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86590B1 - 전자통신기기를 보호하는 보호 시스템, 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전자통신기기를 보호하는 보호 시스템, 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86590B1
KR102086590B1 KR1020170100387A KR20170100387A KR102086590B1 KR 102086590 B1 KR102086590 B1 KR 102086590B1 KR 1020170100387 A KR1020170100387 A KR 1020170100387A KR 20170100387 A KR20170100387 A KR 20170100387A KR 102086590 B1 KR102086590 B1 KR 1020865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ecution data
communication device
electronic communication
message
hyperli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003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94533A (ko
Inventor
박서준
Original Assignee
박서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서준 filed Critical 박서준
Priority to KR10201701003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86590B1/ko
Publication of KR201700945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945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65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65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50Monitoring users, programs or devices to maintain the integrity of platforms, e.g. of processors, firmware or operating systems
    • G06F21/55Detecting local intrusion or implementing counter-measures
    • G06F21/56Computer malware detection or handling, e.g. anti-virus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ir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의 전자통신기기를 보호하는 보호 시스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전자통신기기를 보호하기 위하여 외부로부터 수신된 대상 메시지 내 실행 데이터 또는 하이퍼링크가 연결하는 외부 기기의 실행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안전하게 실행하고, 실행 데이터를 실행한 결과인 실행 출력을 전자통신기기로 전송하고 표시하여, 전자통신기기가 외부로부터 수신된 대상 메시지를 확인하는 과정에서 악성코드에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대상 메시지의 실행 내용을 확인할 수 있는 사용자의 전자통신기기를 보호하는 보호 시스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전자통신기기를 보호하는 보호 시스템, 장치, 및 그 방법{PROTECTION SYSTEM, APPARATUS, AND METHOD FOR PROTECTING TELECOMMUNICATIONS EQUIPMENT}
본 발명은 통신을 통해 메시지를 송수신할 수 있는 전자통신기기에서 메시지에 포함된 악성코드로부터 전자통신기기를 보호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전자통신기기에서 악성코드가 포함된 대상 메시지의 실행 데이터 또는 하이퍼링크가 연결하는 외부 기기의 실행 데이터를 외부서버로 전송하여 서버에서 실행 데이터를 실행하거나 내부 폐쇄 모듈에서 실행하여, 그 결과를 전자통신기기로 전송하여 전자통신기기를 보호할 수 있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IT 기술의 급격한 발전으로 전자통신기기를 중심으로 다양한 전자 기기들이 상용화되고 있다. 전자통신기기에는 스마트폰, 태블릿PC, 데스크탑PC, 웨어러블 (wearable) PC 등 다양한 전자 기기들이 있다. 이러한 전자통신기기는 외부와 통신을 통하여 정보를 송수신한다.
이러한 전자통신기기는 기본적으로 외부와 데이터를 주고 받는 기능을 포함하고 있다. 따라서 항시 외부로부터 악성코드 감염, 바이러스 감염과 같은 문제에 노출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로 인하여 바이러스 백신 프로그램이나, 악성코드를 치료하는 프로그램이 사용되고 있다. 최근에는 스마트폰과 같은 휴대용 전자통신기기에도 이러한 백신 프로그램을 적용하여 악성코드로부터 전자통신기기를 보호하는 방식이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전자통신기기에서 악성코드가 포함된 실행 가능한 파일이나 외부 하이퍼링크를 전자문서나 메시지를 통하여 전송 받은 경우, 전자통신기기의 사용자가 실행 가능한 파일이나 하이퍼링크가 연결하는 외부 기기의 실행 데이터를 실행하여 악성코드가 전자통신기기에 영향을 주는 경우가 많이 발생하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악성코드가 포함된 실행파일이나 하이퍼링크를 포함하는 메시지로부터 전자통신기기를 보호하는 방법에 대한 필요성이 커지고 있다.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1266037호 "휴대단말에서 악성행위 처리 방법 및 장치" (공개 2012.12.18)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전자통신기기가 외부로부터 수신된 대상 메시지를 확인하는 과정에서 악성코드에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대상 메시지의 내용을 확인할 수 있게 할 수 있는 전자통신기기를 보호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실행 데이터가 포함된 대상 메시지를 서비스제공 서버로 전송하여 서비스제공 서버에서 대상 메시지의 실행 데이터의 악성코드를 치료하고 대상 메시지의 실행 데이터를 실행하여 대상 메시지의 내용을 확인할 수 있게 하는 전자통신기기를 보호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과제는 실행 데이터가 포함된 대상 메시지의 실행 데이터를 전자통신기기의 내부의 폐쇄 모듈로 전송하여, 폐쇄 모듈에서 실행하여 전자통신기기에서 대상 메시지의 내용을 파악할 수 있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실시예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전자통신기기에 수신된 대상 메시지에 포함되고, 상기 전자통신기기에서 실행 가능한 메시지 내 실행 데이터 또는 외부 기기의 실행 데이터에 연결되는 하이퍼링크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전자통신기기로부터 수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통신부를 통해 수신된 상기 메시지 내 실행 데이터 또는 상기 통신부를 통해 수신된 상기 하이퍼링크가 연결하는 외부 기기의 실행 데이터를 상기 전자통신기기 대신 실행하는 처리부를 포함하되, 상기 처리부가 상기 메시지 내 실행 데이터 또는 상기 하이퍼링크가 연결하는 외부 기기의 실행 데이터를 상기 전자통신기기 대신 실행한 결과인 실행 출력은 상기 통신부를 통하여 상기 전자통신기기로 다시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상기 대상 메시지가 상기 메시지 내 실행 데이터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메시지 내 실행 데이터를 실행한 결과로서 상기 전자통신기기로 전송된 상기 실행 출력은, 상기 메시지 내 실행 데이터가 실행된 결과와 동일한 내용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상기 대상 메시지가 상기 하이퍼링크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하이퍼링크가 연결하는 외부 기기의 실행 데이터를 실행한 결과로서 상기 전자통신기기로 전송된 상기 실행 출력은, 상기 하이퍼링크가 연결하는 외부 기기의 실행 데이터가 실행된 결과와 동일한 내용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상기 실행 출력은 문자, 숫자, 도형, 이미지, 동영상, 소리, 진동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상기 처리부는 안전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메시지 내 실행 데이터 또는 상기 하이퍼링크가 연결하는 외부 기기의 실행 데이터를 상기 안전 모듈에서 실행 시, 상기 안전 모듈로부터의 데이터 송신이 차단 또는 제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상기 처리부는, 상기 메시지 내 실행 데이터 또는 상기 하이퍼링크가 연결하는 외부 기기의 실행 데이터에 악성코드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상기 처리부는 상기 악성코드를 치료하는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처리부는, 상기 메시지 내 실행 데이터에 악성코드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악성코드를 치료하고, 상기 통신부는 