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94000B1 - 턱관절 교정장치 - Google Patents

턱관절 교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94000B1
KR102094000B1 KR1020180063174A KR20180063174A KR102094000B1 KR 102094000 B1 KR102094000 B1 KR 102094000B1 KR 1020180063174 A KR1020180063174 A KR 1020180063174A KR 20180063174 A KR20180063174 A KR 20180063174A KR 102094000 B1 KR102094000 B1 KR 1020940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rmula
jaw joint
cushion portion
correction device
joint corr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631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37242A (ko
Inventor
이정화
전영진
Original Assignee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800631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94000B1/ko
Publication of KR201901372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372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940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940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08Mouthpiece-type retainers or positioners, e.g. for both the lower and upper arc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5/00Filling or capping teeth
    • A61C5/007Dental splints; teeth or jaw immobilisation devices; stabilizing retainers bonded to teeth after orthodontic treat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36Devices acting between upper and lower teet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4Devices for stretching or reducing fractured limbs; Devices for distractions; Splints
    • A61F5/05Devices for stretching or reducing fractured limbs; Devices for distractions; Splints for immobilising
    • A61F5/058Splints
    • A61F5/05883Splints for the neck or head
    • A61F5/05891Splints for the neck or head for the head, e.g. jaws, nos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00Processes of polymerisation
    • C08F2/46Polymerisation initiated by wave energy or particle radiation
    • C08F2/48Polymerisation initiated by wave energy or particle radiation by ultraviolet or visible light
    • C08F2/50Polymerisation initiated by wave energy or particle radiation by ultraviolet or visible light with sensitising ag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20/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a salt, anhydride ester, amide, imide or nitrile thereof
    • C08F220/02Monocarboxylic acids having less than ten carbon atoms; Derivatives thereof
    • C08F220/10Esters
    • C08F220/20Esters of polyhydric alcohols or phenols, e.g. 2-hydroxyethyl (meth)acrylate or glycerol mono-(meth)acryl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20/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a salt, anhydride ester, amide, imide or nitrile thereof
    • C08F220/02Monocarboxylic acids having less than ten carbon atoms; Derivatives thereof
    • C08F220/10Esters
    • C08F220/26Esters containing oxygen in addition to the carboxy oxygen
    • C08F220/28Esters containing oxygen in addition to the carboxy oxygen containing no aromatic rings in the alcohol moiety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20/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a salt, anhydride ester, amide, imide or nitrile thereof
    • C08F220/02Monocarboxylic acids having less than ten carbon atoms; Derivatives thereof
    • C08F220/10Esters
    • C08F220/26Esters containing oxygen in addition to the carboxy oxygen
    • C08F220/30Esters containing oxygen in addition to the carboxy oxygen containing aromatic rings in the alcohol moiety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20/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a salt, anhydride ester, amide, imide or nitrile thereof
    • C08F220/02Monocarboxylic acids having less than ten carbon atoms; Derivatives thereof
    • C08F220/10Esters
    • C08F220/34Esters containing nitrogen, e.g. N,N-dimethylaminoethyl (meth)acryl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22/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carboxyl radical and containing at least one other carboxyl radical in the molecule;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 C08F222/10Esters
    • C08F222/1006Esters of polyhydric alcohols or polyhydric phenols
    • C08F222/102Esters of polyhydric alcohols or polyhydric phenols of dialcohols, e.g. ethylene glycol di(meth)acrylate or 1,4-butanediol dimethacryl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22/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carboxyl radical and containing at least one other carboxyl radical in the molecule;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 C08F222/10Esters
    • C08F222/1006Esters of polyhydric alcohols or polyhydric phenols
    • C08F222/102Esters of polyhydric alcohols or polyhydric phenols of dialcohols, e.g. ethylene glycol di(meth)acrylate or 1,4-butanediol dimethacrylate
    • C08F222/1025Esters of polyhydric alcohols or polyhydric phenols of dialcohols, e.g. ethylene glycol di(meth)acrylate or 1,4-butanediol dimethacrylate of aromatic dialcoho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22/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carboxyl radical and containing at least one other carboxyl radical in the molecule;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 C08F222/10Esters
    • C08F222/12Esters of phenols or saturated alcohols
    • C08F222/20Esters containing oxygen in addition to the carboxy oxyge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22/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carboxyl radical and containing at least one other carboxyl radical in the molecule;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 C08F222/10Esters
    • C08F222/12Esters of phenols or saturated alcohols
    • C08F222/22Esters containing nitroge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3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08L33/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esters containing only carbon, hydrogen and oxygen, which oxygen atoms are present only as part of the carboxyl radical
    • C08L33/062Copolymers with monomers not covered by C08L33/06
    • C08L33/066Copolymers with monomers not covered by C08L33/06 containing -OH group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3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08L33/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esters containing only carbon, hydrogen and oxygen, which oxygen atoms are present only as part of the carboxyl radical
    • C08L33/08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acrylic acid 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3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08L33/1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esters containing halogen, nitrogen, sulfur, or oxygen atoms in addition to the carboxy oxyge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Dentistr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Otolaryng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Nursing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치아교정 속도증가 장치에 관한 발명으로, 왼쪽 어금니의 외면을 따라 형성되는 제1 쿠션부; 오른쪽 어금니의 외면을 따라 형성되는 제2 쿠션부; 및
상기 제1 쿠션부와 상기 제2 쿠션부를 잇되, 치아 형상에 따라 아치형을 이루는 이음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턱관절 교정장치{Temporo-mandibular joint disorder appliance for orthodontic patient}
본 발명은 턱관절 교정장치에 관한 발명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왼쪽 어금니의 외면을 따라 형성되는 제1 쿠션부와 오른쪽 어금니의 외면을 따라 형성되는 제2 쿠션부 사이에 제1 쿠션부와 제2 쿠션부를 잇고, 치아 형상에 따라 아치형을 이루는 와이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턱관절의 장애는 외적 충격이나 음식물을 한 편으로만 씹는 편작, 이갈이, 치아교정, 스트레스 등에 의하여 발생하며, 이를 꽉 물거나 침을 삼키는 일상적인 동작에서도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턱관절의 장애로 인하여 턱 소리, 턱 통증뿐 아니라 두통, 어지럼증, 이명 등의 현상으로 일반적인 생활에 영향을 끼칠 수 있다.
