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96890B1 - 블록체인 기반 개인정보 처리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블록체인 기반 개인정보 처리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96890B1
KR102096890B1 KR1020180095812A KR20180095812A KR102096890B1 KR 102096890 B1 KR102096890 B1 KR 102096890B1 KR 1020180095812 A KR1020180095812 A KR 1020180095812A KR 20180095812 A KR20180095812 A KR 20180095812A KR 102096890 B1 KR102096890 B1 KR 1020968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rsonal information
blockchain
smart contract
subject
transa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958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20291A (ko
Inventor
염흥열
김미연
Original Assignee
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800958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96890B1/ko
Publication of KR202000202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202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968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968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50Network services
    • H04L67/535Tracking the activity of the user
    • H04L67/22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382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insuring higher security of transa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08Key distribution or management, e.g. generation, sharing or updating, of cryptographic keys or passwords
    • H04L9/0816Key establishment, i.e. cryptographic processes or cryptographic protocols whereby a shared secret becomes available to two or more parties, for subsequent use
    • H04L9/0819Key transport or distribution, i.e. key establishment techniques where one party creates or otherwise obtains a secret value, and securely transfers it to the other(s)
    • H04L9/0825Key transport or distribution, i.e. key establishment techniques where one party creates or otherwise obtains a secret value, and securely transfers it to the other(s) using asymmetric-key encryption or public key infrastructure [PKI], e.g. key signature or public key certificat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5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using hash chains, e.g. blockchains or hash trees
    • H04L2209/38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Fina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블록체인 기반 개인정보 처리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개인정보를 갖는 정보주체 노드와 정보주체가 요구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제3자 노드 간의 스마트 컨트랙트를 생성하면, 스마트 컨트랙트를 블록체인 시스템에 등록하고, 제3자 노드에서 개인정보 요청 쿼리를 블록체인 시스템에 요청하면, 블록체인 시스템에서 스마트 컨트랙트의 규정을 확인하여 개인정보의 제공 여부를 결정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스마트 컨트랙트에 기록된 약관을 기반으로 개인정보를 통제하므로, 개인정보에 대한 정보주체의 통제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트랜잭션으로 개인정보 처리내역(호출내역, 사용내역 등)을 기록하므로, 개인정보 처리내역을 투명하게 확인할 수 있을 뿐 아니라, 필요 시 추적이 가능하다. 결국, 개인정보에 대한 정보주체의 권리를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블록체인 기반 개인정보 처리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PROCESSING PERSONALLY IDENTIFIABLE INFORMATION BASED ON BLOCKCHAIN}
본 발명은 개인정보 처리 기술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블록체인(Blockchain)을 기반으로 하여 개인정보 처리를 제한할 수 있으며, 처리내역을 확인 및 추적할 수 있는 블록체인 기반 개인정보 처리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블록체인은 대표적인 암호화폐인 비트코인에서 처음으로 사용된 분산원장기술(distributed ledger technology)이다. 블록체인에서는 거래된 내역을 블록 단위로 저장하고, 각 블록이 해시체인으로 서로 연결되어 정보 추가 외에 정보 변경이 힘들다는 특성이 있다. 또한, 투명하게 데이터를 분산 저장하는 탈중앙화된 특성이 있다.
이러한 특성으로 블록체인은 새로운 기술 패러다임을 불러 일으켰으며,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될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
일례로서, 블록체인을 도입하여 정보자원에 대한 접근통제를 실시하고자 하는 연구가 다수 진행되었다. “Smart Contract-Based Access Control for the Internet of Things”에서는 IoT 기기에 스마트 컨트랙트 기반의 접근통제를 실험적 단계 수준으로 구현하였다([1]). 또한, 블록체인 기반 접근통제 시스템을 연구하여 개인정보권을 향상시키고자 하는 연구도 진행되었다. 그 예로서, “Decentralizing Privacy: Using Blockchain to Protect Personal Data”에서는 네트워크 프로토콜의 정의를 개발하였고([2]), “A Blockchain-based Approach for Data Accountability and Provenance Tracking”에서는 이더리움을 통해 실험적 단계 수준으로 구현하였다([3]).
한편, 기존의 개인정보 처리 환경은 주로 서류 기반 약관으로 동의를 얻으며, 이후 게임서버 등을 포함하는 개인정보 처리자에 의해 처리(이용, 제공, 저장, 출력, 가공 등)되며 파기하기에 이른다. 그러나 수집된 개인정보의 처리 현황은 개인정보 처리자의 통보에 의해 간접적으로 알 수 있을 뿐이고, 초기 동의 후 정보주체는 개인정보에 대한 통제성을 전혀 갖지 못한다. 또한 개인정보가 제3자에게 제공되거나 위탁되는 경우, 고지 혹은 동의로 알림을 받지만 직접적으로 추적할 수 없다. 게다가, 인가되지 않은 개인정보의 이전이 빈번하게 일어날 수 있다. 개인정보의 파기 또한 개인정보 처리 방침으로 공개되고 있으나 파기가 제대로 일어나고 있는지 통제ㆍ추적이 불가능하여 사용자의 불편을 초래하는 문제를 안고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7-0090934호(공개일 2017.08.08.), “유출된 개인정보의 탐지, 추적 방법 및 시스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849912호(공고일 2018.04.19.), “스마트 컨트랙트 기반의 인증서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서버”
