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00305B1 - Automatic powder classifying apparatus - Google Patents

Automatic powder classifying apparatu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00305B1
KR102100305B1 KR1020180055303A KR20180055303A KR102100305B1 KR 102100305 B1 KR102100305 B1 KR 102100305B1 KR 1020180055303 A KR1020180055303 A KR 1020180055303A KR 20180055303 A KR20180055303 A KR 20180055303A KR 102100305 B1 KR102100305 B1 KR 1021003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der
unit
piezoelectric element
classification device
automatic classif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5530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90130771A (en
Inventor
이강호
안정철
김병주
박세민
조문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800553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00305B1/en
Publication of KR201901307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3077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003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0030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3/00Grad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by dry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Sorting articles otherwise than by indirectly controlled devices
    • B07B13/14Details or accesso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00Sieving, screening, sift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using networks, gratings, grids, or the like
    • B07B1/28Moving scree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swinging, reciprocating, rocking, tilting or wobbling scree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00Sieving, screening, sift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using networks, gratings, grids, or the like
    • B07B1/42Drive mechanisms, regulating or controlling devices, or balanc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cree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04Processes of manufacture in genera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Jigging Convey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분급 장치는 대상물을 공급하는 공급부, 상기 공급부에서 공급된 상기 대상물을 분급하는 분체, 상기 분체를 통과한 분말을 채취하며 전기적 신호를 생성하는 분말 채취부, 그리고 상기 전기적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대상물의 공급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The automatic classifica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upply unit for supplying an object, a powder for classifying the object supplied from the supply unit, a powder collection unit for collecting powder passing through the powder and generating an electrical signal, and the It includes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the object using an electrical signal.

Description

자동 분급 장치{AUTOMATIC POWDER CLASSIFYING APPARATUS}Automatic classification device {AUTOMATIC POWDER CLASSIFYING APPARATUS}

본 발명은 자동 분급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utomatic classification device.

금속 분말의 제조, 밀가루 등의 각종 식재료의 제조, 그리고 전지 재료의 제조 시 균일하고 일정한 정규 분포를 가지는 입자를 형성하기 위해 분급 장치가 사용된다.A classifying device is used to form particles having a uniform and regular distribution in the manufacture of metal powder, various food ingredients such as wheat flour, and the production of battery materials.

다양한 공급처로부터 입수되는 다양한 크기의 재료는 물리적인 크기 및 형상 외에도, 화학적 조성의 차이에 의해 분급의 차이는 발생한다.In addition to the physical size and shape of materials of various sizes obtained from various suppliers, differences in classification occur due to differences in chemical composition.

특히, 리튬 이차 전치 재료의 경우, 활물질의 입자 크기의 차이에 따른 분급의 영향이 전극 밀도까지 영향을 미치게 된다.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the lithium secondary anterior material, the influence of classification according to the difference in particle size of the active material affects the electrode density.

이 때, 활물질의 입자 크기의 비정규적인 분포는 전극 접착성을 저하시키므로, 스프링 백(Spring back), 박리 등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이차 전지의 품질을 저하시킬 수 있다.At this time, the irregular distribution of the particle size of the active material lowers the electrode adhesiveness, and thus spring back, peeling, etc. may occur. Therefore, the quality of the secondary battery can be reduced.

본 발명은 전술한 배경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자동적으로 분체 완료 시점을 감지함으로써, 후속 공정을 연속적으로 진행할 수 있는 자동 분급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above-described background, by automatically detecting the completion time of the powder, to provide an automatic classification device capable of continuously proceeding to the subsequent process.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분급 장치는 대상물을 공급하는 공급부, 상기 공급부에서 공급된 상기 대상물을 분급하는 분체, 상기 분체를 통과한 분말을 채취하며 전기적 신호를 생성하는 분말 채취부, 그리고 상기 전기적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대상물의 공급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The automatic classifica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upply unit for supplying an object, a powder for classifying the object supplied from the supply unit, a powder collection unit for collecting powder passing through the powder and generating an electrical signal, and the It includes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the object using an electrical signal.

상기 분말 채취부는 지지부, 그리고 상기 지지부 위에 위치하는 압전 소자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powder collection part may include a support part and a piezoelectric element part positioned on the support part.

