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89276B1 - 기지국장치 및 업링크 송신파워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기지국장치 및 업링크 송신파워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89276B1
KR102089276B1 KR1020180132105A KR20180132105A KR102089276B1 KR 102089276 B1 KR102089276 B1 KR 102089276B1 KR 1020180132105 A KR1020180132105 A KR 1020180132105A KR 20180132105 A KR20180132105 A KR 20180132105A KR 102089276 B1 KR102089276 B1 KR 1020892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station
transmission power
frequency bands
terminal
channel qual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321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윤성
김덕경
권도일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321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8927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92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92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18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 H04W52/24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using SIR [Signal to Interference Ratio] or other wireless path parameters
    • H04W52/241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using SIR [Signal to Interference Ratio] or other wireless path parameters taking into account channel quality metrics, e.g. SIR, SNR, CIR, Eb/lo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06TPC algorithms
    • H04W52/14Separate analysis of uplink or downlink
    • H04W52/146Uplink power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30TPC using constraints in the total amount of available transmission power
    • H04W52/34TPC management, i.e. sharing limited amount of power among users or channels or data types, e.g. cell loading
    • H04W52/343TPC management, i.e. sharing limited amount of power among users or channels or data types, e.g. cell loading taking into account loading or congestion leve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38TPC being performed in particular situ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5Setup of multiple wireless link connec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8Access point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DC 환경에서 마스터/종속 기지국의 CC 대역폭 뿐만 아니라 기지국 부하 및 채널품질을 고려하여 DC 단말의 업링크 송신 파워세기를 최적으로 분배함으로써, 전체적인 시스템 성능(sum throughput)을 향상시킬 수 있는 업링크 송신파워 제어 기술을 제안한다.

Description

기지국장치 및 업링크 송신파워 제어 방법{BASE STATION AMD UPLINK POWER CONTROL METHOD}
본 발명은, 단말이 서로 다른 기지국에 동시 접속하여 통신 서비스를 이용하는 DC(Dual Connectivity) 환경에서, 시스템 성능을 보다 최적화할 수 있는 업링크 송신파워 제어 기술에 관한 것이다.
DC(Dual Connectivity) 기술은, 3GPP Rel. 12에서 처음 도입되고 Rel. 13에서 추가적으로 표준화가 진행된 기술로서, 하나의 단말이 2 개의 기지국과 동시에 접속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함으로써, 서로 다른 기지국을 통해 통신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기술이다.
DC 기술에서 단말이 접속하는 2 개의 기지국은, 마스터 기지국(Master eNodeB)과 종속 기지국(Secondary eNodeB)로 구분된다.
한편, E-UTRA NR Dual Connectivity를 의미하는 5G EN-DC(Evolved-Universal Terrestrial Radio Access-New Radio Dual Connectivity)는 3GPP Rel. 15에서 도입되었다.
5G EN-DC 시스템은 단말이 LTE 기지국 및 NR 기지국과 동시에 접속하여 통신 서비스를 이용하는 DC를 지원한다. 이를 가능하게 하기 위해서는, LTE와 5G NR 기지국 간 밀접한 상호 작용(tight interworking)이 요구된다.
예를 들면, 새로운 5G new RAT은 매우 높은 주파수 대역에서 매우 큰 트래픽 용량과 매우 높은 end-user의 data rate를 지원해야 하는 곳에 배치 될 수 있다. 그러나, 이는 선천적으로 매우 불안정하기 때문에, 낮은 주파수 대역의 LTE 기지국과 높은 주파수 대역의 5G 기지국과 동시에 연결할 수 있는 DC 기술을 통해 안정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을 것이다.
한편, 단말이 이용하는 CC(Component Carrier)에서 사용 가능한 최대 송신 파워세기는, 기지국 입장에서 해당 CC에 접속하고 있는 여러 단말에 최적의 무선자원(예: Resource Block(RB), MCS 등)을 할당하기 위해 반드시 필요한 중요 정보이다.
헌데, DC 기술의 경우, 단말(이하, DC 단말)이 서로 다른 기지국의 CC에 동시 접속하는 환경에서, 각 CC 별로 독립적으로 무선자원 할당 동작(이하, Scheduling)이 수행되기 때문에, 마스터 기지국은 업링크 DC 운용을 시작하기 전에 DC 단말의 최대 송신 파워세기(Pmax)를 넘지 않는 범위에서 마스터/종속 기지국 별로 최대로 사용 가능한 송신 파워세기를 적절히 분배하고, 이를 종속 기지국 및 DC 단말에 알려주어야 한다.
그리고, 현재까지의 표준에서는, 5G EN-DC 시스템에서 마스터 기지국이 마스터/종속 기지국 별로 사용 가능한 송신 파워세기를 분배하는 기법에 대하여, 세부적으로 정의하고 있지 않고 있다.
이에, 5G EN-DC 시스템에서는, DC 단말의 최대 송신 파워세기(Pmax)를 마스터/종속 기지국의 CC 대역폭에 비례하여 분배하는 수준의 분배 기법이 이용되리라 예상된다.
