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97360B1 - 패턴 이미지 기반 얼굴 마스크 제작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패턴 이미지 기반 얼굴 마스크 제작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97360B1
KR102097360B1 KR1020150030674A KR20150030674A KR102097360B1 KR 102097360 B1 KR102097360 B1 KR 102097360B1 KR 1020150030674 A KR1020150030674 A KR 1020150030674A KR 20150030674 A KR20150030674 A KR 20150030674A KR 102097360 B1 KR102097360 B1 KR 1020973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vector
mask
pattern
gener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306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07655A (ko
Inventor
최윤석
권순영
김진서
장인수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500306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97360B1/ko
Publication of KR201601076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076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973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973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9/00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protecting only a particular body part
    • A41D13/11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7/00Three dimensional [3D] modelling, e.g. data description of 3D objects
    • G06T17/20Finite element generation, e.g. wire-frame surface description, tessel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ome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Image Processing (AREA)

Abstract

패턴 이미지에 기반하여 사용자 맞춤형 얼굴 마스크를 제작하는 장치가 제공된다. 패턴 이미지 기반 얼굴 마스크 제작 장치는, 입력된 패턴 이미지를 벡터정보로 변환하여 벡터이미지 데이터를 생성하는 변환부와, 마스크를 적용할 대상의 3차원 이미지 상인 제1 데이터에 상기 벡터이미지 데이터를 투영하는 투영부와, 상기 벡터이미지 데이터가 투영된 상기 제1 데이터를 메쉬 분할하고 상기 벡터이미지 데이터에 기초하여 메쉬 절단면을 생성하는 분할부, 및 상기 메쉬 절단면을 기준으로 두께 값을 설정하여 제1 마스크 모델을 생성하는 생성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패턴 이미지 기반 얼굴 마스크 제작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MAKING A FACE MASK BASED ON PATTERN IMAGE}
본 발명은 패턴 이미지에 기반하여 사용자 맞춤형 얼굴 마스크를 제작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얼굴 마스크 즉, 가면(假面)은 얼굴 전체나 부분을 가리는 목적으로 사용되기 시작한 이래, 인류의 역사만큼 오래 전부터 다양한 용도로 활용되어 왔다. 이를 테면, 사냥, 전쟁 등에서 위장이나 방호용으로 사용되기도 하고, 제사, 풍년 기원 등의 종교적 행사를 비롯하여, 각종 공연무대나 축제에서 예술적 표현 도구로서도 이용되고 있다.
특히, 연극이나 뮤지컬과 같은 공연 산업의 발전으로 가면이나 마스크 분장의 중요성이 날로 증대되고 있는데, 마스크 분장의 경우 무대 공연 기획과 동시에 무대 컨셉과 캐릭터의 특성을 고려하여 고안에 들어간다. 전통적인 마스크 제작 방식의 경우, 많은 형상을 설계한 후 이를 다시 직접 제작하여 착용하는 등 수많은 시행착오를 거치게 되는데, 이는 많은 시간과 비용을 소요할 수밖에 없다. 또한, 시간적/비용적 한계로 인해 사용자 각각의 코의 높이나 눈 간격, 이마 넓이 등의 얼굴 특징은 전혀 고려하지 않고 단순히 대/중/소 등의 분류에 따라 생성된 얼굴 마스크를 사용하기 때문에, 사용자와 마스크 간의 조화를 기대하기 어렵다.
최근에는, 3D 스캐너와 3D 프린터의 개발과 보급에 힘입어 개인화된 얼굴 마스크 제작에 대한 요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되었다. 다만, 3D 스캐너를 통해 사용자의 3D 얼굴 모델을 획득하거나, 3D 프린터로 실제 출력하기 위해서는 3D 얼굴 모델 데이터의 편집이 가능한 모델링 프로그램과 이를 다룰 수 있는 전문지식이 필요하다. 또한, 기존의 프로그램들의 경우, 모니터 영상에 표시하기 위한 기술 중심으로 제작되어, 실제 얼굴 마스크 출력까지 실행하기에는 어려움이 있다.
