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94766B1 - 적조와 고온의 발생으로부터 해수유입 신뢰성을 향상시킨 해수공급장치 - Google Patents

적조와 고온의 발생으로부터 해수유입 신뢰성을 향상시킨 해수공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94766B1
KR102094766B1 KR1020170120484A KR20170120484A KR102094766B1 KR 102094766 B1 KR102094766 B1 KR 102094766B1 KR 1020170120484 A KR1020170120484 A KR 1020170120484A KR 20170120484 A KR20170120484 A KR 20170120484A KR 102094766 B1 KR102094766 B1 KR 1020947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water
unit
sensor
red tide
guide tub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204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32041A (ko
Inventor
강돈혁
김한수
김미라
Original Assignee
한국해양과학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해양과학기술원 filed Critical 한국해양과학기술원
Priority to KR10201701204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94766B1/ko
Publication of KR201900320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320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947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947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1/00Culture of aquatic animal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08B21/182Level alarms, e.g. alarms responsive to variables exceeding a threshol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00Buoys
    • B63B2022/006Buoys specially adapted for measuring or watch purposes
    • B63B2708/02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8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fisheries management
    • Y02A40/81Aquaculture, e.g. of fish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Zo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Farming Of Fish And Shellfish (AREA)
  • Testing Or Calibration Of Command Record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해수 속에 유입구가 위치되도록 연장되면서 상기 해수가 이동되기 위한 통로를 제공하는 가이드 관; 상기 가이드 관의 유입구 부분에 설치되어 상기 해수의 적조 또는 온도를 감지하는 센서유닛; 상기 가이드 관에 설치되어 상기 가이드 관을 따라 상기 해수가 유입되도록 하는 해수유입유닛; 및 상기 센서유닛과 상기 해수유입유닛에 연결되어 상기 센서유닛에서 감지된 신호에 따라 상기 해수유입유닛의 작동을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보다 높은 신뢰도로 양식에 적합한 해수의 공급이 가능해지므로, 보다 안전한 해수공급을 달성할 수 있다.

Description

적조와 고온의 발생으로부터 해수유입 신뢰성을 향상시킨 해수공급장치{SEAWATER SUPPLY DEVICE THAT IMPROVES RELIABILITY OF SEAWATER INFLOW FROM OCCURRENCE OF RED TIDE AND HIGH TEMPERATURE}
본 발명은 해수의 적조와 고온을 감지하고, 감지결과에 따라 육상해수양식장으로의 해수유입을 제어하는 구성을 통해 보다 안전한 해수를 공급받게 되므로, 육상해수양식장의 시스템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적조와 고온의 발생으로부터 해수유입 신뢰성을 향상시킨 해수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연안 해양환경에서 식물성 플랑크톤의 대량 이상증식 현상을 일컫는 유해적조는 주로 와편모조류 가운데 하나인 "Cochlodinium polykrikoides(C. polykrikoides)"로, 불규칙적인 주기로 대량 발생하여 전세계적으로 막대한 피해를 주고 있다.
이러한 유해적조의 발생은 해양생태계에 직ㆍ간접적인 피해를 유발하고 있으며, 특히, 연안에서 이루어지는 양식업에서도 그 피해가 크다.
예컨대, 육상해수수조에는 어류, 전복 등의 수산물을 대량으로 양식하고 있으며, 여기에는 항상 해수인입파이프를 통해 저층의 해수를 유입하게 되는데, 여름철 남해안 적조발생시기에 해수의 유입과 동시에 적조생물이 대량으로 유입되어 양식 수산물에 피해를 유발하고 있다.
특히, 야간에 유입하는 해수의 경우 적조 발생시 야간에는 저층으로 이동하므로 유입시 대량의 적조가 양식장에 유입되어 어류를 폐사시키는 경우가 발생하고 있다. 또한 최근에 해수의 고수온으로 인해 양식종의 대량 폐사를 일으켜 양식장 안전을 위협하고 있다.
현재, 적조를 탐지하는 방법으로는 선박을 이용한 목시 관측 또는 채수를 통한 개체 수 측정방법 등이 이용되고 있는데, 상기 적조탐지방법들은 현장 확인 및 정량분석에서 정확한 데이터를 확보할 수 있기는 하지만, 선박운용에 따른 고비용과 많은 인력을 필요로 하며, 정량분석을 위한 최소한의 분석시간을 요구하기 때문에 신속한 탐지에 어려움이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종래의 적조 발생 탐지센서 설계 방법은, 적조 발생 탐지센서가 적조를 탐지하여 아날로그 탐지신호를 출력하고, 부유체에 설치된 전자 회로 장치에서 이 아날로그 탐지신호를 분석하여 적조 발생여부를 판단하는 방식이므로, 수심이 깊어질수록 탐지센서를 연결하는 케이블의 길이가 길어지게 되고, 이에 따라, 케이블을 통해 발생되는 노이즈의 강도가 커지게 되어 적조 탐지가 정확히 이루어질 수 없었다.
