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90720B1 - 게임내용 기반 e 스포츠 경기 영상 정보 검색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게임내용 기반 e 스포츠 경기 영상 정보 검색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90720B1
KR102090720B1 KR1020170175533A KR20170175533A KR102090720B1 KR 102090720 B1 KR102090720 B1 KR 102090720B1 KR 1020170175533 A KR1020170175533 A KR 1020170175533A KR 20170175533 A KR20170175533 A KR 20170175533A KR 102090720 B1 KR102090720 B1 KR 1020907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me
video
observer
server
ti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755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74131A (ko
Inventor
이재명
안종현
이선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라우드커뮤니케이션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라우드커뮤니케이션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라우드커뮤니케이션즈
Priority to KR10201701755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90720B1/ko
Publication of KR201900741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741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907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907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7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video data
    • G06F16/78Retrieval characterised by using metadata, e.g. metadata not derived from the content or metadata generated manuall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Multimedia (AREA)
  • Library & Information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게임내용 기반 e스포츠 경기 영상 정보 검색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게임내용 기반 e스포츠 경기 영상 정보 검색 방법은, 서버가 게임을 중계관전하기 위한 게임 옵저버 클라이언트를 실행시키고, 실행된 게임 옵저버 클라이언트의 상태를 감지하여 게임 로그 데이터를 수집하는 단계; 상기 서버가 상기 수집된 데이터를 집계하여 영상 검색에 활용할 패턴을 분석 하는 단계; 상기 서버가 상기 분석된 패턴에 포함된 타임코드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분리된 디지털 동영상에서 해당 게임 내용이 출현하는 장면을 매칭하여 패턴분석매트릭스를 생성 및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e스포츠 경기 영상의 게임 로그 데이터 정보를 수집하고 분석하여 게임 내용기반의 패턴분석 매트릭스를 생성하고 이를 이용하여 다양한 게임 내용에 기반한 연관 있는 동영상 또는 장면을 제시함으로써 보다 사용자가 원하는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접근이 가능하여 시간과 비용을 줄일 수 있고, e스포츠 영상 콘텐츠에 특성을 부여함으로써 보다 흥미도와 집중도를 증대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게임내용 기반 e 스포츠 경기 영상 정보 검색 시스템 및 방법{Game content-based e-sports game video information retrieval system and method}
본 발명은 게임내용기반 e 스포츠 경기 영상 정보 검색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디지털 게임 실시간 데이터를 이용한 게임내용 기반 e 스포츠 경기 영상 정보 검색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최근 컴퓨터, 스마트폰 등과 같은 하드웨어의 발달과 프로그래밍 기술의 발달에 힘입어 다양한 게임 컨텐츠가 개발되어 사용자들에게 서비스되고 있다. 특히 롤플레잉(RPG) 게임이나 대전격투 게임은 모험심을 불러일으키고 사용자들의 스트레스를 해소할 수 있는 오락 수단으로서 큰 인기를 누리고 있다.
게임에서 사용자의 조작에 의하여 게임 캐릭터가 움직이거나 특정 동작을 취하면 메모리에서 그에 대응되는 사운드 데이터를 로딩한 후 이를 스피커를 통하여 청각적으로 제공하는 기술은 널리 공지되어 있다.
예컨대 캐릭터가 달리면 발자국 소리를 출력하고, 캐릭터가 적을 공격하면 타격음을 출력하는 방식이다.
스포츠 게임의 경우에는 발자국 소리, 타격음 등의 단순한 사운드를 송출하는 것에 머무르지 않고, 텔레비전 등을 통하여 실황중계를 보는 듯한 느낌을 받을 수 있도록 실제 유명 해설자의 음성을 녹음한 파일을 출력하여 실감나는 게임 플레이를 즐길 수 있도록 하는 가상 중계 기능을 제공하고 있다.
e스포츠산업은 게임물을 매개로 하여 사람과 사람간에 기록 또는 승부는 겨루는 경기 및 부대활동을 대회 또는 리그의 현장으로 참여해 전파를 통해 현장을 중계하고 관전한다.
종래에는 e스포츠 미디어사에서 제공하는 e스포츠 경기영상에 특정 이벤트 정보를 제공하지 않았다.
따라서 사용자가 특정 이벤트가 일어났을 때의 영상을 시청 및 검색하기 위해서는 e스포츠 경기영상을 순차적으로 찾아 볼 수밖에 없었다.
특히, 사용자는 e스포츠영상 콘텐츠에서 키워드 위주의 텍스트 검색만으로 e스포츠 경기영상을 순차적으로 찾아 볼 수밖에 없었다.
그러나 종래에는 키워드 검색만으로 다양한 시청각 정보가 복합적으로 구성되어 있는 멀티미디어를 효율적으로 검색하는 것이 불가능하였다.
