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90313B1 - Duct socket - Google Patents
Duct socket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090313B1 KR102090313B1 KR1020190022340A KR20190022340A KR102090313B1 KR 102090313 B1 KR102090313 B1 KR 102090313B1 KR 1020190022340 A KR1020190022340 A KR 1020190022340A KR 20190022340 A KR20190022340 A KR 20190022340A KR 102090313 B1 KR102090313 B1 KR 10209031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uct
- extension portion
- hole
- bolt
- socke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24F13/0209—Duct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ir connecting means, e.g. flange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1/00—Joints with sleeve or socket
- F16L21/06—Joints with sleeve or socket with a divided sleeve or ring clamping around the pipe-end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41/00—Branching pipes; Joining pipes to walls
- F16L41/001—Branching pipes; Joining pipes to walls the wall being a pipe plate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41/00—Branching pipes; Joining pipes to walls
- F16L41/08—Joining pipes to walls or pipes, the joined pipe axis being perpendicular to the plane of the wall or to the axis of another pipe
- F16L41/086—Joining pipes to walls or pipes, the joined pipe axis being perpendicular to the plane of the wall or to the axis of another pipe fixed with screw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24F13/0218—Flexible soft ducts, e.g. ducts made of permeable texti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Duct Arrangements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덕트 소켓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공기조화 등에 사용되는 덕트와 실내의 배출부 등을 연결하는 플렉시블 호스를 서로 연결시키주는 장치에 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uct socket, and more specifically, to a device for connecting a flexible hose connecting a duct used for air conditioning, etc. and an exhaust portion of a room to each other.
덕트로부터의 공기가 실내의 배출기로 유입되거나 실내의 공기가 배출기를 통해 덕트로 배출될 때에 실내의 배출기와 덕트의 사이를 일반적으로 플렉시블 호스를 통해 연결한다. 플렉시블 호스는 자유롭게 굽힘이 가능한 구조여서 플렉시블 호스가 설치되는 공간에 적합하게 변형시켜 사용할 수 있다.When the air from the duct enters the indoor exhaust or when the indoor air is discharged through the exhaust to the duct, the air between the indoor exhaust and the duct is generally connected through a flexible hose. The flexible hose has a structure that can be bent freely, and can be used by deforming appropriately in a space where the flexible hose is installed.
플렉시블 호스를 덕트에 연결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소켓이 필요하다. 덕트와 플렉시블 호스를 연결하는 소켓은 공기가 누설되지 않도록 밀폐성이 보장되어야 하며, 또한 소켓의 덕트에 대한 체결력이 우수해야만 장기간 성능의 저하 없이 사용할 수 있다.A separate socket is required to connect the flexible hose to the duct. The socket connecting the duct and the flexible hose must be sealed to prevent air leakage, and it can be used without deterioration of performance for a long time only if the socket has good clamping force to the duct.
도1은 종래의 덕트 소켓을 사용하여 플랙시블 호스를 덕트에 연결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2는 종래의 덕트 소켓의 측면 및 정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1 및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덕트 소켓(96)은 양철로 된 얇은 파이프를 짧게 자르고, 짧게 자른 파이프의 일측 단부의 둘레를 여러군데 잘라서 덕트(60)의 구멍(62)에 삽입한 후, 소켓(96)의 일측 단부의 잘라진 부분(94)들을 굽혀서 덕트(60)의 구멍(62)에 걸리도록 하여 바깥으로 소켓(96)이 빠지지 않도록 한 것이다. 또한 덕트(60)의 바깥에서는 소켓(96)의 둘레부분이 덕트(60)에 고정되도록 실리콘몰딩(95) 처리를 하였다.1 is a view for explaining a state in which a flexible hose is connected to a duct using a conventional duct socket, and FIG. 2 is a view showing side and front surfaces of a conventional duct socket. 1 and 2, the
이후 덕트(60)에 고정된 소켓(96)에 플렉시블 호스(80)를 감싼 후 고정밴드(90)로 플렉시블 호스(80)를 감아서 고정한다.Subsequently, the
이러한 종래의 소켓(96)은 덕트(60)에 대한 체결력이 실리콘몰딩(95)에 의지하고 있으므로 체결력이 약하여 외력을 받으면 쉽게 떨어질 수 있다.Since the
또한 소켓(96)의 단부를 일일이 잘라서 덕트(60)의 구멍(62)에 넣고 펼쳐서 고정하는 작업이 매우 번거롭고 불편하다.In addition, it is very cumbersome and inconvenient to cut the end of the
한편 덕트 소켓과 관련된 종래기술로는 일본공개특허 제2001-027381호(2001.01.30. '가요성을 가지는 덕트 호스용 커넥터') 등이 있다.On the other hand, a related art related to a duct socket is Japanese Patent Publication No. 2001-027381 (2001.01.30. 'Connector for flexible duct hoses').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설치가 간편하면서도 우수한 체결력과 밀폐성능을 발휘하는 덕트 소켓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and has an object to provide a duct socket that is easy to install and exhibits excellent fastening force and sealing performance.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덕트 소켓은, 덕트의 덕트구멍에 삽입되어 덕트구멍 둘레의 벽면에 고정되는 내측부; 및 상기 내측부에 고정되어 플렉시블 호스가 결합되는 외측부;를 포함하되, 상기 내측부는, 반원형 단면을 가지며 일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내측연장부와, 상기 제1내측연장부의 단부에 반경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고 복수 지점에 내측볼트공이 형성된 제1내측플랜지부를 갖는 제1내측유닛; 반원형 단면을 가지며 일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내측연장부와, 상기 제2내측연장부의 단부에 반경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고 복수 지점에 내측볼트공이 형성된 제2내측플랜지부를 갖는 제2내측유닛; 상기 제1내측연장부와 제2내측연장부의 외측면 복수 지점에 꺾임 가능하게 설치되는 걸림편; 및 상기 제1내측유닛의 제1내측연장부와 상기 제2내측유닛의 제2내측연장부의 양단부가 서로 마주한 상태에서, 상기 제1내측유닛과 제2내측유닛이 펼쳐지거나 접힘 가능하도록 결합하는 결합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외측부는, 상기 제1내측연장부 및 제2내측연장부가 삽입되는 관통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외측면 둘레로 플렉시블 호스가 결합되는 