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94947B1 - 메타 앱을 통해 외부 서비스를 제공하는 멀티미디어 서비스 단말 및 지능형 서버 - Google Patents

메타 앱을 통해 외부 서비스를 제공하는 멀티미디어 서비스 단말 및 지능형 서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94947B1
KR102094947B1 KR1020170060607A KR20170060607A KR102094947B1 KR 102094947 B1 KR102094947 B1 KR 102094947B1 KR 1020170060607 A KR1020170060607 A KR 1020170060607A KR 20170060607 A KR20170060607 A KR 20170060607A KR 102094947 B1 KR102094947 B1 KR 1020949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rvice
external
multimedia
app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606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25812A (ko
Inventor
강상덕
이송우
이철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to KR10201700606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94947B1/ko
Publication of KR201801258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258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949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949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8Interfacing the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e.g. adapting the transmission rate of a video stream to network bandwidth; Processing of multiplex streams
    • H04N21/2387Stream processing in response to a playback request from an end-user, e.g. for trick-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3Processing of audio elementary strea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4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of video streams or manipulating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9Interfacing the up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e.g. prioritizing client content requests
    • H04N21/2393Interfacing the up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e.g. prioritizing client content requests involving handling client reques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server for facilitating the content distribution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end-users or client devices, e.g. end-user or client device authentication,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 H04N21/258Client or end-user data management, e.g. managing client capabilities, user preferences or demographics, processing of multiple end-users preferences to derive collaborative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4Specialised client platforms, e.g. receiver in car or embedded in a mobile applian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메타 앱을 통해 외부 서비스를 제공하는 멀티미디어 서비스 단말은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서비스 요청을 지능형 서버로 전송하는 전송부, 상기 지능형 서버로부터 상기 서비스 요청에 대한 분석 결과를 수신하는 수신부 및 상기 수신받은 분석 결과가 외부 서비스와 연관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외부 서비스에 대한 외부 서비스 제어 명령을 상기 메타 앱으로 전달하고, 상기 메타 앱과 연동하여 상기 멀티미디어 서비스 단말의 리소스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메타 앱은 상기 외부 서비스 제어 명령에 기초하여 외부 서비스 제공 서버와 연동하여 상기 외부 서비스를 제공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메타 앱을 통해 제공하는 외부 서비스와 상기 멀티미디어 서비스 단말에서 제공 중인 서비스가 충돌하지 않도록 상기 멀티미디어 서비스 단말의 리소스를 제어한다.

Description

메타 앱을 통해 외부 서비스를 제공하는 멀티미디어 서비스 단말 및 지능형 서버{MULTI-MEDIA SERVICE DEVICE FOR PROVIDING EXTERNAL SERVICE THROUGH META APP AND INTELLIGENT SERVER}
본 발명은 메타 앱을 통해 외부 서비스를 제공하는 멀티미디어 서비스 단말 및 지능형 서버에 관한 것이다.
IPTV(Internet Protocol Television)란 초고속 인터넷 망을 이용하여 영화와 방송프로그램과 같은 동영상 컨텐츠와 인터넷 검색 등 다양한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텔레비전 수상기로 제공하는 양방향 방송 및 통신 서비스이다. 시청자는 리모컨을 이용하여 간단하게 인터넷 검색은 물론 영화 감상, 홈쇼핑, 홈뱅킹, 온라인 게임, MP3 등 인터넷이 제공하는 다양한 컨텐츠 및 부가 서비스를 IPTV로부터 제공받을 수 있다.
IPTV에서 제공하는 부가서비스와 관련하여, 선행기술인 한국공개특허 제 2008-0053110호는 IPTV 부가 서비스 제어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부가서비스 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종래의 IPTV는 자체적인 내부 서버에 의해서만 부가 서비스를 제공하였으나, 최근의 IPTV는 3rd-party 서비스와의 연동을 통해 좀더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되었다. 그러나 IPTV에서 3rd-party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기존 서비스 시나리오나 연동 규격을 변경해야 한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IPTV에 새로운 서비스가 추가되는 경우, IPTV의 안정성이 떨어져 내부 서비스와 3rd-party 서비스 간의 충돌이 발생한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멀티미디어 서비스 단말 내 서비스 정책 및 시나리오에 따라 실행 중인 기존 서비스와 외부 서비스 간의 하드웨어 리소스 사용을 제어함으로써, 외부 서비스를 기존 서비스와 충돌 없이 제공하도록 하는 멀티미디어 서비스 단말 및 지능형 서버를 제공하고자 한다. 멀티미디어 서비스 단말에서 한정된 리소스를 효율적으로 관리하여 다양한 외부 서비스를 안정적으로 제공하도록 하는 멀티미디어 서비스 단말 및 지능형 서버를 제공하고자 한다. 다만, 본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서비스 요청을 지능형 서버로 전송하는 전송부, 상기 지능형 서버로부터 상기 서비스 요청에 대한 분석 결과를 수신하는 수신부 및 상기 수신받은 분석 결과가 외부 서비스와 연관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외부 서비스에 대한 외부 서비스 제어 명령을 상기 메타 앱으로 전달하고, 상기 메타 앱과 연동하여 상기 멀티미디어 서비스 단말의 리소스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메타 앱은 상기 외부 서비스 제어 명령에 기초하여 외부 서비스 제공 서버와 연동하여 상기 외부 서비스를 제공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메타 앱을 통해 제공하는 외부 서비스와 상기 멀티미디어 서비스 단말에서 제공 중인 서비스가 충돌하지 않도록 상기 멀티미디어 서비스 단말의 리소스를 제어하는 멀티미디어 서비스 단말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서비스 요청을 지능형 서버로 전송하는 전송부, 상기 전송된 서비스 요청에 대한 분석 결과가 외부 서비스와 연관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지능형 서버로부터 상기 외부 서비스에 대응하는 외부 서비스 제공 서버와 연동하여 도출된 상기 외부 서비스에 대한 외부 서비스 실행 명령을 수신하는 수신부 및 상기 수신받은 외부 서비스 실행 명령을 상기 메타 앱으로 전달하고, 상기 메타 앱과 연동하여 상기 멀티미디어 서비스 단말의 리소스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메타 앱은 상기 외부 서비스 실행 명령에 기초하여 상기 외부 서비스를 제공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메타 앱을 통해 제공하는 외부 서비스와 상기 멀티미디어 서비스 단말에서 제공 중인 서비스가 충돌하지 않도록 상기 멀티미디어 서비스 단말의 리소스를 제어하는 멀티미디어 서비스 단말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서비스 요청을 멀티미디어 서비스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수신한 서비스 요청에 대한 분석 결과가 외부 서비스와 연관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외부 서비스에 대응하는 외부 서비스 제공 서버와 연동하여 상기 서비스 요청에 대한 외부 서비스 실행 명령을 도출하는 도출부 및 상기 외부 서비스 실행 명령을 상기 멀티미디어 서비스 단말로 전송하는 전송부를 포함하고, 상기 외부 서비스 실행 명령은 메타 앱으로 전달되고, 상기 메타 앱은 상기 외부 서비스 실행 명령에 기초하여 상기 외부 서비스를 제공하고, 상기 멀티미디어 서비스 단말의 리소스는 상기 메타 앱에서 제공하는 외부 서비스와 상기 멀티미디어 서비스 단말에서 제공 중인 서비스가 충돌하지 않도록 제어되는 지능형 서버를 제공할 수 있다.
