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92275B1 - Device for examining bridge safety - Google Patents

Device for examining bridge safety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92275B1
KR102092275B1 KR1020180123930A KR20180123930A KR102092275B1 KR 102092275 B1 KR102092275 B1 KR 102092275B1 KR 1020180123930 A KR1020180123930 A KR 1020180123930A KR 20180123930 A KR20180123930 A KR 20180123930A KR 102092275 B1 KR102092275 B1 KR 1020922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bridge
unit
disposed
sen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23930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한영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장민이엔씨
(주)스마트 제어계측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장민이엔씨, (주)스마트 제어계측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장민이엔씨
Priority to KR10201801239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92275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922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9227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5/00Investigating the elasticity of structures, e.g. deflection of bridges or air-craft wings
    • G01M5/0008Investigating the elasticity of structures, e.g. deflection of bridges or air-craft wings of bridg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5/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 G01B5/3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the deformation in a solid, e.g. mechanical strain gaug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9/00Measuring inclination, e.g. by clinometers, by levels
    • G01C9/02Detai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11/00Component parts of measuring arrangement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 G01D11/24Housings ; Casings for instruments
    • G01D11/245Housings for sensor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7/00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 G08C17/02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using a radio link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esting Of Devices, Machine Parts, Or Other Structures Thereof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an apparatus for diagnosing bridge safety. The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connection unit connected to a bridge; a housing arranged to allow the first connection unit to be inserted; an elasticity unit disposed inside the housing and connected to the first connection unit; a second connection unit inserted into the housing, connected to the elasticity unit, and linearly moving on the housing; and a sensor unit disposed inside the housing, connecting the first connection unit and the second connection unit, and measuring displacement of the bridge.

Description

교량안전진단장치{Device for examining bridge safety}Device for examining bridge safety

본 발명은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교량안전진단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bridge safety diagnosis device.

일반적으로 교량안전진단장치는 교량의 하부에 연결되어 차량 등이 지나가거나 바람 등이 부는 경우 교량의 진동 범위를 측정할 수 있다. 이러한 교량안전진단장치는 수면 상의 바지선에 무게추를 배치하거나 수면 아래의 지면에 무게추를 배치한 후 교량의 변위를 측정할 수 있다. In general, the bridge safety diagnosis device is connect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bridge to measure the vibration range of the bridge when a vehicle passes, or wind blows. Such a bridge safety diagnosis device can measure the displacement of a bridge after placing a weight on a barge on the water surface or placing a weight on the ground below the water surface.

무게추를 바지선에 배치하는 경우 수면의 변화에 따라 바저선이 움직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바지선을 고정시킬 수 있다. 이때, 바지선을 용선하기 위해서는 많은 비용이 발생할 수 있으며, 많은 인원이 필요할 수 있다. When the weight is placed on the barge, the barge can be fixed to prevent the barge from moving according to changes in water surface. At this time, in order to charter a barge, a lot of money may be incurred, and a large number of personnel may be required.

무게추를 수면 아래에 배치하는 경우 무게추는 수면 아래 지면에 접촉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무게추의 위치에 따라 교량안전진단장치가 교량의 하부에 수직하게 배치되지 못함으로써 교량안전진단장치에서 측정되는 교량의 변위 측정이 정확하게 측정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If the weight is placed below the water surface, the weight can contact the ground below the water surface. In this case, depending on the position of the weight, the bridge safety diagnosis device may not be vertically arranged at the bottom of the bridge, which may cause a problem that the displacement measurement of the bridge measured by the bridge safety diagnosis device cannot be accurately measured.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교량의 변위를 정확하게 측정하며, 무선으로 외부로 송출 가능한 교량안전진단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accurately measure the displacement of the bridge, and to provide a bridge safety diagnosis device that can be transmitted to the outside wirelessly.

본 발명의 일 측면은, 교량에 연결되는 제1 연결부와, 상기 제1 연결부가 삽입되도록 배치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제1 연결부에 연결되는 탄성부와, 상기 하우징에 삽입되어 상기 탄성부와 연결되어 상기 하우징을 선형 운동하는 제2 연결부와, 상기 하우징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제1 연결부와 상기 제2 연결부를 연결하며, 상기 교량의 변위를 측정하는 센서부를 포함하는 교량안전진단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connection portion connected to the bridge, the housing disposed to be inserted into the first connection portion, disposed inside the housing, the elastic portion connected to the first connection portion, inserted into the housing A bridge that is connected to the elastic part to linearly move the housing, and a sensor part disposed inside the housing, connecting the first connection part and the second connection part, and measuring a displacement of the bridge Safety diagnosis device can be provided.

또한, 상기 하우징에 배치되어 수면에 대한 상기 하우징의 수평 여부를 감지하는 수평측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it may be disposed on the housing may further include a horizontal measuring unit for detecting whether the housing is level with respect to the water surface.

또한, 상기 하우징에 배치되며, 수면으로 레이저를 조사하는 레이저조사부를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it is disposed in the housing, it may include a laser irradiation unit for irradiating the laser to the water surface.

또한, 상기 제2 연결부와 연결되는 와이어부와, 상기 와이어부의 끝단에 배치되는 고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a wire portion connected to the second connection portion and a fixing portion disposed at an end of the wire portion may be further included.

또한, 상기 하우징에 배치되어 상기 제2 연결부의 위치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Also, a display unit disposed on the housing to display the position of the second connection unit may be further included.

또한, 상기 센서부와 연결되어 상기 센서부에서 측정된 결과를 외부로 송출하는 송수신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it may further include a transceiver that is connected to the sensor unit and transmits the results measured by the sensor unit to the outside.

또한, 상기 송수신부와 무선통신으로 연결되어 상기 송수신부에서 송출된 결과를 분석하는 외부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it may further include an external control unit that is connected to the transmission and reception unit by wireless communication and analyzes the result transmitted from the transmission and reception unit.

또한, 상기 송수신부는 상기 센서부와 착탈 가능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transmitting and receiving unit may be detachable from the sensor unit.

또한,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인출되어 상기 송수신부와 상기 센서부를 착탈 가능하게 연결하는 커넥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a connector that is withdrawn from the housing and detachably connects the transceiver and the sensor may be further included.

또한, 상기 하우징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센서부를 지지하는 센서지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it is disposed inside the housing, it may further include a sensor support for supporting the sensor.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교량에 설치가 간편하고, 적은 인원으로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easy to install on the bridge, it is possible to install with a small number of people.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무게추의 위치를 정확하게 정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정밀하면서 정확한 측정이 가능하다.In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accurately determine the position of the weight, so it is possible to accurately and accurately measure.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측정된 결과를 무선통신을 통하여 외부에서 수집하고 테이터화하는 것이 가능하다.In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collect and data the measured result from the outside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량안전진단장치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교량안전진단장치의 일부를 보여주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교량안전진단장치가 교량에 설치되어 교량의 변위를 측정하는 모습을 보여주는 정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교량안전진단장치의 제어흐름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bridge safety diagnosis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part of the bridge safety diagnosis device shown in FIG. 1.
FIG. 3 is a front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bridge safety diagnosis device shown in FIG. 1 is installed on a bridge to measure displacement of the bridge.
4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ontrol flow of the bridge safety diagnosis device shown in FIG. 1.

