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91374B1 - 건설 현장 안전 점검 방법 - Google Patents

건설 현장 안전 점검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91374B1
KR102091374B1 KR1020190139965A KR20190139965A KR102091374B1 KR 102091374 B1 KR102091374 B1 KR 102091374B1 KR 1020190139965 A KR1020190139965 A KR 1020190139965A KR 20190139965 A KR20190139965 A KR 20190139965A KR 102091374 B1 KR102091374 B1 KR 1020913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spection
plate
safety
fastening
che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399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재준
Original Assignee
유재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재준 filed Critical 유재준
Priority to KR10201901399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9137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913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913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5/00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for scaffolds
    • E04G5/14Railing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5Risk analysis of enterprise or organisation activiti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8Construction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Architectur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Market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Emergency Lowering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설 현장에서 기본적인 건설 장비들 또는 중장비들의 현장 안전을 효율적으로 점검할 수 있도록 구현한 건설 현장 안전 점검 방법에 관한 것으로, 건설 현장에서 사용되는 기본적인 건설 장비들의 환경 안전을 점검하는 기본 환경안전 관리 단계; 및 건설 현장에서 사용되는 건설 중장비들의 환경 안전을 점검하는 중장비 환경안전 관리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건설 현장 안전 점검 방법{SAFETY CHECKING METHOD FOR CONSTRUCTION SITE}
본 발명은 건설 현장 안전 점검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건설 현장에서 기본적인 건설 장비들 또는 중장비들의 현장 안전을 효율적으로 점검할 수 있도록 구현한 건설 현장 안전 점검 방법에 관한 것이다.
건설 현장은 근로자 및 자재의 이동이 빈번하여 관리자가 근로자 및 자재의 현재 위치를 일일이 파악하는데 어려움이 있고, 언제든지 발생할 수 있는 각종 사고의 가능성으로 인해 사고시 신속한 대응 수단이 필요하나, 현재까지는 해마다 많은 수의 근로자들이 목숨을 잃거나 부상을 당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최근의 건설 현장에서는 외국인 근로자의 비중이 확대되고 있는 추세이며, 이러한 외국인 근로자에게는 각종 사고의 발생시 의사소통의 어려움으로 인해 신속한 치료를 제공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그러나 종래 기술들은 사람 또는 물건 등 대상체의 위치만을 실시간으로 파악하는 기술이거나 위급 상황의 발생시 관리자로부터 근로자들에게 위급 상황의 안내가 이루어지는 기술로써, 관리자가 즉시 인지하지 못하는 위급 상황에 대해서는 신속한 대응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관리자가 건설 현장 근로자 및 자재의 위치 및 상태를 실시간으로 파악하여 관리할 수 있고, 근로자에게 위급 상황의 발생시 이를 즉시 인지하여 신속한 대응을 할 수 있으며, 사상자가 외국인이거나 의사소통이 불가능한 상황에도 의료진이 맞춤형 치료를 수행할 수 있게 하는 시스템에 관한 발명이 요구되는 실정이다.
한편, 전술한 배경 기술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도출을 위해 보유하고 있었거나, 본 발명의 도출 과정에서 습득한 기술 정보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게 공개된 공지기술이라 할 수는 없다.
한국등록특허 제10-1425925호 한국등록특허 제10-1928786호
본 발명의 일측면은 건설 현장에서 기본적인 건설 장비들 또는 중장비들의 현장 안전을 효율적으로 점검할 수 있도록 구현한 건설 현장 안전 점검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건물의 외벽에 안전점검을 수행할 수 있도록 건물 외벽에 임시적으로 설치되어 점검자가 올라가 점검하기 위한 안정적인 공간을 확보하도록 할 수 있도록 구현한 건설 현장 안전 점검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작업자의 작업 반경에 대응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연장 플레이트를 순서대로 연결 설치시킬 수 있도록 구현한 건설 현장 안전 점검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난간 패널을 포개어 수납할 수 있도록 구현함으로써, 난간을 개방시켜 짐을 올리거나 불필요한 난간의 형성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현한 건설 현장 안전 점검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다수 개의 난간 패널이 열을 지어 설치되는 경우 안정적인 지지를 이루지 못하고 난간이 붕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각각의 패널 본체의 후면을 따라 안착되는 지지 바아를 구비할 수 있도록 구현한 현장 안전 점검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설 현장 안전 점검 방법은, 건설 현장에서 사용되는 기본적인 건설 장비들의 환경 안전을 점검하는 기본 환경안전 관리 단계; 및 건설 현장에서 사용되는 건설 중장비들의 환경 안전을 점검하는 중장비 환경안전 관리 단계;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기본 환경안전 관리 단계는, 사다리 점검, 틀비계 점검, 말비계 점검, 안전난간대 점검, 낙하물 방지망 점검, 추락방지망 점검, 작업통로 점검, 가설계단 점검, 대형 개구부 점검, 소형 개구부 점검, 가설 비계 점검, 가설 분전함 점검, ELB 부착형 릴선 점검, 전기 공도구 점검, 용접기 점검, 양중도구함 점검, 화기작업 허가제 운영, 가설 사무실 점검, 위험물 저장소 점검, MSDS 운영, 장비 공통 점검, 안전대 사용 작업장 점검 및 양중로프 점검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점검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중장비 환경안전 관리 단계는, 지게차 점검, 리프트 점검, 고소작업차 점검, 굴삭기 점검, 하이드로 크레인 점검, 펌프카 점검, 크롤러 크레인 점검 및 기타 위험 기계기구 점검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점검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건설 중인 건물의 외벽에 점검용 안전 난간을 설치한 뒤, 건물 외벽의 환경 안전을 점검하는 건물 외벽 환경안전 관리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점검용 안전 난간은, 건물의 외벽에 고정 설치되는 바닥 프레임; 상기 바닥 프레임의 상측에 안착되어 점검자가 올라가기 위한 바닥면을 형성하는 바닥 플레이트; 및 상기 바닥 플레이트의 외측 테두리를 따라 "ㄷ" 형태로 열을 지어 설치되어 난간을 형성하는 다수 개의 난간 패널;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난간 패널은, 양측이 라운드 처리된 평판 형태로 형성되는 패널 본체; "ㅗ"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패널 본체의 하부 일측에 설치되며, 상기 바닥 플레이트에 체결되는 제1 체결부; 및 "ㅗ"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패널 본체의 하부 다른 일측에 설치되며, 상기 바닥 플레이트에 체결되는 제2 체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바닥 플레이트는, 열을 지어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되어 바닥면을 형성하는 연장 플레이트; 및 최외곽에 위치하는 상기 연장 플레이트의 단부에 설치되어 바닥면의 단부를 형성하는 