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93316B1 - the building map platform system for benchmarking and the method for as the same - Google Patents

the building map platform system for benchmarking and the method for as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93316B1
KR102093316B1 KR1020190166336A KR20190166336A KR102093316B1 KR 102093316 B1 KR102093316 B1 KR 102093316B1 KR 1020190166336 A KR1020190166336 A KR 1020190166336A KR 20190166336 A KR20190166336 A KR 20190166336A KR 102093316 B1 KR102093316 B1 KR 1020933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ilding
survey
map
platform system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66336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덕우
이종원
Original Assignee
한국건설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건설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건설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901663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93316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933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9331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29/00Maps; Plans; Charts; Diagrams, e.g. route diagram
    • G09B29/003Maps
    • G09B29/006Representation of non-cartographic information on maps, e.g. population distribution, wind direction, radiation levels, air and sea routes
    • G09B29/007Representation of non-cartographic information on maps, e.g. population distribution, wind direction, radiation levels, air and sea routes using computer metho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522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cology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uilding map platform system capable of being benchmarked by a third party, which has excellent transmissibility of state information, and an operating method thereof. The operating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n investigation item input step; an information processing step; and a visualization step.

Description

제3자의 벤치마킹이 가능한 건축물 지도 플랫폼 시스템 및 이의 운용방법{the building map platform system for benchmarking and the method for as the same}The building map platform system for benchmarking and the method for as the same}

본 발명은 수작업으로 조사하고 이를 단순히 엑셀차트 등의 자료로만 정리되던 종래의 건축물 정보 수집 및 처리 시스템에서 벗어나, 전용 어플리케이션을 사용하여 건물의 지도에 조사사항을 시각화하여 출력하므로 이용자로 하여금 시각적으로 직감할 수 있어 상태정보의 전달성이 우수하고, 제3자가 거시적 차원 및 미시적 차원에서 조사사항을 비교하여 이용할 수 있는 조사사항을 시각화하는 건축물 지도 플랫폼 시스템 및 이의 운용방법, 제3자의 벤치마킹이 가능한 건축물 지도 플랫폼 시스템 및 이의 운용방법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deviates from the conventional building information collection and processing system, which was manually surveyed and simply arranged as data such as an Excel chart, and visualized and output the survey information on the map of the building using a dedicated application, so that the user can visually intuitive Building map platform system and its operation method to visualize investigations that can be used by third parties by comparing investigations at the macroscopic and microscopic levels, and the third-party benchmarking structures It provides a map platform system and its operation method.

도 1은 종래의 조사사항의 처리방법을 도시한 것이다.1 shows a method of processing a conventional investigation.

도시된 바와 같이,As shown,

종래에는 건물과 연계된 정보를 단순히 엑셀차트로 보여주거나 벤다이어그램 등의 단순한 통계로만 계시되었다.In the past, information related to buildings was simply shown in Excel charts or revealed only by simple statistics such as a Venn diagram.

종래에는 가구, 주택, 주거환경 등 실태조사 정보를 수집하는 경우, 현장조사와 개별면담 등 수행하게 된다. Conventionally, in the case of collecting survey information such as furniture, housing, and residential environment, field surveys and individual interviews are conducted.

이러한 기존의 정보 수집방법은 조사관이 직접 종이설문지를 가지고 다니므로 조사규모가 커질수록 조사시간과 종이설문을 전산화하는 시간과 비용이 급격하게 증가한다. In the existing method of collecting information, since the investigator carries the paper questionnaire directly, the time and cost of computerizing the questionnaire and the paper survey increases rapidly as the survey size increases.

그리고 각 가구별, 건물별로 모든 정보를 기입하게 되면서 문항수가 늘어날수록 시간과 비용이 증가한다. In addition, as all information is entered for each household and building, the time and cost increase as the number of questions increases.

또한, 설문응답을 숫자나 텍스트 형식으로만 각 파일별로 정리하여 개별적으로 보관하므로 직관적으로 건축물 단위로 상태정보를 파악하기 어렵다. In addition, it is difficult to intuitively grasp the status information in units of buildings because the questionnaire responses are organized and stored individually for each file only in the form of numbers or text.

이에 본 발명자는 기존의 문제점을 개선하여,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or has improved the existing problems,

수작업으로 조사하고 이를 단순히 엑셀차트 등의 자료로만 정리되던 종래의 건축물 정보 수집 및 처리 시스템에서 벗어나, 전용 어플리케이션을 사용하여 건물의 지도에 조사사항을 시각화하여 출력하므로 이용자로 하여금 시각적으로 직감할 수 있어 상태정보의 전달성이 우수하고, 제3자가 거시적 차원 및 미시적 차원에서 조사사항을 비교하여 이용할 수 있는 조사사항을 시각화하는 건축물 지도 플랫폼 시스템 및 이의 운용방법, 제3자의 벤치마킹이 가능한 건축물 지도 플랫폼 시스템 및 이의 운용방법을 개발하기에 이르렀다.It deviates from the conventional building information collection and processing system, which was researched by hand and simply arranged as an Excel chart or the like, and visualized and printed the survey information on the map of the building using a dedicated application, so that the user can visually intuition. Building map platform system and its operation method, building map platform system capable of benchmarking by a third party, which visualizes investigations that are excellent in the delivery of status information, and which can be used by comparing investigations at a macroscopic and microscopic level And its operation method.

