise Canceller, 1040)가 더 포함된 예를 나타내고 있다.
도 10에서는, 펄스폭변조 방식과 펄스진폭변조 방식의 두 가지 변조/복조 방식을 사용하는 예를 설명하나, 변조/복조 방식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변조/복조 방식은 펄스폭변조, 펄스진폭변조, 펄스위상변조 및 펄스주파수변조 등과 같이 다양한 변조/복조 방식들 중에서 두 가지(혹은 셋 이상)의 변조/복조 방식이 활용될 수 있다.
이차측 회로에서, 오차증폭기(910)의 출력값은, PWM 모듈레이터(920)를 통해 펄스폭변조 방식의 제1 변조신호로 변조될 수 있다. 또한, 오차증폭기(910)의 출력값은, 병렬적으로 PAM 모듈레이터(1010)를 통해 펄스진폭변조 방식의 제2 변조신호로 변조될 수 있다.
제1 변조신호와 제2 변조신호는 PWM-PAM 믹서(1020)를 통해 믹싱되어 하나의 신호가 생성될 수 있으며, 생성된 신호는 커플러(930)를 통해 일차측 회로로 전달될 수 있다.
일차측 회로에서, 전달된 신호는, PWM 디모듈레이터(940)와 PAM 디모듈레이터(1030)로 각각 입력되어 복원될 수 있다. PWM 디모듈레이터(940)와 PAM 디모듈레이터(1030)에서 각각 복원된 두 신호는 노이즈 캔셀러(1040)로 입력될 수 있고, 노이즈 캔셀러(1040)는 입력된 두 신호를 이용하여 노이즈를 제거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제어 회로가 포함하는 일차측 제어부 및 이차측 제어부의 내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제어회로는 일차측 제어부(1110) 및 이차측 제어부(1120)를 포함할 수 있다. 일차측 제어부(1110)는 PAM 복조부(1111), PWM 복조부(1112) 및 노이즈 제거부(1113)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차측 제어부(1120)는 오차증폭부(1121), PAM 변조부(1122), PWM 변조부(1123) 및 PWM-PAM 믹싱부(1124)를 포함할 수 있다.
오차증폭부(1121)는 출력 전압과 기준전압의 차이를 증폭하여 증폭된 차이값을 출력값으로 출력할 수 있다.
PAM 변조부(1122)는, 제1 변조방식을 이용하는 제1 변조부의 예로서, 오차증폭부(1121)의 출력값을 펄스진폭변조 방식으로 변조하여 제1 변조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PWM 변조부(1123)는, 제2 변조방식을 이용하는 제2 변조부의 예로서, 오차증폭부(1121)의 출력값을 펄스폭변조 방식으로 변조하여 제2 변조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제1 변조방식과 제2 변조방식으로 서로 다른 변조방식이 이용된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이미 알려진 다양한 변조방식들 중 두 가지 변조방식들이 제1 변조방식 및 제2 변조방식으로 활용될 수 있다.
제1 변조신호와 제2 변조신호는, PWM 변조부(1123)와 PAM 변조부(1122)를 통해 병렬적으로 생성되어 각각 PWM-PAM 믹싱부(1124)로 전달될 수 있다.
PWM-PAM 믹싱부(1124)는, 제1 변조신호와 제2 변조신호를 믹싱하여 믹싱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믹싱신호는, 커패시터 커플링 또는 인덕티브 커플링을 통해 일차측 제어부(1110)로 전달될 수 있다.
PAM 복조부(1111)는, 제1 변조방식에 대응하는 제1 복조방식을 이용하여 믹싱신호에서 제1 변조신호를 복조하는 제1 복조부의 예로서, 펄스진폭변조 방식에 대응하는 복조기(demodulator)일 수 있으며, 전달된 믹싱신호에서 오차증폭부(1121)의 출력값을 제1 피드백 값으로 복원할 수 있다.