상기 악성코드가 치료된 실행 데이터를 실행한 결과인 치료된 실행 출력을 상기 전자통신기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상기 처리부는 상기 악성코드를 치료하는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처리부는, 상기 하이퍼링크가 연결하는 외부 기기의 실행 데이터에 악성코드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악성코드를 치료하고, 상기 통신부는 상기 악성코드가 치료된 실행 데이터를 실행한 결과인 치료된 실행 출력을 상기 전자통신기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상기 처리부는 상기 전자통신기기의 실행 환경에 근거한 시스템 실행 환경인 사용자 환경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환경 모듈에서 상기 메시지 내 실행 데이터 또는 상기 하이퍼링크가 연결하는 외부 기기의 실행 데이터를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상기 통신부에 수신된 상기 메시지 내 실행 데이터 또는 상기 하이퍼링크는 상기 전자통신기기의 사용자에 의해 상기 보호 전자기기로 전송되도록 지정된 실행 데이터 또는 하이퍼링크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상기 보호 전자기기는 사용자의 상기 전자통신기기를 악성코드로부터 보호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제공 서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전자통신기기에서 실행 가능한 메시지 내 실행 데이터 또는 외부 기기의 실행 데이터에 연결되는 하이퍼링크를 포함하는 대상 메시지를 수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메시지 내 실행 데이터 또는 상기 외부 기기의 실행 데이터에 연결되는 하이퍼링크 중 적어도 하나를 보호 전자기기로 송신하도록 처리하는 처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처리부는, 상기 보호 전자기기에서 상기 메시지 내 실행 데이터 또는 상기 하이퍼링크가 연결하는 외부 기기의 실행 데이터를 상기 전자통신기기 대신 실행한 결과인 실행 출력을 수신하도록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상기 대상 메시지가 상기 메시지 내 실행 데이터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메시지 내 실행 데이터를 실행한 결과인 상기 실행 출력은, 상기 메시지 내 실행 데이터가 실행된 결과와 적어도 일부가 동일한 내용이고, 상기 대상 메시지가 상기 하이퍼링크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하이퍼링크가 연결하는 외부 기기의 실행 데이터를 실행한 결과인 상기 실행 출력은, 상기 하이퍼링크가 연결하는 외부 기기의 실행 데이터가 실행된 결과와 적어도 일부가 동일한 내용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전자통신기기에서 실행 가능한 메시지 내 실행 데이터 또는 외부 기기의 실행 데이터에 연결되는 하이퍼링크를 포함하는 대상 메시지를 수신하는 통신부와, 상기 메시지 내 실행 데이터 또는 상기 하이퍼링크가 연결하는 외부 기기의 실행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실행하는 처리부 및 상기 처리부 대신 상기 메시지 내 실행 데이터 또는 상기 하이퍼링크가 연결하는 외부 기기의 실행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실행하는 폐쇄 모듈을 포함하되, 상기 폐쇄 모듈에서 상기 메시지 내 실행 데이터 또는 상기 하이퍼링크가 연결하는 외부 기기의 실행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처리부 대신 실행 시, 상기 전자통신기기의 상기 폐쇄 모듈에서 상기 전자통신기기의 다른 모듈로 데이터 송신이 차단 또는 제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전자통신기기에서 수신된 대상 메시지에 포함되는, 전자통신기기에서 실행 가능한 메시지 내 실행 데이터, 또는 외부 기기의 실행 데이터에 연결되는 하이퍼링크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전자통신기기로부터 수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통신부를 통해 수신된 상기 메시지 내 실행 데이터 또는 상기 통신부를 통해 수신된 상기 하이퍼링크가 연결하는 외부 기기의 실행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전자통신기기 대신 실행하는 처리부를 포함하되, 상기 처리부가 상기 메시지 내 실행 데이터 또는 상기 하이퍼링크가 연결하는 외부 기기의 실행 데이터를 상기 전자통신기기 대신 실행한 결과인 실행 출력을 보호 모듈 외의 상기 전자통신기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상기 처리부는 안전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메시지 내 실행 데이터 또는 상기 하이퍼링크가 연결하는 외부 기기의 실행 데이터를 실행 시, 상기 안전 모듈로부터의 데이터 송신이 차단 또는 제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전자통신기기에서 수신된 대상 메시지에 포함되는, 메시지 내 실행 데이터 또는 외부 기기의 실행 데이터에 연결되는 하이퍼링크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전자통신기기로부터 보호 전자기기에서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상기 메시지 내 실행 데이터 또는 상기 수신된 상기 하이퍼링크가 연결하는 상기 외부 기기의 실행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전자통신기기 대신 상기 보호 전자기기에서 실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메시지 내 실행 데이터 또는 상기 하이퍼링크가 연결하는 외부 기기의 실행 데이터를 상기 전자통신기기 대신 실행한 결과인 실행 출력을 상기 전자통신기기로 다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상기 대상 메시지가 상기 메시지 내 실행 데이터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실행 출력은, 상기 메시지 내 실행 데이터가 실행된 결과와 동일한 내용이고, 상기 대상 메시지가 상기 하이퍼링크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실행 출력은, 상기 하이퍼링크가 연결하는 외부 기기의 실행 데이터가 실행된 결과와 동일한 내용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상기 실행 출력은 문자, 숫자, 도형, 이미지, 동영상, 소리, 진동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상기 실행하는 단계는 상기 메시지 내 실행 데이터 또는 상기 하이퍼링크가 연결하는 외부 기기의 실행 데이터를 상기 보호 전자기기의 안전 모듈에서 실행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보호 전자기기의 안전 모듈에서 상기 메시지 내 실행 데이터 또는 상기 하이퍼링크가 연결하는 외부 기기의 실행 데이터를 실행 시, 상기 보호 전자기기의 안전 모듈로부터 상기 보호 전자기기의 다른 모듈로의 데이터 송신이 차단 또는 제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상기 보호 전자기기에서 상기 메시지 내 실행 데이터 또는 상기 하이퍼링크가 연결하는 외부 기기의 실행 데이터에 악성코드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상기 메시지 내 실행 데이터에 악성코드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악성코드를 치료하는 단계 및 상기 악성코드가 치료된 실행 데이터를 실행한 결과인 치료된 실행 출력을 상기 전자통신기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상기 하이퍼링크가 연결하는 외부 기기의 실행 데이터에 상기 악성코드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악성코드를 치료하는 단계 및 상기 악성코드가 치료된 하이퍼링크가 연결하는 외부 기기의 실행 데이터를 실행한 결과인 치료된 실행 출력을 상기 전자통신기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상기 보호 전자기기에서 실행하는 단계는 상기 전자통신기기의 실행 환경에 근거한 시스템 실행 환경인 상기 보호 전자기기의 사용자 환경 모듈에서 실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상기 메시지 내 실행 데이터 또는 상기 하이퍼링크는 상기 전자통신기기의 사용자에 의해 상기 보호 전자기기로 전송되도록 지정된 실행 데이터 또는 하이퍼링크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통신 기능을 갖는 전자통신기기에서 대상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전자통신기기에서 실행되지 않고 상기 대상 메시지에 포함되는 상기 전자통신기기에서 실행 가능한 메시지 내 실행 데이터, 또는 외부 기기의 실행 데이터에 연결되는 하이퍼링크 중 적어도 하나를 보호 전자기기로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보호 전자기기에서 상기 메시지 내 실행 데이터 또는 상기 하이퍼링크가 연결하는 외부 기기의 실행 데이터를 상기 전자통신기기 대신 실행한 결과인 실행 출력을 상기 보호 전자기기로부터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상기 대상 메시지가 상기 메시지 내 실행 