외측연장부; 및 상기 외측연장부의 단부에 반경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고 복수 지점에 외측볼트공이 형성된 외측플랜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내측부가 상기 덕트의 덕트구멍에 삽입된 후 상기 걸림편을 상기 덕트구멍 둘레 방향으로 꺾으면 상기 내측부가 상기 덕트에 가고정 되고, 상기 제1내측연장부와 상기 제2내측연장부가 상기 외측연장부의 관통부에 삽입되도록 한 후, 상기 외측볼트공에서 상기 내측볼트공에 연장되도록 볼트를 조여주면 상기 내측부 및 외측부가 상기 덕트에 고정될 수 있다.The duct sock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inserted into the duct hole of the duct, the inner portion fixed to the wall surface around the duct hole; And an outer portion fixed to the inner portion to which a flexible hose is coupled, wherein the inner portion has a semi-circular cross section and extends in a radial direction to an end portion of the first inner extension portion extending in one direction and an end portion of the first inner extension portion. A first inner unit having a first inner flange portion in which inner bolt holes are formed at a plurality of points; A second inner unit having a second inner extension portion having a semi-circular cross section and extending in one direction, and a second inner flange portion extending radially at the ends of the second inner extension portion and having inner bolt holes formed at a plurality of points; A locking piece installed to be bendable at a plurality of points on the outer surfaces of the first inner extension portion and the second inner extension portion; And a coupling between the first inner unit and the second inner unit so that the first inner unit and the second inner unit can be unfolded or folded in a state where both ends of the first inner extension unit of the first inner unit and the second inner extension unit of the second inner unit face each other. Means; including, the outer portion, the first inner extension portion and the second inner extension portion is formed through the penetration portion is formed, the outer extension portion is coupled to the flexible hose around the outer surface; And an outer flange portion extending radially at an end portion of the outer extension portion and having an outer bolt hole formed at a plurality of points. After the inner portion is inserted into the duct hole of the duct, the engaging piece is circumferential in the duct hole. When folded, the inner portion is temporarily fixed to the duct, and the first inner extension portion and the second inner extension portion are inserted into the through portion of the outer extension portion, and then extend from the outer bolt hole to the inner bolt hole. When the bolt is tightened, the inner portion and the outer portion may be fixed to the duct.
여기서, 상기 제1내측연장부 및 제2내측연장부의 양 단부 중 어느 하나의 단부에는 마주하는 상대방 내측연장부의 평탄한 단부가 안착되는 안착턱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Here, a seating jaw may be formed at one of both ends of the first inner extension portion and the second inner extension portion, and the flat end portion of the opposing inner extension portion may be seated.
또한, 상기 외측연장부의 외측 둘레에는 상기 플렉시블 호스가 빠지는 것을 방지하는 둘레턱이 돌출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In addition, a circumferential jaw to prevent the flexible hose from falling out may be protruded from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outer extension portion.
또, 상기 걸림편에는 볼트안내공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걸림편은 상기 내측볼트공이 형성된 지점과 대응하는 위치에 설치되어, 상기 걸림편이 꺾어지면 상기 볼트안내공과 상기 내측볼트공이 마주할 수 있다.In addition, a bolt guide hole is formed in the engaging piece, and the engaging piece is install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a point where the inner bolt hole is formed, and when the engaging piece is bent, the bolt guide hole and the inner bolt hole may face each other.
본 발명에 따른 덕트 소켓에 의하면 내측부를 접어 덕트의 덕트구멍에 통과시킨 후 원래의 형상으로 펼칠 수 있어서 덕트에 소켓을 설치하는 작업이 간편하고, 소켓이 덕트에 견고하게 결합되어 일정수준의 외력에는 소켓이 덕트에서 분리되지 않고 체결상태를 그대로 유지하여 우수한 밀폐성능을 발휘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duct sock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inner part can be folded and passed through the duct hole of the duct, so that it is easy to install the socket in the duct, and the socket is firmly coupled to the duct to provide a certain level of external force. The socket is not separated from the duct and maintains the fastening state, thereby exhibiting excellent sealing performance.
또한 내측부를 덕트에 먼저 설치하였을 시 내측연장부에 설치된 걸림편을 꺾어주어, 덕트의 벽면 양쪽에 걸림편과 내측플랜지부가 밀착 지지되어 가고정될 수 있다. 즉 내측부를 먼저 설치하면 내측플랜지부의 하중에 의해 내측부가 기울어짐으로써, 내측플랜지부가 덕트의 벽면에서 벌어질 수 있는데, 걸림편을 꺾어 가고정 시켜주면 내측플랜지부와 덕트의 벽면이 서로 수평을 이룬 상태를 유지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추후 볼팅 작업시에도 내측플랜지부와 벽면이 수평을 이룬 상태에서 올바르게 볼트 진입이 이루어질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inner portion is first installed in the duct, the hook pieces installed on the inner extension portions are bent, so that the hook pieces and the inner flange portions are closely supported on both sides of the wall of the duct and temporarily fixed. That is, when the inner portion is installed first, the inner portion is tilted by the load of the inner flange portion, so that the inner flange portion may be opened on the wall surface of the duct. It is possible to maintain the rune state, and accordingly, the bolt may be correctly entered in the state where the inner flange portion and the wall surface are horizontal even in a later bolting operation.