이런 검색의 효율성을 극복하기 위해서 특정 이벤트가 일어난 시점을 기록하여야 하는데, 이를 위해서 사람이 직접 이벤트와 관련된 영상을 매칭 혹은 색인 하였다.
하지만, 이는 시간과 비용이 너무 많이 들고, 색인자와 검색자의 관점이 불일치시에 검색의 유용성이 떨어진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내용 기반 e스포츠 경기 영상 정보 검색을 위해 e스포츠 경기 영상 내용을 대표할 수 있는 실시간으로 발생되는 e스포츠 게임 로그 데이터를 수집하여 색인 가능하게 가공하고, 저장하는 게임내용 기반 e스포츠 경기 영상 정보 검색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디지털 게임 실시간 데이터를 이용하여 e스포츠 게임 로그 데이터를 기반으로 e스포츠 경기 영상 멀티미디어를 자동으로 색인함으로써, 색인화 과정에서 데이터베이스 구축에 필요한 시간과 인력의 소모를 줄일 수 있는 게임내용 기반 e스포츠 경기 영상 정보 검색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사용자에게 영상에 포함된 색인화되어 저장된 게임 내용을 이용하여 검색이 가능하도록 하는 게임내용 기반 e스포츠 경기 영상 정보 검색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게임내용 기반 e스포츠 경기 영상 정보 검색 방법은,
서버가 게임을 중계관전하기 위한 게임 옵저버 클라이언트를 실행시키고, 실행된 게임 옵저버 클라이언트의 상태를 감지하여 게임 로그 데이터를 수집하는 단계;
상기 서버가 상기 수집된 데이터를 집계하여 영상 검색에 활용할 패턴을 분석 하는 단계;
상기 서버가 상기 분석된 패턴에 포함된 타임코드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분리된 디지털 동영상에서 해당 게임 내용이 출현하는 장면을 매칭하여 패턴분석매트릭스를 생성 및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패턴분석 매트릭스는, 패턴, 참여캐릭터, 가한 데미지, 받은 데미지, 교전 위치, 영상아이디, 타임코드를 포함한다.
상기 서버가 게임을 중계관전하기 위한 게임 옵저버 클라이언트를 실행시키고, 실행된 게임 옵저버 클라이언트의 상태를 감지하여 게임 로그 데이터를 수집하는 단계는,
옵저버 클라이언트가 실행되면 옵저버 데이터 수집 장치(230)에서 옵저버 클라이언트 실행 상태를 감지하는 단계(S2301);
상기 옵저버 데이터 수집장치(230)가 목표 로그 데이터를 수집하기 위해서 옵저버 데이터셋을 확인하는 단계(S2302);
상기 옵저버 데이터 수집장치(230)가 시간, 공간 및 상태 속성을 가진 객체를 추적하여 인식하고, 객체 행위를 인지하여 객체를 추출하는 단계(S2303);
상기 옵저버 데이터 수집장치(230)가 추출된 객체의 현재 상태값을 수치화하는 단계(S2304);
상기 옵저버 데이터 수집장치(230)는 수치화하는 과정에서 관측되지 않거나 왜곡될 수 있는 값을 처리하는 단계(S2305);
상기 옵저버 데이터 수집장치(230)가 객체의 행위와 상태값을 분석 변환 연산하여 특성을 추출하는 단계(S2306);
상기 옵저버 데이터 수집장치(230)가 추출된 특성을 가진 게임로그 데이터를 수집하여 데이터 수신부(311)에 전송하는 단계(S2307)를 포함한다.
