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97908B1 - 대상체 촬영시스템 - Google Patents

대상체 촬영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97908B1
KR102097908B1 KR1020190090329A KR20190090329A KR102097908B1 KR 102097908 B1 KR102097908 B1 KR 102097908B1 KR 1020190090329 A KR1020190090329 A KR 1020190090329A KR 20190090329 A KR20190090329 A KR 20190090329A KR 102097908 B1 KR102097908 B1 KR 1020979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hotographing
unit
module
control signal
pixel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903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남성모
Original Assignee
남성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남성모 filed Critical 남성모
Priority to KR10201900903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9790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979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979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1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based on recognised objects
    • H04N23/611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based on recognised objects where the recognised objects include parts of the human body
    • H04N5/23219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20Analysis of mo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95Control of camera direction for changing a field of view, e.g. pan, tilt or based on tracking of objects
    • H04N5/23299

Abstract

본 발명은 대상체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대상체를 촬영하기 위한 대상체 촬영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대상체의 움직임이 발생하는 경우 대상체의 이동방향을 따라 구동되는 반사모듈을 통해 대상체를 촬영함에 따라, 불필요한 촬영역을 감소시켜 촬영영상의 해상도를 낮출 수 있어 상대적으로 저장모듈의 저장공간을 키울 수 있을 뿐 아니라, 같은 해상도로 촬영공간을 촬영하는 촬영장치 대비 대상체를 명확하게 식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대상체 촬영시스템{SYSTEM FOR OBJECT PHOTOGRAPHING}
본 발명은 대상체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대상체를 촬영하기 위한 대상체 촬영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작으로 CCTV는 가격대비 촬영 성능이 뛰어나 방범, 보안, 감시 등을 위해 가장 보편적으로 사용되는 장비 중 하나이다.
이러한 CCTV는 다양한 실내공간 또는 실외공간에 설치되어 감시를 위한 촬영공간을 실시간 촬영하는데, 이처럼 상시 촬영된 영상은 저장공간에 저장되며, 사용자는 저장공간에 저장된 영상을 재생함으로써 일정시간에 촬영공간에서 벌어지는 사건 등을 확인할 수 있다.
한편, 이와 관련된 선행기술로, 한국등록특허 제10-1945881호(등록일 : 2019. 01. 30)에는 '다목적 CCTV'가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한국등록특허의 경우, 이벤트상황 발생시 출입자에게 이벤트상황을 퇴치하기 위한 퇴치액을 분사하는 CCTV 카메라와, CCTV 카메라에서 촬영된 영상을 저장하는 DVR을 포함함으로써, 현장에 알수없는 출입자가 발생하는 경우 출입자에게 퇴치액을 자동으로 분사하여 현장으로부터 출입자를 퇴치하기 위한 기술이다.
이러한 한국등록특허는, 이벤트 상황이 발생하지 않는 경우에도 현장을 계속적으로 촬영하며, 이와 같이 실시간 촬영된 촬영영상을 계속적으로 저장공간에 저장함으로써, 저장공간이 급격하게 커저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저장공간을 상대적으로 키우기 위해 CCTV 영상의 화질을 낮추는 경우 영상을 제대로 식별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전술한 배경에서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대상체의 움직임이 발생하는 경우 대상체의 이동방향을 따라 구동되는 반사모듈을 통해 대상체를 촬영함에 따라, 불필요한 촬영역을 감소시켜 촬영영상의 해상도를 낮출 수 있어 상대적으로 저장모듈의 저장공간을 키울 수 있을 뿐 아니라, 같은 해상도로 촬영공간을 촬영하는 촬영장치 대비 대상체를 명확하게 식별할 수 있는 대상체 