마감 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연장 플레이트는, 평판 형태로 성형되어 상기 바닥 프레임에 안착되는 플레이트 본체; 상기 제1 체결부를 체결할 수 있도록 상기 플레이트 본체의 상부 전단 일측에 상기 제1 체결부의 형태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1 고정홈; 상기 제2 체결부를 체결할 수 있도록 상기 제1 고정홈으로부터의 상기 제1 체결부와 상기 제2 체결부 사이의 이격 거리에 해당하는 상기 플레이트 본체의 상부 전단 다른 일측에 상기 제2 체결부의 형태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2 고정홈; 상기 플레이트 본체의 전단 일측으로부터 다른 일측으로 상기 제1 고정홈과 상기 제2 고정홈의 후단을 지나면서 연장 형성되며, 상기 제1 체결부가 이동하기 위한 제1 슬라이딩홈; 상기 플레이트 본체의 후단 일측으로부터 다른 일측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기 제2 체결부가 이동하기 위한 제2 슬라이딩홈; 상기 제2 체결부가 상기 제2 고정홈으로부터 상기 제2 슬라이딩홈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제2 고정홈과 대향하는 제1 슬라이딩홈으로부터 상기 제2 슬라이딩홈의 일측으로 원호를 그리면서 연장 형성되는 회동홈; 상기 플레이트 본체의 다른 일측면을 따라 돌출 형성되는 체결돌기; 및 상기 플레이트 본체의 일측면에 상기 체결돌기의 형태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함몰 형성되어 다른 플레이트 본체의 체결돌기를 삽입하여 체결하는 돌기 체결홈;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마감 플레이트는, 최외측에 위치하는 상기 연장 플레이트의 단부에 체결되어 바닥면의 단부를 형성하는 엔드 플레이트; 상기 제1 체결부를 체결할 수 있도록 상기 엔드 플레이트의 상부 전단에 형성되는 제1 마감홈; 및 상기 제2 체결부를 체결할 수 있도록 상기 제1 마감홈으로부터의 상기 제1 체결부와 상기 제2 체결부 사이의 이격 거리에 해당하는 상기 엔드 플레이트의 상부 후단에 형성되는 제2 마감홈;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난간 패널은, 상기 제1 체결부와 상기 제2 체결부가 상기 제1 고정홈과 상기 제2 고정홈에 각각 체결되어 상기 연장 플레이트의 전면을 따라 설치되어 난간을 형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난간 패널은, 상기 제1 체결부와 상기 제2 체결부가 상기 제1 고정홈과 상기 제2 고정홈으로부터 분리된 뒤, 상기 제2 체결부가 상기 회동홈을 경유하고 이동하여 상기 제2 슬라이딩홈으로 이동되고, 상기 제1 체결부와 상기 제2 체결부가 각각 상기 제1 슬라이딩홈과 상기 제2 슬라이딩홈을 따라 이동됨에 따라 상기 마감 플레이트 방향으로 이동되어 다른 난간 패널들과 포개져 수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패널 본체는, 후면의 일측 및 다른 일측에 "T" 형태로 함몰 형성되는 삽입홈, 및 상기 삽입홈의 형태에 대응하는 "T"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삽입홈에 수납되거나 상측이 회동되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도록 상기 삽입홈의 하측에 하측이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체결 돌기를 구비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난간 패널은,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기 체결 돌기가 삽입될 수 있도록 하측면을 따라 상기 체결 돌기와 대향하는 위치 마다 돌기 안착홈이 형성되며, 상기 삽입홈의 외부로 노출된 상태의 상기 체결 돌기에 안착되어 다수 개가 열을 지어 배치되는 상기 패널 본체들의 후면을 지지하는 지지 바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건설 현장에서 기본적인 건설 장비들 또는 중장비들의 현장 안전을 효율적으로 점검하도록 함으로써, 건설 현장에서 발생될 수 있는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하도록 계도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건물의 외벽에 안전점검을 수행할 수 있도록 건물 외벽에 임시적으로 설치되어 점검자가 올라가 점검하기 위한 안정적인 공간을 확보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작업자의 작업 반경에 대응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연장 플레이트를 순서대로 연결 설치시킴으로써, 안정적인 건물 외벽 안전점검에 필요로 하는 충분한 작업 공간을 형성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난간 패널을 포개어 수납할 수 있도록 구현함으로써, 난간을 개방시켜 짐을 올리거나 불필요한 난간의 형성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다수 개의 난간 패널이 열을 지어 설치되는 경우 안정적인 지지를 이루지 못하고 난간이 붕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각각의 패널 본체의 후면을 따라 안착되는 지지 바아를 구비함으로써, 난간이 안정적으로 그 형태를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이하에서 설명할 내용으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범위 내에서 다양한 효과들이 포함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설 현장 안전 점검 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건설 현장 안전 점검 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3은 도 2의 건물 외벽 환경안전 관리 단계에 사용되는 점검용 안전 난간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3의 난간 패널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3의 바닥 플레이트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은 바닥 플레이트와 난간 패널의 연결 관계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 내지 도 9는 난간 패널의 수납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들이다.
도 10은 도 3의 난간 패널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1은 패널 본체와 지지 바아의 연결 관계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2는 삽입홈과 체결 돌기의 연결 관계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설 현장 안전 점검 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설 현장 안전 점검 방법은, 건설 현장에서 사용되는 이하에서 예시되는 기본적인 건설 장비들의 환경 안전을 점검한다(S110).
일 실시예에서, 기본 환경안전 관리 단계(S110)는, 사다리 점검, 틀비계 점검, 말비계 점검, 안전난간대 점검, 낙하물 방지망 점검, 추락방지망 점검, 작업통로 점검, 가설계단 점검, 대형 개구부 점검, 소형 개구부 점검, 가설 비계 점검, 가설 분전함 점검, ELB 부착형 릴선 점검, 전기 공도구 점검, 용접기 점검, 양중도구함 점검, 화기작업 허가제 운영, 가설 사무실 점검, 위험물 저장소 점검, MSDS 운영, 장비 공통 점검, 안전대 사용 작업장 점검 및 양중로프 점검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점검을 수행할 수 있다.
각각의 점검 사항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사다리 점검의 법적근거 및 점검내용은, 1. 벌어짐 방지장치 2. 미끄럼 방지장치 3. 전도 방지장치 4. 알미늄 재질 5. 사다리 사용 승인서 6. 사용가능 높이 1.5m 이상이 되어야 한다.
그리고, 인적 물적 요인은, 개인보호구 미착용, 작업중 부딪혀 "추락", 물건을 들고 사다리 승강중 "추락 및 전도", 이동식 사다리를 각재 등으로 불안전하게 제작 또는 변형,손상된 사다리 사용중 "추락" 등이 이에 해당한다.
이에 따른, 인적 물적 대책은, 승강시 개인보호구 착용 철거, 물건을 들고 사다리 승강금지, 사다리는 손상되지 않은 견고한 것 사용, 또는 AL사다리 등 기성품 사용 등이다.
틀비계 점검의 법적근거 및 점검내용, 1. 안전난간대 2. 실명제 카드 3. 안전 수칙판 4. 우레탄 바퀴 5. 승강 사다리 6. 아우트리거 설치이다.
그리고, 인적 물적 요인은, 근로자가 탄 채로 이동중 이동식비계 "전도", 개인 보호구 미 착용 작업 중 "추락", 이동식비계 기둥의 접속부를 전용 철물로 사용하지 않아 탈락으로 "추락" 등이 이에 해당한다.
이에 따른, 인적 물적 대책은, 근로자 탑승한채 이동식 비계 이동금지, 이동식비계 상에서 개인보호구 착용 철거, 이동식비계의 접속부는 전용 철물 사용하여 체결 등이다.
말비계 점검의 법적근거 및 점검내용은, 1. 지주부재 하단 미끄럼방지장치 2. 지주와 지면의 기울기는 75도 이하 3. 높이 1.5m이하, 발판폭 40cm 이상 4. 발판 내민길이 20cm 이상 5. 가장자리 작업 금지이다.
