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89690B1 - Display and experience booth for training of photo principle - Google Patents
Display and experience booth for training of photo principl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089690B1 KR102089690B1 KR1020190175545A KR20190175545A KR102089690B1 KR 102089690 B1 KR102089690 B1 KR 102089690B1 KR 1020190175545 A KR1020190175545 A KR 1020190175545A KR 20190175545 A KR20190175545 A KR 20190175545A KR 102089690 B1 KR102089690 B1 KR 10208969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ooth
- bar
- handle
- projection unit
- window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23/00—Models for scientific, medical, or mathematical purposes, e.g. full-sized devices for demonstration purposes
- G09B23/06—Models for scientific, medical, or mathematical purposes, e.g. full-sized devices for demonstration purposes for physics
- G09B23/22—Models for scientific, medical, or mathematical purposes, e.g. full-sized devices for demonstration purposes for physics for optic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0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dwelling or office purposes; General layout, e.g. modular co-ordination or staggered storeys
- E04H1/12—Small buildings or other erections for limited occupation, erected in the open air or arranged in buildings, e.g. kiosks, waiting shelters for bus stops or for filling stations, roofs for railway platforms, watchmen's huts or dressing cubicles
- E04H1/1205—Small buildings erected in the open air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0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dwelling or office purposes; General layout, e.g. modular co-ordination or staggered storeys
- E04H1/12—Small buildings or other erections for limited occupation, erected in the open air or arranged in buildings, e.g. kiosks, waiting shelters for bus stops or for filling stations, roofs for railway platforms, watchmen's huts or dressing cubicles
- E04H1/125—Small buildings, arranged in other build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athematical Optimization (AREA)
- Computational Mathematics (AREA)
- Algebra (AREA)
- Mathematical Analysi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Pure & Applied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rojection Apparatus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사진 원리 교육용 전시체험부스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카메라 옵스큐라(camera obscura)의 원리를 다수의 체험자에게 용이하게 이해시킬 수 있는 사진 원리 교육용 전시체험부스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xhibition experience booth for photographic principle education, and more particularly, to an exhibition experience booth for photographic principle education that can easily understand the principle of camera obscura to a large number of experienced users.
카메라 옵스큐라(camera obscura)는 사진기의 기원(起源)이자 카메라의 어원(語源)이 되는 것으로, 어두운 방의 지붕이나 벽 등에 작은 구멍을 뚫고 그 반대쪽의 하얀 벽이나 막에 옥외의 실상(實像)을 거꾸로 찍어내는 장치를 의미한다. 이러한 카메라 옵스큐라의 원리를 학생 또는 일반인이 직관적으로 이해하기 위해서는 내부에 학생 또는 일반인이 들어갈 수 있을 정도로 넓은 공간이 형성된 암실이 필요하므로, 실생활에서는 카메라 옵스큐라의 원리를 직관적으로 이해하는데 어려움이 있었다. 또한, 암실이 존재한다 하더라도 피사체의 상이 작게 표시되어 다수의 학생 또는 일반인이 동시에 관찰하는데 불편함이 있었으며, 특정 위치의 피사체만 표시할 수 있어 효율성이 떨어지는 문제점도 있었다.The camera obscura is the origin of the camera and the origin of the camera. It drills a small hole in the roof or wall of a dark room and reverses the outdoor reality on the white wall or membrane on the other side. It means a device for printing. In order to intuitively understand the principle of the camera obscura, a dark room having a space large enough to accommodate a student or the public is required, so it is difficult to intuitively understand the principle of the camera obscura. In addition, even if a dark room is present, the image of the subject is displayed in a small size, which is inconvenient for a large number of students or the public to observe at the same time, and there is a problem in that efficiency may be reduced because only a subject at a specific location can be displayed.