[1] Yuanyu Zhang, Shoji Kasahara, Yulong Shen, Xiaohong Jiang and Jianxiong Wan, "Smart Contract-Based Access Control for the Internet of Things", arXiv, February, 2018. [2] Guy Zyskind, Oz Nathan, Alex ‘Sandy’ Pentland, "Decentralizing Privacy: Using Blockchain to Protect Personal Data", Proceedings - 2015 IEEE Security and Privacy Workshops, SPW 2015, July, 2015. [3] Ricardo Neisse, Gary Steri and Igor Nai-Fovino, "A Blockchain-based Approach for Data Accountability and Provenance Tracking", arXiv, June, 2017.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블록체인(Blockchain)의 스마트 컨트랙트(Smart Contract)를 기반으로 하여 개인정보의 통제, 확인 및 추적이 가능하도록 하는 블록체인 기반 개인정보 처리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즉, 본 발명은 스마트 컨트랙트에 기록된 약관을 기반으로 개인정보를 통제할 수 있으며, 블록체인에 트랜잭션으로 기록하여 개인정보 처리내역(호출내역, 사용내역 등)을 투명하게 확인할 수 있으며, 필요 시 추적이 가능하도록 하는 블록체인 기반 개인정보 처리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블록체인 기반 개인정보 처리 시스템은, 프로세서(processor); 및 상기 프로세서를 통해 실행되는 적어도 하나의 명령이 저장된 메모리(memory)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명령은, (a) 개인정보를 갖는 정보주체 노드와 상기 정보주체가 요구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제3자 노드 간의 스마트 컨트랙트를 생성하도록 실행되며, (b) 상기 스마트 컨트랙트를 블록체인 시스템에 등록하도록 실행되며, (c) 상기 제3자 노드에서 개인정보 요청 쿼리를 블록체인 시스템에 요청하면, 상기 스마트 컨트랙트의 규정을 확인하여 상기 개인정보의 제공 여부를 결정하도록 실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c)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명령은, (c-1) 상기 블록체인 시스템에서 상기 스마트 컨트랙트의 규정을 확인하여 상기 개인정보 요청 쿼리에 대한 응답 여부를 판단하고, 개인정보 호출내역을 트랜잭션으로 기록하도록 실행되며, (c-2) 상기 트랜잭션에 대한 검증이 완료되면, 상기 블록체인 시스템은 개인정보를 검색하여 제3자 노드로 전송하도록 실행되며, (c-3) 상기 블록체인 시스템에서 개인정보 사용내역을 블록체인의 트랙잭션으로 저장하도록 실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c-2)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명령은, 비대칭키 및 정책 등을 이용하여 검증을 수행하도록 실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c-2) 단계에서, 상기 개인정보의 검색은 상기 개인정보가 저장된 오프체인 저장소에서 이루어지도록 실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블록체인 기반 개인정보 처리 방법은, (a) 개인정보를 갖는 정보주체 노드와 상기 정보주체가 요구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제3자 노드 간의 스마트 컨트랙트를 생성하는 단계; (b) 상기 스마트 컨트랙트를 블록체인 시스템에 등록하는 단계; 및 (c) 상기 제3자 노드에서 개인정보 요청 쿼리를 블록체인 시스템에 요청하면, 상기 블록체인 시스템에서 상기 스마트 컨트랙트의 규정을 확인하여 상기 개인정보의 제공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3자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개인정보 처리자일 수 있다. 상기 개인정보 처리자는 상기 개인정보를 이용할 때, 상기 쿼리를 상기 정보주체에게 전송하는 거래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제3자는 상기 개인정보 처리자에 콘텐츠를 제공하는 개인정보 수탁자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개인정보 처리자와 상기 개인정보 수탁자 간의 스마트 컨트랙트를 생성하여 블록체인에 등록할 수 있다. 상기 개인정보 처리자와 상기 개인정보 수탁자 간의 스마트 컨트랙트는, 개인정보 사용 계약을 통해 정책에 따라 개인정보가 처리되고 있는지 여부, 접근 요청 트랜잭션을 통해 개인정보 처리 내역이 기록되어 해당 트랜잭션을 감사할 수 있는지 여부, 계약 정책이 준수되고 있는지 여부에 대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정보주체와 상기 개인정보 처리자 및 상기 개인정보 수탁자 간의 스마트 컨트랙트를 생성하여 블록체인에 등록할 수 있다.
상기 정보주체와 상기 개인정보 수탁자 간의 스마트 컨트랙트를 생성하여 블록체인에 등록하되, 상기 개인정보 처리자는 상기 개인정보 수탁자에게 보증서를 부여할 수 있다.
상기 (c) 단계는, (c-1) 상기 블록체인 시스템에서 상기 스마트 컨트랙트의 규정을 확인하여 상기 개인정보 요청 쿼리에 대한 응답 여부를 판단하고, 개인정보 호출내역을 트랜잭션으로 기록하는 단계; (c-2) 상기 트랜잭션에 대한 검증이 완료되면, 상기 블록체인 시스템은 개인정보를 검색하여 제3자 노드로 전송하는 단계; 및 (c-3) 상기 블록체인 시스템에서 개인정보 사용내역을 블록체인의 트랙잭션으로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c-2) 단계에서 비대칭키 및 정책 등을 이용하여 검증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c-2) 단계에서, 상기 개인정보의 검색은 상기 개인정보가 저장된 오프체인 저장소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블록체인 기반 개인정보 처리 시스템 및 방법에 따르면, 스마트 컨트랙트에 기록된 약관을 기반으로 개인정보를 통제하므로, 개인정보에 대한 정보주체의 통제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트랜잭션으로 개인정보 처리내역(호출내역, 사용내역 등)을 기록하므로, 개인정보 처리내역을 투명하게 확인할 수 있을 뿐 아니라, 필요 시 추적이 가능하다.
결국, 본 발명에 따르면, 개인정보에 대한 정보주체의 권리를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정보주체와 개인정보 처리자 간의 스마트 컨트랙트 체결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2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정보주체, 개인정보 처리자 및 개인정보 수탁자 간의 스마트 컨트랙트 체결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블록체인 기반 개인정보 처리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블록체인 기반 개인정보 처리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개인정보 처리자와 개인정보 수탁자를 확인하는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정보주체가 개인정보 처리내역을 요청하여 확인하는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활용 시나리오의 흐름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및 첨부하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의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함을 전제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서 어느 하나의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당해 구성 요소만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한정되어 해석되지 아니하며, 다른 구성 요소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기존의 개인정보 처리 환경은 서류를 기반으로 하며, 간접적으로 처리내역을 알리고 있다. 때문에 정보주체는 초기 동의 후 정보주체에 의한 개인정보 처리에 대한 통제성을 전혀 갖지 못하며, 인가되지 않은 개인정보의 이전이 빈번하게 일어나고 있다. 개인정보 처리내역의 불투명성과, 정보주체가 개인정보를 통제ㆍ추적할 수 없는 기존환경의 문제점은 정보주체의 불편을 초래하고 있으며, 개인정보에 대한 정보주체의 권리를 떨어뜨린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개인정보 이전 및 사용에 대한 기록을 블록체인에 남겨 개인정보 이용의 통제성, 투명성, 추적성을 보장하는 블록체인 기반 개인정보 처리 시스템 및 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즉, 본 발명에서는 개인정보 처리를 제한할 수 있으며, 처리내역을 확인 및 추적할 수 있는 블록체인 기반의 개인정보 처리 시스템 및 방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서는 스마트 컨트랙트(Smart Contract) 기반으로 한 개인정보의 통제, 확인 및 추적 방안을 제시한다. 즉, 스마트 컨트랙트에 기록된 약관을 기반으로 개인정보를 통제하며, 트랜잭션으로 기록하여 개인정보 처리내역(호출내역, 사용내역 등)을 투명하게 확인할 수 있을 뿐 아니라, 필요 시 추적이 가능하도록 한다. 이를 통해 정보주체의 개인정보 통제권 및 권리를 향상시키고자 한다.