그리고, 인적 물적 요인은, 개인보호구 미착용, 작업중 부딪혀 "추락", 물건을 올려놓고 작업중 "추락 및 전도", 이동식 사다리를 각재 등으로 불안전하게 제작 또는 변형,손상된 것 사용중 "추락" 등이 이에 해당한다.
이에 따른, 인적 물적 대책은, 승강시 개인보호구 착용 철거, 물건을 올려놓지 말고 정리정돈 감독, 사다리는 손상되지 않은 견고한 것 사용 또는 기성품 사용 등이다.
안전난간대 점검의 법적근거 및 점검내용은, 1. 상부난간대 90~120cm, 중간난간대는 바닥과 상부난간대의 중간 2. 안전난간대 기둥간격 1.8m 이내 3. 안전표지판 설치 4. 안전망 설치 5. U볼트 2지점 6. 하부 토보드 10cm 이상이다.
그리고, 인적 물적 요인은, 개인보호구 미 착용 작업 및 부딪히거나 불안전한 행동, 안전난간대 미 설치로 "추락", 단독으로 건물 난간대 설치로 난간대 "낙하" 등이 이에 해당한다.
이에 따른, 인적 물적 대책은, 개인 보호구 착용 및 교육, 안전난간대 설치, 안전난간대 견고한 철물 사용 고정 철저 등이다.
낙하물 방지망 점검의 법적근거 및 점검내용은, 1. 안전방망: 3000데니아 PVC코팅망 2. 내민길이 : 3m이상 3. 1단과 2단 높이 10M 이내 설치 4. 규격 틀(1.8x3m)와이어로프 1/4inch PP로프 6mm 이상 지지철선 #8 이상 등이다.
그리고, 인적 물적 요인은, 개인보호구 미착용 작업중 "추락", 안전대 부착설비 미설치하고 안전대 미체결 상태에서 작업 중 "추락", 설치중 비계의 벽 연결이 불량하여 비계 "붕괴", 낙하물을 방호하지 못해 "낙하" 등이 이에 해당한다.
이에 따른, 인적 물적 대책은, 낙망 설치 해체 작업시 개인보호구 착용 조치, 안전대 부착설비 설치하여 낙하물 방지망, 설치 해체 작업시 안전대 체결하고 작업 실시 자재 등의 하중을 충분히 견딜 수 있게 조립, 10m이내 마다 설치, 빈틈이 없도록 설치 등이다.
추락방지망 점검의 법적근거 및 점검내용은, 1. 추락의 위험 있는 철골공사는 매층마다 또는 10m 마다 설치 2. 망과 망의 전용철물은 연결간격 30cm 이하 3. 그물코 간격은 10cm 이하 4. 파손된 망의 방치 여부 확인이다.
그리고, 인적 물적 요인은, 추락방지망을 근로자가 임의로 해체하여 작업중 "추락", 테두리 보와 지지로프가 약하거나, 미 검정품을 설치하여 "추락", 인장강도가 약한 것을 사용하여 근로자 "추락" 등이 있다.
이에 따른, 인적 물적 대책은, 추락방지망을 근로자가 임의로 해체하지 않도록 관리 감독 철저, 충격 하중에 충분히 견딜 수 있는 견고한 것, 인장강도 충분하고, 그물코 간격 10cm이하의 검정품 사용 등이 있다.
작업통로 점검의 법적근거 및 점검내용은, 1. 발판 폭 40cm 이상(경사로 75cm이상) 2. 발판 틈새 3cm 이내 설치 3. 안전난간대 설치 4. 파이프캡 설치가 있다.
그리고, 인적 물적 요인은, 개인보호구 미착용하고 통행중 부딪히거나 깔림 "충돌 및 협착", 가설통로 바닥의 돌출몰에 걸려 넘어짐 "전도", 가설통로의 발판 재료가 통행중 부러지면서 "전도"가 있다.
이에 따른, 인적 물적 대책은, 가설통로 등 현장내에서 통행시 안전모 등 개인보호구 착용 철저, 가설통로 바닥 돌출물이 없도록 정리정돈 실시 및 발판 재료는 무너지지 않도록 견고 한 것 사용 등이 있다.
가설계단 점검의 법적근거 및 점검내용은, 1. 계단 폭 30cm 이상 계단간 수직거리 40cm 이하 2. 안전난간대 설치 3. 파이프캡 설치가 있다.
그리고, 인적 물적 요인은, 개인보호구 미착용하고 통행중 부딪히거나 깔림 "충돌 및 협착", 가설계단의 발판 돌출 및 재료가 통행중 부러 지면서 "전도"가 있다.
이에 따른, 인적 물적 대책은, 가설계단 등 현장내에서 통행시 안전모 등 개인보호구 착용 철저, 가설계단 바닥 돌출물이 없도록 정리정돈 실시 및 발판 재료는 무너지지 않도록 견고 한 것 사용이 있다.
대형 개구부 점검의 법적근거 및 점검내용은, 1. 안전난간대 설치 2. 안전난간대 망 설치 3. 안전표지판 설치 4. 내부 추락방지망 설치 5. 하단 틈새 토보드 설치 (가로,세로 1m이상, 면적 1㎡이상)가 있다.
그리고, 인적 물적 요인은, 작업자가 임의로 개구부 덮개 해체하고 작업 중 "추락", 개인보호구 미착용 작업중 부딪히거나 "찔림", 개구부 덮개 재료가 견고하지 않아 덮개가 파손되면서 "추락"이 있다.
이에 따른, 인적 물적 대책은, 개구부 덮개 임의로 해체하지 않도록 감독 철 저 및 개인 보호구 착용 철저, 개구부 덮개 재료를 밟을 때 파손되지 않도록 견고한 것 사용이 있다.
소형 개구부 점검의 법적근거 및 점검내용은, 1. 덮개 상부에 개구부 표시 2. 고정 철저 (가로,세로 1m이상, 면적 1㎡이상)가 있다.
그리고, 인적 물적 요인은, 작업자가 임의로 개구부 덮개 해체하고 작업 중 "추락", 개인보호구 미착용 작업중 부딪히거나 "찔림", 개구부 덮개 재료가 견고하지 않아 덮개가 파손되면서 "추락"이 있다.
이에 따른, 인적 물적 대책은, 개구부 덮개 임의로 해체하지 않도록 감독 철 저 및 개인 보호구 착용 철저, 개구부 덮개 재료를 밟을 때 파손되지 않도록 견고한 것 사용이 있다.
가설 비계 점검의 법적근거 및 점검내용은, 1. 가설비계 수직도 간격,가새 벽이음 5m 마다 설치 2. 비계기둥(간사이1.5~1.8m), 띠장(첫단2m 이하,상부1.5m) 3. 가새의 설치(10m 이내 마다, 45도 이내) 4. 작업발판 성능 및 설치, 고정상태 5. 안전난간대, 중간대, 토보드 설치, 검정품 사용 6. 발판 틈새 3cm 이하 7. 수평거리 30m 이내 계단식 승강설비를 설치하고 불가시 수직 사다리를 설치 8. 가설비계 작업계획서 준수여부 확인이 있다.