이에, 다수의 학생 또는 일반인에게 카메라 옵스큐라의 원리를 용이하게 이해시킬 수 있는 장치가 필요하게 되었다.Accordingly, there is a need for a device capable of easily understanding the principle of the camera obscura to a large number of students or the general public.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카메라 옵스큐라(camera obscura)의 원리를 다수의 체험자에게 용이하게 이해시킬 수 있는 사진 원리 교육용 전시체험부스를 제공하는 것이다.The technical problem to be achie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exhibition experience booth for education of a photographic principle that can easily understand the principle of a camera obscura to a large number of experienced users.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technical problem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technical problems mentioned above, and other technical problem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진 원리 교육용 전시체험부스는, 일 측에 출입구가 형성되어 내부에 체험자를 수용하며 외부광이 차단되어 암실을 형성하는 암실부스와, 상기 암실부스 상단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수평 방향으로 유입되는 피사체의 상을 직하방으로 반사시켜 투영하는 투영유닛과, 상기 암실부스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투영유닛 직하방에 위치하여 상기 투영유닛이 투영하는 상기 피사체의 상을 표시하는 테이블 형태의 스크린테이블, 및 상기 투영유닛에 연결되며 하부로 연장되어 상기 체험자가 파지하는 회전손잡이부를 포함한다.An exhibition booth for educational teaching of photographic principl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technical problem, an entrance is formed on one side to accommodate an experienced person inside, and an external light is blocked to form a darkroom, and the darkroom It is installed rotatably at the top of the booth, and the projection unit reflects the image of the subject flowing in the horizontal direction directly and projects, and is installed inside the darkroom booth and is located directly under the projection unit to project the projection unit. It includes a table-type screen table displaying an image of the subject, and a rotation handle connected to the projection unit and extending downward to grip the experienced person.
상기 투영유닛은, 적어도 일부가 상기 암실 외부로 노출되어 측면에 제1 창이 형성되고 하면에 제2 창이 형성되며 상기 제1 창과 상기 제2 창이 서로 연통되고 상기 암실부스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하우징과, 상기 제1 창에 설치되어 상기 피사체를 포커싱하는 렌즈부, 및 상기 렌즈부와 상기 제2 창 사이에 경사지게 설치되어 상기 렌즈부로 입사되는 상기 피사체의 상을 상기 제2 창 하부로 반사시키는 반사거울을 포함할 수 있다.The projection unit includes a housing in which at least a portion is exposed outside the dark room, a first window is formed on a side surface, a second window is formed on a lower surface, and the first window and the second window communicate with each other and are rotatably coupled to the dark room booth. , A lens unit installed on the first window to focus the subject, and a reflection mirror installed obliquely between the lens unit and the second window to reflect an image of the subject incident on the lens unit under the second window It may include.
상기 회전손잡이부는, 링 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체험자가 파지하는 손잡이와, 상기 손잡이와 상기 하우징 사이를 연결하는 복수 개의 연결바를 포함할 수 있다.The rotating handle portion may be formed in a ring shape and include a handle gripped by the experienced person and a plurality of connection bars connecting the handle and the housing.
상기 회전손잡이부는, 상기 손잡이 외주면을 따라 부착되며 상기 출입구를 통해 입사되는 빛을 저장하여 다시 발광하는 야광시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rotating handle portion may further include a luminous sheet attached 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andle and storing light incident through the doorway to emit light again.
상기 연결바는, 상기 하우징에 연결되는 제1 바와, 상기 제1 바와 중첩되며 상기 손잡이에 연결되는 제2 바, 및 상기 제1 바와 상기 제2 바 사이를 연결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The connecting bar may include a first bar connected to the housing, a second bar overlapping the first bar and connected to the handle, and an elastic member connecting between the first bar and the second bar.
상기 연결바는, 상기 제1 바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제1 자력부재와, 상기 제1 자력부재와 자력으로 결합되며 상기 제2 바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자력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connecting bar, at least one first magnetic member form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bar, and at least one second formed by the first magnetic member and magnetic force and form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econd bar It may further include a magnetic member.
상기 투영유닛은, 상기 피사체의 상이 상기 손잡이 중앙을 통과하도록 하여 상기 스크린테이블에 투사할 수 있다.The projection unit may project an image of the subject through the center of the handle to the screen table.
본 발명에 따르면, 다수의 체험자를 수용할 수 있는 암실부스 내부에 피사체의 상이 크게 표시되므로, 카메라 옵스큐라의 원리를 직관적으로 용이하게 이해시킬 수 있다. 특히, 과학관 또는 전시관 또는 체험관 등에 설치될 경우, 전시물을 확대하여 표시할 수 있어 전시 수준을 향상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image of the subject is largely displayed inside the darkroom booth that can accommodate a large number of experienced users, it is possible to intuitively and easily understand the principle of the camera obscura. In particular, when installed in a science museum, exhibition hall, or experience hall, the exhibition can be enlarged and displayed, thereby improving the level of exhibition.
또한, 투영유닛이 회전 가능하여 특정 위치가 아닌 다양한 위치의 피사체를 표시할 수 있어, 효율성이 증대될 뿐만 아니라 체험자의 관심을 유도하여 교육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projection unit is rotatable, it is possible to display subjects at various positions rather than a specific position, which not only increases efficiency, but also induces the interest of the experiencer, thereby improving the educational effect.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진 원리 교육용 전시체험부스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사진 원리용 전시체험부스를 종 방향으로 절단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은 투영유닛을 확대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회전손잡이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 내지 도 7은 사진 원리 교육용 전시체험부스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작동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hibition experience booth for educational principles of photograph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exhibition experience booth for the photographic principle of FIG. 1 cu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3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the projection unit.
