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95730B1 - Method for detecting lesion of large intestine disease based on deep learning - Google Patents

Method for detecting lesion of large intestine disease based on deep learning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95730B1
KR102095730B1 KR1020190073521A KR20190073521A KR102095730B1 KR 102095730 B1 KR102095730 B1 KR 102095730B1 KR 1020190073521 A KR1020190073521 A KR 1020190073521A KR 20190073521 A KR20190073521 A KR 20190073521A KR 102095730 B1 KR102095730 B1 KR 1020957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mucosal
tissue
lesion
col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73521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최우식
김태규
이희상
윤홍준
심영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딥노이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딥노이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딥노이드
Priority to KR10201900735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95730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957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9573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2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computer-aided diagnosis, e.g. based on medical expert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33Features or image-related aspects of imaging apparatus classified in A61B5/00, e.g. for MRI, optical tomography or impedance tomography apparatus; arrangements of imaging apparatus in a room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ublic Health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ath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iophys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Epidemiolog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Image Analysis (AREA)

Abstrac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method of detecting a lesion of large intestine based on deep learning comprises the following steps of: (A) generating a diagnosis model by training a lesion of a large intestine tissue through deep learning by using learning data; (B) inputting a diagnosis target image; (C) detecting a lesion part from the diagnosis target image based on the diagnosis model; and (D) displaying the lesion part on the diagnosis target image, wherein the step (A) includes the following steps of: (A1) inputting, as first learning data, a plurality of tissue element images obtained by subdividing a large intestine tissue in each large intestine image for each tissue element; (A2) generating a tissue element classification model through deep learning using the first learning data as input; (A3) inputting, as second learning data, a normal image without a lesion and a lesion image with a lesion for each tissue element; and (A4) generating a lesion detection model for detecting a lesion part for each tissue element through deep learning using the second learning data as input. In addition, in the step (C), it is desirable to apply the tissue element classification model and the lesion detection model as a diagnosis model.

Description

딥러닝 기반의 대장 병변 검출 방법{METHOD FOR DETECTING LESION OF LARGE INTESTINE DISEASE BASED ON DEEP LEARNING}METHOD FOR DETECTING LESION OF LARGE INTESTINE DISEASE BASED ON DEEP LEARNING}

본 발명은 딥러닝 기반의 대장 병변 검출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대장 조직의 병변여부를 딥러닝 기술을 통해 학습하여, 진단 대상 이미지에 병변부위를 표시할 수 있는 딥러닝 기반의 대장 병변 검출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detecting colon lesions based on deep learning, and more specifically, to learn whether or not lesions of colon tissues are learned through deep learning technology, and deep learning based colon lesions capable of displaying lesions on an image to be diagnosed. It relates to a detection method.

대장암은 국내에서 전체 암 발생률 2위(2018년 기준)를 차지하는 흔한 암종이다. 서구화된 식습관과 진단 기술의 발달로 대장암 발생률은 더욱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 80~90%의 대장암은 대장에 생긴 작은 혹인 용종(선종)에서 시작한다는 점이다. 대장내시경 검사를 통해 이 용종을 조기 발견해 제거한다면 대장암에 의한 사망률을 66%나 낮출 수 있게 된다.Colorectal cancer is a common carcinoma that ranks second in cancer rates in 2018 (as of 2018). With the development of westernized eating habits and diagnostic technology, the incidence of colorectal cancer is increasing more rapidly. 80-90% of colorectal cancer is a small lump on the large intestine that originated from the polyps (adenomas). Early detection and removal of this polyp through colonoscopy will reduce mortality from colon cancer by 66%.

전문 의료진은 각종 검사를 통해 환자의 병을 진단하고 치료법을 제시한다. 때에 따라서는 더 정확한 진단을 위해 방사선영상이나 조직 슬라이드를 스캔한 병리영상을 판독한다.Professional medical staff diagnoses the patient's illness through various tests and suggests treatment. In some cases, for more accurate diagnosis, a radiographic image or a pathological image obtained by scanning a tissue slide is read.

하지만 10만×10만 픽셀 크기의 영상에서 100×100픽셀 크기의 비정상적인 부위를 사람의 눈으로 찾는 일은 정말 어려운 일에 속한다. 아무리 전문적인 수련 과정을 거친 숙련의라도 육안으로는 종양과 정상인지 여부를 구분하는 게 쉽지 않고, 영상에 따라서는 분석에 수십 분에서 수 시간이 걸리기도 한다. However, it is really difficult to find an abnormal area of 100 × 100 pixels in the image of 100,000 × 100,000 pixels with the human eye. It is not easy to distinguish whether or not the tumor is normal with the naked eye even by a skilled practitioner who has undergone a professional training course, and depending on the image, analysis may take several tens to several hours.

아울러, 종종 비정상적인 케이스를 놓치는 상황이 종종 발생한다. 대장은 길고 굴곡이 심하며 많은 주름진 형태를 띤다. 숙련의가 대장 전 표면을 완벽하게 관찰하기가 어려운 이유이다. 만약 이런 굴곡 내측에 작은 병변이 있다면 발견이 쉽지 않고, 대장 점막의 미세한 변화나 1mm 사이즈의 암세포는 육안으로 쉽게 구별하기가 어렵다. In addition, situations that often miss an unusual case often occur. The large intestine is long, curved, and has many wrinkled shapes. This is why it is difficult for an expert to observe the entire surface of the large intestine perfectly. If there are small lesions inside these bends, it is not easy to find, and it is difficult to easily discriminate minute changes in the colon mucosa or cancer cells of 1 mm in size.

또한, 판독이 난해한 경우라면 의사 한 명이 하루에 분석할 수 있는 영상은 많아야 2~3명분에 불과하다. 사람의 눈으로 확인하는 작업이다 보니 같은 환자를 두고 서로 다른 진단을 내릴 수도 있다. Also, if it is difficult to read, the number of images that a doctor can analyze per day is only 2-3 people at most. Since it is a human eye check, it is possible to make different diagnoses for the same patient.

전문의가 한정된 시간 안에 검토해야 하는 많은 정보를 감안한다면 오진의 가능성을 완전히 배제할 수 없다. 대표적으로, 암 오진 피해의 원인으로는 추가 검사를 소홀히 하거나 판독오류라는 응답 비율이 가장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Given the large amount of information a specialist needs to review within a limited time, the possibility of misdiagnosis cannot be completely ruled out. Representatively, it is known that the cause of cancer misdiagnosis is the highest rate of negligence of additional tests or a false positive.

아울러, 용종의 크기가 작을수록 간과율이 높아지는 경향이 있어, 이런 이유로 대장내시경검사를 받은 지 수년 이내 대장암 진단을 받는 케이스가 종종 발생한다.In addition, the smaller the size of the polyp, the higher the tendency to overlook, and for this reason, cases of colon cancer are often diagnosed within a few years after colonoscopy.

또한, 모니터에서 지원하는 해상도, 명암비, 휘도 등의 요소에 따라 영상이 온전하게 보이지 않을 가능성도 완전히 배제할 수 없다. 판독용 모니터는 의료용 디지털 영상 및 통신 표준(DICOM), 5백만 화소, 고대조도, 최소 8비트 조건의 고해상도와 같은 요소를 필수로 지원해야 하나, 현실에서는 고가의 장비라는 것을 이유로 구매나 이용이 제한될 가능성이 크다. 이에 효율적으로 의료영상을 판독하려는 목적에서 딥러닝(deep learning)이 도입되고 있습니다. In addition, the possibility that the image may not be completely displayed depending on factors such as resolution, contrast ratio, and luminance supported by the monitor cannot be completely excluded. Reading monitors must support elements such as medical digital imaging and communications standards (DICOM), 5 million pixels, high illumination, and high resolution with at least 8-bit conditions, but in reality, purchase or use is limited due to expensive equipment. It is likely to be. To this end, deep learning has been introduced for the purpose of efficiently reading medical images.

딥러닝(deep learning)과 같은 기계 학습(machine learning)을 기반으로 하는 인공지능(AI) 기술은 의료 영상을 이용하여 환자의 질병을 진단하는데 있어 비약적인 발전을 가져오는데 바탕이 되고 있다.Artificial intelligence (AI) technology based on machine learning, such as deep learning, has been the basis for bringing about rapid advances in diagnosing patients' diseases using medical images.

