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97188B1 - Prediction method for dementia using neuropsychological test and prediction system for dementia using neuropsychological test - Google Patents

Prediction method for dementia using neuropsychological test and prediction system for dementia using neuropsychological tes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97188B1
KR102097188B1 KR1020170098459A KR20170098459A KR102097188B1 KR 102097188 B1 KR102097188 B1 KR 102097188B1 KR 1020170098459 A KR1020170098459 A KR 1020170098459A KR 20170098459 A KR20170098459 A KR 20170098459A KR 102097188 B1 KR102097188 B1 KR 1020971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mentia
neuropsychological
cognitive impairment
mild cognitive
subje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9845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90015649A (en
Inventor
서상원
장혜민
김선우
우숙영
Original Assignee
사회복지법인 삼성생명공익재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사회복지법인 삼성생명공익재단 filed Critical 사회복지법인 삼성생명공익재단
Priority to KR10201700984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97188B1/en
Publication of KR201900156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1564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971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9718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5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simulation or modelling of medical disor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0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for evaluating the nervous system
    • A61B5/4076Diagnosing or monitoring particular conditions of the nervous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2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physiological signals or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7271Specific aspects of physiological measurement analysis
    • A61B5/7275Determining trends in physiological measurement data; Predicting development of a medical condition based on physiological measurements, e.g. determining a risk factor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2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computer-aided diagnosis, e.g. based on medical expert system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3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calculating health indices; for individual health risk assessment

Abstract

신경심리검사를 이용한 치매 발병 예측 방법은 컴퓨터 장치가 피험자의 나이 및 피험자의 신경심리검사 데이터를 입력받은 단계, 상기 컴퓨터 장치가 상기 신경심리검사 데이터를 기준으로 경도인지장애 유형을 분류하는 단계, 상기 컴퓨터 장치가 상기 나이 및 상기 경도인지장애 유형을 노모그램을 이용한 치매 예측 모델에 입력하는 단계 및 상기 컴퓨터 장치가 상기 치매 예측 모델의 출력 결과에 따른 치매 예측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The method for predicting the development of dementia using a neuropsychological test includes the steps of a computer device receiving the subject's age and the subject's neuropsychological test data, and the computer device classifying the type of mild cognitive impairment based on the neuropsychological test data. And inputting the age and the type of mild cognitive impairment into a dementia prediction model using a nomogram, and the computer device generating dementia prediction information according to an output result of the dementia prediction model.

Description

신경심리검사를 이용한 치매 발병 예측 방법 및 예측 시스템{PREDICTION METHOD FOR DEMENTIA USING NEUROPSYCHOLOGICAL TEST AND PREDICTION SYSTEM FOR DEMENTIA USING NEUROPSYCHOLOGICAL TEST}Prediction method and prediction system of dementia using neuropsychological examination {PREDICTION METHOD FOR DEMENTIA USING NEUROPSYCHOLOGICAL TEST AND PREDICTION SYSTEM FOR DEMENTIA USING NEUROPSYCHOLOGICAL TEST}

이하 설명하는 기술은 신경심리검사를 이용하여 피험자에 대한 치매 발병을 예측하는 기법에 관한 것이다.The technique described below relates to a technique for predicting the development of dementia in a subject using a neuropsychological test.

경도인지장애는 정상과 치매의 중간 단계이다. 경도인지장애를 갖는 환자는 치매 발병 위험이 높은 고위험군 환자에 해당한다. 경도인지장애를 갖는 환자는 1년이 경과하면 10 ~ 15%가 치매로 진행하고, 6년이 경과하면 약 80%가 치매로 전환된다고 알려졌다. 그러나 경도인지장애를 갖는 환자의 20% 정도는 정상으로 전환되거나, 경도인지장애를 유지하는 것으로 나타난다. 즉 경도인지장애 환자가 치매로 전환하는 가능성에 대한 정확한 기준이 없는 상태이다. Mild cognitive impairment is an intermediate stage between normal and dementia. Patients with mild cognitive impairment are high-risk patients with a high risk of developing dementia. It is known that 10-15% of patients with mild cognitive impairment progress to dementia after 1 year, and about 80% convert to dementia after 6 years. However, about 20% of patients with mild cognitive impairment appear to be converted to normal or maintain mild cognitive impairment. In other words, there is no exact standard for the possibility of patients with mild cognitive impairment converting to dementia.

한국등록특허 제10-1437569호Korean Registered Patent No. 10-1437569

최근 이미지 분석, 아밀로이드 PET 등 치매 전환 가능성을 보다 정확하게 예측하기 위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아밀로이드 PET는 검사 비용이 높고, 뇌피질두께 분석과 같은 이미지 분석은 시간이 많이 소요되며 임상적으로 직관적이지 않다는 단점이 있다. 이하 설명하는 기술은 경도인지장애를 갖는 환자에 대한 신경심리학적 검사 결과를 기반으로 치매의 위험성을 판단하는 기법을 제공한다. Recently, studies have been conducted to more accurately predict the possibility of dementia conversion such as image analysis and amyloid PET. However, amyloid PET has the disadvantages of high cost of examination, image analysis such as brain cortical thickness analysis, which is time consuming and not clinically intuitive. The technique described below provides a technique for determining the risk of dementia based on neuropsychological test results for patients with mild cognitive impairment.

신경심리검사를 이용한 치매 발병 예측 방법은 컴퓨터 장치가 피험자의 나이 및 피험자의 신경심리검사 데이터를 입력받은 단계, 상기 컴퓨터 장치가 상기 신경심리검사 데이터를 기준으로 경도인지장애 유형을 분류하는 단계, 상기 컴퓨터 장치가 상기 나이 및 상기 경도인지장애 유형을 노모그램을 이용한 치매 예측 모델에 입력하는 단계 및 상기 컴퓨터 장치가 상기 치매 예측 모델의 출력 결과에 따른 치매 예측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The method for predicting the development of dementia using a neuropsychological test includes the steps of a computer device receiving the subject's age and the subject's neuropsychological test data, and the computer device classifying the type of mild cognitive impairment based on the neuropsychological test data. And inputting the age and the type of mild cognitive impairment into a dementia prediction model using a nomogram, and the computer device generating dementia prediction information according to an output result of the dementia prediction model.

신경심리검사를 이용한 치매 발병 예측 시스템은 피험자의 나이 및 피험자의 신경심리검사 데이터를 입력받은 입력장치, 상기 나이 및 경도인지장애의 유형을 입력받아 치매 가능성 정보를 생성하는 치매 예측 모델을 저장하는 저장 장치 및 상기 신경심리검사 데이터를 기준으로 경도인지장애 유형을 분류하고, 상기 나이 및 상기 경도인지장애의 유형을 노모그램을 이용한 상기 치매 예측 모델에 입력하여 치매 예측 정보를 생성하는 서버를 포함한다.The dementia outbreak prediction system using a neuropsychological test is an input device that receives the subject's age and the subject's neuropsychological test data, and stores the predicted model of dementia that receives the age and type of mild cognitive impairment and generates dementia likelihood information. And a server that classifies the types of mild cognitive impairment based on the device and the neuropsychological data, and inputs the age and the types of mild cognitive impairment into the dementia prediction model using a nomogram to generate dementia prediction information.

이하 설명하는 기술은 경도인지장애를 갖는 환자에 대해 수행한 신경심리학검사를 이용하여 간단하고 매우 빠르게 치매 전환 가능성을 예측한다. The technique described below predicts the possibility of simple and very rapid dementia conversion using neuropsychological tests performed on patients with mild cognitive impairment.

도 1은 aMCI 피험자에 대한 인구통계적 정보 및 임상적 정보에 대한 예이다.
도 2는 치매 전환과 관련된 임상 특성 및 신경심리학적 특성에 대한 분석의 예이다.
도 3은 도2에 도시한 Model 1에 대한 노모그램의 예이다. 즉 도 3은 APEO 유전자형을 갖지 않는 환자를 위한 노모그램의 예이다.
도 4는 도 3의 노모그램에 따라 결정되는 예측값과 치매 전환 가능성에 대한 관계를 도시한 그래프의 예이다.
도 5는 치매 전환과 관련된 임상 특성 및 신경심리학적 특성에 대한 분석의 다른 예이다.
도 6은 도5에 도시한 Model 2에 대한 노모그램의 예이다.
도 7은 도 6의 노모그램에 따라 결정되는 예측값과 치매 전환 가능성에 대한 관계를 도시한 그래프의 예이다.
도 8는 치매 예측 모델에 대한 검증을 수행한 결과이다.
도 9는 치매 발생을 예측하는 컴퓨터 장치에 대한 예이다.
도 10은 치매 발생을 예측하는 시스템에 대한 예이다.
도 11은 치매 예측 모델에 대한 블록도의 예이다.
1 is an example of demographic information and clinical information for aMCI subjects.
2 is an example of analysis of clinical and neuro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related to dementia conversion.
3 is an example of a nomogram for Model 1 shown in FIG. 2. That is, Figure 3 is an example of a nomogram for a patient without the APEO genotype.
FIG. 4 is an example of a graph showing a relationship between predicted value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nomogram of FIG. 3 and possibility of dementia conversion.
5 is another example of the analysis of clinical and neuro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associated with dementia conversion.
6 is an example of a nomogram for Model 2 shown in FIG. 5.
7 is an example of a graph showing a relationship between a predicted valu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nomogram of FIG. 6 and a possibility of dementia conversion.
8 is a result of performing verification on the dementia prediction model.
9 is an example of a computer device for predicting the occurrence of dementia.
10 is an example of a system for predicting the occurrence of dementia.
11 is an example of a block diagram for a dementia prediction model.

이하 설명하는 기술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례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례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이하 설명하는 기술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이하 설명하는 기술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chnique described below may be applied to various changes and may have various embodiments, and specific embodiments will b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technology described below to specific embodiments, and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or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technology described below.

제1, 제2, A, B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해당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으며,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이하 설명하는 기술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Terms such as first, second, A, B,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are not limited by the above terms, an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other components Used only. For example, the first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a second component, and similarly, the second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a first component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technology described below. The term and / or includes a combination of a plurality of related described items or any one of a plurality of related described items.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해석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개수,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개수,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In the terminology used herein, a singular expression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 plurality of expressions, unless clearly interpreted differently in context, and terms such as “comprises” describe features, counts, steps, operations, and components described. It is to be understood that it means that a part or a combination thereof is present, and does not ex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possibility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or numbers, step operation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도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하기에 앞서, 본 명세서에서의 구성부들에 대한 구분은 각 구성부가 담당하는 주기능 별로 구분한 것에 불과함을 명확히 하고자 한다. 즉, 이하에서 설명할 2개 이상의 구성부가 하나의 구성부로 합쳐지거나 또는 하나의 구성부가 보다 세분화된 기능별로 2개 이상으로 분화되어 구비될 수도 있다. 그리고 이하에서 설명할 구성부 각각은 자신이 담당하는 주기능 이외에도 다른 구성부가 담당하는 기능 중 일부 또는 전부의 기능을 추가적으로 수행할 수도 있으며, 구성부 각각이 담당하는 주기능 중 일부 기능이 다른 구성부에 의해 전담되어 수행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Prior to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drawings, it is intended to clarify that the division of components in this specification is only divided by the main functions of each component. That is, two or more components to be described below may be combined into one component, or one component may be divided into two or more for each subdivided function. In addition, each of the components to be described below may additionally perform some or all of the functions of other components in addition to the main functions in charge of the components, and some of the main functions of each of the components are different. Needless to say, it may also be carried out in a dedicated manner.

