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88866B1 - Mobile terminal - Google Patents

Mobile termina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88866B1
KR102088866B1 KR1020130043016A KR20130043016A KR102088866B1 KR 102088866 B1 KR102088866 B1 KR 102088866B1 KR 1020130043016 A KR1020130043016 A KR 1020130043016A KR 20130043016 A KR20130043016 A KR 20130043016A KR 102088866 B1 KR102088866 B1 KR 1020888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view screen
mobile terminal
electronic device
touch
im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4301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40125174A (en
Inventor
김동익
권영철
황정환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430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88866B1/en
Publication of KR201401251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2517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88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886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2Digitisers structurally integrated in a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for selectively calling a substation from a main station, in which substation desired apparatus is selected for applying a control signal thereto or for obtaining measured values therefrom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3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38
    • G06F2203/0384Wireless input, i.e. hardware and software details of wireless interface arrangements for pointing 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8
    • G06F2203/04805Virtual magnifying lens, i.e. window or frame movable on top of displayed information to enlarge it for better reading or selec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8
    • G06F2203/04806Zoom, i.e. interaction techniques or interactors for controlling the zooming oper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0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 H04Q2209/4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using a wireless architec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는 프리뷰 화면에 표시된 다른 전자 기기의 GUI 영상에 대한 터치에 기초하여 상기 다른 전자 기기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The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other electronic device based on the touch on the GUI image of the other electronic device displayed on the preview screen.

Description

이동 단말기{Mobile terminal}Mobile terminal

본 발명은 이동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프리뷰 화면에 대한 터치에 기초하여 다른 전자 기기를 제어할 수 있는 이동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terminal, and more particularly, to a mobile terminal capable of controlling other electronic devices based on a touch on a preview screen.

개인용 컴퓨터, 노트북, 휴대폰, 스마트폰 등과 같은 단말기(terminal)는 기능이 다양화됨에 따라, 사진이나 동영상의 촬영, 음악이나 동영상 파일의 재생, 게임, 방송의 수신 등의 복합적인 기능들을 갖춘 멀티미디어 기기(multimedia player) 형태로 구현되고 있다.Terminals such as personal computers, laptops, mobile phones, smartphones, etc. have diversified functions, and multimedia devices with complex functions such as taking pictures or videos, playing music or video files, receiving games and broadcasting, etc. It is implemented in the form of (multimedia player).

단말기의 기능 지지 및 증대를 위해, 단말기의 구조적인 부분 및/또는 소프트웨어적인 부분을 개량하는 것이 고려될 수 있다. 최근 이동 단말기를 포함한 다양한 단말기들은 복합적이고 다양한 기능들을 제공함에 따라 메뉴 구조 또한 복잡해지고 있다. 또한, 최근에는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하여 연결된 다른 전자 기기를 제어할 수 있는 이동 단말기에 대한 관심, 연구, 제품화가 활발해지고 있다.In order to support and increase the function of the terminal, it may be considered to improve the structural part and / or software part of the terminal. 2. Description of the Related Art Recently, various terminals, including mobile terminals, are complex and provide a variety of functions, so the menu structure is also complicated. In addition, in recent years, interest, research, and commercialization of mobile terminals capable of controlling other electronic devices connected through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have been active.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다른 전자 기기와 연관된 프리뷰 화면을 통한 터치에 기초하여 다른 전자 기기를 제어할 수 있는 이동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Technical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terminal capable of controlling another electronic device based on a touch through a preview screen associated with another electronic device.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echnical problems to be achieved by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technical problems mentioned above, and other technical problems not mentioned above may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There will be.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는, 다른 전자 기기와의 근거리 무선 통신 링크를 형성하는 무선 통신부; 상기 다른 전자 기기의 GUI(graphic user interface) 영상을 획득하는 카메라; 상기 GUI 영상을 프리뷰(preview) 화면으로 표시하는 터치 스크린; 및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프리뷰 화면을 통하여 터치가 수신되면, 상기 프리뷰 화면에서 터치가 수신된 위치에 대응되는 상기 다른 전자 기기의 GUI에서의 위치를 결정하고, 상기 다른 전자 기기의 GUI에서 상기 결정된 위치가 직접 선택된 것과 같은 기능을 수행하도록 상기 다른 전자 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며, 상기 생성된 제어 신호를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 링크를 통하여 상기 다른 전자 기기로 전송할 수 있다.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technical problem,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to form a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link with other electronic devices; A camera that acquires a graphic user interface (GUI) image of the other electronic device; A touch screen that displays the GUI image as a preview screen; And a control unit. When a touch is received through the preview screen, the control unit determines a position in the GUI of the other electronic device corresponding to a location where the touch is received on the preview screen, and the determined position is directly in the GUI of the other electronic device. A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the other electronic device is generated to perform the same function as the selected one, and the generated control signal can be transmitted to the other electronic device through the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link.

상기 제어부는, 상기 프리뷰 화면에서 상기 GUI 영상의 일부를 확대하여 표시하며, 상기 프리뷰 화면을 통하여 수신되는 터치에 기초하여 상기 프리뷰 화면에 대한 확대, 축소, 및 스크롤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카메라의 초점에 기초하여 상기 프리뷰 화면에서 확대되어 표시될 상기 GUI 영상의 일부를 결정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may enlarge and display a part of the GUI image on the preview screen, and perform an enlargement, reduction, and scroll function on the preview screen based on a touch received through the preview screen. The controller may determine a part of the GUI image to be enlarged and displayed on the preview screen based on the focus of the camera.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는 다른 전자 기기와의 근거리 무선 통신 링크를 형성하는 무선 통신부; 상기 다른 전자 기기의 영상을 획득하는 카메라; 상기 다른 전자 기기의 영상의 프리뷰 화면을 표시하는 터치 스크린; 및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프리뷰 화면에서 상기 다른 전자 기기의 특정 부분에 대한 터치가 수신되면, 상기 다른 전자 기기의 특정 부분에 대응되도록 미리 정해진 특정 기능을 수행하도록 상기 다른 전자 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 링크를 통하여 전송할 수 있다.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that forms a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link with other electronic devices; A camera that acquires an image of the other electronic device; A touch screen displaying a preview screen of the image of the other electronic device; And a control unit. The control unit receives a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the other electronic device to perform a specific predetermined function to correspond to a specific part of the other electronic device when a touch on a specific part of the other electronic device is received on the preview screen. It can be generated and transmitted through the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link.

상기 제어부는, 상기 프리뷰 화면에서 상기 다른 전자 기기의 영상의 일부를 확대하여 표시하며, 상기 프리뷰 화면을 통하여 수신되는 터치에 기초하여 상기 프리뷰 화면에 대한 확대, 축소, 및 스크롤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The controller may enlarge and display a part of the image of the other electronic device on the preview screen, and perform an enlargement, reduction, and scrolling function on the preview screen based on a touch received through the preview screen. .

상기 제어부는, 상기 카메라의 초점에 기초하여 상기 프리뷰 화면에서 확대되어 표시될 상기 다른 전자 기기의 영상의 일부를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다른 전자 기기의 영상 중에서 상기 다른 전자 기기의 조작부가 포함된 부분을 자동 확대하여 프리뷰 화면으로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프리뷰 화면에 표시된 상기 다른 전자 기기의 조작부에 대한 터치가 수신되면, 상기 다른 전자 기기에서 상기 조작부가 직접 선택된 것과 같은 기능을 수행하도록 상기 다른 전자 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며, 상기 생성된 제어 신호를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 링크를 통하여 상기 다른 전자 기기로 전송할 수 있다.The controller may determine a part of the image of the other electronic device to be enlarged and displayed on the preview screen based on the focus of the camera. The control unit may automatically enlarge a portion of the image of the other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operation unit of the other electronic device to provide a preview screen. The control unit generates a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the other electronic device to perform the same function as the operation unit directly selected by the other electronic device when a touch to the operation unit of the other electronic device displayed on the preview screen is received. In addition, the generated control signal may be transmitted to the other electronic device through the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link.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는, 다른 전자 기기와의 근거리 무선 통신 링크를 형성하는 무선 통신부; 특정 장소의 영상을 획득하는 카메라;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for forming a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link with other electronic devices; A camera that acquires an image of a specific place;

상기 특정 장소의 영상의 프리뷰 화면을 표시하는 터치 스크린; 및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프리뷰 화면에서 상기 특정 장소에 대한 터치가 수신되면, 상기 특정 장소에 대하여 미리 정해진 특정 기능을 수행하도록 상기 다른 전자 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제어 신호를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 링크를 통하여 상기 다른 전자 기기로 전송할 수 있다.A touch screen that displays a preview screen of the video of the specific place; And a control unit. The control unit generates a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the other electronic device to perform a predetermined specific function for the specific place when a touch for the specific place is received on the preview screen, and generates the generated control signal. It may be transmitted to the other electronic device through the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link.

