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92832B1 - 진세노사이드 화합물 k와 돌외 잎 추출물을 이용한 피부 주름 개선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진세노사이드 화합물 k와 돌외 잎 추출물을 이용한 피부 주름 개선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92832B1
KR102092832B1 KR1020180132316A KR20180132316A KR102092832B1 KR 102092832 B1 KR102092832 B1 KR 102092832B1 KR 1020180132316 A KR1020180132316 A KR 1020180132316A KR 20180132316 A KR20180132316 A KR 20180132316A KR 102092832 B1 KR102092832 B1 KR 1020928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sition
skin
leaf extract
extract
skin wrinkl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323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구의서
Original Assignee
구의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의서 filed Critical 구의서
Priority to KR10201801323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9283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928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928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0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8/602Glycosides, e.g. ruti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25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containing carbohydrate syrups; containing sugars; containing sugar alcohols; containing starch hydrolysat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70Carbohydrates; 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31/7028Compounds having saccharide radicals attached to non-saccharide compounds by glycosidic linkages
    • A61K31/7034Compounds having saccharide radicals attached to non-saccharide compounds by glycosidic linkages attached to a carbocyclic compound, e.g. phloridzin
    • A61K31/704Compounds having saccharide radicals attached to non-saccharide compounds by glycosidic linkages attached to a carbocyclic compound, e.g. phloridzin attached to a condensed carbocyclic ring system, e.g. sennosides, thiocolchicosides, escin, daunorubic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42Cucurbitaceae (Cucumber family)
    • A61K36/424Gynostemm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61P17/18Antioxidants, e.g. antiradic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18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skin health and hair or coa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pidemiology (AREA)
  • Mycology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Botan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rds (AREA)
  • Microbi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콜라겐 생성 촉진 활성을 가지는 진세노사이드 화합물 K와 돌외 잎 추출물을 이용한 피부 주름 개선용 조성물을 개시한다.

Description

진세노사이드 화합물 K와 돌외 잎 추출물을 이용한 피부 주름 개선용 조성물{Composition for Improving Skin Wrinkles Using Using Ginsenoside Compound K and a Leaf Extract of Gynostemma pentaphyllum Makino}
본 발명은 진세노사이드 화합물 K와 돌외 잎 추출물(Gynostemma pentaphyllum Makino)을 이용한 피부 주름 개선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피부는 인체의 약 16%를 차지하고 있으며, 외부환경과 직접적으로 접해 있어 온도, 습도 및 자외선 등과 같은 외부 유해인자들로부터 인체를 보호하는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피부는 각질 아래 표피, 진피, 피하조직으로 구성되어 있다. 표피는 주로 케라틴으로 되어 있는 케라티노사이트(keratinocytes), 멜라닌을 생성하고 분비하는 멜라닌 세포(melanocytes), 랑게르한스 세포(langerhans cells) 등의 면역세포 그리고 지각관련세포 (Merkel's copuscles)로 구성되는 얇은 보호층으로 외부자극과 병원균의 침입을 방지하고 체온조절, 수분과 지질 성분 유지 작용을 한다. 진피는 표피 아래에 있는 결합조직으로 대부분 세포외 간질(extracellular matrix)이라 불리는 거대 분자의 망상 구조로 구성되어 있다. 이 세포외 간질은 섬유아세포에서 만들어지며, 콜라겐, 엘라스틴 등의 섬유상 단백질과 히알루론산 등의 다당체로 이루어져 있다.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각종 오염물질, 강한 자외선, 스트레스 및 영양결핍 등으로 인해 피부 세포들이 손상을 입게 되고, 세포 증식이 원활하게 되지 않아 피부에 주름, 탄력 손실 및 각질화 등이 발생한다(Gilchrest B.A., J. Am. Acad. Dermatol, 21:610, 1989). 이러한 피부의 노화는 내인성 노화와 외인성 노화로 분류된다. 내인성 노화는 나이가 들어 피부의 생리적 기능이 저하되어 자연적으로 나타나는 노화 현상으로 탄력이 감소하고 피부 결이 거칠어지고 깊은 주름이 생기며 색소가 침착되는 특징이 있다. 외인성 노화는 자외선, reactive oxygen 및 스트레스 등의 외부 요인에 의해 발생하는 노화를 말한다. 상기의 다양한 요인에 의하여 피부노화 현상이 진행되면 각질형성세포 및 섬유아세포의 분열 감소, 히알루론산 감소, 콜라겐 합성 감소, MMP 생성의 증가, 멜라닌생성의 신호 전달 증가 등이 발생하여 보습 저하, 주름 생성 및 피부 탄력 감소 등의 현상이 나타난다.