헌데, 이러한 기존 분배 기법은, 마스터/종속 기지국 별로 보유한 CC 대역폭 만을 고려해 송신 파워세기를 분배하기 때문에, DC 단말과 마스터/종속 기지국 간 경로 손실 불균형이 심하거나 기지국 별 부하의 차이로 인해 단말에 할당 가능한 무선자원(RB)의 양의 차이가 존재할 경우, 비효율적인 송신 파워세기 분배를 야기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CC 대역폭 뿐만 아니라 기지국 부하 및 채널품질을 고려하여, 시스템 성능을 보다 최적화할 수 있도록 하는 새로운 분배 기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상기한 사정을 감안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 도달하고자 하는 목적은, DC 환경에서 마스터/종속 기지국의 CC 대역폭 뿐만 아니라 기지국 부하 및 채널품질을 고려하여, DC 단말의 업링크 송신 파워세기를 분배하는 새로운 기법을 실현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1 관점에 따른 기지국장치는, 2 이상의 주파수대역에 접속하여 통신 서비스를 이용하는 특정 단말에 대하여, 상기 2 이상의 주파수대역 별로 상기 특정 단말의 채널품질을 확인하는 채널품질확인부; 및 상기 2 이상의 주파수대역 각각의 대역폭 및 상기 2 이상의 주파수대역 별로 확인한 채널품질을 근거로, 상기 특정 단말의 주파수대역 별 송신 파워세기를 제어하는 송신파워제어부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2 이상의 주파수대역 각각에 대한 부하정보를 확인하는 부하정보확인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송신파워제어부는, 상기 2 이상의 주파수대역 각각의 대역폭 및 부하정보와 상기 2 이상의 주파수대역 별로 확인한 채널품질을 근거로, 상기 특정 단말의 최대 송신 파워세기를 상기 2 이상의 주파수대역 별로 분배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송신파워제어부는, 상기 2 이상의 주파수대역 별로, 주파수대역의 대역폭 및 부하정보, 주파수대역에서 이용하는 자원할당 방식에 기초하여 상기 특정 단말이 이용 가능한 실효 대역폭을 계산하고, 상기 2 이상의 주파수대역 별로, 상기 특정 단말의 계산된 실효 대역폭 및 확인한 채널품질을 이용하여 상기 특정 단말의 최대 송신 파워세기 중 분배할 송신 파워세기를 계산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2 이상의 주파수대역은, 상기 기지국장치의 CC(component carrier) 및 상기 통신 서비스 제공을 위해 상기 기지국장치와 연동하는 연동 기지국의 CC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채널품질확인부는, 상기 2 이상의 주파수대역 중 상기 연동 기지국의 CC에 대한 상기 특정 단말의 채널품질을 상기 연동 기지국으로부터 획득하며, 상기 부하정보확인부는, 상기 2 이상의 주파수대역 중 상기 연동 기지국의 CC에 대한 부하정보를 상기 연동 기지국으로부터 획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송신파워제어부는, 상기 특정 단말의 최대 송신 파워세기를 상기 2 이상의 주파수대역 별로 분배한 분배정보를, 상기 연동 기지국 및 상기 단말로 전달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2 관점에 따른 기지국장치에서 수행되는 업링크 송신파워 제어 방법은, 2 이상의 주파수대역에 접속하여 통신 서비스를 이용하는 특정 단말에 대하여, 상기 2 이상의 주파수대역 별로 상기 특정 단말의 채널품질을 확인하는 채널품질확인단계; 및 상기 2 이상의 주파수대역 각각의 대역폭 및 상기 2 이상의 주파수대역 별로 확인한 채널품질을 근거로, 상기 특정 단말의 주파수대역 별 송신 파워세기를 제어하는 송신파워제어단계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2 이상의 주파수대역 각각에 대한 부하정보를 확인하는 부하정보확인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송신파워제어단계는, 상기 2 이상의 주파수대역 각각의 대역폭 및 부하정보와 상기 2 이상의 주파수대역 별로 확인한 채널품질을 근거로, 상기 특정 단말의 최대 송신 파워세기를 상기 2 이상의 주파수대역 별로 분배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송신파워제어단계는, 상기 2 이상의 주파수대역 별로, 주파수대역의 대역폭 및 부하정보, 주파수대역에서 이용하는 자원할당 방식에 기초하여 상기 특정 단말이 이용 가능한 실효 대역폭을 계산하고, 상기 2 이상의 주파수대역 별로, 상기 특정 단말의 계산된 실효 대역폭 및 확인한 채널품질을 이용하여 상기 특정 단말의 최대 송신 파워세기 중 분배할 송신 파워세기를 계산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2 이상의 주파수대역은, 상기 기지국장치의 CC(component carrier) 및 상기 통신 서비스 제공을 위해 상기 기지국장치와 연동하는 연동 기지국의 CC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특정 단말의 최대 송신 파워세기를 상기 2 이상의 주파수대역 별로 분배한 분배정보를, 상기 연동 기지국 및 상기 단말로 전달하는 전달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의 기지국장치 및 업링크 송신파워 제어 방법에 따르면, DC 환경에서 마스터/종속 기지국의 CC 대역폭 뿐만 아니라 기지국 부하 및 채널품질을 고려하여, DC 단말의 업링크 송신 파워세기를 분배하는 새로운 기법을 실현함으로써, 전체적인 시스템 성능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도출한다.
도 1은 단말이 서로 다른 기지국에 동시 접속하는 DC 환경을 보여주는 예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송신 파워세기 분배 기법과 기존 기법을 비교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상황에서 종속 기지국의 접속자 수가 증가할 경우 DC 단말의 전송 성능을 보여주는 예시도이다.
도 6 및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업링크 송신파워 제어 방법의 동작 흐름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서로 다른 기지국이 각기 형성하는 각 단위 주파수대역(component carrier, CC)의 셀이 중첩되는 환경을 도시하고 있다.
여기서 기지국(100)은 CC1의 셀을 형성하고, 기지국(200)은 CC2의 셀을 형성하는 상황을 도시하고 있다.
이 경우, 단말(2)는 기지국(100) 하나에만 접속할 것이고, 단말(1)은 필요에 의해 기지국(100) 및 기지국(200)에 동시에 접속하여 DC 기능으로 동작할 수도 있다.
한편, 기지국(100) 및 기지국(200) 중 하나를 LTE 기지국, 나머지 하나는 NR 기지국으로 가정하면, 도 1에 도시된 DC 환경은 5G EN-DC 시스템이 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 상, 단말(1)이 기지국(100) 및 기지국(200)에 동시에 접속하여 DC 기능으로 동작하는 DC 단말인 것으로 가정하여 설명하겠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DC 환경에서, DC 단말이 접속하는 2 개의 기지국은, 마스터 기지국(Master eNodeB)과 종속 기지국(Secondary eNodeB)로 구분된다.
따라서, DC 단말(1) 입장에서, 기지국(100) 및 기지국(200) 중 하나는 마스터 기지국(예: 100)이고 나머지 하나는 종속 기지국(예: 200)일 것이다.
한편, 도 1에서는, 각 기지국(100,200)이 각기 하나의 CC 셀을 형성하는 상황을 도시하고 있으나, 이는 간략한 설명을 위한 일 실시예이며, 기지국(100)은 다수의 CC 별 셀을 형성할 수도 있고 기지국(200) 역시 다수의 CC 별 셀을 형성할 수도 있다.
이에, 각 기지국(100,200)은 DC 기술 외에도 CA(Carrier Aggregation) 기술을 지원할 수 있다.
이 경우, 마스터 기지국(100) 및 종속 기지국(200) 각각은, CA 기술에 따라 하나의 Primary CC(이하, PCell)를 갖고 CA가 동작할 경우 하나 이상의 Secondary CC(이하, SCell)를 보유할 수 있다.
이처럼 마스터 기지국(100)에 존재하는 PCell 및 SCell들을 하나의 그룹으로 묶어 master cell group(MCG)라고 하고, 종속 기지국(200)에 존재하는 PCell 및 SCell들을 하나의 그룹으로 묶어 secondary cell group(SCG) 라 한다.
다만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 상, 각 기지국(100,200)이 각기 하나의 CC1/CC2 셀을 형성하는 상황으로 설명하겠다.
DC 기능으로 동작 가능한 단말(1)을 언급하여 설명하면, 업링크의 경우 단말(1)의 제한된 최대 송신 파워세기(Pmax, 예: 25dBm) 내에서 기지국과의 거리에 따라 증가하는 경로 손실 (Pathloss) 보상과 업링크 무선자원 할당량에 따른 추가 송신 파워 소모를 동시에 감당하여야 한다.
따라서 각 단말이 해당 cc에서 사용 가능한 최대 송신 전력 정보는 기지국 입장에서 해당 cc내 존재하는 여러 단말에 최적의 무선 자원 할당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서 반드시 필요한 정보이다.
단말이 이용하는 CC에서 사용 가능한 송신 파워세기(Pc max)는, 기지국 입장에서 해당 CC에 접속하고 있는 여러 단말에 최적의 무선자원(예: Resource Block(RB), MCS 등)을 할당하기 위해 반드시 필요한 중요 정보이다.
