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98896B1 - 데이터 관리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데이터 관리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98896B1
KR102098896B1 KR1020160025210A KR20160025210A KR102098896B1 KR 102098896 B1 KR102098896 B1 KR 102098896B1 KR 1020160025210 A KR1020160025210 A KR 1020160025210A KR 20160025210 A KR20160025210 A KR 20160025210A KR 102098896 B1 KR102098896 B1 KR 1020988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request
user
management unit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252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02725A (ko
Inventor
차우
원희선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600252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98896B1/ko
Priority to US15/205,673 priority patent/US10534757B2/en
Publication of KR201701027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027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988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988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10File systems; File servers
    • G06F16/18File system types
    • G06F16/182Distributed file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10File systems; File servers
    • G06F16/16File or folder operations, e.g. details of user interfaces specifically adapted to file systems
    • G06F16/164File meta data gener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2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structured data, e.g. relational data
    • G06F16/22Indexing; Data structures therefor; Storage structures
    • G06F16/2219Large Object storage; Management thereof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2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structured data, e.g. relational data
    • G06F16/24Querying
    • G06F16/245Query processing
    • G06F16/2457Query processing with adaptation to user needs
    • G06F16/24578Query processing with adaptation to user needs using rank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2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structured data, e.g. relational data
    • G06F16/27Replication, distribution or synchronisation of data between databases or within a distributed database system; Distributed database system architectures therefo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2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structured data, e.g. relational data
    • G06F16/28Databases characterised by their database models, e.g. relational or object models
    • G06F16/284Relational databases
    • G06F16/285Clustering or classifi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31User authent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08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관리 시스템은 데이터를 관리하는 데이터 관리부와, 상기 데이터의 분석 프로세스를 관리하는 프로세스 관리부와, 상기 데이터를 관리하기 위한 메타데이터 정보가 저장된 메타데이터 저장부를 포함하는 마스터 그룹 및 리소스, 상기 데이터 및 상기 데이터의 프로세서를 그룹 범위로 관리하는 워크 관리부와, 상기 리소스, 상기 데이터 및 상기 프로세스를 노드 범위로 관리하는 하나 이상의 노드 관리부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워크 그룹을 포함하되, 상기 마스터 그룹 및 상기 하나 이상의 워크 그룹은 서로 분산되어 위치한다.

Description

데이터 관리 시스템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MANAGING DATA}
본 발명은 데이터 관리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빅데이터에 대한 연구 및 활용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빅데이터 분야는 이론가들, 시스템 구축자들, 연구자들 또는 응용 프로그램의 디자이너 등 다양한 소스로부터의 데이터가 동시에 축적됨에 따라 수많은 혁신들을 가져오고 있다.
이러한 데이터의 소스들로 인하여 데이터의 양이 증가할 뿐만 아니라, 요구되는 데이터의 다양성도 증가함에 따라, 점점 더 많은 데이터 센터들은 다양한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지리적으로 많은 장소에 분산되어 설치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와 같이 분산되어 설치된 각각의 데이터 센터는 서로 다른 목표, 인프라 및 소프트웨어 사양을 가지고 있어, 데이터를 통합하여 관리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또한, 많은 데이터 관련 서비스들이 수행됨에 있어서, 시스템의 실패 진단, 에러 검출 및 접속 예측 등과 같은 서비스의 최적화를 위한 작업을 분석하는 것이 중요하다. 그러나 분산된 데이터 센터들간의 서비스 작업 분석을 위한 확장된 시스템이 없어, 플랫폼의 적용 가능성이 점점 더 감소하고 있는 실정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데이터 관리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서비스의 최적화 동작을 위해, 종래 기술에 따른 데이터 관리 시스템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역별(A-1~A-4)로 분산되어 설치된 각 데이터 센터(10-1~10-4)에서 개별적으로 작업 분석 클러스터(20-1~20-4)를 사용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기술의 경우, 이하에서 설명하는 바와 같이 빅데이터 플랫폼 분야에 적용하기에는 몇 가지 제약이 있다.
첫째로, 작업 분석 클러스터(20-1~20-4) 간의 외부적인 협력이 없다는 문제가 있다. 즉, 많은 데이터 센터들(10-1~10-4) 간에 서로 협업하여 수행하는 작업 분석은 불가능하다.
둘째로, 각 데이터 센터(10-1~10-4)마다 분석 수요가 다르기 때문에, 리소스 균형 및 최적화된 상태를 유지하기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즉, 어떤 클러스터는 리소스가 부족한 상태이나, 다른 클러스터는 작업 분석 요청이 없는 상태로서 리소스를 사용하지 않는 등 리소스가 불균형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각 작업 분석 클러스터(20-1~20-4)에 포함된 장치의 수가 제한되어 있기 때문에, 종래기술의 경우 많은 양의 데이터를 처리할 수 없고, 이는 빅데이터 분야에서 치명적인 문제를 야기하게 된다.
