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95489B1 - 거푸집 지지 구조 - Google Patents

거푸집 지지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95489B1
KR102095489B1 KR1020190167344A KR20190167344A KR102095489B1 KR 102095489 B1 KR102095489 B1 KR 102095489B1 KR 1020190167344 A KR1020190167344 A KR 1020190167344A KR 20190167344 A KR20190167344 A KR 20190167344A KR 102095489 B1 KR102095489 B1 KR 1020954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fastening
frame
rear end
inner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673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은호
Original Assignee
이은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은호 filed Critical 이은호
Priority to KR10201901673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9548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954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954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58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02D29/0275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cast in situ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7/00Connecting or other auxiliary members for forms, falsework structures, or shutterings
    • E04G17/14Bracing or strutting arrangements for formwalls; Devices for aligning form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5/00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for scaffolds
    • E04G5/08Scaffold boards or plank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7/00Connections between parts of the scaffold
    • E04G7/02Connections between parts of the scaffold with separate coupling elements
    • E04G7/28Clips or connections for securing board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50/00Production methods
    • E02D2250/0007Production methods using a mol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콘크리트 구조물을 설치하기 위한 거푸집을 지지할 수 있도록 구현한 거푸집 지지 구조에 관한 것으로, 흙막이 벽체를 형성하기 위한 콘크리트 구조물을 설치하기 위해 설치되는 거푸집; 상기 거푸집이 움직이지 않도록 지지하는 지지부; 및 상기 거푸집의 전단 또는 후단을 따라 설치되는 작업 발판부;를 포함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거푸집 지지 구조{FORMWORK SUPPORTING STRUCTURE}
본 발명은 거푸집 지지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콘크리트 구조물을 설치하기 위한 거푸집을 지지할 수 있도록 구현한 거푸집 지지 구조에 관한 것이다.
구조물(構造物)을 시공함에 있어서 기초나 지하실을 구축하기 위해 필요한 지반면(地盤面)까지의 공간을 굴착, 완료한 뒤에 지반면까지 다시 메우는 작업을 가리키는 공사의 총칭이다. 비교적 소규모의 공사에서는 부지정리(敷地整理), 지반의 틈처리, 구덩이파기, 되메우기, 흙쌓기, 땅고르기, 잔토처분(殘土處分) 등의 공사를 의미한다.
지하실이 없는 비교적 소규모의 공사에서는 부지정리(敷地整理), 지반의 틈처리, 구덩이파기, 되메우기, 흙쌓기, 땅고르기, 잔토처분(殘土處分) 등의 공사를 의미한다.
구덩이파기란 지반을 굴착하는 것으로 굴파기, 수갱굴하(堅坑掘下)라고도 한다. 지하실 공사, 기초가 깊은 대규모의 공사에서는 흙사태 방지공사나 용수(湧水), 우수(雨水), 유수(留水) 등에 대처하는 배수공사가 필요하다. 흙(산)사태 방지공사는 구덩이파기가 깊어졌을 경우에 주변의 토압(土壓)을 받쳐서 허물어지지 않게 하기 위한 공사인데, 보통 널말뚝 또는 거푸집널로 흙을 누르고, 이것을 흙막이 띠장이나 빗대공 등으로 이루어진 지지가구(支持架構)로 유지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토공사의 경우에는, 공사에 따른 경사면에 설치되는 흙막이 벽체가 토압이나 수압에 의해 붕괴되어 구조물이 파손되는 사고가 발생할 수 있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었다.