상기 방법은,
상기 서버가 사용자로 부터 영상 검색을 위한 검색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서버가 상기 검색어에 대한 의미 있는 토픽을 추출하는 단계;
상기 서버가 상기 토픽과 연관되어 있는 패턴을 조회하여 매칭되는 동영상 또는 장면을 검색하여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상기 서버가 상기 토픽과 연관되어 있는 패턴을 조회하여 매칭되는 동영상 또는 장면을 검색하여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토픽과 연관되어 있는 패턴을 조회하고, 영상식별키와 타임코드가 매칭된 방송 영상 또는 정지 영상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방법은,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질의 결과값으로 영상식별키와 타임코드가 매칭된 방송 영상 또는 정지 영상을 표시하고, 사용자가 해당 방송 영상을 선택하면, 해당 방송 영상에 타임코드가 존재하기 때문에 상기 서버가 해당 검색 질의 내용에 포함된 장면을 바로 재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게임내용 기반 e스포츠 경기 영상 정보 검색 시스템은,
방송영상정보, 게임로그 데이터 정보, 패턴분석 매트릭스 정보 및 사용자 단말기 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베이스부;
상기 데이터베이스부를 참조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e스포츠 경기 영상 정보 검색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서버는 상기 방법을 실행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기존 e스포츠 경기 영상을 검색시 경기날짜, 경기제목 등 단조로운 키워드 위주의 텍스트 검색을 하지 않고, e스포츠 경기 영상의 게임 로그 데이터 정보를 수집하고 분석하여 게임 내용기반의 패턴분석매트릭스를 생성하고 이를 이용하여 다양한 게임 내용에 기반한 연관 있는 동영상 또는 장면을 제시함으로써 보다 사용자가 원하는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접근이 가능하여 시간과 비용을 줄일 수 있고, e스포츠 영상 콘텐츠에 특성을 부여함으로써 보다 흥미도와 집중도를 증대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내용기반 e스포츠 경기 영상 정보 검색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내용기반 e스포츠 경기 영상 정보 검색 시스템의 실시간 게임 로그 데이터를 수집하기 위한 프로세스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내용기반 e스포츠 경기 영상 정보 검색 시스템에서 수집된 실시간 게임 로그 데이터를 의미 있는 정보로 가공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내용기반 e스포츠 경기 영상 정보 검색 시스템에서 검색 질의어를 이용한 e스포츠 경기 영상 검색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5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내용기반 e스포츠 경기 영상 정보 검색 시스템에서 사용자 단말기에 e스포츠 경기 영상 콘텐츠를 제공하는 서비스 예시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게임 내용 기반 e스포츠 경기 영상 정보 검색 시스템의 망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게임내용 기반 e스포츠 경기 영상 정보 검색 시스템은,
방송영상제작사 시스템(100), 방송영상송출시스템(110), 게임을 실행하기 위한 게임클라이언트 단말기(200), 게임 플레이 화면을 방송영상으로 송출하기 위한 게임 옵저버 장치(220), 상기 게임 옵져버 장치(210)의 방송영상으로부터 옵저버 데이터를 수집하는 옵저버 데이터 수집 장치(220), 게임클라이언트 배포 및 게임메타정보를 공급하는 게임사 시스템(230) 및 사용자 단말기(400)와 연동된다.
방송영상제작사 시스템(100)은 라디오나 텔레비전 등 미디어매체를 통해 여러가지 시청각 정보를 불특정 다수에게 제공할 수 있는 시설을 갖추고 영상 서비스를 제공하는 그룹의 시스템을 의미한다.
방송영상제작사 시스템(100)으로부터 현장의 게임 플레이 중계 영상 신호를 방송영상송출시스템(110)이 수신하여 e스포츠 경기 영상 정보 검색 시스템(300)에 송출하고, e스포츠 경기 영상 정보 검색 시스템(300)은 수신한 영상을 저장한 후 또는 실시간으로 스트리밍 하는 등의 영상 서비스를 사용자 단말기(400)에게 제공한다.
게임을 플레이하기 위해서는 게임사 시스템(200)에서 배포한 게임 클라이언트를 게임 클라인언트 단말기(210)가 실행한다.
게임 클라인언트 단말기(210)가 게임 클라이언트를 실행하고, 게임 플레이 화면을 방송영상제작자 시스템(100)이 중계하기 위해서 게임 화면을 게임 플레이어외의 제3자가 관전할 수 있는 게임 옵저버 장치(220)를 실행한다.
옵저버 데이터 수집 장치(230)는 게임 옵저버 장치(220)의 실행 상태를 감지하고, 게임 로그 데이터를 수집하여 e스포츠 경기 영상 정보 검색 시스템(300)으로 전송한다.
e스포츠 경기 영상 정보 검색 시스템(300)은 옵저버 데이터 수집 장치(230)로 부터 수집한 게임 로그 데이터를 수신 하고, 게임사 시스템(200)으로부터 게임 요소, 즉 캐릭터 정보, 아이템 정보, 맵 정보 등 게임 메타 정보를 수신 한다.
수신한 게임 로그 데이터 및 게임 메타 정보를 분석, 연산 또는 집계하여 저장하고, 영상과 매칭하여 사용자가 영상 검색할 때 동영상 또는 특정 장면을 검색하는데 이용된다.
e스포츠 경기 영상 정보 검색 시스템(300)은 서버(310)와 데이터베이스(320)를 포함한다.
데이터베이스(320)에는 방송영상 정보, 게임로그 데이터, 패턴부석매트릭스 정보 등을 저장한다.
옵저버 데이터 수집 장치(230)로 부터 수집한 게임 로그 데이터를 수신 하고, 게임사 시스템(200)으로부터 게임 요소, 즉 캐릭터 정보, 아이템 정보, 맵 정보 등 게임 메타 정보를 수신 한다.
서버(310)는 데이터 수신부(311), 데이터 집계부(312), 영상 수신부(313), 검색부(314), 서비스부(314)를 포함한다.
