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89092B1 - Apparatus for protecting underground water well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protecting underground water wel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89092B1
KR102089092B1 KR1020200000501A KR20200000501A KR102089092B1 KR 102089092 B1 KR102089092 B1 KR 102089092B1 KR 1020200000501 A KR1020200000501 A KR 1020200000501A KR 20200000501 A KR20200000501 A KR 20200000501A KR 102089092 B1 KR102089092 B1 KR 1020890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let
casing
contact member
connection pipe
ground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00501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은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천지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천지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천지테크
Priority to KR10202000005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89092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90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909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3/00Methods or installations for obtaining or collecting drinking water or tap water
    • E03B3/06Methods or installations for obtaining or collecting drinking water or tap water from underground
    • E03B3/08Obtaining and confining water by means of wells
    • E03B3/15Keeping wells in good condition, e.g. by cleaning, repairing, regenerating; Maintaining or enlarging the capacity of wells or water-bearing layer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3/00Methods or installations for obtaining or collecting drinking water or tap water
    • E03B3/06Methods or installations for obtaining or collecting drinking water or tap water from underground
    • E03B3/08Obtaining and confining water by means of wells
    • E03B3/12Obtaining and confining water by means of wells by means of vertical pipe wel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20/00Water conservation; Efficient water supply; Efficient water u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Laying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utside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upper protection for underground water, which has an improved structure to control a connection force between a connection pipe and a casing without performing inconvenient work requiring high cos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upper protection for underground water includes: a casing having a tubular body and installed by being erected to be extended in the vertical direction to the upper part of an underground water well having a water pump; and a connection pipe assembly inserted into the casing and including an inlet, an outlet, and a flow path. The inlet of the connection pipe assembly is connected to the water pump in order for the underground water discharged from the water pump to flow inside. The outlet is connected to a discharge port of the casing. The flow path connects the inlet and the outlet. The connection pipe assembly includes: a connection pipe having the inlet, the outlet, and the flow path; a contact member position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discharge port across the connection pipe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casing and supported on the connection pipe to move in the direction of approaching and being separated from the discharge port; a spring installed in the connection pipe and elastically pressing the contact member in the direction of being separated from the discharge port on the connection pipe so that the contact member comes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casing and the outlet is connected to the discharge port; and a control device installed in the connection pipe and controlling a pressing force applied to the contact member by a spring.

Description

지하수 상부 보호공{Apparatus for protecting underground water well}Apparatus for protecting underground water well}

본 발명은 지하수 관정을 보호하기 위해 관정의 상방에 설치되는 지하수 상부 보호공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지중에 매립되는 케이싱 내에 마련되어 지하수의 유동 경로를 형성하는 연결관과 상기 케이싱 사이의 접속력을 조절하기 위한 작업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도록 개선된 지하수 상부 보호공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upper groundwater protection hole installed above the well to protect the groundwater well, and in particular, to adjust the connection force between the casing provided in the underground buried casing to form the flow path of the groundwater and the casing It relates to an improved groundwater protector to facilitate the work for.

지하수 관정은, 도 1에 개략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지중(G)에 연직 방향으로 매립되는 관정 파이프(1)와, 그 관정 파이프(1)의 내부 하측에 배치되는 수중 펌프(2)와, 그 수중 펌프(2)의 토출구에 연결된 양수관(3)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관정 파이프(1) 내로 들어온 지하수를 수중 펌프(2)로 가압하여 양수관(3)을 통해 지표면측으로 끌어 올리도록 되어 있는 것이다.Groundwater wells, as schematically illustrated in FIG. 1, include a well pipe 1 buried in the vertical direction in the ground G, and an underwater pump 2 disposed inside and below the well pipe 1, It consists of a pumping pipe (3) connected to the discharge port of the underwater pump (2), pressurizes the groundwater flowing into the well pipe (1) with an underwater pump (2) to pull up to the surface through the pumping pipe (3) It is done.

이러한 지하수 관정의 상방에는, 잘 알려진 바와 같이, 지하수 상부 보호공(K)이 설치된다. 지하수 상부 보호공(K)은, 관정의 상단부(관정 파이프(1)의 상단부)를 덮어서 관정을 보호함과 아울러, 관정의 바깥쪽에 설치되는 지하수 공급용 파이프(SL)에 접속됨으로써, 수중 펌프(2)에 의해 양수되는 지하수를, 지하수 공급용 파이프(SL)를 통해, 원하는 곳으로 공급하도록 되어 있다. Above the groundwater well, as is well known, an upper groundwater protection hole K is installed. The groundwater upper protector (K) covers the upper end of the well (the upper end of the well pipe (1)) to protect the well, and is connected to a pipe (SL) for supply of groundwater installed outside the well, thereby providing an underwater pump ( The ground water pumped by 2) is supplied to a desired place through a pipe SL for ground water supply.

이 지하수 상부 보호공(K)은, 구체적으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지중에 매립되는 케이싱과, 그 케이싱 내에 배치되어 양수관(3)과 지하수 공급용 파이프(SL) 사이에서의 지하수의 유동 경로를 형성하기 위한 연결관 등을 포함한다.Although not specifically illustrated, the upper groundwater protection hole K is disposed in the underground casing and is disposed in the casing to form a flow path of groundwater between the pumping pipe 3 and the pipe SL for groundwater supply. And a connector for doing so.

한편, 상기 지하수 공급용 파이프(SL)에 접속되도록 상기 케이싱에 마련되는 배출구와 상기 연결관 사이에서의 지하수의 누설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연결관(구체적으로는 연결관에 마련되어 지하수를 유출시키는 유출구)을 상기 배출구에 접속시키고, 상기 연결관과 배출구 사이의 접속력을 조절하는 조절기구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상부 보호공이 지중에 매립될 때, 상기 조절기구가 흙과 접촉하지 않도록, 조절기구를 덮는 보호 덮개를 케이싱에 용접하여 그 조절기구를 보호한다. 상부 보호공을 지중에 설치한 후에, 시간이 지나서 상기 연결관과 배출구 사이의 접속력이 저하되는 경우에는 상기 조절기구를 이용하여 상기 접속력의 조절을 행함으로써, 연결관과 배출구 사이의 필요한 접속력을 원활하게 유지하도록 되어 있다.On the other hand, in order to prevent leakage of groundwater between the outlet provided in the casing and the connecting pipe to be connected to the ground water supply pipe (SL), the connecting pipe (specifically provided in the connecting pipe, the outlet for discharging groundwater) ) Is connected to the outlet, and an adjusting mechanism is provided to adjust the connection force between the connector and the outlet. When the upper protective hole is buried in the ground, the control mechanism is protected by welding a protective cover covering the control mechanism to the casing so that the control mechanism does not contact the soil. After the upper protection hole is installed in the ground, when the connection force between the connector and the outlet decreases over time, the connection force is adjusted using the adjusting mechanism, thereby making necessary connection between the connector and the outlet. It is supposed to keep the power smooth.