[문헌 1]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094511호 ‘웹 문서를 이용하여 설문조사용 질의문의 결과를 획득하는 시스템’, 2011년12월08일[Document 1] Republic of Korea Patent Registration No. 10-1094511 'A system for obtaining the results of a questionnaire for questionnaire survey using web documents', 08/08/2011 [문헌 2]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795345호 ‘가상현실 설문조사 시스템’, 2017년11월01일[Document 2] Republic of Korea Patent Registration No. 10-1795345 'Virtual Reality Survey System', November 1, 2017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서 제시되는 것이다. 그 목적은 수작업으로 조사하고 이를 단순히 엑셀차트 등의 자료로만 정리되던 종래의 건축물 정보 수집 및 처리 시스템에서 벗어나, 전용 어플리케이션을 사용하여 건물의 지도에 조사사항을 시각화하여 출력하므로 이용자로 하여금 시각적으로 직감할 수 있어 상태정보의 전달성이 우수하고, 제3자가 거시적 차원 및 미시적 차원에서 조사사항을 비교하여 이용할 수 있는 조사사항을 시각화하는 건축물 지도 플랫폼 시스템 및 이의 운용방법, 제3자의 벤치마킹이 가능한 건축물 지도 플랫폼 시스템 및 이의 운용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is proposed to solve the problems as described above. Its purpose is to devise from the conventional building information collection and processing system, which was manually surveyed and simply organized into data such as Excel charts, and visualized and displayed the survey information on the map of the building using a dedicated application so that the user can visually intuition. The building map platform system and its operation method to visualize the survey information that can be used by comparing the survey information at the macroscopic and microscopic dimensions with excellent transmission of status information, and third-party benchmarking It is intended to provide a map platform system and its operation method.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전용 어플리케이션을 사용하여 서버와 인터넷상에서 연동되는 것으로,In order to solve the above technical problem, the present invention is to be interlocked on a server and the Internet using a dedicated application,

조사자가 상기 전용 어플리케이션을 사용하여 건물의 조사사항을 입력하면,If the investigator enters the building survey using the dedicated application,

상기 서버로 조사사항이 전송되고,Surveys are sent to the server,

상기 서버의 분석모듈은 미리 구축된 상기 건물의 공간정보 별로 상기 조사사항을 저장처리하며,The analysis module of the server stores and processes the survey information for each spatial information of the building that has been previously constructed.

상기 서버의 출력모듈은 상기 전용 어플리케이션을 통하여 건물의 지도에 상기 조사사항을 시각화하여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사사항을 시각화하는 건축물 지도 플랫폼 시스템을 제공한다.The output module of the server provides a building map platform system for visualizing the survey matter, characterized in that the survey matter is visualized and output on the map of the building through the dedicated application.

더불어 상기 조사사항을 시각화하는 건축물 지도 플랫폼 시스템을 이용한 것으로,In addition, by using the building map platform system to visualize the survey,

(1) 조사자가 상기 전용 어플리케이션을 사용하여 건물의 조사사항을 입력하는 조사사항입력단계;(1) an investigation matter input step in which an investigator inputs the investigation matter of the building using the dedicated application;

(2) 상기 서버는 상기 조사사항은 분석하여 미리 구축된 상기 건물의 공간정보 별로 상기 조사사항을 저장처리하는 정보처리단계;(2) the server analyzes the survey information and stores the survey information for each spatial information of the building that is pre-built; an information processing step;

(3) 상기 서버는 상기 전용 어플리케이션을 통하여 건물의 지도에 상기 조사사항을 시각화하여 출력하는 시각화단계;(3) the server visualizes and outputs the survey on the map of the building through the dedicated application;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사사항을 시각화하는 건축물 지도 플랫폼 시스템의 운용방법을 제공한다.It provides a method of operating a building map platform system to visualize the investigation, characterized in that comprises a.

그리고 전용 어플리케이션을 사용하여 서버와 인터넷상에서 연동되는 것으로,And by using a dedicated application to be linked to the server and the Internet,

조사자가 상기 전용 어플리케이션을 사용하여 건물의 조사사항을 입력하면,If the investigator enters the building survey using the dedicated application,

상기 서버로 조사사항이 전송되고,Surveys are sent to the server,

상기 서버의 분석모듈은 미리 구축된 상기 건물의 공간정보 별로 상기 조사사항을 저장처리하며,The analysis module of the server stores and processes the survey information for each spatial information of the building that has been previously constructed.

상기 서버의 출력모듈은 상기 전용 어플리케이션을 통하여 건물의 지도에 상기 조사사항을 시각화하여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사사항을 시각화하는 건축물 지도 플랫폼 시스템에서,The output module of the server is a building map platform system for visualizing the survey matter, characterized in that the output of the survey information on the map of the building through the dedicated application,

제3자가 상기 전용 어플리케이션을 사용하여 자신의 건물 또는 공간과 다른 건물 또는 공간의 조사사항을 비교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3자의 벤치마킹이 가능한 건축물 지도 플랫폼 시스템을 제공한다.A third-party benchmarking architecture map platform system is provided, wherein a third party can compare his building or space with other buildings or spaces using the dedicated application.

더불어 상기 제3자의 벤치마킹이 가능한 건축물 지도 플랫폼 시스템을 이용한 것으로,In addition, by using the building map platform system capable of benchmarking the third party,

(1) 조사자가 상기 전용 어플리케이션을 사용하여 건물의 조사사항을 입력하는 조사사항입력단계;(1) an investigation matter input step in which an investigator inputs the investigation matter of the building using the dedicated application;

(2) 상기 서버는 상기 조사사항은 분석하여 미리 구축된 상기 건물의 공간정보 별로 상기 조사사항을 저장처리하는 정보처리단계;(2) the server analyzes the survey information and stores the survey information for each spatial information of the building that is pre-built; an information processing step;

(3) 제3자가 상기 전용 어플리케이션을 사용하여 자신의 건물 또는 공간과 비교대상이 되는 건물 또는 공간을 선택하는 비교대상선택단계;(3) a comparison target selection step in which a third party selects a building or space to be compared with his / her own building or space using the dedicated application;

(4) 상기 서버는 상기 전용 어플리케이션을 통하여 상기 제3자의 건물 또는 공간의 지도에 상기 조사사항을 시각화하여 출력하는 시각화단계;(4) the server visualizes and outputs the survey on the map of the building or space of the third party through the dedicated application;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사사항을 시각화하는 건축물 지도 플랫폼 시스템의 운용방법을 제공한다.It provides a method of operating a building map platform system to visualize the investigation, characterized in that comprises a.