이와 관련하여,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5-0091901(발명의 명칭: 분산 병렬형 빅데이터 처리 시스템)는 빅데이터를 병렬적으로 분산 처리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빅데이터 처리 시스템을 개시하고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빅데이터 플랫폼에 있어서, 지리적으로 분산된 데이터 센터들로부터 사용자들로 하여금 원하는 데이터를 쉽게 획득할 수 있고, 데이터 분석 결과를 빠르게 수신할 수 있게 하는 마스터 그룹-워크 그룹 기반의 데이터 관리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다만, 본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제 1 측면에 따른 데이터 관리 시스템은 데이터를 관리하는 데이터 관리부와, 상기 데이터의 분석 프로세스를 관리하는 프로세스 관리부와, 상기 데이터를 관리하기 위한 메타데이터 정보가 저장된 메타데이터 저장부를 포함하는 마스터 그룹 및 리소스, 상기 데이터 및 상기 데이터의 프로세서를 그룹 범위로 관리하는 워크 관리부와, 상기 리소스, 상기 데이터 및 상기 프로세스를 노드 범위로 관리하는 하나 이상의 노드 관리부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워크 그룹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마스터 그룹 및 상기 하나 이상의 워크 그룹은 서로 분산되어 위치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 2 측면에 따른 데이터 관리 시스템에서의 데이터 관리 방법은 마스터 그룹의 데이터 관리부가 사용자로부터 제 1 데이터의 쓰기 요청 또는 제 1 데이터의 읽기 요청을 수신하거나, 상기 마스터 그룹의 프로세스 관리부가 사용자로부터 제 1 데이터의 프로세스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데이터 관리부 또는 상기 프로세스 관리부가 상기 요청에 대응되도록 상기 워크 그룹의 순위별 리스트를 산출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순위별 리스트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하나 이상의 워크 그룹에 포함된 워크 관리부가 사용자로부터 노드들의 리스트 정보가 포함된 제 2 데이터 쓰기 요청, 제 2 데이터의 읽기 요청 및 제 2 데이터의 프로세스 요청 중 어느 하나의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사용자의 요청이 상기 제 1 및 제 2 데이터 쓰기 요청인 경우, 상기 제 2 데이터 쓰기 요청에 대응하여 상기 노드들의 리스트 정보 중 유효한 노드의 정보를 사용자에게 전송하고, 상기 사용자의 요청이 상기 제 1 및 제 2 데이터 읽기 요청인 경우, 상기 제 2 데이터 읽기 요청에 대응하여 상기 노드들의 리스트 정보 중 유효한 노드의 정보를 사용자에게 전송하며, 상기 사용자의 요청이 상기 제 1 및 제 2 데이터 프로세스 요청인 경우, 상기 노드들에 대응하는 노드 관리부로 상기 데이터의 프로세스 할당 요청을 전송하되, 상기 노드 관리부는 상기 프로세스 할당 요청을 수신함에 따라 상기 데이터를 프로세싱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다수의 데이터 센터가 지리적으로 분산되어 위치하더라도, 상호간의 정보 처리를 효율적으로 운용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데이터 관리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관리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관리 방법 중 데이터 쓰기 절차의 순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관리 방법 중 데이터 읽기 절차의 순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관리 방법 중 데이터 프로세스 절차의 순서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에서는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관리 시스템(100)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관리 시스템(100)의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관리 시스템(100)은 마스터 그룹(110) 및 하나 이상의 워크 그룹(120-1, 120-2,…, 120-n, 이하 120)을 포함한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의 데이터 센터는 작업 분석을 위한 각 장치의 그룹으로 구성되며, 이에 따라 데이터 센터와 그룹의 개수는 서로 동일하다. 이들 그룹 중 하나는 마스터 그룹(110)에 해당하고, 그외 그룹은 워크 그룹(120)이며, 이들은 서로 분산되어 위치한다.
마스터 그룹(110)은 데이터를 관리하는 데이터 관리부(111), 데이터의 분석 프로세스를 관리하는 프로세스 관리부(112) 및 데이터를 관리하기 위한 메타데이터 정보가 저장된 메타데이터 저장부(113)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마스터 그룹(110)은 사용자의 요청을 수신하여 처리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위 구성요소를 통해 전체 클러스터의 정보를 관리한다.