상기 제어부는, 상기 프리뷰 화면에서 상기 특정 장소의 영상의 일부를 확대하여 표시하며, 상기 프리뷰 화면을 통하여 수신되는 터치에 기초하여 상기 프리뷰 화면에 대한 확대, 축소, 및 스크롤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카메라의 초점에 기초하여 상기 프리뷰 화면에서 확대되어 표시될 상기 특정 장소의 영상의 일부를 결정할 수 있다.The controller may enlarge and display a part of the image of the specific place on the preview screen, and perform an enlargement, reduction, and scrolling function on the preview screen based on a touch received through the preview screen. The controller may determine a part of the image of the specific place to be enlarged and displayed on the preview screen based on the focus of the camera.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사용자는 프리뷰 화면에 표시된 다른 전자 기기의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대한 터치를 통하여 상기 다른 전자 기기를 제어할 수 있다.The user of the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control the other electronic device through a touch on the graphic user interface of the other electronic device displayed on the preview screen.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사용자는 프리뷰 화면에 표시된 다른 전자 기기의 특정 부분에 대한 터치를 통하여, 상기 특정 부위에 대하여 미리 정해진 특정 기능을 수행하도록 상기 다른 전자 기기를 제어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user of the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control the other electronic device to perform a predetermined specific function for the specific part through a touch on a specific part of the other electronic device displayed on the preview screen.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사용자는 프리뷰 화면에 표시된 특정 장소에 대한 터치를 통하여, 상기 특정 장소와 관련된 특정 기능을 수행하도록 다른 전자 기기를 제어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user of the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control other electronic devices to perform a specific function related to the specific place through a touch on the specific place displayed on the preview screen.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블락도(block diagram)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 구동 방법의 일예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이동 단말기 구동 방법에 따라서, 이동 단말기에 TV의 GUI의 영상의 일부에 대한 프리뷰 화면이 표시된 것을 나타낸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이동 단말기 구동 방법에 따라서, 이동 단말기의 프리뷰 화면이 확대 축소되는 예를 나타낸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 표시된 프리뷰 화면에서의 위치가 TV의 GUI 영상에 매칭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2에 도시된 이동 단말기 구동 방법에 따라서, 이동 단말기의 프리뷰 화면에 대한 터치에 기초하여 TV에서의 콘텐츠 선택 기능이 수행되는 것을 나타낸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 구동 방법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이동 단말기 구동 방법에 따라서, 에어콘 영상이 이동 단말기에서 프리뷰 화면으로 제공된 예를 나타낸다.
도 9는 이동 단말기(100)의 프리뷰 화면 터치에 기초하여 에어콘 동작이 제어되는 예를 나타낸다.
도 10은 도 8에 도시된 이동 단말기 구동 방법에 따라서, 에어콘 전체 영상 중 에어콘의 조작부를 포함하는 일부가 자동 확대되어 이동 단말기에서 프리뷰 화면으로 제공되는 것을 나타낸다.
도 11은 도 8에 도시된 이동 단말기 구동 방법에 따라서, 조명의 온/오프를 제어하는 것을 나타낸다.
도 12는 도 8에 도시된 이동 단말기 구동 방법에 따라서, TV의 온/오프를 제어하는 것을 나타낸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 구동 방법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4는 도 13에 도시된 이동 단말기 구동 방법에 따라서 로봇 청소기의 동작에 제어되는 예를 나타낸다.
1 is a block diagram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method for driving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llustrates that a preview screen for a part of an image of a GUI of a TV is displayed on the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method of driving the mobile terminal illustrated in FIG. 2.
4 shows an example in which the preview screen of the mobile terminal is enlarged and reduced according to the method of driving the mobile terminal illustrated in FIG. 2.
5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method of matching a location on a preview screen displayed on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o a TV GUI image.
6 illustrates that the content selection function is performed on the TV based on the touch on the preview screen of the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method of driving the mobile terminal illustrated in FIG. 2.
7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other example of a method for driving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8 illustrates an example in which an air conditioner image is provided as a preview screen in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method of driving the mobile terminal illustrated in FIG. 7.
9 shows an example in which the air conditioner operation is controlled based on the touch of the preview screen of the mobile terminal 100.
FIG. 10 illustrates that, according to the method of driving the mobile terminal illustrated in FIG. 8, a portion including an air conditioner control unit is automatically enlarged among all images of the air conditioner and is provided as a preview screen in the mobile terminal.
FIG. 11 illustrates controlling on / off of lighting according to the method of driving the mobile terminal illustrated in FIG. 8.
FIG. 12 illustrates controlling on / off of a TV according to the method of driving the mobile terminal illustrated in FIG. 8.
1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other example of a method for driving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4 illustrates an example of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robot cleaner according to the method of driving the mobile terminal shown in FIG. 13.

본 발명의 상술한 목적, 특징들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또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The above-described objects, feature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more apparent through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the same reference numbers indicate the same components. In addi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or configurations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is omitted.

이하,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단말기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Hereinafter,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The suffixes "module" and "unit" for components used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re given or mixed in consideration of ease of specification, and do not have distinct meanings or roles.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이동 단말기에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전용 단말기 등이 포함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mobile terminal describ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may include a mobile phone, a smart phone, a laptop computer, a terminal for digital broadcasting, a 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 a portable multimedia player (PMP), navigation, a dedicated terminal, and the like. have. However,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의 블락도(block diagram)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이동 단말기(100)는 무선 통신부(110), A/V(Audio/Video) 입력부(120), 사용자 입력부(130), 센싱부(140), 출력부(150), 저장부(160), 인터페이스부(170), 제어부(180) 및 전원부(19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이동 단말기(100)는 그보다 많은 구성요소들을 갖거나 그보다 적은 구성요소들을 가질 수도 있다.1 is a block diagram of a mobile terminal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1, the mobile terminal 100 includes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0, an audio / video (A / V) input unit 120, a user input unit 130, a sensing unit 140, and an output unit 150, It may include a storage unit 160, the interface unit 170, the control unit 180 and the power supply unit 190. Since the components shown in FIG. 1 are not essential, the mobile terminal 100 may have more components or fewer components.

이하, 상기 구성요소들에 대해 차례로 살펴본다.Hereinafter, the components will be described in turn.

무선 통신부(110)는 이동 단말기(100)와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또는 이동 단말기(100)와 이동 단말기(100)가 위치한 네트워크 사이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부(110)는 방송 수신 모듈(111), 이동통신 모듈(112), 무선 인터넷 모듈(113), 근거리 통신 모듈(114) 및 위치 정보 모듈(115) 등을 포함할 수 있다.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0 may include one or more modules that enable wireless communication between the mobile terminal 100 and the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or between the mobile terminal 100 and the network in which the mobile terminal 100 is located. For example,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0 may include a broadcast reception module 111, a mobile communication module 112, a wireless Internet module 113, a short-range communication module 114, and a location information module 115. .

방송 수신 모듈(111)은 방송 채널을 통하여 외부의 방송 관리 서버로부터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된 정보를 수신한다.The broadcast receiving module 111 receives a broadcast signal and / or broadcast related information from an external broadcast management server through a broadcast channel.

상기 방송 채널은 위성 채널, 지상파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리 서버는,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생성하여 송신하는 서버 또는 기 생성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제공받아 단말기에 송신하는 서버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방송 신호는, TV 방송 신호, 라디오 방송 신호, 데이터 방송 신호를 포함할 뿐만 아니라, TV 방송 신호 또는 라디오 방송 신호에 데이터 방송 신호가 결합한 형태의 방송 신호도 포함할 수 있다.The broadcast channel may include a satellite channel and a terrestrial channel. The broadcast management server may mean a server that generates and transmits broadcast signals and / or broadcast-related information or a server that receives previously generated broadcast signals and / or broadcast-related information and transmits them to a terminal. The broadcast signal may include a TV broadcast signal, a radio broadcast signal, and a data broadcast signal, and may also include a TV broadcast signal or a radio broadcast signal combined with a data broadcast signal.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방송 채널, 방송 프로그램 또는 방송 서비스 제공자에 관련한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이동통신망을 통하여도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상기 이동통신 모듈(112)에 의해 수신될 수 있다.The broadcast related information may mean information related to a broadcast channel, a broadcast program, or a broadcast service provider. The broadcast-related information may also be provided through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In this case, it may be received by the mobile communication module 112.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다양한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의 EPG(Electronic Program Guide) 또는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의 ESG(Electronic Service Guide) 등의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The broadcast-related information may exist in various forms. For example, it may exist in the form of an Electronic Program Guide (EPG) of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DMB) or an Electronic Service Guide (ESG) of 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 (DVB-H).

상기 방송 수신 모듈(111)은, 각종 방송 시스템을 이용하여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데, 특히, DMB-T(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Terrestrial), DMB-S(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Satellite), MediaFLO(Media Forward Link Only),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 ISDB-T(Integrated Services Digital Broadcast-Terrestrial) 등의 디지털 방송 시스템을 이용하여 디지털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물론, 상기 방송 수신 모듈(111)은, 상술한 디지털 방송 시스템뿐만 아니라 방송 신호를 제공하는 다른 방송 시스템에 적합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The broadcast receiving module 111 receives a broadcast signal using various broadcast systems. In particular, DMB-T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Terrestrial), DMB-S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Satellite), MediaFLO (Media Forward Link) Digital broadcast signals can be received using digital broadcasting systems such as Only), DVB-H (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 and ISDB-T (Integrated Services Digital Broadcast-Terrestrial). Of course, the broadcast receiving module 111 may be configured to be suitable for not only the above-described digital broadcast system but also other broadcast systems for providing broadcast signals.

방송 수신 모듈(111)을 통해 수신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는 저장부(160)에 저장될 수 있다.The broadcast signal and / or broadcast-related information received through the broadcast receiving module 111 may be stored in the storage 160.

이동통신 모듈(112)은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상기 무선 신호는, 음성 콜(call) 신호, 화상 통화 콜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The mobile communication module 112 transmits and receives wireless signals to and from at least one of a base station, an external terminal, and a server on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The wireless signal may include various types of data according to transmission and reception of a voice call signal, a video call signal, or a text / multimedia message.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을 말하는 것으로,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이동 단말기(100)에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WLAN(Wireless LAN)(Wi-Fi),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LTE(Long Term Evolution) 등이 이용될 수 있다. The wireless Internet module 113 refers to a module for wireless Internet access, and the wireless Internet module 113 may be built in or external to the mobile terminal 100. Wireless Internet technology includes Wireless LAN (WLAN) (Wi-Fi), Wireless broadband (Wibro), 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Wimax), 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DPA), and Long Term Evolution (LTE). You can.

