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01558B1 - Cradle using assembling modul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 Google Patents

Cradle using assembling modul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01558B1
KR102101558B1 KR1020180082748A KR20180082748A KR102101558B1 KR 102101558 B1 KR102101558 B1 KR 102101558B1 KR 1020180082748 A KR1020180082748 A KR 1020180082748A KR 20180082748 A KR20180082748 A KR 20180082748A KR 102101558 B1 KR102101558 B1 KR 1021015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rtical
module
cradle
groove
vertical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8274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00008731A (en
Inventor
김다훈
김도이
김현주
박희준
Original Assignee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800827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01558B1/en
Publication of KR202000087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873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015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0155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9/00Cradles ; Bassine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9/00Bedsteads
    • A47C19/005Bedsteads dismountabl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7/00Children's beds
    • A47D7/01Children's beds with adjustable parts, e.g. for adapting the length to the growth of the children

Landscapes

  • Assembled Shel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분해 조립이 가능하면서도 침대의 사이즈를 조절할 수 있는 모듈형 시스템 요람에 관한 것이다.
본원발명의 모듈 시스템 요람은 부품별로 끼움 조립이 가능하도록 모듈화하고 이를 활용하여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자유롭게 치수를 조절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복수의 수직모듈들을 끼움(짜맞춤) 구조로 가변 측벽을 형성하고, 정면과 후면을 형성하는 판재와 가변 측벽은 나사결합을 통해 조립된 모듈 시스템 요람을 제공한다.
본원발명의 모듈 시스템 요람은 친환경 목제품(합판)을 사용할 뿐만 아니라 CNC(computer numerical control) 공작기계를 이용하여 목제품을 모듈화할 수 있다.
본원발명의 모듈 시스템 요람은 부품을 끼움(짜맞춤) 구조로 모듈화함으로서 사용자는 손쉽게 분해, 조립, 길이확장을 할 수 있고, 공급자는 모듈을 포장 배송할 수 있으므로 물류비를 줄일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dular system cradle capable of disassembling and assembling and adjusting the size of a bed.
The modular system cradl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odularized so that it can be fitted and assembled by parts, and by utilizing this, the user can freely adjust the dimensions as needed. That is,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odular system cradle assembled by screwing the plate and the variable sidewalls to form the variable sidewalls with a plurality of vertical modules fitted (fitted), and to form the front and rear surfaces.
The modular system cradl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not only use eco-friendly wood products (plywood), but also modularize wood products using computer numerical control (CNC) machine tools.
The modular system cradle of the present invention modularizes the parts into a fitting (customized) structure, so that the user can easily disassemble, assemble, and extend the length, and the supplier can package and ship the module, thereby reducing logistics costs.

Description

모듈 시스템 요람 및 이의 제조방법{Cradle using assembling modul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Cradle using assembling modul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본 발명은 모듈 시스템 요람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분해 조립이 가능하면서도 침대의 사이즈를 조절할 수 있는 모듈형 시스템 요람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dular system cradle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nd more particularly, to a modular system cradle capable of disassembling and assembling and adjusting the size of a bed.

아이를 출산한 부부, 초보 부모들이 가장 두려워하는 것 중의 하나가 ‘영아돌연사증후군(SIDS)’이다. 질병관리본부에 따르면 한 해에 영아돌연사증후군(이하 SIDS)으로 사망하는 영아의 숫자가 100명에 이른다고 한다. 영아돌연사증후군(SIDS)은 질식, 호흡곤란이 가장 큰 원인인데, 이를 예방할 수 있는 방법은 부모와 침대, 이불을 따로 사용하고, 푹신한 이불과 쿠션을 피하는 것이다. One of the things most feared by married couples and beginner parents is 'Sudden Infant Death Syndrome (SIDS)'. According to the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the number of infants who die from sudden death syndrome (SIDS) per year reaches 100. Infant sudden death syndrome (SIDS) is the most common cause of suffocation and shortness of breath.How to prevent this is to use a separate bed with parents, bed, and futon, and avoid fluffy blankets and cushions.