또, 방법 또는 동작 방법을 수행함에 있어서, 상기 방법을 이루는 각 과정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은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일어날 수 있다. 즉, 각 과정들은 명기된 순서와 동일하게 일어날 수도 있고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으며 반대의 순서대로 수행될 수도 있다.In addition, in performing the method or the operation method, each of the processes constituting the method may occur differently from the specified order, unless a specific order is explicitly described in context. That is, each process may occur in the same order as specified, may be performed substantially simultaneously, or may be performed in the reverse order.

이하 설명하는 기술은 건망증 경도인지장애(amnestic mild cognitive impairment, aMCI)를 갖는 환자(이하 " aMCI 환자"라 함)에 대한 신경심리학적 검사(이하 신경심리검사라함) 결과를 기반으로 치매의 위험성을 판단하는 기법이다. 이하 설명하는 기술은 실제 aMCI 환자에 대한 일정한 검사와 검사 결과에 따른 치매 위험도를 예측하는 모델(이하 치매 예측 모델이라 함)을 이용한다. 치매 예측 모델은 환자에 대한 심리학적 테스트 결과와 치매의 위험도의 관계를 이용하여 구축된다.The techniques described hereinafter describe the risk of dementia based on the results of neuropsychological tests (hereinafter referred to as neuropsychological tests) for patients with amnestic mild cognitive impairment (hereinafter referred to as "aMCI patients"). It is a judgment technique. The technique described below uses a model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dementia prediction model) that predicts a dementia risk according to a certain test and test results for an actual aMCI patient. The dementia prediction model is built using the relationship between psychological test results for patients and the risk of dementia.

이하 연구자가 치매 예측 모델을 수립했던 실험 조건 및 과정을 먼저 설명한다. 먼저 치매 예측 모델 수립을 위해 사용했던 모집단, 평가 방법 등 분석을 위한 환경 내지 조건을 설명한다.Hereinafter, experimental conditions and processes in which the researcher has established a dementia prediction model will be described first. First, the environment or conditions for analysis, such as the population and evaluation methods used to establish a dementia prediction model, will be described.

피험자(subject)Subject

aMCI 환자는 다음과 같은 피터슨(Peterseon) 기준을 만족하는 환자이다. aMCI 환자가 갖는 공통된 조건은 (i) 환자 본인 또는 주변인(간병인)에 의한 주관적 기억 불만 발생, (ii) 한국인 버전 MMSE(Mini-Mental State Examination)의 표준 편차가 -1.0 이상(이는 정상적 일반 인지가 가능함을 의미), (iii) ADL(activities of daily living) 정상 (이는 일상 생활이 가능함 의미), (iv) 언어적(verbal) 또는 시각적(visual) 기억 검사 결과의 표준 편차가 -1.0 미만(객관적 기억 기능 장애에 대한 평가임), (v) 치매 증상은 없음이다.The aMCI patient is a patient who meets the following Peterseon criteria. Common conditions that aMCI patients have include (i) subjective memory complaints by the patient or by a peripheral person (caregiver), and (ii) a standard deviation of Korean version MMSE (Mini-Mental State Examination) of -1.0 or higher (which is normal general recognition) Possible), (iii) normal activities of daily living (ADL) (which means possible daily living), (iv) standard deviation of verbal or visual memory test results is less than -1.0 (objective) Evaluation of memory dysfunction), (v) no symptoms of dementia.

모든 피험자는 종래 관련 연구(예컨대, Kim M-J, Im K, Lee J-M, Park A, Chin J, Kim GH, et al. Cortical thinning in verbal, visual, and both memory-predominant mild cognitive impairment. Alzheimer Disease & Associated Disorders 2011a; 25: 242-9. 참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반 구조화된 설문지, 신경학적 검사 및 포괄적인 신경심리학적 배터리(neuropsychological battery)를 이용하여 구체적인 임상적 인터뷰를 받았다. ADL은 종래 연구에서 설명한 S-I ADL(Seoul Instrumental ADL)로 평가하였다(Ku HM KJ, Kwon EJ, Kim SH, Lee HS, Ko H. A study on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Seoul-Instrumental Activities of Daily Living (S-IADL). J Korean Neuropsychiatr Assoc 2004; 43: 189-99. 참조).All subjects had prior related studies (e.g., Kim MJ, Im K, Lee JM, Park A, Chin J, Kim GH, et al. Cortical thinning in verbal, visual, and both memory-predominant mild cognitive impairment. Alzheimer Disease & Associated Disorders 2011a; 25: 242-9.) Were subjected to specific clinical interviews using semi-structured questionnaires, neurological examinations and a comprehensive neuropsychological battery. ADL was evaluated by SI Seoul Instrumental ADL (SI ADL) described in the previous study (Ku HM KJ, Kwon EJ, Kim SH, Lee HS, Ko H. A study on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Seoul-Instrumental Activities of Daily Living (S -IADL) .J Korean Neuropsychiatr Assoc 2004; 43: 189-99.).

한편 다음과 같은 환자는 피험자에서 배제되었다. 비타민 B12/엽산 측정, 매독 혈청 검사(syphilis serology), 갑상선 기능 검사, MRI와 같은 뇌의 구조적 병변 검사 등 과 같은 검사로 확인된 2차 인지 장애 환자는 피험자에서 배제되었다. 또한 DLB(Lewy bodies), FTLD(frontotemporal lobar degeneration), 진행성 핵상 마비(progressive supranuclear palsy)와 같은 치매 증상이 있는 환자는 피험자에 배제되었다.Meanwhile, the following patients were excluded from the subjects. Patients with secondary cognitive impairment identified by tests such as vitamin B12 / folic acid measurements, syphilis serology, thyroid function tests, and structural structural lesions of the brain such as MRI were excluded from the subjects. In addition, patients with dementia symptoms such as Lewy bodies (DLB), frontotemporal lobar degeneration (FTLD), and progressive supranuclear palsy were excluded from the subjects.

신경심리검사 방법Neuropsychological test method

모든 피험자는 SNSB(Seoul Neuropsychological Screening Battery)라는 표준화된 신경심리검사를 받았다. SNSB는 주의력, 언어, 거스터만 증후군(Gerstmann syndrome), 프랙시스(praxis), 시공간 기능, 언어 및 시각 기억, 전두엽 관리 기능(frontal executive function)에 대한 검사를 포함한다. All subjects were subjected to a standardized neuropsychological test called Soul Neuropsychological Screening Battery (SNSB). SNSB includes tests for attention, language, Gersmann syndrome, praxis, spatiotemporal function, language and visual memory, and frontal executive functions.

이 중 검사 결과가 점수로 나타내는 검사는 다음과 같다. 숫자 외우기 검사(digit span forward/backward), 언어기능을 평가하기 위한 한국판 보스톤 이름대기 검사(Korean-Boston Naming Test, K-BNT), 시공간 구성능력과 기억력을 측정하기 위한 레이-오스터리에스 복합도형 검사(Rey-Osterrieth Complex Figure Test, RCFT), 서울 언어 학습 검사(Seoul Verbal Learning Test, SVLT), 이마엽의 집행기능을 평가하기 위하여 통제 단어 연상 검사(Controlled Oral Word Association Test, COWAT), 색상 및 단어 읽기 평가를 위한 스트룹 검사(Stroop test) 및 MMSE 이다.Of these, the tests indicated by the test results are as follows. Digit span forward / backward, Korean-Boston Naming Test (K-BNT) for evaluating language function, ray-austeris complex figure to measure spatiotemporal composition and memory Re-Osterrieth Complex Figure Test (RCFT), Seoul Verbal Learning Test (SVLT), Controlled Oral Word Association Test (COWAT), Color and Stroop test and MMSE for word reading evaluation.

검사 결과는 피험자의 연령 및 교육 수준을 고려하여 조정된다. 조정된 검사 결과의 표준 편차가 -1.0 미만이면 비정상으로 판단하였다. RCFT에서 지연된 기억력 항목의 점수는 시각 기억 장애를 판단하는 척도로 사용되었다. SVLT에서 지연된 기억력 항목의 점수는 언어 기억 장래를 판단하는 척도로 사용되었다. K-BNT의 점수는 언어 기능을 평가하는 척도로 사용되었다. RCFT의 점수는 시공간 인지 기능을 평가하는 척도로 사용되었다. 전두엽 관리 기능은 운동 실행 기능 검사(contrasting program, Go/no-go, fist-edge-palm, alternating hand movement, alternative square and triangle 및 Luria loop), COWAT 및 스트룹 검사라는 3개의 검사를 이용하여 평가된다. 전술한 3개의 검사 중 적어도 2개의 검사에서 장애 판정이 나오면 전두엽 관리 기능은 장애라고 판단하였다.The test results are adjusted to take into account the age and educational level of the subject. If the standard deviation of the adjusted test results was less than -1.0, it was judged as abnormal. In the RCFT, scores of delayed memory items were used as a measure of visual memory impairment. In the SVLT, the scores of delayed memory items were used as a measure of language memory future. The score of K-BNT was used as a measure of language function. The score of RCFT was used as a measure to evaluate spatiotemporal cognitive function. The frontal lobe management function is evaluated using three tests: exercise performance test (contrasting program, Go / no-go, fist-edge-palm, alternating hand movement, alternative square and triangle and Luria loop), COWAT and stroop test. do. If at least two of the three tests described above indicate a disorder, the frontal lobe management function is determined to be a disorder.

aMCI 피험자의 분류Classification of aMCI subjects

전술한 검사 결과를 토대로 aMCI 피험자를 몇 가지 형태로 분류하였다. (i) 첫째, 기억 장애의 정도에 따라 aMCI 피험자를 분류하였다. 지연 기억력 검사에서 점수의 표준 편차가 -1.0 ~ -1.5 사이인 피험자를 초기 단계 aMCI(Early stage aMCI, E-aMCI) 환자로 분류하였다. 언어 또는 시각 기억력 검사에서 점수의 표준 편차가 -1.5 미만인 피험자를 후기 단계 aMCI(Late-stage aMCI, L-aMCI) 환자로 분류하였다. (ii) 둘째, 기억력 장애의 양상을 기준으로 피험자를 3개의 그룹으로 분류하였다. 시각 기억력 장애만을 갖는 피험자를 시각 aMCI 환자로 분류하였다. 언어 기억력 장애만을 갖는 피험자를 언어 aMCI 환자로 분류하였다. 또한 시각 기억력 장애와 언어 기억력 장애를 동시에 갖는 피험자를 시각 및 언어 aMCI 환자로 분류하였다. (iii) 셋째, 관련된 인지 장애 영역의 다중도에 따라 피험자를 분류하였다. 기억 장애만을 갖는 피험자를 단일 영역 aMCI 환자로 분류하였다. 기억 장애와 함께 다른 인지 장애(언어 장애, 시공간 인지 장애 등)를 갖는 경우 다중 영역 aMCI 환자로 분류하였다. Based on the above test results, aMCI subjects were classified into several types. (i) First, aMCI subjects were classified according to the degree of memory impairment. In the delayed memory test, subjects with a standard deviation of scores between -1.0 and -1.5 were classified as early stage aMCI (E-aMCI) patients. Subjects with a standard deviation of scores below -1.5 in the language or visual memory test were classified as late-stage aMCI (L-aMCI) patients. (ii) Second, subjects were classified into three groups based on the pattern of memory impairment. Subjects with only visual memory impairment were classified as visual aMCI patients. Subjects with only speech memory impairment were classified as language aMCI patients. In addition, subjects with visual and speech memory impairment were classified as visual and verbal aMCI patients. (iii) Third, subjects were classified according to the multiplicity of related cognitive impairment areas. Subjects with memory impairment only were classified as single area aMCI patients. In case of having other cognitive disorders (such as language disorders and spatio-temporal cognitive disorders) along with memory disorders, they were classified as multi-domain aMCI patients.