4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the rotary handle.
5 to 7 is an operation diagram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exhibition experience booth for educational photography principles.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ethods for achieving them will be clarified with reference to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n detail together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but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and only the embodiments allow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o be complete, and common knowledge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It is provided to completely inform the person having the scope of the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The sam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the same compon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이하,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진 원리 교육용 전시체험부스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FIGS. 1 to 7, an exhibition experience booth for educational teaching of photographic principl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진 원리 교육용 전시체험부스를 도시한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hibition experience booth for educational principles of photograph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진 원리 교육용 전시체험부스(1)는 카메라 옵스큐라의 원리를 이용하여 암실 내부에 피사체를 표시하는 장치이다.The exhibition experience
사진 원리 교육용 전시체험부스(1)는 다수의 체험자를 수용할 수 있는 암실부스(10) 내부에 피사체의 상이 크게 표시되므로, 카메라 옵스큐라의 원리를 직관적으로 용이하게 이해시킬 수 있다. 특히, 과학관 또는 전시관 또는 체험관 등에 설치될 경우, 전시물을 확대하여 표시할 수 있어 전시 수준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투영유닛(도 2의 20 참조)이 회전 가능하여 특정 위치가 아닌 다양한 위치의 피사체를 표시할 수 있어, 효율성이 증대될 뿐만 아니라 체험자의 관심을 유도하여 교육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 특징이 있다.Photographic Principle The exhibition experience booth for
이하,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사진 원리 교육용 전시체험부스(1)에 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Hereinafter, the
도 2는 도 1의 사진 원리용 전시체험부스를 종 방향으로 절단하여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3은 투영유닛을 확대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4는 회전손잡이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FIG. 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exhibition experience booth for the photographic principle of FIG. 1 cu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FIG. 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enlarged projection unit, and FIG. 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enlarged rotary handle.
본 발명에 따른 사진 원리 교육용 전시체험부스(1)는 암실부스(10)와, 투영유닛(20)과, 스크린테이블(30), 및 회전손잡이부(40)를 포함한다.The exhibition experience
암실부스(10)는 일 측에 출입구(도 1의 10a 참조)가 형성되어 내부에 체험자를 수용하며 외부광이 차단되어 암실을 형성하는 것으로, 프레임(11)과 암막(12)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암실부스(10)는 전체 윤곽을 형성하는 복수의 프레임(11)과, 프레임(11) 사이를 밀폐하며 빛을 차단하는 암막(12)으로 형성되며, 출입구(10a)는 프레임(11) 사이에 형성되어 암막(12)에 의해 선택적으로 개폐될 수 있다. 도면 상에는 암실부스(10)가 사각통 형태로 형성된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될 것은 아니며, 암실부스(10)의 형상은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암실부스(10)는 원통 또는 다각통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암실부스(10)는 상단에 내부 공간이 암실과 연통되는 투시캡(13)이 설치되며, 투시캡(13)은 측면에 투시공(13a)이 관통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암실부스(10) 상단에 투시캡(13)이 설치되는 것으로 한정될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투시캡(13)은 생략될 수도 있다. 투시캡(13) 내부에는 투영유닛(20)이 배치된다.The