위의 문제들은 영유아 전용 침대를 사용하면 쉽게 해결할 수 있는데 한국에서는 영유아 전용 침대(이하 요람)를 사용하는 가정이 많지 않다. 가정에서 요람을 사용하는 것이 아이의 건강을 지키는 중요한 일임에도 불구하고 비싼 가격, 짧은 사용 기간(빠른 아이의 성장 등), 사용 후 처리 곤란 등의 문제점들로 인해 요람의 사용이 많지 않다. The above problems can be easily solved by using a bed for infants and toddlers, but there are not many families in Korea who use a bed for infants and toddlers. Despite the fact that using a cradle at home is an important thing to protect a child's health, there are not many cradles used due to problems such as high price, short period of use (fast growth of children, etc.) and difficulty in handling after use.

한국등록실용신안 20-047566호에는 철판이나 다리 겸용 좌우측판, 뒷판, 앞판 등을 용도나 목적에 따라 선택적으로 조립하여 의자, 요람, 책상 등을 만들 수 있는 조립식 의자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등록실용신안은 분할판이나 측판 등을 조립하여 의자, 요람, 독서대 등으로 형상을 변화시킬 수 있다. 다만, 상기 등록실용신안은 요람의 길이를 늘일 수는 없고, 각 부품의 볼트 너트 조립으로 인해 조립과 분해가 번거롭다는 한계가 있다.Korean Registered Utility Model No. 20-047566 discloses a prefabricated chair capable of selectively assembling an iron plate or a leg combined left and right side plate, back plate, front plate, etc. according to the purpose or purpose to make a chair, cradle, desk, and the like. The registration utility model can change the shape of a partition, side plate, etc. to a chair, cradle, reading table, or the like. However, the registered utility model cannot extend the length of the cradle, and there is a limitation that assembly and disassembly are cumbersome due to bolt nut assembly of each part.

본 발명은 영아, 유아의 성장에 맞춰 치수조절이 가능한 요람을 제공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radle that can be dimensionally adjusted to the growth of infants and toddlers.

본 발명은 볼트 너트의 사용을 줄이고 끼움식 조립이 가능한 요람을 제공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radle capable of reducing the use of bolt nuts and fitting assembly.

본 발명은 친환경 목제품(합판)을 이용하고, 저렴한 비용으로 대량생산이 가능한 요람용 모듈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odule system for a cradle that uses eco-friendly wood products (plywood) and is capable of mass production at a low cost.

하나의 양상에서 본 발명은 In one aspect, the present invention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전방과 후방에 각각 위치하는 제 1 판재(10)와 제 2 판재(20) ;A first plate member 10 and a second plate member 20 spaced apart at predetermined intervals and positioned at the front and rear sides, respectively;

상기 2개의 판재 사이에 위치하고, 판재의 측면에서부터 조립되어 가변의 측벽을 형성하는 복수의 수직모듈(30) ; 및 A plurality of vertical modules 30 positioned between the two plate members and assembled from side surfaces of the plate members to form a variable sidewall; And

마주보는 두 개의 수직모듈 사이에 위치하여 바닥을 형성하는 복수의 가로 모듈(40)을 포함하는 모듈 시스템 요람에 관련된다.It is related to the cradle of a module system including a plurality of transverse modules 40 which are located between two vertical modules facing each other to form a floor.

본원발명의 모듈 시스템 요람은 부품별로 끼움 조립이 가능하도록 모듈화하고 이를 활용하여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자유롭게 치수를 조절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복수의 수직모듈들을 끼움(짜맞춤) 구조로 가변 측벽을 형성하고, 정면과 후면을 형성하는 판재와 가변 측벽은 나사결합을 통해 조립된 모듈 시스템 요람을 제공한다. The modular system cradl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odularized so that it can be fitted and assembled by parts, and by utilizing this, the user can freely adjust the dimensions as needed. That is,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odular system cradle assembled by screwing the plate and the variable sidewalls forming the variable sidewalls with a plurality of vertical modules fitted (fitted), and forming the front and rear surfaces.

본원발명의 모듈 시스템 요람은 친환경 목제품(합판)을 사용할 뿐만 아니라 CNC(computer numerical control) 공작기계를 이용하여 목제품을 모듈화할 수 있다. The modular system cradl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not only use eco-friendly wood products (plywood), but also modularize wood products using computer numerical control (CNC) machine tools.

