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97134B1 - 바이너리 형식의 지능형 원격검침 프로토콜 처리장치와 이를 이용한 태스크 스케줄링 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바이너리 형식의 지능형 원격검침 프로토콜 처리장치와 이를 이용한 태스크 스케줄링 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97134B1
KR102097134B1 KR1020130072737A KR20130072737A KR102097134B1 KR 102097134 B1 KR102097134 B1 KR 102097134B1 KR 1020130072737 A KR1020130072737 A KR 1020130072737A KR 20130072737 A KR20130072737 A KR 20130072737A KR 102097134 B1 KR102097134 B1 KR 1020971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sk
protocol
meter reading
job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727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00567A (ko
Inventor
최인지
박병석
김영현
명노길
김명수
강수경
Original Assignee
한국전력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력공사 filed Critical 한국전력공사
Priority to KR10201300727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97134B1/ko
Publication of KR201500005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05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971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971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9/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independent of the application payload and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04L69/08Protocols for interworking; Protocol conversion
    • H04L69/085Protocols for interworking; Protocol conversion specially adapted for interworking of IP-based networks with other network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22/00Arrangements for measuring time integral of electric power or current, e.g. electricity meters
    • G01R22/06Arrangements for measuring time integral of electric power or current, e.g. electricity meters by electronic methods
    • G01R22/061Details of electronic electricity meters
    • G01R22/063Details of electronic electricity meters related to remote communic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바이너리 형식의 지능형 원격검침 프로토콜 처리장치와 이를 이용한 태스크 스케줄링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원격검침 서버에서 생성한 DLMS 프로토콜 형태의 명령 패킷을 수신받는 프로토콜 수신부; 상기 수신한 DLMS 프로토콜 형태의 명령 패킷을 B-SMCP 프로토콜의 데이터 필드에 삽입하여 B-SMCP 프로토콜 형태의 명령 패킷을 생성하는 프로토콜 생성부; 및 상기 생성된 B-SMCP 프로토콜 형태의 명령 패킷을 데이터 집중장치에 전송하는 프로토콜 전송부; 상기 프로토콜 생성부는, 상기 DLMS 프로토콜 형태의 명령 패킷으로부터 태스크 구분 정보, 태스크 동작 정보 및 상기 태스크 구분 정보에 따라 JOB 스케줄을 구분하는 JOB 스케줄 지정 정보에 대한 식별코드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식별코드를 상기 B-SMCP 프로토콜의 데이터 필드에 삽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너리 형식의 지능형 원격검침 프로토콜 처리장치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바이너리 형식의 지능형 원격검침 프로토콜 처리장치와 이를 이용한 태스크 스케줄링 장치 및 그 방법{APPARATUS FOR REMOTE METER READING PROTOCOL OF BINARY TYPE AND APPARATUS AND METHOD FOR TASK SCHEDULING}
본 발명은 바이너리 형식의 지능형 원격검침 프로토콜 처리장치와 이를 이용한 태스크 스케줄링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자세하게는 스마트 그리드에서 지능형 원격검침(AMI)을 위해 국제 표준 기반의 데이터 형식이 정해진 다양한 종류의 계량기 관련 정보를 수납하여 이를 원격검침 서버로 전송하는 데이터 집중장치의 태스크를 정의한 바이너리 형식의 지능형 원격검침 프로토콜을 이용한 태스크 스케줄링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원격검침은 전기, 가스 등 에너지 유틸리티 회사에서 공공 서비스를 제공 후 고객의 사용량을 원격지에서 수집하는 것을 의미한다. 에너지를 공급하는 유틸리티 회사에서는 고객의 DB를 구축해 놓고, 사용량을 원격지에서 수집을 하는데, 보통 고객과 서버 간에는 하나의 도시 급 이상의 넓은 거리 떨어져 있고, 서버와 고객 간의 1:N 통신의 한계 및 데이터 수집의 비효율성 등 때문에 고객 근처 수십, 혹은 수 백미터 내에 집중 장치를 두어 수십, 수백 가구의 데이터를 집중하여 서버와 통신한다.
여기서, 원격검침의 구성요소로는 모뎀을 통해 고객의 전기 사용량 데이터를 전송하는 계량기, 다수 고객의 데이터를 수집, 저장하는 데이터 집중장치, 전기회사의 원격검침 서버로 구성이 된다. 데이터 집중장치는 고객과 유틸리티 회사를 연계하는 중간 역할로서 계량기와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하고 있는 모뎀과는 NAN(이웃 간 통신망)으로 연결, 유틸리티 회사의 서버와는 WAN(원거리 통신망)으로 연결된다.
이와 관련하여, 한국등록특허 제10-1006905호는 "원격검침 시스템을 위한 통합 모뎀 및 원격 검침 방법"에 관한 기술을 개시하고 있다.
스마트 그리드의 가장 최종 단을 구성하고 있는 계량기는 IEC 62056 등과 같은 국제표준에 의해 데이터의 포맷이 정해져 있다. IEC 62056 표준에 의하면, 계량기가 가지고 있는 다양한 정보는 객체로 표현되어 각 객체에는 고유 식별 번호(OBIS)로 구분할 수 있다.
또한, 정보 전달을 위한 통신 방식은 서버 클라이언트 구조로서, 따라서 데이터 집중장치는 DLMS Client 역할을 하여 계량기에 데이터를 요청(request)하는 메시지를 보내고, 계량기는 DLMS Server로서 집중장치가 요청하는 데이터를 담아 답변(response)을 하는 메시지를 전송하는 일련의 규약, 즉, 국제 표준 프로토콜에 의거하여 자동원격검침 기능을 수행한다. 전 세계의 자동 원격검침 기능을 수행하는 계량기는 이와 같은 국제 표준 프로토콜 규약을 따르기 때문에 일찌감치 상호 호환성을 확보하여 확대 보급되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데이터 집중장치와 서버구간인 WAN은 OSI-7 layer에 의거 광대역 통신망 물리계층 위에 대부분 이더넷 데이터링크 계층을 거쳐 TCP/IP 프로토콜을 통하여 그 위에 텍스트 기반의 프로토콜로 애플리케이션을 운영하고 있다. 이와 같은 텍스트 기반의 프로토콜은 POP, SMTP, HTTP등이 대표적이며, 스마트 그리드 상에서는 원격검침용으로는 IEC 61970(Common Information Model)등의 국제 표준을 XML 방식으로 구현하기도 한다. 하지만, 이는 모두 텍스트 기반으로 운영자 측면에서는 가독성이 좋지만 오버헤드가 크고, 편집 오류가 자주 발생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원격검침 분야에 적용하기 위한 국제 표준 프로토콜인 CIM 표준 및 운영 방법은 최근에까지 표준화 작업을 마치고 있지 못하는 실정이고, 세계 각국의 전력회사들은 대부분 자체 프로토콜을 제정하여 운영하고 있다.
한국전력공사에서는 이 구간의 프로토콜을 바이너리 메시지 형식으로 정의하여 운영하고 있으나, 이 프로토콜을 적용하여 운영할 때, 데이터 집중장치는 국제 표준 기반의 계량기 데이터를 검침하기 위해 서버에서 요청받은 프로토콜을 계량기 통신을 위한 프로토콜로 변환하여 통신, 데이터를 수집한 이후에 서버로 보내기 위해 다시 변환, 재가공 및 조립해야 하는 과정을 거쳐야만 한다.
또한, 가장 최종단인 계량기 데이터와 계량기 자체를 자유롭게 선택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만일 서버에서 원격검침 정책의 변화나 지능형 계량기의 추가 등을 반영하기 위해서는 새로운 프로토콜을 재정해야 하며, 원격검침 시스템 규격의 변경이 불가피하다. 실제로 KEPCO에서는 기존의 표준형 계량기보다 IEC 62056에서 정의한 OBIS 객체 데이터 개수만 2배가 넘고, 스마트 그리드에 최적화한 기능을 상당히 추가한 G-type 계량기를 개발하여 규격을 발표하였으나 현재의 원격검침 시스템에서는 이 계량기의 데이터를 담을 프로토콜이 부재하다.
또한, 서버에 의한 폴링 형식으로 서버가 요청한 답변을 집중장치가 응답하는 형식으로 주기적인 원격 검침업무가 주를 이루며, 집중장치가 서버로 보내는 메시지로는 아주 제한적인 트랩이 존재한다.