헌데, DC 기술의 경우, 단말(이하, DC 단말)이 서로 다른 기지국의 CC에 동시 접속하는 환경에서, 각 CC 즉 각 기지국 별로 독립적으로 무선자원 할당 동작(이하, Scheduling)이 수행되기 때문에, 마스터 기지국은 업링크 DC 운용을 시작하기 전에 DC 단말의 최대 송신 파워세기(Pmax)를 넘지 않는 범위에서 마스터/종속 기지국 별로 최대로 사용 가능한 송신 파워세기를 적절히 분배하고(Pc max), 이를 종속 기지국 및 DC 단말에 알려주어야 한다.
그리고, 현재까지의 표준에서는, 5G EN-DC 시스템에서 마스터 기지국이 마스터/종속 기지국 별로 사용 가능한 송신 파워세기를 분배하는 기법에 대하여, 세부적으로 정의하고 있지 않고 있다.
이에, 5G EN-DC 시스템에서는, DC 단말의 최대 송신 파워세기(Pmax)를 마스터/종속 기지국의 CC 대역폭에 비례하여 분배하는 수준의 분배 기법이 이용되리라 예상된다.
헌데, 이러한 기존 분배 기법은, 마스터/종속 기지국 별로 보유한 CC 대역폭 만을 고려해 송신 파워세기를 분배하기 때문에, DC 단말과 마스터/종속 기지국 간 경로 손실 불균형이 심하거나 기지국 별 부하의 차이로 인해 단말에 할당 가능한 무선자원(RB)의 양의 차이가 존재할 경우, 비효율적인 송신 파워세기 분배를 야기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CC 대역폭 뿐만 아니라 기지국 부하 및 채널품질을 고려하여, 시스템 성능을 보다 최적화할 수 있도록 하는 새로운 분배 기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송신 파워세기 분배 기법(기술)을 실현하는 기지국장치를 제안하고자 한다.
이하에서는,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장치를 설명하겠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기지국장치(100)는, 채널품질확인부(110), 부하정보확인부(120), 송신파워제어부(1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더 나아가, 본 발명의 기지국장치(100)는, 통신부(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통신부(140)는 예컨대, 안테나 시스템, RF 송수신기, 하나 이상의 증폭기, 튜너, 하나 이상의 발진기, 디지털 신호 처리기, 코덱(CODEC) 칩셋, 및 메모리 등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는 않으며, 이 기능을 수행하는 공지의 회로는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이에, 기지국장치(100)는 통신부(140)를 기반으로, 단말과 접속하여 통신할 수 있고, DC 동작을 위한 Xn 인터페이스를 통해 연동 기지국(마스터 또는 종속)과 통신할 수 있다.
이러한 기지국장치(100)의 구성 전체 내지는 적어도 일부는 하드웨어 모듈 형태 또는 소프트웨어 모듈 형태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 모듈과 소프트웨어 모듈이 조합된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소프트웨어 모듈이란, 예컨대, 기지국장치(100) 내에서 연산을 제어하는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명령어로 이해될 수 있으며, 이러한 명령어는 기지국장치(100) 내 메모리에 탑재된 형태를 가질 수 있을 것이다.
결국,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장치(100)는 전술한 구성을 통해,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새로운 기법 즉 기지국 부하 및 채널품질을 고려한 송신 파워세기 분배 기법을 실현하며, 이하에서는 이를 실현하기 위한 기지국장치(100) 내 각 구성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설명에 앞서, 본 발명의 기지국장치(100)는, DC 동작하는 마스터/종속 기지국 중 마스터 기지국에 해당된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 상 도 1에 도시된 환경을 가정하여, 단말(1)이 기지국(100) 및 기지국(200)에 동시에 접속하여 DC 기능으로 동작하는 상황을 가정하고, 본 발명의 기지국장치가 기지국(100,200) 중 마스터 기지국(100)인 것으로 가정하여 설명하겠다.
채널품질확인부(110)는, 2 이상의 주파수대역에 접속하여 통신 서비스를 이용하는 특정 단말에 대하여, 2 이상의 주파수대역 별로 특정 단말의 채널품질을 확인한다.
전술의 가정에 따르면, 특정 단말은 DC 기능으로 동작하는 단말(1, 이하 DC 단말(1)), 2 이상의 주파수대역은 마스터 기지국(100)의 CC1, 종속 기지국(200)의 CC2에 해당될 것이다.
이에, 채널품질확인부(110)는, DC 단말(1)에 대하여, 마스터 기지국(100)의 CC1/종속 기지국(200)의 CC2 별로 DC 단말(1)의 업링크 채널품질을 확인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기지국장치(100, 마스터 기지국)는, CC1에 접속하고 있는 각 단말의 업링크 채널품질을 모니터링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으며, 모니터링 방식에는 제한을 두지 않는다.
예컨대, 기지국장치(100, 마스터 기지국)는, CC1을 이용하여 접속한 단말이 기지국장치(100)의 다운링크 신호 수신 시 측정한 DL 채널측정값을 주기적으로 보고하면, 이를 단말의 업링크 채널품질로서 확인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설명하면, 기지국장치(100, 마스터 기지국)는, CC1을 이용한 단말의 초기 접속 시 즉 단말의 업링크 전송이 발생하기 전 시점에는, 단말이 측정/보고하는 DL 채널측정값을 단말의 업링크 채널품질로서 확인하되, 단말의 업링크 전송이 발생한 이후부터는, 단말의 업링크 신호에 포함되는 특정 신호(예: Reference signal)를 기반으로 UL 채널측정값을 측정/생성하여 이를 단말의 업링크 채널품질로서 확인할 수도 있다.
이에, 채널품질확인부(110)는, 기지국장치(100, 마스터 기지국)에서의 모니터링 기능을 통해, CC1에 대한 DC 단말(1)의 업링크 채널품질(예: 경로 손실, SNR 등)을 쉽게 확인할 수 있다.
한편, 채널품질확인부(110)는, 종속 기지국(200)으로부터 CC2에 대한 DC 단말(1)의 업링크 채널품질(예: 경로 손실, SNR 등)을 획득하여 확인한다.
채널품질확인부(110)가 종속 기지국(200)으로부터 DC 단말(1)의 업링크 채널품질(예: 경로 손실, SNR 등)을 획득하는 과정은, 이하에서 다시 구체적으로 설명하겠다.
한편, 부하정보확인부(120)는, 특정 단말이 접속하고 있는 2 이상의 주파수대역에 각각에 대한 부하정보를 확인한다.
즉, 전술의 가정에 따르면, 부하정보확인부(120)는, DC 단말(1)이 접속하고 있는 CC1/CC2 각각에 대한 부하정보를 확인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기지국장치(100, 마스터 기지국)는, 자신의 CC1에 접속하고 있는 각 단말의 수(이하, 접속자 수), 또는 다른 인자를 기준으로 하는 부하 상태 등을 모니터링할 수 있다.