본원발명의 모듈 시스템 요람은 부품을 끼움(짜맞춤) 구조로 모듈화함으로서 사용자는 손쉽게 분해, 조립, 길이확장을 할 수 있고, 공급자는 모듈을 포장 배송할 수 있으므로 물류비를 줄일 수 있다.The modular system cradle of the present invention modularizes the parts into a fitting (customized) structure, so that the user can easily disassemble, assemble, and extend the length, and the supplier can package and ship the module, thereby reducing logistics costs.

도 1은 본 발명의 일구현예인 요람을 촬영한 사진이다.
도 2는 도 1의 요람을 제조하기 위한 모듈을 도시한 것이다.
도 3는 도 1의 요람을 조립하는 과정을 보여준다.
도 4은 제 3 수직모듈의 조립을 보여준다.
도 5는 제 3 수직모듈이 하나씩 끼워져 가변 측벽을 형성하는 것을 보여준다.
도 6은 도 5의 가변 측벽 형성 후 가로 모듈을 이용하여 바닥면을 조립하는 것을 보여준다.
1 is a photograph of a cradle that is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shows a module for manufacturing the cradle of FIG. 1.
Figure 3 shows the process of assembling the cradle of Figure 1;
4 shows the assembly of the third vertical module.
Figure 5 shows that the third vertical module is fitted one by one to form a variable sidewall.
FIG. 6 shows that the bottom side is assembled using a horizontal module after forming the variable side wall of FIG. 5.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태양을 도면을 들어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범위는 하기 실시 태양에 대한 설명 또는 도면에 제한되지 아니한다. 즉,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는 "포함 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However,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escription or drawings of the following embodiments. That is, the terms used in this specification are only used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In addition, terms such as "comprises" or "have" described herein are intended to designate the existence of features,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or one or more thereof.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above or other features or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are not excluded in advance.

도 1은 본 발명의 일구현예인 요람을 촬영한 사진이고, 도 2는 도 1의 요람을 제조하기 위한 모듈을 도시한 것이고, 도 3는 도 1의 요람을 조립하는 과정을 보여주고, 도 4은 제 3 수직모듈의 조립을 보여주고, 도 5는 제 3 수직모듈이 하나씩 끼워져 가변 측벽을 형성하는 것을 보여주고, 도 6은 도 5의 가변 측벽 형성 후 가로 모듈을 이용하여 바닥면을 조립하는 것을 보여준다.1 is a photograph of a cradle that i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shows a module for manufacturing the cradle of FIG. 1, and FIG. 3 shows a process of assembling the cradle of FIG. 1, and FIG. Shows the assembly of the third vertical module, FIG. 5 shows that the third vertical module is fitted one by one to form a variable sidewall, and FIG. 6 shows the assembly of the bottom surface using the horizontal module after forming the variable sidewall of FIG. Show that.

도 1 내지 도 6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모듈 시스템 요람은 제 1판재(10), 제 2 판재(20), 수직모듈(30) 및 가로모듈(40)을 포함한다.1 to 6, the module system cradle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plate 10, a second plate 20, a vertical module 30 and a horizontal module 40.

상기 제 1 판재와 제 2판재는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요람의 전방과 후방에 각각 위치된다. 상기 제 1 판재와 제 2 판재는 동일한 크기와 형상일수 있다. The first plate member and the second plate member are spaced apart at predetermined intervals, respectively, and are located in front and rear of the cradle. The first plate member and the second plate member may have the same size and shape.

도 1을 참고하면, 제 1 판재와 제 2 판재는 소정의 폭과 높이를 가진다. 상기 제 1 판재와 제 2 판재의 높이는 상기 수직모듈의 높이(길이)와 동일하고, 상기 제 1 판재와 제 2 판재의 폭은 가로모듈의 길이와 동일할 수 있다. 상기 제 1 판재와 제 2 판재는 판상 합판에 복수개의 슬릿(21, 11)이 형성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 the first plate member and the second plate member have a predetermined width and height. The height of the first plate and the second plate may be the same as the height (length) of the vertical module, and the width of the first plate and the second plate may be the same as the length of the horizontal module. The first plate member and the second plate member may be formed with a plurality of slits 21 and 11 on a plate-shaped plywood.