본 발명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apparent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n detail together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but will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and only the present embodiments allow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o be complete, and common knowledge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It is provided to fully inform the holder of the scope of the invention, and the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Meanwhile, the term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re for explaining the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In this specification, the singular form also includes the plural form unless otherwise specified in the phrase. As used herein, "comprises" and / or "comprising" refers to the components, steps, operations and / or elements mentioned above, the presence of one or more other components, steps, operations and / or elements. Or do not exclude additions. Terms such as first and second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erms. The terms are used only to distinguish one component from other component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량안전진단장치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교량안전진단장치의 일부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bridge safety diagnosis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art of the bridge safety diagnosis device shown in FIG. 1.

도 1 및 도 2를 참고하면, 교량안전진단장치(10)는 제1 연결부(111), 하우징(120), 탄성부(130), 제2 연결부(112), 센서부(140), 수평측정부(150), 레이저조사부(160), 와이어부(170), 고정부(180), 표시부(190), 송수신부(200), 외부제어부(300), 커넥터(400), 센서지지부(500)를 포함할 수 있다. 1 and 2, the bridge safety diagnosis device 10 includes a first connection unit 111, a housing 120, an elastic unit 130, a second connection unit 112, a sensor unit 140, horizontal measurement Unit 150, laser irradiation unit 160, wire unit 170, fixing unit 180, display unit 190, transmitting / receiving unit 200, external control unit 300, connector 400, sensor support unit 500 It may include.

제1 연결부(111)는 교량(B)의 적어도 일부에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제1 연결부(111)는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연결부(111)는 교량(B)에 와이어부 등으로 고정되거나 교량(B)의 일부에 걸리도록 후크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The first connecting portion 111 may be installed on at least a part of the bridge (B). At this time, the first connecting portion 111 may be formed in various forms. For example, the first connecting portion 111 may be fixed to the bridge B with a wire portion or the like, or may be formed in a hook shape to be caught in a part of the bridge B.

하우징(120)은 제1 연결부(111)가 삽입되며, 내부에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하우징(120)은 제1 바디부(121), 제2 바디부(122), 제1 지지부(123), 제1 커버(124), 선형운동부(125), 제2 지지부(126) 및 제2 커버(127)를 포함할 수 있다. The housing 120 has a first connection 111 inserted therein, and a space may be formed therein. The housing 120 includes a first body part 121, a second body part 122, a first support part 123, a first cover 124, a linear motion part 125, a second support part 126, and a second It may include a cover 127.

제1 바디부(121)는 양측이 개구되도록 형성되며,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어 관(Pipe) 형태일 수 있다. 이때, 제1 바디부(121)는 내부와 외부가 연통하도록 홀 또는 홈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바디부(121)는 제1 바디부(121)의 길이 방향 단면이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바디부(121)의 단면은 원형, 다각형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제1 바디부(121)의 단면은 원형인 경우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The first body portion 121 is formed such that both sides are open, and a space is formed therein to be in the form of a pipe. At this time, the first body portion 121 may be formed with holes or grooves so that the inside and outside communicate. In addition, the first body portion 121 may be formed in various forms in the longitudinal section of the first body portion 121. For example, the cross section of the first body portion 121 may be formed in a circular shape, a polygonal shape, or the like. Hereinafter,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a cross section of the first body part 121 will be described in detail mainly in a circular case.

제2 바디부(122)는 제1 바디부(121)에 삽입될 수 있다. 이때, 제2 바디부(122)는 단차지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커버(124)에 인접한 제2 바디부(122) 부분과 제2 바디부(122)의 다른 부분은 제2 바디부(122)의 길이 방향에 수직한 단면의 면적이 상이할 수 있다. 특히 제1 커버(124)에 인접한 제2 바디부(122) 부분의 단면적이 제2 바디부(122)의 다른 부분의 단면적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2 바디부(122)의 일부분은 제1 바디부(121)의 내면에 접촉할 수 있다. 제2 바디부(122)의 일부는 개구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특히 제2 바디부(122)의 측면 중 적어도 일부는 개구되도록 형성됨으로써 커넥터(400)가 제1 바디부(121) 외부로 인출되는 통로를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제2 바디부(122)는 제1 바디부(121)와 볼트, 나사, 핀 등을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제2 바디부(122)는 제1 바디부(121)의 측면에 고정될 수 있다. 특히 이러한 경우 제2 바디부(122)는 탄성부(130) 및 고정부(180) 등에 의해 가해지는 힘의 방향과 상이한 방향에서 제1 바디부(121)와 견고한 결합을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The second body part 122 may be inserted into the first body part 121. At this time, the second body portion 122 may be formed stepwise. For example, the second body portion 122 adjacent to the first cover 124 and the other portion of the second body portion 122 have different cross-sectional areas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econd body portion 122. can do. In particular,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second body portion 122 portion adjacent to the first cover 124 may be formed to be larger than that of the other portion of the second body portion 122. In this case, a part of the second body part 122 may contact the inner surface of the first body part 121. A portion of the second body portion 122 may be formed to be opened. Particularly, at least a portion of the side surfaces of the second body portion 122 is formed to be opened, thereby providing a passage through which the connector 400 is drawn out of the first body portion 121. The second body part 122 may be connected to the first body part 121 through a bolt, screw, pin, or the like. At this time, the second body portion 122 may be fixed to the side of the first body portion 121. In particular, in this case, the second body part 122 can maintain a firm connection with the first body part 121 in a direction different from the direction of the force applied by the elastic part 130 and the fixing part 180.

제1 지지부(123)는 제2 바디부(122)에 고정되며, 탄성부(130)의 일단을 지지할 수 있다. 이때, 제1 지지부(123)는 고리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복수개 구비되어 복수개의 제1 지지부(123)는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복수개의 제1 지지부(123)는 인접하는 2개의 제2 지지부(126)와 제2 바디부(122)의 중심이 형성하는 각도가 서로 동일하도록 이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제1 지지부(123)가 3개 구비되는 경우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The first support part 123 is fixed to the second body part 122 and may support one end of the elastic part 130. At this time, the first support part 123 may be formed in a ring shape, and a plurality of first support parts 123 may be provid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is case, the plurality of first support parts 123 may be spaced so that the angles formed by the centers of the two adjacent second support parts 126 and the second body part 122 are equal to each other. Hereinafter,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a description will be given focusing on the case where three first support parts 123 are provided.

제1 커버(124)는 제2 바디부(122)가 배치된 부분에 배치되어 제2 바디부(122)와 결합할 수 있다. 이때, 제1 커버(124)는 제1 바디부(121)의 개구 중 하나를 차폐시킬 수 있다. 제1 커버(124)는 제1 바디부(121)의 개구 중 하나에 배치되는 제1 커버바디부(124a)와, 제1 커버바디부(124a)로부터 제2 커버(127) 측으로 돌출되는 제1 돌출부(124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커버바디부(124a)는 제2 바디부(122)와 볼트, 나사, 핀 등으로 결합하여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제1 커버바디부(124a)에는 수평측정부(150)가 안착할 수 있다. 이때, 제1 돌출부(124b)에는 제2 바디부(122)의 개구에 대응되도록 개구가 형성되어 커넥터(400)가 외부로 인출될 수 있다. 또한, 제1 돌출부(124b)는 센서부(140)의 일면에 대응되도록 형성됨으로써 센서부(140)를 가력할 수 있으며, 센서부(140)의 위치가 가변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1 돌출부(124b)는 제2 바디부(122) 내부에 삽입되어 제2 바디부(122)와 결합할 수 있다. The first cover 124 may be disposed at a portion where the second body portion 122 is disposed to be coupled to the second body portion 122. At this time, the first cover 124 may shield one of the openings of the first body part 121. The first cover 124 includes a first cover body part 124a disposed in one of the openings of the first body part 121 and a first projecting from the first cover body part 124a toward the second cover 127. 1 may include a protrusion (124b). The first cover body portion 124a may be fixed by combining the second body portion 122 with a bolt, screw, pin, or the like. In addition, the horizontal measurement unit 150 may be seated on the first cover body part 124a. At this time, an opening is formed in the first protrusion 124b so as to correspond to the opening of the second body part 122, so that the connector 400 can be drawn out. In addition, the first protrusion 124b is formed to correspond to one surface of the sensor unit 140 so that the sensor unit 140 can be biased, and the position of the sensor unit 140 can be prevented from changing. The first protrusion 124b may be inserted into the second body portion 122 and coupled with the second body portion 122.

