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92877B1 - 에러 코드 처리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에러 코드 처리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92877B1
KR102092877B1 KR1020130104783A KR20130104783A KR102092877B1 KR 102092877 B1 KR102092877 B1 KR 102092877B1 KR 1020130104783 A KR1020130104783 A KR 1020130104783A KR 20130104783 A KR20130104783 A KR 20130104783A KR 102092877 B1 KR102092877 B1 KR 1020928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rror code
terminal
cscf
calling terminal
c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047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26234A (ko
Inventor
김병진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047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92877B1/ko
Publication of KR201500262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262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928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928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8Information format or content conversion, e.g. adaptation by the network of the transmitted or received information for the purpose of wireless delivery to users or termi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18Service support devices; Network management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에러 코드 처리 방법이 제공되며, 발신 단말의 착신 단말에 대한 발신 호에 대응하는 인바이트(Invite) 메세지를, 발신 단말로부터 CSCF(Call Session Control Function)를 경유하여 수신하는 단계, CSCF로부터 발신 호에 대한 제 1 에러 코드를 수신하는 단계, 발신 단말이 제 1 에러 코드를 해독 가능한 단말인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판단 결과 발신 단말이 제 1 에러 코드를 해독할 수 없는 경우, 제 1 에러 코드를 발신 단말이 해독 가능한 제 2 에러 코드로 변환하는 단계, 및 변환된 제 2 에러 코드를 CSCF를 경유하여 발신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에러 코드 처리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ERROR CODE}
본 발명은 에러 코드 처리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레거시 단말에서도 신규 에러 코드를 수용할 수 있도록 에러 코드를 변환시키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스마트 패드나 타블렛 PC, 스마트 폰과 같은 무선 단말(UE)의 보급이 증가하면서 3G보다 더 나은 서비스를 제공받고자 데이터 망을 이용하는 무선 단말이 늘어나고 있다.
이때, 무선 단말의 통화 연결 실패를 알리는 방법은 기지국과 무선 단말 간의 통신 상태라 불량일 경우, 무선 단말의 화면으로 불량 상태를 디스플레이하는 방법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선행기술인 한국공개특허 제2004-0084977호(2004.10.07 공개)에는 무선 단말에서 전송한 호출 응답 메세지를 기 설정된 횟수만큼 기지국에서 수신하지 못하는 경우, 통화 불량 상태를 무선 단말에서 디스플레이하는 방법이 개시된다.
다만, 무선 단말은 레거시 단말과 신규 단말로 나뉠 수 있고, 신규 단말에서 해석가능한 에러 코드를 레거시 단말에서는 처리하지 못할 수 있는데, 이러한 경우 레거시 단말에서는 신규 에러 메세지를 전혀 처리할 수 없다.
한국공개특허 제2004-0084977호(2004.10.07 공개)에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통화 연결 실패 알림 방법"이 공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발신 단말의 단말 데이터 정보를 저장하고, 발신 단말이 레거시 단말이고 에러 코드가 발생한 경우, 레거시 단말에서도 해석가능한 에러 코드로 변환하여 레거시 단말로 전송함으로써, 레거시 단말에서도 신규 에러 메세지를 처리할 수 있도록 에러 코드를 변환하는 에러 코드 처리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다만, 본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발신 단말의 착신 단말에 대한 발신 호에 대응하는 인바이트(Invite) 메세지를, 발신 단말로부터 CSCF(Call Session Control Function)를 경유하여 수신하는 단계, CSCF로부터 발신 호에 대한 제 1 에러 코드를 수신하는 단계, 발신 단말이 제 1 에러 코드를 해독 가능한 단말인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판단 결과 발신 단말이 제 1 에러 코드를 해독할 수 없는 경우, 제 1 에러 코드를 발신 단말이 해독 가능한 제 2 에러 코드로 변환하는 단계, 및 변환된 제 2 에러 코드를 CSCF를 경유하여 발신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에러 코드를 변환함으로써 레거시 단말에서도 신규 에러 코드를 수용 및 해석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네트워크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러 코드 처리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데이터 네트워크 시스템에 포함된 각 구성들 상호간에 데이터가 송수신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러 코드 처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하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네트워크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데이터 네트워크 시스템(1)은 UE(User Equipment, 100), eNB(Evolved Node B, 200), SGW(Serving Gateway, 300), MME(Mobility Management Entity, 310), HLR(Home Location Register, 330), PGW(PDN Gateway, 400), CSCF(Call Session Control Function, 500), TAS(Telephony Application Server, 600), PCRF(Policy and Charging Rules Function, 700), SPR(Subscriber Profile Repository, 810), OFCS(Offline Charging System, 820), OCS(Online Charging System, 830), PDN(Public Data Network, 900)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도 1의 데이터 네트워크 시스템(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도 1을 통해 본 발명이 한정 해석되는 것은 아니다.