나아가, 적조 생물은 주광성의 특성에 따라 낮에는 표층에 위치하게 되고 밤에는 심층에 위치하게 되는데 종래의 기술에서는 이와 같은 특성을 전혀 고려하지 않았기 때문에 적조 발생 여부를 정확히 판단할 수 없었다.
한편, 이러한 배경 하에서 양식업을 위한 종래의 해수공급장치는 상술한 바와 같이, 특정위치에 고정되는 해수인입파이프에 늘 동일한 수심의 해수만이 유입하기 때문에 해당 수심에 적조가 발생할 경우, 적절히 대응할 수 있는 방안이 미비한 실정이다.
또한, 상기 해수인입파이프에는 적조와 더불어, 최근 온난화 현상으로 인해 28도 이상을 도달하는 고온의 해수가 유입하면서 양식 어류의 대량 폐사를 일으키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252381호(발명의 명칭: 적조 접근 자동경보 및 해수유입 차단 시스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 해수의 고밀도 적조와 고수온을 실시간으로 감지하고, 감지결과에 따라 해수의 유입을 제어하는 구성을 통해 보다 높은 신뢰도로 양식에 적합한 해수를 공급하게 되므로, 보다 안전한 해수공급을 달성할 수 있는 적조와 고온의 발생으로부터 해수유입 신뢰성을 향상시킨 해수공급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감지수단의 실시간 감지결과에 따라 단일 해수유입통로의 수심 내 위치를 자유롭게 변화시키면서 유입수단을 제어하거나, 수심별로 분기된 해수유입통로에 각각 감지수단과 유입수단을 대응 설치하여 실시간 감지결과에 따라 복수의 유입수단을 각각 제어하는 구성을 통해 보다 능동적이고 효율적으로 적정해수를 공급할 수 있는 적조와 고온의 발생으로부터 해수유입 신뢰성을 향상시킨 해수공급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또한, 해수의 적조를 감지하는 구성에 디지털 신호생성방식이 적용되도록 하여 깊은 수심에서도 노이즈의 간섭을 감소시킬 수 있고, 해수의 적조 또는 온도에 대한 센싱값을 외부에 위치한 사용자에게 실시간으로 알리는 구성을 통해 용이한 모니터링 환경을 달성할 수 있는 적조와 고온의 발생으로부터 해수유입 신뢰성을 향상시킨 해수공급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적조와 고온의 발생으로부터 해수유입 신뢰성을 향상시킨 해수공급장치는, 해수 속에 유입구가 위치되도록 연장되면서 상기 해수가 이동되기 위한 통로를 제공하는 가이드 관; 상기 가이드 관의 유입구 부분에 설치되어 상기 해수의 적조 또는 온도를 감지하는 센서유닛; 상기 가이드 관에 설치되어 상기 가이드 관을 따라 상기 해수가 유입되도록 하는 해수유입유닛; 및 상기 센서유닛과 상기 해수유입유닛에 연결되어 상기 센서유닛에서 감지된 신호에 따라 상기 해수유입유닛의 작동을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 관은, 길이신축가능하게 제작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 관은, 단일관; 및 상기 단일관으로부터 병렬 분기되면서 수심별로 설치되는 복수의 분기관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분기관에는, 각각 대응하여 구비되는 복수의 유입구를 통해 수심별 해수가 유입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센서유닛은, 상기 해수의 적조를 감지하는 제1 센서; 및
상기 해수의 온도를 감지하는 제2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센서는, 상기 해수의 적조를 감지하여 이에 상응하는 디지털 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된 디지털 적조센서일 수 있다.