일측에 따르면, 입력된 패턴 이미지를 벡터정보로 변환하여 벡터이미지 데이터를 생성하는 변환부와, 마스크를 적용할 대상의 3차원 이미지 상인 제1 데이터에 상기 벡터이미지 데이터를 투영하는 투영부와, 상기 벡터이미지 데이터가 투영된 상기 제1 데이터를 메쉬 분할하고, 상기 벡터이미지 데이터에 기초하여 메쉬 절단면을 생성하는 분할부, 및 상기 메쉬 절단면을 기준으로 두께 값을 설정하여 제1 마스크 모델을 생성하는 생성부를 포함하는 패턴 이미지 기반 얼굴 마스크 제작 장치가 제공된다.
도 1은 일실시예에 따른 패턴 이미지 기반 얼굴 마스크 제작 장치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2는 일실시예에 따른 패턴 이미지 기반 얼굴 마스크 제작 장치의 세부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은 일실시예에 따라 패턴 이미지를 벡터정보로 변환하여 벡터 이미지 데이터를 생성하는 과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는 일실시예에 따라 3D 얼굴 모델 데이터에 벡터 이미지 데이터를 투영하는 과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벡터 패턴에 의해 분할되는 메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일실시예에 따라 벡터 이미지 데이터 투영을 통해 생성된 부분 얼굴 마스크 모델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일실시예에 따른 벡터 이미지 데이터 삽입을 위한 특징점 변환 과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8은 일실시예에 따라 3D 얼굴 모델 데이터에 패턴 텍스처를 삽입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일실시예에 따른 패턴 이미지 기반 얼굴 마스크 제작 방법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이하에서, 일부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이러한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아래 설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를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관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이해를 돕거나 및/또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설명 부분에서 상세한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아래 설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일실시예에 따른 패턴 이미지 기반 얼굴 마스크 제작 장치(100)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패턴 이미지 기반 얼굴 마스크 제작 장치(100)는 3D 스캐너나 여타 다양한 방식으로 획득한 3D 얼굴 모델 데이터에 패턴 이미지를 적용하여 얼굴 마스크를 생성하고, 이를 3D 프린터로 출력할 수 있는 모델로 변환하는 구성으로, 변환부(110), 투영부(120), 분할부(130) 및 생성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변환부(110)는 입력된 패턴 이미지를 벡터정보로 변환하여 벡터이미지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패턴 이미지로는, 미리 저장되어 있던 이미지 데이터 또는 사용자가 직접 그린 이미지 데이터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패턴 이미지는 제작하고자 하는 얼굴 마스크의 외형 패턴, 및 얼굴 마스크에 새겨넣기 위한 스텐실 패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투영부(120)는 마스크를 적용할 대상의 3차원 이미지 상인 제1 데이터에 상기 벡터이미지 데이터를 투영시킬 수 있다. 상기 제1 데이터는, 3D 스캐너를 통해 실시간 입력 받거나 미리 저장된 데이터를 활용할 수 있다.
분할부(130)는 벡터이미지 데이터가 투영된 제1 데이터를 메쉬 분할하고, 상기 벡터이미지 데이터에 기초하여 메쉬 절단면을 생성할 수 있다.
생성부(140)는 상기 메쉬 절단면을 기준으로 두께 값을 설정하여 제1 마스크 모델을 생성할 수 있다.
패턴 이미지 기반 얼굴 마스크 제작 장치(100)는 연극, 뮤지컬, 축제 등에서 자주 사용되는 얼굴 마스크를 착용자의 얼굴에 맞추어 제작할 수 있도록 하며, 기존의 복잡한 마스크 제작 과정이나 특정 프로그램에 관한 전문지식이 없더라도 손쉽게 얼굴 마스크 제작을 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다. 또한, 마스크 형상 재단 및 마스크 텍스처 제작을 위해 보다 직관적인 방법을 제공함으로써, 기존의 기본 메쉬 모델 변형을 통한 방식보다 편리하고 빠르게 모델 생성이 가능하며, 3D 프린터의 활용에도 기여할 수 있다.