상술한 과제 해결 수단은 단지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 발명을 제한하려는 의도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상술한 예시적인 실시예 외에도, 도면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추가적인 실시예가 존재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멀티미디어 서비스 단말 내 서비스 정책 및 시나리오에 따라 실행 중인 기존 서비스와 외부 서비스 간의 하드웨어 리소스 사용을 제어함으로써, 외부 서비스를 기존 서비스와 충돌 없이 제공하도록 하는 멀티미디어 서비스 단말 및 지능형 서버를 제공할 수 있다. 멀티미디어 서비스 단말에서 한정된 리소스를 효율적으로 관리하여 다양한 외부 서비스를 안정적으로 제공하도록 하는 멀티미디어 서비스 단말 및 지능형 서버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부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능형 서버의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능형 서버에서 멀티미디어 서비스 단말로부터 요청받은 외부 서비스에 대해 기설정된 포맷으로 생성된 외부 서비스 실행 명령을 도시한 예시적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능형 서버에서 멀티미디어 서비스 단말에 설치된 메타 앱을 통해 외부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서비스 단말의 구성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부 서비스 제공자가 등록 서버를 통해 외부 서비스에 대한 정보를 등록하는 화면을 도시한 예시적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서비스 단말에서 제공 중인 서비스가 없는 경우의 외부 서비스를 제공하는 과정을 도시한 동작 흐름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서비스 단말에서 오디오 서비스의 제공 중 오디오 서비스에 해당하는 외부 서비스를 제공하는 과정을 도시한 동작 흐름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서비스 단말에서 오디오 서비스의 제공 중 비디오 서비스에 해당하는 외부 서비스를 제공하는 과정을 도시한 동작 흐름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서비스 단말에서 비디오 서비스의 제공 중 비디오 서비스에 해당하는 외부 서비스를 제공하는 과정을 도시한 동작 흐름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서비스 단말에서 비디오 서비스의 제공 중 스크린 서비스에 해당하는 외부 서비스를 제공하는 과정을 도시한 동작 흐름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서비스 단말에서 메타 앱을 통해 외부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서비스 단말에서 메타 앱을 통해 외부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타 앱에서 외부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의 순서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하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부(部)'란,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unit),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 양방을 이용하여 실현되는 유닛을 포함한다. 또한, 1 개의 유닛이 2 개 이상의 하드웨어를 이용하여 실현되어도 되고, 2 개 이상의 유닛이 1 개의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어도 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단말 또는 디바이스가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는 해당 단말 또는 디바이스와 연결된 서버에서 대신 수행될 수도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서버가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도 해당 서버와 연결된 단말 또는 디바이스에서 수행될 수도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부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외부 서비스 제공 시스템(1)은 외부 서비스 제공 서버(110), 지능형 서버(120), 멀티미디어 서비스 단말(130) 및 디스플레이 장치(140)를 포함할 수 있다. 외부 서비스 제공 서버(110), 지능형 서버(120), 멀티미디어 서비스 단말(130) 및 디스플레이 장치(140)는 외부 서비스 제공 시스템(1)에 의하여 제어될 수 있는 구성요소들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1의 외부 서비스 제공 시스템(1)의 각 구성요소들은 일반적으로 네트워크(network)를 통해 연결된다.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멀티미디어 서비스 단말(130)은 외부 서비스 제공 서버(110) 및 지능형 서버(120)와 동시에 또는 시간 간격을 두고 연결될 수 있다.
네트워크는 단말들 및 서버들과 같은 각각의 노드 상호 간에 정보 교환이 가능한 연결 구조를 의미하는 것으로, 근거리 통신망(LAN: Local Area Network), 광역 통신망(WAN: Wide Area Network), 인터넷 (WWW: World Wide Web), 유무선 데이터 통신망, 전화망, 유무선 텔레비전 통신망 등을 포함한다. 무선 데이터 통신망의 일례에는 3G, 4G, 5G,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LTE(Long Term Evolution),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와이파이(Wi-Fi), 블루투스 통신, 적외선 통신, 초음파 통신, 가시광 통신(VLC: Visible Light Communication), 라이파이(LiFi) 등이 포함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외부 서비스 제공 서버(110)는 멀티미디어 서비스 단말(130)에서 요청한 서비스가 외부 서비스에 해당하는 경우, 지능형 서버(120)에 의해 멀티미디어 서비스 단말(130)과 연동될 수 있다. 이 때, 외부 서비스 제공 서버(110)와 멀티미디어 서비스 단말(130)이 연동되면, 외부 서비스 제공 서버(110)는 멀티미디어 서비스 단말(130)로부터 외부 서비스를 요청받고, 해당 서비스를 멀티미디어 서비스 단말(130)로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외부 서비스 제공 서버(110)는 멀티미디어 서비스 단말(130)과 연동된 후, 멀티미디어 서비스 단말(130)로부터 뮤직 스트리밍 서비스를 요청받으면, 뮤직 스트리밍 서비스를 멀티미디어 서비스 단말(130)로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외부 서비스 제공 서버(110)는 멀티미디어 서비스 단말(130)과 연동된 후, 멀티미디어 서비스 단말(130)로부터 생활 편의 검색 서비스를 요청받으면, 생활 편의 검색 결과를 멀티미디어 서비스 단말(130)로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외부 서비스 제공 서버(110)는 복수 개의 서버로 구성될 수 있으며, 복수 개의 서버는 예를 들어, 검색 서버, 음악 서버, 라디오 서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지능형 서버(120)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서비스 요청을 멀티미디어 서비스 단말(13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지능형 서버(120)는 멀티미디어 서비스 단말(130)로부터 멀티미디어 서비스 단말(130)에서 실행 중인 서비스에 대한 상태 정보 및 멀티미디어 서비스 단말(130)의 사용자 정보 등을 수신할 수 있다.
지능형 서버(120)는 수신한 서비스 요청에 대한 분석 결과가 외부 서비스와 연관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외부 서비스에 대응하는 외부 서비스 제공 서버(110)와 연동하여 서비스 요청에 대한 외부 서비스 실행 명령을 도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능형 서버(120)는 서비스 요청을 멀티미디어 서비스 단말(130)에서 실행 중인 서비스에 대한 상태 정보 및 멀티미디어 서비스 단말(130)의 사용자 정보 등에 기초하여 분석하여, 외부 서비스에 대한 명령을 실행하기 위한 추가 정보를 외부 서비스 실행 명령이 더 포함하도록 할 수 있다.
지능형 서버(120)는 외부 서비스 실행 명령을 멀티미디어 서비스 단말(130)로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멀티미디어 서비스 단말(130)은 메타 앱(131)과 외부 서비스 제공 서버(110) 간의 연동을 통해 외부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멀티미디어 서비스 단말(130)은 디스플레이 장치(140)를 통해 컨텐츠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멀티미디어 서비스 단말(130)은 디스플레이 장치(140)를 통해 TV 서비스와 같은 내부 서비스뿐만 아니라, 팟캐스트 서비스와 같은 외부 서비스를 출력할 수 있다.
멀티미디어 서비스 단말(130)은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서비스 요청을 지능형 서버(12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멀티미디어 서비스 단말(130)은 지능형 서버(120)로 멀티미디어 서비스 단말(130)에서 실행 중인 서비스에 대한 상태 정보 및 멀티미디어 서비스 단말(130)의 사용자 정보 등을 더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서비스 요청은 지능형 서버(120)에 의해 멀티미디어 서비스 단말(130)에서 실행 중인 서비스에 대한 상태 정보 및 멀티미디어 서비스 단말(130)의 사용자 정보 등에 기초하여 분석될 수 있다.
멀티미디어 서비스 단말(130)은 지능형 서버(120)로부터 서비스 요청에 대한 분석 결과를 수신할 수 있다. 이 때, 멀티미디어 서비스 단말(130)에서 실행 중인 서비스에 대한 상태 정보 및 멀티미디어 서비스 단말(130)의 사용자 정보 등을 더 전송한 경우, 분석 결과는 외부 서비스에 대한 명령을 실행하기 위한 추가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멀티미디어 서비스 단말(130)은 수신받은 분석 결과가 외부 서비스와 연관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외부 서비스에 대한 외부 서비스 제어 명령을 메타 앱(131)으로 전달하고, 메타 앱(131)과 연동하여 멀티미디어 서비스 단말(130)의 리소스를 제어할 수 잇다. 여기서, 외부 서비스 제어 명령은 외부 서비스 제공 서버(110)에 대한 정보 및 외부 서비스 제공 서버(110)로 전송할 명령을 포함하고, 메타 앱(131)은 외부 서비스 제어 명령에 기초하여 외부 서비스 제공 서버(110)와 연동하여 외부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멀티미디어 서비스 단말(130)은 메타 앱(131)을 통해 제공하는 외부 서비스와 멀티미디어 서비스 단말(130)에서 제공 중인 서비스(내부 서비스)가 충돌하지 않도록 멀티미디어 서비스 단말(130)의 리소스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내부 서비스는 멀티미디어 서비스 단말(130) 내부에서 자체적으로 제공하는 서비스이거나 멀티미디어 서비스 단말(130)과 동일한 주체의 의해 운용되는 서버(미도시)와의 연동에 의해 제공되는 서비스를 의미할 수 있다. 이에 반해, 외부 서비스는 멀티미디어 서비스 단말(130)과 동일한 주체가 아닌 외부 주체, 즉 3rd 파티에 의해 운용되는 외부 서비스 제공 서버(110)와의 연동에 의해 제공되는 서비스를 의미할 수 있다. 도 1에는 외부 서비스 제공 서버(110)가 하나인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복수개 존재할 수 있다.