한편, 내측부가 덕트 내부로 진입하여 내측플랜지부가 덕트구멍 둘레에 밀착하게 되면, 외부에서는 내측플랜지부에 형성된 내측볼트공이 보이지 않게 된다. 따라서 외측부의 외측볼트공과 내측부의 내측볼트공 위치를 맞춰주는 작업이 쉽지 않을 수 있는데, 내측부에 형성된 내측정렬홈이 외측부에 형성된 외측정렬홈에 정렬되도록 하면 외측볼트공과 내측볼트공의 위치 정렬도 함께 이루어질 수 있다. 또는 볼트안내공이 형성된 걸림편이 내측볼트공의 위치에 대응하여 설치된다면, 외측부를 설치할 시 볼트안내공을 기준으로 내측볼트공의 위치를 확인할 수가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inner portion enters the inside of the duct and the inner flange portion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duct hole, the inner bolt hole formed in the inner flange portion is not visible from the outside. Therefore, it may not be easy to align the positions of the outer bolt hole of the outer part and the inner bolt hole of the inner part. If the inner alignment hole formed in the inner part is aligned with the outer alignment groove formed in the outer part, the alignment of the outer bolt hole and the inner bolt hole is also performed. It can be done. Alternatively, if the locking piece on which the bolt guide hole is formed is installed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of the inner bolt hole, the position of the inner bolt hole can be checked based on the bolt guide hole when the outer portion is installed.
도1은 종래의 덕트 소켓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2는 종래의 덕트 소켓의 측면 및 정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덕트 소켓을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
도4는 도3에 도시된 덕트 소켓에서 내측부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5는 도3에 도시된 덕트 소켓에서 내측정렬홈과 외측정렬홈이 서로 정렬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6은 도3에 도시된 덕트 소켓을 덕트에 설치하기 위해 내측부를 접은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7은 도3에 도시된 덕트 소켓에서 내측부를 덕트의 덕트구멍에 가고정 시키는 모습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8은 도3에 도시된 덕트 소켓에서 덕트에 가고정된 내측부에 외측부를 결합시키는 모습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9는 도3에 도시된 덕트 소켓에서 내측부에 외측부를 결합시킬 시 볼트구멍을 정렬시키는 모습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10은 도3에 도시된 덕트 소켓이 덕트에 설치된 상태에서 플렉시블 호스가 연결된 모습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덕트 소켓을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
도12는 도11에 도시된 덕트 소켓을 덕트에 설치할 시 외측부의 볼트공을 정렬시키는 모습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1 is a view for explaining a conventional duct socket.
Figure 2 is a view showing the side and front of a conventional duct socket
Figure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a duct sock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the inner portion in the duct socket shown in Figure 3;
5 is a view for explaining a state in which the inner alignment groove and the outer alignment groove are aligned with each other in the duct socket shown in FIG. 3;
6 is a view for explaining a state in which the inner side is folded to install the duct socket shown in FIG. 3 in the duct.
7 is a view for explaining a state of temporarily fixing the inner portion in the duct hole of the duct in the duct socket shown in FIG. 3;
8 is a view for explaining a state in which the outer portion coupled to the inner portion temporarily fixed to the duct in the duct socket shown in FIG. 3;
9 is a view for explaining a state in which the bolt holes are aligned when the outer part is coupled to the inner part in the duct socket shown in FIG. 3.
Figure 10 is a view for explaining a state in which the flexible hose is connected to the duct socket shown in Figure 3 is installed in the duct.
1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a duct socke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view for explaining a state of aligning the bolt hole in the outer portion when installing the duct socket shown in Figure 11 to the duct.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다만 발명의 요지와 무관한 일부 구성은 생략 또는 압축할 것이나, 생략된 구성이라고 하여 반드시 본 발명에서 필요가 없는 구성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결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some components irrelevant to the subject matter of the invention will be omitted or compressed, but the omitted components are not necessarily required in the present invention, and may be used in combination with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Can.
도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덕트 소켓을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4는 도3에 도시된 덕트 소켓에서 내측부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3 및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덕트 소켓(이하 '소켓'이라고 함)은 금속재질로 된 내측부(10) 및 외측부(50)를 포함한다.Figure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the duct sock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the inner portion in the duct socket shown in FIG. 3 and 4, the duct socket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sock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내측부(10)는 덕트(60)의 덕트구멍(62)을 통해 덕트(60) 내측으로 진입하여 덕트구멍(62) 둘레에 지지되는 구성이다. 이러한 내측부(10)는 제1내측유닛(20), 제2내측유닛(30), 걸림편(22) 및 결합수단(40)을 포함한다.The