그런데, 종래의 지하수 상부 보호공은, 상기와 같이 상기 연결관과 배출구 사이의 접속력을 조절하는 조절기구가, 지중에 매립되는 케이싱의 외주측에 마련되어 있다. 따라서, 상부 보호공의 설치가 완료된 후, 상기 연결관과 배출구 사이의 접속력을 조절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굴삭기 등을 이용하여, 상부 보호공을 매립하고 있는 흙을 퍼내고, 작업자가 그 흙이 퍼내진 자리로 내려 들어가서, 상기 조절기구를 보호하도록 케이싱에 용접된 보호 덮개를 분리하여 상기 조절기구를 케이싱의 외측으로 노출시킨 후에, 그 조절기구를 통해서, 상기 유출관과 배출구 사이의 접속력 조절을 행하여야 하였다. 또한, 조절기구를 구성하고 있는 구성요소의 수리나 교체를 위해서도, 상기와 마찬가지로, 굴삭기 등을 이용하여 흙을 퍼내고, 케이싱에 용접된 보호 덮개를 분리하는 힘든 작업을 거쳐야만, 조절기구를 수리하거나 교체할 수 있다.By the way, in the conventional groundwater upper protection hole, as described above, an adjustment mechanism for adjusting the connection force between the connecting pipe and the outlet is provid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ide of the casing which is buried underground. Therefore, after the installation of the upper protective hole is completed, in order to adjust the connection force between the connection pipe and the outlet, using an excavator or the like, the soil filling the upper protective hole is pumped out, and the worker removes the soil. After descending into the excavated seat, the protective cover welded to the casing is removed to protect the regulating mechanism, and then the regulating mechanism i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casing, and through the regulating mechanism, the connection force between the outlet pipe and the outlet is adjusted. Had to be done. In addition, in order to repair or replace the components constituting the regulating mechanism, as in the above, it is necessary to go through the hard work of digging up the soil using an excavator and separating the protective cover welded to the casing to repair the regulating mechanism or Can be replaced.

이처럼, 종래의 지하수 상부 보호공은, 지중에 매립되어 사용하는 도중에 조절기구를 이용하여 상기 연결관과 배출구 사이의 접속력을 조절하고자 하는 경우 또는 그 조절기구의 수리나 교체를 하고자 하는 경우에, 무척 번거롭고 많은 비용이 수반되는 작업을 필요로 한다.As described above, when a conventional groundwater upper protector is buried in the ground and wants to adjust the connection force between the connecting pipe and the outlet using a control mechanism during use, or when repairing or replacing the control mechanism, It is a very cumbersome and expensive operation.

특허문헌1 : 등록특허 제10-1840639호Patent Document 1: Registered Patent No. 10-1840639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사항을 고려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지중에 매립되어 있는 상태에서 흙을 퍼내는 등의 번거롭고 비용이 많이 드는 작업을 행하지 않고도, 연결관과 케이싱 사이의 접속력을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구조가 개선된 지하수 상부 보호공을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in consideration of the above, and it is possible to adjust the connection force between the connector and the casing without performing a cumbersome and expensive operation such as spreading soil in a state buried in the ground. The aim is to provide a grounder with an improved groundwater structure.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지하수 상부 보호공은, 관 형상의 몸체를 가지며, 수중 펌프가 설치된 지하수 관정의 상방에 상하방향으로 연장되게 세워져 설치되며, 몸체의 측벽에는 그 몸체의 내외부를 연통시키는 배출구가 형성되어 있는 케이싱; 및 상기 케이싱의 상방으로부터 그 케이싱 내에 삽입되며, 상기 수중 펌프로부터 토출되는 지하수가 유입되도록 상기 수중 펌프에 접속되는 유입구와, 상기 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지하수를 상기 배출구를 통해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상기 배출구에 접속되는 유출구와, 상기 유입구와 유출구를 연통시키는 유로를 포함하는 연결관 조립체;를 구비하며, 상기 연결관 조립체는: 상기 유입구와 상기 유출구와 상기 유로를 가지는 연결관; 상기 케이싱의 직경방향에서 상기 연결관을 사이에 두고 상기 배출구의 반대쪽에 위치하며, 상기 배출구에 대해 접근 및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상기 연결관에 지지되어 있는 접촉부재; 상기 연결관에 설치되며, 상기 접촉부재를 상기 케이싱의 내면에 밀착시키고 상기 유출구를 상기 배출구에 접속시키도록, 상기 접촉부재를 상기 연결관에 대해 상기 배출구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가압하는 스프링; 및 상기 연결관에 설치되며, 상기 스프링에 의해 상기 접촉부재에 가해지는 가압력을 조절하기 위한 조절기구;를 구비하는 점에 특징이 있다.In order to achieve the object as described above, the groundwater upper protection ho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tubular body and is erected and installed in the vertical direction above the groundwater well where the water pump is installed, and is installed on the side wall of the body. A casing formed with an outlet for communicating the inside and outside of the body; And an inlet port inserted into the casing from above the casing and connected to the submersible pump so that the ground water discharged from the submersible pump flows in, and the ground water introduced through the inlet port can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outlet. A connection pipe assembly including an outlet connected to an outlet and a flow path communicating the inlet and the outlet is provided, wherein the connection pipe assembly includes: a connection pipe having the inlet and the outlet and the flow path; A contact member position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outlet through the connecting pipe in the diameter direction of the casing, and supported by the connecting pipe to be movable in a direction approaching and spaced apart from the outlet; It is installed on the connecting pipe, the spring pressing the contact member in the direction spaced from the outlet with respect to the connecting pipe, so as to close the contact member to the inner surface of the casing and connect the outlet to the outlet ; And an adjusting mechanism installed on the connection pipe and adjusting a pressing force applied to the contact member by the spring.

본 발명에 따른 지하수 상부 보호공은, 케이싱이 지중에 매립되어 있는 상태에서도, 연결관과 케이싱 사이의 접속력을 조절하기 위한 조절기구에 쉽게 접근할 수 있어서, 조절기구를 조작하는 작업이나, 조절기구를 구성하는 구성요소를 수리 또는 교체하는 작업을 용이하고 저렴한 비용으로 행할 수 있다.Groundwater upper prot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ven when the casing is buried in the ground, easy access to the adjustment mechanism for adjusting the connection force between the connecting pipe and the casing, the operation or adjustment of the adjustment mechanism Repair or replacement of components constituting the instrument can be performed easily and at a low cost.