상기 분말 채취부는 상기 압전 소자부를 덮는 압전 소자 커버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의 표면과 상기 압전 소자 커버부의 표면은 다른 면 상에 위치할 수 있다.The powder collecting part may further include a piezoelectric element cover part covering the piezoelectric element part, and the surface of the support part and the surface of the piezoelectric element cover part may be located on different surfaces.

상기 분말 채취부는 상기 압전 소자부를 덮는 압전 소자 커버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는 중앙홈을 가지고, 상기 압전 소자부는 상기 중앙홈에 위치하며, 상기 지지부의 표면과 상기 압전 소자 커버부의 표면은 동일 면 상에 위치할 수 있다.The powder collecting part further includes a piezoelectric element cover portion covering the piezoelectric element portion, the support portion has a central groove, the piezoelectric element portion is located in the central groove, and the surface of the support portion and the surface of the piezoelectric element cover portion are the same surface. It can be located on.

상기 분말 채취부는 상기 분체의 표면과 경사지게 설치될 수 있다.The powder collecting part may be installed to be inclined with the surface of the powder.

상기 분체는 분체판, 상기 분체판을 진동시키는 진동부, 그리고 상기 분체판에 위치하는 잔류물을 제거하는 제1 제거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powder may include a powder plate, a vibration unit for vibrating the powder plate, and a first removal unit for removing residues located on the powder plate.

상기 제1 제거부는 상기 분체판에 풍력을 가하는 제1 블로윙부, 그리고 상기 제1 블로윙부에 의해 밀려온 상기 잔류물이 퇴출되는 제1 퇴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first removal unit may include a first blowing unit for applying wind power to the powder plate, and a first discharge unit from which the residue pushed by the first blowing unit is discharged.

상기 분말 채취부에 연결되며, 상기 분말 채취부에 위치하는 분말을 제거하는 제2 제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A second removal unit connected to the powder collection unit and removing the powder located in the powder collection unit may be further included.

상기 제2 제거부는 상기 분말 채취부에 풍력을 가하는 제2 블로윙부, 그리고 상기 제2 블로윙부에 의해 밀려온 상기 분말이 퇴출되는 제2 퇴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second removing unit may include a second blowing unit that applies wind to the powder collection unit, and a second discharge unit from which the powder pushed by the second blowing unit is discharged.

상기 분체와 상기 분말 채취부 사이에 위치하는 가이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부의 크기는 상기 분체보다 클 수 있다.Further comprising a guide portion located between the powder and the powder collecting portion, the size of the guide portion may be larger than the powder.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압전 소자부에 전기적 신호가 발생하지 않는 시점을 분체 완료 시점으로 판단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may determine a point in time at which no electrical signal is generated in the piezoelectric element unit as a powder completion point.

상기 압전 소자부는 티탄산 바륨(BaTiO3), 폴리불화 비닐리덴(PVDF), 지스코산납(PbZrO3), 티탄산납(PbTiO3), 수정(Quartz)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The piezoelectric element unit may include at least one selected from barium titanate (BaTiO 3 ), polyvinylidene fluoride (PVDF), lead ziscoate (PbZrO 3 ), lead titanate (PbTiO 3 ), and quartz.

상기 대상물은 이차 전지의 활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The object may include the active material of the secondary battery.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분급 장치의 분말 채취부는 분체를 통해 걸러진 분말의 위치 에너지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시키는 압전 소자부를 포함함으로써, 분체 완료 시점을 자동으로 감지하고, 분체 정도를 조절할 수 있다.The powder collecting part of the automatic classifica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iezoelectric element part that converts the potential energy of the powder filtered through the powder into an electrical signal, thereby automatically detecting the completion time of the powder and adjusting the powder level. .

