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94504B1 - 콘텐츠 가독성 향상 방법 및 이를 위한 단말기 - Google Patents

콘텐츠 가독성 향상 방법 및 이를 위한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94504B1
KR102094504B1 KR1020130112856A KR20130112856A KR102094504B1 KR 102094504 B1 KR102094504 B1 KR 102094504B1 KR 1020130112856 A KR1020130112856 A KR 1020130112856A KR 20130112856 A KR20130112856 A KR 20130112856A KR 102094504 B1 KR102094504 B1 KR 1020945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me
content
text
luminance
backgrou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128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33786A (ko
Inventor
장슬기
석현정
나누리
염지영
최경아
김종호
박현희
배학균
이민우
이재향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한국과학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한국과학기술원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128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94504B1/ko
Publication of KR201500337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337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945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945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57Control of contrast or brightnes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6Adjustment of display parameters
    • G09G2320/066Adjustment of display parameters for control of contrast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80/00Specific applications
    • G09G2380/14Electronic books and read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콘텐츠 로딩에 따라 콘텐츠 가독 시간을 카운트하는 단계; 상기 카운트된 가독 시간에 따라 상기 콘텐츠에 대한 배경 및 텍스트의 휘도 비율을 순차적으로 조절하는 단계; 상기 휘도 비율이 조절된 콘텐츠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콘텐츠 가독성 향상 방법 및 이를 위한 단말기를 개시한다.

Description

콘텐츠 가독성 향상 방법 및 이를 위한 단말기{Method and apparatus for improving readability of contents}
본 발명은 단말기의 콘텐츠 가독성 향상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단말기에서 사용자의 가독 시간에 따라 콘텐츠 가독성을 향상시키는 방법 및 이를 위한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근래들어 태블릿 PC나 스마트 폰과 같은 이동 단말기는 사용의 편리성이나 효율성을 증대시키기 위해 여러가지 부가적인 기능이 채용되고 있다. 예를 들면, 고유의 통화 기능 이외에 사용자는 동 영상, 전자책등의 다양한 콘텐츠를 제공받아 이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이동 단말기에 다양한 부가 기능들이 점차 확대되는 가운데 이동 단말기의 화면도 점점 커지고 있다. 이에 따라 LCD 뿐만 아니라 AMOLED와 같은 색 재현율과 명암비가 월등한 디스플레이가 개발되고 있다.
태블릿 PC나 스마트 폰에서 사용되는 이 북 뷰어(e-book viewer)의 경우 밝기 조절을 통한 화면 밝기 수동 설정과 주변광 센서를 통한 화면 밝기 자동 설정등의 기능이 있다. 그러나 이러한 기능들은 최적의 설정값을 제공하지 못하며 화면 전체의 밝기가 변화기 때문에 배경뿐 만 아니라 텍스트에도 영향을 미치므로 가독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동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환경하에서 사용자의 가독 시간에 따라 콘텐츠 가독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방법 및 이를 위한 단말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과제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콘텐츠 가독성 향상 방법은
콘텐츠 로딩에 따라 콘텐츠 가독 시간을 카운트하는 단계;
상기 카운트된 가독 시간에 따라 상기 콘텐츠에 대한 배경 및 텍스트의 휘도 비율을 순차적으로 조절하는 단계;
상기 휘도 비율이 조절된 콘텐츠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콘텐츠 가독 시간 정보는 배경 및 텍스트의 휘도 변화가 시작되는 시점과 상기 배경 및 텍스트의 휘도 변화가 종료되는 시점으로 구분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배경 및 텍스트의 휘도 변화가 시작되는 시점은 사용자 가독 속도 변화율을 반영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배경 및 텍스트의 휘도 변화가 시작되는 시점은 사용자의 가독 속도의 변화가 일정하게 유지되는 시점임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휘도 비율 조절 단계는,
