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92923B1 - Impeller driving apparatus and beverage storage device with the same - Google Patents

Impeller driving apparatus and beverage storage device with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92923B1
KR102092923B1 KR1020180092551A KR20180092551A KR102092923B1 KR 102092923 B1 KR102092923 B1 KR 102092923B1 KR 1020180092551 A KR1020180092551 A KR 1020180092551A KR 20180092551 A KR20180092551 A KR 20180092551A KR 102092923 B1 KR102092923 B1 KR 1020929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peller
shaft
rotation shaft
drive
connect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9255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00017226A (en
Inventor
최현락
Original Assignee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주원 에프앤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주원 에프앤비 filed Critical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주원 에프앤비
Priority to KR10201800925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92923B1/en
Publication of KR202000172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17226A/en
Priority to KR1020200033371A priority patent/KR102419122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929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9292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04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 A47J43/07Parts or details, e.g. mixing tools, whipping tools
    • A47J43/08Driving mechanisms
    • A47J43/085Driving mechanisms for machines with tools driven from the lower sid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04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 A47J43/07Parts or details, e.g. mixing tools, whipping tools
    • A47J43/0716Parts or details, e.g. mixing tools, whipping tools for machines with tools driven from the lower side
    • A47J43/0722Mixing, whipping or cutting too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음료 용기 내에 배치된 임펠러를 회전시키는 임펠러 구동 장치로서, 상기 용기의 바닥면에 설치되고 임펠러를 지지하는 임펠러 지지부; 상기 임펠러 지지부의 하부에 배치된 구동모터; 및 상기 임펠러 지지부와 상기 구동모터 사이에 배치된 축 연결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임펠러 지지부는 상부와 하부 방향으로 각각 돌출된 상부 회전축과 하부 회전축을 구비하되, 상부 회전축이 상기 임펠러와 결합되어 임펠러를 회전시키고 하부 회전축은 상기 축 연결부재를 통해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축에 간접적으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펠러 구동 장치를 제공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impeller driving apparatus for rotating an impeller disposed in a beverage container, the impeller support being install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container and supporting the impeller; A drive motor disposed under the impeller support; And an shaft connecting member disposed between the impeller support portion and the drive motor, wherein the impeller support portion has an upper rotation shaft and a lower rotation shaft protruding in upper and lower directions, respectively, and an upper rotation shaft is coupled to the impeller to impeller. It provides an impeller drive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lower rotation axis is indirectly connected to the drive shaft of the drive motor through the shaft connecting member.

Description

임펠러 구동장치 및 이를 구비한 음료 보관 장치 {Impeller driving apparatus and beverage storage device with the same} Impeller driving apparatus and beverage storage device with the same}

본 발명은 음료 보관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음료 보관 장치의 용기 내에 배치되는 임펠러를 구동하는 임펠러 구동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음료 보관 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everage storage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n impeller driving device for driving the impeller disposed in the container of the beverage storage device and a beverage storage device comprising the same.

일반적으로 음료를 냉장 보관하거나 온장 보관하는 음료 보관 장치는 음료를 수용하는 용기 및 음료를 소정 온도로 유지하기 위한 냉각수단 및/또는 가열수단 등의 구성요소를 구비하며, 또한 필요에 따라 음료를 일방향으로 순환시켜 음료 성분이 잘 섞이도록 하는 임펠러를 용기 내부에 포함하기도 한다. In general, a beverage storage device for refrigerating or storing a beverage refrigerated includes components such as a container for accommodating a beverage and a cooling means and / or a heating means for maintaining a beverage at a predetermined temperature, and, if necessary, a beverage in one direction In some cases, an impeller that circulates to mix well with the ingredients of the beverage is included in the container.

종래의 임펠러를 구비한 음료 보관 장치는 임펠러를 구동시키는 구동모터의 구동축과 임펠러의 회전축이 직접 결합된 경우가 많다. 또한 임펠러 회전축과 용기의 바닥면 사이에 베어링이 개재됨으로써 임펠러 회전축이 용기의 바닥면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In the conventional beverage storage device having an impeller, the drive shaft of the drive motor for driving the impeller and the rotation shaft of the impeller are often directly coupled. In addition, a bearing is interposed between the impeller rotating shaft and the bottom surface of the container so that the impeller rotating shaft is rotatably coupl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container.

그런데 이러한 종래 구성에서는 구동모터의 진동 등으로 구동축이 흔들리면 구동축에 결합된 임펠러 회전축에도 영향을 미치게 되어 베어링 또는 베어링 주위의 오일씰이 파손되는 문제가 발생하였고, 따라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여 음료 보관 장치의 내구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었다. However, in this conventional configuration, when the drive shaft shakes due to vibration of the drive motor, etc., the impeller rotation shaft coupled to the drive shaft is also affected, resulting in a problem that the bearing or the oil seal around the bearing is damaged, thus solving the problem and durability of the beverage storage device. The need to improve was being raised.