사용자 단말기(400)는 네트워크망을 통해 e스포츠 경기 영상 정보 검색 시스템(300)에 접속하여 게임 내용 기반의 검색어를 입력함으로써 영상 검색을 요청하고, e스포츠 경기 영상 정보 검색 시스템(300)로부터 검색한 결과로서 검색어와 연관 있는 동영상 또는 해당 장면을 수신하여 사용자 단말기(400) 화면에 표시한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진 e스포츠 경기 영상 정보 검색 시스템의 동작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e스포츠 경기에서의 옵저버 통한 게임 로그 데이터 수집 방법의 과정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를 참조하면, e스포츠 경기에서 방송 화면에 송출하기 위해서 게임 화면을 관전할 옵저버 클라이언트 단말기에서 옵저버 클라이언트를 실행한다.
옵저버 클라이언트가 실행되면 옵저버 데이터 수집 장치(230)에서 옵저버 클라이언트 실행 상태를 감지한다(S2301). 여기서, 옵저버 클라이언트가 실행상태가 되어야만 로그 수집이 가능하다.
옵저버 데이터 수집장치(230)는 목표 로그 데이터를 수집하기 위해서 옵저버 데이터셋을 확인한다(S2302). 여기서, 데이터셋은 게임플레이어가 게임플레이를 위해 선택한 캐릭터 또는 종족, 선택한 아이템, 스킬 정보, 자원 현황, 킬 로그, 게임 플레이에서 행한 전반의 게임 로그 데이터의 집합이다. 가상의 게임 플레이에서 움직이는 모든 객체는 시간속성, 공간속성, 상태속성을 갖는다.
여기서, 객체라함은 캐릭터, 몬스터, 건물, 아이템, 스킬, 마법종류, 공격종류- 총, 활, 칼, 주먹, 마법 등- 게임시나리오가 이루고 있는 모든 대상이다.
그리고, 시간속성에는 게임상에서의 캐릭터 혹은 몬스터 혹은 건물이 언제 출현이 되고 킬이나 소멸되었을때 다시 출현하는 시간 또는 게임진행 시간 등이 포함된다.
또한, 공간속성에는 게임상에서의 캐릭터 혹은 몬스터 혹은 건물이 시간의 변화에 따라 가상의 공간(맵) 어디에 위치에 있는지를 나타내는 좌표값을 포함된다.
상태속성에는 게임상에서의 캐릭터 혹은 몬스터 혹은 건물이 현재의 시간과 위치에서 어떤 상태인지 나타내는 지표로서, 생사여부, 체력지수, 마법력지수, 공격력지수, 스킬쿨타임, 아이템 소유여부 등이 포함되고, 쿨타임이란 스킬을 한번 사용하고 다시 사용할 수 있을 때까지 걸리는 시간범위 등이 포함된다.
그리고 옵저버 데이터 수집장치(230)는 이러한 시간, 공간 및 상태 속성을 가진 객체를 추적하여 인식하고, 객체 행위를 인지하여 객체를 추출한다(2303).
여기서, 옵저버 데이터 수집장치(230)는 시간, 공간상태 속성이 가지고 있는 게임상의 객체인지 탐색하고, 의미있는 객체이면 데이터셋에서 추출한다.
여기서, 의미가 없는 객체의 예로는 게임배경을 이루는 요소. 예를들어 물방울 배경, 날아다니는 나비, 수풀 등이 있으며, 이러한 의미가 없는 객체는 데이터셋에서 추출하지 않는다.
그리고 옵저버 데이터 수집장치(230)는 추출된 객체의 현재 상태값을 수치화 한다. (S2304)
여기서, 상태값은 추출된 객체의 현재 상태로써 생사여부, 체력량, 마법량, 공격력, 방어력, 마법저항력, 공격속도, 아이템 종류 등 경우에 따라 수십 또는 수백개의 상태 속성 항목이 존재하고, 해당 상태 속성값은 코드나 16진수, 바이너리 또는 그래프형태 등의 데이터로 존재하여 이를 식별하기 쉽게 10진수 혹은 소숫점 단위로 수치화 한다.
이때, 옵저버 데이터 수집장치(230)는 수치화하는 과정에서 관측되지 않거나 왜곡될 수 있는 값을 처리한다.(S2305) 즉, 의미가 없거나 공백, 널값, 혹은 매우 작은 단위일 경우, 경우에 따라 판단해서 수치화된 값을 예외처리 한다.
또한, 옵저버 데이터 수집장치(230)는 객체의 행위와 상태값을 분석 변환 연산하여 특성을 추출한다.(S2306)
예를 들면, 특정 게임에서는 여러명이 한 팀을 이루는 대전게임일 경우, 어느 한 아군 캐릭터가 적군 한 캐릭터에게 공격을 받아 처치 당했을때(death상태) 게임상에서는 단순 수치상으로 1 death 로그로 작성이 된다.