도 2는 일실시예에 따른 패턴 이미지 기반 얼굴 마스크 제작 장치의 세부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패턴 이미지 기반 얼굴 마스크 제작 장치(100)는 개인 맞춤형 마스크를 제작하기 위해, 3D 얼굴 모델 데이터에 적용할 패턴 이미지를 입력 받을 수 있다. 상기 패턴 이미지는 제작하고자 하는 얼굴 마스크의 외형 패턴이나 얼굴 마스크에 새겨넣기 위한 스텐실 패턴으로, 2D의 평면 이미지 형태이다. 따라서, 이를 3차원 모델 공간에서 활용하기 위해서는 벡터정보로 변환하여야 한다. 이에 따라, 패턴 이미지 기반 얼굴 마스크 제작 장치(100)의 변환부(110)에서는 입력받은 패턴 이미지를 벡터정보로 변환된 벡터 패턴 이미지로 생성할 수 있다. 벡터 패턴 이미지 생성 시에는, 미리 저장되어 있던 패턴 이미지 데이터 중 마스크 외형으로 설정할 외형 패턴을 선택하여 벡터 패턴 이미지로 생성(210)하거나, 사용자가 직접 그린 패턴 이미지 데이터를 입력받아 벡터 패턴 이미지로 생성(220)할 수 있다.
생성된 벡터 패턴 이미지(210, 220)는 3D 얼굴 모델 데이터에 투영되어(230), 3차원 이미지로 변환될 수 있다. 이 때, 패턴 이미지 기반 얼굴 마스크 제작 장치(100)의 투영부(120)에서는, 3D 얼굴 모델 데이터에 마스크를 적용할 위치를 지정하고, 지정된 위치에서 일정 거리 d만큼 떨어진 3차원 공간 상의 평면 A 위에 벡터 이미지 데이터를 그린다. 이로 인해, 2차원 값으로 구성된 벡터 이미지 데이터의 특징점들은 평면 A 상에서 z값이 추가되어 3차원 좌표로서 변환된다. 상기 3D 얼굴 모델 데이터에 투영된 벡터 패턴 이미지는 3차원 모델을 분할하기 위한 데이터로 사용되며, 투영 방식에 따라 다양한 얼굴 모델 마스크를 생성할 수 있도록 한다.
패턴 이미지 기반 얼굴 마스크 제작 장치(100)의 분할부(130)는, 투영된 3차원 벡터 패턴 이미지를 기준으로 상기 3D 얼굴 모델 데이터를 메쉬 분할할 수 있다(240). 또한, 3D 얼굴 모델 데이터에는 벡터 패턴 이미지 외에, 패턴 텍스처 삽입(250)이 가능하다. 이 경우, 벡터 패턴 이미지를 3D 얼굴 데이터 상에 투영하는 것과는 달리, 패턴 텍스처를 상기 3D 얼굴 모델 데이터의 텍스처에 직접 그리는 방식으로 삽입할 수 있다. 또한, 3차원 얼굴 모델 데이터로 투영된 특징점들은 3D 얼굴 모델 데이터의 정점에 있는 텍스처 공간 좌표에 기초하여, 다시 텍스처 공간의 좌표(u, v)로 변환된다.
패턴 이미지 기반 얼굴 마스크 제작 장치(100)의 생성부(140)는, 상기 분할된 3D 얼굴 모델 데이터와 상기 삽입된 패턴 텍스처를 이용하여 3D 프린터로 출력 가능한 프린팅 모델을 생성할 수 있다(260). 이 때, 패턴 이미지 기반 얼굴 마스크 제작 장치(100)는 3D 프린터의 출력을 위해 얼굴 마스크 모델 및 상기 패턴 텍스처에 두께를 설정하여, 3D 프린팅용 모델로 변형할 수 있다.
한편, 3D 프린팅용 모델은 다른 응용 서비스에서도 활용 가능하도록 범용 모델화되어 호환성을 부가할 수 있다(270).