근거리 통신 모듈(114)은 근거리 통신을 위한 모듈을 말한다. 근거리 통신 기술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ZigBee 등이 이용될 수 있다.The short-range communication module 114 refers to a module for short-range communication. Bluetooth,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ltra wideband (UWB), and ZigBee may be used as short-range communication technology.

위치정보 모듈(115)은 이동 단말기의 위치를 확인하거나 얻기 위한 모듈이다. 상기 위치정보 모듈(115)은 범지구적 위성항법시스템(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GNSS)를 이용하여 위치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여기서, 범지구적 위성 항법 시스템(GNSS)은 지구를 공전하여 무선 항법 수신기들의 소정의 타입들이 지표면 또는 지표면 근처의 그들의 위치를 결정할 수 있는 기준 신호들을 보내는 무선 항법위성 시스템들을 설명하기 위해 이용되는 용어이다. 상기 범지구적 위성 항법 시스템(GNSS)에는 미국에서 운영하는 GPS(Global Position System), 유럽에서 운영하는 갈릴레오(Galileo), 러시아에서 운영하는 GLONASS(Global Orbiting Navigational Satelite System), 중국에서 운영하는 COMPASS 및 일본에서 운영하는 QZSS(Quasi-Zenith Satellite System)등이 있다.The location information module 115 is a module for confirming or obtaining the location of the mobile terminal. The location information module 115 may acquire location information using a 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GNSS). Here, the global satellite navigation system (GNSS) is a term used to describe radio navigation satellite systems that orbit the Earth to send reference signals that allow certain types of radio navigation receivers to determine their location on or near the surface. . The Global Satellite Navigation System (GNSS) includes Global Position System (GPS) operated in the United States, Galileo operated in Europe, GLONASS (Global Orbiting Navigational Satelite System) operated in Russia, COMPASS operated in China, and Japan. And QZSS (Quasi-Zenith Satellite System) operated by the company.

GNSS의 대표적인 예를 들면, 상기 위치정보 모듈(115)은 GPS(Global Position System) 모듈일 수 있다. 상기 GPS 모듈은, 일 지점(개체)이 3개 이상의 위성으로부터 떨어진 거리에 관한 정보와, 상기 거리 정보가 측정된 시간에 관한 정보를 산출한 다음 상기 산출된 거리 정보에 삼각법을 적용함으로써, 일 시간에 일 지점(개체)에 대한 위도, 경도, 및 고도에 따른 3차원의 위치 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 나아가, 3개의 위성을 이용하여 위치 및 시간 정보를 산출하고, 또 다른 1개의 위성을 이용하여 상기 산출된 위치 및 시간 정보의 오차를 수정하는 방법 또한 사용되고 있다. 상기 GPS 모듈은 현 위치를 실시간으로 계속 산출하고 그를 이용하여 속도 정보를 산출하기도 한다.As a representative example of GNSS, the location information module 115 may be a Global Position System (GPS) module. The GPS module calculates information on a distance at which a point (object) is separated from three or more satellites, and information on a time when the distance information is measured, and then applies a trigonometry method to the calculated distance information to perform one hour. It is possible to calculate three-dimensional position information according to latitude, longitude, and altitude for a point (object). Furthermore, a method of calculating position and time information using three satellites and correcting the error of the calculated position and time information using another satellite is also used. The GPS module continuously calculates the current location in real time and uses it to calculate speed information.

도 1을 참조하면, A/V(Audio/Video) 입력부(12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것으로, 이에는 카메라(121)와 마이크(122)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화상 통화 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an audio / video (A / V) input unit 120 is for inputting an audio signal or a video signal, which may include a camera 121 and a microphone 122. The camera 121 processes image frames such as still images or moving pictures obtained by an image sensor in a video call mode or a shooting mode. The processed image frame may b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51.

카메라(121)에서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저장부(160)에 저장되거나 무선 통신부(110)를 통하여 외부로 전송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단말기의 구성 태양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도 있다.The image frames processed by the camera 121 may be stored in the storage unit 160 or transmitt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0. Two or more cameras 121 may be provided according to a configuration aspect of the terminal.

마이크(122)는 통화 모드 또는 녹음 모드, 음성 인식 모드 등에서 마이크로폰(Microphone)에 의해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아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통화 모드인 경우 이동통신 모듈(112)을 통하여 이동통신 기지국으로 송신 가능한 형태로 변환되어 출력될 수 있다. 마이크(122)에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잡음(noise)을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이 구현될 수 있다.The microphone 122 receives an external sound signal by a microphone in a call mode, a recording mode, a voice recognition mode, etc., and processes it as electrical voice data. The processed voice data may be converted into a form transmittable to a mobile communication base station through the mobile communication module 112 and output. Various noise reduction algorithms for removing noise generated in the process of receiving an external sound signal may be implemented in the microphone 122.

사용자 입력부(130)는 사용자가 단말기의 동작 제어를 위한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킨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 (dome switch), 터치 패드(정압/정전),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The user input unit 130 generates input data for the user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terminal. The user input unit 130 may be configured with a key pad dome switch, a touch pad (static pressure / blackout), a jog wheel, a jog switch, or the like.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A/V 입력부(120) 및 상기 사용자 입력부(130)가 하나의 입력부(116)로 구현될 수도 있다. 상기 입력부(116)에서 발생하는 각종 입력 데이터는 터치스크린으로 구현된 디스플레이부(151)를 통한 메모 작성 기능, 메모 저장 기능, 메모 삽입 기능 등 본 발명에 다른 이동 단말기(100)에서 수행되는 메모 관련 기능을 활성화시키거나 비활성화시키는데 이용될 수 있다. 이러한 입력 데이터에는 상기 카메라(121)를 통하여 수신되는 영상, 상기 마이크(122)를 통하여 수신되는 사용자의 음성, 상기 디스플레이부(151)를 통하여 수신되는 터치 등이 포함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As illustrated in FIG. 1, the A / V input unit 120 and the user input unit 130 may be implemented as one input unit 116. Various input data generated from the input unit 116 are related to memos performed by the mobile terminal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uch as a memo writing function, a memo storage function, a memo insertion function, etc. It can be used to activate or deactivate a function. The input data may include an image received through the camera 121, a user's voice received through the microphone 122, a touch received through the display unit 151, and the like. However,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센싱부(140)는 이동 단말기(100)의 개폐 상태, 이동 단말기(100)의 위치, 사용자 접촉 유무, 특정 부위에 대한 사용자의 터치 동작, 이동 단말기의 방위, 이동 단말기의 가속/감속 등과 같이 이동 단말기(100)의 현 상태를 감지하여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센싱 신호를 발생시킨다. 이러한 센싱 신호는 상기 제어부(180)에 전달되어, 상기 제어부(180)가 특정 기능을 수행하는 기초가 될 수 있다.The sensing unit 140 moves, such as the open / closed state of the mobile terminal 100, the location of the mobile terminal 100, the presence or absence of user contact, the user's touch action on a specific part, the orientation of the mobile terminal, acceleration / deceleration of the mobile terminal, and the like. The current state of the terminal 100 is sensed to generate a sensing signal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mobile terminal 100. The sensing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control unit 180, so that the control unit 180 may be a basis for performing a specific function.

상기 센싱부(140)는 사용자의 터치 여부를 감지하기 위한 터치 센서, 상기 사용자의 터치에 기초하여 발생하는 진동을 감지하기 위한 진동 센서, 상기 이동 단말기(100)의 회전을 감지하는 자이로(gyro) 센서, 가속도 센서, 지자기 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sensing unit 140 includes a touch sensor for detecting whether a user is touched, a vibration sensor for detecting vibration generated based on the user's touch, and a gyro for detecting rotation of the mobile terminal 100. It may include a sensor, an acceleration sensor, a geomagnetic sensor, and the like. However,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또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센싱부(140)는 상술한 다양한 형태의 센서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자세 감지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자세라 함은 상기 이동 단말기(100)의 자세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자세를 의미할 수도 있다.In addition, as illustrated in FIG. 1, the sensing unit 140 may include a posture detection sensor including at least one of the various types of sensors described above. Here, the posture may mean the posture of the user as well as the posture of the mobile terminal 100.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가 슬라이드 폰 형태인 경우 슬라이드 폰의 개폐 여부를 센싱할 수 있다. 또한, 전원부(190)의 전원 공급 여부, 인터페이스부(170)의 외부 기기 결합 여부 등과 관련된 센싱 기능을 담당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센싱부(140)는 근접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mobile terminal 100 is in the form of a slide phone, it may sense whether the slide phone is opened or closed. In addition, the sensing function related to whether the power supply unit 190 is supplied with power or whether the interface unit 170 is coupled with an external device may be in charge. Meanwhile, the sensing unit 140 may include a proximity sensor.

출력부(150)는 시각, 청각 또는 촉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 이에는 디스플레이부(151), 음향 출력부(152), 알람부(153) 및 햅틱 모듈(154) 등이 포함될 수 있다.The output unit 150 is for generating output related to vision, hearing, or tactile sense, and may include a display unit 151, an audio output unit 152, an alarm unit 153, and a haptic module 154. have.

디스플레이부(151)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 출력한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가 통화 모드인 경우 통화와 관련된 UI(User Interface) 또는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표시한다. 이동 단말기(100)가 화상 통화 모드 또는 촬영 모드인 경우에는 촬영 또는/및 수신된 영상 또는 UI, GUI를 표시한다. The display unit 151 displays and outputs information processed by the mobile terminal 100. For example, when the mobile terminal is in a call mode, a UI (User Interface) or a GUI (Graphic User Interface) related to the call is displayed. When the mobile terminal 100 is in a video call mode or a shooting mode, it displays a photographed or / and received video, UI, or GUI.