이에 따라, 턱의 통증해소와 턱관절 주변 근육 및 인대의 기능을 회복하기 위하여 턱의 움직임을 이동 시키기 비교적 수월한 밤에 턱관절 교정장치를 착용을 하고 있는 추세이다.
주로, 치아교정 진행 중에 이갈이나 턱관절의 이동을 방지하고자 턱관절 교정장치를 착용하고 있다.
도 1은 종래의 턱관절 교정장치에 관한 도면이다.
종래의 턱관절 교정장치는 윗니(1)와 아랫니(2) 사이에 위치되어 전체 치아에 형상에 따라 대응되는 형상이 바람직하다.
또한, 윗니(1)와 아랫니(2)의 형상에 따라 본 떠 제작함으로, 윗니(1)와 아랫니(2) 사이에 동시에 맞닿아 위치된다.
착용 시점은 수면 시에 가장 효과적이고, 수면 시에 종래의 턱관절 교정장치를 착용 함으로써, 턱을 벌리게 되는 구조로 치아 간의 맞닿음으로써 발생하는 압박을 줄여주고 근육긴장을 풀어주어 턱관절이 휴식을 가질 수 있다.
그러나, 치아교정 중에 턱관절 및 턱의 이동에 관련하여 교정이 주로 필요함에 따라, 치아교정 중 착용하고 있는 치아교정장치(브라켓, bracket)을 제거하고 종래의 턱관절 교정장치를 착용 해야함으로 사용자의 불편함과 치아교정 진행에 있어 효율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발명 장치의 사용 시에 치아와 턱관절 교정장치 사이의 습기가
생겨남으로 답답함 등의 불편함을 느낄 수 있고, 치아가 이동되는 형상에 계속해서 대응되어야 하기 때문에 몇 번씩 장치를 치아 형상에 맞게 본떠서 교체해야 하는 문제점과 사용자가 장치를 본 뜰 때마다 비용을 추가로 부담해야 하는 상황에 있다.
따라서, 턱관절 교정장치 형상에 대한 개선 및 변경이 필요한 실정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381485호
본 발명은 턱관절 교정장치에 관한 발명으로, 왼쪽 어금니의 외면을 따라 형성되는 제1 쿠션부와 오른쪽 어금니의 외면을 따라 형성되는 제2 쿠션부 사이에 제1 쿠션부와 제2 쿠션부를 잇고, 치아 형상에 따라 아치형을 이루는 와이어부를 포함하여 종래의 사용자가 느끼는 불편함을 개선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턱관절 교정장치를 구성하는 치과용 레진의 물성을 향상시키고, 항균 효과를 추가하여, 사용 시, 안정성을 향상시키고, 세균 발생을 막을 수 있는 턱관절 교정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 시키기 위해 본 발명에 의한 턱관절 교정장치는 왼쪽 어금니의 외면을 따라 형성되는 제1 쿠션부; 오른쪽 어금니의 외면을 따라 형성되는 제2 쿠션부; 및 상기 제1 쿠션부와 상기 제2 쿠션부를 잇되, 치아 형상에 따라 아치형을 이루는 와이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1 쿠션부는, 상기 왼쪽 어금니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삼면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 쿠션부는, 상기 오른쪽 어금니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삼면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와이어부는, 상기 제1 쿠션부와 상기 제2 쿠션부를 잇되, 상기 제1 쿠션부와 상기 제2 쿠션부의 삼면 중 상면을 관통하여 결합되고, 탈부착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쿠션부 및 제2 쿠션부는 치과용 레진(Resin)으로 구성된다.
상기 치과용 레진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아크릴레이트계 수지;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아크릴레이트계 수지; 하기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아크릴레이트계 수지; 광개시제; 촉진제; 및 억제제를 포함한다:
[화학식 1]
Figure 112018054021601-pat00001
[화학식 2]
Figure 112018054021601-pat00002
[화학식 3]
Figure 112018054021601-pat00003
여기서, R1, R2 R3는 서로 동일하거나 상이하며,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중수소, 하이드록시기, 할로겐기 및 탄소수 1 내지 10의 알킬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상기 치과용 레진은 하기 화학식 4로 표시되는 아크릴레이트계 수지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화학식 4]
Figure 112018054021601-pat00004
여기서, R4는 수소, 중수소, 하이드록시기, 할로겐기 및 탄소수 1 내지 10의 알킬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상기 치과용 레진은 barium-silicate glass, silanated quartz filler, strontium glass filler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필러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턱관절 교정장치는 윗 어금니와 아랫 어금니에 따라 대응되는 형상으로 전체 치아에 따라 대응되어 형성되는 종래의 턱관절 교정장치와는 다르게 윗 어금니와 아랫 어금니에만 착용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인 턱관절 교정장치는 윗 어금니와 아랫 어금니에만 착용할 수 있어 기존에 치아교정장치인 브라켓을 착용하고 있더라도 본 발명인 턱관절 교정장치를 추가로 착용 가능 하여 기존에 진행하고 있던 치아교정장치인 브라켓을 제거하지 않더라도 치아교정 중에 발생하는 턱관절 교정을 진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턱관절 교정장치는 전체 치아를 덮는 구조로 습기가 차는 등의 불편함이 존재하였지만, 본 발명의 턱관절 교정장치는 윗 어금니와 아랫 어금니만 착용하기 때문에 사용자가 착용시에 느끼는 불편함을 일부 해소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아울러, 치아가 이동 할 때마다 형상에 대응되기 위하여 매번 본을 떠야 하는 종래 발명의 불편함도 본 발명의 와이어부의 조절만을 통하여 대응할 수 있어 턱관절 교정장치를 여러 번 제작할 필요 없어 비용감소의 효과를 볼 수 있다.