콜라겐은 피부 수분을 유지하고 피부 유연성과 탄력을 유지하는 데 가장 중요한 단백질로 진피층의 90%를 차지하고 있으며(J Am Acad Dermatol, 17(4):610-613, 2001) 피부의 강도와 장력을 부여하여 외부의 자극으로부터 피부를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콜라겐은 섬유아세포에 의해 합성되며 콜라겐나아제(collagenase)와 엘라스티나아제(elastinase)에 의해 분해된다. 나이가 들거나 자외선 등에 노출되면 섬유아세포의 작용과 세포 수가 감소하여 콜라겐의 합성량이 줄어들고 콜라겐을 분해하는 콜라겐나아제(collagenase)와 엘라스티나아제(elastinase)의 작용이 증가하여 피부 수분이 손실되고 피부 유연성과 탄력이 감소하게 된다.
외인성 노화를 일으키는 가장 중요한 요인으로 자외선이 있으며, 자외선에 의한 외인성 노화현상을 광노화라고 한다(Lee JN et al., J Soc Cosmet Scientists Korea 32:227-231, 2006). 피부가 자외선에 지속적으로 노출되면 피부에 유해한 대사과정이 일어나게 되며 활성산소가 증가한다(Rittie L and Fisher GJ. Ageing Res. Rev. 1:705-720. 2002.). 활성산소는 MMP9, MMP2 등 MMPs(기질분해 효소, matrix metalloproteinase) 등 다양한 종류의 콜라게나제의 발현 및 활성증가를 유도하여 불규칙적인 콜라겐이 형성되는데, 이로 인해 피부 표면 이 거칠고 비대해 지며 깊은 주름이 생기게 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Fisher GJ et al., J Invest Dermatol 117:219-226, 2001; Jean LB. Am J Med 8:S99-S103, 1995; Laure RG and Fisher J. Ageing Res Rev 1:705-720, 2002).
현재 피부 주름형성을 억제하는 물질로는 레티노산과 레티놀(Simon C et al., J Invest Dermatol 98:248-260, 1992; Elaine S et al., J Invest Dermatol 96:975-978, 1991)의 효과가 입증되어 있고, dehydroepiandrosterone(Shin MH et al., J Invest Dermatol 124:315-323, 2005), 인삼에서 추출한 ginsenoside Rg3(Kim SW et al., J Soc Cosmet Scientists Korea 30:221-225, 2004), 플라보노이드(Francesco B et al., Int J Pharm 145:87-94, 1996), 팥배나무 추출물(한국 등록특허 제101008833호), 연교 추출물(한국 등록특허 제100825450호) 등 다양한 물질의 주름 개선 및 피부 보호효과가 탐색되었다. 그러나 일부 물질들은 안정성이 낮거나 피부 자극을 일으켜 안전성에 문제가 있기 때문에 사용에 제한이 있다. 이에 따라 우수한 주름개선 활성 효과와 안전성 및 안정성을 지닌 물질의 탐색이 지속되고 있다.
한편 인삼은 중국, 한국, 일본 등의 동아시아 국가에서 약 2천년 전부터 약재나 건강 증진의 보약제로 폭넓게 사용되어 왔는데, 이러한 인삼의 주요 활성 성분은 사포닌(ginsenoside)으로 알려져 있다. 샤포닌은 트리테르페노이드 계열의 담마란(dammarane) 골격에 포도당, 아라비노오스, 자일로오스, 람노오스 등의 당 분자가 2~4개 결합하고 있는 중성 배당체 화합물이다.
일반적으로 자연계에 존재하는 많은 배당체 화합물들은 그 자체보다는 당이 분해되어 비당체가 되었을 때 생리활성이 증가되는 경향을 나타낸다(Med. Pharm. Soc. 1992, 9:1-13). 인삼 사포닌의 경우도 당이 3개 이상 결합된 진세노사이드 Rb1, Rb2, Rd, 및 Re보다 일부의 당이 가수분해되어 생성된 진세노사이드 Rg3, Rh1, Rh2, F2, 화합물 Y 및 화합물 K 등이 생체 내로의 흡수나 생리활성 등의 면에서 훨씬 우수한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Ginseng Res. 2003, 27:129-134).