딥러닝이란 사람의 신경세포(biological neuron)를 모사하여 기계가 학습하도록 하는 인공신경망(Artificial Neural Network) 기반의 기계 학습법을 의미한다. 최근, 딥러닝 기술은 이미지 인식 분야에서 비약적으로 발전하고 있고, 의료 영상을 이용한 진단 분야에서도 널리 사용되고 있다.Deep learning refers to a machine learning method based on an artificial neural network that allows a machine to learn by simulating a human neuron. Recently, deep learning technology has been rapidly developed in the field of image recognition, and is widely used in the field of diagnosis using medical images.

딥러닝 기술에서는 학습 데이터를 반복적으로 학습하여 질환을 진단하기 위한 진단 모델을 형성하게 되는데, 학습 데이터로 사용되는 질환의 종류가 다양하기 때문에 각 질환에 특화된 진단 모델을 개발하는 것이 중요하다. In deep learning technology, a learning model is formed by repeatedly learning learning data to form a diagnostic model for diagnosing a disease. It is important to develop a diagnostic model specialized for each disease because various types of diseases are used as learning data.

대장 영상을 분석해 용종을 인식하는 딥러닝 알고리즘이 도입된다면, 대장 질환 판독시 비정상적인 케이스를 놓칠 확률을 대폭 낮추는 데 크게 도움이 될 것으로 예측된다. 또한, 기술 숙련도가 낮은 대장내시경 검사자라도 이 시스템을 활용한다면 높은 정확도로 용종을 탐지, 절제할 수 있을 것으로 예측되는데, 딥러닝 기술을 이용한 대장 영상을 판독하는 기술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If a deep learning algorithm that recognizes polyps by analyzing colon images is introduced, it is expected to greatly help to significantly reduce the probability of missing an abnormal case when reading colon diseases. In addition, even a colonoscopy tester with low technical skill is expected to be able to detect and ablate polyps with high accuracy if this system is used, and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technique for reading colon images using deep learning technology.

한국 공개특허 제10-2017-0017614호에 개시된 '의료 영상 기반의 질환 진단 정보 산출 방법 및 장치'에서는, 분석 대상 객체가 촬영된 관심 영역을 검출하고, 변동계수를 산출하고, 변동계수 이미지를 작성하고 이를 기준 샘플과 비교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CT, MRI 및 초음파 영상 촬영 장치 등을 통해 획득된 의료 영상을 활용하여 환자의 질환 정도를 진단하는 효과를 언급하고 있다.In the 'medical image-based disease diagnosis information calculation method and apparatus' disclosed in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7-0017614, the region of interest in which an object to be analyzed is photographed is detected, a variation coefficient is calculated, and a variation coefficient image is prepared. And comparing it with a reference sample, and refers to an effect of diagnosing a patient's disease degree by using medical images obtained through CT, MRI, and ultrasound imaging devices.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대장 조직의 병변여부를 딥러닝 기술을 통해 학습하여, 대장 조직에서 병변 부위를 보다 정확하게 자동으로 검출할 수 있는 딥러닝 기반의 대장 병변 검출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was devised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s, and by learning whether or not lesions of the large intestine tissues are performed through deep learning technology, deep learning based large intestines capable of automatically and more accurately detecting lesions in the large intestine tissues. The aim is to provide a method for detecting lesions.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딥러닝 기반의 대장 병변 검출 방법은, (A) 학습데이터를 이용하여 대장 조직의 병변이 딥러닝되어, 진단 모델이 생성되는 단계; (B) 진단 대상 이미지가 입력되는 단계; (C) 진단 모델에 기초하여, 진단 대상 이미지에서 병변부위가 검출되는 단계; 및 (D) 진단 대상 이미지에 병변부위가 표시되는 단계를 포함하고, (A) 단계는, (A1) 복수의 대장 이미지와, 각각의 대장 이미지 내의 대장 조직을 조직 요소 별로 세분화한 복수의 조직 요소 이미지가 제1 학습데이터로 입력되는 단계; (A2) 제1 학습데이터를 입력으로 하는 딥러닝을 통해, 조직요소 분류모델이 생성되는 단계; (A3) 조직 요소 별로, 병변이 없는 정상 이미지와, 병변이 존재하는 병변 이미지가 제2 학습데이터로 입력되는 단계; 및 (A4) 제2 학습데이터를 입력으로 하는 딥러닝을 통해, 조직 요소 별로 병변부위를 검출하는 병변검출모델이 생성되는 단계를 포함하고, (C) 단계에서는 조직요소 분류모델 및 병변검출모델이 진단 모델로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A deep learning based colon lesion detect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eep learning of a lesion of a colon tissue using learning data, thereby generating a diagnostic model; (B) inputting an image to be diagnosed; (C) based on the diagnostic model, the lesion site is detected in the image to be diagnosed; And (D) comprising the step of displaying the lesion site in the image to be diagnosed, (A) step, (A1) a plurality of tissue elements, and a plurality of tissue elements that are divided into the tissues of the large intestine tissue in each large intestine image Inputting the image as first learning data; (A2) a step of generating an organizational element classification model through deep learning using the first learning data as an input; (A3) for each tissue element, a normal image without a lesion and a lesion image with a lesion are input as second learning data; And (A4) through deep learning using the second learning data as input, a lesion detection model for detecting a lesion site for each tissue element is generated, and in step (C), the tissue element classification model and the lesion detection model are included. It is preferably applied as a diagnostic model.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A2) 단계에서, 복수의 조직 요소 이미지는 대장 조직의 조직 요소인 점막, 점막근판와 점막하조직에 대한 이미지로 구분되고, 제1 학습데이터는 기 등록된 분류 알고리즘을 통해 딥러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step (A2), the plurality of tissue element images are divided into images of mucosal, mucosal myocardial and submucosal tissues, which are tissue elements of the large intestine tissue, and the first learning data is pre-registered classification. It is desirable to deep-learn through an algorithm.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A4) 단계에서, 제2 학습데이터는 조직 요소 별로, 점막학습데이터, 점막근판 학습데이터, 점막하조직 학습데이터로 구분되고, (A4) 단계는, 점막 정상 이미지와 점막 병변 이미지가 점막학습데이터로 입력되어, 점막학습데이터를 입력으로 하는 딥러닝을 통해 점막 병변검출모델이 생성되는 단계; 점막근판 정상 이미지와 점막근판 병변 이미지가 점막근판 학습데이터로 입력되어, 점막근판 학습데이터를 입력으로 하는 딥러닝을 통해 점막근판 병변검출모델이 생성되는 단계; 및 점막하조직 정상 이미지와 점막근판 병변 이미지가 점막하조직 학습데이터로 입력되어, 점막하조직 학습데이터를 입력으로 하는 딥러닝을 통해 점막하조직 병변검출모델이 생성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step (A4), the second learning data is divided into tissue elements, mucosal learning data, mucosal myocardial learning data, submucosal tissue learning data, and step (A4), the mucosal normal image And a mucosal lesion image is input as mucosal learning data, and a mucosal lesion detection model is generated through deep learning using mucosal learning data as input; A mucosal myocardial lesions detection model is inputted as mucosal myocardial lesions learning data, and a mucosal myocardial lesion detection model is generated through deep learning using mucosal myocardial learning data as an input; And it is preferable that the submucosal tissue normal image and the mucosal myocardial lesion image are input as submucosal tissue learning data, and a submucosal lesion detection model is generated through deep learning using submucosal tissue learning data as inpu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C) 단계는, (C1) 진단 대상 이미지로부터 조직요소 분류모델을 통해 진단 대상 이미지에서 점막 이미지, 점막근판 이미지와 점막하조직 이미지를 생성하는 단계; (C2) 점막병변검출모델을 통해, 점막 이미지로부터 점막의 병변 부위를 검출하는 단계; (C3) 점막근판 병변검출모델을 통해, 점막근판 이미지로부터 점막근판의 병변 부위를 검출하는 단계; 및 (C4) 점막하조직 병변검출모델을 통해, 점막하조직 이미지로부터 점막하조직의 병변 부위를 검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tep (C) comprises: (C1) generating a mucosal image, a mucosal myocardial image and a submucosal tissue image from a diagnosis target image through a tissue element classification model from the diagnosis target image; (C2) detecting a mucosal lesion site from a mucosal image through a mucosal lesion detection model; (C3) detecting a lesion site of the mucosal myocardium from the mucosal myocardial image through a mucosal myocardial lesion detection model; And (C4) through the submucosal tissue lesion detection model, it is preferable to include the step of detecting the lesion site of the submucosal tissue from the submucosal tissue imag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D) 단계는, 기 등록된 영역 추출-병합 알고리즘을 통해, 진단 대상 이미지 상에, (C)단계를 통해 검출된 점막의 병변부위, 점막근판의 병변부위 또는 점막하조직의 병변부위를 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tep (D) is, on the image to be diagnosed, through the pre-registered region extraction-merge algorithm, the lesion site of the mucous membrane, the lesion site of the mucosal myocardium detected through the stage (C). Alternatively, it is preferable to mark the lesion site of the submucosal tissu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C) 단계는, (C0) 진단 대상 이미지를 대장 이미지의 사이즈와 동일한 사이즈로 이미지 처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tep (C), (C0) it is preferable to further include the step of image processing the same size as the size of the colon image.