촬영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여기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촬영을 위한 대상체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상기 대상체의 이동방향에 따른 구동제어신호(s1)를 출력하는 모션센싱모듈; 상기 대상체가 비추어지도록 상기 구동제어신호(s1)에 의해 상기 대상체의 이동방향을 따라 구동되며, 구동시 촬영제어신호(s2)를 출력하는 반사모듈; 및 상기 촬영제어신호(s2)에 의해 상기 반사모듈을 촬영하는 촬영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상체 촬영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대상체의 움직임이 발생하는 경우 대상체의 이동방향을 따라 구동되는 반사모듈을 통해 대상체를 촬영함에 따라, 불필요한 촬영역을 감소시켜 촬영영상의 해상도를 낮출 수 있어 상대적으로 저장모듈의 저장공간을 키울 수 있을 뿐 아니라, 같은 해상도로 촬영공간을 촬영하는 촬영장치 대비 대상체를 명확하게 식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대상체 촬영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는 대상체의 이동방향으로 회전되는 반사모듈이 촬영모듈을 통해 촬영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대상판별부를 통해 대상픽셀정보가 생성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1의 위치인식부를 통해 대상이동정보가 생성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1의 확대촬영부에 의해 카메라가 대상체의 안면영역 또는 반사부의 최상단 영역을 촬영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대상체 촬영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는 대상체의 이동방향으로 회전되는 반사모듈이 촬영모듈을 통해 촬영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대상판별부를 통해 대상픽셀정보가 생성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1의 위치인식부를 통해 대상이동정보가 생성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1의 확대촬영부에 의해 카메라가 대상체의 안면영역 또는 반사부의 최상단 영역을 촬영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대상체 촬영시스템(1)은, 촬영을 위한 대상체(OB)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대상체(OB)의 이동방향에 따른 구동제어신호(s1)를 출력하는 모션센싱모듈(10); 대상체(OB)가 비추어지도록 구동제어신호(s1)에 의해 대상체(OB)의 이동방향을 따라 구동되며, 구동시 촬영제어신호(s2)를 출력하는 반사모듈(20); 및 촬영제어신호(s2)에 의해 반사모듈(20)을 촬영하는 촬영모듈(3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모션센싱모듈(10)은 촬영을 위한 대상체(OB)의 움직임을 감지하며, 대상체(OB)의 움직임이 감지되는 경우 반사모듈(20)을 제어하기 위한 구동제어신호(s1)를 출력한다.
여기서, 대상체(OB)는 모션센싱모듈(10)을 통해 감지되어 촬영모듈(30)을 통해 촬영되는 대상인데, 이러한 대상체(OB)는 사용자에 의해 기설정될 수 있으며 일예로 촬영공간 상에서 이동하는 사람일 수 있다.
그리고, 구동제어신호(s1)는 반사모듈(20)의 구동부(21)를 대상체(OB)의 이동방향을 따라 구동시키기 위해 반사모듈(20)로 인가되는 신호이다.
한편, 모션센싱모듈(10)은 다양한 방식을 통해 대상체(OB)의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다.
일예로, 모션센싱모듈(10)은 적외선 센서로 제공되어 광원을 출력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대상체(OB)에 반사되어 수신되는 광원의 시간을 계산하여 대상체(OB)와의 거리 및 대상체(OB)의 이동방향을 도출할 수 있다.
또한, 모션센싱모듈(10)은 온도센서 등으로 이뤄져 대상체(OB)의 온도를 감지하여 대상체(OB) 및 대상체(OB)의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다.
한편, 모션센싱모듈(10)은 촬영공간을 실시간 촬영하여 획득된 영상정보(i1)를 통해 대상체(OB)의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다.
이러한 모션센싱모듈(10)의 구조를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모션센싱모듈(10)은, 촬영공간을 실시간 촬영하여 영상정보(i1)를 획득하는 실시간촬영부(11); 영상정보(i1)를 통해 획득된 대상픽셀정보(i2)의 이동 좌표값을 통해 대상체(OB)의 이동방향에 따른 대상이동정보(i3)를 생성하는 위치인식부(13); 및 대상이동정보(i3)를 통해 구동제어신호(s1)를 출력하여 반사모듈(20)로 인가하는 구동제어부(14);를 포함한다.
실시간촬영부(11)는 카메라, 캠코더, CCD 센서, CCTV 등 촬영공간의 촬영할 수 있는 장치로 이뤄질 수 있으며, 촬영공간을 촬영하기 위해 실내공간 또는 실외공간에 설치되어 영상정보(i1)를 후술할 대상판별부(12)로 인가한다.
여기서, 촬영공간이란 모션센싱모듈(10)을 통해 대상체(OB)의 움직임을 감시하기 위한 공간으로써, 일예로 보안이 필요한 실내 또는 실외공간이나 사람이나 차량의 이동이 많아 사건 또는 사고가 빈번한 공간일 수 있다.