특허문헌1: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2016-0147082호 (2016년 12월 22일 공개)Patent Document 1: Korea Patent Publication No. 2016-0147082 (published on December 22, 2016) 특허문헌2: 한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17629호 (2006년 6월 1일 공고)Patent Document 2: Korea Registered Utility Model No. 20-0417629 (announced on June 1, 2006)

본 발명은 상기 종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임펠러의 회전축을 지지하는 베어링의 마모나 오일 씰의 파손을 방지하여 음료 보관 장치의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구성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s, and according to an embodiment,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nfiguration for improving durability of a beverage storage device by preventing abrasion of a bearing or damage to an oil seal supporting a rotating shaft of an impeller. .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음료 용기 내에 배치된 임펠러를 회전시키는 임펠러 구동 장치로서, 상기 용기의 바닥면에 설치되고 임펠러를 지지하는 임펠러 지지부; 상기 임펠러 지지부의 하부에 배치된 구동모터; 및 상기 임펠러 지지부와 상기 구동모터 사이에 배치된 축 연결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임펠러 지지부는 상부와 하부 방향으로 각각 돌출된 상부 회전축과 하부 회전축을 구비하되, 상부 회전축이 상기 임펠러와 결합되어 임펠러를 회전시키고 하부 회전축은 상기 축 연결부재를 통해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축에 간접적으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펠러 구동 장치를 제공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impeller driving apparatus for rotating an impeller disposed in a beverage container, the impeller support being install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container and supporting the impeller; A drive motor disposed under the impeller support; And an shaft connecting member disposed between the impeller support portion and the drive motor, wherein the impeller support portion has an upper rotation shaft and a lower rotation shaft protruding in upper and lower directions, respectively, and an upper rotation shaft is coupled to the impeller to impeller. It provides an impeller drive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lower rotation axis is indirectly connected to the drive shaft of the drive motor through the shaft connecting member.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구동모터의 구동축과 임펠러의 회전축을 축 연결부재를 통해 간접적으로 결합하고 또한 축 연결부재 내에 이격 공간을 형성함으로써, 구동모터의 진동 등의 원인으로 구동축이 흔들려 구동축과 임펠러의 회전축의 정렬이 틀어져 오프셋이 발생하더라도 이격 공간의 유격이 오프셋을 흡수할 수 있으므로 임펠러의 회전축이 임펠러 지지부에 견고하게 결합되어 회전할 수 있으며 따라서 임펠러 지지부 내의 베어링의 마모나 오일 씰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indirectly coupling the drive shaft of the drive motor and the rotating shaft of the impeller through the shaft connecting member and also forming a space in the shaft connecting member, the drive shaft is shaken due to vibration of the drive motor, etc. Even if offset occurs due to misalignment of the rotating shaft of the impeller, the clearance of the separation space can absorb the offset, so the rotating shaft of the impeller can be firmly coupled to the impeller support and rotated, so wear of the bearing in the impeller support or damage to the oil seal Can be prevented.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임펠러의 블레이드부를 임펠러 지지부의 회전축에 단순히 끼우는 방식으로 체결하기 때문에 임펠러를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고 임펠러로 인해 임펠러 지지부나 구동모터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blade portion of the impeller is fastened by simply inserting it into the rotating shaft of the impeller support, the impeller can be easily replaced and the impeller support or drive motor can be prevented from being damaged by the impeller. It works.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료 보관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음료 보관장치의 임펠러 및 임펠러 구동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축 연결부재의 사시도, 그리고
도4 및 도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임펠러 구동장치의 일부 구성요소의 단면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beverage storag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impeller and the impeller driving device of the beverage storag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shaft connecting memb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and
4 and 5 are cross-sectional views of some components of an impeller driv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이상의 본 발명의 목적들, 다른 목적들, 특징들 및 이점들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된 이하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통해서 쉽게 이해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The above objects, other objects, feature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readily understood through the following preferred embodiments associated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and may be embodied in other forms. Rather, the embodiments introduced herein are provided to ensure that the disclosed contents are thorough and complete and that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ufficiently conveyed to those skilled in the art.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있다고 언급되는 경우에 그것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직접 형성될 수 있거나 또는 그들 사이에 제3의 구성요소가 개재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도면들에 있어서, 구성요소들의 두께는 기술적 내용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이다. In this specification, when a component is referred to as being on another component, it means that it may be formed directly on the other component, or a third component may be interposed between them. In addition, in the drawings, the thickness of the components is exaggerated for effective description of the technical content.

본 명세서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가 구성요소들을 기술하기 위해서 사용된 경우, 이들 구성요소들이 이 같은 용어들에 의해서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어느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시키기 위해서 사용되었을 뿐이다. 여기에 설명되고 예시되는 실시예들은 그것의 상보적인 실시예들도 포함한다.In the present specification, when terms such as first and second are used to describe elements, these elem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se terms. These terms are only used to distinguish one component from another component. The embodiments described and illustrated herein also include its complementary embodiments.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singular form also includes the plural form unless otherwise specified in the phrase. As used herein, 'comprise' and / or 'comprising' does not ex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components.

이하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아래의 특정 실시예들을 기술하는데 있어서 여러 가지의 특정적인 내용들은 발명을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이해를 돕기 위해 작성되었다. 하지만 본 발명을 이해할 수 있을 정도로 이 분야의 지식을 갖고 있는 독자는 이러한 여러 가지의 특정적인 내용들이 없어도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인지할 수 있다. 어떤 경우에는 발명을 기술하는 데 있어서 흔히 알려졌으면서 발명과 크게 관련 없는 부분들은 본 발명을 설명하는 데 있어 혼돈이 오는 것을 막기 위해 기술하지 않음을 미리 언급해 둔다.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In describing the specific embodiments below, various specific contents have been prepared to more specifically describe and understand the invention. However, a reader who has knowledge in this field to understand the present invention can recognize that it can be used without a variety of specific content. It should be noted that, in some cases, parts that are commonly known in describing the invention and which are not significantly related to the invention are not described in order to prevent chaos in describing the invention.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료 보관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beverage storag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음료 보관장치(100)는 본체(10) 및 이 본체(10)에 의해 지지되고 음료를 수용하는 용기(20)를 포함한다. 용기(20) 내부에는 음료를 젓기 위한 임펠러(30)가 배치된다. Referring to the drawings, the beverage storage devic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includes a main body 10 and a container 20 supported by the main body 10 and accommodating drinks. Inside the container 20, an impeller 30 for stirring a beverage is arranged.