투영유닛(20)은 투시공(13a)을 통해 수평 방향으로 유입되는 피사체의 상을 직하방으로 반사시켜 투영하는 것으로, 암실부스(10) 상단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투시캡(13) 내부에서 회전할 수 있다. 투영유닛(20)이 암실부스(10) 상단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됨으로써, 특정 위치가 아닌 다양한 위치의 피사체의 상을 반사 및 투영시킬 수 있어 효율성이 증대되고 체험자의 관심을 유도하여 교육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 투시공(13a)은 너비가 높이보다 긴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투시공(13a)이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된 것으로 한정될 것은 아니며, 투시공(13a)의 형상은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The
투영유닛(20)은 하우징(21)과, 렌즈부(22)와, 반사거울(23)을 포함한다.The
하우징(21)은 적어도 일부가 암실 외부로 노출되어 측면에 제1 창(21a)이 형성되고 하면에 제2 창(21b)이 형성된 통 형상의 부재로, 암실부스(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 때, 제1 창(21a)과 제2 창(21b)은 서로 연통되어 투시공(13a) 및 제1 창(21a)을 통해 수평 방향으로 유입된 피사체의 상이 제2 창(21b)을 통과하여 후술할 스크린테이블(30)에 투영될 수 있다. 제1 창(21a)에는 렌즈부(22)가 설치된다.The housing 21 is a cylindrical member having at least a portion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dark room, the
렌즈부(22)는 피사체를 포커싱하는 것으로, 박스체(22a)와, 복수의 렌즈(22b), 및 스페이서(22c)를 포함할 수 있다. 박스체(22a)는 통 형상의 부재로, 제1 창(21a)을 관통하여 하우징(21)에 결합될 수 있다. 박스체(22a) 내부에는 복수의 렌즈(22b)와 스페이서(22c)가 수용된다. 복수의 렌즈(22b)는 박스체(22a) 내부에 서로 중첩되되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며, 스페이서(22c)는 렌즈(22b) 사이에 개재되어 렌즈(22b)를 일정 위치에 고정시킬 수 있다. 렌즈부(22)가 복수 개의 렌즈(22b)로 이루어짐으로써, 피사체의 상이 크게 표시되어 다수의 체험자가 동시에 관찰하더라도 불편함이 없으며, 초점거리를 더 길게 형성할 수 있어 근거리에 위치한 피사체의 상이 스크린테이블(30)의 상면에 선명하게 투영될 수 있다. 도면 상에는 박스체(22a) 내부에 3개의 렌즈(22b)가 수용되고, 렌즈(22b)가 1개의 오목 볼록 렌즈(positive meniscus lens)와 2개의 평면 오목 렌즈(plano-concave lens)로 형성된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될 것은 아니며 렌즈(22b)의 개수, 종류, 및 배치는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이러한 렌즈부(22)와 제2 창(21b) 사이에는 반사거울(23)이 설치된다.The
반사거울(23)은 렌즈부(22)로 입사되는 피사체의 상을 제2 창(21b) 하부로 반사시키는 것으로, 렌즈부(22)와 제2 창(21b) 사이에 경사지게 설치될 수 있다. 즉, 투시공(13a) 및 렌즈부(22)를 통과하여 수평 방향으로 유입된 피사체의 상은 경사지게 배치된 반사거울(23)에 의해 직하방으로 반사되어 제2 창(21b) 하부로 투영된다. 투영유닛(20) 하부에는 테이블 형태의 스크린테이블(30)이 위치한다.The
스크린테이블(30)은 투영유닛(20) 직하방에 위치하여 투영유닛(20)이 투영하는 피사체의 상을 표시하는 것으로, 암실부스(10)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이 때, 스크린테이블(30)은 원형 테이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스크린테이블(30)이 원형 테이블 형태로 형성됨으로써, 렌즈부(22)를 통과하여 원형으로 투영된 피사체의 상이 스크린테이블(30)의 상면에 일치되어 체험자의 이해를 도울 수 있다. 또한, 투영유닛(20)이 회전하더라도 피사체의 상이 스크린테이블(30)의 상면에 항상 일치되므로, 체험자의 이해를 보다 효과적으로 도울 수 있다.The screen table 30 is located directly under the
한편, 투영유닛(20)에는 회전손잡이부(40)가 연결될 수 있다. 회전손잡이부(40)는 투영유닛(20)을 회전시킬 때 사용하는 것으로, 일 측이 투영유닛(20)에 연결되고 하부로 연장되어 체험자가 파지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체험자가 회전손잡이부(40)를 파지하고 일 방향 또는 타 방향으로 돌리면, 투영유닛(20)이 일 방향 또는 타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이 때, 회전손잡이부(40)와 투영유닛(20)은 회전축이 수직 방향으로 배치되어 수평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으며, 투영유닛(20)은 피사체의 상이 회전손잡이부(40), 보다 구체적으로, 후술할 손잡이(41)의 중앙을 통과하도록 하여 스크린테이블(30)에 투사할 수 있다. 회전손잡이부(40)는 손잡이(41)와, 복수 개의 연결바(42), 및 야광시트(43)를 포함한다.Meanwhile, the