상기 콘텐츠 가독 시간을 체크하고, 상기 체크된 콘텐츠 가독 시간이 일정 값으로 도달하면 원본 콘텐츠로 부터 배경과 텍스트를 분리하고, 미리 정해진 시간 까지 상기 배경과 텍스트의 휘도 비율을 순차적으로 조절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미리 정해진 시간은 상기 콘텐츠에 대한 배경 및 텍스트의 휘도 변화가 종료되는 시점임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정해진 시간 까지 배경 및 텍스트의 휘도 비율이 조절된 이후에는 가독 시간과 관계 없이 최종적인 배경 및 텍스트의 휘도 비율을 유지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콘텐츠에 대한 배경과 텍스트의 휘도 비율은 상기 배경 및 텍스트의 휘도 변화가 시작되는 시점에서 휘도 변화가 없는 시점까지 순차적으로 조절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휘도 비율 조절 단계는, 상기 콘텐츠의 배경 및 텍스트간 콘트라스트가 순차적으로 감소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휘도 비율 조절 단계는, 미리 정해진 시점에서 배경 휘도는 순차적으로 낮추고, 텍스트 휘도는 순차적으로 높이는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단말기의 콘텐츠 가독성 향상 방법은,
콘텐츠 로딩에 따라 콘텐츠 가독 시간을 체크하는 단계;
상기 가독 시간이 제1시점에 도달하면 콘텐츠에 대한 배경 휘도 및 텍스트의 휘도 비율을 제2시점까지 순차적으로 조절하는 단계;
상기 제2시점까지 배경 및 텍스트의 휘도 비율이 조절된 이후에는 최종적인 배경 및 텍스트의 휘도 비율로서 유지하는 단계; 및
상기 휘도 비율이 조절된 콘텐츠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제1시점은 배경 및 텍스트의 휘도 변화가 시작되는 시점이고, 상기 제2시점은 배경 및 텍스트의 휘도 변화가 종료되는 시점임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의 콘텐츠 가독성 향상 방법.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단말기는,
원본 콘텐츠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
배경 및 텍스트의 휘도 변화가 시작되는 제1시점과 상기 휘도 변화가 종료되는 제2시점을 저장하는 메모리부:
콘텐츠 가독 시간이 상기 제1시점에 도달하면 콘텐츠에 대한 배경 휘도 및 텍스트의 휘도 비율을 상기 제2시점까지 순차적으로 조절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휘도 조절된 콘텐츠를 출력하는 콘트라스트 처리부를 포함한다.
상기 콘트라스트 처리부는
콘텐츠 로딩에 따라 콘텐츠 가독 시간을 카운트하는 가독 시간 카운터;
상기 콘텐츠 가독 시간을 체크하고, 상기 체크된 콘텐츠 가독 시간이 제1시점에 도달하면 원본 콘텐츠로 부터 배경과 텍스트를 분리하고, 상기 제2시점까지 상기 배경 휘도와 텍스트의 휘도 비율을 순차적으로 조절하는 콘트라스트 조절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콘트라스트 처리부의 상세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가독성 향상을 위한 개념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에서 콘텐츠 가독성 향상 방법을 구현하는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가독성 향상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전체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가독성 향상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상세 흐름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 1, 제 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판례, 또는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의 단말기는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나 LCD(Liquid Crystal Display)를 기반으로 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도 1의 단말기는 입력부(110), 디스플레이부(120), 통신부(130), 메모리부(140), 콘트라스트 처리부(150)를 포함한다.
입력부(110)는 터치 스크린이나 입력 키등을 통해 사용자로부터 제어 명령을 입력 받는다.
디스플레이부(120)는 콘트라스트 처리부(150)에서 처리되는 휘도 조절된 콘텐츠나 각종 정보를 출력한다.
통신부(130)는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여기에서,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부(14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M, Random Access Memory)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OM, Read-Only Memory),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모리(140)는 배경 및 텍스트의 휘도 변화가 시작되는 시점 정보와 상기 휘도 변화가 종료되는 시점 정보를 저장하고 있다.
콘트라스트 처리부(150)는 콘텐츠 가독 시간이 휘도 변화 시작 시점에 도달하면 콘텐츠에 대한 배경 및 텍스트의 휘도 비율(콘트라스트)을 순차적으로 변화시킨 후 디스플레이부(120)에 변화된 콘텐츠를 출력한다.