선형운동부(125)는 제1 바디부(121) 내부에 선형 운동 가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선형운동부(125)는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내부에는 센서부(140)의 일부 또는 제2 연결부(112)의 일부가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선형운동부(125)는 제1 바디부(121)의 내부를 운동할 수 있으며, 제1 바디부(121)는 선형운동부(125)의 운동을 가이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선형운동부(125)가 틸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The linear motion part 125 may be arranged to be capable of linear motion inside the first body part 121. The linear motion part 125 may be formed in a plate shape, and a part of the sensor part 140 or a part of the second connection part 112 may be disposed therein. In this case, the linear motion part 125 may move the inside of the first body part 121, and the first body part 121 may not only guide the motion of the linear motion part 125, but also the linear motion part 125. Can prevent tilting.

제2 지지부(126)는 선형운동부(125)에 배치되어 탄성부(130)와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제2 지지부(126)는 상기에서 설명한 제1 지지부(123)와 동일 또는 유사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The second support part 126 is disposed on the linear motion part 125 and can be connected to the elastic part 130. At this time, since the second support 126 is the same or similar to the first support 123 described above, a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제2 커버(127)는 제1 커버(124)와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제1 바디부(121)와 결합할 수 있다. 이때, 제2 커버(127)는 제1 바디부(121)의 개구된 일단에 배치되는 제2 커버바디부(127a) 및 제2 커버바디부(127a)로부터 제1 바디부(121)의 내측으로 돌출된 제2 돌출부(127b)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2 커버(127)는 제1 바디부(121)의 측면에 배치된 나사, 볼트, 핀 등을 통하여 제1 바디부(121)와 제2 돌출부(127b)를 결합함으로써 제1 바디부(121)와 결합할 수 있다. 특히 제2 커버(127)는 탄성부(130)에 의해 가해지지는 힘과 상이한 방향으로 제1 바디부(121)와 결합함으로써 제1 바디부(121)와 견고한 결합을 유지할 수 있다. 제2 커버(127)에는 제2 연결부(112)가 선형 운동 가능하도록 삽입될 수 있다. 이때, 제2 커버(127)와 제2 연결부(112) 사이에 부시(128) 등이 배치되어 서로 간섭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The second cover 127 is disposed to face the first cover 124 and can be coupled to the first body portion 121. In this case, the second cover 127 is the inner side of the first body portion 121 from the second cover body portion 127a and the second cover body portion 127a disposed at one open end of the first body portion 121. It may include a second protrusion 127b protruding. In this case, the second cover 127 is coupled to the first body part 121 and the second protrusion 127b through screws, bolts, pins, etc., which are disposed on the side surfaces of the first body part 121. It can be combined with (121). In particular, the second cover 127 may maintain a firm connection with the first body portion 121 by engaging the first body portion 121 in a direction different from the force applied by the elastic portion 130. The second connection part 112 may be inserted into the second cover 127 to be linearly movable. At this time, a bush 128 or the like is disposed between the second cover 127 and the second connection part 112 to prevent interference with each other.

탄성부(130)는 제1 바디부(121)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탄성부(130)의 양단 각각은 제1 지지부(123)와 제2 지지부(126)에 연결될 수 있다. 탄성부(130)는 복수개 구비될 수 있으며, 복수개의 탄성부(130)는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1 바디부(121)의 중심과 인접하는 탄성부(130)가 형성하는 각도는 모두 일정할 수 있다. The elastic part 130 may be disposed inside the first body part 121. At this time, both ends of the elastic part 130 may be connected to the first support part 123 and the second support part 126. A plurality of elastic parts 130 may be provided, and the plurality of elastic parts 130 may be arrang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is case, the angle formed by the elastic part 130 adjacent to the center of the first body part 121 may be constant.

제2 연결부(112)는 제2 커버(127)에 선형 운동 가능하도록 배치될 수 있으며, 선형운동부(125)와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제2 연결부(112)는 선형운동부(125)의 운동과 함께 선형 운동할 수 있다. The second connection part 112 may be arranged to be linearly movable on the second cover 127, and may be connected to the linear motion part 125. At this time, the second connection part 112 may linearly move together with the motion of the linear motion part 125.

센서부(140)는 하우징(120)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센서부(140)의 일단이 하우징(120)에 고정될 수 있으며, 센서부(140)의 타단은 선형운동부(125)와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센서부(140)는 선형운동부(125)의 운동에 따라 가해지는 힘, 선형운동부(125)의 위치 변화(예를 들면, 변화한 길이 등) 등을 감지함으로써 선형운동부(125)의 운동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센서부(140)는 접촉센서(예를 들면, 로드셀, 압력센서 등) 또는 비접촉센서(예를 들면, 레이저센서, 광학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센서부(140)는 상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선형운동부(125)의 위치 변화를 측정할 수 있는 모든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The sensor unit 140 may be disposed inside the housing 120. At this time, one end of the sensor unit 140 may be fixed to the housing 120, and the other end of the sensor unit 140 may be connected to the linear motion unit 125. In this case, the sensor unit 140 detects a force applied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linear movement unit 125, a position change (for example, a changed length, etc.) of the linear movement unit 125, and the like, and thus the movement of the linear movement unit 125 Can detect whether. In this case, the sensor unit 140 may include a contact sensor (eg, load cell, pressure sensor, etc.) or a non-contact sensor (eg, laser sensor, optical sensor, etc.). At this time, the sensor unit 140 is not limited to the above, and may include all forms capable of measuring the position change of the linear motion unit 125.

수평측정부(150)는 하우징(120)에 배치되어 하우징(120)의 상면이 교량(B)의 측정면에 대해서 수평으로 배치되는지 확인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때, 수평측정부(150)는 제1 커버(124)의 상면에 배치될 수 있다. The horizontal measuring unit 150 is disposed in the housing 120 and it is possible to check whether the upper surface of the housing 120 is horizontally disposed with respect to the measuring surface of the bridge B. At this time, the horizontal measurement unit 150 may be disposed on the top surface of the first cover 124.

레이저조사부(160)는 하우징(120)에 배치되어 수면으로 레이저를 조사할 수 있다. 이때, 레이저조사부(160)는 하우징(120)의 임의의 중심축에 대해서 수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즉, 레이저조사부(160)는 하우징(120)과 함께 수평측정부(150)에 대해서 수직하게 배열될 수 있다. The laser irradiation unit 160 may be disposed on the housing 120 to irradiate the laser to the water surface. At this time, the laser irradiation unit 160 may be disposed horizontally with respect to any central axis of the housing 120. That is, the laser irradiation unit 160 may be vertically arranged with respect to the horizontal measurement unit 150 together with the housing 120.