PWM 복조부(1112)는, 제2 변조방식에 대응하는 제2 복조방식을 이용하여 믹싱신호에서 제2 변조신호를 복조하는 제2 복조부의 예로서, 펄스폭변조 방식에 대응하는 복조기일 수 있으며, 전달된 믹싱신호에서 오차증폭부(1121)의 출력값을 제2 피드백 값으로 복원할 수 있다.
믹싱신호는 PAM 복조부(1111)와 PWM 복조부(1112)에 병렬적으로 전달될 수 있다.
노이즈 제거부(1113)는, 제1 피드백 값과 제2 피드백 값을 이용하여 노이즈를 제거한 피드백 값을 생성할 수 있다. 이때, 노이즈가 포함된 피드백 값(제1 피드백 값 또는 제2 피드백 값)은 그 값이 증가하게 된다. 따라서, 노이즈 제거부(1113)는 제1 피드백 값과 제2 피드백 값 중 상대적으로 작은 값을 선택하는 방식을 통해 피드백 값을 생성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제어 회로의 제어 방법의 예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제어 방법은 도 11을 통해 설명한 제어 회로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단계(1210)에서 이차측 제어부(1120)는 이차측 제어부(1120)의 오차증폭기에서 기준전압과 센싱된 이차측 전압을 비교하여 이차측 정보를 생성하여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오차증폭기는 도 11을 통해 설명한 오차증폭부(1121)에 대응될 수 있으며, 이차측 정보는 오차증폭부(1121)의 출력값에 대응될 수 있다.
단계(1220)에서 이차측 제어부(1120)는 오차증폭기의 출력값을 PAM 및 PWM으로 각각 변조할 수 있다.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변조 방식은 이미 잘 알려진 다양한 변조 방식들 중 서로 다른 두 가지 변조 방식이 각각 이용될 수 있다.
단계(1230)에서 이차측 제어부(1120)는 PAM 및 PWM으로 각각 변조된 정보를 믹싱하여 하나의 신호를 생성하여 일차측 제어부(111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생성된 신호는 도 11을 통해 설명한 믹싱신호에 대응될 수 있으며, 커패시터 커플링 또는 인덕티브 커플링을 통해 일차측 제어부(1110)로 전달될 수 있다.
단계(1240)에서 일차측 제어부(1110)는 PAM 복조 및 PWM 복조를 통해 수신된 신호를 각각 복원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각각 복원된 신호들은 도 11을 통해 설명한 제1 피드백 값과 제2 피드백 값에 대응될 수 있다.
단계(1250)에서 일차측 제어부(1110)는 각각 복원된 두 개의 신호를 이용하여 노이즈를 제거할 수 있다.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일차측 제어부(1110)는 각각 복원된 두 개의 신호에서 상대적으로 작은 값을 선택하는 방식을 통해 피드백 신호에서 노이즈를 제거할 수 있다.
시뮬레이션 결과
도 13 및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노이즈의 유무에 따른 신호들의 출력파형의 예를 나타낸 도면들이다.
우선, 도 13의 그래프(1300)는, 노이즈가 없는 경우의 신호들의 출력파형들에 대한 시뮬레이션 예로서, 오차증폭부(1121)의 출력(Error Amp OUT), PWM-PAM 믹싱부(1124)의 출력(PAM_PWM Modulation OUT), PAM 복조부(1111)의 출력(PAM Demodulation OUT), PWM 복조부의 출력(PWM Demodulation OUT) 및 노이즈 제거부(1113)의 출력(FB Demodulation OUT)에 대한 출력파형들을 각각 나타내고 있다. 이때, 노이즈가 없는 경우의 출력들은 모두 유사한 값을 가짐을 알 수 있다.