본 발명에 따르면 수작업으로 조사하고 이를 단순히 엑셀차트 등의 자료로만 정리되던 종래의 건축물 정보 수집 및 처리 시스템에서 벗어나, 전용 어플리케이션을 사용하여 건물의 지도에 조사사항을 시각화하여 출력하므로 이용자로 하여금 시각적으로 직감할 수 있어 상태정보의 전달성이 우수하고, 제3자가 거시적 차원 및 미시적 차원에서 조사사항을 비교하여 이용할 수 있는 조사사항을 시각화하는 건축물 지도 플랫폼 시스템 및 이의 운용방법, 제3자의 벤치마킹이 가능한 건축물 지도 플랫폼 시스템 및 이의 운용방법을 제공한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deviates from the conventional building information collection and processing system, which was manually surveyed and simply arranged as an Excel chart or the like, and visualized and outputs the survey information on the map of the building using a dedicated application, allowing the user to visually The building map platform system and its operation method and the third-party benchmarking are possible to visualize the surveys that can be used by comparing surveys at the macroscopic and microscopic dimensions. Building map platform system and its operation method are provided.

도 1은 종래의 조사사항의 처리방법을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조사사항을 시각화하는 건축물 지도 플랫폼 시스템 및 이의 운용방법의 개념을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조사사항을 시각화하는 건축물 지도 플랫폼 시스템 및 이의 운용방법에서 2D 및 3D 구현의 개념을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조사사항을 시각화하는 건축물 지도 플랫폼 시스템 및 이의 운용방법에서 3D 구현을 위한 상세 개념을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조사사항을 시각화하는 건축물 지도 플랫폼 시스템 및 이의 운용방법에서 조사사항에 따른 각 항목과 만족도 점수, 가중치, 가중치 결정방법 등을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도 3에서 2D로 구현한 실시예이다.
도 7 내지 9는 도 3에서 3D로 구현한 실시예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조사사항을 시각화하는 건축물 지도 플랫폼 시스템 및 이의 운용방법에서 전체적인 개념을 도시한 것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조사사항을 시각화하는 건축물 지도 플랫폼 시스템 및 이의 운용방법에서 공간에 기반을 둔 개념을 도시한 것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조사사항을 시각화하는 건축물 지도 플랫폼 시스템 및 이의 운용방법의 개념을 순서도로 도시한 것이다.
도 13 내지 22는 본 발명의 조사사항을 시각화하는 건축물 지도 플랫폼 시스템 및 이의 운용방법과 제3자의 벤치마킹이 가능한 건축물 지도 플랫폼 시스템 및 이의 운용방법을 실제 어플리케이션으로 구현한 실시예이다.
도 23 내지 24는 본 발명의 제3자의 벤치마킹이 가능한 건축물 지도 플랫폼 시스템 및 이의 운용방법의 개념을 도시한 것이다.
도 25는 본 발명의 제3자의 벤치마킹이 가능한 건축물 지도 플랫폼 시스템 및 이의 운용방법에서 거시차원 및 미시차원으로 점수를 부여하는 실시예이다.
도 26은 본 발명의 제3자의 벤치마킹이 가능한 건축물 지도 플랫폼 시스템 및 이의 운용방법에서 조사사항에 따른 각 항목과 만족도 점수, 가중치, 가중치 결정방법 등을 도시한 것이다.
도 27은 본 발명의 제3자의 벤치마킹이 가능한 건축물 지도 플랫폼 시스템 및 이의 운용방법에서 최종 점수화 과정을 도시한 것이다.
도 28 내지 32는 본 발명의 제3자의 벤치마킹이 가능한 건축물 지도 플랫폼 시스템 및 이의 운용방법에서 설문 조사사항의 실시예이다.
1 shows a method of processing a conventional investigation.
Figure 2 shows the concept of a building map platform system and its operation method to visualize the investig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3 illustrates the concept of 2D and 3D implementation in a building map platform system for visualizing investiga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FIG. 4 illustrates a detailed concept for 3D implementation in a building map platform system for visualizing investiga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5 illustrates each item and satisfaction score, weight, and weight determination method according to the survey matter in the building map platform system for visualizing the survey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ts operation method.
6 is an embodiment implemented in 2D in FIG. 3.
7 to 9 is an embodiment implemented in 3D in FIG.
FIG. 10 shows the overall concept in the building map platform system for visualizing the investig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ts operation method.
11 illustrates a concept based on space in the building map platform system for visualizing the investig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ts operating method.
1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the concept of a building map platform system and its operation method for visualizing the investig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13 to 22 are embodiments of a building map platform system for visualizing the survey matter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and a building map platform system capable of benchmarking a third party and a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as a real application.
23 to 24 illustrate the concept of a building map platform system and a method for operating the third-party benchmarking of the present invention.
25 is an embodiment in which a score is given in a macroscopic and microscopical dimension in a building map platform system capable of benchmarking by a third party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FIG. 26 is a diagram illustrating each item, satisfaction score, weight, and weight determination method according to the survey in the building map platform system capable of benchmarking by a third party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ts operation method.
27 illustrates a final scoring process in a building map platform system capable of benchmarking a third party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28 to 32 are exemplary embodiments of a questionnaire in a building map platform system capable of benchmarking a third party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n operation method thereof.

이하 첨부한 도면과 함께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개념이 바람직하게 구현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through an embodiment in which th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is preferably implemented together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후술하는 조사사항을 시각화하는 건축물 지도 플랫폼 시스템 및 이의 운용방법과 제3자의 벤치마킹이 가능한 건축물 지도 플랫폼 시스템 및 이의 운용방법은 상호 병행 또는 융합되여 보완 적용됨을 미리 밝혀둔다.It is revealed in advance that the building map platform system and its operating method for visualizing the investigations to be described later, and the building map platform system and its operating method capable of benchmarking by a third party are applied in parallel or by convergence.

