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86849B1 - 램프 형성 가능한 트레일러 - Google Patents

램프 형성 가능한 트레일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86849B1
KR102086849B1 KR1020180097701A KR20180097701A KR102086849B1 KR 102086849 B1 KR102086849 B1 KR 102086849B1 KR 1020180097701 A KR1020180097701 A KR 1020180097701A KR 20180097701 A KR20180097701 A KR 20180097701A KR 102086849 B1 KR102086849 B1 KR 1020868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ck
frame
main deck
flap
trai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977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21847A (ko
Inventor
이정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호야마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호야마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호야마린
Priority to KR10201800977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86849B1/ko
Publication of KR202000218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218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68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68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00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06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for carrying vehicles
    • B60P3/07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for carrying vehicles for carrying road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1/00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 B60P1/04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with a tipping movement of load-transporting el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32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vehicle sides, e.g. clearance ligh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1/00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 B62D21/18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characterised by the vehicle type and not provided for in groups B62D21/02 - B62D21/17
    • B62D21/20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characterised by the vehicle type and not provided for in groups B62D21/02 - B62D21/17 trailer type, i.e. a frame specifically constructed for use in a non-powered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63/00Motor vehicles or trail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63/06Trai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4Trucks; Load vehicles, Busses
    • B60Y2200/148Semi-trailers, articulated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램프(ramp) 형성 가능한 트레일러에 관한 것으로서, 자전거나 오토바이 또는 사륜구동 바이크(all-terrain vehicle)나 미니 전기차와 같은 다양한 레저스포츠형 주행 수단을 적재하는 탑재 데크(loding deck)의 뒷부분을 플랩(flap deck) 데크로 형성하고 와이어를 이용하여 하향 틸팅(tilting) 또는 수평 복귀 가능하게 하며, 선택적으로는 이에 더하여 탑재 데크의 중앙부 및 앞부분을 형성하는 메인 데크를 잭을 이용하여 상향 틸팅 또는 수평 복귀 가능하게 함으로써, 오토바이와 같은 다양한 레저스포츠형 주행 수단을 적재함에 있어 별도의 램프를 구비할 필요 없이, 탑재 데크의 뒷부분을 플랩 데크로 형성하여 하향 틸팅함으로써, 레저스포츠형 주행 수단을 간단하고 용이하며 편리하게 적재할 수 있으며, 또한 선택적으로는 탑재 데크의 중앙부 및 앞부분을 이루는 메인 데크를 상향 틸팅 가능하게 함으로써 레저스포츠형 주행 수단을 더욱 원활히 탑재할 수가 있고, 전자기적 또는 유체역학적 구동 수단을 포함하지 않으므로 구조가 간단하여 높은 내구성 및 유지보수성을 지님과 아울러 제작시 코스트다운이 가능하며, 높은 작동 신뢰성과 주행 시 안전성을 지니며, 램프의 형성 및 해제 작업이 간단하고 용이함은 물론, 단 한 사람의 작업 만으로 수행할 수가 있어 높은 작업 편의성을 보유한다.

Description

램프 형성 가능한 트레일러{TRAILER HAVING FREELY FORMABLE RAMP}
본 발명은 램프(ramp) 형성 가능한 트레일러에 관한 것이며, 더욱 상세하게는 자전거나 오토바이 또는 사륜구동 바이크(all-terrain vehicle)나 삼륜 또는 사륜형 미니 전기차와 같은 다양한 레저스포츠형 주행 수단을 적재하는 탑재 데크(deck)의 뒷부분 영역을 플랩(flap) 데크로 형성하여 하향 틸팅(tilting)함으로써, 또는 그에 더하여 탑재 데크의 중앙부 및 앞부분을 형성하는 메인 데크를 상향 틸팅함으로써 레저스포츠형 주행 수단을 간단하고 용이하게 탑재할 수가 있는 램프 형성 가능한 트레일러에 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램프 형성 가능한 트레일러는 전자기적 또는 유체역학적 구동 수단을 포함하지 않으므로 구조가 간단하여 높은 내구성 및 유지보수성을 지니며 제작시 큰 폭의 코스트 다운(cost-down)이 가능하며, 높은 작동 신뢰성과 주행 안정성을 지니며 램프의 형성 및 해제가 간단하고 용이하므로 높은 사용 편의성을 지닌다.
일반적으로, 트레일러(trailer)란 자체 동력 없이 동력 차량에 의해 견인되도록 설계 및 장비되어 사람이나 물품을 수송하는 도로 주행 차량을 지칭하며, 우리나라는 자동차 관리법에 따라 피견인 자동차가 총중량 750kg 이하인 소형 트레일러인 경우에는 제1종보통 또는 제2종보통면허로 운전할 수 있도록 규정되어 있다.
이러한 소형 트레일러는 대부분 레저용이므로 캠핑 트레일러(caraban), 카고(cargo) 트레일러, 다목적 트레일러 등으로 분류된다.
또한 캠핑카는 차량 자체를 집처럼 꾸민 모터홈, 필요시 트럭의 적재함에 앞부분을 얹은 상태로 견인할 수 있는 트럭캠, 견인형의 트래블 트레일러(캐러반), 부피의 최소화를 위해 공간을 팝업 및 폴딩 형태로 접고 펼 수 있도록 한 폴더 텐트형 또는 폴더 슬라이딩 확장형의 조립식 폴딩 트레일러 등으로 분류되기도 한다.