하지만 주변에 아군 캐릭터가 있었는지 혹은 혼자 고립되어 처치당했는지 그 특성을 추출하기 위해서는 그 주변에 아군이 존재여부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대상 캐릭터에 반경 몇 단위에 1명 이상의 아군 선수가 있는지 연산이 필요하다. 이렇게 연산된 특성을 추출하면 team-work의 특징을 판단하는 한 기준이 될 수 있다. 이러한 추출된 특성들이 게임 로그 테이터이며, 옵저버 데이터 수집장치(230)는 이러한 게임로그 데이터를 수집하여 데이터 수신부(311)에 전송한다.(S2307)
도 3은 도 2에서 수집된 게임로그 데이터를 처리하는 데이터 집계부의 흐름도이다.
도 2에서 수집된 게임로그 데이터는 가공되지 않은 원시데이터이다.
원시데이터는 상기에서 언급한 객체의 상태를 대표하는 시간속성, 공간속성, 상태속성을 가진다.
도 3을 참조하면, 데이터 집계부(312)는 도 2에서 설명한 수집된 게임 로그 데이터를 게임 시나리오에 맞게 특정 패턴을 분석한다(S3101).
여기서, 특정 패턴의 예를 들면 교전상황, 기습상황, 스플릿푸쉬 상황 등이 될 수 있다. 여기서 스플릿푸쉬란 나눠서 적진영을 민다라는 의미이다.
이때, 스포츠 게임이 야구 게임의 경우, 특정패턴은 홈런, 안타, 도루, 병살타, 삼진 등 다양한 상황이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데이터 집계부(312)는 특정 패턴을 가진 데이터를 검색과 질의 분석에 용이하도록 수치연산과 다양한 함수를 사용하여 정형화 한다(3102).
즉, 상기 예에서 교전상황을 패턴화하기 위해서는 여러명의 아군 적군 캐릭터가 어떤 기준의 범위안(통상적으로 사정거리안 일컬으며 사정거리를 계산해야 한다.)에 몇명이 있고, 교전상황에서 발현되는 변화량, 예컨대 데미지 변화량, 체력 변화량, 스킬사용 여부 등 상태속성의 변화량을 측정해야한다.
데이터 집계부(312)는 졍형화한 결과 데이터를 병합집계하여 특정 패턴을 식별한다(3103). 여기서, 상기 예에서 여러 상태 속성 변화량을 합치고, 집계해서 교전이라는 패턴을 식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게임상에서 여러 캐릭터들이 맞서 교전을 이루고 있을때, 특정A 캐릭터의 가한 데미지, 특정B 캐릭터의 받은 데미지가 기록된다. 특정A 캐릭터가 특정B 캐릭터에게 가한 데미지를 판단하기 위해서는 가한 데미지와 받은 데미지량의 차와 해당 행위가 발생한 시간, 위치 등 다른 요소와 함께 종합적으로 판단해서 특정A 캐릭터가 특정B 캐릭터에게 데미지를 가한 것인지를 판단하고 식별해야 한다.
이렇게 식별된 데이터는 교전(여러 캐릭터들이 맞서 교전을 하는 상황을 이루는 말)이라는 패턴을 가지게 되고, 캐릭터별로 데미지 속성을 포함하게 된다.
이후, 데이터 집계부(312)는 식별된 데이터를 패턴 분석 매트릭스에 작성하고(S3104), 게임 플레이의 타임코드를 추출하여 색인한다(S3105).
예를 들어, 패턴 분석 매트리스를 형상화하면 다음 표 1과 같다.
Figure 112017126768989-pat00001
그리고, 교전에 참여한 캐릭터 정보의 예는 표 2와 같다.
Figure 112017126768989-pat00002
위와 같이 게임 플레이 내용기반이라고 할 수 있는 패턴 분석 매트릭스와 게임 진행 시간을 나타내는 타임코드를 추출하여 상호간 다대다 관계를 맺도록 한다.
다대다 관계를 맺는다는 것은 하나의 패턴 속성에 하나 이상의 타임코드를 가질 수 있고, 반대로 하나의 타임코드에 하나 이상의 패턴 속성을 가질 수 있다.
이는 패턴-타임코드 간에 복잡한 연관성이 있고, 이를 활용하여 다양한 관점에서 분석 및 검색을 용인할 수 있게 한다.
이를 구현하기 위한 내용기반 e스포츠 경기 영상 검색 질의 처리 흐름도는 도 4와 같다.
도 4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기를 이용하여 서비스부(315)가 제공하는 e스포츠 경기 영상 정보를 시청할 수 있다.
즉, 서비스부(315)는 방송영상송출시스템(110)에서 송출한 방송영상정보를 영상 수신부(313)가 데이터베이스(320)에 저장해 놓은 영상중 사용자가 선택한 영상을 제공할 수 있다.