치매 진단Dementia diagnosis

치매 진단은 DSM(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IV, 신경심리검사로 확인되는 인지 장애 증거 및 ADL 장애로 확인되는 사회적 및/또는 직업적 장애를 기준으로 결정하였다. AD(Alzheimer' s Disease) 가능성 진단은 NINCDS(National Institute of Neurological and Communicative Disorders and Stroke) 및 ADRDA(Alzheimer's Disease and Related Disorders Association)에서 제공하는 기준으로 사용하여 진단하였다. 나아가 전문 인력이 피험자의 인터뷰 결과 및 각 aMCI 환자의 신경심리검사 결과를 검토하였고, 치매 진단을 확인하였다. 치매 진단 결과는 치매 예측 모델을 구축하는데 사용된다. 또한 치매 진단 결과는 치매 예측 모델을 검증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치매 진단은 신경심리검사를 받은 피험자를 일정 기간 추적 관찰하면서 수행한다.Diagnosis of dementia was determined based on the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 (DSM) -IV, evidence of cognitive impairment confirmed by neuropsychological examination, and social and / or occupational disability identified by ADL disorder. Diagnosis of Alzheimer's Disease (AD) potential was performed using criteria provided by the National Institute of Neurological and Communicative Disorders and Stroke (NINCDS) and Alzheimer's Disease and Related Disorders Association (ADRDA). Furthermore, the expert personnel reviewed the interview results of the subjects and the neuropsychological test results of each aMCI patient, and confirmed the diagnosis of dementia. Dementia diagnosis results are used to build a dementia prediction model. In addition, the diagnosis results of dementia can be used to verify the dementia prediction model. Diagnosis of dementia is performed by subjecting the subject to neuropsychological examination for a period of time.

이하 신경심리검사 결과에 따라 치매 예측 모델을 구축하는 예를 설명한다. 치매 예측 모델은 피험자에 대한 정보 및 피험자에 대한 검사 결과를 변수로 갖는 논리적 회귀분석을 이용한다. 따라서 먼저 검사 결과 등을 이용하여 회귀분석모델을 생성해야 한다. 이후 회귀분석 모델에 사용되는 변수를 이용하여 새로운 모델을 도출한다. 간략하게 설명하면 회귀분석 모델에 사용되는 변수에서 유효한 변수를 결정한다. 유효한 변수는 회귀분석식에 있는 모든 변수일 수도 있다. 치매 예측 모델은 회귀분석 모델의 유효한 변수에 각각 일정한 값을 할당한다. 여기서 할당되는 값은 위험도 산정을 위해 각 변수를 일정한 점수로 환산하기 위한 것이다. 각 변수를 일정한 점수로 환산하기 위하여 노모그램을 사용할 수 있다. 결국 각 유효한 변수의 값에 따라 각 변수는 특정한 점수를 갖게 된다. 최종적인 위험도는 모든 변수의 점수를 합산한 값으로 결정할 수 있다. Hereinafter, an example of constructing a dementia prediction model according to the results of a neuropsychological test will be described. The dementia prediction model uses a logical regression analysis having information about the subject and test results of the subject as variables. Therefore, first, a regression analysis model must be generated using test results. Then, a new model is derived using the variables used in the regression model. Briefly, the valid variables are determined from the variables used in the regression model. Valid variables may be any variable in the regression equation. The dementia prediction model assigns a certain value to each valid variable of the regression model. The value assigned here is to convert each variable to a certain score for risk estimation. A nomogram can be used to convert each variable to a certain score. Eventually, depending on the value of each valid variable, each variable has a specific score. The final risk can be determined by summing the scores of all variables.

치매 예측 모델은 일정한 기간 내에 치매로 발전할 가능성에 대한 결과를 제공한다. 실제 실험에서는 3년 내에 치매로 발전할 위험도에 대한 평가를 제공하였다. 치매 예측 모델은 기본적으로 전술한 신경심리검사 결과에 따른 aMCI 분류를 변수로 사용한다. 나아가 다른 변수를 고려할 수 있다. 예컨대, 치매 예측 모델은 피험자의 성별, 나이, 교육 수준, BMI(body mass index), APOE(Apolipoprotein E) 유전자 유무 등을 추가로 사용할 수 있다. 이하 사용된 통계 분석 및 위험도 모델 수립 과정을 설명한다.The dementia prediction model provides results for the likelihood of developing dementia within a period of time. The actual experiment provided an assessment of the risk of developing dementia within 3 years. The dementia prediction model basically uses aMCI classification according to the above-mentioned neuropsychological test as a variable. Furthermore, other variables can be considered. For example, the dementia prediction model may additionally use the subject's gender, age, education level, body mass index (BMI), presence or absence of Apolipoprotein E (APOE) gene. Hereinafter, the statistical analysis used and the risk model establishment process will be described.

통계 분석Statistical analysis

사용한 통계 분석 및 분석 환경에 대해 간략하게 설명한다. 치매 변환기와 비변환기는 인구학적 특징 및 임상적 특징에서 통계적 차이를 갖는다. 치매 변환기와 비변환기의 통계적 차이는 독립 t 검정 및 χ2 검정을 사용하여 분석할 수 있다. 널리 알려진 바와 같이 독립 t 검정은 두개의 독립 표본의 평균 차이를 검정하는 방법이고, χ2 검정은 2개의 표본 간의 상호 관련성(또는 독립성)을 파악하는 방법이다.The statistical analysis and analysis environment used are briefly described. Dementia and non-dementia have statistical differences in demographic and clinical characteristics. Statistical differences between dementia and non-dementia transducers can be analyzed using independent t and χ 2 tests. As is well known, the independent t test is a method for testing the mean difference between two independent samples, and the χ 2 test is a method for determining the correlation (or independence) between two samples.

선형성 가정을 만족하지 않는 연속된 변수들은 2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그룹화하여 분류하였다. 잠재적 예측 변수와 결과의 연관성은 단일 변수를 갖는 논리적 회귀 분석 모델 및 다중 변수를 갖는 논리적 회귀 분석 모델을 사용하여 검증하였다. Consecutive variables that did not satisfy the linearity assumption were grouped into two or more categories. The relationship between potential predictors and results was verified using a logical regression model with a single variable and a logical regression model with multiple variables.

변수 선택을 위해 단계적 기법(stepwise method)을 사용하였다. 변수는 0.25 레벨의 유의도(significance)를 가져야 모델에 입력된다. 변수는 모델에서 0.15 레벨의 유의도를 유지해야 모델에 남아 있는다. 다중 공선성(multicollinearity)은 VIF(variance inflation factor)를 사용하여 확인하였다. 다중 비교는 본페로니(Bonferroni) 기법을 통해 수정되었다.The stepwise method was used for variable selection. Variables must have a significance level of 0.25 to enter the model. The variable remains in the model only when it maintains a significance level of 0.15 in the model. Multicollinearity was confirmed using a VIF (variance inflation factor). Multiple comparisons were revised using the Bonferroni technique.

통계 분석은 STATA 버전 13.0, SAS 버전 9.4 (SAS Institute, Cary, NC) 및 R 3.3.2 (Austria, Vienna, http://www.R-project.org/)를 사용하였다. RMS 3.2.2 (http://www.r-project.org)에 의한 다중 변수 분석의 결과를 이용하여 노모그램(nomogram)을 도출하였다.Statistical analysis used STATA version 13.0, SAS version 9.4 (SAS Institute, Cary, NC) and R 3.3.2 (Austria, Vienna, http://www.R-project.org/). Nomograms were derived using the results of multivariate analysis by RMS 3.2.2 (http://www.r-project.org).

이제 전술한 피험자에 대한 신경심리검사 결과를 기반으로 위험도를 분석하는 과정에 대해 설명한다. Now, the process of analyzing the risk based on the results of the neuropsychological test for the above-described subject will be described.

검사 결과test results

338명의 aMCI 환자를 대상으로 테스트를 수행하였다. 도 1은 aMCI 피험자에 대한 인구통계적 정보 및 임상적 정보에 대한 예이다. 도 1에서 p값(p value)은 통계분석에서 사용되는 일반적인 유의 확률(significance probability)을 의미한다. The test was performed on 338 aMCI patients. 1 is an example of demographic information and clinical information for aMCI subjects. In FIG. 1, a p value refers to a general significance probability used in statistical analysis.

도 1은 피험자의 나이(Age), 교육 수준 내지 기간(Education), 여성의 비율(Female)과 같은 인구통계적 정보를 나타낸다. 338명 중 222명이 여성(65.7%)이었다. aMCI 피험자의 평균 연령은 71.6세(43세 ~ 88세 범위, 표준편차 7.3)이었다. 1 shows demographic information such as the subject's age, education level or duration, and female ratio. 222 out of 338 were women (65.7%). The mean age of aMCI subjects was 71.6 years (range 43 to 88 years, standard deviation 7.3).

한편 도 1은 피험자의 신경심리검사 결과에 따른 aMCI 분류(aMCI type)에 대한 임상 정보를 나타낸다. 전술한 바와 같이 aMCI 분류는 3가지 그룹으로 구분된다. aMCI 분류는 각각 (i) 초기 단계 aMCI(Early stage) 또는 후기 단계 aMCI(Late-stage)로 분류되고, (ii) 시각 aMCI(Visual), 언어 aMCI(Verbal) 또는 시각 및 언어 aMCI(Both)로 분류되고, (iii) 단일 영역 aMCI(Single) 또는 다중 영역 aMCI(Multiple) 환자로 분류된다. 도 1은 피험자에 대한 분류 결과를 도시한다. 또한 도 1은 피험자가 APOE 유전자형을 갖고 있는 지에 대한 정보를 나타낸다. Meanwhile, FIG. 1 shows clinical information on aMCI classification according to a subject's neuropsychological test result. As described above, the aMCI classification is divided into three groups. The aMCI classification is classified as (i) early stage early stage (aMCI) or late stage (aMCI), and (ii) visual aMCI (Visual), language aMCI (Verbal) or visual and language aMCI (Both). Classified, and (iii) single-region aMCI (Single) or multi-region aMCI (Multiple) patients. 1 shows classification results for a subject. In addition, Figure 1 shows information about whether the subject has the APOE genotype.

피험자를 일정한 기간 추적하여 치매가 발병하는지 모니터링하고, 치매가 발명하면 변환기 상태라고 정의한다. 실험에서 평균 추적 기간은 2.92년이었다. 추적은 신경심리검사를 받은 피험자에 대한 지속적인 치매 진단을 의미한다. 전체 피험자 중 208명(61.5%)가 3년 기간 내에 변환기로 진단받았다. 변환기는 비치매 단계에서 치매 단계로의 변환을 의미한다. 치매 단계로 변환하지 않은 상태를 비변환기라고 명명한다. 비변환기인 피험자는 추적 기간 중에 계속 안정적(87명)이거나, 정상으로 복귀(27명)하거나, 비 aMCI(16명)로 전환되었다. 비 aMCI는 전술한 aMCI의 조건을 벗어난 피험자를 의미한다. The subject is tracked for a period of time to monitor whether dementia develops, and if dementia is invented, it is defined as a transducer state. The mean follow-up period in the experiment was 2.92 years. Follow-up refers to the ongoing diagnosis of dementia in subjects who have undergone neuropsychological examination. Of the total subjects, 208 (61.5%) were diagnosed with a transducer within a 3-year period. The converter refers to the conversion from the non-dementia stage to the dementia stage. A state that has not been converted to the dementia stage is called a non-converter. Non-converted subjects remained stable (87), returned to normal (27), or converted to non-aMCI (16) during the follow-up period. Non-aMCI refers to subjects outside the conditions of aMCI described above.