본체(10)는 용기(20)를 지지하는 상부판(11)을 포함할 수 있고, 내부에는 용기(20) 내의 음료를 가열하거나 냉각하기 위한 가열부와 냉각부, 임펠러(30)를 구동하기 위한 임펠러 구동 장치 등의 각종 구성요소가 배치될 수 있다. 도시한 실시예에서 본체(10)는 육면체 형상이지만 본체(10)의 형상이나 재질은 한정되지 않는다. The main body 10 may include a top plate 11 for supporting the container 20, and therein, a heating part and a cooling part for heating or cooling the beverage in the container 20, and driving the impeller 30 Various components, such as an impeller drive device, may be arranged.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the body 10 is a hexahedron shape, but the shape or material of the body 10 is not limited.

도시한 실시예에서 용기(20)는 본체(10)의 상부판(11)에 배치되어 지지된다. 용기(20)는 상부가 개방되고 평평한 바닥면을 갖는 원통형 또는 항아리 형상을 가질 수 있으나 구체적 실시 형태에 따라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the container 20 is disposed and supported on the top plate 11 of the body 10. The container 20 may have a cylindrical shape or a jar shape with an open top and a flat bottom surface, but may have various shapes according to specific embodiments.

일 실시예에서 용기(20)의 바닥면에 임펠러(30)가 배치된다. 도2를 참조하여 후술하겠지만, 용기(20)의 바닥면에 설치된 임펠러 지지부(70)의 회전축에 임펠러(30)가 끼워져서 결합되고, 임펠러 지지부(70)의 하부에 구동모터(40)가 배치된다. 구동모터(40)의 구동축과 임펠러 지지부(70)의 회전축이 결합됨으로써, 임펠러(30)가 구동모터(40)에 의해 회전하게 된다. In one embodiment, the impeller 30 is dispos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container 20. As will be described later with reference to FIG. 2, the impeller 30 is fitted and coupled to the rotating shaft of the impeller support portion 70 install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container 20, and the driving motor 40 is disposed below the impeller support portion 70. do. The drive shaft of the drive motor 40 and the rotation shaft of the impeller support portion 70 are combined, so that the impeller 30 is rotated by the drive motor 40.

한편 본체(10)는 장치의 제어와 운전을 위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고 음료의 제조상태나 보관상태를 사용자에게 보여주기 위한 패널부(15)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패널부(15)는 하나 이상의 스위치, 버튼, 및/또는 디스플레이로 구성될 수 있다. 도시한 실시예에서 패널부(15)가 본체(10)의 측면에 배치되었지만 대안적 실시예에서 본체(10)의 임의의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Meanwhile, the main body 10 may include a panel unit 15 for receiving a user input for control and operation of the device and showing the manufacturing state or storage state of the beverage to the user. In one embodiment, the panel unit 15 may be composed of one or more switches, buttons, and / or displays.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the panel portion 15 is disposed on the side of the body 10, but in alternative embodiments it can be installed at any location of the body 10.

도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임펠러(30) 및 이를 회전시키는 임펠러 구동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impeller 30 and an impeller driving device for rotating the sa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일 실시예에서 임펠러 구동장치는 구동모터(40), 임펠러 지지부(70), 구동모터와 임펠러 지지부 사이에 배치된 스페이서(50)와 축 연결부재(60)를 포함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impeller drive device may include a drive motor 40, an impeller support 70, a spacer 50 disposed between the drive motor and the impeller support, and a shaft connecting member 60.

임펠러 지지부(70)는 구동모터(40)의 상부에 배치된다. 일 실시예에서 임펠러 지지부(70)의 상부 일부는 용기(20)의 바닥면에 결합하여 고정된다. 임펠러 지지부(70)는 중심부에 회전축(80)을 포함한다. 도시한 실시예에서 회전축(80)은 임펠러 지지부(70)의 상부와 하부 방향으로 각각 돌출된 상부 회전축(81)과 하부 회전축(83)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부 회전축(81)와 하부 회전축(83)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고 각기 별도로 형성된 후 결합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서 회전축(80)과 임펠러 지지부(70)의 내측면 사이에 베어링(도시 생략)이 개재된다. 예를 들어 상부 회전축(81)과 하부 회전축(82)이 각각 베어링을 통해 임펠러 지지부(7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The impeller support portion 70 is dispos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driving motor 40. In one embodiment, the upper part of the impeller support 70 is fix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container 20. The impeller support portion 70 includes a rotating shaft 80 at the center.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the rotation shaft 80 may be composed of an upper rotation shaft 81 and a lower rotation shaft 83 protruding in the upper and lower directions of the impeller support portion 70, respectively. The upper rotational shaft 81 and the lower rotational shaft 83 may be integrally formed or separately formed and then combined. In one embodiment, a bearing (not shown) is interposed between the rotating shaft 80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impeller support 70. For example, the upper rotation shaft 81 and the lower rotation shaft 82 may be rotatably coupled to the impeller support 70 through bearings, respectively.