또한, 해수면에 부유하는 부유체; 및 상기 부유체에 길이조절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가이드 관의 하부를 지지가능하게 연결시키면서 상기 길이조절에 따라 상기 가이드 관의 길이를 신축시켜 상기 유입구의 수심 내 위치를 변화시키는 길이조절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길이조절유닛과 연결되어 상기 센서유닛에서 감지된 신호에 따라 상기 길이조절유닛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길이조절유닛은, 상기 가이드 관의 하부에 연결되는 설정된 길이의 와이어; 및 상기 부유체에 설치되어 상기 와이어의 일부분을 수용하고, 상기 컨트롤러의 제어에 의해 상기 와이어를 권양하거나, 풀면서 상기 와이어의 노출길이가 조절되도록 하는 전동윈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센서유닛에서 감지된 신호의 레벨이 기설정된 레벨 미만이면, 해수가 안전해수인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길이조절유닛의 작동을 정지시키면서 상기 해수유입유닛을 작동시킬 수 있고, 상기 센서유닛에서 감지된 신호의 레벨이 기설정된 레벨 이상이면, 해수가 위험해수인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해수유입유닛의 작동을 정지시키면서 상기 길이조절유닛을 작동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센서유닛 및 상기 해수유입유닛은, 상기 분기관에 각각 대응하여 복수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컨트롤러는, 복수의 상기 센서유닛 중 특정 센서유닛에서 감지된 신호의 레벨이 기설정된 레벨 미만이면, 해수가 안전해수인 것으로 판단하여 해당 센서유닛에 대응하는 해수유입유닛을 작동시킬 수 있고, 복수의 상기 센서유닛 중 특정 센서유닛에서 감지된 신호의 레벨이 기설정된 레벨 이상이면, 해수가 위험해수인 것으로 판단하여 해당 센서유닛에 대응하는 해수유입유닛의 작동을 정지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센서유닛에서 감지된 신호에 따른 센싱값을 상기 컨트롤러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이동단말기 또는 관제소 중 적어도 하나로 송신하는 데이터 통신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적조와 고온의 발생으로부터 해수유입 신뢰성을 향상시킨 해수공급장치는, 해수의 적조 또는 온도를 감지하는 센서유닛과, 감지된 신호에 따라 해수유입유닛을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통해 보다 높은 신뢰도로 양식에 적합한 해수를 공급하게 되므로, 보다 안전한 해수공급을 달성할 수 있다.
또한, 센서유닛에서 감지된 신호에 따라 가이드 관 유입구의 수심 내 위치를 자유롭게 변화시키면서 해수유입유닛을 제어하거나, 수심별로 분기된 분기관에 각각 센서유닛과 해수유입유닛을 대응 설치하여 감지된 신호에 따라 복수의 해수유입유닛을 각각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통해 보다 능동적이고 효율적으로 적정해수를 공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해수의 적조를 감지하는 제1 센서에 디지털 신호생성방식이 적용되도록 하여 깊은 수심에서도 노이즈의 간섭을 감소시킬 수 있고, 해수의 적조 또는 온도에 대한 센싱값을 외부에 위치한 이동단말기 또는 관제소로 송신하는 데이터 통신유닛을 통해 용이한 모니터링 환경을 달성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적조와 고온의 발생으로부터 해수유입 신뢰성을 향상시킨 해수공급장치의 전체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제1 실시예에 따른 상기 해수공급장치의 길이조절유닛과 가이드 관 간 작용을 나타낸 작용상태도.
도 3은 제1 실시예에 따른 상기 해수공급장치의 전자적인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4는 제1 실시예에 따른 상기 해수공급장치의 해수유입유닛과 길이조절유닛이 제어되는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적조와 고온의 발생으로부터 해수유입 신뢰성을 향상시킨 해수공급장치의 전체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6은 제2 실시예에 따른 상기 해수공급장치의 전자적인 구성을 타나낸 블록도.