멀티미디어 서비스 단말(130)은 제공 중인 서비스(내부 서비스)와 서비스 요청에 해당하는 외부 서비스 간의 서비스 성격을 비교하여 제공 중인 서비스와 서비스 요청에 해당하는 외부 서비스가 충돌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멀티미디어 서비스 단말(130)은 제공 중인 서비스의 서비스 성격이 오디오 서비스에 해당하는 경우, 서비스 요청에 해당하는 외부 서비스 중 오디오 서비스 또는 비디오 서비스에 해당하는 외부 서비스에게 리소스의 사용에 대한 우선 순위를 부여할 수 있다. 이 때, 외부 서비스의 동작 상태에 따라 리소스의 사용의 우선 순위를 제공 중인 서비스에게 반환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멀티미디어 서비스 단말(130)은 제공 중인 서비스의 서비스 성격이 비디오 서비스에 해당하는 경우, 서비스 요청에 해당하는 외부 서비스 중 오디오 서비스 또는 비디오 서비스에 해당하는 외부 서비스에게 리소스의 사용에 대한 우선 순위를 부여할 수 있다.
멀티미디어 서비스 단말(130)은 제공 중인 서비스와 서비스 요청에 해당하는 외부 서비스가 충돌하는 경우, 제공 중인 서비스를 중단시키고, 제공 중인 서비스에 의해 사용된 멀티미디어 서비스 단말(130)의 하드웨어 리소스를 해제할 수 있다. 여기서, 메타 앱(131)은 제공 중인 서비스의 중단에 따라 해제된 하드웨어 리소스를 사용함으로써, 서비스 요청에 해당하는 외부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멀티미디어 서비스 단말(130)은 제공 중인 서비스가 서비스 요청에 해당하는 외부 서비스와 다른 외부 서비스인 경우, 제공 중인 서비스를 메타 앱(131)을 통해 중단시키고, 제공 중인 서비스에 의해 사용된 멀티미디어 서비스 단말(130)의 하드웨어 리소스를 해제할 수 있다. 여기서, 메타 앱(131)은 제공 중인 서비스의 중단에 따라 해제된 하드웨어 리소스를 사용함으로써, 서비스 요청에 해당하는 외부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지능형 서버(120)가 외부 서비스 제공 서버(110)와 연동됨으로써, 외부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멀티미디어 서비스 단말(130)은 디스플레이 장치(140)를 통해 컨텐츠를 출력하고,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서비스 요청을 지능형 서버(120)로 전송할 수 있다.
멀티미디어 서비스 단말(130)은 전송된 서비스 요청에 대한 분석 결과가 외부 서비스와 연관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지능형 서버(120)로부터 외부 서비스에 대응하는 외부 서비스 제공 서버(110)와 연동하여 도출된 외부 서비스에 대한 외부 서비스 실행 명령을 수신할 수 있다. 이 때, 멀티미디어 서비스 단말(130)은 지능형 서버(120)로부터 멀티미디어 서비스 단말(130)과 메타 앱(131)이 연동할 수 있도록 하는 기설정된 포맷으로 생성된 외부 서비스 실행 명령을 수신할 수 있다.
멀티미디어 서비스 단말(130)은 수신받은 외부 서비스 실행 명령을 메타 앱(131)으로 전달하고, 메타 앱(131)과 연동하여 멀티미디어 서비스 단말(130)의 리소스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외부 서비스 실행 명령은 외부 서비스와 관련하여 재생할 컨텐츠의 URL 또는 표시할 웹 페이지의 URL을 포함하고, 메타 앱(131)은 외부 서비스 실행 명령에 기초하여 컨텐츠의 URL 또는 웹 페이지의 URL을 통해 외부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멀티미디어 서비스 단말(130)은 메타 앱(131)을 통해 제공하는 외부 서비스와 멀티미디어 서비스 단말(130)에서 제공 중인 서비스가 충돌하지 않도록 멀티미디어 서비스 단말(130)의 리소스를 제어할 수 있다.
멀티미디어 서비스 단말(130)은 외부 서비스 제공 서버(110)로부터 멀티미디어 서비스 단말(130)에 설치된 메타 앱(131)과 연동하여 제공할 외부 서비스에 대한 정보를 등록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멀티미디어 서비스 단말(130)은 외부 서비스에 대한 기본 정보 또는 외부 서비스에 대한 명령에 따른 연동 정보가 요구되는 경우, 등록된 외부 서비스에 대한 정보를 조회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40)는 컨텐츠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140)는 TV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으며, 멀티미디어 서비스 단말(130)로부터 팟캐스트 서비스의 출력을 요청받으면, TV 서비스의 출력을 중단한 후, 팟캐스트 서비스의 출력을 시작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능형 서버의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지능형 서버(120)는 수신부(210), 도출부(220) 및 전송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
수신부(210)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서비스 요청을 멀티미디어 서비스 단말(13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수신부(210)는 멀티미디어 서비스 단말(130)로부터 멀티미디어 서비스 단말(130)에서 실행 중인 서비스에 대한 상태 정보 및 멀티미디어 서비스 단말(130)의 사용자 정보 등을 더 수신할 수 있다.
도출부(220)는 수신한 서비스 요청에 대한 분석 결과가 외부 서비스와 연관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외부 서비스에 대응하는 외부 서비스 제공 서버(110)와 연동하여 서비스 요청에 대한 외부 서비스 실행 명령을 도출할 수 있다.
도출부(220)는 서비스 요청을 멀티미디어 서비스 단말(130)에서 실행 중인 서비스에 대한 상태 정보 및 멀티미디어 서비스 단말(130)의 사용자 정보 등에 기초하여 분석할 수 있다. 이 때, 외부 서비스 실행 명령은 외부 서비스에 대한 명령을 실행하기 위한 추가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도출된 외부 서비스 실행 명령과 관련하여 도 3을 통해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능형 서버에서 멀티미디어 서비스 단말로부터 요청받은 외부 서비스에 대해 기설정된 포맷으로 생성된 외부 서비스 실행 명령을 도시한 예시적인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지능형 서버(120)는 요청받은 외부 서비스를 분석하고, 실행할 외부 서비스에 해당하는 외부 서비스 제공 서버(110)와 연동하여 외부 서비스의 상세 정보를 조회할 수 있다.
외부 서비스의 상세 정보는 예를 들어, 서비스 유형(310), 서비스 제공자 정보(320), 서비스 명령(330), 서비스 실행을 위한 추가 정보(340)를 포함할 수 있다.
서비스 유형(310)은 음악 재생, 웹 검색, 영상 스트리밍 등의 오디오 서비스, 비디오 서비스, 화면 서비스 등의 유형을 포함할 수 있다.
서비스 제공자 정보(320)는 외부 서비스를 제공하는 제공업자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서비스 명령(330)은 재생, 검색, 중지, 일시 정지, 재시작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서비스 실행을 위한 추가 정보(340)는 서비스 URL, 검색 키워드(예를 들어, 음악의 경우, 장르, 곡명, 아티스트명 등)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다시 도 2로 돌아와서, 전송부(230)는 외부 서비스 실행 명령을 멀티미디어 서비스 단말(130)로 전송할 수 있다. 외부 서비스 실행 명령은 xml, json 등과 같은 포맷의 응답 메시지의 형태로 멀티미디어 서비스 단말(130)의 메타 앱(131)으로 전달되고, 메타 앱(131)이 외부 서비스 실행 명령에 기초하여 외부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능형 서버에서 멀티미디어 서비스 단말에 설치된 메타 앱을 통해 외부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4에 도시된 지능형 서버(120)에서 멀티미디어 서비스 단말(130)에 설치된 메타 앱(131)을 통해 외부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외부 서비스 제공 시스템(1)에서 시계열적으로 처리되는 단계들을 포함한다. 따라서, 이하 생략된 내용이라고 하더라도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지능형 서버(120)에 의해 수행되는 멀티미디어 서비스 단말(130)에 설치된 메타 앱(131)을 통해 외부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도 적용된다.
단계 S410에서 지능형 서버(120)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서비스 요청을 멀티미디어 서비스 단말(13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단계 S420에서 지능형 서버(120)는 수신한 서비스 요청에 대한 분석 결과가 외부 서비스와 연관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외부 서비스에 대응하는 외부 서비스 제공 서버(110)와 연동하여 서비스 요청에 대한 외부 서비스 실행 명령을 도출할 수 있다.
단계 S430에서 지능형 서버(120)는 외부 서비스 실행 명령을 멀티미디어 서비스 단말(130)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외부 서비스 실행 명령은 메타 앱(131)으로 전달되고, 메타 앱(131)은 외부 서비스 실행 명령에 기초하여 외부 서비스를 제공하고, 멀티미디어 서비스 단말(130)의 리소스가 메타 앱(131)에서 제공하는 외부 서비스와 멀티미디어 서비스 단말(130)에서 제공 중인 서비스가 충돌하지 않도록 제어되는 것일 수 있다.