한편, 전술한 배경 기술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도출을 위해 보유하고 있었거나, 본 발명의 도출 과정에서 습득한 기술 정보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게 공개된 공지기술이라 할 수는 없다.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487881호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362565호
본 발명의 일측면은 도로 또는 학교 등의 구조물을 설치하기 위해 지반면을 굴착하는 등의 토공사를 한 뒤 굴착면이 침하나 붕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토압이나 수압에 저항할 수 있는 흙막이 벽체 제작을 위한 거푸집을 지지할 수 있도록 구현한 거푸집 지지 구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푸집 지지 구조는, 흙막이 벽체를 형성하기 위한 콘크리트 구조물을 설치하기 위해 설치되는 거푸집; 상기 거푸집이 움직이지 않도록 지지하는 지지부; 및 상기 거푸집의 전단 또는 후단을 따라 설치되는 작업 발판부;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거푸집의 일측면을 따라 설치되는 체결 프레임; 흙막이 벽체 형성을 위해 임시로 형성된 굴착면을 따라 안착되는 지지 플레이트; 상기 지지 플레이트에 일측이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고, 다른 일측이 상기 체결 프레임에 설치되어 상기 거푸집이 움직이지 않도록 지지하는 지지 프레임; 상기 지지 플레이트의 외측 상부와 상기 지지 프레임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지지 플레이트의 안착 각도의 변화에 따라 신장 또는 수축되면서 내부 공간에 수용하여 둔 유체를 공급하는 제1 실린더; 상기 지지 플레이트의 외측 하부와 상기 지지 프레임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지지 플레이트의 안착 각도의 변화에 따라 신장 또는 수축되면서 내부 공간에 수용하여 둔 유체를 공급하는 제2 실린더; 상기 지지 프레임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체결 프레임을 체결하며, 상기 제1 실린더로부터 공급되는 유체를 이용하여 상기 체결 프레임의 체결 정도가 조절되는 제1 체결부; 및 상기 지지 프레임의 다른 일측에 설치되어 다른 지지 프레임을 체결하며, 상기 제2 실린더로부터 공급되는 유체를 이용하여 다른 지지 프레임의 체결 정도가 조절되는 제2 체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체결부는, 사각형으로 관통 형성되는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사각 프레임; 상기 사각 프레임의 내부 공간의 일측에 설치되며, 상기 제1 실린더로부터 공급되는 유체에 의하여 팽창되는 제1 유동 파우치; 상기 사각 프레임의 내부 공간의 다른 일측에 설치되며, 상기 제1 실린더로부터 공급되는 유체에 의하여 팽창되는 제2 유동 파우치; 상기 제1 유동 파우치의 전단에 설치되며, 상기 제1 유동 파우치가 팽창됨에 따라 상기 사각 프레임의 내부 공간에 안착된 상기 체결 프레임과 밀착되어 상기 체결 프레임과의 체결력이 증가되는 제1 체결편; 및 상기 제2 유동 파우치의 전단에 설치되며, 상기 제2 유동 파우치가 팽창됨에 따라 상기 사각 프레임의 내부 공간에 안착된 상기 체결 프레임과 밀착되어 상기 체결 프레임과의 체결력이 증가되는 제2 체결편;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작업 발판부는, 사용자가 탑승하기 위한 평면을 형성하는 발판; 및 상기 발판의 하측에 설치되어 상기 발판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지지대는, 상기 발판의 전단을 지지하는 제1 지지부; 상기 제1 지지부의 후단에 상하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힌지 결합에 의해 연결 설치되며, 상기 제1 지지부와의 연결 부위가 하측으로 주저앉지 않도록 탄성력을 이용하여 지지되는 제2 지지부; 및 상기 제2 지지부의 후단에 상하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힌지 결합에 의해 연결 설치되어 상기 발판의 후단을 지지하며, 상기 제2 지지부와의 연결 부위가 하측으로 주저앉지 않도록 탄성력을 이용하여 지지되는 제3 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3 지지부는, 상기 제2 지지부의 후단에 상하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힌지 결합에 의해 