또한, 와이어부의 양 끝단이 제1 상면부의 내부를 길이방향으로 관통하므로
내구성 및 지지력이 증대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턱관절 교정장치를 구성하는 치과용 레진의 물성을 향상시키고, 항균 효과를 추가하여, 사용 시, 안정성을 향상시키고, 세균 발생을 막고자 한다.
도 1은 종래의 턱관절 교정장치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턱관절 교정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턱관절 교정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턱관절 교정장치의 사용 실시 예에 따른 착용 후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턱관절 교정장치의 사용 실시 예에 따른 착용 후의 정면도이다.
도 6는 본 발명의 턱관절 교정장치의 정면 사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턱관절 교정장치의 평면 사진이다.
도 8는 본 발명의 턱관절 교정장치의 사용 실시 예에 따른 착용 후의 평면 사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턱관절 교정장치의 사용 실시 예에 따른 착용 후의 정면 사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음에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통상의 실시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하 설명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그리고, 도면들에 있어서, 장치의 크기 및 두께 등은 편의를 위하여 과장되어 표현될 수도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 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사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도면에서 층 및 영역들의 크기 및 상대적인 크기는 설명의 명료성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따라서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또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고,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들 또는 구성요소가 부가될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이하에서 사용하는 용어의 정의는 다음과 같다. “길이 방향”이란, 도 2를 기준으로 x축 방향이며, “폭 방향”이란, 도 2를 기준으로 y축 방향이다. 또한, “수직 방향”이란, 도 2를 기준으로 z축 방향이다.
도 1은 종래의 턱관절 교정장치를 도시한 것이다. 또한, 도 2는 본 발명의 턱관절 교정장치의 정면도이다. 또한, 도 3은 본 발명의 턱관절 교정장치의 평면도이다. 또한, 도 4는 본 발명의 턱관절 교정장치의 사용 실시 예에 따른 착용 후의 평면도이다. 또한, 도 5는 본 발명의 턱관절 교정장치의 사용 실시 예에 따른 착용 후의 정면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턱관절 교정장치는 제1 쿠션부(100), 제2 쿠션부(200), 와이어부(300)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한 턱관절 교정장치는 윗니(1) 및 아랫니(2) 각각의 형상에 따라 대응되는 형상으로 한 쌍을 구비한다.
예컨대, 윗니(1)의 외측면 및 내측면에 따라 형성되어 장치 하나가 구비되고, 아랫니(2)의 외측면 및 내측면에 따라 형성되어 또 다른 장치가 구비된다.
이와 같이, 윗니(1)에 대응되는 형상의 장치 하나와, 아랫니(2)에 대응되는 형상의 장치 하나가 한 쌍으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도면을 참조하여 비교적 이해하기 쉬운 아랫니(2)를 기준으로 설명하고자 하며, 윗니(1)의 형상에 따라 대응되는 나머지 한 쌍의 상세한 설명은 중복 설명을 방지하기 위해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도 2를 참조하여 제1 쿠션부(100)와 제2 쿠션부(200)를 설명하도록 한다.
제1 쿠션부(100)는 왼쪽 어금니(10)의 외면을 따라 대응되는 형상으로, 왼쪽 어금니(10)의 외면에 맞닿아 삼면을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1 쿠션부(100)는 왼쪽 어금니(10)를 본뜨는 방식으로 형성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이와 마찬가지로, 제1 쿠션부(100)와 대칭되는 제2 쿠션부(200)는 오른쪽 어금니(11)의 외면을 따라 대응되는 형상으로, 오른쪽 어금니(11)의 외면에 맞닿아 삼면을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2 쿠션부(200)도 마찬가지로 오른쪽 어금니(11)를 본뜨는 방식으로 형성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이하, 도 3을 참조하여 제1 내측면부(110), 제1 외측면부(120), 제1 상면부(130)를 설명하도록 한다.
제1 쿠션부(100)는 제1 내측면부(110), 제1 외측면부(120), 제1 상면부(130)로 구비된다.
제1 내측면부(110)는 왼쪽 어금니(10)의 내측의 전체면에 맞닿아 위치되는 단부로, 왼쪽 어금니(10)의 내측면에 대응되는 형상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1 상면부(130)는 왼쪽 어금니(10)의 상부에 따라 대응되는 형상으로, 제1 내측면부(110)와 제1 외측면부(120)를 잇고, 제1 내측면부(110)와 제1 외측면부(120)의 사이에 위치된다.
또한, 제1 외측면부(120)는 왼쪽 어금니(10)의 외측면에 따라 대응되는 형상이 바람직하다.
이때, 제1 외측면부(120)의 수직 방향의 길이는 제1 내측면부(110)의 수직방향의 길이보다 짧은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상대적으로 제1 내측면부(110)의 수직방향의 길이보다 짧은 수직방향의 길이로 인해, 사용자가 본 발명의 턱관절 교정장치를 착용하고, 말을 하거나 입을 벌릴 때, 제1 외측면부(120)는 치아 전체를 감싸고 있지 않기 때문에 외관상 심미감을 높여주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제1 쿠션부(100)는 내측에 맞닿는 제1 내측면부(110)와, 외측에 맞닿는 제1 외측면부(120)와 왼쪽 어금니(10)의 상부와 맞닿는 제1 상면부(130)로 구비되어 왼쪽 어금니(10)에 끼워 맞춰지는 형상으로 삽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종래의 턱관절 교정장치는 전체 치아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윗니(1)과아랫니(2)에 맞닿아 위치되어 사용자가 치아교정 진행 중에 이갈이, 턱관절 교정을 위해 교정장치인 브라켓(20)을 제거하고 턱관절 교정장치를 사용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턱관절 교정장치는 왼쪽 어금니(10)와 오른쪽 어금니(11)의 형상만을 따라 본뜨는 방식이기 때문에 사용자가 치아교정을 위해 브라켓(20)을 착용 중에도 턱관절 교정장치를 추가로 착용할 수 있어 사용자가 브라켓(20)을 탈부착해야 하는 불편함과 치아교정의 진행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효과가 있다.