이 중에서도, 문화 및 생활수준의 향상에 따라 최근들어 각광 받고 있는 것은 트래블 트레일러이며, 이 중에서도 자전거나 오토바이, 사륜구동 바이크, 또는 삼륜 혹은 사륜형 미니 전기차와 같은 다양한 레저스포츠형 주행 수단을 적재할 수 있는 트레일러에 대한 관심이 점증하는 추세에 있으며, 차량을 이용하여 원격지로 레저스포츠형 주행 수단을 적재하여 트레일러로 이송한 후, 원하는 장소에서 레저스포츠형 주행 수단을 하역하여 레저 스포츠를 즐기는 일이 많아지고 있다.
종래, 상기한 레저형 주행 수단을 트레일러에 적재하거나 하역하기 위해서는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트레일러(100)의 배면판을 뒤로 젖히거나 탈거한 상태에서 별도로 준비한 발판(1)을 중앙에 하나 또는 좌우 양측에 각각 고정한 다음, 레저형 주행 수단을 이동시켜서 적재판(100a)에 적재하거나 그로부터 하역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한 발판(1)의 사용을 위한 보관 및 운송을 위해서는 트레일러(100)의 적재판(100a) 위에 올려놓아 적재하는 방법 외에 달리 방법이 없었으므로, 발판(1)을 분실하는 일이 빈번히 발생하며, 트레일러(100)의 견인 이동시 발판(1)이 이리저리 움직이면서 심한 소음이 발생하는 것은 물론, 트레일러(100)의 적재판(100a)의 공간을 불필요하게 점유함으로 인한 적재 공간의 축소를 가져오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0358281호(2002.10.11. 등록)는 트레일러의 적재함 하부에 칸막이로 분리되어 사다리 수납이 이루어지게 형성한 수납칸과, 이동중 이탈되지 않게 안전핀이 삽입되는 핀 홀과 핀 안내관을 가지며, 사용 시 사다리를 안전하게 걸치기 위한 사다리 연결 홈통이 형성된 사다리 수납장치를 제안하고 있으나, 전술한 종래기술과 마찬가지의 문제점이 있다.
또한 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07305호(2000.10.06. 등록)는 사다리의 선단 양측부에 형성되는 걸림봉과, 걸림봉을 안내하는 가이드레일과, 적재함의 도어 하방에 구비된 일측단에 체결구를 포함하는 개폐수단과, 개폐수단에 형성된 후미등을 포함하는 사다리가 구비된 트레일러 및 화물트럭의 적재함을 제안하고 있다.
상기한 종래 기술은 가이드 레일에 의해 트레일러 견인 시 사다리의 요동에 의한 소음 유발 문제점을 어느 정도 해소함과 아울러, 걸림봉에 의해 사다리를 완전히 꺼내어 거치하여야 하는 번거로운 작업의 필요성을 어느 정도 제거하고는 있으나, 가이드 레일과 탈거 가능하며 전기적으로 연결된 후미등을 포함하는 개폐수단을 설치하여야 하는 등 그 구성이 복잡할 뿐만 아니라, 전술한 종래의 기술들과 마찬가지로 사다리 자체를 고정하는 것이 아니라 사다리 출입구를 닫아거는 것이므로, 트레일러의 견인 시 사다리의 선단부 및 후단부가 각각 개폐수단의 내면 및 스토퍼에 충돌하여 소음을 유발하며, 사다리의 인출 및 인입 시 가이드레일과의 접촉 면적이 오히려 증가되어 사다리의 인출 및 인입에 어려움을 초래하게 되어 여전히 사용 편의성이 충분히 만족스럽지 못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도 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출원인에 의한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801470호(2017.11.20. 등록)는 차륜(6)이 설치된 프레임(2)의 상부에는 바닥판(7)이 설치되고 상기한 프레임(2)에 안전 바(9)가 설치되며, 상기한 바닥판(7)의 후방에는 레저용 주행 수단 고정부(도면부호 미부여)가 설치되며, 상기한 프레임(2)의 하부는 램프를 형성하는 경사로(2a)가 인입 인출될 수 있도록 탑재부로 구성된 인입인출형 경사로 탑재 트레일러(10)를 제안하고 있다. 도면 중 미설명 부호 2b는 견인기이고, 4는 연결기, 4b는 안전 체인이다.