상부 회전축(81)은 임펠러(30)와 결합되어 임펠러(30)를 회전시킬 수 있다. 하부 회전축(83)은 구동모터(40)의 구동축(41)에 연결된다.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 하부 회전축(83)은 축 연결부재(60)를 통해 간접적으로 구동모터의 구동축(41)에 연결된다. The upper rotation shaft 81 may be combined with the impeller 30 to rotate the impeller 30. The lower rotation shaft 83 is connected to the drive shaft 41 of the drive motor 40. In a preferred embodiment, the lower rotation shaft 83 is indirectly connected to the drive shaft 41 of the drive motor through the shaft connecting member 60.

구동모터(40)는 본체(10)의 내부에 배치되며 전기에 의해 회전하는 구동축(41)을 구비한다. 구동모터(40)는 임펠러 지지부(70)의 아래쪽에 배치된다. 도시한 일 실시예에서 구동모터(40)는 스페이서(50)에 의해 임펠러 지지부(70)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된다. The driving motor 40 is disposed inside the main body 10 and includes a driving shaft 41 that rotates by electricity. The driving motor 40 is disposed below the impeller support portion 70.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the driving motor 40 is dispos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impeller support 70 by a spacer 50.

스페이서(50)는 임펠러 지지부(70)와 구동모터(40) 사이에 배치되어 임펠러 지지부(70)와 구동모터(40)를 결합시키되, 임펠러 지지부의 하부 회전축(83)과 구동모터의 구동축(41) 사이를 소정 거리만큼 이격시킨다. The spacer 50 is disposed between the impeller support portion 70 and the drive motor 40 to couple the impeller support portion 70 and the drive motor 40, but the lower rotating shaft 83 of the impeller support portion and the drive shaft of the drive motor 41 ).

스페이서(50)는 내부에 공간(51)을 갖는 원통형 부재이며 상단부는 임펠러 지지부(70)와 결합되고 하단부는 구동모터(40)와 결합된다. 도시한 일 실시예에서 스페이서(50)의 상단부는 예컨대 나사결합 방식에 의해 임펠러 지지부(70)와 결합되고, 스페이서(50)의 하단부에는 관통구(53)를 갖는 플랜지가 형성되어 구동모터(40)의 상단 측면에 돌출된 관통구(43)와 볼트결합 방식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결합구조는 예시적인 것이며 구체적 실시 형태에 따라 공지의 다양한 결합 방식에 의해 임펠러 지지부(70)와 구동모터(40)와 각각 결합할 수 있다. The spacer 50 is a cylindrical member having a space 51 therein, and the upper end is coupled to the impeller support 70 and the lower end is coupled to the drive motor 40.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the upper end of the spacer 50 is coupled to the impeller support 70 by, for example, a screwing method, and a flange having a through hole 53 is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spacer 50 to drive the motor 40 ) It can be coupled by a through-hole protruding on the upper side of the bolt and the bolt coupling method. However, this coupling structure is exemplary and can be coupled to the impeller support 70 and the drive motor 40 by various known coupling methods according to specific embodiments.

축 연결부재(60)는 스페이서(50)의 내부 공간(51)에 배치되며 임펠러 지지부(70)와 구동모터(40)를 연결한다. 이와 관련하여 도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축 연결부재의 사시도로서, 도3(a)는 축 연결부재(60)의 사시도이고 도3(b)는 단면 사시도이다. 도3에 도시한 것처럼 축 연결부재(60)는 상하 방향의 관통구(61)를 갖는 통형상 부재이다. 관통구(61) 내부에서는 축 연결부재(60)의 상단부와 하단부를 제외한 영역에서 관통구(61) 내부 방향으로 돌출된 돌출부(63)가 형성된다. 따라서 축 연결부재(60)의 상단부와 하단부에서 관통구(61)의 수평 단면은 원 형상이지만 상단부와 하단부 사이의 영역(이하 “중간부”라 함)에서는 돌출부(63)의 형상에 따라 관통구(61)의 수평 단면이 원이 아닌 다른 형상(예컨대 다각형 등)을 갖게 된다. The shaft connecting member 60 is disposed in the inner space 51 of the spacer 50 and connects the impeller support portion 70 and the drive motor 40. In this regard, FIG. 3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shaft connecting memb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FIG. 3 (a)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shaft connecting member 60, and FIG. 3 (b) is a cross-sectional perspective view. As shown in Figure 3, the shaft connecting member 60 is a cylindrical member having a through hole 61 in the vertical direction. Inside the through-hole 61, a protrusion 63 protruding in the inside direction of the through-hole 61 is formed in regions excluding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shaft connecting member 60. Therefore, the horizontal cross-section of the through-hole 61 in the upper and lower parts of the shaft connecting member 60 is circular, but in the region between the upper and lower parts (hereinafter referred to as the “middle part”), the through-hole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protrusion 63 The horizontal cross-section of 61 has a shape other than a circle (for example, a polygon).