또한, 도 14의 그래프(1400)는, 노이즈가 발생한 경우의 신호들의 출력파형들에 대한 시뮬레이션 예로서, PAM 복조부(1111)의 출력(PAM), PWM 복조부의 출력(PWM) 및 노이즈 제거부(1113)의 출력(FB)에 대한 출력파형들을 각각 나타내고 있다. 이때, 제1 원(1410)은 PAM 복조부(1111)의 출력(PAM)에 노이즈가 포함되어 값이 증가된 예를, 제2 원(1420)은 PWM 복조부의 출력(PWM)에 노이즈가 포함되어 값이 증가된 예를 각각 나타내고 있다.
반면, 노이즈 제거부(1113)의 출력(FB)은 노이즈가 거의 제거된 예를 나타내고 있다. 이는, 노이즈 제거부(1113)가 PAM 복조부(1111)의 출력(PAM)의 값과, PWM 복조부의 출력(PWM)의 값 중 항상 상대적으로 작은 값을 취하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는, 이중으로 변복조 처리한 신호를 이용하여 노이즈를 제거함으로써, 전압 피드백 값이 변화하지 않거나 변화량이 현격히 감소되어 일차측 제어부(1110)에서 이차측 제어부(1120)로 에너지를 안정적으로 전달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1 집적회로에서 보조 권선으로부터 전류 피드백 정보 및 제2 집적회로로부터 수신된 전압 피드백 정보를 이용하여 정전압 및 정전류 신호 레벨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2 집적회로에서 커패시터 커플링을 이용하여 전압 피드백 정보를 제1 집적회로로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제2 집적회로에서 커패시터 커플링을 이용하여 출력가변신호를 전압 피드백 정보와 함께 이중신호로 전달할 수 있다.
이러한 가변 PSR 정전류 제어를 통해 별도의 전류 센싱저항의 사용이 요구되지 않기 때문에 더 높은 효율의 제어 회로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커패시터 커플링(또는 인덕티브 커플링)의 신호 전달 방식에서 이중 변복조 방식과 노이즈 제거 회로를 이용하여 노이즈 면역력을 향상시킴으로써 리플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오작동을 제거 또는 감소시킬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Claims (17)

  1. 일차 전압을, 일차 권선 및 이차 권선의 권선비에 따라 이차 전압으로 변환하는 변환부;
    상기 변환부로부터의 출력전압에 대한 전압 피드백 정보를 서로 다른 복수의 변조방식으로 각각 변조하여 변조된 신호들을 포함하는 피드백 신호를 일차측 제어부로 전달하는 이차측 제어부; 및
    상기 피드백 신호에 포함된 변조된 신호들을 상기 서로 다른 복수의 변조방식에 대응하는 서로 다른 복수의 복조방식으로 각각 복원하고, 복원된 신호들을 이용하여 상기 피드백 신호에서 노이즈를 제거하는 상기 일차측 제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회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차측 제어부는,
    상기 출력전압에 대한 오차증폭기의 출력값을 제1 변조방식으로 변조하여 제1 변조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출력값을 제2 변조방식으로 변조하여 제2 변조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제1 변조신호 및 상기 제2 변조신호를 믹싱하여 상기 피드백 신호를 생성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회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일차측 제어부는,
    상기 피드백 신호를 상기 제1 변조방식에 대응하는 제1 복조방식으로 복조하여 제1 피드백 값을 복원하고, 상기 피드백 신호를 상기 제2 변조방식에 대응하는 제2 복조방식으로 복조하여 제2 피드백 값을 복원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회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변조방식 및 상기 제2 변조방식은, 펄스폭변조(Pulse Width Modulation, PWM), 펄스진폭변조(Pulse Amplitude Modulation, PAM), 펄스위상변조(Pulse Phase Modulation, PPM) 및 펄스주파수변조(Pulse Frequency Modulation, PFM) 중에서 선택된 서로 다른 변조방식을 각각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회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일차측 제어부는,
    복원된 신호들의 값들 중 상대적으로 작은 값을 선택하여 상기 피드백 신호의 값을 결정함으로써, 상기 피드백 신호에서 노이즈를 제거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회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드백 신호는, 커패시터 커플링(capacitor coupling) 또는 인덕티브 커플링(inductive coupling)을 통해 상기 이차측 제어부에서 상기 일차측 제어부로 전달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회로.