도 2는 도 1의 콘트라스트 처리부의 상세도이다.
도 2의 콘트라스트 처리부는 가독 시간 카운터(210), 콘트라스트 조절부(220)를 구비한다.
가독 카운터(210)는 이-북(e-book)이나 인터넷 기사와 같은 원본 콘텐츠가 로딩되면 콘텐츠 표시 기간에 기반한 콘텐츠 가독 시간을 카운트한다.
콘트라스트 조절부(220)는 가독 카운터(210)에서 카운트된 가독 시간과 배경 및 텍스트의 휘도 변화가 시작되는 시점 정보 및 종료되는 시점 정보에 기반하여 콘텐츠에 대한 배경 및 텍스트의 휘도 비율을 순차적으로 조절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콘텐츠 가독성 향상을 위한 개념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x 좌표는 이-북이나 인터넷 기사와 같은 원본 콘텐츠를 로딩했을 시 콘텐츠에 대한 가독 시간(T)을 나타낸다. y 좌표는 콘텐츠의 배경 및 텍스트의 콘트라스트 비율(%)을 나타낸다. 여기서 콘트라스트(contrast)는 물체를 다른 물체와 배경과 구별할 수 있게 만들어 주는 시각적인 특성의 차이를 말한다. 가독 시간(T)는 A시점 및 B 시점으로 구분하여 설정한다.
A는 콘텐츠의 배경 및 텍스트의 휘도 변화가 시작되는 시점을 나타내고, B는 콘텐츠의 휘도 변화가 종료되는 시점을 나타낸다.
A, B는 실험치에 의해 최적 값으로 나타낸다.
A 시점(t1)은 사용자가 독서 환경에 충분히 노출되어 콘텐츠를 읽는 상항에 완전히 몰입하여 적용하는 시점이다. A 시점(t1)은 사용자의 가독 속도의 변화가 일정하게 유지되는 시점이다. A시점(t1)의 시간값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는 사람마다 텍스트를 읽는 속도가 다른 사용자의 가독 속도 변화율이다.
B 시점(t2)은 더 이상의 콘텐츠의 배경 및 텍스트의 휘도 변화가 종료된 시점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단말기는 A 시점 및 B 시점에 해당하는 측정된 시간을 바탕으로 점진적으로 텍스트의 휘도를 낮추어 배경-텍스트간 콘트라스트 비가 감소되도록 한다.
예를 들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A 시점(t1)에서 100%의 배경-텍스트간 콘트라스트 비에서 시작하여 B시점(t2)에서 사용자가 텍스트를 읽기에 가장 편안하고 높은 효율을 가진 60%의 배경-텍스트간 콘트라스트 비로 등감한다(도 6에서 (a)->(b)->(c)->(d)->(e)). A 시점(t1)에서부터 배경은 점차적으로 어두워지고 텍스트 휘도는 점차적으로 밝아진다.
즉, 사용자가 처음 콘텐츠를 읽을 때는 배경-텍스트간 콘트라스트 비는 최대인 "100%"(a) 이다. 그러나 시간이 지남에 따라 점점 배경-텍스트간 콘트라스트 비는 사용자가 시각적 편안함을 느낄 수 있는 "60%"(e) 로 변화하게 된다. 이때 배경-텍스트 간 변화 속도는 사용자가 인지하지 못할 정도로 매우 느리게 진행된다.
마지막으로, 배경-텍스트간 콘트라스트 변화가 완료된 이후에는 시간의 흐름과 관계 없이 최종적인 배경-텍스트간 콘트라스트 비를 유지하여 사용자가 시각적으로 편안함을 느낄 수 있도록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가독성 향상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전체 흐름도이다.
단계 510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는, 이-북(e-book)이나 인터넷 기사와 같은 콘텐츠가 로딩되면 로딩된 콘텐츠에 기반하여 콘텐츠 가독 시간을 카운트한다. 이때 콘텐츠 가독 시간(T)은 배경 및 텍스트의 휘도 변화가 시작되는 시점과 상기 배경 및 텍스트의 휘도 변화가 종료되는 시점으로 구분된다.
