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97762B1 - Lightweight helideck plank - Google Patents

Lightweight helideck plank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97762B1
KR102097762B1 KR1020180168902A KR20180168902A KR102097762B1 KR 102097762 B1 KR102097762 B1 KR 102097762B1 KR 1020180168902 A KR1020180168902 A KR 1020180168902A KR 20180168902 A KR20180168902 A KR 20180168902A KR 102097762 B1 KR102097762 B1 KR 1020977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ank
lightweight
heli
support portion
de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68902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위찬석
김정민
박철수
Original Assignee
세보테크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세보테크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세보테크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689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97762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977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9776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50Vessels or floating structures for aircraf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FGROUND OR AIRCRAFT-CARRIER-DECK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AIRCRAFT; DESIGNING, MANUFACTURING, ASSEMBLING, CLEANING, MAINTAINING OR REPAIRING 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HANDLING, TRANSPORTING, TESTING OR INSPECTING AIRCRAFT COMPON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F1/00Ground or aircraft-carrier-deck installations
    • B64F1/007Helicopter portable landing pad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3/00Landing stages for helicopters, e.g. located above build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31/00Material used for some parts or elements, or for particular purpo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ightweight helideck plank and, more specifically, to a lightweight helideck plank which is light while maintaining high rigidity by being applied with a composite materi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lightweight helideck plank includes an upper plank and a lower plank. The upper plank includes: a lower support unit having a plurality of connection units formed to be dented from the lower surface to the upper side; a pair of diagonal support units extending from both ends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lower support unit to be inclined upwards; an upper flat plate unit connecting upper ends of the diagonal support units to each other; and first and second fastening units capable of fastening a plurality of helideck planks to each other by being formed on one side of each diagonal support unit in a shape corresponding to each other. The lower plank is formed of the composite material, and has a plate-shaped lower support unit arranged in the lower part thereof. The lower plank includes a plurality of upper support units provided on the upper side of the lower support unit and having an upper end horizontally extending to be connected to the inner side of the connection unit to slide.

Description

경량형 헬리데크 플랭크{Lightweight helideck plank}Lightweight helideck plank

본 발명은 경량형 헬리데크 플랭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복합소재를 적용하여 높은 강성을 유지하면서도 경량화된 헬리데크 플랭크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ightweight heli-deck flank, and more particularly, to a lightweight heli-deck flank while maintaining high rigidity by applying a composite material.

일반적으로 드릴쉽(Drill ship)이나 FPSO(Floating, Production, Storage and Offloading) 등과 같은 해양 구조물(Offshore plant) 또는 해상에서 오랜 시간 체류해야 하는 선박들은 인원이나 물자의 이동을 위해 헬리콥터(Helicopter)를 운용해야 하며, 이를 위해 선수 또는 선미에는 헬리콥터의 이착륙을 위한 헬리데크(Helideck)가 설치될 수 있다.In general, offshore plants, such as drill ships or floating, production, storage and offloading (FPSO), or ships that need to stay for a long time on the sea, use a helicopter to move personnel or materials. To do this, a helideck can be installed on the bow or stern for takeoff and landing of the helicopter.

헬리데크는 크게 헬리콥터가 이착륙하는 데크 플로어(deck floor)를 형성하는 팬케익(pancake)과 팬케익을 지지하는 팬케익 지지부로 구성되는 것으로, 팬케익은 헬리콥터를 지지할 수 있도록 복수의 플랭크(plank)가 서로 연결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팬케익 지지부는 팬케익을 지지할 수 있는 스틸재의 H형 빔(beam) 등을 포함할 수 있다.The helicopter deck is largely composed of a pancake forming a deck floor on which the helicopter takes off and landing, and a pancake support unit supporting the pancake. The pancake is connected with a plurality of planks to support the helicopter. The pancake support portion may include an H-type beam or the like of a steel material capable of supporting the pancake.

한편, 최근에는 선박 및 해양구조물의 건조원가 및 유류비 절감과 더불어 수명 주기 연장, 더 높은 구조건전성 확보 등을 위해 기자재의 고강도 경량화 관련 기술의 개발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며, 헬리데크 또한 예외는 아니다.On the other hand, in recent years, development of technologies related to high-strength and lightweighting of equipment has been actively conducted to reduce the construction cost and oil cost of ships and offshore structures, and to extend the life cycle and secure higher structural integrity, and the heli-deck is no exception.

헬리데크는 해양구조물 혹은 선박의 형태 및 크기, 설치 장소, 선박의 운동에 따른 영향 등에 기초하여 그 구조, 형태 및 무게가 좌우되며, 해당 기술 시장의 추세에 따라 헬리데크의 고강도 경량화를 위하여 팬케익부의 플랭크에 대한 구조 최적화, 원재료 변경 등의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The structure, shape, and weight of the heli-deck depends on the shape and size of the offshore structure or ship, the place of installation, and the effect of the movement of the ship, and according to the trend of the technology market, the pancake unit Various studies are being conducted, such as structural optimization for flanks and raw material changes.

그 일례로, 종래의 헬리테크는 스틸재(steel)로 제작되었으나, 한국등록특허 제10-2052250호(조립식 헬리포트), 한국등록특허 10-1738344호(헬리포트) 등에서 공지된 바와 같이, 최근에는 스틸재에 비해 강도는 약 3분의 2 정도의 수준이지만 밀도가 약 3배 이상 낮아 경량화에 적합한 알루미늄재(Aluminum)로 대체되어 널리 사용되고 있다.As an example, the conventional helitech is made of steel, but as is known from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2052250 (Assembly Heliport),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738344 (Heliport), etc. Compared to ash, the strength is about two-thirds, but the density is more than three times lower, so it is widely used as an aluminum material suitable for weight reduction.