와이어부(170)는 제2 연결부(112)에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와이어부(170)는 제2 연결부(112)와 연결되는 와이어(미표기)를 포함하며, 상기 와이어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와이어의 장력을 유지하는 장력유지부(미표기)를 포함할 수 있다. The wire part 170 may be connected to the second connection part 112. At this time, the wire part 170 includes a wire (not shown) connected to the second connection part 112, and may include a tension maintaining part (not shown) disposed between the wires to maintain the tension of the wire.

고정부(180)는 와이어부(170)와 연결되어 하우징(120)이 틸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고정부(180)는 다양한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고정부(180)는 콘크리트 블록 형태인 무게추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써 고정부(180)는 앵커 등으로 형성되어 와이어부(170)를 수면 아래의 지면에 고정시키는 형태인 것도 가능하다. 또 다른 실시예로써 고정부(180)는 복수개의 프레임으로 형성되어 복수개의 프레임이 수면 아래의 지면에 고정되는 형태도 가능하다. The fixing part 180 may be connected to the wire part 170 to prevent the housing 120 from tilting. At this time, the fixing unit 180 may be formed in various ways. For example, the fixing unit 180 may include a weight in the form of a concrete block. As another embodiment, the fixing part 180 may be formed of an anchor or the like to fix the wire part 170 to the ground below the water surface. In another embodiment, the fixing unit 180 is formed of a plurality of frames, and a plurality of frames are also fixed to the ground below the water surface.

표시부(190)는 하우징(120)의 표면에 배치되며, 선형운동부(125)의 위치를 확인 가능하도록 투명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표시부(190)는 하우징(120) 표면에 배치되는 유리, 아크릴 등과 같은 투명 재질로 형성된 투과창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시부(190)는 하우징(120)에 배치되는 눈금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써 표시부(190)는 센서부(140)에서 측정된 값을 전자식으로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패널을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 다른 실시예로써 표시부(190)는 센서부(140)에서 측정된 값을 음성으로 외부로 표출하는 스피커를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The display unit 190 is disposed on the surface of the housing 120, and may be formed of a transparent material to check the position of the linear movement unit 125. For example, the display unit 190 may include a transparent window formed of a transparent material such as glass or acrylic disposed on the surface of the housing 120. The display unit 190 may include a scale disposed on the housing 120. As another embodiment, the display unit 190 may also include a display panel that electronically displays values measured by the sensor unit 140. As another embodiment, the display unit 190 may also include a speaker that expresses a value measured by the sensor unit 140 as voice.

송수신부(200)는 커넥터(400)를 통하여 센서부(140)와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송수신부(200)는 상용 통신망(예를 들면, LTE 통신 방식 등과 같은 이동 통신망 등)을 통하여 외부로 데이터를 전송하거나 외부의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The transmitting and receiving unit 200 may be connected to the sensor unit 140 through the connector 400. At this time, the transceiver 200 may transmit data to the outside or receive external data through a commercial communication network (for example,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such as an LTE communication method).

외부제어부(300)는 송수신부(200)와 무선으로 연결되어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다. 이때, 외부제어부(300)는 송수신부(200)에서 수신된 데이터를 근거로 교량의 변형 정도를 판별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외부제어부(300)는 퍼스널 컴퓨터, 노트북, 휴대폰, 별도의 단말기 또는 PDA 등을 포함할 수 있다. The external control unit 300 may be wirelessly connected to the transmission / reception unit 200 to exchange data. At this time, the external control unit 300 may determine the degree of deformation of the bridge based on the data received from the transceiver 200. In this case, the external control unit 300 may include a personal computer, laptop, mobile phone, separate terminal or PDA.

커넥터(400)는 하우징(120)에 삽입되어 센서부(140)와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커넥터(400)는 하우징(120)에 삽입되어 일부가 하우징(120) 외부로 인출되는 케이블(410)과 케이블(410) 끝단에 배치되어 송수신부(200)를 연결하는 단자(420)를 포함할 수 있다. The connector 400 may be inserted into the housing 120 and connected to the sensor unit 140. At this time, the connector 400 is inserted into the housing 120, a part of the cable 410 is drawn out of the housing 120 and the cable 410 is disposed at the end of the terminal 420 to connect the transceiver 200 It can contain.

센서지지부(500)는 하우징(120)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센서지지부(500)는 제1 커버(124) 또는 제2 바디부(122)에 연결되어 고정될 수 있다. 센서지지부(500)는 센서부(140)가 안착하는 안착부(510), 안착부(510)로부터 연장되는 측면부(520) 및 측면부(520)와 연결되며, 제1 커버(124) 또는 제2 바디부(122)에 연결되어 고정되는 결합부(53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측면부(520)는 복수개 구비될 수 있으며, 복수개의 측면부(520)는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각 측면부(520)는 서로 인접하는 탄성부(130) 사이에 배치? 수 있다. The sensor support 500 may be disposed inside the housing 120. At this time, the sensor support part 500 may be fixed by being connected to the first cover 124 or the second body part 122. The sensor support part 500 is connected to the seat part 510 on which the sensor part 140 rests, the side part 520 extending from the seat part 510, and the side part 520, and includes a first cover 124 or a second. It may include a coupling portion 530 that is connected to and fixed to the body portion 122. At this time, a plurality of side portions 520 may be provided, and the plurality of side portions 520 may be dispos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For example, each side portion 520 is disposed between the elastic portions 130 adjacent to each other? You can.

교량안전진단장치(10)는 상기의 구성 이외에도 센서부(140), 레이저조사부(160) 및 송수신부(200)에 연결되는 제어부(미도시)를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 상기 제어부는 별도의 회로기판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교량안전진단장치(10)는 센서부(140), 레이저조사부(160), 송수신부(200) 및 상기 제어부 중 적어도 하나와 연결되는 전원케이블(600)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교량안전진단장치(10)는 전원케이블(600)에 착탈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전원부(70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전원부(700)는 충전 가능한 이차전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The bridge safety diagnosis device 10 may also include a control unit (not shown) connected to the sensor unit 140, the laser irradiation unit 160, and the transmission / reception unit 200 in addition to the above configuration. At this time, the control unit may include a separate circuit board. The bridge safety diagnosis device 10 may include a power cable 600 connected to at least one of the sensor unit 140, the laser irradiation unit 160, the transmission / reception unit 200, and the control unit. In addition, the bridge safety diagnosis device 10 may include a power supply unit 700 that is detachably connected to the power cable 600. At this time, the power supply unit 700 may include a rechargeable secondary battery or the like.

한편, 이하에서는 교량안전진단장치(10)를 통하여 교량의 변형을 측정하는 방법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Meanwhile, hereinafter, a method of measuring deformation of the bridge through the bridge safety diagnosis device 1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3은 도 1에 도시된 교량안전진단장치가 교량에 설치되어 교량의 변위를 측정하는 모습을 보여주는 정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교량안전진단장치의 제어흐름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FIG. 3 is a front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bridge safety diagnosis device shown in FIG. 1 is installed on a bridge to measure displacement of the bridge. 4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ontrol flow of the bridge safety diagnosis device shown in FIG. 1.