연결 설치되어 상기 발판의 후단을 지지하는 제3 지지바디; 상기 제3 지지바디의 후단 양측으로부터 각각 연장 형성되어 상기 발판의 후단 양측에 형성되는 후단 안착홈이 안착되기 위한 후단 체결 바아; 상기 제3 지지바디의 중심부에 설치되며, 내부 공간에 유체를 저장해 두며, 내부 공간이 압축됨에 따라 내부 공간에 저장해 둔 유체를 공급하는 유체 공급 탱크; 전단이 상기 제2 지지부에 안착되고, 후단이 상기 유체 공급 탱크의 내부 공간에 연결 설치되며, 상기 제3 지지바디와 상기 제2 지지부와의 연결 부위가 하강함에 따라 후단이 상기 유체 공급 탱크의 내부 공간을 따라 이동하여 유체를 압축시켜 주는 압축 바아; 및 상기 제3 지지바디의 전단 양측과 상기 제2 지지부의 후단 양측 사이에 각각 설치되어 탄성력을 이용하여 상기 제3 지지바디와 상기 제2 지지부 사이를 지지하는 후단 지지 스프링;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2 지지부는, 상기 제1 지지부의 후단에 상하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힌지 결합에 의해 연결 설치되는 제2 지지바디; 상기 제2 지지바디의 후단으로부터 함몰 형성되며, 상기 압축 바아의 전단면이 내측면에 안착되는 제2 안착홈; 상기 제2 지지바디의 전면으로부터 "ㄴ" 형태로 연장 형성되어 전단이 상기 제1 지지부의 내측 공간에 안착되어 상기 제1 지지부와 상기 제2 지지바디 사이를 지지하는 지지 바아; 및 상기 제2 지지바디의 전단 양측과 상기 제1 지지부의 후단 양측 사이에 각각 설치되어 탄성력을 이용하여 상기 제2 지지바디와 상기 제1 지지부 사이를 지지하는 전단 지지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지지부는, 상기 제2 지지부의 전단에 상하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힌지 결합에 의해 후단 양측이 연결 설치되는 제1 지지바디; 상기 제1 지지바디의 전단 양측으로부터 각각 연장 형성되어 상기 발판의 전단 양측에 형성되는 전단 안착홈이 안착되기 위한 전단 체결 바아; 상기 제1 지지바디의 후단으로부터 함몰 형성되며, 상기 지지 바아의 전단이 내부 공간에 안착되는 제1 안착홈; 상기 제1 안착홈의 내측면에 설치되어 탄성력을 이용하여 상기 지지 바아의 전단을 지지하는 탄성체; 및 상기 제1 안착홈의 내측면에 설치되어 상기 탄성체를 지지하며, 상기 유체 공급 탱크로부터 유체가 공급되면 신장되어 상기 탄성체를 압축시켜 탄성력에 의한 지지력을 증가시켜 주는 탄성 조절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도로 또는 학교 등의 구조물을 설치하기 위해 지반면을 굴착하는 등의 토공사를 한 뒤 굴착면이 침하나 붕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토압이나 수압에 저항할 수 있는 흙막이 벽체 제작을 위한 거푸집을 지지함으로써, 공사기간 동안 안정적으로 거푸집에 수용된 콘크리트가 양생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이하에서 설명할 내용으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범위 내에서 다양한 효과들이 포함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푸집 지지 구조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들이다.
도 3 내지 도 5는 1의 지지부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6은 도 5의 제1 체결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 및 도 8은 도 1의 작업 발판부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9는 도 8의 제2 지지부와 제3 지지부의 연결 관계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0은 도 8의 제2 지지부와 제1 지지부의 연결 관계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푸집 지지 구조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들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푸집 지지 구조(10)는, 거푸집(100), 지지부(200) 및 작업 발판부(300)를 포함한다.
거푸집(100)은, 흙막이 벽체를 형성하기 위한 콘크리트 구조물(C)을 설치하기 위해 콘크리트 구조물(C)의 전단(100b) 및 후단(100a)에 각각 설치되어 콘크리트를 수용하기 위한 내부 공간을 형성하며, 전단 또는 후단에 작업자가 탑승하여 작업을 수행하기 위한 공간을 형성하는 작업 발판부(300)가 설치되고, 일측에 설치된 지지부(200)에 의하여 지지된다.