  7. 오차증폭기의 출력값을 제1 변조방식으로 변조하여 제1 변조신호를 생성하는 제1 변조부;
    상기 출력값을 제2 변조방식으로 변조하여 제2 변조신호를 생성하는 제2 변조부; 및
    상기 제1 변조신호 및 상기 제2 변조신호를 믹싱하여 피드백 신호를 생성하고, 생성된 피드백 신호를 일차측 제어부로 전달하는 믹싱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회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일차측 제어부에서, 상기 피드백 신호를 상기 제1 변조방식에 대응하는 제1 복조방식으로 복조하여 제1 피드백 값이 복원되고, 상기 피드백 신호를 상기 제2 변조방식에 대응하는 제2 복조방식으로 복조하여 제2 피드백 값이 복원되고, 상기 제1 피드백 값 및 상기 제2 피드백 값을 이용하여 상기 피드백 신호의 노이즈가 제거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회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일차측 제어부에서, 상기 제1 피드백 값 및 상기 제2 피드백 값 중 상대적으로 작은 값이 상기 피드백 신호의 값으로 선택되어 상기 피드백 신호에서 노이즈가 제거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회로.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변조방식 및 상기 제2 변조방식은, 펄스폭변조(Pulse Width Modulation, PWM), 펄스진폭변조(Pulse Amplitude Modulation, PAM), 펄스위상변조(Pulse Phase Modulation, PPM) 및 펄스주파수변조(Pulse Frequency Modulation, PFM) 중에서 선택된 서로 다른 변조방식을 각각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회로.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피드백 신호는, 커패시터 커플링(capacitor coupling) 또는 인덕티브 커플링(inductive coupling)을 통해 상기 믹싱부에서 상기 일차측 제어부로 전달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회로.
  12. 이차측 제어부로부터 피드백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피드백 신호를 제1 복조방식으로 복조하여 제1 피드백 값을 복원하는 제1 복조부;
    상기 피드백 신호를 제2 복조방식으로 복조하여 제2 피드백 값을 복원하는 제2 복조부; 및
    상기 제1 피드백 값 및 상기 제2 피드백 값을 이용하여 상기 피드백 신호의 노이즈를 제거하는 노이즈 제거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회로.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이차측 제어부에서, 오차증폭기의 출력값을 상기 제1 복조방식에 대응하는 제1 변조방식으로 변조하여 제1 변조신호가 생성되고, 상기 출력값을 상기 제 2 복조방식에 대응하는 제2 변조방식으로 변조하여 제2 변조신호가 생성되며, 상기 제1 변조신호 및 상기 제2 변조신호를 믹싱하여 상기 피드백 신호가 생성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회로.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노이즈 제거부는,
    상기 제1 피드백 값 및 상기 제2 피드백 값 중 상대적으로 작은 값을 상기 피드백 신호의 값으로 선택함으로써, 상기 노이즈를 제거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회로.
  15. 제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의 제어 회로를 포함하는 전원공급장치.
  16. 이차측 제어부에서 오차증폭기의 출력값을 제1 변조방식으로 변조하여 제1 변조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이차측 제어부에서 상기 출력값을 제2 변조방식으로 변조하여 제2 변조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이차측 제어부에서 상기 제1 변조신호 및 상기 제2 변조신호를 믹싱하여 생성된 피드백 신호를 일차측 제어부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일차측 제어부에서 상기 제1 변조방식에 대응하는 제1 복조방식으로 상기 피드백 신호를 복조하여 제1 피드백 값을 복원하고, 상기 제2 변조방식에 대응하는 제2 복조방식으로 상기 피드백 신호를 복조하여 제2 피드백 값을 복원하는 단계; 및
    상기 일차측 제어부에서 상기 제1 피드백 값 및 상기 제2 피드백 값을 이용하여 상기 피드백 신호의 노이즈를 제거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피드백 신호의 노이즈를 제거하는 단계는,
    상기 제1 피드백 값 및 상기 제2 피드백 값 중 상대적으로 작은 값을 상기 피드백 신호의 값으로 선택함으로써, 상기 피드백 신호의 노이즈를 제거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방법.