도 3 및 도 4를 참고하면, 교량안전진단장치(10)는 교량(B)의 일부에 배치되어 교량(B)의 변형 여부를 측정할 수 있다. 이때, 일반적인 교량안전진단장치(10)는 교량(B)의 변형 여부를 측정하기 위하여 많은 인력과 다양한 장비가 필요하다. 특히 일반적인 교량안전진단장치(10)는 설치자가 수면 아래로 내려가 일부를 고정시킨 후 교량(B)의 변위를 측정하거나 바지선 등을 통하여 교량(B)의 변형 여부를 측정할 수 있다. 특히 수면 아래의 지면이 굴곡지게 형성되는 경우 인입된 지면 부분에서 교량(B)의 변형 여부를 측정할 때 교량안전진단장치(10)를 고정시키기 못하거나 교량안전진단장치(10)를 정확한 위치에 배치하기 위해서는 많은 시간과 비용이 소요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육안으로 모든 장치의 수평 및 설치 위치가 정확한지 확인하여야 하므로 많은 인원이 필요할 뿐만 아니라 육안으로 교량(B)의 변형 여부를 측정함으로써 사용자마다 오차가 발생하는 문제가 있을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교량안전진단장치(10)를 사용하는 경우 적은 인원을 통하여 교량(B)의 변형 여부를 정확하면서 신속하게 측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3 and 4, the bridge safety diagnosis device 10 is disposed on a part of the bridge B to measure whether the bridge B is deformed. At this time, the general bridge safety diagnosis apparatus 10 requires a lot of manpower and various equipment to measure whether the bridge B is deformed. In particular, the general bridge safety diagnosis device 10 can measure the displacement of the bridge B after the installer descends below the surface of the water and fixes the portion of the bridge B or measures the deformation of the bridge B through a barge or the like. In particular, when the ground beneath the water surface is formed to be curved, when measuring whether the bridge B is deformed in the incoming ground portion, the bridge safety diagnosis device 10 cannot be fixed or the bridge safety diagnosis device 10 is placed in the correct position. Deployment can be time consuming and expensive. In addition, since the user has to check whether the horizontal and installation positions of all devices are correct with the naked eye, a lot of personnel are required, and by measuring whether the bridge B is deformed with the naked eye, errors may occur for each user. However, when using the bridge safety diagnostic device 10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accurately and quickly measure whether the bridge B is deformed through a small number of people.

일 실시예로써 상기와 같은 교량안전진단장치(10)는 교량(B)이 설치된 후 교량(B)의 변위의 변형된 변형량을 측정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써 교량안전진단장치(10)는 교량(B)에 차량 등이 통과하는 경우 발생하는 교량(B)의 변위의 변형량, 교량(B)의 진동 횟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As an embodiment, the bridge safety diagnosis device 10 as described above may measure the deformed deformation amount of the displacement of the bridge B after the bridge B is installed. As another embodiment, the bridge safety diagnosis apparatus 10 may include a deformation amount of displacement of the bridge B, a frequency of vibration of the bridge B, and the like, which occurs when a vehicle or the like passes through the bridge B.

구체적으로 우선 교량안전진단장치(10)를 통하여 교량(B)이 설치된 후 교량(B)의 변위의 변형된 변형량의 측정 방법을 살펴보면, 사용자는 교량안전진단장치(10)를 교량(B)의 하면에 배치하여 고정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는 제1 연결부(111)를 교량(B)에 걸거나 별도의 구조물을 교량(B)에 배치한 후 제1 연결부(111)를 삽입하거나 별도의 구조물을 제1 연결부(111)에 삽입할 수 있다. Specifically, first, the bridge B is installed through the bridge safety diagnostic device 10, and then the method for measuring the modified deformation amount of the displacement of the bridge B is examined, and the user can connect the bridge safety diagnostic device 10 to the bridge B. It can be placed and fixed on the lower surface. For example, the user may hang the first connection 111 on the bridge B or place a separate structure on the bridge B and then insert the first connection 111 or insert a separate structure on the first connection 111 ).

상기와 같이 하우징(120)을 배치한 후 송수신부(200)를 커넥터(400)로 센서부(140)와 연결할 수 있다. 이때, 송수신부(200)는 전자석 또는 자석을 구비하여 교량(B)의 표면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전원케이블(600)에 전원부(700)를 연결할 수 있다. 이때, 교량안전진단장치(10)는 전원부(700)가 전원케이블(600)에 연결되는 경우 바로 작동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써 교량안전진단장치(10)가 별도의 스위치를 구비하여 스위치의 작동 시 작동을 시작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 다른 실시예로써 교량안전진단장치(10)는 전원부(700)가 연결된 후 외부제어부(300)에서 작동신호를 인가하여 작동을 시작하는 것도 가능하다. After the housing 120 is disposed as described above, the transmission / reception unit 200 may be connected to the sensor unit 140 through the connector 400. At this time, the transmitting and receiving unit 200 may be fixed to the surface of the bridge (B) with an electromagnet or a magnet. In addition, the user can connect the power supply unit 700 to the power cable 600. At this time, the bridge safety diagnosis device 10 can operate immediately when the power supply unit 700 is connected to the power cable 600. As another embodiment, the bridge safety diagnosis device 10 may be provided with a separate switch to start operation when the switch is operated. As another embodiment, the bridge safety diagnosis apparatus 10 may start operation by applying an operation signal from the external control unit 300 after the power supply unit 700 is connected.

상기와 같이 하우징(120)의 배치가 완료되면, 수평측정부(150)를 통하여 하우징(120)의 상면이 교량(B)의 측정면에 대해서 수평인지 여부를 판별할 수 있다. 이때, 하우징(120)의 상면이 교량(B)의 측정면에 대해서 수평이 아닌 것으로 판단되면, 제1 연결부(111) 부분의 위치를 가변시키는 등을 통하여 하우징(120)의 상면이 교량(B)의 측정면에 평행하게 하우징(120)을 배치할 수 있다. When the arrangement of the housing 120 is completed as described above, it is possible to determine whether the upper surface of the housing 120 is horizontal with respect to the measurement surface of the bridge B through the horizontal measuring unit 150. At this time,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upper surface of the housing 120 is not horizontal with respect to the measurement surface of the bridge B, the upper surface of the housing 120 is bridged (B) by changing the position of the first connecting portion 111 ), The housing 120 may be disposed parallel to the measurement surface.

하우징(120)의 상면이 교량(B)의 측정면에 대해서 수평인 경우 레이저조사부(160)를 통하여 수면으로 레이저를 조사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레이저는 하우징(120)의 상면과 수직한 방향에서 수면으로 입사할 수 있다. When the upper surface of the housing 120 is horizontal with respect to the measurement surface of the bridge B, the laser may be irradiated to the water surface through the laser irradiation unit 160. In this case, the laser may enter the water surface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upper surface of the housing 120.

상기와 같이 레이저조사부(160)가 레이저를 조사하는 동안 사용자는 고정부(180)를 수면 아래로 배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고정부(180)가 무게추를 포함하는 경우 고정부(180)를 와이어부(170)에 연결하여 수면 아래로 천천히 하강시킬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while the laser irradiation unit 160 irradiates the laser, the user may place the fixing unit 180 below the water surface. For example, when the fixing unit 180 includes a weight, the fixing unit 180 may be connected to the wire unit 170 to descend slowly below the water surface.

상기와 같이 고정부(180)를 배치한 후 와이어부(170)와 레이저를 비교할 수 있다. 이때, 레이저와 와이어부(170)가 서로 평행이 되는지 비교할 수 있다. After the fixing part 180 is disposed as described above, the wire part 170 and the laser may be compared. At this time, it can be compared whether the laser and the wire 170 are parallel to each other.