수직모듈(30)은 상기 2개의 판재 사이에 위치하고, 판재의 측면에서부터 조립되어 가변의 측벽을 형성한다.The vertical module 30 is located between the two plates, and is assembled from the sides of the plates to form a variable sidewall.

상기 수직모듈(30)은 제 1 수직모듈(31), 제 2 수직모듈(32) 및 제 3 수직모듈(33)을 포함한다. The vertical module 30 includes a first vertical module 31, a second vertical module 32 and a third vertical module 33.

상기 제 1 수직 모듈(31)은 상기 제 1 판재의 양 측면에 각각 조립되되, 제 1 판재와 같은 높이를 가지는 수직바(311) 및 상기 수직바의 일측면에 돌출되며 상측으로 열린 복수개의 상방향 요홈(312)을 구비한다.The first vertical module 31 is respectively assembled to both sides of the first plate, a vertical bar 311 having the same height as the first plate and a plurality of images protruding from one side of the vertical bar and opening upwards A direction groove 312 is provided.

상기 제 2 수직모듈(32)은 상기 제 2 판재의 양 측면에 각각 조립되되, 제 2 판재와 같은 높이를 가지는 수직바(321) 및 상기 수직바의 일측면에 돌출되며 하측으로 열린 복수개의 하방향 요홈(322)을 구비한다.The second vertical module 32 is assembled to both side surfaces of the second plate material, and vertical bar 321 having the same height as the second plate material and a plurality of bottoms protruding from one side of the vertical bar and opening downward. A direction groove 322 is provided.

상기 제 3 수직모듈(33)은 상기 제 1 수직모듈과 제 2 수직모듈 사이에 복수개 위치하고, 제 1판재 및 제 2 판재와 같은 높이를 가지는 수직바(331), 상기 수직바의 일측면에 돌출되며 하측으로 열린 복수개의 하방향 요홈(332) 및 상기 상방향 요홈의 반대편에 돌출되며 상측으로 열린 복수개의 상방향 요홈(333)을 구비한다.The third vertical module 33 is positioned between a plurality of the first vertical module and the second vertical module, the vertical bar 331 having the same height as the first plate and the second plate, protruding from one side of the vertical bar It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downward grooves 332 opened to the lower side and a plurality of upward grooves 333 protruding from opposite sides of the upward groove.

상기 상방향 요홈(312, 333)은 상기 수직바의 측면에 형성된 “ㄴ”형 걸림부일 수 있다. 상기 상방향 오홈은 “ㄴ”형 걸림부가 수직바의 측면에 형성됨에 따라 상부로 개방된 오목홈이 형성된다.The upward grooves 312 and 333 may be “b” -type locking portions formed on side surfaces of the vertical bar. The upward groove is formed with a concave groove that is opened upward as the “b” type locking portion is formed on the side of the vertical bar.

상기 하방향 요홈(322, 332)은 상기 수직바의 측면에 형성된 “ㄱ”형 걸림부일 수 있다. 상기 하방향 오홈은 “ㄱ”형 걸림부가 수직바의 측면에 형성됨에 따라 하부로 개방된 오목홈이 형성된다.The downward grooves 322 and 332 may be a “a” type locking portion formed on a side surface of the vertical bar. The downward groove is formed with a concave groove that is opened downward as the “a” type locking portion is formed on the side surface of the vertical bar.

도 3 내지 도 5를 참고하면, 제 1 수직모듈과 제 3수직모듈의 상방향 요홈(312, 333)에 제 3 수직모듈이나 제 2 수직모듈의 하방향 요홈이 맞물려 조립될 수 있다. 즉, 상기 수직모듈들은 상기 상방향 요홈에 인접하는 하방향 요홈이 상호 맞물려 결합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S. 3 to 5, the lower vertical grooves of the third vertical module or the second vertical module may be assembled to the upper grooves 312 and 333 of the first vertical module and the third vertical module. That is, the vertical modules may be coupled by engaging the downward groove adjacent to the upward groove.