손잡이(41)는 체험자가 파지하는 부분으로, 링(ring) 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손잡이(41)가 링 형으로 형성됨으로써, 피사체의 상이 손잡이(41)에 간섭되지 않고 손잡이(41) 중앙을 통과하여 스크린테이블(30)에 표시될 수 있으며, 체험자는 암실 내부에서도 손잡이(41)를 용이하게 수평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손잡이(41)는 외주면에 야광시트(43)가 부착될 수 있다. 야광시트(43)는 손잡이(41)의 외주면을 따라 부착되며, 출입구(10a)를 통해 입사되는 빛을 저장하여 다시 발광할 수 있다. 손잡이(41)의 외주면에 야광시트(43)가 부착됨으로써, 출입구(10a)가 폐쇄된 상태에서 체험자가 용이하게 손잡이(41)를 인지 및 조작할 수 있으며, 체험자가 회전손잡이부(40) 또는 다른 체험자와 충돌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체험이 이루어지지 않아 출입구(10a)가 개방된 상태에서 출입구(10a)를 통해 입사된 빛이 야광시트(43)에 축광되므로, 별도의 에너지 사용 없이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The
연결바(42)는 손잡이(41)와 하우징(21) 사이를 연결하는 것으로, 복수 개가 손잡이(41)의 외주면을 따라 이격되어 결합될 수 있다. 연결바(42)는 제1 바(421)와, 제2 바(422)와, 탄성부재(423)와, 적어도 하나의 제1 자력부재(424), 및 적어도 하나의 제2 자력부재(425)를 포함한다.The connecting
제1 바(421)는 하우징(21)에 연결되는 것으로, 하우징(21)의 측부 또는 하부에 수직으로 결합되는 제1 수직바(421a)와, 제1 수직바(421a)의 측부 또는 하부에 경사지게 결합되는 경사바(421b), 및 경사바(421b)의 측부 또는 하부에 수직하게 결합되는 제2 수직바(421c)를 포함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제1 수직바(421a)와 경사바(421b), 및 제2 수직바(421c)를 구분하여 설명하였으나, 제1 수직바(421a)와 경사바(421b), 및 제2 수직바(421c)는 서로 일체로 형성된 것일 수 있다. 이러한 제1 바(421), 보다 구체적으로, 제2 수직바(421c)에는 제2 바(422)가 중첩된다.The first bar 421 is connected to the housing 21, the first
제2 바(422)는 손잡이(41)에 연결되는 것으로, 손잡이(41)의 측부 또는 상부에 수직하게 결합될 수 있다. 제2 바(422)는 적어도 일부가 제1 바(421), 보다 구체적으로, 제2 수직바(421c) 내부에 수용되며, 탄성부재(423)는 제2 수직바(421c) 내부에 수용되어 제1 바(421)와 제2 바(422) 사이를 연결할 수 있다. 탄성부재(423)는 예를 들어, 인장 코일 스프링으로 형성되어 일 측이 제2 수직바(421c) 내측면에 고정되고 타 측이 제2 바(422) 외측면에 고정될 수 있다. 탄성부재(423)가 제1 바(421)와 제2 바(422) 사이를 연결함으로써, 연결바(42)가 길이 방향으로 신축하여 손잡이(41)가 수직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키가 작은 체험자도 어려움 없이 손잡이(41)를 용이하게 조작할 수 있다. 이 때, 손잡이(41)가 수직 방향으로 이동하더라도 피사체의 상은 손잡이(41)에 간섭되지 않고 손잡이(41) 중앙을 통과하여 스크린테이블(30)에 표시될 수 있다.The
제1 자력부재(424)와 제2 자력부재(425)는 제2 바(422)를 일정 위치에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 서로 자력으로 결합될 수 있다. 제1 자력부재(424)는 제1 바(421), 보다 구체적으로, 제2 수직바(421c)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적어도 하나가 형성되며, 제2 자력부재(425)는 제2 바(422)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적어도 하나가 형성되어 제1 자력부재(424)와 자력으로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자력부재(424)는 링 형상으로 형성되어 제2 수직바(421c)의 내측면에 결합될 수 있으며, 제2 바(422)가 제2 수직바(421c)에 최대한 수용되었을 때 근접한 위치와, 제2 수직바(421c)로부터 최대한 돌출되었을 때 근접한 위치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2 자력부재(425)는 링 형상으로 형성되어 제2 바(422)의 외측면에 결합될 수 있으며, 제1 자력부재(424) 사이에 개재될 수 있다. 따라서, 탄성부재(423)가 압축되어 제2 바(422)가 제2 수직바(421c)에 최대한 수용되거나 탄성부재(423)가 이완되어 제2 바(422)가 제2 수직바(421c)로부터 최대한 돌출되었을 때 각각 제1 자력부재(424)와 제2 자력부재(425)가 자력으로 결합되어 제2 바(422)의 위치가 고정될 수 있다. 그러나, 제1 자력부재(424)가 링 형상으로 형성되어 제2 수직바(421c)의 내측면에 결합되고 제2 자력부재(425)가 링 형상으로 형성되어 제2 바(422)의 외측면에 결합되는 것으로 한정될 것은 아니며, 제1 자력부재(424)와 제2 자력부재(425)의 형상 및 배치는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자력부재(424)는 링 형상으로 형성되어 복수 개가 제2 수직바(421c)의 내측면에 길이 방향을 따라 이격되어 결합되고, 제2 자력부재(425)는 제2 바(422)의 외주면에 만입 형성된 홈에 삽입되어 제1 자력부재(424)와 자력으로 결합될 수도 있다. 제2 자력부재(425)가 제2 바(422)의 외주면에 만입 형성된 홈에 삽입되는 경우, 제1 자력부재(424)의 개수를 증가시키면 제2 바(422)의 위치 조정이 보다 정밀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The first
이하,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사진 원리 교육용 전시체험부스(1)의 동작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FIGS. 5 to 7, the operation of the
도 5 내지 도 7은 사진 원리 교육용 전시체험부스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작동도이다.5 to 7 is an operation diagram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exhibition experience booth for educational photography principles.
