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90373B1 - 와이어 테니스 엘보 교정대 - Google Patents

와이어 테니스 엘보 교정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90373B1
KR102090373B1 KR1020180004715A KR20180004715A KR102090373B1 KR 102090373 B1 KR102090373 B1 KR 102090373B1 KR 1020180004715 A KR1020180004715 A KR 1020180004715A KR 20180004715 A KR20180004715 A KR 20180004715A KR 102090373 B1 KR102090373 B1 KR 1020903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bow
pad
wire
regulator
compres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047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86326A (ko
Inventor
이정훈
김성중
Original Assignee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800047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90373B1/ko
Publication of KR201900863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863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903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903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102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recting deformities of the limbs or for supporting them; Ortheses, e.g. with articulations
    • A61F5/0104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recting deformities of the limbs or for supporting them; Ortheses, e.g. with articulations without articulation
    • A61F5/0118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recting deformities of the limbs or for supporting them; Ortheses, e.g. with articulations without articulation for the arms, hands or fing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30Pressure-pads
    • A61F5/32Adjustable pressure pa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102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recting deformities of the limbs or for supporting them; Ortheses, e.g. with articulations
    • A61F2005/0132Additional features of the articulation
    • A61F2005/0165Additional features of the articulation with limits of movement
    • A61F2005/0167Additional features of the articulation with limits of movement adjustab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102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recting deformities of the limbs or for supporting them; Ortheses, e.g. with articulations
    • A61F2005/0132Additional features of the articulation
    • A61F2005/0172Additional features of the articulation with cush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102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recting deformities of the limbs or for supporting them; Ortheses, e.g. with articulations
    • A61F2005/0181Protectors for articulati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rsing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Abstract

와이어 테니스엘보 교정대가 소개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신축성 소재로 되어 팔이 삽입되는 착용홀이 구비된 내피와, 상기 내피에 연결되어 외면을 감싸는 외피로 이루어져 전완부의 수근신전근이 압박되게 하는 압박보호대; 상기 내피에 설치되어 팔꿈치 안쪽피부에 밀착되는 미끄럼방지 패드; 상기 외피에 설치되어 상기 미끄럼패드의 밀착력이 조절되게 하는 조절체; 및 상기 미끄럼방지패드와 조절체가 연결되게 하는 와이어로 이루어져 팔꿈치관절 압박상태가 제어되도록 하는 교정조절부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와이어 테니스 엘보 교정대{wire tennis elbow proofreading band}
본 발명은 와이어 테니스 엘보 교정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팔꿈치 외측의 흔한 통증(일명; 테니스 엘보) 및 팔꿈치 관절의 외번주를 치료 및 교정하고자 할 때 와이어와 연결이 되어 있는 다이얼을 돌려 와이어가 감싸고 있는 공간을 좁아지게 하는 것이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손목부위의 수근 신근 위에 있는 압박패드가 점점 수근 신근을 압박하게 한다.
이러한 압박으로써 건의 장력을 줄여주어 통증을 감소시키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이를 통해 내측으로 쏠린 척골의 내측에 부드러운 소재의 패드를 하나 두며 척골의 내측에 위치한 패드에 와이어를 연결하여 내측에서 전면부와 뒤를 외측 사선으로 각각 연결된 와이어에 연결되어 있는 다이얼을 돌려서 내측으로 쏠린 팔꿈치 관절이 정상적인 위치로 돌아올 수 있도록 교정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쉴 때는 다이얼을 당겨서 압박력이 줄어들게 할 수 있는 와이어 테니스 엘보 교정대에 관한 것이다.
양쪽 손으로 물건을 잡고 비틀면서 힘을 가하는 경우와, 손목부위에 힘을 가하는 상태에서 반복적인 동작을 이행하는 경우 및, 이동되는 볼을 용구로 가격하는 경우 손목부위 혹은 팔 관절부위에서 통증이 유발된다.
이와 같은 통증질환은 손목을 많이 사용하는 주부와, 순간적으로 힘을 가하는 구기종목(테니스, 야구, 탁구, 골프, 배구, 크리켓, 스쿼시, 필드하키, 아이스하키 등) 운동선수들에게서 주로 발생하게 된다.
이는 충격을 받은 관절부위에 동일한 충격이 반복적으로 가해져 피로도가 누적되기 때문이다.
이로 인해 손목, 팔꿈치, 어깨 등의 각 부위에 심한 통증을 느끼게 되며 엘보, 견비통, 걸림 등의 고통에 시달리게 되어 자연적 통증을 유발하는 작업 또는 운동을 중단하게 된다.