그리고, 인적 물적 요인은, 가설통로가 아닌 장소로 이동중 "전도 및 추락", 안전작업 수칙 미준수하여 작업중 "추락", 비계 작업발판 상부 과적재, 비계설치 기준 미 준수, 비계 구조검토 미실시 "전도,추락,낙하"가 있다.
이에 따른, 인적 물적 대책은, 작업 전 안전교육,안전조치 없이 임의 올라가지 못하도록 통제, 개인 보호구 착용 철,저 작업계획서 수립 및 검토, 적재하중 준수, 통로 확보 및 비계 침하방지 조치가 있다.
가설 분전함 점검의 법적근거 및 점검내용은, 1. 시건장치 2. 관리책임자 및 안전수칙판 부착 3. 누전 차단형 콘센트 4. 접지 및 소화기 비치가 있다.
그리고, 인적 물적 요인은, 안전 작업절차를 무시하고 분전함의 차단기를 조작하다 충전부 접촉되어 "감전", 안전모,절연장갑 미착용 조작중 충전부 "감전", 분전반 우수 침투로 누전에 의한 "Short", 절연, 접지 상태 미흡으로 누전되어 "발열"이 있다.
이에 따른, 인적 물적 대책은, 급작스러운 전기차단 또는 통전에 의한 재해 발생 방지 조치, 분전함 조작시 절연장갑 등 보호구 착용 철저, 우수 등이 침투하지 않도록 옥외형 설치 수시 점검으로 누전에 의한 재해 예방이 있다.
ELB 부착형 릴선 점검의 법적근거 및 점검내용은, 1. 누전 차단형 콘센트 2. 안전점검 필증 3. 접지 가능한 3선 4. 전선 피복상태가 있다.
그리고, 인적 물적 요인은, 주기적인 점검 미실시로 접지 등이 탈락된 상태로 작업중 "감전", 작업장 주변 정리정돈 미실시로 작업중 걸려 넘어짐 "전도 및 Short"가 있다.
이에 따른, 인적 물적 대책은, 주기적으로 점검하여 접지 등의 이상 유무, 누전차단기 동작 유무 등 점검, 작업장 주변은 정리정돈 실시하여 전도 재해 예방이 있다.
전기 공도구 점검의 법적근거 및 점검내용은, 1. 접지선 포함(3P) 2. 옥외방수형 3. 공도구 파손 상태 4. 외함접지 5. 접지저항 100~200V기구 100Ω 이하, 400V기구 10Ω 이하이다.
그리고, 인적 물적 요인은, 개인보호구 미착용하고 작업중 파편등 안구손상, 불량 전기 공도구 사용으로 인한 "감전", 고속회전시 이상음을 무시하고 작업중 톱날 비산이 있다.
이에 따른, 인적 물적 대책은, 전기기계 사용시 보호구 착용하고 작업실시, 불량 공도구 폐기 및 교체 수리, 고속회전 등 동작시 전기 기계기구에서 이상음이 발생되면 중지하고 점검 및 보수 실시가 있다.
용접기 점검의 법적근거 및 점검내용은, 1. 용접기 외함 접지 2. 자동전격방지기 설치 및 작동 3. 용접선 연결부위 절연조치 상태 4. 어스선 고정 상태 및 용접기 보호커버 부착 5. 실명제 카드 및 소화기 배치 (누전 차단기 설치)가 있다.
그리고, 인적 물적 요인은, 차광 보안면, 용접용 장갑 등 미착용하고 용접 중 "화상", 용접작업에서 신체가 모재 또는 접지측과 용접봉의 홀더에 접촉되어 "감전"이 있다.
이에 따른, 인적 물적 대책은, 차광 보안면, 용접용 장갑,용접 앞치마 등 개 인 보호구 착용, 접지측과 용접봉 홀더측에 접촉되지 않도록 하고 보호구 착용 철저, 자동전격방지기 설치가 있다.
양중도구함 점검의 법적근거 및 점검내용은, 1. 양중시 샤클 체결을 위한 LUG 부착(LUG 용접상태 확인) 2. 점검 승인 後 안전실명제 카드 부착 3. 양중도구함 협력회사명 명기가 있다.
그리고, 인적 물적 요인은, 양중도구함 유도로프 미 설치로 인한 "협착", 양중도구함의 자재 적재상태 불량으로 인양 중"낙하"가 있다.
이에 따른, 인적 물적 대책은, 양중도구함 유도로프 설치, 양중도구함 제작 자재규격 확인, 인양 낙하위험 적재물은 반드시 결속이 있다.
화기작업 허가제 운영의 법적근거 및 점검내용은, 1. 용접.용단 작업장 주변 인화성 물질 보양 및 방치금지 2. 소화기 적정배치(2개 이상) 3. 용접작업자 장감,앞치마, 개인보호구 착용 4. 화기작업허가서 비치가 있다.
그리고, 인적 물적 요인은, 불티 비산으로 인한 "화재", 용접.융단 절단면 뒤쪽의 가연물발화로 "화재", 용접 작업시 홀더 파손등 누전으로 인한 "감전", 밀폐공간 용접시 "화재, 폭발, 질식"이 있다.
이에 따른, 인적 물적 대책은, 개인보호구 착용, 교육, 불티비산 보양 및 가연성 물질 격리 조치, 파손된 홀더 교체, 관리 감독 철저가 있다.
가설 사무실 점검의 법적근거 및 점검내용은, 1. 소화기 설치(자동확산소화기 1구역 2개 이상, 건물외부 소화기 1개 이상 비치) 2. 환풍기 조명스위치와 연동 3. 누전차단기 정상작동 4. 실내 금연 및 취사금지가 있다.
그리고, 인적 물적 요인은, 이동식 전열기구 장시간 사용으로 과열로 인한 "발화 및 질식" 가설사무실 내 화기 사용 및 미사용 발열기구, 자동 차단기 미 설치 "화재"가 있다.
이에 따른, 인적 물적 대책은, 환기시설 및 소화기 비치, 과열방지 조치, 가설사무실 내 화기 및 미사용 발열기구 전원차단, 자동 차단기 설치가 있다.
위험물 저장소 점검의 법적근거 및 점검내용은, 1. 위험물 종류 및 실.공병 분리 보관 2. MSDS 및 안전표지판 부착 3. 소화기 비치 4. 관리책임자 명기 5. 용기 전도방지 조치(결속)가 있다.
그리고, 인적 물적 요인은, 밀폐된 위험물 저장소에 위험물 보관 "폭발", 용기의 불량 및 온도상승으로 증발하여 "발화"가 있다.
이에 따른, 인적 물적 대책은, 위험물 저장,취금시설의 환기,배출 설비의 작동 기능 점검, 안전관리자 휴가기간 중에는 실질적인 안전관리를 할 수 있는 대리자를 지정하여 안전관리 공백방지가 있다.
MSDS 운영의 법적근거 및 점검내용은, 1. 용기별 MSDS 안전표지 부착(저장소, 보관용 용기는 물론 덜어 쓰는 용기까지도 부착함)이 있다.
그리고, 인적 물적 요인은, 음료수병에 든 윤활유를 근로자가 잘못 알고 마셔 위험물 "중독"이 있다.
이에 따른, 인적 물적 대책은, 유해위험물질 용기로 음료수병 활용 금지 및 단위용기까지 MSDS표지 부착이 있다.