이때, 메타데이터 저장부(113)에 저장된 메타데이터 정보는 사용자 정보, 워크 그룹(120)의 정보, 워크 그룹(120)의 작업 한도량 정보, 리소스의 정보, 어플리케이션의 정보 및 클러스터의 구성 정보 중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워크 그룹(120)은 리소스, 데이터 및 데이터의 프로세스를 그룹 범위로 관리하는 워크 관리부(121)와, 리소스, 데이터 및 데이터의 프로세스를 노드 범위로 관리하는 하나 이상의 노드 관리부(122)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마스터 그룹(110)과 워크 그룹(120)은 사용자로부터 데이터의 쓰기 요청, 데이터의 읽기 요청 및 데이터의 프로세스 요청 중 하나를 수신함에 따라 서로 연결되어 활성화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관리 시스템(100)은 인증 관리부(11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인증 관리부(114)는 사용자의 데이터 쓰기 요청, 데이터 읽기 요청 및 데이터 프로세스 요청 중 어느 하나의 요청을 수행하기 위한 인증 요청에 대응하여 사용자를 인증할 수 있다. 이때, 인증 관리부(114)는 사용자로부터 아이디 및 패스워드를 포함하는 인증 요청을 수신함에 따라, 메타데이터 저장부(113)에 저장된 사용자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를 인증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서의 마스터 그룹(110) 및 워크 그룹(120)에 포함된 각 구성요소들은 통신 모듈(미도시), 메모리(미도시) 및 프로세서(미도시)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통신 모듈은 유선 통신 모듈 및 무선 통신 모듈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유선 통신 모듈은 전력선 통신 장치, 전화선 통신 장치, 케이블 홈(MoCA), 이더넷(Ethernet), IEEE1294, 통합 유선 홈 네트워크 및 RS-485 제어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무선 통신 모듈은 WLAN(wireless LAN), Bluetooth, HDR WPAN, UWB, ZigBee, Impulse Radio, 60GHz WPAN, Binary-CDMA, 무선 USB 기술 및 무선 HDMI 기술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메모리에는 각 서버들을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된다. 여기에서, 메모리는 전원이 공급되지 않아도 저장된 정보를 계속 유지하는 비휘발성 저장장치 및 휘발성 저장장치를 통칭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메모리는 콤팩트 플래시(compact flash; CF) 카드, SD(secure digital) 카드, 메모리 스틱(memory stick), 솔리드 스테이트 드라이브(solid-state drive; SSD) 및 마이크로(micro) SD 카드 등과 같은 낸드 플래시 메모리(NAND flash memory),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hard disk drive; HDD) 등과 같은 마그네틱 컴퓨터 기억 장치 및 CD-ROM, DVD-ROM 등과 같은 광학 디스크 드라이브(optical disc drive)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참고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 2에 도시된 구성 요소들은 소프트웨어 또는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또는 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와 같은 하드웨어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소정의 역할들을 수행할 수 있다.
그렇지만 '구성 요소들'은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며, 각 구성 요소는 어드레싱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구성 요소는 소프트웨어 구성 요소들,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구성 요소들, 클래스 구성 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 요소들과 같은 구성 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 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구성 요소들과 해당 구성 요소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 요소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 요소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데이터 관리 시스템(100)에서의 데이터 관리 방법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관리 방법 중 데이터 쓰기 절차의 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관리 시스템(100)에서의 데이터 쓰기 절차는 먼저, 마스터 그룹(110)의 인증 관리부(114)는 사용자로부터 인증 요청을 수신하면, 사용자를 인증하는 과정을 수행한다. 즉, 인증 관리부(114)는 사용자로부터 아이디 및 패스워드를 포함하는 인증 요청을 수신함에 따라(S305), 메타데이터 저장부(113)에 저장된 사용자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를 인증한다(S310). 이때, 인증 관리부(114)는 사용자의 인증이 실패한 경우, 사용자로부터 다시 아이디 및 패스워드를 포함하는 인증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이와 달리, 사용자의 인증이 성공한 경우, 마스터 그룹(110)의 데이터 관리부(111)는 사용자로부터 데이터의 식별자를 포함하는 제 1 데이터 쓰기 요청을 수신한다(S315).
이때, 데이터 관리부(111)는 메타데이터 저장부(113)에 저장된 메타데이터의 정보에 기초하여 제 1 데이터 쓰기 요청의 유효성을 판단할 수 있다(S320). 즉, 데이터 관리부(111)는 메타데이터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쓰기 요청에 대하여 접속 절차와 관련된 위반 사항 유무 및 리소스 할당량 위반 여부 등의 유효성을 판단할 수 있다. 그 결과 제 1 데이터 쓰기 요청의 유효성이 인정되지 않는 경우, 사용자로부터 다시 제 1 데이터 쓰기 요청을 수신하도록 대기할 수 있다.