이처럼 관절부위에 통증이 유발되면 통증부위의 외부를 압박하는 것으로 대처하고 있다.
일 예로서, 무릎관절부위에 통증을 느끼면 신축성이 있는 소재로 제작된 압박밴드를 무릎관절부위에 착용하여 신축성 소재의 신축력으로 무릎주변을 압박하여 통증을 견디어내는 실정이다.
그러나, 무릎 내측에서 외측으로 밀어주는 외력은 제공해 주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테니스, 배구, 필드하키, 골프, 야구, 탁구 아이스하키와 같은 운동을 할 때 사용하는 겹으로 된 손목밴드 양단 내에 강철 코일스프링을 내장시킴으로써 타격 시에 발생하는 충격을 흡수 및 완충시킬 수 있는 충격완충용 손목밴드가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1998-0006753호(이하'선등록'이라함)로 제안된 바 있다.
상기 선등록은 구기종목의 운동으로부터 인체에 발생되는 충격을 흡수 내지는 완충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고안된 스프링 내장 밴드로서 이를 도면에 의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리야스와 같은 탄성을 지닌 겹으로 된 손목밴드(1) 내에 강철코일스프링(2)을 손목밴드(1) 양단 내부에 고정 내장시켜서 된 충격완충용 손목밴드(3)에 관한 것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서 손목밴드는 종래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횡으로 수축성이 있는 메리야스로서 무명 또는 합성실로 직조된 천이라 할 수 있다.
그리고, 강철스프링은 코일스프링으로서 코일직경 5mm이하인 것이 좋으며, 코일스프링 와이어의 직경은 0.5mm 이하의 것을 사용함이 완충 효과에 있어서 유리하다 하겠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된 선등록의 충격완충용 손목밴드는 강력한 타구 시에 전달되는 강한 충격에 의해 발생 되는 진동을 흡수하거나 완충시켜 줌으로써 손목, 팔꿈치, 어깨에 미치는 충격을 줄여 운동시에 충격으로부터 연유되는 통증이나 질병을 예방할 수 있다.
또한, 마음 놓고 레져스포츠를 즐길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고, 직경이 아주 적은 코일스프링을 사용함으로써 착용 시 이질감을 느끼지 못할뿐더러 손목을 효과적으로 조여주는 기능을 갖게 된다.
상기 선출원은 나이가 들면서 다발하는 엘보의 진행을 늦추고 그 통증을 줄이면서, 이로 인해 환자에게 삶의 질을 높일 수 있고 노인들의 보건향상에 기여하는 효과가 있다.
그러나, 기존의 코일스프링은 사용자의 착용과정에서 밴드의 입구를 무리하게 잡아당기는 경우 코일 스프링의 탄성 한계점을 넘어서게 되는 현상이 생긴다.
이로 인해 코일스프링이 늘어난 상태로 복귀되지 못하여 손목밴드가 사용자의 손목부위를 압박하지 못하는 상태가 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현상으로 외부에서 손목으로 전달되는 충격이 코일스프링에서 흡수 차단되지 못하여 손목부위에서 통증이 유발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KR 공개실용신안 1998-0006752(1998.04.30. 공개)
본 발명은 엘보 통증 환자의 팔꿈치 관절에 착용 되는 교정대의 다이얼을 당겨서 전완 부위의 조임량을 조절하고 사용자가 원하는 만큼 설정함으로써 전완 부위의 수근신근을 압박하여 건의 장력이 줄어들어 통증이 감소 되고, 쉴 때는 회복되도록 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팔꿈치 관절에 착용 된 교정대의 압박력을 착용자가 임의대로 조절할 수 있어 착용 및 분리할 때 또는 통증의 정도에 따라서 전완 부위의 압박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
와이어 테니스엘보 교정대가 소개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신축성 소재로 되어 팔이 삽입되는 착용홀이 구비된 내피와, 상기 내피에 연결되어 외면을 감싸는 외피로 이루어져 전완부의 수근신전근이 압박되게 하는 압박보호대; 상기 내피에 설치되어 팔꿈치 안쪽피부에 밀착되는 미끄럼방지 패드; 상기 외피에 설치되어 상기 미끄럼패드의 밀착력이 조절되게 하는 조절체; 및 상기 미끄럼방지패드와 조절체가 연결되게 하는 와이어로 이루어져 팔꿈치관절 압박상태가 제어되도록 하는 교정조절부재;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팔꿈치관절 아래의 전체를 감싸는 교정대에서 다이얼을 조절함으로 손목을 감싸고 있는 압박보호대가 조여지거나 느슨해져 수근신근을 압박하는 조임력이 형성되어 손목부위의 수근신근을 압박 또는 완화하여 팔꿈치 바깥쪽 부위에서의 통증이 완화 및 소멸되는 이점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팔꿈치관절 아래의 전체를 감싸는 교정대의 압박조절상태를 의사 지시에 따라 환자가 통증의 강도에 맞게 스스로 당김력을 제어할 수 있는 이점이 있는 등 다양한 효과가 구현된다.