상술한 설명에서, 단계 S410 내지 S430은 본 발명의 구현예에 따라서, 추가적인 단계들로 더 분할되거나, 더 적은 단계들로 조합될 수 있다. 또한, 일부 단계는 필요에 따라 생략될 수도 있고, 단계 간의 순서가 전환될 수도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서비스 단말의 구성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멀티미디어 서비스 단말(130)은 컨텐츠 출력부(510), 전송부(520), 수신부(530), 제어부(540) 및 서비스 등록부(55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멀티미디어 서비스 단말(130)은 메타 앱(131)과 외부 서비스 제공 서버(110)가 연동됨으로써, 외부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컨텐츠 출력부(510)는 디스플레이 장치(140)를 통해 컨텐츠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컨텐츠 출력부(510)는 디스플레이 장치(140)를 통해 TV 서비스와 같은 내부 서비스 및 팟캐스트 서비스와 같은 외부 서비스를 출력할 수 있다.
전송부(520)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서비스 요청을 지능형 서버(120)로 전송할 수 있다.
전송부(520)는 지능형 서버(120)로 멀티미디어 서비스 단말(130)에서 실행 중인 서비스에 대한 상태 정보 및 멀티미디어 서비스 단말(130)의 사용자 정보 등을 더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실행 중인 서비스에 대한 상태 정보는 예를 들어, 통화 중, TV 시청 중, 뮤직 서비스 이용 중 등을 포함하고, 사용자 정보는 성별, 사용자 ID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수신부(530)는 지능형 서버(120)로부터 서비스 요청에 대한 분석 결과를 수신할 수 있다. 이 때, 서비스 요청이 지능형 서버(120)에 의해 멀티미디어 서비스 단말(130)에서 실행 중인 서비스에 대한 상태 정보 및 멀티미디어 서비스 단말(130)의 사용자 정보 등에 기초하여 분석되면, 분석 결과는 외부 서비스에 대한 명령을 실행하기 위한 추가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540)는 수신받은 결과가 외부 서비스와 연관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외부 서비스에 대한 외부 서비스 제어 명령을 메타 앱(131)으로 전달하고, 메타 앱(131)과 연동하여 멀티미디어 서비스 단말(130)의 리소스를 제어할 수 있다. 이 때, 제어부(540)는 메타 앱(131)을 통해 제공하는 외부 서비스와 멀티미디어 서비스 단말(130)에서 제공 중인 서비스가 충돌하지 않도록 멀티미디어 서비스 단말(130)의 리소스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외부 서비스 제어 명령은 외부 서비스 제공 서버(110)에 대한 정보 및 외부 서비스 제공 서버(110)로 전송할 명령을 포함하고, 메타 앱(131)은 외부 서비스 제어 명령에 기초하여 외부 서비스 제공 서버(110)와 연동하여 외부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540)는 제공 중인 서비스와 서비스 요청에 해당하는 외부 서비스 간의 서비스 성격을 비교하여 제공 중인 서비스와 서비스 요청에 해당하는 서비스가 충돌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서비스 간의 충돌은 예를 들어, 동일 하드웨어 리소스(예를 들어, 스크린, 스피커, 카메라 등) 등의 사용에 의해 발생할 수 있으며, 제어부(540)는 기존 서비스의 리소스 사용을 해제하거나, 미리 정의된 규약에 의한 명령을 통해 기존 서비스의 실행을 제어(예를 들어, 앱/서비스 종료, 일시정지, 음소거 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공 중인 서비스의 성격이 오디오 서비스에 해당하는 경우, 서비스 요청에 해당하는 외부 서비스 중 오디오 서비스 또는 비디오 서비스에 해당하는 외부 서비스에게 리소스의 사용에 대한 우선 순위를 부여할 수 있다. 이 때, 외부 서비스의 동작 상태에 따라 리소스의 사용의 우선 순위를 제공 중인 서비스에게 반환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제공 중인 서비스의 서비스 성격이 비디오 서비스에 해당하는 경우, 서비스 요청에 해당하는 외부 서비스 중 오디오 서비스 또는 비디오 서비스에 해당하는 외부 서비스에게 리소스의 사용에 대한 우선 순위를 부여할 수 있다.
이 때, 제공 중인 서비스와 서비스 요청에 해당하는 외부 서비스가 충돌하는 경우, 제어부(540)가 제공 중인 서비스를 중단시키고, 제공 중인 서비스에 의해 사용된 멀티미디어 서비스 단말(130)의 하드웨어 리소스를 해제하면, 메타 앱(131)이 제공 중인 서비스의 중단에 따라 해제된 하드웨어 리소스를 사용함으로써, 서비스 요청에 해당하는 외부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는, 제공 중인 서비스가 서비스 요청에 해당하는 외부 서비스와 다른 외부 서비스인 경우, 제어부(540)가 제공 중인 서비스를 메타 앱(131)을 통해 중단시키고, 제공 중인 서비스에 의해 사용된 멀티미디어 서비스 단말(130)의 하드웨어 리소스를 해제하면, 메타 앱(131)이 제공 중인 서비스의 중단에 따라 해제된 하드웨어 리소스를 사용함으로써, 서비스 요청에 해당하는 외부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즉, 제어부(540)는 멀티미디어 서비스 단말(130) 내 기존 서비스들끼리 정의된 서비스에 대해 일시정지, 정지, 음소거, 마이크/카메라에 대한 점유 또는 해제 처리 등을 통해 정책 및 시나리오 관련 처리를 진행함으로써, 서비스 간의 충돌을 방지하도록 할 수 있다.
제어부(540)는 외부 서비스에 대한 기본 정보 또는 외부 서비스에 대한 명령에 따른 연동 정보가 요구되는 경우, 서비스 등록부(550)에 등록된 외부 서비스에 대한 정보를 조회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540)는 외부 서비스에 대한 기본 정보, 실행해야 할 명령에 따른 연동 정보 등을 조회할 수 있다. 기본 정보는 예를 들어, 서비스/서비스 제공자 이름, 대표 아이콘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연동 정보는 예를 들어, 검색 URL, 스트리밍 URL, UI 표시를 위한 웹 화면 URL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서비스 등록부(550)는 외부 서비스 제공 서버(110)로부터 멀티미디어 서비스 단말(130)에 설치된 메타 앱(131)과 연동하여 제공할 적어도 하나의 외부 서비스에 대한 정보를 등록받을 수 있다. 외부 서비스에 대한 정보와 관련하여 도 6을 통해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부 서비스 제공자가 등록 서버를 통해 외부 서비스에 대한 정보를 등록하는 화면을 도시한 예시적인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외부 서비스에 대한 정보는 회사 이름(610), 서비스 URL(620), 서비스 유형(63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서비스 유형(630)은 예를 들어, 오디오 사용 유무(631), 비디오 사용 유무(633), 화면 사용 유무(635)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비스 유형(630)에 비디오 사용 유무(633) 및 화면 사용 유무(635)에 체크된 경우, 멀티미디어 서비스 단말(130)은 비디오 리소스 및 스크린 리소스를 제어하여 비디오 서버 설정(634)을 통해 설정받은 주소의 비디오 스트림을 표시하고, 스크린 리소스를 통해 웹 페이지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다시 도 5로 돌아와서,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멀티미디어 서비스 단말(130)은 지능형 서버(120)와 외부 서비스 제공 서버(110) 간의 연동을 통해 외부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컨텐츠 출력부(510) 및 전송부(520)는 상술한 일 실시예에 따른 설명과 동일하므로 생략하도록 한다.
수신부(530)는 전송된 서비스 요청에 대한 분석 결과가 외부 서비스와 연관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지능형 서버(120)로부터 외부 서비스에 대응하는 외부 서비스 제공 서버(110)와 연동하여 도출된 외부 서비스에 대한 외부 서비스 실행 명령을 수신할 수 있다. 이 때, 수신부(530)는 지능형 서버(120)로부터 멀티미디어 서비스 단말(130)과 메타 앱(131)이 연동할 수 있도록 하는 기설정된 포맷으로 생성된 외부 서비스 실행 명령을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외부 서비스 실행 명령은 외부 서비스와 관련하여 재생할 컨텐츠의 URL 또는 표시할 웹 페이지의 URL을 포함하고, 메타 앱(131)은 컨텐츠의 URL 또는 웹 페이지의 URL을 통해 외부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제어부(540)는 수신받은 외부 서비스 실행 명령을 메타 앱(131)으로 전달하고, 메타 앱(131)과 연동하여 멀티미디어 서비스 단말(130)의 리소스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타 앱(131)이 외부 서비스 실행 명령에 기초하여 외부 서비스를 제공하면, 제어부(540)가 메타 앱(131)을 통해 제공하는 외부 서비스와 멀티미디어 서비스 단말(130)에서 제공 중인 서비스가 충돌하지 않도록 멀티미디어 서비스 단말(130)의 리소스를 제어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서비스 단말에서 제공 중인 서비스가 없는 경우의 외부 서비스를 제공하는 과정을 도시한 동작 흐름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외부 서비스 제공 시스템(1)은 외부 서비스 제공 서버(110), 지능형 서버(120) 및 멀티미디어 서비스 단말(130)을 포함할 수 있다.