제1 쿠션부(100)에 구비되는 제1 내측면부(110), 제1 외측면부(120), 제1 상면부(130)와 동일하게 오른쪽 어금니(11)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삽입되는 제2 쿠션부(200)에서 제2 내측면부(210), 제2 외측면부(220), 제2 상면부(230)가 구비되며, 동일한 형상이므로 이와 관련된 설명은 중복 설명을 방지하기 위해 생략하도록 한다.
이하, 도 4를 참조하여, 와이어부(300)를 설명하도록 한다.
와이어부(300)는 제1 쿠션부(100)와 제2 쿠션부(200)를 잇는 형상으로, 치아 형상에 따라 아치형으로 치아 내부에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와이어부(300)는 소정의 두께를 가진 원통형으로 치아 안에서 혀의 움직임에 대하여 라운딩의 효과로 불편함을 최소화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세하게는, 와이어부(300)의 양 끝단은 제1 쿠션부(100)의 제1 상면부(130)와 제2 쿠션부(200)의 제2 상면부(230)의 내부를 길이방향으로 관통하는 형상이 바람직하다.
이로 인해, 제1 내측면부(110)와 제1 외측면부(120)를 잇는 제1 상면부(130)를 관통하게 되므로, 내구성 및 지지력이 증대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턱관절 교정장치는 윗니(1)와 아랫니(2)의 사이에 맞닿아 결합되는 형상으로, 치아의 이동함에 따라 매번 전체 치아를 본떠 교체를 해야 하는 불편함이 존재했다.
그러나, 본 발명인 턱관절 교정장치는 왼쪽 어금니(10)와 오른쪽 어금니(11)의 형상에 따라서만 대응되고, 치아 변형에 따라 치아 내부에 위치되는 와이어부(300)의 아치형 형상 부분의 조절만으로 변경이 가능하기 때문에 재료와 시간이 적게 소요되어 비용감소과 효율성의 증대의 효과를 볼 수 있다.
이하,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턱관절 교정장치의 실시 예를 설명하도록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도 5에서 정면으로 보았을 때, 치아교정을 위해 브라켓(20)을 착용 중에도, 브라켓(20)을 제거 하지 않고 턱관절 교정을 위해 본 발명인 턱관절 교정장치를 착용 가능 함으로써, 브라켓(20)의 탈부착에 관한 사용자의 불편함과 치아교정과 턱관절 교정에 진행에 대한 효율성이 증대되는 효과를 볼 수 있다.
또한, 종래의 턱관절 교정장치는 전체 치아 형상에 따라 맞닿아 형성 되었기 때문에 습기가 차는 답답함 등의 사용자가 느낄 수 있는 불편함이 존재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턱관절 교정장치는 왼쪽 어금니(10)와 오른쪽 어금니(11)의 외측면에만 대응되어 맞닿는 형상으로 사용자가 느끼는 답답함 등의 불편함을 일부 해소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 제1 쿠션부(100) 및 제2 쿠션부(200)는 치과용 레진(Resin)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쿠션부(100)에 구비되는 제1 내측면부(110), 제1 외측면부(120), 제1 상면부(130)와 동일하게 오른쪽 어금니(11)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삽입되는 제2 쿠션부(200)에서 제2 내측면부(210), 제2 외측면부(220), 제2 상면부(230)는 치과용 레진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치과용 레진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아크릴레이트계 수지;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아크릴레이트계 수지; 하기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아크릴레이트계 수지; 광개시제; 촉진제; 및 억제제를 포함한다:
[화학식 1]
Figure 112018054021601-pat00005
[화학식 2]
Figure 112018054021601-pat00006
[화학식 3]
Figure 112018054021601-pat00007
여기서,
R1, R2 R3는 서로 동일하거나 상이하며,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중수소, 하이드록시기, 할로겐기 및 탄소수 1 내지 10의 알킬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상기 치과용 레진은 하기 화학식 4로 표시되는 아크릴레이트계 수지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화학식 4]
Figure 112018054021601-pat00008
여기서,
R4는 수소, 중수소, 하이드록시기, 할로겐기 및 탄소수 1 내지 10의 알킬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상기 제1 쿠션부(100)는 왼쪽 어금니(10)의 외면을 따라 대응되는 형상으로, 왼쪽 어금니(10)의 외면에 맞닿아 삼면을 이루며, 상기 제1 쿠션부(100)와 대칭되는 제2 쿠션부(200)는 오른쪽 어금니(11)의 외면을 따라 대응되는 형상으로, 오른쪽 어금니(11)의 외면에 맞닿아 삼면을 이루고 있다.
이러한 사용예에 비추어, 제1 쿠션부(100) 및 제2 쿠션부(200)를 구성하는 치과용 레진은 왼쪽 어금니(10) 및 오른쪽 어금니(11)에 의한 누르는 힘에 의해서도 형태가 변형되지 않을 정도의 파괴 인성을 가져야한다.
일반적으로 치과용 레진은 교합 응력에 의해 발생되는 파괴 및 마모에 대한 저항성이 낮고 중합수축에 따른 변연 누출 등이 치과용 레진의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기질레진의 조성, 필러의 함량 변화 및 가교제 또는 결합제의 종류를 달리하여 치과용 레진을 제조하고 있다.