도 1은 지하수 관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지하수 상부 보호공의 개략적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상부 보호공의 "A" 부위의 개략적 확대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에서 케이싱을 제외한 부분의 개략적 분리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2에 도시된 "A" 부위의 케이싱의 내면을 케이싱의 중심측에서 본 개략적 도면이다.
도 6은 도 2에 도시된 상부 보호공의 "B" 부위의 개략적 확대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2에 도시된 "B" 부위의 케이싱의 내면을 케이싱의 중심측에서 본 개략적 도면이다.
도 8은 연결관 조립체를 케이싱에 삽입하기 전 상태의, 접촉부재 및 너트부재의 위치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상기 도 3에서 케이싱을 제외한 부분에 대응한다.
도 9는 도 2에 도시된 연결관 조립체를 케이싱 내로부터 들어올린 상태의 개략적 단면도이다.
도 10은 유출구와 배출구 사이의 접속력을 강화시키는 조절 작업을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도 8에 대응하는 도면이다.
도 11은 유출구와 배출구 사이의 접속력을 강화시키는 조절 작업을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도 3에 대응하는 도면이다.
1 is a schematic diagram for explaining an underground water well.
Figure 2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the groundwater upper protection hole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schematic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the “A” portion of the upper protective hole shown in FIG. 2.
FIG. 4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a portion excluding the casing in FIG. 3.
FIG. 5 is a schematic view of the inner surface of the casing of the “A” portion shown in FIG. 2 seen from the center side of the casing.
FIG. 6 is a schematic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the “B” portion of the upper protective hole shown in FIG. 2.
FIG. 7 is a schematic view of the inner surface of the casing of the “B” portion shown in FIG. 2 seen from the center side of the casing.
8 is a view showing the position of the contact member and the nut member in a state before inserting the connector assembly into the casing, and corresponds to the portion excluding the casing in FIG. 3.
9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a state in which the connector assembly shown in FIG. 2 is lifted from within the casing.
FIG. 10 is a view corresponding to FIG. 8 for explaining an adjustment operation for strengthening the connection force between the outlet and the outlet.
FIG. 11 is a view corresponding to FIG. 3 for explaining an adjustment operation for strengthening the connection force between the outlet and the outlet.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하수 상부 보호공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참고로, 도면에 도시된 부분의 적어도 일부는 설명 및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척도나 치수 등이 적절히 과장 또는 축소된 상태로 도시되어 있을 수도 있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for the upper ground water protection ho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For reference, at least a part of the parts illustrated in the drawings may be illustrated with scales or dimensions appropriately exaggerated or reduced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and understanding.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하수 상부 보호공의 개략적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상부 보호공의 "A" 부위의 개략적 확대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3에서 케이싱을 제외한 부분의 개략적 분리 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5는 도 2에 도시된 "A" 부위의 케이싱의 내면을 케이싱의 중심측에서 본 개략적 도면이며, 도 6은 도 2에 도시된 상부 보호공의 "B" 부위의 개략적 확대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2에 도시된 "B" 부위의 케이싱의 내면을 케이싱의 중심측에서 본 개략적 도면이다.Figure 2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the upper groundwater protection ho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schematic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a portion “A” of the upper protective hole shown in FIG. 2, and FIG. 4 is a schematic exploded cross-sectional view of the portion excluding the casing in FIG. 3. And, Figure 5 is a schematic view of the inner surface of the casing of the "A" portion shown in Figure 2 from the center side of the casing, Figure 6 is a schematic enlarged sectional view of the "B" portion of the upper protective hole shown in Figure 2 . FIG. 7 is a schematic view of the inner surface of the casing of the “B” portion shown in FIG. 2 seen from the center side of the casing.

도 2 내지 도 7을 도 1과 함께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지하수 상부 보호공(100)은, 도 1에 도시된 지하수 상부 보호공(K)처럼, 수중 펌프(2)가 내부에 설치되어 있는 지하수 관정 파이프(1)의 상방에 위치하도록 설치되는 것이다.Referring to FIGS. 2 to 7 together with FIG. 1, the groundwater upper protector 100 of this embodiment, like the groundwater upper protector K shown in FIG. 1, has an underwater pump 2 installed therein It is installed to be located above the ground water well pipe (1).

본 실시예의 지하수 상부 보호공(100)은, 케이싱(10)과, 연결관 조립체(20)를 구비하고 있다.The groundwater upper protector 100 of this embodiment is provided with a casing 10 and a connector assembly 20.

상기 케이싱(10)은,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관 형상의 몸체(12)를 가지며, 관정 파이프(1)의 상방에 상하방향으로 연장되게 세워져 설치된다. 케이싱(10)의 몸체(12)의 상단 일부를 제외한 대부분은 지중(G)에 매립된다. 케이싱(10)의 몸체(12)의 측벽에는 배출구(122)가 형성되어 있다. 배출구(122)는 그 몸체(12)의 내외부를 연통시킨다. 케이싱(10)은 하단부에서 볼트(미도시) 등에 의해, 관정 파이프(1)에 고정된다. 케이싱(10)의 내면에는 후술하는 연결관 조립체(20)을 받쳐서 지지하도록 케이싱(10)의 내주면에 대해 돌출된 곡선형의 받침부(128, 129; 도 5 및 도 7 참조)가 형성되어 있다.The casing 10 has a tubular body 12 exte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is erected and installed to extend in the vertical direction above the well pipe 1. Most of the casing 10, except for the upper part of the body 12, is buried in the ground G. A discharge port 122 is formed on a side wall of the body 12 of the casing 10. The outlet 122 communicates the inner and outer parts of the body 12. The casing 10 is fixed to the well pipe 1 by a bolt (not shown) or the like at the lower en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casing 10, curved support portions 128, 129 (see FIGS. 5 and 7) protruding with respect to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asing 10 are formed to support and support the connector assembly 20 described below. .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연결관 조립체(20)를 케이싱(10) 내로 삽입할 때, 그 삽입 위치로 안내하는 등의 기능을 행하도록, 케이싱(10)의 내면(구체적으로는 배출구(122)와 대향하는 쪽의 내면)에 테이퍼면(125)이 마련되어 있다. 테이퍼면(125)은, 하방으로 갈수록 배출구(122)에 가까워지도록 경사져 있다. 즉, 테이퍼면(125)과 배출구(122) 사이의 간격은 하방으로 갈수록 작아진다.In this embodiment, when inserting the connector assembly 20 into the casing 10, the inner surface of the casing 10 (specifically, the outlet 122 and the A tapered surface 125 is provided on the opposite inner surface). The tapered surface 125 is inclined to approach the discharge port 122 as it goes downward. That is, the distance between the tapered surface 125 and the discharge port 122 becomes smaller as it goes downward.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설명 및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상기 케이싱(10)이 하나의 부재로 이루어진 것처럼 설명 및 도시하지만, 이 케이싱은 일반적으로, 복수의 부재가 용접 등에 의해 결합되어 이루어진다.In this embodiment,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and understanding, although the casing 10 is described and illustrated as being made of one member, this casing is generally made by joining a plurality of members by welding or the like.

상기 연결관 조립체(20)는, 케이싱(10)의 상방으로부터 그 케이싱(10) 내에 삽입되며, 연결관(21)과, 접촉부재(23)와, 조절기구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다.The connecting pipe assembly 20 is inserted into the casing 10 from above the casing 10, and comprises a connecting pipe 21, a contact member 23, and an adjustment mechanism.

상기 연결관(21)은, 유입구(211)와 유출구(212)와 유로(213)를 가지는 관 부재이다. 상기 유입구(211)는, 수중 펌프(P)로부터 토출되는 지하수가 유입되도록 수중 펌프(2)에, 예컨대 나사결합 등에 의해 접속된다. 상기 유출구(212)는, 유입구(211)를 통해 유입된 지하수를 케이싱(10)의 배출구(122)를 통해 외부로 배출하기 위해 마련된 것으로서, 케이싱(10)의 배출구(122)에 접속되어 그 배출구(122)와 통하게 된다. 상기 유로(213)는, 유입구(211)를 통해 유입된 지하수가 유출구(212)를 통해 유출되기까지 유동하는 통로로서, 유입구(211)와 유출구(212)를 연통시킨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유출구(212)의 선단면에 시일 링(212a; 도 6 참조)이 설치된다. 이 시일 링(212a)은, 케이싱(10)의 내면측에서 배출구(122)를 둘러싼 상태로, 케이싱(10)의 내면에 탄력적으로 밀착되어서, 연결관(21)의 유로(213)를 따라 유동하는 지하수가 유출구(212)와 케이싱(10)의 배출구(122) 사이로부터 케이싱(10) 내부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마련된 것이다.The connecting pipe 21 is a pipe member having an inlet 211, an outlet 212, and a flow path 213. The inlet 211 is connected to the underwater pump 2, for example, by screwing or the like, so that the ground water discharged from the underwater pump P is introduced. The outlet 212 is provided to discharge the groundwater flowing through the inlet 211 to the outside through the outlet 122 of the casing 10, and is connected to the outlet 122 of the casing 10, the outlet (122). The flow path 213 is a passage through which the groundwater flowing through the inlet 211 flows out through the outlet 212, communicating the inlet 211 and the outlet 212. In this embodiment, a seal ring 212a (see Fig. 6) is provided on the front end surface of the outlet 212. The seal ring 212a, while surrounding the outlet 122 on the inner surface side of the casing 10, elastically adheres to the inner surface of the casing 10 and flows along the flow path 213 of the connector 21 The groundwater is provided to prevent leakage into the casing 10 from between the outlet 212 and the outlet 122 of the casing 10.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설명 및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상기 연결관(21)이 하나의 부재로 이루어진 것으로 설명 및 도시하지만, 이 연결관은 일반적으로, 복수의 관부재 등이 용접 방식 등에 의해 서로 결합되어 이루어진다. 또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필요에 따라서 연결관(21)에는 유량을 표시하기 위한 유량계(계량기), 지하수가 유입구(211)로부터 유출구(212)를 향하는 방향으로만 유동하도록 하기 위한 체크 밸브, 유로(213)를 개폐하기 위한 개폐 밸브 등이 접속될 수도 있다.In the present embodiment,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and understanding, although the connection pipe 21 is described and illustrated as being made of one member, the connection pipes generally have a plurality of pipe members, etc., welded to each other. It is made in combination. In addition, although not shown, a flowmeter (meter) for displaying a flow rate in the connection pipe 21, if necessary, a check valve, a flow path for checking that the groundwater flows only from the inlet 211 toward the outlet 212 213) may be connected to an on-off valve for opening and closing.