제1내측유닛(20)은 원형관을 반으로 쪼갠 형상, 즉 반원형 단면을 갖는 제1내측연장부(21)와 제1내측연장부(21)의 후방단부에서 반경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내측플랜지부(25)를 갖는다. 제2내측유닛(30)은 제1내측유닛(20)과 같은 형태로 제2내측연장부(31)와 제2내측플랜지부(35)를 갖는다. 즉, 제1내측유닛(20)과 제2내측유닛(30)은 같은 형태로 제작된 후 내측연장부(21,31)들의 양쪽 단부가 서로 마주보도록 한 후 서로 결합되는 구성으로 이하에서는 제1내측유닛(20)에 대해서만 자세히 설명토록 한다.The first
제1내측연장부(21)의 양단부 중 어느 한쪽 단부에는 단턱진 형태로 안착턱(24)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제1내측연장부(21)의 안착턱(24)에는 제2내측연장부(31)의 평탄한 단부(안착턱(24)이 형성된 반대쪽의 단부를 말함)가 안착되고, 제2내측연장부(31)의 안착턱(24)에는 제1내측연장부(21)의 평탄한 단부가 안착된다.A
한편 제1내측연장부(21) 외측면에는 복수 지점에 걸림편(22)이 설치되어 있다. 얇은 판형의 걸림편(22)은 제1내측연장부(21)의 외측면에 밀착된 상태에서 일 지점이 볼트나 리벳에 의해 제1내측연장부(21)에 고정 설치된다. 더욱 구체적으로 걸림편(22)은 길이 방향의 중심에서 제1내측플랜지부(25) 방향으로 치우쳐진 지점이 볼트나 리벳에 의해 제1내측연장부(21)에 고정된다. 따라서 걸림편(22)이 제1내측연장부(21)와 고정된 지점의 반대쪽 부분(제1내측플랜지부(25) 방향의 반대쪽 부분)은 제1내측연장부(21)와 붙어 있지 아니하고 떨어져 있기 때문에, 걸림편(22)의 이 부분을 잡아 당기면 걸림편(22)이 제1내측연장부(21)의 외측면에서 벌어지면서 꺾이거나 굽어지는 변형을 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
제1내측플랜지부(25)는 덕트(60)의 덕트구멍(62) 둘레면에 밀착되는 부분으로 제1내측플랜지부(25)에는 복수 지점에 내측볼트공(26)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1내측플랜지부(25)의 양단에는 결합수단인 힌지(40)가 결합될 수 있도록 힌지결합부(27)가 돌출된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제1내측플랜지부(25)의 힌지결합부(27)와 제2내측플랜지부(35)의 힌지결합부(27)가 마주한 상태에서 양쪽 힌지결합부(27)를 관통하도록 힌지(40)가 설치되면, 제1내측플랜지부(25)와 제2내측플랜지부(35)가 서로 회전 가능한 상태로 결합된다. 내측볼트공(26)은 걸림편(22)들의 사이의 정중앙 지점에 형성되면 나중에 내측부(10)에 외측부(50)를 볼트체결을 위한 정렬시에 걸림편(22)들의 사이의 중앙지점이 내측부(10)의 볼트공(26)이 있는 지점인 것을 알 수 있으므로 볼트체결시에 정렬의 기준이 될 수 있어서 편리하다.The first
물론 본 실시예에서는 제1내측유닛(20)과 제2내측유닛(30)이 접거나 펼침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결합수단으로써 힌지(40)를 적용시켰지만, 실시하기에 따라 경첩 등의 다른 결합수단이 적용될 수도 있다.Of course,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이렇게 서로 같은 형태로 제작되는 제1내측유닛(20)과 제2내측유닛(30)에서 내측연장부(21,31)의 양단부를 서로 마주하게 한 후 힌지결합부(27)에 힌지(40)를 결합시키면, 제1내측연장부(21)와 제2내측연장부(31)는 원통형을 이루게 되고, 힌지(40) 결합에 의해 제1내측유닛(20)과 제2내측유닛(30)은 접히거나 펼쳐질 수 있게 된다. 제1내측유닛(20)과 제2내측유닛(30)은 펼쳐질 경우에 내측플랜지부(25,35)가 평면상에 위치하는 지점까지만 펼쳐지며 더 이상 펼쳐지지 않는 구조로 형성된다. 이러한 구조는 공지된 것이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In the first
외측부(50)는 원통형의 외측연장부(51)와, 외측연장부(51)의 후방단부에서 반경방향으로 연장되는 외측플랜지부(55)를 포함한다.The
외측연장부(51)의 내측에는 관통부(52)가 형성되어 있다. 이때 관통부(52)에는 내측부(10)가 펼쳐졌을 시 원통형을 이루는 제1내측연장부(21)와 제2내측연장부(31)가 진입해야 하기 때문에, 관통부(52)의 직경은 내측부(10)가 펼쳐졌을 시 제1내측연장부(21)와 제2내측연장부(31)가 이루는 원통의 최대 직경보다는 약간 커야 한다.A through
또한 외측연장부(51)의 둘레면 중 외측플랜지부(55)가 형성된 반대쪽 지점의 둘레에는 주변에 비해 높이가 높은 둘레턱(53)이 돌출 형성되어 있고, 이에 따라 둘레턱(53)과 외측플랜지부(55) 사이에는 주변보다 높이가 낮은 안착부(54)가 형성된다.In addition, a
한편 외측플랜지부(55)에는 복수 지점에 외측볼트공(56)이 형성되어 있다. 이때 외측볼트공(56)의 위치는 내측볼트공(26)의 위치와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된다. 예컨대 외측플랜지부(55)에는 60도 간격으로 모두 6개의 외측볼트공(56)이 형성되어 있고, 내측부(10)가 펼쳐지면서 환형을 이루는 제1내측플랜지부(25)와 제2내측플랜지부(35)에도 60도 간격으로 모두 6개의 내측볼트공(26)이 형성될 수 있다.Meanwhile, an
도5는 도3 및 도4에 도시된 덕트 소켓에서 내측정렬홈과 외측정렬홈이 서로 정렬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5 is a view for explaining a state in which the inner alignment groove and the outer alignment groove are aligned with each other in the duct socket shown in FIGS. 3 and 4.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덕트 소켓을 덕트(60)에 설치할 시에는 내측부(10)를 먼저 덕트(60) 내에 진입시킨 후 내측플랜지부(25,35)를 덕트구멍(62)의 둘레면에 밀착시키고, 이후 외측부(50)를 내측부(10)에 결합한 후 볼트(91) 체결을 해야 하는데, 덕트(60) 외부에서는 덕트구멍(62) 안쪽으로 진입한 내측플랜지부(25,35)의 내측볼트공(26)이 보이지 않게 된다. 따라서 외측볼트공(56)과 내측볼트공(26)의 위치를 서로 맞춰주기가 어려울 수 있는데, 이를 위해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부(10)와 외측부(50)에 각각 정렬홈(33,58)을 형성시켰다.That is, when the duct socket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the
즉 내측부(10)에서 제2내측유닛(30)의 제2내측연장부(31)에는 제2내측플랜지부(35)가 형성된 방향의 반대 방향을 향하여 일정 길이의 내측정렬홈(33)이 형성되어 있다. 내측정렬홈(33)은 제2내측연장부(31)의 바깥 방향으로 돌출되는 형태로 압입 방식에 의해 형성된다. 물론 내측정렬홈(33)은 제1내측연장부(21)에 형성될 수도 있다. That is, in the
또한 외측부(50)에서 외측연장부(51)에는 외측플랜지부(55)가 형성된 방향으로 일정 길이의 외측정렬홈(58)이 형성되어 있다. 외측정렬홈(58) 역시 외측연장부(51)의 바깥 방향으로 돌출되는 형태가 되도록 압입 방식으로 형성된 것이다.In addition, an
또한 내측정렬홈(33)과 외측정렬홈(58)은 내측부(10)에 외측부(50)가 결합되었을 시, 내측볼트공(26)에 외측볼트공(56)이 마주한 위치가 되도록 정렬된 상태에서 압입 형성된 것이다. 따라서 내측부(10)를 덕트구멍(62)에 먼저 설치한 이후 외측부(50)를 결합시킬 때, 내측정렬홈(33)이 외측정렬홈(58)에 정렬되도록 하면, 내측부(10)의 전체 내측플랜지부(25,35)에 형성된 내측볼트공(26)들의 위치와 외측플랜지부(55)의 외측볼트공(56)들의 위치가 모두 함께 정렬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internal
이하에서는 도6 내지 도10을 참조하여 도3 내지 도5를 통해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덕트 소켓을 덕트에 설치하는 과정에 대하여 설명토록 한다.Hereinafter, a process of installing a duct socket in a duct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3 to 5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6 to 10.