상기와 같은 과정 중 수평측정부(150)를 통하여 하우징(120)의 상면이 교량(B)의 측정면과 평행한지 여부도 다시 한번 확인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이러한 것을 확인 후 레이저와 와이어부(170)가 서로 평행이 되는지 비교할 수 있다. It is also possible to check once again whether the upper surface of the housing 120 is parallel to the measuring surface of the bridge B through the horizontal measuring unit 150 during the above process. In addition, after confirming this, it may be compared whether the laser and the wire 170 are parallel to each other.

상기와 같은 경우 하우징(120)의 상면이 교량(B)의 측정면과 평행하면서 레이저와 와이어부(170)가 서로 평행한 경우 고정부(180)를 수면 아래 지면에 안착하거나 지면에 고정시킬 수 있다. In the above case, when the upper surface of the housing 120 is parallel to the measurement surface of the bridge B and the laser and the wire 170 are parallel to each other, the fixing part 180 can be settled on the ground below the water surface or fixed to the ground. have.

한편, 상기와 같이 하우징(120)과 고정부(180)를 배치되는 경우 선형운동부(125)는 하우징(120) 내부에서 움직일 수 있다. 예를 들면, 고정부(180)가 수면 아래의 지면에 배치되는 경우 고정부(180)는 선형운동부(125)에 힘을 가할 수 있다. 이때, 선형운동부(125)는 하우징(120) 내부에서 선형 운동할 수 있으며, 선형운동부(125)의 선형 운동에 따라 탄성부(미도시)에 힘을 가할 수 있다. 이후 고정부(180)가 지면에 고정되면, 선형운동부(125)는 하우징(120) 내부에서 움직이지 않을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사용자는 선형운동부(125)의 위치를 표시부(190)에서 확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선형운동부(125)는 표시부(190)의 중간에 위치할 수 있으며, 표시부(190)의 중간보다 아래쪽 또는 위쪽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경우 선형운동부(125)의 위치에 따라 센서부(140)는 선형운동부(125)의 위치에 대한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선형운동부(125)가 표시부(190)의 중앙에 위치하는 경우 센서부(140)에서 감지된 결과는 0일수 있으며, 선형운동부(125)가 표시부(190)의 중앙보다 하측에 위치하면 센서부(140)에서 감지된 결과는 음의 값을 나타내고, 선형운동부(125)가 표시부(190)의 중앙보다 상측에 위치하면 센서부(140)에서 감지된 결과는 양의 값을 나타낼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housing 120 and the fixing part 180 are disposed as described above, the linear motion part 125 may move inside the housing 120. For example, when the fixing part 180 is disposed on the ground below the water surface, the fixing part 180 may apply a force to the linear motion part 125. At this time, the linear motion unit 125 may linearly move inside the housing 120 and may apply a force to the elastic part (not shown) according to the linear motion of the linear motion part 125. Then, when the fixing part 180 is fixed to the ground, the linear motion part 125 may not move inside the housing 120. In this case, the user can check the position of the linear motion part 125 on the display part 190. Specifically, the linear motion unit 125 may be located in the middle of the display unit 190, and may be located below or above the middle of the display unit 190. In addition, in such a case, the sensor unit 140 may generate data on the position of the linear movement unit 125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linear movement unit 125. For example, when the linear motion unit 125 is located in the center of the display unit 190, the result detected by the sensor unit 140 may be 0, and the linear motion unit 125 is located below the center of the display unit 190. When the result detected by the sensor unit 140 indicates a negative value, and when the linear motion unit 125 is positioned above the center of the display unit 190, the result detected by the sensor unit 140 may indicate a positive value. have.

센서부(140)에서 감지된 데이터는 제어부(800) 및 송수신부(200)를 통하여 외부제어부(300)로 전송되고, 외부제어부(300)는 송수신부(200)를 통하여 송신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이때, 외부제어부(300)는 고정부(180)의 무게, 와이어부(170)의 전체 길이 등과 관련된 정보, 날씨 정보, 위치 정보, 교량 정보(예를 들면, 교량 무게, 시공공법, 교량 구조 등), 측정 날짜(시간) 등을 같이 저장할 수 있다. 특히 외부제어부(300)는 상기와 같은 각종 정보를 각 정보별로 구분하여 저장할 수 있다.The data detected by the sensor unit 140 is transmitted to the external control unit 300 through the control unit 800 and the transmission / reception unit 200, and the external control unit 300 can store data transmitted through the transmission / reception unit 200. have. At this time, the external control unit 300, the information related to the weight of the fixed portion 180, the total length of the wire portion 170, weather information, location information, bridge information (eg, bridge weight, construction method, bridge structure, etc. ), Measurement date (time), etc. can be saved together. In particular, the external control unit 300 may store various types of information as described above for each information.

상기와 같은 작업은 복수번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교량(B)이 처음 배치된 후 교량안전진단장치(10)를 통하여 선형운동부(125)의 위치를 측정할 수 있다. 이때, 선형운동부(125)의 위치에 따라 센서부(140)에서 측정된 선형운동부(125)의 위치는 송수신부(200)를 통하여 외부로 전달될 수 있다. 외부제어부(300)는 상기와 같은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The above operation can be performed multiple times. Specifically, after the bridge B is first disposed, the position of the linear motion unit 125 may be measured through the bridge safety diagnosis device 10. At this time, the position of the linear movement unit 125 measured by the sensor unit 140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linear movement unit 125 may be transmitt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transceiver 200. The external control unit 300 may store the above data.

이후 교량(B)에 차량 등이 통행하는 경우 교량(B)은 다양한 원인으로 인하여 변형이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교량(B)은 차량의 통행, 하중 등으로 인하여 초기위치보다 쳐지거나 외력 등으로 인하여 교량(B)이 초기 위치보다 상승할 수 있다. Thereafter, when a vehicle or the like passes through the bridge B, the bridge B may be deformed due to various reasons. For example, the bridge B may be struck from the initial position due to traffic or load of the vehicle, or the bridge B may be raised from the initial position due to external force.

이때, 사용자는 초기에 측정하였던 부분에 교량안전진단장치(10)를 설치한 후 다시 상기와 같은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센서부(140)에서 측정된 선형운동부(125)의 위치는 다시 송수신부(200)를 통하여 외부로 전달되고, 외부제어부(300)는 이러한 데이터를 초기와 비교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user can perform the above operation again after installing the bridge safety diagnosis device 10 in the initially measured portion. In this case, the position of the linear motion unit 125 measured by the sensor unit 140 is transmitt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transmission / reception unit 200 again, and the external control unit 300 can compare this data with the initial one.

상기와 같은 데이터는 외부제어부(300)에서 지속적으로 저장될 수 있으며, 교량(B)의 변위 변화에 대한 데이터가 외부제어부(300)에 축적될 수 있다. 외부제어부(300)는 이러한 데이터를 테이블화하여 저장할 수 있으며, 저장된 데이터를 그래프 등의 이미지로 구현할 수 있다. The data as described above may be continuously stored in the external control unit 300, and data on the displacement change of the bridge B may be accumulated in the external control unit 300. The external control unit 300 may store such data as a table, and may implement the stored data as an image such as a graph.