데이터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메시지 내 실행 데이터를 실행한 결과인 상기 실행 출력은, 상기 메시지 내 실행 데이터가 실행된 결과와 적어도 일부가 동일한 내용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상기 대상 메시지가 상기 하이퍼링크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하이퍼링크가 연결하는 외부 기기의 실행 데이터를 실행한 결과인 상기 실행 출력은, 상기 하이퍼링크가 연결하는 외부 기기의 실행 데이터가 실행된 결과와 적어도 일부가 동일한 내용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상기 실행 출력은 문자, 숫자, 도형, 이미지, 동영상 , 소리, 진동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상기 전자통신기기에서의 상기 메시지 내 실행 데이터, 또는 상기 외부 기기의 실행 데이터에 연결되는 하이퍼링크를 상기 보호 전자기기로 송신 여부를 입력 받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폐쇄 모듈을 갖는 전자통신기기에서 대상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대상 메시지에 포함되는 상기 전자통신기기에서 실행 가능한 메시지 내 실행 데이터 또는 외부 기기의 실행 데이터에 연결되는 하이퍼링크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전자통신기기의 상기 폐쇄 모듈로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메시지 내 실행 데이터 또는 상기 하이퍼링크가 연결하는 외부 기기의 실행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전자통신기기의 상기 폐쇄 모듈에서 상기 전자통신기기의 처리부 대신 실행하는 단계 및 상기 메시지 내 실행 데이터 또는 상기 하이퍼링크가 연결하는 외부 기기의 실행 데이터를 상기 폐쇄 모듈이 상기 처리부 대신 실행한 결과인 실행 출력을 상기 전자통신기기의 상기 폐쇄 모듈에서 상기 전자통신기기의 폐쇄 모듈 외부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상기 폐쇄 모듈에서 상기 메시지 내 실행 데이터 또는 상기 하이퍼링크가 연결하는 외부 기기의 실행 데이터를 실행 시, 상기 전자통신기기의 상기 폐쇄 모듈에서 상기 전자통신기기의 다른 모듈로 데이터 송신이 차단 또는 제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전자통신기기에서 수신된 대상 메시지에 포함되는, 전자통신기기에서 실행 가능한 메시지 내 실행 데이터 또는 외부 기기의 실행 데이터에 연결되는 하이퍼링크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전자통신기기로부터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전자통신기기로부터 수신된 상기 메시지 내 실행 데이터 또는 상기 전자통신기기로부터 수신된 상기 하이퍼링크가 연결하는 외부 기기의 실행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전자통신기기 대신 실행하는 단계 및 상기 실행 데이터를 상기 전자통신기기 대신 실행한 결과인 실행 출력을 보호 모듈 외의 상기 전자통신기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통신부 및 처리부를 포함하는 전자통신기기 및 통신부 및 처리부를 포함하는 보호 전자기기를 포함하고, 상기 전자통신기기의 통신부는 대상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전자통신기기의 처리부는 상기 전자통신기기에서 실행되지 않고 상기 대상 메시지에 포함되는 상기 전자통신기기에서 실행 가능한 메시지 내 실행 데이터 또는 외부 기기의 실행 데이터에 연결되는 하이퍼링크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보호 전자기기로 송신하도록 처리하고, 상기 보호 전자기기의 통신부는 상기 전자통신기기에서 송신한 상기 메시지 내 실행 데이터 또는 외부 기기의 실행 데이터에 연결되는 하이퍼링크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하고, 상기 보호 전자기기의 처리부는 상기 전자통신기기로부터 수신된 상기 메시지 내 실행 데이터 또는 상기 전자통신기기로부터 수신된 상기 하이퍼링크가 연결하는 외부 기기의 실행 데이터를 상기 전자통신기기 대신 실행하고, 상기 전자통신기기의 처리부는, 상기 보호 전자기기에서 상기 메시지 내 실행 데이터 또는 상기 하이퍼링크가 연결하는 외부 기기의 실행 데이터를 상기 전자통신기기 대신 실행한 결과인 실행 출력을 보호 전자기기로부터 수신하도록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프로그램이 저장된 컴퓨터 판독가능매체로, 전자통신기기에 수신된 대상 메시지에 포함되고, 상기 전자통신기기에서 실행 가능한 메시지 내 실행 데이터 또는 외부 기기의 실행 데이터에 연결되는 하이퍼링크 중 적어도 하나를 보호 전자기기가 상기 전자통신기기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메시지 내 실행 데이터 또는 상기 하이퍼링크가 연결하는 외부 기기의 실행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보호 전자기기가 상기 전자통신기기 대신 실행하고, 상기 메시지 내 실행 데이터 또는 상기 하이퍼링크가 연결하는 외부 기기의 실행 데이터를 상기 보호 전자기기가 상기 전자통신기기 대신 실행한 결과인 실행 출력을 상기 보호 전자기기가 상기 전자통신기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기타 실시예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은 전자통신기기가 외부로부터 수신된 대상 메시지를 확인하는 과정에서 악성코드에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대상 메시지의 내용을 확인할 수 있게 할 수 있는 전자통신기기를 보호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실행 데이터가 포함된 대상 메시지를 서비스제공 서버로 전송하여 서비스제공 서버에서 대상 메시지의 실행 데이터의 악성코드를 치료하고 대상 메시지의 실행 데이터를 실행하여 대상 메시지의 내용을 확인할 수 있게 하는 전자통신기기를 보호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실행 데이터가 포함된 대상 메시지의 실행 데이터를 전자통신기기의 내부의 폐쇄 모듈로 전송하여, 폐쇄 모듈에서 실행하여 전자통신기기에서 대상 메시지의 내용을 파악할 수 있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예시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더욱 다양한 효과들이 본 명세서 내에 포함되어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통신기기 및 서비스제공 서버의 블록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통신기기 및 서비스제공 서버와 관련하여, 전자통신기기가 수신한 대상 메시지의 실행 데이터가 서비스제공 서버로 전송되고, 서비스제공 서버가 실행 데이터를 실행하여 그 결과를 다시 전자통신기기에 전송하는 방식으로 전자통신기기를 보호하는 동작 흐름도이다.
도 3a 및 도 3b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상 메시지에 실행 데이터가 포함된 경우의 전자통신기기의 UI이다.
도 4a 및 도 4b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상 메시지에 하이퍼링크가 포함된 경우의 전자통신기기의 UI이다.
도 5 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안전 모듈과 안전 모듈의 처리부를 포함하는 서비스제공 서버의 블록도이다.
도 6 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환경 모듈과 사용자 환경 모듈의 처리부를 포함하는 서비스제공 서버의 블록도이다.
도 7 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폐쇄 모듈과 폐쇄 모듈의 처리부를 포함하는 전자통신기기의 블록도이다.
도 8 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처리부를 포함하는 보호 모듈의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비록 제 1, 제 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 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 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는 어느 하나의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로 데이터 또는 신호를 '전송'하는 경우에는 구성요소는 다른 구성요소로 직접 상기 데이터 또는 신호를 전송할 수 있고, 적어도 하나의 또 다른 구성요소를 통하여 데이터 또는 신호를 다른 구성요소로 전송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각 블록은 특정된 논리적 기능 (들) 을 실행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실행 가능한 인스트럭션들을 포함하는 모듈, 세그먼트 또는 코드의 일부를 나타낼 수 있다. 또, 몇 가지 대체 실행 예들에서는 블록들에서 언급된 기능들이 순서를 벗어나서 발생하는 것도 가능함을 주목해야 한다. 예컨대, 잇달아 도시되어 있는 두 개의 블록들은 사실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고 또는 그 블록들이 때때로 해당하는 기능에 따라 역순으로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통신기기 및 서비스제공 서버의 블록도이다.