먼저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부(10)를 접어 덕트(60)의 덕트구멍(62)에 진입시킨다. 덕트(60)에는 내측부(10)의 제1내측연장부(21)와 제2내측연장부(31)가 연결되어 형성하는 원통의 외경보다 약간 커서 제1내측연장부(21)와 제2내측연장부(31)를 통과시킬 수 있는 덕트구멍(62)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덕트구멍(62)의 크기가 내측연장부(21,31)들이 이루는 원통보다는 크게 형성된다 하더라도, 내측부(10)가 펼쳐진 상태에서는 내측연장부(21,31)의 반경방향으로 연장된 형태로 형성된 내측플랜지부(25,35)의 크기 때문에 내측부(10)가 덕트구멍(62)에 직접 삽입될 수 없다.First, as shown in Figure 6, the
따라서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힌지결합부(27)를 통해 힌지(40) 결합된 제1내측유닛(20)과 제2내측유닛(30)을 접어 내측플랜지부(25,35)들이 서로 밀착되도록 한 후 내측부(10)를 덕트구멍(62)을 통해 덕트(60)의 내부로 밀어 넣으면, 내측부(10)가 덕트(60)에 걸리지 않고 덕트구멍(62)을 통과하여 덕트(60) 내부로 삽입될 수 있다. 덕트(60)의 내부로 내측부(10)가 삽입되면 제1내측연장부(21)와 제2내측연장부(31)가 원형관 구조를 형성하도록 제1내측유닛(20)과 제2내측유닛(30)을 펼치고, 원형관 구조의 내측연장부(21,31)를 덕트구멍(62)을 통해 덕트(60)의 외부로 노출시키면 내측플랜지부(25,35)는 덕트구멍(62) 둘레의 내측 벽면(61)에 밀착된다.Therefore, as shown in FIG. 6, the first
도7은 내측부의 내측연장부가 덕트구멍을 통해 덕트 외부로 노출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먼저 도3 및 도7의 (a)를 참조하면 내측연장부(21,31)가 덕트구멍(62)을 통해 덕트(60) 외부로 노출되게 삽입된 상태에서, 제1내측유닛(20)과 제2내측유닛(30)은 서로 힌지 결합된 것이어서, 작업을 하다가 의도하지 않게 힘이 가해지면 제1내측유닛(20)과 제2내측유닛(30)이 약간 접어지면서 내측플랜지부(25,35)가 완전히 평면을 형성하지 못하게 되고, 따라서 내측플랜지부(25,35) 부분이 벽면(61)에 완전히 밀착되지 않고 약간 들뜨게 된다. 이 경우 나중의 볼트체결 작업을 할 때에 볼트정렬이 잘 안되어 작업이 매우 곤란해진다. 7 is a view for explaining a state in which the inner extension portion of the inner portion i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duct through the duct hole. Referring first to FIGS. 3 and 7 (a), the
이를 위해 본 실시예에서는 걸림편(22)을 이용한 가고정 작업을 수행한다. 즉 도7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연장부(21,31)에 일 지점이 고정된 걸림편(22)에서 내측연장부(21,31)와 떨어진 부분을 굽혀서 덕트(60)의 외부 벽면(61)에 밀착되도록 꺾어주면, 덕트 소켓의 꺾어진 걸림편(22)과 내측플랜지부(25,35)가 덕트구멍(62)의 둘레면 양쪽 벽면(61)을 견고하게 잡아주는 형태가 된다. 따라서 내측부(10)의 제1내측유닛(20)과 제2내측유닛(30)이 접히지 않고 완전히 펼쳐진 상태가 되며 내측플랜지부(25,35)가 완전한 평면을 이루면서 덕트구멍(62) 둘레의 벽면(61)에서 이격되지 아니하고 완전히 밀착되어 안정된 상태로 가고정 될 수 있다. 또한 벽면(61)은 외력을 가하면 다소 압축하는 다공성 스폰지 재질로 형성되기 때문에, 내측부(10)를 덕트(60)에 삽입한 상태에서 걸림편(22)을 꺾어주면 걸림편의 꺾어지는 부분은 덕트(60)의 벽면(61)을 약간 파고들면서 꺾어지게 된다. 따라서 덕트(60)의 구멍에서 내측부(10)가 회전하는 것이 방지된다. To this end, in this embodiment, a temporary fixing operation using the
회전방지가 중요한 이유는 나중에 외측부(50)를 내측부(10)의 내측연장부(21,31)에 삽입하여 결합할 때에 외측부(50)는 내측연장부(21,31)와의 사이에 틈새를 없애기 위해 가급적 양자가 서로 밀착되도록 끼워지게 되는데, 이 경우 내측부(10)와 외측부(50)의 볼트공들(26,56)을 정렬시키려면 외측부(50)를 약간 회전시키면서 정렬을 맞추어야 하는데 외측부(50)가 회전할 때에 내측부가 회전하면 볼트공들(26,56)의 정렬을 맞추기가 매우 어렵다. 따라서 본 발명은 금속재질의 걸림편(22)이 굽어지면서 덕트(60)의 구멍 주변을 파고들어서 내측부(10)가 덕트(60)의 구멍에서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였다. 물론 내측부(10)는 걸림편(22)을 접어서 고정하기까지는 덕트의 구멍에서 회전할 수 있어서, 작업자는 필요에 따라 가장 최적의 위치로 내측부(10)를 위치시킨 이후 내측부(10)의 걸림편(22)을 접어서 내측부(10)를 덕트에 가고정할 수가 있는 것이다.The reason why rotation prevention is important is that when the
이후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측부(50)의 관통부(52)에 원형관 구조의 내측연장부(21,31)가 삽입되도록 외측부(50)를 설치한 후 외측플랜지부(55)의 외측볼트공(56)과 덕트(60)의 벽면(61), 그리고 내측플랜지부(25,35)의 내측볼트공(26)을 관통하도록 볼트(91)를 조여주면, 외측부(50) 및 내측부(10)가 덕트(60)에 견고하게 고정된다.Thereafter, as illustrated in FIG. 8, after installing the