먼저, 블록체인과 스마트 컨트랙트에 대해 간략하게 설명한다.
블록체인(Blockchain)은, 헤더(header) 및 바디(body)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헤더는 블록해쉬(block hash), 버젼(version), 이전 블록 헤더의 해시(hash of previous block header) 및 머클 루트(merkle root)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고, 바디는 적어도 하나의 트랜잭션(transaction)을 포함할 수 있다. 이전 블록 헤더의 해시는 링크드 리스트(linked list) 방식으로 각각의 블록을 연결하기 위해 이전에 생성된 블록해시를 저장한 것을 의미할 수 있고, 머클 루트는 트랜잭션의 무결성(integrity)을 검증하기 위한 것으로, 바디 부분에 저장된 트랜잭션의 값을 의미할 수 있으며, 해당 블록에 복수의 트랜잭션이 존재하는 경우, 각 트랜잭션의 해시 값들을 합함으로써 생성되는 이진트리 형태에서 최종적으로 남는 값을 의미할 수 있다.
블록체인은 공공 거래 장부를 의미할 수 있으며, 가상화폐 거래 시 발생할 수 있는 해킹을 방지하기 위한 기술을 의미할 수 있다. 기존 금융 회사의 경우, 중앙 집중형 서버에 거래 기록을 보관하고 있으나, 블록체인은 거래에 참여하는 모든 사용자에게 거래 내역을 여러 컴퓨터에 기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블록체인에 대해 네트워크 참여자가 생산하는 정보 및 가치를 공동으로 기록하고 저장하는 분산화된 공개 장부 관리 기술로 정의할 수 있다. 블록체인의 분산 기술은 가상 화페 거래 시마다 여러 컴퓨터에 기록한 거래 내역을 대조하여 데이터 위조를 방지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다시 말해, 모든 참여자가 장부를 공유하므로, 거래 내역의 무결성을 보장할 수 있다. 또한, 블록체인은 타임스탬프(time stamp) 기록을 제공하여 이전 거래 기록의 이중 지출 및 수정을 방지할 수 있으며, 공인된 제3자가 필요하지 않으므로, 유지 보수, 보안 및 금용 거래 등에 필요한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블록체인의 블록은 수 많은 대기 거래를 보관하고 승인하는 기록을 의미할 수 있다. 평균적으로 대략 10분마다 거래를 포함하는 새 블록이 채굴(mining)을 통해 블록체인에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비트코인(bitcoin)을 예로 들면, 채굴은 컴퓨터 하드웨어가 비트코인의 거래 승인 및 보안 강화를 위해 수행하는 수학적 계산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비트코인 마이너(miner)는 제공하는 서비스의 대가로 그들이 승인하는 거래의 거래 수수료 및 새롭게 생성된 비트코인을 받을 수 있으며, 비트코인 채굴 시장에서는 계산량에 따라 보상이 배분될 수 있다.
한편, 스마트 컨트랙트(smart contract)는, 블록체인 기술을 이용하여 계약 또는 협상의 실행 및 시행을 수행할 수 있는 프로그램 코드를 말한다. 따라서, 프로그램 코드에 의해 전체 프로세스가 자동화되어 법적 계약을 보완하거나 대체할 수 있다.
기존 블록체인 1.0의 가상화폐 저장 기능은 다양한 형태로 프로그래밍이 가능하다. 복수의 가상화폐 중 이더리움(ethereum)은 스마트 컨트랙트를 실행할 수 있는 블록체인 시스템으로, EVM(Ethereum Virtual Machine)을 통해 글로벌 플랫폼을 제공할 수 있다. 정보주체는 프로그래밍을 통해 스마트 컨트랙트를 실행할 수 있고, 가상화폐 등의 디지털 자산에 대한 관리를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이더리움은 비트코인 네트워크의 방대함 때문에 협의가 잘 진행되지 않는 점을 극복하기 위해 SNS, 이메일 및 전자 투표 등의 다양한 정보를 기록하는 플랫폼을 이용할 수 있도록 개발되었다. 이더리움은 계정 관리, 통화 발생 및 채굴 등을 제공할 수 있으며, 스마트 컨트랙트와 EVM 상에서 애플리케이션을 구동시킬 수 있는 분산 애플리케이션(Distributed Applictaion, Dapp)을 이용할 수 있다.
스마트 컨트랙트의 최초 발안자인 Nick Szabo는 스마트 컨트랙트를 신뢰할 수 없는 컴퓨터 네트워킹 환경에서의 기계 간의 고도로 발달된 자동 계약 이행 방법으로 정의하였으며, 블록체인 위에 부동산 계약, 온라인 투표 및 헬스케어 등의 다양한 분산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할 수 있도록 플랫폼을 확장했다.
현재 블록체인 2.0에서 가장 주목하는 기술은 스마트 컨트랙트다. 비트코인에서도 스마트 컨트랙트는 가능하였으나 if 조건문만을 이용할 수 있었기 때문에 원하는 계약 사항을 만드는 것에 제약 사항이 존재하였다. 반면, 스마트 컨트랙트로 잘 알려진 이더리움은 튜링 완전성(turing completeness)을 제공할 수 있으므로, 컴퓨터에 프로그래밍을 하는 정도까지 지원할 수 있기 때문에 다양한 형태의 거래 또는 계약 사항을 프로그래밍할 수 있다.
기존 계약은 법적 전문가에 의해 인쇄된 문서에 법적 언어를 포함하고, 제3자에 대한 의존이 높았다. 또한, 전통적인 계약은 시간이 많이 걸리고, 분쟁이 생기면 사법 제도에 의지하여야 함으로, 비용과 시간이 많이 소요된다. 다만, 블록체인의 스마트 컨트랙트는 컴퓨터 프로그래머가 디지털 언어를 통해 작성하여 기존의 전통적인 계약에서 계약 당사자의 의무, 혜택 및 벌금을 명시하는 것과 동일한 방식으로 규칙 및 결과를 정의할 수 있고, 프로그래밍에 의해 개발되어 시스템에 의해 강제적으로 계약이 이행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본 발명에서 수립하고자 하는 블록체인 기반 개인정보 처리 시스템은 정보주체, 개인정보 처리자, 개인정보 수탁자로 구성된다. 여기서, 정보주체, 개인정보 처리자, 개인정보 수탁자는 각 노드를 구성한다. 즉, 이하에서 설명하는 정보주체, 개인정보 처리자, 개인정보 수탁자는, 정보주체 노드, 개인정보 처리자 노드, 개인정보 수탁자 노드를 의미한다. 한편, 여기서 정보주체 노드를 제외한 개인정보 처리자 노드 및 개인정보 수탁자 노드를 제3자 노드로 정의할 수 있다.