따라서, 후속 공정으로의 전환을 자동으로 제어할 수 있어 후속 공정을 연속적으로 진행할 수 있다. Therefore, it is possible to automatically control the conversion to the subsequent process so that the subsequent process can proceed continuously.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분급 장치의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분급 장치의 분말 채취부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분급 장치의 분체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분급 장치의 분말 채취부에 설치된 제2 제거부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동 분급 장치의 분말 채취부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동 분급 장치의 분말 채취부의 단면도이다.
1 is a schematic diagram of an automatic classifica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powder collection unit of the automatic classifica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lan view of a powder of an automatic classify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plan view of a second removal unit installed in the powder collection unit of the automatic classifica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powder collection unit of an automatic classification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powder collection unit of an automatic classification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Hereinafter,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can easily practice.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In order to clearly describe the present invention, parts irrelevant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and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assigned to the same or similar elem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그러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분급 장치에 대하여 도 1 내지 도 3을 참고로 상세하게 설명한다.Then, the automatic classifica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1 to 3.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분급 장치의 개략적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분급 장치의 분말 채취부의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분급 장치의 분체의 평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분급 장치의 분말 채취부에 설치된 제2 제거부의 평면도이다.1 is a schematic diagram of an automatic classify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powder collecting part of an automatic classify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is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plan view of the powder of the automatic classification device according to, Figure 4 is a plan view of a second removal unit installed in the powder collection unit of the automatic classifica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분급 장치는 대상물(1)을 공급하는 공급부(10), 공급부(10)에서 공급된 대상물(1)을 분급하는 분체(20), 분체(20)를 통과한 분말(2)을 채취하며 전기적 신호(S1)를 생성하는 분말 채취부(30), 전기적 신호(S1)를 이용하여 대상물(1)의 공급을 제어하는 제어부(40), 분체(20)와 분말 채취부(30) 사이에 위치하는 가이드부(50), 그리고 분말 채취부(30)에 연결되며, 분말 채취부(30)에 위치하는 분말(2)을 제거하는 제2 제거부(60)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ure 1, the automatic classifica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upply unit 10 for supplying the object 1, the powder 20 for classifying the object 1 supplied from the supply unit 10 , Powder collection unit 30 for collecting the powder 2 passing through the powder 20 and generating an electrical signal S1, a control unit 40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the object 1 using the electrical signal S1 ), The guide portion 50 positioned between the powder 20 and the powder collecting portion 30, and connected to the powder collecting portion 30, to remove the powder 2 located in the powder collecting portion 30 It includes a second removal unit 60.

공급부(10)에 의해 공급되는 대상물(1)은 이차 전지의 활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분체(20)에 의해 분말(2)로 걸러질 수 있는 물질이라면 다양한 물질이 가능하다. The object 1 supplied by the supply unit 10 may include an active material of a secondary battery. However, i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is, and various materials are possible as long as it is a material that can be filtered into the powder 2 by the powder 20.

분체(20)는 분체판(21), 진동부(22), 그리고 제1 제거부(25)를 포함할 수 있다. The powder 20 may include a powder plate 21, a vibration part 22, and a first removal part 25.

분체판(21)은 원형 형상을 가지고, 그 내부에 메쉬 구조를 가지고 있어 대상물(1)이 통과하면서 분말(2)로 걸러진다.The powder plate 21 has a circular shape and a mesh structure therein, so that the object 1 passes and is filtered through the powder 2.

진동부(22)는 분체판(21)을 진동시켜 대상물(1)이 분말(2)로 보다 용이하게 걸러지게 한다.The vibrating unit 22 vibrates the powder plate 21 so that the object 1 is more easily filtered with the powder 2.

제1 제거부(25)는 분체판(21)에 풍력을 가하는 복수개의 제1 블로윙부(23), 그리고 제1 블로윙부(23)의 풍력에 의해 밀려온 잔류물이 퇴출되는 제1 퇴출부(24)를 포함할 수 있다.The first removal unit 25 includes a plurality of first blowing units 23 for applying wind power to the powder plate 21, and a first discharge unit through which residues pushed by the wind of the first blowing units 23 are discharged. (24).

따라서, 제1 제거부(25)는 분체판(21)에 풍력을 가하여 분체판(21)에 위치하는 잔류물을 제거할 수 있다.Therefore, the first removal unit 25 may remove the residue located on the powder plate 21 by applying wind power to the powder plate 21.

분말 채취부(30)는 지지부(31), 압전 소자부(32), 그리고 압전 소자 커버부(33)를 포함할 수 있다. The powder collection part 30 may include a support part 31, a piezoelectric element part 32, and a piezoelectric element cover part 33.

지지부(31)는 원형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압전 소자부(32)를 지지할 수 있도록 압전 소자부(32)보다 큰 직경을 가질 수 있다. The support portion 31 may have a circular shape, and may have a larger diameter than the piezoelectric element portion 32 to support the piezoelectric element portion 32.