멀티미디어 서비스 단말(130)의 메타 앱(131)은 사용자로부터 뮤직 스트리밍 서비스의 요청을 입력받으면(S701), 뮤직 스트리밍 서비스를 지능형 서버(120)로 요청할 수 있다(S702).
지능형 서버(120)는 수신한 뮤직 스트리밍 서비스가 외부 서비스와 연관된 것인지를 판단하고(S703), 분석 결과, 뮤직 스트리밍 서비스가 외부 서비스와 연관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외부 서비스에 대응하는 외부 서비스 제공 서버(110)와 연동할 수 있다(S704). 이 때, 지능형 서버(120)는 뮤직 스트리밍 서비스에 대한 외부 서비스 실행 명령을 도출하고(S705), 도출된 외부 서비스 실행 명령을 멀티미디어 서비스 단말(130)의 메타 앱(131)으로 전송할 수 있다(S706).
메타 앱(131)은 외부 서비스에 대한 정보를 조회하고(S707), 기실행중인 서비스와 뮤직 스트리밍 서비스와의 충돌 여부를 체크할 수 있다(S708). 이 때, 기실행중인 서비스가 없으므로, 메타 앱(131)은 오디오 리소스를 사용하여 미디어 플레이를 통해 외부 서비스 제공 서버(110)와 연동하여 음악 재생을 시작할 수 있다(S709).
메타 앱(131)이 음악 재생 중 사용자의 음성이 입력되거나, IoT 이벤트에 대한 TTS 재생의 요청을 입력받은 경우(S710), 메타 앱(131)은 뮤직 스트리밍을 일시 정지하고, 사용자의 음성 입력을 진행하거나 TTS 사운드를 출력할 수 있다(S711). 메타 앱(131)은 사용자의 음성 입력이 완료되거나, TTS 재생이 완료되면, 오디오 리소스를 사용하여 외부 서비스 제공 서버(110)와 연동하여 뮤직 스트리밍 서비스를 재시작할 수 있다(S712).
상술한 설명에서, 단계 S701 내지 S712은 본 발명의 구현예에 따라서, 추가적인 단계들로 더 분할되거나, 더 적은 단계들로 조합될 수 있다. 또한, 일부 단계는 필요에 따라 생략될 수도 있고, 단계 간의 순서가 전환될 수도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서비스 단말에서 오디오 서비스의 제공 중 오디오 서비스에 해당하는 외부 서비스를 제공하는 과정을 도시한 동작 흐름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외부 서비스 제공 시스템(1)은 외부 서비스 제공 서버(110), 지능형 서버(120) 및 멀티미디어 서비스 단말(130)을 포함할 수 있다.
멀티미디어 서비스 단말(130)은 사용자로부터 뮤직 스트리밍 서비스 실행 요청을 입력받으면(S801), 오디오 리소스를 사용하여 뮤직 스트리밍 앱(132)을 통해 뮤직 스트리밍 서비스를 실행할 수 있다(S802).
멀티미디어 서비스 단말(130)은 사용자로부터 라디오 스트리밍 서비스의 요청을 입력받으면(S803), 메타 앱(131)이 라디오 스트리밍 서비스를 지능형 서버(120)로 요청할 수 있다(S804).
지능형 서버(120)는 수신한 라디오 스트리밍 서비스가 외부 서비스와 연관된 것인지를 판단하고(S805), 분석 결과, 라디오 스트리밍 서비스가 외부 서비스와 연관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외부 서비스에 대응하는 외부 서비스 제공 서버(110)와 연동할 수 있다(S806). 여기서, 외부 서비스 제공 서버(110)는 라디오 데이터를 제공하는 서버일 수 있다. 또한, 라디오 데이터를 제공하는 외부 서비스 제공 서버(110)는 뮤직 스트리밍 앱(132)을 통해 뮤직 스트리밍 서비스를 제공하는 외부 서비스 제공 서버와 다른 서버일 수 있다.
지능형 서버(120)는 라디오 스트리밍 서비스에 대한 외부 서비스 실행 명령을 도출하고(S807), 외부 서비스 실행 명령을 멀티미디어 서비스 단말(130)의 메타 앱(131)으로 전송할 수 있다(S808).
멀티미디어 서비스 단말(130)의 메타 앱(131)은 외부 서비스에 대한 정보를 조회하고(S809), 기실행중인 뮤직 스트리밍 서비스와 라디오 스트리밍 서비스와의 충돌 여부를 체크하여(S810), 뮤직 스트리밍 서비스의 종료를 뮤직 스트리밍 앱(132)으로 요청할 수 있다(S811).
멀티미디어 서비스 단말(130)의 뮤직 스트리밍 앱(132)은 오디오 리소스를 해제하고(S812), 뮤직 스트리밍 서비스의 종료를 메타 앱(131)으로 알릴 수 있다(S813).
멀티미디어 서비스 단말(130)의 메타 앱(131)이 라디오 스트리밍 서비스를 외부 서비스 제공 서버(110)로 요청하면(S814), 외부 서비스 제공 서버(110)가 라디오 스트리밍 서비스에 대한 오디오 스트림을 멀티미디어 서비스 단말(130)로 제공할 수 있다(S815).
멀티미디어 서비스 단말(130)은 오디오 리소스를 사용하여 라디오 스트리밍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S816).
상술한 설명에서, 단계 S801 내지 S816은 본 발명의 구현예에 따라서, 추가적인 단계들로 더 분할되거나, 더 적은 단계들로 조합될 수 있다. 또한, 일부 단계는 필요에 따라 생략될 수도 있고, 단계 간의 순서가 전환될 수도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서비스 단말에서 오디오 서비스의 제공 중 비디오 서비스에 해당하는 외부 서비스를 제공하는 과정을 도시한 동작 흐름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외부 서비스 제공 시스템(1)은 외부 서비스 제공 서버(110), 지능형 서버(120) 및 멀티미디어 서비스 단말(130)을 포함할 수 있다.
멀티미디어 서비스 단말(130)은 사용자로부터 뮤직 스트리밍 서비스 실행 요청을 입력받으면(S901), 오디오 리소스를 사용하여 뮤직 스트리밍 앱(132)을 통해 뮤직 스트리밍 서비스를 실행할 수 있다(S902).
멀티미디어 서비스 단말(130)은 사용자로부터 팟캐스트 서비스의 요청을 입력받으면(S903), 메타 앱(131)이 팟캐스트 서비스를 지능형 서버(120)로 요청할 수 있다(S904).
지능형 서버(120)는 수신한 팟캐스트 서비스가 외부 서비스와 연관된 것인지를 판단하고(S905), 분석 결과, 팟캐스트 서비스가 외부 서비스와 연관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외부 서비스에 대응하는 외부 서비스 제공 서버(110)와 연동할 수 있다(S906). 여기서, 외부 서비스 제공 서버(110)는 팟캐스트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일 수 있다. 또한, 팟캐스트 서비스를 제공하는 외부 서비스 제공 서버(110)는 뮤직 스트리밍 앱(132)을 통해 뮤직 스트리밍 서비스를 제공하는 외부 서비스 제공 서버와 다른 서버일 수 있다.
지능형 서버(120)는 팟캐스트 서비스에 대한 외부 서비스 실행 명령을 도출하고(S907), 외부 서비스 실행 명령을 멀티미디어 서비스 단말(130)의 메타 앱(131)으로 전송할 수 있다(S908).
멀티미디어 서비스 단말(130)의 메타 앱(131)은 외부 서비스에 대한 정보를 조회하고(S909), 기실행중인 뮤직 스트리밍 서비스와 팟캐스트 서비스와의 충돌 여부를 체크하여(S910), 뮤직 스트리밍 서비스의 종료를 뮤직 스트리밍 앱(132)으로 요청할 수 있다(S911).
멀티미디어 서비스 단말(130)의 뮤직 스트리밍 앱(132)은 오디오 리소스를 해제하고(S912), 뮤직 스트리밍 서비스의 종료를 메타 앱(131)으로 알릴 수 있다(S913).
멀티미디어 서비스 단말(130)의 메타 앱(131)이 팟캐스트 서비스를 외부 서비스 제공 서버(110)로 요청하면(S914), 외부 서비스 제공 서버(110)가 팟캐스트 서비스에 대한 비디오 스트림을 멀티미디어 서비스 단말(130)로 제공할 수 있다(S915).