그러나, 알루미늄재 헬리데크의 경우에도 여전히 고중량인 점은 해결되어야 할 과제이며, 이외에도 알루미늄 재질로 제작된 종래의 헬리데크는 팬케익 하부에서 지지하기 위해 설치되는 스틸재의 팬케익 지지부가 알루미늄 재질의 플랭크와 접합되는 구조이므로, 이종금속(dissimilar metal) 부재 간의 접촉에 의해 갈바닉 부식(Galvanic corrosion) 또는 이종 금속 접촉 부식(Bimetallic corrosion)이 발생 가능성이 있다.However, in the case of an aluminum heli-deck, the still heavy weight is a problem to be solved. In addition, in the conventional heli-deck made of aluminum, the pancake support of a steel material installed to support under the pancake is joined to an aluminum flank. Due to the structure, there is a possibility that galvanic corrosion or bimetallic corrosion occurs due to contact between dissimilar metal members.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2052250호(2012.11.21.)Republic of Korea Registered Patent Publication No. 10-2052250 (2012.11.21.)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738344호(2017.05.16.)Republic of Korea Registered Patent Publication No. 10-1738344 (2017.05.16.)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복합소재를 적용하여 헬리콥터의 안전한 이착륙이 가능하도록 높은 강성과 내구성을 유지하면서도 자체의 무게는 최소화된 경량형 헬리데크 플랭크를 제공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apply a composite material to maintain a high stiffness and durability to enable safe takeoff and landing of a helicopter, while minimizing the weight of its own lightweight heli-deck flank. Is to provide.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지닌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obj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objects mentioned above, and other object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본 발명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하면에서 상방으로 함입형성된 복수의 결합부를 갖는 하부받침부와, 상기 하부받침부 폭방향 양측 단부에서 상방으로 경사지게 연장된 한 쌍의 사선지지부와, 상기 사선지지부 상단을 상호 연결하는 상부평판부를 포함하며, 상기 사선지지부 각 일측에 서로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복수의 헬리데크 플랭크를 상호 체결 가능하게 하는 제1 체결부와 제2 체결부가 구비된 상부플랭크; 및 복합소재로 구성되며, 하부에 판상의 하측지지부가 배치되고, 상기 하측지지부 상측에 상단부가 수평으로 연장되어 상기 결합부 내측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복수의 상측지지부가 구비된 하부플랭크;를 포함하는 경량형 헬리데크 플랭크를 제공할 수 있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the lower support portion having a plurality of engaging portions formed in the upper surface from the bottom, and the pair of diagonal support extending obliquely upward from both ends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lower support portion, the diagonal It includes an upper flat plate for connecting the upper end of the support portion, the upper flank is provided with a first fastening portion and a second fastening portion is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each other on each side of the diagonal support portion to enable fastening a plurality of heli-deck flanks; And a lower flap formed of a composite material, the lower support portion of the plate-shaped lower portion being disposed, and the upper portion horizontally extending above the lower supporting portion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upper supporting portions slidably coupled inside the coupling portion; Lightweight heli-deck flank can be provided.

이때, 상기 복합소재는, 유리섬유 및 아라미드 섬유 중 선택된 1종 이상을 탄소섬유와 혼합하여 직조한 보강재가 열경화성 수지 조성물에 함침된 후, 경화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t this time, the composite material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ormed by curing and then immersed in a thermosetting resin composition, a reinforcing material woven by mixing at least one selected from glass fibers and aramid fibers with carbon fibers.

또한, 상기 탄소섬유는, 폴리아크릴로니트릴계 탄소섬유, 피치계 탄소섬유, 레이온계 탄소섬유 및 리그닌계 탄소섬유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하며, 평균 단일 섬유 직경이 1 내지 20㎛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carbon fiber includes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polyacrylonitrile-based carbon fiber, pitch-based carbon fiber, rayon-based carbon fiber, and lignin-based carbon fiber, and has an average single fiber diameter of 1 to 20 μm. It is characterized by being.

한편, 상기 열경화성 수지 조성물은, 비스페놀 A형 에폭시 수지, 페놀노볼락형 에폭시 수지, 크레졸노볼락형 에폭시 수지, 테트라글리시딜디아미노디페닐메탄 에폭시 수지 및 트리그리시딜아미노페놀 에폭시 수지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하는 열경화성 수지 100중량부와, 상기 열경화성 수지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아민계 경화제 1~10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Meanwhile, the thermosetting resin composition is a group consisting of bisphenol A-type epoxy resin, phenol novolak-type epoxy resin, cresol novolak-type epoxy resin, tetraglycidyl diaminodiphenylmethane epoxy resin, and triglycidylaminophenol epoxy resin.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100 parts by weight of a thermosetting resin comprising at least one selected from, and 1 to 10 parts by weight of an amine-based curing agen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thermosetting resin.

반면, 상기 상부플랭크는, 상기 사선지지부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하부받침부 상면에서 수직으로 연장되어 상기 상부평판부를 지지하는 수직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On the other hand, the upper flank is disposed between the oblique support portions and extends vertically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support portion, and is characterized by including a vertical support portion supporting the upper flat plate portion.

또한, 상기 제1 체결부는, 폭방향 끝단이 상기 상부평판부의 폭방향 끝단과 동일 선상에 위치하는 하부돌출턱과 상기 하부돌출턱보다 외방으로 더 돌출된 상부돌출턱이 소정의 간격만큼 서로 이격되어 상기 제2 체결부가 삽입 결합되는 제1 체결홈이 형성되며, 상기 제2 체결부는, 상부에 상기 제1 체결부의 상기 상부돌출턱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함입된 제2 체결홈이 구비되고, 하부에 상기 제1 체결홈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돌출된 돌출턱이 구비되며, 상기 돌출턱 하단부가 상기 하부돌출턱과 대응되게 함몰되어 단차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first fastening part, the lower protruding jaw, the upper protruding jaw more protruding outward than the lower protruding jaw, which is located on the same line as the transverse end of the upper flat plate part, i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interval. A first fastening groove into which the second fastening part is inserted and coupled is formed, and the second fastening part is provided with a second fastening groove recess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upper protruding jaw of the first fastening part on the upper part, and at the lower part. It is characterized in that a protruding jaw protruding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first fastening groove is provided, and the lower end of the protruding jaw is recessed to correspond to the lower protruding jaw to form a stepped portion.

또한, 상기 결합부는, 내측 하부에 서로 대향되게 돌출되며, 상면이 소정의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상측지지부를 지지하는 걸림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engaging portion is projected to face each other on the inner lower portion, the upper surface is formed to be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locking jaw to support the upper support.

이와 더불어, 상기 상부평판부는, 상면에 상방으로 돌출된 삼각형상의 돌기와 사각형상의 돌기가 교번되게 배치되어 상기 상부평판부 상면의 마찰력이 향상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upper flat plate por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triangular projection and the rectangular projection projecting upward on the upper surface are alternately arranged to improve the frictional force on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flat plate portion.

게다가, 상기 상부평판부는, 하부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형태로 관통형성된 복수의 배수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upper flat plate por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plurality of drainage grooves formed through the form of narrowing the width toward the bottom.