향후 스마트 그리드 환경 하에서는 다양한 기능을 갖는 계량기 규격과 종류가 빈번히 변경 또는 추가될 것이 예상되는 데 이와 같은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원격검침 시스템에서는 이를 적시에 반영할 수가 없으며, 서버-클라이언트 구조에 의한 프로토콜 방식 기반의 주기적 검침업무 외에 이벤트성 보고 형식의 메시지 수납이 어려우며, 이는 곧 계량기가 추가되거나 추가 메시지 정의가 필요할 경우 시스템 규격의 제 개정이 불가피하여, 결국 데이터 집중장치의 하드웨어 혹은 펌웨어 변경으로 이어져 관리 비용 및 시간이 소요되어 스마트 리드 환경 하에 유연하게 적용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서, 원격검침 서버와 데이터 집중장치와 원격검침 서버 간의 패킷 송수신시 계량기의 표준 프로토콜인 DLMS 프로토콜 형태의 패킷을 B-SMCP 프로토콜에 삽입하여 송신하는 바이너리 형식의 지능형 원격검침 프로토콜 처리장치와 이를 이용한 태스크 스케줄링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원격검침 서버가 B-SMCP 프로토콜을 활용하여 데이터 집중장치의 태스크 내의 스케줄을 지정하도록 하는 바이너리 형식의 지능형 원격검침 프로토콜 처리장치와 이를 이용한 태스크 스케줄링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바이너리 형식의 지능형 원격검침 프로토콜 처리장치는 원격검침 서버에서 생성한 DLMS 프로토콜 형태의 명령 패킷을 수신받는 프로토콜 수신부; 상기 수신한 DLMS 프로토콜 형태의 명령 패킷을 B-SMCP 프로토콜의 데이터 필드에 삽입하여 B-SMCP 프로토콜 형태의 명령 패킷을 생성하는 프로토콜 생성부; 및 상기 생성된 B-SMCP 프로토콜 형태의 명령 패킷을 데이터 집중장치에 전송하는 프로토콜 전송부;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토콜 생성부는, 상기 DLMS 프로토콜 형태의 명령 패킷으로부터 태스크 구분 정보, 태스크 동작 정보 및 상기 태스크 구분 정보에 따라 JOB 스케줄을 구분하는 JOB 스케줄 지정 정보에 대한 식별코드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식별코드를 상기 B-SMCP 프로토콜의 데이터 필드에 삽입하며, 상기 JOB 스케줄 지정 정보는 상기 태스크 구분 정보를 토대로 하여 상기 데이터 집중장치가 수행해야 할 태스크가 계량기를 검침하는 검침업무에 해당하는 경우 제1 JOB 스케줄로 지정하고 상기 데이터 집중장치가 수행해야 할 태스크가 상기 계량기의 검침정보를 상기 원격검침 서버로 보고하는 보고업무에 해당하는 경우 제2 JOB 스케줄로 지정하기 위한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태스크 구분 정보는 상기 데이터 집중장치가 수행해야 할 태스크를 계량기를 검침하는 검침업무 및 상기 원격검침 서버에 상기 계량기 검침데이터를 보고하는 보고업무 중 어느 하나로 구분하기 위한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태스크 관리 정보는 상기 데이터 집중장치가 수행해야 할 태스크의 동작을 설치, 검토, 상태파악, 멈춤, 재설치, 삭제 및 업데이트 중 어느 하나로 설정하기 위한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또한, 상기 프로토콜 생성부는, 상기 태스크 구분 정보에 대한 식별코드를 상기 B-SMCP 프로토콜의 태스크 구분(TASK ID) 필드에 삽입하는 태스크 구분부; 상기 태스크 동작 정보에 대한 식별코드를 상기 B-SMCP 프로토콜의 태스크 관리(TASK CMD) 필드에 삽입하는 태스크 관리부; 및 상기 JOB 스케줄 지정 정보에 대한 식별코드를 상기 B-SMCP 프로토콜의 제1 JOB(1st job) 필드 또는 제2 JOB(2nd job) 필드에 삽입하는 JOB 스케줄 지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JOB 스케줄 지정부는, 상기 JOB 스케줄 지정 정보에 대한 식별코드가 상기 데이터 집중장치의 태스크가 계량기를 상대로 하는 업무에 해당하는 검침식별코드인 경우, 상기 제1 JOB 필드에 상기 검침식별코드를 삽입하여 해당 태스크에 제1 JOB 스케줄을 지정하는 제1 JOB 스케줄 지정부; 및 상기 JOB 스케줄 지정 정보에 대한 식별코드가 상기 데이터 집중창치의 태스크가 상기 원격검침 서버를 상대로 하는 업무에 해당하는 보고식별코드인 경우, 상기 제2 JOB 필드에 상기 보고식별코드를 삽입하여 해당 태스크에 제2 JOB 스케줄을 지정하는 제2 JOB 스케줄 지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 JOB 스케줄과 상기 제2 JOB 스케줄은 시작조건, 반복조건 및 종료조건이 각각 배타적으로 설정되고, 수행시간은 상대시간 또는 절대시간으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프로토콜 전송부는 상기 데이터 집중장치로부터 전송되는 계량기 검침데이터를 DLMS 프로토콜 형태의 응답 패킷으로 생성하여 상기 원격검침 서버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프로토콜 생성부는 상기 태스크 구분 정보를 토대로 우선순위 정의에 대한 식별코드를 추출하고, 이를 상기 B-SMCP 프로토콜의 우선순위(Priority)필드에 삽입하는 우선순위 정의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태스크 스케줄링 장치는 프로토콜 처리장치로부터 수신된 B-SMCP 프로토콜 형태의 명령 패킷을 토대로, 데이터 집중장치에 계량기를 검침하는 검침업무 또는 원격검침 서버에 계량기 검침정보를 보고하는 보고업무 중 어느 하나의 태스크와 이에 대한 동작 명령을 부여하는 태스크 부여부; 상기 데이터 집중장치가 수행해야 할 태스크가 상기 검침업무에 해당하는 경우 상기 태스크를 제1 JOB 스케줄로 수행시키는 제1 JOB 스케줄러; 및 상기 데이터 집중장치가 수행해야 할 태스크가 상기 보고업무에 해당하는 경우 상기 제1 JOB 스케줄 완료 후 상기 태스크를 제2 JOB 스케줄로 수행시키는 제2 JOB 스케줄러;를 포함하고, 상기 태스크 부여부는, 상기 B-SMCP 프로토콜 형태의 명령 패킷으로부터 태스크 구분 정보에 대한 식별코드를 식별하여, 상기 데이터 집중장치에 상기 검침업무 및 상기 보고업무 중 어느 하나의 업무를 부여하는 업무 부여부; 및 상기 B-SMCP 프로토콜 형태의 명령 패킷으로부터 태스크 동작 정보에 대한 식별코드를 식별하여, 상기 데이터 집중장치에 설치, 검토, 상태파악, 멈춤, 재설치, 삭제 및 업데이트 중 어느 하나의 동작 명령을 부여하는 동작 명령 부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또한, 상기 제1 JOB 스케줄러는 상기 B-SMCP 프로토콜 형태의 명령 패킷으로부터 JOB 스케줄 지정 정보에 대한 검침식별코드를 식별하고, 상기 제2 JOB 스케줄러는 상기 B-SMCP 프로토콜 형태의 명령 패킷으로부터 JOB 스케줄 지정 정보에 대한 보고식별코드를 식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 JOB 스케줄러와 상기 제2 JOB 스케줄러는 시작조건, 반복조건 및 종료조건이 각각 배타적으로 설정되고, 수행시간은 상대시간 또는 절대시간으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 JOB 스케줄러는 상기 부여된 검침업무와 이에 대한 동작 명령에 따라 제1 JOB 스케줄로 상기 계량기를 검침하는 검침부; 및 상기 계량기 검침데이터를 수집하는 제1 데이터 수집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 JOB 스케줄러는 상기 제1 JOB 스케줄러에 의해 수집된 상기 계량기 검침데이터를 수집하여 전송하는 제2 데이터 수집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 JOB 스케줄러는 상기 제1 JOB 스케줄러로부터 상기 계량기 검침데이터를 DLMS 프로토콜 형태의 응답 패킷으로 수신 받아 이를 상기 프로토콜 처리장치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태스크 스케줄링 방법은 프로토콜 처리장치로부터 수신된 B-SMCP 프로토콜 형태의 명령 패킷을 토대로, 데이터 집중장치에 계량기를 검침하는 검침업무 또는 원격검침 서버에 계량기 검침정보를 보고하는 보고업무 중 어느 하나의 태스크 및 상기 부여된 태스크에 대한 동작 명령을 부여하는 단계; 상기 데이터 집중장치가 수행해야 할 태스크가 상기 검침업무에 해당하는 경우 제1 JOB 스케줄러에 의해, 상기 태스크를 제1 JOB 스케줄로 수행시키는 단계; 및 상기 데이터 집중장치가 수행해야 할 태스크가 상기 보고업무에 해당하는 경우 제2 JOB 스케줄러에 의해, 상기 제1 JOB 스케줄 완료 후 상기 태스크를 제2 JOB 스케줄로 수행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태스크 및 상기 부여된 태스크에 대한 동작 명령을 부여하는 단계; 상기 B-SMCP 프로토콜 형태의 명령 패킷으로부터 태스크 구분 정보에 대한 식별코드를 식별하여, 상기 데이터 집중장치에 상기 검침업무 및 상기 보고업무 중 어느 하나의 업무를 부여하고, 상기 B-SMCP 프로토콜 형태의 명령 패킷으로부터 태스크 동작 정보에 대한 식별코드를 식별하여, 상기 데이터 집중장치에 설치, 검토, 상태파악, 멈춤, 재설치, 삭제 및 업데이트 중 어느 하나의 동작 명령을 부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또한, 상기 태스크를 제1 JOB 스케줄로 수행시키는 단계는, 상기 B-SMCP 프로토콜 형태의 명령 패킷으로부터 JOB 스케줄 지정 정보에 대한 검침식별코드를 식별하여, 상기 부여된 검침업무와 이에 대한 동작 명령에 따라 제1 JOB 스케줄로 상기 계량기를 검침하고 그 검침데이터를 수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태스크를 제2 JOB 스케줄로 수행시키는 단계는, 상기 B-SMCP 프로토콜 형태의 명령 패킷으로부터 JOB 스케줄 지정 정보에 대한 보고식별코드를 식별하여, 상기 제1 JOB 스케줄러에 의해 수집된 상기 계량기 검침데이터를 수집하여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태스크를 제2 JOB 스케줄로 수행시키는 단계 이후에, 상기 제1 JOB 스케줄러로부터 상기 계량기 검침데이터를 DLMS 프로토콜 형태의 응답 패킷으로 수신 받아 이를 상기 프로토콜 처리장치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의한 바이너리 형식의 지능형 원격검침 프로토콜 처리장치와 이를 이용한 태스크 스케줄링 장치 및 그 방법은 원격검침 서버와 데이터 집중장치 간의 패킷 송수신시 계량기의 표준 프로토콜인 DLMS 프로토콜 형태의 패킷을 B-SMCP 프로토콜에 삽입하여 송신함으로써, 데이터 집중장치에서의 프로토콜 처리를 단순화하여 패킷 송수신의 처리 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원격검침 서버가 B-SMCP 프로토콜을 활용하여 데이터 집중장치의 태스크 내의 스케줄을 지정하고 지정된 스케줄에 따라 데이터 집중장치로부터 데이터를 수신 받음으로써, 적시 검침을 구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원격검침 서버가 B-SMCP 프로토콜을 활용하여 데이터 집중 장치의 태스크를 업무 성격에 따라 분리한 스케줄을 지정함으로써, 데이터 집중장치의 프로세스 지능적인 운영을 실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바이너리 형식의 지능형 원격검침 프로토콜 처리장치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바이너리 형식의 지능형 원격검침 프로토콜 처리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바이너리 형식의 지능형 원격검침 프로토콜 처리장치의 세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3에서의 JOB 스케줄 지정부의 세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바이너리 형식의 지능형 원격검침 프로토콜의 프레임 구조에서 태스크 관리 필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5에서의 태스크 구분(Task ID) 필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5에서의 태스크 관리Task CMD) 필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도 5에서의 JOB 지정 필드(1st job, 2nd job)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JOB 지정 필드의 스케줄 지정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10은 제1 JOB 스케줄의 절대시간 지정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은 제2 JOB 스케줄의 상대시간 지정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바이너리 형식의 지능형 원격검침 프로토콜을 이용한 태스크 스케줄링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은 도 12의 태스크 스케줄링 장치에 채용되는 태스크 부여부의 세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4는 도 12의 태스크 스케줄링 장치에 채용되는 제1 JOB 스케줄러 및 제2 JOB 스케줄러의 세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바이너리 형식의 지능형 원격검침 프로토콜을 이용한 태스크 스케줄링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바이너리 형식의 지능형 원격검침 프로토콜을 이용한 태스크 스케줄링 처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바이너리 형식의 지능형 원격검침 프로토콜을 이용한 태스크 스케줄링 처리 방법을 자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출력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먼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바이너리 형식의 지능형 원격검침 프로토콜을 이용한 태스크 스케줄링 장치 및 그 방법의 실시예에 사용되는 용어 및 프로토콜의 일례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1. B-SMCP(Smart Metering Concentrator control Protocol)는 바이너리 기반 지능형 검침 프로토콜을 의미한다.