제 1 데이터 쓰기 요청의 유효성이 인정되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데이터 관리부(111)는 제 1 데이터 쓰기 요청에 대응하여 데이터를 쓰기에 적합한 워크 그룹(120)의 순위별 리스트를 산출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한다(S325). 이때, 워크 그룹(120)의 순위별 리스트는 워크 그룹(120)의 식별자 및 워크 그룹(120)에 포함된 노드의 식별자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워크 그룹(120)의 순위별 리스트는 사용자의 위치 정보, 리소스의 이용 정보 및 워크 그룹(120)의 작업 할당량 정보 중 하나 이상에 기초하여 산출될 수 있다.
다음으로, 사용자가 워크 그룹(120)의 순위별 리스트에 포함된 워크 그룹(120) 중 하나 이상의 워크 그룹(120)이 선택되면, 선택된 워크 그룹(120)에 포함된 워크 관리부(121)는 사용자로부터 데이터를 쓰고자 하는 노드들의 리스트 정보가 포함된 제 2 데이터 쓰기 요청을 수신한다(S330).
제 2 데이터 쓰기 요청을 수신한 워크 관리부(121)는 이에 대응하여 노드들의 리스트 정보 중 유효한 노드의 정보를 추출하여 사용자에게 전송한다(S335).
사용자는 전송받은 유효한 노드 중 데이터를 쓰고자 하는 노드를 선택하고, 선택한 노드에 대응하는 노드 관리부(122)로 제 2 데이터 쓰기 요청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전송한다. 이때, 사용자는 데이터의 내용(content)뿐만 아니라, 데이터를 복사하고자 하는 개수의 정보도 함께 전송할 수 있다.
노드 관리부(122)는 사용자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함에 따라(S340), 데이터를 복사하여 다른 노드 또는 다른 워크 그룹(120)으로 복사된 데이터를 전송한다(S345). 이때, 복사된 데이터는 랜덤하게 선택되거나, 사용 패턴에 기반하여 선택되거나 또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노드 또는 워크 그룹(120)으로 전송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데이터가 복사되어 전송되는 과정이 완료되면, 워크 관리부(121)는 메타데이터 저장부(113)의 갱신을 위하여, 데이터 관리부(111)로 복사된 데이터의 위치 정보를 전송하고(S350), 사용자에게 데이터의 쓰기 절차가 완료되었음을 알릴 수 있다.
다음으로,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관리 시스템(100)에서의 데이터 읽기 절차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관리 방법 중 데이터 읽기 절차의 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관리 시스템(100)에서의 데이터 읽기 절차는 먼저, 마스터 그룹(110)의 인증 관리부(114)는 사용자로부터 인증 요청을 수신하면, 상술한 데이터 쓰기 절차와 동일하게, 사용자를 인증하는 과정을 수행한다.
즉, 인증 관리부(114)는 사용자로부터 아이디 및 패스워드를 포함하는 인증 요청을 수신함에 따라(S405), 메타데이터 저장부(113)에 저장된 사용자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를 인증한다(S410). 이때, 인증 관리부(114)는 사용자의 인증이 실패한 경우, 사용자로부터 다시 아이디 및 패스워드를 포함하는 인증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이와 달리, 사용자의 인증이 성공한 경우, 마스터 그룹(110)의 데이터 관리부(111)는 사용자로부터 데이터의 식별자를 포함하는 제 1 데이터 읽기 요청을 수신한다(S415).
이때, 데이터 관리부(111)는 메타데이터 저장부(113)에 저장된 메타데이터의 정보에 기초하여 제 1 데이터 읽기 요청의 유효성을 판단할 수 있다(S420). 즉, 데이터 관리부(111)는 메타데이터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읽기 요청에 대하여 접속 절차와 관련된 위반 사항 유무 및 리소스 할당량 위반 여부 등의 유효성을 판단할 수 있다. 그 결과 제 1 데이터 읽기 요청의 유효성이 인정되지 않는 경우, 사용자로부터 다시 제 1 데이터 읽기 요청을 수신하도록 대기할 수 있다.
이와 달리, 제 1 데이터 읽기 요청의 유효성이 인정되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데이터 관리부(111)는 제 1 데이터 읽기 요청에 대응하여 데이터를 읽기에 적합한 워크 그룹(120)의 순위별 리스트를 산출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한다(S425). 이때, 워크 그룹(120)의 순위별 리스트는 워크 그룹(120)의 식별자 및 워크 그룹(120)에 포함된 노드의 식별자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워크 그룹(120)의 순위별 리스트는 사용자의 위치 정보, 리소스의 이용 정보 및 워크 그룹(120)의 작업 할당량 정보 중 하나 이상에 기초하여 산출될 수 있다.