지지부(200)는, 거푸집(100)이 움직이지 않도록 지지한다.
작업 발판부(300)는, 거푸집(100)의 전단 또는 후단을 따라 설치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푸집 지지 구조(10)는, 도로 또는 학교 등의 구조물을 설치하기 위해 지반면을 굴착하는 등의 토공사를 한 뒤 굴착면이 침하나 붕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토압이나 수압에 저항할 수 있는 흙막이 벽체 제작을 위한 거푸집을 지지함으로써, 공사기간 동안 안정적으로 거푸집에 수용된 콘크리트가 양생되도록 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5는 1의 지지부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지지부(200)는, 체결 프레임(210), 지지 플레이트(220), 지지 프레임(230), 제1 실린더(240), 제2 실린더(250), 제1 체결부(260) 및 제2 체결부(270)를 포함한다.
체결 프레임(210)은, 거푸집(100)의 일측면을 따라 설치되며, 제1 체결부(260) 또는 제2 체결부(270)에 의해 체결된 지지 프레임(230)에 의하여 지지된다.
지지 플레이트(220)는, 흙막이 벽체 형성을 위해 임시로 형성된 굴착면을 따라 안착된다.
지지 프레임(230)은, 지지 플레이트(220)에 일측(H)이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고, 다른 일측이 체결 프레임(210)에 제1 체결부(260) 또는 제2 체결부(270)에 의해 설치되어 거푸집(100)이 움직이지 않도록 지지한다.
제1 실린더(240)는, 지지 플레이트(220)의 외측 상부와 지지 프레임(230) 사이에 설치되며, 지지 플레이트(220)의 안착 각도의 변화에 따라 신장 또는 수축되면서 내부 공간에 수용하여 둔 유체를 제1 공급 라인(L1)을 통해 제1 체결부(260)로 공급한다.
제2 실린더(250)는, 지지 플레이트(220)의 외측 하부와 지지 프레임(230) 사이에 설치되며, 지지 플레이트(220)의 안착 각도의 변화에 따라 신장 또는 수축되면서 내부 공간에 수용하여 둔 유체를 제2 공급 라인(L2)을 통해 제2 체결부(270)로 공급한다.
제1 체결부(260)는, 지지 프레임(230)의 일측에 설치되어 체결 프레임(210)을 체결하며, 제1 공급 라인(L1)을 통해 제1 실린더(240)로부터 공급되는 유체를 이용하여 체결 프레임(210)의 체결 정도가 조절된다.
제2 체결부(270)는, 지지 프레임(230)의 다른 일측에 설치되어 다른 지지 프레임(230)을 체결하며, 제2 공급 라인(L2)을 통해 제2 실린더(240)로부터 공급되는 유체를 이용하여 다른 지지 프레임(230)의 체결 정도가 조절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체결부(260)의 체결 공간(S1)은 상하 방향으로 형성되는 바 체결 프레임(210)을 체결하게 되는 것이고, 제2 체결부(270)의 체결 공간(S2)은 경사지도록 전후 방향으로 형성되는 바 지지 프레임(230)을 체결하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제2 체결부(270)의 각각의 구성(271, 272, 273, 274, 275)는, 제1 체결부(260)의 각각의 구성과 동일하므로 설명의 중복을 피하기 위해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6은 도 5의 제1 체결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제1 체결부(260)는, 사각 프레임(261), 제1 유동 파우치(262), 제2 유동 파우치(263), 제1 체결편(264) 및 제2 체결편(265)을 포함한다.
사각 프레임(261)은, 사각형으로 관통 형성되어 체결 프레임(210)이 안착되기 위한 내부 공간(S!)을 형성한다.