압전 소자부(32)는 지지부(31)의 표면 위에 위치할 수 있다. 압전 소자부(32)는 원형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압전 소자부(32)는 티탄산 바륨(BaTiO3), 폴리불화 비닐리덴(PVDF), 지스코산납(PbZrO3), 티탄산납(PbTiO3), 수정(Quartz)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The piezoelectric element part 32 may be located on the surface of the support part 31. The piezoelectric element part 32 may have a circular shape. The piezoelectric element unit 32 may include at least one selected from barium titanate (BaTiO 3 ), polyvinylidene fluoride (PVDF), lead ziscoate (PbZrO 3 ), lead titanate (PbTiO 3 ), and quartz (Quartz). have.

압전 소자부(32)는 낙하하는 분말(2)에 의해 압전 신호를 발생시키고, 이러한 압전 신호를 전기적 신호(S1)를 변환하여 제어부(40)로 전달한다. The piezoelectric element part 32 generates a piezoelectric signal by the falling powder 2, and converts the piezoelectric signal to the control signal 40 by converting the electrical signal S1.

압전 소자 커버부(33)는 압전 소자부(32)를 덮어 낙하하는 분말(2)에 의해 압전 소자부(32)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압전 소자 커버부(33)는 지지부(31) 위에 위치하므로, 지지부(31)의 표면과 압전 소자 커버부(33)의 표면은 다른 면 상에 위치할 수 있다.The piezoelectric element cover portion 33 can prevent the piezoelectric element portion 32 from being damaged by the powder 2 falling over the piezoelectric element portion 32. Since the piezoelectric element cover portion 33 is located on the support portion 31, the surface of the support portion 31 and the surface of the piezoelectric element cover portion 33 may be located on different surfaces.

제2 제거부(60)는 분말 채취부(30)에 풍력을 가하는 제2 블로윙부(61), 그리고 제2 블로윙부(61)에 의해 밀려온 분말(2)이 퇴출되는 제2 퇴출부(62)를 포함할 수 있다.The second removing part 60 is a second blowing part 61 that applies wind to the powder collecting part 30, and a second discharge part where the powder 2 pushed by the second blowing part 61 is discharged ( 62).

제어부(40)는 압전 소자부(32)로부터 받은 전기적 신호(S1)를 이용하여 분체판(21)의 막힘 현상 또는 분체 완료 시점을 판단할 수 있다. The control unit 40 may determine a clogging phenomenon of the powder plate 21 or a powder completion time using the electrical signal S1 received from the piezoelectric element unit 32.

이하에서, 제어부(21)를 이용하여 분체판(21)의 막힘 현상을 자동으로 판단하여 처리하는 공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process of automatically determining and processing the clogging phenomenon of the powder plate 21 using the control unit 21 will be described in detail.

제어부(40)는 압전 소자부(32)에서 측정된 분말의 위치 에너지가 설정 강도 이하일 경우, 분체판(21)에 막힘 현상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When the potential energy of the powder measured by the piezoelectric element unit 32 is equal to or less than the set strength, the control unit 40 may determine that a clogging phenomenon has occurred in the powder plate 21.

낙하하는 분말의 위치 에너지가 설정 강도 이하일 경우, 제어부(40)는 공급 정지 신호(S2)를 공급부(10)에 전달하고, 분체 막힘 신호(S3)를 분체(20)에 전달할 수 있다. 따라서, 공급부(10)는 대상물(1)의 공급을 정지하고, 분체(20)는 분체판(21)을 막은 큰 입자인 잔류물을 제1 블로윙부(23)를 이용하여 제1 퇴출부(24)로 퇴출시킬 수 있다. 이 때, 제1 블로윙부(23)는 분체판(21)의 상부 측방 또는 하부 측방에 위치할 수 있다. When the potential energy of the falling powder is less than or equal to the set strength, the control unit 40 may transmit a supply stop signal S2 to the supply unit 10 and a powder clogging signal S3 to the powder 20. Therefore, the supply unit 10 stops the supply of the object 1, and the powder 20 uses the first blowing unit 23 for the residue, which is a large particle blocking the powder plate 21, using the first blowing unit 23 ( 24). At this time, the first blowing portion 23 may be located on the upper side or the lower side of the powder plate 21.