장비 공통 점검의 법적근거 및 점검내용은, 1. 작업장 주변 구획정리 2. 장비 신호수/유도자 배치 3. 작업책임자 상주 4. 연약지반 사용금지 5. 건설기계작업계획 사전 승인이 있다.
그리고, 인적 물적 요인은, 상.하 동시작업 배치로 인해 근로자 안전사고 우려 "낙하", 자재 인양 및 하역 작업지역 근로자 미 통제로 인해 "낙하"가 있다.
이에 따른, 인적 물적 대책은, 신호수 및 하부 인원 통제원 교육, 관리 감독 철저가 있다.
안전대 사용 작업장 점검의 법적근거 및 점검내용은, 1. 안전대는 높이 2m 이상의 추락위험이 있는 작업에 반드시 착용하여야 한다 2. 작업발판(폭 40cm)이 없는 장소 3. 작업발판이 있어도 난간대가 없는 장소 4. 난간대로부터 상체를 내밀어 작업하는 경우 5. 작업발판과 구조체 사이의 거리가 30cm 이상으로 수평방호시설이 없는 장소가 있다.
그리고, 인적 물적 요인은, 고소작업시 안전대 미 착용으로 인한 "추락"이 있다.
이에 따른, 인적 물적 대책은, 안전대의 착용 중요성 교육 및 관리 감독 철저가 있다.
양중로프 점검의 법적근거 및 점검내용은, 1. 와이어로프 소선의 파단수가 10% 이하 2. 와이어로프의 마모율이 공칭지름의 7% 이하 3. 아이스플라이스는 납봉처리된 것만 사용(1.5코 꼬임 후 납봉 처리) 4. 이음에 또는 심한 꼬임, 변형, 부식이 없는 것이 있다.
그리고, 인적 물적 요인은, 자재 양중 時 부적절한 인양로프 사용으로 중량물 "낙하", 와이어로프 소선 파단 및 마모가 심한 로프 사용으로 인한 "낙하"가 있다.
이에 따른, 인적 물적 대책은, 단일 재질의 양중로프 사용(Sling Belt) 근로자 안전의식 개선, 견고한 새제품 교체 상시 관리 감독 점검이 있다.
건설 현장에서 사용되는 건설 중장비들의 환경 안전을 점검한다(S120).
일 실시예에서, 중장비 환경안전 관리 단계(S120)는, 지게차 점검, 리프트 점검, 고소작업차 점검, 굴삭기 점검, 하이드로 크레인 점검, 펌프카 점검, 크롤러 크레인 점검 및 기타 위험 기계기구 점검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점검을 수행할 수 있다.
각각의 점검 사항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지게차 점검의 법적근거 및 점검내용은, 1. 로프이용 자재 고정 후 운반 2. 주행시 포크의 높이 30cm 이하 3. 후진 경보음 및 경광등 부착 4. 후방 감시 카메라 부착이 있다.
그리고, 인적 물적 요인은, 지게차 오조작 등 및 웨이트 등 차체 "협착, 전복", 무자격자에 의한 운행 중 "협착 및 전도", 지게차 작업구역에 무단으로 출입하여 지게차 충돌 급회전, 급제동, 오조작 등 운전결합으로 "충돌"이다.
이에 따른, 인적 물적 대책은, 운전자 교육 실시 및 안전벨트 착용 조치, 운전자 면허 등 자격 유무 확인, 작업 장소에 근로자 출입금지, 오조작하지 않도록 교육 및 관리 감독 철저가 있다.
리프트 점검의 법적근거 및 점검내용은, 1. 협착방지 센서 작동 2. 유압오일 누유 확인 3. 경광등 및 경보음 부착 4. 배터리 연결커버 5. 타이어 마모 또는 훼손이 있다.
그리고, 인적 물적 요인은, 상승한 상태 이동, 조작 실수로 구조물 "협착", 리트프 편신하중 및 과다인원 탑승 "전도", 이동통로상 정리정돈 불량 "전도", 리프트 자재적재로 인한 "전도"가 있다.
이에 따른, 인적 물적 대책은, 하강상태 이동 및 협착예방 리미트 설치, 편심하중 발생되지 않도록 주의, 이동통로 정리정돈 실시, 리프트 허용하중 초과 금지가 있다.
고소작업차 점검의 법적근거 및 점검내용은, 1. 정격하중 초과시 경보음과 함께 작동이 정지될 것 2. 비상 정지 및 하강 장치 작동 유무 3. 아우트리거 확장 고정용 철물 설치 4. 선회장치 및 작업대 추락,낙하물 방지조치가 있는 것이 있다.
그리고, 인적 물적 요인은, 운전원의 오조작으로 인한 "충돌 및 협착", 아우트리거 침하되면서 "전도 및 추락", 선회장치 및 작업대 불량, 탈락, 과다인원 탑승으로 인한 "추락, 낙하"가 있다.
이에 따른, 인적 물적 대책은, 작업 전 조작원에게 안전교육 실시, 아우트리거는 견고하고 평탄한 지반에 거치, 탑승인원 제한 및 선회장치 및 작업대 관리가 있다.
굴삭기 점검의 법적근거 및 점검내용은, 1. 승차석 외 근로자 탑승금지 2. 후방 감시카메라 부착, 인양 용도 外 사용금지 3. 버킷 커플러 안전핀 도색 및 설치 4. 운전원 이탈시 운전정지, 접촉방지봉 부착 5. 고압전선 인근 작업시 붐대 길이 이상 이격이 있다.
그리고, 인적 물적 요인은, 굴삭기 운전원의 운전미숙으로 "전도 및 충돌", 개인보호구 미착용 상태에서 장비에 신체 부위 "접촉 및 충돌", 후진경보음 미작동 및 후사경 탈락으로 후방 근로자 "충돌", 굴삭기 시동중 운전원 이탈 의한 불시이동으로 "충돌"이 있다.
이에 따른, 인적 물적 대책은, 굴삭기 운전원의 자격유무, 경력 등을 사전에 확인 실시, 근로자 및 관리감독자는 작업중 안전모 등 개인보호구 착용 철저, 장비투입 전 안전장치 점검(후진 경보음, 후 사경, 야광안전표지판 및 경광등), 운전원 하차시 브레이크 등 안전장치 고정이 있다.
하이드로 크레인 점검의 법적근거 및 점검내용은, 1. 권과방지장치, 과부하방지장치 부착 2. 아우트리거 확장 고정용 철물 설치 3. 작업 경고용 경광등 설치 4. 권상드럼 역회전방지장치 설치 5. 고임목은 아우트리거 보다 넓게 설치 6. 차량 전방으로 붐을 뻗어 사용 금지가 있다.
그리고, 인적 물적 요인은, 신호수 미배치로 작업중 자재에 "충돌", 인양 와이어로프가 자재 인양중 끊기면서 "낙하", 자재 인양중 아우트리거가 침하되면서 "전도"가 있다.
이에 따른, 인적 물적 대책은, 신호수 배치하여 자재 인양 안전하게 유도, 와이어로프 등 인양로프는 손상이 없고 견고한 것 사용, 아우트리거는 견고하고 평탄한 지반에 거치가 있다.
펌프카 점검의 법적근거 및 점검내용은, 1. 조종장치, 제동장치 부착 2. 후사경, 후진경보기,작동 유무 3. 아우트리거 확장 및 고임목은 넓게 설치 4. 선회장치 고정볼트는 풀림 등의 이상이 없는 것 5. 구조부의 변형,손상 및 조립부,작동부에 이상이 없을 것이 있다.