도 3은 일실시예에 따라 패턴 이미지를 벡터정보로 변환하여 벡터 이미지 데이터를 생성하는 과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패턴 이미지 기반 얼굴 마스크 제작 장치(100)는 변환부(110)를 통해, 비트맵 형태로 저장된 패턴 이미지를 3차원 모델 공간에서 활용하기 위해 벡터정보로 변환하여 벡터 이미지 데이터로 생성하는 작업을 수행한다. 이는, 2차원 평면 이미지 데이터인 패턴 이미지를 3D 얼굴 모델 데이터에 적용하여 자유롭게 편집(이를 테면, 확대, 축소 및 변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패턴 이미지를 먼저 흑백으로 변환한 후 이미지의 윤곽선을 추출하여 이를 벡터로 저장할 수 있다.
상기 패턴 이미지는 그 용도에 따라 마스크 외형 재단을 위한 외형 패턴과, 마스크에 새겨 넣기 위한 스텐실 패턴으로 구분될 수 있다. 이외에도, 사용자가 직접 도구를 이용하여 그린 패턴 이미지를 입력받아 사용할 수도 있다.
먼저, 도 3(a)는 얼굴 마스크의 전체 외형을 설정하기 위한 외형 패턴으로, 입력받은 외형 패턴 이미지(310)를 흑백 변환한 후 윤곽선을 추출하여 벡터 이미지(311)로 저장하게 된다. 외형 패턴 이미지(310)가 최종적으로 생성되는 얼굴 마스크의 외형으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얼굴 전체 마스크나 부분 마스크로 설정 가능하다. 이 때, 외형 패턴의 경우, 실선 부분의 1차 윤곽선과 점선 부분의 내부 윤곽선이 모두 추출되며, 사용자의 눈, 코, 입 등의 얼굴 부위를 표시할 수 있다.
도 3(b)는 얼굴 마스크에 추가적으로 새겨넣을 무늬에 대한 패턴 이미지인 스텐실 패턴이다. 입력받은 스텐실 패턴 원본 이미지(320, 330)에서 검은 색 부분이 얼굴 마스크에서 도려낼 부분이며, 원본 이미지(320, 330)를 흑백 전환하여(321, 331) 윤곽선 부분만 추출하고, 이를 벡터 이미지 데이터로서 변형하여 저장한다(322, 332). 이 때, 외형 패턴의 벡터 이미지(311)와는 달리, 외곽의 1차 윤곽선만을 추출하며, 내부 홀 쪽의 윤곽선은 추출하지 않는다.
도 3(c)는 패턴 이미지를 이미지 데이터로 입력받는 대신에, 사용자가 직접 제작한 패턴을 이용하는 것으로, 사용자가 마우스나 터치 펜 등의 도구를 이용하여 제작한 2차원 평면 이미지(340)를 벡터 이미지 데이터로 변환하여 활용한다. 이를 테면, 디자이너에게 다양한 얼굴 마스크를 설계할 수 있는 기능을 지원하고, 마우스나 터치 펜을 통해 입력받은 이미지(340)는 자동 변환되어 오른쪽 이미지(341)와 같이 입력된 것과 같은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벡터 이미지로 변환된 패턴 이미지는 메쉬에 투영될 때, 원하는 위치 및 크기에 맞게 임의로 조정될 수 있으며, 벡터의 특징점들 사이의 연결 부분 곡선을 이용하여 연결함으로써, 연결 부위가 자연스러워 지도록 할 수 있다.