전술한 바와 같이 치매 예측 모델은 수립을 위한 변수는 신경심리검사 결과에 따른 aMCI 분류, 나이, 성별, 교육 수준, BMI(body mass index), APOE(Apolipoprotein E) 유전자 유무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도 1의 추적 검사 결과에 따르면 치매 발병과 관련도가 높은 변수는 나이, 신경심리검사에 따른 aMCI의 환자의 분류 결과 및 APOE4의 존재 여부이다. 특히 L-aMCI 환자, 시각 및 언어 aMCI 환자 및 다중 영역 aMCI 환자는 각각 E-aMCI 환자, 시각 또는 언어 aMCI 환자 및 단일 영역 aMCI 환자에 비하여 치매 전환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교육 수준이나 BMI는 치매 발병에 큰 영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As described above, the variables for establishing the dementia prediction model may use aMCI classification, age, gender, education level, body mass index (BMI), presence or absence of Apolipoprotein E (APOE) gene according to neuropsychological test result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follow-up test in FIG. 1, variables related to the development of dementia are age, neuropathy, and classification of aMCI patients and the presence of APOE4. In particular, L-aMCI patients, visual and verbal aMCI patients, and multi-domain aMCI patients were more likely to have dementia conversion compared to E-aMCI patients, visual or verbal aMCI patients and single-region aMCI patients, respectively. Meanwhile, the level of education and BMI did not appear to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the development of dementia.

노모그램 및 위험 점수 도출Derivation of nomogram and risk score

노모그램은 다중 변수를 갖는 논리적 회귀분석 모델을 사용하여 마련하였다. 노모그램은 회귀분석 모델의 베타 계수(beta coefficient)를 사용하여 각 변수에 일정한 값을 할당하는 방식으로 구축되었다. 노모그램을 통해 산출하는 값이 위험 점수이다. 노모그램은 회귀분석에 사용되는 각 변수에 일정한 값을 할당한다. 이때 각 변수는 위험도 평가에 미치는 중요도에 따라 서로 다른 값이 노모그램을 통해 결정된다. 위험 점수는 노모 그램을 이용하여 각 변수의 값에 따라 결정된 전체 값을 합산한 값이다. 최종 위험 점수에 따라 치매의 위험도를 평가할 수 있다. The nomogram was prepared using a logical regression model with multiple variables. The nomogram was constructed by assigning a constant value to each variable using the beta coefficient of the regression model. The value calculated through the nomogram is the risk score. The nomogram assigns a constant value to each variable used in regression analysis. At this time, different values are determined through the nomogram depending on the importance of the risk assessment. The risk score is the sum of the total value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values of each variable using the nomogram. The risk of dementia can be evaluated according to the final risk score.

이하 노모 그램 도출 과정에 대해 설명한다. 노모 그램 도출 과정에 사용한 피험자의 데이터는 아래의 표 1과 같다. APOE 유전자형을 기준으로 분류한 것이다. 모델 1(Model 1)은 APOE 유전자형을 갖지 않는 피험자에 대한 데이터이고, 모델 2(Model 2)는 APOE 유전자형을 갖는 피험자에 대한 데이터이다. 표 1에서 AD conversion은 치매 변환을 의미한다.Hereinafter, a process for deriving a nomogram will be described. The data of the subjects used in the nomogram derivation process are shown in Table 1 below. It is classified based on the APOE genotype. Model 1 is data for subjects without the APOE genotype, and model 2 is data for subjects with the APOE genotype. In Table 1, AD conversion refers to dementia conversion.

Model 1(without APOE)
N = 222
Model 1 (without APOE)
N = 222
Model 2(without APOE)
N= 167
Model 2 (without APOE)
N = 167
AgeAge 71.41±7.371.41 ± 7.3 71.54±7.371.54 ± 7.3 Sex(female)Sex (female) 141(63.5%)141 (63.5%) 109(65.2%)109 (65.2%) Education(years)Education (years) 9.79±5.39.79 ± 5.3 10.36±5.310.36 ± 5.3 BMIBMI 23.79±3.423.79 ± 3.4 23.7±3.223.7 ± 3.2 AD conversionAD conversion 130(58.5%)130 (58.5%) 99(59.3%99 (59.3%

위험도 예측 모델의 보정Correction of risk prediction model

위험도 예측 모델에 대한 검증을 위해 실제 관측 확률과 노모그램을 이용한 위험도 예측 확률을 비교할 수 있다. 위험도 예측 모델의 정확도 향상을 위하여 위험도 예측 모델에서 출력되는 결과값이 실세 관측 결과와 일치 내지 유사하도록 일정한 보정값을 부여할 수 있다.In order to verify the risk prediction model, the probability of predicting the risk using the actual observation probability and the nomogram can be compared. In order to improve the accuracy of the risk prediction model, a constant correction value may be assigned such that the result value output from the risk prediction model matches or is similar to the actual observation result.

모델 구축을 위한 훈련 데이터 및 검증 데이터Training data and verification data for model building

모델을 구축하기 위하여 데이터를 2개로 구분하였다. 여기서 데이터는 피험자를 대상으로 한 검사 결과를 의미한다. 하나의 데이터는 훈련을 위한 것(훈련 데이터)이고, 나머지 하나의 데이터는 검증을 위한 것(검증 데이터)이다. 피험자 전체 데이터 중 일부를 훈련 데이터로 사용하고, 나머지 일부를 검증 데이터로 사용하였다. 또한 APOE 유전자형을 갖는 환자와 해당 유전자형을 갖지 않는 환자를 구분하여 각각에 대한 예측 모델을 구축하였다(실험에서는 74%의 피험자가 APOE 유전자형을 가짐). APOE 유전자형을 위한 모델은 222개의 훈련 데이터 및 116개의 검증 데이터를 사용하여 구축하였다. APOE 유전자형을 갖지 않는 모델은 174개의 훈련 데이터 및 75개의 검증 데이터를 사용하여 구축하였다.In order to build a model, the data were divided into two. Here, the data refers to test results for the subject. One data is for training (training data), and the other data is for verification (verification data). A part of the entire subject data was used as training data, and the other part was used as verification data. In addition, a predictive model was constructed for each of the patients with the APOE genotype and those without the corresponding genotype (74% of the subjects had the APOE genotype in the experiment). The model for the APOE genotype was built using 222 training data and 116 validation data. Models without the APOE genotype were constructed using 174 training data and 75 validation data.

도 2는 치매 전환과 관련된 임상 특성 및 신경심리학적 특성에 대한 분석의 예이다. 도 2는 모델 1(Model 1)인 APOE 유전자형을 갖지 않는 피험자에 대한 분석의 예이다. 도 2의 좌측은 단변수 분석(Univariable analysis)의 예이고, 우측은 다변수 분석(Multivariable analysis)의 예이다.2 is an example of analysis of clinical and neuro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related to dementia conversion. FIG. 2 is an example of analysis for a subject who does not have the APOE genotype, Model 1. The left side of FIG. 2 is an example of univariable analysis, and the right side is an example of multivariable analysis.

도 2의 표에서 요소(Factors)는 치매 전환과 관련된 변수를 의미한다. OR는 교차비(odds ratio)이고, 교차비는 95% 신뢰구간(CI)을 갖는다. p값(p value)은 통계분석에서 사용되는 일반적인 유의 확률(significance probability)을 의미한다. 점수(point)는 각 요소에 대해 점수로 환산한 특정 값을 의미한다. Factors in the table of FIG. 2 refer to variables related to dementia conversion. OR is the odds ratio, and the cross ratio has a 95% confidence interval (CI). The p value means a general significance probability used in statistical analysis. A point means a specific value converted into a score for each element.

나이(age)는 모두 4개의 그룹(49세~66.2세, 66.2세~72.5세, 72.5세~76.8세 및 76.8세~88세)으로 구분하였다. 4개의 그룹 중 49세~66.2세 그룹을 기준값(Reference, Ref)으로 사용하여 나머지 그룹에 대한 점수를 환산하였다. P 값이 나이가 늘어날 수록 떨어진다. 따라서 나이는 치매 변환에 영향을 주고, 나이가 증가할 수록 치매 변환 가능성이 커진다고 할 수 있다.The age was divided into 4 groups (49 to 66.2 years, 66.2 to 72.5 years, 72.5 to 76.8 years, and 76.8 to 88 years). Of the 4 groups, the 49-66.2-year-old group was used as a reference value (Reference, Ref) to convert the scores for the remaining groups. P value decreases with age. Therefore, it can be said that age affects dementia conversion, and the probability of dementia conversion increases as the age increases.

VVB는 신경심리검사에서 장애 양상을 기준으로 환자를 분류한 결과를 의미한다. VVB는 시각 aMCI 환자(Visual), 언어 aMCI 환자(Verbal)와 시간 및 언어 aMCI 환자(Both)를 항목으로 갖는다. 시각 aMCI 환자를 기준값으로 사용하여 나머지 그룹에 대한 점수를 환산하였다. 장애 양상도 치매 변환에 영향을 주는 요소로 해석된다. 나아가 언어 aMCI 환자(Verbal)와 시간 및 언어 aMCI 환자(Both)가 하나의 장애 양상을 갖는 환자보다 더 치매 변환의 가능성이 높다고 해석된다.VVB refers to the result of classifying patients based on the pattern of disability in neuropsychological examination. VVB has visual aMCI patients (Visual), language aMCI patients (Verbal) and time and language aMCI patients (Both). Visual aMCI patients were used as reference values to convert the scores for the remaining groups. Disability patterns are also interpreted as factors affecting dementia transformation. Furthermore, it is interpreted that patients with verbal aMCI (Verbal) and patients with time and language aMCI (Both) are more likely to have dementia transformation than patients with one disorder.

EL은 신경심리검사에서 기억 장애의 정도에 따라 환자를 분류한 결과를 의미한다. EL은 초기 단계 aMCI 환자(Early) 및 후기 단계 aMCI 환자(Late)를 항목으로 갖는다. 초기 단계 aMCI 환자를 기준값으로 사용하여 나머지 그룹에 대한 점수를 환산하였다. 기억 장애 정도도 치매 변환에 영향을 주는 요소로 해석된다. 나아가 후기 단계 aMCI 환자(Late)가 초기 단계 aMCI 환자(Early)보다 더 치매 변환의 가능성이 높다고 해석된다.EL refers to the result of classifying patients according to the degree of memory impairment in neuropsychological examination. EL has early stage aMCI patients (Early) and late stage aMCI patients (Late). The scores for the remaining groups were converted using the initial stage aMCI patient as a reference value. The degree of memory impairment is also interpreted as a factor influencing dementia conversion. Furthermore, it is interpreted that late stage aMCI patients (Late) are more likely to have dementia transformation than early stage aMCI patients (Early).

SM은 인지 장애 영역의 다중도에 따라 환자를 분류한 결과를 의미한다. SM은 단일 영역 aMCI 환자(Single) 및 다중 영역 aMCI 환자(Multiple)를 항목으로 갖는다. SM은 단일 영역 aMCI 환자를 기준값으로 사용하여 나머지 그룹에 대한 점수를 환산하였다. 인지 장애 영역의 다중도도 치매 변환에 영향을 주는 요소로 해석된다. 나아가 다중 영역 aMCI 환자(Multiple)가 단일 영역 aMCI 환자(Single)보다 더 치매 변환의 가능성이 높다고 해석된다.SM means the result of classifying patients according to the multiplicity of the cognitive impairment area. SM has single domain aMCI patients (Single) and multi domain aMCI patients (Multiple). SM calculated the scores for the remaining groups using a single-region aMCI patient as a reference value. The multiplicity of the cognitive impairment area is also interpreted as a factor influencing dementia transformation. Furthermore, it is interpreted that a multi-domain aMCI patient (Multiple) has a higher probability of dementia transformation than a single-domain aMCI patient (Single).