특히 화합물 K(이하 "CK")의 경우 사포닌이 대장내 활성화 세균에 의해서 당분자 하나만 남아있는 상태의 화합물인데, 이것은 장에서 전량 흡수된다.
CK는 암 세포의 침윤을 막거나 염색체 변형과 종양 형성을 예방함으로써 항전이 또는 항암 효과를 유도하고, 특히 간암 억제 작용과 면역 증강 작용을 가진다고 알려져 있으며(Oncol. Res. 9:411-7,1998; Cancer Lett. 144:39-43, 1999), 피부 관련 생리활성에 대해서는 피부 미백 활성, 진세노사이드 화합물 F1과의 혼합에 의한 피부 주름 개선 활성등이 보고되어 있다(한국 특허출원 제2012-0071146호, 한국 등록특허 제1140039호).
돌외(Gynostemma pentaphyllum Makino)는 박과(Cucurbitaceae)에 속하는 다년생 식물로 국내는 물론, 중국, 일본, 동남아시아 등의 지역에 폭넓게 분포되어 있으며, 지노스테마 속(Gynostemma, sp.)에 속하는 종은 30 여종이 알려져 있으나 이 중에서도 돌외가 가장 널리 분포되어 있다. 따라서 돌외에 대하여 그 성분 및 효능 연구가 가장 활발하게 진행되어, 현재 주성분으로는 사포닌(saponins) 계열 화합물인 지페노사이드(gypenosides), 방향성분인 필로둘신(phyllodulcin)과 플라보노이드(flavonoids), 카로틴(carotene) 등을 함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또한 생리활성으로서는 항산화작용 및 혈관내피세포 보호 작용, 심혈관 기능 개선 작용, 콜레스테롤 저하 작용, 면역기능 조절 작용, 암세포 성장저해 작용, 항당뇨 작용, 간 기능 보호 작용, 항염증 작용 등을 가지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Kor. J. Pharmacogn. 42(1): 32∼37, 2011).
본 발명은 CK 단독 그리고 돌외 잎 추출물 단독의 피부 주름 개선 활성과 이들의 혼합에 의한 피부 주름 개선 활성을 개시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CK와 돌외 잎 추출물을 이용한 피부 주름 개선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이나 구체적인 목적은 이하에서 제시될 것이다.
본 발명자들은 아래의 실시예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CK와 돌외 잎 추출물 각각이 단독으로 콜라겐 생성 촉진 활성을 가질 뿐만 아니라 이들을 혼합하여 처리할 경우에는 각 단독의 콜라겐 생성 촉진 활성보다 더 높은 콜라겐 생성 촉진 활성을 가짐을 확인하였다.
본 발명은 이러한 실험 결과에 기초하여 제공되는 것으로, 본 발명의 피부 주름 개선용 조성물은 CK, 돌외 잎 추출물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명세서에서, 상기 "돌외 잎 추출물"은 추출 대상인 돌외 잎을 물,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 알콜(메탄올, 에탄올, 부탄올 등), 메틸렌클로라이드, 에틸렌, 아세톤, 헥산, 에테르, 클로로포름, 에틸아세테이트, 부틸아세테이트, N,N-디메틸포름아미드(DMF), 디메틸설폭사이드(DMSO), 1,3-부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또는 이들의 혼합 용매를 사용하여 침출하여 얻어진 추출물, 이산화탄소, 펜탄 등 초임계 추출 용매를 사용하여 얻어진 추출물 또는 그 추출물을 분획하여 얻어진 분획물을 의미하며, 추출 방법은 활성물질의 극성, 추출 정도, 보존 정도를 고려하여 냉침, 환류, 가온, 초음파 방사, 초임계 추출 등 임의의 방법을 적용할 수 있다. 분획된 추출물의 경우 추출물을 특정 용매에 현탁시킨 후 극성이 다른 용매와 혼합·정치시켜 얻은 분획물, 상기 조추출물을 실리카겔 등이 충진된 칼럼에 흡착시킨 후 소수성 용매, 친수성 용매 또는 이들의 혼합 용매를 이동상으로 하여 얻은 분획물을 포함하는 의미이다. 또한 상기 추출물의 의미에는 동결건조, 진공건조, 열풍건조, 분무건조 등의 방식으로 추출 용매가 제거된 농축된 액상의 추출물 또는 고형상의 추출물이 포함된다. 바람직하게는 추출용매로서 물, 에탄올 또는 이들의 혼합 용매를 사용하여 얻어진 추출물, 더 바람직하게는 추출용매로서 물과 에탄올의 혼합 용매를 사용하여 얻어진 추출물을 의미한다.