2. 태스크(TASK)는 B-SMCP내에 집중장치가 검침 작업을 수행할 계량기와 검침 데이터리스트와 검침 스케줄을 포함하는 업무 지시 단위를 의미한다.
3. JOB은 하나의 태스크 내에 복수 개로 존재하는 집중장치의 단위 업무를 의미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바이너리 형식의 지능형 원격검침 프로토콜 처리장치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바이너리 형식의 지능형 원격검침 프로토콜 처리장치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여기서, 바이너리 기반의 지능형 원격검침 프로토콜은 태스크를 구분하는 프로토콜 프레임 내에 지능형 원격검침 시스템의 가장 하위 단인 계량기가 알 수 있는 표준 프로토콜 규격인 DLMS 프레임을 삽입하는 방식으로, 데이터 집중장치에서 프로토콜의 재해석 및 조립 없이도 계량기 측에 바로 프레임을 활용할 수 있다. 즉, 계량기에 DLMS 프로토콜을 효율적으로 전송할 수 있도록, 데이터 집중장치 내의 DLMS Client 모듈에 데이터 요청하는 서비스 코드(0XC0, GET.request에 해당하는 헥사값) 및 해당 CLASS ID, 해당 OBIS 코드, 해당 attribute를 포함하여 DLMS 요청 서비스 메시지를 시퀀셜하게 넣는 것이다.
이와 같이, 바이너리 기반의 지능형 원격검침 프로토콜은 이더넷 프레임 중 DLMS 프레임을 활용하여 바이너리 기반으로 함으로써 데이터 집중장치의 효율적인 프로토콜 처리를 가능하게 한다.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에 따른 프로토콜 처리장치(200)는 원격검침 서버(100), 프로토콜 처리장치(200), 데이터 집중장치(300), 계량기(5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원격검침 서버(100)는 다양한 형태의 계량기(500)들로부터 정보를 전송 받고, 전송된 원격검침 정보를 통하여 종합적으로 관리 제어한다. 즉, 원격검침 서버(100)는 데이터 집중장치(300)에 원격검침 정보를 요구하고, 수신된 원격검침 정보를 저장하고, 이미 저장된 원격검침 정보를 업데이트 한다. 그리고 원격검침 서버(100)는 관리자 또는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저장된 원격검침 정보를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처럼, 원격검침 서버(100)는 계량기(500)들로부터 수집된 원격검침 정보를 수집하기 위해 원격검침 정보 수집에 관련된 명령을 포함하는 명령 패킷을 생성하여 프로토콜 처리장치(200)에 전송한다. 이때, 원격검침 서버(100)는 계량기(500)의 표준 프로토콜인 DLMS 프로토콜 형태로 명령 패킷을 생성하여 프로토콜 처리장치(200)에 전송한다.
프로토콜 처리장치(200)는 원격검침 서버(100)측에 설치되어 원격검침 서버(100)에서 생성한 DLMS 프로토콜 형태의 명령 패킷을 B-SMCP 프로토콜로 생성하여 데이터 집중장치(300)에게 전송한다, 프로토콜 처리장치(200)는 데이터 집중장치(300)로부터 수신한 B-SMCP 프로토콜에서 DLMS 프로토콜 형태의 응답 패킷을 검출하여 원격검침 서버(100)에게로 전송한다. 물론, 프로토콜 처리장치(200)는 DLMS 프로토콜 형태의 응답 패킷을 포함하는 B-SMCP 프로토콜을 변환 및 검출 처리 없이 원격검침 서버(100)에게로 전송할 수도 있다. 여기서, 프로토콜 처리장치(200)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별도의 장치로 도시하였으나, 원격검침 서버(100)에 내장된 모듈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다.
프로토콜 처리장치(200)는 원격검침 서버(100)로부터 수신한 프로토콜을 B-SMCP 프로토콜로 변환하여 데이터 집중장치(300)에게 전송한다. 즉, 프로토콜 처리장치(200)는 원격검침 서버(100)로부터 DLMS 프로토콜 형태의 명령 패킷을 수신한다. 프로토콜 처리장치(200)는 태스크 구분(Task ID) 필드, 태스크 관리(Task CMD) 필드 및 데이터 집중 장치의 태스크를 업무 성격에 따라 분리하여 지정한 JOB 스케줄링 관련한 명령 패킷을 포함하는 B-SMCP 프로토콜을 생성한다. 이때, 프로토콜 처리장치(200)는 태스크 구분 필드에 명령 패킷을 수신할 계량기(500)의 타입에 따라 설정된 태스크 아이디를 설정하고, B-SMCP 프로토콜의 데이터 필드에 DLMS 프로토콜 형태의 명령 패킷을 삽입하여 B-SMCP 프로토콜을 생성한다. 프로토콜 처리장치(200)는 생성한 B-SMCP 프로토콜을 데이터 집중장치(300)에게로 전송한다. 이러한 B-SMCP 프로토콜의 형태는 이후 자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프로토콜 처리장치(200)는 데이터 집중장치(300)로부터 수신한 DLMS 프로토콜을 원격검침 서버(100)에게로 전송한다. 즉, 프로토콜 처리장치(200)는 수신한 DLMS 프로토콜 형태의 응답 패킷을 검출하여 원격검침 서버(100)에게로 전송한다.
데이터 집중장치(300)는 프로토콜 처리장치(200)로부터 수신한 태스크 구분 필드의 아이디를 근거로 수신한 명령 패킷을 대상 계량기(500)에게로 전송한다. 즉, 데이터 집중장치(300)는 프로토콜 처리장치(200)로부터 수신한 태스크 구분 필드의 아이디에 해당하는 계량기(500)를 대상 계량기(500)로 설정한다. 데이터 집중장치(300)는 B-SMCP 프로토콜로부터 DLMS 프로토콜 형태의 명령 패킷을 추출하여 기 설정된 대상 계량기(500)에게로 전송한다.
데이터 집중장치(300)는 계량기(500)로부터 기 전송한 명령 패킷에 대한 응답 패킷을 수신하여 프로토콜 처리장치(200)에게로 전송한다. 즉, 데이터 집중장치(300)는 계량기(500)로부터 DLMS 프로토콜 형태의 응답 패킷을 수신한다. 데이터 집중장치(300)는 수신한 응답 패킷을 프로토콜 처리장치(200)에게로 전송한다.
계량기(500)는 데이터 집중장치(300)로부터 명령 패킷을 수신한다. 이때, 계량기(500)는 데이터 집중장치(300)로부터 DLMS 프로토콜 형태의 명령 패킷을 수신한다. 계량기(500)는 기수신한 명령 패킷에 대한 응답 패킷을 생성하여 데이터 집중장치(300)에게로 전송한다. 이때, 계량기(500)는 DLMS 프로토콜 형태의 응답 패킷을 생성하여 데이터 집중장치(300)에게로 전송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바이너리 형식의 지능형 원격검침 프로토콜 처리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바이너리 형식의 지능형 원격검침 프로토콜 처리장치의 세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에 따른 프로토콜 처리장치(200)는 프로토콜 수신부(210), 프로토콜 생성부(220) 및 프로토콜 전송부(2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프로토콜 수신부(210)는 원격검침 서버(100)에서 생성한 DLMS 프로토콜 형태의 명령 패킷을 수신 받는다.