UE(100)는 사용자 단말일 수 있다. 이때, UE(100)는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단말로 구현될 수 있다. UE(100)는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PDN(900)에 접속가능한 스마트폰(smartphone), 스마트 패드(smartpad), 타블렛 PC(Tablet PC)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eNB(200)는 LTE 기지국일 수 있으며, UE(100)와 LTE 네트워크 간의 무선 연결을 제공하는 장치일 수 있다. 즉, eNB(200)는 SGW(300)와 UE(100) 간을 연결할 수 있고, UE(100)의 핸드오버를 관리할 수 있다. 이때, eNB(200)와 UE(100)는 무선으로 연결될 수 있다.
SGW(300)는 3GPP/E-UTRAN 간의 UE(100) 이동을 제어하고, eNB(200)의 UE(100)에 대한 핸드오버시 앵커링(Anchoring)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의 eNB(200)로부터 다른 하나의 eNB(200)로 UE(100)가 핸드오버되는 경우, SGW(300)를 축으로 UE(100)의 핸드오버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SGW(300)는 Intra-LTE 모빌리티(Mobility)에서 앵커 포인트(Anchor Point)로 동작할 수 있다.
MME(310)는 eNB(200)와 SGW(300) 간의 신호를 제어하고, 라우팅을 결정할 수 있으며, UE(100)를 인증(Authentication)할 수 있다. 이때, MME(310)의 인증 프로토콜은 EPS-AKA일 수 있고, UE(100)를 인증하기 위한 키 정보는 HLR(330)에 저장될 수 있다. 이에 따라, MME(310)는 키 정보를 HLR(330)로부터 수신하여 UE(100)에 대한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MME(310)는 EPS 베어러를 관리할 수 있다. 이때, EPS 베어러(Bearer)는 예를 들어, UE(100)와 PGW(400) 간(UE(100)-eNB(200)-SGW(300)-PGW(400)) 간에 생성되는 논리적인 터널일 수 있는데, MME(310)는 그 터널의 생성, 변경 및 해제 등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EPS 베어러는 UE(100) 당 하나만 생성되지 않고 각 서비스 특성에 따라 복수개가 생성될 수 있고, 다양한 종류의 트래픽, 즉 IP 플로우(Flow)가 EPS 베어러에 존재할 수 있다. 그리고, MME(310)는 가입자의 모빌리티(Mobility) 상태를 관리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현재 UE(100)가 데이터 네트워크 시스템(1)에 접속하고 있는지, 또는 접속하고 있다면 인터넷을 사용하는지 또는 사용하고 있지 않은지(Idle State) 등을 관리할 수 있다.