예를 들어 도2 내지 도4를 참조하면, 구동모터(40)의 구동축(41)은 원 형상의 단면을 갖는 하단부(411)와 축 연결부재(60)의 중간부의 단면 형상에 맞물리는 단면 형상을 갖는 상단부(412)로 구성되며 구동축(41)의 회전에 의해 축 연결부재(60)가 일체로 회전할 수 있다. 이와 유사하게, 임펠러 지지부(70)의 하부 회전축(83)은 원 형상의 단면을 갖는 상단부(831)와 축 연결부재(60)의 중간부의 단면 형상에 맞물리는 단면 형상을 갖는 하단부(832)로 구성되며 축 연결부재(60)의 회전에 의해 하부 회전축(83)이 축 연결부재(60)와 일체로 회전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구성에 의해, 관통구(61)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임펠러 지지부(70)의 하부 회전축(83)과 구동모터(40)의 구동축(41)이 맞물림으로써 구동축(41)의 회전에 의해 축 연결부재(60)와 하부 회전축(83)이 일체로 회전할 수 있다. For example, referring to FIGS. 2 to 4, the drive shaft 41 of the drive motor 40 has a cross-sectional shape that meshes with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lower end 411 having a circular cross-section and the middle section of the shaft connecting member 60. It is composed of an upper portion 412 having a shaft by the rotation of the drive shaft 41, the shaft connecting member 60 can be rotated integrally. Similarly, the lower rotational shaft 83 of the impeller support portion 70 is an upper portion 831 having a circular cross-section and a lower portion 832 having a cross-sectional shape meshing with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middle portion of the shaft connecting member 60. It is configured and the lower rotational shaft 83 may rotate integrally with the shaft connection member 60 by rotation of the shaft connection member 60. Therefore, by such a configuration, the lower shaft (83) of the impeller support (70) and the shaft (41) of the drive motor (40) are meshed with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through hole (61), respectively. The shaft connecting member 60 and the lower rotating shaft 83 may rotate integrally.

이 때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 구동모터의 구동축(41)과 축 연결부재(60)의 관통구(61) 내측면 사이에 소정 간격의 이격 공간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축 연결부재(60) 내부의 돌출부(63)와 구동축(41)의 상단부(412) 사이에 제1 이격 공간(S1)이 존재한다. 제1 이격 공간(S1)은 축 연결부재(60)에 대해 구동축(41)만 상대적으로 회전하지 않고(즉, 구동축(41)이 헛돌지 않고) 축 연결부재(60)와 구동축(41)이 일체로 회전하는 범위 내에서의 유격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At this time, in a preferred embodiment, it is preferable that a predetermined space is formed between the drive shaft 41 of the drive motor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through hole 61 of the shaft connecting member 60. For example, as illustrated in FIG. 4, a first space S1 exists between the protrusion 63 inside the shaft connecting member 60 and the upper end 412 of the drive shaft 41. In the first space S1, the shaft connecting member 60 and the driving shaft 41 do not rotate relative to the shaft connecting member 60 (ie, the driving shaft 41 does not rotate). It is desirable to have a clearance within the range of integrally rotating.

도4의 일 실시예에서 구동축(41)의 상단부(412)의 직경을 하부 회전축(83)의 하단부(832)의 직경보다 작게 함으로써 제1 이격 공간(S1)을 형성할 수 있다. 또는 구동축(41)의 상단부(412)와 하부 회전축(83)의 하단부(832)의 직경을 동일하게 하되 구동축(41)의 상단부(412)에 인접하는 돌출부(63)의 직경을 크게 함으로써 제1 이격 공간(S1)을 형성할 수도 있다. In the embodiment of FIG. 4, the first separation space S1 may be formed by making the diameter of the upper end 412 of the drive shaft 41 smaller than the diameter of the lower end 832 of the lower rotation shaft 83. Alternatively, the diameter of the upper end 412 of the drive shaft 41 and the lower end 832 of the lower rotation shaft 83 are the same, but the diameter of the protrusion 63 adjacent to the upper end 412 of the drive shaft 41 is increased to increase the first diameter. The separation space S1 may be formed.

한편 다른 대안적 일 실시예에서, 임펠러 지지부(70)의 하부 회전축(83)과 축 연결부재(60)의 관통구(61)의 내측면 사이에 제2 이격 공간(S2)이 형성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즉 연결부재(60)의 돌출부(63)와 구동축(41)의 상단부(412) 사이에는 이격 공간이 없이 밀착하여 결합되고 연결부재(60) 내부의 돌출부(63)와 하부 회전축(83)의 하단부(832) 사이에 제2 이격 공간(S2)이 생기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 때의 제2 이격 공간(S2)은, 하부 회전축(832)에 대해 축 연결부재(60)만 상대적으로 회전하지 않고(즉, 축 연결부재(60)만 헛돌지 않고) 축 연결부재(60)와 하부 회전축(832)이 일체로 회전하는 범위 내에서의 유격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Meanwhile, in another alternative embodiment, the second separation space S2 is formed between the lower rotational shaft 83 of the impeller support portion 70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through hole 61 of the shaft connecting member 60. Can be. That is, the protrusion 63 of the connecting member 60 and the upper end 412 of the drive shaft 41 are tightly coupled without a separation space, and the protrusion 63 inside the connection member 60 and the lower end of the lower rotation shaft 83 It may be configured such that a second space S2 is formed between 832. At this time, the second separation space S2 does not relatively rotate only the shaft connecting member 60 with respect to the lower rotating shaft 832 (that is, only the shaft connecting member 60 is idle) and the shaft connecting member 60 ) And the lower rotational shaft 832 is preferable to have a play within the range of integrally rotating.

다시 도2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임펠러(30)는 제1 블레이드부(31)와 제2 블레이드부(3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블레이부(31)와 제2 블레이드부(32)는 용기(20) 내에서 서로 대략 직각으로 배치되어 임펠러 지지부(70)의 상부 회전축(81)에 결합된다. Referring back to FIG. 2, the impeller 30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include a first blade portion 31 and a second blade portion 32. The first blade portion 31 and the second blade portion 32 are disposed at substantially right angles to each other in the container 20 and are coupled to the upper rotational shaft 81 of the impeller support portion 70.