도 1은 본 발명을 적용하는 와이어 테니스 엘보교정대에 대한 사시상태도,
도 2는 본 발명을 적용하는 와이어 테니스 엘보교정대를 뒤집은 상태의 사시도,
도 3은 상기 도1의 A-A선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와이어 테니스 엘보교정대에 대한 일실시예.
도 5는 상기 도 4도의 B-B’선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 중 조절체에 대한 확대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 중 조절체에 대한 분해 상태도,
도 8은 본 발명 중 제1조절기와 제1패드의 연결상태도,
도 9는 본 발명 중 제2조절기와 제2패드와 제2패드의 연결상태도,
도 10는 본 벌명의 와이어 테니스 엘보교정대를 팔꿈치에 착용한 상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인 와이어 테니스 엘보 교정대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엘보교정대에 대한 사시상태이고,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엘보교정대를 뒤집은 상태의 사시상태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와이어 테니스 엘보 교정대는 신축성 소재로 되어 손목관절 또는 팔꿈치부위 아래 전체에 착용되는 착용홀(120)이 형성된 내피(110)와, 상기 내피(110)의 외둘레면에 형성되는 외피(130)로 되고, 상기 내피(110)와 외피(130)의 상,하단이 연결되어 이중밴드형상을 이루는 압박보호대(100)로 형성된다.
상기 내피(110)의 내면으로 팔꿈치관절부위의 안쪽 피부에 밀착되는 미끄럼방지패드(200)가 구성되며, 상기 외피(130)의 외면으로는 상기 미끄럼방지패드(200)의 당김 및 풀림으로 팔꿈치관절 압박상태가 제어되게 하는 교정조절부재(300)가 구성된다.
이러한 신축성 소재로 된 상기 압박보호대(100)는 팔목관절, 및 팔꿈치관절에 착용될 때, 소재의 신축력으로 착용홀(120) 표면이 손목관절 또는 팔꿈치관절부위의 둘레에 밀착된다.
또한, 동시에 내피(110)의 내면에 설치된 미끄럼방지패드(200)도 피부에 밀착되도록 압박하게 되므로 상기 압박보호대(100)는 관절부위 피부의 외면을 압박에 의한 조임상태를 이루게 된다.
상기 미끄럼방지패드(200)는, 관절부위 피부에 밀착된 상태를 이루어 후술하는 교정조절부재(300)에 의한 당김력으로 관절부위가 당겨지게 한다.
이때, 피부에 밀착되는 상태가 유지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미끄럼방지패드(200) 표면으로 피부에 들러붙는 점착성분이 코팅된 밀착면(210)이 형성된다.
상기 미끄럼방지패드(200)를 내피(110)의 내면에 설치함에 있어서는, 손목관절 및 팔꿈치 관절부위에 착용한다.
착용상태가 갑갑하거나, 불편하면 벗어내고 하는 착탈상태가 빈번하게 발생되므로 밀착면(210) 표면의 점착력이 착탈횟수의 증가에 반비례하여 점차 약화되므로 새로운 미끄럼방지패드로 교체할 수 있도록 예를 들어 매직테잎과 같은 고정수단을 상기 미끄럼방지패드(200)의 이면에 구비하여 설치할 수도 있다.
도 3은 상기 도 1의 A-A'선 단면도로서, 본 발명이 적용된 교정조절부재의 내부구조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압박보호대(100)는 신축소재로 직조됨으로써 착용홀(120)에 팔이 삽입될 때 확장되고 삽입 후 수축될 때에는 소재의 탄성복귀 특성으로 손목 또는 팔 관절 부분을 압박하는 상태를 이루게 된다.
신축소재 특성으로 확장 및 수축되는 상기 압박보호대(100)의 내피(110)에는, 상기 내면(110)에서부터 외피(130)방향으로 돌출되어 후술하는 와이어(310)가 관통 설치되는 가이드편(135)이 형성된다.