HLR(330)은 UE(100)별로 인증을 위한 키 정보와, 가입자 프로파일, 가입자 위치 정보 등을 보유하고 있는 LTE 네트워크의 중앙 데이터베이스일 수 있다. 이때, 가입자 프로파일은 각 가입자가 가입한 서비스 상품에 맞는 QoS(Quality of Service) 등급 정보, 예를 들어 우선 순위, 최대 사용 가능 대역폭 등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PGW(400)는 UE(100)에 IP 주소를 할당할 수 있다. 이때, IP 주소는 DHCP 프로토콜이 아닌 3GPP에서 규정한 UE(100) 접속 절차를 통하여 할당될 수 있다. 또한, PGW(400)는 SGW(300)에 대한 앵커링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UE(100)가 이동중에 하나의 SGW(300)에서 다른 하나의 SGW(300)로 변경되는 경우, PGW(400)가 앵커링 포인트로서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PGW(400)는 UE(100)별로 서로 다른 QoS 정책을 적용할 수 있고, UE(100)별로 어카운팅 데이터(Accounting Data)를 관리할 수 있다. 이때, 어카운팅 데이터는 예를 들어 상하향 트래픽 양, 접속 시간 등일 수 있으며, PGW(400)는 어카운팅 데이터를 CDR(Charging Data Record) 형태로 OFCS(820)로 전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어카운팅 데이터를 통하여 각 가입자별로 언제 접속했고, 얼마나 데이터를 사용했으며, 얼마나 접속했는지의 로그를 알 수 있으며, PGW(400)는 이를 모두 생성 및 관리하여 OFCS(82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PGW(400)는 PCRF(700)로부터 UE(100)에 대한 정책과 과금을 수신할 수 있다.
CSCF(500)는 호 처리에 관련된 부분을 담당하는 기능으로, ICGW(Incoming CAll GateWay), CCF(CAll Control Function), SPD(Serving Profile Database), AH(Address handling)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ICGW는 첫 진입점(Entry Point)로 동작하며 입력 호에 대한 라우팅을 수행하고, 호 스크리닝(Screening) 및 포워딩과 같은 입력 호에 대한 서비스 트리거링(Triggering)을 수행하며, AH에 대한 질의, HLR(330)과의 통신을 담당할 수 있다. CCF는 호의 설정과 종료 및 상태/이벤트 관리, 다자간 서비스를 위한 MRF(Multimedia Resource Function)과의 상호 작용, 과금을 위한 호 이벤트 보고, 응용 레벨 등록의 수신 및 처리 등을 담당할 수 있다. SPD는 홈 도메인의 HLR(330)과 통신하여 사용자 프로파일 정보를 관리하며, UE(100)의 초기 접근시 홈 도메인을 알려주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AH는 주소를 분석, 변환, 수정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주소 이동성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CSCF(500)는 UE(100)가 위치하고 있는 망에 따라 수행하는 기능이 다르므로, 그 위치와 역할을 기준으로 P-CSCF(Proxy CSCF), I-CSCF(Interrogating CSCF), S-CSCF(Serving CSCF)로 구분할 수 있다. 우선, P-CSCF는 UE(100)가 IMS(IP Multimedia Subsystem)에 접속하기 위한 최초 접속점 역할을 수행하고, GGSN(Gateway GPRS Support Node)과 같은 도메인에 존재할 수 있다. 또한, P-CSCF는 CDR(Change Data Record)를 발생하고, 베어러 자원의 권한 검증과 QoS(Quality of Service) 관리를 할 수 있다. 두 번째로, I-CSCF는 UE(100)가 망에 접속하는 첫 포인트 지점이고, 하나의 네트워크 도메인에 복수개가 존재할 수도 있다. I-CSCF는 서로 다른 도메인 간의 메세지를 전달할 때 방화벽 기능의 THIG(Topology Hiding Inter-Nework Gateway)를 수행하여 망 정보의 일부를 보내지 않을 수 있다. 세 번째로, S-CSCF는 실제 등록된 UE(100)의 세션 상태를 관리하면서 제어하는 서비스를 수행할 수 있고, UE(100)에게 서비스 자원과 관련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TAS(600)는 호를 처리하는 서버일 수 있다. 그리고, TAS(600)는 가입자 데이터베이스, 연동 인터페이스를 포함하고, 과금, OAM(Operation, Administration, Maintenance)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호를 처리하는 기능은, 그룹 영상 통화 등 부가 서비스 동작 및 호 처리 전반에 대하여 처리하며, 호 처리를 위한 메세지 필드 변경 등을 수행하는 기능일 수 있다. 과금 기능은, UE(100)로 과금을 하기 위한 기능일 수 있다. 가입자 데이터베이스는, 가입자의 부가 서비스 상태 및 등록(Regi) 상태 등에 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고, 연동 인터페이스는, CSCF(500), HLR(330) 및 부가 서비스 수행을 위해 다양한 노드와의 연동을 처리할 수 있다. OAM은, 운용, 관리 및 보수를 처리할 수 있다.