이에, 부하정보확인부(120)는, 기지국장치(100, 마스터 기지국)에서의 모니터링 기능을 통해, CC1에 대한 부하정보(예: 접속자 수)을 쉽게 확인할 수 있다.
한편, 부하정보확인부(120)는, 종속 기지국(200)으로부터 CC2에 대한 부하정보(예: 접속자 수)를 획득하여 확인한다.
이하에서는, 채널품질확인부(110) 및 부하정보확인부(120)가 종속 기지국(200)으로부터 DC 단말(1)의 업링크 채널품질(예: 경로 손실, SNR 등)/부하정보(예: 접속자 수)를 획득하는 과정을 설명하겠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기지국장치(100, 마스터 기지국)는, 종속 기지국으로의 정보 요청이 필요한 상황 발생 시, 종속 기지국으로 정보 제공을 요청하고 이에 따른 응답을 통해, 업링크 채널품질/ 부하정보 등을 획득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기지국장치(100, 마스터 기지국)는, 단말(1)이 DC 기능으로 동작 개시하는 시점 즉 신규 DC 단말 접속 시, 종속 기지국으로의 정보 요청이 필요한 상황 발생으로 인지할 수 있다.
이 경우, 기지국장치(100, 마스터 기지국)는, DC 동작을 위해 종속 기지국(200)으로 DC 단말(1)에 대한 DC 협력을 요청하면서, 정보 제공을 함께 요청할 수 있다.
이렇게 되면, 종속 기지국(200)은, DC 단말(1)에 대한 DC 협력 요청(정보 제공 요청 포함)이 수신되는 경우, 일반적인 DC 협력 절차에 따라 DC 협력 요청을 토대로 DC 단말(1)과 접속하여 DC 단말(1)에 대한 DC 동작을 지원함과 동시에, 자신의 CC2에서 확인되는 DC 단말(1)의 업링크 채널품질(예: 경로 손실, SNR 등), 자신의 부하정보(예: 접속자 수), 접속 과정에서 알게 된 DC 단말(1)의 최대 송신 파워세기(Pmax) 등을 마스터 기지국(100)으로 전달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의 기지국장치(100, 마스터 기지국), 특히 채널품질확인부(110) 및 부하정보확인부(120)는, CC2에 대한 DC 단말(1)의 업링크 채널품질(예: 경로 손실, SNR 등)을 획득하여 확인할 수 있고, CC2에 대한 부하정보(예: 접속자 수)를 획득하여 확인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다른 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기지국장치(100, 마스터 기지국)는, 앞서 설명한 모니터링 기능을 기반으로, 자신(CC1)의 부하 상태가 기 설정된 기준치 이상으로 변화하거나 또는 자신(CC1)에 접속한 DC 단말(예: 단말1)의 채널품질이 기 설정된 기준치 이상으로 변화하는 경우, 종속 기지국으로의 정보 요청이 필요한 상황 발생으로 인지할 수 있다.
이에, 기지국장치(100, 마스터 기지국)는, 부하 상태가 기준치 이상 변화 시 자신(CC1)에 접속한 DC 단말에 대하여, 종속 기지국(200)으로 정보 제공을 요청할 수 있고, DC 단말(1)의 채널품질이 기준치 이상으로 변화 시 DC 단말(1)에 대하여 종속 기지국(200)으로 정보 제공을 요청할 수 있다.
이렇게 되면, 종속 기지국(200)은, 실시간으로 자신(CC2)에서 확인되는 요청된 DC 단말의 업링크 채널품질(예: 경로 손실, SNR 등)/ 최대 송신 파워세기(Pmax), 자신의 부하정보(예: 접속자 수) 등을 마스터 기지국(100)으로 전달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의 기지국장치(100, 마스터 기지국), 특히 채널품질확인부(110) 및 부하정보확인부(120)는, CC2에 대한 DC 단말(1)의 업링크 채널품질(예: 경로 손실, SNR 등) 및 CC2에 대한 부하정보(예: 접속자 수)를 유의미한 최신의 것으로 업데이트하여 확인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다른 예에 따르면, 종속 기지국(200)은, 전술과 같은 모니터링 기능을 기반으로, 자신(CC2)의 부하 상태가 기 설정된 기준치 이상으로 변화하거나 또는 자신(CC2)에 접속한 DC 단말(예: 단말1)의 채널품질이 기 설정된 기준치 이상으로 변화하는 경우, 실시간으로 자신(CC2)에서 확인되는 각 DC 단말(또는 DC 단말(1))의 업링크 채널품질(예: 경로 손실, SNR 등)/ 최대 송신 파워세기(Pmax), 자신의 부하정보(예: 접속자 수) 등을 마스터 기지국(100)으로 전달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의 기지국장치(100, 마스터 기지국), 특히 채널품질확인부(110) 및 부하정보확인부(120)는, CC2에 대한 DC 단말(1)의 업링크 채널품질(예: 경로 손실, SNR 등) 및 CC2에 대한 부하정보(예: 접속자 수)를 유의미한 최신의 것으로 업데이트하여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전술의 실시예 외에도, 종속 기지국(200)은, 주기적으로 자신(CC2)에서 확인되는 각 DC 단말의 업링크 채널품질(예: 경로 손실, SNR 등)/최대 송신 파워세기(Pmax), 자신의 부하정보(예: 접속자 수) 등을 마스터 기지국(100)으로 전달할 수도 있다.
즉, 본 발명에서는, 기지국장치(100, 마스터 기지국)가 종속 기지국(200)으로부터 본 발명을 위해 필요한 정보(DC 단말의 업링크 채널품질/최대 송신 파워세기(Pmax), 부하정보)를 획득하는데 있어서, 그 획득 방식이 한정될 필요가 없다.
그리고, 기지국장치(100, 마스터 기지국) 및 종속 기지국(200) 간 정보 제공 요청 및/또는 정보 전달은, inter-eNodeB RRC signaling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송신파워제어부(130)는, 2 이상의 주파수대역 각각의 대역폭 및 2 이상의 주파수대역 별로 확인한 채널품질을 근거로, 특정 단말의 주파수대역 별 송신 파워세기를 제어한다.
즉, 전술의 가정에 따르면, 송신파워제어부(130)는, DC 단말(1)이 접속하고 있는 CC1/CC2 각각의 대역폭 및 CC1/CC2 별로 확인한 DC 단말(1)의 업링크 채널품질(예: 경로 손실, SNR 등)을 근거로, DC 단말(1)의 최대 송신 파워세기(Pmax)를 CC1/CC2 별로 분배하는 제어를 수행하는 것이다.
더 나아가, 송신파워제어부(130)는, DC 단말(1)이 접속하고 있는 CC1/CC2 각각의 대역폭 및 부하정보(예: 접속자 수)와 CC1/CC2 별로 확인한 DC 단말(1)의 업링크 채널품질(예: 경로 손실, SNR 등)을 근거로, DC 단말(1)의 최대 송신 파워세기(Pmax)를 CC1/CC2 별로 분배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송신파워제어부(130)가, DC 단말(1)의 최대 송신 파워세기(Pmax)를 CC1/CC2 별로 분배하는 일 실시예를 구체적으로 설명하겠다.