상기 (C0)단계는, 모폴로지 알고리즘을 통해, 진단 대상 이미지 상에 존재하는 노이즈를 제거하는 단계; 히스토그램 알고리즘을 통해, 진단 대상 이미지에서 대장 조직을 추출하여 대장 조직 이미지를 생성하는 단계; 색 정규화 알고리즘을 통해, 대장 조직 이미지의 일정한 색강도로 이미지 처리하는 단계; 및 대장 조직 이미지를 대장 이미지와 동일한 이미지 사이즈로 리사이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C0) step may include, through a morphology algorithm, removing noise existing on the image to be diagnosed; Generating a colon tissue image by extracting a colon tissue from an image to be diagnosed through a histogram algorithm; Image processing with a constant color intensity of the large intestine tissue image through a color normalization algorithm; And resizing the colon tissue image to the same image size as the colon imag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대장 조직 이미지를 생성하는 단계는, 진단 대상 이미지에 대산 가로축의 색 강도를 나타내는 가로축 히스토그램으로부터 가로축의 제1시작점과 제1끝점에 대한 가로 좌표값을 획득하는 단계; 진단 대상 이미지에 대한 세로축의 색 강도를 나타내는 세로축 히스토그램으로부터 세로축의 제2시작점과 제2끝점에 대한 세로좌표값을 획득하는 단계; 및 세로좌표값과 가로좌표값을 연산하여, 진단 대상 이미지 상에 존재하는 대장 조직 별로 대장 조직 이미지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ep of generating an image of the large intestine comprises: obtaining a horizontal coordinate value for a first start point and a first end point of the horizontal axis from a horizontal axis histogram indicating the color intensity of a large horizontal axis in an image to be diagnosed. ; Obtaining vertical coordinate values for a second start point and a second end point of the vertical axis from a vertical axis histogram indicating the color intensity of the vertical axis for the image to be diagnosed; And generating a colon tissue image for each colon tissue present on the diagnosis target image by calculating the ordinate and abscissa values.

상기와 같은 구성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르면, 진단 과정 중 두 번의 과정, 즉, 조직요소 분류모델로 진단 대상 이미지에서 대장 조직 요소인 점막, 점막근판과 점막하조직에 대한 이미지를 추출하는 과정과, 점막, 점막근판과 점막하조직에서의 병변부위를 검출하는 과정을 통해, 진단 대상 이미지 상의 대장 조직의 어느 부분에 병변이 존재하는지 여부가 표시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wo processes of the diagnosis process, that is, the process of extracting the images of the mucosal, mucosal myocardial and submucosal tissues, which are the elements of the large intestine, from the image to be diagnosed by the tissue element classification model, Through the process of detecting the lesion site in the mucous membrane, mucosal myocardium, and submucosal tissue, it is possible to indicate which part of the colon tissue on the image to be diagnosed exists.

본 발명은 대장 조직의 원본 이미지인 진단 대상 이미지에, 병변 부위가 표시되어, 의사가 육안으로 판독하기 어려운 병변 부위도 검출가능하여, 진단의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a lesion site is displayed on an image to be diagnosed, which is an original image of colon tissue, and a lesion site that is difficult for a doctor to read with the naked eye can be detected, thereby improving diagnosis accuracy.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딥러닝 기반의 대장 병변 검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딥러닝 방식으로 조직요소 분류모델을 생성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딥러닝 방식으로 병변검출모델을 생성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딥러닝 기반의 대장 병변 검출 방법의 진단 모델에 따라 대장 조직에서 병변부위를 검출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진단 대상 이미지를 이미지처리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영역 추출-병합 알고리즘의 일 예인 U-NET 알고리즘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딥러닝 기반의 대장 병변 검출 방법에 따른 진단결과에 대한 예시이다.
도 11 내지 도 17은 대장의 질환 종류 별 대장 이미지에 대한 예시이다.
1 is a view for explaining a deep learning-based colon lesion detection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process of generating a tissue element classification model in a deep learn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process of generating a lesion detection model in a deep learn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and 5 are diagrams for explaining a process of detecting a lesion site in colon tissues according to a diagnostic model of a deep learning-based colon lesion detection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 to 8 are views for explaining a process of processing an image to be diagnosed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U-NET algorithm, which is an example of a region extraction-merge algorithm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n example of a diagnosis result according to a deep learning-based method for detecting colon les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11 to 17 are examples of colon images by disease types of the colon.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various changes and may have various embodiments, and specific embodiments will b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o specific embodiments, and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s used in this application are only used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In this application, the terms "include" or "have" are intended to indicate the presence of features, numbers, steps, ac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described herein,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existence or addition possibilities of fields or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are not excluded in advance.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defined otherwise,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a person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a commonly used dictionary should be interpreted as having meanings consistent with meanings in the context of related technologies, and should not be interpreted as ideal or excessively formal meanings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Does not.

본 발명을 설명하기 앞서, 대장 조직 및 대장 질환을 간략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Before explaining the present invention, a brief description of colon tissue and colon disease is as follows.

대장 질환은 대장 조직 요소인 점막, 점막근판 또는 점막하조직 중 어느 부분에 병변이 발생하는지 여부에 따라, 질환의 종류가 구분된다.Colon disease is classified according to whether the lesion occurs in the mucosal, mucosal myocardium, or submucosal tissues, which are elements of the colon tissue.

대장 조직(도 11(a)을 참조)은, 크게 점막(mucosa), 점막근판(muscularis mucosa)과 점막하조직(submucosa)으로 구분된다. 도 1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점막 내부에는 복수의 글랜드(gland)가 존재한다. “정상” 대장 조직의 글랜드는 동그란 형상을 가진다. The large intestine tissue (see FIG. 11 (a)) is largely divided into mucosa, mucosal myocardium (muscularis mucosa), and submucosal tissue (submucosa). As shown in Fig. 11 (b), there are a plurality of glands inside the mucous membrane. The gland of the “normal” large intestine has a round shape.

점막근판은 점막과 점막하조직 사이에 존재한다. 도 8(b)는 대장 질환이 없는 “정상“ 상태의 대장의 점막 이미지이다.Mucosal myocardium exists between the mucosa and submucosal tissue. Figure 8 (b) is a mucosal image of the colon in a "normal" state without colon disease.

대장 질환은 점막, 점막근판 및 점막하조직의 변형 부위에 따라, 정상(도 11 내지 도 13참조), 양성, 또는 악성으로 구분된다. 대장 질환이 양성(도 14 및 도 15 참조)인 경우, 점막 내의 글랜드의 형상 변형 및 세포 변형이 발생한다. Colon diseases are classified into normal (see FIGS. 11 to 13), benign, or malignant, depending on the mucosal, mucosal myocardial, and submucosal tissue deformities. When the colon disease is positive (see FIGS. 14 and 15), shape and cell deformation of the gland in the mucosa occurs.

대장 질환의 병명이 선암종(악성, 도 16참조)인 경우, 점막이 손상되면서 손상된 조직이 점막근판을 침투하는 병변을 나타난다. 또한, 대장 질환의 병명이 카르시노이드(악성, 17참조)인 경우, 점막하조직이 선형으로 길게 변형되는 병변을 가진다. In the case of adenocarcinoma (malignant, see FIG. 16), the disease of the large intestine disease is a lesion in which the damaged tissue penetrates the mucosal myocardium as the mucous membrane is damaged. In addition, when the pathology of colon disease is carcinoid (malignant, see 17), the submucosal tissue has a linearly deformed lesion.