Ⅰ. 조사사항을 시각화하는 건축물 지도 플랫폼 시스템 및 이의 운용방법Ⅰ. Building map platform system to visualize investigations and its operation method

도 2는 본 발명의 조사사항을 시각화하는 건축물 지도 플랫폼 시스템 및 이의 운용방법의 개념을 도시한 것이다.Figure 2 shows the concept of a building map platform system and its operation method to visualize the investig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주소바탕 온라인 설문조사 응답정보를 건축물 단위로 가시화해주는 지도 플랫폼으로써, 기존의 단편적인 응답결과를 보여주는 것을 넘어 시각적 및 시계열적으로 직관적인 결과를 보여주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As illustrated, the present invention is a map platform that visualizes address-based online survey response information in units of buildings, and aims to show visually and timely intuitive results in addition to showing existing fragmented response results.

본 발명의 조사사항을 시각화하는 건축물 지도 플랫폼 시스템은,Building map platform system for visualizing the investig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전용 어플리케이션을 사용하여 서버와 인터넷상에서 연동되는 것으로,It is linked to the server and the Internet using a dedicated application.

조사자가 상기 전용 어플리케이션을 사용하여 건물의 조사사항을 입력하면,If the investigator enters the building survey using the dedicated application,

상기 서버로 조사사항이 전송되고,Surveys are sent to the server,

상기 서버의 분석모듈은 미리 구축된 상기 건물의 공간정보 별로 상기 조사사항을 저장처리하며,The analysis module of the server stores and processes the survey information for each spatial information of the building that has been previously constructed.

상기 서버의 출력모듈은 상기 전용 어플리케이션을 통하여 건물의 지도에 상기 조사사항을 시각화하여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output module of the server is characterized by visualizing and outputting the investigation on a map of a building through the dedicated application.

도 3은 본 발명의 조사사항을 시각화하는 건축물 지도 플랫폼 시스템 및 이의 운용방법에서 2D 및 3D 구현의 개념을 도시한 것이고,Figure 3 illustrates the concept of 2D and 3D implementation in the building map platform system and its operation method for visualizing the investig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조사사항을 시각화하는 건축물 지도 플랫폼 시스템 및 이의 운용방법에서 3D 구현을 위한 상세 개념을 도시한 것이다.FIG. 4 illustrates a detailed concept for 3D implementation in a building map platform system for visualizing investiga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도 6은 도 3에서 2D로 구현한 실시예이고,6 is an embodiment implemented in 2D in FIG. 3,

도 7 내지 9는 도 3에서 3D로 구현한 실시예이다.7 to 9 is an embodiment implemented in 3D in FIG.

도시된 바와 같이,As shown,

본 발명에서 상기 건물의 지도는 2D 또는 3D로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건물의 지도는 건물의 폴리곤 데이터와 건축물 대장정보를 연계하여 3D로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map of the building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implemented in 2D or 3D, and the map of the building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implemented in 3D by linking the polygon data of the building and the building register information.

구체적으로 도면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drawings are as follows.

도 6은 영등포구 지역의 50개 주거빈곤층 실태조사응답을 가시화한 화면이다.6 is a screen visualization of the response to the survey of 50 poor living in Yeongdeungpo-gu area.

도 7은 실태조사 설문 응답 결과를 지도 위에 건물과 색상으로 표현한 것으로써 2D 지도, 3D 지도, 브이월드 3D 지도로 전환해서 결과를 확인할 수 있다. 이때 확대/축소/회전 등이 가능하고, 리커트 척도 설문조사 응답결과 문항점수를 색상으로 표시하여 건물별 항목 점수의 높음과 낮음을 한눈에 파악(예: 빨강(낮은점수), 노란(보통), 초록(높은점수))할 수 있다.7 is a representation of the results of the survey results on the map with buildings and colors, and the results can be confirmed by switching to 2D maps, 3D maps, and VWorld 3D maps. At this time, it is possible to zoom in / out, rotate, etc., and check the high and low points of item scores for each building at a glance by displaying the item scores as a result of the survey result of the Likert scale survey (e.g. red (low score), yellow (normal) , Green (high score).

도 8은 사용자가 도 7의 지도의 건물에 마우스를 클릭하여 해당 건물의 설문 응답결과를 확인할 수 있음을 나타낸 것이며, 연도를 부분하여 과거 및 현재 설문 이력 조회하고 비교할 수 있다.(아카이브 기능)FIG. 8 shows that the user can check the questionnaire response result of the corresponding building by clicking the mouse on the building of the map of FIG. 7, and the past and present questionnaire history can be searched and compared by partially dividing the year (archive function).

도 9는 브이월드 3D 지도 연계를 통해 실태조사 응답 건물의 실제 외관과 위치를 정확하게 파악한 것으로, 현장 방문 시 건물 위치를 확인 것이 편리하다.FIG. 9 accurately identifies the actual appearance and location of the building in response to the actual survey through the connection of the V World 3D map, and it is convenient to check the location of the building when visiting the site.

도 5는 본 발명의 조사사항을 시각화하는 건축물 지도 플랫폼 시스템 및 이의 운용방법에서 조사사항에 따른 각 항목과 만족도 점수, 가중치, 가중치 결정방법 등을 도시한 것이다.5 illustrates each item and satisfaction score, weight, and weight determination method according to the survey matter in the building map platform system for visualizing the survey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ts operation method.

도 10은 본 발명의 조사사항을 시각화하는 건축물 지도 플랫폼 시스템 및 이의 운용방법에서 전체적인 개념을 도시한 것이다.FIG. 10 shows the overall concept in the building map platform system for visualizing the investig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ts operation method.