송신파워제어부(130)는, 2 이상의 주파수대역 즉 전술의 예시에 따른 CC1/CC2 별로, CC의 대역폭(예: RB 총수) 및 부하정보(예: 접속자 수), CC에서 이용하는 자원할당 방식에 기초하여 DC 단말(1)이 이용 가능한 실효 대역폭을 계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CC1 및 CC2에서 이용하는 자원할당 방식 즉 Scheduling 방식을, round-robin 방식으로 가정할 수 있다.
이 경우, 송신파워제어부(130)는, CC1/CC2 별로, 다음의 수학식 1과 같이 CC의 대역폭 즉 RB 총수를 CC의 부하정보 즉 접속자 수로 나누어, DC 단말(1)이 이용 가능한 실효 대역폭을 계산할 수 있다.
Figure 112018107920349-pat00001
여기서, Bc는 c 번째 CC의 대역폭 즉 RB 총수, NUE,c는 c 번째 CC의 접속자 수를 의미한다.
이처럼 계산된 실효 대역폭은, CC의 대역폭에 CC의 실시간 부하 상황이 반영된 대역폭을 의미한다.
그리고, 송신파워제어부(130)는, 2 이상의 주파수대역 즉 CC1/CC2 별로, DC 단말(1)의 계산된 실효 대역폭 및 확인한 채널품질(예: 경로 손실, SNR 등)을 이용하여, DC 단말(1)의 최대 송신 파워세기(Pmax) 중 분배할 송신 파워세기(Pc max)를 계산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송신파워제어부(130)는, 다음의 수학식 2에 따라서, CC1/CC2 별로, DC 단말(1)의 계산된 실효 대역폭(
Figure 112018107920349-pat00002
) 및 채널품질(Hc)을 이용하여, DC 단말(1)의 최대 송신 파워세기(Pmax) 중 분배할 송신 파워세기(Pc max)를 계산할 수 있다.
Figure 112018107920349-pat00003
여기서, Hc는 c 번째 CC의 업링크 채널품질을 의미하고, λ는 다음의 수학식 3과 같다.
Figure 112018107920349-pat00004
여기서,
Figure 112018107920349-pat00005
Figure 112018107920349-pat00006
는 잡음 전력 밀도를 의미하고, Pmax는 최대 송신 파워세기(Pmax)를 의미한다.
결국, 송신파워제어부(130)는, CC1/CC2 별 사용 가능한 송신 파워세기(Pc max)로서, 실효 대역폭(
Figure 112018107920349-pat00007
)이 클수록(부하가 작을수록) 더 큰 파워세기를 분배하고 채널품질(Hc)이 좋을수록 더 큰 파워세기를 분배하는 것이다.
송신파워제어부(130)는, 전술과 같이 CC1/CC2 별로, DC 단말(1)의 최대 송신 파워세기(Pmax)를 계산/분해한 분배정보를 연동 기지국 즉 종속 기지국(200) 및 DC 단말(1)로 전달하여, 종속 기지국(200) 및 DC 단말(1)에 알려줄 수 있다.
이때, 분배정보는, inter-eNodeB RRC signaling을 통해 종속 기지국(200)으로 전달될 수 있고, RRC 메시지를 통해 DC 단말(1)로 전달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송신 파워세기 분배 기법과 기존 기법을 비교 설명하겠다.
먼저, 도 3에서는, 종속 기지국 CC2의 대역폭이 마스터 기지국 CC1의 대역폭보다 5배 크며, 마스터 기지국 CC1에는 Non-DC 단말(2)까지 접속하고 있는 상황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라 CC1/CC2 별로 계산한 DC 단말(1)의 실효 대역폭은, 마스터 기지국 CC1에서 종속 기지국 CC2 대비 10배 적다.
그러나, 도 3에서는, 마스터 기지국의 채널품질(예: 경로 손실)이 10dB 높기 때문에(CC1/CC2에 대한 경로손실, 109Db/119dB로 가정), 본 발명에 따르면 DC 단말(1)의 최대 송신 파워세기(Pmax) 내에서, CC1/CC2 별로 DC 단말(1)의 사용 가능한 송신 파워세기(Pc max)를 각각 16.6dBm, 21.8dBm 로 분배할 수 있다.
이에 반해 기지국 별 대역폭만 고려하는 기존의 분배 기법에 따른다면, 종속 기지국 CC2의 대역폭이 마스터 기지국 CC1의 대역폭보다 5배 크기 때문에, CC1/CC2 별로 DC 단말(1)의 사용 가능한 송신 파워세기(Pc max)를 15.2dBm, 22.2dBm로 분배할 것이다.
이상에서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의 송신 파워세기 분배 기법에 따르면, 마스터/종속 기지국의 CC 별로, 대역폭 뿐만 아니라 부하 및 채널품질을 고려하기 때문에, 기존 분배 기법 대비 마스터 기지국 CC1에 조금 더 큰 송신 파워세기(Pc max)를 분배할 수 있고 이로 인해 DC 단말(1)의 전송 성능(throughput)이 증가될 것이다.
한편, 도 4에서는, 도 3과 마찬가지로 종속 기지국 CC2의 대역폭이 마스터 기지국 CC1의 대역폭보다 5배 크며, 도 3과 반대로 종속 기지국 CC2에 Non-DC 단말(2)까지 접속하고 있는 상황이다.
기존의 분배 기법에 따른다면, 도 3의 상황과 비교하여 CC1/CC2의 부하 상황이 달라졌음에도 불구하고, 종속 기지국 CC2의 대역폭이 마스터 기지국 CC1의 대역폭보다 5배 크기 때문에, CC1/CC2 별로 DC 단말(1)의 사용 가능한 송신 파워세기(Pc max)를 15.2dBm, 22.2dBm로 분배할 것이다.
하지만, 본 발명의 송신 파워세기 분배 기법에 따르면, CC1/CC2 별로 대역폭 뿐만 아니라 부하 및 채널품질을 고려하기 때문에, DC 단말(1)의 최대 송신 파워세기(Pmax) 내에서, CC1/CC2 별로 DC 단말(1)의 사용 가능한 송신 파워세기(Pc max)를 서로 비슷하게 각각 19.3dBm, 20.0dBm 로 분배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르면, 종속 기지국의 부하가 증가할수록 DC 단말(1)에게 이용 가능한 실효 대역폭이 작아지게 되고, 이처럼 작아진 실효 대역폭 크기에 비례하여 CC2에 분배할 송신 파워세기(Pc max)의 크기를 작아지고 대신 CC1에 분배할 송신 파워세기(Pc max)가 커질 수 있는 것이다.
도 5는, 도 4의 상황에서 종속 기지국의 접속자 수가 증가할 경우 DC 단말의 전송 성능(sum throughput)을 보여주는 예시도이다.