제1 유동 파우치(262)는, 사각 프레임(261)의 내부 공간의 일측에 설치되며, 제1 실린더(240)로부터 공급되는 유체에 의하여 팽창되어 제1 체결편(264)을 전진시켜 준다.
제2 유동 파우치(263)는, 사각 프레임(261)의 내부 공간의 다른 일측에 설치되며, 제1 실린더(240)로부터 공급되는 유체에 의하여 팽창되어 제2 체결편(265)을 전진시켜 준다.
제1 체결편(264)은, 제1 유동 파우치(262)의 전단에 설치되며, 제1 유동 파우치(262)가 팽창됨에 따라 사각 프레임(261)의 내부 공간에 안착된 체결 프레임(210)과 밀착되어 체결 프레임(210)과의 체결력이 증가된다.
제2 체결편(265)은, 제2 유동 파우치(263)의 전단에 설치되며, 제2 유동 파우치(263)가 팽창됨에 따라 사각 프레임(261)의 내부 공간에 안착된 체결 프레임(210)과 밀착되어 체결 프레임(210)과의 체결력이 증가된다.
도 7 및 도 8은 도 1의 작업 발판부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작업 발판부(300)는, 발판(400) 및 지지대(500)를 포함한다.
발판(400)은, 사용자가 탑승하기 위한 평면을 형성한다.
지지대(500)는, 발판(400)의 하측에 설치되어 발판(400)을 지지한다.
일 실시예에서, 지지대(500)는, 제1 지지부(510), 제2 지지부(520) 및 제3 지지부(53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지지부(510)는, 제2 지지부(520)의 전단에 힌지 결합(H1)에 의해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발판(400)의 전단을 지지한다.
제2 지지부(520)는, 제1 지지부(510)의 후단에 상하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힌지 결합(H1)에 의해 연결 설치되며, 제1 지지부(510)와의 연결 부위가 하측으로 주저앉지 않도록 탄성력을 이용하여 지지된다.
제3 지지부(530)는, 제2 지지부(520)의 후단에 상하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힌지 결합(H2)에 의해 연결 설치되어 발판(400)의 후단을 지지하며, 제2 지지부(520)와의 연결 부위가 하측으로 주저앉지 않도록 탄성력을 이용하여 지지된다.
도 9는 도 8의 제2 지지부와 제3 지지부의 연결 관계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제3 지지부(530)는, 제3 지지바디(531), 후단 체결 바아(532), 유체 공급 탱크(533), 압축 바아(534) 및 후단 지지 스프링(535)를 포함한다.
제3 지지바디(531)는, 제2 지지부(520)의 후단에 상하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힌지 결합(H2)에 의해 연결 설치되어 발판(400)의 후단을 지지한다.
후단 체결 바아(532)는, 제3 지지바디(531)의 후단 양측으로부터 각각 연장 형성되어 발판(400)의 후단 양측에 형성되는 후단 안착홈(420)이 안착된다.
유체 공급 탱크(533)는, 제3 지지바디(531)의 중심부에 설치되며, 내부 공간에 유체를 저장해 두며, 압축 바아(534)에 의해 내부 공간이 압축됨에 따라 내부 공간에 저장해 둔 유체를 탄성 조절부(515)로 공급한다.
압축 바아(534)는, 전단이 제2 지지부(520)에 회동 가능하도록 안착되고, 후단이 유체 공급 탱크(533)의 내부 공간에 연결 설치되며, 제3 지지바디(531)와 제2 지지부(520)와의 연결 부위가 하강함에 따라 후단이 유체 공급 탱크(533)의 내부 공간을 따라 이동하여 유체를 압축시켜 준다.
후단 지지 스프링(535)은, 제3 지지바디(531)의 전단 양측과 제2 지지부(520)의 후단 양측 사이에 각각 설치되어 탄성력을 이용하여 제3 지지바디(531)와 제2 지지부(520) 사이를 지지한다.