분체판(21)에 위치하는 큰 입자를 제거한 후, 다시 대상물(1)을 분체판(21)에 공급하여 분급 공정을 진행한다. After removing the large particles located on the powder plate 21, the object 1 is again supplied to the powder plate 21 to perform a classification process.

한편, 제어부(40)를 이용하여 분체 완료 시점을 자동으로 판단하여 처리하는 공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Meanwhile, the process of automatically determining and processing the powder completion time using the control unit 4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제어부(40)는 압전 소자부(32)에서 전기적 신호(S1)가 발생하지 않는 경우, 분급 공정이 완료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When the electrical signal S1 is not generated in the piezoelectric element unit 32, the control unit 40 may determine that the classification process is completed.

분말이 모두 낙하되어 압전 소자부(32)에서 전기적 신호(S1)가 발생하지 않는 경우, 제어부(40)는 공급 정지 신호(S2)를 공급부(10)에 전달할 수 있다. 따라서, 공급부(10)는 대상물(1)의 공급을 정지하고, 분말 채취부(30)에 연결된 제2 블로윙부(61)를 이용하여 분말(2)을 제2 퇴출부(62)로 퇴출시킬 수 있다. When all of the powder falls and the electrical signal S1 is not generated in the piezoelectric element unit 32, the control unit 40 may transmit the supply stop signal S2 to the supply unit 10. Therefore, the supply unit 10 stops the supply of the object 1 and uses the second blowing unit 61 connected to the powder collection unit 30 to discharge the powder 2 to the second discharge unit 62. You can.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분급 장치의 분말 채취부(30)는 분체(20)를 통해 걸러진 분말(2)의 위치 에너지를 전기적 신호(S1)로 변환시키는 압전 소자부(32)를 포함함으로써, 분말(2)이 분말 채취부(30)에 낙하되지 않아 압전 소자부(32)에 전기적 신호가 발생하지 않는 시점을 분체 완료 시점으로 판단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powder collecting unit 30 of the automatic classifica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verts the potential energy of the powder 2 filtered through the powder 20 into an electrical signal S1 32 By including), it is possible to determine when the powder 2 is not falling on the powder collection unit 30 so that an electrical signal is not generated in the piezoelectric element unit 32 as the powder completion time.

이와 같이, 분체 완료 시점을 자동으로 감지하고, 공급부(10)에 공급 정지 신호(S1)를 전달함으로써, 대상물(1)의 공급 정도를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후속 공정으로의 전환을 자동으로 제어할 수 있어 후속 공정을 연속적으로 진행할 수 있다.In this way, by automatically sensing the completion time of the powder and transmitting the supply stop signal S1 to the supply unit 10, the supply degree of the object 1 can be adjusted. Therefore, it is possible to automatically control the conversion to the subsequent process so that the subsequent process can proceed continuously.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분급 장치의 오차율을 설정하고, 오차율을 벗어나는 경우, 분체(20)에 막힘 현상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f the error rate of the automatic classifica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et and exceeds the error rate, it may be determined that a clogging phenomenon has occurred in the powder 20.

자동 분급 장치의 동작이 시작되어 자동으로 정지하는 시간까지의 동작 기준 시간을 T, 신호 지속 시간을 t라 할 때, 오차율은 (T-t)/T x 100으로 정의된다. When the operation reference time from the operation of the automatic classification device to the time to stop automatically is T and the signal duration is t, the error rate is defined as (T-t) / T x 100.

아래 표 1에는 동작 기준 시간을 28분으로 설정한 경우, 28분 이전 및 이후로 자동 분급 장치의 동작이 정지하는 경우의 오차율을 나타내었다.Table 1 below shows the error rate when the operation of the automatic classification device stops before and after 28 minutes when the operation reference time is set to 28 minutes.