다음으로, 사용자로부터 워크 그룹(120)의 순위별 리스트에 포함된 워크 그룹(120) 중 하나 이상의 워크 그룹(120)이 선택되면, 선택된 워크 그룹(120)에 포함된 워크 관리부(121)는 사용자로부터 데이터를 읽고자 하는 노드들의 리스트 정보가 포함된 제 2 데이터 읽기 요청을 수신한다(S430).
제 2 데이터 읽기 요청을 수신한 워크 관리부(121)는 이에 대응하여 노드들의 리스트 정보 중 유효한 노드의 정보를 추출하여 사용자에게 전송한다(S435).
사용자가 전송받은 유효한 노드 중 데이터를 읽고자 하는 노드를 선택하면(S440), 선택한 노드에 대응하는 노드 관리부(122)는 제 2 데이터 읽기 요청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사용자에게 반환한다(S445).
다음으로,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관리 시스템(100)에서의 데이터 프로세스 절차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관리 방법 중 데이터 프로세스 절차의 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관리 시스템(100)에서의 데이터 프로세스 절차는 먼저, 마스터 그룹(110)의 인증 관리부(114)가 사용자로부터 인증 요청을 수신하면, 사용자를 인증하는 과정을 수행한다. 즉, 인증 관리부(114)는 사용자로부터 아이디 및 패스워드를 포함하는 인증 요청을 수신함에 따라(S505), 메타데이터 저장부(113)에 저장된 사용자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를 인증한다(S510). 이때, 인증 관리부(114)는 사용자의 인증이 실패한 경우, 사용자로부터 다시 아이디 및 패스워드를 포함하는 인증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이와 달리, 사용자의 인증이 성공한 경우, 마스터 그룹(110)의 프로세스 관리부(112)는 사용자로부터 프로세스 식별자, 입력 및 출력 데이터 식별자를 포함하는 포함하는 제 1 데이터 프로세스 요청을 수신한다(S515).
이때, 프로세스 관리부(112)는 메타데이터 저장부(113)에 저장된 메타데이터의 정보에 기초하여 제 1 데이터 프로세스 요청의 유효성을 판단할 수 있다(S520). 즉, 프로세스 관리부(112)는 메타데이터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쓰기 요청에 대하여 접속 절차와 관련된 위반 사항 유무 및 리소스 할당량 위반 여부 등의 유효성을 판단할 수 있다. 그 결과 제 1 데이터 프로세스 요청의 유효성이 인정되지 않는 경우, 사용자로부터 다시 제 1 데이터 프로세스 요청을 수신하도록 대기할 수 있다.
제 1 데이터 프로세스 요청의 유효성이 인정되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프로세스 관리부(112)는 제 1 데이터 프로세스에 대응하여 프로세스를 처리하기에 적합한 워크 그룹(120)의 순위별 리스트를 산출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한다(S525). 이때, 워크 그룹(120)의 순위별 리스트는 워크 그룹(120)의 식별자 및 워크 그룹(120)에 포함된 노드의 식별자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워크 그룹(120)의 순위별 리스트는 사용자의 위치 정보, 리소스의 이용 정보 및 워크 그룹(120)의 작업 할당량 정보 중 하나 이상에 기초하여 산출될 수 있다.
다음으로, 사용자에 의해 워크 그룹(120)의 순위별 리스트에 포함된 워크 그룹(120) 중 하나 이상의 워크 그룹(120)이 선택되면, 선택된 워크 그룹(120)에 포함된 워크 관리부(121)는 사용자로부터 데이터를 프로세싱하고자 하는 노드들의 리스트 정보가 포함된 제 2 데이터 프로세스 요청을 수신한다(S530).
워크 관리부(121)는 제 2 데이터 프로세스 요청을 수신함에 따라, 리스트 정보에 포함된 노드들에 대응하는 노드 관리부(122)로 데이터의 프로세스 할당 요청을 전송한다(S535).
프로세스 할당 요청을 수신한 노드 관리부(122)는 데이터를 프로세싱하고(S540), 프로세싱이 완료되면 워크 관리부(121)는 사용자에게 데이터의 프로세싱 결과를 반환한다(S545).