배경기술에서 상술했듯이, 의료 영상을 통해 질환의 종류를 판독하더라도, 대장 점막의 미세한 변화나 1mm 사이즈의 암세포는 육안으로 쉽게 구별하기 어려워, 병변부위를 정확하게 파악하지 못할 가능성이 존재한다. As described above in the background art, even if the type of disease is read through a medical image, there is a possibility that minute changes in the colon mucosa or cancer cells having a size of 1 mm are difficult to be easily discerned with the naked eye, and thus cannot accurately grasp the lesion site.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딥러닝 기술을 기반으로, 진단 대상 이미지 상의 대장 조직에 병변이 존재하는 경우, 진단 대상 이미지에 병변부위를 표시하여, 의료 진단의 정확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based on deep learning technology, when a lesion is present in the large intestine tissue on the image to be diagnosed, the lesion site is displayed on the image to be diagnosed to improve the accuracy of the medical diagnosis. To improve.

딥러닝 기술로는 CNN(Convolutional Neural Network) 방식이 적용가능하다. CNN 방식은 인간의 뇌신경망을 연구하고 만든 Neural Network의 특성을 살려 이미지에 적용시킨 기술로서, 이미지의 픽셀 및 영역을 추출해 특성(feature)를 계산해서 이미지의 물체를 인식하는 방식의 알고리즘이다. As a deep learning technology, a convolutional neural network (CNN) method is applicable. The CNN method is a technique applied to an image by utiliz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neural network created and studied by the human brain neural network, and is an algorithm of recognizing objects in an image by calculating features by extracting pixels and regions of the image.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에 따른 딥러닝 기반의 대장 병변 검출 방법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Referring to FIG. 1, a method of detecting deep bowel-based colon lesion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as follows.

학습 데이터가 입력(S10)되면, 학습 데이터를 이용하여 대장 질환이 딥러닝된다(S20). 딥러닝 결과로, 진단 모델이 생성된다(S30). 이후, 병변부위가 미판독된 진단 대상 이미지가 입력되면(S40), 진단 모델에 기초하여 병변 부위가 검출된다(S50). When learning data is input (S10), colon disease is deep-learned using the learning data (S20). As a result of deep learning, a diagnostic model is generated (S30). Subsequently, when an image to be diagnosed in which the lesion site is not read is input (S40), the lesion site is detected based on the diagnostic model (S50).

도 4를 참조하여 S50에 대해 설명하면, 진단 대상 이미지가 대장 이미지와 동일한 사이즈로 이미지처리된다(S51). 이후, 조직요소 분류모델에 기초하여, 진단 대상 이미지로부터 점막 이미지, 점막근판 이미지와 점막하조직 이미지가 추출된다(S52). 점막 병변검출모델에 기초하여, 점막 이미지로부터 점막에 존재하는 병변부위가 검출된다(S53). 그리고, 점막근판 병변검출모델에 기초하여, 점막근판 이미지로부터 점막근판에 존재하는 병변부위가 검출된다(S53). 점막하조직 병변검출모델에 기초하여, 점막하조직 이미지로부터 점막하조직에 존재하는 병변부위가 검출된다(S53). 검출된 병변부위는 원본인 진단 대상 이미지에 병변 부위가 표시된다(S54). 병변 부위가 표시된 진단 대상 이미지는 진단 결과로 출력된다(S60). Referring to S50 with reference to FIG. 4, the image to be diagnosed is image-processed to the same size as the large intestine image (S51). Thereafter, based on the tissue element classification model, mucosal images, mucosal myocardial images, and submucosal tissue images are extracted from the diagnosis target image (S52). Based on the mucosal lesion detection model, a lesion site existing on the mucous membrane is detected from the mucosal image (S53). Then, on the basis of the mucosal myocardial lesion detection model, a lesion site existing in the mucosal myocardium is detected from the mucosal myocardial image (S53). Based on the submucosal lesion detection model, a lesion site present in the submucosal tissue is detected from the submucosal tissue image (S53). The detected lesion site is marked with a lesion site on the original diagnosis target image (S54). The diagnosis target image in which the lesion site is displayed is output as a diagnosis result (S60).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딥러닝 기반의 대장 병변 검출 방법에서의 진단 모델을 생성하는 과정(S10 내지 S30)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진단모델은 조직요소 분류모델과 병변검출모델로 구분된다. Referring to FIGS. 2 and 3, a process (S10 to S30) of generating a diagnostic model in a method for detecting colon lesions based on deep learn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The diagnostic model is divided into a tissue element classification model and a lesion detection model.

먼저, 도 2를 참조하여, 조직요소 분류모델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First, referring to FIG. 2, the tissue element classification model will be described as follows.

제1 학습데이터가 조직요소 분류부(110)에 입력된다. 제1 학습데이터는 복수의 대장 이미지와 각각의 대장 이미지에 대한 복수의 조직 요소 이미지이다. 복수의 조직 요소 이미지는 점막 이미지, 점막근판 이미지와 점막하조직 이미지로 구분된다. The first learning data is input to the organization element classification unit 110. The first learning data is a plurality of large intestine images and a plurality of tissue element images for each large intestine image. The plurality of tissue element images are divided into mucosal images, mucosal myocardial images, and submucosal tissue images.

조직요소 분류부(110)에서, 제1 학습데이터는 기 등록된 분류 알고리즘을 통해 딥러닝된다. 조직요소 분류부(110)는 제1 학습데이터를 입력으로 하는 조직 요소 분류모델을 생성한다. In the organization element classification unit 110, the first learning data is deep-learned through a pre-registered classification algorithm. The organization element classification unit 110 generates an organization element classification model using the first learning data as input.

조직 요소 분류모델은 입력된 대장 이미지 상의 대장 조직에서 점막, 점막근판과 점막하조직을 학습하여, 조직 요소 별로 이미지를 추출, 생성 및 분류한다. 기계 학습된 조직 요소 분류모델은 진단 대상 이미지가 입력되면, 진단 대상 이미지 상의 대장 조직으로부터 점막 영역, 점막근판 영역과 점막하조직 영역을 추출하여, 점막 이미지, 점막근판 이미지와 점막하조직 이미지를 생성한다. The tissue element classification model learns mucosal, mucosal myofascial and submucosal tissues from the colon tissue on the input colon image, extracts, creates and classifies images for each tissue element. The machine-learned tissue element classification model extracts a mucosal region, a mucosal myofascial region, and a submucosal tissue region from the large intestine tissue on the diagnosis target image when a diagnosis target image is input, thereby generating a mucosal image, a mucosal myocardial image, and a submucosal tissue image.

도 3을 참조하여, 병변검출모델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Referring to Figure 3, the description of the lesion detection model is as follows.

제2 학습데이터가 병변검출부(120)로 입력된다. 병변검출부는 점막병변검출부(121), 점막근판 병변검출부(123)와 점막하조직 병변검출부(125)를 포함한다. 제2 학습데이터는 조직 요소 별로, 점막학습데이터, 점막근판 학습데이터, 점막하조직 학습데이터로 구분된다. The second learning data is input to the lesion detection unit 120. The lesion detection unit includes a mucosal lesion detection unit 121, a mucosal myocardial lesion detection unit 123 and a submucosal tissue lesion detection unit 125. The second learning data is divided into organizational elements, such as mucosal learning data, mucosal myocardial learning data, and submucosal organizational learning data.

점막병변검출부(121)는 점막학습데이터를 입력으로 하는 딥러닝을 통해 점막 병변검출모델이 생성한다. 점막병변검출모델은, 입력된 점막이미지로부터 점막의 변형으로 인한 병변부위를 검출하기 위한 것이다. 점막학습데이터는 점막에 대한 정상이미지(도 11(b), 도 12 및 도 13 참조)와 점막에 대한 병변 이미지(도 14 및 도 15 참조)이다. The mucosal lesion detection unit 121 generates a mucosal lesion detection model through deep learning using mucosal learning data as input. The mucosal lesion detection model is for detecting a lesion site due to deformation of the mucous membrane from an input mucosal image. The mucosal learning data are normal images of the mucous membrane (see FIGS. 11 (b), 12 and 13) and lesion images of the mucous membrane (see FIGS. 14 and 15).