디스플레이부(151)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The display unit 151 includes a liquid crystal display, a 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an organic light-emitting diode, a flexible display, and a three-dimensional display ( 3D display).

이들 중 일부 디스플레이는 그를 통해 외부를 볼 수 있도록 투명형 또는 광투과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는 투명 디스플레이라 호칭될 수 있는데,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의 대표적인 예로는 투명 LCD 등이 있다. 디스플레이부(151)의 후방 구조 또한 광 투과형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여, 사용자는 단말기 바디의 디스플레이부(151)가 차지하는 영역을 통해 단말기 바디의 후방에 위치한 사물을 볼 수 있다.Some of these displays may be of a transparent type or a light transmissive type so that the outside can be seen through them. This may be called a transparent display, and a typical example of the transparent display is a transparent LCD. The rear structure of the display unit 151 may also be configured as a light transmissive structure. With this structure, the user can see an object located behind the terminal body through an area occupied by the display unit 151 of the terminal body.

이동 단말기(100)의 구현 형태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51)가 2개 이상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에는 복수의 디스플레이부들이 하나의 면에 이격되거나 일체로 배치될 수 있고, 또한 서로 다른 면에 각각 배치될 수도 있다. Two or more display units 151 may exist depending on the implementation form of the mobile terminal 100. For example, in the mobile terminal 100, a plurality of display units may be spaced apart or integrally disposed on one surface, or may be disposed on different surfaces.

디스플레이부(151)와 터치 동작을 감지하는 센서(이하, '터치 센서'라 함)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는 경우(이하, '터치 스크린'이라 함)에, 디스플레이부(151)는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예를 들어, 터치 필름, 터치 시트, 터치 패드 등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When the display unit 151 and a sensor that senses a touch operation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touch sensor”) form a mutual layer structure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touch screen”), the display unit 151 may be used in addition to an output device. It can also be used as an input device. The touch sensor may have, for example, a form of a touch film, a touch sheet, a touch pad, or the like.

터치 센서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특정 부위에 가해진 압력 또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특정 부위에 발생하는 정전 용량 등의 변화를 전기적인 입력신호로 변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터치 되는 위치 및 면적뿐만 아니라, 터치 시의 압력까지도 검출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touch sensor may be configured to convert a change in pressure applied to a specific portion of the display unit 151 or capacitance generated at a specific portion of the display unit 151 into an electrical input signal. The touch sensor may be configured to detect not only the touched position and area, but also pressure at the time of touch.

터치 센서에 대한 터치 입력이 있는 경우, 그에 대응하는 신호(들)는 터치 제어기로 보내진다. 터치 제어기는 그 신호(들)를 처리한 다음 대응하는 데이터를 제어부(180)로 전송한다. 이로써,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부(151)의 어느 영역이 터치 되었는지 여부 등을 알 수 있게 된다.If there is a touch input to the touch sensor, the corresponding signal (s) is sent to the touch controller. The touch controller processes the signal (s) and then transmits corresponding data to the controller 180. Accordingly, the control unit 180 can know which area of the display unit 151 has been touched, and the like.

상기 터치스크린에 의해 감싸지는 이동 단말기의 내부 영역 또는 상기 터치스크린의 근처에 근접 센서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근접 센서는 소정의 검출면에 접근하는 물체, 혹은 근방에 존재하는 물체의 유무를 전자계의 힘 또는 적외선을 이용하여 기계적 접촉이 없이 검출하는 센서를 말한다. 근접 센서는 접촉식 센서보다는 그 수명이 길며 그 활용도 또한 높다.A proximity sensor may be disposed in an inner area of the mobile terminal surrounded by the touch screen or near the touch screen. The proximity sensor refers to a sensor that detects the presence or absence of an object approaching a predetermined detection surface or an object present in the vicinity without mechanical contact using electromagnetic force or infrared rays. Proximity sensors have a longer lifespan and higher utilization than contact sensors.

상기 근접 센서의 예로는 투과형 광전 센서, 직접 반사형 광전 센서, 미러 반사형 광전 센서, 고주파 발진형 근접 센서, 정전용량형 근접 센서, 자기형 근접 센서, 적외선 근접 센서 등이 있다.Examples of the proximity sensor include a transmission type photoelectric sensor, a direct reflection type photoelectric sensor, a mirror reflection type photoelectric sensor, a high frequency oscillation type proximity sensor, a capacitive type proximity sensor, a magnetic type proximity sensor, and an infrared proximity sensor.

상기 터치 스크린이 정전식인 경우에는 상기 커서의 근접에 따른 전계의 변화로 상기 커서의 근접을 검출하도록 구성된다. 이 경우 상기 터치 스크린(터치 센서)은 근접 센서로 분류될 수도 있다.When the touch screen is capacitive, it is configured to detect the proximity of the cursor by a change in electric field according to the proximity of the cursor. In this case, the touch screen (touch sensor) may be classified as a proximity sensor.

상기 근접센서는, 근접 터치 및 근접 터치 패턴(예를 들어, 근접 터치 거리, 근접 터치 방향, 근접 터치 속도, 근접 터치 시간, 근접 터치 위치, 근접 터치 이동 상태 등)을 감지한다. 상기 감지된 근접 터치 동작 및 근접 터치 패턴에 상응하는 정보는 터치 스크린 상에 출력될 수 있다.The proximity sensor detects a proximity touch and a proximity touch pattern (eg, proximity touch distance, proximity touch direction, proximity touch speed, proximity touch time, proximity touch position, proximity touch movement state, etc.).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sensed proximity touch operation and proximity touch pattern may be output on the touch screen.

음향 출력부(152)는 콜 신호 수신, 통화모드 또는 녹음 모드, 음성인식 모드, 방송수신 모드 등에서 무선 통신부(110)로부터 수신되거나 저장부(16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할 수도 있다. 음향 출력부(152)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수행되는 기능(예를 들어, 콜 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등)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한다. 이러한 음향 출력부(152)에는 리시버(Receiver),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음향 출력부(152)는 이어폰잭(116)을 통해 음향을 출력할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이어폰잭(116)에 이어폰을 연결하여 출력되는 음향을 들을 수 있다.The audio output unit 152 may output audio data received from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0 or stored in the storage unit 160 in a call signal reception, call mode or recording mode, voice recognition mode, broadcast reception mode, or the like. The sound output unit 152 outputs sound signals related to a function (for example, a call signal reception sound, a message reception sound, etc.) performed in the mobile terminal 100. The sound output unit 152 may include a receiver, a speaker, and a buzzer. Also, the sound output unit 152 may output sound through the earphone jack 116. The user can hear the sound output by connecting the earphone to the earphone jack 116.

알람부(153)는 이동 단말기(100)의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에서 발생 되는 이벤트의 예로는 콜 신호 수신, 메시지 수신, 키 신호 입력, 터치 입력 등이 있다. 알람부(153)는 비디오 신호나 오디오 신호 이외에 다른 형태, 예를 들어 진동으로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다. 비디오 신호나 오디오 신호는 디스플레이부(151)나 음향 출력부(152)를 통해서도 출력될 수 있다.The alarm unit 153 may output a signal for notifying the occurrence of an event in the mobile terminal 100. Examples of events generated in the mobile terminal include call signal reception, message reception, key signal input, and touch input. The alarm unit 153 may output a signal for notifying the occurrence of an event by other forms, such as vibration, in addition to a video signal or an audio signal. The video signal or the audio signal may also be output through the display unit 151 or the sound output unit 152.

햅틱 모듈(haptic module, 154)은 사용자가 느낄 수 있는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킨다. 햅틱 모듈(154)이 발생시키는 촉각 효과의 대표적인 예로는 진동이 있다. 햅택 모듈(154)이 발생하는 진동의 세기와 패턴 등은 제어가능하다. 예를 들어, 서로 다른 진동을 합성하여 출력하거나 순차적으로 출력할 수도 있다.The haptic module 154 generates various tactile effects that the user can feel. A typical example of the tactile effect generated by the haptic module 154 is vibration. The intensity and pattern of vibration generated by the haptic module 154 are controllable. For example, different vibrations may be synthesized and output or sequentially output.

햅틱 모듈(154)은, 진동 외에도, 접촉 피부면에 대해 수직 운동하는 핀 배열에 의한 자극에 의한 효과, 분사구나 흡입구를 통한 공기의 분사력이나 흡입력을 통한 자극에 의한 효과, 피부 표면을 스치는 자극에 의한 효과, 전극(eletrode)의 접촉을 통한 자극에 의한 효과, 정전기력을 이용한 자극에 의한 효과, 흡열이나 발열 가능한 소자를 이용한 냉온감 재현에 의한 효과 등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o vibration, the haptic module 154 can be applied to effects caused by stimulation by pin arrays that vertically move with respect to the contact skin surface, effects caused by stimulation through air or the inhalation force of air through a spray or inlet, and stimulation through a skin surface. Various tactile effects can be generated, such as an effect, an effect caused by stimulation through contact of an electrode, an effect caused by stimulation using electrostatic force, and an effect of reproducing a feeling of cold and warm using an element capable of absorbing heat or generating heat.

햅틱 모듈(154)은 직접적인 접촉을 통해 촉각 효과의 전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손가락이나 팔 등의 근 감각을 통해 촉각 효과를 느낄 수 있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햅틱 모듈(154)은 휴대 단말기(100)의 구성 태양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 있다.The haptic module 154 may not only transmit the tactile effect through direct contact, but may also implement the haptic effect through muscle sensation such as a user's finger or arm. Two or more haptic modules 154 may be provided according to a configuration aspect of the portable terminal 100.