도 7은 제2 실시예에 따른 상기 해수공급장치의 해수유입유닛이 제어되는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 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에 관련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 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적조와 고온의 발생으로부터 해수유입 신뢰성을 향상시킨 해수공급장치의 전체구성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제1 실시예에 따른 상기 해수공급장치의 길이조절유닛과 가이드 관 간 작용을 나타낸 작용상태도이며, 도 3은 제1 실시예에 따른 상기 해수공급장치의 전자적인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고, 도 4는 제1 실시예에 따른 상기 해수공급장치의 해수유입유닛과 길이조절유닛이 제어되는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적조와 고온의 발생으로부터 해수유입 신뢰성을 향상시킨 해수공급장치의 전체구성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제2 실시예에 따른 상기 해수공급장치의 전자적인 구성을 타나낸 블록도이며, 도 7은 제2 실시예에 따른 상기 해수공급장치의 해수유입유닛이 제어되는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제1 실시예)
도 1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적조와 고온의 발생으로부터 해수유입 신뢰성을 향상시킨 해수공급장치(100)는 가이드 관(110), 센서유닛(120), 해수유입유닛(130), 컨트롤러(140), 부유체(150), 길이조절유닛(160) 및 데이터 통신유닛(170)을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관(110)은 해수(S) 속에 유입구(110a)가 위치되도록 연장되면서 상기 해수(S)가 후술될 해수유입유닛(130)에 의해 해수공급대상 측으로 이동되기 위한 통로를 제공하는 관으로서, 본 발명에 의하면, 수산물 양식을 위해 지상(G)에 설치되는 양식수조(10)에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또한, 제1 실시예에 따른 상기 가이드 관(110)은 상하방향의 길이가 신축가능하게 제작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고정관(111) 및 유동관(112)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관(111)은 해수공급대상, 즉, 상기 양식수조(10)에 연결 및 고정되는 관으로서, 후술되는 유동관(112)이 해류, 바람, 파도 등 해양외력에 의해 흔들리지 않도록 지지력을 제공하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유동관(112)과 연결될 끝부분이 상하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유동관(112)은 유입구(110a)가 구비되어 후술될 길이조절유닛(160)의 길이조절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유동하는 관으로서, 상기 고정관(111)에 연결되어 자체 하중과 상기 길이조절유닛(160)의 길이조절로 인한 장력으로 상기 고정관(111)의 상하방향 연장부분과 겹치도록 유동하면서 상기 가이드 관(110)의 전체길이를 신축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상기 유동관(112)은 단수개로 구성될 수 있으나, 신축범위를 보다 확장시키기 위해 복수개로 구성될 수도 있다.
즉, 상기 고정관(111) 및 상기 유동관(112)은 서로 단면적을 갖도록 제작되어 다단(段)을 이루면서 일부분이 서로 겹쳐지는 텔레스코픽(telescopic) 방식으로 길이가 신축될 수 있다.
상기 텔레스코픽 방식을 이용하여 다단의 관을 신장 수축시키는 방법은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133564호에 기재된 바와 같이, 자명하게 알려진 공지기술이다.
상기 센서유닛(120)은 전술한 유동관(112)의 유입구(110a) 부분에 설치되어 상기 해수(S)의 적조(R) 또는 온도를 감지하는 구성으로, 바람직하게는, 제1 센서(121)와 제2 센서(122)로 구분되어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센서(121)는 해수(S)의 적조(R)를 감지하기 위한 센서로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해수(S)의 적조(R)를 감지하여 이에 상응하는 디지털 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된 디지털 적조센서인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여기서, 상기 디지털 적조센서는 본 발명의 출원인이 기출원한 "해상의 적조 탐지 시스템 및 그 방법(등록번호 제10-1651822호)"에 제안되어 있으며, 좀 더 구체적으로, 후술될 컨트롤러(140)로부터 트리거신호 및 고전압을 인가받아 스파이크펄스를 발생함과 아울러 시간정보를 발생하도록 구성된 송신부, 상기 송신부로부터 출력되는 스파이크펄스를 입력받아 해상으로 투사하고 되돌아오는 반사신호를 입력받아 출력하도록 구성된 적조센서부, 상기 송신부로부터 출력되는 시간정보와 상기 적조센서부로부터 출력되는 반사신호를 수신하여 반사신호의 피크치를 검출하도록 구성된 수신부, 상기 수신부에서 검출된 반사신호의 피크치를 입력받아 A/D 컨버팅하여 디지털 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된 통신부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르면, 기존의 아날로그 신호가 아닌 디지털 신호로의 교환이 가능해짐으로써, 깊은 수심에서도 노이즈의 간섭을 보다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 제2 센서(122)는 해수(S)의 온도를 감지하기 위한 센서로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1 센서(121)와 같이, 즉각적인 온도감지에 따른 디지털 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이는 통상적으로 게재된 공지의 온도감지센서가 갖는 일반적인 기술이므로, 더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러한 상기 제2 센서(122)는 서미스터 또는 금속식 온도계가 취급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열전쌍, 온도측정 저항체, NQR(핵4중극공명), 초음파센서, 광섬유센서 등 온도감지기능을 갖는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 내에서 다양한 공지의 온도측정계가 취급될 수도 있다.