반경(%)Radius (%) 반경(cm)Radius (cm) 신호지속시간(분)Signal duration (minutes) 오차율(%)Error rate (%) 1010 1.51.5 10.0010.00 64.264.2 2020 33 25.7725.77 7.97.9 3030 4.54.5 23.5023.50 16.016.0 4040 66 26.8026.80 4.24.2 5050 7.57.5 27.5527.55 1.61.6 6060 99 27.3227.32 2.42.4 7070 10.510.5 27.0727.07 3.33.3 8080 1212 27.9927.99 0.030.03 9090 13.513.5 28.8828.88 -3.1-3.1 100100 1515 28.5928.59 -2.1-2.1

여기서, 반경(%)는 분체판(21)의 반경 대비 압전 소자부(32)의 반경의 크기를 나타낸 것이며, 반경(cm)는 압전 소자부(32)의 반경의 크기를 나타낸 것이다.Here, the radius (%) represents the size of the radius of the piezoelectric element part 32 compared to the radius of the powder plate 21, and the radius (cm) represents the size of the radius of the piezoelectric element part 32.

표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오차율을 5% 이하로 설정할 수 있도록 압전 소자부(32)는 분체판(21)의 반경의 40% 내지 80%의 반경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As shown in Table 1, the piezoelectric element 32 preferably has a radius of 40% to 80% of the radius of the powder plate 21 so that the error rate can be set to 5% or less.

한편, 가이드부(50)는 분말(2)이 외부로 분산되지 않도록 가이드하며, 이러한 가이드부(50)의 크기는 분체(20)보다 클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guide portion 50 guides the powder 2 not to be dispersed to the outside, and the size of the guide portion 50 may be larger than that of the powder 20.

한편, 상기 일 실시예에서는 분말 채취부의 지지부의 표면과 압전 소자 커버부의 표면은 다른 면 상에 위치하였으나, 지지부의 표면과 압전 소자 커버부의 표면이 동일 면 상에 위치하는 다른 실시예도 가능하다.On the other hand, in the above embodiment, the surface of the support portion of the powder collecting portion and the surface of the piezoelectric element cover portion are located on different surfaces, but other embodiments in which the surface of the support portion and the surface of the piezoelectric element cover portion are located on the same surface are possible.

이하에서, 도 5 및 도 6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동 분급 장치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an automatic classifica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5 and 6.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동 분급 장치의 분말 채취부의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동 분급 장치의 분말 채취부의 단면도이다.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powder collection part of an automatic classification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6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powder collection part of an automatic classification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다른 실시예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일 실시예와 비교하여 분말 채취부의 구조만을 제외하고 실질적으로 동일한 바 반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5 and 6, except for the structure of the powder extraction part, as compared with the exemplary embodiment shown in FIGS. 1 to 4, the repeated description is omitted.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동 분급 장치의 분말 채취부(30)는 지지부(31), 압전 소자부(32), 그리고 압전 소자 커버부(33)를 포함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 5, the powder collecting part 30 of the automatic classification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upport part 31, a piezoelectric element part 32, and a piezoelectric element cover part 33. You can.

지지부(31)는 중앙홈(31a)을 가지고, 압전 소자부(32)는 중앙홈(31a)에 위치할 수 있다. 이 때, 압전 소자 커버부(33)도 중앙홈(31a)에 위치할 수 있다. 따라서, 지지부(31)의 표면과 압전 소자 커버부(33)의 표면은 동일 면 상에 위치할 수 있다. 따라서, 분말 채취부(30)에 낙하되는 분말(2)에 의한 전기적 신호(S1)를 보다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다. The support portion 31 has a central groove (31a), the piezoelectric element portion 32 may be located in the central groove (31a). At this time, the piezoelectric element cover portion 33 may also be located in the central groove 31a. Therefore, the surface of the support portion 31 and the surface of the piezoelectric element cover portion 33 may be located on the same surface. Therefore, the electrical signal S1 caused by the powder 2 falling on the powder collection unit 30 can be more accurately determined.

또한,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동 분급 장치의 분말 채취부(30)는 분체(20)의 표면과 소정 각도(θ)로 경사지게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중력을 이용하여 보다 용이하게 분말(2)을 제거할 수 있다. In addition, as shown in FIG. 6, the powder collection unit 30 of the automatic classification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nstalled to be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θ with the surface of the powder 20. Therefore, the powder 2 can be more easily removed using gravity.

본 발명을 앞서 기재한 바에 따라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해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음에 기재하는 특허청구범위의 개념과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종사하는 자들은 쉽게 이해할 것이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through preferred embodiments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and the present invention shows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concept and scope of the following claims. Those in the field of technology to which they belong will readily understand.