즉, 이중밴드형상으로 된 내피(110)와 외피(130) 사이에 상기 가이드편(135)이 돌출 형성되고, 후술하는 와이어를 교정조절부재측으로 안내하기 위하여 동일한 형태로 복수 개의 가이드편(135a,135b,135c,135d)을 더 형성한다.
상기 복수 개로 돌출 형성된 가이드편(135,135a,135b,135c,135d)에는 본 발명에서 특징적인 구성인 압박보호대(100)의 조임과 풀음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조절구성이 구비된다.
이 조절구성은 압박보호대(100)의 내피(110)에서 시작하여 외피(130)로 연결되며 그 조절구성에 의해 형성되는 당김력은 손목부위 또는 팔 관절부위에 제공하게 된다.
이러한 조절구성을 형성하기 위하여 상기 복수 개의 가이드편(135,135a, 135b, 135c,135d)으로 와이어(310)가 삽입된다.
그리고, 상기 압박보호대(100) 외피(130)에는 조임력을 제공하기 위한 교정조절부재(300)가 설치되어 상기 와이어(310)와 연결되게 한다.
상기 압박보호대(100)의 외피(130)의 외면에 설치되는 상기 교정조절부재(300)는 손가락을 잡기에 용이한 직경과 두께로 된 조절체(330)의 조작으로 상기 내피(110)의 미끄럼방지패드(200)에 당김력을 제공하게 된다.
이를 위해, 미끄럼방지패드(200)와 교정조절부재(300)는 압박보호대(100)에서 서로 대향하는 위치에 설치되게 한다.
즉, 내피(110)의 내면에 미끄럼방지패드(200)가 설치되고, 상기 미끄럼방지패드(200)의 대향한 위치의 외피(130)의 외면에는 교정조절부재(300)의 조절체(330)가 설치된다.
또한, 상기 내피(110)와 외피(130)사이의 공간으로 상기 와이어(310)가 설치되어 미끄럼방지패드(200)와 교정조절부재(300)가 연결되도록 하여 조절구성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교정조절부재(300)가 외피(130) 외면에 설치될 때에는 조절체(330)와 함께 교정조절부재(300)의 조작이 제어되게 하는 고정대(320)가 설치되게 한다.
상기 미끄럼방지패드(200)와 교정조절부재(300)는 압박보호대(100)에서 서로 대향하는 위치에 설치되게 구성함에 따라 교정조절부재(300)의 조절체(330)를 조작할 때 와이어(310)가 당겨져 내피(110)와 함께 미끄럼방지패드(200)가 당겨져 밀착된 관절부위 피부를 압박하는 조임상태를 이루게 된다.
또한, 조절체(330)의 조작을 멈추면 고정대(330)에 의해 조임상태가 유지되어 당김력에 의해 관절 부분을 압박하게 된다.
본 발명은 팔의 관절부위에 착용되는 압박보호대(100)에서 교정조절부재(300)에 의한 당김력이 관절부위에 대해 선택적으로 경사지게 압박되도록 함과, 수평으로 압박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도4는 본 발명의 와이어 테니스 엘보교정대에 대한 일 실시예를 보이며, 도 5는 상기 도 4도의 B-B’선 단면으로 내부구성을 보이고 있다.
상기 교정조절부재(300)에 의한 당김력이 관절부위에 대해 선택적으로 경사지게 압박되도록 함과 수평으로 압박되도록 하기 위한 조절체(330)는 상기 압박보호대(100)의 상부위치와, 하부위치에 각각 설치된다.
즉, 팔꿈치관절을 기준하여 상기 압박보호대(100)의 외피(130)의 외면 상완 위치에 조절체(330)의 제1조절기(330A)를 설치하고, 외피(130)의 하완 위치에는 제2조절기(330B)가 설치된다.
또한, 상기 압박보호대(100)의 내피(110)의 내면 하완 위치에 상기 제1조절기(330A)와 연결되는 미끄럼방지패드(200)의 제1패드(220A) 및 제2조절기(330B)에 연결되는 제2패드(220B)가 설치된다.
상기 제1조절기(330A)와 제1패드(220A)가 연결되게 하는 와이어(310)는 도 4에 도시한 구성과 같이 제1조절기(330A)와 제1패드(220A)의 설치위치의 단차로 인해 압박보호대(100)의 내피(110)와 외피(130)사이에 경사지게 설치되는 상태가 된다.
그리고, 제2조절기(330B)와 제2패드(220B) 및 제3패드(220C)가 연결되게 하는 와이어(310)는 압박보호대(100)의 내피(110)와 외피(130) 사이에 수평 하게 설치되는 상태가 된다.