도 1 을 참조하면, 전자통신기기 (100) 는 처리부 (110), 통신부 (120) 및 표시부 (130) 를 포함하고, 서비스제공 서버 (200) 는 처리부 (210), 통신부 (220) 및 저장부 (230) 를 포함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통신기기 (100) 를 보호하기 위한 서비스제공 서버 (200) 에서 전자통신기기 (100) 가 수신한 대상 (對象) 메시지의 실행 데이터가 실행되어 다시 전자통신기기 (100) 로 전송되는 시스템에 대한 구성도를 도시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대상 (對象) 메시지란, 전자통신기기 (100) 가 수신한 메시지로서, 악성코드가 포함된 것으로 의심되는 메시지를 의미한다. 여기서 의심되는 메시지란, 대상 메시지에 실행 데이터 또는 하이퍼링크가 포함된 메시지를 의미한다. 즉 대상 메시지는 단순한 텍스트 정보 이외에 전자통신기기 (100) 에서 연산이 요구되는 데이터가 포함된 모든 메시지를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실행 데이터는, 전자통신기기 (100) 또는 서비스제공 서버 (200) 에서 실행될 수 있는 데이터를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하이퍼링크는 대상 메시지에 포함되어 모든 형식의 데이터를 연결할 수 있는 참조 링크를 의미한다. 즉, 하이퍼링크는 외부 기기의 문자, 숫자, 도형, 소리, 동영상, 글, 음악, 이미지, 프로그램, 파일 등을 지정할 수 있어 하이퍼링크는 외부 기기의 실행 데이터와 연결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실행 출력이란, 서비스제공 서버 (200) 가 메시지 내 실행 데이터 또는 외부 기기의 실행 데이터를 실행한 결과의 표시를 의미한다. 대상 메시지가 실행 데이터를 포함하는 경우, 실행 출력은, 메시지 내 실행 데이터가 실행된 결과의 적어도 일부가 동일한 내용인 출력 데이터 복사본일 수 있으며, 이때 출력 데이터 복사본은 서비스제공 서버 (200)에서 전자통신기기 (100)로 전송되는 출력 데이터이다. 또한, 대상 메시지가 하이퍼링크를 포함하는 경우, 실행 출력은, 하이퍼링크가 연결하는 외부 기기의 실행 데이터가 실행된 결과의 적어도 일부가 동일한 내용인출력 데이터 복사본일 수 있으며, 이때 출력 데이터 복사본은 서비스제공 서버 (200)에서 전자통신기기 (100)로 전송되는 출력 데이터이다. 출력 데이터 복사본은 문자, 숫자, 도형, 소리, 이미지 데이터, 동영상 데이터, 음성 데이터, 진동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전자통신기기 (100) 는 다른 전자통신기기 또는 서비스제공 서버 (200) 와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기기를 의미한다. 또한, 전자통신기기 (100) 는 다양한 정보를 처리하고 전자통신기기 (100) 의 사용자에게 문자, 영상, 음성, 진동 등을 이용하여 정보를 전달하고, 다른 전자통신기기 또는 서비스제공 서버 (200) 와 문자, 영상 및 음성 등이 포함된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이러한 전자통신기기 (100) 는 데스크탑PC, 노트북PC, 모바일PC, 스마트폰 및 테블릿PC 등과 같은 다양한 기기일 수 있으나, 상술한 기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전자통신기기 (100) 의 통신부 (120) 는 다른 전자통신기기 또는 서비스제공 서버 (200) 와 통신하여 정보를 송수신한다. 예를 들어, 통신부 (120) 는 다른 전자통신기기로부터 대상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 (120) 는 서비스제공 서버 (200) 로 메시지 내 실행 데이터를 전송하고 서비스제공 서버 (200) 로 부터 메시지 내 실행 데이터의 실행 결과인 실행 출력을 수신한다. 통신부 (120) 는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는 송신부 및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는 수신부의 역할을 함께 수행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통신부 (120) 가 다른 전자통신기기 또는 서비스제공 서버 (200) 와 통신하는 방법으로서, 예를 들어, 무선 인터넷 기술, 근거리 통신 기술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전자통신기기 (100) 의 처리부 (110) 는 통신부 (120) 를 통해 수신된 데이터를 처리한다. 처리부 (110) 는 대상 메시지에 실행 가능한 메시지 내 실행 데이터 또는 하이퍼링크가 포함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또한 처리부 (110) 는 대상 메시지에 포함된 메시지 내 실행 데이터 또는 하이퍼링크와 연결된 외부 기기의 실행 데이터를 실행할 수도 있고, 서비스제공 서버 (200) 로부터 수신된 실행 출력을 실행할 수도 있다. 이에, 처리부 (110) 는 실행 데이터 또는 실행 출력을 실행하여 실행 데이터의 형식 또는 실행 출력의 형식에 맞는 출력을 표시부 (130) 에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행 데이터의 형식 또는 실행 출력의 형식이 동영상인 경우 해당 동영상을 재생하고, 실행 데이터의 형식 또는 실행 출력의 형식이 음성인 경우 해당 음성을 재생하며, 실행 데이터의 형식 또는 실행 출력의 형식이 이미지나 문자인 경우는 이미지나 문자를 표시한다. 또한 처리부 (110) 는 전자통신기기 (100) 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처리부 (110) 는 음성 통화, 데이터 통신, 미디어 재생, 내부 데이터 처리 및 내부 모듈 제어 등을 위한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한다.
*전자통신기기 (100) 의 표시부 (130) 는 출력 형식으로 표시 가능한 정보를 표시한다. 표시부 (130) 는 서비스제공 서버 (200) 로부터 전송된 실행 출력의 실행 결과를 표시한다. 다만, 실행 출력이 음성을 포함하는 동영상일 경우, 본 명세서에는 기재되지 않았으나 표시부 (130) 는 영상을 표시하고, 음성 출력부 (미도시) 는 음성을 함께 재생할 수 있다.
서비스제공 서버 (200) 는 전자통신기기 (100) 와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장치이다. 서비스제공 서버 (200) 는 메시지 내 실행 데이터, 하이퍼링크, 하이퍼링크가 연결하는 외부 기기의 실행 데이터를 수신하여 실행할 수 있다. 서비스제공 서버 (200) 는 전자통신기기 (100) 와 송수신하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서비스제공 서버 (200) 라 명명하였지만 서비스제공 서버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방식으로 전자통신기기 (100) 와 통신을 하는 모든 보호 전자기기를 포함한다.
서비스제공 서버 (200) 의 통신부 (220) 는 전자통신기기 (100) 와 통신한다. 통신부 (220) 는 전자통신기기 (100) 로부터 실행 데이터 또는 하이퍼링크를 수신하고, 메시지 내 실행 데이터 또는 하이퍼링크가 연결하는 외부 기기의 실행 데이터를 실행한 결과인 실행 출력을 전자통신기기 (100) 로 전송한다. 통신부 (220) 는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는 송신부 및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는 수신부의 역할을 함께 수행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서비스제공 서버 (200) 의 저장부 (230) 는 서비스제공 서버 (200) 에서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 또는 데이터가 저장된다. 저장부 (230) 는 전자통신기기 (100) 로부터 수신된 메시지 내 실행 데이터 또는 하이퍼링크를 저장한다. 또한, 저장부 (230) 는 하이퍼링크가 연결하는 외부 기기의 실행 데이터를 저장할 수도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지 않고, 저장부 (230) 는 처리부 (210) 에서 처리될 수 있는 모든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으며, 이러한 데이터는 통신부 (220) 를 통하여 전자통신기기 (100) 로부터 수신된 데이터일 수 있다.
서비스제공 서버 (200) 의 처리부 (210) 는 메시지 내 실행 데이터, 하이퍼링크 또는 하이퍼링크가 연결하는 외부 기기의 실행 데이터를 실행한다. 또한 처리부 (210) 는 메시지 내 실행 데이터 및 하이퍼링크가 연결하는 외부 기기의 실행 데이터를 실행하여, 메시지 내 실행 데이터 또는 하이퍼링크가 연결하는 외부 기기의 실행 데이터를 실행한 결과인 실행 출력을 생성한다. 예를 들어, 메시지 내 실행 데이터 및 하이퍼링크가 연결하는 외부 기기의 실행 데이터가 동영상 데이터라면 실행 출력은 실행 데이터를 실행한 출력 결과인 동영상의 복사본일 수 있다.
도 1 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처리부 (110), 통신부 (120) 및 표시부 (130) 와 처리부 (210), 통신부 (220) 및 표시부 (230) 를 별도의 구성으로 도시하였으나, 발명의 구현에 있어 해당 구성들은 상호 결합 또는 분리되어 구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대상 메시지에 메시지 내 실행 데이터 또는 하이퍼링크가 포함된 경우 전자통신기기 (100) 에서 서비스제공 서버 (200) 로 메시지 내 실행 데이터 또는 하이퍼링크를 전송하고, 서비스제공 서버 (200) 에서 메시지 내 실행 데이터 또는 외부 기기의 실행 데이터를 실행하고 실행 출력을 생성하여, 악성 코드의 영향을 받지 않는 실행 출력을 다시 전자통신기기 (100) 로 전송하고, 전송받은 실행 출력을 전자통신기기 (100) 에서 표시함으로써 전자통신기기 (100) 를 보호하는 방법에 대해 도 2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통신기기 및 서비스제공 서버와 관련하여, 전자통신기기가 수신한 대상 메시지의 메시지 내 실행 데이터 또는 하이퍼링크가 서비스제공 서버로 전송되고, 서비스제공 서버가 메시지 내 실행 데이터 또는 하이퍼링크가 연결하는 외부 기기의 실행 데이터를 실행하여 그 결과를 다시 전자통신기기에 전송하는 방식으로 전자통신기기를 보호하는 동작 흐름도이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1 의 구성요소들 및 그 도면 부호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전자통신기기 (100) 의 통신부 (120) 를 통해 대상 메시지를 수신한다 (S110).