프로토콜 생성부(220)는 수신한 DLMS 프로토콜 형태의 명령 패킷을 B-SMCP 프로토콜의 데이터 필드에 삽입하여 B-SMCP 프로토콜 형태의 명령 패킷을 생성한다. 프로토콜 생성부는 상기 DLMS 프로토콜 형태의 명령 패킷으로부터 태스크 구분 정보, 태스크 동작 정보 및 JOB 스케줄 지정 정보에 대한 식별코드를 추출하고, 이를 상기 B-SMCP 프로토콜의 데이터 필드에 삽입한다.
이를 위해, 프로토콜 생성부(22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태스크 구분부(221), 태스크 관리부(222), JOB 스케줄 지정부(223), 우선순위 부여부(224), 계량기 정보부(225) 및 검침 정보부(22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태스크 구분부(221)는 태스크 구분 정보에 대한 식별코드를 B-SMCP 프로토콜의 태스크 구분(TASK ID) 필드에 삽입한다. 이때, 태스크 구분 정보는 데이터 집중장치(300)가 수행해야 할 태스크를 계량기(500)를 검침하는 검침업무 및 원격검침 서버(100)에 계량기(500) 검침데이터를 보고하는 보고업무 중 어느 하나로 구분하기 위한 정보이다.
태스크 관리부(222)는 태스크 동작 정보에 대한 식별코드를 B-SMCP 프로토콜의 태스크 관리(TASK CMD) 필드에 삽입한다. 이때, 태스크 동작 정보는 데이터 집중장치(300)가 수행해야 할 태스크의 동작을 설치, 검토, 상태파악, 멈춤, 재설치, 삭제 및 업데이트 중 어느 하나로 설정하기 위한 정보이다.
JOB 스케줄 지정부(223)는 JOB 스케줄 지정 정보에 대한 식별코드를 상기 B-SMCP 프로토콜의 제1 JOB(1st job) 필드 또는 제2 JOB(2nd job) 필드에 삽입한다. 이때, JOB 스케줄 지정 정보는 태스크 구분 정보를 토대로 하여 데이터 집중장치(300)가 수행해야 할 태스크가 계량기(500)를 검침하는 검침업무에 해당하는 경우 제1 JOB 스케줄로 지정하고 데이터 집중장치(300)가 수행해야 할 태스크가 계량기(500)의 검침정보를 원격검침 서버(100)로 보고하는 보고업무에 해당하는 경우 제2 JOB 스케줄로 지정하기 위한 정보이다.
우선순위 정의부(224)는 태스크 구분 정보를 토대로 우선순위 정의에 대한 식별코드를 추출하고, 이를 B-SMCP 프로토콜의 우선순위(Priority)필드에 삽입한다. 우선순위 정의부(224)는 스마트 그리드의 환경 하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이벤트성 업무의 경우에는 데이터 집중장치(300)가 가지고 있는 다양한 프로세스들의 운영과는 다르게 우선적으로 처리해야 할 태스크가 있는 경우에 활용된다.
계량기 정보부(225)는 계량기 정보 대한 식별코드를 추출하고, 이를 B-SMCP 프로토콜의 계량기 관리(meterinfor) 필드에 삽입한다.
검침 정보부(226)는 검침 정보에 대한 식별코드를 추출하고, 이를 -SMCP 프로토콜의 검침 정보(OBIS) 필드에 삽입한다.
프로토콜 전송부(230)는 생성된 B-SMCP 프로토콜 형태의 명령 패킷을 데이터 집중장치(300)에 전송하고, 데이터 집중장치(300)로부터 전송되는 계량기(500) 검침데이터 토대로 DLMS 프로토콜 형태의 응답 패킷으로 생성하여 원격검침 서버(100)에 전송한다.
도 4는 도 3에서의 JOB 스케줄 지정부의 세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에 따른 JOB 스케줄 지정부(223)는 제1 JOB 스케줄 지정부(223a) 및 제2 JOB 스케줄 지정부(223b)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1 JOB 스케줄 지정부(223a)는 JOB 스케줄 지정 정보에 대한 식별코드가 상기 데이터 집중창치의 태스크가 계량기(500)를 상대로 하는 업무에 해당하는 검침식별코드인 경우, 제1 JOB 필드에 검침식별코드를 삽입하여 해당 태스크에 검침업무를 수행하기 위한 제1 JOB 스케줄을 지정한다.
제2 JOB 스케줄 지정부(223b)는 JOB 스케줄 지정 정보에 대한 식별코드가 상기 데이터 집중창치의 태스크가 상기 원격검침 서버(100)를 상대로 하는 업무에 해당하는 보고식별코드인 경우, 제2 JOB 필드에 보고식별코드를 삽입하여 해당 태스크에 보고업무를 수행하기 위한 제2 JOB 스케줄을 지정한다.
이를 통해, 데이터 집중장치(300)는 제1 JOB 스케줄 이후에 모아진 데이터를 모아서 제2 JOB 스케줄을 통해 원격검침 서버(100)에 보고하게 된다. 즉, 원격검침 서버(100)가 프로토콜 처리장치(200)를 이용해 태스크 내에 스케줄을 지정해 줌으로써 적시 검침을 구현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제1 JOB 스케줄과 상기 제2 JOB 스케줄은 시작조건, 반복조건 및 종료조건이 각각 배타적으로 설정하고, 수행시간은 상대시간 또는 절대시간으로 설정함으로써, 데이터 집중장치(300)의 업무를 세분화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JOB 스케줄과 상기 제2 JOB 스케줄의 반복 조건, 시작조건, 종료조건을 페어로 배타적으로 지정하는 이유는 데이터 집중장치(300)의 JOB1 스케줄 및 JOB2 각각의 스케줄이 중복되거나 논리적 오류에 빠져 무한 루프에 빠지거나, 본 JOB의 프로세스가 사장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이다. 예를 들면, 반복조건과 시작조건이 있으나, 종료조건을 제시하지 않아 데이터 집중장치(300)가 수명을 다할 때까지, TASK에 해당하는 업무를 반복시행 한다면, 각각의 업무는 고유한 프로세스로 할당, 각각의 프로세스가 무한히 반복됨으로 임베디드 시스템의 자원 낭비가 될 것이다. 따라서, 설치 조건을 제시하고, 종료 조건을 제시함으로 프로세스 자원 할당에 한계를 둔다. 이를 통해 효율적으로 자원관리를 할 수 있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바이너리 형식의 지능형 원격검침 프로토콜의 프레임 구조에서 태스크 관리 필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에 따른 프로토콜의 프레임은 설치와 끝을 알려주는 FLAG 필드인 SOF(Start of Flag) 와 EOF(End of Flag)사이에 헤더와 데이터로 나뉘는 구조이다. 헤더 부분의 바이트 수와 포맷을 일치시킴으로 펌웨어의 수정 없이 기존에 운영하던 원격검침시스템을 그대로 활용할 수가 있으면서, 헤더 부분에 CMD 필드를 활용하여, 고유 식별자를 통해 B-SMCP 프로토콜을 구분한다. 즉, 기존의 데이터 집중장치(300)가 처리하던 FEP 프로토콜 헤더 처리를 그대로 활용할 수가 있기 때문에 서버(100)와 데이터 집중장치(300)에서 프로토콜 분류를 하는 처리기가 간단해진다.
B-SMCP 프로토콜은 데이터 집중장치(300)의 업무를 알려주는 태스크 구분(TASK ID) 필드(10), 태스크 관리(TASK CMD) 필드(20), 제1 JOB(1st) 필드(31), 제2 JOB(2nd) 필드(35), 우선순위(Priority) 필드(40), 계량기 관리(meterinfor) 필드(50) 및 검침 정보(OBIS) 필드(60)를 포함한다.
태스크 관리(TASK ID) 필드(10)는 데이터 집중장치(300)가 수행해야 할 태스크를 계량기(500)를 검침하는 검침업무 및 원격검침 서버(100)에 계량기(500) 검침데이터를 보고하는 보고업무 중 어느 하나로 구분하기 위한 태스크 구분 정보의 식별코드가 삽입된다.
태스크 관리(TASK CMD) 필드(20)는 데이터 집중장치(300)가 수행해야 할 태스크의 동작을 설치, 검토, 상태파악, 멈춤, 재설치, 삭제 및 업데이트 중 어느 하나로 설정하기 위한 태스크 동작 정보의 식별코드가 삽입된다.
제1 JOB(1st) 필드(31)는 태스크 구분 정보를 토대로 하여 상기 데이터 집중장치(300)가 수행해야 할 태스크가 계량기(500)를 검침하는 검침업무에 해당하는 경우 제1 JOB 스케줄로 지정하기 위한 JOB 스케줄 지정 정보의 검침식별코드(32,33)가 삽입된다.
제2 JOB(2nd) 필드(35)는 데이터 집중장치(300)가 수행해야 할 태스크가 상기 계량기(500)의 검침정보를 상기 원격검침 서버(100)로 보고하는 보고업무에 해당하는 경우 제2 JOB 스케줄로 지정하기 위한 JOB 스케줄 지정 정보의 보고식별코드(36,37)가 삽입된다.
우선순위(Priority) 필드(40)는 데이터 집중장치(300)가 가지고 있는 다양한 프로세스들의 운영과는 다르게 우선적으로 처리해야 할 태스크가 있는 경우를 표시하기 위한 식별코드가 삽입된다.