이로써, 제1조절기(330A)의 다이얼(340)을 조작함에 따라 제1패드(220A)는 하완 위치에서 상완 방향으로 경사진 당김력을 받게 된다.
그리고, 제2조절기(330B)의 다이얼(340)을 조작함에 따라서는 제2패드(220B)와 제3패드(220C)가 수평방향의 당감력을 받는 상태가 된다.
상기 제1조절기(330A)를 조작함으로 형성되는 경사진 당김력은 팔꿈치 관절에 대해 내측으로 쏠린 척골이 외측으로 당기는 작용을 이루게 되며 이는, 팔꿈치 관절이 정상적인 위치로 돌아오도록 교정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제2조절기(330B)를 조작함으로 형성되는 수평 당김력은 제2패드(220B)와 제3패드(220C)를 조이는 작용을 이루어 팔꿈치를 감싸는 공간이 좁아져서 손목부위의 손목폄근과 손목굽힘근 위에 있는 압박패드가 점점 수근신근건을 압박함으로써 장력을 줄여주어 통증이 감소 되게 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조절체에 대한 확대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 중 도 6의 분해상태를 나타낸다.
상기의 교정조절부재(300)는 상기 압박보호대(100)의 외피(130)에 돌출된 조절체(330)의 다이얼(340)를 손가락으로 잡고 좌우방향으로 돌리면서 압박력을 조절하는 구성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교정조절부재(300)는, 상기 압박보호대(100)의 외피(130)의 외면에 고정되는 고정대(320)가 구비되며, 상기 압박보호대(100)의 착용홀(120)에 고정되는 고정편(350)이 구비된다.
상기 고정대(320)는 원판형으로 되어 그 중앙에 조절체(330) 설치를 위한 제1축공(322)이 천공되고, 표면으로는 조절체(330)의 조절상태가 제어되게 하는 제어돌기(323)가 돌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대(320)의 저면에는 압박보호대(100)의 외피(130)의 외면에서 내면방향으로 관통되어 절곡됨으로써 고정대(320)가 외피(130)에 고정되게 하는 고정다리(325)가 돌출 형성된다.
상기 고정대(320)의 표면으로 설치되는 상기 조절체(330)의 저면 중심에는 상기 고정대(320)의 제1축공(322)을 통해 외피(130)와 내피(110)를 관통하여 압박보호대(100)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고정와셔(360)가 결합되는 고정축(350)이 돌출 형성되고, 상기 고정축(350)에는 상기 와이어(310)가 삽입 관통되는 제2축공(352)이 천공된다.
상기 조절체(330)에는 손가락으로 잡기에 충분하며 조절력을 전달할 수 있는 직경과 높이로 형성된 다이얼(340)이 구비되고, 상기 다이얼(340)의 저면으로는 좌우 회전조절 시 상기 제어돌기(323)와 선택적으로 삽입될 수 있는 스톱홈(343)이 오목하게 형성된다.
또한, 그 저면 중앙으로는 조절축(350)이 돌출 형성되며, 상기 조절축(350)에는 와이어(310)가 관통되도록 하는 통공(352)이 천공된다.
상기 고정대(320)를, 고정대(320)의 고정다리(325)를 압박보호대(100)의 외피(130)에 관통되게 삽입한 상태에서 절곡하여 압박보호대(100)의 외피(130)에 고정되게 한 다음, 상기 고정대(320)의 제1축공(322)으로 삽입되는 조절체(330)의 조절축(350)이 상기 압박보호대(100)의 내피(110)를 관통되게 한 상태에서 상기 조절축(350)에 고정편(360)과 통상의 고정와셔가 결합되게 된다.
이러한 구성으로 상기 조절체(330)의 제1조절기(330A)와 제2조절기(330B)는 압박보호대(100)의 상완 위치와 하완 위치에서 회전 조절되며, 다이얼(340) 저면의 스톱홈(343)이 고정대(320)의 제어돌기(323)에 의해 걸려서 제어된다.
한편, 도 8은 본 발명에서 제1조절기와 제1패드의 연결상태를 나타내고 도 9는 제2조절기와 제2패드의 연결상태를 나타낸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압박보호대(100)의 내피(110)과 외피(130)에서 공간에서 돌출된 복수 개의 가이드편(135,135a,135b,135c,135d)에 상기 와이어(310)를 관통되게 삽입하는 것에 의해 와이어(310)는 내피(110)와 외피(130)사이의 공간방향으로 돌출된 복수 개의 가이드편(135,135a,135b,135c,135d)을 따라 경사 이동 및 수평이동이 된다.