도 11은 본 발명의 조사사항을 시각화하는 건축물 지도 플랫폼 시스템 및 이의 운용방법에서 공간에 기반을 둔 개념을 도시한 것이다.11 illustrates a concept based on space in the building map platform system for visualizing the investig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ts operating method.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거주자 만족도를 포함한 조사사항이 게시되는 온라인 3D 플랫폼 설계하는 것으로, As shown, the present invention is to design an online 3D platform where surveys including resident satisfaction are posted,

설문조사를 통해 수집된 정보와 건물의 형상 및 공간 정보가 연계되며,The information collected through the survey is linked to the shape and spatial information of the building,

수집데이터는 3D로 가시화되어 어느 공간(x, y, z)에서 문제가 있는지 파악이 가능하다. 이때 3차원 가시화는 위도, 경도(x, y)와 층수(z) 정보를 수집한 뒤, 설문결과(s)를 맵핑 (x,y,z,s)하고 색상으로 표현하는 방식을 사용할 수 있다.The collected data is visualized in 3D, so it is possible to understand in which space (x, y, z) there is a problem. At this time, for 3D visualization, after collecting latitude, longitude (x, y) and floor number (z) information, a questionnaire result (s) can be mapped (x, y, z, s) and expressed in color. .

도 12는 본 발명의 조사사항을 시각화하는 건축물 지도 플랫폼 시스템 및 이의 운용방법의 개념을 순서도로 도시한 것이다.1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the concept of a building map platform system and its operation method for visualizing the investig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3 내지 22는 본 발명의 조사사항을 시각화하는 건축물 지도 플랫폼 시스템 및 이의 운용방법과 제3자의 벤치마킹이 가능한 건축물 지도 플랫폼 시스템 및 이의 운용방법을 실제 어플리케이션으로 구현한 실시예이다.13 to 22 are embodiments of a building map platform system for visualizing the survey matter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and a building map platform system capable of benchmarking a third party and a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as a real application.

본 발명의 조사사항을 시각화하는 건축물 지도 플랫폼 시스템의 운용방법은,The operation method of the building map platform system for visualizing the investig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조사사항을 시각화하는 건축물 지도 플랫폼 시스템을 이용한 것으로,Using the building map platform system to visualize the survey matters,

(1) 조사자가 상기 전용 어플리케이션을 사용하여 건물의 조사사항을 입력하는 조사사항입력단계;(1) an investigation matter input step in which an investigator inputs the investigation matter of the building using the dedicated application;

(2) 상기 서버는 상기 조사사항은 분석하여 미리 구축된 상기 건물의 공간정보 별로 상기 조사사항을 저장처리하는 정보처리단계;(2) the server analyzes the survey information and stores the survey information for each spatial information of the building that is pre-built; an information processing step;

(3) 상기 서버는 상기 전용 어플리케이션을 통하여 건물의 지도에 상기 조사사항을 시각화하여 출력하는 시각화단계;(3) the server visualizes and outputs the survey on the map of the building through the dedicated application;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그리고 다른 실시예로써,And as another embodiment,

(1) 조사자가 상기 전용 어플리케이션을 사용하여 건물의 조사사항을 입력하는 조사사항입력단계;(1) an investigation matter input step in which an investigator inputs the investigation matter of the building using the dedicated application;

(1-2) 상기 서버는 건물의 폴리곤 데이터와 건축물 대장정보를 연계하여 3D로 상기 건물의 지도를 생성하는 지도형성단계;(1-2) The server comprises a map forming step of generating a map of the building in 3D by linking the building's polygon data with the building register information;

(2) 상기 서버는 상기 조사사항은 분석하여 미리 구축된 상기 건물의 공간정보 별로 상기 조사사항을 저장처리하는 정보처리단계;(2) the server analyzes the survey information and stores the survey information for each spatial information of the building that is pre-built; an information processing step;

(3) 상기 서버는 상기 전용 어플리케이션을 통하여 건물의 지도에 상기 조사사항을 시각화하여 출력하는 시각화단계;(3) the server visualizes and outputs the survey on the map of the building through the dedicated application;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특징으로 가진다.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following features.

(1) 종이 설문문항을 전산화하여 즉각적인 응답을 기록하고 축적할 수 있는 DB화 시킬 수 있다. 또한, 건축물 주소를 기준으로 건축물대장정보, 건물 에너지정보 등을 자동으로 연계하여 온라인 설문조사 항목의 설문시간을 줄일 수 있다.(1) A computerized questionnaire can be computerized to record and accumulate immediate responses.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shorten the questionnaire time of online survey items by automatically linking building ledger information and building energy information based on the building address.

(2) 국가 부처에서 제공하는 Open API를 활용하여 생성한 건물의 폴리곤 데이터와 건축물 대장정보를 연계하여 3D 건물을 생성한다. (2) 3D buildings are created by linking the building's polygon data with the building register information using the Open API provided by the national ministry.

이 건물들은 온라인 설문조사에 응답값을 가진 주소키를 연계하여 설문조사 응답 값이 지도위에 가구 및 건축물 상태현황정보를 가시화해 준다. 이 상태현황정보는 정기적, 수차례에 걸쳐 응답되는 경우 시계열적으로 어떻게 건축물 상태현황이 변화되어 왔고 어떠한 유지보수가 필요한지 보여줄 수 있다.These buildings link the address key with the response value to the online survey, and the survey response value visualizes the status of furniture and buildings on the map. This status information can show how the status of the building has changed and what maintenance is needed in a time-series manner when it is answered regularly and several times.

본 특허에서 제안하는 온라인 설문조사 수집 및 응답경과를 지도에 가시화한 방법은 다음과 같다.  The method of visualizing the online survey collection and response progress proposed in this patent on the map is as follows.

(1) 웹사이트나 Application을 통해 건물주소별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진행한다.(1) Conduct online surveys by building address through the website or application.

(2) 건축물별로 수집된 응답값은 건축물 주소를 기준으로 정보가 저장된다.(2) The response value collected for each building is stored based on the building address.

(3) 웹브라우저상 건물 2차원 폴리곤 데이터와 건축물 대장의 높이 데이터로 3차원 모델을 생성하고 건축물에 대한 상태현황정보가 말풍선 형태로 가시화 된다.(3) On the web browser, a 3D model is created from the 2D polygon data of the building and the height data of the building ledger, and the status information about the building is visualized in the form of a speech bubble.