PCRF(700)는 UE(100)별로 정책과 과금에 대한 룰을 정하는 장치일 수 있다. 이때, 정책은 UE(100)가 사용할 QoS 정보일 수 있고, 과금은 오프라인 과금을 할 것인지 또는 온라인 과금을 할 것인지에 대한 정보일 수 있다. 이 정보들은 PCRF(700)로부터 PGW(400)로 전달될 수 있고, PGW(400)는 PCRF(700)로부터 수신한 정보를 기반으로 UE(100)에 대한 제어(QoS, Charging)를 수행할 수 있다.
SPR(810)는 UE(100)별로 정책 및 과금 룰(Policy and Charging Rule)을 저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PCRF(700)는 SPR(810)로부터 UE(100)에 대한 정보를 가져올 수 있다.
OFCS(820)는 PGW(400)가 전달하는 CDR을 수신하여 중앙에서 관리할 수 있다.
OCS(830)는 UE(100)에서 선불제(Prepaid)를 사용하는 경우, UE(100)별로 실시간 사용량에 대한 잔여 사용량(Balance 또는 Credit)을 중앙 관리할 수 있다. 여기서, 실시간 사용량은 PGW(400)에서 관리하고 잔여 사용량을 OCS(830)로 전달할 수 있다. 이때, OCS(830)는 잔여 사용량을 모두 사용한 UE(100)에 대해서는 더 이상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도록 PGW(400)에 해당 정보를 알려줄 수 있다.
PDN(900)는 공중 데이터망으로, 예를 들어 인터넷, IP 네트워크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발생하는 데이터 세션 정보 동기화 방법을 예로 들어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최근 스마트 패드나 타블렛 PC, 스마트 폰과 같은 무선 단말(UE)의 보급이 증가하면서 3G보다 더 나은 서비스를 제공받고자 데이터 망을 이용하는 무선 단말이 늘어나고 있다.
이때, 무선 단말은 레거시 단말과 VoLTE 단말로 나뉠 수 있다. 여기서, VoLTE 단말에서 해석가능한 에러 코드를 레거시 단말에서는 해석하지 못할 수 있는데, 이러한 경우 레거시 단말에서는 어떠한 에러가 발생했는지를 전혀 파악할 수 없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러 코드 처리 방법은, 무선 단말의 단말 데이터 정보를 저장하고, 무선 단말이 레거시 단말이고 에러 코드가 발생한 경우, 레거시 단말이 해석가능한 에러 코드로 변환하여 레거시 단말로 전송함으로써, 레거시 단말에서도 어떠한 에러가 발생했는지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러 코드 처리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러 코드 처리 장치(600)는 인바이트 메세지 수신부(610), 에러 코드 수신부(630), 판단부(650), 변환부(670), 전송부(69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도 1의 UE(100)는 발신 단말로 정의하고,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에러 코드 처리 장치(600)의 기능을 TAS(600)에서 수행할 수도 있고, 그 외의 다른 장치나 서버에서 처리할 수도 있다.
인바이트 메세지 수신부(610)는 발신 단말(100)의 착신 단말(미도시)에 대한 발신 호에 대응하는 인바이트(Invite) 메세지를, 발신 단말(100)로부터 CSCF(500)를 경유하여 수신한다. 이때, 인바이트 메세지는 음성 호나 영상 호에 기초한 메세지일 수 있다.