그러나, 상기한 인입인출형 경사로 탑재 트레일러(10)는 바닥판(7)과는 별도로 경사로(2a)를 제작하여야만 하며, 상기한 경사로(2a)를 내장하여 탑재하기 위한 별도의 프레임(2)을 설치하여야만 하므로, 구조가 복잡하고 제작 시 코스트업(cost-up)을 초래하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7-0117716호(2017.10.24. 공개)는 전면바닥판과 그에 힌지 결합되어 180° 회전하여 접힘 가능한 후면바닥판으로 구성되는 접이식 트레일러를 제안하고 있으며, 상기한 전면바닥판과 후면바닥판이 지면과 15~30°로 경사지게 하기 위한 정역모터 또는 정역 유압시스템에 의해 구동되는 구동축과 웜 및 웜기어 구성을 개시(開示)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트레일러는 전자기적 또는 유체역학적 구동 수단을 이용하므로 구조가 복잡하여 내구성 및 유지보수성에 문제가 있을 수 있으며 제작시 코스트업(cost-up)을 피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0358281호(2002.10.11. 등록) 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07305호(2000.10.06. 등록)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801470호(2017.11.20. 등록)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7-0117716호(2017.10.24. 공개)
본 발명의 첫 번째 목적은 오토바이와 같은 다양한 레저스포츠형 주행 수단을 적재함에 있어 별도의 램프를 구비할 필요 없이, 탑재 데크(deck)의 뒷부분 영역을 플랩(flap) 데크로 형성하여 하향 틸팅(tilting)함으로써, 레저스포츠형 주행 수단을 간단하고 용이하며 편리하게 적재할 수가 있는 램프 형성 가능한 트레일러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두 번째 목적은 상기한 첫 번째 목적에 더하여 탑재 데크의 중앙부 및 앞부분을 형성하는 메인 데크를 상향 틸팅함으로써 레저스포츠형 주행 수단을 더욱 원활히 탑재할 수가 있는 램프 형성 가능한 트레일러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세 번째 목적은 전자기적 또는 유체역학적 구동 수단을 포함하지 않으므로 구조가 간단하여 높은 내구성 및 유지보수성을 지니며 제작시 코스트 다운(cost-down)이 가능한 램프 형성 가능한 트레일러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네 번째 목적은 높은 작동 신뢰성과 주행 시 안전성을 지니는 램프 형성 가능한 트레일러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섯 번째 목적은 램프의 형성 및 해제 작업이 간단하고 용이하므로 높은 사용 편의성을 지님은 물론, 단 한 사람의 작업으로 수행할 수가 있어 높은 작업 편의성을 지니는 램프 형성 가능한 트레일러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한 제반 목적을 원활히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양태에 따르면, 전면 프레임과 후방으로 연장되는 한 조의 측면 프레임을 가지는 메인 데크(main deck) 및, 상기한 메인 데크의 후방으로 연장되는 한 조의 측면 프레임 사이에 전면 프레임이 피벗 운동 가능하게 고정되며 경사 단부가 형성된 한 조의 측면 프레임을 가지는 플랩 데크(flap deck)로 이루어지며, 차륜이 설치되는 탑재 데크(loading deck)와; 상기한 탑재 데크에 연결되며, 연결기 및 랜딩 잭이 설치된 견인 프레임과: 상기한 메인 데크의 한 조의 측면 프레임 중 어느 하나의 연장 단부에 설치되며, 구동 레버에 의해 작동되는 구동 기어와 와이어가 권취된 종동축을 가지는 종동 기어를 가지는 구동부로 구성되며: 상기한 플랩 데크의 한 조의 측면 프레임 각각의 중앙부 저면에는 풀리가 설치된 고정부가 외측으로 각각 돌출 형성되고 상기한 고정부에 인접한 후방에는 고정공이 형성되며, 상기한 메인 데크의 한 조의 측면 프레임의 연장 단부에는 탄성적으로 플랩 데크의 고정공에 끼워지는 고정쇠가 설치됨과 아울러 상기한 고정쇠의 끼움 방지를 위한 손톱부가 형성되고, 상기한 종동축에 권취된 와이어는 플랩 데크의 한 조의 측면 프레임 각각의 중앙부 저면에 설치된 풀리를 경유하여 상기한 메인 데크의 한 조의 측면 프레임 중 다른 하나에 고정되며; 램프 형성 시에는 상기한 고정쇠를 빼내어 손톱부에 걸친 후 구동 레버를 정회전시켜 플랩 데크를 하향 틸팅(tilting)시키고, 수평 데크 형성을 위한 원위치 복귀 시에는 상기한 구동 레버를 역회전시켜 플랩 데크를 상향 틸팅시킨 후 상기한 고정쇠를 손톱부로부터 이탈시켜 플랩 데크의 고정공에 끼워 고정하는, 램프 형성 가능한 트레일러가 제공된다.
여기서, 상기한 와이어가 권취된 종동축의 양측에는 디스크가 위치하고 종동 기어는 상기한 디스크 중 어느 하나의 외측에 위치하며, 상기한 종동 기어에 맞물리는 구동 기어에는 안전 걸쇠가 스프링에 의해 탄성적으로 맞물려 있을 수 있다.