또 본 명세서에서 "유효성분"이란 단독으로 목적하는 활성을 나타내거나 또는 그 자체는 활성이 없는 담체와 함께 활성을 나타낼 수 있는 성분을 의미한다.
또 본 명세서에서, "개선"이란 피부 주름의 증상의 완화, 그러한 증상의 발현 억제, 발현 지연, 발현 제거를 포함하는 의미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유효성분 이외에, 피부 관련 활성을 보강·추가하기 위하여 당업계에 공지된 피부 미백 성분, 피부 주름 개선 성분, 자외선 보호 성분, 피부 보습 성분 등을 포함하여 제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피부 미백 성분으로서는 알부틴, 나이아신아마이드, 아스코빌글루코사이드, 알파-비사보롤, 유용성 감초 추출물(Oil Soluble Licorice(Glycyrrhiza) Extract) 등을 들 수 있으며, 또 피부 주름 개선 성분으로서는 레티놀, 레티닐팔미테이트, 아데노신, 폴리에톡실레이티드아마이드 등을 들 수 있고, 자외선 보호 성분으로서는 드로메트리졸, 드로메트리졸트리실록산, 디갈로일트리올리에이트, 디메치코디에칠벤잘말로네이트, 디에칠헥실부타미도트리아존, 소나무 껍질 추출물 등의 복합물, 포스파티딜세린, 핑거루트 추출 분말, 홍삼과 산수유 등의 복합 추출물 등을 들 수 있다. 또 보습 성분으로서는 AP 콜라겐 효소 분해 펩타이드, Collactive 콜라겐 펩타이드, N-아세틸글루코사민, 곤약 감자 추출물, 민들레 등의 복합 추출물, 쌀겨 추출물, 옥수수 배아 추출물, 저분자 콜라겐 펩타이드, 지초 추출 분말, 포스파티딜세린, 히알루론산 등을 들 수 있다. 여타의 피부 미백 성분, 주름 개선 성분, 자외선 보호 성분, 피부 보습 성분들에 대해서는 화장품법에 따른 기능성화장품공전(식약처고시 "기능성화장품 기준 및 시험방법"), 건강기능식품에관한법률의 건강기능식품공전(식약처고시 "건강기능식품 기준 및 규격)을 참조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들은 본 발명의 조성물에 그 유효성분과 함께 하나 이상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서 그 유효성분은 그것이 피부 주름 개선 활성을 나타낼 수 있는 한, 용도, 제형, 배합 목적 등에 따라 임의의 양(유효량)으로 포함될 수 있는데, 통상적인 유효량은 조성물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할 때 0.001 중량 % 내지 20.0 중량 % 범위 내에서 결정될 것이다. 여기서 "유효량"이란 그 적용 대상인 사람에게 의료 전문가 등의 제언에 의한 투여 기간 동안 본 발명의 조성물이 투여될 때, 피부 주름 개선 효과 등 의도한 의료적·약리학적 효과를 나타낼 수 있는, 본 발명의 조성물에 포함되는 유효성분의 양을 말한다. 이러한 유효량은 당업자의 통상의 능력 범위 내에서 실험적으로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구체적인 양태에 있어서, 화장료 조성물로 파악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이 화장료 조성물로 파악될 경우에도 그 화장료 조성물은 그 용도상, 법률상 임의의 제품 구분을 띨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피부 미백 등의 용도를 가진 기능성 화장품, 비기능성 일반 화장품 등일 수 있다. 제품 형태에 있어서도 임의의 제품 형태를 띨 수 있는데, 구체적으로 용액,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젤, 크림, 로션, 파우더, 비누, 계면활성제-함유 클렌징, 오일, 분말 파운데이션, 유탁액 파운데이션, 왁스 파운데이션, 스프레이 등으로 제형화될 수 있다. 구체적인 제품 형태에 있어서는 유연 화장수, 영양 화장수, 영양 크림, 마사지 크림, 에센스, 아이 크림, 클렌징 크림, 클렌징 포옴, 클렌징 워터, 팩, 스프레이 또는 파우더의 제형 등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그 유효성분 이외에 화장료 조성물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성분들, 예컨대, 안정화제, 용해화제, 계면활성제, 비타민, 색소 및 항료와 같은 통상적인 보조제, 및 담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페이스트, 크림 또는 젤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동물성유, 식물성유, 왁스, 파라핀, 전분, 트라칸트,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탈크 또는 산화아연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파우더 또는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락토스, 탈크, 실리카, 알루미늄 히드록시드, 칼슘 실리케이트 또는 폴리아미드 파우더가 이용될 수 있고, 특히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추가적으로 클로로플루오로히드로카본, 프로판/부탄 또는 디메틸 에테르와 같은 추진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용액 또는 유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용매, 용해화제 