도 11(b) 내지 도 15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1(b)은 점막이 온전히 “정상” 인 경우로서, 점막 내부의 글랜드가 전체적으로 작고, 동그란 형태를 유지하고, 글랜드 내부의 세포질 또한 동그란 형태를 유지한다. Referring to Figure 11 (b) to 15 are as follows. Figure 11 (b) is a case where the mucous membrane is completely "normal", the gland inside the mucosa is entirely small, maintains a round shape, and the cytoplasm inside the gland also maintains a round shape.

도 12는 점막에 염증이 생긴 경우로서, 점막 내의 글랜드가 동그란 형상을 유지하나 핵, 글랜드의 검은색 테두리 부분이 손상된 경우이다. 12 is a case where the mucous membrane is inflamed, the gland within the mucous membrane maintains a round shape, but the nucleus, the black border of the gland is damaged.

도 13은 과형성/증식성 용종에 해당되는 경우, 점막 내의 글랜드의 핵(검은색 테두리)의 손상은 없으나, 글랜드의 루멘이 길쭉하게 또는 톱니 형상으로 변형된다.FIG. 13 shows that in the case of hyperplasia / proliferative polyp, the nucleus of the gland (black border) in the mucous membrane is not damaged, but the lumen of the gland is elongated or deformed in a serrated shape.

도 14는 저도 이형성 샘종(Adenoma with Low grade dysplasia) 이미지로서, 점막 내의 글랜드의 핵이 세포질을 향해 내성장하고, 글랜드의 전체 형상이 길쭉하게 변형된다.FIG. 14 is an image of adenoma with low grade dysplasia, in which the nucleus of the gland in the mucous membrane grows toward the cytoplasm, and the overall shape of the gland is elongated.

도 15는 고도 이형성 샘종(Adenoma with high grade dysplasia) 이미지로서, 점막 내의 글랜드의 핵이 세포질을 향해 내성장하고, 글랜드의 전체 형상이 길쭉하게 변형되고, 점막 내의 글랜드들 간의 융합이 생긴 예이다. 15 is an image of adenoma with high grade dysplasia, in which the nucleus of the gland in the mucous membrane grows toward the cytoplasm, the entire shape of the gland is elongated, and fusion between the glands in the mucosa occurs. Yes.

점막근판 병변검출부(123)는 점막근판 학습데이터를 입력으로하는 딥러닝을 통해 점막근판 병변검출모델을 생성한다. 점막근판 병변검출모델은, 입력된 점막근판 이미지로부터 점막근판의 변형으로 인한 병변부위를 검출하기 위한 것이다. 점막근판 학습데이터는 점막근판 정상 이미지와 점막근판 병변 이미지(도 16 참조)이다. The mucosal myopia lesion detection unit 123 generates a mucosal myopia lesion detection model through deep learning using mucosal myopia learning data as an input. The mucosal myocardial lesion detection model is for detecting a lesion site due to deformation of the mucosal myocardium from an input mucosal myocardial image. The mucosal myocardial learning data are the mucosal myocardial normal image and the mucosal myocardial lesion image (see FIG. 16).

도 16은 대장 조직이 선암종인 생긴 이미지로서, 대장 조직에 선암종이 발생하면 점막이 손상되면서 손상된 조직이 점막근판을 침투하면서 점막근판의 형태가 무너진다. FIG. 16 is an image of adenocarcinoma of the large intestine, and when adenocarcinoma occurs in the large intestine, the mucous membrane is damaged and the damaged tissue penetrates the mucosal myocardium and the mucosal myocardium collapses.

점막하조직 병변검출부(125)는 점막하조직 학습데이터를 입력으로 하는 딥러닝을 통해 점막하조직 병변검출모델이 생성한다. 점막하조직 병변검출모델은 입력된 점막하조직 이미지로부터 점막하조직의 변형으로 인한 병변부위를 검출하기 위한 것이다. 점막하조직 학습데이터는 점막하조직 정상 이미지와 점막근판 병변 이미지(도 17 참조)이다. The submucosal lesion detection unit 125 generates a submucosal lesion detection model through deep learning using submucosal tissue learning data as input. The submucosal lesion detection model is for detecting a lesion site due to deformation of the submucosal tissue from the input submucosal tissue image. Submucosal tissue learning data are submucosal tissue normal images and mucosal myocardial lesion images (see Figure 17).

도 17을 참조하면, 대장 조직이 카르시노이드인 경우, 점막하조직이 선형으로 길게 변형된다. 카르시노이드의 경우, 점막 및 점막근판의 변형은 발생하지 않는다. Referring to FIG. 17, when the colon tissue is carcinoid, the submucosal tissue is linearly deformed. In the case of carcinoids, mucosal and mucosal myocardial deformation does not occur.

이하에서는 도 5를 참조하여, 진단 대상 이미지로부터 병변 부위를 검출 및 표시하는 과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a process of detecting and displaying a lesion site from an image to be diagnosed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5.

우선, 진단 대상 이미지가 조직요소 분류부(110)로 입력되기 전에, 진단 대상 이미지에 대한 이미지 처리가 선행된다. 입력된 진단 대상 이미지(도 5(a) 참조)는 파일 포맷 변경 및 이미지 사이즈가 축소되는 제1 리사이징 처리된다. 이후, 모폴로지 알고리즘 및 히스토그램 알고리즘을 통해, 제1 리사이징된 이미지(도 5(b) 참조)에서 대장 조직을 추출하여 대장 조직 이미지를 생성한다. First, before the image to be diagnosed is input to the tissue element classification unit 110, image processing for the image to be diagnosed is preceded. The input diagnostic image (see FIG. 5 (a)) is subjected to a first resizing process in which the file format is changed and the image size is reduced. Then, through the morphology algorithm and the histogram algorithm, the colon tissue is extracted from the first resized image (see FIG. 5 (b)) to generate the colon tissue image.

도 6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복수의 대장 조직이 존재하는 진단 대상 이미지(10)에서 대장 조직에 해당되는 부분만 추출하는 과정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Referring to FIGS. 6 to 7, a description will be given of a process of extracting only a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large intestine tissue from the diagnosis target image 10 in which a plurality of large intestine tissues exist.

병변이 존재하는 것으로 의심되는 여러 개의 대장 조직이 촬영된다. 이후,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여러 개의 대장 조직 이미지는 한 장의 진단 대상 이미지(10)로 병합된다. 도 6에는 한 장의 진단 대상 이미지(10)에 2개의 대장 조직이 존재하는 경우에 대한 예시 사진이다.Multiple colon tissues suspected of having lesions are imaged. Subsequently, as shown in FIG. 6 (a), multiple colon tissue images are merged into one diagnostic target image 10. FIG. 6 is an exemplary photograph of a case where two large intestine tissues are present in one diagnosis target image 10.

모폴로지 오프닝(Morphology Opening) 연산을 통해, 진단 대상 이미지(10, 도 6(a) 참조)에서 이미지 상에 존재하는 노이즈가 제거한다(도 6(b) 참조). 이후, 모폴로지 팽창(Morphology Dilation) 연산을 통해, 노이즈가 제거된 영역의 크기를 확장한다(도 6(c) 참조).Through the morphology opening operation, noise existing on the image is removed from the image to be diagnosed (see FIG. 6 (a)) (see FIG. 6 (b)). Thereafter, the size of the region from which noise is removed is expanded through a morphology dilation operation (see FIG. 6 (c)).

참고로, 도 8(a)를 참고하여 모폴로지 오프닝(Morphology Opening)을 설명하면, 모폴로지 오프닝은 일정 영역(40)에서 기준이 되는 도형(42)을 붓으로 생각하고 페인트를 칠할 때 닿지 않는 영역을 지우는 기법이다. 도 8(b)를 참고하여, 모폴로지 팽창(Morphology Dilation)에 대해 설명하면, 모폴로지 팽창은 기준이 되는 도형(42)을 영역 테두리부분(41)에 정렬하여 페인트칠 했을 때 영역(45)을 늘리는 기법이다. For reference, referring to FIG. 8 (a), the morphology opening is described, and the morphology opening considers the figure 42, which is a reference in a certain area 40, as a brush, and displays an area that does not reach when painting. It is an erasing technique. Referring to FIG. 8 (b), morphology dilation is described, the morphology dilation increases the area 45 when painting by aligning the reference figure 42 with the area border portion 41 It is a technique.