한편 다변수 분석 결과도 단변수 분석 결과와 대동소이한 결과를 보인다.On the other hand, the results of multivariate analysis also show roughly the same results as those of single variable analysis.

도 3은 도2에 도시한 Model 1에 대한 노모그램의 예이다. 즉 도 3은 APEO 유전자형을 갖지 않는 환자를 위한 노모그램의 예이다. 도 3의 하단에는 각 노모그램에 사용되는 각 항목 및 항목의 값에 따른 점수에 대한 예를 도시한다. 도 3에서 Age는 피험자의 나이에 따라 점수를 환산하기 위한 항목이다. VVB1은 시각 aMCI(Visual) 또는 언어 aMCI(Verbal)로만 분류된 경우에 대한 점수를 환산하기 위한 항목이다. 시각 또는 언어 aMCI만을 갖는 경우(VVB1에서 1의 값) 14점의 점수를 할당한다. VVB2는 시각 및 언어 aMCI(Both)로 분류된 경우에 대한 점수를 환산하기 위한 항목이다. 시각 및 언어 aMCI를 갖는 경우(VVB2에서 1의 값) 35점의 점수를 할당한다. EL은 초기 단계 aMCI(Early) 및 후기 단계 aMCI(Late)에 대한 점수를 환산하기 위한 항목이다. 후기 단계 aMCI(EL에서 2의 값)는 18점의 점수를 할당한다. SM은 단일 영역 aMCI(Single) 및 다중 영역 aMCI(Multiple)에 대한 점수를 환산하기 위한 항목이다. 다중 영역 aMCI(SM에서 2의 값)는 31점의 점수를 할당한다. 전체 점수는 Age, VVB1, VVB2, EL 및 SM의 각 항목의 점수를 합산한 값이다. 선형 예측값은 치매 전환 가능성에 대한 예측값이다. 전체 점수를 선형 예측값에 대응하여 최종적인 예측값을 도출한다. 3 is an example of a nomogram for Model 1 shown in FIG. 2. That is, Figure 3 is an example of a nomogram for a patient without the APEO genotype. The bottom of FIG. 3 shows an example of each item used in each nomogram and a score according to the value of the item. In FIG. 3, Age is an item for converting scores according to the age of the subject. VVB1 is an item for converting scores for cases classified only as visual aMCI (Visual) or language aMCI (Verbal). If only the visual or language aMCI is present (value of 1 in VVB1), a score of 14 is assigned. VVB2 is an item for converting scores for cases classified as visual and language aMCI (Both). In case of having visual and language aMCI (value of 1 in VVB2), a score of 35 is assigned. EL is an item for converting scores for early stage aMCI (Early) and late stage aMCI (Late). The late stage aMCI (value of 2 in EL) assigns a score of 18 points. SM is an item for converting scores for single-region aMCI (Single) and multi-region aMCI (Multiple). The multi-domain aMCI (value of 2 in SM) assigns a score of 31 points. The total score is the sum of the scores of each item of Age, VVB1, VVB2, EL and SM. The linear predicted value is a predicted value for the possibility of dementia conversion. The final prediction value is derived from the overall score corresponding to the linear prediction value.

도 4는 도 3의 노모그램에 따라 결정되는 예측값과 치매 전환 가능성에 대한 관계를 도시한 그래프의 예이다. 도 4는 선형 예측값에 따라 실제 aMCI 환자가 치매로 전환될 가능성을 나타낸다. 한편 정성적으로 특정한 가능성의 경우 치매 전환의 가능성이 높다와 같이 판단할 수 있다. 예컨대, 치매 전환 가능성 ≤ 0.2 이면 가능성 낮음, 치매 전환 가능성이이 0.2 < 치매 전환 가능성 ≤ 0.4 이면 가능성 보통, 치매 전환 가능성 > 0.4 이면 가능성 높음과 같이 판단할 수 있다.FIG. 4 is an example of a graph showing a relationship between predicted value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nomogram of FIG. 3 and possibility of dementia conversion. 4 shows the likelihood of actual aMCI patients converting to dementia according to the linear predicted values. On the other hand, qualitatively specific possibilities can be judged as having a high possibility of dementia conversion. For example, if the possibility of dementia conversion ≤ 0.2 is low, the probability of dementia conversion is 0.2, the probability of dementia conversion is 0.4, the probability is normal, and if the possibility of dementia conversion> 0.4, it can be determined as high probability.

도 5는 치매 전환과 관련된 임상 특성 및 신경심리학적 특성에 대한 분석의 다른 예이다. 도 5는 모델 2(Model 2)인 APOE 유전자형을 갖는 피험자에 대한 분석의 예이다. 도 5의 좌측은 단변수 분석(Univariable analysis)의 예이고, 우측은 다변수 분석(Multivariable analysis)의 예이다.5 is another example of the analysis of clinical and neuro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associated with dementia conversion. FIG. 5 is an example of analysis for a subject with the APOE genotype, Model 2. The left side of FIG. 5 is an example of univariable analysis, and the right side is an example of multivariable analysis.

도 5의 표에서 요소(Factors)는 치매 전환과 관련된 변수를 의미한다. OR는 교차비(odds ratio)이고, 교차비는 95% 신뢰구간(CI)을 갖는다. p값(p value)은 통계분석에서 사용되는 일반적인 유의 확률(significance probability)을 의미한다. 점수(point)는 각 요소에 대해 점수로 환산한 특정 값을 의미한다. Factors in the table of FIG. 5 refer to variables related to dementia conversion. OR is the odds ratio, and the cross ratio has a 95% confidence interval (CI). The p value means a general significance probability used in statistical analysis. A point means a specific value converted into a score for each element.

나이(age)는 도 3과 달리 하나의 연속형에 대한 데이터를 표시하였다. P 값이 0.0038(단변수 분석)/0.0004(다변수 분석)이므로, 나이가 역시 치매 변환에 영향을 주는 요소라고 해석된다. 나이는 치매 변환에 영향을 주고, 나이가 증가할 수록 치매 변환 가능성이 커진다고 할 수 있다.Unlike the FIG. 3, age is displayed for one continuous type. Since the P value is 0.0038 (univariate analysis) /0.0004 (multivariate analysis), it is interpreted that age is also a factor influencing dementia transformation. It can be said that the age affects the dementia transformation, and as the age increases, the probability of dementia transformation increases.

VVB는 신경심리검사에서 장애 양상을 기준으로 환자를 분류한 결과를 의미한다. VVB는 시각 aMCI 환자(Visual), 언어 aMCI 환자(Verbal)와 시간 및 언어 aMCI 환자(Both)를 항목으로 갖는다. 시각 aMCI 환자를 기준값으로 사용하여 나머지 그룹에 대한 점수를 환산하였다. 장애 양상도 치매 변환에 영향을 주는 요소로 해석된다. 나아가 언어 aMCI 환자(Verbal)와 시간 및 언어 aMCI 환자(Both)가 하나의 장애 양상을 갖는 환자보다 더 치매 변환의 가능성이 높다고 해석된다.VVB refers to the result of classifying patients based on the pattern of disability in neuropsychological examination. VVB has visual aMCI patients (Visual), language aMCI patients (Verbal) and time and language aMCI patients (Both). Visual aMCI patients were used as reference values to convert the scores for the remaining groups. Disability patterns are also interpreted as factors affecting dementia transformation. Furthermore, it is interpreted that patients with verbal aMCI (Verbal) and patients with time and language aMCI (Both) are more likely to have dementia transformation than patients with one disorder.

EL은 신경심리검사에서 기억 장애의 정도에 따라 환자를 분류한 결과를 의미한다. EL은 초기 단계 aMCI 환자(Early) 및 후기 단계 aMCI 환자(Late)를 항목으로 갖는다. 초기 단계 aMCI 환자를 기준값으로 사용하여 나머지 그룹에 대한 점수를 환산하였다. 기억 장애 정도도 치매 변환에 영향을 주는 요소로 해석된다. 나아가 후기 단계 aMCI 환자(Late)가 초기 단계 aMCI 환자(Early)보다 더 치매 변환의 가능성이 높다고 해석된다. 한편 다변수 분석에서는 EL에 대한 유의성이 나타나지 않아서 항목을 표시하지 않았다.EL refers to the result of classifying patients according to the degree of memory impairment in neuropsychological examination. EL has early stage aMCI patients (Early) and late stage aMCI patients (Late). The scores for the remaining groups were converted using the initial stage aMCI patient as a reference value. The degree of memory impairment is also interpreted as a factor influencing dementia conversion. Furthermore, it is interpreted that late stage aMCI patients (Late) are more likely to have dementia transformation than early stage aMCI patients (Early). On the other hand, in the multivariate analysis, there was no significance for EL, so the items were not displayed.

SM은 인지 장애 영역의 다중도에 따라 환자를 분류한 결과를 의미한다. SM은 단일 영역 aMCI 환자(Single) 및 다중 영역 aMCI 환자(Multiple)를 항목으로 갖는다. SM은 단일 영역 aMCI 환자를 기준값으로 사용하여 나머지 그룹에 대한 점수를 환산하였다. 인지 장애 영역의 다중도도 치매 변환에 영향을 주는 요소로 해석된다. 나아가 다중 영역 aMCI 환자(Multiple)가 단일 영역 aMCI 환자(Single)보다 더 치매 변환의 가능성이 높다고 해석된다.SM means the result of classifying patients according to the multiplicity of the cognitive impairment area. SM has single domain aMCI patients (Single) and multi domain aMCI patients (Multiple). SM calculated the scores for the remaining groups using a single-region aMCI patient as a reference value. The multiplicity of the cognitive impairment area is also interpreted as a factor influencing dementia transformation. Furthermore, it is interpreted that a multi-domain aMCI patient (Multiple) has a higher probability of dementia transformation than a single-domain aMCI patient (Single).

APOE는 APOE4 유전자형의 존재 유무에 따른 요소이다. APOE 유전자를 갖는 환자가 없는 환자보다 더 치매 변환의 가능성이 높다고 해석된다. 해당 유전자형이 없는 경우를 기준값으로 사용하여 APOE4 유전자형이 있는 경우에 대한 추가 점수를 할당한다.APOE is a factor depending on the presence or absence of the APOE4 genotype. It is interpreted that there is a higher probability of dementia conversion than patients without the APOE gene. If there is no corresponding genotype, an additional score for the case with the APOE4 genotype is assigned using the reference value.

한편 다변수 분석 결과도 단변수 분석 결과와 대동소이한 결과를 보인다.On the other hand, the results of multivariate analysis also show roughly the same results as those of single variable analysis.