따라서, 최근에는 치과용 레진을 제조하기 위하여, 기질레진을 복수의 수지를 조합하여 제조하고 있으며, 본 발명에서도 상기 화학식 1 내지 4의 기질레진을 혼합하여 치과용 레진을 제조하고자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치과용 레진을 구성하는 기질레진은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수지,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수지, 화학식 5로 표시되는 수지 및 화학식 6으로 표시되는 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
[화학식 2]
Figure 112018054021601-pat00009
[화학식 3]
Figure 112018054021601-pat00010
[화학식 5]
Figure 112018054021601-pat00011
[화학식 6]
Figure 112018054021601-pat00012
바람직하게 상기 치과용 레진을 구성하는 기질레진은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수지,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수지, 화학식 6로 표시되는 수지 및 화학식 7으로 표시되는 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
[화학식 2]
Figure 112018054021601-pat00013
[화학식 3]
Figure 112018054021601-pat00014
[화학식 6]
Figure 112018054021601-pat00015
[화학식 7]
Figure 112018054021601-pat00016
상기 아크릴레이트계 수지를 4종 혼합하여 사용함에 따라, 강도, 강성 및 마모 저항성을 향상시키고자 한다.
상기 아크릴레이트계 수지를 1종만 이용하는 경우에 비해, 4종을 혼합하여 사용할 경우, 강도 강성 및 마모 저항성을 향상시켜, 물리적인 특징이 강화된 치과용 레진을 제조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기질레진의 경우, 2개의 소수성 기능기를 갖는 단량체로, 휘발성 및 중합 수축이 적고 경화가 빠른 장점이 있으나, 점도가 높고 반응성이 낮아 희석 단량체를 필요로 한다.
상기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기질레진의 경우, 희석 단량체로 점도가 낮고, 유연성을 지녀, 레진의 반응성을 향상시키고, 보다 많은 필러를 혼합할 수 있으나,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기질레진을 이용함에 따라, 물리적 성질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기질레진 및 상기 화학식 4로 표시되는 기질레진을 혼합하여 사용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치과용 레진은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아크릴레이트계 수지; 상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아크릴레이트계 수지; 상기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아크릴레이트계 수지; 및 상기 화학식 4로 표시되는 아크릴레이트계 수지를 2:5:1:1 내지 2:7:1:1의 중량 비율로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범위 미만인 경우에는 물리적 성질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고, 상기 범위를 초과하여 포함할 경우, 점도가 높고, 반응성이 낮아지는 문제가 발생한다.
상기 치과용 레진은 barium-silicate glass, silanated quartz filler, strontium glass filler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필러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치과용 레진에 상기 필러를 혼합함에 따라, 레진의 물리적인 성질을 높일 수 있다. 즉, 탄성 계수, 굴곡강도 및 표면 강도에 대한 물리적 성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필러는 barium-silicate glass, silanated quartz filler 및 strontium glass filler를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으로, 1:1:0.5 내지 1:1:1의 중량비율로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필러는 평균 직경이 3 내지 5㎛인 입자를 이용할 수 있다.
상기 필러는 혼합 중량 범위 내에서 사용하였을 때, 탄성 계수, 굴곡 강도 및 표면 강도의 물리적 성질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범위 값 미만이거나, 초과인 경우에는 물리적 성질이 저하되거나, 레진 제조 시에, 점성을 높여 성형성을 낮추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치과용 레진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아크릴레이트계 수지;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아크릴레이트계 수지; 하기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아크릴레이트계 수지; 하기 화학식 4로 표시되는 아크릴레이트계 수지; 필러; 광개시제; 촉진제; 및 억제제를 포함한다:
[화학식 1]
Figure 112018054021601-pat00017
[화학식 2]
Figure 112018054021601-pat00018
[화학식 3]
Figure 112018054021601-pat00019
[화학식 4]
Figure 112018054021601-pat00020
여기서,
R1, R2, R3 및 R4는 서로 동일하거나 상이하며,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중수소, 하이드록시기, 할로겐기 및 탄소수 1 내지 10의 알킬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아크릴레이트계 수지; 상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아크릴레이트계 수지; 상기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아크릴레이트계 수지 및 상기 화학식 4로 표시되는 아크릴레이트계 수지를 포함하는 기질레진을 포함하며,
상기 기질레진 100 중량부에 대하여, 필러 40 내지 70 중량부; 광개시제 1 내지 2 중량부; 촉진제 0.5 내지 1 중량부; 및 억제제 0.1 내지 0.5 중량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범위에 의하는 경우, 본 발명에 따른 제1 쿠션부(100) 및 제2 쿠션부(200)로 사용이 가능한 치과용 레진으로 제공 가능하다.
상기 광개시제는 벤조인과 그 알킬에테르류, 아세토페논류, 안트라퀴논류, 티오 크산톤류, 케탈류, 벤조페논류, α-아미노아세토페논류, 아실포스핀옥사이드류, 옥심에스테르류, DEAP (2,2- Diethoxyacetophenone), CQ (camphoroquinone), EDMAB (ethyl (4-dimethyl amino) benzoate), DBMP (6-Ditert-butyl-4-methyl pyridine), DMAEMA (2-dimethylamino ethyl methacrylate), DPIHP (diphenyliodonium hexafluorophosphate) 및 DMPA (N-(2,3-dimercaptopropyl)-phthalamidic acid)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상기 촉진제는 2-(Dimethylamino)ethyl methacrylate(DEMA)이다.
상기 억제제는 Butylated hydroxytoluene(BHT)이다.