도 10은 도 8의 제2 지지부와 제1 지지부의 연결 관계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제2 지지부(520)는, 제2 지지바디(521), 제2 안착홈(522), 지지 바아(523) 및 전단 지지 스프링(524)을 포함한다.
제2 지지바디(521)는, 제1 지지부(510)의 후단에 상하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힌지 결합(H1)에 의해 연결 설치된다.
제2 안착홈(522)은, 제2 지지바디(521)의 후단으로부터 함몰 형성되며, 압축 바아(534)의 전단면이 내측면에 안착된다.
지지 바아(523)는, 제2 지지바디(521)의 전면으로부터 "ㄴ" 형태로 연장 형성되어 절곡 형성된 전단이 제1 지지부(510)의 내측 공간에 설치된 탄성체(514)에 안착되어 제1 지지부(510)와 제2 지지바디(521) 사이를 지지한다.
전단 지지 스프링(524)은, 제2 지지바디(521)의 전단 양측과 제1 지지부(510)의 후단 양측 사이에 각각 설치되어 탄성력을 이용하여 제2 지지바디(521)와 제1 지지부(510) 사이를 지지한다.
도 10을 참조하면, 제1 지지부(510)는, 제1 지지바디(511), 전단 체결 바아(512), 제1 안착홈(513), 탄성체(514) 및 탄성 조절부(515)를 포함한다.
제1 지지바디(511)는, 제2 지지부(520)의 전단에 상하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힌지 결합(H1)에 의해 후단 양측이 연결 설치된다.
전단 체결 바아(512)는, 제1 지지바디(511)의 전단 양측으로부터 각각 연장 형성되어 발판(400)의 전단 양측에 형성되는 전단 안착홈(410)이 안착된다.
제1 안착홈(513)은, 제1 지지바디(511)의 후단으로부터 함몰 형성되며, 지지 바아(523)의 전단이 내부 공간에 안착된다.
탄성체(514)는, 제1 안착홈(513)의 내측면에 설치되어 탄성력을 이용하여 지지 바아(523)의 전단을 지지한다.
탄성 조절부(515)는, 제1 안착홈(513)의 내측면에 설치되어 탄성체(514)를 지지하며, 유체 공급 탱크(533)로부터 유체가 공급되면 신장되어 탄성체(514)를 압축시켜 탄성력에 의한 지지력을 증가시켜 준다.
상술된 실시예들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상술된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된 실시예들이 갖는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명세서를 통해 보호받고자 하는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거푸집 지지 구조
100: 거푸집
200: 지지부
300: 작업 발판부

Claims (2)

  1. 흙막이 벽체를 형성하기 위한 콘크리트 구조물을 설치하기 위해 설치되는 거푸집;
    상기 거푸집이 움직이지 않도록 지지하는 지지부; 및
    상기 거푸집의 전단 또는 후단을 따라 설치되는 작업 발판부;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는, 상기 거푸집의 일측면을 따라 설치되는 체결 프레임; 흙막이 벽체 형성을 위해 임시로 형성된 굴착면을 따라 안착되는 지지 플레이트; 상기 지지 플레이트에 일측이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고, 다른 일측이 상기 체결 프레임에 설치되어 상기 거푸집이 움직이지 않도록 지지하는 지지 프레임; 상기 지지 플레이트의 외측 상부와 상기 지지 프레임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지지 플레이트의 안착 각도의 변화에 따라 신장 또는 수축되면서 내부 공간에 수용하여 둔 유체를 공급하는 제1 실린더; 상기 지지 플레이트의 외측 하부와 상기 지지 프레임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지지 플레이트의 안착 각도의 변화에 따라 신장 또는 수축되면서 내부 공간에 수용하여 둔 유체를 공급하는 제2 실린더; 상기 지지 프레임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체결 프레임을 