본 발명은 복합소재를 적용하여 헬리콥터의 안전한 이착륙이 가능하도록 높은 강성과 내구성을 유지하면서도 헬리데크 플랭크 자체의 무게를 최소한으로 하여 경량화함으로써 헬리데크가 설치되는 해양구조물 혹은 선박의 구조건전성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applies a composite material, while maintaining high rigidity and durability to enable safe take-off and landing of helicopters, while minimizing the weight of the heli-deck flan itself to reduce the weight, thereby affecting the structural integrity of the marine structures or ships where the heli-deck is installed.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be minimized.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경량형 헬리데크 플랭크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경량형 헬리데크 플랭크의 정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경량형 헬리데크 플랭크의 상부플랭크 및 하부플랭크의 결합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경량형 헬리데크 플랭크의 제1 체결부 및 제2 체결부의 결합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lightweight heli-deck flank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front sectional view of a lightweight heli-deck flank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combined state of the upper and lower flanks of the lightweight heli-deck flank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coupling state of the first fastening part and the second fastening part of the lightweight heli-deck flank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ethods for achieving them will be clarified with reference to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n detail together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but will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and only the present embodiments allow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o be complete, and the ordinary knowledge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It is provided to fully inform the holder of the scope of the invention, and the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아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에 관계없이 동일한 부재번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지칭하며, "및/또는"은 언급된 아이템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Hereinafter, specific contents for carrying out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sam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the same components regardless of the drawings, and "and / or" includes each and every combination of one or more of the mentioned items.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있음은 물론이다. Although the first, second, etc. ar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it goes without saying that these components are not limited by these terms. These terms are only used to distinguish one component from another component. Therefore, it goes without saying that the first component mentioned below may be the second component within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describing the embodiments, and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In this specification, the singular form also includes the plural form unless otherwise specified in the phrase. As used herein, “comprises” and / or “comprising” does not ex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components other than the components mentioned.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otherwise defined, all terms (including technical and scientific term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may be used as meanings common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In addition, terms defined in the commonly used dictionary are not ideally or excessively interpreted unless specifically defined.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경량형 헬리데크 플랭크의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lightweight heli-deck flank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량형 헬리데크 플랭크는 크게 알루미늄 재질의 압출 성형된 상부플랭크(100)와 복합소재로 구성된 하부플랭크(200)가 결합되어 형성된다.As shown in FIG. 1, the lightweight heli-deck flank is formed by combining an extruded upper flank 100 made of aluminum and a lower flank 200 made of a composite material.

상기 상부플랭크(100)는 상기 헬리데크 플랭크 상부에 배치되며, 상기 하부플랭크(200)는 상기 상부플랭크(100) 하측에 위치되어 상기 상부플랭크(100)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The upper flank 100 is disposed above the heli-deck flank, and the lower flank 200 is positioned below the upper flank 100 to serve to support the upper flank 100.

또한, 상기 헬리데크 플랭크 하부에 스틸재의 팬케익 지지부가 설치될 경우, 상기 하부플랭크(200)가 상기 상부플랭크(100)과 상기 팬케익 지지부 사이에 개재되어 이종금속(dissimilar metal) 부재 간의 접촉에 의해 발생되는 갈바닉 부식(Galvanic corrosion) 또는 이종 금속 접촉 부식(Bimetallic corrosion)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pancake support portion made of steel is installed under the heli-deck flank, the lower flank 200 is interposed between the upper flank 100 and the pancake support portion, and is generated by contact between dissimilar metal members. It can prevent galvanic corrosion or bimetallic corrosion.

이와 더불어 알루미늄 재질의 상기 상부플랭크(100)가 복합소재의 상기 하부플랭크(200)의 상측에 설치되어 헬리콥터 사고 등에 의해 헬리테크에서 화재 발생 시, 상기 상부플랭크(100)가 상기 하부플랭크(200)로 불길이 옮겨붙거나 열기가 가해지는 것을 막아주므로 화재에 의해 헬리데크가 파손되는 등의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upper flank 100 made of aluminum is installed on the upper side of the lower flank 200 of a composite material, when a fire occurs in Helitech due to a helicopter accident, the upper flank 100 is the lower flank 200 As it prevents the flames from moving or the heat is applied, it is possible to minimize damages such as damage to the heli deck by fire.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경량형 헬리데크 플랭크의 정단면도이다.2 is a front sectional view of a lightweight heli-deck flank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부플랭크(100)는 하부받침부(110), 사선지지부(120) 및 상부평판부(130)를 포함한다.As illustrated in FIG. 2, the upper flank 100 includes a lower support portion 110, a diagonal support portion 120, and an upper flat plate portion 130.

상기 하부받침부(110), 상기 사선지지부(120) 및 상기 상부평판부(130)는 일체로 형성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하부받침부(110)는 판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상부플랭크(100)의 하면을 이루고, 상기 하부받침부(110) 폭방향 양측 단부에는 각각 상방으로 연장된 한 쌍의 상기 사선지지부(120)가 형성되어 상기 사선지지부(120)는 상기 상부플랭크(100)의 양측벽을 형성하며, 상기 상부평판부(130)는 상기 사선지지부(120) 상단을 상호 연결하여 상기 상부플랭크(100)의 상면을 이룬다.The lower support portion 110, the diagonal support portion 120 and the upper flat plate portion 130 are integrally formed, more preferably, the lower support portion 110 is formed in a plate shape to form the upper flank 100 Forming a lower surface of the lower support portion 110, and a pair of the diagonal support portions 120 extending upwardly at both ends in the width direction, so that the diagonal support portions 120 are opposite side walls of the upper flank 100 The upper flat plate 130 forms an upper surface of the upper flank 100 by interconnecting the upper ends of the diagonal support portions 120.

이때, 한 쌍의 상기 사선지지부(120)는 각각 상기 헬리데크 플랭크의 외방으로 소정의 각도로 기울어지게 형성되어 상측으로 갈수록 상호간의 간격이 점차 넓어지게 된다.At this time, the pair of diagonal support portions 120 are formed to be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to the outside of the heli-deck flank, respectively, so that the distance therebetween gradually widens toward the upper side.

즉, 상기 하부받침부(110), 상기 사선지지부(120) 및 상기 상부평판부(130)가 상기 상부플랭크(100)의 외곽을 이루며, 그 단면은 상단부가 넓고 하단부로 갈수록 좁아지는 상광하협(上廣下狹) 형상 즉, 역사다리꼴 형상을 갖게 되는 것이다.That is, the lower support portion 110, the diagonal support portion 120 and the upper flat portion 130 forms the outer periphery of the upper flank 100, the cross-section of the upper end is wider and narrower toward the lower end of the upper light tubercle ( It has the shape of an upper leg, that is, a historical trapezoid.

또한, 상기 사선지지부(120) 각 일측에는 서로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된 제1 체결부(140)와 제2 체결부(150)가 구비되어 복수의 헬리데크 플랭크가 서로 인접하게 배열되어 팬케익 형상을 이루도록 상호 체결 가능하게 한다.In addition, a first fastening part 140 and a second fastening part 150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each other are provided on each side of the diagonal support part 120 so that a plurality of heli-deck flanks are arranged adjacent to each other to form a pancake shape. Enable mutual fastening.

이와 더불어, 상기 하부받침부(110)는 상기 상부플랭크(110)와 상기 하부플랭크(200)의 결합을 위해 하면에서 상방으로 함입된 복수의 결합부(112)가 소정의 간격을 두고 형성되며, 상기 결합부(112)의 내측 하부에는 서로 대향되게 돌출된 걸림턱(113)이 형성되어 상기 하부플랭크(200)가 상기 상부플랭크(100)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지지한다.In addition, the lower support portion 110 is formed with a plurality of coupling portions 112 are recessed upward from the lower surface for the coupling of the upper flank 110 and the lower flank 200, An engaging jaw 113 protruding to face each other is formed at an inner lower portion of the coupling portion 112 to support the lower flank 200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upper flank 100.