저장부(160)는 제어부(180)의 동작을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폰북, 메시지, 정지영상, 동영상 등)을 임시 저장할 수도 있다. 상기 저장부(160)는 상기 터치스크린 상의 터치 입력시 출력되는 다양한 패턴의 진동 및 음향에 관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The storage 160 may store a program for the operation of the controller 180, and may temporarily store input / output data (eg, a phone book, a message, a still image, a video, etc.). The storage unit 160 may store data related to various patterns of vibration and sound output when a touch is input on the touch screen.

저장부(16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는 인터넷(internet)상에서 상기 저장부(160)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와 관련되어 동작할 수도 있다.The storage unit 160 includes a flash memory type, a hard disk type, a multimedia card micro type, and a card type memory (for example, SD or XD memory), Random Access Memory (RAM), Static Random Access Memory (SRAM), Read-Only Memory (ROM), 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EEPROM),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 magnetic memory, magnetic It may include a storage medium of at least one type of disk, optical disk. The mobile terminal 100 may operate in connection with a web storage that performs a storage function of the storage unit 160 on the Internet.

인터페이스부(170)는 이동 단말기(100)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한다. 인터페이스부(170)는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이동 단말기(100) 내부의 각 구성 요소에 전달하거나 이동 단말기(100)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한다.The interface unit 170 serves as a passage with all external devices connected to the mobile terminal 100. The interface unit 170 receives data from an external device or receives power and transmits it to each component inside the mobile terminal 100 or allows data inside the mobile terminal 100 to be transmitted to the external device.

예를 들어, 유/무선 헤드셋 포트, 외부 충전기 포트, 유/무선 데이터 포트,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 이어폰 포트 등이 인터페이스부(170)에 포함될 수 있다.For example, wired / wireless headset port, external charger port, wired / wireless data port, memory card port, port for connecting devices equipped with an identification module, audio input / output (I / O) port, A video input / output (I / O) port, an earphone port, and the like may be included in the interface unit 170.

상기 인터페이스부(170)는 상기 카드 형식의 사용자 식별 모듈이 장착될 수 있는 카드 슬롯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사용자 식별 모듈은 상기 카드 슬롯을 통하여 이동 단말기(100)와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인터페이스부(170)에는 복수의 사용자 식별 모듈이 연결될 수 있다.The interface unit 170 may include a card slot into which the card type user identification module can be mounted. Then, the user identification module may be connected to the mobile terminal 100 through the card slot. At this time, a plurality of user identification modules may be connected to the interface unit 170.

상기 인터페이스부(170)는 이동단말기(100)가 외부 크래들(cradle)과 연결될 때 상기 크래들로부터의 전원이 상기 이동단말기(100)에 공급되는 통로가 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상기 크래들에서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가 상기 이동단말기로 전달되는 통로가 될 수 있다. 상기 크래들로부터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 또는 상기 전원은 상기 이동단말기가 상기 크래들에 정확히 장착되었음을 인지하기 위한 신호로 동작될 수도 있다.When the mobile terminal 100 is connected to an external cradle, the interface unit 170 becomes a passage through which power from the cradle is supplied to the mobile terminal 100, or various commands input by the user from the cradle. The signal may be a passage to the mobile terminal. Various command signals or power inputted from the cradle may be operated as signals for recognizing that the mobile terminal is correctly mounted on the cradle.

제어부(180)는 통상적으로 이동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음성 통화, 데이터 통신, 화상 통화 등을 위한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한다. 제어부(180)는 멀티 미디어 재생을 위한 멀티미디어 모듈(181)을 구비할 수도 있다. 멀티미디어 모듈(181)은 제어부(180) 내에 구현될 수도 있고, 제어부(180)와 별도로 구현될 수도 있다.The controller 180 typically controls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mobile terminal. For example, it performs related control and processing for voice calls, data communication, video calls, and the like. The controller 180 may include a multimedia module 181 for multimedia playback. The multimedia module 181 may be implemented in the controller 180, or may be implemented separately from the controller 180.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 행해지는 필기 입력 또는 그림 그리기 입력을 각각 문자 및 이미지로 인식할 수 있는 패턴 인식 처리를 행할 수 있다.The controller 180 may perform pattern recognition processing capable of recognizing handwriting input or picture drawing input performed on the touch screen as text and images, respectively.

전원부(190)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The power supply unit 190 receives external power and internal power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80 to supply power required for the operation of each component.

여기에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예는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된 것을 이용하여 컴퓨터 또는 이와 유사한 장치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The various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can be implemented in a computer- or similar device-readable recording medium using, for example, software, hardware, or a combination thereof.

하드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여기에 설명되는 실시예는 ASICs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 (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 (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 (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processors), 제어기(controllers),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s),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s), 기능 수행을 위한 전기적인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일부의 경우에 그러한 실시예들이 제어부(180)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According to a hardware implementation,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include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ASICs), digital signal processors (DSPs), 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DSPDs), programmable logic devices (PLDs),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FPGAs), It may be implemented using at least one of processors, controllers, micro-controllers, microprocessors, and electrical units for performing functions. It may be implemented by the controller 180.

소프트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절차나 기능과 같은 실시예들은 적어도 하나의 기능 또는 작동을 수행하게 하는 별개의 소프트웨어 모듈과 함께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코드는 적절한 프로그램 언어로 쓰여진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소프트웨어 코드는 저장부(160)에 저장되고, 제어부(180)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According to a software implementation, embodiments such as procedures or functions may be implemented with separate software modules that perform at least one function or operation. The software code can be implemented by software applications written in the appropriate programming language. In addition, the software code is stored in the storage unit 160 and may be executed by the control unit 180.

이상에서는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의 구성에 대하여 살펴 보았다. 이하에서는, 도 2 내지 도 14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의 프리뷰 화면 터치를 통한 다른 전자 기기 제어 특징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 본다.The configuration of the mobile terminal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 1. Hereinafter, other electronic device control features through the preview screen touch of the mobile terminal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2 to 14.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 구동 방법의 일예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이하, 필요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기 이동 단말기 구동 방법을 설명한다.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method for driving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ereinafter, a method of driving the mobile terminal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necessary drawings.

먼저, 제어부(180)는 카메라(121)를 제어하여 TV의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raphic User Interface, 이하 'GUI'라 함) 영상을 획득한다(S100). 여기서, TV(200)는 본 발명에 따른 영상 출력 장치의 일예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런 다음,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TV(200)의 GUI의 영상을 터치 스크린(151)에 프리뷰 화면으로 표시한다(S110).First, the controller 180 controls the camera 121 to obtain a graphic user interface (hereinafter referred to as 'GUI') image of the TV (S100). Here, the TV 200 is an example of an image outpu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owever,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Then, the controller 180 displays the image of the GUI of the TV 200 on the touch screen 151 as a preview screen (S110).

즉,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에서 TV(200)의 GUI의 영상을 획득한다는 것은, 상기 TV(200)의 GUI의 영상을 촬영하여 메모리(160)에 저장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단순한 영상 데이터 버퍼링 과정을 거쳐 화면에 표시하는 것을 의미한다.That is, acquiring the image of the GUI of the TV 200 in the mobile terminal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mean that the image of the GUI of the TV 200 is captured and stored in the memory 160. It means displaying on the screen through a simple image data buffering process.

그런 다음, 상기 프리뷰 화면을 통하여 터치가 수신된다(S120). 여기서, 터치는 사용자의 손가락 등의 신체 일부, 스타일러스 펜(stylus pen)과 같은 도구에 의하여 수신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터치가 수신된 프리뷰 화면 상의 위치에 대응되는 실제 TV(200)의 GUI 상에서의 위치를 결정한다(S130).Then, a touch is received through the preview screen (S120). Here, the touch may be received by a user's finger or other body part, a tool such as a stylus pen. Then, the controller 180 determines a location on the GUI of the actual TV 200 corresponding to the location on the preview screen where the touch is received (S130).

그리고,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TV(200)의 GUI 상에서 결정된 위치가 직접 사용자에 의하여 선택된 것과 같은 기능을 수행하도록 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한 다음(S140), 상기 생성된 제어 신호를 상기 TV(200)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생성된 제어 신호의 전송은 상기 이동 단말기(100)와 상기 TV(200) 사이에 형성된 근거리 무선 통신 링크를 통하여 수행될 수 있다.Then, the control unit 180 generates a control signal for allowing the position determined on the GUI of the TV 200 to perform the same function as directly selected by the user (S140), and then the generated control signal to the TV It can be transmitted to (200). Transmission of the generated control signal may be performed through a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link formed between the mobile terminal 100 and the TV 200.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이동 단말기 구동 방법에 따라서, 이동 단말기(100)에 TV(200)의 GUI의 영상의 일부에 대한 프리뷰 화면이 표시된 것을 나타낸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는 그 내부에 상기 TV(200)의 GUI의 영상에 대응되는 전체 데이터를 저장하나, 그 일부만을 단순히 선택하여 프리뷰 화면으로 제공할 수 있다.FIG. 3 illustrates that a preview screen for a part of the image of the GUI of the TV 200 is displayed on the mobile terminal 100 according to the method of driving the mobile terminal illustrated in FIG. 2. The mobile terminal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tores the entire data corresponding to the image of the GUI of the TV 200 therein, but only a part thereof can be selected and provided as a preview screen.