그리고 계량기 관리(meterinfor) 필드(50) 및 검침 정보(OBIS) 필드(60)를 통해 계량기와 검침데이터를 지정 및 선택함으로 원격검침 서버(100)에서 자유롭게 AMI의 최종 단말기인 계량기(500)와 데이터 수집 명령을 내릴 수 있게 된다. 또한, B-SMCP 프로토콜을 통해 검침은 물론 계량기(500)의 설정도 가능하다. 이때는, 원격검침 서버(100)에서 각각 태스크에 해당하는 계량기(500)들의 설정 정보를 직접 핸들링 할 수가 있는 장점이 있다. 예를 들면, 정기 검침일 등을 변경하여 원격검침 서버(100)에서 해당 고객 및 해당 계량기(500)의 이사 정산 등에 활용 가능하다. 지금까지는 고객 측의 계량기(500)에 직접 검침 후, 정기검침일 설정을 계기에서 수동으로 입력해줘야 했는데, 본 B-SMCP 프로토콜을 활용하게 되면, 원격검침 서버(100)에서 원격으로 고객의 이사 정산을 지원해 줄 수 있다. 검침 업무의 인력과 프로세스가 간단해지면서, 유지보수 비용이 획기적으로 줄어들게 된다.
도 6은 도 5에서의 태스크 구분(Task ID) 필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태스크 관리(TASK ID) 필드(10)는 데이터 집중장치(300)가 수행해야 할 태스크를 계량기(500)를 검침하는 검침업무 및 원격검침 서버(100)에 계량기(500) 검침데이터를 보고하는 보고업무 중 어느 하나로 구분하기 위한 태스크 구분 정보의 식별코드가 삽입된다.
보다 자세하게, 태스크 관리(TASK ID) 필드(10)는 데이터 집중장치(300)가 수행해야 할 태스크를 주기 검침군(정기검침, 현재검침, LP 검침)과 비주기 검침군(이력검침, 수시검침), 설정군(TOU, SM설정), 이벤트 보고를 위한 TRAP군(이벤트 통보), 직접 검침군(통과모드)로 구분하고 있고, 식별코드는 4byte TASK ID를 활용한다. 이처럼 태스크 관리의 최초 설치는 태스크 관리(TASK ID) 필드를 통해서이다.
TASK ID는 4byte를 활용하는데, 상위 2byte는 크게 주기검침, 비 주기검침, 계기 설정, TRAP 등의 업무를 구분하기 위하여 사용한다. 스마트 그리드의 원격검침에 해당하는 데이터 집중장치(300)의 업무는 주기검침, 비주기 검침, 계량기 설정, 이벤트성 TRAP 처리 등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는다. 이 외의 업무성격은 4byte 의 상위 두 바이트를 규칙성 있게 확장시켜 활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TASK ID를 통한 태스크 구분은 업무 성격에 따른 TASK 관리 필요성이 있기 때문이다. 특히나, TASK ID는 데이터 집중장치(300)의 보고메시지에 동일한 TASK ID를 가지고 원격검침 서버(100)에 데이터를 전송하기 때문에, 데이터 집중 장치의 업무 성격에 따라 분류함으로 원격검침 서버(100) 운영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이때, TASK ID의 상위 2 바이트로 태스크 범주를 표기하며, 나머지 바이트는 각 범주의 태스크 내에 시퀀스 넘버로 활용함으로, 이론적으로는 각 검침 태스크 별로 2^16 개의 태스크가 존재함으로 향후 원격 검침 서버(100)에서 다양한 종류의 검침 임무가 추가되더라도 운용 가능하다.
도 7은 도 5에서의 태스크 관리(Task CMD) 필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에 따른 태스크 관리 (Task_CMD) 필드(20)는 데이터 집중장치(300)가 수행해야 할 태스크의 동작을 설치, 검토, 상태파악, 멈춤, 재설치, 삭제 및 업데이트 중 어느 하나로 설정하기 위한 태스크 동작 정보의 식별코드가 삽입된다.
보다 자세하게, 태스크 관리(Task CMD) 필드는 원격검침 서버(100)에서 작성한 태스크의 관리를 위한 코드를 정의한다. 원격검침 서버(100)는 기본적으로 계량기 종류, 혹은 스케줄 종류 및 요금제의 종류에 따른 다양한 태스크 리스트를 갖고 있다. 1byte로 구성된 태스크 관리(Task CMD) 필드의 식별코드는 01 에서 07 고유값을 가지고, 그 갑에 따라 설치(New Task Install), 검토(Task review), 상태파악(Task Status Read), 멈춤(Task Pause), 재설치(Task Resume), 삭제(Task Delete) 및 업데이트(Task List) 등의 기능을 구현하여, 태스크 관리의 효율성을 높인다. 예를 들면, ‘설치’을 통해 데이터 집중장치(300)에 태스크를 입력하고, 오랜 시일이 지난 후에 데이터 집중장치(300) 하위의 계량기(500)가 바뀌거나 고객이 바뀐 경우, 또는 요금제가 바뀐 경우, 태스크를 변경해줘야 할 필요성이 있을 때는‘검토’, ‘상태파악', ‘업데이트’동작 명령을 통해 데이터 집중장치(300)의 태스크의 현 상황을 조사한 후, ‘멈춤’, ‘재설치’, ‘삭제’ 등의 태스크 실행 명령을 원격검침 서버(100)에서 데이터 집중장치(300)에 내려주면, 원격검침 서버(100)와 데이터 집중장치(300)간의 태스크 관리가 용이해진다. 전력회사의 원격검침 서버(100)는 광역시 단위(전국 도단위 , 광역시 단위 사업소)별로 존재하며, 하나의 원격검침 서버(100)가 관리하는 데이터 집중장치(300)의 수는 그 수를 헤아릴 수 없이 많이 존재하기 때문에 이와 같은 방법을 통하여 획기적으로 태스크 관리를 할 수 있게 된다.
도 8은 도 5에서의 JOB 지정 필드(1st job, 2nd job)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9는 JOB 지정 필드의 스케줄 지정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10은 제1 JOB 스케줄의 절대시간 지정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11은 제2 JOB 스케줄의 상대시간 지정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에 따른 JOB 지정 필드(30)는 우선 제1 JOB(1st) 필드(31)는 태스크 구분 정보를 토대로 하여 데이터 집중장치(300)가 수행해야 할 태스크가 계량기(500)를 검침하는 검침업무에 해당하는 경우 제1 JOB 스케줄로 지정하기 위한 JOB 스케줄 지정 정보의 검침식별코드(32,33)가 삽입된다. 그리고 제2 JOB(2nd) 필드는 데이터 집중장치(300)가 수행해야 할 태스크가 계량기의 검침정보를 상기 원격검침 서버(100)로 보고하는 보고업무에 해당하는 경우 제2 JOB 스케줄로 지정하기 위한 JOB 스케줄 지정 정보의 보고식별코드가 삽입된다.
보다 자세하게, 기본적으로 데이터 집중장치(300)의 역할이 하위 단으로는 계량기(500) 검침데이터 수집, 상위 단으로는 원격검침 서버(100)로 검침데이터를 보고해야 하므로, 하나의 태스크 안에 두 가지 기본 단위 업무(JOB)가 존재한다. 제1 JOB(1st) 필드는 계량기(500) 검침 및 설정에 관한 업무로 계량기(500)의 원격검침 표준 프로토콜인 DLMS의 GET, SET, ACTION 등의 서비스들을 고려하여 지정한다. 계량기(500)를 상대로 하는 업무 표시를 1byte 로 단순화하고, 각각의 DLMS 서비스를 식별코드로 지정하는 방식으로 서버(100)에서 운영자로 하여금 태스크에 해당하는 검침업무 종류를 인지하여 효율적으로 운영 가능하게 한다.
또한, 제2 JOB(2nd) 필드(35)는 제1 JOB 스케줄 수행 이후 집중장치(300)가 서버(100)로 보고하는 업무의 종류를 제시한다. 이를 통해 주기적인 보고, 비주기성 보고, 일회용 보고 등을 실어 보냄으로 스마트 그리드 환경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이벤트성 데이터 처리를 간단하게 처리할수 있다. 서버(100)를 상대로 하는 업무의 경우에는 SMCP프로토콜을 통해 데이터를 수집하는 방식으로, SMCP의 서버(100) 상대 서비스들인 Roport, Notify, Trap, Event 등의 업무를 각각 1byte의 보고식별코드(36,37)로 지정하여 운영한다. 또한 이 필드(35)를 통해서 데이터 집중장치(300)의 데이터 전송방식을 기존에는 서버(100)에서 데이터를 폴링하던 방식과는 다르게 제1 JOB 스케줄 업무 이후에 모아진 데이터를 데이터 집중장치(300)에서 먼저 보고하는 방식의 구현이 획기적이다,
그리고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JOB 스케줄과 제2 JOB 스케줄은 반복조건, 시작조건, 종료조건을 각각 배타적으로 지정하고, 시간 설정은 도 10 및 도 11과 같이 상대시간 방식 및 절대 시간 방식으로 지정함으로 집중장치(300)의 검침 업무를 세분화할 수 있다. 이처럼 반복 조건(StrType, StrTime), 시작조건(RptType, RptTime), 종료조건(EndType, EndTime)을 페어로 배타적으로 지정하는 이유는 데이터 집중장치(300)의 제1 JOB 스케줄 및 제2 JOB 스케줄이 중복되거나 논리적 오류에 빠져 무한 루프에 빠지거나, 본 JOB의 프로세스가 사장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이다. 예를 들면, 반복조건과 시작조건이 있으나, 종료조건을 제시하지 않아 데이터 집중장치(300)가 수명을 다할 때까지, 태스크에 해당하는 업무를 반복시행 한다면, 각각의 업무는 고유한 프로세스로 할당, 각각의 프로세스가 무한히 반복됨으로 임베디드 시스템의 자원 낭비가 될 것이다. 따라서, 시작 조건을 제시하고, 종료 조건을 제시함으로 프로세스 자원 할당에 한계를 둔다. 이를 통해 효율적으로 자원관리를 할 수 있게 된다.