체결하며, 상기 제1 실린더로부터 공급되는 유체를 이용하여 상기 체결 프레임의 체결 정도가 조절되는 제1 체결부; 및 상기 지지 프레임의 다른 일측에 설치되어 다른 지지 프레임을 체결하며, 상기 제2 실린더로부터 공급되는 유체를 이용하여 다른 지지 프레임의 체결 정도가 조절되는 제2 체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체결부는, 사각형으로 관통 형성되는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사각 프레임; 상기 사각 프레임의 내부 공간의 일측에 설치되며, 상기 제1 실린더로부터 공급되는 유체에 의하여 팽창되는 제1 유동 파우치; 상기 사각 프레임의 내부 공간의 다른 일측에 설치되며, 상기 제1 실린더로부터 공급되는 유체에 의하여 팽창되는 제2 유동 파우치; 상기 제1 유동 파우치의 전단에 설치되며, 상기 제1 유동 파우치가 팽창됨에 따라 상기 사각 프레임의 내부 공간에 안착된 상기 체결 프레임과 밀착되어 상기 체결 프레임과의 체결력이 증가되는 제1 체결편; 및 상기 제2 유동 파우치의 전단에 설치되며, 상기 제2 유동 파우치가 팽창됨에 따라 상기 사각 프레임의 내부 공간에 안착된 상기 체결 프레임과 밀착되어 상기 체결 프레임과의 체결력이 증가되는 제2 체결편;을 포함하며,
    상기 작업 발판부는, 사용자가 탑승하기 위한 평면을 형성하는 발판; 및 상기 발판의 하측에 설치되어 상기 발판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대;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대는, 상기 발판의 전단을 지지하는 제1 지지부; 상기 제1 지지부의 후단에 상하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힌지 결합에 의해 연결 설치되며, 상기 제1 지지부와의 연결 부위가 하측으로 주저앉지 않도록 탄성력을 이용하여 지지되는 제2 지지부; 및 상기 제2 지지부의 후단에 상하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힌지 결합에 의해 연결 설치되어 상기 발판의 후단을 지지하며, 상기 제2 지지부와의 연결 부위가 하측으로 주저앉지 않도록 탄성력을 이용하여 지지되는 제3 지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3 지지부는, 상기 제2 지지부의 후단에 상하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힌지 결합에 의해 연결 설치되어 상기 발판의 후단을 지지하는 제3 지지바디; 상기 제3 지지바디의 후단 양측으로부터 각각 연장 형성되어 상기 발판의 후단 양측에 형성되는 후단 안착홈이 안착되기 위한 후단 체결 바아; 상기 제3 지지바디의 중심부에 설치되며, 내부 공간에 유체를 저장해 두며, 내부 공간이 압축됨에 따라 내부 공간에 저장해 둔 유체를 공급하는 유체 공급 탱크; 전단이 상기 제2 지지부에 안착되고, 후단이 상기 유체 공급 탱크의 내부 공간에 연결 설치되며, 상기 제3 지지바디와 상기 제2 지지부와의 연결 부위가 하강함에 따라 후단이 상기 유체 공급 탱크의 내부 공간을 따라 이동하여 유체를 압축시켜 주는 압축 바아; 및 상기 제3 지지바디의 전단 양측과 상기 제2 지지부의 후단 양측 사이에 각각 설치되어 탄성력을 이용하여 상기 제3 지지바디와 상기 제2 지지부 사이를 지지하는 후단 지지 스프링;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지지부는, 상기 제1 지지부의 후단에 상하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힌지 결합에 의해 연결 설치되는 제2 지지바디; 상기 제2 지지바디의 후단으로부터 함몰 형성되며, 상기 압축 바아의 전단면이 내측면에 안착되는 제2 안착홈; 상기 제2 지지바디의 전면으로부터 "ㄴ" 형태로 연장 형성되어 전단이 상기 제1 지지부의 내측 공간에 안착되어 상기 제1 지지부와 상기 제2 지지바디 사이를 지지하는 지지 바아; 및 상기 제2 지지바디의 전단 양측과 상기 제1 지지부의 후단 양측 사이에 각각 설치되어 탄성력을 이용하여 상기 제2 지지바디와 상기 제1 지지부 사이를 지지하는 전단 지지 스프링;을 포함하는, 거푸집 지지 구조.