즉, 도 8에 도시한 구성처럼 상기 와이어(310)는, 상기 압박보호대(100)의 상완 위치 외피(130)에 설치된 상기 제1조절기(330A)의 조절축(350)에 천공된 통공(352)을 통해 상기 복수 개의 가이드편(135,135a,135b)에 관통 삽입되어 하완 위치의 내피(110)에 설치된 미끄럼방지패드(200)의 제1패드(220A)의 양단에 결속되게 구성된다.
상기 조절체(330)의 제1조절기(330A)에서는 하완 위치에 있는 미끄럼방지패드(200)의 제1패드(220A)를 경사진 방향으로 당기는 상태를 이루게 된다.
그리고, 도 9에 도시한 구성처럼 상기 와이어(310)는, 상기 압박보호대(100)의 하완위치 외피(130)에 설치된 상기 제2조절기(330B)의 조절축(350)에 천공된 통공(352)을 통해 상기 복수 개의 가이드편(135,135a,135b,135c,135d)에 관통 삽입되어 하완 위치의 내피(110)에 설치된 미끄럼방지패드(200)의 제2패드(220B)에 관통되고 대향되는 내피(110)위치의 제3패드(220C) 양단에 결속되게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으로 상기 조절체(330)의 제2조절기(330B)에서는 하완 위치에 있는 미끄럼방지패드(200)의 제2패드(220B)와 제3패드(220C)가 수평 하게 당겨지는 상태를 이루게 된다.
상기 압박보호대(100)의 착용홀(120)로 팔을 삽입하여 팔꿈치 관절위치에 착용하게 되면 상기 압박보호대(100)의 내면(110)에 구비된 미끄럼방지패드(200)의 제1패드(220A)와 제2패드(220B)의 밀착면(210)은 팔꿈치 관절위치의 내측 피부에 들러붙게 되는 상태가 된다.
그리고, 제3패드(220C)는 팔꿈치관절부위의 외측 피부에 들러붙는 상태로 착용 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와이어 테니스 엘보교정대를 팔꿈치에 착용한 상태를 예시하는 것으로,
착용자의 손가락으로 상완 부위에 위치한 교정조절부재(300)의 조절체(330) 중 제1조절기(330A) 잡고 좌 또는 우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고정대(320)에 설치된 제1조절기(330A)의 다이얼(340)이 회전 또는 제어되어 조절된 만큼 와이어(310)가 도 10과 같이 조절축(350)에 감기면서 미끄럼방지패드(200) 중 제1패드(220A)가 당겨지는 상태가 된다.
이때, 당겨지는 상기 미끄럼방지패드(200)가 상완 방향으로 경사지게 당겨짐과 동시에 조절축(350)이 감기는 방향으로 와이어(310)가 당겨지게 되어 팔꿈치 관절에 대하여 내측으로 쏠린 척골이 정상적인 위치로 돌아올 수 있는 당김력을 제공하게 된다.
내측으로 쏠린 척골에 당김력을 제공하다가 당김력을 쉴 때는 다이얼(340)을 조임 반대 방형으로 돌려서 조임력을 느슨하게 하여 압박력이 줄어들게 할 수 있다.
또한, 하완 부위에 위치한 교정조절부재(300)의 조절체(330) 중 제2조절기(330B)를 잡고 좌 또는 우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고정대(320)에 설치된 제2조절기(330B)의 다이얼(340)이 회전 또는 제어된다.
이에 조절된 만큼 와이어(310)가 도 10과 같이 조절축(350)에 감기면서 미끄럼방지패드(200) 중 제2패드(220B)와 제3패드(220C)를 수평상태로 동시에 당기는 상태가 된다.
이처럼 하완위치의 제2조절기(330B)에 감기는 와이어(310)는 제2패드(220B)와 대향 위치에 있는 제3패드(220C)를 동시에 당겨서 관절부위 외면과 내면을 조이는 상태를 이룬다.
이러한 제2패드(220B) 및 제2패드(220C)의 당김 상태는 압박보호대(100)의 내면(110)도 조여들게 되고, 이러한 조여 들음으로 인해 관절부위를 압박하는 상태를 이루게 된다.
이와 같은 압박에 의한 조임력은 손목 부위의 손목폄근과 손목굽힘근와 팔 관절부위의 수근신근건을 압박하여 건의 장력을 줄여주어 통증을 감소시켜준다.