멀티미디어 서비스 단말(130)은 비디오 리소스를 사용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40)를 통해 팟캐스트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S916).
상술한 설명에서, 단계 S901 내지 S916은 본 발명의 구현예에 따라서, 추가적인 단계들로 더 분할되거나, 더 적은 단계들로 조합될 수 있다. 또한, 일부 단계는 필요에 따라 생략될 수도 있고, 단계 간의 순서가 전환될 수도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서비스 단말에서 비디오 서비스의 제공 중 비디오 서비스에 해당하는 외부 서비스를 제공하는 과정을 도시한 동작 흐름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외부 서비스 제공 시스템(1)은 외부 서비스 제공 서버(110), 지능형 서버(120) 및 멀티미디어 서비스 단말(130)을 포함할 수 있다.
멀티미디어 서비스 단말(130)은 사용자로부터 팟캐스트 서비스 실행 요청을 입력받으면(S1001), 비디오 리소스를 사용하여 팟캐스트 앱(133)을 통해 팟캐스트 서비스를 실행할 수 있다(S1002).
멀티미디어 서비스 단말(130)은 사용자로부터 영상 통화 서비스의 요청을 입력받으면(S1003), 메타 앱(131)이 영상 통화 서비스를 지능형 서버(120)로 요청할 수 있다(S1004).
지능형 서버(120)는 수신한 영상 통화 서비스가 외부 서비스와 연관된 것인지를 판단하고(S1005), 분석 결과, 영상 통화 서비스가 외부 서비스와 연관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외부 서비스에 대응하는 외부 서비스 제공 서버(110)와 연동할 수 있다(S1006). 여기서, 외부 서비스 제공 서버(110)는 주소록 및 인명 교정 기능을 포함하는 통화 서비스 제공 서버일 수 있다. 또한, 통화 서비스 제공 서버로 동작하는 외부 서비스 제공 서버(110)는 팟캐스트 앱(133)을 통해 팟캐스트 서비스를 제공하는 외부 서비스 제공 서버와 다른 서버일 수 있다.
지능형 서버(120)는 영상 통화 서비스에 대한 외부 서비스 실행 명령을 도출하고(S1007), 외부 서비스 실행 명령을 멀티미디어 서비스 단말(130)의 메타 앱(131)으로 전송할 수 있다(S1008).
멀티미디어 서비스 단말(130)의 메타 앱(131)은 외부 서비스에 대한 정보를 조회하고(S1009), 기실행중인 팟캐스트 서비스와 영상 통화 서비스와의 충돌 여부를 체크하여(S1010), 팟캐스트 서비스의 종료를 팟캐스트 앱(133)으로 요청할 수 있다(S1011).
멀티미디어 서비스 단말(130)의 팟캐스트 앱(133)은 비디오 리소스를 해제하고(S1012), 팟캐스트 서비스의 종료를 메타 앱(131)으로 알릴 수 있다(S1013).
멀티미디어 서비스 단말(130)의 메타 앱(131)은 비디오 리소스, 스크린 리소스 및 오디오 리소스를 사용하여 외부 서비스 제공 서버(110)와 연동하여 영상 통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S1014). 영상 통화가 종료되면, 멀티미디어 서비스 단말(130)의 메타 앱(131)은 팟캐스트 서비스의 재시작을 팟캐스트 앱(133)으로 요청하고(S1015), 팟캐스트 앱(133)은 비디오 리소스를 통해 팟캐스트 서비스를 재시작할 수 있다(S1016).
상술한 설명에서, 단계 S1001 내지 S1016은 본 발명의 구현예에 따라서, 추가적인 단계들로 더 분할되거나, 더 적은 단계들로 조합될 수 있다. 또한, 일부 단계는 필요에 따라 생략될 수도 있고, 단계 간의 순서가 전환될 수도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서비스 단말에서 비디오 서비스의 제공 중 스크린 서비스에 해당하는 외부 서비스를 제공하는 과정을 도시한 동작 흐름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외부 서비스 제공 시스템(1)은 외부 서비스 제공 서버(110), 지능형 서버(120) 및 멀티미디어 서비스 단말(130)을 포함할 수 있다.
멀티미디어 서비스 단말(130)은 사용자로부터 TV 서비스 실행 요청을 입력받으면(S1101), 비디오 리소스를 사용하여 TV 앱(134)을 통해 TV 서비스를 실행할 수 있다(S1102).
멀티미디어 서비스 단말(130)은 사용자로부터 생활 편의 검색 서비스의 요청을 입력받으면(S1103), 메타 앱(131)이 생활 편의 검색 서비스를 지능형 서버(120)로 요청할 수 있다(S1104).
지능형 서버(120)는 수신한 생활 편의 검색 서비스가 외부 서비스와 연관된 것인지를 판단하고(S1105), 분석 결과, 영상 통화 서비스가 외부 서비스와 연관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외부 서비스에 대응하는 외부 서비스 제공 서버(110)와 연동할 수 있다(S1106). 여기서, 외부 서비스 제공 서버(110)는 검색 서버일 수 있다. 또한, 검색 서버로 동작하는 외부 서비스 제공 서버(110)는 TV 앱(134)을 통해 TV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와 다른 서버일 수 있다.
지능형 서버(120)는 생활 편의 검색 서비스에 대한 외부 서비스 실행 명령을 도출하고(S1107), 외부 서비스 실행 명령을 멀티미디어 서비스 단말(130)의 메타 앱(131)으로 전송할 수 있다(S1108).
멀티미디어 서비스 단말(130)의 메타 앱(131)은 외부 서비스에 대한 정보를 조회하고(S1109), 기실행중인 TV 서비스와 생활 편의 검색 서비스와의 충돌 여부를 체크하여(S1110), TV 서비스의 일시 정지를 TV 앱(134)으로 요청할 수 있다(S1111).
멀티미디어 서비스 단말(130)의 TV 앱(134)은 비디오 리소스를 해제 또는 일시 정지하고(S1112), TV 서비스의 일시 정지를 메타 앱(131)으로 알릴 수 있다(S1113).
멀티미디어 서비스 단말(130)의 메타 앱(131)은 생활 편의 검색 서비스를 외부 서비스 제공 서버(110)로 요청하면(S1114), 외부 서비스 제공 서버(110)가 생활 편의 검색을 실행하고(S1115), 검색 결과에 대한 웹 URL을 멀티미디어 서비스 단말(130)로 전송할 수 있다(S1116).
멀티미디어 서비스 단말(130)의 메타 앱(131)은 검색 결과를 스크린 리소스를 사용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40)를 통해 화면 UI로 표시하도록 할 수 있다(S1117).
상술한 설명에서, 단계 S1101 내지 S1117은 본 발명의 구현예에 따라서, 추가적인 단계들로 더 분할되거나, 더 적은 단계들로 조합될 수 있다. 또한, 일부 단계는 필요에 따라 생략될 수도 있고, 단계 간의 순서가 전환될 수도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서비스 단말에서 메타 앱을 통해 외부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12에 도시된 멀티미디어 서비스 단말(130)에 의해 수행되는 메타 앱(131)을 통해 외부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은 도 1 내지 도 11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외부 서비스 제공 시스템(1)에서 시계열적으로 처리되는 단계들을 포함한다. 따라서, 이하 생략된 내용이라고 하더라도 도 1 내지 도 11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외부 서비스 제공 시스템(1)에 의해 수행되는 멀티미디어 서비스 단말(130)에 의해 수행되는 메타 앱(131)을 통해 외부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도 적용된다.
단계 S1210에서 멀티미디어 서비스 단말(130)은 디스플레이 장치(140)를 통해 컨텐츠를 출력할 수 있다.
단계 S1220에서 멀티미디어 서비스 단말(130)은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서비스 요청을 지능형 서버(120)로 전송할 수 있다.
단계 S1230에서 멀티미디어 서비스 단말(130)은 지능형 서버(120)로부터 서비스 요청에 대한 분석 결과를 수신할 수 있다.
단계 S1240에서 멀티미디어 서비스 단말(130)은 수신받은 분석 결과가 외부 서비스와 연관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외부 서비스에 대한 외부 서비스 제어 명령을 메타 앱(131)으로 전달하고, 메타 앱(131)과 연동하여 멀티미디어 서비스 단말(130)의 리소스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외부 서비스 제어 명령은 외부 서비스 제공 서버(110)에 대한 정보 및 외부 서비스 제공 서버(110)로 전송할 명령을 포함하고, 메타 앱(131)은 외부 서비스 제어 명령에 기초하여 외부 서비스 제공 서버(110)와 연동하여 외부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멀티미디어 서비스 단말(130)은 메타 앱(131)을 통해 제공하는 외부 서비스와 멀티미디어 서비스 단말(130)에서 제공 중인 서비스가 충돌하지 않도록 멀티미디어 서비스 단말(130)의 리소스를 제어할 수 있다.