한편 상술한 설명에서, 단계 S305 내지 S545는 본 발명의 구현예에 따라서, 추가적인 단계들로 더 분할되거나, 더 적은 단계들로 조합될 수 있다. 또한, 일부 단계는 필요에 따라 생략될 수도 있고, 단계 간의 순서가 변경될 수도 있다. 아울러, 기타 생략된 내용이라 하더라도 도 2에서의 데이터 관리 시스템(100)에 관하여 이미 기술된 내용은 도 3 내지 도 5의 데이터 관리 방법에도 적용된다.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다수의 데이터 센터가 지리적으로 분산되어 위치하더라도, 상호간의 정보 처리를 효율적으로 운용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효과적이고 확장 가능한 데이터의 저장, 접속 및 처리 시스템을 제공함으로써, 데이터 센터에서의 데이터 서비스의 최적화를 위한 작업 분석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관리 시스템(100)에서의 데이터 관리 방법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또는 컴퓨터에 의해 실행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 있고,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 및 통신 매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된 휘발성 및 비휘발성,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통신 매체는 전형적으로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반송파와 같은 변조된 데이터 신호의 기타 데이터, 또는 기타 전송 메커니즘을 포함하며, 임의의 정보 전달 매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방법 및 시스템은 특정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었지만, 그것들의 구성 요소 또는 동작의 일부 또는 전부는 범용 하드웨어 아키텍쳐를 갖는 컴퓨터 시스템을 사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1~10-4: 데이터 센터 20-1~20-4: 작업 분석 클러스터
100: 데이터 관리 시스템 110: 마스터 그룹
111: 데이터 관리부 112: 프로세스 관리부
113: 메타데이터 저장부 114: 인증 관리부
120: 워크 그룹 121: 워크 관리부
122: 노드 관리부

Claims (19)

  1. 데이터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데이터의 쓰기 요청 또는 데이터의 읽기 요청을 수신하는 데이터 관리부와, 데이터의 프로세스 요청을 수신하는 프로세스 관리부와, 상기 데이터를 관리하기 위한 메타데이터 정보가 저장된 메타데이터 저장부를 포함하는 마스터 그룹 및
    리소스, 상기 데이터 및 상기 데이터의 프로세서를 그룹 범위로 관리하는 워크 관리부와, 상기 리소스, 상기 데이터 및 상기 프로세스를 노드 범위로 관리하는 하나 이상의 노드 관리부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워크 그룹을 포함하되,
    상기 마스터 그룹 및 상기 하나 이상의 워크 그룹은 서로 분산되어 위치하고,
    상기 마스터 그룹은 상기 데이터의 쓰기 요청, 데이터의 읽기 요청 또는 데이터의 프로세스 요청에 따라, 상기 워크 그룹의 순위별 리스트를 산출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되,
    상기 데이터 관리부가 사용자로부터 데이터의 식별자를 포함하는 제 1 데이터 쓰기 요청, 제1 데이터 읽기 요청, 제 1 데이터 프로세스 요청을 수신하는 경우, 요청에 적합한 워크 그룹의 순위별 리스트를 산출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되, 상기 순위별 리스트는 상기 워크 그룹의 식별자 및 상기 워크 그룹에 포함된 노드의 식별자를 포함하고, 사용자의 위치 정보, 상기 리소스의 이용 정보 및 상기 워크 그룹의 작업 할당량 정보 중 하나 이상에 기초하여 산출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관리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타데이터 정보는 사용자 정보, 상기 워크 그룹의 정보, 상기 워크 그룹의 작업 한도량 정보, 상기 리소스의 정보, 어플리케이션의 정보 및 클러스터의 구성 정보 중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하는 것인 데이터 관리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터 그룹과 상기 워크 그룹은 사용자로부터 데이터의 쓰기 요청, 데이터의 읽기 요청 및 데이터의 프로세스 요청 중 하나를 수신함에 따라 서로 연결되어 활성화되는 것인 데이터 관리 시스템.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관리부는 상기 제 1 데이터 쓰기 요청을 수신한 경우, 상기 메타데이터 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메타데이터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데이터 쓰기 요청의 유효성을 판단하는 것인 데이터 관리 시스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데이터 쓰기 요청을 수신한 경우, 사용자에 의해 상기 순위별 리스트 중 하나 이상의 워크 그룹이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워크 그룹에 포함된 워크 관리부는, 사용자로부터 상기 데이터를 쓰고자 하는 노드들의 리스트 정보가 포함된 제 2 데이터 쓰기 요청을 수신하고, 상기 제 2 데이터 쓰기 요청에 대응하여 상기 노드들의 리스트 정보 중 유효한 노드의 정보를 사용자에게 전송하는 것인 데이터 관리 시스템.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유효한 노드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노드에 대응하는 노드 관리부가 사용자로부터 상기 제 2 데이터 쓰기 요청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수신하면, 상기 노드 관리부는 사용자로부터 상기 데이터를 수신함에 따라, 상기 데이터를 복사하여 다른 노드 또는 다른 워크 그룹으로 전송하는 것인 데이터 관리 시스템.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복사된 데이터는 랜덤하게 선택되거나, 사용 패턴에 기반하여 선택되거나 또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노드 또는 워크 그룹으로 전송되는 것인 데이터 관리 시스템.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워크 관리부는 상기 메타데이터 저장부의 갱신을 위하여 상기 데이터 관리부로 상기 복사된 데이터의 위치 정보를 전송하는 것인 데이터 관리 시스템.