- 정보주체: 처리되는 정보에 의하여 알아볼 수 있는 대상으로서 그 정보의 주체가 되는 대상을 말하며, 자신의 개인정보를 개인정보 처리자 또는 개인정보 수탁자에게 제공한다. 주로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해 자신의 개인정보를 제공한다.
- 개인정보 처리자: 정보주체로부터 개인정보를 수집하여, 개인정보를 처리(수집, 이용, 제공, 저장, 출력, 가공, 폐기 등)하며, 주로 서비스 제공자 역할을 수행한다.
- 개인정보 수탁자: 개인정보 처리자로부터 개인정보 처리 업무를 위탁받아 처리한다. 개인정보 처리자를 통해 정보주체와 연결된다.
상기한 블록체인 기반 개인정보 처리 시스템에서는, 스마트 컨트랙트를 통해 개인정보의 처리에 대한 제한 규정을 두어, 정보주체의 요구에 맞게 개인정보의 전송을 제한할 수 있다. 개인정보가 요청되었을 때, 규정에 의해 전송이 제한되지 않을 시에만 개인정보를 받을 수 있고, 처리내역(호출내역, 사용내역 등)은 블록체인에 기록된다. 때문에 개인정보에 대한 통제성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처리내역을 원장에 기록하여 모든 개인정보의 처리내역을 확인할 수 있기 때문에 데이터 처리내역에 대한 추적성과 투명성을 가질 수 있다. 일례로 개인정보 처리자가 개인정보를 개인정보 수탁자에게 전송할 때, 전송이 개인정보 사용 제한 규정을 위배하지 않아야 전송될 수 있고, 처리내역이 로그로 기록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정보주체와 개인정보 처리자 간의 스마트 컨트랙트 체결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정보주체는 개인정보 처리자와 정책 기반 개인정보 사용 계약을 생성하여 개인정보의 처리와 재배포를 제한하는 스마트 컨트랙트를 생성하여 블록체인에 등록한다. 개인정보 처리자는 개인정보를 이용할 시, 쿼리를 정보주체에게 전송하는 거래를 생성한다. 거래는 정보주체와 체결한 스마트 컨트랙트에 따라 권한이 적절한지를(계약을 체결한 개인정보 처리자가 맞는지, 정책에 합당한지 등) 확인하여, 적절한 경우에만 결과값으로 개인정보를 반환한다. 그리고 일련의 거래가 블록체인에 기록된다. 이와 같은 시스템에 따르면, 기존에 있던 개인정보의 수집은 계약체결로, 처리는 거래로, 폐기는 계약의 폐기로 전환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정보주체, 개인정보 처리자 및 개인정보 수탁자 간의 스마트 컨트랙트 체결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인정보 처리자에서 개인정보 수탁자로의 개인정보 이전은 개인정보 처리자와 개인정보 수탁자 간의 계약체결로 스마트 컨트랙트화 할 수 있다. 개인정보의 접근 권한을 위임하는 것으로, 이는 개인정보 처리자를 통한 간접계약, 정보주체와 개인정보 처리자, 개인정보 수탁자 사이 3자간의 멀티계약, 개인정보 처리자의 보증을 포함한 정보주체와 개인정보 수탁자의 직접계약 등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2에서와 같이, 개인정보 처리자를 통한 간접계약은 개인정보 수탁자가 개인정보 처리자와의 계약을 통해 개인정보를 이전받는 형식으로, 데이터는 정보주체에서 개인정보 처리자로, 개인정보 처리자에서 위탁자로 두 단계에 걸쳐 데이터가 전송된다. 도 3에서와 같이, 정보주체와 개인정보 처리자, 개인정보 수탁자 모두의 검증자를 사용하여 멀티계약을 체결하는 방식이다. 도 4에서와 같이, 개인정보 처리자는 개인정보 수탁자에게 보증서를 부여하여, 정보주체와 위탁자 간의 직접계약에 보증서를 첨부하는 형태이다.
이렇게 개인정보 사용 계약을 통해 정책에 따라 개인정보가 처리되고 있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접근 요청 트랜잭션을 통해 개인정보 처리 내역이 기록되어 이를 감사할 수 있으며, 계약 정책이 잘 준수되고 있는지 추적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블록체인 기반 개인정보 처리 시스템에서는, 개인정보는 약관에 따라 이용되어야 하며, 사용자는 개인정보 이용에 대한 통제권을 가져야 한다. 이러한 요구사항을 반영하기 위하여 개인정보에 대한 접근권한 통제기능이 필요하다. 이 기능은 스마트 컨트랙트를 통해 구현된다. 즉 개인정보를 접근 가능한 자원으로 취급하는 일종의 접근통제시스템을 스마트 컨트랙트에 기반하여 구현하는 것이다.
또한 사용자는 개인정보의 처리 내역을 투명하게 확인할 수 있어야 하며, 개인정보 처리 내역을 추적할 수 있어야 한다. 이러한 요구사항을 반영하기 위해서는 개인정보에 대한 접근 기록, 즉 트랜잭션 기록을 확인하는 기능이 필요하며, 트랜잭션이 블록체인에 등재되었는지, 비대칭키쌍과 컨트랙트 상의 정책 등을 통해 트랜잭션이 유효한지 검증하는 기능이 필요하다. 이는 사용자 디바이스에서 실행되는 별도의 경량 노드(lightweight node) 형태의 시스템을 만들어 구현될 수 있다.
그러면, 여기서 본 발명의 블록체인 기반 개인정보 처리 시스템에 대해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블록체인 기반 개인정보 처리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즉, 도 5는 정보주체, 개인정보 처리자, 개인정보 수탁자가 사용할 블록체인 기반 개인정보 처리 시스템이다. 한편, 해당 구성에서 블록체인에서 일반적으로 요구되는 모듈 및 기능은 일부 생략하였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블록체인 기반 개인정보 처리 시스템은, 개인정보를 저장하고 있으며, 개인정보를 등록 또는 제공하기 위한 통신모듈을 포함하는 오프체인 저장소(1)와, 개인정보 사용내역을 통보받거나 요청하는 정보주체 노드(2)와, 스마트 컨트랙트를 포함하는 블록체인 시스템(노드)(3)을 포함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블록체인 기반 개인정보 처리 시스템에는, 개인정보 요청자(4)로서 개인정보 처리자 노드와 개인정보 수탁자 노드를 포함한다.
오프체인 저장소(1), 정보주체 노드(2), 블록체인 시스템(3), 개인정보 요청자(4) 각각은, 개인정보 처리가 이루어지는 프로세서와, 프로세서(Processor)를 통해 실행되는 적어도 하나의 명령이 저장된 메모리(Memory)와, 각 노드간 통신이 가능한 통신모듈을 포함한다.