또한, 상기한 고정쇠는 "?"자 상으로 형성되고 상기한 손톱부는 "U"자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한 메인 데크의 저면에 횡방향으로 배치되는 저면 프레임에는 상기한 견인 프레임이 링크 연결 단부에 의해 피벗 운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한 메인 데크의 전면 프레임의 중앙에는 고정편이 상방으로 돌출 형성되는 한편, 상기한 메인 데크의 전면 프레임의 중앙에 인접한 견인 프레임의 상면에는 고정부가 형성되며, 상기한 견인 프레임의 고정부에는 잭의 피스톤부가 고정되고 상기한 메인 데크의 전면 프레임의 고정편에는 잭의 실린더부 하단부가 고정되어, 상기한 잭의 핸들을 정회전시켜 상기한 피스톤부의 길이를 신장시키는 것에 의하여 상기한 메인 데크의 선단부가 상향 틸팅되고, 상기한 잭의 핸들을 역회전시켜 상기한 피스톤부의 길이를 축퇴시키는 것에 의하여 상기한 메인 데크가 수평 위치로 원위치 복귀되도록 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한 메인 데크의 전면 프레임의 중앙에 인접한 저면에는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한 돌출부에는 고정쇠가 스프링에 의해 탄성적으로 끼워지며, 상기한 견인 프레임의 고정부에 인접한 내측 방향 측면에는 상기한 고정쇠가 끼워지는 고정공이 형성되어, 상기한 메인 데크 선단부의 상향 틸팅 시에는 상기한 고정쇠에 의한 메인 데크와 견인 프레임의 고정을 해제하고 수평 데크 형성을 위한 원위치 복귀 후에는 상기한 고정쇠로 메인 데크와 견인 프레임을 고정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한 메인 데크의 전방 상면에 복수개의 오토바이 전륜 고정용 척(chuck)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한 플랩 데크는 한 조의 측면 프레임을 횡 방향으로 연결하며 복수의 슬롯이 형성된 후면 프레임과, 상기한 후면 프레임에 인접하여 위치하는 후방 상면 프레임을 가질 수 있으며, 상기한 후방 상면 프레임에는 복수의 슬롯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메인 데크의 전면 프레임의 상면에는 복수개의 고리가 상호 이격하여 설치되고, 상기한 메인 데크의 측면 프레임과 상기한 플랩 데크의 측면 프레임의 측면에는 복수의 슬롯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한 메인 데크의 한 조의 측면 프레임의 각각에는 상호 이격하여 위치하는 한 쌍의 고정턱이 설치되고, 상기한 고정턱 사이에는 차폭등이 설치된 휠 커버가 고정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램프 형성 가능한 트레일러는, 오토바이와 같은 다양한 레저스포츠형 주행 수단을 적재함에 있어 별도의 램프를 구비할 필요 없이, 탑재 데크의 뒷부분을 플랩 데크로 형성하여 하향 틸팅함으로써, 레저스포츠형 주행 수단을 간단하고 용이하며 편리하게 적재할 수 있으며, 또한 선택적으로는 탑재 데크의 중앙부 및 앞부분을 이루는 메인 데크를 상향 틸팅 가능하게 함으로써 레저스포츠형 주행 수단을 더욱 원활히 탑재할 수가 있고, 전자기적 또는 유체역학적 구동 수단을 포함하지 않으므로 구조가 간단하여 높은 내구성 및 유지보수성을 지님과 아울러 제작시 코스트다운이 가능하며, 높은 작동 신뢰성과 주행 시 안전성을 지니며, 램프의 형성 및 해제 작업이 간단하고 용이함은 물론, 단 한 사람의 작업 만으로 수행할 수가 있어 높은 작업 편의성을 보유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램프 형성 가능한 트레일러의 전방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램프 형성 가능한 트레일러의 후방 우측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램프 형성 가능한 트레일러의 후방 좌측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램프 형성 가능한 트레일러의 램프 형성 상태의 후방 우측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램프 형성 가능한 트레일러의 램프 형성 상태의 후방 좌측 사시도이다.
도 6 내지 도 8은 각각 램프 구동부의 구조도이다.
도 9 및 도 10은 각각 램프의 틸팅을 위한 우측 및 좌측의 와이어 연결 상태도이다.
도 11 및 도 12는 각각 메인 데크의 상향 틸팅 전후 상태도이다.
도 13은 메인 테크와 견인 프레임의 연결 상태도이다.
도 14는 종래의 트레일러에 대한 경사로 설치도이다.
도 15는 종래의 본 출원인에 의한 인입인출형 경사로 탑재 트레일러의 사시도이다.
먼저, 본 명세서 전반에 걸쳐 사용되는 "램프(ramp)"라는 용어는 자전거나 오토바이, 사륜구동 바이크나 미니 전기차, 제트 스키나 보트 등과 같은 다양한 레저스포츠형 주행 수단은 물론, 각종 짐(화물)을 인력에 의해 적재 또는 하역할 때에도 사람의 통행이나 적재 및 하역에 편리한 경사 통로를 의미하는 것으로 정의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플랩 데크(flap deck)"라는 용어는 운송 시에는 메인 데크와 함께 수평 상태로 유지되어 탑재 데크(loading deck)를 형성하는 한편, 적재 및 하역 시에는 램프를 형성할 수 있도록 후단부가 하향 틸팅될 수 있는 데크를 의미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관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램프 형성 가능한 트레일러(1)의 전방 사시도이고, 도 2는 후방 우측 사시도이며, 도 3은 후방 좌측 사시도이고, 도 4는 램프 형성 상태의 후방 우측 사시도이며, 도 5는 램프 형성 상태의 후방 좌측 사시도로서, 전체적인 구성에 대하여 언급하기로 하며, 필요시 도 6 내지 도 13을 적절한 개소에서 인용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램프 형성 가능한 트레일러(1)는 메인 데크(10)와 플랩 데크(20)로 이루어지는 탑재 데크(2)와 한 쌍 또는 두 쌍의 차륜(8)과 상기한 탑재 데크(2)에 연결되는 견인 프레임(3)과, 상기한 견인 프레임(3)에 연결되는 연결기(towing hitch)(4) 및 거치륜(5a)이 달려 있는 랜딩 잭(landing jack or landing gear)(5)으로 구성된다.
도시된 예에서는, 상기한 견인 프레임(3)은 전체적으로 삼각형상으로 형성되고 그 단부에는 견인차량의 견인볼(미도시)과의 연결을 위한 연결기(4)가 장착되며, 상기한 연결기(4)에는 차량과의 연결 고정을 위한 노브(4a)와 풀림 사고시 안전을 위한 안전 체인(4b)이 설치되며, 상기한 견인 프레임(3)에는 주행 중에는 거치륜(5a)을 상승시키고 거치 시에는 하강시키기 위한 랜딩 잭(5)이 설치된다.