(4) 정기적으로, 수차례에 걸쳐 반복되는 설문조사에 경우 건축물 단위별로 응답값의 히스토리를 알 수 있는 아카이브 기능을 가지게 된다. (4) In case of a survey that is repeated several times on a regular basis, it has an archive function that can know the history of response values for each building unit.

따라서 본 발명은 주소기반 온라인 설문조사의 응답 값을 지도 위에 가구 및 건축물 상태현황정보를 즉각적으로 광역적으로 표시할 수 있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can instantly and extensively display the status information of furniture and buildings on the map with the response value of the address-based online survey.

이로써 시민단체에서 정기적으로 수행하는 빈곤가구, 저소득층 가구, 쪽방가구 등 실태조사 시 종이설문을 APP설문으로 전산화하고 DB화하여 통계데이터 관리가 가능하다.As a result, it is possible to manage statistical data by computerizing the paper questionnaire as an APP questionnaire and making DB into a survey of actual conditions such as poverty, low-income households, and households that are regularly conducted by civic groups.

또한 국가 가구실태조사, 주거실태조사의 주소 기반의 지도 플랫폼 개발을 통한 가구별, 주택별, 지역별, 시도별 가시화 분석도 가능하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analyze the visualization of each household, house, region, and city through development of an address-based map platform for the national furniture survey and residential survey.

Ⅱ. 제3자의 벤치마킹이 가능한 건축물 지도 플랫폼 시스템 및 이의 운용방법Ⅱ. Building map platform system capable of third-party benchmarking and its operation method

본 발명의 제3자의 벤치마킹이 가능한 건축물 지도 플랫폼 시스템은,Building map platform system capable of benchmarking a third party of the present invention,

전용 어플리케이션을 사용하여 서버와 인터넷상에서 연동되는 것으로,It is linked to the server and the Internet using a dedicated application.

조사자가 상기 전용 어플리케이션을 사용하여 건물의 조사사항을 입력하면,If the investigator enters the building survey using the dedicated application,

상기 서버로 조사사항이 전송되고,Surveys are sent to the server,

상기 서버의 분석모듈은 미리 구축된 상기 건물의 공간정보 별로 상기 조사사항을 저장처리하며,The analysis module of the server stores and processes the survey information for each spatial information of the building that has been previously constructed.

상기 서버의 출력모듈은 상기 전용 어플리케이션을 통하여 건물의 지도에 상기 조사사항을 시각화하여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사사항을 시각화하는 건축물 지도 플랫폼 시스템에서,The output module of the server is a building map platform system for visualizing the survey matter, characterized in that the output of the survey information on the map of the building through the dedicated application,

제3자가 상기 전용 어플리케이션을 사용하여 자신의 건물 또는 공간과 다른 건물 또는 공간의 조사사항을 비교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t is characterized in that a third party can compare his building or space with other buildings or spaces using the dedicated application.

그리고 상기 건물의 지도는 2D 또는 3D로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And the map of the building is characterized in that implemented in 2D or 3D,

상기 건물의 지도는 건물의 폴리곤 데이터와 건축물 대장정보를 연계하여 3D로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map of the building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implemented in 3D by linking the polygon data of the building with the building register information.

본 발명의 제3자의 벤치마킹이 가능한 건축물 지도 플랫폼 시스템의 운용방법은,Method of operating a building map platform system capable of benchmarking a third party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제3자의 벤치마킹이 가능한 건축물 지도 플랫폼 시스템을 이용한 것으로,Using the building map platform system capable of benchmarking the third party,

(1) 조사자가 상기 전용 어플리케이션을 사용하여 건물의 조사사항을 입력하는 조사사항입력단계;(1) an investigation matter input step in which an investigator inputs the investigation matter of the building using the dedicated application;

(2) 상기 서버는 상기 조사사항은 분석하여 미리 구축된 상기 건물의 공간정보 별로 상기 조사사항을 저장처리하는 정보처리단계;(2) the server analyzes the survey information and stores the survey information for each spatial information of the building that is pre-built; an information processing step;

(3) 제3자가 상기 전용 어플리케이션을 사용하여 자신의 건물 또는 공간과 비교대상이 되는 건물 또는 공간을 선택하는 비교대상선택단계;(3) a comparison target selection step in which a third party selects a building or space to be compared with his / her own building or space using the dedicated application;

(4) 상기 서버는 상기 전용 어플리케이션을 통하여 상기 제3자의 건물 또는 공간의 지도에 상기 조사사항을 시각화하여 출력하는 시각화단계;(4) the server visualizes and outputs the survey on the map of the building or space of the third party through the dedicated application;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그리고 다른 실시예는,And another embodiment,

(1) 조사자가 상기 전용 어플리케이션을 사용하여 건물의 조사사항을 입력하는 조사사항입력단계;(1) an investigation matter input step in which an investigator inputs the investigation matter of the building using the dedicated application;

(1-2) 상기 서버는 건물의 폴리곤 데이터와 건축물 대장정보를 연계하여 3D로 상기 건물의 지도를 생성하는 지도형성단계;(1-2) The server comprises a map forming step of generating a map of the building in 3D by linking the building's polygon data with the building register information;

(2) 상기 서버는 상기 조사사항은 분석하여 미리 구축된 상기 건물의 공간정보 별로 상기 조사사항을 저장처리하는 정보처리단계;(2) the server analyzes the survey information and stores the survey information for each spatial information of the building that is pre-built; an information processing step;

(3) 제3자가 상기 전용 어플리케이션을 사용하여 자신의 건물 또는 공간과 비교대상이 되는 건물 또는 공간을 선택하는 비교대상선택단계;(3) a comparison target selection step in which a third party selects a building or space to be compared with his / her own building or space using the dedicated application;

(4) 상기 서버는 상기 전용 어플리케이션을 통하여 상기 제3자의 건물 또는 공간의 지도에 상기 조사사항을 시각화하여 출력하는 시각화단계;(4) the server visualizes and outputs the survey on the map of the building or space of the third party through the dedicated application;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도 23 내지 24는 본 발명의 제3자의 벤치마킹이 가능한 건축물 지도 플랫폼 시스템 및 이의 운용방법의 개념을 도시한 것이다.23 to 24 illustrate the concept of a building map platform system and a method for operating the third-party benchmarking of the present invention.