이때 내측플랜지부(25,35)가 덕트(60)의 내부에 위치한 상태에서는 덕트(60)의 벽면(61)에 의해 내측볼트공(26)이 보이지 않아서 외측볼트공(56)과 내측볼트공(26)의 위치 정렬이 어려울 수 있다. 하지만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부와 외측부에는 압입 방식에 의해 바깥 방향으로 돌출된 형태로 내측정렬홈(33)과 외측정렬홈(58)이 형성되어 있고, 볼트(91)를 체결하기 전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측부(50)를 돌려가면서 내측정렬홈(33)이 외측정렬홈(58)이 서로 일직선이 되도록 맞춰주면, 외측부(50)의 외측볼트공(56)과 내측부(10)의 내측볼트공(26)도 서로 마주보는 위치로 정렬되고, 이 상태에서 도9와 같이 볼트(91)를 체결하면 양쪽 볼트공(26,56)의 위치가 정렬되어 있어서 정확한 볼팅 작업이 가능하다.At this time, when the
한편 이상의 과정을 통해 덕트 소켓의 설치를 마친 후, 도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렉시블 호스(80)의 단부가 외측부(50)를 감싸도록 하고, 고정밴드(90)로 플렉시블 호스(80)를 외측에서 감아서 고정하면 플렉시블 호스(80)가 소켓에 고정된다. 이때 고정밴드(90)는 외측연장부(51)의 안착부(54) 부분에서 감아주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에 따라 플렉시블 호스(80)에 외력이 가해지더라도 고정밴드(90)가 둘레턱(53)에 걸려 플렉시블 호스(80) 전체가 소켓으로부터 빠져나가는 것이 방지된다.On the other hand, after completing the installation of the duct socket through the above process, the end of the
도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덕트 소켓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11에 도시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덕트 소켓은 내측부(10) 및 외측부(50)를 포함하며, 대부분의 구성이 도3 내지 도10을 통해 설명한 덕트 소켓과 동일하지만, 내측부(10)의 내측연장부(21,31)에 설치된 걸림편(22')만 차이가 있다.11 is a view for explaining a duct socke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uct socke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11 includes an
즉 도11에 도시된 덕트 소켓에서 내측연장부(21,31)의 외측면에는 복수 지점에 걸림편(22')이 고정 설치된다. 여기서 걸림편(22')에는 볼트안내공(23)이 형성되어 있다. 볼트안내공(23)은 추후 덕트 소켓을 덕트(60)에 설치할 시 외측볼트공(56)과 내측볼트공(26)에 삽입되는 볼트(91)가 관통하는 부분이다. 따라서 걸림편(22')이 내측연장부(21,31)에 설치될 때에는 걸림편(22')이 꺾어졌을 시 볼트안내공(23)이 내측플랜지부(25,35)의 내측볼트공(26)과 마주하는 위치에 설치되어야 한다.That is, in the duct socket illustrated in FIG. 11, the locking
따라서 도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덕트 소켓에서 내측부(10)를 덕트(60)의 덕트구멍(62)에 먼저 설치한 후 걸림편(22')을 꺾어주면, 내측볼트공(26)이 덕트(60) 외부에서 보이지 않더라도 걸림편(22')의 볼트안내공(23) 위치가 내측볼트공(26)과 마주하고 있음을 알 수 있으므로, 외측부(50)의 관통부(52)에 내측부(10)가 삽입되도록 설치한 후, 외측플랜지부(55)의 외측볼트공(56) 위치가 걸림편(22')의 볼트안내공(23) 위치에 오도록 돌려주면, 외측볼트공(56)과 내측볼트공(26)의 위치 정렬까지 이루어지게 된다. 따라서 별도의 정렬홈(33,58)을 형성시켜 줄 필요 없이, 걸림편(22')의 볼트안내공(23) 위치에 외측부(50)의 외측볼트공(56) 위치를 정렬시킨 후 볼트(91)를 조여주면, 볼트(91)가 외측플랜지부(55)의 외측볼트공(56), 걸림편(22')의 볼트안내공(23), 덕트(60)의 벽면(61), 그리고 내측플랜지부(25,35)의 내측볼트공(26)을 차례로 관통할 수 있어서 편리하게 정렬과 조임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다.Therefore, as shown in FIG. 12, when the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덕트 소켓에 의하면 내측부(10)를 접어 덕트(60)의 덕트구멍(62)에 통과시킨 후 원래의 형상으로 펼칠 수 있어서 덕트(60)에 소켓을 설치하는 작업이 간편하고, 소켓이 덕트(60)에 견고하게 결합되어 일정수준의 외력에는 소켓이 덕트(60)에서 분리되지 않고 체결상태를 그대로 유지하여 우수한 밀폐성능을 발휘할 수 있다.As described in detail above, according to the duct sock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또한 내측부(10)를 덕트(60)에 먼저 설치하였을 시 내측연장부에 설치된 걸림편(22,22')을 꺾어주어, 덕트(60)의 벽면(61) 양쪽에 걸림편(22,22')과 내측플랜지부(25,35)가 밀착 지지되어 가고정될 수 있다. 즉 내측부(10)를 먼저 설치하면 내측플랜지부의 하중에 의해 내측부(10)가 기울어짐으로써, 내측플랜지부(25,35)가 덕트(60)의 벽면(61)에서 벌어질 수 있는데, 걸림편(22,22')을 꺾어 가고정 시켜주면 내측플랜지부(25,35)와 덕트(60)의 벽면(61)이 서로 수평을 이룬 상태를 유지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추후 볼팅 작업시에도 내측플랜지부(25,35)와 벽면(61)이 수평을 이룬 상태에서 올바르게 볼트(91) 진입이 이루어질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한편, 내측부(10)가 덕트(60) 내부로 진입하여 내측플랜지부(25,35)가 덕트구멍(62) 둘레에 밀착하게 되면, 외부에서는 내측플랜지부(25,35)에 형성된 내측볼트공(26)이 보이지 않게 된다. 