상기한 랜딩 잭(5)은 레버(5c)의 조작에 의해 상기한 견인 프레임에 클램핑 또는 클램핑 해제되며, 핸들(5b)의 정회전 및 역회전에 의해 점진적으로 승강 또는 하강하게 된다.
상기한 거치륜(5a) 설치 랜딩 잭(5)과 연결기(4)는 공지이므로 이에 대한 더 이상의 부연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메인 데크(10)는 전면 프레임(11)과 후면 프레임(12) 및 상기한 메인 데크(10)의 후방으로 연장되는 한 조의 측면 프레임(13)을 가지며, 표면은 금속으로 된 요철형 논슬립(non-slip) 평판으로 형성된다.
한편, 플랩 데크(20)는 상기한 메인 데크(10)의 후방으로 연장되는 한 조의 측면 프레임(13) 사이에 위치한다.
상기한 플랩 데크(20)는 전면 프레임(21)과 후면 프레임(22) 및 경사 단부(23a)가 형성된 한 조의 측면 프레임(23)과, 상기한 후면 프레임(22)에 인접하여 위치하는 후방 상면 프레임(22a)을 가지며, 마찬가지로 표면은 금속으로 된 요철형 논슬립(non-slip) 평판으로 형성된다.
비록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기한 플랩 데크(20)의 전면 프레임(21)은 상기한 메인 데크(10)의 후방으로 연장되는 한 조의 측면 프레임(13)에 피벗 운동 가능하게 고정된다.
상기한 메인 데크(10)의 측면 프레임(13)은 플랩 데크(20)의 대략 중앙부를 넘는 후방 영역까지 연장되며, 결과적으로 플랩 데크(20)는 메인 데크(10)의 후방으로 연장되는 한 조의 측면 프레임(13) 사이에 끼워진 형태로 위치하며, 플랩 데크(20)는 상기한 플랩 데크(20)의 전면 프레임(21)을 축으로 하여 틸팅 가능하게 고정된다.
한편, 도시된 예에서는 상기한 메인 데크(10)의 전방 상면에 복수개의 오토바이 전륜 고정용 척(chuck)(6)이 설치된 경우를 나타내고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물론이다.
또한 도시된 예에서는, 상기한 메인 데크(10)의 전면 프레임(11)의 상면에 복수개의 고리(16)가 상호 소정거리 일정하게 이격하여 설치되는 한편, 상기한 메인 데크(10)의 전면 프레임(11) 및 측면 프레임(13)에는 복수의 슬롯(15)이 형성되며, 상기한 플랩 데크(20)의 후면 프레임(22) 및 후방 상면 프레임(22a)과 측면 프레임(23)에도 복수의 슬롯(25)이 형성된다.
상기한 고리(16)와 슬롯(15,25)은 오토바이와 같은 레져스포츠용 주행수단을 고정용 줄이나 스트립 등을 이용하여 견고하게 결박하기 위한 것으로서 그 위치나 수효 또는 형태 등은 본 발명에 있어서 제한적이지 않으며 임의 선택적이다.
위에서, 플랩 데크(20)의 후방 상면 프레임(22a)은, 레져스포츠용 주행수단 탑재 시 첫 하중이 걸리는 부분이지만, 용이하고 원활한 탑재를 위하여 폭이 감소된 경사 단부(23a)로 형성되는 양측의 측면 프레임(23)과 이들을 연결하는 작은 폭을 가지는 후면 프레임(22) 부분을 보강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한 후방 상면 프레임(22a)과 후면 프레임(22)에 형성된 복수의 슬롯(25)은 고정용 줄이나 스트립의 관통 체결을 용이하게 만든다.
또한, 상기한 메인 데크(10)의 한 조의 측면 프레임(13)의 각각에는 상호 이격하여 삼각형상의 고정턱(14)이 한 쌍 상호 대향하여 수평으로 설치되고, 상기한 고정턱(14)에는 차폭등(9)이 설치된 휠 커버(8a)가 고정된다.
상기한 메인 데크(10)의 한 조의 측면 프레임(13) 중 어느 하나의 연장 단부에는 구동부(30)가 설치된 브래킷(31)이 고정된다.
상기한 구동부에 대해서는 도 6 내지 도 8을 함께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한 구동부(30)에 있어서, 브래킷(31)에는 구동 레버(34)에 의해 수동으로 작동되며 구동축(32)에 결합된 작은 직경의 구동 기어(33)와, 와이어(39)가 권취된 종동축(35)을 가지는 큰 직경의 종동 기어(36)와, 상기한 종동 기어(36)에 맞물린 구동 기어(33)에는 스프링(38a)에 의해 탄성적으로 작용하는 안전 걸쇠(38)가 맞물려 있어 종동 기어(36)의 의도하지 않은 풀림을 효과적으로 방지한다.
여기서, 상기한 와이어(39)가 권취된 종동축(35)의 양측에는 디스크(37)가 위치하고 종동 기어(36)는 상기한 디스크(37) 중 외측 디스크(37)의 바깥쪽에 위치하며, 이에 의해 와이어(39)가 종동 기어(36)에 닿아 회전에 방해가 된다거나 와이어(39)의 쓸림 현상을 방지한다.
한편, 도 6, 도 8 및 도 9와 도 10을 함께 참조하여 풀리(27) 및 고정쇠(40,41) 구성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언급하기로 한다.