이어서, 위치인식부(13)는 영상정보(i1)를 통해 획득된 대상픽셀정보(i2)의 이동 좌표값을 통해, 대상체(OB)의 이동방향과 대응되는 대상이동정보(i3)를 생성하여 구동제어부(14)로 인가한다.
여기서, 대상픽셀정보(i2)는 후술할 대상판별부(12)에 의해 도출되며 영상정보(i1)에 존재하는 대상체(OB) 정보로써, 영상정보(i1)를 통해 시간별로 도출된 이미지정보(im) 내에 존재하는 복수개의 픽셀정보(pi')이다.
위치인식부(13)는 영상정보(i1)를 통해 시간별로 도출된 이미지정보(im) 내에서, 시간별로 이동된 대상픽셀정보(i2)의 좌표값을 통해 대상체(OB)의 이동방향에 따른 대상이동정보(i3)를 생성한다.
여기서, 좌표값이란 이미지정보(im) 내에 존재하는 다수의 픽셀정보(pi) 각각이 이루는 x방향 및 y방향의 좌표값이다.
일예로 위치인식부(13)는 이미지정보(im)를 x방향과 y방향에 따른 복수개의 영역으로 분할하여, 시간에 따라 대상픽셀정보(i2)가 이동된 픽셀정보(pi)의 좌표값을 통해 대상이동정보(i3)를 도출한다.
예를 들어, 위치인식부(13)는 이미지정보(im)를 x방향으로 제1영역(x1), 제2영역(x2), 제3영역(x3)으로 분할하고, y방향으로 제4영역(y1), 제5영역(y2), 제6영역(y3)으로 분할한 뒤, 대상픽셀정보(i2)가 시간에 따라 이동된 영역의 좌표값을 구하여 대상체(OB)의 이동방향에 따른 대상이동정보(i3)를 생성한다.
여기서, 위치인식부(13)는 대상픽셀정보(i2)의 평균 좌표값을 도출하고, 시간이 지남에 따라 대상픽셀정보(i2)가 이동된 평균 좌표값을 도출하여 대상체(OB)의 이동방향에 따른 대상이동정보(i3)를 구할 수 있다.
즉,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치인식부(13)는 대상픽셀정보(i2)가 시간이 지남에 따라 x방향으로 제3영역(x3)에서 제1영역(x1)으로만 이동하였을 경우, x방향에 따른 제1대상이동정보(i3a)와 y방향에 따른 제2대상이동정보(i3b)를 생성하여 구동제어부(14)로 인가한다.
이어서, 구동제어부(14)는 대상이동정보(i3)를 통해 구동제어신호(s1)를 출력하여 반사모듈(20)을 대상체(OB)의 이동방향으로 제어한다.
좀더 구체적으로, 구동제어부(14)는 제1대상이동정보(i3a)에 의해 제1구동제어신호(s1a)를 출력하여 후술할 제1구동부(21a)를 제어하고, 제2대상이동정보(i3b)에 의해 제2구동제어신호(s1b)를 출력하여 제2구동부(21b)를 제어한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모션센싱모듈(10)은 영상정보(i1)를 이미지화 하여 시간에 따른 픽셀정보(pi)를 도출하고, 현재시점의 픽셀정보(pi)와 과거시점의 픽셀정보(pi)를 비교하여 대상픽셀정보(i2)를 생성하는 대상판별부(12);를 더 포함한다.
대상판별부(12)는 실시간촬영부(11)를 통해 실시간 촬영된 영상정보(i1)를 시간에 따른 프레임별 이미지정보(im)로 변환한다.
그리고, 대상판별부(12)는 이미지정보(im) 내에 존재하는 다수의 픽셀정보(pi)를 현재시점과 과거시점을 기준으로 비교하고, 과거시점의 픽셀정보(pi)를 기준으로 현재시점의 픽셀정보(pi)를 비교하여 오차가 있는 경우 오차를 갖는 각각의 픽셀정보(pi')의 좌표값을 도출한다.