도시한 실시예에서 제1 블레이드부(31)는 상부 회전축(81)을 끼울 수 있는 관통구(311) 및 이 관통구(311)에서 방사상 방향으로 뻗어있는 하나 이상의 블레이드로 구성될 수 있고, 제2 블레이드부(32)도 상부 회전축(81)을 끼울 수 있는 관통구(321) 및 이 관통구(321)에서 방사상 방향으로 뻗어있는 하나 이상의 블레이드로 구성될 수 있다.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the first blade portion 31 may be composed of a through hole 311 through which the upper rotation shaft 81 can be fitted, and one or more blades extending radially from the through hole 311. The two-blade portion 32 may also be composed of a through hole 321 through which the upper rotation shaft 81 can be fitted, and one or more blades extending radially from the through hole 321.

도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임펠러 구동장치의 일부 구성요소의 단면도로서, 임펠러 지지부(70)의 상부 회전축(81)과 임펠러(30)의 결합구조를 나타낸다. 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some components of an impeller driv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and shows a coupling structure between the upper rotating shaft 81 and the impeller 30 of the impeller support 70.

도2와 도5를 참조하면, 상부 회전축(81)의 상단부(811)의 단면은 원형 형상을 가지며 하단부(812)의 단면은 사각형 형상을 갖도록 구성된다. 임펠러(30)의 제1 블레이드부(31)의 관통구(311)와 제2 블레이드부(32)의 관통구(321)는 상부 회전축(81)의 하단부(812)의 사각형 단면 형상에 대응하여 각각 사각형 형상의 단면을 가진다. 따라서 도시한 것처럼 제1 블레이드부(31)와 제2 블레이드부(32)를 상부 회전축(81)에 차례로 끼움으로써 임펠러(30)를 상부 회전축(81)에 결합할 수 있다. 이 때 도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관통구(311) 및 제2 관통구(321)의 각각의 내측면과 상부 회전축(81)의 하단부(812) 사이에 제3 이격 공간(S3)이 형성되어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제3 이격 공간(S3)이, 제1 및 제2 블레이드부(31,32)의 각각에 대해 상부 회전축(81)만 상대적으로 회전하지 않고(즉, 상부 회전축(81)이 헛돌지 않고) 제1 및 제2 블레이드부(31,32)와 상부 회전축(81)이 일체로 회전하는 범위 내에서의 유격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2 and 5, the cross section of the upper end 811 of the upper rotation shaft 81 has a circular shape and the cross section of the lower end 812 is configured to have a rectangular shape. The through-hole 311 of the first blade portion 31 of the impeller 30 and the through-hole 321 of the second blade portion 32 correspond to the rectangular cross-sectional shape of the lower end portion 812 of the upper rotation shaft 81. Each has a rectangular cross section. Therefore, as illustrated, the impeller 30 may be coupled to the upper rotational shaft 81 by sequentially fitting the first blade portion 31 and the second blade portion 32 to the upper rotational shaft 81. At this time, as shown in FIG. 5, a third space S3 is provided between each inner surface of the first through hole 311 and the second through hole 321 and the lower end portion 812 of the upper rotation shaft 81. Is formed. In a preferred embodiment, the third separation space S3 does not relatively rotate only the upper rotational shaft 81 relative to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blade portions 31 and 32 (that is, the upper rotational shaft 81 is empty). It is preferable that the first and second blade portions 31 and 32 and the upper rotation shaft 81 have a clearance within a range in which the rotation is integrally rotated (without turning).

한편 도시한 실시예에서는 상부 회전축(81)의 상단부(811)의 단면이 원 형상이고 하단부(812)의 단면이 사각형인 것으로 도시하였지만, 대안적 실시예에서 하단부(812)의 단면이 임의의 다각형 형상을 가지며 제1 및 제2 관통구(311,321)도 이 하단부(812)의 단면 형상에 대응하는 다각형 형상을 갖도록 구성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although the cross section of the upper end 811 of the upper rotation shaft 81 is circular and the cross section of the lower end 812 is square, in the alternative embodiment, the cross section of the lower end 812 is an arbitrary polygon It has a shape and the first and second through-holes 311 and 321 may also be configured to have a polygonal shape corresponding to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lower end portion 812.

상술한 바와 같이 임펠러(30)와 상부 회전축(81)을 구성할 경우 임펠러(30)의 교체가 용이한 장점이 있다. 즉 나사결합 등 별도의 체결수단을 사용하지 않고 단순히 임펠러(30)의 제1 및 제2 블레이드부(31,32)를 상부 회전축(81)에 차례로 끼우면 되므로 사용자가 임펠러를 쉽게 교체할 수 있다. When the impeller 30 and the upper rotation shaft 81 are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the impeller 30 can be easily replaced. That is, the user can easily replace the impeller by simply inserting the first and second blade portions 31 and 32 of the impeller 30 into the upper rotation shaft 81 one after another without using a separate fastening means such as screwing.