프로세서는 메모리에 저장된 프로그램 명령(program command)을 실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는 중앙 처리 장치(central processing unit, CPU), 그래픽 처리 장치(graphics processing unit, GPU) 또는 본 발명에 따른 방법들이 수행되는 전용의 프로세서를 의미할 수 있다. 메모리는 휘발성 저장 매체 및/또는 비휘발성 저장 매체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는 읽기 전용 메모리(read only memory, ROM) 및/또는 랜덤 액세스 메모리(random access memory, RAM)로 구성될 수 있다. 메모리는 프로세서를 통해 실행되는 적어도 하나의 명령을 저장하고 있을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명령은, 개인정보가 이용될 때 쿼리를 정보주체에게 전송하는 거래를 생성하도록 실행되며, 개인정보 사용 계약을 통해 정책에 따라 개인정보가 처리되고 있는지 여부, 접근 요청 트랜잭션을 통해 개인정보 처리 내역이 기록되어 해당 트랜잭션을 감사할 수 있는지 여부, 계약 정책이 준수되고 있는지 여부를 확인 및 추적하도록 실행되는 것을 포함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인정보는 접근 가능한 자원으로 오프체인 저장소(1)에 저장된다. 이에 대해 접근을 요청(①)하는 자는 개인정보 처리자 및 개인정보 수탁자가 포함이 되며, 접근을 부여하는 자는 정보주체 및 시스템이 된다. 블록체인은 일종의 접근통제서버처럼 작용된다. 블록체인 내의 스마트 컨트랙트 기능을 활용하여 정책 기반의 개인정보 접근통제를 구현한다. 이때 검증자(Authenticator)로 비대칭키와 정책을 사용하며 이 둘을 기반으로 개인정보 요청 쿼리에 대한 응답을 판단할 수 있다(②). 물론, 비대칭키 및 정책은 일례로서 제시한 것일 뿐,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개인정보 요청에 대한 내역은 블록체인의 트랜잭션으로 저장되며, 원장데이터를 이룬다. 한편, 거래내역을 사용자 앱에 반영하고, 필요시 사정보주체의 동의를 요구할 수 있다(③). 스마트 컨트랙트를 거쳐 검증이 완료되고, 권한이 적절한 경우에는 오프체인 저장소(1)로부터 개인정보를 검색하여 검색된 개인정보를 별도의 보안된 네트워크로 개인정보 요청자(4)에게 전송한다(④).
사용자, 즉 정보주체의 디바이스에서 구현되는 시스템은 다음과 같이 볼 수 있다. 사용자의 디바이스는 대부분 모바일에서 사용될 점을 감안하여 경량 노드 형식으로 구현됨이 바람직하다. 사용내역 가시화 모듈은 블록체인 상에 기록된 사용자의 거래 기록을 받아와, 사용자가 쉽게 확인할 수 있는 형태로 나타내어 개인정보 사용내역을 목록화한다. 감사 추적 모듈은 필요시 원장으로부터 거래에 대한 메타데이터를 받아와 사용자가 쉽게 확인할 수 있는 형태로 나타내는 방식으로 나타내어, 해당 거래가 블록체인에 등록되어 있는지 확인가능하게 한다. 또한 필요시, 검증자에 대한 재검증(re-verification)을 실시하는 기능을 추가하여 해당 거래의 유효성을 보장할 수 있다.
그러면, 여기서 상기와 같이 구성된 시스템을 이용한 본 발명의 블록체인 기반 개인정보 처리 방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블록체인 기반 개인정보 처리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먼저, 정보주체는 개인정보를 오프체인 저장소(1)에 저장한다(S1).
이어서, 정보주체와 개인정보 처리자 간의 스마트 컨트랙트를 생성하여(S2) 블록체인에 등록한다(S3). 해당 스마트 컨트랙트는 정책 기반 개인정보 사용 계약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고 있다. 한편, 개인정보 처리자와 개인정보 수탁자 간의 스마트 컨트랙트를 생성하여 블록체인에 등록할 수 있다. 해당 스마트 컨트랙트는 개인정보 사용 계약을 통해 정책에 따라 개인정보가 처리되고 있는지 여부, 접근 요청 트랜잭션을 통해 개인정보 처리 내역이 기록되어 이를 감사할 수 있는지 여부, 계약 정책이 준수되고 있는지 여부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고 있다.
한편, 스마트 컨트랙트가 블록체인에 등록된 상태에서, 개인정보 처리자 또는 개인정보 수탁자가 개인정보 요청 쿼리를 블록체인 시스템(3)에 요청하면, 이에 블록체인 시스템(3)은 스마트 컨트랙트를 통해 규정을 확인한다(S4).
이어서, 비대칭키 및 정책을 이용하여 개인정보 요청 쿼리에 대한 응답 여부를 판단한다(S5). 즉, 블록체인의 스마트 컨트랙트의 규정을 확인하여 쿼리 응답 여부를 결정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비대칭키 및 정책을 일례로서 예시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 때, 개인정보 호출내역은 블록체인의 트랙잭션으로 저장한다(S6). 즉, 개인정보 호출내역은 원장데이터를 구성한다.
이어서, 암호화를 통한 검증 및 정책에 대한 검증을 모두 만족하면(S7), 블록체인 시스템(3)은 오프체인 저장소(1)에서 개인정보를 검색하여 개인정보 요청자(4)에게 전송한다(S8). 이때, 보안된 네트워크로 개인정보를 전송한다.
그리고, 개인정보 사용내역은 블록체인의 트랙잭션으로 저장한다. 즉, 사용내역을 원장데이터에 기록한다.
한편, 암호화를 통한 검증 및 정책에 대한 검증에 실패하면, 블록체인 시스템(3)은 개인정보 요청자(4)에게 전송불가 메시지를 전송한다(S9).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개인정보 처리자와 개인정보 수탁자를 확인하는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블록체인 시스템(3)은 개인정보 처리자와 개인정보 수탁자를 확인한다(S11). 이때, 개인정보 처리자와 개인정보 수탁자 확인에 비대칭키를 이용할 수 있다.
블록체인 시스템(3)에서 개인정보 처리자 또는 개인정보 수탁자로 확인할 경우(S12), 스마트 컨트랙트의 접근을 허용한다(S13).