도 4는 일실시예에 따라 3D 얼굴 모델 데이터에 벡터 이미지 데이터를 투영하는 과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패턴 이미지 기반 얼굴 마스크 제작 장치(100)는 투영부(120)를 통해, 도 3에서 변환 및 생성된 벡터 이미지 데이터를 3D 얼굴 모델 데이터에 투영시킬 수 있다. 이는 2차원 벡터 패턴 이미지를 3차원 벡터 이미지로 변환하는 과정으로, 상기 투영된 3차원 벡터 이미지 데이터를 기준으로 상기 3D 얼굴 모델 데이터를 분할할 수 있으며, 투영 방식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얼굴 마스크를 생성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먼저 3D 얼굴 모델 데이터(410, 420)에 마스크를 적용할 위치 T(x, y, z)(411)를 지정한다. 이 후, 지정된 위치에서 d(422)만큼 떨어진 3차원 공간 상의 평면 A(421)를 생성하고, 이 평면 상에 벡터 이미지 데이터를 그린다. 이로 인해, 2차원 값으로 구성된 벡터 이미지 데이터의 특징점들은 평면 A 상에서 z값이 추가되어 3차원 좌표로서 변환된다.
또한, 이러한 3차원 특징점은 3차원 얼굴 모델 데이터 상에 투영되어 메쉬 절단면이 생성될 수 있으며, 상기 3차원 얼굴 모델 데이터에 투영된 3차원 벡터 이미지 데이터는 430 및 440과 같이 표시될 수 있다.
도 5는 벡터 패턴에 의해 분할되는 메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패턴 이미지 기반 얼굴 마스크 제작 장치(100)는 분할부(140)를 통해, 도 4에서 투영된 3차원 벡터 이미지 데이터에 기초하여 3차원 얼굴 모델 데이터를 분할할 수 있다. 이 때, 3차원 얼굴 모델 데이터 상에 투영된 벡터 이미지 데이터는 도 5와 같이 얼굴 모델 데이터를 구성하는 삼각형 평면들(510)을 가로지르게 되는데, 벡터 이미지 데이터에 의한 굵은 실선(중앙부분)과 삼각형 평면들과의 교점들을 계산한 후 이를 중심으로 평면을 다시 삼각형화하여 얇은 점선(상기 굵은 실선의 좌측부분)과 굵은 점선(상기 굵은 실선의 우측부분)의 2개의 메쉬로의 분할이 수행될 수 있다.
또한, 3차원 얼굴 모델 데이터가 메쉬 분할된 후 3차원 벡터 이미지에 기초하여 생성된 부분 얼굴 마스크 모델은 도 6과 같이 생성될 수 있다.
도 6에서, 상기 생성된 부분 얼굴 마스크 모델(610)은 3차원 벡터 이미지의 특징점들을 기준으로 외곽 윤곽선(611)과 내부 윤곽선(612)이 형성되며, 이러한 윤곽선들에 기초하여 두께 값 설정 및 절단면 생성이 수행될 수 있다.
도 7은 일실시예에 따른 벡터 이미지 데이터 삽입을 위한 특징점 변환 과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패턴 이미지 기반 얼굴 마스크 제작 장치(100)는 벡터 이미지 데이터를 3차원 얼굴 모델 데이터 상에 투영하거나, 3차원 얼굴 모델 데이터의 텍스처에 직접 패턴 텍스처를 삽입하여 얼굴 마스크로 제작할 수 있다.
벡터 이미지 데이터는 2차원 평면 상에 소정의 특징점(x, y)을 포함하고 있는데(710), 이러한 특징점은 3차원 얼굴 모델 데이터에 투영되는 과정에서 3차원 좌표 (x, y, z)로 변환된다(720). 이 경우, 3차원 얼굴 모델 데이터에서 마스크를 적용할 위치를 지정한 후, 지정된 위치에서 일정 거리 d만큼 떨어진 3차원 공간 상의 평면 A를 생성하고, 이 평면 상에 상기 벡터 이미지 데이터를 투영시킬 수 있다. 이로 인해, 2차원 값으로 구성된 벡터 이미지 데이터의 특징점들은 평면 A 상에서 z값이 추가되어 3차원 좌표로서 변환된다.
3차원 좌표로 변환된 벡터 이미지 데이터의 특징점은 다시 상기 3차원 얼굴 모델 데이터로 투영되어 모델 데이터 상의 점들로 변환되며(730), 이후 각 투영된 특징점들은 상기 3차원 얼굴 모델 데이터의 정점에 있는 텍스처 공간 좌표를 기반으로 다시 텍스처 공간의 좌표(u, v)로 변환된다(740).