외부제어부(300)는 센서부(140)에서 측정된 결과를 근거로 교량(B)의 변형 여부를 판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외부제어부(300)는 센서부(140)에서 실시간으로 측정된 결과와 센서부(140)에서 초기에 측정한 결과를 비교하여 각 결과가 서로 상이한 경우 교량(B)의 변형이 발생하였다 판별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써 외부제어부(300)는 교량(B)의 설계 시 입력되어 기 설정된 값과 센서부(140)에서 실시간으로 측정된 결과를 근거로 비교하여 교량(B)의 변형 여부를 판별하는 것도 가능하다.The external control unit 300 may determine whether the bridge B is deformed based on the result measured by the sensor unit 140. For example, the external control unit 300 compares the result measured in real time by the sensor unit 140 with the result initially measured by the sensor unit 140, and when each result is different, deformation of the bridge B occurs. You can discriminate. As another embodiment, the external control unit 300 may also determine whether the bridge B is deformed by comparing it based on a value input in real time when the bridge B is designed and a result measured in real time by the sensor unit 140. It is possible.

한편, 상기와 같은 교량안전진단장치(10)의 경우 초기 측정 조건과 상이한 조건으로 배치되면, 센서부(140)에서 측정된 데이터에 오류가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교량안전진단장치(10)를 교량(B) 공사 후 초기에 측정할 때 하우징(120)의 상면이 교량(B)의 측정면과 수평을 형성하고, 와이어부(170)가 교량(B)의 측정면과 수직을 형성하도록 배치한 반면, 다시 측정하는 경우 하우징(120)의 상면이 교량(B)의 측정면과 수평을 형성하지 않거나 와이어부(170)가 교량(B)의 측정면과 수직을 형성하지 않는 경우 초기에 측정된 결과와 차후 측정한 결과가 상이해질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the bridge safety diagnosis apparatus 10 as described above, when the conditions are different from the initial measurement conditions, errors in data measured by the sensor unit 140 may occur. For example, when the bridge safety diagnosis device 10 is initially measured after the construction of the bridge (B), the upper surface of the housing 120 forms a level with the measurement surface of the bridge (B), and the wire portion 170 is bridged. While arranged to form perpendicular to the measuring surface of (B), when measuring again, the upper surface of the housing 120 does not form a level with the measuring surface of the bridge (B) or the wire portion 170 of the bridge (B) If it is not perpendicular to the measuring surface, the result measured initially and the result measured later may be different.

상기와 같은 경우 교량(B)의 변위 변화를 정확하게 측정하지 못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교량(B)의 변형 여부를 정확하게 판별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교량안전진단장치(10)는 수평측정부(150) 및 레이저조사부(160)를 통하여 초기와 동일하거나 유사하게 하우징(120) 및 와이어부(170)의 자세를 유지시키는 것이 가능하므로 복수번 측정한 결과를 근거로 교량(B)의 변형 여부를 정확하게 측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In such a case, the displacement change of the bridge B may not be accurately measured, and in this case, it is impossible to accurately determine whether the bridge B is deformed. However, the bridge safety diagnosis device 10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same or similar to the initial through the horizontal measuring unit 150 and the laser irradiation unit 160, the attitude of the housing 120 and the wire portion 170. Since it is possible to maintain, it is possible to accurately measure whether the bridge B is deformed based on the result of multiple measurements.

교량안전진단장치(10)를 통하여 교량(B)의 실시간 변위의 변형량과 교량(B)의 진동수를 측정하는 방법은 상기에서 설명한 것과 유사하게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교량안전진단장치(10)를 교량(B)에 설치한 후 교량(B)에 차량 등이 통과할 때 교량(B)의 변위 가변량을 센서부(140)를 측정할 수 있다. 이때, 센서부(140)는 교량(B)의 변위 가변량을 실시간으로 측정하여 외부제어부(3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외부제어부(300)는 교량(B)에 차량 등이 통과하지 않는 경우와 차량이 통과할 때 발생하는 변위값을 비교하고, 이러한 변위값의 차를 통하여 교량(B)의 변위 변화량을 산출할 수 있다. 또한, 외부제어부(300)는 센서부(140)에서 실시간으로 전송되는 교량(B)의 변위를 근거로 교량(B)의 진동횟수, 승하강하는 속도, 승하강하는 가속도 등을 산출할 수 있다. 이러한 정보는 외부제어부(300)에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교량(B)의 정보, 시간, 날씨 등과 함께 테이블 형태 등으로 저장될 수 있다. The method for measuring the deformation amount of the real-time displacement of the bridge B and the frequency of the bridge B through the bridge safety diagnosis device 10 may be formed similarly to the one described above. Specifically, the sensor unit 140 may measure the variable displacement amount of the bridge B when a vehicle or the like passes through the bridge B after the bridge safety diagnosis device 10 is installed on the bridge B. In this case, the sensor unit 140 may measure the variable displacement amount of the bridge B in real time and transmit it to the external control unit 300. In this case, the external control unit 300 compares the displacement value generated when the vehicle does not pass through the bridge B and the vehicle passes, and calculates the displacement change amount of the bridge B through the difference between the displacement values can do. In addition, the external control unit 300 may calculate the number of vibrations of the bridge B, the speed of ascending and descending, and the acceleration of ascending and descending based on the displacement of the bridge B transmitted in real time from the sensor 140. . Such information may be stored in the external control unit 300 in the form of a table together with the information of the bridge B, time, weather, etc. as described above.

따라서 교량안전진단장치(10)는 초기와 동일한 조건에서 교량(B)의 변위 변화를 측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Therefore, the bridge safety diagnosis device 10 can measure the displacement change of the bridge B under the same conditions as the initial one.

교량안전진단장치(10)는 기존의 상용화된 무선 통신망을 통하여 데이터를 외부제어부(300)로 전송하여 처리하는 것이 가능하다. The bridge safety diagnosis device 10 is capable of transmitting and processing data to the external control unit 300 through an existing commercialized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교량안전진단장치(10)는 교량(B)의 변위 변화를 실시간으로 측정하는 것이 가능하며, 지속적인 모니터링이 가능하므로 교량(B)의 변위 변화 데이터를 통하여 교량(B)의 변위 변화를 판단하는 것이 가능하다. The bridge safety diagnosis device 10 can measure the displacement change of the bridge B in real time, and since continuous monitoring is possible, it is possible to judge the displacement change of the bridge B through the displacement change data of the bridge B. It is possible.

비록 본 발명이 상기 언급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었지만,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이나 변형을 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에는 본 발명의 요지에 속하는 한 이러한 수정이나 변형을 포함할 것이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the preferred embodiments mentioned above, it is possible to make various modifications or variation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Therefore,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will include such modifications or variations as long as they belong to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10: 교량안전진단장치
111: 제1 연결부
112: 제2 연결부
120: 하우징
130: 탄성부
140: 센서부
150: 수평측정부
160: 레이저조사부
170: 와이어부
180: 고정부
190: 표시부
200: 송수신부
300: 외부제어부
400: 커넥터
500: 센서지지부
600: 전원케이블
700: 전원부
800: 제어부
10: Bridge safety diagnosis device
111: first connection
112: second connection
120: housing
130: elastic part
140: sensor unit
150: horizontal measurement unit
160: laser irradiation unit
170: wire part
180: fixing part
190: display unit
200: transceiver
300: external control unit
400: connector
500: sensor support
600: power cable
700: power supply
800: control

Claims (10)