상기 해수유입유닛(130)은 가이드 관(110)을 따라 상기 해수(S)가 양식수조(10) 내로 유입되도록 하는 구성으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가이드 관(110)에 설치되는 펌프수단(부호 미표시) 및 밸브수단(미도시)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펌프수단 및 밸브수단은 다양한 공지의 전자식 압력펌프와 전자식 밸브가 적용될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상기 컨트롤러(140)의 제어에 따라 상기 펌프수단 및 밸브수단이 단순히 ON/OFF 작동하도록 구성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펌프수단의 압력세기 또는 상기 밸브수단의 개폐정도를 조절가능하게 구성하여 상기 가이드 관(110)에 흐르는 상기 해수(S)의 유량을 자유롭게 조절할 수도 있다.
상기 컨트롤러(140)는 센서유닛(120)에서 감지된 신호에 따른 센싱값을 이용하여 상기 해수유입유닛(130)과 후술될 길이조절유닛(160)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모듈로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센서유닛(120), 해수유입유닛(130), 길이조절유닛(160)과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컨트롤러(140)는 센서유닛(120)에서 출력되는 디지털 신호를 디지털 인터페이싱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센싱값을 획득하여 상기 해수유입유닛(130)과 길이조절유닛(160)의 작동 또는 작동 정지를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예컨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상기 컨트롤러(140)는 센서유닛(120)을 통해 감지되는 신호를 실시간으로 입력받아(S10) 상기 감지신호의 레벨을 기설정된 레벨과 비교 분석(S20)하고, 상기 감지신호의 레벨이 기설정된 레벨 이상이면, 상기 해수(S)가 위험해수인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해수유입유닛(130)의 작동을 정지(S31)시키면서, 상기 길이조절유닛(160)을 작동(S41)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반면, 이와 반대로 상기 감지신호의 레벨이 기설정된 레벨 미만이면, 해수가 안전해수인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길이조절유닛(160)의 작동을 정지(S32)시키면서, 상기 해수유입유닛(130)을 작동(S42)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부유체(150)는 길이조절유닛(160)이 지지되기 위한 부력을 제공하는 것으로, 설정된 부력으로 해수면에 부유하면서 상기 길이조절유닛(160)에 의해 상기 가이드 관(110)과 이격된 상태로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부유체(150)는 가이드 관(110)의 상기 유동관(112)에 대한 하중이 더해진 상기 길이조절유닛(160)의 하중과 대응하는 부력을 갖도록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길이조절유닛(160)은 길이조절에 따라 상기 가이드 관(110)의 길이를 신축시켜 상기 유입구(110a)의 수심 내 위치를 변화시키는 구성으로,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부유체(150)에 길이조절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가이드 관(110)의 하부, 즉, 상기 유동관(112)을 지지가능하게 연결시킬 수 있다.
이러한 상기 길이조절유닛(160)은 와이어(161) 및 전동윈치(16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와이어(161)는 설정된 길이를 가지며, 상기 가이드 관(110)의 하부와 연결되는 줄로서,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고정관(111)에 상하방향으로 유동가능하게 연결된 유동관(112)과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전동윈치(162)는 와이어(161)의 길이를 조절하는 구성으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부유체(150)에 설치되어 상기 와이어(161)의 일부분을 수용할 수 있고, 상기 컨트롤러(140)의 제어에 의해 상기 와이어(161)를 권양하거나, 풀면서 상기 와이어(161)의 노출길이가 조절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상기 전동윈치(162)는 와이어(161)를 휘감기 위한 원통형상의 드럼(미도시)과 전동기(미도시) 등이 구비되어야 함은 자명한 사실이며, 상기 전동윈치(162)는 드럼의 수에 따라 단동, 복동, 다동 등 다양한 종류로 이루어질 수 있는 만큼 일반적으로 게재된 공지의 기술로서, 당업자에 의해 자유롭게 선택되어 취급될 수 있다.
상기 데이터 통신유닛(170)은 센서유닛(120)에서 감지된 신호에 따른 센싱값을 상기 컨트롤러(14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이동단말기(200) 또는 관제소(300)로 송신하는 구성으로, 바람직하게는, 상기 컨트롤러(140)에 연결되어 상기 이동단말기(200) 또는 관제소(300)와 무선통신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고, 이는 일반적인 공지기술로서, 당업자에 의해 다양한 공지의 통신모듈이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제2 실시예)
도 5 내지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적조와 고온의 발생으로부터 해수유입 신뢰성을 향상시킨 해수공급장치(100')는 가이드 관(110'), 센서유닛(120'), 해수유입유닛(130'), 컨트롤러(140') 및 데이터 통신유닛(170)을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관(110')은 해수(S) 속에 유입구(110a')가 위치되도록 연장되면서 상기 해수(S)가 후술될 해수유입유닛(130')에 의해 해수공급대상 측으로 이동되기 위한 통로를 제공하는 관으로서, 본 발명에 의하면, 제1 실시예의 양식수조(10)에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또한, 제2 실시예에 따른 상기 가이드 관(110')은 해수(S) 속에 위치한 어느 일부분을 기점으로 병렬 분기되면서 수심에 따라 복수의 유입구(110a')가 구비되도록 제작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단일관(111') 및 분기관(112')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단일관(111')은 제1 실시예의 고정관(111)과 동일하게, 상기 해수공급대상, 즉, 양식수조(10)에 연결 및 고정되는 관으로서, 하나의 통로만이 형성되며, 후술되는 분기관(112')의 분기 기준이 된다.