플랩 데크(10)의 한 조의 상호 평행하게 이격되어 있는 측면 프레임(13) 각각의 중앙부 저면에는 풀리(27)를 회전 가능하게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26)가 설치되어 있으며, 메인 데크(20)의 한 조의 측면 프레임(13) 중 일측에 설치되는 구동부(30)의 종동축(35)에 권취된 와이어(39)는 플랩 데크(10) 양측의 측면 프레임(13)에 각각 설치된 2개의 풀리(27) 사이로 연장된 다음,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메인 데크(20)의 한 조의 측면 프레임(13) 중 타측의 측면 프레임(13)에 고정되며, 이러한 와이어(39) 일단의 고정은 예컨대 메인 데크(20)의 한 조의 측면 프레임(13) 중 타측의 측면 프레임(13)에 관통 고정된 볼트(도면부호 미부여)에 고정될 수 있다.
한편, 상기한 플랩 데크(10)의 한 조의 상호 평행하게 이격되어 있는 측면 프레임(23) 각각의 중앙부 저면에 형성된 상기한 고정부(26)에 인접한 후방에는 고정공(28)(도 5 및 도 10 참조)이 형성되며, 상기한 메인 데크(10)의 한 조의 측면 프레임(13)의 연장 단부에는 스프링(미도시)에 의해 탄성적으로 내측으로 끼워진 고정쇠(40,41)가 설치되어 있어서, 플랩 데크(20)가 수평 상태 유지 시에는 메인 데크(10)의 한 조의 측면 프레임(13)에 설치된 고정쇠(40,41)가 플랩 데크(20)의 한 조의 측면 프레임(23)에 형성된 고정공(28)에 끼워진 상태로 탄성력에 의해 유지된다.
또한 상기한 메인 데크(10)의 한 조의 측면 프레임(13)의 연장 단부에 설치된 고정쇠(40,41)에 인접한 외측에는, 플랩 데크(10)의 하향 틸팅 시 메인 데크(10)와 플랩 데크(20)의 상기한 고정쇠(40,41)에 의한 끼움을 해제하고 탄성력에 의한 자동 끼움을 방지하기 위한 목적의 손톱부(17)가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한 고정쇠(40,41)를 미리 당겨 상기한 손톱부(17)에 걸어 둠으로써 구동부(30)의 구동 시 단 한 사람의 작업 만으로 플랩 데크(20)의 하향 틸팅이 가능하게 된다.
여기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한 고정쇠(40,41)는 "?"자 상으로 형성되고 상기한 손톱부(17)는 "U"자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플랩 데크(20)를 하향 틸팅하여 램프를 형성할 때에는 고정쇠(40,41)를 미리 빼내 돌려 손톱부(17)에 걸친 후, 구동부(30)의 구동 레버(34)를 정회전시킴으로써 와이어(39)를 풀고, 플랩 데크(20)를 상향 틸팅하여 수평 데크 형성을 위한 원위치 복귀 시에는 상기한 구동 레버(34)를 역회전시켜 와이어(39)를 감은 다음, 고정쇠(40,41)를 돌려 손톱부(17)로부터 이탈시키면 상기한 고정쇠(40,41)는 탄성력에 의해 플랩 데크(20)의 고정공(28)에 자동적으로 끼워지게 된다.
이어서, 도 1과 도 11 내지 도 13을 함께 참조하여 견인 프레임(3)에 설치된 잭(7)에 의한 메인 데크(10) 선단부의 상향 틸팅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메인 데크(10)의 저면에 횡방향으로 배치되는 저면 프레임(도면부호 미부여)에는 견인 프레임(3)이 링크 연결 단부(3c)에 의해 피벗 운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한편, 메인 데크(10)의 전면 프레임(11)의 중앙에는 상방으로 돌출된 고정편(11a)(도 1 참조)이 형성되고, 상기한 메인 데크(10)의 전면 프레임(11)의 중앙에 인접한 견인 프레임(3)의 상면에는 고정부(3a)가 형성된다.
견인 프레임(3)의 고정부(3a)에는 잭(7)의 피스톤부(7b)가 고정되고 메인 데크(10)의 전면 프레임(11)의 고정편(11a)에는 잭(7)의 실린더부(7c)의 하단부가 고정된다.
따라서, 상기한 잭(7)의 핸들(7a)을 정회전시켜 상기한 피스톤부(7b)의 길이를 신장시키는 것에 의하여 메인 데크(10)의 선단부가 상향 틸팅되어 탑재 데크(2)가 전체적으로 완만한 경사를 이루어 레져스포츠형 주행 수단의 탑재가 더욱 원활하게 되며, 상기한 잭(7)의 핸들(7a)을 역회전시켜 상기한 피스톤부(7b)의 길이를 축퇴시키는 것에 의하여 상기한 메인 데크(10)가 수평 위치로 원위치 복귀된다.
여기서, 상기한 메인 데크(10)의 전면 프레임(11)의 중앙에 인접한 저면에는 돌출부(11b)가 형성되고, 상기한 돌출부(11b)에는 고정쇠(42)가 스프링(도면부호 미부여)에 의해 탄성적으로 끼워진다.
한편, 상기한 견인 프레임(3)의 고정부(3a)에 인접한 내측 방향 측면에는 상기한 고정쇠(42)가 끼워지는 고정공(3b)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한 메인 데크(10) 선단부의 상향 틸팅 시에는 상기한 고정쇠(42)에 의한 메인 데크(10)와 견인 프레임(3)의 고정을 해제하고 수평 데크 형성을 위한 원위치 복귀 후에는 상기한 고정쇠(42)로 메인 데크(10)와 견인 프레임(3)을 고정한다.