또한, 상기 이동 단말기(100)는 TV(200)의 GUI 영상의 일부를 확대하여 프리뷰 화면으로 제공할 수도 있다. 여기서, 확대되는 GUI 영상의 일부는 실제 렌즈 줌을 통한 것이 아니라 단순한 화면 확대(디지털 줌)를 통한 것일 수 있다. 즉, GUI 영상의 전체를 소정의 해상도로 획득하고, 그 일부를 확대하는 것이므로 확대된 일부의 해상도는 낮아질 수 있다.Also, the mobile terminal 100 may enlarge a part of the GUI image of the TV 200 and provide it as a preview screen. Here, a part of the GUI image to be enlarged may be through a simple screen magnification (digital zoom), not through an actual lens zoom. That is, since the entire GUI image is acquired at a predetermined resolution and a part of the GUI image is enlarged, the resolution of the enlarged part may be lowered.

한편, 프리뷰 화면에 표시되는 GUI 영상의 일부는 카메라(121)의 초점에 기초하여 선택된 것일 수 있다. 또한, 프리뷰 화면에 표시되는 GUI 영상의 일부는 미리 정해진 TV(200) 화면의 일부 영역일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이동 단말기(100)는 TV(200) 화면의 가운데 일부를 확대하여 표시할 수 있고, 좌측 상단의 일부를 확대하여 표시할 수도 있고, 우측 상단의 일부를 확대하여 표시할 수도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Meanwhile, a part of the GUI image displayed on the preview screen may be selected based on the focus of the camera 121. Also, a part of the GUI image displayed on the preview screen may be a part of a predetermined TV 200 screen. For example, the mobile terminal 100 may enlarge and display a part of the center of the screen of the TV 200, may enlarge and display a part of the upper left, or may enlarge and display a part of the upper right. However,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이동 단말기 구동 방법에 따라서, 이동 단말기(100)의 프리뷰 화면이 확대 축소되는 예를 나타낸다. 도 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리뷰 화면에서 사용자의 두 개의 손가락이 점점 더 가까워지는 터치가 수신되면, 제어부(180)는, 도 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리뷰 화면을 축소시킨다. 반대고, 도 4의 (b) 상태에서 프리뷰 화면을 통하여 사용자의 두 개의 손가락이 점점 멀어지는 터치가 수신되면, 상기 제어부(180)는 도 4의 (a) 상태로 프리뷰 화면을 확대할 수 있다.4 shows an example in which the preview screen of the mobile terminal 100 is enlarged and reduced according to the method of driving the mobile terminal illustrated in FIG. 2. As shown in (a) of FIG. 4, when a touch in which the two fingers of the user are getting closer and closer is received on the preview screen, the controller 180 displays the preview screen as shown in FIG. 4 (b). Shrink it. On the contrary, when a touch in which two fingers of a user are gradually moving away is received through the preview screen in the state of FIG. 4B, the controller 180 may enlarge the preview screen to the state of FIG. 4A.

한편, 도 4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제어부(180)는 프리뷰 화면을 통하여 특정 방향의 터치가 수신되면, 프리뷰 화면을 특정 방향으로 스크롤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80)는 소정의 하드웨어 키 또는 소프트웨어 키 조작에 기초하여 프리뷰 화면을 확대, 축소, 스크롤할 수도 있다.Meanwhile, although not illustrated in FIG. 4, when a touch in a specific direction is received through the preview screen, the controller 180 may scroll the preview screen in a specific direction. Also, the controller 180 may enlarge, reduce, and scroll the preview screen based on a predetermined hardware key or software key operation.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에 표시된 프리뷰 화면에서의 위치가 TV(200)의 GUI 영상에 매칭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동 단말기(100)는 확대 축소 비율을 고려하여 이동 단말기(100)에서의 프리뷰 화면에서의 터치 위치에 대응되는 TV(200)의 GUI에서의 실제 위치를 산출할 수 있다.5 is a view for explaining a method of matching the location of the preview screen displayed on the mobile terminal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o the GUI image of the TV 200. As illustrated in FIG. 5, the mobile terminal 100 calculates an actual location in the GUI of the TV 200 corresponding to the touch location on the preview screen of the mobile terminal 100 in consideration of the enlargement / reduction ratio. You can.

도 5에 도시된 수식에서 P는 TV(200)에서의 좌표를 나타내며, Po는 이동 단말기(100)에서의 좌표를 나타내며, z는 확대 축소 배율을 나타낸다. 한편, 도 5에 도시된 이동 단말기(100)와 TV(200) 간의 위치 매칭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에서 수행할 수 있는 위치 매칭 방법의 일예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In the equation shown in FIG. 5, P represents coordinates in the TV 200, Po represents coordinates in the mobile terminal 100, and z represents an enlargement / reduction magnification. Meanwhile, the location matching between the mobile terminal 100 and the TV 200 illustrated in FIG. 5 is only an example of a location matching method that can be performed by the mobile terminal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limited thereto. It does not work.

도 6은 도 2에 도시된 이동 단말기 구동 방법에 따라서, 이동 단말기(100)의 프리뷰 화면에 대한 터치에 기초하여 TV(200)에서의 콘텐츠 선택 기능이 수행되는 것을 나타낸다. 먼저, 사용자가 이동 단말기(100)에 표시된 프리뷰 화면에서 아이템에 대응되는 위치를 터치한다.6 illustrates that the content selection function in the TV 200 is performed based on the touch on the preview screen of the mobile terminal 100 according to the method of driving the mobile terminal illustrated in FIG. 2. First, a user touches a location corresponding to an item on the preview screen displayed on the mobile terminal 100.

그러면, 이동 단말기(100)는 터치 위치에 대응되는 TV(200)의 GUI에서의 콘텐츠 아이템이 직접 선택된 것과 같이 동작하도록 상기 TV(200)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상기 TV(200)로 전송한다. 그러면, 상기 TV(200)는 상기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콘텐츠 선택 기능을 수행한다.Then, the mobile terminal 100 transmits a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the TV 200 to the TV 200 so that the content item in the GUI of the TV 200 corresponding to the touch position operates as a direct selection. . Then, the TV 200 performs a content selection function based on the control signal.

이상에서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셔 살펴본 이동 단말기 구동 방법에 따르면, 사용자는 이동 단말기(100)를 프리뷰 화면에 대한 터치 조작에 기초하여 구동되는 TV(200) 리모콘(remote controller)으로 이용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mobile terminal driving method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S. 2 to 6, the user may use the mobile terminal 100 as a remote controller of the TV 200 driven based on a touch operation on the preview screen. .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 구동 방법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이하 필요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기 이동 단말기 구동 방법을 설명한다.7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other example of a method for driving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ereinafter, a method of driving the mobile terminal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necessary drawings.

먼저, 제어부(180)는 카메라(121)를 제어하여 에어콘(air conditioner)의 영상을 획득한다(S200). 그런 다음,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에어콘의 영상을 터치 스크린(151)에 프리뷰 화면으로 표시한다(S210).First, the controller 180 controls the camera 121 to obtain an image of an air conditioner (S200). Then, the controller 180 displays the image of the air conditioner as a preview screen on the touch screen 151 (S210).

그런 다음, 상기 프리뷰 화면 중 에어콘의 특정 부분에 대한 터치가 수신된다(S220). 그러면,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특정 부분에 대응되도록 미리 정해진 기능을 수행하도록 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한 다음(S230), 상기 생성된 제어 신호를 상기 에어콘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생성된 제어 신호의 전송은 상기 이동 단말기(100)와 상기 에어콘 사이에 형성된 근거리 무선 통신 링크를 통하여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제어 신호를 수신한 에어콘은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그에 대응되는 특정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Then, a touch of a specific portion of the air conditioner is received in the preview screen (S220). Then, the control unit 180 may generate a control signal for performing a predetermined function to correspond to the specific portion (S230), and then transmit the generated control signal to the air conditioner. The generated control signal may be transmitted through a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link formed between the mobile terminal 100 and the air conditioner. The air conditioner receiving the control signal may perform a specific function corresponding to the control signal.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이동 단말기 구동 방법에 따라서, 에어콘(300) 영상이 이동 단말기(100)에서 프리뷰 화면으로 제공된 예를 나타낸다. 도 9는 이동 단말기(100)의 프리뷰 화면 터치에 기초하여 에어콘(300) 동작이 제어되는 예를 나타낸다.8 shows an example in which the air conditioner 300 image is provided as a preview screen in the mobile terminal 100 according to the method of driving the mobile terminal illustrated in FIG. 7. 9 shows an example in which the operation of the air conditioner 300 is controlled based on the touch of the preview screen of the mobile terminal 100.

이동 단말기(100)는 에어콘(300)에 대한 전제 영상 중 일부를 확대하여 프리뷰 화면으로 제공한다. 확대되는 일부는 카메라(121)의 초점에 기초하여 선택될 수 있다. 또한, 확대되는 일부는 에어콘의 특정 기능에 대응되도록 미리 정해진 에어콘(300)의 특정 부분일 수도 있다. 또한, 확대되는 일부는 에어콘(300)의 조작부(310)를 포함하는 부분일 수도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mobile terminal 100 enlarges some of the prerequisite images for the air conditioner 300 and provides it as a preview screen. The portion to be enlarged may be selected based on the focus of the camera 121. In addition, a part to be enlarged may be a specific part of the predetermined air conditioner 300 to correspond to a specific function of the air conditioner. In addition, a part to be enlarged may be a part including the operation unit 310 of the air conditioner 300. However,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상기 에어콘(300) 영상 역시 사용자의 프리뷰 화면 터치에 기초하여, 확대, 축소 또는 스크롤될 수 있다. 이때, 에어콘(300) 영상에 대한 확대 축소는 렌즈 줌이 아니라, 단순한 디지털 주밍(zooming)에 기초하여 수행될 수 있다.The air conditioner 300 image may also be enlarged, reduced, or scrolled based on the user's preview screen touch. In this case, the enlargement / reduction of the image of the air conditioner 300 may be performed based on simple digital zooming, not lens zooming.