게다가, 상기 사선지지부(120) 사이에는 상기 하부받침부(110) 상면에서 수직으로 연장되어 상기 상부평판부(130)를 수직으로 지지하는 복수의 수직지지부(160)이 마련될 수 있다.In addition, a plurality of vertical supports 160 extending vertically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support portion 110 to vertically support the upper flat plate 130 may be provided between the diagonal support portions 120.

따라서, 상기 상부평판부(130)는 헬리콥터의 이착륙 등으로 인해 상기 헬리데크 플랭크에 가해지는 외력을 수평적으로 분산시키며 이를 상기 수직지지부(160)가 지지하게 되는 것이다.Accordingly, the upper flat plate portion 130 horizontally disperses the external force applied to the heli-deck flank due to the takeoff and landing of the helicopter, and is supported by the vertical support portion 160.

또한, 상기 상부평판부(130)는 상방으로 돌출된 돌기(132-1, 132-2)가 형성되며, 바람직하게는 삼각형상의 삼각돌기(132-1)와 사각형상의 사각돌기(132-2)가 교번되게 배치되어 상기 상부플랭크 상면의 표면 마찰력이 향상시킴으로써, 상기 헬리데크 상의 미끄러짐 등에 의한 안전사고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upper flat plate 130 is formed with projections 132-1 and 132-2 protruding upward, preferably triangular triangular projections 132-1 and rectangular quadrangular projections 132-2. By alternately arranged, the surface frictional forc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flank is improved, thereby preventing the occurrence of a safety accident due to slippage or the like on the heli deck.

게다가, 상기 상부평판부(160)에는 빗물 등이 배수되도록 하부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형태의 관통형성된 복수의 배수홈(134)이 형성되어 헬리콥터의 안전한 이착륙을 도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upper flat plate 160 is formed with a plurality of through-draining grooves 134 having a narrower width toward the lower portion so that rainwater and the like are drained, so that the helicopter can safely take off and land.

한편, 하부플랭크(200)는 하측지지부(210) 및 상측지지부(220)를 포함한다.Meanwhile, the lower flank 200 includes a lower support portion 210 and an upper support portion 220.

상기 하측지지부(210)는 판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하부플랭크(200) 하부에 배치되며, 상기 하측지지부(210) 상측에 복수의 상기 상측지지부(220)가 구비된다.The lower support part 210 is formed in a plate shape and disposed under the lower flank 200, and a plurality of the upper support parts 220 are provided above the lower support part 210.

상기 상측지지부(220)는 상단부가 수평으로 연장되어 상기 상부플랭크(100)의 상기 결합부(112) 내측에 결합되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상측지지부(220)가 H형 빔 혹은 I형 빔의 형상을 갖도록 제작되어 상기 하측지지부(210) 상면에 접착되어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으며, 상기 상측지지부(220)가 상기 하측지지부(210)과 일체로 형성되는 구조로 용이하게 변경될 수 있다.The upper support portion 220 has an upper end extending horizontally and coupled to the inside of the coupling portion 112 of the upper flank 100, preferably the upper supporting portion 220 has the shape of an H-type beam or an I-beam. It may be manufactured to have the lower support 210, the upper surface of the adhesive can be formed, but is not limited to, the upper support 220 can be easily changed to a structure formed integrally with the lower support 210.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상기 하부플랭크(200)의 상기 하측지지부(210) 및 상기 상측지지부(220)는 상기 복합소재로 구성된다.As mentioned above, the lower support portion 210 and the upper support portion 220 of the lower flank 200 are made of the composite material.

상기 복합소재는 보강재를 금형에 적층시키고, 탈포된 열경화성 수지 조성물을 주입하여 진공상태에서 상기 보강재를 상기 수지에 함침시킨 후 경화시킨 것이다.The composite material is obtained by laminating a reinforcing material in a mold and impregnating the reinforcing material in the vacuum in a vacuum state by injecting a defoamed thermosetting resin composition, followed by curing.

상기 보강재는 유리섬유 및 아라미드섬유 중 선택된 1종 이상을 탄소섬유와 혼합하여 직조한 직물이며, 일반적으로 유리섬유는 탄소섬유에 비해 무겁고 강도 및 강성면에서 다소 뒤떨어지지만 가격이 저렴하므로 상기 보강재의 원가 절감을 기대할 수 있는 반면, 아라미드섬유는 탄소 섬유, 유리 섬유보다 잘 부서지지 않으며, 500도가 넘어야 탄화될 정도로 내열성과 난연성이 뛰어날 뿐만 아니라 마찰에도 강해 탄소섬유의 역학적 특성을 보완하여 상기 보강재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The reinforcing material is a fabric woven by mixing at least one selected from glass fiber and aramid fiber with carbon fiber, and generally, glass fiber is heavier than carbon fiber and somewhat inferior in strength and rigidity, but is inexpensive, but the cost of the reinforcing material is low. While a reduction can be expected, aramid fibers are less brittle than carbon fibers and glass fibers, and have excellent heat resistance and flame retardancy to carbonize beyond 500 degrees, and are also resistant to friction to compensate for the mechanical properties of carbon fibers to improve the durability of the reinforcement material. Can be improved.

여기서, 상기 탄소섬유는 폴리아크릴로니트릴(PAN)계 탄소섬유, 피치(pitch)계 탄소섬유, 레이온계 탄소섬유 및 리그닌계 탄소섬유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하며, 바람직하게는 강도와 탄성률 등의 기계적 물성과 가격 등을 고려하여 상기 폴리아크릴로니트릴(PAN)계 탄소섬유인 것이 바람직하다.Here, the carbon fiber includes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polyacrylonitrile (PAN) -based carbon fiber, pitch-based carbon fiber, rayon-based carbon fiber, and lignin-based carbon fiber, preferably strength. And it is preferable that the polyacrylonitrile (PAN) -based carbon fiber in consideration of mechanical properties such as elastic modulus and price.

일반적으로 탄소섬유는 한 가지 이상의 방법으로 표면처리가 이루어지며, 적합한 표면처리방법으로는 탄소섬유 표면을 적정방법으로 산화시켜 폴리아미드, 우레탄 및 에폭시 등의 물질로 코팅하는 것이다.In general, carbon fiber is surface-treated by one or more methods, and a suitable surface treatment method is to oxidize the carbon fiber surface by an appropriate method to coat it with materials such as polyamide, urethane and epoxy.

여기서 적정방법으로 탄소섬유 표면을 산화시키는 것은 코팅 물질과 우수한 접착력을 발현할 수 있는 관능기를 도입함으로써 이루어지며, 이는 조성물 중 섬유의 분상성을 향상시키는데 도움이 될 수 있다.Here, oxidizing the surface of the carbon fiber by an appropriate method is achieved by introducing a functional group capable of expressing excellent adhesion with the coating material, which may help to improve the reparability of the fibers in the composition.

또한, 본 발명의 상기 탄소섬유는 평균 단일 섬유 직경이 1 내지 20㎛ 이내이며, 바람직하게는 4 내지 15㎛ 이내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6 내지 8㎛ 이내로 형성되어야 한다.In addition, the carbon fiber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average single fiber diameter of 1 to 20 µm, preferably 4 to 15 µm, and more preferably 6 to 8 µm.