모폴로지 알고리즘을 통해 진단 대상 이미지(10)에서 노이즈가 제거되면, 히스토그램 알고리즘을 통해, 복수 개의 대장 조직을 하나의 대장 조직만 존재하게 조직을 추출하는 것이다. When noise is removed from the image 10 to be diagnosed through a morphology algorithm, a tissue is extracted so that a plurality of large intestine tissues are present only through a histogram algorithm.

히스토그램 알고리즘을 통해, 진단 대상 이미지(10)에서 대상 조직 이미지(20, 30)를 추출하는 과정은 다음과 같다. The process of extracting the target tissue images 20 and 30 from the diagnosis target image 10 through the histogram algorithm is as follows.

우선, 도 6(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진단 대상 이미지에 대산 가로축의 색 강도를 나타내는 가로축 히스토그램으로부터 가로축의 제1시작점과 제1끝점에 대한 가로 좌표값을 획득한다. First, as illustrated in FIG. 6 (d), horizontal coordinate values for the first start point and the first end point of the horizontal axis are obtained from a horizontal axis histogram indicating the color intensity of the horizontal axis in the image to be diagnosed.

도 6(e)를 참고하면, 가로축을 기준으로 시작점과 끝점 사이를 한 개의 영역으로 하여, 두 개의 대장 조직 이미지를 추출한다. Referring to FIG. 6 (e), two colon tissue images are extracted with a region between a start point and an end point based on the horizontal axis.

각각의 대장 조직 이미지는 모폴로지 알고리즘을 통해 노이즈가 다시한번 더 제거된다. 도 7(b)는 도 6(b)와 동일하고, 도 7(c)는 도 6(c)와 동일하다. Each large intestine tissue image is once again eliminated through a morphology algorithm. FIG. 7 (b) is the same as FIG. 6 (b), and FIG. 7 (c) is the same as FIG. 6 (c).

이후, 히스토그램 알고리즘을 통해, 진단 대상 이미지에 대한 세로축의 색 강도를 나타내는 세로축 히스토그램으로부터 세로축의 제2시작점과 제2끝점에 대한 세로좌표값을 획득한다. Then, through the histogram algorithm, vertical coordinate values for the second start point and the second end point of the vertical axis are obtained from the vertical axis histogram indicating the color intensity of the vertical axis for the image to be diagnosed.

이후, 히스토그램 알고리즘을 통해, 세로좌표값과 가로좌표값을 연산하여, 진단 대상 이미지 상에 존재하는 대장 조직 별로 대장 조직 이미지를 생성한다(도 7(e) 참조). Subsequently, the histogram algorithm computes the ordinate and abscissa values to generate a colon tissue image for each colon tissue present on the diagnosis target image (see FIG. 7 (e)).

한편, 상기와 같은 과정에 의해 이미지 처리된 대장 조직 이미지(도 5(c) 참조)는 색 정규화 알고리즘을 통해 일정한 색강도로 이미지 처리된다. 의료병리영상은 염색체의 농도에 따라 색이 다르기 때문에 이를 일정한 색 강도로 변환처리가 수행된다. Meanwhile, the large intestine tissue image (see FIG. 5 (c)) image-processed by the above process is image-processed with a constant color intensity through a color normalization algorithm. Because medical pathology images have different colors depending on the concentration of chromosomes, conversion processing is performed with a constant color intensity.

색 정규화 처리된 이미지(도 5(d) 참조)는 딥러닝 모델이 학습하기 위한 파일 사이즈의 축소를 위해서 24bit를 8bit 컬러로 변환하는 색비트 축소 처리된 후, 학습 데이터의 이미지 사이즈와 동일한 사이즈로 제2 리사이징된다. 제2 리사이징된 이미지는 조직요소 분류부(110)로 입력된다. The color normalized image (see FIG. 5 (d)) is subjected to a color bit reduction process that converts 24-bit to 8-bit color to reduce the file size for the deep learning model to learn, and then has the same size as the image size of the training data. The second is resized. The second resized image is input to the tissue element classification unit 110.

조직요소 분류부(110)는 조직요소 분류모델을 통해, 진단 대상 이미지로부터 조직요소 분류모델을 통해 진단 대상 이미지로부터, 점막 이미지, 점막근판 이미지와 점막하조직 이미지를 생성한다. The tissue element classification unit 110 generates a mucosal image, a mucosal myocardial image, and a submucosal tissue image from a diagnosis object image through a tissue element classification model through a tissue element classification model.

도 5(g)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점막이미지는 점막병변검출부(121)로 입력된다. 점막 이미지는 진단 대상 이미지 상의 대장 조직 중 점막 영역만 추출하여 생성된 이미지이다. 점막병변검출부(121)는 점막병변검출모델을 통해, 점막이미지로부터 점막에 대한 병변 부위가 검출된다.As shown in Figure 5 (g), the mucosal image is input to the mucosal lesion detection unit 121. The mucosal image is an image generated by extracting only the mucosal region of the large intestine tissue on the image to be diagnosed. The mucosal lesion detection unit 121 detects a lesion site of the mucosa from the mucosal image through the mucosal lesion detection model.

점막근판 이미지는 점막근판 병변검출부(123)로 입력된다. 점막근판 이미지는 진단 대상 이미지 상의 대장 조직 중 점막근판 영역만 추출하여 생성된 이미지이다. 점막근판 병변검출부(123)는 점막근판 병변검출모델을 통해, 점막근판 이미지로부터 점막근판에 대한 병변 부위가 검출된다. The mucosal myocardial image is input to the mucosal myocardial lesion detection unit 123. The mucosal myocardial image is an image created by extracting only the mucosal myocardial region of the large intestine tissue on the diagnosis target image. The mucosal myocardial lesion detection unit 123 detects a lesion site of the mucosal myocardium from the mucosal myocardial image through a mucosal myocardial lesion detection model.

점막하조직 이미지는 점막하조직 병변검출부(125)로 입력된다. 점막하조직 이미지는 진단 대상 이미지 상의 대장 조직 중 점막하조직 영역만 추출하여 생성된 이미지이다. 점막하조직 병변검출부(125)는 점막하조직 병변검출모델을 통해, 점막하조직 이미지로부터 점막하조직에 대한 병변 부위가 검출된다. The submucosal tissue image is input to the submucosal lesion detection unit 125. The submucosal tissue image is an image generated by extracting only the submucosal region of the large intestine tissue on the diagnosis target image. The submucosal lesion detection unit 125 detects a lesion site for a submucosal tissue from an image of the submucosal tissue through a submucosal lesion detection model.

병변 부위가 표시된 점막 이미지, 점막근판 이미지와 점막하조직 이미지는, 병변검출부에 기등록된 영역 추출-병합 알고리즘을 통해, 진단 대상 이미지(원본 이미지)와 병합된다. 이를 통해, 진단 대상 이미지(원본 이미지)에 점막의 병변부위, 점막근판의 병변부위 또는 점막하조직의 병변부위가 표시된다(도 5(h) 및 도 10참조). The mucosal image, the mucosal myocardial image, and the submucosal tissue image showing the lesion site are merged with the image to be diagnosed (original image) through a region extraction-merge algorithm registered in the lesion detection unit. Through this, the lesion site of the mucous membrane, the lesion site of the mucosal myocardium, or the lesion site of the submucosal tissue is displayed on the diagnosis target image (the original image) (see FIGS. 5 (h) and 10).