상기 접촉부재(23)는, 케이싱(10)의 직경방향에서 연결관(21)을 사이에 두고 배출구(122)의 반대쪽에 위치하고 있다. 접촉부재(23)는, 케이싱(10)의 배출구(122)에 대해 접근 및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연결관(21)에 지지되어 있다. 이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contact member 23 is locat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discharge port 122 with the connecting pipe 21 interposed therebetween in the radial direction of the casing 10. The contact member 23 is supported by the connecting pipe 21 so as to be movable in a direction that is approached and separated from the outlet 122 of the casing 10. This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as follows.

연결관(21)에는 케이싱(10)의 직경방향을 따라 배출구(122)측으로 패인 형상(즉, 케이싱(10)의 배출구(122)로부터 먼 쪽이 개구되어 있고, 케이싱(10)의 직경방향이 깊이 방향인 형상)의 수용홈부(214)가 마련되어 있다. 접촉부재(23)의 일단부(238)는, 상기 수용홈부(214)에 의해 가이드되면서 그 수용홈부(214)의 깊이방향(케이싱(10)의 직경방향)를 따라 배출구(122)에 대해 접근 및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수용되어 있다. The connection pipe 21 has a shape that is recessed toward the outlet 122 side along the radial direction of the casing 10 (that is, the far side from the outlet 122 of the casing 10 is open, and the diameter direction of the casing 10 is A receiving groove 214 having a depth direction) is provided. One end portion 238 of the contact member 23 is guided by the receiving groove portion 214 and approaches the outlet 122 along the depth direction (diameter direction of the casing 10) of the receiving groove portion 214 And movable in a spaced apart direction.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접촉부재의 일단부(238)는 4각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수용홈부(214)의 단면 형상도 접촉부재의 일단부(238)와 상보적인 4각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다. 따라서, 접촉부재(24)는 상기 수용홈부(214)의 깊이 방향에 대한 회전이 방지되어 있다. 접촉부재(23)의 타측단부(연결관의 수용홈부(214)로부터 돌출된 단부)에는 경사면(231)이 마련되어 있다. 경사면(231)은 케이싱(10)의 테이퍼면(125)과 대향하고 있으며, 하방으로 갈수록 배출구(122)에 가까워지도록 경사져 있다. 경사면(231)의 경사도는 케이싱(10)의 테이퍼면(125)과 동일하다. 경사면(231)은, 후술하는 스프링(24)의 탄성 가압력에 의해 케이싱(10)의 테이퍼면(125)에 탄력적으로 밀착되게 된다.In this embodiment, one end 238 of the contact member is formed in a quadrangular shape, and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receiving groove 214 is also made of a quadrangular shape complementary to one end 238 of the contact member. Therefore, the contact member 24 is prevented from rotating about the depth direction of the receiving groove 214. An inclined surface 231 is provided at the other end of the contact member 23 (the end protruding from the receiving groove 214 of the connector). The inclined surface 231 faces the tapered surface 125 of the casing 10, and is inclined to approach the outlet 122 as it goes downward. The inclination of the inclined surface 231 is the same as the tapered surface 125 of the casing 10. The inclined surface 231 is elastically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tapered surface 125 of the casing 10 by the elastic pressing force of the spring 24 to be described later.

참조번호 233은, 후술하는 나사부재(27)의 머리부(272)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공이며, 참조번호 235는, 후술하는 나사부재(27)의 수나사부(271)가 통과할 수 있도록 나사부재(27)의 수나사부(271)의 직경보다 약간 큰 직경의 관통공이다.Reference numeral 233 is a receiving hole for accommodating the head portion 272 of the screw member 27 to be described later, and reference numeral 235 is a screw to allow the male screw portion 271 of the screw member 27 to be described later to pass through. It is a through hole having a diameter slightly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male screw portion 271 of the member 27.

상기 스프링(24)은, 연결관(21)(구체적으로는 연결관(21)의 유출구(212))가 케이싱(10)의 배출구(122)에 접속되고 접촉부재(23)(구체적으로는 접촉부재의 경사면(231))가 케이싱(10)의 내면(구체적으로는, 테이퍼면(125))에 밀착되도록, 접촉부재(23)를, 연결관(21)에 대해 상기 배출구(122)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가압하기 위해 마련된 것이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상기 스프링(24)으로서, 연결관(21)에 설치되는 압축코일스프링이 마련되어 있다. 이 스프링(24)은, 연결관의 수용홈부(214)에 수용되며, 일단은 접촉부재(23)에 접촉되어 지지되고, 타단은 후술하는 너트부재(26)에 접촉되어 지지되어 있다. 스프링(24)의 작용에 대해서는 나중에 다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In the spring 24, the connecting pipe 21 (specifically, the outlet 212 of the connecting pipe 21) is connected to the outlet 122 of the casing 10 and the contact member 23 (specifically contacting) The contact member 23 is spaced apart from the outlet 122 with respect to the connecting pipe 21 so that the inclined surface 231 of the member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specifically, the tapered surface 125) of the casing 10 In the direction to be, it is provided to press elastically. In this embodiment, as the spring 24, a compression coil spring provided in the connecting pipe 21 is provided. The spring 24 is accommodated in the receiving groove portion 214 of the connecting pipe, one end of which is supported in contact with the contact member 23, and the other end of which is supported in contact with the nut member 26,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The action of the spring 24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gain later.

상기 조절기구는, 스프링(24)에 의해 접촉부재(23)에 가해지는 가압력을 조절하기 위해 마련된 것이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조절기구는, 너트부재(26)와, 나사부재(27)와, 스토퍼부재(28)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다.The adjustment mechanism is provided to adjust the pressing force applied to the contact member 23 by the spring 24. The adjustment mechanism in this embodiment includes a nut member 26, a screw member 27, and a stopper member 28.