한편, 블록체인 시스템(3)에서 개인정보 처리자 또는 개인정보 수탁자로 확인되지 않을 경우에는, 스마트 컨트랙트로의 접근을 불허하고, 불허 메시지를 해당 개인정보 요청자(4)에게 전송한다(S14). 이때, 스마트 컨트랙트로의 접근 기록을 트랙잭션으로 기록하고, 이와 함께 정보주체에게도 통보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정보주체가 개인정보 처리내역을 요청하여 확인하는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정보주체로부터 개인정보 사용내역 요청이 있을 경우에(S21), 정보주체 노드(2)는 해당 트랜잭션에 대한 정보를 블록체인 시스템(3)으로부터 수신한다(S22).
정보주체 노드(2)는 검증자의 재검증을 통해 개인정보 처리내역(호출내역, 사용내역 등)을 확인한다(S23). 이때, 정보주체 노드(2)의 사용내역 가시화 모듈을 이용하여 사용내역을 확인할 수 있으며, 감사 추적 모듈을 이용하여 트랜잭션의 유효성에 대한 검증을 수행할 수 있다.
실시예
본 발명에서 제시한 블록체인 기반 개인정보 처리 시스템 및 방법에 대한 이해를 돕고자 활용 시나리오 예시로, 정보주체와 앱스토어, 게임회사 간의 개인정보 활용 사례를 제시한다. 정보주체를 ‘가’라는 개인으로, 개인정보 처리자로는 ‘나 앱스토어’, 개인정보 수탁자를 ‘다 게임회사’라 가정한다. ‘가’는 최초에 ‘나 앱스토어’의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예시의 스마트 컨트랙트 계약을 맺는다.
정보주체 가와 나 앱스토어 간의 스마트 컨트랙트 내용 예시
정보주체
개인정보 처리자 나 앱스토어
개인정보 수집항목 이름, 핸드폰번호, IMEI, 핸드폰기종, 결제수단관련정보 등
정책 예시 1 결제 시, 결제수단관련정보 및 이름 등을 얻을 수 있다.
정책 예시 2 특징적인 목적을 명시하지 않고 일반 목적을 위하여 개인정보 전 항목을 요구할 경우, 정보주체는 이를 거절할 수 있다.
이에 더해 정보주체 ‘가’는 ‘나 앱스토어’에 등록된 ‘다 게임회사’의 게임 애플리케이션 사용을 위하여, ‘나 앱스토어’를 통해 ‘다 게임회사’와 직접계약의 형식으로 개인정보 위탁 계약을 맺는다. 즉 ‘나 앱스토어’는 ‘다 게임회사’에 대한 보증서를 발급하고, 그를 ‘가’와 ‘다 게임회사’간의 스마트 컨트랙트에 삽입하여 다음과 같은 스마트 컨트랙트를 체결한다.
정보주체 가와 다 게임회사 간의 스마트 컨트랙트 내용 예시
정보주체
개인정보 처리자
(개인정보 수탁자)
다 게임회사
보증서 발급자 나 앱스토어
개인정보 수집항목 이름, 핸드폰번호, 게임 id, IMEI, 핸드폰 기종, 결제수단관련정보 등
정책 예시 1 인앱 결제(예, 게임아이템 구매) 시, 결제수단관련정보, 게임 id, 핸드폰기종 등을 얻을 수 있다.
정책 예시 2 정보주체 동의 시, 다 게임회사는 IMEI, 이름, 핸드폰번호 등을 얻을 수 있다.
‘가’는 자신의 모바일 기기에서 게임 앱을 삭제하였다가, 이를 다시 복구하고 싶으나 본인의 게임id를 몰라 ‘다 게임회사’에 도움을 요청한 상황이라고 가정하면, 게임회사는 트랜잭션을 생성하여 정보주체의 동의와 함께, 게임id와 IMEI를 오프체인 저장소(1)에 요구하는 쿼리를 정보주체에게 전송하고, 정보주체는 이에 동의한다. 그러면 ‘다 게임회사’는 개인정보를 전송받아 ‘가’의 요구사항을 처리할 수 있고, ‘다 게임회사’가 그와 같은 목적으로 게임id, IMEI, 정보주체의 동의를 요구하였으며, 이에 정보주체가 동의하였다는 내역이 트랜잭션으로 남게 된다.
두 번째 상황으로는 정보주체 ‘가’가 게임아이템을 구매하는 상황이라고 가정하면, ‘다 게임회사’는 마케팅 전략을 위해 게임아이템을 구매한 개인의 성별, 나이, 핸드폰 기종 등을 수집하고자 한다. 그래서 ‘가’가 게임아이템을 구매하자 가의 게임id, 핸드폰기종, 결제수단관련정보 외에 성별, 나이 등을 요청하지만, 이는 스마트 컨트랙트에 기록된 정책에 적절치 않으므로 요청이 거절된다. 또한 ‘다 게임회사’가 어떤 목적으로 어떤 항목을 요청하여 만약 거절되면, 해당 개인정보가 전송되지 않았다는 트랜잭션이 기록된다.
도 9는 상기한 활용 시나리오의 흐름도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블록체인과 스마트 컨트랙트에 기반하여 개인정보로의 접근통제 및 처리내역을 추적할 수 있는 블록체인 기반 개인정보 처리 시스템 및 방법을 제안하였으며, 시스템을 활용하는 사례 시나리오를 제시하였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블록체인을 활용한 접근통제 시스템에 대한 모델을 제시하고 있으며, 그를 개인정보에 도입하여 정보주체의 프라이버시권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고 있다.
하나 이상의 예시적인 구현에서, 여기서 제시된 기능들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펌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을 통해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로 구현되는 경우, 상기 기능들은 컴퓨터 판독가능한 매체 상에 하나 이상의 명령들 또는 코드로서 저장되거나, 또는 이들을 통해 전송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가능한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 및 일 장소에서 다른 장소로 컴퓨터 프로그램의 이전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임의의 매체를 포함하는 통신 매체를 포함한다. 저장 매체는 범용 컴퓨터 또는 특수 목적의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한 매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러한 컴퓨터 판독가능한 매체는 RAM, ROM, EEPROM, CD-ROM 또는 다른 광학 디스크 저장 매체, 자기 디스크 저장 매체 또는 다른 자기 저장 장치들, 또는 명령 또는 데이터 구조의 형태로 요구되는 프로그램 코드 수단을 저장하는데 사용될 수 있고, 범용 컴퓨터, 특수목적의 컴퓨터, 범용 프로세서, 또는 특별한 프로세서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다른 매체를 포함하지만, 이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임의의 연결 수단이 컴퓨터 판독가능한 매체로 간주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가 웹사이트, 서버, 또는 다른 원격 소스로부터 동축 케이블, 광섬유 케이블, 연선, 디지털 가입자 라인(DSL), 또는 적외선 라디오, 및 마이크로웨이브와 같은 무선 기술들을 통해 전송되는 경우, 이러한 동축 케이블, 광섬유 케이블, 연선, DSL, 또는 적외선 라디오, 및 마이크로웨이브와 같은 무선 기술들이 이러한 매체의 정의 내에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사용되는 disk 및 disc은 컴팩트 disc(CD), 레이저 disc , 광 disc, DVD, 플로피 disk, 및 블루-레이 disc를 포함하며, 여기서 disk는 데이터를 자기적으로 재생하지만, disc은 레이저를 통해 광학적으로 데이터를 재생한다. 상기 조합들 역시 컴퓨터 판독가능한 매체의 범위 내에 포함될 수 있다.