좀 더 구체적으로, 도 3 내지 도 5를 참고하면, 상기 제 1 수직모듈의 상방향 요홈에 상기 제 3 수직모듈의 하방향 요홈이 맞물려 체결된다.More specifically, referring to FIGS. 3 to 5, the lower groove of the third vertical module is engaged with the upper groove of the first vertical module.

또한, 상기 제 3 수직모듈의 상방향 요홈에 인접한 제 3 수직모듈의 하방향 요홈이 맞물려 체결되고, 복수의 제 3 수직모듈은 인접하는 제 3모듈들과 조립되어 가변의 측벽을 형성할 수 있다. 즉, 복수의 제 3 수직모듈들을 연장하여 조립하는 것에 의해 요람의 길이(크기)를 확장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lower vertical groove of the third vertical module adjacent to the upper groove of the third vertical module is engaged and fastened, and a plurality of third vertical modules can be assembled with adjacent third modules to form a variable side wall. . That is, the length (size) of the cradle can be extended by extending and assembling a plurality of third vertical modules.

상기 제 3 수직모듈의 상방향 요홈에 상기 제 2수직모듈의 하방향 요홈이 맞물려 체결된다.The lower groove of the second vertical module is engaged with the upper groove of the third vertical module.

상기 제 1 수직모듈과 제 2 수직모듈은 각각 제 1 판재와 제 2 판재에 볼트 등 나사결합으로 고정될 수 있다.The first vertical module and the second vertical module may be fixed to the first plate member and the second plate member by screws, such as bolts, respectively.

상기 가로모듈(40)은 마주보는 두 개의 수직모듈 사이에 위치하여 바닥을 형성한다. The horizontal module 40 is positioned between two opposing vertical modules to form a floor.

상기 제 2 수직모듈과 제 3 수직모듈은 하방향 요홈의 양측면을 덧대는 지지판(50)을 추가로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지지판(50)은 상호 맞물린 상방향 요홈과 하방향 요홈이 좌우로 어긋나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가로모듈(40)은 마주보는 두 개의 수직모듈의 지지판(50) 상에 위치하여 나사조립될 수 있다.The second vertical module and the third vertical module may further include a support plate 50 padding both sides of the downward groove. The support plate 50 can prevent the mutually engaged upper groove and lower groove from being shifted left and right. The horizontal module 40 may be screwed as it is positioned on the support plate 50 of two opposing vertical modules.

본원발명의 제 1 판재(10), 제 2 판재(20), 수직모듈(30) 및 가로모듈(40)은 친환경 목제품(합판)으로 제조될 수 있다. The first plate material 10, the second plate material 20, the vertical module 30 and the horizontal module 40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made of environmentally friendly wood products (plywood).

한편, 본원발명은 요람용 모듈 시스템과 관련된다.Meanwhil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radle module system.

요람용 모듈 시스템은 제 1 판재(10), 제 2 판재(20), 수직모듈(30) 및 가로모듈(40)을 포함할 수 있다. 요람용 모듈 시스템은 앞에서 상술한 도 1 내지 도 6의 모듈 시스템 요람을 참고할 수 있다.The cradle module system may include a first plate material 10, a second plate material 20, a vertical module 30, and a horizontal module 40. The cradle module system may refer to the cradle of the modular system of FIGS. 1 to 6 described above.

예를 들면, 상기 요람용 모듈 시스템의 수직모듈(30)은 소정 길이를 갖는 수직바(311) 및 상기 수직바의 일측면에 돌출되며 상측으로 열린 복수개의 상방향 요홈(312)을 구비하는 제 1 수직모듈(31), 소정 길이를 갖는 수직바(321) 및 상기 수직바의 일측면에 돌출되며 하측으로 열린 복수개의 하방향 요홈(322)을 구비하는 제 2수직모듈(32), 및 소정 길이를 갖는 수직바(321), 상기 수직바의 일측면에 돌출되며 하측으로 열린 복수개의 하방향 요홈(332) 및 상기 상방향 요홈의 반대편에 돌출되며 상측으로 열린 복수개의 상방향 요홈(333)을 구비하는 제 3 수직모듈을 포함한다.For example, the vertical module 30 of the cradle module system includes a vertical bar 311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and a plurality of upward grooves 312 protruding from one side of the vertical bar and opened upward. 1 vertical module 31, a vertical bar 321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and a second vertical module 32 having a plurality of downward grooves 322 protruding from one side of the vertical bar and opening downward, and a predetermined A vertical bar 321 having a length, a plurality of downward grooves 332 protruding from one side of the vertical bar and opened downward, and a plurality of upward grooves 333 protruding from opposite sides of the upward groove, and opened upward. It includes a third vertical module having a.