본 발명의 턱관절 교정장치는 바람직하게 코팅층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턱관절 교정장치는 종래의 턱관절 교정장치와 달리, 윗 어금니 및 아랫 어금니에만 착용하여, 전체 치아를 덮는 구조는 아니지만, 침이 턱관절 교정 장치에 고여, 반복 사용 시에 균이 발생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방지하기 위하여, 턱관절 교정장치에 코팅층을 형성하여, 항균 효과를 내어, 치아교정 속도증가 장치에서의 균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코팅층을 형성하기 위한, 항균 코팅 조성물은 톨루엔(toluene), 메틸에틸케톤(methyl ethyl ketone)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용매를 포함하며, 상기 용매 100 중량부에 대하여, 하기 화학식 8로 표시되는 바인더 5 내지 30 중량부; 충진제 5 내지 10 중량부; 및 항균 물질 1 내지 10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화학식 8]
Figure 112018054021601-pat00021
여기서,
n은 2 내지 100의 정수이며,
R1 및 R2는 서로 동일하거나 상이하며,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중수소, 할로겐기, 히드록시기, 치환 또는 비치환의 탄소수 1 내지 10의 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의 탄소수 2 내지 10의 알케닐기, 치환 또는 비치환의 탄소수 2 내지 10의 알키닐기, 치환 또는 비치환의 탄소수 3 내지 10의 사이클로알킬기 및 치환 또는 비치환의 탄소수 6 내지 30의 아릴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며,
상기 치환된 알킬기, 치환된 알케닐기, 치환된 알키닐기, 치환된 사이클로알킬기 및 치환된 아릴기는 중수소, 할로겐기, 시아노기, 니트로기 및 히드록시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개 이상의 치환기로 치환되며, 복수 개의 치환기로 치환되는 경우 이들은 서로 동일하거나 상이하다.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불소계 고분자 화합물은 바람직하게는 하기 화학식 9 또는 화학식 10으로 표시되는 불소계 화합물이지만, 예시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화학식 9]
Figure 112018054021601-pat00022
[화학식 10]
Figure 112018054021601-pat00023
여기서,
n은 2 내지 100의 정수이며,
R2는 할로겐기로 치환된 탄소수 1 내지 10의 알킬기이다.
충진제는 코팅층의 물성 및 빛의 반사를 방지하기 위해 포함될 수 있다. 충진제는 모래(Sand), 실리카, 탈크, 알루미나, 탄산칼륨, 탄산칼슘, 수산화 알루미늄, 산화티탄 및 카본블랙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며, 바람직하게는 실리카이지만, 상기 예시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충진제는 바인더와 혼합하여, 치과용 레진으로 구성되는 턱관절 교정장치와의 결합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포함되는 것이다.
상기 항균 물질은 이소프로필 메틸페놀(Isopropyl methyl phenol), 페녹시에탄올(Phenoxyethanol), 클로록실레놀(Chloroxylenol), 에틸헥실글리세린(Ethylhexylglycerin), 글리세릴 카프릴레이트(Glyceryl caprylate), 티몰(Thymol), 칼슘 포스페이트-은 화합물 복합체(Calcium phosphate-silver compound complex) 및 은이온-실리케이트 복합체(Silver ion-silicate complex)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항균 물질에 천연 항균 물질을 혼합하여, 항균성을 보다 극대화할 수 있다. 상기 천연 항균 물질은 작살나무 추출물(Callicarpa japonica Thunb.0) 및 괴불나무 추출물(Lonicera maackii (Rupr.) Maxim.)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 항균 물질로, 칼슘 포스페이트-은 화합물 복합체를 이용할 수 있고, 천연 항균 물질로, 작살나무 추출물 및 괴불나무 추출물을 선택하여 이용할 수 있다.
이때, 칼슘 포스페이트-은 화합물 복합체, 작살나무 추출물 및 괴불나무 추출물을 1:0.1:0.1 내지 1:0.5:0.5의 중량 비율로 혼합하여 항균 물질로 이용할 경우, 칼슘 포스페이트-은 화합물 복합체만을 항균 물질로 포함하는 경우이 비해, 천현 항균 물질을 혼합함에 따라, 항균 효과가 증가하고, 천연 항균 물질을 사용함에 따라, 구강 내에서의 사용 시 부작용의 발생 문제가 적어진다고 할 것이다.
[제조예: 치과용 레진의 제조]
1. 실시예 1
하기 화학식 2, 화학식 3, 화학식 5 및 화학식 6으로 표시되는 아크릴레이트계 수지 및 필러를 혼합하여, 기질레진을 제조하였고, 상기 필러는 barium-silicate glass, silanated quartz filler 및 strontium glass filler를 혼합한 혼합 필러를 사용하였다:
[화학식 2]
Figure 112018054021601-pat00024
[화학식 3]
Figure 112018054021601-pat00025
[화학식 5]
Figure 112018054021601-pat00026
[화학식 6]
Figure 112018054021601-pat00027
이후, 2-dimethylamino ethyl methacrylate(DMAEMA), 2-(Dimethylamino)ethyl methacrylate(DEMA) 및 Butylated hydroxytoluene(BHT)를 넣고 혼합하여 레진 매트릭스를 제조하였다.
상기 레진 매트릭스를 직사광선이 차단되고, 5 내지 10℃, 습도 70% 미만 조건 하에서 1 내지 2일 동안 보관하여 이갈이 교정유지 장치용 레진을 제조하였다.
기질레진은 상기 화학식 5, 화학식 2, 화학식 3 및 화학식 6로 표시되는 아크릴레이트계 수지는 2:5:1:1의 중량비율로 혼합하여 사용하였으며, 상기 필러는 2-dimethylamino ethyl methacrylate(DMAEMA), 2-(Dimethylamino)ethyl methacrylate(DEMA) 및 Butylated hydroxytoluene(BHT)를 1:1:0.5의 중량 비율로 혼합한 복합필러를 사용하였다.
상기 기질레진 100 중량부에 대하여, 필러 40 중량부, 2-dimethylamino ethyl methacrylate(DMAEMA) 1 중량부, 2-(Dimethylamino)ethyl methacrylate(DEMA) 1 중량부 및 Butylated hydroxytoluene(BHT) 1 중량부를 포함한다.
2. 실시예 2
상기 기질레진 100 중량부에 대하여, 필러 10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제조하였다.
3. 실시예 3
상기 기질레진 100 중량부에 대하여, 필러 70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제조하였다.
4. 실시예 4
상기 기질레진 100 중량부에 대하여, 필러 100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제조하였다.
5. 실시예 5
기질레진을 상기 화학식 5, 화학식 2, 화학식 3 및 화학식 6로 표시되는 아크릴레이트계 수지는 2:7:1:1의 중량비율로 혼합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제조하였다.