그리고, 인적 물적 요인은, 아우트리거 침하되면서 "전도", 신호수 미배치로 작업중 붐 "충돌", 경사면 정차 시 브레이크 결함에 의하 "충돌 및 협착", 레미콘차량 후진 시 정지선 미설정으로 "충돌 및 협착", 운전원의 오조작으로 인한 "충돌 및 협착"이 있다.
이에 따른, 인적 물적 대책은, 신호수 배치하여 안전하게 유도, 아우트리거는 견고하고 평탄한 지반에 거치, 경사면에 정차 시 바퀴에 고임목 설치, 레미콘차량 후진 시 정지선 설정, 작업 전 펌프카 조작원에게 안전교육 실시가 있다.
크롤러 크레인 점검의 법적근거 및 점검내용은, 1. 권과방지장치, 과부하방지장치 부착 2. 작업 경고용 경광등 설치 3. 권상드럼 역회전방지장치 설치 4. 앵글붐은 변형 및 균열, 각 연결부 체결 양호할 것 5. 트랙은 손상,변형 등의 이상이 없고 지반상태 및 보강에 이상이 없을 것이 있다.
그리고, 인적 물적 요인은, 연약지반에서 작업 중 지반침하로 인한 "전도", 무자격자에 의한 운행 중 "협착 및 전도", 신호수 미배치로 작업중 자재에 "충돌", 인양 와이어로프가 자재 인양중 끊기면서 "낙하"가 있다.
이에 따른, 인적 물적 대책은, 운전자 면허 등 자격 유무 확인, 신호수 배치하여 자재 인양 안전하게 유도, 와이어로프 등 인양로프는 손상이 없고 견고한 것 사용, 연약지반의 경우 지반 개량이 있다.
기타 위험 기계기구 점검의 법적근거 및 점검내용은, 1. 작업발판의 폭은 40cm 이상을 확보 2. 안전대 부착설비를 설치 3. 최대적재하중 표시 및 안전표시판 설치 4. 2개 이상의 바닥재로 구성, 틈은 3cm 이하 5. 금속형 바닥재는 미끄럼 방지 조치가 있다.
그리고, 인적 물적 요인은, 안전대 부착설비에 미 체결 작업중 "추락", 달대비계 재료가 견고하지 못하여 작업중 자재가 부러지면서 "추락", 작업 발판이 하중을 견디지 못해 파손 "추락"이 있다.
이에 따른, 인적 물적 대책은, 안전대 고리는 안전대 부착설비에 체결하고 작업 실시, 달대비계의 재료는 알미늄,철재 등 견고한 재료를 사용하여 제작하고 최고 적재중량 표기, 작업발판재료는 하중을 견딜 수 있는 발판 설치가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설 현장 안전 점검 방법은, 건설 현장에서 기본적인 건설 장비들 또는 중장비들의 현장 안전을 효율적으로 점검하도록 함으로써, 건설 현장에서 발생될 수 있는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하도록 계도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건설 현장 안전 점검 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건설 현장 안전 점검 방법은, 건설 중인 건물의 외벽에 점검용 안전 난간(10)을 설치한 뒤, 건물 외벽의 환경 안전을 점검하는 건물 외벽 환경안전 관리 단계(S1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3은 도 2의 건물 외벽 환경안전 관리 단계에 사용되는 점검용 안전 난간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점검용 안전 난간(10)은, 바닥 프레임(100), 바닥 플레이트(200) 및 다수 개의 난간 패널(300)을 포함한다.
바닥 프레임(100)은, 건물의 외벽에 고정 설치되며, 상측에 바닥 플레이트(200)이 안착된다.
바닥 플레이트(200)는, 바닥 프레임(100)의 상측에 안착되어 점검자가 올라가기 위한 바닥면을 형성하며, 외측 테두리를 따라 난간 패널(300)이 설치된다.
난간 패널(300)은, 바닥 플레이트(200)의 외측 테두리를 따라 "ㄷ" 형태로 열을 지어 설치되어 난간을 형성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점검용 안전 난간(10)은, 건물의 외벽에 안전점검을 수행할 수 있도록 건물 외벽에 임시적으로 설치되어 점검자가 올라가 점검하기 위한 안정적인 공간을 확보하도록 할 수 있다.
도 4는 도 3의 난간 패널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난간 패널(300)은, 패널 본체(310), 제1 체결부(320) 및 제2 체결부(330)를 포함한다.
패널 본체(310)는, 양측이 라운드 처리된(R) 평판 형태로 형성되며, 하부 일측에 제1 체결부(320)가 설치되고, 하부 다른 일측에 제2 체결부(330)가 설치된다.
제1 체결부(320)는, "ㅗ" 형태로 형성되어 패널 본체(310)의 하부 일측에 설치되며, 바닥 플레이트(200)의 제1 고정홈(212)에 체결되어 고정되거나, 바닥 플레이트(200)의 상측면을 따라 형성되는 제1 슬라이딩홈(214)을 따라 이동한다.
제2 체결부(330)는, "ㅗ" 형태로 형성되어 패널 본체(310)의 하부 다른 일측에 설치되며, 바닥 플레이트(200)의 제2 고정홈(213)에 체결되어 고정되거나, 바닥 플레이트(200)의 상측면을 따라 형성되는 회동홈(216) 및 제2 슬라이딩홈(215)을 따라 이동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난간 패널(300)은, 바닥 플레이트(200)의 테두리를 따라 다수 개가 설치되어 작업작가 작업도중에 낙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난간을 형성하는 것이다.
도 5는 도 3의 바닥 플레이트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바닥 플레이트(200)는, 적어도 하나의 연장 플레이트(210) 및 마감 플레이트(220)를 포함한다.
연장 플레이트(210)는, 열을 지어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되어 점검용 안전 난간(10)의 바닥면을 형성하며, 단부에 마감 플레이트(220)가 설치되어 마감된다.
일 실시예에서, 연장 플레이트(210)는, 플레이트 본체(211), 제1 고정홈(212), 제2 고정홈(213), 제1 슬라이딩홈(214), 제2 슬라이딩홈(215), 회동홈(216), 체결돌기(217) 및 돌기 체결홈(218)을 포함한다.
플레이트 본체(211)는, 평판 형태로 성형되어 바닥 프레임(100)에 안착되며, 상측면을 따라 이하 후술하는 제1 체결부(320) 또는 제2 체결부(330)가 체결 또는 이동하기 위한 각각의 홈들이 형성된다.
제1 고정홈(212)은, 제1 체결부(320)를 체결할 수 있도록 플레이트 본체(211)의 상부 전단 일측에 제1 체결부(320)의 형태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제2 고정홈(213)은, 제2 체결부(330)를 체결할 수 있도록 제1 고정홈(212)으로부터의 제1 체결부(320)와 제2 체결부(330) 사이의 이격 거리에 해당하는 플레이트 본체(211)의 상부 전단 다른 일측에 제2 체결부(330)의 형태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즉, 난간 패널(300)은, 제1 체결부(320)가 제1 고정홈(212)에 체결되고, 제2 체결부(330)가 제2 고정홈(213)에 체결됨에 따라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300a) 난간의 형태로 설치될 수 있다.