그리고, 쉴 때는 다이얼(340)을 조임 반대 방형으로 돌려서 조임력을 느슨하게 하여 압박력이 줄어들게 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제조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0 : 압박보호대 110 : 내피
120 : 착용홀 130 : 외피
200 : 미끄럼방지패드 210 : 밀착면
220A: 제1패드 220B: 제2패드
300 : 교정조절부재 310 : 와이어
320 : 고정대 323 : 제어돌기
330 : 조절체 330A: 제1조절기
330B: 제2조절기 340 : 다이얼
343 : 스톱홈 350 : 조절축
352 : 통공

Claims (8)

  1. 신축성 소재로 되어 팔이 삽입되는 착용홀이 구비된 내피와, 상기 내피에 연결되어 외면을 감싸는 외피로 이루어져 전완부의 수근신전근이 압박되게 하는 압박보호대;
    상기 내피에 설치되어 팔꿈치 안쪽피부에 밀착되는 미끄럼방지패드;
    상기 외피에 설치되어 상기 미끄럼방지패드의 밀착력이 조절되게 하는 조절체; 및
    상기 미끄럼방지패드와 조절체가 연결되게 하는 와이어로 이루어져 팔꿈치관절 압박상태가 제어되도록 하는 교정조절부재;를 포함하는 와이어 테니스엘보 교정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압박보호대의 착용홀에 설치되는 미끄럼방지패드는,
    팔꿈치관절의 자뼈와 노뼈 위치에 설치되는 제1패드와, 팔꿈치관절의 손목폄근과 손목굽힘근 위치에 설치되되,
    마주보게 설치되는 제2패드 및 제3패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테니스 엘보 교정대.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교정조절부재는,
    상기 압박보호대의 외피에 설치되어 내피측으로 당김력이 형성되며 이를 제어하는 조절체가 팔꿈치의 상완 위치에 설치되는 제1조절기와,
    팔꿈치의 하완 위치에 설치되는 제2조절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테니스 엘보 교정대.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교정조절부재의 조절체는,
    상기 외피의 상완 외측면에 설치되며, 상기 내피의 제1패드에 경사지게 설치되는 상기 와이어와 연결되어 팔꿈치의 하완위치 내면에서 상완위치 외면으로 형성되는 경사조임력이 제어되게 하는 제1조절기와,
    상기 외피의 하완 외측면에 설치되며, 상기 내피의 제2패드 및 제3패드와 연결되는 상기 와이어에서 형성되는 조임력이 팔꿈치의 하완위치 내, 외면을 동시에 압박되게 하는 제2조절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테니스 엘보 교정대.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체는
    원판형상으로 되며 상기 압박보호대의 외피에 설치되어 상기 조절체의 조절이 제어되게 하는 고정대와,
    상기 고정대 상부 위치에 위치되며 상기 조절체의 조절을 선택하기 위한 스톱홈이 복수개 구비되는 다이얼과,
    상기 다이얼의 저면 중심에서 돌출형성되어 상기 고정대를 통해 상기 압박보호대의 외피에서 내피로 관통되면서 천공된 통공으로 상기 와이어가 연결되는 조절축과,
    상기 압박보호대의 외피에서 내피로 관통된 상기 조절축에 결합되는 고정편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테니스 엘보 교정대.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대는,
    상기 고정대 저면으로 돌출되어 상기 압박보호대의 외피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고정다리와,
    상기 고정대의 중앙에 천공되어 상기 다이얼의 조절축이 삽입되는 제1축공과,
    상기 고정대의 표면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다이얼을 제어하는 제어돌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테니스 엘보 교정대.
  7.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1조절기에 연결되는 와이어는,
    상기 제1조절기의 조절축의 통공에 관통되며, 상기 압박보호대의 내피를 관통하여 상기 압박보호대의 착용홀에 위치한 상기 제1패드에 연결되되, 팔꿈치의 상완과 하완 사이에 경사지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테니스 엘보 교정대.
  8.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2조절기에 연결되는 와이어는,
    상기 제2조절기의 조절축의 통공에 관통되며 상기 내피의 외피에 형성된 가이드편을 통해 상기 내피를 관통하여 상기 제2패드를 거쳐 마주보는 위치의 제3패드에 설치되어 상기 제2, 제3패드가 동시에 당겨지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테니스 엘보 교정대.