도 5 및 도 6은 사용자 단말기 화면의 예이다.
도 5 또는 도 6을 참조하면, 방송영상제작사 시스템(100)으로 부터 현장의 게임 플레이 중계 영상 신호를 방송영상송출시스템(110)이 수신한 후, e스포츠 경기 영상 정보 검색 시스템(300)에 송출하고, e스포츠 경기 영상 정보 검색 시스템(300)이 수신한 영상을 스트리밍 등 영상 서비스를 통해 사용자 단말기(400)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서비스부(315)는 옵저버 데이터 수집 장치(230)에서 수집한 실시간 게임 로그 데이터 지표를 게임 플레이 중계 영상 신호(이하, 방송 영상 신호라 한다)와 함께 제공할 수 있다.
그러면,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기(400) 화면에 스트리밍되어 표시되는 방송 영상을 시청하면서 옵저버 데이터 수집 장치(230)에서 수집한 실시간 게임 로그 데이터 지표를 함께 시청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가 e스포츠 경기 영상을 검색하기 위해서 사용자 단말기(400)를 이용하여 자연어 질의어를 입력할 수 있다. 또한 키워드 검색도 가능하다.
그러면, 검색부(314)는 사용자가 입력한 질의어로 부터 내용을 분석한다(S3201). 여기서, 검색 질의어 내용 분석(S3201)은 입력된 질의어를 문법적으로 형태소 분석 또는 불용어를 제거하여 단어 단위로 키워드가 될 단어를 추출하는 작업을 의미한다.
다음, 검색 질의어 분석을 통하여 해당 질의어의 키워드가 될 토픽을 추출한다(S3202).
그리고, 검색부(314)는 추출된 토픽에 포함된 속성을 비교 연산한다(S3203).
예를 들어 교전이후 딜량차가 20%이상인 경기 영상을 검색하기 위해서 해당 질의어를 입력 했을때, 검색부(314)는 교전이라는 패턴과 딜량이라는 데미지 속성을 비교해서 검색을 진행한다.
검색부(314)는 데이터 집계부(312)가 데이터베이스(320)에 저장해둔 패턴 분석 매트릭스에 교전 토픽을 조회하고(S3204), 교전 패턴에 포함하고 있는 데미지량을 비교 연산한 후 해당 조건에 만족한 영상식별키와 타임코드를 조회한다(S3205).
여기서, 조회 결과값인 타임코드는 질의어에 만족하는 내용이 포함된 게임 타임라인 정보와 해당 장면이 포함된 방송 영상 정보의 타임라인 정보가 일치하는 값이다.
다음, 검색부(314)는 조회된 영상식별키와 타임코드를 방송 영상 정보와 매칭하고(S3206), 매칭된 해당 방송 영상 정보를 질의 결과로서 사용자 단말기(400)에 전송한다(S3207).
이후, 사용자 단말기(400)가 질의 결과값으로 영상식별키와 타임코드가 매칭된 방송 영상 또는 정지 영상을 표시하고, 사용자가 해당 방송 영상을 선택하면, 해당 방송 영상에 타임코드가 존재하기 때문에 서비스부(315)가 해당 검색 질의 내용에 포함된 장면을 바로 재생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e스포츠 경기 영상 정보 검색 서비스를 실시한 화면 예시도이다.
도 7과 같이 e스포츠 경기 영상 정보를 검색하기 위한 검색 질의어를 입력하고 검색 질의어의 내용을 분석하여 내용과 연관된 e스포츠 동영상 콘텐츠를 검색 결과로 제공하는 한 예이다.
이때, 검색은, 달성기록 검색, 일반기록 검색 또는 통계기록 검색이 가능하다.