에러 코드 수신부(630)는 CSCF(500)로부터 발신 호에 대한 제 1 에러 코드를 수신한다. 이때, 발신 단말(100)은 영상 통화 지원 단말이고, 착신 단말은 영상 통화 미지원 단말일 수 있고, CSCF(500)는 발신 단말(100)의 영상 호를 착신 단말이 착신할 수 없는 경우 제 1 에러 코드를 발생시킬 수 있다. 즉, CSCF(500)는 착신 단말의 정보 데이터를 HLR(330)로부터 수집하고, 착신 단말에 대한 발신 단말(100)의 발신 호가 제 1 에러 코드를 발생시키는 발신 호인 경우, 에러 코드 수신부(630)로 발신 호에 대한 제 1 에러 코드를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발신 단말(100)은 VoLTE 단말이고, 착신 단말은 영상 통화가 불가능한 일반 집 전화인 경우를 가정한다. 이때, CSCF(500)는 HLR(330)로부터 발신 단말(100)과 착신 단말의 단말 정보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고, 발신 단말(100)에서는 영상 통화가 가능하지만, 착신 단말에서는 영상 통화 기능을 제공하지 않으므로, 영상 통화가 가능하지 않다는 제 1 에러 코드를 생성할 수 있다. 또는, 발신 단말(100)은 VoLTE 단말이고, 착신 단말은 3G 단말이고 발신 호가 음성 호인 경우를 가정한다. 이때, CSCF(500)는 HLR(330)로부터 발신 단말(100)과 착신 단말의 단말 정보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고, 발신 단말(100)에서는 HD Voice 품질로 통화가 가능하지만, 착신 단말이 3G 단말이므로, HD Voice 품질로 통화가 가능하지 않다는 제 1 에러 코드를 생성할 수 있다.
판단부(650)는 발신 단말(100)이 제 1 에러 코드를 해독 가능한 단말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이때, 판단부(650)는 발신 단말(100)로부터 단말 정보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단말 정보 데이터는 발신 단말(100)이 예를 들어 전원을 켤 때(Turn on), TAS(600)로 전송되는 데이터일 수 있다.
변환부(670)는 판단 결과 발신 단말(100)이 제 1 에러 코드를 해독할 수 없는 경우, 제 1 에러 코드를 발신 단말(100)이 해독 가능한 제 2 에러 코드로 변환한다. 여기서, 발신 단말(100)은 레거시 단말(Legacy Terminal) 또는 VoLTE(Voice over LTE) 단말일 수 있고, 레거시 단말은 상기 제 2 에러 코드를 해독 가능하고, VoLTE 단말은 제 1 에러 코드 및 제 2 에러 코드를 해독 가능한 단말일 수 있다. 여기서, 제 1 에러 코드는 예를 들어, 415 Unsupported Media일 수 있고, 제 2 에러 코드는 404 Not Found일 수 있다. 즉, 415는 착신 단말이 영상 통화 미지원 단말임을 알려주는 에러 코드이고, 404는 착신 단말의 착신 번호가 결번이라는 것을 알려주는 에러 코드이다.
따라서, VoLTE 단말은 착신 단말이 영상 통화가 미지원 단말인지와, 착신 번호가 결번인지의 여부를 구분할 수 있지만, 레거시 단말은 두 가지를 구분할 수 없고, 단지 착신 번호가 결번인지의 여부를 알 수 있는 제 2 에러 코드만을 해독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러 코드 처리 방법은, 레거시 단말이 제 1 에러 코드가 발생하더라도 해당 내용을 해독할 수 있도록, 레거시 단말이 이해 가능한 제 2 에러 코드로 변환하여 보내주는 방법을 제시함으로써, 레거시 단말에서도 어떠한 에러가 발생했는지를 인지하도록 한다.
전송부(690)는 변환된 제 2 에러 코드를 CSCF(500)를 경유하여 발신 단말(100)로 전송한다. 이때, 제 2 에러 코드는 발신 단말(100)로 착신 단말의 전화번호가 결번이라는 것을 알려주는 코드일 수 있다. 여기서, 제 2 에러 코드를 받은 발신 단말(100)은 예를 들어, "이 번호는 결번입니다"라는 메세지를 수신할 수 있다. 즉, 제 2 에러 코드의 내용은 착신 단말이 영상 통화 미지원 단말임을 알려주는 코드이지만, 발신 단말(100)이 레거시 단말임으로 인하여 해당 제 1 에러 코드를 해석할 수 없으므로, 결번 케이스로 처리하는 것이다.