KR1020180004715A 2018-01-12 2018-01-12 와이어 테니스 엘보 교정대 KR1020903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4715A KR102090373B1 (ko) 2018-01-12 2018-01-12 와이어 테니스 엘보 교정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4715A KR102090373B1 (ko) 2018-01-12 2018-01-12 와이어 테니스 엘보 교정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6326A KR20190086326A (ko) 2019-07-22
KR102090373B1 true KR102090373B1 (ko) 2020-03-17

Family

ID=674689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04715A KR102090373B1 (ko) 2018-01-12 2018-01-12 와이어 테니스 엘보 교정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9037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45636B1 (ko) 2019-12-03 2021-12-31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모터 자동제어시스템을 적용한 가변압박슬리브 및 그 가변압박슬리브의 제어방법
KR102368941B1 (ko) * 2020-03-03 2022-03-03 이상진 손목 보호대
KR102648497B1 (ko) * 2021-11-03 2024-03-18 (주)에스원바이오 압박 의류기기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801456A (zh) 2007-07-20 2010-08-11 奥瑟Hf公司 具有反馈的修复或矫形装置
KR100975400B1 (ko) 2010-02-03 2010-08-12 정해천 관절 보호대
JP2012518516A (ja) 2009-02-24 2012-08-16 エクソス コーポレーション カスタム適合される製品用の複合材料
US20130296757A1 (en) 2010-12-15 2013-11-07 Wieland Kaphingst Orthosis for movement damping
US20140121579A1 (en) 2009-03-31 2014-05-01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Wrist brace
US20140221889A1 (en) 2013-02-05 2014-08-07 Boa Technology Inc. Closure devices for medical devices and methods
KR101492477B1 (ko) 2006-09-12 2015-02-11 보아 테크놀러지, 인크. 지지대, 보호복 및 유사한 물품을 위한 잠금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80006752A (ko) 1996-06-27 1998-03-30 배순훈 스위칭 모드 전원 공급장치(smps)에서의 정전압 출력단 과전압 보호회로
BR112013024712A2 (pt) * 2011-03-29 2016-12-20 3M Innovative Properties Co dispositivo de pressão ortopédico
FR3005570B1 (fr) * 2013-05-16 2016-07-29 Millet Innovation Orthese proprioceptive assurant le maintien d'une articulation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2477B1 (ko) 2006-09-12 2015-02-11 보아 테크놀러지, 인크. 지지대, 보호복 및 유사한 물품을 위한 잠금 시스템
CN101801456A (zh) 2007-07-20 2010-08-11 奥瑟Hf公司 具有反馈的修复或矫形装置
JP2012518516A (ja) 2009-02-24 2012-08-16 エクソス コーポレーション カスタム適合される製品用の複合材料
US20140121579A1 (en) 2009-03-31 2014-05-01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Wrist brace
KR100975400B1 (ko) 2010-02-03 2010-08-12 정해천 관절 보호대
US20130296757A1 (en) 2010-12-15 2013-11-07 Wieland Kaphingst Orthosis for movement damping
US20140221889A1 (en) 2013-02-05 2014-08-07 Boa Technology Inc. Closure devices for medical devices and method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6326A (ko) 2019-07-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970081A (en) Tennis elbow brace
KR102090373B1 (ko) 와이어 테니스 엘보 교정대
US3789842A (en) Therapeutic support device
US5152302A (en) Forearm transaxial compression band
US4191373A (en) Tennis elbow brace
AU641564B2 (en) Elbow brace for attenuating tennis elbow
US5277699A (en) Foot drop orthotic and gait training device
US5491840A (en) Buffer structure for shin protection and ankle sleeve mat
KR101694813B1 (ko) 엘보우 보호대
KR101739520B1 (ko) 근육통증 완화장치
US8376975B1 (en) Method for using a vibration damping device
KR101707195B1 (ko) 엘보우 예방 및 증상완화 장치
CN210144826U (zh) 脚踝辅助固定装置
CN111317195A (zh) 一种运动按摩护膝
US8413264B1 (en) Gripping compression glove and method
KR200461181Y1 (ko) 레포츠용 토시
US8128585B2 (en) Vibration dampening device and method
WO2002094384A3 (en) Improved forearm guard
KR102019541B1 (ko) 와이어를 이용한 외반슬 및 거위족 무릎 교정 보호기
GB2074452A (en) Surface vibration absorbing strap
KR200361975Y1 (ko) 팔 통증치료를 위한 팔 보호대
KR102496230B1 (ko) 근육통증 완화장치
CN220777481U (zh) 一种护踝护套
CA3223120A1 (en) Bandage for the wrist joint or the ankle joint
CN219148121U (zh) 一种可微动的踝关节支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