즉, 도 5에서는, 도 4의 상황 즉 마스터 기지국 CC1에 DC 단말(1)이 접속되고 종속 기지국 CC2에 DC 단말(1) 및 Non-DC 단말(2)이 접속된 상황에서, 종속 기지국 CC2에 접속자 수가 증가하는 상황 즉 부하 불균형이 커지는 상황을 가정하여 보여주고 있다.
도 5에서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의 송신 파워세기 분배 기법에 따르면, 종속 기지국 CC2의 접속자 수가 증가하여 부하 불균형이 커질수록, CC2에 분배하는 DC 단말의 송신 파워세기(Pc max)가 감소하기 때문에, 기존 분배 기법과 비교할 때 DC 단말에서 체감하는 전체 전송 성능(sum throughput) 간 차이가 더욱 커지게 된다.
이상, 본 발명에 따르면, DC 환경에서 마스터/종속 기지국의 CC 대역폭 뿐만 아니라 기지국 부하 및 채널품질을 고려하여, DC 단말의 업링크 송신 파워세기를 최적으로 분배하는 새로운 송신 파워세기 분배 기법을 실현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본 발명에 따르면, DC 단말이 CC 별로 기지국 부하 및 채널품질을 고려한 최적의 송신 파워세기를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전체적인 시스템 성능(sum throughput)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도출한다.
이하에서는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업링크 송신파워 제어 방법을 설명하겠다.
설명의 편의 상, 전술의 도 1에 도시된 DC 환경에서, 기지국장치(100, 마스터 기지국)을 언급하여 설명하겠다.
먼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업링크 송신파워 제어 방법에 따르면, 기지국장치(100, 마스터 기지국)는 자신의 CC 별로 CC의 부하정보(예: 접속자 수)를 모니터링하여 확인할 수 있고 자신의 CC 별로 접속하고 있는 각 DC 단말의 업링크 채널품질(예: 경로 손실, SNR 등)을 모니터링하여 확인할 수 있다(S100).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 상, 기지국장치(100, 마스터 기지국)의 CC1 하나만을 언급하여 설명하고, 후술의 종속 기지국(200)의 CC2 하나만을 언급하여 설명하겠다.
본 발명의 업링크 송신파워 제어 방법에 따르면, 기지국장치(100, 마스터 기지국)는 종속 기지국으로의 정보 요청이 필요한 상황 발생하는지 확인한다(S110).
일 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업링크 송신파워 제어 방법에 따르면, 단말(1)이 DC 기능으로 동작 개시하는 시점 즉 신규 DC 단말 접속 시, 종속 기지국으로의 정보 요청이 필요한 상황 발생으로 인지할 수 있다(S110 Yes).
이 경우, 본 발명의 업링크 송신파워 제어 방법에 따르면, 기지국장치(100, 마스터 기지국)는 DC 동작을 위해 종속 기지국(200)으로 DC 단말(1)에 대한 DC 협력을 요청하면서, 정보 제공을 함께 요청할 수 있다(S120).
이렇게 되면, 종속 기지국(200)은, DC 단말(1)에 대한 DC 협력 요청(정보 제공 요청 포함)이 수신되는 경우, 일반적인 DC 협력 절차에 따라 DC 협력 요청을 토대로 DC 단말(1)과 접속하여 DC 단말(1)에 대한 DC 동작을 지원함과 동시에, 자신의 CC2에서 확인되는 DC 단말(1)의 업링크 채널품질(예: 경로 손실, SNR 등), 자신의 부하정보(예: 접속자 수), 접속 과정에서 알게 된 DC 단말(1)의 최대 송신 파워세기(Pmax) 등을 마스터 기지국(100)으로 전달할 수 있다(S130).
이에, 본 발명의 업링크 송신파워 제어 방법에 따르면, 기지국장치(100, 마스터 기지국)는 CC2에 대한 DC 단말(1)의 업링크 채널품질(예: 경로 손실, SNR 등)을 획득하여 확인할 수 있고, CC2에 대한 부하정보(예: 접속자 수)를 획득하여 확인할 수 있게 된다(S130).
한편, 다른 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업링크 송신파워 제어 방법에 따르면, 앞서 설명한 모니터링 기능을 기반으로, 자신(CC1)의 부하 상태가 기 설정된 기준치 이상으로 변화하거나 또는 자신(CC1)에 접속한 DC 단말(예: 단말1)의 채널품질이 기 설정된 기준치 이상으로 변화하는 경우, 종속 기지국으로의 정보 요청이 필요한 상황 발생으로 인지할 수 있다(S110 Yes).
이 경우, 본 발명의 업링크 송신파워 제어 방법에 따르면, 기지국장치(100, 마스터 기지국)는 부하 상태가 기준치 이상 변화 시 자신(CC1)에 접속한 DC 단말에 대하여, 종속 기지국(200)으로 정보 제공을 요청할 수 있고, DC 단말(1)의 채널품질이 기준치 이상으로 변화 시 DC 단말(1)에 대하여 종속 기지국(200)으로 정보 제공을 요청할 수 있다(S120).
이렇게 되면, 종속 기지국(200)은, 실시간으로 자신(CC2)에서 확인되는 요청된 DC 단말의 업링크 채널품질(예: 경로 손실, SNR 등)/ 최대 송신 파워세기(Pmax), 자신의 부하정보(예: 접속자 수) 등을 마스터 기지국(100)으로 전달할 수 있다(S130).
이에, 본 발명의 업링크 송신파워 제어 방법에 따르면, 기지국장치(100, 마스터 기지국)는 CC2에 대한 DC 단말(1)의 업링크 채널품질(예: 경로 손실, SNR 등) 및 CC2에 대한 부하정보(예: 접속자 수)를 유의미한 최신의 것으로 업데이트하여 확인할 수 있게 된다(S130).
한편, 다른 예에 따르면, 종속 기지국(200)은, 전술과 같은 모니터링 기능을 기반으로, 자신(CC2)의 부하 상태가 기 설정된 기준치 이상으로 변화하거나 또는 자신(CC2)에 접속한 DC 단말(예: 단말1)의 채널품질이 기 설정된 기준치 이상으로 변화하는 경우, 실시간으로 자신(CC2)에서 확인되는 각 DC 단말(또는 DC 단말(1))의 업링크 채널품질(예: 경로 손실, SNR 등)/ 최대 송신 파워세기(Pmax), 자신의 부하정보(예: 접속자 수) 등을 마스터 기지국(100)으로 전달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의 업링크 송신파워 제어 방법에 따르면, 기지국장치(100, 마스터 기지국)는 CC2에 대한 DC 단말(1)의 업링크 채널품질(예: 경로 손실, SNR 등) 및 CC2에 대한 부하정보(예: 접속자 수)를 유의미한 최신의 것으로 업데이트하여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전술의 실시예 외에도, 종속 기지국(200)은, 주기적으로 자신(CC2)에서 확인되는 각 DC 단말의 업링크 채널품질(예: 경로 손실, SNR 등)/최대 송신 파워세기(Pmax), 자신의 부하정보(예: 접속자 수) 등을 마스터 기지국(100)으로 전달할 수도 있다.