또한 상술한 구성에 따르면 임펠러(30)로 인해 임펠러 지지부(70)나 구동모터(40)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다. 예컨대 음료가 유동성이 적은 고농도의 현탁액 상태이거나 음료내에 고체 덩어리들이 있는 경우 임펠러가 현탁액이나 고체 덩어리들의 저항에 의해 회전이 방해받게 되며 이로 인해 구동모터(40)나 임펠러 지지부(70)의 회전축(80)이 손상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상기 실시예에 따르면 고체 덩어리에 의해 일정 크기 이상의 저항이 발생할 경우 임펠러의 제1 및/또는 제2 블레이드부(31,32)가 상부 회전축(81)에서 빠지게 되므로 임펠러(30)로 인해 임펠러 지지부(70)나 구동모터(40)에 손상이 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Further,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the impeller 30 may prevent the impeller support portion 70 or the driving motor 40 from being damaged. For example, if the beverage is in a high concentration suspension state with little fluidity, or if there are solid lumps in the beverage, the impeller is prevented from rotating by the resistance of the suspension or solid lumps, which causes the rotating shaft 80 of the drive motor 40 or the impeller support portion 70 ) May be damaged. Howev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resistance of a predetermined size or more occurs due to a solid mass, the first and / or second blade portions 31 and 32 of the impeller are removed from the upper rotation shaft 81, so that the impeller 30 is used. Due to this, damage to the impeller support portion 70 or the drive motor 40 can be prevented.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술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As described above, 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limited embodiments and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s.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will appreciate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are possible from the above description. 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but should be defined not only by the following claims, but also by the claims and equivalents.

10: 본체
20: 용기
30: 임펠러
40: 구동모터
50: 결합부재
60: 축 연결부재
70: 임펠러 지지부
10: main body
20: Courage
30: impeller
40: drive motor
50: coupling member
60: shaft connecting member
70: impeller support

Claims (11)

음료 용기 내에 배치된 임펠러를 회전시키는 임펠러 구동 장치로서,
상기 용기의 바닥면에 설치되고 임펠러를 지지하는 임펠러 지지부(70);
상기 임펠러 지지부(70)의 하부에 배치된 구동모터(40); 및
상기 임펠러 지지부와 상기 구동모터 사이에 배치되며 상하 방향의 관통구(61)를 갖는 통형상의 축 연결부재(60);를 포함하고,
상기 임펠러 지지부(70)는 상부와 하부 방향으로 각각 돌출된 상부 회전축과 하부 회전축을 구비하되, 상부 회전축이 상기 임펠러와 결합되어 임펠러를 회전시키고 하부 회전축은 상기 축 연결부재(60)를 통해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축에 간접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관통구(61)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상기 임펠러 지지부의 하부 회전축과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축이 맞물리고,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축과 상기 축 연결부재의 관통구의 내측면 사이에 제1 이격 공간(S1)이 형성되며, 상기 제1 이격 공간(S1)이, 상기 축 연결부재에 대해 상기 구동축만 상대적으로 회전하지 않고 축 연결부재와 구동축이 일체로 회전하는 범위 내에서의 유격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펠러 구동 장치.
An impeller driving device for rotating the impeller disposed in the beverage container,
An impeller support portion 70 install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container to support the impeller;
A drive motor 40 disposed under the impeller support portion 70; And
It includes a cylindrical shaft connecting member 60 disposed between the impeller support and the drive motor and having a through-hole 61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impeller support portion 70 is provided with an upper rotation shaft and a lower rotation shaft protruding in the upper and lower directions, respectively, the upper rotation shaft is coupled to the impeller to rotate the impeller, and the lower rotation shaft is driven through the shaft connecting member 60 Indirectly connected to the drive shaft of the motor,
The lower rotating shaft of the impeller support portion and the driving shaft of the driving motor are engaged with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through hole 61, respectively.
A first space S1 is formed between the drive shaft of the drive motor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through hole of the shaft connection member, and the first space S1 is relatively rotated only with respect to the shaft connection member The impeller drive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shaft connecting member and the drive shaft have a clearance within a range that rotates integrally.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축의 회전에 의해 상기 축 연결부재와 상기 하부 회전축이 일체로 회전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펠러 구동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impeller driving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the shaft connecting member and the lower rotation shaft are configured to rotate integrally by rotation of the drive shaft.
삭제delete 삭제delete 음료 용기 내에 배치된 임펠러를 회전시키는 임펠러 구동 장치로서,
상기 용기의 바닥면에 설치되고 임펠러를 지지하는 임펠러 지지부(70);
상기 임펠러 지지부(70)의 하부에 배치된 구동모터(40); 및
상기 임펠러 지지부와 상기 구동모터 사이에 배치되며 상하 방향의 관통구(61)를 갖는 통형상의 축 연결부재(60);를 포함하고,
상기 임펠러 지지부(70)는 상부와 하부 방향으로 각각 돌출된 상부 회전축과 하부 회전축을 구비하되, 상부 회전축이 상기 임펠러와 결합되어 임펠러를 회전시키고 하부 회전축은 상기 축 연결부재(60)를 통해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축에 간접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관통구(61)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상기 임펠러 지지부의 하부 회전축과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축이 맞물리고,
상기 임펠러 지지부의 하부 회전축과 상기 축 연결부재의 관통구의 내측면 사이에 제2 이격 공간(S2)이 형성되고, 상기 제2 이격 공간(S2)이, 상기 하부 회전축에 대해 상기 축 연결부재만 상대적으로 회전하지 않고 축 연결부재와 하부 회전축이 일체로 회전하는 범위 내에서의 유격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펠러 구동 장치.
An impeller driving device for rotating the impeller disposed in the beverage container,
An impeller support portion 70 install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container to support the impeller;
A drive motor 40 disposed under the impeller support portion 70; And
It includes a cylindrical shaft connecting member 60 disposed between the impeller support and the drive motor and having a through-hole 61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impeller support portion 70 is provided with an upper rotation shaft and a lower rotation shaft protruding in the upper and lower directions, respectively, the upper rotation shaft is coupled to the impeller to rotate the impeller, and the lower rotation shaft is driven through the shaft connecting member 60 Indirectly connected to the drive shaft of the motor,
The lower rotating shaft of the impeller support portion and the driving shaft of the driving motor are engaged with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through hole 61, respectively.
A second space (S2) is formed between the lower rotational shaft of the impeller support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through hole of the shaft connection member, and the second space (S2) is relative only to the shaft connection member with respect to the lower axis of rotation. The impeller drive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having a clearance within a range in which the shaft connecting member and the lower rotary shaft rotate integrally without rotating.
삭제delete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임펠러 지지부의 상부 회전축과 하부 회전축이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펠러 구동 장치.
According to claim 2,
The impeller drive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upper rotation shaft and the lower rotation shaft of the impeller support is integrally formed.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임펠러가,
하나 이상의 제1 블레이드 및 상기 상부 회전축을 끼울 수 있는 제1 관통구를 갖는 제1 블레이드부(31); 및
하나 이상의 제2 블레이드 및 상기 상부 회전축을 끼울 수 있는 제2 관통구를 갖는 제2 블레이드부(3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펠러 구동 장치.
The impeller according to claim 2,
A first blade part 31 having at least one first blade and a first through hole through which the upper rotation shaft can be fitted; And
And a second blade part (32) having at least one second blade and a second through hole through which the upper rotation shaft can be fitted.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관통구의 각각의 내측면과 상기 상부 회전축 사이에 제3 이격 공간(S3)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펠러 구동 장치.
The method of claim 8,
An impeller drive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a third space (S3) is formed between each of the inner surface of the first and second through-holes and the upper rotation axis.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이격 공간(S3)이, 상기 제1 및 제2 블레이드부의 각각에 대해 상기 상부 회전축만 상대적으로 회전하지 않고 제1 및 제2 블레이드부와 상부 회전축이 일체로 회전하는 범위 내에서의 유격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펠러 구동 장치.
The method of claim 9,
The third separation space (S3), the first and second blade portions relative to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blade portions without relative rotation, the first and second blade portion and the upper rotation axis within the range of rotation integrally play Impeller drive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a.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회전축(81)의 상단부(811)의 단면이 원 형상이고 하단부(812)의 단면이 다각형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펠러 구동 장치.
The method of claim 10,
The impeller drive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cross section of the upper end 811 of the upper rotation shaft 81 is circular and the cross section of the lower end 812 is polygonal.
KR1020180092551A 2018-08-08 2018-08-08 Impeller driving apparatus and beverage storage device with the same KR102092923B1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2551A KR102092923B1 (en) 2018-08-08 2018-08-08 Impeller driving apparatus and beverage storage device with the same
KR1020200033371A KR102419122B1 (en) 2018-08-08 2020-03-18 Impeller driving apparatus and beverage storage device with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2551A KR102092923B1 (en) 2018-08-08 2018-08-08 Impeller driving apparatus and beverage storage device with the same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33371A Division KR102419122B1 (en) 2018-08-08 2020-03-18 Impeller driving apparatus and beverage storage device with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17226A KR20200017226A (en) 2020-02-18
KR102092923B1 true KR102092923B1 (en) 2020-05-25