이 때 필요하다면, 상기한 메인 데크(10) 선단부의 상향 틸팅 시 상기한 고정쇠(42)를 빼내어 고정하기 위한 걸림부(미도시)를 메인 데크(10)의 전면 프레임(11)의 저면에 돌출 형성시키는 것에 의해 상기한 고정쇠(42)가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한 견인 프레임(3)의 고정공(3b) 내로 복귀하지 못하도록 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3에서의 도면 중 미설명 부호 44는 차축이다.
1: 본 발명에 따른 램프 형성 가능한 트레일러
2: 탑재 데크(loading deck) 3: 견인 프레임
3a: 고정부 3b: 고정공
3c: 링크 연결 단부 4: 연결기(towing hitch)
4a: 노브(knob) 4b: 안전 체인
5: 랜딩 잭 5a: 거치륜
5b: 핸들 5c: 레버
6: 척(chuck) 7: 잭
7a: 핸들 7b: 피스톤부
7c: 실린더부 8: 차륜
8a: 차륜 커버 9: 차폭등
10: 메인 데크
11: 전면 프레임 11a: 고정편
11b: 돌출부 12: 후면 프레임
13: 측면 프레임 14: 고정턱
15: 슬롯 16: 고리
17: 손톱부
20: 플랩(flap) 데크
21: 전면 프레임 22: 후면 프레임
22a: 후방 상면 프레임 23: 측면 프레임
23a: 경사 단부 25: 슬롯
26: 고정부 27: 풀리(pully)
28: 고정공
30: 구동부
31: 브래킷 32: 구동축
33: 구동기어 34: 구동 레버
35: 종동축 36: 종동기어
37: 디스크 38: 안전 걸쇠
38a: 스프링 39: 와이어
40,41,42: 고정쇠 43: 고정볼트
44: 차축

Claims (9)

  1. 전면 프레임과 후방으로 연장되는 한 조의 측면 프레임을 가지는 메인 데크(main deck) 및, 상기한 메인 데크의 후방으로 연장되는 한 조의 측면 프레임 사이에 전면 프레임이 피벗 운동 가능하게 고정되며 경사 단부가 형성된 한 조의 측면 프레임을 가지는 플랩 데크(flap deck)로 이루어지며, 차륜이 설치되는 탑재 데크(loading deck)와;
    상기한 탑재 데크에 연결되며, 연결기 및 랜딩 잭이 설치된 견인 프레임과:
    상기한 메인 데크의 한 조의 측면 프레임 중 어느 하나의 연장 단부에 설치되며, 구동 레버에 의해 작동되는 구동 기어와 와이어가 권취된 종동축을 가지는 종동 기어를 가지는 구동부로 구성되며:
    상기한 플랩 데크의 한 조의 측면 프레임 각각의 중앙부 저면에는 풀리가 설치된 고정부가 외측으로 각각 돌출 형성되고 상기한 고정부에 인접한 후방에는 고정공이 형성되며, 상기한 메인 데크의 한 조의 측면 프레임의 연장 단부에는 탄성적으로 플랩 데크의 고정공에 끼워지는 고정쇠가 설치됨과 아울러 상기한 고정쇠의 끼움 방지를 위한 손톱부가 형성되고, 상기한 종동축에 권취된 와이어는 플랩 데크의 한 조의 측면 프레임 각각의 중앙부 저면에 설치된 풀리를 경유하여 상기한 메인 데크의 한 조의 측면 프레임 중 다른 하나에 고정되며;
    램프 형성 시에는 상기한 고정쇠를 빼내어 손톱부에 걸친 후 구동 레버를 정회전시켜 플랩 데크를 하향 틸팅(tilting)시키고, 수평 데크 형성을 위한 원위치 복귀 시에는 상기한 구동 레버를 역회전시켜 플랩 데크를 상향 틸팅시킨 후 상기한 고정쇠를 손톱부로부터 이탈시켜 플랩 데크의 고정공에 끼워 고정하는,
    램프 형성 가능한 트레일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와이어가 권취된 종동축의 양측에는 디스크가 위치하며 종동 기어는 상기한 디스크 중 어느 하나의 외측에 위치하고, 상기한 종동 기어에 맞물리는 구동 기어에는 안전 걸쇠가 스프링에 의해 탄성적으로 맞물려 있는 램프 형성 가능한 트레일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고정쇠가 "?"자 상으로 형성되고 상기한 손톱부가 "U"자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램프 형성 가능한 트레일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메인 데크의 저면에 횡방향으로 배치되는 저면 프레임에는 상기한 견인 프레임이 링크 연결 단부에 의해 피벗 운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한 메인 데크의 전면 프레임의 중앙에는 고정편이 상방으로 돌출 형성되는 한편, 상기한 메인 데크의 전면 프레임의 중앙에 인접한 견인 프레임의 상면에는 고정부가 형성되며, 상기한 견인 프레임의 고정부에는 잭의 피스톤부가 고정되고 상기한 메인 데크의 전면 프레임의 고정편에는 잭의 실린더부 하단부가 고정되어, 상기한 잭의 핸들을 정회전시켜 상기한 피스톤부의 길이를 신장시키는 것에 의하여 상기한 메인 데크의 선단부가 상향 틸팅되고, 상기한 잭의 핸들을 역회전시켜 상기한 피스톤부의 길이를 축퇴시키는 것에 의하여 상기한 메인 데크가 수평 위치로 원위치 복귀되는 램프 형성 가능한 트레일러.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한 메인 데크의 전면 프레임의 중앙에 인접한 저면에는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한 돌출부에는 고정쇠가 스프링에 의해 탄성적으로 끼워지며, 상기한 견인 프레임의 고정부에 인접한 내측 방향 측면에는 상기한 고정쇠가 끼워지는 고정공이 형성되어, 상기한 메인 데크 선단부의 상향 틸팅 시에는 상기한 고정쇠에 의한 메인 데크와 견인 프레임의 고정을 해제하고 수평 데크 형성을 위한 원위치 복귀 후에는 상기한 고정쇠로 메인 데크와 견인 프레임을 고정하는 램프 형성 가능한 트레일러.