이렇게, 제1 JOB 스케줄과 제2 JOB 스케줄은 데이터 집중장치(300)의 스케줄러에 의해 병렬 동작되는데, 시작조건, 반복조건, 종료 조건의 경우에는 각각의 JOB내에서 논리적 오류 방지 및 프로세스 자원의 효율적 활용 목적도 있지만, 제1 JOB 스케줄 및 제2 JOB2 스케줄이 꼬이는 문제도 방지하는 데 효율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제2 JOB 스케줄의 시작 조건을 제2 JOB 스케줄 이후에 상대시간(StrType=0x00) 조건일 때, 30분(StrTime=0x000030) 이후로 지정을 하면, 데이터 집중장치(300)는 하위 계량기 데이터를 수집하는 제1 JOB 스케줄을 마치고, 30분 이후에 이를 원격검침 서버(100)에 보고하는 제2 JOB 스케줄을 수행하게 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바이너리 형식의 지능형 원격검침 프로토콜을 이용한 태스크 스케줄링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13은 도 12의 태스크 스케줄링 장치에 채용되는 태스크 부여부의 세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에 따른 태스크 스케줄링 장치(400)는 태스크 부여부(410), 제1 JOB 스케줄러(420) 및 제2 JOB 스케줄러(430)를 포함한다.
태스크 스케줄링 장치(400)는 앞서 설명한 프로토콜 처리장치(200)에 의해 생성된 B-SMCP 프로토콜 형태의 명령 패킷을 식별하여, 지정된 스케줄대로 데이터 집중장치(300)가 태스크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태스크 스케줄링 장치(400)의 세부 구성요소는 동일한 B-SMCP 프로토콜 형태의 명령 패킷을 통해 수행된다.
태스크 부여부(410)는 데이터 집중장치(300)에 계량기(500)를 검침하는 검침업무 또는 원격검침 서버(100)에 계량기(500) 검침정보를 보고하는 보고업무 중 어느 하나의 태스크와 이에 대한 동작 명령을 부여한다.
이를 위해, 태스크 부여부(410)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업무 부여부(411) 및 동작 명령 부여부(412)를 포함한다.
업무 부여부(411)는 B-SMCP 프로토콜 형태의 명령 패킷으로부터 태스크 구분 정보에 대한 식별코드를 식별하여, 데이터 집중장치(300)에 검침업무 및 보고업무 중 어느 하나의 업무를 부여한다.
동작 명령 부여부(412)는 B-SMCP 프로토콜 형태의 명령 패킷으로부터 태스크 동작 정보에 대한 식별코드를 식별하여, 데이터 집중장치(300)에 설치, 검토, 상태파악, 멈춤, 재설치, 삭제 및 업데이트 중 어느 하나의 동작 명령을 부여한다.
제1 JOB 스케줄러(420)는 데이터 집중장치(300)가 수행해야 할 태스크가 상기 검침업무에 해당하는 경우 태스크를 제1 JOB 스케줄로 수행시킨다.
제2 JOB 스케줄러(430)는 데이터 집중장치(300)가 수행해야 할 태스크가 상기 보고업무에 해당하는 경우 제1 JOB 스케줄 완료 후 태스크를 제2 JOB 스케줄로 수행시킨다.
여기서, 태스크 스케줄링 장치(400)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데이터 집중장치(300)에 내장된 모듈형태로 도시하였으나, 별도의 장치로 구성될 수도 있다.
도 14는 도 12의 태스크 스케줄링 장치에 채용되는 제1 JOB 스케줄러 및 제2 JOB 스케줄러의 세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제1 JOB 스케줄러(420)는 B-SMCP 프로토콜 형태의 명령 패킷으로부터 JOB 스케줄 지정 정보에 대한 검침식별코드를 식별하여 태스크를 제1 JOB 스케줄로 수행시킨다.
이를 위해, 제1 JOB 스케줄러(420)는 검침부(421) 및 제1 데이터 수집부(422)를 포함한다.
검침부(421)는 부여된 검침업무와 이에 대한 동작 명령에 따라 제1 JOB 스케줄로 계량기(500)를 검침한다.
제1 데이터 수집부(422)는 계량기(500) 검침데이터를 수집한다.
이때, 데이터 집중 장치는 계량기(500)로부터 DLMS 프로토콜 형태의 응답 패킷을 수신 받는다.
그리고 제2 JOB 스케줄러(430)는 제1 JOB 스케줄러(420)와 동일한 B-SMCP 프로토콜 형태의 명령 패킷으로부터 JOB 스케줄 지정 정보에 대한 보고식별코드를 식별하여 태스크를 제1 JOB 스케줄 완료 후 제2 JOB 스케줄로 수행시킨다.
제2 JOB 스케줄러(430)는 제1 JOB 스케줄러(420)에 의해 수집된 계량기 검침데이터를 수집하여 전송하는 제2 데이터 수집부(431)를 포함하여 제1 JOB 스케줄러(420)로부터 수집된 계량기(500) 검침데이터를 DLMS 프로토콜 형태의 응답 패킷으로 수신 받아 이를 프로토콜 처리장치(200)로 전송한다.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바이너리 형식의 지능형 원격검침 프로토콜을 이용한 태스크 스케줄링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에 따른 태스크 스케줄링 방법은 앞서 설명한 프로토콜 처리장치(200)에서 생성된 바이너리 형식의 지능형 원격검침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태스크의 스케줄링을 지정하는 방법으로 이하 중복되는 설명은 생락하기로 한다.
먼저, 프로토콜 처리장치(200)가 원격검침 서버(100)로부터 수신한 DLMS 프로토콜 형태의 명령 패킷을 B-SMCP 프로토콜의 데이터 필드에 삽입하여 B-SMCP 프로토콜 형태의 명령 패킷을 생성한다.
그 다음, 프로토콜 처리장치(200)로부터 수신된 B-SMCP 프로토콜 형태의 명령 패킷을 토대로, 데이터 집중장치(300)에 계량기(500)를 검침하는 검침업무 또는 원격검침 서버(100)에 계량기(500) 검침정보를 보고하는 보고업무 중 어느 하나의 태스크를 부여한다.(S150, S151) S151 단계는 B-SMCP 프로토콜 형태의 명령 패킷으로부터 태스크 구분 정보에 대한 식별코드를 식별하여, 데이터 집중장치(300)에 검침업무 및 보고업무 중 어느 하나의 업무를 부여한다.
그 다음, 데이터 집중장치(300)에 상기 부여된 태스크에 대한 동작 명령을 부여한다.(S152) S152 단계는 B-SMCP 프로토콜 형태의 명령 패킷으로부터 태스크 동작 정보에 대한 식별코드를 식별하여, 데이터 집중장치(300)에 설치, 검토, 상태파악, 멈춤, 재설치, 삭제 및 업데이트 중 어느 하나의 동작 명령을 부여한다.