상기 제 2 수직모듈과 제 3 수직모듈은 하방향 요홈의 양측면을 덧대는 지지판(50)을 추가로 구비할 수 있다.The second vertical module and the third vertical module may further include a support plate 50 padding both sides of the downward groove.

제 1 판재(10), 제 2 판재(20), 수직모듈(30) 및 가로모듈(40)은 CNC(computer numerical control) 공작기계로 합판을 성형하여 제조될 수 있다. The first plate 10, the second plate 20, the vertical module 30 and the horizontal module 40 may be manufactured by molding plywood with a computer numerical control (CNC) machine tool.

다른 한편, 본 발명의 모듈 시스템 요람의 제조방법은 (1)제 1판재에 제 1 수직모듈을 조립하는 단계, (2)상기 제 1 수직모듈의 상방향 요홈에 상기 제 3수직모듈의 하방향 요홈을 끼워 체결하는 단계, (3)상기 제 3 수직모듈의 상방향 요홈에 인접한 제 3 수직모듈의 하방향 요홈을 끼워 체결하는 단계, (4) 제 3 수직모듈과 인접하는 제 3수직모듈을 수회 반복하여 조립하여 가변 측벽을 형성하는 단계, (5) 상기 제 3 수직모듈의 상방향 요홈에 상기 제 2수직모듈의 하방향 요홈을 끼워 체결하는 단계, (6) 제 2 수직모듈에 제 2 판재를 조립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modular system cradle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1) assembling a first vertical module on a first plate, (2) downward direction of the third vertical module on an upward groove of the first vertical module. Inserting and fastening the recess, (3) inserting and fastening the lower recess of the third vertical module adjacent to the upper recess of the third vertical module, and (4) a third vertical module adjacent to the third vertical module. Repeatedly assembling several times to form a variable sidewall, (5) inserting and fastening the lower groove of the second vertical module to the upper groove of the third vertical module, and (6) second to the second vertical module. It may include the step of assembling the plate.

또 다른 한편, 본 발명의 모듈 시스템 요람의 제조방법은 (1)제 1판재에 제 1 수직모듈을, 제 2 판재에 제 2 수직모듈을 각각 조립하는 단계, (2)상기 제 1 수직모듈의 상방향 요홈에 상기 제 3수직모듈의 하방향 요홈을 끼워 체결하는 단계, (3)상기 제 3 수직모듈의 상방향 요홈에 인접한 제 3 수직모듈의 하방향 요홈을 끼워 체결하는 단계, (4) 제 3 수직모듈과 인접하는 제 3수직모듈을 수회 반복하여 조립하여 가변 측벽을 형성하는 단계, (5) 상기 제 3 수직모듈의 상방향 요홈에 상기 제 2 판재에 조립된 제 2 수직모듈의 하방향 요홈을 끼워 체결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modular system cradle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the steps of (1) assembling a first vertical module to a first plate and a second vertical module to a second plate, (2) of the first vertical module Inserting and tightening the downward groove of the third vertical module to the upward groove, (3) Inserting and tightening the downward groove of the third vertical module adjacent to the upward groove of the third vertical module, (4) Forming a variable sidewall by repeatedly assembling a third vertical module adjacent to the third vertical module several times, (5) a bottom of the second vertical module assembled to the second plate in an upward groove of the third vertical module It may include the step of fastening by fitting the directional groove.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를 예로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이러한 설명은 단순히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를 설명 및 개시하는 것이다. 당업자는 본 발명의 범위 및 요지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상기 설명 및 첨부 도면으로부터 다양한 변경, 수정 및 변형예가 가능함을 용이하게 인식할 것이다.In the above,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as an example, but this description is merely to describe and disclose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readily recognize that various change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are possible from the above description and accompanying drawing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and spirit of the invention.