도 8에서는 에어콘(300)의 동작을 종료하는 기능에 대응되도록 미리 정해진 에어콘(300)의 셔터(310) 부분을 포함하는 에어콘(300) 영상이 이동 단말기(100)에서 프리뷰 화면으로 제공되었다. 도 8에서와 같이 사용자가 셔터 부분에 대한 터치를 화면 아래로 이동시킨다.In FIG. 8, an image of the air conditioner 300 including the shutter 310 portion of the predetermined air conditioner 300 is provided as a preview screen in the mobile terminal 100 to correspond to a function of terminating the operation of the air conditioner 300. As shown in FIG. 8, the user moves the touch of the shutter portion down the screen.

그러면, 상기 이동 단말기(100)는 상기 에어콘(300)의 동작을 종료시키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에어콘(300)으로 전송한다. 상기 에어콘(300)은 제어 신호를 수신하고, 그에 따라 에어콘의 종작을 종료한다. 도 9를 참조하면, 동작이 종료되는 에어콘(300)의 셔터(310)가 아래로 내려오는 것을 알 수 있다.Then, the mobile terminal 100 generates a control signal for terminating the operation of the air conditioner 300 and transmits it to the air conditioner 300. The air conditioner 300 receives a control signal and ends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ly. Referring to FIG. 9, it can be seen that the shutter 310 of the air conditioner 300 at which the operation ends is lowered.

도 10은 도 8에 도시된 이동 단말기 구동 방법에 따라서, 에어콘 전체 영상 중 에어콘(300)의 조작부를 포함하는 일부가 자동 확대되어 이동 단말기(100)에서 프리뷰 화면으로 제공되는 것을 나타낸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리뷰 화면에서 사용자가 풍량 감소 조작부 부분을 터치한다.FIG. 10 illustrates that, according to the method of driving the mobile terminal illustrated in FIG. 8, a portion including the operation unit of the air conditioner 300 is automatically enlarged from the entire image of the air conditioner and is provided as a preview screen in the mobile terminal 100. As illustrated in FIG. 10, a user touches a portion of the air volume reduction operation unit on the preview screen.

그러면, 이동 단말기(100)는 풍량을 감소시키도록 에어콘(300)을 제어하기 위한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에어콘(300)으로 전송한다. 그러면, 에어콘(300)은 제어 신호를 수신하고, 그에 따라 풍량을 감소시키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Then, the mobile terminal 100 generates a signal for controlling the air conditioner 300 to reduce the air volume and transmits the signal to the air conditioner 300. Then, the air conditioner 300 may receive a control signal and perform an operation of reducing the air volume accordingly.

도 11은 도 8에 도시된 이동 단말기 구동 방법에 따라서, 조명의 온/오프를 제어하는 것을 나타낸다. 먼저, 이동 단말기(100)의 카메라(121)에 의하여 획득된 온 되어 있는 조명(400) 영상이 프리뷰 화면을 통하여 제공된다. 그런 다음, 사용자가 프리뷰 화면에서 조명에 대응되는 위치를 터치한다. 그러면, 이동 단말기(100)는 조명을 오프시키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조명 제어 장치(500)로 전송한다.FIG. 11 illustrates controlling on / off of lighting according to the method of driving the mobile terminal illustrated in FIG. 8. First, an image of the lighting 400 obtained by the camera 121 of the mobile terminal 100 is provided through a preview screen. Then, the user touches the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lighting on the preview screen. Then, the mobile terminal 100 generates a control signal for turning off the light and transmits it to the light control device 500.

도 11에 도시된 것과 반대로, 조명이 꺼진 상태라면, 상기 이동 단말기(100)는 사용자의 터치에 기초하여 조명을 온시키기 위한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조명 제어 장치(500)로 전송할 수도 있다.Contrary to that shown in FIG. 11, if the lighting is off, the mobile terminal 100 may generate a control signal for turning on the lighting based on the user's touch and transmit it to the lighting control device 500.

도 12는 도 8에 도시된 이동 단말기 구동 방법에 따라서, TV(200)의 온/오프를 제어하는 것을 나타낸다. 먼저, 이동 단말기(100)의 카메라(121)에 의하여 획득된 오프되어 있는 TV(200) 영상이 프리뷰 화면을 통하여 제공된다(도 12의 (a)). 그런 다음, 사용자가 프리뷰 화면에서 TV(200)에 대응되는 위치를 터치한다. 그러면, 이동 단말기(100)는 TV(200)를 온시키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TV(200)로 전송한다. 그러면, 도 12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온된다.12 illustrates controlling on / off of the TV 200 according to the method of driving the mobile terminal illustrated in FIG. 8. First, an off TV 200 image obtained by the camera 121 of the mobile terminal 100 is provided through a preview screen (FIG. 12 (a)). Then, the user touches the location corresponding to the TV 200 on the preview screen. Then, the mobile terminal 100 generates a control signal for turning on the TV 200 and transmits it to the TV 200. Then, as shown in Fig. 12B, it is turned on in response to the control signal.

도 12에 도시된 것과 반대로, TV(200)가 켜진 상태라면, 상기 이동 단말기(100)는 사용자의 터치에 기초하여 TV(200)을 오프시키기 위한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TV(200)로 전송할 수도 있다.Contrary to that shown in FIG. 12, when the TV 200 is turned on, the mobile terminal 100 may generate a control signal for turning off the TV 200 based on the user's touch and transmit the control signal to the TV 200. have.

이상에서 도 7 내지 도12를 참조하셔 살펴본 이동 단말기 구동 방법에 따르면, 사용자는 이동 단말기(100)를 프리뷰 화면에 대한 터치 조작에 기초하여 구동되는 에어콘, TV(200), 조명(1400) 등의 리모콘으로 이용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mobile terminal driving method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S. 7 to 12, the user may operate the mobile terminal 100 based on a touch operation on the preview screen, such as air conditioner, TV 200, and lighting 1400. It can be used as a remote control.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 구동 방법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이하 필요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기 이동 단말기 구동 방법을 설명한다.1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other example of a method for driving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ereinafter, a method of driving the mobile terminal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necessary drawings.

먼저, 제어부(180)는 카메라(121)를 제어하여 특정 장소의 영상을 획득한다(S300). 그런 다음,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특정 장소의 영상을 터치 스크린(151)에 프리뷰 화면으로 표시한다(S310).First, the controller 180 controls the camera 121 to obtain an image of a specific place (S300). Then, the controller 180 displays the image of the specific place on the touch screen 151 as a preview screen (S310).

그런 다음, 상기 프리뷰 화면 중 특정 장소에 대한 터치가 수신된다(S320). 그러면,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특정 장소에 대응되도록 미리 정해진 기능(즉, 특정 장소에 대한 청소)을 수행하도록 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한 다음, 상기 생성된 제어 신호를 로봇 청소기로 전송한다(S330).Then, a touch for a specific place in the preview screen is received (S320). Then, the control unit 180 generates a control signal for performing a predetermined function (that is, cleaning for a specific place) to correspond to the specific place, and then transmits the generated control signal to the robot cleaner ( S330).

상기 생성된 제어 신호의 전송은 상기 이동 단말기(100)와 상기 로봇 청소기 사이에 형성된 근거리 무선 통신 링크를 통하여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제어 신호를 수신한 로봇 청소기는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특정 장소에 대한 청소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특정 장소에 대한 위치 정보가 미리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Transmission of the generated control signal may be performed through a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link formed between the mobile terminal 100 and the robot cleaner. The robot cleaner receiving the control signal may perform a cleaning function for a specific place in response to the control signal. Location information for a specific place may be stored in advance.

도 14는 도 13에 도시된 이동 단말기 구동 방법에 따라서 로봇 청소기(600)의 동작에 제어되는 예를 나타낸다. 도 14의 (a)는 특정 장소에 대한 프리뷰 영상이 이동 단말기(100)에 표시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프리뷰 화면을 터치하는 것을 나타낸다.14 shows an example of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robot cleaner 600 according to the method of driving the mobile terminal illustrated in FIG. 13. 14A illustrates that a user touches a preview screen while a preview image for a specific place is displayed on the mobile terminal 100.

그러면, 이동 단말기(100)는 특정 장소를 청소하도록 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로봇 청소기(600)로 전송한다. 도 14의 (b)를 참조하면, 상기 로봇 청소기(600)는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특정 장소를 청소할 수 있다. Then, the mobile terminal 100 generates a control signal for cleaning a specific place and transmits it to the robot cleaner 600. Referring to (b) of FIG. 14, the robot cleaner 600 may clean a specific place in response to a control signal.

이상에서, 도 13 및 도 14를 참조하셔 살펴본 이동 단말기 구동 방법에 따르면, 사용자는 이동 단말기(100)를 프리뷰 화면에 대한 터치 조작에 기초하여 로봇 청소기(600)를 무선으로 조종할 수 있다.In the above, according to the mobile terminal driving metho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3 and 14, the user can wirelessly control the robot cleaner 600 based on the touch operation on the preview screen.

이상에서 살펴본,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 구동 방법들 각각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As described above, each of the mobile terminal driving method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mplemented in a program form that can be executed through various computer means and can be recorded in a computer-readable medium. The computer-readable medium may include program instructions, data files, data structures, or the like alone or in combination. The programs recorded on the medium may be specially designed and configured for the present invention or may be known and usable by those skilled in computer software.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Examples of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a include magnetic media such as hard disks, floppy disks, and magnetic tapes, optical media such as CD-ROMs, DVDs, and magnetic media such as floptical disks. -Hardware devices specially configured to store and execute program instructions such as magneto-optical media, and ROM, RAM, flash memory, and the like. Examples of the program include high-level language code that can be executed by a computer using an interpreter, etc., as well as machine code such as that produced by a compiler. The hardware device described above may be configured to operate as one or more software modules to perform the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vice versa.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As described above, 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by limited embodiments and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s,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from these descriptions will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This is possible.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but should be defined not only by the claims to be described later, but also by the claims and equivalents.