상기 탄소섬유의 평균 단일 섬유 직경이 1㎛미만일 경우, 충분한 역학적 특성을 기대할 수 없으며, 20㎛를 초과하면 비강도 보강 효과가 저하되는 단점이 있다.When the average single fiber diameter of the carbon fiber is less than 1 μm, sufficient mechanical properties cannot be expected, and when it exceeds 20 μm, the specific strength reinforcement effect is deteriorated.

또한, 상기 탄소섬유는 복합소재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바람직하게는 약 30 내지 80중량% 이내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40 내지 50 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carbon fiber is preferably within about 30 to 80% by weigh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composite material composition, more preferably 40 to 50% by weight.

상기 탄소섬유가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30중량% 미만일 경우, 요구되는 역학적 특성을 얻을 수 없으며, 80중량%를 초과하면 성형시의 수지가 보강재를 충분히 함침시키기 어려워 성형성 저하 문제가 발생될 수 있으며, 경량화 측면에서도 불리하게 된다.If the carbon fiber is less than 30% by weigh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composition, the required mechanical properties cannot be obtained, and if it exceeds 80% by weight, a problem in moldability deterioration may occur because the resin during molding is difficult to impregnate the reinforcing material sufficiently. It can also be disadvantageous in terms of weight reduction.

이와 더불어 상기 보강재는 일반 직물과 마찬가지로, 평직(plain weave), 능직(twill weave), 주자직(satin weave)의 3종류로 형성될 수 있으며, 최종 성형품의 요구 조건에 맞추어 변형하여 적용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reinforcing material can be formed of three types of plain weave, plain weave, twill weave, and satin weave, as in general fabrics, and can be modified and applied according to the requirements of the final molded product. .

한편, 상기 열경화성 수지 조성물은 열경화성 수지 및 경화제를 포함한다.Meanwhile, the thermosetting resin composition includes a thermosetting resin and a curing agent.

상기 열경화성 수지는 에폭시 수지, 폴리에스테르 수지, 비닐에스테르 수지, 폴리이미드 수지 또는 페놀수지와 같이 이 분야에서 공지된 임의의 수지가 사용될 수 있으나, 기계적 및 열적 특성이 우수하며, 하나의 분자당 2개 이상의 에폭시기를 갖는 에폭시 수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thermosetting resin may be any resin known in the art, such as epoxy resin, polyester resin, vinyl ester resin, polyimide resin or phenol resin, but has excellent mechanical and thermal properties, and 2 per molecule It is preferable to use an epoxy resin having the above epoxy group.

상기 에폭시 수지는 예를 들면, 비스페놀 A, 비스페놀 F, 비스페놀 S 등의 비스페놀류의 디글리시딜 에테르(이른바, 비스페놀계 에폭시 수지), 에폭시 페놀 노볼락류, 다관능성 에폭시 수지 및 이들의 할로겐화 유도체를 포함한다. The epoxy resins include, for example, diglycidyl ethers of bisphenols such as bisphenol A, bisphenol F, and bisphenol S (so-called bisphenol-based epoxy resins), epoxy phenol novolacs, polyfunctional epoxy resins, and halogenated derivatives thereof It includes.

염소 및 브롬은 할로겐화 유도체를 제조하기 위해 가장 보편적으로 사용되는 할로겐이며, 브롬화 에폭시수지는 당해 조성물에 불연성을 부여할 수 있다. Chlorine and bromine are the most commonly used halogens to prepare halogenated derivatives, and brominated epoxy resins can impart incombustibility to the composition.

에폭시 수지의 구체적인 예로는 폴리올로부터 얻어진 글리시딜 에테르, 활성 수소를 복수 갖는 글리시딜 아민, 폴리 카르복실산 글리시딜 에스테르 및 분자 내에 복수의 이중 결합을 갖는 화합물을 산화하여 얻은 폴리 에폭시드 등을 들 수 있다. Specific examples of the epoxy resin include glycidyl ether obtained from polyol, glycidyl amine having a plurality of active hydrogens, poly carboxylic acid glycidyl ester, and poly epoxide obtained by oxidizing a compound having a plurality of double bonds in a molecule, etc. Can be mentioned.

예를 들어, 비스페놀 A 형 에폭시 수지, 비스페놀 F 형 에폭시 수지, 비스페놀 S 형 에폭시 수지, 테트라 브로모 비스페놀 A 형 에폭시 수지 등의 비스페놀형 에폭시 수지, 페놀노볼락형 에폭시 수지, 크레졸 노볼락형 에폭시 수지 등의 노볼락형 에폭시 수지, 테트라 글리시딜 디아미노 디페닐 메탄, 트리글리시딜 아미노 페놀, 테트라 글리시딜 크실렌 디아민과 같은 글리시딜 아민형 에폭시 수지 등 또는 이들의 조합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For example, bisphenol type epoxy resins such as bisphenol A type epoxy resin, bisphenol F type epoxy resin, bisphenol S type epoxy resin, tetrabromo bisphenol A type epoxy resin, phenol novolac type epoxy resin, cresol novolac type epoxy resin Novoxyl type epoxy resins such as, glycidyl amine type epoxy resins such as tetra glycidyl diamino diphenyl methane, triglycidyl amino phenol, tetra glycidyl xylene diamine, and the like, or combinations thereof are preferably used.

보다 바람직하게는 비스페놀 A형 에폭시 수지, 페놀노볼락형 에폭시 수지, 크레졸노볼락형 에폭시 수지, 테트라글리시딜디아미노디페닐메탄(TGDM) 에폭시 수지 및 트리그리시딜아미노페놀(TGAP) 에폭시 수지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More preferably, bisphenol A type epoxy resin, phenol novolak type epoxy resin, cresol novolak type epoxy resin, tetraglycidyl diamino diphenylmethane (TGDM) epoxy resin and triglycidyl aminophenol (TGAP) epoxy resin It may include one or two or mor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상기 경화제는 에폭시기와 반응할 수 있는 활성기를 가지는 화합물이면 이용할 수 있으며, 아민계 경화제 및 산무수물계 경화제가 이에 해당한다.The curing agent may be used as long as it is a compound having an active group capable of reacting with an epoxy group, and the amine-based curing agent and acid anhydride-based curing agent correspond to this.