상기 분기관(112')은 해수(S)의 수심별 유입통로를 제공하는 관으로서, 상기 단일관(111')으로부터 병렬 분기되면서 수심별로 복수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각각의 상기 분기관(112')에는 각각 대응하여 구비되는 복수의 유입구(110a')를 통해 상기 해수(S)가 수심별로 유입할 수 있다.
상기 센서유닛(120')은 해수(S)의 적조(R) 또는 온도를 수심별로 감지하는 구성으로, 전술한 분기관(112')의 유입구(110a') 부분에 각각 대응하여 복수 설치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제1 센서(121)와 제2 센서(122)로 구분되어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2 센서(121, 122)는 수심별로 설치되어 상기 해수(S)의 적조(R)를 수심별로 감지할 수 있으며, 그 외의 전반적인 구성 및 기능은 제1 실시예에서와 동일하므로, 더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해수유입유닛(130')은 가이드 관(110')을 따라 상기 해수(S)가 양식수조(10) 내로 유입되도록 하는 구성으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분기관(112')에 각각 대응하여 복수 설치될 수 있고, 펌프수단(부호 미표시) 및 밸브수단(미도시)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펌프수단 및 밸브수단은 다양한 공지의 전자식 압력펌프와 전자식 밸브가 적용될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상기 컨트롤러(140')의 제어에 따라 상기 펌프수단 및 밸브수단이 단순히 ON/OFF 작동하도록 구성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펌프수단의 압력세기 또는 상기 밸브수단의 개폐정도를 조절가능하게 구성하여 상기 가이드 관(110')에 흐르는 상기 해수(S)의 유량을 자유롭게 조절할 수도 있다.
상기 컨트롤러(140')는 복수의 센서유닛(120')에서 감지된 신호에 따른 센싱값을 이용하여 복수의 상기 해수유입유닛(130')의 작동을 각각 제어하는 제어모듈로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센서유닛(120') 및 해수유입유닛(130')과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컨트롤러(140')는 각각의 센서유닛(120')에서 출력되는 디지털 신호를 디지털 인터페이싱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센싱값을 획득하여 각각의 상기 해수유입유닛(130')을 작동 또는 정지시키기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예컨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상기 컨트롤러(140')는 복수의 센서유닛(120')을 통해 감지되는 신호를 실시간으로 입력받아(S10') 상기 감지신호의 레벨을 기설정된 레벨과 비교 분석(S20')하고, 복수의 상기 센서유닛(120') 중 특정 센서유닛(부호 미표시)에서 감지된 신호의 레벨이 기설정된 레벨 이상이면, 상기 해수(S)가 위험해수인 것으로 판단하여 해당 센서유닛(부호 미표시)에 대응하는 해수유입유닛(부호 미표시)의 작동을 정지(S31')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반면, 복수의 상기 센서유닛(120') 중 특정 센서유닛(부호 미표시)에서 감지된 신호의 레벨이 기설정된 레벨 미만이면, 상기 해수(S)가 안전해수인 것으로 판단하여 해당 센서유닛(부호 미표시)에 대응하는 해수유입유닛(부호 미표시)을 작동(S32')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데이터 통신유닛(170)은 복수의 센서유닛(120')에서 각각 감지된 신호에 따른 각각의 센싱값을 상기 컨트롤러(14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이동단말기(200) 또는 관제소(300)로 송신하는 구성으로서, 이의 전반적인 구성 및 기능은 제1 실시예에서와 동일하므로, 더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적조와 고온의 발생으로부터 해수유입 신뢰성을 향상시킨 해수공급장치(100, 100')는, 해수(S)의 적조(R) 또는 온도를 감지하는 센서유닛(120, 120')과, 감지된 신호에 따라 해수유입유닛(130, 130')을 제어하는 컨트롤러(140, 140')를 통해 보다 높은 신뢰도로 양식에 적합한 해수를 공급하게 되므로, 보다 안전한 해수공급을 