또는 유탁화제가 이용되고, 예컨대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 카보네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벤질 알코올, 벤질 벤조에이트, 프로필렌 글리콜, 1,3-부틸글리콜 오일, 글리세롤 지방족 에스테르, 폴리에틸렌 글리콜,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현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물, 에탄올 또는 프로필렌 글리콜과 같은 액상의 희석제, 에톡실화 이소스테아릴 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에스테르와 같은 현탁제, 미소결정성 셀룰로오스, 알루미늄 메타히드록시드, 벤토나이트, 아가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계면-활성제 함유 클렌징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지방족 알코올 설페이트, 지방족 알코올 에테르 설페이트, 설포숙신산 모노에스테르, 이세티오네이트, 이미다졸리늄 유도체, 메틸타우레이트, 사르코시네이트, 지방산 아미드 에테르 설페이트, 알킬아미도베타인, 지방족 알코올, 지방산 글리세리드, 지방산 디에탄올아미드, 식물성 유, 라놀린 유도체 또는 에톡실화 글리세롤 지방산 에스테르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 주름 개선 활성 등을 나타내는 그 유효성분을 포함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당업계에 통상적으로 행하여지는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다른 구체적인 양태에 있어서, 식품 조성물로 파악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어떠한 형태로도 제조될 수 있으며, 예컨대 차, 쥬스, 탄산음료, 이온음료 등의 음료류, 우유, 요구루트 등의 가공 유류, 껌류, 떡, 한과, 빵, 과자, 면 등의 식품류, 정제, 캡슐, 환, 과립, 액상, 분말, 편상, 페이스트상, 시럽, 겔, 젤리, 바 등의 건강기능식품 제제류 등으로 제조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법률상·기능상의 구분에 있어서 제조·유통 시점의 시행 법규에 부합하는 한 임의의 제품 구분을 띨 수 있다. 예컨대 건강기능식품에관한법률에 따른 건강기능식품이거나, 식품위생법의 식품공전(식약처 고시, 식품의 기준 및 규격)상 각 식품유형에 따른 두유류, 발효음료류, 특수용도식품 등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에는 그 유효성분 이외에 식품첨가물이 포함될 수 있다. 식품첨가물은 일반적으로 식품을 제조, 가공 또는 보존함에 있어 식품에 첨가되어 혼합되거나 침윤되는 물질로서 이해되는데, 식품과 함께 매일 그리고 장기간 복용되므로 그 안전성이 보장되어야 한다. 식품위생법에 따른 식품첨가물공전(식약처 고시, 식품첨가물 기준 및 규격)에는 안전성이 보장된 식품첨가물이 화학적 합성품, 천연 첨가물, 혼합 제제류로 구분하여 한정적으로 규정되어 있다.
이들 식품첨가물은 기능적 측면에 있어서는 감미제, 풍미제, 보존제, 유화제, 산미료, 점증제 등으로 구분될 수 있다.
감미제는 식품이 적당한 단맛을 나게 하는 양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천연의 것이거나 합성된 것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천연 감미제를 사용하는 경우인데, 천연 감미제로서는 옥수수 시럽 고형물, 꿀, 수크로오스, 프룩토오스, 락토오스, 말토오스 등의 당 감미제를 들 수 있다.
풍미제는 맛이나 향을 좋게 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는데, 천연의 것과 합성된 것 모두 사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천연의 것을 사용하는 경우이다. 천연의 것을 사용할 경우에 풍미 이외에 영양 강화의 목적도 병행할 수 있다. 천연 풍미제로서는 사과, 레몬, 감귤, 포도, 딸기, 복숭아 등에서 얻어진 것이거나 녹차잎, 둥굴레, 대잎, 계피, 국화 잎, 자스민 등에서 얻어진 것일 수 있다. 또 인삼(홍삼), 죽순, 알로에 베라, 은행 등에서 얻어진 것을 사용할 수도 있다. 천연 풍미제는 액상의 농축액이나 고형상의 추출물일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 합성 풍미제가 사용될 수 있는데, 합성 풍미제는 에스테르, 알콜, 알데하이드, 테르펜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보존제로서는 소듐 소르브산칼슘, 소르브산나트륨, 소르브산칼륨, 벤조산칼슘, 벤조산나트륨, 벤조산칼륨, EDTA(에틸렌디아민테트라아세트산) 등이 사용될 수 있고, 또 유화제로서는 아카시아검, 카르복시메틸셀룰로스, 잔탄검, 펙틴 등을 들 수 있으며, 산미료로서는 연산, 말산, 푸마르산, 아디프산, 인산, 글루콘산, 타르타르산, 아스코르브산, 아세트산, 인산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산미료는 맛을 증진시키는 목적 이외에 미생물의 증식을 억제할 목적으로 식품 조성물이 적정 산도로 되도록 첨가될 수 있다.