단계 520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는, 단말기는 카운트된 콘텐츠 가독 시간 정보, 배경 및 텍스트의 휘도 변화가 시작되는 제1시점 정보 및 종료되는 제2시점 정보에 기반하여 콘텐츠에 대한 배경 및 텍스트의 휘도 비율(콘트라스트)을 순차적으로 조절한다. 즉, 단말기는 카운트된 콘텐츠 가독 시간이 제1시점에 도달함에 따라 제2시점까지 콘텐츠에 대한 배경 및 텍스트의 휘도 비율을 순차적으로 조절하고, 제2시점 이후에는 최종적인 배경 및 텍스트의 휘도 비율로서 유지한다.
단계 530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는, 콘텐츠에 대한 배경 및 텍스트의 휘도 비율(콘트라스트)이 조절된 콘텐츠를 출력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가독성 향상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상세 흐름도이다.
단계 610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는 이-북(e-book)이나 인터넷 기사와 같은 원본 콘텐츠를 로딩(loding)한다. 원본 콘텐츠의 로딩은 저장 장치나 인터넷을 통해 읽어들여 표시 패널에 표시함으로써 완료된다.
단계 620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는 원본 콘텐츠가 로딩되는 시점에서 콘텐츠의 가독 시간을 카운트한다.
예를 들면, 단말기는 이-북 또는 인터넷 기사와 같은 콘텐츠가 로딩되면 그 콘텐츠 로딩 시점부터 디스플레이 패널에서 콘텐츠의 디스플레이가 유지되고 있는 시간을 카운트한다.
단계 630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는 카운트된 가독 시간이 콘텐츠의 배경 부분 및 텍스트 부분의 휘도 변화가 시작되는 A 시점인가를 체크하고, 카운트된 가독 시간이 A 시점이 아니면 A시점에 도달할 때까지 콘텐츠 가독 시간을 체크한다. 이때 A시점은 실험치에 의해 미리 설정된 값이다.
단계 640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는 카운트된 가독 시간이 A 시점이면 콘텐츠에 대한 배경 부분과 텍스트 부분을 분리하고 콘텐츠에 대한 배경 부분과 텍스트 부분의 휘도 비율을 순차적으로 조절한다. 예를 들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A 시점에서 100%의 배경-텍스트간 콘트라스트 비(a)를 90%(b) -> 80%(c) -> 70%(d) -> 60%(e)의 배경-텍스트간 콘트라스트 비율로 등감한다. 즉, A 시점부터 배경 휘도는 점차적으로 어두워지고 텍스트 휘도는 점차적으로 밝아진다.
배경과 텍스트의 휘도 조절을 더 상세히 설명하면, 단말기는 형태학적인(morphological) 영상 처리를 이용하여 원본 콘텐츠로 부터 배경 부분과 텍스트 부분을 분리한다. 그리고 단말기는 콘텐츠 가독 시간 A 시점서 B 시점 까지 배경 부분의 휘도 값을 "255" 로 부터 시작하여 "250"으로 낮추고, 텍스트 부분의 휘도 값을 "0"부터 시작하여 "5"로 높일 수 있다.
단계 650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는 카운트된 가독 시간이 콘텐츠의 배경 및 텍스트의 휘도 변화가 종료되는 B 시점인가를 판단한다.
단계 660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는 카운트된 가독 시간이 B 시점이 아니면 휘도 조절된 콘텐츠를 출력한다.
단계 650 및 단계 660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는 B시점에 도달할 때까지 계속하여 배경 및 텍스트 휘도를 조절한다.
이때 B시점은 실험치에 의해 미리 설정된 값이다.
단계 670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는 카운트된 가독 시간이 B 시점이면 최종 배경 부분의 휘도 및 텍스트 부분의 휘도가 조절된 콘텐츠를 출력한다.