상기 너트부재(26)는 암나사부(261)를 가지며, 접촉부재(23)와 연결관(21)의 유출구(212) 사이에서 접촉부재(23)에 대해 접근 및 이격 가능하게, 연결관(21)의 수용홈부(214) 내에 설치되어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 있어서 너트부재(26)는, 연결관(21)의 수용홈부(214)의 단면 형상과 상보적인 4각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어서, 암나사부(261)의 중심축선 둘레로의 회전이 방지되어 있다.The nut member 26 has a female screw portion 261, and is accessible and spaced apart from the contact member 23 between the contact member 23 and the outlet 212 of the connection tube 21, the connection tube 21 ) Is installed in the receiving groove 214. On the other hand,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nut member 26 is formed in a quadrangular shape complementary to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receiving groove portion 214 of the connecting pipe 21, so as to be around the central axis of the female screw portion 261. Rotation is prevented.

나사부재(27)는 수나사부(271)와 머리부(272)를 구비하고 있다. 수나사부(271)는, 접촉부재(23)를 관통(관통공(235)을 통과)하여 너트부재(26)의 암나사부(261)에 체결된다. 머리부(272)는, 접촉부재(23)의 수용공(233)에 수용되고 그 수용공(233)의 개구부를 통해서 접촉부재(23)의 외부로 노출 가능하게 되어 있다. 따라서, 연결관 조립체(20)를 케이싱(10)으로부터 빼낸 상태에서는, 나사부재(27)의 머리부(272)가 수용공(233)의 개구부를 통해 접촉부재(23)의 외부로 노출되게 되고, 그 머리부(272)를 회전시킴으로써, 결국 나사부재(27)를 회전시킬 수 있다.The screw member 27 is provided with a male screw portion 271 and a head portion 272. The male screw portion 271 penetrates the contact member 23 (through the through hole 235) and is fastened to the female screw portion 261 of the nut member 26. The head portion 272 is accommodated in the receiving hole 233 of the contact member 23 and can be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contact member 23 through the opening of the receiving hole 233. Therefore, in the state where the connector assembly 20 is removed from the casing 10, the head portion 272 of the screw member 27 i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contact member 23 through the opening of the receiving hole 233 , By rotating the head 272, the screw member 27 can be rotated.

스토퍼부재(28)는, 그 스토퍼부재(28)의 관통공(281)에 삽입되어 연결관(21)의 나사구멍(218)에 체결되는 나사(80)들에 의해, 연결관(21)에 고정된다. 접촉부재(23)의 상기 일단부(238)가 스토퍼부재(28)에 걸림으로써, 배출구(122)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의, 접촉부재(23)의 상기 연결관(21)에 대한 최대 이동 위치가 제한되어, 연결관(21)의 수용홈부(214)로부터 완전히 이탈되는 것이 방지된다.The stopper member 28 is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 281 of the stopper member 28 and connected to the connection tube 21 by screws 80 fastened to the screw hole 218 of the connection tube 21. Is fixed. When the one end 238 of the contact member 23 is caught by the stopper member 28, in the direction away from the outlet 122, the maximum movement position of the contact member 23 with respect to the connecting pipe 21 Is limited, it is prevented from being completely separated from the receiving groove 214 of the connecting pipe (21).

참조부호 "H"는, 연결관 조립체(20)를 케이싱(10)에 삽입하거나 케이싱(10)으로부터 꺼낼 때 크레인 등에 걸어서 사용하도록 연결관(20)에 결합된 고리이다.Reference numeral "H" is a ring coupled to the connector 20 for use by hanging on a crane or the like when the connector assembly 20 is inserted into the casing 10 or taken out of the casing 10.

이러한 지하수 상부 보호공(100)은, 도 1을 참조하면서 설명한 일반적인 지하수 상부 보호공(K)과 마찬가지로, 관정의 상단부(관정 파이프(1)의 상단부)를 덮어서 관정을 보호함과 아울러, 관정의 바깥쪽에 설치되는 지하수 공급용 파이프(SL)에 접속됨으로써, 수중 펌프(2)에 의해 양수되는 지하수를, 연결관(21) 내의 유로(213)를 통해 케이싱(10)의 배출구(122)로 배출시키고, 그 배출구(122)에 접속되는 지하수 공급용 파이프(SL)를 통해, 원하는 곳으로 공급하도록 되어 있다.The groundwater upper protection hole 100 covers the upper end of the well (the upper end of the well pipe 1), as well as the general ground water upper protection hole K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 to protect the well and By being connected to the pipe (SL) for supplying groundwater installed outside, the groundwater pumped by the submersible pump (2) is discharged to the outlet (122) of the casing (10) through the flow path (213) in the connection pipe (21). It is to be supplied to a desired place through a pipe SL for ground water supply connected to the outlet 122.

한편,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연결관(21)과 케이싱(10) 사이의 접속력(유출구(212)와 배출구(122) 사이의 접속력)을 조절하기 위한 기구로서, 종래의 지하수 상부 보호공과는 달리, 연결관(21)에 결합되어 있는 접촉부재(23)와 스프링(24) 및 조절기구(너트부재(26), 나사부재(27))를 구비함으로써, 지하수 상부 보호공(100)이 지중(G)에 매립되어 있는 상태에서도, 연결관(21)과 케이싱(10)의 배출구(122) 사이의 접속력(즉, 연결관의 유출구(212)와 케이싱의 배출구(122) 사이의 접속력)을 조절하는 조절기구에 쉽게 접근할 수 있다. 따라서, 종래의 지하수 상부 보호공과 비교할 때, 상기 유출구(212)와 배출구(122) 사이의 접속력을 조절하는 작업, 또는 그 조절기구를 수리하거나 교체하는 작업을, 저렴한 비용으로 수월하게 행할 수 있다는 효과를 가진다.On the other hand, in the present embodiment, as a mechanism for adjusting the connection force between the connecting pipe 21 and the casing 10 (connection force between the outlet 212 and the outlet 122), the conventional groundwater upper protection hole and Otherwise, by providing a contact member 23 and a spring 24 and an adjusting mechanism (nut member 26, screw member 27) coupled to the connection pipe 21, the groundwater upper protector 100 is provided. Even when buried in the ground G, the connection force between the connection pipe 21 and the discharge port 122 of the casing 10 (that is, the connection between the outlet 212 of the connection pipe and the discharge port 122 of the casing) Power) for easy access to the adjustment mechanism. Therefore, compared with the conventional groundwater upper protector, the operation of adjusting the connection force between the outlet 212 and the outlet 122, or repairing or replacing the control mechanism, can be easily performed at a low cost. It has an effect.