도 6은 도5에 도시한 Model 2에 대한 노모그램의 예이다. 즉 도 6은 APEO 유전자형을 갖지 않는 환자를 위한 노모그램의 예이다. 도 6의 하단에는 각 노모그램에 사용되는 각 항목 및 항목의 값에 따른 점수에 대한 예를 도시한다. 도 6에서 Age는 피험자의 나이에 따라 점수를 환산하기 위한 항목이다. VVB1은 시각 aMCI(Visual) 또는 언어 aMCI(Verbal)로만 분류된 경우에 대한 점수를 환산하기 위한 항목이다. 시각 또는 언어 aMCI만을 갖는 경우(VVB1에서 1의 값) 23점의 점수를 할당한다. VVB2는 시각 및 언어 aMCI(Both)로 분류된 경우에 대한 점수를 환산하기 위한 항목이다. 시각 및 언어 aMCI를 갖는 경우(VVB2에서 1의 값) 47점의 점수를 할당한다. SM은 단일 영역 aMCI(Single) 및 다중 영역 aMCI(Multiple)에 대한 점수를 환산하기 위한 항목이다. 다중 영역 aMCI(SM에서 2의 값)는 24점의 점수를 할당한다. APOE는 APOE 유전자를 갖는 aMCI에 대한 점수를 추가하기 위한 항목이다. APOE 유전자를 갖는 경우 40점의 점수를 할당한다. 전체 점수는 Age, VVB1, VVB2, SM 및 APOE의 각 항목의 점수를 합산한 값이다. 선형 예측값은 치매 전환 가능성에 대한 예측값이다. 전체 점수를 선형 예측값에 대응하여 최종적인 예측값을 도출한다. 6 is an example of a nomogram for Model 2 shown in FIG. 5. That is, Figure 6 is an example of a nomogram for a patient who does not have the APEO genotype. The bottom of FIG. 6 shows an example of a score according to each item and the value of the item used in each nomogram. In FIG. 6, Age is an item for converting scores according to the age of the subject. VVB1 is an item for converting scores for cases classified only as visual aMCI (Visual) or language aMCI (Verbal). If only the visual or language aMCI is present (value of 1 in VVB1), a score of 23 is assigned. VVB2 is an item for converting scores for cases classified as visual and language aMCI (Both). A score of 47 is assigned for a visual and language aMCI (value of 1 in VVB2). SM is an item for converting scores for single-region aMCI (Single) and multi-region aMCI (Multiple). The multi-domain aMCI (value of 2 in SM) assigns a score of 24 points. APOE is an item for adding a score for aMCI having the APOE gene. If you have the APOE gene, a score of 40 is assigned. The total score is the sum of the scores of each item of Age, VVB1, VVB2, SM and APOE. The linear predicted value is a predicted value for the possibility of dementia conversion. The final prediction value is derived from the overall score corresponding to the linear prediction value.

도 7은 도 6의 노모그램에 따라 결정되는 예측값과 치매 전환 가능성에 대한 관계를 도시한 그래프의 예이다. 도 7는 선형 예측값에 따라 실제 aMCI 환자가 치매로 전환될 가능성을 나타낸다. 한편 정성적으로 특정한 가능성의 경우 치매 전환의 가능성이 높다와 같이 판단할 수 있다. 예컨대, 치매 전환 가능성 ≤ 0.2 이면 가능성 낮음, 치매 전환 가능성이이 0.2 < 치매 전환 가능성 ≤ 0.4 이면 가능성 보통, 치매 전환 가능성 > 0.4 이면 가능성 높음과 같이 판단할 수 있다.7 is an example of a graph showing a relationship between a predicted valu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nomogram of FIG. 6 and a possibility of dementia conversion. 7 shows the likelihood of actual aMCI patients converting to dementia according to the linear predicted values. On the other hand, qualitatively specific possibilities can be judged as having a high possibility of dementia conversion. For example, if the possibility of dementia conversion ≤ 0.2 is low, the probability of dementia conversion is 0.2, the probability of dementia conversion is 0.4, the probability is normal, and if the possibility of dementia conversion> 0.4, it can be determined as high probability.

도 8는 치매 예측 모델에 대한 검증을 수행한 결과이다. 검증은 전술한 모델 1 및 모델 2에 대해 각각 수행하였다. 검증을 위해 먼저 치매 예측 모델의 성능을 C(receiver operating characteristic) 곡선 아래의 C-인덱스(concordance index)로 정량화하였다(C-통계 사용). 예측 모델에 대한 정확도는 내부 검증(internal validation) 및 외부 검증(external validation)을 통해 확인하였다. 내부 검증은 부트스트래핑(bootstrapping) 기법, K배 교차 검증(K-fold cross validation) 기법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실제 검증에서는 부트스트래핑 기법 및 10배 교차 검증을 사용하였다. 모델 1는 내부 검증이 0.75이상이었고, 외부 검증은 0.742로 예측 성능이 우수하였다. APOE 유전형을 고려한 모델 2는 내부 검증이 0.8이상이고, 외부 검증이 0.73으로 예측 성능이 모델 1보다 더욱 우수하였다.8 is a result of performing verification on the dementia prediction model. Verification was carried out for Model 1 and Model 2, respectively. For verification, the performance of the dementia prediction model was first quantified by a C-index under the C (receiver operating characteristic) curve (using C-statistics). The accuracy of the predictive model was confirmed through internal validation and external validation. For internal verification, a bootstrapping technique, a K-fold cross validation technique, or the like can be used. In actual verification, bootstrapping technique and 10-times cross-validation were used. In Model 1, the internal verification was 0.75 or more, and the external verification was 0.742, and the prediction performance was excellent. Model 2 considering the APOE genotype has an internal verification of 0.8 or higher, and an external verification of 0.73, which has better predictive performance than Model 1.

이하 전술한 치매 예측 모델을 사용하여 치매 예측을 수행하는 장치에 대한 예를 설명한다. 도 9는 치매 발생을 예측하는 컴퓨터 장치(100)에 대한 예이다. 컴퓨터 장치(100)는 PC, 노트북, 스마트기기 또는 서버 등과 같은 장치를 의미한다. 컴퓨터 장치(100)는 입력장치(110), 연산장치(120), 저장장치(130) 및 출력장치(140)를 포함한다. Hereinafter, an example of an apparatus for performing dementia prediction using the above-described dementia prediction model will be described. 9 is an example of a computer device 100 for predicting the occurrence of dementia. The computer device 100 refers to a device such as a PC, laptop, smart device or server. The computer device 100 includes an input device 110, a computing device 120, a storage device 130, and an output device 140.

입력장치(110)는 피험자의 인구통계학적 정보(예컨대, 나이, 성별 등) 및 피험자가 수행한 신경심리검사 결과를 입력받는다. 이하 피험자가 수행한 신경심리검사 결과를 신경심리검사 데이터라고 명명한다. 입력장치(110)는 인구통계학적 정보 및 이미 수행한 신경심리검사 데이터를 통신이나 별도의 저장 장치를 통해 컴퓨터 장치(100)에 입력하는 장치이다. 나아가 입력장치(110)는 컴퓨터 장치(100)를 통해 피험자가 수행하는 신경심리검사 항목에 대한 값을 입력받는 인터페이스 장치(키보드, 마우스, 터치 스크린 등)일 수도 있다. 이 경우 컴퓨터 장치(110)는 입력된 항목 값에 따라 일정한 신경심리검사 데이터를 생성한다. 신경심리검사는 전술한 NSB라는 표준화된 신경심리검사이다. The input device 110 receives demographic information (eg, age, gender, etc.) of the subject and a neuropsychological test performed by the subject. Hereinafter, the results of the neuropsychological test performed by the subject are referred to as neuropsychological test data. The input device 110 is a device for inputting demographic information and previously performed neuropsychological data into the computer device 100 through communication or a separate storage device. Furthermore, the input device 110 may be an interface device (keyboard, mouse, touch screen, etc.) that receives a value for a neuropsychological test item performed by a subject through the computer device 100. In this case, the computer device 110 generates certain neuropsychological test data according to the input item value. The neuropsychological test is a standardized neuropsychological test called NSB described above.

저장장치(130)는 치매 예측 모델을 저장하는 장치이다. 치매 예측 모델은 일정한 프로그래밍 코드로 생성된 데이터일 수 있다. 저장장치(130)는 입력장치(110)로부터 전달받은 피험자의 인구통계학적 정보 및 피험자의 신경심리검사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저장장치(130)는 치매 예측 모델로 예측한 치매 가능성에 대한 정보를 저장할 수도 있다. 저장 장치(130)는 신경심리검사 데이터를 기준으로 전술한 aCMI 분류를 결정하기 위한 정보(이하 분류 정보라 함)를 저장할 수 있다.The storage device 130 is a device for storing a dementia prediction model. The dementia prediction model may be data generated with constant programming code. The storage device 130 may store demographic information of the subject and neuropsychological data of the subject received from the input device 110. Also, the storage device 130 may store information on the possibility of dementia predicted by the dementia prediction model. The storage device 130 may store information (hereinafter referred to as classification information) for determining the aCMI classification described above based on neuropsychological data.

연산 장치(120)는 입력된 신경심리검사 데이터와 분류 정보를 이용하여 피험자의 aCMI 분류를 결정한다. 연산장치(120)는 피험자의 인구통계학적 정보 및 신경aCMI 분류를 저장장치(130)에 저장된 치매 예측 모델을 입력하여 피험자에 대한 치매 가능성을 도출한다. 치매 가능성은 일정한 점수, 확률(%) 또는 정성적인 값(가능성 낮음/가능성 높음 등)으로 출력될 수 있다. 다양한 형태의 치매 가능성을 이하 치매 예측 정보라고 명명한다. The computing device 120 determines the aCMI classification of the subject using the input neuropsychological data and classification information. The computing device 120 derives the possibility of dementia for the subject by inputting the demographic information of the subject and the classification of neural aCMI into the dementia prediction model stored in the storage device 130. The likelihood of dementia can be output as a constant score, probability (%) or qualitative value (low probability / high probability). The possibility of various types of dementia is hereinafter referred to as dementia prediction information.

출력장치(140)은 치매 예측 정보를 일정한 형태로 출력하는 장치이다. 출력장치(140)는 디스플레이 장치, 문서를 출력하는 출력 장치 및 치매 예측 정보를 다른 장치에 전달하는 통신 장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The output device 140 is a device that outputs dementia prediction information in a certain form. The output device 140 includes at least one of a display device, an output device that outputs a document, and a communication device that delivers dementia prediction information to another device.

도 10은 치매 발생을 예측하는 시스템(200)에 대한 예이다. 치매 발생을 예측하는 시스템(200)은 네트워크에 위치한 다양한 객체로 구성된다. 도 10에서 치매 발생을 예측하는 시스템(200)은 사용자 단말(210), 검사 DB(220), 판단 서버(230) 및 모델 DB(240)를 포함한다. 10 is an example of a system 200 for predicting the occurrence of dementia. The system 200 for predicting the occurrence of dementia is composed of various objects located in a network. The system 200 for predicting the occurrence of dementia in FIG. 10 includes a user terminal 210, a test DB 220, a judgment server 230, and a model DB 240.

사용자 단말(210)은 피험자가 수행한 신경심리검사 데이터를 입력받아 저장하는 장치이다. 사용자 단말(210)은 신경심리검사를 제공하고, 피험자가 입력한 값에 따라 신경심리검사 데이터를 생성할 수도 있다. 나아가 사용자 단말(210)은 피험자의 인구통계적 정보를 입력받아 저장한다. 검사 DB(220)는 피험자의 인구통계적 정보 및 사전에 수행한 피험자의 신경심리검사 데이터를 저장하는 장치이다. 사용자 단말(210) 및 검사 DB(220)는 피험자의 나이 및 신경심리검사 데이터를 판단 서버(230)에 전달하는 입력 장치에 해당한다.The user terminal 210 is a device that receives and stores neuropsychological test data performed by a subject. The user terminal 210 may provide a neuropsychological test, and may generate neuropsychological test data according to a value input by a subject. Furthermore, the user terminal 210 receives and stores demographic information of the subject. The test DB 220 is a device that stores demographic information of a subject and neuropsychological data of a subject previously performed. The user terminal 210 and the test DB 220 correspond to an input device that delivers the subject's age and neuropsychological test data to the determination server 230.