점증제로서는 현탁화 구현제, 침강제, 겔형성제, 팽화제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전술한 바의 식품첨가물 이외에, 기능성과 영양성을 보충, 보강할 목적으로 당업계에 공지되고 식품첨가물로서 안정성이 보장된 생리활성 물질이나 미네랄류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한 생리활성 물질로서는 녹차 등에 포함된 카테킨류, 비타민 B1, 비타민 C, 비타민 E, 비타민 B12 등의 비타민류, 토코페롤, 디벤조일티아민 등을 들 수 있으며, 미네랄류로서는 구연산 칼슘 등의 칼슘 제제, 스테아린산마그네슘 등의 마그네슘 제제, 구연산철 등의 철 제제, 염화 크롬, 요오드칼륨, 셀레늄, 게르마늄, 바나듐, 아연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에는 전술한 바의 식품첨가물이 제품 유형에 따라 그 첨가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적량으로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는 기타의 식품첨가물과 관련하여서는 식품공전이나 식품첨가물 공전을 참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구체적인 양태에 있어서, 약제학적 조성물로 파악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유효성분 이외에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를 포함하여 당업계에 공지된 통상의 방법으로 투여 경로에 따라 경구용 제형 또는 비경구용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 여기서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의미는 유효성분의 활성을 억제하지 않으면서 적용(처방) 대상이 적응 가능한 이상의 독성을 지니지 않는다는 의미이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이 경구용 제형으로 제조될 경우, 적합한 담체와 함께 당업계에 공지된 방법에 따라 분말, 과립, 정제, 환제, 당의정제, 캡슐제, 액제, 겔제, 시럽제, 현탁액, 웨이퍼 등의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 이때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적합한 담체의 예로서는 락토스, 글루코스, 슈크로스, 덱스트로스,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등의 당류, 옥수수 전분, 감자 전분, 밀 전분 등의 전분류, 셀룰로오스, 메틸셀룰로오스, 에틸셀룰로오스, 나트륨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하이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 등의 셀룰로오스류, 폴리비닐 피롤리돈, 물,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광물유, 맥아, 젤라틴, 탈크, 폴리올, 식물성유 등을 들 수 있다. 제제화활 경우 필요에 따라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및/또는 부형제를 포함하여 제제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이 비경구용 제형으로 제조될 경우, 적합한 담체와 함께 당업계에 공지된 방법에 따라 주사제, 경피 투여제, 비강 흡입제 및 좌제의 형태로 제제화될 수 있다. 주사제로 제제화활 경우 적합한 담체로서는 멸균수, 에탄올, 글리세롤이나 프로필렌 글리콜 등의 폴리올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들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링거 용액, 트리에탄올 아민이 함유된 PBS(phosphate buffered saline)나 주사용 멸균수, 5% 덱스트로스 같은 등장 용액 등을 사용할 수 있다. 경피 투여제로 제제화할 경우 연고제, 크림제, 로션제, 겔제, 외용액제, 파스타제, 리니멘트제, 에어롤제 등의 형태로 제제화될 수 있다. 비강 흡입제의 경우 디클로로플루오로메탄, 트리클로로플루오로메탄, 디클로로테트라플루오로에탄, 이산화탄소 등의 적합한 추진제를 사용하여 에어로졸 스프레이 형태로 제제화될 수 있으며, 좌제의 기제로는 위텝솔(witepsol), 트윈(tween) 61, 폴리에틸렌글리콜류, 카카오지, 라우린지,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류, 폴리옥시에틸렌 스테아레이트류, 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류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약제학적 조성물의 제제화와 관련하여서는 당업계에 공지되어 있으며, 구체적으로 문헌[Remington's Pharmaceutical Sciences(19th ed., 1995)] 등을 참조할 수 있다. 상기 문헌은 본 명세서의 일부로서 간주 된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의 바람직한 투여량은 환자의 상태, 체중, 성별, 연령, 환자의 중증도, 투여 경로에 따라 1일 0.001mg/kg ~ 10g/kg 범위, 바람직하게는 0.001mg/kg ~ 1g/kg 범위일 수 있다. 투여는 1일 1회 또는 수회로 나누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투여량은 어떠한 측면으로든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콜라겐 생성 촉진 활성을 가지는 진세노사이드 화합물 K와 돌외 잎 추출물을 이용한 피부 주름 개선용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화장품, 식품 또는 약품으로 제품화될 수 있다.