1: 대상물 2: 분말
10: 공급부 20: 분체
30: 분말 채취부 40: 제어부
1: Object 2: Powder
10: supply unit 20: powder
30: powder collection unit 40: control unit

Claims (14)

대상물을 공급하는 공급부,
상기 공급부에서 공급된 상기 대상물을 분급하는 분체,
상기 분체를 통과한 분말을 채취하며 전기적 신호를 생성하는 분말 채취부, 그리고
상기 전기적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대상물의 공급을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고,
상기 분말 채취부는 상기 분체의 표면과 경사지게 설치되는 자동 분급 장치.
Supply unit for supplying the object
Powder for classifying the object supplied from the supply unit,
Powder collection unit for collecting the powder passing through the powder and generating an electrical signal, and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the object using the electrical signal
Including,
The powder collection unit is an automatic classification device is installed to be inclined with the surface of the powder.
제1항에서,
상기 분말 채취부는
지지부, 그리고
상기 지지부 위에 위치하는 압전 소자부
를 포함하는 자동 분급 장치.
In claim 1,
The powder collection unit
Support, and
Piezoelectric element portion located on the support portion
Automatic classification device comprising a.
제2항에서,
상기 분말 채취부는 상기 압전 소자부를 덮는 압전 소자 커버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의 표면과 상기 압전 소자 커버부의 표면은 다른 면 상에 위치하는 자동 분급 장치.
In claim 2,
The powder collecting portion further includes a piezoelectric element cover portion covering the piezoelectric element portion,
An automatic classifying apparatus in which the surface of the support portion and the surface of the piezoelectric element cover portion are located on different surfaces.
제2항에서,
상기 분말 채취부는 상기 압전 소자부를 덮는 압전 소자 커버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는 중앙홈을 가지고,
상기 압전 소자부는 상기 중앙홈에 위치하며,
상기 지지부의 표면과 상기 압전 소자 커버부의 표면은 동일 면 상에 위치하는 자동 분급 장치.
In claim 2,
The powder collecting portion further includes a piezoelectric element cover portion covering the piezoelectric element portion,
The support portion has a central groove,
The piezoelectric element portion is located in the central groove,
An automatic classifying device in which the surface of the support portion and the surface of the piezoelectric element cover portion are located on the same surface.
삭제delete 제1항에서,
상기 분체는
분체판,
상기 분체판을 진동시키는 진동부, 그리고
상기 분체판에 위치하는 잔류물을 제거하는 제1 제거부
를 포함하는 자동 분급 장치.
In claim 1,
The powder
Sieve,
Vibration unit for vibrating the powder plate, and
A first removal unit for removing the residue located on the powder plate
Automatic classification device comprising a.
제6항에서,
상기 제1 제거부는
상기 분체판에 풍력을 가하는 제1 블로윙부, 그리고
상기 제1 블로윙부에 의해 밀려온 상기 잔류물이 퇴출되는 제1 퇴출부
를 포함하는 자동 분급 장치.
In claim 6,
The first removal unit
A first blowing unit for applying wind to the powder plate, and
A first discharge portion in which the residue pushed by the first blowing portion is discharged
Automatic classification device comprising a.
제7항에서,
상기 분말 채취부에 연결되며, 상기 분말 채취부에 위치하는 분말을 제거하는 제2 제거부를 더 포함하는 자동 분급 장치.
In claim 7,
Automatic classification device further comprises a second removal unit connected to the powder collection unit to remove the powder located in the powder collection unit.
제8항에서,
상기 제2 제거부는
상기 분말 채취부에 풍력을 가하는 제2 블로윙부, 그리고
상기 제2 블로윙부에 의해 밀려온 상기 분말이 퇴출되는 제2 퇴출부
를 포함하는 자동 분급 장치.
In claim 8,
The second removal unit
A second blowing unit for applying wind power to the powder collection unit, and
A second discharge portion from which the powder pushed by the second blowing portion is discharged
Automatic classification device comprising a.
제1항에서,
상기 분체와 상기 분말 채취부 사이에 위치하는 가이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부의 크기는 상기 분체보다 큰 자동 분급 장치.
In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guide portion located between the powder and the powder collecting portion,
The size of the guide portion is an automatic classification device larger than the powder.
제2항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압전 소자부에 전기적 신호가 발생하지 않는 시점을 분체 완료 시점으로 판단하는 자동 분급 장치.
In claim 2,
The control unit is an automatic classification device for determining the time when the electrical signal does not occur in the piezoelectric element portion as the powder completion time.
제2항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압전 소자부에서 측정된 상기 분말의 위치 에너지가 설정 강도 이하일 경우, 분체 막힘 신호를 상기 분체에 전달하는 자동 분급 장치.
In claim 2,
The control unit, when the potential energy of the powder measured by the piezoelectric element unit is less than a set strength, an automatic classification device for transmitting a powder clogging signal to the powder.
제2항에서,
상기 압전 소자부는 티탄산 바륨(BaTiO3), 폴리불화 비닐리덴(PVDF), 지스코산납(PbZrO3), 티탄산납(PbTiO3), 수정(Quartz)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자동 분급 장치.
In claim 2,
The piezoelectric element unit is an automatic classification device comprising at least one selected from barium titanate (BaTiO 3 ), polyvinylidene fluoride (PVDF), lead ziscoate (PbZrO 3 ), lead titanate (PbTiO 3 ), quartz (Quartz).
제1항에서,
상기 대상물은 이차 전지의 활물질을 포함하는 자동 분급 장치.
In claim 1,
The object is an automatic classification device comprising an active material of the secondary battery.
KR1020180055303A 2018-05-15 2018-05-15 Automatic powder classifying apparatus KR10210030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5303A KR102100305B1 (en) 2018-05-15 2018-05-15 Automatic powder classifying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5303A KR102100305B1 (en) 2018-05-15 2018-05-15 Automatic powder classifying apparatu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0771A KR20190130771A (en) 2019-11-25
KR102100305B1 true KR102100305B1 (en) 2020-04-13