이하, 상기 스프링(24)의 작용 및 그 스프링(24)에 의한 가압력의 조절(유출구와 배출구 사이의 접속력의 조절)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Hereinafter, the action of the spring 24 and the adjustment of the pressing force by the spring 24 (adjustment of the connection force between the outlet and the outle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먼저, 지중(G)에 케이싱(10)이 매립되어 있는 상태에서 그 케이싱(10) 내로 연결관 조립체(20)를 삽입하기 전에 미리, 연결관 조립체(20)에 마련된 나사부재(27)를 회전시켜서 너트부재(26)를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의 위치(미리 설계된 위치)에 위치시켜 둔다. 그리고, 그 상태에서 연결관 조립체(20)를 상방으로부터 케이싱(10) 내로 삽입하면, 연결관 조립체(20)의 삽입이 완료되기 전에 케이싱(10)의 테이퍼면(125)이 연결관 조립체(20)의 접촉부재(23)에 마련된 경사면(231)과 접촉되게 된다. 그리고, 연결관 조립체(20)가 하방으로 계속 삽입됨에 따라, 연결관 조립체(20)는, 상기 테이퍼면(125)과 경사면(231)에 의해 안내받으면서, 케이싱(10)의 직경방향을 따라 연결관(21)의 유출구(212)가 케이싱(10)의 배출구(122)에 대해 접근하는 방향으로의 이동도 함께 행해져서, 상기 유출구(212)에 마련된 시일 링(212a)이, 배출구(122)를 둘러싼 상태로 케이싱(10)의 내면에 접촉하게 되며, 그 후에도 연결관 조립체(20)가 하강하여 받침부(128, 129)에 놓이게 되면서 삽입이 완료된다. 한편, 시일 링(212a)이 케이싱(10)의 내면에 접촉하고부터 연결관 조립체(20)의 삽입이 완료되는 동안에, 또는 시일 링(212a)이 케이싱(10)의 내면에 접촉하기 전부터도, 경사면(231)이 케이싱(10)의 테이퍼면(125)에 의해 눌림으로써, 접촉부재(23)가 스프링(24)을 압축시키면서 연결관(21)의 수용홈부(214) 내로 소정 거리만큼 진입하게 된다. 그리고, 연결관 조립체(20)의 삽입이 완료된 상태에서는, 스프링(24)에 의해 접촉부재(23)는 케이싱(10)의 내면에 탄력적으로 밀착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접촉부재(23)의 경사면(231)이 케이싱(10)의 테이퍼면(125)에 탄력적으로 밀착하게 된다. 그리고, 연결관(21)도, 너트부재(26) 및 그 너트부재(26)에 체결되고 선단부가 연결관(21)에 접촉되어서 그 연결관(21)에 대한 위치가 고정되어 있는 나사부재(27)를 통해, 상기 스프링(24)의 탄성 가압력을 전달받음으로써, 연결관(21)의 유출구(212)에 결합되어 있는 시일 링(212a)도 케이싱(10)의 내면에 탄력적으로 밀착되어, 상기 연결관(21)의 유로(213) 내의 지하수가 유출구(212)와 배출구(122) 사이로부터 케이싱(10) 내로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First, before inserting the connector assembly 20 into the casing 10 in a state where the casing 10 is buried in the ground G, the screw member 27 provided in the connector assembly 20 is rotated beforehand. The nut member 26 is placed in a predetermined position (pre-designed position) as shown in FIG. 8. Then, when the connector assembly 20 is inserted into the casing 10 from above in that state, the tapered surface 125 of the casing 10 is connected to the connector assembly 20 before insertion of the connector assembly 20 is completed. ) In contact with the inclined surface 231 provided on the contact member 23. Then, as the connector assembly 20 is continuously inserted downward, the connector assembly 20 is connected along the radial direction of the casing 10 while being guided by the tapered surface 125 and the inclined surface 231. The outlet 212 of the pipe 21 is also moved in the direction in which it approaches the outlet 122 of the casing 10, so that the seal ring 212a provided at the outlet 212 is provided with the outlet 122 It is in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casing 10 in a surrounding state, after which the connector assembly 20 is lowered and placed on the supporting portions 128 and 129, whereby insertion is completed. On the other hand, even before the seal ring 212a contacts the inner surface of the casing 10 and the insertion of the connector assembly 20 is completed, or even before the seal ring 212a contacts the inner surface of the casing 10, The inclined surface 231 is pressed by the tapered surface 125 of the casing 10, so that the contact member 23 compresses the spring 24 and enters into the receiving groove 214 of the connector 21 by a predetermined distance. do. Then, in the state in which the insertion of the connector assembly 20 is completed, the contact member 23 is elastically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casing 10 by the spring 24. Specifically, the inclined surface 231 of the contact member 23 is elastically in close contact with the tapered surface 125 of the casing 10. In addition, the connecting pipe 21 is also fastened to the nut member 26 and the nut member 26, and the tip portion is in contact with the connecting pipe 21 so that the position of the connector 21 is fixed. Through 27), by receiving the elastic pressing force of the spring 24, the seal ring 212a coupled to the outlet 212 of the connector 21 is also elastically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casing 10, Groundwater in the flow path 213 of the connection pipe 21 is prevented from leaking into the casing 10 from between the outlet 212 and the outlet 122.

상기와 같이 하여, 연결관 조립체(20)가 케이싱(10) 내로 삽입 완료되면, 케이싱(10)의 상단 개구부에 덮개(미도시)를 씌운 후, 상부 보호공(100)을 사용할 수 있게 된다. As described above, when the connector assembly 20 is inserted into the casing 10, after the cover (not shown) is covered in the upper opening of the casing 10, the upper protection hole 100 can be used.

한편, 지하수 상부 보호공(100)이 사용되는 중에, 예컨대 장시간 경과하여 스프링(24)이나 시일 링(212a)이 노후되어 제 기능을 발휘하지 못하는 경우, 혹은, 연결관 조립체(20)가 연결관(21)의 유입구(211)를 통해 유로(213) 내로 유입되는 지하수의 수압 등에 의해, 연결관 조립체(20)가 원래의 삽입 위치로부터 약간 상승하여 테이퍼면(125)과 경사면(231)간의 접속력 또는 유출구(212)와 배출구(122) 사이의 접속력이 약화되는 경우 등에는, 연결관(21)의 유출구(212)와 케이싱(10)의 배출구(122) 사이의 접속력이 약해져서, 유로(213)내의 지하수가 유출구(212)와 배출구(122) 사이로부터 케이싱(10) 내로 누설되는 경우 발생한다.On the other hand, while the groundwater upper protection hole 100 is being used, for example, the spring 24 or the seal ring 212a is aged and has failed to function properly, or the connector assembly 20 is connected The connection between the taper surface 125 and the inclined surface 231 is caused by a slight rise from the original insertion position by the water pressure of the groundwater flowing into the flow passage 213 through the inlet 211 of (21). When the power or the connection force between the outlet 212 and the outlet 122 is weakened, the connection force between the outlet 212 of the connector 21 and the outlet 122 of the casing 10 is weakened, the flow path It occurs when the groundwater in 213 leaks into the casing 10 from between the outlet 212 and the outlet 122.

이러한 경우에는, 유출구(212)와 배출구(122) 사이의 접속력을 강화시켜 주기 위한 작업이 필요한데, 그러한 작업을 위하여 먼저, 케이싱(10)이 지중(G)에 매립되어 있는 상태에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결관 조립체(20)를 상기 나사부재(27)가 외부로 노출되는 위치까지 들어올린다.In this case, it is necessary to work to strengthen the connection force between the outlet 212 and the outlet 122. For such work, first, in a state where the casing 10 is buried in the ground G, FIG. 9 As shown in, the connector assembly 20 is raised to the position where the screw member 27 is exposed to the outside.