본 발명에 따른 사진 원리 교육용 전시체험부스(1)는 다수의 체험자를 수용할 수 있는 암실부스(10) 내부에 피사체의 상이 크게 표시되므로, 카메라 옵스큐라의 원리를 직관적으로 용이하게 이해시킬 수 있다. 특히, 과학관 또는 전시관 또는 체험관 등에 설치될 경우, 전시물을 확대하여 표시할 수 있어 전시 수준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투영유닛(20)이 회전 가능하여 특정 위치가 아닌 다양한 위치의 피사체를 표시할 수 있어, 효율성이 증대될 뿐만 아니라 체험자의 관심을 유도하여 교육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The exhibition experience booth for
먼저, 도 5를 참조하면, 체험자는 암실부스(10) 일 측에 형성된 출입구(10a)를 통해 암실 내부에 들어갈 수 있으며, 이 때, 개방된 출입구(10a)를 통해 입사된 빛이 손잡이(41)에 부착된 야광시트(43)에 저장될 수 있다. 출입구(10a)가 폐쇄되면, 투시공(13a) 및 렌즈부(22)를 통과하여 수평 방향으로 유입된 피사체의 상이 경사지게 배치된 반사거울(23)에 의해 직하방으로 반사되어 제2 창(21b) 하부로 투영되며, 투영된 피사체의 상은 손잡이(41) 중앙을 통과하여 스크린테이블(30)의 상면에 표시될 수 있다. 복수 개의 렌즈(22b)를 통과한 피사체의 상은 스크린테이블(30)의 상면에 크게 표시되므로, 다수의 체험자가 동시에 관찰하더라도 불편함이 없으며 초점거리를 더 길게 형성할 수 있어 근거리에 위치한 피사체의 상이 스크린테이블(30)에 선명하게 투영될 수 있다. 또한, 렌즈부(22)를 통과하여 원형으로 투영된 피사체의 상이 원형을 이루는 스크린테이블(30)의 상면에 일치되므로, 체험자가 카메라 옵스큐라의 원리를 보다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다.First, referring to FIG. 5, an experienced person can enter the dark room through the
체험자는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잡이(41)를 파지하고 수평 방향으로 회전시켜 투영유닛(20)을 회전시킬 수 있다. 손잡이(41)의 외주면에는 야광시트(43)가 부착되어 있으므로, 체험자는 암실에서도 용이하게 손잡이(41)를 인지 및 조작할 수 있다. 키가 큰 체험자의 경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부재(423)가 압축되어 제2 바(422)가 제2 수직바(421c)에 최대한 수용된 상태에서도 손잡이(41)가 손에 닿으므로, 별도의 조작 없이 손잡이(41)를 파지하여 회전시킬 수 있다. 이 때, 제2 자력부재(425)는 상측에 위치한 제1 자력부재(424)와 자력으로 결합될 수 있다. 키가 작은 체험자가 조작하고자 하는 경우, 도 6의 (a) 상태에서 손잡이(41)를 잡고 아래로 당기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부재(423)가 이완되며 제2 바(422)가 제2 수직바(421c)로부터 돌출되므로, 별다른 어려움 없이 손잡이(41)를 파지하여 회전시킬 수 있다. 이 때, 제2 자력부재(425)는 하측에 위치한 제1 자력부재(424)와 자력으로 결합될 수 있다. 투영유닛(20)을 회전시키면, 다양한 위치의 피사체의 상이 반사 및 투영되므로 효율성이 증대되고 체험자의 관심을 유도할 수 있어 교육 효과가 향상될 수 있다. As shown in FIGS. 6 and 7, the experienced person can rotate the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Although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 person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may be implement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concept or essenti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You will understand. Therefo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illustrative in all respects and not restrictive.