예를 들어, 실시간촬영부(11)를 통해 촬영공간에 대상체(OB)가 촬영되는 경우, 과거시점 이미지정보(im)의 픽셀정보(pi)와 현재시점 이미지정보(im) 중 대상체(OB)가 촬영된 영역의 픽셀정보(pi)는 오차(ex : 명암 값 or 채도 값 등등)가 발생하게 된다.
이때, 대상판별부(12)는 오차를 갖는 다수개의 픽셀정보(pi') 중 둘레방향을 따라 최외각에 배치된 픽셀정보(pi')를 잇는 가상의 외각선(L)을 도출하고, 외각선(L)이 이미지정보(im) 내에 기설정된 대상체영역(OBA)에 포함되면, 이를 대상체(OB)라고 판단하고 대상픽셀정보(i2)를 생성한다.
여기서, 대상체영역(OBA)이란, 기설정된 대상체(OB)의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뤄질 수 있는데, 이러한 대상체영역(OBA)은 같은 종류의 대상체(OB)라 하더라도 대상체(OB)마다 일부 차이가 있을 수 있으므로 대상체(OB)의 개략적인 형상으로 이뤄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대상체(OB)가 사람으로 설정되므로 대상체영역(OBA)이 개략적인 사람 형상으로 이뤄질 수 있으며, 대상판별부(12)는 앞서 설명한 대상체영역(OBA)과 픽셀정보(pi')를 잇는 가상의 외각선(L)을 비교하고, 외각선(L)이 대상체영역(OBA)과 일치하거나 대상체영역(OBA)에 포함되는 경우 다수의픽셀정보(pi')를 대상픽셀정보(i2)로 설정한다.
여기서, 대상체픽셀정보(i2)는 실시간촬영부(11)와 대상체(OB)의 거리에 따라 그 크기가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실시간촬영부(11)에 구비된 대상체 거리감지부(미도시)를 통해 실시간촬영부(11)와 대상체(OB)의 거리를 감지한 뒤 그 거리에 따라 대상체영역(OBA)의 크기가 달라지게 함으로써, 실시간촬영부(11)와 대상체(OB)의 거리에 관계없이 대상체(OB)를 보다 정확하게 식별할 수 있다.
이처럼, 현재시점의 이미지정보(im)와 과거시점의 이미지정보(im)의 비교를 통해 도출된 픽셀정보(pi')가, 대상체영역(OBA)과 일치하거나 대상체영역(OBA)에 포함되는 경우에만 다수의 픽셀정보(pi')를 대상픽셀정보(i2)로 설정함으로써,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기설정된 대상체(OB) 이외에 다른 객체의 움직임에 따른 불필요한 작동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계속해서, 반사모듈(20)은 대상체(OB)의 움직임이 감지되는 경우, 대상체(OB)가 비춰지도록 대상체(OB)의 이동방향을 따라 구동되는데, 이때, 반사모듈(20)은 촬영모듈(30)을 제어하기 위한 촬영제어신호(s2)를 출력한다.
이러한 반사모듈(20)의 구조를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반사모듈(20)은 반사부(23); 및 구동제어신호(s1)를 인가받아 반사부(23)를 대상체(OB)의 이동방향을 따라 회전시키는 구동부(21);를 포함한다.
여기서, 구동부(21)는 제1구동부(21a)와 제2구동부(21b)를 포함하는데, 제1구동부(21a)는 제1구동제어신호(s1a)를 인가받아 반사부(23)를 지면과 수직한 가상축의 회전방향으로 회전시키며, 제2구동부(21b)는 제2구동제어신호(s1b)를 인가받아 반사부(23)를 지면과 수평한 가상축의 회전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처럼, 반사모듈(20)이 제1구동제어신호(s1a)에 의해 구동되는 제1구동부(21a)와, 제2구동제어신호(s1b)에 의해 구동되는 제2구동부(21b)가 구비됨에 따라, 이미지정보(im)를 기준으로 x방향 또는 y방향을 따라 이동되는 대상체(OB)를 따라 반사부(23)를 회전시킬 수 있다.
한편, 반사모듈(20)은 촬영제어부(22)를 더 포함하는데, 촬영제어부(22)는 구동제어신호(s1)에 의해 제1구동부(21a) 또는 제2구동부(21b)가 구동되는 경우 촬영제어신호(s2)를 출력하여 촬영모듈(30)을 제어한다.