전자통신기기 (100) 는 통신부 (120) 를 통해 다른 전자통신기기 또는 다양한 서버들로부터 대상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대상 메시지는 SMS 문자메시지, MMS 문자메시지, 이메일 등과 같은 다양한 형태의 메시지일 수 있다. 또한 대상 메시지는 실행 데이터 또는 하이퍼링크를 포함할 수 있다.
이어서, 전자통신기기 (100) 에서 바로 대상 메시지를 실행하지 않고 먼저 대상 메시지에 실행 데이터 또는 하이퍼링크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되었는지 확인한다 (S120).
전자통신기기 (100) 의 처리부 (110) 는 대상 메시지에 실행 데이터 또는 하이퍼링크가 포함되었는지 판단한다. 처리부 (110) 는 대상 메시지에 포함된 데이터가 실행 데이터인지 판단하기 위해, 대상 메시지에 포함된 데이터의 파일 확장자, 파일의 내용 등을 분석할 수 있다. 처리부 (110) 는 대상 메시지에 하이퍼링크가 포함되었는지 판단하기 위해, 외부 기기의 데이터를 연결할 수 있는 참조 링크형식의 내용이 대상 메시지에 포함되어 있는지 판단한다.
대상 메시지에 실행 데이터 또는 하이퍼링크가 포함되지 않은 경우, 별도의 절차 없이 대상 메시지를 확인 하는 절차가 종료되나, 실행 데이터 또는 하이퍼링크가 있는 경우 악성코드로부터 전자통신기기를 보호하기 위한 추가적인 단계가 진행된다.
전자통신기기 (100) 의 통신부 (120) 는 대상 메시지의 실행 데이터 또는 하이퍼링크를 서비스제공 서버 (200) 로 전송한다 (S130).
통신부 (120) 는 서비스제공 서버 (200) 로 대상 메시지에 포함된 실행 데이터 또는 하이퍼링크를 전송한다. 대상 메시지에 포함된 실행 데이터 또는 하이퍼링크의 개수가 복수인 경우, 복수의 실행 데이터 또는 복수의 하이퍼링크 모두가 서비스제공 서버 (200) 로 전송될 수도 있고, 복수의 실행 데이터 또는 복수의 하이퍼링크 중 선택된 일부만이 서비스제공 서버 (200) 로 전송될 수도 있다.
전자통신기기 (100) 가 실행 데이터 또는 하이퍼링크를 직접 실행하는 경우 전자통신기기 (100) 가 악성코드에 영향을 받을 위험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통신기기를 보호하는 방법은 전자통신기기 (100) 가 메시지 내 실행 데이터나 하이퍼링크가 연결하는 외부 기기의 실행 데이터를 실행하지 않고, 서비스제공 서버 (200) 로 메시지 내 실행 데이터 또는 하이퍼링크를 전송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전자통신기기 (100) 의 통신부 (120) 가 실행 데이터 또는 하이퍼링크를 서비스제공 서버 (200) 로 전송하기 전에, 실행 데이터 또는 하이퍼링크의 전송 여부가 사용자에 의해 확인될 수도 있다.
대상 메시지에 포함된 실행 가능한 메시지 내 실행 데이터 또는 하이퍼링크가 연결하는 외부 기기의 실행 데이터를 서비스제공 서버 (200) 에서 실행한다 (S160).
메시지 내 실행 데이터 또는 하이퍼링크가 연결하는 외부 기기의 실행 데이터는 서비스제공 서버 (200) 의 저장부 (230) 에 저장될 수도 있으며, 서비스제공 서버 (200) 의 처리부 (210) 는 메시지 내 실행 데이터 또는 하이퍼링크가 연결하는 외부 기기의 실행 데이터를 실행하여 실행 출력을 생성한다. 생성된 실행 출력은 서비스제공 서버 (200) 의 저장부 (230) 에 저장될 수 있다.
서비스제공 서버 (200) 의 통신부 (220) 는 전자통신기기 (100) 의 통신부 (120) 로 실행 출력을 전송한다 (S170).
서비스제공 서버 (200) 의 통신부 (220) 는 실행 출력을 전자통신기기 (100) 로 전송하며, 전자통신기기 (100) 로부터 수신한 실행 데이터 또는 하이퍼링크를 다시 전자통신기기 (100) 로 전송하지는 않는다. 예를 들어 서비스제공 서버 (200) 는 동영상이 포함된 실행 데이터를 실행하고 그 실행 출력인 동영상을 생성하여 전자통신기기 (100) 로 전송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대상 메시지에 하이퍼링크가 포함된 경우, 서비스제공 서버 (200) 는 하이퍼링크가 연결하는 외부 기기의 실행 데이터의 실행 출력을 전자통신기기 (100) 로 전송할 수 있다.
전자통신기기 (100) 의 처리부 (110) 는 실행 출력을 실행한다 (S180).
전자통신기기 (100) 의 처리부 (110) 는 서비스제공 서버 (200) 에서 생성된 실행 출력을 실행한다. 이러한 실행 출력의 결과는 전자통신기기 (100) 의 표시부 (130) 에 표시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서비스제공 서버 (200) 가 실행 데이터를 실행하므로 서비스제공 서버 (200) 자체가 악성코드로부터 보호되는 상태에서 실행 데이터를 실행할 수도 있다. 따라서, 서비스제공 서버 (200) 는 단계 S130 이후에 메시지 내 실행 데이터 또는 하이퍼링크가 연결하는 외부 기기의 실행 데이터에 악성코드가 포함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S140).
서비스제공 서버 (200) 의 처리부 (210) 는 전자통신기기 (100) 로부터 메시지 내 실행 데이터 또는 하이퍼링크가 연결하는 외부 기기의 실행 데이터에 악성코드가 포함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비스제공 서버 (200) 의 처리부 (210) 는 지문 (signature) 검사법, CRC (Cyclic Redundancy Check) 검사법 및 경험적 (heuristic) 검사법 중 적어도 하나를 사용하여 메시지 내 실행 데이터 또는 하이퍼링크가 연결하는 외부 기기의 실행 데이터에 악성코드가 포함되었는지를 확인할 수 있으나, 상술한 검사법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몇몇 실시예에서, 대상 메시지에 악성코드가 포함되었는지 여부가 서비스제공 서버 (200) 와 별개인 외부 장치에서 확인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서비스제공 서버 (200) 와 별개인 별도의 하이퍼바이저 (Hypervisor) 에서 실행 데이터 또는 하이퍼링크를 수신하고, 하이퍼바이저가 메시지 내 실행 데이터 또는 하이퍼링크가 연결하는 외부 기기의 실행 데이터에 악성코드가 포함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단계 S140 이후에, 대상 메시지에 악성코드가 포함된 경우, 서비스제공 서버 (200) 는 악성코드를 치료할 수 있다 (S150).
서비스제공 서버 (200) 의 처리부 (210) 는 자체적으로 메시지 내 실행 데이터 또는 하이퍼링크가 연결하는 외부 기기의 실행 데이터의 악성코드를 치료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대상 메시지에 악성코드가 포함되었는지 여부를 별도의 하이퍼바이저가 확인하는 경우, 하이퍼바이저에 악성코드 치료 모듈이 설치되고, 서비스제공 서버 (200) 는 악성코드의 치료를 하이퍼바이저에 요청하는 방식으로 메시지 내 실행 데이터 또는 하이퍼링크가 연결하는 외부 기기의 실행 데이터의 악성코드를 치료할 수도 있다.
서비스제공 서버 (200) 는 메시지 내 실행 데이터 또는 하이퍼링크가 연결하는 외부 기기의 실행 데이터의 악성코드를 치료한 이후에 치료된 메시지 내 실행 데이터 또는 하이퍼링크가 연결하는 외부 기기의 치료된 실행 데이터를 실행할 수 있다 (S160).