Claims (9)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전방과 후방에 각각 위치하는 제 1 판재(10)와 제 2 판재(20) ;
상기 2개의 판재 사이에 위치하고, 판재의 측면에서부터 조립되어 가변의 측벽을 형성하는 복수의 수직모듈(30) ; 및
마주보는 두 개의 수직모듈 사이에 위치하여 바닥을 형성하는 복수의 가로 모듈(40)을 포함하고,
상기 수직모듈(30)은
상기 제 1 판재의 양 측면에 각각 조립되되, 제 1 판재와 같은 높이를 가지는 수직바(311) 및 상기 수직바의 일측면에 돌출되며 상측으로 열린 복수개의 상방향 요홈(312)을 구비하는 제 1 수직모듈(31) ;
상기 제 2 판재의 양 측면에 각각 조립되되, 제 2 판재와 같은 높이를 가지는 수직바(321) 및 상기 수직바의 일측면에 돌출되며 하측으로 열린 복수개의 하방향 요홈(322)을 구비하는 제 2 수직모듈(32) ;
상기 제 1 수직모듈과 제 2 수직모듈 사이에 복수개 위치하고, 제 1판재 및 제 2 판재와 같은 높이를 가지는 수직바(331), 상기 수직바의 일측면에 돌출되며 하측으로 열린 복수개의 하방향 요홈(332) 및 상기 상방향 요홈의 반대편에 돌출되며 상측으로 열린 복수개의 상방향 요홈(333)을 구비하는 제 3 수직모듈(3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 시스템 요람.
A first plate member 10 and a second plate member 20 spaced apart at predetermined intervals and positioned at the front and rear sides, respectively;
A plurality of vertical modules 30 positioned between the two plate members and assembled from side surfaces of the plate members to form a variable sidewall; And
Includes a plurality of horizontal modules 40 that are located between two vertical modules facing each other to form a floor,
The vertical module 30 is
It is assembled to both side surfaces of the first plate material, the vertical bar 311 having the same height as the first plate material and protruding from one side of the vertical bar and having a plurality of upward grooves 312 opened upward. 1 vertical module 31;
It is assembled to both side surfaces of the second plate material, and has a vertical bar 321 having the same height as the second plate material and a plurality of downward grooves 322 protruding from one side of the vertical bar and opening downward. 2 vertical module 32;
A plurality of vertical grooves located between the first vertical module and the second vertical module and having the same height as the first plate and the second plate 331, a plurality of downward grooves protruding from one side of the vertical bar and opening downward. A module system cradle comprising 332 and a third vertical module 33 projecting on the opposite side of the upward groove and having a plurality of upward grooves 333 opened upward.
삭제delet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방향 요홈은 상기 수직바의 측면에 형성된 “ㄴ”형 걸림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 시스템 요람.The cradle of claim 1, wherein the upward groove is a “b” type locking portion formed on a side surface of the vertical bar.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방향 요홈은 상기 수직바의 측면에 형성된 “ㄱ”형 걸림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 시스템 요람.The cradle of claim 1, wherein the downward groove is a “a” type locking portion formed on a side surface of the vertical bar.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모듈은
상기 제 1 수직모듈의 상방향 요홈에 상기 제 3수직모듈의 하방향 요홈이 맞물려 체결되고,
상기 제 3 수직모듈의 상방향 요홈에 인접한 제 3 수직모듈의 하방향 요홈이 맞물려 체결되되, 복수의 제 3 수직모듈은 인접하는 제 3모듈들과 조립되어 가변의 측벽을 형성하고,
상기 제 3 수직모듈의 상방향 요홈에 상기 제 2수직모듈의 하방향 요홈이 맞물려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 시스템 요람.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vertical module
The lower groove of the third vertical module is engaged and fastened to the upper groove of the first vertical module,
The lower vertical groove of the third vertical module adjacent to the upper groove of the third vertical module is engaged and fastened, and a plurality of third vertical modules are assembled with adjacent third modules to form a variable sidewall,
A module system cradle characterized in that the lower groove of the second vertical module is engaged with the upper groove of the third vertical modul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수직모듈과 제 3 수직모듈은 하방향 요홈의 양측면을 덧대는 지지판(50)을 추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 시스템 요람.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second vertical module and the third vertical module cradle module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support plate (50) padding both sides of the downward groove. 소정 길이를 갖는 수직바(311) 및 상기 수직바의 일측면에 돌출되며 상측으로 열린 복수개의 상방향 요홈(312)을 구비하는 제 1 수직모듈(31) ;
소정 길이를 갖는 수직바(321) 및 상기 수직바의 일측면에 돌출되며 하측으로 열린 복수개의 하방향 요홈(322)을 구비하는 제 2수직모듈(32) ; 및
소정 길이를 갖는 수직바(321), 상기 수직바의 일측면에 돌출되며 하측으로 열린 복수개의 하방향 요홈(332) 및 상기 상방향 요홈의 반대편에 돌출되며 상측으로 열린 복수개의 상방향 요홈(333)을 구비하는 제 3 수직모듈을 포함하는 요람용 수직모듈.
A first vertical module 31 having a vertical bar 311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and a plurality of upward grooves 312 protruding from one side of the vertical bar and opened upward;
A second vertical module 32 having a vertical bar 321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and a plurality of downward grooves 322 protruding from one side of the vertical bar and opening downward; And
A vertical bar 321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a plurality of downward grooves 332 protruding from one side of the vertical bar and opened downward, and a plurality of upward grooves 333 protruding from opposite sides of the upward groove and opened upward. Cradle vertical module comprising a third vertical module having a.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수직모듈과 제 3 수직모듈은 하방향 요홈의 양측면을 덧대는 지지판(50)을 추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람용 수직모듈.