그 다음, 데이터 집중장치(300)가 수행해야 할 태스크가 검침업무에 해당하는 경우 제1 JOB 스케줄에 의해, 태스크를 제1 JOB 스케줄로 수행시킨다.(S153)
그 다음, 데이터 집중장치(300)가 수행해야 할 태스크가 보고업무에 해당하는 경우 제2 JOB 스케줄에 의해, 제1 JOB 스케줄 완료 후 태스크를 제2 JOB 스케줄로 수행시킨다.(S154)
마지막으로, 제2 JOB 스케줄러(430)는 제1 JOB 스케줄러(420)로부터 계량기(500) 검침데이터를 DLMS 프로토콜 형태의 응답 패킷을 수신 받아 이를 프로토콜 처리장치(200)로 전송한다.(S155)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바이너리 형식의 지능형 원격검침 프로토콜을 이용한 태스크 스케줄링 처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먼저, 프로토콜 처리장치(200)는 원격검침 서버(100)로부터 수신한 DLMS 프로토콜 형태의 명령 패킷을 B-SMCP 프로토콜의 데이터 필드에 삽입하여 B-SMCP 프로토콜 형태의 명령 패킷을 생성한다.(S160,S161)
그 다음, 데이터 집중장치(300)는 프로토콜 처리장치(200)로부터 수신된 B-SMCP 프로토콜 형태의 명령 패킷을 토대로, 데이터 집중장치에 계량기를 검침하는 검침업무 또는 원격검침 서버에 계량기 검침정보를 보고하는 보고업무 중 어느 하나의 태스크와 이에 대한 동작 명령을 부여 받고 이에 따라 제1 JOB 스케줄을 통해 계량기의 검침업무를 수행한다.(S162) 그 다음, 제1 JOB 스케줄을 통해 수집된 계량기의 검침데이터를 전송하는 제2 JOB 스케줄을 수행한다.(S163)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바이너리 형식의 지능형 원격검침 프로토콜을 이용한 태스크 스케줄링 처리 방법을 자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7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B-SMCP 프로토콜 형태의 명령 패킷으로부터 태스크 및 B-SMCP 프로토콜 형태의 명령 패킷으로부터 태스크 동작 정보에 대한 식별코드를 식별하여, 데이터 집중장치(300)에 부여한다.(S170, S171)
그 다음, B-SMCP 프로토콜 형태의 명령 패킷으로부터 JOB 스케줄 지정 정보에 대한 검침식별코드를 식별하여, 부여된 검침업무와 이에 대한 동작 명령에 따라 제1 JOB 스케줄로 계량기(500)를 검침하고 그 검침데이터를 수집한다. 이때, 제1 JOB 스케줄은 제2 JOB 스케줄과 시작 조건, 반복 조건, 중복 조건이 배타적으로 지정되어 있다.(S172,S173)
그 다음, B-SMCP 프로토콜 형태의 명령 패킷으로부터 JOB 스케줄 지정 정보에 대한 보고식별코드를 식별하여, 제1 JOB 스케줄러(420)에 의해 수집된 계량기 검침데이터를 수집하여 전송한다. 이때, 제2 JOB 스케줄은 제1 JOB 스케줄과 시작 조건, 반복 조건, 중복 조건이 배타적으로 지정되어 제1 JOB 스케줄러(420)의 작업이 완료된 후 수행된다.(S174,S175)
이처럼, 본 발명에 의한 바이너리 형식의 지능형 원격검침 프로토콜 처리장치(200)와 이를 이용한 태스크 스케줄링 장치(400) 및 그 방법은 원격검침 서버와 데이터 집중장치 간의 패킷 송수신시 계량기의 표준 프로토콜인 DLMS 프로토콜 형태의 패킷을 B-SMCP 프로토콜에 삽입하여 송신함으로써, 데이터 집중장치(300)에서의 프로토콜 처리를 단순화하여 패킷 송수신의 처리 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원격검침 서버가 B-SMCP 프로토콜을 활용하여 데이터 집중장치의 태스크 내의 스케줄을 지정하고 지정된 스케줄에 따라 데이터 집중장치로부터 데이터를 수신 받음으로써, 적시 검침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원격검침 서버가 B-SMCP 프로토콜을 활용하여 데이터 집중 장치의 태스크를 업무 성격에 따라 분리한 스케줄을 지정함으로써, 데이터 집중장치의 프로세스 지능적인 운영을 실현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다양한 형태로 변형이 가능하며, 본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형예 및 수정예를 실시할 수 있을 것으로 이해된다.
100 : 원격검침 서버 200 : 프로토콜 처리 장치
300 : 데이터 수집 장치 400 : 태스크 스케줄링 장치
500 : 계량기

Claims (24)

  1. 원격검침 서버에서 생성한 DLMS 프로토콜 형태의 명령 패킷을 수신받는 프로토콜 수신부;
    상기 수신한 DLMS 프로토콜 형태의 명령 패킷을 B-SMCP 프로토콜의 데이터 필드에 삽입하여 B-SMCP 프로토콜 형태의 명령 패킷을 생성하는 프로토콜 생성부; 및
    상기 생성된 B-SMCP 프로토콜 형태의 명령 패킷을 데이터 집중장치에 전송하는 프로토콜 전송부;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토콜 생성부는,
    상기 DLMS 프로토콜 형태의 명령 패킷으로부터 태스크 구분 정보, 태스크 동작 정보 및 상기 태스크 구분 정보에 따라 JOB 스케줄을 구분하는 JOB 스케줄 지정 정보에 대한 식별코드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식별코드를 상기 B-SMCP 프로토콜의 데이터 필드에 삽입하며,
    상기 JOB 스케줄 지정 정보는 상기 태스크 구분 정보를 토대로 하여 상기 데이터 집중장치가 수행해야 할 태스크가 계량기를 검침하는 검침업무에 해당하는 경우 제1 JOB 스케줄로 지정하고 상기 데이터 집중장치가 수행해야 할 태스크가 상기 계량기의 검침정보를 상기 원격검침 서버로 보고하는 보고업무에 해당하는 경우 제2 JOB 스케줄로 지정하기 위한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너리 형식의 지능형 원격검침 프로토콜 처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태스크 구분 정보는 상기 데이터 집중장치가 수행해야 할 태스크를 계량기를 검침하는 검침업무 및 상기 원격검침 서버에 상기 계량기 검침데이터를 보고하는 보고업무 중 어느 하나로 구분하기 위한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너리 형식의 지능형 원격검침 프로토콜 처리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태스크 동작 정보는 상기 데이터 집중장치가 수행해야 할 태스크의 동작을 설치, 검토, 상태파악, 멈춤, 재설치, 삭제 및 업데이트 중 어느 하나로 설정하기 위한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너리 형식의 지능형 원격검침 프로토콜 처리장치.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토콜 생성부는,
    상기 태스크 구분 정보에 대한 식별코드를 상기 B-SMCP 프로토콜의 태스크 구분(TASK ID) 필드에 삽입하는 태스크 구분부;
    상기 태스크 동작 정보에 대한 식별코드를 상기 B-SMCP 프로토콜의 태스크 관리(TASK CMD) 필드에 삽입하는 태스크 관리부; 및
    상기 JOB 스케줄 지정 정보에 대한 식별코드를 상기 B-SMCP 프로토콜의 제1 JOB(1st job) 필드 또는 제2 JOB(2nd job) 필드에 삽입하는 JOB 스케줄 지정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너리 형식의 지능형 원격검침 프로토콜 처리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JOB 스케줄 지정부는,
    상기 JOB 스케줄 지정 정보에 대한 식별코드가 상기 데이터 집중장치의 태스크가 계량기를 상대로 하는 업무에 해당하는 검침식별코드인 경우, 상기 제1 JOB 필드에 상기 검침식별코드를 삽입하여 해당 태스크에 상기 검침업무를 수행하기 위한 제1 JOB 스케줄을 지정하는 제1 JOB 스케줄 지정부; 및
    상기 JOB 스케줄 지정 정보에 대한 식별코드가 상기 데이터 집중장치의 태스크가 상기 원격검침 서버를 상대로 하는 업무에 해당하는 보고식별코드인 경우, 상기 제2 JOB 필드에 상기 보고식별코드를 삽입하여 해당 태스크에 상기 보고업무를 수행하기 위한 제2 JOB 스케줄을 지정하는 제2 JOB 스케줄 지정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너리 형식의 지능형 원격검침 프로토콜 처리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JOB 스케줄과 상기 제2 JOB 스케줄은 시작조건, 반복조건 및 종료조건이 각각 배타적으로 설정되고, 수행시간은 상대시간 또는 절대시간으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너리 형식의 지능형 원격검침 프로토콜 처리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토콜 전송부는 상기 데이터 집중장치로부터 전송되는 계량기 검침데이터를 DLMS 프로토콜 형태의 응답 패킷으로 생성하여 상기 원격검침 서버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너리 형식의 지능형 원격검침 프로토콜 처리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토콜 생성부는 상기 태스크 구분 정보를 토대로 우선순위 정의에 대한 식별코드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식별코드를 상기 B-SMCP 프로토콜의 우선순위(Priority)필드에 삽입하는 우선순위 정의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너리 형식의 지능형 원격검침 프로토콜 처리장치.
  10. 프로토콜 처리장치로부터 수신된 B-SMCP 프로토콜 형태의 명령 패킷을 토대로, 데이터 집중장치에 계량기를 검침하는 검침업무 또는 원격검침 서버에 계량기 검침정보를 보고하는 보고업무 중 어느 하나의 태스크와 이에 대한 동작 명령을 부여하는 태스크 부여부;
    상기 데이터 집중장치가 수행해야 할 태스크가 상기 검침업무에 해당하는 경우 상기 태스크를 제1 JOB 스케줄로 수행시키는 제1 JOB 스케줄러; 및
    상기 데이터 집중장치가 수행해야 할 태스크가 상기 보고업무에 해당하는 경우 상기 제1 JOB 스케줄 완료 후 상기 태스크를 제2 JOB 스케줄로 수행시키는 제2 JOB 스케줄러;를 포함하고,
    상기 태스크 부여부는,
    상기 B-SMCP 프로토콜 형태의 명령 패킷으로부터 태스크 구분 정보에 대한 식별코드를 식별하여, 상기 데이터 집중장치에 상기 검침업무 및 상기 보고업무 중 어느 하나의 업무를 부여하는 업무 부여부; 및
    상기 B-SMCP 프로토콜 형태의 명령 패킷으로부터 태스크 동작 정보에 대한 식별코드를 식별하여, 상기 데이터 집중장치에 설치, 검토, 상태파악, 멈춤, 재설치, 삭제 및 업데이트 중 어느 하나의 동작 명령을 부여하는 동작 명령 부여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너리 형식의 지능형 원격검침 프로토콜 처리장치를 이용한 태스크 스케줄링 장치.
  11. 삭제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JOB 스케줄러는 상기 B-SMCP 프로토콜 형태의 명령 패킷으로부터 JOB 스케줄 지정 정보에 대한 검침식별코드를 식별하고, 상기 제2 JOB 스케줄러는 상기 B-SMCP 프로토콜 형태의 명령 패킷으로부터 JOB 스케줄 지정 정보에 대한 보고식별코드를 식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너리 형식의 지능형 원격검침 프로토콜 처리장치를 이용한 태스크 스케줄링 장치.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JOB 스케줄러와 상기 제2 JOB 스케줄러는 동일한 상기 B-SMCP 프로토콜 형태의 명령 패킷으로부터 해당 식별코드를 식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너리 형식의 지능형 원격검침 프로토콜 처리장치를 이용한 태스크 스케줄링 장치.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2 JOB 스케줄러는 상기 제1 JOB 스케줄러로부터 상기 계량기 검침데이터를 DLMS 프로토콜 형태의 응답 패킷으로 수신 받아 상기 프로토콜 처리장치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너리 형식의 지능형 원격검침 프로토콜 처리장치를 이용한 태스크 스케줄링 장치.