서비스제공 서버 (200) 의 처리부 (210) 는 치료된 메시지 내 실행 데이터 또는 하이퍼링크가 연결하는 외부 기기의 치료된 실행 데이터를 실행하여 치료된 실행 출력을 생성한다. 치료된 실행 출력이란, 치료된 메시지 내 실행 데이터 또는 하이퍼링크가 연결하는 외부 기기의 치료된 실행 데이터를 실행한 결과의 표시를 의미한다.
서비스제공 서버 (200) 의 통신부 (220) 는 전자통신기기 (100) 의 통신부 (120) 로 치료된 실행 출력을 전송할 수 있다 (S170).
서비스제공 서버 (200) 의 통신부 (220) 는 치료된 실행 출력만을 다시 전자통신기기 (100) 로 전송하고, 전자통신기기 (100) 가 서비스제공 서버 (200) 로 전송한 실행 데이터 또는 하이퍼링크를 다시 전송하지는 않는다.
몇몇 실시예에서, 서비스제공 서버 (200) 의 통신부 (220) 는 치료된 실행 출력과 함께 치료된 메시지 내 실행 데이터 또는 하이퍼링크가 연결하는 외부 기기의 치료된 실행 데이터를 전자통신기기 (100) 로 전송할 수도 있다.
전자통신기기 (100) 의 처리부 (110) 는 치료된 실행 출력을 실행한다 (S180).
전자통신기기 (100) 의 처리부 (110) 는 치료된 실행 출력을 실행하여, 전자통신기기 (100) 의 표시부 (130) 에 치료된 실행 출력의 결과를 표시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전자통신기기 (100) 의 처리부 (110) 는 치료된 메시지 내 실행 데이터 또는 하이퍼링크가 연결하는 외부 기기의 치료된 실행 데이터를 실행하여, 전자통신기기 (100) 의 표시부 (130) 에 치료된 메시지 내 실행 데이터 또는 하이퍼링크가 연결하는 외부 기기의 치료된 실행 데이터의 결과를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통신기기를 보호하는 방법에서는, 대상 메시지의 실행 데이터가 전자통신기기 (100) 에서 서비스제공 서버 (200) 로 전송되고, 서비스제공 서버 (200) 가 실행 데이터를 실행하고 실행 출력을 생성하여 실행 출력을 전자통신기기 (100) 에 전송한다. 이에 따라, 전자통신기기 (100) 가 악성코드가 포함되었을 수 있는 대상 메시지에 포함된 메시지 내 실행 데이터 또는 하이퍼링크가 연결하는 외부 기기의 실행 데이터를 직접 실행하지 않고, 서비스제공 서버 (200) 가 메시지 내 실행 데이터 또는 하이퍼링크가 연결하는 외부 기기의 실행 데이터를 실행하여 전자통신기기 (100) 를 악성코드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또한 대상 메시지에 포함된 메시지 내 실행 데이터 또는 하이퍼링크가 연결하는 외부 기기의 실행 데이터를 서비스제공 서버 (200) 가 실행 출력으로 안전하게 생성하여 전자통신기기 (100) 로 전송하고, 전자통신기기 (100) 가 전송받은 실행 출력을 실행하여, 전자통신기기 (100)가 대상 메시지의 내용을 서비스제공 서버 (200)를 통해 간접적으로 확인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는 전자통신기기 (100) 를 보호함과 동시에 대상 메시지의 내용을 확인할 수 있다.
도 3a 및 도 3b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상 메시지에 실행 데이터가 포함된 경우의 전자통신기기의 UI이다.
도 3a 는 전자통신기기 (100) 에서 수신한 대상 메시지에 실행 데이터가 포함된 경우 서비스제공 서버 (200) 로 데이터를 송신할 것인지를 확인하는 것에 대한 전자통신기기 (100) 의 UI를 도시한다.
도 3a를 참조하면, 실행 데이터가 대상 메시지에 포함된 경우 즉시 전자통신기기 (100) 에서 실행 데이터가 실행되는 것이 아니라, 전자통신기기 (100) 는 전자통신기기 (100) 의 사용자에게 서비스제공 서버 (200) 로의 실행 데이터를 전송할 것인지 여부를 확인 받을 수 있다. 전자통신기기 (100) 의 사용자가 “전송”을 선택하는 경우 전자통신기기 (100) 는 서비스제공 서버 (200) 로 실행 데이터를 전송한다. 전자통신기기 (100) 의 사용자가 “거절”을 선택하는 경우 전자통신기기 (100) 는 서비스제공 서버 (200) 로 실행 데이터를 전송하지 않을 수 있고, 전자통신기기 (100) 는 대상 메시지의 실행 데이터를 직접 실행하거나, 대상 메시지의 실행 데이터를 실행하지 않고, 대상 메시지를 확인하는 과정을 종료할 수도 있다.
도 3b 는 대상 메시지의 실행 데이터가 서비스제공 서버 (200) 로 송신되고 서비스제공 서버 (200) 에서 실행 데이터가 실행된 결과물인 실행 출력을 전자통신기기 (100) 가 수신하여 실행하는 상황에서의 전자통신기기 (100) 의 UI를 도시한다.
도 3b를 참조하면, 대상 메시지의 실행 데이터가 동영상 형식의 데이터이고 서비스제공 서버 (200) 가 실행 데이터의 실행 출력을 전자통신기기 (100) 로 전송한 경우, 전자통신기기 (100) 에서 실행 출력인 동영상을 실행하지 위한 대기 상태가 전자통신기기 (100) 의 표시부 (130) 에 표시된다. 대기 상태에서 재생 버튼이 선택되면, 실행 출력인 동영상이 전자통신기기 (100) 에서 실행될 수 있다.
도 4a 및 도 4b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상 메시지에 하이퍼링크가 포함된 경우의 전자통신기기의 UI이다.
도 4a 는 전자통신기기 (100) 에서 수신한 대상 메시지에 하이퍼링크가 포함된 경우 서비스제공 서버 (200) 로 하이퍼링크를 송신할 것인지를 확인하는 것에 대한 전자통신기기 (100) 의 UI를 도시한다.
도 4a를 참조하면, 하이퍼링크가 대상 메시지에 포함된 경우 즉시 전자통신기기 (100) 에서 하이퍼링크가 연결하는 외부 기기의 실행 데이터가 실행되는 것이 아니라, 전자통신기기 (100) 는 전자통신기기 (100) 의 사용자에게 서비스제공 서버 (200) 로의 하이퍼링크를 전송할 것인지 여부를 확인 받을 수 있다. 전자통신기기 (100) 의 사용자가 “전송”을 선택하는 경우 전자통신기기 (100) 는 서비스제공 서버 (200) 로 하이퍼링크를 전송한다. 전자통신기기 (100) 의 사용자가 “거절”을 선택하는 경우 전자통신기기 (100) 는 서비스제공 서버 (200) 로 하이퍼링크를 전송하지 않을 수 있고, 전자통신기기 (100) 는 하이퍼링크가 연결하는 외부 기기의 실행 데이터를 직접 실해하거나, 대상 메시지의 하이퍼링크가 연결하는 외부 기기의 실행 데이터를 실행하지 않고 대상 메시지를 확인하는 과정을 종료할 수도 있다.
도 4b 는 대상 메시지의 하이퍼링크가 서비스제공 서버 (200) 로 송신되고 서비스제공 서버 (200) 에서 하이퍼링크가 연결하는 외부 기기의 실행 데이터가 실행된 결과물인 실행 출력을 전자통신기기 (100) 가 수신하여 실행하는 상황에서의 전자통신기기 (100) 의 UI를 도시한다.