그 후, 나사부재(27)를 너트부재(26)에 대해 체결하는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그러면, 너트부재(26)는, 상기와 같이 연결관(21)에 대해 회전은 불가능하고 케이싱(10)의 직경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으므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촉부재(23)에 대해 접근하는 방향으로 적정량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너트부재(26)의 이동에 의해, 접촉부재(23)와 너트부재(26) 사이의 스프링(24)은 도 8에 도시된 상태(연결관 조립체를 케이싱 내에 최초로 삽입하기 직전의 상태)보다 압축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연결관 조립체(20)를 다시 하강시켜서 케이싱(10) 내로의 삽입을 완료하게 되면,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태(연결관 조립체가 케이싱 내에 최초로 삽입되어 사용되고 있던 상태)보다, 스프링(24)이, 상기 조정량만큼 더 압축되어 있게 된다. 따라서, 그 스프링(24)의 압축에 의한 탄성 복원력은 도 3에 도시된 상태보다 커지게 되고, 그 결과, 압축된 스프링(24)에 의하여 접촉부재(23)에 테이퍼면(125)측으로 가해지는 탄성 가압력 및, 스프링(24)에 의해 연결관(21)에 배출구(122)와의 접속방향으로 가해지는 탄성 가압력도 원래의 상태(도 3에 도시된 상태)보다 커지게 된다. 따라서, 유출구(212)와 배출구(122) 사이의 접속력(연결관의 유출구에 결합된 시일 링과 케이싱의 내면 사이의 밀착력)도 강해지게 되어, 그 유출구(212)와 배출구(122) 사이로부터 케이싱(10) 내로 지하수가 누설되는 것이 방지된다.Thereafter, the screw member 27 is rotated in the direction of fastening with respect to the nut member 26. Then, the nut member 26 is rotatable relative to the connecting pipe 21 as described above, and is installed so as to be movable in the radial direction of the casing 10. As shown in FIG. 10, the contact member 23 ) In the direction approaching. And, by the movement of the nut member 26, the spring 24 between the contact member 23 and the nut member 26 is shown in Figure 8 (the state immediately before inserting the connector assembly into the casing for the first time) It becomes more compressed. In this state, when the connector assembly 20 is lowered again to complete insertion into the casing 10, as shown in FIG. 11, the state as shown in FIG. 3 (the connector assembly is the first in the casing. Spring 24 is compressed more than the adjustment amount. Accordingly, the elastic restoring force by compression of the spring 24 becomes larger than the state shown in FIG. 3, and as a result, the tapered surface 125 is applied to the contact member 23 by the compressed spring 24. The elastic pressing force and the elastic pressing force applied to the connecting pipe 21 by the spring 24 in the connection direction with the outlet 122 also become larger than the original state (the state shown in FIG. 3). Therefore, the connection force between the outlet 212 and the outlet 122 (adhesive force between the seal ring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casing coupled to the outlet of the connecting pipe) also becomes strong, from the outlet 212 and the outlet 122 Groundwater leakage into the casing 10 is prevented.

한편, 조절기구를 구성하는 요소들(나사부재(27), 너트부재(26), 스프링(24) 등)이나, 시일 링(212a) 등의 교체가 필요한 경우에도, 상기와 같이, 케이싱(10)이 지중(G)에 매립되어 있는 상태에서 연결관 조립체(20)만 상방으로 들어올려서, 상기와 같은 교체작업을 행하면 된다.On the other hand, even when the elements constituting the adjustment mechanism (screw member 27, nut member 26, spring 24, etc.) or the seal ring 212a, etc. need to be replaced, as described above, the casing 10 ) Is only buried in the ground (G), only the connector assembly 20 is lifted upwards, and the above replacement work may be performed.

이처럼, 본 실시예의 지하수 상부 보호공(100)은, 연결관(21)과 케이싱(10)의 배출구(112) 사이의 접속력을 조절하기 위한 조절기구가, 지중(G)에 매설되어 있는 상태의 케이싱(20)으로부터 들어올릴 수 있는 연결관 조립체(20)에 마련되어 있으므로, 연결관 조립체(20)만 들어올려서 상기와 같은 접속력의 조절을 위한 작업 및 그 접속력 조절을 위한 부재들의 수리, 교환 등을 행할 수 있으므로, 종래의 지하수 상부 보호공(접속력의 조절을 위한 조절기구가 케이싱의 외주측에 마련되어서, 접속력의 조절이나 부품의 교환, 수리 등의 작업을 행하고자 할 때, 케이싱을 매립하고 있는 흙을 굴삭기를 이용하여 모두 퍼내어야만 하는 구조의 보호공)에 비하여, 단시간에 매우 쉽고 저렴한 비용으로, 상기와 같은 접속력 조절 작업, 그 조절기구의 수리나 교환 작업을 행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in the groundwater upper protector 100 of the present embodiment, a control mechanism for adjusting the connection force between the connection pipe 21 and the outlet 112 of the casing 10 is buried in the ground G Since it is provided in the connector assembly 20 that can be lifted from the casing 20 of the, only the connector assembly 20 is lifted to work for adjusting the connection force as described above and repairing the members for adjusting the connection force, Since it is possible to perform exchange or the like, when a conventional groundwater upper protector (adjustment mechanism for adjusting the connection force is provid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ide of the casing, to perform control operations, replacement of parts, repair, etc.) Compared to the protection worker of the structure that must excavate all the soil that is filling the casing with an excavator), it is very easy and inexpensive in a short time. Can.

이상, 본 발명에 대하여 바람직한 실시예 및 변형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설명된 각 구성요소의 구체적인 형상이나 배치는 도시된 형태로 한정될 필요는 없으며, 본 발명의 취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설명된 실시예나 변형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주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지하수 상부 보호공이 구현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preferred embodiments and modified example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but the specific shapes and arrangements of the described components need not be limited to the illustrated forms, and variously within a range not departing from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you can change it.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or modifications, and various types of groundwater upper guards may be implemented within the scope of the scope of the claims.

1...관정 파이프 2...수중 펌프
10...케이싱 11...몸체
122...배출구 125...테이퍼면
20...연결관 조립체 21...연결관
211...유입구 212...유출구
23...접촉부재 231...경사면
24...스프링 26...너트부재
27...나사부
1 ... well pipe 2 ... submersible pump
10 ... casing 11 ... body
122 ... outlet 125 ... taper side
20 ... connector assembly 21 ... connector
211 ... Inlet 212 ... Outlet
23 ... contact member 231 ... slope
24 ... Spring 26 ... Nut member
27 ... Screw

Claims (5)