  10. 삭제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관리부는 상기 제 1 데이터 읽기 요청을 수신한 경우, 상기 메타데이터 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메타데이터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데이터 읽기 요청의 유효성을 판단하는 것인 데이터 관리 시스템.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데이터 읽기 요청을 수신한 경우, 사용자에 의해 상기 순위별 리스트 중 하나 이상의 워크 그룹이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워크 그룹에 포함된 워크 관리부는, 사용자로부터 상기 데이터를 읽고자 하는 노드들의 리스트 정보가 포함된 제 2 데이터 읽기 요청을 수신하고, 상기 제 2 데이터 읽기 요청에 대응하여 상기 노드들의 리스트 정보 중 유효한 노드의 정보를 사용자에게 전송하는 것인 데이터 관리 시스템.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유효한 노드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노드에 대응하는 노드 관리부는 상기 제 2 데이터 읽기 요청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사용자에게 반환하는 것인 데이터 관리 시스템.
  14. 삭제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데이터 프로세스 요청을 수신한 경우, 상기 프로세스 관리부는 상기 메타데이터 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메타데이터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데이터 프로세스 요청의 유효성을 판단하는 것인 데이터 관리 시스템.
  1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데이터 프로세스 요청을 수신한 경우, 사용자에 의해 상기 순위별 리스트 중 하나 이상의 워크 그룹이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워크 그룹에 포함된 워크 관리부는, 사용자로부터 상기 데이터를 프로세싱하고자 하는 노드들의 리스트 정보가 포함된 제 2 데이터 프로세스 요청을 수신하고, 상기 노드들에 대응하는 노드 관리부로 상기 데이터의 프로세스 할당 요청을 전송하되,
    상기 노드 관리부는 상기 프로세스 할당 요청을 수신함에 따라 상기 데이터를 프로세싱하는 것인 데이터 관리 시스템.
  17. 제 1 항에 있어서,
    사용자의 데이터 쓰기 요청, 데이터 읽기 요청 및 데이터 프로세스 요청 중 어느 하나의 요청을 수행하기 위한 인증 요청에 대응하여 사용자를 인증하는 인증 관리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인증 관리부는 사용자로부터 아이디 및 패스워드를 포함하는 인증 요청을 수신함에 따라, 상기 메타데이터 저장부에 저장된 사용자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를 인증하는 것인 데이터 관리 시스템.
  18. 데이터 관리 시스템에서의 데이터 관리 방법에 있어서,
    마스터 그룹의 데이터 관리부가 사용자로부터 제 1 데이터의 쓰기 요청 또는 제 1 데이터의 읽기 요청을 수신하거나, 상기 마스터 그룹의 프로세스 관리부가 사용자로부터 제 1 데이터의 프로세스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데이터 관리부 또는 상기 프로세스 관리부가 상기 요청에 대응되도록 워크 그룹의 순위별 리스트를 산출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순위별 리스트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하나 이상의 워크 그룹에 포함된 워크 관리부가 사용자로부터 노드들의 리스트 정보가 포함된 제 2 데이터 쓰기 요청, 제 2 데이터의 읽기 요청 및 제 2 데이터의 프로세스 요청 중 어느 하나의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사용자의 요청이 상기 제 1 및 제 2 데이터 쓰기 요청인 경우, 상기 제 2 데이터 쓰기 요청에 대응하여 상기 노드들의 리스트 정보 중 유효한 노드의 정보를 사용자에게 전송하고,
    상기 사용자의 요청이 상기 제 1 및 제 2 데이터 읽기 요청인 경우, 상기 제 2 데이터 읽기 요청에 대응하여 상기 노드들의 리스트 정보 중 유효한 노드의 정보를 사용자에게 전송하며,
    상기 사용자의 요청이 상기 제 1 및 제 2 데이터 프로세스 요청인 경우, 상기 노드들에 대응하는 노드 관리부로 상기 데이터의 프로세스 할당 요청을 전송하되, 상기 노드 관리부는 상기 프로세스 할당 요청을 수신함에 따라 상기 데이터를 프로세싱하는 것인 데이터 관리 방법.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데이터 쓰기 요청은 상기 데이터를 쓰고자 하는 노드들의 리스트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데이터 읽기 요청은 상기 데이터를 읽고자 하는 노드들의 리스트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제 2 데이터 프로세스 요청은 상기 데이터를 프로세싱하고자 하는 노드들의 리스트 정보를 포함하는 것인 데이터 관리 방법.