도 4b를 참조하면, 대상 메시지의 하이퍼링크가 연결하는 외부 기기의 실행 데이터가 동영상 형식의 데이터이고 서비스제공 서버 (200) 가 하이퍼링크가 연결하는 외부 기기의 실행 데이터의 실행 출력을 전자통신기기 (100) 로 전송한 경우, 전자통신기기 (100) 에서 실행 출력인 동영상을 실행하지 위한 대기 상태가 전자통신기기 (100) 의 표시부 (130) 에 표시된다. 대기 상태에서 재생 버튼이 선택되면, 실행 출력인 동영상이 전자통신기기 (100) 에서 실행될 수 있다.
도 5 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안전 모듈과 안전 모듈의 처리부를 포함하는 서비스제공 서버의 블록도이다. 도 5 에 도시된 서비스제공 서버 (500)는 도 1 및 도 2 에 도시된 서비스제공 서버 (200) 와 비교하여 안전 모듈 (540) 및 안전 모듈 (540) 의 처리부 (545) 만이 추가되었을 뿐, 다른 구성요소들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중복 설명을 생략한다.
도 5를 참조하면, 서비스제공 서버 (500) 는 안전 모듈 (540) 을 포함한다. 안전 모듈 (540) 은 메시지 내 실행 데이터 또는 하이퍼링크가 연결하는 외부 기기의 실행 데이터를 실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안전 모듈 (540) 의 처리부 (545) 는 메시지 내 실행 데이터 또는 하이퍼링크가 연결하는 외부 기기의 실행 데이터를 실행할 수 있다. 다만, 안전 모듈 (540) 이 메시지 내 실행 데이터 또는 하이퍼링크가 연결하는 외부 기기의 실행 데이터를 실행하는 때에, 안전 모듈 (540) 과 서비스제공 서버 (500) 의 다른 모듈 사이의 데이터 송수신이 차단 또는 제한된다. 여기서 데이터 송수신이 차단된다는 것은, 데이터의 송수신이 완전하게 불가능한 상태를 의미하며, 데이터 송수신이 제한된다는 것은 메시지 내 실행 데이터 또는 하이퍼링크가 연결하는 외부 기기의 실행 데이터를 실행하여 실행 출력을 생성하는 과정에서 발생한 데이터의 송수신이 특정 조건에서만 가능한 상태를 의미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제공 서버 (500) 에서는 메시지 내 실행 데이터 또는 하이퍼링크가 연결하는 외부 기기의 실행 데이터를 격리하여 실행하기 위한 별도의 안전 모듈 (540) 이 사용된다. 구체적으로, 메시지 내 실행 데이터 또는 하이퍼링크가 연결하는 외부 기기의 실행 데이터는 서비스제공 서버 (500) 의 처리부 (210), 통신부 (220) 및 저장부 (230) 와의 데이터의 송수신이 차단 또는 제한된 안전 모듈 (540) 의 처리부 (545) 에서 실행된다. 따라서, 메시지 내 실행 데이터 또는 하이퍼링크가 연결하는 외부 기기의 실행 데이터에 악성코드가 존재하는 경우, 서비스제공 서버 (500) 가 메시지 내 실행 데이터 또는 하이퍼링크가 연결하는 외부 기기의 실행 데이터를 실행하더라도, 서비스제공 서버 (500) 에 악성코드가 영향을 주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6 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환경 모듈과 사용자 환경 모듈의 처리부를 포함하는 서비스제공 서버의 블록도이다. 도 6 에 도시된 서비스제공 서버 (600) 는 도 1 및 도 2 에 서비스제공 서버 (200) 와 비교하여 사용자 환경 모듈 (650) 및 사용자 환경 모듈의 처리부 (655) 만이 추가되었을 뿐, 다른 구성요소들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중복 설명을 생략한다.
도 6을 참조하면, 서비스제공 서버 (600) 는 사용자 환경 모듈 (650) 을 포함한다. 사용자 환경 모듈 (650) 은 메시지 내 실행 데이터 또는 하이퍼링크가 연결하는 외부 기기의 실행 데이터를 실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 환경 모듈 (650) 의 처리부 (655) 는 메시지 내 실행 데이터 또는 하이퍼링크가 연결하는 외부 기기의 실행 데이터를 실행할 수 있다. 다만, 사용자 환경 모듈 (650) 은 서비스제공 서버 (600) 의 처리부 (210) 와 다른 별도의 OS와 별도의 하드웨어를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환경 모듈 (650) 은 전자통신기기 (100) 의 처리부 (110) 와 동일 또는 유사한 환경 즉, 동일 또는 유사한 OS 및 동일 또는 유사한 하드웨어에 의해 구동되는 것과 같은 모듈일 수 있다. 사용자 환경 모듈 (650) 의 처리부 (655) 는 메시지 내 실행 데이터 또는 하이퍼링크가 연결하는 외부 기기의 실행 데이터를 실행하여 실행 출력을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동일한 환경이란 완전하게 일치한 것뿐만 아니라 실질적으로 동일한 환경을 포함하며, 유사한 환경이란 동일한 환경에 가까운 환경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제공 서버 (600) 에서는 메시지 내 실행 데이터 또는 하이퍼링크가 연결하는 외부 기기의 실행 데이터를 실행하기 위한 별도의 사용자 환경 모듈 (650) 이 사용된다. 구체적으로, 메시지 내 실행 데이터 또는 하이퍼링크가 연결하는 외부 기기의 실행 데이터는 사용자의 전자통신기기 (100) 의 처리부 (110) 에 근거한 환경을 제공하는 사용자 환경 모듈 (650) 의 처리부 (655) 에서 실행된다. 따라서, 실제로 메시지 내 실행 데이터 또는 하이퍼링크가 연결하는 외부 기기의 실행 데이터가 실행되어야 하는 전자통신기기 (100) 의 처리부 (110) 의 OS 및 하드웨어와 동일 또는 유사한 OS 및 하드웨어를 제공하는 사용자 환경 모듈 (650) 의 처리부 (655) 에서 메시지 내 실행 데이터 또는 하이퍼링크가 연결하는 외부 기기의 실행 데이터가 실행되고, 실행 출력이 생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서비스제공 서버 (600) 와 전자통신기기 (100) 가 서로 상이한 OS 또는 하드웨어로 구성됨에 따라 발생될 수 있는 문제를 해결함과 동시에 전자통신기기 (100) 를 악성코드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도 7 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폐쇄 모듈과 폐쇄 모듈의 처리부를 포함하는 전자통신기기의 블록도이다. 도 7 에 도시된 전자통신기기 (700) 는 도 1 및 도 2 에 전자통신기기 (100) 와 비교하여 폐쇄 모듈 (740) 및 폐쇄 모듈 (740) 의 처리부 (750) 만이 추가되었을 뿐, 다른 구성요소들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중복 설명을 생략한다.
도 7를 참조하면, 전자통신기기 (700) 는 폐쇄 모듈 (740) 을 포함한다. 폐쇄 모듈 (740) 은 메시지 내 실행 데이터 또는 하이퍼링크가 연결하는 외부 기기의 실행 데이터를 실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폐쇄 모듈 (740) 의 처리부 (750) 는 메시지 내 실행 데이터 또는 하이퍼링크가 연결하는 외부 기기의 실행 데이터를 실행할 수 있다. 다만, 폐쇄 모듈 (740) 이 메시지 내 실행 데이터 또는 하이퍼링크가 연결하는 외부 기기의 실행 데이터를 실행하는 때에, 폐쇄 모듈 (740) 과 전자통신기기 (100) 의 다른 모듈 사이의 데이터 송수신이 차단 또는 제한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자통신기기 (700) 에서는 메시지 내 실행 데이터또는 하이퍼링크가 연결하는 외부 기기의 실행 데이터를 격리하여 실행하기 위한 별도의 폐쇄 모듈 (740) 이 사용된다. 구체적으로, 메시지 내 실행 데이터 또는 하이퍼링크가 연결하는 외부 기기의 실행 데이터는 전자통신기기 (700) 의 처리부 (110) 및 통신부 (120) 및 표시부 (130) 와의 데이터의 송수신이 차단 또는 제한된 폐쇄 모듈 (740) 의 처리부 (750) 에서 실행된다. 따라서, 메시지 내 실행 데이터 또는 하이퍼링크가 연결하는 외부 기기의 실행 데이터에 악성코드가 존재하는 경우, 전자통신기기 (700) 가 메시지 내 실행 데이터 또는 하이퍼링크가 연결하는 외부 기기의 실행 데이터를 실행하더라도, 전자통신기기 (700) 에 악성코드가 영향을 주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별도의 장치를 이용하지 않고 전자통신기기 (700) 가 자체적으로 메시지 내 실행 데이터 또는 하이퍼링크가 연결하는 외부 기기의 실행 데이터를 실행하기 때문에 별도의 장치와 데이터 송수신이 어려운 경우에도 안전하게 메시지 내 실행 데이터 또는 하이퍼링크가 연결하는 외부 기기의 실행 데이터를 실행할 수 있다.