도 8은 검색결과로 제공한 e스포츠 동영상 콘텐츠를 선택시 해당 영상 콘텐츠의 내용을 영상과 함께 다양한 시청각 정보를 제공하는 한 예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기존 e스포츠 경기 영상을 검색시 경기날짜, 경기제목 등 단조로운 키워드 위주의 텍스트 검색을 하지 않고, e스포츠 경기 영상의 게임 로그 데이터 정보를 수집하고 분석하여 게임 내용기반의 패턴분석매트릭스를 생성하고 이를 이용하여 다양한 게임 내용에 기반한 연관 있는 동영상 또는 장면을 제시함으로써 보다 사용자가 원하는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접근이 가능하여 시간과 비용을 줄일 수 있고, e스포츠 영상 콘텐츠에 특성을 부여함으로써 보다 흥미도와 집중도를 증대시킬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에 유의하여야 한다. 특히, 실시예에서 설명한 용어와 실시예 화면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임의로 선택한 것에 불과하며, 그 용어 및 실시예 화면 자체에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Claims (7)

  1. 서버가 게임을 중계관전하기 위한 게임 옵저버 클라이언트를 실행시키고, 실행된 게임 옵저버 클라이언트의 상태를 감지하여 게임 로그 데이터를 수집하는 단계;
    상기 서버가 상기 수집된 게임 로그 데이터를 게임 시나리오에 맞게 특정 패턴을 분석하는 단계(S3101);
    상기 서버가 특정 패턴을 가진 데이터를 검색과 질의 분석에 용이하도록 수치연산과 소정의 함수를 사용하여 정형화 하는 단계(S3102);
    상기 서버가 정형화한 결과 데이터를 병합집계하여 특정 패턴을 식별하는 단계(S3103);
    상기 서버가 식별된 특정 패턴 데이터를 매트릭스 표형태로 나타낸 패턴 분석 매트릭스에 작성하고(S3104), 게임 플레이의 타임코드를 추출하여 색인하는 단계(S3105)를 포함하는
    게임내용 기반 e스포츠 경기 영상 정보 검색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패턴분석 매트릭스는, 패턴, 참여캐릭터, 가한 데미지, 받은 데미지, 교전 위치, 영상아이디, 타임코드를 포함하는 게임내용 기반 e스포츠 경기 영상 정보 검색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가 게임을 중계관전하기 위한 게임 옵저버 클라이언트를 실행시키고, 실행된 게임 옵저버 클라이언트의 상태를 감지하여 게임 로그 데이터를 수집하는 단계는,
    옵저버 클라이언트가 실행되면 옵저버 데이터 수집 장치(230)에서 옵저버 클라이언트 실행 상태를 감지하는 단계(S2301);
    상기 옵저버 데이터 수집장치(230)가 목표 로그 데이터를 수집하기 위해서 옵저버 데이터셋을 확인하는 단계(S2302);
    상기 옵저버 데이터 수집장치(230)가 시간, 공간 및 상태 속성을 가진 객체를 추적하여 시간, 공간 및 상태 속성을 가진 게임상의 객체인지 탐색하고, 의미있는 객체이면 데이터셋에서 추출하고, 의미가 없는 객체인 경우 데이터셋에서 추출하지 않는 단계(S2303);
    상기 옵저버 데이터 수집장치(230)가 추출된 객체의 현재 상태값을 수치화하는 단계(S2304);
    상기 옵저버 데이터 수집장치(230)는 수치화하는 과정에서 관측되지 않거나 왜곡될 수 있는 값을 처리하는 단계(S2305);
    상기 옵저버 데이터 수집장치(230)가 객체의 행위와 상태값을 분석 변환 연산하여 특성을 추출하는 단계(S2306);
    상기 옵저버 데이터 수집장치(230)가 추출된 특성을 가진 게임로그 데이터를 수집하여 데이터 수신부(311)에 전송하는 단계(S2307)를 포함하고,

    상기 데이터셋은 게임플레이어가 게임플레이를 위해 선택한 캐릭터 또는 종족, 선택한 아이템, 스킬 정보, 자원 현황, 킬 로그, 게임 플레이에서 행한 전반의 게임 로그 데이터의 집합이고,
    상기 객체는 캐릭터, 몬스터, 건물, 아이템, 스킬, 마법종류, 공격종류- 총, 활, 칼, 주먹, 마법을 포함한 게임시나리오가 이루고 있는 모든 대상이고,
    상기 객체는 시간속성, 공간속성, 상태속성을 갖으며,
    상기 시간속성에는 게임상에서의 캐릭터 혹은 몬스터 혹은 건물이 언제 출현이 되고 킬이나 소멸되었을때 다시 출현하는 시간 또는 게임진행 시간이 포함되고,
    상기 공간속성에는 게임상에서의 캐릭터 혹은 몬스터 혹은 건물이 시간의 변화에 따라 가상의 공간(맵) 어디에 위치해 있는지를 나타내는 좌표값이 포함되고,
    상기 상태속성에는 게임상에서의 캐릭터 혹은 몬스터 혹은 건물이 현재의 시간과 위치에서 어떤 상태인지 나타내는 지표로서, 생사여부, 체력지수, 마법력지수, 공격력지수, 스킬쿨타임, 아이템 소유여부가 포함되고, 쿨타임이란 스킬을 한번 사용하고 다시 사용할 수 있을 때까지 걸리는 시간범위가 포함되는 게임내용 기반 e스포츠 경기 영상 정보 검색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가 사용자로 부터 영상 검색을 위한 검색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서버가 상기 검색어에 대한 의미 있는 토픽을 추출하는 단계;
    상기 서버가 상기 토픽과 연관되어 있는 패턴을 조회하여 매칭되는 동영상 또는 장면을 검색하여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게임내용 기반 e스포츠 경기 영상 정보 검색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가 상기 토픽과 연관되어 있는 패턴을 조회하여 매칭되는 동영상 또는 장면을 검색하여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토픽과 연관되어 있는 패턴을 조회하고, 영상식별키와 타임코드가 매칭된 방송 영상 또는 정지 영상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임내용 기반 e스포츠 경기 영상 정보 검색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질의 결과값으로 영상식별키와 타임코드가 매칭된 방송 영상 또는 정지 영상을 표시하고, 사용자가 해당 방송 영상을 선택하면, 해당 방송 영상에 타임코드가 존재하기 때문에 상기 서버가 해당 검색 질의 내용에 포함된 장면을 바로 재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임내용 기반 e스포츠 경기 영상 정보 검색 방법.