6. 실시예 6
상기 필러는 2-dimethylamino ethyl methacrylate(DMAEMA), 2-(Dimethylamino)ethyl methacrylate(DEMA) 및 Butylated hydroxytoluene(BHT)를 1:1:1의 중량 비율로 혼합한 복합필러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제조하였다.
7. 실시예 7
상기 화학식 5의 아크릴레이트계 수지 대신 하기 화학식 7의 아크릴레이트계 수지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제조하였다:
[화학식 7]
Figure 112018054021601-pat00028
8. 실시예 8
상기 화학식 5의 아크릴레이트계 수지 대신 상기 화학식 7의 아크릴레이트계 수지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5와 동일하게 제조하였다.
9. 실시예 9
상기 화학식 5의 아크릴레이트계 수지 대신 상기 화학식 7의 아크릴레이트계 수지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6과 동일하게 제조하였다.
10. 실시예 10
상기 화학식 5의 아크릴레이트계 수지 대신 하기 화학식 11의 아크릴레이트계 수지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제조하였다:
[화학식 11]
Figure 112018054021601-pat00029
2. 코팅 조성물의 제조
톨루엔, 하기 화학식 10 또는 화학식 12으로 표시되는 바인더, 실리카, 칼슘 포스페이트-은 화합물 복합체, 작살나무 추출물 및 괴불나무 추출물을 혼합하여 코팅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화학식 10]
Figure 112018054021601-pat00030
[화학식 12]
Figure 112018054021601-pat00031
여기서,
n은 2 내지 100의 정수이다.
보다 구체적인 함량은 하기 표 1과 같다.
CT1 CT2 CT3 CT4 CT5 CT6 CT7 CT8 CT9 CT10
톨루엔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바인더 1 1 5 15 30 50 - - - - -
바인더 2 - - - - - 1 5 15 30 50
실리카 1 5 7 10 15 1 5 7 10 15
칼슘 포스페이트-은 화합물 복합체 0.1 0.5 1 5 10 0.1 0.5 1 5 10
작살나무 추출물 0.01 0.25 0.1 2.5 5 0.01 0.25 0.1 2.5 5
괴불나무 추출물 0.01 0.25 0.1 2.5 5 0.01 0.25 0.1 2.5 5
(단위 중량부)
[실험예 1: 턱관절 교정 장치용 레진의 물리적 특성 평가]
상기 실시예 1 내지 10의 레진을 400 mW/cm2의 광도로 광조사 후, 30 내지 60℃로 가열하고, 물리적 특성을 평가하였다.
굽힘 특성 측정은 재료 시험기 (Instron 3344, MA, USA)를 이용하여 지점간 거리 20 mm의 치구에 올려놓고 3점 굽힘 시험으로 결정하였다. 1.0 mm/min의 하중속도로 실시 하였다. 3점 굽힘 강도(3-point FS, σ)는 하기 수학식 1, 굽힘 탄성계수 (FM, E)는 하기 수학식 2에 의하여 결정하였다.
[수학식 1]
S=3PL/4bd2
[수학식 2]
E=L3m/4bd3
S는 3점 굽힘 강도이며, P는 최대 부하 압력(the max load applied)이며, L은 지점간 거리, b는 샘플의 넓이이며, d는 샘플의 두께, m은 하중-변형률 관계에서의 직선부 기울기(N/mm)이다.
굽힘강도(MPa) 굽힘 탄성 계수
실시예 1 81.0 5.51
실시예 2 76.5 6.22
실시예 3 82.1 5.56
실시예 4 74.2 6.43
실시예 5 81.1 5.54
실시예 6 97.9 3.79
실시예 7 83.1 5.98
실시예 8 81.6 5.87
실시예 9 98.2 3.60
실시예 10 82.1 5.15
실시예 1 내지 10의 굽힘강도의 측정 결과는 상기 표 1과 같다. 3점 굽힘 강도의 측정 결과가 클수록, 굽힘 탄성 계수의 값은 작아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2: 항균 특성 평가]
상기 실험예 1의 굽힘 특성에서 우수한 평가를 받은 실험예 6에 대해, CT1 내지 CT10의 코팅 조성물에 침지 시키고, 건조하여 코팅층을 형성한 이후, 항균 특성을 평가하였다.
코팅층을 형성한 이후, 대장균을 접종하고 24시간 경과 후 균의 농도를 측정하였고, 그 결과는 하기의 표 3과 같다.
초기 농도(CFU/mL) 24시간 후의 log(CFU/mL) 세균 감소율(%)
CT 1 1.00ⅹ105 2.65 91.5
CT 2 1.00ⅹ105 0 100
CT 3 1.00ⅹ105 0 90.5
CT 4 1.00ⅹ105 0 92
CT 5 1.00ⅹ105 2.81 90.6
CT 6 1.00ⅹ105 2.82 90.5
CT 7 1.00ⅹ105 0 100
CT 8 1.00ⅹ105 0 100
CT 9 1.00ⅹ105 0 100
CT 10 1.00ⅹ105 2.60 92
(CFU는 균의 수를 개념적으로 표시한 것이다)상기 표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CT 2 내지 4, CT 7 내지 9의 코팅 조성물을 이용하여 코팅층을 형성한 경우에는 항균 효과가 우수함을 확인하였다.
설명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하여져야만 할 것이다.
1:윗니, 2:아랫니,
10:왼쪽 어금니, 11:오른쪽 어금니,
20:브라켓, 30:종래 교합안정장치부,
100:제1 쿠션부, 110:제1 내측면부,
120:제2 외측면부, 130:제1 상면부,
200:제2 쿠션부, 210:제2 내측면부,
220:제2 외측면부, 230:제2 상면부,
300:와이어부.