최종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는 배경 및 텍스트의 휘도 변화가 종료되는 B 시점까지 배경 및 텍스트의 휘도 비율이 조절된 이후에는 가독 시간과 관계 없이 최종적인 배경 및 텍스트의 휘도 비율을 유지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스마트 폰과 같은 디스플레이 환경에서 사용자가 일정 시간 콘텐츠를 가독하게 되면 그 후부터 콘텐츠의 배경 및 텍스트간 콘트라스트가 점점 감소하기 시작함으로써 사용자의 가독 시간에 적합한 배경-텍스트 콘트라스트를 제공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제한된 크기의 디스플레이에 기인하는 시각적 피로도를 감소시킴으로써 가독 속도가 증가하게 되어 효율적인 가독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애플리케이션 실행 방법을 컴퓨터로 구현하는 방법을 수행하도록 하는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써 기록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저장 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써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 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4)

  1. 콘텐츠 로딩에 따라 콘텐츠 가독 시간을 카운트하는 단계;
    상기 카운트된 콘텐츠 가독 시간에 따라 상기 콘텐츠에 대한 배경 및 텍스트의 휘도 비율을 순차적으로 조절하는 단계;
    상기 휘도 비율이 조절된 콘텐츠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콘텐츠 가독 시간은 배경 및 텍스트의 휘도 변화가 시작되는 시점과 상기 배경 및 텍스트의 휘도 변화가 종료되는 시점으로 구분되고,
    상기 배경 및 텍스트의 휘도 변화가 시작되는 시점은 사용자 가독 속도 변화율을 반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의 콘텐츠 가독성 향상 방법.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경 및 텍스트의 휘도 변화가 시작되는 시점은 사용자의 가독 속도의 변화가 일정하게 유지되는 시점임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의 콘텐츠 가독성 향상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휘도 비율 조절 단계는,
    상기 콘텐츠 가독 시간을 체크하고,
    상기 체크된 콘텐츠 가독 시간이 제1시점으로 도달하면 제2시점까지 상기 배경과 텍스트의 휘도 비율을 순차적으로 조절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의 콘텐츠 가독성 향상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시점은 상기 콘텐츠에 대한 배경 및 텍스트의 휘도 변화가 종료되는 시점임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의 콘텐츠 가독성 향상 방법.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시점까지 배경 및 텍스트의 휘도 비율이 조절된 이후에는 가독 시간과 관계 없이 최종적인 배경 및 텍스트의 휘도 비율을 유지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의 콘텐츠 가독성 향상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에 대한 배경과 텍스트의 휘도 비율은 상기 배경 및 텍스트의 휘도 변화가 시작되는 시점에서 휘도 변화가 없는 시점까지 순차적으로 조절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의 콘텐츠 가독성 향상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휘도 비율 조절 단계는, 미리 정해진 시점에서 배경 휘도는 순차적으로 낮추고, 텍스트 휘도는 순차적으로 높이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의 콘텐츠 가독성 향상 방법.
  10. 콘텐츠 로딩에 따라 콘텐츠 가독 시간을 체크하는 단계;
    상기 가독 시간이 제1시점에 도달하면 콘텐츠에 대한 배경 휘도 및 텍스트의 휘도 비율을 상기 제1시점부터 제2시점까지 순차적으로 조절하는 단계;
    상기 제2시점까지 배경 및 텍스트의 휘도 비율이 조절된 이후에는 최종적인 배경 및 텍스트의 휘도 비율로서 유지하는 단계; 및
    상기 휘도 비율이 조절된 콘텐츠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1시점은 배경 및 텍스트의 휘도 변화가 시작되는 시점이고, 상기 제2시점은 배경 및 텍스트의 휘도 변화가 종료되는 시점이며,
    상기 제1시점은 사용자 가독 속도 변화율을 반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의 콘텐츠 가독성 향상 방법.