  7. 방송영상정보, 게임로그 데이터 정보, 패턴분석 매트릭스 정보 및 사용자 단말기 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베이스부;
    상기 데이터베이스부를 참조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e스포츠 경기 영상 정보 검색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서버는 상기 제1항 내지 제6항중 어느 한항의 방법을 실행하는 게임내용 기반 e스포츠 경기 영상 정보 검색 시스템.
KR1020170175533A 2017-12-19 2017-12-19 게임내용 기반 e 스포츠 경기 영상 정보 검색 시스템 및 방법 KR1020907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5533A KR102090720B1 (ko) 2017-12-19 2017-12-19 게임내용 기반 e 스포츠 경기 영상 정보 검색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5533A KR102090720B1 (ko) 2017-12-19 2017-12-19 게임내용 기반 e 스포츠 경기 영상 정보 검색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4131A KR20190074131A (ko) 2019-06-27
KR102090720B1 true KR102090720B1 (ko) 2020-04-28

Family

ID=670574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75533A KR102090720B1 (ko) 2017-12-19 2017-12-19 게임내용 기반 e 스포츠 경기 영상 정보 검색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9072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94925A (ko) 2021-12-21 2023-06-28 주훈 e-스포츠 콘텐츠의 토탈 서비스 제공 시스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50018990A1 (en) 2012-02-23 2015-01-15 Playsight Interactive Ltd. Smart-court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real-time debriefing and training services of sport game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50018990A1 (en) 2012-02-23 2015-01-15 Playsight Interactive Ltd. Smart-court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real-time debriefing and training services of sport game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94925A (ko) 2021-12-21 2023-06-28 주훈 e-스포츠 콘텐츠의 토탈 서비스 제공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4131A (ko) 2019-06-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30027385A1 (en) System and Method of Generating and Providing Interactive Annotation Items Based on Triggering Events in a Video Game
US10232272B2 (en) System and method for replaying video game streams
JP6337136B2 (ja) 動画像処理装置、動画像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20180137364A1 (en) Methods, systems and software programs for enhanced sports analytics and applications
US20160317933A1 (en) Automatic game support content generation and retrieval
US20090210395A1 (en) Methods, systems, and computer readable media for dynamically searching and presenting factually tagged media clips
US20110106531A1 (en) Program endpoint time detection apparatus and method, and program information retrieval system
US7685202B2 (en) Event importance adjustment method and device for carrying out the method
TW201340690A (zh) 視訊推薦系統及其方法
CN109361962B (zh) 互联网流媒体大数据弹幕信息处理系统及处理方法
US10376781B2 (en) System and method of generating and distributing video game streams
Alonso et al. Timelines as summaries of popular scheduled events
JP2004528640A (ja) 自動ビデオ検索の方法、システム、アーキテクチャ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プロダクト
CN102216945A (zh) 通过媒体指纹进行联网
Cotta et al. Using fifa soccer video game data for soccer analytics
TW201720139A (zh) 視訊影像再生裝置、視訊影像配送伺服器、再生視訊影像的方法、配送視訊影像的方法、以及記錄媒體
JP2018525675A (ja) 過去のブロードキャストテキストを用いてライブテキストブロードキャストコンテンツを生成する方法およびデバイス
KR20200014487A (ko) 클립영상 생성을 위한 장치 및 그 방법
JP2014038602A (ja) キャプチャしたイメージを用いた動画分析装置、方法および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JP2004364184A (ja) コンテンツ連動型コメント表示方法、コメント表示システム、サーバ装置、コメント表示装置及びコメント表示プログラム
CN112312142B (zh) 视频播放控制方法、装置和计算机可读存储介质
KR102090720B1 (ko) 게임내용 기반 e 스포츠 경기 영상 정보 검색 시스템 및 방법
CN114339399A (zh) 多媒体文件剪辑方法、装置及计算设备
Nadeem et al. Deep labeller: automatic bounding box generation for synthetic violence detection datasets
Lie et al. A novel learning-to-rank method for automated camera movement control in e-sports spectat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