도 8은 일실시예에 따라 3D 얼굴 모델 데이터에 패턴 텍스처를 삽입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사용자가 3D 얼굴 모델 데이터(810)에 패턴 텍스처나 벡터 이미지 데이터를 직접 삽입하기 위해서는, 패턴 텍스처 또는 벡터 이미지 데이터를 적용할 위치(811)를 지정할 수 있다. 이 후, 지정된 위치(811)에서 d(822)만큼 떨어진 3차원 공간 상의 평면 A(821)를 생성하고, 이 평면 상에 패턴 텍스처 또는 벡터 이미지 데이터를 삽입할 수 있다. 이로 인해, 2차원 형태의 패턴 텍스처 또는 벡터 이미지 데이터의 특징점들이 평면 A 상에서 z값이 추가되어 3차원 좌표로서 변환된다.
패턴 텍스처 또는 벡터 이미지 데이터가 삽입된 후, 3D 얼굴 데이터 모델의 렌더링 결과와 이에 대한 모델 텍스처 이미지는 도 8의 830 및 840과 같이 나타날 수 있다.
도 9는 일실시예에 따른 패턴 이미지 기반 얼굴 마스크 제작 방법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단계 910에서는, 변환부(110)가 입력된 패턴 이미지를 벡터정보로 변환하여 벡터이미지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패턴 이미지로는, 미리 저장되어 있던 이미지 데이터 또는 사용자가 직접 그린 이미지 데이터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패턴 이미지는 제작하고자 하는 얼굴 마스크의 외형 패턴, 및 얼굴 마스크에 새겨넣기 위한 스텐실 패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단계 920에서는, 투영부(120)가 마스크를 적용할 대상의 3차원 이미지 상인 제1 데이터에 상기 벡터이미지 데이터를 투영시킬 수 있다. 이 때, 제1 데이터는, 3D 스캐너를 통해 실시간 입력 받거나 미리 저장된 데이터를 활용할 수 있다.
단계 930에서는, 분할부(130)가 단계 920에서 벡터이미지 데이터가 투영된 제1 데이터를 메쉬 분할하고, 상기 벡터이미지 데이터에 대응하도록 메쉬 절단면을 생성할 수 있다.
단계 940에서는, 생성부(140)가 단계 930에서 생성된 메쉬 절단면을 기준으로 두께 값을 설정하여 제1 마스크 모델을 생성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장치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소프트웨어 구성요소, 및/또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및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서 설명된 장치 및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프로세서, 콘트롤러, ALU(arithmetic logic unit),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마이크로컴퓨터, FPA(field programmable array), PLU(programmable logic unit),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고 응답할 수 있는 다른 어떠한 장치와 같이, 하나 이상의 범용 컴퓨터 또는 특수 목적 컴퓨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처리 장치는 운영 체제(OS) 및 상기 운영 체제 상에서 수행되는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처리 장치는 소프트웨어의 실행에 응답하여, 데이터를 접근, 저장, 조작, 처리 및 생성할 수도 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처리 장치는 하나가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된 경우도 있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처리 장치가 복수 개의 처리 요소(processing element) 및/또는 복수 유형의 처리 요소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 장치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 또는 하나의 프로세서 및 하나의 콘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병렬 프로세서(parallel processor)와 같은, 다른 처리 구성(processing configuration)도 가능하다.