제1 슬라이딩홈(214)은, 플레이트 본체(211)의 전단 일측으로부터 다른 일측으로 제1 고정홈(212)과 제2 고정홈(213)의 후단을 지나면서 연장 형성되며, 제1 고정홈(212)으로부터 분리된 제1 체결부(320)가 이동한다.
제2 슬라이딩홈(215)은, 플레이트 본체(211)의 후단 일측으로부터 다른 일측으로 연장 형성되며, 제2 고정홈(213)으로부터 회동홈(216)을 거쳐 이동된 제2 체결부(330)가 이동한다.
회동홈(216)은, 제2 체결부(330)가 제2 고정홈(213)으로부터 제2 슬라이딩홈(215)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제2 고정홈(213)과 대향하는 제1 슬라이딩홈(214)으로부터 제2 슬라이딩홈(215)의 일측으로 원호를 그리면서 연장 형성된다.
체결돌기(217)는, 플레이트 본체(211)의 다른 일측면을 따라 돌출 형성되어 다른 연장 플레이트(210)의 돌기 체결홈(218)에 삽입되어 체결된다.
돌기 체결홈(218)은, 플레이트 본체(211)의 일측면에 체결돌기(217)의 형태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함몰 형성되어 다른 플레이트 본체(211)의 체결돌기(217) 또는 마감 플레이트(220)의 체결돌기(224)를 삽입하여 체결한다.
마감 플레이트(220)는, 최외곽에 위치하는 연장 플레이트(210)의 단부에 설치되어 바닥면의 단부를 형성한다.
일 실시예에서, 마감 플레이트(220)는, 엔드 플레이트(221), 제1 마감홈(222) 및 제2 마감홈(223)을 포함할 수 있다.
엔드 플레이트(221)는, 최외측에 위치하는 연장 플레이트(210)의 단부에 체결되어 바닥면의 단부를 형성한다.
제1 마감홈(222)은, 제1 체결부(320)를 체결할 수 있도록 엔드 플레이트(221)의 상부 전단에 형성된다.
제2 마감홈(223)은, 제2 체결부(330)를 체결할 수 있도록 제1 마감홈(222)으로부터의 제1 체결부(320)와 제2 체결부(330) 사이의 이격 거리에 해당하는 엔드 플레이트(221)의 상부후단에 형성된다.
즉, 난간 패널(300)은, 제1 체결부(320)가 제1 마감홈(222)에 체결되고, 제2 체결부(330)가 제2 마감홈(223)에 체결됨에 따라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300b) 난간의 형태로 설치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난간 패널(300)은, 제1 체결부(320)와 제2 체결부(330)가 제1 고정홈(212)과 제2 고정홈(213)에 각각 체결되어 연장 플레이트(210)의 전면을 따라 설치되어 난간을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난간 패널(300)은, 제1 체결부(320)와 제2 체결부(330)가 도 7의 (a), 도 9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고정홈(212)과 제2 고정홈(213)에 고정된 상태로부터, 제1 체결부(320)와 제2 체결부(330)가 도 7의 (b), 도 9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고정홈(212)과 제2 고정홈(213)으로부터 분리된 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체결부(330)가 회동홈(216)을 경유하고 이동하여 제2 슬라이딩홈(215)으로 이동되고, 제1 체결부(320)와 제2 체결부(330)가 각각 제1 슬라이딩홈(214)과 제2 슬라이딩홈(215)을 따라 이동됨에 따라 마감 플레이트(220) 방향으로 이동되어 도 9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른 난간 패널(300)들과 포개져 수납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바닥 플레이트(200)는, 작업자의 작업 반경에 대응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연장 플레이트(210)를 순서대로 연결 설치시킴으로써, 안정적인 건물 외벽 안전점검에 필요로 하는 충분한 작업 공간을 형성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난간 패널을 포개어 수납할 수 있도록 구현함으로써, 난간을 개방시켜 짐을 올리거나 불필요한 난간의 형성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0은 도 3의 난간 패널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난간 패널(300)은, 패널 본체(310), 제1 체결부(320), 제2 체결부(330) 및 지지 바아(340)를 포함한다. 여기서, 난간 패널(300)은, 패널 본체(310), 제1 체결부(320) 및 제2 체결부(330)는, 도 4의 구성요소와 동일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지지 바아(340)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후술하는 체결 돌기(312)가 삽입될 수 있도록 하측면을 따라 체결 돌기(312)와 대향하는 위치 마다 돌기 안착홈(341)이 형성되며, 삽입홈(311)의 외부로 노출된 상태의 체결 돌기(312)에 안착되어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 개가 열을 지어 배치되는 패널 본체(310a, 310b, 310c))들의 후면을 지지한다.
일 실시예에서, 패널 본체(310)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면의 일측 및 다른 일측에 "T" 형태로 함몰 형성되는 삽입홈(311), 및 삽입홈(311)의 형태에 대응하는 "T" 형태로 형성되며, 삽입홈(311)에 수납(312a)되거나 상측이 회동되어 외부로 노출(312b)될 수 있도록 삽입홈(311b)의 하측에 하측이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체결 돌기(312)를 구비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난간 패널(300)은, 다수 개의 난간 패널(300)이 열을 지어 설치되는 경우 안정적인 지지를 이루지 못하고 난간이 붕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각각의 패널 본체(310)의 후면을 따라 안착되는 지지 바아(340)를 구비하여 난간이 안정적으로 그 형태를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상술된 실시예들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상술된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된 실시예들이 갖는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명세서를 통해 보호받고자 하는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점검용 안전 난간
100: 바닥 프레임
200: 바닥 플레이트
300: 난간 패널

Claims (2)

  1. 건설 현장에서 사용되는 기본적인 건설 장비들의 환경 안전을 점검하는 기본 환경안전 관리 단계; 및
    건설 현장에서 사용되는 건설 중장비들의 환경 안전을 점검하는 중장비 환경안전 관리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기본 환경안전 관리 단계는, 사다리 점검, 틀비계 점검, 말비계 점검, 안전난간대 점검, 낙하물 방지망 점검, 추락방지망 점검, 작업통로 점검, 가설계단 점검, 대형 개구부 점검, 소형 개구부 점검, 가설 비계 점검, 가설 분전함 점검, ELB 부착형 릴선 점검, 전기 공도구 점검, 용접기 점검, 양중도구함 점검, 화기작업 허가제 운영, 가설 사무실 점검, 위험물 저장소 점검, MSDS 운영, 장비 공통 점검, 안전대 사용 작업장 점검 및 양중로프 점검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점검을 수행하며,
    상기 중장비 환경안전 관리 단계는, 지게차 점검, 리프트 점검, 고소작업차 점검, 굴삭기 점검, 하이드로 크레인 점검, 펌프카 점검, 크롤러 크레인 점검 및 기타 위험 기계기구 점검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점검을 수행하며,
    건설 중인 건물의 외벽에 점검용 안전 난간을 설치한 뒤, 건물 외벽의 환경 안전을 점검하는 건물 외벽 환경안전 관리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점검용 안전 난간은, 건물의 외벽에 고정 설치되는 바닥 프레임; 상기 바닥 프레임의 상측에 안착되어 점검자가 올라가기 위한 바닥면을 형성하는 바닥 플레이트; 및 상기 바닥 플레이트의 외측 테두리를 따라 "ㄷ" 형태로 열을 지어 설치되어 난간을 형성하는 다수 개의 난간 패널;을 포함하며,