판단 서버(230)는 피험자의 인구통계적 정보 및 신경심리검사 데이터를 이용하여 해당 피험자에 대한 치매 예측 가능성을 판단하는 장치이다. 판단 서버(230)는 사용자 단말(210) 또는 검사 DB(220)로부터 인구통계적 정보 및 신경심리검사 데이터를 전달받는다. 즉 치매 발생을 예측하는 시스템(200)은 사용자 단말(210) 또는 검사 DB(220) 중 어느 하나의 장치만을 사용할 수 있다. 판단 서버(230)는 수신한 신경심리검사 데이터와 분류 정보를 이용하여 피험자의 aCMI 분류를 결정한다. 판단 서버(230)는 피험자의 인구통계학적 정보 및 신경aCMI 분류를 저장장치(130)에 저장된 치매 예측 모델을 입력하여 피험자에 대한 치매 가능성 정보를 생성한다. 도 10에 도시하지 않았지만 판단 서버(230)는 치매 가능성 정보를 사용자 단말(210), 기타 사용자 장치, 별도의 서버 등에 송신할 수 있다.The determination server 230 is a device that determines the predictability of dementia for the subject using demographic information and neuropsychological data of the subject. The determination server 230 receives demographic information and neuropsychological test data from the user terminal 210 or the test DB 220. That is, the system 200 for predicting the occurrence of dementia may use only one of the user terminal 210 or the inspection DB 220. The determination server 230 determines the aCMI classification of the subject using the received neuropsychological test data and classification information. The determination server 230 inputs the demographic information of the subject and the classification of neural aCMI to the dementia prediction model stored in the storage device 130 to generate dementia likelihood information for the subject. Although not illustrated in FIG. 10, the determination server 230 may transmit the dementia likelihood information to the user terminal 210, other user devices, and a separate server.

모델 DB(240)는 전술한 치매 예측 모델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장치이다. 모델 DB(240)는 치매 예측 모델을 저장하는 저장 장치에 해당한다. 또한 모델 DB(240)는 전술한 분류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도 10에서는 별개의 객체로 도시하였지만, 모델 DB(240)는 판단 서버(230)와 일체화된 형태일 수도 있다. The model DB 240 is a device that stores information on the dementia prediction model described above. The model DB 240 corresponds to a storage device that stores a dementia prediction model. In addition, the model DB 240 may store the above-described classification information. Although illustrated as a separate object in FIG. 10, the model DB 240 may be integrated with the determination server 230.

도 11은 치매 예측 모델(300)에 대한 블록도의 예이다. 도 11은 도 9의 컴퓨터 장치(100) 또는 도 10의 치매 발생을 예측하는 시스템(200)에서 이용하는 치매 예측 모델(300)의 일 예이다. 도 9의 컴퓨터 장치(100)는 치매 예측 모델(300)을 저장 장치(130)에 저장할 수 있다. 도 10의 모델 DB(240)는 치매 예측 모델(300)을 저장할 수 있다. 11 is an example of a block diagram for the dementia prediction model 300. 11 is an example of a dementia prediction model 300 used in the computer apparatus 100 of FIG. 9 or the system 200 for predicting the occurrence of dementia of FIG. 10. The computer device 100 of FIG. 9 may store the dementia prediction model 300 in the storage device 130. The model DB 240 of FIG. 10 may store the dementia prediction model 300.

치매 예측 모델(300)은 점수 산정 모델(310) 및 치매 가능성 평가 모델(320)로 구성된다. 점수 산정 모델(310)은 치매 가능성을 평가하기 위한 개별 항목의 값(변수의 값)을 입력받아 특정한 점수를 산출하는 모델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변수는 피험자의 인구통계적 정보(나이, 성별 등) 및 aMCI 분류를 포함한다. aMCI 분류는 컴퓨터 장치(100) 또는 판단 서버(230)에서 심리신경검사 데이터를 이용하여 사전에 결정한다. The dementia prediction model 300 is composed of a score estimation model 310 and a dementia likelihood evaluation model 320. The score calculation model 310 is a model that receives a value (a value of a variable) of an individual item for evaluating the possibility of dementia and calculates a specific score. As described above, the variables include demographic information (age, gender, etc.) of the subject and classification of aMCI. The aMCI classification is determined in advance using psychological examination data in the computer device 100 or the determination server 230.

점수 산정 모델(310)은 사용하는 모든 변수에 대하여 특정한 점수를 결정하고, 최종적으로는 전체 변수에 대한 점수를 합산한 값(총점)을 출력한다. 점수 산정 모델(310)은 점수 함수(311) 및 점수 테이블(312)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점수 산정 모델(310)은 점수 함수(311) 및 점수 테이블(312)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변수별로 점수를 결정할 수 있다. 점수 함수(311)는 입력되는 변수의 값을 특정한 점수로 환산하는 함수를 의미한다. 점수 함수(311)는 입력되는 변수의 종류에 따라 서로 다른 함수를 사용할 수 있다. 점수 테이블(312)은 입력되는 변수의 값을 특정한 점수로 환산하기 위한 테이블을 의미한다. 점수 테이블(312)은 입력되는 변수의 종류마다 일정한 점수 테이블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점수 산정 모델(310)은 피험자의 나이가 입력되면 점수 함수(311) 또는 점수 테이블(312)을 이용하여 일정한 점수를 결정한다. 또한 점수 산정 모델(310)은 피험자의 aMCI 분류가 입력되면 점수 함수(311) 또는 점수 테이블(312)을 이용하여 일정한 점수를 결정한다. 점수 산정 모델(310)은 모든 변수에 대한 점수를 합산하여 총점을 출력한다. 한편 점수 함수(311) 및 점수 테이블(312)은 도 3a 및 도 4a의 노모그램의 기능을 수행한다. 점수 산정 모델(310)은 APOE 유전형 없는 피험자(도 3a의 모델 1) 및 APOE 유전형이 있는 피험자(도 4a의 모델 2)에 대해 개별적인 모델(정보)을 포함한다. The score calculation model 310 determines a specific score for all variables to be used, and finally outputs a value (total score) summing the scores for all variables. The score calculation model 310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score function 311 and a score table 312. The score calculation model 310 may determine a score for each variable using at least one of the score function 311 and the score table 312. The score function 311 means a function for converting the value of the input variable into a specific score. The score function 311 may use different functions according to the type of the input variable. The score table 312 means a table for converting the value of the input variable into a specific score. The score table 312 may include a constant score table for each type of input variable. For example, when the age of the subject is input, the score estimation model 310 determines a constant score using the score function 311 or the score table 312. In addition, the score calculation model 310 determines a constant score using the score function 311 or the score table 312 when the subject's aMCI classification is input. The score calculation model 310 sums scores for all variables and outputs a total score. Meanwhile, the score function 311 and the score table 312 perform the functions of the nomogram of FIGS. 3A and 4A. The scoring model 310 includes individual models (information) for subjects without the APOE genotype (Model 1 in FIG. 3A) and subjects with the APOE genotype (Model 2 in FIG. 4A).

치매 가능성 평가 모델(320)은 점수 산정 모델(310)이 출력한 총점을 입력받는다. 치매 가능성 평가 모델(320)은 위험도 함수(321) 및 위험도 테이블(322)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치매 가능성 평가 모델(320)은 위험도 함수(321) 및 위험도 테이블(322)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치매 가능성 정보를 산출한다. 점수 함수(321)는 입력되는 총점을 특정한 치매 가능성 정보로 변환하는 함수를 의미한다. 점수 테이블(322)은 입력되는 총점을 특정한 치매 가능성 정보 변환하기 위한 테이블을 의미한다. 점수 테이블(322)은 개별 점수 또는 일정한 범위의 점수에 따른 치매 가능성 정보를 저장한다. 치매 가능성 평가 모델(320)은 APOE 유전형 없는 피험자(모델 1에 기반한 치매 가능성 정보) 및 APOE 유전형이 있는 피험자(모델 2에 기반한 치매 가능성 정보)에 대해 개별적인 모델(정보)을 제공한다. The dementia likelihood evaluation model 320 receives the total score output by the score calculation model 310. The dementia likelihood evaluation model 320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risk function 321 and a risk table 322. The dementia likelihood evaluation model 320 calculates dementia likelihood information using at least one of the risk function 321 and the risk table 322. The score function 321 refers to a function that converts the input total score into specific dementia likelihood information. The score table 322 means a table for converting the input total score into specific dementia likelihood information. The score table 322 stores dementia likelihood information according to individual scores or a range of scores. The dementia likelihood evaluation model 320 provides individual models (information) for subjects without APOE genotype (dementia potential information based on Model 1) and subjects with APOE genotype (dementia potential information based on Model 2).

본 실시례 및 본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은 전술한 기술에 포함되는 기술적 사상의 일부를 명확하게 나타내고 있는 것에 불과하며, 전술한 기술의 명세서 및 도면에 포함된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가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변형 예와 구체적인 실시례는 모두 전술한 기술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이 자명하다고 할 것이다.The drawings attached to the present embodiment and the present specification merely show a part of the technical idea included in the above-described technology, and are easi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in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included in the above-described technical specification and drawings. It will be apparent that all examples and specific examples that can be inferred are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above-described technology.

100 : 컴퓨터 장치
110 : 입력 장치
120 : 연산 장치
130 : 저장 장치
140 : 출력 장치
200 : 치매 예측 시스템
210 : 사용자 단말
220 : 검사 DB
230 : 판단 서버
240 : 모델 DB
300 : 치매 예측 모델
310 : 점수 산정 모델
311 : 점수 함수
312 : 점수 테이블
320 : 치매 가능성 평가 모델
321 : 위험도 함수
322 : 위험도 테이블
100: computer device
110: input device
120: computing device
130: storage device
140: output device
200: dementia prediction system
210: user terminal
220: inspection DB
230: judgment server
240: model DB
300: dementia prediction model
310: scoring model
311: score function
312: score table
320: Dementia likelihood evaluation model
321: Risk function
322: Risk table

Claims (12)