Family

ID=696387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92551A KR102092923B1 (en) 2018-08-08 2018-08-08 Impeller driving apparatus and beverage storage device with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92923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49676A1 (en) * 2019-09-09 2021-03-18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주원 에프앤비 Impeller driving device and beverage storage device having same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195001B1 (en) * 1997-05-21 1999-06-15 서상기 A method for compensating for unbalance of couples of rotary blades for blenders
KR200417629Y1 (en) 2006-03-20 2006-06-01 우현도 Device having cold and warmth keeping and fermentation ability
KR101415301B1 (en) * 2012-10-18 2014-08-06 오세광 Electronic Mixer which is easy to attach or detach coupler to the axis of motor
KR20160147082A (en) 2015-06-11 2016-12-22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주원 에프앤비 Beverage making device
KR102489264B1 (en) * 2016-02-16 2023-01-17 엘지전자 주식회사 Mix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17226A (en) 2020-0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961301B1 (en) Food processor
US20130264405A1 (en) Food processor
US20160331181A1 (en) Blending systems and methods with blade assembly dampening
US9877612B2 (en) Blender jar, blender base unit and blender
US11910961B2 (en) Bidirectional simultaneous rotary blade bundle for mixer
EP3254590A1 (en) Gear drive container
KR102092923B1 (en) Impeller driving apparatus and beverage storage device with the same
CN105407772A (en) Food mixers
KR102419122B1 (en) Impeller driving apparatus and beverage storage device with the same
KR101303618B1 (en) Impeller agitator
KR102059394B1 (en) Vacuum mixer
KR20210073663A (en) Apparatus for treating a food waste
KR200471346Y1 (en) Agitator
US11223255B2 (en) Electric motor and food processor
CN203762920U (en) Oven
US1224798A (en) Churn.
WO2021049676A1 (en) Impeller driving device and beverage storage device having same
KR102243427B1 (en) Blender container
CN221083401U (en) Stirring device and cooking utensil
KR200374267Y1 (en) An electric mixer
CN209826337U (en) Slurry stirring device and cooking device
CN110165825A (en) Motor and cooking machine
CN208286913U (en) Disk mounting assembly, stirring cutter arrangement and food processor
EP3731382A1 (en) Electric motor and food processor
CN203886480U (en) Clutch structure on liquid mix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