KR1020140195249A 2014-12-31 2014-12-31 어댑터의 psr 가변 정전류 제어를 위한 피드백 신호의 노이즈를 제거하는 제어 회로 및 그 제어 방법 KR1021016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95249A KR102101637B1 (ko) 2014-12-31 2014-12-31 어댑터의 psr 가변 정전류 제어를 위한 피드백 신호의 노이즈를 제거하는 제어 회로 및 그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95249A KR102101637B1 (ko) 2014-12-31 2014-12-31 어댑터의 psr 가변 정전류 제어를 위한 피드백 신호의 노이즈를 제거하는 제어 회로 및 그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83494A KR20160083494A (ko) 2016-07-12
KR102101637B1 true KR102101637B1 (ko) 2020-04-23

Family

ID=565050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95249A KR102101637B1 (ko) 2014-12-31 2014-12-31 어댑터의 psr 가변 정전류 제어를 위한 피드백 신호의 노이즈를 제거하는 제어 회로 및 그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01637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40198535A1 (en) 2013-01-15 2014-07-17 System General Corp.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programmable power converter with low standby power los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40198535A1 (en) 2013-01-15 2014-07-17 System General Corp.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programmable power converter with low standby power los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83494A (ko) 2016-07-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89365B1 (ko) 비접촉 급전 시스템, 단말 장치, 비접촉 급전 장치 및 비접촉 급전 방법
US8854842B2 (en) Digital communication link between secondary side and primary side of switching power converter
KR100691271B1 (ko) 파워 어댑터용 정전압 회로
US9318897B2 (en) Reducing corruption of communication in a wireless power transmission system
US9973039B2 (en) Power receiver, wireless power system and related method of transmitting information with a power receiver
US10998741B2 (en) Charger
JP6446194B2 (ja) ワイヤレス受電装置、そのレシーバ回路およびワイヤレス受電装置の制御方法
US10291113B2 (en) Flyback power converter circuit and primary side controller circuit thereof
JP6632308B2 (ja) ワイヤレス送電装置、その制御回路および制御方法、充電器
KR101853913B1 (ko) 통신신호 크기를 제어하는 무선 전력 수신기
EP2284983A1 (en) Isolated AC-DC converter with master controller on secondary side and slave controller on primary side
JP6493385B2 (ja) 受電装置、給電制御方法、および給電システム
KR20130099152A (ko) 송전 장치, 수전 장치, 비접촉 전력 전송 시스템, 및, 비접촉 전력 전송 시스템에 있어서의 송전 전력의 제어 방법
KR20200024284A (ko) 무선 수신기 정류기 하부측 전류 제한형 동작
US9564816B2 (en) Converting leakage current to DC output
GB1563955A (en) Power supply circuits
KR102101637B1 (ko) 어댑터의 psr 가변 정전류 제어를 위한 피드백 신호의 노이즈를 제거하는 제어 회로 및 그 제어 방법
JP2013115917A (ja) 非接触電力伝送送電装置、非接触電力伝送受電装置、非接触電力伝送及び通信システム
KR100903462B1 (ko) 멀티형 충전 아답터 및 이를 구비한 무 접점 배터리 충전세트
WO2015019908A1 (ja) ワイヤレス電力伝送システム
KR102131468B1 (ko) 어댑터의 psr 가변 정전류 제어를 위한 제어 회로 및 그 제어 방법
US9425646B2 (en) Fast charging apparatus
KR102624071B1 (ko) 갈바닉 격리 포인트에 대한 입력 전압의 결정
JP6148551B2 (ja) 整流装置
US7800253B2 (en) Transmitting signals over interconnect carrying direct current from power supply to electronic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