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 코드(code), 명령(instruction),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하는 대로 동작하도록 처리 장치를 구성하거나 독립적으로 또는 결합적으로(collectively) 처리 장치를 명령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및/또는 데이터는, 처리 장치에 의하여 해석되거나 처리 장치에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어떤 유형의 기계, 구성요소(component), 물리적 장치, 가상 장치(virtual equipment), 컴퓨터 저장 매체 또는 장치, 또는 전송되는 신호 파(signal wave)에 영구적으로, 또는 일시적으로 구체화(embody)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 상에 분산되어서, 분산된 방법으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Claims (8)

  1. 2차원의 패턴 이미지에 대응하는 벡터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벡터정보를 이용하여 패턴 이미지를 벡터 이미지로 변환하는 단계;
    얼굴 마스크를 적용할 대상의 3차원 이미지를 나타내는 3D 얼굴 모델 데이터에 상기 벡터 이미지를 투영하는 단계;
    상기 3D 얼굴 모델 데이터 상에 투영된 벡터 이미지를 메쉬로 분할하고, 상기 벡터 이미지로부터 메쉬 절단면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메쉬 절단면을 기준으로 두께 값을 설정하여 제1 마스크 모델을 생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벡터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2차원의 패턴 이미지를 흑백으로 전환하는 단계;
    상기 흑백으로 전환된 패턴 이미지의 윤곽선을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추출한 윤곽선로부터 3차원 공간 상의 벡터 정보를 설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마스크 제작 방법.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윤곽선을 추출하는 단계는,
    상기 2차원의 패턴 이미지가 얼굴 마스크의 외형 패턴인 경우, 상기 외형 패턴의 실선 부분에 해당하는 외부 윤곽선 및 외형 패턴의 점선 부분에 해당하는 내부 윤곽선을 추출하는 마스크 제작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윤곽선을 추출하는 단계는,
    상기 2차원의 패턴 이미지가 얼굴 마스크의 스텐실 패턴인 경우, 상기 패턴 이미지를 흑백으로 전환한 후, 상기 스텐실 패턴의 외부 윤곽선을 추출하는 마스크 제작 방법.
  5. 삭제
  6. 2차원의 패턴 이미지에 대응하는 벡터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벡터정보를 이용하여 패턴 이미지를 벡터 이미지로 변환하는 단계;
    얼굴 마스크를 적용할 대상의 3차원 이미지를 나타내는 3D 얼굴 모델 데이터에 상기 벡터 이미지를 투영하는 단계;
    상기 3D 얼굴 모델 데이터 상에 투영된 벡터 이미지를 메쉬로 분할하고, 상기 벡터 이미지로부터 메쉬 절단면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메쉬 절단면을 기준으로 두께 값을 설정하여 제1 마스크 모델을 생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벡터 이미지를 투영하는 단계는,
    상기 3D 얼굴 모델 데이터에 상기 얼굴 마스크를 적용하기 위한 위치인 3차원 좌표를 설정하는 단계
    상기 설정된 3차원 좌표로부터 일정 거리만큼 이격된 3차원 공간 상의 평면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평면 상에 벡터 이미지를 투영하는 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생성된 평면 상에 벡터 이미지를 투영하는 단계는,
    상기 벡터 이미지의 특징점이 나타내는 2차원 좌표에 z값을 추가하여 상기 평면 상에 3차원 좌표로 변환하는 단계; 및
    상기 변환된 평면 상에 3차원 좌표를 통해 상기 벡터 이미지를 3D 얼굴 모델 데이터에 투영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마스크 제작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쉬 절단면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3D 얼굴 모델 데이터에 의한 굵은 실선과 삼각형 평면들과의 교점을 계산하는 단계; 및
    상기 계산된 교점을 기준으로 삼각형 평면을 상기 굵은 실선의 좌측 부분과 상기 굵은 실선의 우측 부분으로 상기 3D 얼굴 모델 데이터 상에 투영된 벡터 이미지를 메쉬로 분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마스크 제작 방법.