당업자는 상술한 다양한 예시적인 엘리먼트, 컴포넌트, 논리블록, 모듈 및 알고리즘 단계들이 전자 하드웨어, 컴퓨터 소프트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서 구현될 수 있음을 잘 이해할 것이다.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상호 호환성을 명확히 하기 위해, 다양한 예시적인 소자들, 블록, 모듈 및 단계들이 그들의 기능적 관점에서 기술되었다. 이러한 기능이 하드웨어로 구현되는지,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는지는 특정 애플리케이션 및 전체 시스템에 대해 부가된 설계 제한들에 의존한다. 당업자는 이러한 기능들을 각각의 특정 애플리케이션에 대해 다양한 방식으로 구현할 수 있지만, 이러한 구현 결정이 본 발명의 영역을 벗어나는 것은 아니다.
본 개시물과 관련하여 기재되는 다양한 예시적인 논리 블록들 및 모듈들은 범용 프로세서, 디지털 신호 처리기(DSP), 주문형 반도체(ASIC), 필드 프로그램어블 게이트 어레이(FPGA) 또는 다른 프로그램어블 논리 디바이스, 이산 게이트 또는 트랜지스터 논리, 이산 하드웨어 컴포넌트들 또는 여기서 기재되는 기능들을 구현하도록 설계되는 임의의 조합을 통해 구현 또는 수행될 수 있다. 범용 프로세서는 마이크로 프로세서 일 수 있지만; 대안적 실시예에서, 이러한 프로세서는 기존 프로세서, 제어기, 마이크로 제어기, 또는 상태 머신일 수 있다. 프로세서는 예를 들어, DSP 및 마이크로프로세서, 복수의 마이크로프로세서들, DSP 코어와 결합된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 프로세서, 또는 이러한 구성들의 조합과 같이 계산 장치들의 조합으로서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 구현에 대하여, 여기에서 개시되는 양상들과 관련하여 설명되는 프로세싱 유닛들의 다양한 예시적인 로직들, 로직 블록들 및 모듈들은, 하나 이상의 주문형 반도체(ASIC)들, 디지털 신호 처리기들(DSP)들, 디지털 신호 프로세싱 디바이스(DSPD)들, 프로그래밍가능한 로직 디바이스(PLD)들, 필드 프로그래밍가능한 게이트 어레이(FPGA)들, 이산 게이트 또는 트랜지스터 로직, 이산 하드웨어 컴포넌트들, 범용 목적의 프로세서들, 제어기들, 마이크로-컨트롤러들, 마이크로프로세서들, 여기에서 설명되는 기능들을 수행하도록 설계되는 다른 전자 유닛들, 또는 이들의 조합에서 구현될 수 있다. 범용-목적 프로세서는 마이크로프로세서일 수 있지만, 대안적으로, 임의의 기존의 프로세서, 제어기, 마이크로컨트롤러, 또는 상태 머신일 수 있다. 프로세서는 또한 컴퓨팅 디바이스들의 조합(예컨대, DSP 및 마이크로프로세서, 복수의 마이크로프로세서들, DSP 코어와 관련된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프로세서들의 조합, 또는 임의의 다른 적절한 구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여기에서 설명되는 단계들 및/또는 동작들 중 하나 이상을 구현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모듈들을 포함할 수 있다.
게다가, 여기에서 설명되는 다양한 양상들 또는 특징들은 표준 프로그래밍 및/또는 엔지니어링 기법들을 사용하는 방법, 장치, 또는 제조물로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여기에서 개시되는 양상들과 관련하여 설명되는 방법 또는 알고리즘의 단계들 및/또는 동작들은 하드웨어로,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모듈로,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직접 구현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몇몇의 양상들에서, 방법 또는 알고리즘의 단계들 또는 동작들은 기계-판독가능 매체, 또는 컴퓨터-판독가능 매체 상의 코드들 또는 명령들의 세트의 적어도 하나의 또는 임의의 조합으로서 존재할 수 있으며, 이는 컴퓨터 프로그램 물건으로 통합될 수 있다. 여기에서 사용되는 용어 제조물은 임의의 적절한 컴퓨터-판독가능 디바이스 또는 매체로부터 액세스가능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포함하도록 의도된다.
제시된 실시예들에 대한 설명은 임의의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이용하거나 또는 실시할 수 있도록 제공된다. 이러한 실시예들에 대한 다양한 변형들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며, 여기에 정의된 일반적인 원리들은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른 실시예들에 적용될 수 있다. 그리하여, 본 발명은 여기에 제시된 실시예들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여기에 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관되는 최광의의 범위에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 오프체인 저장소
2 : 정보주체 노드
3 : 블록체인 시스템
4 : 개인정보 요청자

Claims (15)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a) 개인정보를 갖는 정보주체 노드와 상기 정보주체가 요구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개인정보 처리자인 제3자 노드 간의 스마트 컨트랙트를 생성하는 단계;
    (b) 상기 스마트 컨트랙트를 블록체인 시스템에 등록하는 단계; 및
    (c) 상기 제3자 노드에서 개인정보 요청 쿼리를 블록체인 시스템에 요청하면, 상기 블록체인 시스템에서 상기 스마트 컨트랙트의 규정을 확인하여 상기 개인정보의 제공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3자는 상기 개인정보 처리자에 콘텐츠를 제공하는 개인정보 수탁자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개인정보 처리자와 상기 개인정보 수탁자 간의 스마트 컨트랙트를 생성하여 블록체인에 등록하며,
    상기 개인정보 처리자와 상기 개인정보 수탁자 간의 스마트 컨트랙트는, 개인정보 사용 계약을 통해 정책에 따라 개인정보가 처리되고 있는지 여부, 접근 요청 트랜잭션을 통해 개인정보 처리 내역이 기록되어 해당 트랜잭션을 감사할 수 있는지 여부, 계약 정책이 준수되고 있는지 여부에 대한 정보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체인 기반 개인정보 처리 방법.
  6. 삭제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개인정보 처리자는 상기 개인정보를 이용할 때, 상기 쿼리를 상기 정보주체에게 전송하는 거래를 생성하는 블록체인 기반 개인정보 처리 방법.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주체와 상기 개인정보 처리자 및 상기 개인정보 수탁자 간의 스마트 컨트랙트를 생성하여 블록체인에 등록하는 블록체인 기반 개인정보 처리 방법.