상술한 설명에서, 단계 S1210 내지 S1240은 본 발명의 구현예에 따라서, 추가적인 단계들로 더 분할되거나, 더 적은 단계들로 조합될 수 있다. 또한, 일부 단계는 필요에 따라 생략될 수도 있고, 단계 간의 순서가 전환될 수도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서비스 단말에서 메타 앱을 통해 외부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13에 도시된 멀티미디어 서비스 단말(130)에 의해 수행되는 메타 앱(131)을 통해 외부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은 도 1 내지 도 12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외부 서비스 제공 시스템(1)에서 시계열적으로 처리되는 단계들을 포함한다. 따라서, 이하 생략된 내용이라고 하더라도 도 1 내지 도 12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외부 서비스 제공 시스템(1)에 의해 수행되는 멀티미디어 서비스 단말(130)에 의해 수행되는 메타 앱(131)을 통해 외부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도 적용된다.
단계 S1310에서 멀티미디어 서비스 단말(130)은 디스플레이 장치(140)를 통해 컨텐츠를 출력할 수 있다.
단계 S1320에서 멀티미디어 서비스 단말(130)은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서비스 요청을 지능형 서버(120)로 전송할 수 있다.
단계 S1330에서 멀티미디어 서비스 단말(130)은 전송된 서비스 요청에 대한 분석 결과가 외부 서비스와 연관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지능형 서버(120)로부터 외부 서비스에 대응하는 외부 서비스 제공 서버(110)와 연동하여 도출된 외부 서비스에 대한 외부 서비스 실행 명령을 수신할 수 있다.
단계 S1340에서 멀티미디어 서비스 단말(130)은 수신받은 외부 서비스 실행 명령을 메타 앱(131)으로 전달하고, 메타 앱(131)과 연동하여 멀티미디어 서비스 단말(130)의 리소스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메타 앱(131)은 외부 서비스 실행 명령에 기초하여 외부 서비스를 제공하고, 멀티미디어 서비스 단말(130)은 메타 앱(131)을 통해 제공하는 외부 서비스와 멀티미디어 서비스 단말(130)에서 제공 중인 서비스가 충돌하지 않도록 멀티미디어 서비스 단말(130)의 리소스를 제어할 수 있다.
상술한 설명에서, 단계 S1310 내지 S1340은 본 발명의 구현예에 따라서, 추가적인 단계들로 더 분할되거나, 더 적은 단계들로 조합될 수 있다. 또한, 일부 단계는 필요에 따라 생략될 수도 있고, 단계 간의 순서가 전환될 수도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타 앱에서 외부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14에 도시된 메타 앱(131)에서 외부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은 도 1 내지 도 13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외부 서비스 제공 시스템(1)에서 시계열적으로 처리되는 단계들을 포함한다. 따라서, 이하 생략된 내용이라고 하더라도 도 1 내지 도 13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외부 서비스 제공 시스템(1)에 의해 수행되는 메타 앱(131)에서 외부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도 적용된다.
단계 S1410에서 메타 앱(131)은 사용자로부터 서비스 요청을 입력받을 수 있다.
단계 S1420에서 메타 앱(131)은 입력받은 서비스 요청에 대한 분석 결과를 도출할 수 있다.
단계 S1430에서 메타 앱(131)은 도출된 분석 결과가 외부 서비스와 연관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외부 서비스에 대한 제어 명령에 기초하여 외부 서비스 제공 서버(110)와 연동하여 외부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 명령은 도출된 분석 결과에 기초하여 메타 앱(131)에 의해 생성되거나, 지능형 서버(120)에 의해 생성된 것일 수 있으며, 멀티미디어 서비스 단말(130)의 제어부(540)에 의해 생성된 것일 수도 있다.
단계 S1440에서 메타 앱(131)은 멀티미디어 서비스 단말(130)의 제어부(540)와 연동하여 메타 앱(131)에서 제공하는 외부 서비스와 멀티미디어 서비스 단말(130)에서 제공 중인 서비스가 충돌하지 않도록 멀티미디어 서비스 단말(130)의 리소스를 제어할 수 있다.
상술한 설명에서, 단계 S1410 내지 S1440은 본 발명의 구현예에 따라서, 추가적인 단계들로 더 분할되거나, 더 적은 단계들로 조합될 수 있다. 또한, 일부 단계는 필요에 따라 생략될 수도 있고, 단계 간의 순서가 전환될 수도 있다.
도 1 내지 도 14를 통해 설명된 멀티미디어 서비스 단말에서 메타 앱을 통해 외부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지능형 서버에서 멀티미디어 서비스 단말에 설치된 메타 앱을 통해 외부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또는 컴퓨터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도 1 내지 도 14를 통해 설명된 멀티미디어 서비스 단말에서 메타 앱을 통해 외부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지능형 서버에서 멀티미디어 서비스 단말에 설치된 메타 앱을 통해 외부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 있고,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된 휘발성 및 비휘발성,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10: 외부 서비스 제공 서버
120: 지능형 서버
130: 멀티미디어 서비스 단말
210: 수신부
220: 도출부
230: 전송부
510: 컨텐츠 출력부
520: 전송부
530: 수신부
540: 제어부
550: 서비스 등록부

Claims (18)

  1. 메타 앱을 통해 외부 서비스를 제공하는 멀티미디어 서비스 단말에 있어서,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서비스 요청을 지능형 서버로 전송하는 전송부;
    상기 지능형 서버로부터 상기 서비스 요청에 대한 분석 결과를 수신하는 수신부; 및
    상기 수신받은 분석 결과가 외부 서비스와 연관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외부 서비스에 대한 외부 서비스 제어 명령을 상기 메타 앱으로 전달하고, 상기 메타 앱과 연동하여 상기 멀티미디어 서비스 단말의 리소스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메타 앱은 상기 외부 서비스 제어 명령에 기초하여 외부 서비스 제공 서버와 연동하여 상기 외부 서비스를 제공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메타 앱을 통해 제공하는 외부 서비스와 상기 멀티미디어 서비스 단말에서 제공 중인 서비스가 충돌하지 않도록 상기 멀티미디어 서비스 단말의 리소스를 제어하는, 멀티미디어 서비스 단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공 중인 서비스와 상기 서비스 요청에 해당하는 외부 서비스 간의 서비스 성격을 비교하여 상기 제공 중인 서비스와 상기 서비스 요청에 해당하는 외부 서비스가 충돌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멀티미디어 서비스 단말.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공 중인 서비스의 서비스 성격이 오디오 서비스에 해당하는 경우, 상기 서비스 요청에 해당하는 외부 서비스 중 오디오 서비스 또는 비디오 서비스에 해당하는 외부 서비스에게 상기 리소스의 사용에 대한 우선 순위를 부여하는, 멀티미디어 서비스 단말.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외부 서비스의 동작 상태에 따라 상기 리소스의 사용의 우선 순위를 상기 제공 중인 서비스에게 반환하는, 멀티미디어 서비스 단말.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공 중인 서비스의 서비스 성격이 비디오 서비스에 해당하는 경우, 상기 서비스 요청에 해당하는 외부 서비스 중 오디오 서비스 또는 비디오 서비스에 해당하는 외부 서비스에게 상기 리소스의 사용에 대한 우선 순위를 부여하는, 멀티미디어 서비스 단말.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부는 상기 지능형 서버로 상기 멀티미디어 서비스 단말에서 실행 중인 서비스에 대한 상태 정보 및 상기 멀티미디어 서비스 단말의 사용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더 전송하는, 멀티미디어 서비스 단말.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요청은 상기 지능형 서버에 의해 상기 멀티미디어 서비스 단말에서 실행 중인 서비스에 대한 상태 정보 및 상기 멀티미디어 서비스 단말의 사용자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분석되고,
    상기 분석 결과는 상기 외부 서비스에 대한 명령을 실행하기 위한 추가 정보를 더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서비스 단말.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서비스 제공 서버로부터 상기 멀티미디어 서비스 단말에 설치된 메타 앱과 연동하여 제공할 적어도 하나의 외부 서비스에 대한 정보를 등록받는 서비스 등록부
    를 더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서비스 단말.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외부 서비스에 대한 기본 정보 또는 상기 외부 서비스에 대한 명령에 따른 연동 정보가 요구되는 경우, 상기 서비스 등록부에 등록된 상기 외부 서비스에 대한 정보를 조회하는, 멀티미디어 서비스 단말.