  8. 2차원의 패턴 이미지에 대응하는 벡터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벡터정보를 이용하여 패턴 이미지를 벡터 이미지로 변환하는 단계;
    얼굴 마스크를 적용할 대상의 3차원 이미지를 나타내는 3D 얼굴 모델 데이터에 상기 벡터 이미지를 투영하는 단계;
    상기 3D 얼굴 모델 데이터 상에 투영된 벡터 이미지를 메쉬로 분할하고, 상기 벡터 이미지로부터 메쉬 절단면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메쉬 절단면을 기준으로 두께 값을 설정하여 제1 마스크 모델을 생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메쉬 절단면을 생성하는 단계는,
    3차원 벡터 이미지의 특징점들을 기준으로 외부 윤곽선과 내부 윤곽선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형성된 외부 윤곽선 및 내부 윤곽선을 이용하여 3D 얼굴 모델 데이터 상에 투영된 벡터 이미지의 메쉬 절단면을 생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마스크 제작 방법.

KR1020150030674A 2015-03-05 2015-03-05 패턴 이미지 기반 얼굴 마스크 제작 장치 및 방법 KR1020973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0674A KR102097360B1 (ko) 2015-03-05 2015-03-05 패턴 이미지 기반 얼굴 마스크 제작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0674A KR102097360B1 (ko) 2015-03-05 2015-03-05 패턴 이미지 기반 얼굴 마스크 제작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07655A KR20160107655A (ko) 2016-09-19
KR102097360B1 true KR102097360B1 (ko) 2020-04-07

Family

ID=571033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30674A KR102097360B1 (ko) 2015-03-05 2015-03-05 패턴 이미지 기반 얼굴 마스크 제작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9736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229152A1 (ko) * 2022-05-23 2023-11-30 주식회사 메가젠임플란트 인공지능을 적용한 3차원 얼굴스캔 자동매칭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그리고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프로그램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83825B1 (ko) * 2020-05-07 2022-04-07 한동대학교 산학협력단 접촉 체압 분석을 이용한 제품 형상 설계 방법 및 그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814441B2 (en) * 2006-05-09 2010-10-12 Inus Technology, Inc. System and method for identifying original design intents using 3D scan data
KR20150019056A (ko) * 2013-08-12 2015-02-25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특수분장용 마스크 제작 장치 및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229152A1 (ko) * 2022-05-23 2023-11-30 주식회사 메가젠임플란트 인공지능을 적용한 3차원 얼굴스캔 자동매칭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그리고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프로그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07655A (ko) 2016-09-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Zhang et al. Static/dynamic filtering for mesh geometry
US10147217B2 (en) Audio-based caricature exaggeration
Schüller et al. Appearance-mimicking surfaces
US10169913B2 (en) Apparatus for generating 3D volume mask model and method therefor
US9367944B2 (en) Tree model and forest model generating method and apparatus
Ijiri et al. Seamless integration of initial sketching and subsequent detail editing in flower modeling
KR20160041570A (ko) 몽타주 생성 장치 및 방법, 그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기록 매체
Hu et al. Capturing braided hairstyles
US11048335B2 (en) Stroke operation prediction for three-dimensional digital content
CN109964255B (zh) 使用3d视频数据的3d打印
KR20100138648A (ko) 영상 처리 장치 및 방법
JP2011048586A (ja) 画像処理装置および画像処理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US9789650B2 (en) Conversion of stereolithographic model into logical subcomponents
Fan et al. Multiregion segmentation based on compact shape prior
CN104392484B (zh) 一种三维树木建模方法及装置
Buchanan et al. Automatic single-view character model reconstruction
Sun et al. Texture brush: an interactive surface texturing interface
KR102097360B1 (ko) 패턴 이미지 기반 얼굴 마스크 제작 장치 및 방법
US20220375163A1 (en) Computationally-Efficient Generation of Simulations of Cloth-Like Materials Using Bilinear Element Models
Li et al. Computer-aided 3D human modeling for portrait-based product development using point-and curve-based deformation
JP7388751B2 (ja) 学習データ生成装置、学習データ生成方法および学習データ生成プログラム
Morigi et al. Reconstructing surfaces from sketched 3d irregular curve networks
Lee et al. CartoonModes: Cartoon stylization of video objects through modal analysis
Isenberg et al. 3D illustrative effects for animating line drawings
WO2022240298A1 (en) Computationally-efficient generation of simulations of cloth-like materials using bilinear element model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