한편, 전송부(690)는 판단부(650)의 판단 결과 발신 단말(100)이 제 1 에러 코드를 해독할 수 있는 경우, 제 1 에러 코드를 CSCF(500)를 경유하여 발신 단말(1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제 1 에러 코드는 착신 단말이 영상 통화 미지원 단말임을 알려주는 코드일 수 있다. 따라서, 제 1 에러 코드를 받은 발신 단말(100)은 예를 들어, "이 번호는 결번입니다"라는 메세지 대신에, "상대방이 영상 통화가 가능하지 않습니다"라는 메세지를 수신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도 2의 에러 코드 처리 방법에 대해서 설명되지 아니한 사항은 앞서 도 1을 통해 에러 코드 처리 방법에 대하여 설명된 내용과 동일하거나 설명된 내용으로부터 용이하게 유추 가능하므로 이하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데이터 네트워크 시스템에 포함된 각 구성들 상호간에 데이터가 송수신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도 3을 통해 각 구성들 상호간에 데이터가 송수신되는 과정의 일 예를 설명할 것이나, 이와 같은 실시예로 본원이 한정 해석되는 것은 아니며, 앞서 설명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라 도 3에 도시된 데이터가 송수신되는 과정이 변경될 수 있음은 기술분야에 속하는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도 3을 참조하면, UE(100)는 TAS(600)로 자신의 Capa 정보인 단말 정보 데이터를 등록하는 신호를 전송하고(S3100), TAS(600)는 UE(100)의 단말 데이터 정보를 등록한다(S3200).
그리고 나서, UE(100)로부터 CSCF(500)로 영상 호에 기초한 인바이트 메세지를 전송하면(S3310), CSCF(500)는 TAS(600)로 인바이트 메세지를 전송하고(S3320), TAS(600)는 인바이트 메세지를 다시 CSCF(500)로 전송한다(S3330).
인바이트 메세지를 받은 CSCF(500)는 HLR(330)로 착신 단말의 단말 정보 데이터를 요청하고(S3410), HLR(330)로부터 단말 정보 데이터를 수신하면(S3420), 착신 단말이 영상 통화 미지원 단말인지의 여부를 확인한다(S3500). 여기서, 착신 단말이 영상 통화 지원 단말인 경우, CSCF(500)는 영상 통화를 연결한다(S3510). 이때, CSCF(500)는 착신 단말이 영상 통화 미지원 단말인 경우, 제 1 에러 코드를 TAS(600)로 전송한다(S3600).
TAS(600)는 제 1 에러 코드를 받고 나면, UE(100)가 레거시 단말이고, UE(100)로부터 수신된 인바이트 메세지가 영상 호에 기초한 메세지인지를 확인하고(S3700), UE(100)가 레거시 단말이고 인바이트 메세지가 영상 호에 기초한 메세지인 경우, 제 1 에러 코드를 제 2 에러 코드로 변환한다(S3800). 그리고 나서, TAS(600)는 제 2 에러 코드를 CSCF(500)를 경유하여 UE(100)로 전송한다(S3810, S3820). 반면, UE(100)가 레거시 단말이 아니고, 인바이트 메세지가 영상 호에 기초한 메세지인 경우, 제 1 에러 코드는 그대로 CSCF(500)를 경유하여 UE(100)로 전송된다(S3910, S3920).
이와 같은 도 3의 에러 코드 처리 방법에 대해서 설명되지 아니한 사항은 앞서 도 1 및 도 2의 에러 코드 처리 방법에 대하여 설명된 내용과 동일하거나 설명된 내용으로부터 용이하게 유추 가능하므로 이하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상술한 단계들(S3100~S3920)간의 순서는 예시일 뿐,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상술한 단계들(S3100~S3920)간의 순서는 상호 변동될 수 있으며, 이중 일부 단계들은 동시에 실행되거나 삭제될 수도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러 코드 처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TAS는, 발신 단말의 착신 단말에 대한 발신 호에 대응하는 인바이트(Invite) 메세지를, 발신 단말로부터 CSCF(Call Session Control Function)를 경유하여 수신한다(S4100).