100: 이동 단말기 110: 무선 통신부
120: A/V 입력부 121: 카메라
130: 사용자 입력부 140: 센싱부
150: 출력부 151: 디스플레이부, 터치 스크린
152: 음향 출력부 160: 저장부
170: 인터페이스부 180: 제어부
190: 전원부 200; TV
300: 에어콘 400: 조명
500: 조명 컨트롤러 600: 로봇 청소기
100: mobile terminal 110: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20: A / V input 121: Camera
130: user input unit 140: sensing unit
150: output unit 151: display unit, touch screen
152: sound output unit 160: storage unit
170: interface unit 180: control unit
190: power supply unit 200; TV
300: air conditioning 400: lighting
500: lighting controller 600: robot cleaner

Claims (11)

다른 전자 기기와의 근거리 무선 통신 링크를 형성하는 무선 통신부;
상기 다른 전자 기기의 GUI(graphic user interface) 영상을 획득하는 카메라;
실시간으로 상기 GUI 영상을 프리뷰(preview) 화면으로 표시하거나, 내부에 저장된 상기 GUI의 영상에 대응하는 전체 데이터 중에서 적어도 일부를 선택하여 표시하는 터치 스크린; 및
상기 프리뷰 화면을 통하여 터치가 수신되면,
상기 프리뷰 화면에서 터치가 수신된 위치에 대응되는 상기 다른 전자 기기의 GUI에서의 위치를 결정하고,
상기 다른 전자 기기의 GUI에서 상기 결정된 위치가 직접 선택된 것과 같은 기능을 수행하도록 상기 다른 전자 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며,
상기 생성된 제어 신호를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 링크를 통하여 상기 다른 전자 기기로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that forms a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link with other electronic devices;
A camera that acquires a graphic user interface (GUI) image of the other electronic device;
A touch screen displaying the GUI image in real time in a preview screen or selecting and displaying at least a portion of all data corresponding to the GUI image stored therein; And
When a touch is received through the preview screen,
Determine a location in the GUI of the other electronic device corresponding to the location where the touch is received on the preview screen,
A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the other electronic device is generated to perform a function such that the determined position is directly selected in the GUI of the other electronic device,
And a control unit that transmits the generated control signal to the other electronic device through the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link.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프리뷰 화면에서 상기 GUI 영상의 일부를 확대하여 표시하며,
상기 프리뷰 화면을 통하여 수신되는 터치에 기초하여 상기 프리뷰 화면에 대한 확대, 축소, 및 스크롤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According to claim 1, The control unit,
A part of the GUI image is enlarged and displayed on the preview screen,
A mobile terminal characterized by performing an enlargement, reduction, and scrolling function on the preview screen based on a touch received through the preview screen.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카메라의 초점에 기초하여 상기 프리뷰 화면에서 확대되어 표시될 상기 GUI 영상의 일부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According to claim 2, The control unit,
And a part of the GUI image to be enlarged and displayed on the preview screen based on the focus of the camera.
다른 전자 기기와의 근거리 무선 통신 링크를 형성하는 무선 통신부;
상기 다른 전자 기기의 영상을 획득하는 카메라;
상기 다른 전자 기기의 전체 영상 중에서 특정 기능에 대응되도록 미리 정해진 특정 부분을 확대하여 프리뷰 화면을 표시하는 터치 스크린; 및
상기 프리뷰 화면에서 상기 다른 전자 기기의 특정 부분에 대한 터치가 수신되면, 상기 다른 전자 기기의 특정 부분에 대응되도록 미리 정해진 특정 기능을 수행하도록 상기 다른 전자 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 링크를 통하여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that forms a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link with other electronic devices;
A camera that acquires an image of the other electronic device;
A touch screen displaying a preview screen by enlarging a specific predetermined portion to correspond to a specific function among all images of the other electronic devices; And
When a touch on a specific portion of the other electronic device is received on the preview screen, a short-range is generated by generating a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the other electronic device to perform a predetermined specific function to correspond to a specific part of the other electronic device. A mobile terminal comprising a control unit transmitting through a wireless communication link.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프리뷰 화면에서 상기 다른 전자 기기의 영상의 일부를 확대하여 표시하며,
상기 프리뷰 화면을 통하여 수신되는 터치에 기초하여 상기 프리뷰 화면에 대한 확대, 축소, 및 스크롤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control unit,
A part of the image of the other electronic device is enlarged and displayed on the preview screen,
A mobile terminal characterized by performing an enlargement, reduction, and scrolling function on the preview screen based on a touch received through the preview screen.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카메라의 초점에 기초하여 상기 프리뷰 화면에서 확대되어 표시될 상기 다른 전자 기기의 영상의 일부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control unit,
And a part of the image of the other electronic device to be enlarged and displayed on the preview screen based on the focus of the camera.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다른 전자 기기의 영상 중에서 상기 다른 전자 기기의 조작부가 포함된 부분을 자동 확대하여 프리뷰 화면으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control unit,
A mobil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a portion including an operation unit of the other electronic device is automatically enlarged and provided as a preview screen among the images of the other electronic device.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프리뷰 화면에 표시된 상기 다른 전자 기기의 조작부에 대한 터치가 수신되면, 상기 다른 전자 기기에서 상기 조작부가 직접 선택된 것과 같은 기능을 수행하도록 상기 다른 전자 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며,
상기 생성된 제어 신호를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 링크를 통하여 상기 다른 전자 기기로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control unit,
When a touch to the operation portion of the other electronic device displayed on the preview screen is received, a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the other electronic device is generated to perform the same function as that directly selected by the operation unit in the other electronic device,
And a control unit that transmits the generated control signal to the other electronic device through the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link.
로봇 청소기와의 근거리 무선 통신 링크를 형성하는 무선 통신부;
특정 장소의 영상을 획득하는 카메라;
상기 특정 장소의 영상의 프리뷰 화면을 표시하는 터치 스크린; 및
상기 프리뷰 화면에서 상기 특정 장소에 대한 터치가 수신되면, 상기 특정 장소에 대한 청소를 수행하도록 상기 로봇 청소기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제어 신호를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 링크를 통하여 상기 로봇 청소기로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forming a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link with the robot cleaner;
A camera that acquires an image of a specific place;
A touch screen that displays a preview screen of the video of the specific place; And
When a touch for the specific place is received on the preview screen, a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the robot cleaner is generated to perform cleaning for the specific place,
And a control unit transmitting the generated control signal to the robot cleaner through the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link.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프리뷰 화면에서 상기 특정 장소의 영상의 일부를 확대하여 표시하며,
상기 프리뷰 화면을 통하여 수신되는 터치에 기초하여 상기 프리뷰 화면에 대한 확대, 축소, 및 스크롤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the control unit,
A part of the image of the specific place is enlarged and displayed on the preview screen,
A mobile terminal characterized by performing an enlargement, reduction, and scrolling function on the preview screen based on a touch received through the preview screen.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카메라의 초점에 기초하여 상기 프리뷰 화면에서 확대되어 표시될 상기 특정 장소의 영상의 일부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The method of claim 10, wherein the control unit,
And determining a part of the image of the specific place to be enlarged and displayed on the preview screen based on the focus of the camera.





KR1020130043016A 2013-04-18 2013-04-18 Mobile terminal KR10208886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43016A KR102088866B1 (en) 2013-04-18 2013-04-18 Mobile termin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43016A KR102088866B1 (en) 2013-04-18 2013-04-18 Mobile terminal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25174A KR20140125174A (en) 2014-10-28
KR102088866B1 true KR102088866B1 (en) 2020-03-13

Family

ID=519951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43016A KR102088866B1 (en) 2013-04-18 2013-04-18 Mobile terminal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88866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025546B2 (en) 2015-07-14 2018-07-17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Remote device control via transparent display
KR20170112797A (en) 2016-04-01 2017-10-12 삼성전자주식회사 Display apparatus, system and the controlling method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6020304A2 (en) * 2004-07-30 2006-02-23 Apple Computer, Inc. Mode-based graphical user interfaces for touch sensitive input devices
KR101434295B1 (en) * 2008-01-07 2014-09-25 삼성전자주식회사 Method for providing a part of screen displayed in display apparatus for GUI through electronic device and the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KR101626477B1 (en) * 2009-05-28 2016-06-13 엘지전자 주식회사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25174A (en) 2014-10-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49977B1 (en) Mobile terminal
KR102123945B1 (en) Electronic de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KR101726790B1 (en)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for mobile terminal
KR101951473B1 (en) Mobile terminal
US20120075182A1 (en) Mobile terminal and displaying method thereof
KR102206948B1 (en) Electronic Device
KR20150069179A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KR101749612B1 (en) Mobile terminal
KR20120003323A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displaying data using augmented reality thereof
US20160283181A1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20110134551A (en)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1881936B1 (en) wireless charging device and mobile terminal
KR102089456B1 (en) Mobile terminal
KR20120032336A (en) Method for displaying information of augmented reality and terminal thereof
KR20120076137A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screen display thereof
KR20110037064A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102088866B1 (en) Mobile terminal
KR20130134017A (en) Mobile terminal
KR102006488B1 (en) Mobile terminal
KR102058466B1 (en) Mobile terminal
KR20140100051A (en) Mobile terminal
KR102063595B1 (en) Mobile terminal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KR101779504B1 (en)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for mobile terminal
KR20110022219A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20140094930A (en) Mobile termina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