상기 아민계 경화제로서 에틸렌디아민, 에틸렌트리아민, 트리에틸렌테트라민, 헥사메틸렌디아민, m-크실렌디아민과 같은 지방족 아민류, 메타페닐렌디아민, 디아미노디페닐메탄, 디아미노디에틸디페닐메탄, 디아미노디에틸디페닐술폰 등의 방향족 아민류, 벤질디메틸아민, 테트라메틸구아니딘, 2,4,6-트리스(디메틸아미노 메틸)페놀 등의 제3 아민류, 또, 디시안디아미드와 같은 염기성 활성 수소화합물이나, 아디프산(adipic acid) 디히드라지드 등의 유기산 디히드라지드, 2-메틸이미다졸, 2-에틸-4-메틸이미다졸, 등의 이미다졸류를 들 수 있다. As the amine curing agent, aliphatic amines such as ethylenediamine, ethylenetriamine, triethylenetetramine, hexamethylenediamine, and m-xylenediamine, metaphenylenediamine, diaminodiphenylmethane, diaminodiethyldiphenylmethane, and dia Aromatic amines such as minodiethyldiphenylsulfone, tertiary amines such as benzyldimethylamine, tetramethylguanidine, 2,4,6-tris (dimethylamino methyl) phenol, and basic active hydrogen compounds such as dicyandiamide, , Imidazoles such as organic acid dihydrazide such as adipic acid dihydrazide, 2-methylimidazole, 2-ethyl-4-methylimidazole, and the like.

상기 산무수물계 경화제는 폴리아디핀산 무수물, 폴리(에틸 옥타데칸 이산) 무수물, 폴리세바스산 무수물 등의 지방족 산무수물, 메틸테트라히드로무수 프탈산, 헥사히드로무수 프탈산, 메틸 사이클로헥센디카르복실 산무수물 등의 지환식 산무수물, 무수 후탈산, 무수 트리멜리트산, 무수 피로메리트산, 글리세롤트리스 트리멜리테이트 등의 방향족 산무수물, 무수 헤트산, 테트라 브로모무수프탈산 등의 할로겐계 산무수물을 들 수 있다. The acid anhydride-based curing agent is an aliphatic acid anhydride such as polyadipic acid anhydride, poly (ethyl octadecane diacid) anhydride, polysebacic anhydride, methyl tetrahydro anhydride phthalic acid, hexahydro anhydride phthalic acid, methyl cyclohexene dicarboxylic acid anhydride, etc. And aromatic acid anhydrides such as alicyclic acid anhydride, futalic anhydride, trimellitic anhydride, pyromellitic anhydride, glycerol tris trimellitate, and halogen-based acid anhydrides such as hetic anhydride and tetrabromohydric phthalic anhydride. .

그러나,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복합소재는 비교적 저온에서 경화가 이루어지므로 상기 경화제로서 상기 아민계 경화제가 이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아민계 경화제 중에서도 염기성 활성 수소화합물을 이용할 수 있다.However, 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composite material is cured at a relatively low temperature, it is preferable that the amine-based curing agent is used as the curing agent, and more preferably, a basic active hydrogen compound can be used among the amine-based curing agents.

상기 열경화성 수지 조성물은 열경화성 수지 100중량부와 상기 열경화성 수지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경화제 1 내지 10 중량부로 구성되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경화제가 2 내지 9 중량부를 포함한다.The thermosetting resin composition is composed of 100 parts by weight of the thermosetting resin and 1 to 10 parts by weight of the curing agen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thermosetting resin, and preferably contains 2 to 9 parts by weight of the curing agent.

더 나아가, 상기 열경화성 수지 조성물은 필요에 따라 난연제, 산화방지제, 열안정제, 윤활제, 염료, 안료 및 무기 충진제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Furthermore, the thermosetting resin composition may further include flame retardants, antioxidants, thermal stabilizers, lubricants, dyes, pigments, and inorganic fillers, if necessary.

상기 복합소재를 이용하여 상기 하부플랭크(200)를 제작함에 있어서, 상기 열경화성 수지 조성물은 점도가 10 내지 1000cps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대략 200 내지 400cps 이하이다.In manufacturing the lower flank 200 using the composite material, the thermosetting resin composition preferably has a viscosity of 10 to 1000 cps or less, more preferably about 200 to 400 cps or less.

열경화성 수지 조성물의 점도가 10cps 미만이면, 물성 저하 및 경화 시 저분자량 성분의 증발로 인한 기포 생성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며, 1000cps를 초과하면 성형시의 유동성이 떨어짐으로써 수지가 충분히 함침되지 않아 미함침으로 인한 기포가 생길 수 있다.If the viscosity of the thermosetting resin composition is less than 10 cps, problems such as deterioration of physical properties and formation of bubbles due to evaporation of low-molecular-weight components may occur during curing, and when it exceeds 1000 cps, the fluidity during molding falls, so that the resin is not sufficiently impregnated. Air bubbles from impregnation may occur.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경량형 헬리데크 플랭크의 상부플랭크 및 하부플랭크의 결합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combined state of the upper and lower flanks of the lightweight heli-deck flank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부받침부(110)에 형성된 상기 결합부(112)는 내측 하부에 서로 대향되게 돌출된 상기 걸림턱(113)에 의해 단면이 상기 상측지지부(220)의 상단부의 형상과 유사한 '┬'형상의 빈 공간이 형성된다.As shown in FIG. 3, the coupling portion 112 formed on the lower supporting portion 110 has a cross section of the upper support portion 220 in cross section by the locking jaws 113 protruding opposite to each other on the inner lower portion. An empty space of '┬' shape similar to the shape of is formed.

따라서, 상기 결합부(112)에 형성된 상기 공간 상에 상측지지부(220)의 상단부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는 것이다.Therefore, the upper end of the upper support portion 220 can be slidably coupled to the space formed in the coupling portion 112.

이때, 상기 걸림턱(113)은 상기 상측지지부(220) 상단부의 수평으로 연장된 부위의 하측을 지지하여 상기 하부플랭크(200)가 상기 상부플랭크(100)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지지한다.At this time, the locking jaw 113 supports the lower side of the horizontally extended portion of the upper side of the upper support portion 220 so that the lower flank 200 does not deviate from the upper flank 100.

또한, 상기 걸림턱(113)의 상면은 소정의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상측지지부(220) 상단부의 수평으로 연장된 부위의 양측 끝단과는 밀착되어 상기 상측지지부(220)를 고정하되, 상기 상측지지부(220) 상단부의 수평으로 연장된 부위의 하면과 상기 걸림턱(113)이 접촉되는 면적을 최소화함으로써 상기 상측지지부(220)가 슬라이딩 시, 상기 상측지지부(220)와 상기 걸림턱(113) 사이에 발생하는 마찰 저항을 줄여 상기 상부플랭크(100)와 상기 하부플랭크(200)의 결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upper surface of the locking jaw 113 is formed to be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to be in close contact with both ends of the horizontally extending portion of the upper side of the upper supporting portion 220 to fix the upper supporting portion 220, but the upper side When the upper support portion 220 is sliding by minimizing the area where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portion of the support portion 220 horizontally extends and the locking jaw 113 contacts, the upper supporting portion 220 and the locking jaw 113 The frictional resistance generated therebetween can be reduced to facilitate the coupling of the upper flank 100 and the lower flank 200.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경량형 헬리데크 플랭크의 제1체결부 및 제2 체결부의 결합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4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coupled state of the first fastening part and the second fastening part of the lightweight heli-deck flank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체결부(140)와 상기 제2 체결부(150)는 상호 체결이 가능하도록 서로 대응되는 형상을 가짐으로써, 복수의 상기 헬리데크 플랭크를 상호 체결이 가능하게 한다.As shown in FIG. 4, the first fastening part 140 and the second fastening part 150 have shapes corresponding to each other so that they can be fastened to each other, so that a plurality of the heli-deck flanks can be fastened to each other. To do.