그리고 나서, TAS는, CSCF로부터 발신 호에 대한 제 1 에러 코드를 수신하고(S4200), 발신 단말이 제 1 에러 코드를 해독 가능한 단말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S4300).
또한, TAS는, 판단 결과 발신 단말이 제 1 에러 코드를 해독할 수 없는 경우, 제 1 에러 코드를 발신 단말이 해독 가능한 제 2 에러 코드로 변환한다(S4400).
그리고, TAS는 변환된 제 2 에러 코드를 CSCF를 경유하여 발신 단말로 전송한다(S4500).
이와 같은 도 4의 에러 코드 처리 방법에 대해서 설명되지 아니한 사항은 도 1 내지 도 3을 통해 에러 코드 처리 방법에 대해서 설명된 내용과 동일하거나 설명된 내용으로부터 용이하게 유추 가능하므로 이하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도 4를 통해 설명된 일 실시예에 따른 에러 코드 처리 방법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이나 프로그램 모듈과 같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 있고,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 및 통신 매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된 휘발성 및 비휘발성,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통신 매체는 전형적으로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반송파와 같은 변조된 데이터 신호의 기타 데이터, 또는 기타 전송 메커니즘을 포함하며, 임의의 정보 전달 매체를 포함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7)

  1. 에러 코드 처리 장치에서 실행되는 에러 코드 처리 방법에 있어서,
    발신 단말의 착신 단말에 대한 발신 호에 대응하는 인바이트(Invite) 메세지를, 상기 발신 단말로부터 CSCF(Call Session Control Function)를 경유하여 수신하는 단계;
    상기 CSCF로부터 상기 발신 호에 대한 제 1 에러 코드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발신 단말이 상기 제 1 에러 코드를 해독 가능한 단말인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판단 결과 상기 발신 단말이 상기 제 1 에러 코드를 해독할 수 없는 경우, 상기 제 1 에러 코드를 상기 발신 단말이 해독 가능한 제 2 에러 코드로 변환하는 단계; 및
    상기 변환된 제 2 에러 코드를 상기 CSCF를 경유하여 상기 발신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에러 코드 처리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바이트 메세지는 영상 호에 대응하는 메세지이고,
    상기 발신 단말은 영상 통화 지원 단말, 상기 착신 단말은 영상 통화 미지원 단말이고,
    상기 제 1 에러 코드는 상기 발신 단말의 영상 호를 상기 착신 단말이 착신할 수 없는 경우 상기 CSCF에서 발생하는 것인, 에러 코드 처리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 결과 상기 발신 단말이 상기 제 1 에러 코드를 해독할 수 있는 경우, 상기 제 1 에러 코드를 상기 CSCF를 경유하여 상기 발신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1 에러 코드는 상기 착신 단말이 영상 통화 미지원 단말임을 알려주는 코드인 것인, 에러 코드 처리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에러 코드는 상기 발신 단말로 상기 착신 단말의 전화번호가 결번임을 알려주는 코드인 것인, 에러 코드 처리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CSCF는,
    상기 착신 단말의 정보 데이터를 HLR(Home Location Register)로부터 수집하고,
    상기 착신 단말에 대한 발신 단말의 발신 호가 상기 제 1 에러 코드를 발생시키는 발신 호인 경우, 상기 에러 코드 처리 장치로 상기 발신 호에 대한 상기 제 1 에러 코드를 전송하는 것인, 에러 코드 처리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에러 코드 처리 방법은,
    상기 인바이트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발신 단말로부터 단말 정보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수신된 단말 정보 데이터에 기초해서 상기 발신 단말이 상기 제 1 에러 코드를 해독 가능한 단말인지의 여부를 판단하며,
    상기 발신 단말은 레거시 단말(Legacy Terminal) 또는 VoLTE(Voice over LTE) 단말을 포함하고,
    상기 레거시 단말은 상기 제 2 에러 코드를 해독 가능하고,
    상기 VoLTE 단말은 상기 제 1 에러 코드 및 제 2 에러 코드를 해독 가능한 것인, 에러 코드 처리 방법.