KR1020160025210A 2016-03-02 2016-03-02 데이터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20988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5210A KR102098896B1 (ko) 2016-03-02 2016-03-02 데이터 관리 시스템 및 방법
US15/205,673 US10534757B2 (en) 2016-03-02 2016-07-08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data in dispersed system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5210A KR102098896B1 (ko) 2016-03-02 2016-03-02 데이터 관리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02725A KR20170102725A (ko) 2017-09-12
KR102098896B1 true KR102098896B1 (ko) 2020-04-09

Family

ID=597227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25210A KR102098896B1 (ko) 2016-03-02 2016-03-02 데이터 관리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10534757B2 (ko)
KR (1) KR10209889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353886B2 (en) * 2016-07-20 2019-07-16 Sap Se Big data computing architecture
CN108108747B (zh) * 2017-09-21 2020-07-28 西安交通大学 一种解决大数据聚类的基于视觉原理的聚类方法
KR102038527B1 (ko) 2018-03-28 2019-11-26 주식회사 리얼타임테크 분산 클러스터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286910A (ja) * 2009-06-09 2010-12-24 Sony Corp 情報処理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KR101544480B1 (ko) * 2010-12-24 2015-08-13 주식회사 케이티 복수 개의 프락시 서버를 포함하는 분산 저장 시스템 및 그 오브젝트 관리 방법 및 컴퓨터에 의하여 독출가능한 저장 매체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122631A (en) * 1997-03-28 2000-09-19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Dynamic server-managed access control for a distributed file system
US7035854B2 (en) * 2002-04-23 2006-04-25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Content management system and methodology employing non-transferable access tokens to control data access
US20060015505A1 (en) * 2004-07-16 2006-01-19 Henseler David A Role-based node specialization within a distributed processing system
KR20110064486A (ko) * 2009-12-08 2011-06-15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멀티테넌시를 지원하는 SaaS 플랫폼에서 메타데이터 캐시의 일관성 제어 시스템 및 방법
KR101316902B1 (ko) * 2009-12-22 2013-10-18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멀티테넌시를 지원하기 위한 확장된 자바가상머신 및 이를 이용한 멀티테넌시 처리 방법
US9110833B2 (en) * 2012-06-25 2015-08-18 Cleversafe, Inc. Non-temporarily storing temporarily stored data in a dispersed storage network
US20140372361A1 (en) 2013-06-14 2014-12-18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subscriber big data information in cloud computing environment
KR20150092586A (ko) 2014-02-05 2015-08-1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데이터 플로 기반 대규모 데이터 스트림 처리 방법 및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286910A (ja) * 2009-06-09 2010-12-24 Sony Corp 情報処理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KR101544480B1 (ko) * 2010-12-24 2015-08-13 주식회사 케이티 복수 개의 프락시 서버를 포함하는 분산 저장 시스템 및 그 오브젝트 관리 방법 및 컴퓨터에 의하여 독출가능한 저장 매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0534757B2 (en) 2020-01-14
KR20170102725A (ko) 2017-09-12
US20170255690A1 (en) 2017-09-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700296B2 (en) Client-directed placement of remotely-configured service instances
US9413604B2 (en) Instance host configuration
KR101700313B1 (ko) 인스턴스 호스트 구성
Mahgoub et al. {OPTIMUSCLOUD}: Heterogeneous configuration optimization for distributed databases in the cloud
AU2014346366B2 (en) Partition-based data stream processing framework
US9276959B2 (en) Client-configurable security options for data streams
AU2014346369B2 (en) Managed service for acquisition, storage and consumption of large-scale data streams
US20200364608A1 (en) Communicating in a federated learning environment
US9858322B2 (en) Data stream ingestion and persistence techniques
US9270703B1 (en) Enhanced control-plane security for network-accessible services
US8966025B2 (en) Instance configuration on remote platforms
CN105359147A (zh) 在线数据库迁移
CN105074702A (zh) 提供单租户和多租户环境的数据库系统
US10616134B1 (en) Prioritizing resource hosts for resource placement
CN101159596B (zh) 用于布置服务器的方法和设备
JP5503678B2 (ja) ホスト提供システム及びホスト提供方法
CN107113341A (zh) 用于数据划分的分布式关系数据库管理系统中事务的高吞吐量处理的系统
US20210216351A1 (en) System and methods for heterogeneous configuration optimization for distributed servers in the cloud
KR102098896B1 (ko) 데이터 관리 시스템 및 방법
WO2020256950A1 (en) Network configuration of top-of-rack switches across multiple racks in a data center
CN103140850A (zh) 移动设备上的数据共享
CN105827744A (zh) 云存储平台的数据处理方法
CN101523352A (zh) 用于并发控制的持久锁/资源
JP5660986B2 (ja) データ処理システム及びデータ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20240168972A1 (en) Data Distribution and Access within a Multi-Zone Computing Platfor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