    상기 난간 패널은, 양측이 라운드 처리된 평판 형태로 형성되는 패널 본체; "ㅗ"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패널 본체의 하부 일측에 설치되며, 상기 바닥 플레이트에 체결되는 제1 체결부; 및 "ㅗ"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패널 본체의 하부 다른 일측에 설치되며, 상기 바닥 플레이트에 체결되는 제2 체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바닥 플레이트는, 열을 지어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되어 바닥면을 형성하는 연장 플레이트; 및 최외곽에 위치하는 상기 연장 플레이트의 단부에 설치되어 바닥면의 단부를 형성하는 마감 플레이트;를 포함하며,
    상기 연장 플레이트는, 평판 형태로 성형되어 상기 바닥 프레임에 안착되는 플레이트 본체; 상기 제1 체결부를 체결할 수 있도록 상기 플레이트 본체의 상부 전단 일측에 상기 제1 체결부의 형태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1 고정홈; 상기 제2 체결부를 체결할 수 있도록 상기 제1 고정홈으로부터의 상기 제1 체결부와 상기 제2 체결부 사이의 이격 거리에 해당하는 상기 플레이트 본체의 상부 전단 다른 일측에 상기 제2 체결부의 형태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2 고정홈; 상기 플레이트 본체의 전단 일측으로부터 다른 일측으로 상기 제1 고정홈과 상기 제2 고정홈의 후단을 지나면서 연장 형성되며, 상기 제1 체결부가 이동하기 위한 제1 슬라이딩홈; 상기 플레이트 본체의 후단 일측으로부터 다른 일측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기 제2 체결부가 이동하기 위한 제2 슬라이딩홈; 상기 제2 체결부가 상기 제2 고정홈으로부터 상기 제2 슬라이딩홈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제2 고정홈과 대향하는 제1 슬라이딩홈으로부터 상기 제2 슬라이딩홈의 일측으로 원호를 그리면서 연장 형성되는 회동홈; 상기 플레이트 본체의 다른 일측면을 따라 돌출 형성되는 체결돌기; 및 상기 플레이트 본체의 일측면에 상기 체결돌기의 형태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함몰 형성되어 다른 플레이트 본체의 체결돌기를 삽입하여 체결하는 돌기 체결홈;을 포함하며,
    상기 마감 플레이트는, 최외측에 위치하는 상기 연장 플레이트의 단부에 체결되어 바닥면의 단부를 형성하는 엔드 플레이트; 상기 제1 체결부를 체결할 수 있도록 상기 엔드 플레이트의 상부 전단에 형성되는 제1 마감홈; 및 상기 제2 체결부를 체결할 수 있도록 상기 제1 마감홈으로부터의 상기 제1 체결부와 상기 제2 체결부 사이의 이격 거리에 해당하는 상기 엔드 플레이트의 상부 후단에 형성되는 제2 마감홈;을 포함하며,
    상기 난간 패널은, 상기 제1 체결부와 상기 제2 체결부가 상기 제1 고정홈과 상기 제2 고정홈에 각각 체결되어 상기 연장 플레이트의 전면을 따라 설치되어 난간을 형성하며,
    상기 난간 패널은, 상기 제1 체결부와 상기 제2 체결부가 상기 제1 고정홈과 상기 제2 고정홈으로부터 분리된 뒤, 상기 제2 체결부가 상기 회동홈을 경유하고 이동하여 상기 제2 슬라이딩홈으로 이동되고, 상기 제1 체결부와 상기 제2 체결부가 각각 상기 제1 슬라이딩홈과 상기 제2 슬라이딩홈을 따라 이동됨에 따라 상기 마감 플레이트 방향으로 이동되어 다른 난간 패널들과 포개져 수납되는, 건설 현장 안전 점검 방법.
  2. 삭제
KR1020190139965A 2019-11-05 2019-11-05 건설 현장 안전 점검 방법 KR1020913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9965A KR102091374B1 (ko) 2019-11-05 2019-11-05 건설 현장 안전 점검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9965A KR102091374B1 (ko) 2019-11-05 2019-11-05 건설 현장 안전 점검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91374B1 true KR102091374B1 (ko) 2020-03-19

Family

ID=699571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39965A KR102091374B1 (ko) 2019-11-05 2019-11-05 건설 현장 안전 점검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91374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952653A (zh) * 2021-01-26 2021-06-11 国网浙江省电力有限公司嘉兴供电公司 间隔棒安装检修机器人的作业承托模块
KR102500474B1 (ko) * 2021-08-23 2023-02-17 정명훈 스마트 지능형 안전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
CN112952653B (zh) * 2021-01-26 2024-05-28 国网浙江省电力有限公司嘉兴供电公司 间隔棒安装检修机器人的作业承托模块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5925B1 (ko) 2014-05-13 2014-08-06 (주)시우하이텍 점검용 안전난간 및 그 설치방법
KR20160042687A (ko) * 2014-10-10 2016-04-20 한국건설기술연구원 건설현장 재해방지시스템 및 방법
KR101928786B1 (ko) 2017-10-11 2018-12-17 한국전력공사 통합 전기안전 점검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5925B1 (ko) 2014-05-13 2014-08-06 (주)시우하이텍 점검용 안전난간 및 그 설치방법
KR20160042687A (ko) * 2014-10-10 2016-04-20 한국건설기술연구원 건설현장 재해방지시스템 및 방법
KR101928786B1 (ko) 2017-10-11 2018-12-17 한국전력공사 통합 전기안전 점검 장치 및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952653A (zh) * 2021-01-26 2021-06-11 国网浙江省电力有限公司嘉兴供电公司 间隔棒安装检修机器人的作业承托模块
CN112952653B (zh) * 2021-01-26 2024-05-28 国网浙江省电力有限公司嘉兴供电公司 间隔棒安装检修机器人的作业承托模块
KR102500474B1 (ko) * 2021-08-23 2023-02-17 정명훈 스마트 지능형 안전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Neitzel et al. A review of crane safety in the construction industry
Hinze et al. Analysis of fatalities recorded by OSHA
CN103230655B (zh) 一种吊篮式高层建筑消防装置
KR102091374B1 (ko) 건설 현장 안전 점검 방법
Ellis What is Fall Protection?
KR200303835Y1 (ko) 안전체험 교육 구조물
CN203208579U (zh) 一种吊篮式高层建筑消防装置
Reese Annotated dictionary of construction safety and health
Muralitharan et al. Safety Analysis in Material Handling of Construction Industry
Headquarters Enquiries on these guidelines may be made to the CIC Secretariat at
Adams et al. Prevention through Planning: Work at Height
Risk TriMet Banfield Light Rail Transit Project: Civil and Construction Safety Manual
O’Brien Safety
Crane Risk assessment
Lifts Aerial lifts
CN219721729U (zh) 一种多用途破拆救援平台
Clare et al. Personal fall protection equipment: Correct use during MEWP operation
MANUAL DIGI 6
Hoffner Safety and health on bridge repair, renovation and demolition projects
CN118110351A (zh) 垃圾池内屋面网架钢结构滑移施工方法
Berry A Guide to Cranes and Derricks
Наумова Occupational health and safety in construction and reconstruction of road bridges and highways
Appendices Fall Protection
Adams et al. Prevention Through Planning
TRAINING fact shee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