따라서 외측부(50)의 외측볼트공(56)과 내측부(10)의 내측볼트공(26) 위치를 맞춰주는 작업이 쉽지 않을 수 있는데, 내측부(10)에 형성된 내측정렬홈(33)이 외측부(50)에 형성된 외측정렬홈(58)에 정렬되도록 하면 외측볼트공(56)과 내측볼트공(26)의 위치 정렬도 함께 이루어질 수 있다. 또는 볼트안내공(23)이 형성된 걸림편(22')이 내측볼트공(26)의 위치에 대응하여 설치된다면, 외측부(50)를 설치할 시 볼트안내공(23)을 기준으로 내측볼트공(26)의 위치를 확인할 수가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상기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이고, 본 발명에 대해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부가가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및 부가는 본 발명의 특허청구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The above-described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disclosed for the purpose of illustration,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having ordinary knowledg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able to make various modifications, changes and additions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dditions should be considered to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10 : 내측부
20 : 제1내측유닛
21 : 제1내측연장부
22,22' : 걸림편
23 : 볼트안내공
24 : 안착턱
25 : 제1내측플랜지부
26 : 내측볼트공
27 : 힌지결합부
30 : 제2내측유닛
31 : 제2내측연장부
33 : 내측정렬홈
35 : 제2내측플랜지부
40 : 힌지
50 : 외측부
51 : 외측연장부
52 : 관통부
53 : 둘레턱
54 : 안착부
55 : 외측플랜지부
56 : 외측볼트공
58 : 외측정렬홈
60 : 덕트
61 : 벽면
62 : 덕트구멍
80 : 플렉시블 호스
90 : 고정밴드
91 : 볼트10: inner part
20: first inner unit
21: first internal extension
22,22 ': Jam
23: bolt guide
24: seating chin
25: first inner flange portion
26: inner bolt ball
27: hinge coupling
30: second inner unit
31: second internal extension
33: internal measuring groove
35: second inner flange portion
40: hinge
50: outer part
51: outer extension
52: through portion
53: circumference
54: seating
55: outer flange
56: outer bolt ball
58: outer alignment groove
60: duct
61: wall surface
62: duct hole
80: flexible hose
90: fixed band
91: bolt
Claims (4)
상기 내측부에 고정되어 플렉시블 호스가 결합되는 외측부;를 포함하되,
상기 내측부는,
반원형 단면을 가지며 일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내측연장부와, 상기 제1내측연장부의 단부에 반경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고 복수 지점에 내측볼트공이 형성된 제1내측플랜지부를 갖는 제1내측유닛;
반원형 단면을 가지며 일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내측연장부와, 상기 제2내측연장부의 단부에 반경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고 복수 지점에 내측볼트공이 형성된 제2내측플랜지부를 갖는 제2내측유닛;
상기 제1내측연장부와 제2내측연장부의 외측면 복수 지점에 꺾임 가능하게 설치되는 걸림편; 및
상기 제1내측유닛의 제1내측연장부와 상기 제2내측유닛의 제2내측연장부의 양단부가 서로 마주한 상태에서, 상기 제1내측유닛과 제2내측유닛이 펼쳐지거나 접힘 가능하도록 결합하는 결합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외측부는,
상기 제1내측연장부 및 제2내측연장부가 삽입되는 관통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외측면 둘레로 플렉시블 호스가 결합되는 외측연장부; 및
상기 외측연장부의 단부에 반경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고 복수 지점에 외측볼트공이 형성된 외측플랜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내측부의 제1내측유닛과 제2내측유닛을 접어서 상기 내측부를 상기 덕트의 덕트구멍을 통해 상기 덕트의 내부로 밀어 넣은 후, 상기 제1내측유닛과 제2내측유닛을 펼쳐서 상기 제1내측연장부와 제2내측연장부를 상기 덕트구멍을 통해 상기 덕트의 외부로 노출시키면 상기 제1내측플랜지부와 제2내측플랜지부가 상기 덕트구멍 둘레의 내측 벽면에 밀착되고, 상기 걸림편을 굽혀서 상기 덕트의 외부 벽면에 밀착되도록 꺾어주면 상기 걸림편과 상기 제1내측플랜지부 및 제2내측플랜지부가 상기 덕트구멍의 둘레면 양쪽 벽면을 견고하게 잡아주는 형태가 되어 가고정 되고, 상기 제1내측연장부와 상기 제2내측연장부가 상기 외측연장부의 관통부에 삽입되도록 한 후, 상기 외측볼트공에서 상기 내측볼트공에 연장되도록 볼트를 조여주면 상기 내측부 및 외측부가 상기 덕트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덕트 소켓.