영역 추출-병합 알고리즘은 점막이미지, 점막근판이미지와 점막하조직 이미지를 한 개의 이미지로 병합처리하는 알고리즘이다. 영역 추출-병합 알고리즘으로는 U-NET 알고리즘이 적용가능하다. 다만, 영역 추출-병합 알고리즘은 U-NET 알고리즘에 한정되지 않고, 당업자의 입장에서 자명한 범위 내에서, 여러 개의 이미지를 병합처리하는 알고리즘이라면 영역 추출-병합 알고리즘을 사용가능함은 물론이다.  The region extraction-merge algorithm is an algorithm that merges and processes mucosal images, mucosal myofascial images, and submucosal tissue images into a single image. U-NET algorithm is applicable as the region extraction-merge algorithm. However, the region extraction-merge algorithm is not limited to the U-NET algorithm, and a region extraction-merge algorithm can be used if it is an algorithm that merges and processes multiple images within the scop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도 9를 참조하면, U-NET알고리즘은 원본이미지를 분석하여 원하는 영역을 추출한 뒤 원본이미지에 영역을 표시하도록 ‘U’자 모양의 알고리즘이다. U-NET알고리즘은 이미지에 훈련시킨 영역을 표시할 수 있도록 특화된 CNN기술이다.Referring to FIG. 9, the U-NET algorithm is a “U” shaped algorithm that analyzes an original image, extracts a desired region, and displays the region on the original image. The U-NET algorithm is a specialized CNN technology that can display a trained area on an image.

상기와 같은 구성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르면, 진단 과정 중 두 번의 과정, 즉, 조직요소 분류모델로 진단 대상 이미지에서 대장 조직 요소인 점막, 점막근판과 점막하조직에 대한 이미지를 추출하는 과정과, 점막, 점막근판과 점막하조직에서의 병변부위를 검출하는 과정을 통해, 진단 대상 이미지 상의 대장 조직의 어느 부분에 병변이 존재하는지 여부가 표시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wo processes of the diagnosis process, that is, the process of extracting the images of the mucosal, mucosal myocardial and submucosal tissues, which are the elements of the large intestine, from the image to be diagnosed by the tissue element classification model, Through the process of detecting the lesion site in the mucous membrane, mucosal myocardium, and submucosal tissue, it is possible to indicate which part of the colon tissue on the image to be diagnosed exists.

도 10을 참조하면, 병변 부위가 보라색 블록으로 표시된 것으로서, 점막 부분분에 병변이 존재함을 알 수 있다. 의사는 도 10과 같이 병변부위가 표시된 진단 대상 이미지를 참조하여, 대장 질환의 병명 및 병변부위를 보다 정확하게 인지하여, 대장 질환을 진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0, the lesion site is indicated by a purple block, and it can be seen that there is a lesion in the mucosal portion. The doctor may diagnose the colon disease by more accurately recognizing the lesion name and the lesion region of the colon disease by referring to the image of the diagnosis target where the lesion region is displayed as shown in FIG. 10.

비록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들이 도시되고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원칙이나 정신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 본 실시예를 변형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과 그 균등물에 의해 정해질 것이다.Although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shown and described, it will be appreciat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modified without departing from the principles or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scope of the invention will be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110: 조직요소 분류부
120: 병변검출부
121: 점막병변검출부
123: 점막근판 병변검출부
125: 점막하조직 병변검출부
110: organization element classification unit
120: lesion detection unit
121: mucosal lesion detection unit
123: mucosal myocardial lesion detection unit
125: submucosal tissue lesion detection unit

Claims (8)

정보처리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으로,
(A) 학습데이터를 이용하여 대장 조직의 병변이 딥러닝되어, 진단 모델이 생성되는 단계;
(B) 진단 대상 이미지가 입력되는 단계;
(C) 상기 진단 모델에 기초하여, 상기 진단 대상 이미지에서 병변부위가 검출되는 단계; 및
(D) 상기 진단 대상 이미지에 상기 병변부위가 표시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A) 단계는,
(A1) 복수의 대장 이미지와, 각각의 상기 대장 이미지 내의 대장 조직을 조직 요소 별로 세분화한 복수의 조직 요소 이미지가 제1 학습데이터로 입력되는 단계;
(A2) 상기 제1 학습데이터를 입력으로 하는 딥러닝을 통해, 조직요소 분류모델이 생성되는 단계;
(A3) 상기 조직 요소 별로, 병변이 없는 정상 이미지와, 상기 병변이 존재하는 병변 이미지가 제2 학습데이터로 입력되는 단계; 및
(A4) 상기 제2 학습데이터를 입력으로 하는 딥러닝을 통해, 상기 조직 요소 별로 병변부위를 검출하는 병변검출모델이 생성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C) 단계는
상기 진단 대상 이미지가 상기 조직요소 분류모델에 입력되어 상기 조직요소 이미지 별로 분류되는 단계와,
상기 조직요소 분류모델에 의해 분류된 상기 조직요소 이미지 각각이 상기 병변검출모델에 입력되어 상기 조직요소 이미지 별로 병변부위가 검출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딥러닝 기반의 대장 병변 검출 방법.
In a method performed by the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A) deep learning of the lesions of the large intestine tissue using the learning data, generating a diagnostic model;
(B) inputting an image to be diagnosed;
(C) based on the diagnostic model, a lesion site is detected in the image to be diagnosed; And
(D) the step of displaying the lesion site in the image to be diagnosed,
Step (A) is,
(A1) a step of inputting a plurality of large intestine images and a plurality of tissue element images in which the large intestine tissues in each of the large intestine images are divided into tissue elements as first learning data;
(A2) through deep learning using the first learning data as an input, generating an organizational element classification model;
(A3) for each tissue element, a normal image without a lesion and a lesion image in which the lesion is present are input as second learning data; And
(A4) through deep learning using the second learning data as input, a step of generating a lesion detection model for detecting a lesion site for each tissue element,
Step (C) is
The image to be diagnosed is input to the tissue element classification model and classified according to the tissue element image.
A method of detecting colon lesions based on deep learning, characterized in that each of the tissue element images classified by the tissue element classification model is input to the lesion detection model and a lesion site is detected for each tissue element imag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A2) 단계에서, 상기 복수의 조직 요소 이미지는 상기 대장 조직의 조직 요소인 점막, 점막근판와 점막하조직에 대한 이미지로 구분되고,
상기 제1 학습데이터는 기 등록된 분류 알고리즘을 통해 딥러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딥러닝 기반의 대장 병변 검출 방법.
According to claim 1,
In the step (A2), the plurality of tissue element images are divided into images of mucosal, mucosal myofascial and submucosal tissues that are tissue elements of the large intestine tissue,
The first learning data is deep learning based on the pre-registered classification algorithm, deep learning based colon lesion detection method.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A4) 단계에서, 상기 제2 학습데이터는 상기 조직 요소 별로, 점막학습데이터, 점막근판 학습데이터, 점막하조직 학습데이터로 구분되고,
상기 (A4) 단계는,
점막 정상 이미지와 점막 병변 이미지가 상기 점막학습데이터로 입력되어, 상기 점막학습데이터를 입력으로 하는 딥러닝을 통해 점막 병변검출모델이 생성되는 단계;
점막근판 정상 이미지와 점막근판 병변 이미지가 상기 점막근판 학습데이터로 입력되어, 상기 점막근판 학습데이터를 입력으로 하는 딥러닝을 통해 점막근판 병변검출모델이 생성되는 단계; 및
점막하조직 정상 이미지와 점막근판 병변 이미지가 상기 점막하조직 학습데이터로 입력되어, 상기 점막하조직 학습데이터를 입력으로 하는 딥러닝을 통해 점막하조직 병변검출모델이 생성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딥러닝 기반의 대장 병변 검출 방법.
According to claim 2,
In the step (A4), the second learning data is divided into mucosal learning data, mucosal myocardial learning data, and submucosal tissue learning data for each organizational element,
Step (A4) is,
A mucosal lesion image and a mucosal lesion image are input as the mucosal learning data, and a mucosal lesion detection model is generated through deep learning using the mucosal learning data as input;
A mucosal myocardial lesion image is inputted into the mucosal myocardial lesion learning image, and a mucosal myocardial lesion detection model is generated through deep learning using the mucosal myocardial learning data as input; And
Deep learning, characterized in that the submucosal tissue normal image and the mucosal myocardial lesion image are input as the submucosal tissue learning data, and a submucosal lesion detection model is generated through deep learning using the submucosal tissue learning data as input. -Based method for detecting colon lesions.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C1) 상기 조직요소 분류모델을 통해, 상기 진단 대상 이미지로부터 점막 이미지, 점막근판 이미지와 점막하조직 이미지를 생성하는 단계;
(C2) 상기 점막병변검출모델을 통해, 상기 점막 이미지로부터 점막의 병변 부위를 검출하는 단계;
(C3) 상기 점막근판 병변검출모델을 통해, 상기 점막근판 이미지로부터 점막근판의 병변 부위를 검출하는 단계; 및
(C4) 상기 점막하조직 병변검출모델을 통해, 상기 점막하조직 이미지로부터 점막하조직의 병변 부위를 검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딥러닝 기반의 대장 병변 검출 방법.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C) step,
(C1) generating a mucosal image, a mucosal myocardial image and a submucosal tissue image from the diagnosis target image through the tissue element classification model;
(C2) detecting a lesion site of the mucous membrane from the mucosal image through the mucosal lesion detection model;
(C3) detecting a lesion site of the mucosal myocardium from the mucosal myocardial image through the mucosal myocardial lesion detection model; And
(C4) A deep learning based colon lesion detection method comprising the step of detecting a submucosal lesion site from the submucosal tissue image through the submucosal lesion detection model.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는, 기 등록된 영역 추출-병합 알고리즘을 통해, 상기 진단 대상 이미지 상에, 상기 (C)단계를 통해 검출된 상기 점막의 병변부위, 상기 점막근판의 병변부위 또는 상기 점막하조직의 병변부위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딥러닝 기반의 대장 병변 검출 방법.
The method of claim 4,
The (D) step, through a pre-registered region extraction-merge algorithm, on the diagnosis target image, the lesion site of the mucous membrane detected through the step (C), the lesion site of the mucosal myocardium, or the submucosal tissue Deep learning based colon lesion detection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to display the lesion si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C0) 상기 진단 대상 이미지를 상기 대장 이미지의 사이즈와 동일한 사이즈로 이미지 처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딥러닝 기반의 대장 병변 검출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C) step,
(C0) Deep learning-based colon lesion detection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the step of processing the image to be the same size as the size of the colon image.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C0)단계는,
모폴로지 알고리즘을 통해, 상기 진단 대상 이미지 상에 존재하는 노이즈를 제거하는 단계;
히스토그램 알고리즘을 통해, 상기 진단 대상 이미지에서 대장 조직을 추출하여 대장 조직 이미지를 생성하는 단계;
색 정규화 알고리즘을 통해, 상기 대장 조직 이미지의 일정한 색강도로 이미지 처리하는 단계; 및
상기 대장 조직 이미지를 상기 대장 이미지와 동일한 이미지 사이즈로 리사이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딥러닝 기반의 대장 병변 검출 방법.
The method of claim 6, wherein (C0) step,
Removing noise existing on the diagnosis target image through a morphology algorithm;
Generating a colon tissue image by extracting a colon tissue from the diagnosis target image through a histogram algorithm;
Image processing with a constant color intensity of the large intestine tissue image through a color normalization algorithm; And
A method of detecting colon lesions based on deep learning, further comprising resizing the colon tissue image to the same image size as the colon image.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대장 조직 이미지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진단 대상 이미지에 대산 가로축의 색 강도를 나타내는 가로축 히스토그램으로부터 가로축의 제1시작점과 제1끝점에 대한 가로 좌표값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진단 대상 이미지에 대한 세로축의 색 강도를 나타내는 세로축 히스토그램으로부터 세로축의 제2시작점과 제2끝점에 대한 세로좌표값을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세로좌표값과 상기 가로좌표값을 연산하여, 상기 진단 대상 이미지 상에 존재하는 대장 조직 별로 상기 대장 조직 이미지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딥러닝 기반의 대장 병변 검출 방법.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step of generating the colon tissue image,
Obtaining horizontal coordinate values for a first start point and a first end point of the horizontal axis from a horizontal axis histogram indicating the color intensity of the horizontal axis on the diagnosis target image;
Obtaining vertical coordinate values for the second start point and the second end point of the vertical axis from a vertical axis histogram representing the color intensity of the vertical axis for the image to be diagnosed; And
And generating the colon tissue image for each colon tissue present on the diagnosis target image by calculating the ordinate value and the abscissa coordinate value.
KR1020190073521A 2019-06-20 2019-06-20 Method for detecting lesion of large intestine disease based on deep learning KR10209573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3521A KR102095730B1 (en) 2019-06-20 2019-06-20 Method for detecting lesion of large intestine disease based on deep learning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3521A KR102095730B1 (en) 2019-06-20 2019-06-20 Method for detecting lesion of large intestine disease based on deep learning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95730B1 true KR102095730B1 (en) 2020-04-02