구체적으로 도 23은 건물을 기준으로 한 거시적 차원의 벤치마킹을 도시한 것이고,Specifically, FIG. 23 shows a macroscopic benchmarking based on a building,

도 24는 사람과 공간을 기준으로 한 미시적 차원의 벤치마킹을 도시한 것이다.24 shows a microscopic benchmark based on people and space.

도 25는 본 발명의 제3자의 벤치마킹이 가능한 건축물 지도 플랫폼 시스템 및 이의 운용방법에서 거시차원 및 미시차원으로 점수를 부여하는 실시예이다.25 is an embodiment in which a score is given in a macroscopic and microscopical dimension in a building map platform system capable of benchmarking by a third party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구체적으로 도 25는 비교 집단의 분포(박스플롯)과 상대적 위치를 토대로 등급화한 것이다.Specifically, FIG. 25 is graded based on the distribution (box plot) and relative position of the comparison group.

도 26은 본 발명의 제3자의 벤치마킹이 가능한 건축물 지도 플랫폼 시스템 및 이의 운용방법에서 조사사항에 따른 각 항목과 만족도 점수, 가중치, 가중치 결정방법 등을 도시한 것이다.FIG. 26 is a diagram illustrating each item, satisfaction score, weight, and weight determination method according to a survey in a building map platform system capable of benchmarking by a third party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n operation method thereof.

구체적으로 도 26은 거시적 차원과 미시적 차원에서 가중 평균화 방법을 도시한 것이다.Specifically, FIG. 26 shows a weighted averaging method in the macroscopic and microscopic dimensions.

도 27은 본 발명의 제3자의 벤치마킹이 가능한 건축물 지도 플랫폼 시스템 및 이의 운용방법에서 최종 점수화 과정을 도시한 것이다.27 illustrates a final scoring process in a building map platform system capable of benchmarking a third party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구체적으로 도 27은 비교집단(박스풀롯)과 상대적 위치를 토대로 점수화한 것이다.Specifically, FIG. 27 is a score based on a comparison group (box pulllot) and a relative position.

도 28 내지 32는 본 발명의 제3자의 벤치마킹이 가능한 건축물 지도 플랫폼 시스템 및 이의 운용방법에서 설문 조사사항의 실시예이다.28 to 32 are exemplary embodiments of a questionnaire in a building map platform system capable of benchmarking a third party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n operation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상기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며,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 가능하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the preferred embodiment as mentioned above, bu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are possible within the scope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can be used in various fields.

따라서 본 발명의 청구범위는 이건 발명의 진정한 범위 내에 속하는 수정 및 변형을 포함한다.Accordingly, the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that fall within the true scope of the invention.

Claims (5)

전용 어플리케이션을 사용하여 서버와 인터넷상에서 연동되는 것으로,
조사자가 상기 전용 어플리케이션을 사용하여 건물의 조사사항을 입력하면,
상기 서버로 조사사항이 전송되고,
상기 서버의 분석모듈은 미리 구축된 상기 건물의 공간정보 별로 상기 조사사항을 저장처리하며,
상기 서버의 출력모듈은 상기 전용 어플리케이션을 통하여 건물의 지도에 상기 조사사항을 시각화하여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사사항을 시각화하는 건축물 지도 플랫폼 시스템에서,
제3자가 상기 전용 어플리케이션을 사용하여 자신의 건물 또는 공간과 다른 건물 또는 공간의 조사사항을 비교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3자의 벤치마킹이 가능한 건축물 지도 플랫폼 시스템.
It is linked to the server and the Internet using a dedicated application.
If the investigator enters the building survey using the dedicated application,
Surveys are sent to the server,
The analysis module of the server stores and processes the survey information for each spatial information of the building that has been previously constructed.
The output module of the server is a building map platform system for visualizing the survey matter, characterized in that the output of the survey information on the map of the building through the dedicated application,
A third-party benchmarking architecture map platform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a third party can compare his or her buildings or spaces with other buildings or spaces using the dedicated application.
제1항에서,
상기 건물의 지도는 2D 또는 3D로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3자의 벤치마킹이 가능한 건축물 지도 플랫폼 시스템.
In claim 1,
The building map platform system capable of benchmarking a third party, characterized in that the map of the building is implemented in 2D or 3D.
제2항에서,
상기 건물의 지도는 건물의 폴리곤 데이터와 건축물 대장정보를 연계하여 3D로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3자의 벤치마킹이 가능한 건축물 지도 플랫폼 시스템.
In claim 2,
The building map is a building map platform system capable of benchmarking by a third party, characterized in that it is implemented in 3D by linking the building's polygon data and building register information.
제1항의 제3자의 벤치마킹이 가능한 건축물 지도 플랫폼 시스템을 이용한 것으로,
(1) 조사자가 전용 어플리케이션을 사용하여 건물의 조사사항을 입력하는 조사사항입력단계;
(2) 서버는 상기 조사사항을 분석하여 미리 구축된 상기 건물의 공간정보 별로 상기 조사사항을 저장처리하는 정보처리단계;
(3) 제3자가 상기 전용 어플리케이션을 사용하여 자신의 건물 또는 공간과 비교대상이 되는 건물 또는 공간을 선택하는 비교대상선택단계;
(4) 상기 서버는 상기 전용 어플리케이션을 통하여 상기 제3자의 건물 또는 공간의 지도에 상기 조사사항을 시각화하여 출력하는 시각화단계;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사사항을 시각화하는 건축물 지도 플랫폼 시스템의 운용방법.
Using the building map platform system capable of benchmarking third parties of claim 1,
(1) an investigation matter input step in which an investigator inputs a building investigation matter using a dedicated application;
(2) The server analyzes the survey information and stores the survey information for each spatial information of the building that has been constructed in advance.
(3) a comparison target selection step in which a third party selects a building or space to be compared with his / her own building or space using the dedicated application;
(4) the server visualizes and outputs the survey on the map of the building or space of the third party through the dedicated application;
Operating method of the building map platform system to visualize the investigation, characterized in that comprises a.
제3항의 조사사항을 시각화하는 건축물 지도 플랫폼 시스템을 이용한 것으로,
(1) 조사자가 전용 어플리케이션을 사용하여 건물의 조사사항을 입력하는 조사사항입력단계;
(1-2) 서버는 건물의 폴리곤 데이터와 건축물 대장정보를 연계하여 3D로 상기 건물의 지도를 생성하는 지도형성단계;
(2) 상기 서버는 상기 조사사항을 분석하여 미리 구축된 상기 건물의 공간정보 별로 상기 조사사항을 저장처리하는 정보처리단계;
(3) 제3자가 상기 전용 어플리케이션을 사용하여 자신의 건물 또는 공간과 비교대상이 되는 건물 또는 공간을 선택하는 비교대상선택단계;
(4) 상기 서버는 상기 전용 어플리케이션을 통하여 상기 제3자의 건물 또는 공간의 지도에 상기 조사사항을 시각화하여 출력하는 시각화단계;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사사항을 시각화하는 건축물 지도 플랫폼 시스템의 운용방법.
Using the building map platform system to visualize the investigation items of paragraph 3,
(1) an investigation matter input step in which an investigator inputs a building investigation matter using a dedicated application;
(1-2) The server generates a map of the building in 3D by linking the building's polygon data with the building register information;
(2) the server analyzes the survey information and stores the survey information for each spatial information of the building that is pre-built; an information processing step;
(3) a comparison target selection step in which a third party selects a building or space to be compared with his / her own building or space using the dedicated application;
(4) the server visualizes and outputs the survey on the map of the building or space of the third party through the dedicated application;
Operating method of the building map platform system to visualize the investigation, characterized in that comprises a.
KR1020190166336A 2019-12-13 2019-12-13 the building map platform system for benchmarking and the method for as the same KR10209331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6336A KR102093316B1 (en) 2019-12-13 2019-12-13 the building map platform system for benchmarking and the method for as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6336A KR102093316B1 (en) 2019-12-13 2019-12-13 the building map platform system for benchmarking and the method for as the sam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93316B1 true KR102093316B1 (en) 2020-03-25