1: 사진 원리 교육용 전시체험부스
10: 암실부스 10a: 출입구
11: 프레임 12: 암막
13: 투시캡 13a: 투시공
20: 투영유닛 21: 하우징
21a: 제1 창 21b: 제2 창
22: 렌즈부 22a: 박스체
22b: 렌즈 22c: 스페이서
23: 반사거울 30: 스크린테이블
40: 회전손잡이부 41: 손잡이
42: 연결바 421: 제1 바
421a: 제1 수직바 421b: 경사바
421c: 제2 수직바 422: 제2 바
423: 탄성부재 424: 제1 자력부재
425: 제2 자력부재 43: 야광시트1: Photo Principle Education Experience Booth
10:
11: frame 12: blackout
13:
20: Projection unit 21: Housing
21a:
22: lens unit 22a: box body
22b:
23: reflective mirror 30: screen table
40: rotating handle portion 41: handle
42: connecting bar 421: first bar
421a: First
421c: Second vertical bar 422: Second bar
423: elastic member 424: first magnetic member
425: second magnetic member 43: luminous sheet
Claims (7)
상기 암실부스 상단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수평 방향으로 유입되는 피사체의 상을 직하방으로 반사시켜 투영하는 투영유닛;
상기 암실부스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투영유닛 직하방에 위치하여 상기 투영유닛이 투영하는 상기 피사체의 상을 표시하는 테이블 형태의 스크린테이블, 및
상기 투영유닛에 연결되며 하부로 연장되어 상기 체험자가 파지하는 회전손잡이부를 포함하는 사진 원리 교육용 전시체험부스.A darkroom booth in which a doorway is formed on one side to accommodate an experienced person, and external light is blocked to form a darkroom;
A projection unit rotatably installed on the upper end of the darkroom booth and reflecting and projecting an image of a subject flowing in a horizontal direction downward;
A table-type screen table installed inside the darkroom booth and positioned directly below the projection unit to display an image of the subject projected by the projection unit, and
An exhibition experience booth for education of a photographic principle, which is connected to the projection unit and extends downward to include a rotating handle that is held by the experienced person.
적어도 일부가 상기 암실 외부로 노출되어 측면에 제1 창이 형성되고 하면에 제2 창이 형성되며 상기 제1 창과 상기 제2 창이 서로 연통되고 상기 암실부스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하우징과,
상기 제1 창에 설치되어 상기 피사체를 포커싱하는 렌즈부, 및
상기 렌즈부와 상기 제2 창 사이에 경사지게 설치되어 상기 렌즈부로 입사되는 상기 피사체의 상을 상기 제2 창 하부로 반사시키는 반사거울을 포함하는 사진 원리 교육용 전시체험부스.According to claim 1, The projection unit,
A housing in which at least a portion i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dark room, a first window is formed on a side surface, a second window is formed on a lower surface, and the first window and the second window communicate with each other and are rotatably coupled to the dark room booth,
A lens unit installed in the first window to focus the subject, and
An exhibition booth for educational teaching of photographic principles, including a reflection mirror which is installed obliquely between the lens unit and the second window to reflect an image of the subject incident on the lens unit to the lower portion of the second window.
링 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체험자가 파지하는 손잡이와,
상기 손잡이와 상기 하우징 사이를 연결하는 복수 개의 연결바를 포함하는 사진 원리 교육용 전시체험부스.According to claim 2, wherein the rotation handle,
It is formed in a ring shape and the handle gripped by the experienced person,
An exhibition booth for educational teaching of photographic principles including a plurality of connecting bars connecting between the handle and the housing.
상기 회전손잡이부는, 상기 손잡이 외주면을 따라 부착되며 상기 출입구를 통해 입사되는 빛을 저장하여 다시 발광하는 야광시트를 더 포함하는 사진 원리 교육용 전시체험부스.According to claim 3,
The rotating handle portion, an exhibition experience booth for educational teaching of a photographic principle further comprising a luminous sheet attached 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andle and storing light incident through the doorway to emit light again.