상기 제1 체결부(140)는 상기 상부플랭크(100)의 외방으로 돌출된 상부돌출턱(142)과 하부돌출턱(146)을 가지며, 상기 상부돌출턱(142)와 상기 하부돌출턱(146)은 소정의 간격만큼 서로 이격되게 형성되어 상기 제2 체결부(150)가 삽입 결합되는 제1 체결홈(144)가 형성된다. The first fastening part 140 has an upper protruding jaw 142 and a lower protruding jaw 146 protruding outward of the upper flank 100, and the upper protruding jaw 142 and the lower protruding jaw 146 ) Is form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interval to form a first fastening groove 144 into which the second fastening part 150 is inserted and coupled.

반면, 상기 제2 체결부(150) 상부에는 상기 제1 체결부(140)의 상기 상부돌출턱(142)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함입된 제2 체결홈(152)이 구비되고, 상기 제2 체결부(150) 하부에 상기 제1 체결홈(144)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돌출된 돌출턱(154)이 형성된다.On the other hand, the second fastening part 150 is provided with a second fastening groove 152 embedd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upper protruding jaw 142 of the first fastening part 140, and the second fastening A protruding jaw 154 protruding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first fastening groove 144 is formed under the portion 150.

이때, 상기 하부돌출턱(146)은 폭방향 끝단이 상기 상부평판부(130)의 폭방향 끝단과 동일 선상에 위치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상부돌출턱(142)은 상기 하부돌출턱(146)보다 외방으로 더 돌출되며, 상기 돌출턱(154) 하단부는 상기 하부돌출턱(146)과 대응되게 함몰되어 단차부(156)가 형성된다. 이를 통해, 상기 제1 체결부(140)와 제2 체결부(150)의 접촉면적을 증가시켜 상호 간의 체결력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있다.At this time, the lower protruding jaw 146 is formed so that the widthwise end is positioned on the same line as the transverse end of the upper flat plate 130, and the upper protruding jaw 142 than the lower protruding jaw 146 Further protruding outward, the lower end of the protruding jaw 154 is recessed to correspond to the lower protruding jaw 146 to form a stepped portion 156. Through this, the contact area between the first fastening part 140 and the second fastening part 150 may be increased to improve the fastening force between each other.

이상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Although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bove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can implement the present invention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its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You will understand that there is. Therefo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illustrative in all respects and not restrictive.

100 : 상부플랭크
110 : 하부받침부
112 : 결합부
113 : 걸림턱
120 : 사선지지부
130 : 상부평판부
132-1 : 삼각돌기
132-2 : 사각돌기
134 : 배수홈
140 : 제1 체결부
142 : 상부돌출턱
144 : 제1 체결홈
146 : 하부돌출턱
150 : 제2 체결부
152 : 제2 체결홈
154 : 돌출턱
156 : 단차부
160 : 수직지지부
200 : 하부플랭크
210 : 하측지지부
220 : 상측지지부
100: upper flank
110: lower support
112: coupling portion
113: hanging jaw
120: diagonal support
130: upper flat plate
132-1: Triangular projection
132-2: Square projection
134: drainage groove
140: first fastening part
142: upper protrusion
144: first fastening groove
146: lower protrusion
150: second fastening part
152: Second fastening groove
154: protruding jaw
156: step
160: vertical support
200: lower flank
210: lower support
220: upper support

Claims (9)