8. The vertical module for cradle according to claim 7, wherein the second vertical module and the third vertical module further include support plates (50) for padding both sides of the downward groove.



삭제delete
KR1020180082748A 2018-07-17 2018-07-17 Cradle using assembling modul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10210155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2748A KR102101558B1 (en) 2018-07-17 2018-07-17 Cradle using assembling modul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2748A KR102101558B1 (en) 2018-07-17 2018-07-17 Cradle using assembling modul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8731A KR20200008731A (en) 2020-01-29
KR102101558B1 true KR102101558B1 (en) 2020-04-16

Family

ID=693223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82748A KR102101558B1 (en) 2018-07-17 2018-07-17 Cradle using assembling modul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01558B1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044234A1 (en) * 2005-09-01 2007-03-01 Dana Barnes Multi-purpose convertible bed assembly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044234A1 (en) * 2005-09-01 2007-03-01 Dana Barnes Multi-purpose convertible bed assembl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8731A (en) 2020-0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433378B2 (en) Assembling shelf connector and assembled shelf using the same
US20140310871A1 (en) Transformable furniture unit
NZ550660A (en) Plastic mattress foundation having a sculpted exterior surface to mimic quilting
JP2016168320A (en) Combination furniture
KR100656290B1 (en) a variable size pallet
US9596937B2 (en) Seat core
KR102101558B1 (en) Cradle using assembling modul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JP2002520548A (en) Furniture with a set of solid elements to be assembled
CA2791136C (en) Crib convertible to a bed, and kit and method for converting the same
KR20170004027U (en) A Fabricated rack without bolt and nut
EP3434149B1 (en) Reassemblable crib
KR101525988B1 (en) The width adjustable bed frame
JP3184796U (en) Detachable assembling sofa
US9717341B1 (en) Chair frame
JP2008067820A (en) Bed apparatus
JP3239690U (en) Assembled chest bed
KR200438516Y1 (en) Table that can regulate height
CN103355966A (en) Levelness regulating leg for cabinet furniture corner connection
JP4188065B2 (en) Plastic shelves
JP2004321658A (en) Studying desk and its support
JP3367942B2 (en) Removable furniture
TWI524867B (en) A multi-stage combined crib
JP7232455B2 (en) pet house
TWM587001U (en) Multi-section modular crib
CN220124355U (en) Growth dining chai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