  2. 삭제
KR1020190167344A 2019-12-15 2019-12-15 거푸집 지지 구조 KR1020954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7344A KR102095489B1 (ko) 2019-12-15 2019-12-15 거푸집 지지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7344A KR102095489B1 (ko) 2019-12-15 2019-12-15 거푸집 지지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95489B1 true KR102095489B1 (ko) 2020-03-31

Family

ID=700025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67344A KR102095489B1 (ko) 2019-12-15 2019-12-15 거푸집 지지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95489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31485A (ja) * 1996-10-31 1998-05-19 Hirofumi Aoyama コンクリート型枠支持具
KR200362565Y1 (ko) 2004-06-21 2004-09-21 이순호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파일을 이용한 흙막이 구조체
KR200487881Y1 (ko) 2018-06-15 2018-11-16 이강호 설치 및 해체가 용이한 기초터파기용 흙막이 구조물
JP7021195B2 (ja) * 2016-09-01 2022-02-16 イー・アイ・デュポン・ドウ・ヌムール・アンド・カンパニー 炭素含有および可染性の難燃性繊維の均質ブレンド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31485A (ja) * 1996-10-31 1998-05-19 Hirofumi Aoyama コンクリート型枠支持具
KR200362565Y1 (ko) 2004-06-21 2004-09-21 이순호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파일을 이용한 흙막이 구조체
JP7021195B2 (ja) * 2016-09-01 2022-02-16 イー・アイ・デュポン・ドウ・ヌムール・アンド・カンパニー 炭素含有および可染性の難燃性繊維の均質ブレンド
KR200487881Y1 (ko) 2018-06-15 2018-11-16 이강호 설치 및 해체가 용이한 기초터파기용 흙막이 구조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774675A (zh) 组合双排桩联合竖向预应力锚杆支护体系及其施工方法
CN105239578A (zh) 富水砂层深基坑水下施工方法
KR102156926B1 (ko) 전동식 토류판 개폐 구조
KR102412155B1 (ko) 전단키 및 고장력 볼트를 이용한 케이슨의 결합구조
KR20100095970A (ko) 배후토사의 저수조를 구비한 식생옹벽 및 그 시공방법
KR102057248B1 (ko) 하수관로 지지구조
KR102095489B1 (ko) 거푸집 지지 구조
KR101653606B1 (ko) 일체식 교대 교량 시공방법
CN108547628B (zh) 上软下硬地层顶管工作井快速施工方法
CN202401461U (zh) 一种新型基坑支护结构
CN203939036U (zh) 一种适用于河道的钢板桩围堰结构
CN210002410U (zh) 一种可兼作挡土墙的环框支撑围护系统
CN106087996A (zh) 基于自我调平反压装置的人工挖孔桩施工方法
CN106223361B (zh) 带涵洞的重力式挡墙结构及其施工方法
CN107447794B (zh) 一种地铁保护区域内开挖基坑的抗浮起施工方法
CN110130356A (zh) 一种淤泥质软土区地下室坑底整体式封底施工方法
KR102112293B1 (ko) 흙막이 벽체 구조
CN206052771U (zh) 带涵洞的重力式挡墙结构
KR102307510B1 (ko) 흙막이 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흙막이 공법
CN211816267U (zh) 一种深基坑围护结构
CN201933461U (zh) 一种大圆筒抗倾加强结构
CN208121792U (zh) 一种结构稳定的砖胎模结构
CN110439007A (zh) 一种桩板u型支挡减载结构及施工工艺
CN209179022U (zh) 一种复合型管廊软土基坑支护结构
KR102129615B1 (ko) 흙막이 벽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