  11. 삭제
  12. 원본 콘텐츠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
    배경 및 텍스트의 휘도 변화가 시작되는 제1시점과 상기 휘도 변화가 종료되는 제2시점을 저장하는 메모리부:
    콘텐츠 가독 시간이 상기 제1시점에 도달하면 콘텐츠에 대한 배경 휘도 및 텍스트의 휘도 비율을 상기 제2시점까지 순차적으로 조절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휘도 조절된 콘텐츠를 출력하는 콘트라스트 처리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시점은 사용자 가독 속도 변화율을 반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콘트라스트 처리부는
    콘텐츠 로딩에 따라 콘텐츠 가독 시간을 카운트하는 가독 시간 카운터;
    상기 콘텐츠 가독 시간을 체크하고, 상기 체크된 콘텐츠 가독 시간이 제1시점에 도달하면 원본 콘텐츠로 부터 배경과 텍스트를 분리하고, 상기 제2시점까지 상기 배경 휘도와 텍스트의 휘도 비율을 순차적으로 조절하는 콘트라스트 조절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14. 제 1항 및 10항 중 어느 하나의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KR1020130112856A 2013-09-23 2013-09-23 콘텐츠 가독성 향상 방법 및 이를 위한 단말기 KR1020945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12856A KR102094504B1 (ko) 2013-09-23 2013-09-23 콘텐츠 가독성 향상 방법 및 이를 위한 단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12856A KR102094504B1 (ko) 2013-09-23 2013-09-23 콘텐츠 가독성 향상 방법 및 이를 위한 단말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33786A KR20150033786A (ko) 2015-04-02
KR102094504B1 true KR102094504B1 (ko) 2020-03-30

Family

ID=530308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12856A KR102094504B1 (ko) 2013-09-23 2013-09-23 콘텐츠 가독성 향상 방법 및 이를 위한 단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9450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1321B1 (ko) 2018-07-30 2019-05-22 최현준 전자문서 읽기 보조 프로그램
CN110442313B (zh) * 2019-06-27 2021-09-21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显示属性调整方法以及相关设备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04372A (ja) * 2002-05-31 2004-01-08 Nec Corp コンテンツのコントラスト制御方式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151651A (zh) * 2005-04-01 2008-03-26 皇家飞利浦电子股份有限公司 根据环境光进行亮度控制的显示面板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04372A (ja) * 2002-05-31 2004-01-08 Nec Corp コンテンツのコントラスト制御方式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33786A (ko) 2015-04-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31977B1 (en) Data content filter
US9813882B1 (en) Mobile notifications based upon notification content
US8638344B2 (en) Automatically modifying presentation of mobile-device content
US9516271B2 (en) Auto-adjusting content size rendered on a display
US20150193061A1 (en) User's computing experience based on the user's computing activity
US20140189597A1 (en)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for presenting icons
KR20160141807A (ko) 적응형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 관리자
US8929679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changing contrast based on brightness of an output for presentation on a display
CN105302834B (zh) 一种信息聚合显示的方法及装置
KR102350540B1 (ko) 디지털 컴포넌트 배경 렌더링
US20140088955A1 (en) Mobile terminal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US20190141115A1 (en) Graphical user interface facilitating uploading of electronic documents to shared storage
KR20160059455A (ko) 웹 페이지 인코딩 인식 방법, 인식 장치, 프로그램 및 저장매체
US20170357620A1 (en) Dynamic layout generation for an electronic document
KR102094504B1 (ko) 콘텐츠 가독성 향상 방법 및 이를 위한 단말기
US9134948B1 (en) Method and system for detecting and serving high-resolution images to high-resolution devices
KR20150134998A (ko) 전자 장치 및 이의 출력 특성 제어 방법
US20130229440A1 (en) State aware tile visualization
CN110603516B (zh) 计算机图形用户界面的个性化可感知性设置
US9679076B2 (en) Method and device for controlling page rollback
KR20150090617A (ko) 프리로딩을 이용한 화면 표시를 위한 장치 및 이를 위한 방법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US20190121531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content
CN110633117A (zh) 一种数据处理方法、装置、电子设备和可读介质
US11722742B2 (en) Method and graphic user interface for interactively displaying digital media objects across multiple computing devices
WO2013023066A1 (en) Method and user interface controlling communications and content from sourc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