  7. 발신 단말의 착신 단말에 대한 발신 호에 대응하는 인바이트(Invite) 메세지를, 상기 발신 단말로부터 CSCF(Call Session Control Function)를 경유하여 수신하는 인바이트 메세지 수신부;
    상기 CSCF로부터 상기 발신 호에 대한 제 1 에러 코드를 수신하는 에러 코드 수신부;
    상기 발신 단말이 상기 제 1 에러 코드를 해독 가능한 단말인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부;
    상기 판단 결과 상기 발신 단말이 상기 제 1 에러 코드를 해독할 수 없는 경우, 상기 제 1 에러 코드를 상기 발신 단말이 해독 가능한 제 2 에러 코드로 변환하는 변환부; 및
    상기 변환된 제 2 에러 코드를 상기 CSCF를 경유하여 상기 발신 단말로 전송하는 전송부
    를 포함하는, 에러 코드 처리 장치.
KR1020130104783A 2013-09-02 2013-09-02 에러 코드 처리 방법 및 장치 KR1020928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04783A KR102092877B1 (ko) 2013-09-02 2013-09-02 에러 코드 처리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04783A KR102092877B1 (ko) 2013-09-02 2013-09-02 에러 코드 처리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26234A KR20150026234A (ko) 2015-03-11
KR102092877B1 true KR102092877B1 (ko) 2020-03-24

Family

ID=530222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04783A KR102092877B1 (ko) 2013-09-02 2013-09-02 에러 코드 처리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92877B1 (ko)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6217B1 (ko) 2003-03-29 2010-01-1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통신 단말기의 통화 연결 실패 알림 방법
KR101158983B1 (ko) * 2009-12-21 2012-06-21 주식회사 케이티 mVoIP 네트워크에서 초기 스케쥴링 방법
KR101384159B1 (ko) * 2010-10-28 2014-04-11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발신자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 이를 위한 장치 및 이를 위한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26234A (ko) 2015-03-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16456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optimizing internet communications
US10361874B2 (en) Method and system for managing user location information in a communication system
US10193702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sponsoring service between user equipments
US8666396B2 (en) Providing user location and time zone information for LTE/IMS charging
US9948646B1 (en) Machine type communication interworking function proxy
WO2018228678A1 (en) Quality of service initiated handover
JP5356331B2 (ja) 移動通信方法及び優先度制御ノード
US20140045492A1 (en) System and method for enhanced paging and quality of service establishment in mobile satellite systems
US10148482B2 (en) Video interconnect termination charging
US20220256040A1 (en) Zero charge systems and methods for packet-switched telephony
CN111092842A (zh) 一种信息处理方法、服务器、网元及存储介质
US20220256039A1 (en) Network exception systems and methods for packet-switched telephony
CN105959274B (zh) 通信方法和通信方法中使用的网元
KR102092877B1 (ko) 에러 코드 처리 방법 및 장치
KR102072702B1 (ko) 데이터 세션 관리 방법 및 장치
KR20110078308A (ko) Ip 멀티미디어 서비스 호 제어 시스템 및 방법
KR101530648B1 (ko) 무선 단말의 상태 정보 가등록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호 처리 서버
KR102166966B1 (ko) 무선 단말의 상태 정보 전송 방법 및 장치
KR102273762B1 (ko) VoLTE(Voice over Long Term Evolution)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과 및 이 시스템에 포함되는 PGW(PDN Gateway) 및 CSCF(Call Session Control Function)과 그 제어방법
WO2017223383A1 (en) Video interconnect system
KR102072713B1 (ko) 호 처리 통합형 통화 연속성 제공 방법 및 장치
KR102098211B1 (ko) 데이터 세션 업데이트 방법 및 장치
KR102109822B1 (ko) 데이터 세션 정보 동기화 방법 및 이를 위한 과금 메세지 분석 장치
WO2022173788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packet-switched telephony
US20130039225A1 (en) Method and apparatus relating to charging in an ip multimedia sub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