즉, 본 발명의 업링크 송신파워 제어 방법에서는, 기지국장치(100, 마스터 기지국)가 종속 기지국(200)으로부터 본 발명을 위해 필요한 정보(DC 단말의 업링크 채널품질/최대 송신 파워세기(Pmax), 부하정보)를 획득하는데 있어서, 그 획득 방식이 한정될 필요가 없다.
본 발명의 업링크 송신파워 제어 방법에 따르면, 기지국장치(100, 마스터 기지국)는, 제어가 필요한 DC 단말, 예컨대 신규 DC 단말 또는 채널품질이 기준치 이상 변화한 DC 단말 또는 부하 상태가 기준치 이상으로 변화한 CC1 및/또는 CC2에 접속하고 있는 DC 단말에 대하여(이하, DC 단말(1)), CC1/CC2 각각의 대역폭 및 부하정보(예: 접속자 수)와 CC1/CC2 별로 확인한 DC 단말(1)의 업링크 채널품질(예: 경로 손실, SNR 등)을 근거로, DC 단말(1)의 최대 송신 파워세기(Pmax)를 CC1/CC2 별로 분배할 수 있다(S140).
이하에서는, 도 7을 참조하여, DC 단말(1)의 최대 송신 파워세기(Pmax)를 CC1/CC2 별로 분배하는 일 실시예를 구체적으로 설명하겠다.
본 발명의 업링크 송신파워 제어 방법에 따르면, 기지국장치(100, 마스터 기지국)는, CC1/CC2 별로, CC의 대역폭(예: RB 총수) 및 부하정보(예: 접속자 수), CC에서 이용하는 자원할당 방식에 기초하여 DC 단말(1)이 이용 가능한 실효 대역폭을 계산할 수 있다(S143).
예를 들어, CC1 및 CC2에서 이용하는 자원할당 방식 즉 Scheduling 방식을, round-robin 방식으로 가정할 수 있다.
이 경우, 기지국장치(100, 마스터 기지국)는, CC1/CC2 별로, 전술의 수학식 1과 같이 CC의 대역폭 즉 RB 총수를 CC의 부하정보 즉 접속자 수로 나누어, DC 단말(1)이 이용 가능한 실효 대역폭을 계산할 수 있다.
그리고, 기지국장치(100, 마스터 기지국)는, CC1/CC2 별로, DC 단말(1)의 계산된 실효 대역폭 및 확인한 채널품질(예: 경로 손실, SNR 등)을 이용하여, DC 단말(1)의 최대 송신 파워세기(Pmax) 중 분배할 송신 파워세기(Pc max)를 계산할 수 있다(S146).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기지국장치(100, 마스터 기지국)는, 전술의 수학식 2에 따라서, CC1/CC2 별로, DC 단말(1)의 계산된 실효 대역폭(
Figure 112018107920349-pat00008
Figure 112018107920349-pat00009
) 및 채널품질(Hc)을 이용하여, DC 단말(1)의 최대 송신 파워세기(Pmax) 중 분배할 송신 파워세기(Pc max)를 계산할 수 있다.
결국, 기지국장치(100, 마스터 기지국)는, CC1/CC2 별 사용 가능한 송신 파워세기(Pc max)로서, 실효 대역폭(
Figure 112018107920349-pat00010
Figure 112018107920349-pat00011
)이 클수록(부하가 작을수록) 더 큰 파워세기를 분배하고 채널품질(Hc)이 좋을수록 더 큰 파워세기를 분배하는 것이다.
다시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업링크 송신파워 제어 방법에 따르면, 기지국장치(100, 마스터 기지국)는, S140단계에서 CC1/CC2 별로 DC 단말(1)의 최대 송신 파워세기(Pmax)를 계산/분해한 분배정보를, 종속 기지국(200) 및 DC 단말(1)로 전달하여, 종속 기지국(200) 및 DC 단말(1)에 알려줄 수 있다(S150).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DC 환경에서 마스터/종속 기지국의 CC 대역폭 뿐만 아니라 기지국 부하 및 채널품질을 고려하여, DC 단말의 업링크 송신 파워세기를 최적으로 분배하는 새로운 송신 파워세기 분배 기법을 실현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본 발명에 따르면, DC 단말이 CC 별로 기지국 부하 및 채널품질을 고려한 최적의 송신 파워세기를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전체적인 시스템 성능(sum throughput)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도출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업링크 송신파워 제어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지금까지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또는 수정이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미친다 할 것이다.
본 발명의 기지국장치 및 업링크 송신파워 제어 방법에 따르면, DC 환경에서 DC 단말이 CC 별로 기지국 부하 및 채널품질을 고려한 최적의 송신 파워세기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점에서, 기존 기술의 한계를 뛰어 넘음에 따라 관련 기술에 대한 이용만이 아닌 적용되는 장치의 시판 또는 영업의 가능성이 충분할 뿐만 아니라 현실적으로 명백하게 실시할 수 있는 정도이므로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있는 발명이다.
100 : 기지국장치
110 : 채널품질확인부 120 : 부하정보확인부
130 : 송신파워제어부

Claims (11)

  1. 2 이상의 주파수대역에 접속하여 통신 서비스를 이용하는 특정 단말에 대하여, 상기 2 이상의 주파수대역 별로 상기 특정 단말의 채널품질을 확인하는 채널품질확인부; 및
    상기 2 이상의 주파수대역 각각의 대역폭 및 상기 2 이상의 주파수대역 별로 확인한 채널품질을 근거로, 상기 특정 단말의 주파수대역 별 송신 파워세기를 제어하는 송신파워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송신파워제어부는,
    상기 특정 단말의 최대 송신 파워세기를 상기 2 이상의 주파수대역 별로 분배한 분배정보를, 상기 통신 서비스 제공을 위해 기지국장치와 연동하는 연동 기지국으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2 이상의 주파수대역 각각에 대한 부하정보를 확인하는 부하정보확인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송신파워제어부는,
    상기 2 이상의 주파수대역 각각의 대역폭 및 부하정보와 상기 2 이상의 주파수대역 별로 확인한 채널품질을 근거로, 상기 특정 단말의 최대 송신 파워세기를 상기 2 이상의 주파수대역 별로 분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파워제어부는,
    상기 2 이상의 주파수대역 별로, 주파수대역의 대역폭 및 부하정보, 주파수대역에서 이용하는 자원할당 방식에 기초하여 상기 특정 단말이 이용 가능한 실효 대역폭을 계산하고,
    상기 2 이상의 주파수대역 별로, 상기 특정 단말의 계산된 실효 대역폭 및 확인한 채널품질을 이용하여 상기 특정 단말의 최대 송신 파워세기 중 분배할 송신 파워세기를 계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2 이상의 주파수대역은,
    상기 기지국장치의 CC(component carrier) 및 상기 통신 서비스 제공을 위해 상기 기지국장치와 연동하는 연동 기지국의 CC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품질확인부는,
    상기 2 이상의 주파수대역 중 상기 연동 기지국의 CC에 대한 상기 특정 단말의 채널품질을 상기 연동 기지국으로부터 획득하며,
    상기 부하정보확인부는,
    상기 2 이상의 주파수대역 중 상기 연동 기지국의 CC에 대한 부하정보를 상기 연동 기지국으로부터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장치.