  10.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공 중인 서비스와 상기 서비스 요청에 해당하는 외부 서비스가 충돌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공 중인 서비스를 중단시키고, 상기 제공 중인 서비스에 의해 사용된 상기 멀티미디어 서비스 단말의 하드웨어 리소스를 해제하고,
    상기 메타 앱은 상기 제공 중인 서비스의 중단에 따라 상기 해제된 하드웨어 리소스를 사용함으로써, 상기 서비스 요청에 해당하는 외부 서비스를 제공하는, 멀티미디어 서비스 단말.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공 중인 서비스가 상기 서비스 요청에 해당하는 외부 서비스와 다른 외부 서비스인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공 중인 서비스를 상기 메타 앱을 통해 중단시키고, 상기 제공 중인 서비스에 의해 사용된 상기 멀티미디어 서비스 단말의 하드웨어 리소스를 해제하고,
    상기 메타 앱은 상기 제공 중인 서비스의 중단에 따라 상기 해제된 하드웨어 리소스를 사용함으로써, 상기 서비스 요청에 해당하는 외부 서비스를 제공하는, 멀티미디어 서비스 단말.
  12. 메타 앱을 통해 외부 서비스를 제공하는 멀티미디어 서비스 단말에 있어서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서비스 요청을 지능형 서버로 전송하는 전송부;
    상기 전송된 서비스 요청에 대한 분석 결과가 외부 서비스와 연관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지능형 서버로부터 상기 외부 서비스에 대응하는 외부 서비스 제공 서버와 연동하여 도출된 상기 외부 서비스에 대한 외부 서비스 실행 명령을 수신하는 수신부; 및
    상기 수신받은 외부 서비스 실행 명령을 상기 메타 앱으로 전달하고, 상기 메타 앱과 연동하여 상기 멀티미디어 서비스 단말의 리소스를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고,
    상기 메타 앱은 상기 외부 서비스 실행 명령에 기초하여 상기 외부 서비스를 제공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메타 앱을 통해 제공하는 외부 서비스와 상기 멀티미디어 서비스 단말에서 제공 중인 서비스가 충돌하지 않도록 상기 멀티미디어 서비스 단말의 리소스를 제어하는, 멀티미디어 서비스 단말.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부는 상기 지능형 서버로부터 상기 멀티미디어 서비스 단말과 상기 메타 앱이 연동할 수 있도록 하는 기설정된 포맷으로 생성된 외부 서비스 실행 명령을 수신하는, 멀티미디어 서비스 단말.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서비스 실행 명령은 상기 외부 서비스와 관련하여 재생할 컨텐츠의 URL 또는 표시할 웹 페이지의 URL을 포함하고,
    상기 메타 앱은 상기 컨텐츠의 URL 또는 웹 페이지의 URL을 통해 상기 외부 서비스를 제공하는, 멀티미디어 서비스 단말.
  15. 멀티미디어 서비스 단말에 설치된 메타 앱을 통해 외부 서비스를 제공하는 지능형 서버에 있어서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서비스 요청을 멀티미디어 서비스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수신한 서비스 요청에 대한 분석 결과가 외부 서비스와 연관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외부 서비스에 대응하는 외부 서비스 제공 서버와 연동하여 상기 서비스 요청에 대한 외부 서비스 실행 명령을 도출하는 도출부; 및
    상기 외부 서비스 실행 명령을 상기 멀티미디어 서비스 단말로 전송하는 전송부를 포함하고,
    상기 외부 서비스 실행 명령은 메타 앱으로 전달되고, 상기 메타 앱은 상기 외부 서비스 실행 명령에 기초하여 상기 외부 서비스를 제공하고,
    상기 멀티미디어 서비스 단말의 리소스는 상기 메타 앱에서 제공하는 외부 서비스와 상기 멀티미디어 서비스 단말에서 제공 중인 서비스가 충돌하지 않도록 제어되는, 지능형 서버.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부는 상기 멀티미디어 서비스 단말로부터 상기 멀티미디어 서비스 단말에서 실행 중인 서비스에 대한 상태 정보 및 상기 멀티미디어 서비스 단말의 사용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더 수신하는, 지능형 서버.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도출부는 상기 서비스 요청을 상기 멀티미디어 서비스 단말에서 실행 중인 서비스에 대한 상태 정보 및 상기 멀티미디어 서비스 단말의 사용자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분석하고,
    상기 외부 서비스 실행 명령은 상기 외부 서비스에 대한 명령을 실행하기 위한 추가 정보를 더 포함하는, 지능형 서버.
  18. 메타 앱에서 외부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로부터 서비스 요청을 입력받는 단계;
    상기 입력받은 서비스 요청에 대한 분석 결과를 도출하는 단계;
    상기 도출된 분석 결과가 외부 서비스와 연관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외부 서비스에 대한 제어 명령에 기초하여 상기 외부 서비스 제공 서버와 연동하여 상기 외부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
    멀티미디어 서비스 단말의 제어부와 연동하여 상기 메타 앱에서 제공하는 외부 서비스와 상기 멀티미디어 서비스 단말에서 제공 중인 서비스가 충돌하지 않도록 상기 멀티미디어 서비스 단말의 리소스를 제어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외부 서비스 제공 방법.
KR1020170060607A 2017-05-16 2017-05-16 메타 앱을 통해 외부 서비스를 제공하는 멀티미디어 서비스 단말 및 지능형 서버 KR1020949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0607A KR102094947B1 (ko) 2017-05-16 2017-05-16 메타 앱을 통해 외부 서비스를 제공하는 멀티미디어 서비스 단말 및 지능형 서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0607A KR102094947B1 (ko) 2017-05-16 2017-05-16 메타 앱을 통해 외부 서비스를 제공하는 멀티미디어 서비스 단말 및 지능형 서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25812A KR20180125812A (ko) 2018-11-26
KR102094947B1 true KR102094947B1 (ko) 2020-03-30

Family

ID=646031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60607A KR102094947B1 (ko) 2017-05-16 2017-05-16 메타 앱을 통해 외부 서비스를 제공하는 멀티미디어 서비스 단말 및 지능형 서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94947B1 (ko)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84004B1 (ko) * 2010-11-26 2017-10-10 엘지전자 주식회사 복수의 컨텐츠 제공자로부터 제공되는 컨텐츠를 제공/수신하기 위한 방법 및 그 방법을 이용한 시스템 및 장치
US9118677B2 (en) * 2012-05-10 2015-08-25 Empire Technology Development Llc Meta-app to depict cloud environment dependencies to faciliate a service environment rebuil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25812A (ko) 2018-11-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384379B1 (en) Methods, systems and media for presenting a virtual operating system user interface on a display device
JP6833247B2 (ja) モバイル端末のビデオ記録方法および装置
EP2517435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remotely controlling a media server via a network
KR102151680B1 (ko) 미디어 컨텐츠를 제시하기 위한 시스템들, 방법들 및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들
EP3680896B1 (en) Method for controlling terminal by voice, terminal, server and storage medium
US20130282793A1 (en) Media content sharing
EP2997737A1 (en) System for universal remote media control in a multi-user, multi-platform, multi-device environment
US11783359B2 (en) Audio advertising interaction with voice interactive devices
CN101506813A (zh) 以段为单位执行av内容的方法、avcp装置和家庭网络系统
KR101813918B1 (ko) 클라이언트 디바이스에 미디어 에셋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
EP3139573B1 (en) Media processing method and device
WO2013104825A1 (en) Improved rendering system
CN114189729A (zh) 一种数据接力播放方法及智能设备
US20160294903A1 (en) Method and device for pushing resources to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by smart television
WO2017062873A1 (en) Methods, systems and media for presenting media content that was advertised on a second screen device using a primary device
JP2019208226A (ja) 再生データ取得方法、装置、機器及び記憶媒体
US20140178052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remotely recording media content
KR102094947B1 (ko) 메타 앱을 통해 외부 서비스를 제공하는 멀티미디어 서비스 단말 및 지능형 서버
WO2010098096A1 (ja) 携帯端末装置、コンテンツ再生装置、ブックマーク管理サーバ、ブックマーク管理システム、ブックマーク管理方法、コンテンツ再生方法、ブックマーク管理サーバの制御方法、制御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US20190014370A1 (en) Method forplaying back a plurality of media titles, adapted media source device, media player device, media delegation device and configurable and adapted computer program
KR102493026B1 (ko) 심리스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 사용자 단말 및 미디어 재생 장치
WO2024036979A9 (zh) 一种多媒体资源播放方法及相关装置
WO2011158804A1 (ja) 制御装置、コンテンツ処理システム、遠隔制御方法、制御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KR102419958B1 (ko) 이종 플랫폼 환경에서 서비스 앱을 구동시키는 서버, 사용자 단말 및 방법
JP2019501590A (ja) 録画されたメディアアセットにおける差替を迂回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