상기 하우징에 연결되는 제1 바와,
상기 제1 바와 중첩되며 상기 손잡이에 연결되는 제2 바, 및
상기 제1 바와 상기 제2 바 사이를 연결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사진 원리 교육용 전시체험부스.According to claim 4, The connecting bar,
A first bar connected to the housing,
A second bar overlapping the first bar and connected to the handle, and
An exhibition experience booth for education of a photographic principle comprising an elastic member connecting between the first bar and the second bar.
상기 제1 바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제1 자력부재와,
상기 제1 자력부재와 자력으로 결합되며 상기 제2 바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자력부재를 더 포함하는 사진 원리 교육용 전시체험부스.According to claim 5, The connecting bar,
At least one first magnetic member form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bar,
An exhibition experience booth for photographic principle education, further comprising at least one second magnetic member coupled to the first magnetic member and magnetically and form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econd bar.
상기 투영유닛은, 상기 피사체의 상이 상기 손잡이 중앙을 통과하도록 하여 상기 스크린테이블에 투사하는 사진 원리 교육용 전시체험부스.According to claim 3,
The projection unit, an exhibition experience booth for educational teaching of a principle of photographing the image of the subject through the center of the handle and projecting it on the screen table.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175545A KR102089690B1 (en) | 2019-12-26 | 2019-12-26 | Display and experience booth for training of photo principl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175545A KR102089690B1 (en) | 2019-12-26 | 2019-12-26 | Display and experience booth for training of photo principle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089690B1 true KR102089690B1 (en) | 2020-03-16 |
Family
ID=699485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175545A KR102089690B1 (en) | 2019-12-26 | 2019-12-26 | Display and experience booth for training of photo principl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089690B1 (en)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960000724U (en) * | 1994-06-22 | 1996-01-17 | 김기영 | Projector Projector with Rotatable Projection |
KR970006884Y1 (en) * | 1993-10-07 | 1997-07-09 | 이인순 | Asterism projector |
KR100480023B1 (en) * | 1997-12-30 | 2005-07-11 | 엘지전자 주식회사 | Auto Focusing Device of Head Projector |
JP2008089841A (en) * | 2006-09-29 | 2008-04-17 | Brother Ind Ltd | Projection device |
KR101022975B1 (en) | 2010-09-20 | 2011-03-22 | 유승협 | Container type system booth for display and event of indoor and outdoor |
-
2019
- 2019-12-26 KR KR1020190175545A patent/KR102089690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970006884Y1 (en) * | 1993-10-07 | 1997-07-09 | 이인순 | Asterism projector |
KR960000724U (en) * | 1994-06-22 | 1996-01-17 | 김기영 | Projector Projector with Rotatable Projection |
KR100480023B1 (en) * | 1997-12-30 | 2005-07-11 | 엘지전자 주식회사 | Auto Focusing Device of Head Projector |
JP2008089841A (en) * | 2006-09-29 | 2008-04-17 | Brother Ind Ltd | Projection device |
KR101022975B1 (en) | 2010-09-20 | 2011-03-22 | 유승협 | Container type system booth for display and event of indoor and outdoor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693082B1 (en) | A 3d observation device with glassless mode | |
CA2993686C (en) | Image projection device | |
JP6653744B1 (en) | Projection lens and projection device | |
US20160261301A1 (en) | Portable information device case and video picture display device case | |
TW200540459A (en) | Display device | |
JP2011530262A (en) | Portable multi-position magnifier camera | |
JP2014130305A (en) | Display device | |
JP2020071461A (en) | Projection lens and projection device | |
TW200524427A (en) | Actuator for improvement of resolution | |
KR102089690B1 (en) | Display and experience booth for training of photo principle | |
NO318883B1 (en) | Arrangement and procedure for improved communication between participants in a video conference | |
US20130050482A1 (en) | Digital capture device for learning | |
CN212302829U (en) | Be arranged in vocational education thinking guide picture display device | |
WO2013146240A1 (en) | Display device | |
KR20110098099A (en) | Underwater type projector | |
ES2326610B1 (en) | PORTABLE VIRTUAL REALITY SYSTEM BASED ON PROJECTION. | |
WO2020244009A1 (en) | Projector and ultra-short throw digital light processing projector | |
KR101785433B1 (en) | Image display apparatus for learning | |
JP5616121B2 (en) | Handle for door with display | |
US246164A (en) | Alphonse loiseau | |
JPS6026325A (en) | Composite image projector | |
HU227721B1 (en) | Display device for cyclorama | |
US6408136B1 (en) | Zoom camera obscura | |
KR0126615Y1 (en) | Cover of video camera with multi-change device for closed circuit television in order to transfer for real image | |
US20070041093A1 (en) | Projector screen for use in a lighted room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