계속해서, 촬영모듈(30)은 촬영제어신호(s2)에 의해 제어되며, 반사모듈(20)을 통해 비춰진 대상체(OB)를 촬영한다.
이러한 촬영모듈(30)은 불필요한 촬영공간을 제외한 반사부(23)를 통해 반사된 대상체(OB)만을 촬영한다.
이러한 촬영모듈(30)을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촬영모듈(30)은 카메라(31)와 확대촬영부(32)를 포함한다.
카메라(31)는 촬영제어부(22)의 촬영제어신호(s2)에 의해 반사부(23)를 촬영하는데, 이때, 확대촬영부(32)의 카메라제어신호에 의해 촬영각도 또는 촬영영역이 제어된다.
즉, 확대촬영부(31)는 일예로 촬영제어신호(s2)가 인가되는 경우, 반사부(23)에 의해 반사된 대상체(OB)의 안면영역(PA)을 추출한 뒤 촬영영역 제어신호(s3)를 출력하여 카메라(31)로 인가하는데, 이때, 카메라(31)는 대상체(OB)의 안면영역(PA)만을 촬영하게 된다.
다른 예로, 확대촬영부(31)는 촬영제어신호(s3)가 인가되는 경우, 반사부(23)를 높이방향에 따른 복수의 영역(m1,m2,m3,m4)으로 분할한 뒤, 촬영각도 제어신호(s3b)를 출력하여 카메라(31)로 인가하는데, 이때, 카메라(31)는 대상체(OB)의 안면부가 비춰진 반사부(23)의 최상단 영역(m1)을 촬영하게 된다.
이처럼, 확대촬영부(31)가 구비됨으로써, 불필요한 촬영공간을 제외한 대상체(OB)의 안면영역(PA) 또는 안면부가 비춰진 반사부(23)의 최상단 영역(m1)만을 촬영하여 촬영사진의 해상도를 낮출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대적으로 저장모듈(40)의 저장공간을 키울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대상체 촬영시스템(1)은 촬영모듈(30)로부터 촬영된 대상체(OB)의 사진 또는 동영상 등의 촬영정보(i4)가 저장되는 저장모듈(40)을 더 포함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전술한 구조를 갖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대상체(OB)의 움직임이 발생하는 경우 대상체(OB)의 이동방향을 따라 구동되는 반사모듈(20)을 통해 대상체(OB)를 촬영함에 따라, 불필요한 촬영역을 감소시켜 촬영영상의 해상도를 낮출 수 있어 상대적으로 저장모듈(40)의 저장공간을 키울 수 있을 뿐 아니라, 같은 해상도로 촬영공간을 촬영하는 촬영장치 대비 대상체(OB)를 명확하게 식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되거나 결합되어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 대상체 촬영시스템
10 : 모션센싱모듈
11 : 실시간 촬영부
12 : 대상판별부
13 : 위치인식부
14 : 구동제어부
20 : 반사모듈
21 : 구동부
21a : 제1구동부
21b : 제2구동부
22 : 촬영제어부
23 : 반사부
30 : 촬영모듈
31 : 카메라
32 : 확대촬영부

Claims (5)

  1. 촬영을 위한 대상체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상기 대상체의 이동방향에 따른 구동제어신호(s1)를 출력하는 모션센싱모듈;
    상기 대상체가 비추어지도록 상기 구동제어신호(s1)에 의해 상기 대상체의 이동방향을 따라 구동되며, 구동시 촬영제어신호(s2)를 출력하는 반사모듈; 및
    상기 촬영제어신호(s2)에 의해 상기 반사모듈을 촬영하는 촬영모듈;을 포함하되,
    상기 모션센싱모듈은,
    촬영공간을 실시간 촬영하여 영상정보(i1)를 획득하는 실시간촬영부;
    상기 영상정보(i1)를 통해 획득된 대상픽셀정보(i2)의 이동 좌표값을 통해 상기 대상체의 이동방향에 따른 대상이동정보(i3)를 생성하는 위치인식부;
    상기 영상정보(i1)를 이미지(im)화 하여 시간에 따른 픽셀정보(pi)를 도출하고, 현재시점의 상기 픽셀정보(pi)와 과거시점의 상기 픽셀정보(pi)를 비교한 뒤 오차를 갖는 다수의 픽셀정보(pi') 중 둘레방향을 따라 최외각에 배치된 상기 픽셀정보(pi')를 잇는 가상의 외각선(L)을 도출하고, 상기 외각선(L)이 상기 대상체의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뤄진 대상체영역(OBA)에 포함되는 경우 상기 픽셀정보(pi')를 상기 대상픽셀정보(i2)로 생성한 뒤 상기 위치인식부로 인가하는 대상판별부; 및
    상기 대상이동정보(i3)를 통해 상기 구동제어신호(s1)를 출력하여 상기 반사모듈로 인가하는 구동제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상체 촬영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모듈은,
    반사부; 및
    상기 구동제어신호(s1)를 인가받아 상기 반사부를 상기 대상체의 이동방향을 따라 회전시키는 구동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상체 촬영시스템.