삭제delete 관 형상의 몸체를 가지며, 수중 펌프가 설치된 지하수 관정의 상방에 상하방향으로 연장되게 세워져 설치되며, 몸체의 측벽에는 그 몸체의 내외부를 연통시키는 배출구가 형성되어 있는 케이싱; 및
상기 케이싱의 상방으로부터 그 케이싱 내에 삽입되며, 상기 수중 펌프로부터 토출되는 지하수가 유입되도록 상기 수중 펌프에 접속되는 유입구와, 상기 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지하수를 상기 배출구를 통해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상기 배출구에 접속되는 유출구와, 상기 유입구와 유출구를 연통시키는 유로를 포함하는 연결관 조립체;를 구비하며,
상기 연결관 조립체는:
상기 유입구와 상기 유출구와 상기 유로를 가지는 연결관;
상기 케이싱의 직경방향에서 상기 연결관을 사이에 두고 상기 배출구의 반대쪽에 위치하며, 상기 배출구에 대해 접근 및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상기 연결관에 지지되어 있는 접촉부재;
상기 연결관에 설치되며, 상기 접촉부재를 상기 케이싱의 내면에 밀착시키고 상기 유출구를 상기 배출구에 접속시키도록, 상기 접촉부재를 상기 연결관에 대해 상기 배출구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가압하는 스프링; 및
상기 연결관에 설치되며, 상기 스프링에 의해 상기 접촉부재에 가해지는 가압력을 조절하기 위한 조절기구;를 구비하며,
상기 조절기구는;
상기 접촉부재와 상기 연결관의 유출구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접촉부재에 대해 접근 및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며 회전은 방지되게 상기 연결관에 설치된 너트부재와,
상기 접촉부재를 관통하여 상기 너트부재에 체결되는 수나사부와, 접촉부재의 외부로 노출 가능한 머리부를 구비하며, 상기 연결관에 대한 위치가 고정되는 나사부재와,
상기 접촉부재의, 상기 배출구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의 최대 이동 위치를 제한하도록, 상기 연결관에 결합되어 상기 접촉부재에 걸리는 스토퍼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수 상부 보호공.
A casing having a tubular body, erected and installed in an upward and downward direction above an underground water well with a submersible pump installed, and a side wall of the body having an outlet for communicating the inside and outside of the body; And
The inlet is inserted into the casing from above the casing and connected to the submersible pump so that the groundwater discharged from the submersible pump flows in, and the outlet so that the groundwater introduced through the inlet can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outlet. It is provided with; and a connector assembly comprising a flow path communicating with the outlet and the outlet connected to the outlet.
The connector assembly is:
A connection pipe having the inlet and the outlet and the flow path;
A contact member position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outlet through the connecting pipe in the diameter direction of the casing, and supported by the connecting pipe to be movable in a direction approaching and spaced apart from the outlet;
It is installed on the connecting pipe, and the spring for elastically pressing the contact member in a direction spaced from the outlet with respect to the connecting pipe so as to close the contact member to the inner surface of the casing and connect the outlet to the outlet. ; And
It is provided on the connecting pipe, and the adjusting mechanism for adjusting the pressing force applied to the contact member by the spring;
The adjustment mechanism;
It is located between the contact member and the outlet of the connection pipe, and is movable in a direction spaced apart from the contact member, and a nut member installed in the connection pipe to prevent rotation,
A screw member having a male screw part penetrating through the contact member and fastening to the nut member, a head part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contact member, and having a fixed position with respect to the connector;
The contact member, to limit the maximum movement position in the direction away from the outlet, coupled to the connection pip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stopper member for engaging the contact member upper groundwater protection ball.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연결관의 유출구에는, 상기 케이싱의 배출구를 둘러싼 상태로 그 케이싱의 내면에 탄력적으로 밀착되는 시일 링이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수 상부 보호공.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The outlet of the connection pipe, a ground ring upper protective ball, characterized in that the sealing ring is resiliently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casing while surrounding the outlet of the casing.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은, 상기 접촉부재와 상기 너트부재 사이에 위치하며, 일단은 상기 접촉부재에 지지되고 타단은 상기 너트부재에 지지되는 압축코일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수 상부 보호공.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3,
The spring is located between the contact member and the nut member, one end is supported by the contact member, the other end is a grounding upper protection ball, characterized in that the compression coil spring is supported by the nut member.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에는, 하방으로 갈수록 상기 배출구에 가까워지도록 경사진 테이퍼면이 마련되어 있고,
상기 접촉부재는 상기 스프링에 의해 상기 테이퍼면에 탄력적으로 밀착되는 경사면을 가지며,
상기 경사면은, 하방으로 갈수록 상기 배출구에 가까워지도록 경사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수 상부 보호공.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The casing is provided with an inclined tapered surface so as to approach the outlet toward the lower side,
The contact member has an inclined surface that is elastically in close contact with the tapered surface by the spring,
The inclined surface, the upper ground water protection hole, characterized in that inclined to be closer to the outlet toward the downward.
KR1020200000501A 2020-01-02 2020-01-02 Apparatus for protecting underground water well KR10208909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0501A KR102089092B1 (en) 2020-01-02 2020-01-02 Apparatus for protecting underground water wel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0501A KR102089092B1 (en) 2020-01-02 2020-01-02 Apparatus for protecting underground water well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89092B1 true KR102089092B1 (en) 2020-03-16

Family

ID=699484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00501A KR102089092B1 (en) 2020-01-02 2020-01-02 Apparatus for protecting underground water well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89092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26260A (en) 2020-08-25 2022-03-04 최윤경 Groundwater upper protector having secession preventing function of pipe joi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41638Y2 (en) * 1980-04-01 1985-12-18 三洋電機株式会社 Magnetron cathode structure
JP2005034698A (en) * 2003-07-16 2005-02-10 Masumi Kusunoki Medium stirring type pulverizer and sludge treatment apparatus using medium stirring type pulverizer
KR100555925B1 (en) * 2004-02-27 2006-03-03 (주) 두안수자원 개발 Apparatus for preventing pollution of subterranean water
JP2006314881A (en) * 2005-05-11 2006-11-24 Ashizawa Finetech Ltd Medium agitating type crushing apparatus
KR100757490B1 (en) * 2007-04-19 2007-09-11 제천시 Water tank unit
KR101626401B1 (en) * 2015-10-26 2016-05-31 최선기 Apparatus For Preventing Pollution Of SubterraneanWater
KR101840639B1 (en) 2017-08-24 2018-03-21 물과지열 주식회사 Ground water top protection with watertightness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41638Y2 (en) * 1980-04-01 1985-12-18 三洋電機株式会社 Magnetron cathode structure
JP2005034698A (en) * 2003-07-16 2005-02-10 Masumi Kusunoki Medium stirring type pulverizer and sludge treatment apparatus using medium stirring type pulverizer
KR100555925B1 (en) * 2004-02-27 2006-03-03 (주) 두안수자원 개발 Apparatus for preventing pollution of subterranean water
JP2006314881A (en) * 2005-05-11 2006-11-24 Ashizawa Finetech Ltd Medium agitating type crushing apparatus
KR100757490B1 (en) * 2007-04-19 2007-09-11 제천시 Water tank unit
KR101626401B1 (en) * 2015-10-26 2016-05-31 최선기 Apparatus For Preventing Pollution Of SubterraneanWater
KR101840639B1 (en) 2017-08-24 2018-03-21 물과지열 주식회사 Ground water top protection with watertightness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26260A (en) 2020-08-25 2022-03-04 최윤경 Groundwater upper protector having secession preventing function of pipe joint
KR102506653B1 (en) * 2020-08-25 2023-03-21 최윤경 Groundwater upper protector having secession preventing function of pipe join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3169998A (en) Chemical-spraying apparatus for geothermal source well
KR102089092B1 (en) Apparatus for protecting underground water well
CN104160108A (en) Blowout preventer assembly
CN108331586A (en) Soil pressure case safe replacement device
WO2000011312A1 (en) Grouting pipe equipment and method of grouting using the same for an underground water well
US8235125B2 (en) System and method for terminating tubing
KR20150059593A (en) Spherical-annular blowout preventer having a plurality of pistons
US20100012317A1 (en) Rcd hydraulic stripping adapter
KR100897440B1 (en) Combined discharge port and water supply port of groundwater core
US3976131A (en) Pitless adapter with pressurized seal
US7931306B2 (en) Vented gas riser apparatus
KR20090062095A (en) Apparatus for preventing polution of subterranean water
US7987915B1 (en) Circulating sub with mudsaver for dispensing and circulating fluid in a well bore
KR200391193Y1 (en) Contamination preventing device of underground water intake pipe
KR101923141B1 (en) Apparatus for protecting underground water well
KR101932236B1 (en) Apparatus for protecting underground water well
CN209569369U (en) A kind of one-way water stop grouting device for vertical shaft section of jurisdiction
RU2150575C1 (en) Well valve unit
CN214035600U (en) Anti-scraping flow choking device
JP4187126B2 (en) Grout monitor device
CN216381342U (en) Water injection well device for oil field development convenient to protect water injection pipe
CN104271871A (en) Blowout preventer seal assembly and method of using same
CN214145442U (en) Hole sealing device for coal mine
CN101025081A (en) Constant-flow sand-proof anti-blocked eccentric water flow regulator
CN212649069U (en) Cable sealing structure of submersible pump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