Family

ID=702816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73521A KR102095730B1 (en) 2019-06-20 2019-06-20 Method for detecting lesion of large intestine disease based on deep learning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95730B1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22547B1 (en) 2020-07-15 2021-03-04 주식회사 웨이센 AI(Artificial Intelligence) -based colonoscopy image analysis method
KR102283265B1 (en) * 2020-12-31 2021-07-29 가천대학교 산학협력단 Method and apparatus for colorectal disease classification using scaled dilation in convolutional neural network
KR20220114329A (en) * 2021-02-08 2022-08-17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Method for classifying image data according to deep learning based image classification model and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17614A (en) 2015-08-07 2017-02-15 원광대학교산학협력단 Method and apparatus for computing diagnosis of sickness based on ct or mri image
KR101981202B1 (en) * 2018-12-11 2019-05-22 메디컬아이피 주식회사 Method and apparatus for reconstructing medical imag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17614A (en) 2015-08-07 2017-02-15 원광대학교산학협력단 Method and apparatus for computing diagnosis of sickness based on ct or mri image
KR101981202B1 (en) * 2018-12-11 2019-05-22 메디컬아이피 주식회사 Method and apparatus for reconstructing medical image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22547B1 (en) 2020-07-15 2021-03-04 주식회사 웨이센 AI(Artificial Intelligence) -based colonoscopy image analysis method
KR102283265B1 (en) * 2020-12-31 2021-07-29 가천대학교 산학협력단 Method and apparatus for colorectal disease classification using scaled dilation in convolutional neural network
KR20220114329A (en) * 2021-02-08 2022-08-17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Method for classifying image data according to deep learning based image classification model and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KR102603319B1 (en) * 2021-02-08 2023-11-16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Method for classifying image data according to deep learning based image classification model and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657480B2 (en) Image diagnosis support apparatus, operation method of image diagnosis support apparatus, and image diagnosis support program
US11562820B2 (en) Computer classification of biological tissue
KR102103280B1 (en) Assistance diagnosis method for large intestine disease based on deep learning
US11937973B2 (en) Systems and media for automatically diagnosing thyroid nodules
US7260248B2 (en) Image processing using measures of similarity
JP6231885B2 (en) Medical device for examining the neck
US20180263568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Clinical Image Classification
KR102095730B1 (en) Method for detecting lesion of large intestine disease based on deep learning
CN110189303B (en) NBI image processing method based on deep learning and image enhancement and application thereof
US20200090548A1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image processing method,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WO2020215810A1 (en) Image recognition-based narrowband image detection method for colonoscopy procedure
KR20200038121A (en) Endoscopic device and method for diagnosing gastric lesion based on gastric endoscopic image obtained in real time
KR102531400B1 (en) Artificial intelligence-based colonoscopy diagnosis supporting system and method
US20230206435A1 (en) Artificial intelligence-based gastroscopy diagnosis supporting system and method for improving gastrointestinal disease detection rate
CN112927179A (en) Intelligent analysis method for liver tumor
Naz et al. Detection and classification of gastrointestinal diseases using machine learning
KR102536369B1 (en) Artificial intelligence-based gastroscopy diagnosis supporting system and method
Sindhu et al. Automatic detection of colonic polyps and tumor in wireless capsule endoscopy images using hybrid patch extraction and supervised classification
Arnold et al. Indistinct frame detection in colonoscopy videos
KR102637484B1 (en) A system that assists endoscopy diagnosis based on artificial intelligen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Spyridonos et al. Identification of intestinal motility events of capsule endoscopy video analysis
CN115035086A (en) Intelligent tuberculosis skin test screening and analyzing method and device based on deep learning
Suman et al. Detection and classification of bleeding using statistical color features for wireless capsule endoscopy images
Li et al. Computer aided detection of bleeding in capsule endoscopy images
WO2022153100A1 (en) A method for detecting breast cancer using artificial neural network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