  6. 제1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한 메인 데크의 전방 상면에 복수개의 오토바이 전륜 고정용 척(chuck)이 설치되어 있는 램프 형성 가능한 트레일러.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플랩 데크가 한 조의 측면 프레임을 횡 방향으로 연결하며 복수의 슬롯이 형성된 후면 프레임과, 상기한 후면 프레임에 인접하여 위치하는 후방 상면 프레임을 가지며, 상기한 후방 상면 프레임에도 복수의 슬롯이 형성되어 있는 램프 형성 가능한 트레일러.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메인 데크의 전면 프레임의 상면에는 복수개의 고리가 상호 이격하여 설치되고, 상기한 메인 데크의 측면 프레임과 상기한 플랩 데크의 측면 프레임의 측면에 복수의 슬롯이 형성되어 있는 램프 형성 가능한 트레일러.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메인 데크의 한 조의 측면 프레임 각각에는 상호 이격하여 위치하는 한 쌍의 고정턱이 설치되고, 상기한 고정턱 사이에는 차폭등이 설치된 휠 커버가 고정되어 있는 램프 형성 가능한 트레일러.
KR1020180097701A 2018-08-21 2018-08-21 램프 형성 가능한 트레일러 KR1020868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7701A KR102086849B1 (ko) 2018-08-21 2018-08-21 램프 형성 가능한 트레일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7701A KR102086849B1 (ko) 2018-08-21 2018-08-21 램프 형성 가능한 트레일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1847A KR20200021847A (ko) 2020-03-02
KR102086849B1 true KR102086849B1 (ko) 2020-03-09

Family

ID=698020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97701A KR102086849B1 (ko) 2018-08-21 2018-08-21 램프 형성 가능한 트레일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8684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14061A (ko) 2022-01-24 2023-08-01 주식회사 호야마린 램프 구비 트레일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66069A (ko) 2019-08-22 2022-05-23 오피노 엘엘씨 다중 액세스를 위한 정책 제어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58281B1 (ko) 1999-07-10 2002-10-25 주식회사 그린엔지니어링 사다리 수납장치가 구비된 트레일러
KR200207305Y1 (ko) 2000-07-06 2000-12-15 김향옥 사다리가 구비된 트레일러 및 화물트럭의 적재함
KR101541341B1 (ko) * 2013-07-09 2015-08-03 주식회사 비 에프 엘 텐트의 지면 펼침용 캠핑 트레일러
KR20170117716A (ko) 2016-04-14 2017-10-24 김이권 바이크 운반전용 접이식 트레일러 및 주차방법
KR101801470B1 (ko) 2016-06-07 2017-11-30 이정훈 인입인출형 경사로 탑재 트레일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14061A (ko) 2022-01-24 2023-08-01 주식회사 호야마린 램프 구비 트레일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1847A (ko) 2020-03-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44027B2 (en) System and method for loading vehicles onto the cargo bed of a transporting vehicle
US6276890B1 (en) Carrier with articulable bed
US8376684B2 (en) Loader and carrier apparatus
US5456564A (en) Winch operated vehicle mounted carrier
US5044651A (en) Fifth wheel hitch mounting mechanism enabling towing and turning in a tight radius
US6520523B2 (en) Removable vehicle running boards
US6969084B2 (en) Automotive bumper with integral hitch cover
US9321388B2 (en) Adjustable motorcycle trailer assembly
US20040262347A1 (en) Motorcycle rack for pickup trucks and trailers
KR101801470B1 (ko) 인입인출형 경사로 탑재 트레일러
US10934134B2 (en) Storage adapter system for hitch-mounted carrier
KR102086849B1 (ko) 램프 형성 가능한 트레일러
US11673511B2 (en) Hitch connectable motorcycle transport
US20030086778A1 (en) Apparatus for loading cargo into vehicles
US10358158B2 (en) Multi-function convertible trailer and towing structure
US6089816A (en) Article load apparatus
US20080014068A1 (en) APPARATUS FOR TRANSPORTING MULTIPLE ATVs IN A VEHICLE
US5921741A (en) Trailer and loading device
US20030147732A1 (en) Drivable trailer
US7837420B2 (en) Vehicle storage and transportation rack
US20050036869A1 (en) Vehicle hauling apparatus
US7147417B2 (en) Slide mechanism
US6698782B2 (en) Multi-functional vehicle
US7413210B1 (en) Watercraft trailer system
US20100111659A1 (en) Racking apparatus for a vehicle and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