교량에 연결되는 제1 연결부;
상기 제1 연결부가 삽입되도록 배치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제1 연결부에 연결되는 탄성부;
상기 하우징에 삽입되어 상기 탄성부와 연결되어 상기 하우징 내부에서 선형 운동하는 제2 연결부;
상기 하우징에 배치되며, 수면으로 레이저를 조사하는 레이저조사부; 및
상기 하우징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제1 연결부와 상기 제2 연결부를 연결하며, 상기 교량의 변위를 측정하는 센서부;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제1 바디부;
상기 제1 바디부에 삽입되며, 상기 탄성부와 연결되는 제2 바디부;
상기 제2 바디부와 결합하는 제1 커버;
상기 제1 바디부 내부에 선형 운동 가능하게 배치되며, 상기 탄성부와 연결되는 선형 운동부; 및
상기 제1 바디부와 결합하는 제2 커버;를 포함하는 교량안전진단장치.
A first connection part connected to the bridge;
A housing arranged to insert the first connection portion;
An elastic part disposed inside the housing and connected to the first connection part;
A second connection part inserted into the housing and connected to the elastic part to linearly move within the housing;
A laser irradiation unit disposed on the housing and irradiating a laser to the water surface; And
It is disposed inside the housing, the first connecting portion and the second connecting portion, a sensor unit for measuring the displacement of the bridge; includes,
The housing,
A first body part;
A second body part inserted into the first body part and connected to the elastic part;
A first cover coupled with the second body portion;
A linear movement part disposed in the first body part to be linearly movable and connected to the elastic part; And
Bridge safety diagnostic device comprising a; second cover coupled to the first body portio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 배치되어 수면에 대한 상기 하우징의 수평 여부를 감지하는 수평측정부;를 더 포함하는 교량안전진단장치.
According to claim 1,
And a horizontal measurement unit disposed in the housing to detect whether the housing is level with respect to the water surfac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 배치되며, 상기 교량의 측정면과 상기 하우징의 상면이 수평인지 확인하는 수평측정부;를 더 포함하는 교량안전진단장치.
According to claim 1,
And a horizontal measuring unit disposed in the housing to check whether the measuring surface of the bridge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housing are horizontal.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연결부와 연결되는 와이어부; 및
상기 와이어부의 끝단에 배치되는 고정부;를 더 포함하는 교량안전진단장치.
According to claim 1,
A wire portion connected to the second connection portion; And
A bridge safety diagnosis device further comprising; a fixing portion disposed at the end of the wire portio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 배치되어 상기 제2 연결부의 위치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더 포함하는 교량안전진단장치.
According to claim 1,
And a display unit disposed in the housing to display the position of the second connection uni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와 연결되어 상기 센서부에서 측정된 결과를 외부로 송출하는 송수신부;를 더 포함하는 교량안전진단장치.
According to claim 1,
A bridge safety diagnosis device further comprising; a transmission / reception unit connected to the sensor unit and transmitting a result measured by the sensor unit to the outside.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송수신부와 무선통신으로 연결되어 상기 송수신부에서 송출된 결과를 분석하는 외부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교량안전진단장치.
The method of claim 6,
A bridge safety diagnosis device further comprising; an external control unit connected to the transmission / reception unit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and analyzing a result transmitted from the transmission / reception unit.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송수신부는 상기 센서부와 착탈 가능한 교량안전진단장치.
The method of claim 6,
The transmitting and receiving unit is a bridge safety diagnosis device detachable from the sensor unit.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인출되어 상기 송수신부와 상기 센서부를 착탈 가능하게 연결하는 커넥터;를 더 포함하는 교량안전진단장치.
The method of claim 7,
And a connector that is drawn out from the housing and detachably connects the transceiver and the senso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센서부를 지지하는 센서지지부;를 더 포함하는 교량안전진단장치.
According to claim 1,
A bridge safety diagnosis device further comprising a sensor support part disposed inside the housing and supporting the sensor part.
KR1020180123930A 2018-10-17 2018-10-17 Device for examining bridge safety KR10209227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3930A KR102092275B1 (en) 2018-10-17 2018-10-17 Device for examining bridge safet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3930A KR102092275B1 (en) 2018-10-17 2018-10-17 Device for examining bridge safety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92275B1 true KR102092275B1 (en) 2020-03-23

Family

ID=699987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23930A KR102092275B1 (en) 2018-10-17 2018-10-17 Device for examining bridge safety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92275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222508A (en) * 2023-05-08 2023-06-06 山西路桥第六工程有限公司 Horizontal testing arrangement of prefabricated bridge installation
KR102582778B1 (en) 2023-05-18 2023-09-26 주식회사 비즈에이앤씨 Remote structure safety diagnosis system and method using a plurality of sensors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81131B1 (en) * 1999-12-24 2003-04-26 주식회사 레이콤 Safety monitoring system of construction using optic and method thereof
KR101170898B1 (en) * 2012-05-04 2012-08-03 (주)백산엔지니어링 Displacement measure device
KR101202190B1 (en) * 2012-05-04 2012-11-16 (주)백산엔지니어링 Displacement measure device
KR101655424B1 (en) * 2016-05-17 2016-09-08 주식회사 한국건설방재연구원 Measure apparatus for vibration displacement of bridge uper structure
KR101751125B1 (en) * 2015-09-23 2017-06-26 박창오 a bridge seat detecting system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81131B1 (en) * 1999-12-24 2003-04-26 주식회사 레이콤 Safety monitoring system of construction using optic and method thereof
KR101170898B1 (en) * 2012-05-04 2012-08-03 (주)백산엔지니어링 Displacement measure device
KR101202190B1 (en) * 2012-05-04 2012-11-16 (주)백산엔지니어링 Displacement measure device
KR101751125B1 (en) * 2015-09-23 2017-06-26 박창오 a bridge seat detecting system
KR101655424B1 (en) * 2016-05-17 2016-09-08 주식회사 한국건설방재연구원 Measure apparatus for vibration displacement of bridge uper structur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222508A (en) * 2023-05-08 2023-06-06 山西路桥第六工程有限公司 Horizontal testing arrangement of prefabricated bridge installation
KR102582778B1 (en) 2023-05-18 2023-09-26 주식회사 비즈에이앤씨 Remote structure safety diagnosis system and method using a plurality of sensor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92275B1 (en) Device for examining bridge safety
KR101765804B1 (en) Measuring device for measuring the crack width of long range structures
US6923065B2 (en) Apparatus for testing aramid fiber elevator cables
KR20200090428A (en) Detecting attachment for concrete structures using drone
KR101904197B1 (en) Drop testing apparatus and drop testing method of using the same
KR20200043172A (en) Method for examining bridge safety
KR102255190B1 (en) Mobile type site monitoring apparatus
CN105651823B (en) The underwater arrangement apparatus of Wharf Foundation Pile damage check instrument, detection means and method
KR20120039336A (en) Clipping testing device
KR101275171B1 (en) Missile enviornmental testing system
KR20210027847A (en) Short circuit inspection device for optical fiber cable used for military fence
KR102544542B1 (en) Impact test jig device
CN218724509U (en) Wireless transmitting water sensor calibration device
KR20220051253A (en) Vibration measuring device and management system for building equipment
CN218003635U (en) Multifunctional communication circuit board testing device
KR20060073788A (en) Real time water level measuring device for quay wall
US20220381397A1 (en) Mounting tool for holding elevator rope tension measuring device
CN217825264U (en) Microphone sound transmission detection equipment
CN113204012B (en) Abnormal sound positioning method for electrical equipment
CN218546634U (en) Ultrasonic flaw detection equipment for building engineering
CN217238381U (en) Large-scale array antenna plane near field alignment testing device
KR102291523B1 (en) Crack measuring apparatus
JP5691326B2 (en) Antenna positioning system
CN108760331B (en) Test process method, device and equipment
CN109000898B (en) Method for monitoring test process of automobile par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