달성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센서유닛(120, 120')에서 감지된 신호에 따라 가이드 관(110) 유입구(110a)의 수심 내 위치를 자유롭게 변화시키면서 해수유입유닛(130)을 제어하거나, 수심별로 분기된 분기관(112')에 각각 센서유닛(120')과 해수유입유닛(130')을 대응 설치하여 감지된 신호에 따라 복수의 해수유입유닛(130')을 각각 제어하는 컨트롤러(140, 140')를 통해 보다 능동적이고 효율적으로 적정해수를 공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더불어, 해수(S)의 적조(R)를 감지하는 제1 센서(121)에 디지털 신호생성방식이 적용되도록 하여 깊은 수심에서도 노이즈의 간섭을 감소시킬 수 있고, 해수(S)의 적조(R) 또는 온도에 대한 센싱값을 외부에 위치한 이동단말기(200) 또는 관제소(300)로 송신하는 데이터 통신유닛(170)을 통해 용이한 모니터링 환경을 달성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 예에 의거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청구항에 기재된 범위 내에서 변형이나 변경 실시가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한 것이며, 그러한 변형이나 변경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할 것이다.
10 : 양식수조 100, 100' : 해수공급장치
110, 110' : 가이드 관 110a, 110a' : 유입구
111 : 고정관 111' : 단일관
112 : 유동관 112' : 분기관
120, 120' : 센서유닛 121 : 제1 센서
122 : 제2 센서 130, 130' : 해수유입유닛
140, 140' : 컨트롤러 150 : 부유체
160 : 길이조절유닛 161 : 와이어
162 : 전동윈치 170 : 데이터 통신유닛
200 : 이동단말기 300 : 관제소
G : 지상 R : 적조
S : 해수

Claims (11)

  1. 해수 속에 유입구가 위치되도록 연장되면서 상기 해수가 이동되기 위한 통로를 제공하는 가이드 관;
    상기 가이드 관의 유입구 부분에 설치되어 상기 해수의 적조 및 온도를 감지하는 센서유닛;
    상기 가이드 관에 설치되어 상기 가이드 관을 따라 상기 해수가 유입되도록 하는 해수유입유닛; 및
    상기 센서유닛과 상기 해수유입유닛에 연결되어 상기 센서유닛에서 감지된 신호에 따라 상기 해수유입유닛의 작동을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며,
    상기 센서유닛은,
    상기 해수의 적조를 감지하는 제1 센서, 및
    상기 해수의 온도를 감지하는 제2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 관은,
    단일관, 및
    상기 단일관으로부터 병렬 분기되면서 수심별로 설치되는 복수의 분기관을 포함하며,
    상기 분기관에는 각각 대응하여 구비되는 복수의 유입구를 통해 수심별 해수가 유입되고,
    상기 센서유닛 및 상기 해수유입유닛은 상기 분기관에 각각 대응하여 복수 개가 설치되며,
    상기 컨트롤러는,
    복수의 상기 센서유닛 중 특정 센서유닛에서 감지된 신호의 레벨이 기설정된 레벨 미만이면, 해수가 안전해수인 것으로 판단하여 해당 센서유닛에 대응하는 해수유입유닛을 작동시키고,
    복수의 상기 센서유닛 중 특정 센서유닛에서 감지된 신호의 레벨이 기설정된 레벨 이상이면, 해수가 위험해수인 것으로 판단하여 해당 센서유닛에 대응하는 해수유입유닛의 작동을 정지시키며,
    상기 해수유입유닛에 포함된 펌프수단의 압력세기 및 밸브수단의 개폐정도를 각각 조절하여 상기 가이드 관에 흐르는 해수의 유량을 조절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조와 고온의 발생으로부터 해수유입 신뢰성을 향상시킨 해수공급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센서는,
    상기 해수의 적조를 감지하여 이에 상응하는 디지털 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된 디지털 적조센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조와 고온의 발생으로부터 해수유입 신뢰성을 향상시킨 해수공급장치.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유닛에서 감지된 신호에 따른 센싱값을 상기 컨트롤러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이동단말기 또는 관제소 중 적어도 하나로 송신하는 데이터 통신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조와 고온의 발생으로부터 해수유입 신뢰성을 향상시킨 해수공급장치.