Family

ID=687306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55303A KR102100305B1 (en) 2018-05-15 2018-05-15 Automatic powder classifying apparatu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00305B1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670674B2 (en) * 2006-02-15 2011-04-13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Particle separation method and particle separation apparatus
JP2014188452A (en) * 2013-03-27 2014-10-06 National Institute Of Advanced Industrial & Technology Sorter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29385Y1 (en) * 1992-08-19 1998-12-15 구자홍 Weight detection circuit of microwave oven
KR101093099B1 (en) * 2009-06-30 2011-12-13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Piezo Sensor modul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670674B2 (en) * 2006-02-15 2011-04-13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Particle separation method and particle separation apparatus
JP2014188452A (en) * 2013-03-27 2014-10-06 National Institute Of Advanced Industrial & Technology Sort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0771A (en) 2019-1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185889B2 (en) Sieving device and operating method
US4212398A (en) Particle separating device
KR102100305B1 (en) Automatic powder classifying apparatus
CN203356079U (en) Tea color sorter accurate in feeding
CN108206144A (en) The adsorption method of warpage wafer and the device using the adsorption method
TWI833024B (en) Pick and place machine cleaning system and method
CN102935427B (en) Experiment Multifunction cleaning machine
CN204298516U (en) A kind of device for screening silk cocoons
CN210965792U (en) Screening device for puffed food production
CN108580249A (en) A kind of swing type battery screening machine
CN203922011U (en) Charging self-checking device and bulk cargo foreign matter testing agency
CN107132176A (en) Visual combination formula tablet counting mechanism
CN214021892U (en) High-efficient ultrasonic vibration sieve device
CN201765195U (en) Machine for detecting surface damage and impurity of tablets
CN205165207U (en) Quality testing sorting unit of piezoelectric buzzer automated inspection machine
CN208554962U (en) A kind of ultrasonic wave straight line sieve structure
CN206848133U (en) Visual combination formula tablet counting mechanism
CN210386541U (en) Discharging device for producing resin grinding tool
US20230070533A1 (en) Method for cleaning blinding particles in crushers
CN206882110U (en) The vibratory sieve of detection containing Powder Particle Size
JP4270375B2 (en) Chip component sorting method and apparatus
CN207308315U (en) A kind of outside diameter sorting frock of piezoelectric ceramic wafer
CN210061677U (en) Macromolecular material production feed arrangement
CN218282620U (en) Rice screening machine
CN219401142U (en) Anti-blocking device for grain feeding pipe of grain peeling machi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