도 1은 사람 섬유아세포를 이용한 CK 및/또는 돌외 잎 추출물의 콜라겐 생성 촉진 활성의 실험 결과이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CK와 돌외 잎 추출물의 콜라겐 생성 촉진 활성
1. 시료의 준비
CK는 자체 생산·정제한 순도 30%의 것을 사용하였으며, 돌외(Gynostemma pentaphyllum Makino) 잎 추출물은 돌외 잎 건조 분말에 10배 중량의 80% 에탄올을 가하고 상온에서 24시간 추출한 후, 여과하여 추출 잔사를 제거하고, 그 여과액을 감압농축하고 동결건조하여 분말상으로 제조하여 실험에 사용하였다.
2. 실험방법
실험에 사용한 사람 섬유아세포(CCD-986SK, human fibroblasts)는 American Type Culture Collection (ATCC, Rockville,. USA)에서 구입하였으며, 10%의 FBS(fetal bovine serum, Hyclone)와 1% Antibiotic-Antimycotic(Gibco)이 첨가된 DMEM(Dulbecco's Modified Eagle Medium.Hyclone)으로 37℃, 5% CO2 조건에서 배양하였다.
사람 섬유아세포를 2×104cell/well 농도로 96 well에 분주한 다음, 24시간 배양하였다. 배지를 버리고 serum free 배지로 시료(CK와 돌외 잎 추출물 그리고 이들의 혼합물)를 희석하여 100㎍/ml 농도로 넣고 24시간 배양하였다. 배양액을 수거하여 실험에 사용하였으며, 세포 배양액 내 콜라겐 합성량은 procollagen type I peptide EIA kit(Takara Biomedical Co.)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Anticody-POD conjugate solution 100 μl를 각 well에 넣은 다음 sample 및 standard 20 μl를 넣고 37℃에서 3시간 배양하였다. 반응이 끝나면 각 well에 배양액을 제거한 뒤 PBS(phosphate buffered saline) 400 μl로 4회 세척하였다. 기질용액 100 μl를 첨가하고 상온에서 15분간 반응시켰다. stop solution(1N H2SO4) 100 μl를 첨가하여 반응을 중지시킨 후 ELISA reader로 45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표준농도곡선을 작성하여 콜라겐 양을 확인하였다.
3. 실험 결과
결과를 시료 무처리군 대비 콜라겐 생성 정도에 대한 백분율로 하여 도 1에 나타내었다. 100㎍/ml 처리 농도에서 CK와 돌외 잎 추출물 그리고 그 혼합물 모두 유의적으로 콜라겐 생성 촉진 활성을 보였으며(P<0.05), CK와 돌외 잎 추출물의 7:3 내지 5:5 중량비의 혼합물(CK가 7 및 5 중량비임)의 콜라겐 생합성 촉진 활성이 우수하였다(제조예 1: CK 단독, 제조예 2: CK와 돌외 잎 추출물=7:3, 제조예 3: CK와 돌외 잎 추출물=5:5, 제조예 4: CK와 돌외 잎 추출물=3:7, 제조예 5: 돌외 잎 추출물 단독).
통계처리
효과 판정을 위해 one way ANOVA test를 이용하였고 사후검정을 위해 대조군과 비교하는 Dunnett's post hoc test를 사용하였다(* P<0.05)

Claims (6)

  1. 진세노사이드 화합물 K 및 돌외 잎 추출물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되,
    상기 혼합물은 진세노사이드 화합물 K 및 돌외 잎 추출물이 7:3 중량비(진세노사이드 화합물 K가 7 중량비임) 내지 5:5 중량비(진세노사이드 화합물 K가 5 중량비임)의 혼합물인
    피부 주름 개선용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외 잎 추출물은 물, 에탄올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 추출물인 피부 주름 개선용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외 잎 추출물은 80% 에탄올 추출물인 피부 주름 개선용 조성물.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화장품 조성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주름 개선용 조성물.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식품 조성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주름 개선용 조성물.