Family

ID=700017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66336A KR102093316B1 (en) 2019-12-13 2019-12-13 the building map platform system for benchmarking and the method for as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93316B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94511B1 (en) 2009-11-19 2011-12-19 주식회사 알에스엔 acquirement system of result for questionnaires using web document.
KR101599990B1 (en) * 2015-08-27 2016-03-04 거창군 Real estate appraisal system based on mobile
KR101795345B1 (en) 2017-08-16 2017-12-01 조연희 Virtual reality survey system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94511B1 (en) 2009-11-19 2011-12-19 주식회사 알에스엔 acquirement system of result for questionnaires using web document.
KR101599990B1 (en) * 2015-08-27 2016-03-04 거창군 Real estate appraisal system based on mobile
KR101795345B1 (en) 2017-08-16 2017-12-01 조연희 Virtual reality survey system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nshassi et al. BIM for construction safety improvement in Gaza strip: awareness, applications and barriers
Hayek Which is the appropriate 3D visualization type for participatory landscape planning workshops? A portfolio of their effectiveness
Goodchild Towards geodesign: Repurposing cartography and GIS?
White et al. Greenery on residential buildings: Does it affect preferences and perceptions of beauty?
Vanwynsberghe The Olympic Games Impact (OGI) study for the 2010 Winter Olympic Games: Strategies for evaluating sport mega-events’ contribution to sustainability
Di Pietro et al. An integrated approach between Lean and customer feedback tools: An empirical study in the public sector
Bond et al. Learning how to deal with values, frames and governance in sustainability appraisal
US20090204455A1 (en) Methods for directly connecting people/jobs within a business for establishing performance-based compensation
Shach-Pinsly et al. Visual exposure and visual openness: An integrated approach and comparative evaluation
Ullah et al. A study of information technology adoption for real-estate management: A system dynamic model
Rammer et al. A web-based ToolBox approach to support adaptive forest management under climate change
Lu et al. Measuring 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maturity: A Hong Kong case study
Berry et al. Gauging levels of public acceptance of the use of visualisation tools in promoting public participation; a case study of wind farm planning in South Wales, UK
Krank et al. Lessons from seven sustainability indicator programs in developing countries of Asia
Trop From knowledge to action: Bridging the gaps toward effective incorporation of Landscape Character Assessment approach in land-use planning and management in Israel
García et al. Visualization to support decision-making in cities: advances, technology, challenges, and opportunities
KR102093316B1 (en) the building map platform system for benchmarking and the method for as the same
Laing et al. The application of visual environmental economics in the study of public preference and urban greenspace
KR102093315B1 (en) the building map platform system visualize survey data and the method for as the same
Schott et al. Progress on enabling an interactive conversation between commercial building occupants and their building to improve comfort and energy efficiency
Shalwani et al. An empirical analysis of the causes of cost and schedule growth for small healthcare and educational construction projects
Weitkamp et al. Evaluation by policy makers of a procedure to describe perceived landscape openness
Blanco Cadena et al. Flexible workflow for determining critical hazard and exposure scenarios for assessing SLODs risk in urban built environments
Timm et al. Nature and the city: Measuring the attention restoration benefits of Singapore’s urban vertical greenery
CN110545297A (en) multi-information data analysis and display system for exhibition hal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