An inner portion inserted into a duct hole of the duct and fixed to a wall surface around the duct hole; And
It is fixed to the inner portion outer portion is coupled to the flexible hose; includes,
The inner portion,
A first inner unit having a first inner extension portion having a semi-circular cross section and extending in one direction, and a first inner flange portion formed radially extending at ends of the first inner extension portion and having inner bolt holes at a plurality of points;
A second inner unit having a second inner extension portion having a semi-circular cross section and extending in one direction, and a second inner flange portion extending radially at the ends of the second inner extension portion and having inner bolt holes formed at a plurality of points;
A locking piece installed to be bendable at a plurality of points on the outer surfaces of the first inner extension portion and the second inner extension portion; And
Coupling means for coupling the first inner unit and the second inner unit to be unfoldable or collapsible, with both ends of the first inner extension of the first inner unit and the second inner extension of the second inner unit facing each other ;
The outer portion,
The first inner extension portion and the second inner extension portion is formed with a through portion through which the outer extension portion is formed, and a flexible hose is coupled around the outer surface; And
Includes; the outer flange portion is formed extending in the radial direction at the end of the outer extension portion and the outer bolt hole is formed at a plurality of points;
After folding the first inner unit and the second inner unit of the inner part and pushing the inner part into the inside of the duct through the duct hole of the duct, the first inner unit and the second inner unit are unfolded to extend the first inner unit. When the portion and the second inner extension portion are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duct through the duct hole, the first inner flange portion and the second inner flange portion are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wall surface around the duct hole, and the hook piece is bent to bend the When folded so as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outer wall surface, the locking piece and the first inner flange portion and the second inner flange portion are fixed to hold firmly on both walls of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duct hole, and are temporarily fixed. After the second inner extension portion is inserted into the through portion of the outer extension portion, when the bolt is tightened to extend from the outer bolt hole to the inner bolt hole, the inner portion Duct socket, characterized in that the outer region is fixed to the duct.
상기 제1내측연장부 및 제2내측연장부의 양 단부 중 어느 하나의 단부에는 마주하는 상대방 내측연장부의 평탄한 단부가 안착되는 안착턱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덕트 소켓.
According to claim 1,
Duct socket, characterized in that a seating jaw is formed on one end of either of the first inner extension portion and the second inner extension portion, the flat end of the opposing inner extension portion is seated.
상기 외측연장부의 외측 둘레에는 상기 플렉시블 호스가 빠지는 것을 방지하는 둘레턱이 돌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덕트 소켓.
According to claim 1,
Duct socket, characterized in that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outer extension portion is formed with a circumferential jaw preventing the flexible hose from falling out.
상기 걸림편에는 볼트안내공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걸림편은 상기 내측볼트공이 형성된 지점과 대응하는 위치에 설치되어, 상기 걸림편이 꺾어지면 상기 볼트안내공과 상기 내측볼트공이 마주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덕트 소켓.According to claim 1,
A bolt guide hole is formed in the engaging piece, and the engaging piece is install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a point where the inner bolt hole is formed, and when the engaging piece is bent, the bolt guide hole and the inner bolt hole face the duct. socket.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22340A KR102090313B1 (en) | 2019-02-26 | 2019-02-26 | Duct socket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22340A KR102090313B1 (en) | 2019-02-26 | 2019-02-26 | Duct socket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090313B1 true KR102090313B1 (en) | 2020-03-17 |
Family
ID=700037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022340A KR102090313B1 (en) | 2019-02-26 | 2019-02-26 | Duct socket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090313B1 (en)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4234423A (en) * | 2022-01-05 | 2022-03-25 | 中国航天建设集团有限公司 | Air pipe air inlet inner engagement connecting piece and air pipe air inlet installation method |
KR20220090328A (en) | 2020-12-22 | 2022-06-29 | (주) 제이오 | Structure of connection between duct and flexible hose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50040349A (en) * | 2003-10-28 | 2005-05-03 | 엘지전자 주식회사 | Improved duct connection structure in ceiling cassette type air conditioner |
KR20070050902A (en) * | 2007-04-27 | 2007-05-16 | (주)문명에이스 | Prefabricated duct flange |
KR100903959B1 (en) * | 2009-04-07 | 2009-06-25 | 씨엔지디에스주식회사 | Duct flexible socket |
KR20120047551A (en) * | 2010-11-04 | 2012-05-14 | (주) 태동폴리텍 | Connector for duct |
-
2019
- 2019-02-26 KR KR1020190022340A patent/KR102090313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50040349A (en) * | 2003-10-28 | 2005-05-03 | 엘지전자 주식회사 | Improved duct connection structure in ceiling cassette type air conditioner |
KR20070050902A (en) * | 2007-04-27 | 2007-05-16 | (주)문명에이스 | Prefabricated duct flange |
KR100903959B1 (en) * | 2009-04-07 | 2009-06-25 | 씨엔지디에스주식회사 | Duct flexible socket |
KR20120047551A (en) * | 2010-11-04 | 2012-05-14 | (주) 태동폴리텍 | Connector for duct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20090328A (en) | 2020-12-22 | 2022-06-29 | (주) 제이오 | Structure of connection between duct and flexible hose |
CN114234423A (en) * | 2022-01-05 | 2022-03-25 | 中国航天建设集团有限公司 | Air pipe air inlet inner engagement connecting piece and air pipe air inlet installation method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RU2295666C2 (en) | Joining device | |
KR102090313B1 (en) | Duct socket | |
JP5722046B2 (en) | Single bolt band clamp with center rib with gasket and pipe lap joint using the same | |
US7490871B2 (en) | Pipe clamp with button engagement hole | |
BR102013013222A2 (en) | Profiled clamp | |
JP2003097517A (en) | Pipe fastener, especially pipe connector | |
JP2007512481A (en) | Pipe clamp with integral latch | |
JPH04211791A (en) | Joint coupling insert type tube and method thereof | |
KR101269686B1 (en) | Hose clamp | |
KR20190107065A (en) | Exhaust clamp and method | |
JPH08135848A (en) | Retaining ring for pipe or cable | |
US20100130119A1 (en) | Arrangement for connecting tube elements in a ventilation duct system | |
WO2009125512A1 (en) | Pipe clamp device | |
JP7138120B2 (en) | Device for connecting two pipes using pre-assembly | |
JP2007154969A (en) | Connection branch pipe | |
CN111981227A (en) | Rack quick-assembling joint for large-diameter pipeline | |
KR20190131335A (en) | Smoke pipe connecting structure) | |
JP2008051225A (en) | Pipe joint device | |
JPH04302797A (en) | Pipe connector | |
JPH0640578U (en) | Branch pipe fitting | |
KR20130012538A (en) | Belt type clamp | |
JPH0237036Y2 (en) | ||
JPH0552476U (en) | Internal and external piping connection structure | |
JPH0238202Y2 (en) | ||
KR200257366Y1 (en) | a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