  6. 삭제
KR1020180132316A 2018-10-31 2018-10-31 진세노사이드 화합물 k와 돌외 잎 추출물을 이용한 피부 주름 개선용 조성물 KR1020928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2316A KR102092832B1 (ko) 2018-10-31 2018-10-31 진세노사이드 화합물 k와 돌외 잎 추출물을 이용한 피부 주름 개선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2316A KR102092832B1 (ko) 2018-10-31 2018-10-31 진세노사이드 화합물 k와 돌외 잎 추출물을 이용한 피부 주름 개선용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92832B1 true KR102092832B1 (ko) 2020-03-24

Family

ID=700044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32316A KR102092832B1 (ko) 2018-10-31 2018-10-31 진세노사이드 화합물 k와 돌외 잎 추출물을 이용한 피부 주름 개선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9283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35675A (ko) 2020-09-14 2022-03-22 재단법인 제주테크노파크 돌외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바이러스용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518795A (ja) * 2004-01-26 2007-07-12 株式會社アモーレパシフィック ジンセノサイドf1または化合物kを含有する皮膚外用剤組成物
KR20170118359A (ko) * 2016-04-15 2017-10-25 김세인 돌외잎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518795A (ja) * 2004-01-26 2007-07-12 株式會社アモーレパシフィック ジンセノサイドf1または化合物kを含有する皮膚外用剤組成物
KR20170118359A (ko) * 2016-04-15 2017-10-25 김세인 돌외잎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35675A (ko) 2020-09-14 2022-03-22 재단법인 제주테크노파크 돌외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바이러스용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61043B1 (ko) 낙지다리 추출물을 이용한 피부 주름 개선용 조성물
KR101800962B1 (ko) 갈대 추출물 또는 그 유산균 발효물을 이용한 피부 주름 개선용 조성물
KR102092832B1 (ko) 진세노사이드 화합물 k와 돌외 잎 추출물을 이용한 피부 주름 개선용 조성물
KR102104850B1 (ko) 물여뀌 추출물을 이용한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102048436B1 (ko) 진세노사이드 화합물 k와 유근피 추출물을 이용한 피부 주름 개선용 조성물 및 피부 보습용 조성물
KR102194458B1 (ko) 미역줄나무 추출물을 이용한 피부 주름 개선용 조성물
KR20220154270A (ko) 검정말 추출물을 이용한 피부 보습용 조성물
KR102157002B1 (ko) 암펠로시수스 폴리티르사 추출물을 이용한 피부 주름 개선용 및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102128977B1 (ko) 흰꽃여뀌 추출물을 이용한 피부 주름 개선 및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102221262B1 (ko) 둥근이질풀 추출물을 이용한 피부 주름 개선용 조성물
KR102322974B1 (ko) 풀거북꼬리 추출물을 이용한 피부 주름 개선용 조성물
KR102548612B1 (ko) 파스닙 추출물을 이용한 피부 주름 개선 및 피부 보습용 조성물
KR102556146B1 (ko) 아그배나무 추출물을 이용한 피부 보습용 조성물
KR102256821B1 (ko) 단풍터리풀 추출물을 이용한 피부 주름 개선용 조성물
KR102247336B1 (ko) 거북꼬리 추출물을 이용한 피부 주름 개선 및 항산화용 조성물
KR102247330B1 (ko) 범꼬리 추출물을 이용한 피부 주름 개선 및 항산화용 조성물
KR102247331B1 (ko) 풀거북꼬리 추출물을 이용한 피부 주름 개선 및 항산화용 조성물
KR102655491B1 (ko) 당조팝나무 추출물을 이용한 피부 주름 개선용 조성물
KR102289102B1 (ko) 박새 추출물을 이용한 피부 미백 및 주름 개선용 조성물
KR102367726B1 (ko) 미성숙 복분자 추출물을 이용한 피부 주름 개선용 조성물
KR102606796B1 (ko) 콩배나무 추출물을 이용한 피부 주름 개선 및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102625163B1 (ko) 물박달나무 추출물을 이용한 피부 주름 개선 및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102374474B1 (ko) 꿩의다리아재비 추출물을 이용한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102191286B1 (ko) 사광이아재비 추출물을 이용한 피부 주름 개선용 조성물
KR102164810B1 (ko) 나도하수오 추출물을 이용한 주름 개선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