하면에서 상방으로 함입형성된 복수의 결합부(112)를 갖는 하부받침부(110)와, 상기 하부받침부(110) 폭방향 양측 단부에서 상방으로 경사지게 연장된 한 쌍의 사선지지부(120)와, 상기 사선지지부(120) 상단을 상호 연결하는 상부평판부(130)를 포함하며, 상기 사선지지부(120) 각 일측에 서로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복수의 헬리데크 플랭크를 상호 체결 가능하게 하는 제1 체결부(140)와 제2 체결부(150)가 구비된 상부플랭크(100); 및
복합소재로 구성되며, 하부에 판상의 하측지지부(210)가 배치되고, 상기 하측지지부(210) 상측에 상단부가 수평으로 연장되어 상기 결합부(112) 내측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복수의 상측지지부(220)가 구비된 하부플랭크(200);를 포함하되,
상기 제1 체결부(140)는, 폭방향 끝단이 상기 상부평판부(130)의 폭방향 끝단과 동일 선상에 위치하는 하부돌출턱(146)과 상기 하부돌출턱(146)보다 외방으로 더 돌출된 상부돌출턱(142)이 소정의 간격만큼 서로 이격되어 상기 제2 체결부(150)가 삽입 결합되는 제1 체결홈(144)이 형성되며,
상기 제2 체결부(150)는, 상부에 상기 제1 체결부(140)의 상기 상부돌출턱(142)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함입된 제2 체결홈(152)이 구비되고, 하부에 상기 제1 체결홈(144)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돌출된 돌출턱(154)이 구비되며, 상기 돌출턱(154) 하단부가 상기 하부돌출턱(146)과 대응되게 함몰되어 단차부(156)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량형 헬리데크 플랭크.
A lower support portion 110 having a plurality of coupling portions 112 that are impregnated upward from the lower surface, and a pair of diagonal support portions 120 extending obliquely upward from both ends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lower support portion 110, The diagonal support portion 120 includes an upper flat plate portion 130 that interconnects the upper end, the diagonal support portion 120 is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each other on each side of the first to enable a plurality of heli-deck flanks to be mutually fastened The upper flank 100 is provided with a fastening portion 140 and the second fastening portion 150; And
It is composed of a composite material, the lower support portion 210 of the plate-shaped is disposed at the bottom, and the upper support portion horizontally extends above the lower support portion 210, a plurality of upper support portions slidably coupled inside the coupling portion 112 The lower flank 200 is provided with 220; includes,
The first fastening part 140 protrudes outward more than the lower protruding jaw 146 and the lower protruding jaw 146 whose widthwise ends are located on the same line as the widthwise ends of the upper flat plate 130. The upper protrusion 142 i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interval to form a first fastening groove 144 into which the second fastening part 150 is inserted and coupled,
The second fastening part 150 is provided with a second fastening groove 152 embedd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upper protruding jaw 142 of the first fastening part 140 at the upper part, and the second fastening part 150 is provided at the lower part. 1 is provided with a protruding jaw 154 protruding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fastening groove 144, the lower end of the protruding jaw 154 is recessed to correspond to the lower protruding jaw 146 to form a stepped portion 156 Lightweight heli-deck flank, characterized in that.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소재는,
유리섬유 및 아라미드섬유 중 선택된 1종 이상을 탄소섬유와 혼합하여 직조한 보강재가 열경화성 수지 조성물에 함침된 후, 경화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량형 헬리데크 플랭크.
According to claim 1,
The composite material,
A lightweight heli-deck flank, characterized in that a reinforcing material woven by mixing at least one selected from glass fibers and aramid fibers with carbon fibers is impregnated in a thermosetting resin composition and then cured.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탄소섬유는,
폴리아크릴로니트릴계 탄소섬유, 피치계 탄소섬유, 레이온계 탄소섬유 및 리그닌계 탄소섬유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하며,
평균 단일 섬유 직경이 1 내지 2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량형 헬리데크 플랭크.
According to claim 2,
The carbon fiber,
It includes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polyacrylonitrile-based carbon fiber, pitch-based carbon fiber, rayon-based carbon fiber, and lignin-based carbon fiber,
Lightweight heli-deck flank, characterized in that the average single fiber diameter is 1 to 20㎛.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열경화성 수지 조성물은,
비스페놀 A형 에폭시 수지, 페놀노볼락형 에폭시 수지, 크레졸노볼락형 에폭시 수지, 테트라글리시딜디아미노디페닐메탄 에폭시 수지 및 트리그리시딜아미노페놀 에폭시 수지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하는 열경화성 수지 100중량부와,
상기 열경화성 수지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아민계 경화제 1 내지 10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량형 헬리데크 플랭크.
According to claim 2,
The thermosetting resin composition,
Bisphenol A-type epoxy resin, phenol novolak-type epoxy resin, cresol novolak-type epoxy resin, tetraglycidyl diaminodiphenylmethane epoxy resin and triglycidylaminophenol epoxy resin comprising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100 parts by weight of a thermosetting resin,
A lightweight heli-deck flank comprising 1 to 10 parts by weight of an amine-based curing agen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thermosetting resin.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플랭크(100)는,
상기 사선지지부(120)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하부받침부(110) 상면에서 수직으로 연장되어 상기 상부평판부(130)를 지지하는 복수의 수직지지부(16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량형 헬리데크 플랭크.
According to claim 1,
The upper flank 100,
Light weight type, which is disposed between the oblique support portions 120, and includes a plurality of vertical support portions 160 extending vertically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support portion 110 to support the upper flat plate portion 130. Helideck Plank.
삭제delet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112)는,
내측 하부에 서로 대향되게 돌출되며, 상면이 소정의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하부플랭크(200)의 상기 상측지지부(220)를 지지하는 걸림턱(11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량형 헬리데크 플랭크.
According to claim 1,
The coupling portion 112,
Lightweight heli-deck, characterized in that it protrudes opposite to each other on the lower inner side, and the upper surface is formed to be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to support the upper support portion (220) of the lower flank (200). Plank.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평판부(130)는,
상면에 상방으로 돌출된 삼각형상의 삼각돌기(132-1)와 사각형상의 사각돌기(132-2)가 교번되게 배치되어 상기 상부평판부 상면의 마찰력이 향상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량형 헬리데크 플랭크.
According to claim 1,
The upper flat plate 130,
A triangular triangular projection (132-1) and a rectangular quadrangular projection (132-2) protruding upwardly on the upper surface are alternately arranged to improve the frictional forc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flat pla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평판부(130)는,
하부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형태로 관통형성된 복수의 배수홈(13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량형 헬리데크 플랭크.
According to claim 1,
The upper flat plate 130,
Lightweight heli-deck flank,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plurality of drainage grooves (134) formed through the form of narrowing the width toward the bottom.
KR1020180168902A 2018-12-26 2018-12-26 Lightweight helideck plank KR10209776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8902A KR102097762B1 (en) 2018-12-26 2018-12-26 Lightweight helideck plank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8902A KR102097762B1 (en) 2018-12-26 2018-12-26 Lightweight helideck plank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97762B1 true KR102097762B1 (en) 2020-04-06

Family

ID=702817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68902A KR102097762B1 (en) 2018-12-26 2018-12-26 Lightweight helideck plank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97762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42745A (en) * 2020-09-28 2022-04-05 주식회사 세보테크놀로지 Helideck plank for preventing fire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136011A (en) * 2011-06-08 2012-12-18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Heli-deck for a ship
KR101738344B1 (en) 2016-03-29 2017-05-22 (주)비오씨앤티 Heliport
KR20180119298A (en) * 2017-04-25 2018-11-02 세보테크 주식회사 Manufacturing method for large-size composite structure
KR20180130371A (en) * 2017-05-29 2018-12-07 세보테크 주식회사 Plank for helideck
KR102052250B1 (en) 2017-11-28 2019-12-04 전자부품연구원 Manufacturing method of strain gauge using 3D printing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136011A (en) * 2011-06-08 2012-12-18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Heli-deck for a ship
KR101738344B1 (en) 2016-03-29 2017-05-22 (주)비오씨앤티 Heliport
KR20180119298A (en) * 2017-04-25 2018-11-02 세보테크 주식회사 Manufacturing method for large-size composite structure
KR20180130371A (en) * 2017-05-29 2018-12-07 세보테크 주식회사 Plank for helideck
KR102052250B1 (en) 2017-11-28 2019-12-04 전자부품연구원 Manufacturing method of strain gauge using 3D printing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42745A (en) * 2020-09-28 2022-04-05 주식회사 세보테크놀로지 Helideck plank for preventing fire
KR102393671B1 (en) * 2020-09-28 2022-05-04 주식회사 세보테크놀로지 Helideck plank for preventing fir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06808B2 (en) Composite panels having improved fluid impermeability
KR102097762B1 (en) Lightweight helideck plank
JP5528549B2 (en) Manufacturing method of composite material
CA2786631C (en) Sandwich panels for aerospace structural applications
TWI648341B (en) Fiber reinforced resin, its manufacturing method, and molded article
JP2005232601A (en) Fiber-reinforced resin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JP2020006942A (en) Floor panel assembly and method of making floor panel assembly
KR20180119298A (en) Manufacturing method for large-size composite structure
KR102393671B1 (en) Helideck plank for preventing fire
JPH09132636A (en) Epoxy resin composition
JP2014162858A (en) Prepreg and production method of the same, and fiber reinforced composite material
EP1048446A2 (en) Thermoformable honeycomb structures and dip resins
CN111918811A (en) T-shaped joint structure
JP2018028164A (en) Heald frame
KR102394478B1 (en) Hybrid pultrusion composite material
JP2016098467A (en) Fiber structure and fiber-reinforced composite material
US11731392B2 (en) Panel structure
JP2006289646A (en) Honeycomb composite and its molding method
JP6871040B2 (en) Reinforcement members for ships, reinforcement structures for ships and reinforcement methods for ships
JP2020153188A (en) Assemble type water storage tank
JP7435956B2 (en) Load-bearing frames and fiber structures for gymnastics equipment
JP6943646B2 (en) Method for manufacturing restrictive damping material and restrictive damping material
JP2007216754A (en) Vehicle body structure and vehicle
KR20200105301A (en) Ultra-light and high-strength Concrete Mold using carbon composite material
EP4201661A1 (en) Composite material panel structur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