컴퓨터 장치의 입력장치가 피험자의 나이 및 피험자의 신경심리검사 데이터를 입력받은 단계;
상기 컴퓨터 장치의 연산장치가 상기 신경심리검사 데이터를 기준으로 경도인지장애 유형을 분류하는 단계;
상기 연산장치가 상기 나이 및 상기 경도인지장애 유형을 노모그램을 이용한 치매 예측 모델에 입력하는 단계; 및
상기 연산장치가 상기 치매 예측 모델의 출력 결과에 따른 치매 예측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경도인지장애 유형은 기억장애정도에 따라 초기 또는 후기로 분류되는 제1 분류, 장애양상에 따라 시각장애, 언어 장애, 시각 및 언어 장애로 분류되는 제2 분류 및 장애 영역 다중도에 따라 단일 영역 장애 또는 다중 영역 장애로 분류되는 제3 분류를 포함하는 신경심리검사를 이용한 치매 발병 예측 방법.
An input device of the computer device receiving the subject's age and the subject's neuropsychological data;
Classifying the type of mild cognitive impairment based on the neuropsychological test data by the computing device of the computer device;
Inputting the age and the type of mild cognitive impairment into a dementia prediction model using a nomogram; And
The computing device includes the step of generating dementia prediction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output result of the dementia prediction model,
The type of mild cognitive impairment is the first classification classified as early or late according to the degree of memory impairment, the second classification classified as visual impairment, language disorder, visual and language disorder according to the disability pattern, and a single domain according to the disability domain multiplicity A method for predicting the development of dementia using neuropsychological examination including a third classification classified as a disorder or a multi-domain disord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경심리검사는 SNSB(Seoul Neuropsychological Screening Battery)인 신경심리검사를 이용한 치매 발병 예측 방법.
According to claim 1,
The neuropsychological test is a method for predicting the development of dementia using a neuropsychological test, which is a Soul Neuropsychological Screening Battery (SNSB).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분류는 지연 기억력 검사 점수의 표준 편차가 - 1.0 에서 -1.5 사이인 초기 경도인지장애 및 지연 기억력 검사 점수의 표준 편차가 -1.5 미만인 후기 경도인지장애를 포함하는 신경심리검사를 이용한 치매 발병 예측 방법.
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classification is the development of dementia using a neuropsychological test including an initial mild cognitive impairment with a standard deviation of the delayed memory test score of -1.0 to -1.5 and a late mild cognitive impairment with a standard deviation of the delayed memory test score of less than -1.5. Prediction metho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분류는 시각 기억력 장애만을 갖는 시각 경도인지장애, 언어 기억력 장애만을 갖는 언어 경도인지장애 및 시각 기억력 장애와 언어 기억력 장애를 동시에 갖는 시간-언어 경도인지장애를 포함하는 신경심리검사를 이용한 치매 발병 예측 방법.
According to claim 1,
The second classification is dementia using neuropsychological test including visual mild cognitive impairment with only visual memory impairment, verbal mild cognitive impairment with only language memory impairment, and time-language mild cognitive impairment with visual memory impairment and speech memory impairment simultaneously. How to predict the onse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분류는 기억 장애만을 갖는 단일 영역 경도인지장애 및 기억 장애와 함께 추가적인 인지장애를 갖는 다중 영역 경도인지장애를 포함하는 신경심리검사를 이용한 치매 발병 예측 방법.
According to claim 1,
The third classification is a method for predicting the development of dementia using a neuropsychological test including a single-region mild cognitive impairment with only memory impairment and a multi-domain mild cognitive impairment with additional cognitive impairment along with memory impairmen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산장치는 피험자의 나이 및 신경심리검사 데이터를 갖는 훈련 데이터와 동일 피험자에 대한 치매 진단 결과를 이용하여 회귀분석모델을 마련하고, 상기 회귀분석모델에서 사용되는 변수의 값에 따라 일정한 점수를 할당하는 상기 노모그램을 포함하는 상기 치매 예측 모델을 사전에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신경심리검사를 이용한 치매 발병 예측 방법.
According to claim 1,
The computing device prepares a regression analysis model using training data having the subject's age and neuropsychological data and a diagnosis result of dementia for the same subject, and allocates a certain score according to the value of the variable used in the regression analysis model. The dementia disease prediction method using a neuropsychological test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generating in advance the dementia prediction model including the nomogram.
컴퓨터에서 상기 제1항, 제2항 및 제4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기재된 신경심리검사를 이용한 치매 발병 예측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recording a program for executing a method for predicting the development of dementia using the neuropsychological test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2, and 4 to 7, in a computer. 피험자의 나이 및 피험자의 신경심리검사 데이터를 입력받은 입력장치;
상기 나이 및 경도인지장애의 유형을 입력받아 치매 가능성 정보를 생성하는 치매 예측 모델을 저장하는 저장 장치; 및
상기 신경심리검사 데이터를 기준으로 경도인지장애 유형을 분류하고, 상기 나이 및 상기 경도인지장애의 유형을 노모그램을 이용한 상기 치매 예측 모델에 입력하여 치매 예측 정보를 생성하는 서버를 포함하되,
상기 경도인지장애 유형은 기억장애정도에 따라 초기 또는 후기로 분류되는 제1 분류, 장애양상에 따라 시각장애, 언어 장애, 시각 및 언어 장애로 분류되는 제2 분류 및 장애 영역 다중도에 따라 단일 영역 장애 또는 다중 영역 장애로 분류되는 제3 분류를 포함하는 신경심리검사를 이용한 치매 발병 예측 시스템.
An input device that receives the subject's age and the subject's neuropsychological data;
A storage device for storing a model for predicting dementia that receives the type of age and mild cognitive impairment and generates dementia likelihood information; And
And a server for classifying mild cognitive impairment type based on the neuropsychological test data and inputting the age and the mild cognitive impairment type into the dementia prediction model using a nomogram,
The type of mild cognitive impairment is the first classification classified as early or late according to the degree of memory impairment, the second classification classified as visual impairment, language disorder, visual and language disorder according to the disability pattern, and a single domain according to the disability domain multiplicity A system for predicting the development of dementia using neuropsychological examination including a third classification classified as a disorder or a multi-domain disorder.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신경심리검사는 SNSB(Seoul Neuropsychological Screening Battery)인 신경심리검사를 이용한 치매 발병 예측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9,
The neuropsychological test is a system for predicting the development of dementia using a neuropsychological test, which is a Soul Neuropsychological Screening Battery (SNSB).
삭제delete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치매 예측 모델은 피험자의 나이 및 신경심리검사 데이터를 갖는 훈련 데이터와 동일 피험자에 대한 치매 진단 결과를 이용하여 생성한 회귀분석모델에서 사용되는 변수를 추출하고, 변수의 값에 일정한 점수를 할당하는 상기 노모그램을 포함하는 신경심리검사를 이용한 치매 발병 예측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9,
The dementia prediction model extracts variables used in the regression model generated using training data having the subject's age and neuropsychological data and dementia diagnosis results for the same subject, and assigns a constant score to the variable values A system for predicting dementia development using a neuropsychological test including the nomogram.
KR1020170098459A 2017-08-03 2017-08-03 Prediction method for dementia using neuropsychological test and prediction system for dementia using neuropsychological test KR10209718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8459A KR102097188B1 (en) 2017-08-03 2017-08-03 Prediction method for dementia using neuropsychological test and prediction system for dementia using neuropsychological tes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8459A KR102097188B1 (en) 2017-08-03 2017-08-03 Prediction method for dementia using neuropsychological test and prediction system for dementia using neuropsychological tes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5649A KR20190015649A (en) 2019-02-14
KR102097188B1 true KR102097188B1 (en) 2020-04-10

Family

ID=653661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98459A KR102097188B1 (en) 2017-08-03 2017-08-03 Prediction method for dementia using neuropsychological test and prediction system for dementia using neuropsychological tes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97188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37830A (en) 2020-05-11 2021-11-18 사회복지법인 삼성생명공익재단 Method and apparatus for predicting amyloid positive for cognitive function normal group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40228B1 (en) 2019-05-29 2021-04-13 한림대학교 산학협력단 Method and system for scoring drawing test results through object closure determination
KR102225353B1 (en) 2019-05-29 2021-03-08 한림대학교 산학협력단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calculating cognitive ability test result through detection of angle number
KR102252851B1 (en) 2019-05-30 2021-05-14 한림대학교 산학협력단 Automatic analysis system for picture for cognitive ability test and recording medium for the same
KR102215119B1 (en) 2019-06-14 2021-02-10 재단법인 아산사회복지재단 Method, program and computing device for predicting alzheimer's disease by quantifying brain features
KR102067412B1 (en) * 2019-08-21 2020-01-17 서울대학교병원 Method for evaluating dementia and apparatus using the same
US11464443B2 (en) * 2019-11-26 2022-10-11 The Chinese University Of Hong Kong Methods based on an analysis of drawing behavior changes for cognitive dysfunction screening
KR102375487B1 (en) * 2019-12-20 2022-03-18 클루피 주식회사 Dementia testing management server using machine learning and dementia testing method using the same
KR102338071B1 (en) * 2020-02-14 2021-12-14 한국과학기술연구원 Apparatus and Method of Processing Image Copying Test for Evaluating Cognitive Impairment, and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KR102341699B1 (en) * 2020-03-10 2021-12-21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Cognitive impairment classification device, method and program recorded media
KR102211391B1 (en) * 2020-04-21 2021-02-03 주식회사 카이아이컴퍼니 System and method to provide cognitive disability early examination and community care matching service for the elderly
KR102387586B1 (en) * 2020-07-10 2022-04-15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Method for predicting risk for developing dementia in parkinson's disease and device using the same
KR102527561B1 (en) * 2020-12-07 2023-05-03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Bio-signal-based degenerative brain disease prediction and training system
KR20220138658A (en) * 2021-04-06 2022-10-13 사회복지법인 삼성생명공익재단 The system and method for analyzing changes in cognitive function for early diagnosis of Alzheimer's disease using the ACT composite score
KR102383058B1 (en) * 2021-10-22 2022-04-08 주식회사 뉴로젠 Device and method for predicting cognitive impairment using spatiotemporal memory test and brain image information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10555A (en) * 2004-07-28 2006-02-02 박종한 Mini-memory test for screening for memory impairment
KR101244818B1 (en) * 2011-03-30 2013-03-18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Cognitive Impairment assessment service method and system based on on-line
KR101437569B1 (en) 2012-08-13 2014-09-04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Method of diagnosing dementia based on verbrl fluency and apparatus therefor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37830A (en) 2020-05-11 2021-11-18 사회복지법인 삼성생명공익재단 Method and apparatus for predicting amyloid positive for cognitive function normal group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5649A (en) 2019-0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97188B1 (en) Prediction method for dementia using neuropsychological test and prediction system for dementia using neuropsychological test
Sau et al. Screening of anxiety and depression among seafarers using machine learning technology
Ramesh et al. Use of risk assessment instruments to predict violence in forensic psychiatric hospitals: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Victor et al. Detecting depression using a framework combining deep multimodal neural networks with a purpose-built automated evaluation.
Oosterhuis et al. Sample size requirements for traditional and regression-based norms
Honan et al. Perceived cognitive difficulties and cognitive test performance as predictors of employment outcomes in people with multiple sclerosis
Lomas et al. Estimating the marginal productivity of the English National Health Service from 2003 to 2012
JP2008532104A (en) A method, system,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generating and applying a prediction model capable of predicting a plurality of medical-related outcomes, evaluating an intervention plan, and simultaneously performing biomarker causality verification
Preti et al. Prevalence and dimensionality of hallucination-like experiences in young adults
Sharp et al. Computational models of anxiety: Nascent efforts and future directions
Rutkowski et al. Classifying mild cognitive impairment from behavioral responses in emotional arousal and valence evaluation task–AI approach for early dementia biomarker in aging societies–
US20210296001A1 (en) Dementia risk presentation system and method
WO2019246032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 neurological assessment of a subject
Fergadiotis et al. Enhancing the efficiency of confrontation naming assessment for aphasia using computer adaptive testing
Lougheed et al. Mother–adolescent emotion dynamics during conflicts: Associations with perspective taking.
Tate Measuring outcomes and monitoring progress in the era of evidence-based clinical practice
Soni et al. Using verb fluency, natural language processing, and machine learning to detect Alzheimer’s disease
Zinn et al. Analyzing nonresponse in longitudinal surveys using Bayesian Additive Regression Trees: A nonparametric event history analysis
Walker et al. Beyond percent correct: Measuring change in individual picture naming ability
Dineley et al. Remote smartphone-based speech collection: acceptance and barriers in individuals with major depressive disorder
Bertolini et al. Modeling Disease Progression in Mild Cognitive Impairment and Alzheimer's Disease with Digital Twins
CN116452592B (en) Method, device and system for constructing brain vascular disease AI cognitive function evaluation model
Bae et al. Transfer learning for predicting conversion from mild cognitive impairment to Dementia of Alzheimer’s type based on 3D-convolutional neural network
Firth et al. Health psychology attendance: A multilevel analysis of patient-level predictors and therapist effects.
Baca-García et al. Assessment of reliability in the clinical evaluation of depressive symptoms among multiple investigators in a multicenter clinical tria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