  15.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JOB 스케줄러와 상기 제2 JOB 스케줄러는 시작조건, 반복조건 및 종료조건이 각각 배타적으로 설정되고, 수행시간은 상대시간 또는 절대시간으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너리 형식의 지능형 원격검침 프로토콜 처리장치를 이용한 태스크 스케줄링 장치.
  16.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JOB 스케줄러는
    상기 부여된 검침업무와 이에 대한 동작 명령에 따라 제1 JOB 스케줄로 상기 계량기를 검침하는 검침부; 및
    상기 계량기 검침데이터를 수집하는 제1 데이터 수집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너리 형식의 지능형 원격검침 프로토콜 처리장치를 이용한 태스크 스케줄링 장치.
  17.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2 JOB 스케줄러는 상기 제1 JOB 스케줄러에 의해 수집된 상기 계량기 검침데이터를 수집하여 전송하는 제2 데이터 수집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너리 형식의 지능형 원격검침 프로토콜 처리장치를 이용한 태스크 스케줄링 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JOB 스케줄러는 상기 제1 JOB 스케줄러로부터 상기 계량기 검침데이터를 DLMS 프로토콜 형태의 응답 패킷으로 수신 받아 상기 프로토콜 처리장치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너리 형식의 지능형 원격검침 프로토콜 처리장치를 이용한 태스크 스케줄링 장치.
  19. 프로토콜 처리장치로부터 수신된 B-SMCP 프로토콜 형태의 명령 패킷을 토대로, 데이터 집중장치에 계량기를 검침하는 검침업무 또는 원격검침 서버에 계량기 검침정보를 보고하는 보고업무 중 어느 하나의 태스크 및 상기 부여된 태스크에 대한 동작 명령을 부여하는 단계;
    상기 데이터 집중장치가 수행해야 할 태스크가 상기 검침업무에 해당하는 경우 제1 JOB 스케줄러에 의해, 상기 태스크를 제1 JOB 스케줄로 수행시키는 단계; 및
    상기 데이터 집중장치가 수행해야 할 태스크가 상기 보고업무에 해당하는 경우 제2 JOB 스케줄러에 의해, 상기 제1 JOB 스케줄 완료 후 상기 태스크를 제2 JOB 스케줄로 수행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태스크 및 상기 부여된 태스크에 대한 동작 명령을 부여하는 단계;
    상기 B-SMCP 프로토콜 형태의 명령 패킷으로부터 태스크 구분 정보에 대한 식별코드를 식별하여, 상기 데이터 집중장치에 상기 검침업무 및 상기 보고업무 중 어느 하나의 업무를 부여하고, 상기 B-SMCP 프로토콜 형태의 명령 패킷으로부터 태스크 동작 정보에 대한 식별코드를 식별하여, 상기 데이터 집중장치에 설치, 검토, 상태파악, 멈춤, 재설치, 삭제 및 업데이트 중 어느 하나의 동작 명령을 부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너리 형식의 지능형 원격검침 프로토콜 처리장치를 이용한 태스크 스케줄링 방법.
  20. 삭제
  21.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태스크를 제1 JOB 스케줄로 수행시키는 단계는,
    상기 B-SMCP 프로토콜 형태의 명령 패킷으로부터 JOB 스케줄 지정 정보에 대한 검침식별코드를 식별하여, 상기 부여된 검침업무와 이에 대한 동작 명령에 따라 제1 JOB 스케줄로 상기 계량기를 검침하고 그 검침데이터를 수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너리 형식의 지능형 원격검침 프로토콜 처리장치를 이용한 태스크 스케줄링 방법.
  22.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태스크를 제2 JOB 스케줄로 수행시키는 단계는,
    상기 B-SMCP 프로토콜 형태의 명령 패킷으로부터 JOB 스케줄 지정 정보에 대한 보고식별코드를 식별하여, 상기 제1 JOB 스케줄러에 의해 수집된 상기 계량기 검침데이터를 수집하여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너리 형식의 지능형 원격검침 프로토콜 처리장치를 이용한 태스크 스케줄링 방법.
  23.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JOB 스케줄러와 상기 제2 JOB 스케줄러는 동일한 상기 B-SMCP 프로토콜 형태의 명령 패킷으로부터 해당 식별코드를 식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너리 형식의 지능형 원격검침 프로토콜 처리장치를 이용한 태스크 스케줄링 방법.
  24.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태스크를 제2 JOB 스케줄로 수행시키는 단계 이후에,
    상기 제2 JOB 스케줄러는 제1 JOB 스케줄러로부터 상기 계량기 검침데이터를 DLMS 프로토콜 형태의 응답 패킷으로 수신 받아 상기 프로토콜 처리장치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너리 형식의 지능형 원격검침 프로토콜 처리장치를 이용한 태스크 스케줄링 방법.
KR1020130072737A 2013-06-24 2013-06-24 바이너리 형식의 지능형 원격검침 프로토콜 처리장치와 이를 이용한 태스크 스케줄링 장치 및 그 방법 KR1020971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72737A KR102097134B1 (ko) 2013-06-24 2013-06-24 바이너리 형식의 지능형 원격검침 프로토콜 처리장치와 이를 이용한 태스크 스케줄링 장치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72737A KR102097134B1 (ko) 2013-06-24 2013-06-24 바이너리 형식의 지능형 원격검침 프로토콜 처리장치와 이를 이용한 태스크 스케줄링 장치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0567A KR20150000567A (ko) 2015-01-05
KR102097134B1 true KR102097134B1 (ko) 2020-04-10

Family

ID=524745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72737A KR102097134B1 (ko) 2013-06-24 2013-06-24 바이너리 형식의 지능형 원격검침 프로토콜 처리장치와 이를 이용한 태스크 스케줄링 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9713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33812B1 (ko) * 2016-01-20 2021-11-30 주식회사 케이티 Ami의 검침 데이터 전송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1895948B1 (ko) 2016-09-02 2018-09-06 한전케이디엔 주식회사 원격 검침 시 상호 간의 fep 서버들에 의한 이중화 구현 방법
KR102032547B1 (ko) * 2017-10-27 2019-10-15 한전케이디엔주식회사 Dlms 프로토콜을 이용한 원격 검침 시스템
CN113568345A (zh) * 2021-07-23 2021-10-29 沈阳佳德联益能源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用于集中采集仪表数据的智能控制装置及控制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6905B1 (ko) 2010-04-20 2011-01-13 한국전력공사 원격검침 시스템을 위한 통합 모뎀 및 원격 검침 방법
KR101053147B1 (ko) 2010-08-17 2011-08-02 한국전력공사 타스크 스크립트를 이용한 원격 검침 방법 및 그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30980B1 (ko) * 2011-09-09 2018-02-22 한국전력공사 태스크 스크립트를 이용한 원격 검침 방법 및 그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6905B1 (ko) 2010-04-20 2011-01-13 한국전력공사 원격검침 시스템을 위한 통합 모뎀 및 원격 검침 방법
KR101053147B1 (ko) 2010-08-17 2011-08-02 한국전력공사 타스크 스크립트를 이용한 원격 검침 방법 및 그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0567A (ko) 2015-0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97134B1 (ko) 바이너리 형식의 지능형 원격검침 프로토콜 처리장치와 이를 이용한 태스크 스케줄링 장치 및 그 방법
KR101999314B1 (ko) 검침 데이터 수집 시스템, 방법, 및 이를 저장한 기록 매체
CN101933003A (zh) 自动化的应用依赖性映射
CN104123134A (zh) 基于ami与j2ee的智能用电数据管理方法及系统
CN101262367A (zh) 性能数据的采集方法和装置
KR101053147B1 (ko) 타스크 스크립트를 이용한 원격 검침 방법 및 그 장치
CN107341609B (zh) 一种基于云平台的能效管理系统及方法
CN109800259A (zh) 数据采集方法、装置及终端设备
CN105490864A (zh) 基于osgi的业务模块监控方法
Karimi et al. On the scalable collection of metering data in smart grids through message concatenation
CN110855756A (zh) 一种基于物联网的抄表管理系统及方法
CN109302646A (zh) 一种基于gprs的水表远程抄表系统和系统的实现方法
CN110727725B (zh) 一种基于配电网运行效率监测及分析的数据接口
KR101027713B1 (ko) 분산 컴포넌트 기반의 미터 데이터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1375283B1 (ko) 태스크 기반 바이너리 형식의 지능형 원격검침 프로토콜 전송 시스템 및 방법
KR101048464B1 (ko) 홈 네트워크 상의 전력기기들과 에너지서비스제공자의 서비스 포털서버와의 단일 접속 포인트를 제공하는 홈 에너지 관리장치 및 그 방법
EP3024118A1 (en) Intelligent electricity limiting method, device and system
KR101376226B1 (ko) 오픈 소스 통합 관리 방법 및 그 서버
CN105187490B (zh) 一种物联网数据的中转处理方法
KR101830980B1 (ko) 태스크 스크립트를 이용한 원격 검침 방법 및 그 장치
KR102106824B1 (ko) 원격 검침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검침 데이터 처리 방법
KR101536350B1 (ko) 유무선 센서네트워크 기반 생산자원 자율 관리시스템
CN106936625B (zh) 一种基于scd的变电站网管业务自动发现方法
CN202385116U (zh) 一种分布式运维数据采集装置
US9686095B2 (en) Network analysis device, management system, network analysis method and progra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