Claims (8)

  1. 왼쪽 어금니의 외면을 따라 형성되는 제1 쿠션부;
    오른쪽 어금니의 외면을 따라 형성되는 제2 쿠션부; 및
    상기 제1 쿠션부와 상기 제2 쿠션부를 잇되, 치아 형상에 따라 아치형을 이루는 와이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쿠션부 및 제2 쿠션부는 치과용 레진으로 구성되며,
    상기 치과용 레진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아크릴레이트계 수지;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아크릴레이트계 수지;
    하기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아크릴레이트계 수지;
    광개시제;
    촉진제; 및
    억제제를 포함하는
    턱관절 교정장치:
    [화학식 1]
    Figure 112020003568682-pat00045

    [화학식 2]
    Figure 112020003568682-pat00046

    [화학식 3]
    Figure 112020003568682-pat00047

    여기서,
    R1, R2 R3는 서로 동일하거나 상이하며,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중수소, 하이드록시기, 할로겐기 및 탄소수 1 내지 10의 알킬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쿠션부는,
    상기 왼쪽 어금니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삼면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턱관절 교정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쿠션부는,
    상기 오른쪽 어금니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삼면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턱관절 교정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부는,
    상기 제1 쿠션부와 상기 제2 쿠션부를 잇되,
    상기 제1 쿠션부와 상기 제2 쿠션부의 삼면 중 상면 내부를 따라 관통하여 결합되고, 탈부착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턱관절 교정장치.
  5. 삭제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치과용 레진은 하기 화학식 4로 표시되는 아크릴레이트계 수지를 추가로 포함하는
    턱관절 교정장치:
    [화학식 4]
    Figure 112020003568682-pat00035

    여기서,
    R4는 수소, 중수소, 하이드록시기, 할로겐기 및 탄소수 1 내지 10의 알킬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치과용 레진은 barium-silicate glass, silanated quartz filler, strontium glass filler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필러를 추가로 포함하는
    턱관절 교정장치.
KR1020180063174A 2018-06-01 2018-06-01 턱관절 교정장치 KR1020940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3174A KR102094000B1 (ko) 2018-06-01 2018-06-01 턱관절 교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3174A KR102094000B1 (ko) 2018-06-01 2018-06-01 턱관절 교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7242A KR20190137242A (ko) 2019-12-11
KR102094000B1 true KR102094000B1 (ko) 2020-03-26

Family

ID=690034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63174A KR102094000B1 (ko) 2018-06-01 2018-06-01 턱관절 교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94000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00412A (ja) * 2007-06-25 2009-01-08 Nippon Dental Support:Kk 歯列矯正具
US20090130624A1 (en) 2007-11-20 2009-05-21 Benjamin Jiemin Sun Methods and kits for making flexible dental guards
KR101506599B1 (ko) 2013-09-25 2015-03-27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치아 보호기
JP2018000720A (ja) * 2016-07-06 2018-01-11 株式会社Nn 歯科用矯正器具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1485B1 (ko) 2012-06-08 2014-04-04 이영준 치아교정용 턱관절 균형 장치
KR101480608B1 (ko) * 2013-05-13 2015-01-09 박영현 경구개접촉구를 가지는 상악스프린트장치
CN110423311A (zh) * 2014-01-13 2019-11-08 顶科股份有限公司 可光固化的树脂组合物及其在3d打印中用于制造假牙和义齿基托的使用方法
CH709687B1 (de) * 2014-05-23 2018-03-29 Digital Smile Gmbh Kieferorthopädische Apparatur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kieferorthopädischen Apparatur.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00412A (ja) * 2007-06-25 2009-01-08 Nippon Dental Support:Kk 歯列矯正具
US20090130624A1 (en) 2007-11-20 2009-05-21 Benjamin Jiemin Sun Methods and kits for making flexible dental guards
KR101506599B1 (ko) 2013-09-25 2015-03-27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치아 보호기
JP2018000720A (ja) * 2016-07-06 2018-01-11 株式会社Nn 歯科用矯正器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7242A (ko) 2019-1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Manso et al. Dental cements for luting and bonding restorations: Self-adhesive resin cements
Gomes et al. Prefabricated composite resin veneers–A clinical review
Mannocci et al. Restoration of endodontically treated teeth
Guess et al. Prospective clinical study of press-ceramic overlap and full veneer restorations: 7-year results.
Kiremitci et al. Six-year clinical evaluation of packable composite restorations
Andrikopoulou et al. Modified PEEK resin bonded fixed dental prosthesis for a young cleft lip and palate patient
Bompolaki et al. Resin-based composites for direct and indirect restorations: Clinical applications, recent advances, and future trends
US8075307B2 (en) Polymerizable temporary coating methods and systems for intraoral devices
Singh et al. Overview and recent advances in composite resin: A review
Francisconi-dos-Rios et al. Functional and aesthetic rehabilitation in posterior tooth with bulk-fill resin composite and occlusal matrix
Gargari et al. Restoration of anterior teeth using an indirect composite technique. Case report
Fragkou et al. Tensile bond characteristics between composite resin and resin-modified glass-ionomer restoratives used in the open-sandwich technique
Choudhari et al. Knowledge, awareness, and perception regarding occlusal stamp technique for composite restorations
KR102094000B1 (ko) 턱관절 교정장치
Bhargava et al. Immediate fixed temporization with a natural tooth crown pontic following failure of replantation
KR102093997B1 (ko) 치아교정 속도증가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081691B1 (ko) 이갈이교정 유지장치
Cengiz et al. Adhesive fragment reattachment after orthodontic extrusion: a case report
Raj et al. Longevity of posterior composite restorations
Krug et al. Influence of proximal contacts and FRC posts on the fracture behavior of premolars with class II composite restorations: an in-vitro study
KR101921568B1 (ko) 비금속성 형상기억폴리머를 포함한 치과 치료용 임시 의치
Badalotti et al. A conservative full-mouth ceramic rehabilitation for a severely worn dentition.
Nair et al. Management of crown root fracture by interdisciplinary approach
KR101806138B1 (ko) 유기계 점증제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치과용 수복재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Andreescu et al. Dimethacrylate based composite resins for interim restorations in achievement ceramic veneer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