KR1020190090329A 2019-07-25 2019-07-25 대상체 촬영시스템 KR1020979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0329A KR102097908B1 (ko) 2019-07-25 2019-07-25 대상체 촬영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0329A KR102097908B1 (ko) 2019-07-25 2019-07-25 대상체 촬영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97908B1 true KR102097908B1 (ko) 2020-05-27

Family

ID=709110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90329A KR102097908B1 (ko) 2019-07-25 2019-07-25 대상체 촬영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9790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347915A (zh) * 2020-11-05 2021-02-09 重庆览辉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高空抛掷物判别系统
WO2024049005A1 (ko) * 2022-09-01 2024-03-07 삼성전자 주식회사 비네팅 기능을 수행하는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웨어러블 전자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8121B1 (ko) * 2010-04-12 2010-08-27 주원통신 주식회사 감시 카메라 시스템
KR20160036974A (ko) * 2014-09-26 2016-04-05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고해상도 영상 획득 장치 및 방법
JP2017208595A (ja) * 2016-05-16 2017-11-24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監視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8121B1 (ko) * 2010-04-12 2010-08-27 주원통신 주식회사 감시 카메라 시스템
KR20160036974A (ko) * 2014-09-26 2016-04-05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고해상도 영상 획득 장치 및 방법
JP2017208595A (ja) * 2016-05-16 2017-11-24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監視システム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347915A (zh) * 2020-11-05 2021-02-09 重庆览辉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高空抛掷物判别系统
CN112347915B (zh) * 2020-11-05 2024-03-12 重庆览辉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高空抛掷物判别系统
WO2024049005A1 (ko) * 2022-09-01 2024-03-07 삼성전자 주식회사 비네팅 기능을 수행하는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웨어러블 전자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76590B2 (en) Thermal imaging camera for taking thermographic images
US7806604B2 (en) Face detection and tracking in a wide field of view
KR101945194B1 (ko) 화상처리장치, 화상처리방법, 및 프로그램
JP4568009B2 (ja) カメラ連携による監視装置
JP6532217B2 (ja)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及び画像処理システム
JP4378785B2 (ja) 画像処理機能を備えた画像入力装置
WO2018101247A1 (ja) 画像認識撮像装置
US20050084179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iris recognition from an image
US20220406065A1 (en) Tracking system capable of tracking a movement path of an object
JP3700707B2 (ja) 計測システム
WO2015087730A1 (ja) 監視システム
KR20090062881A (ko) 이동 로봇 및 그 이동 객체 검출 방법
KR102097908B1 (ko) 대상체 촬영시스템
CN106709954A (zh) 在投影区域遮罩人脸的方法
JP5101429B2 (ja) 画像監視装置
JP2011066809A (ja) 撮像装置
KR102274270B1 (ko) 홍채인식범위 확장을 위한 홍채 영상 획득시스템
KR101916093B1 (ko) 객체 추적 방법
KR102474697B1 (ko) 촬상 장치 및 영상 처리 방법
KR20170133666A (ko) 영상 분석을 이용한 카메라 캘리브레이션 방법 및 그 장치
TWI471825B (zh) 天台安全監控系統及方法
JP7086752B2 (ja) 監視装置
JP2007172509A (ja) 顔検出照合装置
JPH10188145A (ja) 自動ズーム監視装置
KR101996907B1 (ko) 객체 추적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