  6. 삭제
  7. 기지국장치에서 수행되는 업링크 송신파워 제어 방법에 있어서,
    2 이상의 주파수대역에 접속하여 통신 서비스를 이용하는 특정 단말에 대하여, 상기 2 이상의 주파수대역 별로 상기 특정 단말의 채널품질을 확인하는 채널품질확인단계; 및
    상기 2 이상의 주파수대역 각각의 대역폭 및 상기 2 이상의 주파수대역 별로 확인한 채널품질을 근거로, 상기 특정 단말의 주파수대역 별 송신 파워세기를 제어하는 송신파워제어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송신파워제어단계는,
    상기 특정 단말의 최대 송신 파워세기를 상기 2 이상의 주파수대역 별로 분배한 분배정보를, 상기 통신 서비스 제공을 위해 상기 기지국장치와 연동하는 연동 기지국으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업링크 송신파워 제어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2 이상의 주파수대역 각각에 대한 부하정보를 확인하는 부하정보확인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송신파워제어단계는,
    상기 2 이상의 주파수대역 각각의 대역폭 및 부하정보와 상기 2 이상의 주파수대역 별로 확인한 채널품질을 근거로, 상기 특정 단말의 최대 송신 파워세기를 상기 2 이상의 주파수대역 별로 분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업링크 송신파워 제어 방법.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파워제어단계는,
    상기 2 이상의 주파수대역 별로, 주파수대역의 대역폭 및 부하정보, 주파수대역에서 이용하는 자원할당 방식에 기초하여 상기 특정 단말이 이용 가능한 실효 대역폭을 계산하고,
    상기 2 이상의 주파수대역 별로, 상기 특정 단말의 계산된 실효 대역폭 및 확인한 채널품질을 이용하여 상기 특정 단말의 최대 송신 파워세기 중 분배할 송신 파워세기를 계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업링크 송신파워 제어 방법.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2 이상의 주파수대역은,
    상기 기지국장치의 CC(component carrier) 및 상기 통신 서비스 제공을 위해 상기 기지국장치와 연동하는 연동 기지국의 CC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업링크 송신파워 제어 방법.
  11. 삭제
KR1020180132105A 2018-10-31 2018-10-31 기지국장치 및 업링크 송신파워 제어 방법 KR1020892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2105A KR102089276B1 (ko) 2018-10-31 2018-10-31 기지국장치 및 업링크 송신파워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2105A KR102089276B1 (ko) 2018-10-31 2018-10-31 기지국장치 및 업링크 송신파워 제어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89276B1 true KR102089276B1 (ko) 2020-04-20

Family

ID=704671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32105A KR102089276B1 (ko) 2018-10-31 2018-10-31 기지국장치 및 업링크 송신파워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8927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634542A (zh) * 2023-07-19 2023-08-22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信息发送方法、装置、电子设备及介质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87976A (ko) * 2009-10-30 2012-08-07 애플 인크. 디바이스 컨텍스트 정보를 사용하여 페이징 메커니즘을 최적화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KR20140080746A (ko) * 2012-12-14 2014-07-0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협력 반송파 집성 방법 및 장치
KR20150073908A (ko) * 2015-06-10 2015-07-01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기지국장치 및 기지국장치의 동작 방법과, 단말장치 및 단말장치의 동작 방법
KR101547060B1 (ko) * 2014-03-25 2015-08-25 한국과학기술원 다중 라디오 접속 기술을 적용한 다중 셀 다운링크 통신 환경에서 부정확한 채널정보를 고려한 빔포밍과 워터필링을 바탕으로 한 반복적 파워 할당 기법
KR20160044536A (ko) * 2013-08-19 2016-04-25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비허가된 또는 공유된 스펙트럼에서 컴포넌트 캐리어들을 가로지르는 서브프레임 스태거링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87976A (ko) * 2009-10-30 2012-08-07 애플 인크. 디바이스 컨텍스트 정보를 사용하여 페이징 메커니즘을 최적화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KR20140080746A (ko) * 2012-12-14 2014-07-0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협력 반송파 집성 방법 및 장치
KR20160044536A (ko) * 2013-08-19 2016-04-25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비허가된 또는 공유된 스펙트럼에서 컴포넌트 캐리어들을 가로지르는 서브프레임 스태거링
KR101547060B1 (ko) * 2014-03-25 2015-08-25 한국과학기술원 다중 라디오 접속 기술을 적용한 다중 셀 다운링크 통신 환경에서 부정확한 채널정보를 고려한 빔포밍과 워터필링을 바탕으로 한 반복적 파워 할당 기법
KR20150073908A (ko) * 2015-06-10 2015-07-01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기지국장치 및 기지국장치의 동작 방법과, 단말장치 및 단말장치의 동작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634542A (zh) * 2023-07-19 2023-08-22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信息发送方法、装置、电子设备及介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25374B1 (ko)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전력 제어 방법 및 장치
US10477517B2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opportunistic radio resource allocation in multi-carrier communication systems
KR102345735B1 (ko) 이중 연결을 지원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동시 전송 회피 방법 및 장치
US10264532B2 (en) Method for controlling uplink power, eNodeB, and user equipment
CN107148798B (zh) 单位移位寄存器电路、移位寄存器电路、单位移位寄存器电路的控制方法以及显示装置
JP5809261B2 (ja) 移動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アップリンクデータ送受信方法及び装置
JP6157643B2 (ja) キャリアアグリゲーション場合のパワーヘッドルームの報告方法及び装置
CN111885673A (zh) 通告用户装置能力
JP2020529752A (ja) 電力配分方法及び装置
KR20100138723A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업링크 전송 출력을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
US20220007363A1 (en) Dynamic Carrier Subband Operation for Active Coordination Sets
US10440665B1 (en) Dynamic control of power-backoff based on worst-case IM3 analysis
TW202046804A (zh) 整體存取和回載中的機會性通訊
US20220303992A1 (en)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 communications device and wireless network infrastructure
US20180042006A1 (en) Method for resource allocation and base station
JP2023501330A (ja) 無線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パワーヘッドルーム報告時のパワーバックオフ報告をサポートする方法及び装置
WO2012173057A1 (ja) 移動通信方法、移動局及び無線基地局
WO2021243674A1 (en) Multi-panel power reporting techniques
KR102089276B1 (ko) 기지국장치 및 업링크 송신파워 제어 방법
US10873958B1 (en) Controlling PRB allocation for dual-connectivity service
US20120300703A1 (en) Method and system for obtaining actual power headroom of carrier of UE
KR20230061350A (ko) 초광대역폭 빔포밍 시스템들에서 전력 제어를 위한 방법들
KR102208316B1 (ko) 기지국장치 및 업링크 스케줄링 방법
US11496920B1 (en) Use of historical rate of data flow as basis to limit quantity of concurrent air-interface connections
WO2023068356A1 (ja) 通信装置、基地局、及び通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