KR1020170120484A 2017-09-19 2017-09-19 적조와 고온의 발생으로부터 해수유입 신뢰성을 향상시킨 해수공급장치 KR1020947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0484A KR102094766B1 (ko) 2017-09-19 2017-09-19 적조와 고온의 발생으로부터 해수유입 신뢰성을 향상시킨 해수공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0484A KR102094766B1 (ko) 2017-09-19 2017-09-19 적조와 고온의 발생으로부터 해수유입 신뢰성을 향상시킨 해수공급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2041A KR20190032041A (ko) 2019-03-27
KR102094766B1 true KR102094766B1 (ko) 2020-03-30

Family

ID=659067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20484A KR102094766B1 (ko) 2017-09-19 2017-09-19 적조와 고온의 발생으로부터 해수유입 신뢰성을 향상시킨 해수공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9476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66732B1 (ko) * 2019-10-29 2022-02-24 엔티큐 주식회사 양식장 고수온 및 적조 방재 시스템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4677B1 (ko) 2009-09-09 2012-03-05 (주) 알이더블 이동식 수질오염 측정 시스템
KR101328026B1 (ko) 2013-02-06 2013-11-13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수심별 프로파일링 기법을 활용한 수환경 모니터링 시스템 및 수환경 모니터링 방법
KR101403706B1 (ko) * 2012-12-21 2014-06-09 강경조 어패류양식용 해수공급장치
KR101651822B1 (ko) * 2014-12-23 2016-08-29 한국해양과학기술원 해상의 적조 탐지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654472B1 (ko) * 2015-05-29 2016-09-09 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취수구 높이 가변형 취수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475513B2 (ja) * 1994-09-26 2003-12-08 株式会社明電舎 取水水質管理装置
KR100252381B1 (ko) 1997-12-29 2000-04-15 대한민국 적조 접근 자동경보 및 해수유입 차단 시스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4677B1 (ko) 2009-09-09 2012-03-05 (주) 알이더블 이동식 수질오염 측정 시스템
KR101403706B1 (ko) * 2012-12-21 2014-06-09 강경조 어패류양식용 해수공급장치
KR101328026B1 (ko) 2013-02-06 2013-11-13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수심별 프로파일링 기법을 활용한 수환경 모니터링 시스템 및 수환경 모니터링 방법
KR101651822B1 (ko) * 2014-12-23 2016-08-29 한국해양과학기술원 해상의 적조 탐지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654472B1 (ko) * 2015-05-29 2016-09-09 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취수구 높이 가변형 취수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2041A (ko) 2019-03-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380750A (zh) 深水网箱智能化自动沉降系统
KR102382732B1 (ko) 해상 양식 가두리 설비 및 그 설비의 설치 방법
KR102094766B1 (ko) 적조와 고온의 발생으로부터 해수유입 신뢰성을 향상시킨 해수공급장치
JP2019104420A (ja) 洋上風力発電設備
US10097906B2 (en) Submarine gas-leakage monitoring system for long-term detection of gas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US9475553B2 (en) Wing releasing system for a navigation control device
KR101025872B1 (ko) 파랑 관측이 가능한 부이에서의 해수 연직구조 관측장치
AU2020100787A4 (en) Recovery Device for Seabed Based Environment Monitoring System without Release Function and Recovery Method Thereof
KR20200011773A (ko) 부력제어형 지하수 다중 심도 모니터링 장치 및 이에 의한 지하수 모니터링 방법
CN103473917B (zh) 一种自主定深悬浮式远距离水声遥控发射装置
JP2019104419A (ja) 洋上ウィンドファーム
JP2016019932A5 (ko)
DK2393352T3 (en) Method for determining distance difference
WO2015140526A1 (en) Underwater platform
KR20190070193A (ko) 양식장 생태환경 관리 시스템
KR102019230B1 (ko) 가두리망 먹이 공급시스템
Kim et al. Development of an autonomous submersible fish cage system
KR102058257B1 (ko) 풀 감시 시스템 및 관련 감시 방법
JP5898468B2 (ja) 水中コンクリート打設方法及び装置
KR20200031804A (ko) 가변 부양조절이 가능한 개량형 가두리 구조
DK202270109A1 (en) A control system and method of controlling towed marine object
US11716973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fluid level measurement and control
KR20160063465A (ko) 모터펌프 제어장치
TW202143834A (zh) 具可移動感測器的水產養殖系統
KR101897912B1 (ko) 앱을 활용한 해양시설물 사고방지 및 그 관리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