  12.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주체와 상기 개인정보 수탁자 간의 스마트 컨트랙트를 생성하여 블록체인에 등록하되, 상기 개인정보 처리자는 상기 개인정보 수탁자에게 보증서를 부여하는 블록체인 기반 개인정보 처리 방법.
  13. 제5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c-1) 상기 블록체인 시스템에서 상기 스마트 컨트랙트의 규정을 확인하여 상기 개인정보 요청 쿼리에 대한 응답 여부를 판단하고, 개인정보 호출내역을 트랜잭션으로 기록하는 단계;
    (c-2) 상기 트랜잭션에 대한 검증이 완료되면, 상기 블록체인 시스템은 개인정보를 검색하여 제3자 노드로 전송하는 단계; 및
    (c-3) 상기 블록체인 시스템에서 개인정보 사용내역을 블록체인의 트랙잭션으로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블록체인 기반 개인정보 처리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c-2) 단계에서 비대칭키 및 정책을 이용하여 검증을 수행하는 블록체인 기반 개인정보 처리 방법.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c-2) 단계에서, 상기 개인정보의 검색은 상기 개인정보가 저장된 오프체인 저장소에서 이루어지는 블록체인 기반 개인정보 처리 방법.
KR1020180095812A 2018-08-17 2018-08-17 블록체인 기반 개인정보 처리 시스템 및 방법 KR1020968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5812A KR102096890B1 (ko) 2018-08-17 2018-08-17 블록체인 기반 개인정보 처리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5812A KR102096890B1 (ko) 2018-08-17 2018-08-17 블록체인 기반 개인정보 처리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0291A KR20200020291A (ko) 2020-02-26
KR102096890B1 true KR102096890B1 (ko) 2020-04-06

Family

ID=696378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95812A KR102096890B1 (ko) 2018-08-17 2018-08-17 블록체인 기반 개인정보 처리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9689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50606A (ko) 2020-10-16 2022-04-25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개인정보 보호를 위해 개선된 스마트 컨트랙트 기반의 지능형 중개를 위한 장치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15947A (ko) * 2020-03-17 2021-09-27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20230379367A1 (en) * 2020-09-24 2023-11-23 Michael Ratiner Data Security Systems and Methods on Controlled Devices
KR102432775B1 (ko) * 2021-03-26 2022-08-16 충남대학교 산학협력단 개인정보보호를 지원하는 스마트 컨트랙트 프로그래밍 시스템 및 방법
KR102670647B1 (ko) * 2022-02-03 2024-05-31 충남대학교 산학협력단 스마트 컨트랙트 개인정보보호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시스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8109994A (ja) * 2017-12-28 2018-07-12 株式会社Okeios Bcn(ブロックチェーンネットワーク)を使用したデータ利用方法、システムおよびそのプログラム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90934A (ko) 2016-01-29 2017-08-08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유출된 개인정보의 탐지, 추적 방법 및 시스템
KR102032924B1 (ko) * 2016-11-28 2019-10-16 나라시스템 클라우드 환경에서 개인정보 보호를 지원하는 p2p 중개 보안 시스템
KR101877333B1 (ko) * 2017-01-02 2018-08-09 주식회사 코인플러그 블록체인 기반의 모바일 아이디를 이용하여 사용자를 비대면 인증하는 방법, 단말 및 이를 이용한 서버
KR101849912B1 (ko) 2017-05-25 2018-04-19 주식회사 코인플러그 스마트 컨트랙트 기반의 인증서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서버
KR20180041054A (ko) * 2017-09-06 2018-04-23 주식회사 코인플러그 스마트 컨트랙트 기반의 인증서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서버
KR102161114B1 (ko) * 2018-05-03 2020-09-29 유비벨록스(주) 중계 서버를 이용하는 본인인증 시스템 및 이에 의한 본인인증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8109994A (ja) * 2017-12-28 2018-07-12 株式会社Okeios Bcn(ブロックチェーンネットワーク)を使用したデータ利用方法、システムおよびそのプログラム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50606A (ko) 2020-10-16 2022-04-25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개인정보 보호를 위해 개선된 스마트 컨트랙트 기반의 지능형 중개를 위한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0291A (ko) 2020-02-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96890B1 (ko) 블록체인 기반 개인정보 처리 시스템 및 방법
US11611560B2 (en) Systems, methods, and apparatuses for implementing consensus on read via a consensus on write smart contract trigger for a distributed ledger technology (DLT) platform
JP7381625B2 (ja) 分散ハッシュテーブル及びピア・ツー・ピア分散型台帳を利用した契約の実行を制御する方法及びシステム
US11899817B2 (en) Systems, methods, and apparatuses for storing PII information via a metadata driven blockchain using distributed and decentralized storage for sensitive user information
KR101987692B1 (ko) 블록체인 집행의 스마트 계약을 위한 레지스트리 및 자동화 관리 방법
AU2022226929B2 (en) Advanced non-fungible token blockchain architecture
US11257073B2 (en) Systems, methods, and apparatuses for implementing machine learning models for smart contracts using distributed ledger technologies in a cloud based computing environment
CN110135186B (zh) 基于区块链技术的医疗数据交易与共享方法
CN106600405B (zh) 基于区块链的数据权益保护方法
JP2020535543A (ja) コンプライアンス対応のトークン化及び資産価値の制御のための方法、装置、及びコンピュータ可読媒体
Wang et al. Auditable protocols for fair payment and physical asset delivery based on smart contracts
KR20180128968A (ko) 블록체인 기반의 암호화폐를 위한 토큰을 검증하는 컴퓨터로 구현된 방법 및 시스템
US20220156837A1 (en) Distributed ledger implementation for entity formation and monitoring system
CN102855587A (zh) 用于电子商务网站的电子发票生成系统
WO2019243848A1 (en) Container tracking
US20190392432A1 (en) Capital inheritance system and method for facilitating transfer of digital cryptocurrency
CN109636569B (zh) 一种基于区块链的征信数据管理方法及系统
CN112567716B (zh) 安全数据传输系统和方法
Vyas et al. Integrating blockchain technology into healthcare
US11983711B1 (en) Hierarchy-based blockchain
Daraghmi et al. A Blockchain‐Based Editorial Management System
Kwame et al. V-chain: A blockchain-based car lease platform
US20230342849A1 (en)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readable medium for compliance aware tokenization and control of asset value
CN115705571A (zh) 保护可审计的帐户的隐私
US20240193597A1 (en) Hierarchy-based distributed ledg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