도 8 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처리부를 포함하는 보호 모듈의 블록도이다. 도 8 을 참조하면 보호 모듈 (800) 은 보호 모듈 (800) 의 내부의 처리부 (810), 통신부 (820), 저장부 (830) 를 포함한다. 보호 모듈 (800) 은 도 1 및 도 2 에 서비스제공 서버 (200) 와 비교하여 보호 모듈 (800) 의 처리부 (810) 는 서비스제공 서버 (200) 의 처리부 (210) 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고, 보호 모듈 (800) 의 통신부 (820) 는 서비스제공 서버 (200) 의 통신부 (220) 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고, 보호 모듈 (800) 의 저장부 (830) 는 서비스제공 서버 (200) 의 저장부 (230) 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보호 모듈 (800) 은 서비스제공 서버 (200) 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한다. 서비스제공 서버 (200) 와 보호 모듈 (800) 의 차이점은 서비스제공 서버 (200) 는 서버의 역할을 하는 전자 장치 전체를 말하는 것에 비하여, 보호 모듈 (800) 은 특정 전자 장치의 일부로서 별도의 처리부 (810), 통신부 (820), 저장부 (830) 를 갖는 모듈을 의미한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로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전자통신기기 110 : 처리부
120, 220 : 통신부 130 : 표시부
200 : 서비스제공 서버 210 : 처리부
230 : 저장부 540 : 안전 모듈
545 : 안전 모듈 처리부 650 : 사용자 환경 모듈
655 : 사용자 환경 모듈 처리부
740 : 폐쇄 모듈

Claims (39)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전자통신기기에서 실행 가능한 메시지 내 실행 데이터 또는 외부 기기의 실행 데이터에 연결되는 하이퍼링크를 포함하는 대상 메시지를 수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메시지 내 실행 데이터 또는 상기 외부 기기의 실행 데이터에 연결되는 하이퍼링크 중 적어도 하나를 보호 전자기기로 송신하도록 처리하는 처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처리부는, 상기 보호 전자기기에서 상기 메시지 내 실행 데이터 또는 상기 하이퍼링크가 연결하는 외부 기기의 실행 데이터를 상기 전자통신기기 대신 실행한 결과인 실행 출력을 수신하도록 처리하고,
    상기 대상 메시지가 상기 메시지 내 실행 데이터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메시지 내 실행 데이터를 실행한 결과인 상기 실행 출력은, 상기 메시지 내 실행 데이터가 실행된 결과와 적어도 일부가 동일한 내용이고,
    상기 대상 메시지가 상기 하이퍼링크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하이퍼링크가 연결하는 외부 기기의 실행 데이터를 실행한 결과인 상기 실행 출력은, 상기 하이퍼링크가 연결하는 외부 기기의 실행 데이터가 실행된 결과와 적어도 일부가 동일한 내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통신기기.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21. 삭제
  22. 삭제
  23. 삭제
  24. 삭제
  25. 삭제
  26. 삭제
  27. 삭제
  28. 통신 기능을 갖는 전자통신기기에서 대상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전자통신기기에서 실행되지 않고 상기 대상 메시지에 포함되는 상기 전자통신기기에서 실행 가능한 메시지 내 실행 데이터, 또는 외부 기기의 실행 데이터에 연결되는 하이퍼링크 중 적어도 하나를 보호 전자기기로 송신하는 단계; 및
    상기 보호 전자기기에서 상기 메시지 내 실행 데이터 또는 상기 하이퍼링크가 연결하는 외부 기기의 실행 데이터를 상기 전자통신기기 대신 실행한 결과인 실행 출력을 상기 보호 전자기기로부터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대상 메시지가 상기 메시지 내 실행 데이터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메시지 내 실행 데이터를 실행한 결과인 상기 실행 출력은, 상기 메시지 내 실행 데이터가 실행된 결과와 적어도 일부가 동일한 내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통신기기를 보호하는 방법.
  29. 삭제
  30. 삭제
  31. 통신 기능을 갖는 전자통신기기에서 대상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전자통신기기에서 실행되지 않고 상기 대상 메시지에 포함되는 상기 전자통신기기에서 실행 가능한 메시지 내 실행 데이터, 또는 외부 기기의 실행 데이터에 연결되는 하이퍼링크 중 적어도 하나를 보호 전자기기로 송신하는 단계; 및
    상기 보호 전자기기에서 상기 메시지 내 실행 데이터 또는 상기 하이퍼링크가 연결하는 외부 기기의 실행 데이터를 상기 전자통신기기 대신 실행한 결과인 실행 출력을 상기 보호 전자기기로부터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대상 메시지가 상기 하이퍼링크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하이퍼링크가 연결하는 외부 기기의 실행 데이터를 실행한 결과인 상기 실행 출력은, 상기 하이퍼링크가 연결하는 외부 기기의 실행 데이터가 실행된 결과와 적어도 일부가 동일한 내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통신기기를 보호하는 방법.
  32. 제 28 항 또는 제 31 항에 있어서,
    상기 실행 출력은 문자, 숫자, 도형, 이미지, 동영상, 소리, 진동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통신기기를 보호하는 방법.
  33. 제 28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통신기기에서의 상기 메시지 내 실행 데이터, 또는 상기 외부 기기의 실행 데이터에 연결되는 하이퍼링크를 상기 보호 전자기기로 송신 여부를 입력 받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통신기기를 보호하는 방법.
  34. 삭제
  35. 삭제
  36. 삭제
  37. 삭제
  38. 삭제
  39. 삭제
KR1020170100387A 2017-08-08 2017-08-08 전자통신기기를 보호하는 보호 시스템, 장치, 및 그 방법 KR1020865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0387A KR102086590B1 (ko) 2017-08-08 2017-08-08 전자통신기기를 보호하는 보호 시스템, 장치,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0387A KR102086590B1 (ko) 2017-08-08 2017-08-08 전자통신기기를 보호하는 보호 시스템, 장치, 및 그 방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27297A Division KR20160055049A (ko) 2015-09-08 2015-09-08 전자통신기기를 보호하는 보호 시스템, 장치,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94533A KR20170094533A (ko) 2017-08-18
KR102086590B1 true KR102086590B1 (ko) 2020-03-09

Family

ID=597532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00387A KR102086590B1 (ko) 2017-08-08 2017-08-08 전자통신기기를 보호하는 보호 시스템, 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86590B1 (ko)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66037B1 (ko) 2011-06-08 2013-05-21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휴대단말에서 악성행위 처리 방법 및 장치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ASECBLOG (2013.10.30.)*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94533A (ko) 2017-08-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232206B2 (en) Automated malware remediation and file restoration management
KR20140074252A (ko) 디바이스 상의 보안되지 않은 앱들의 보안 실행
KR20140016897A (ko) 디바이스 상의 앱들의 보안화 및 관리
US11204994B2 (en) Injection attack identification and mitigation
CN109891415B (zh) 针对未经授权的客户端应用程序保护Web服务器
US20190325134A1 (en) Neural network detection of malicious activity
KR20130066901A (ko) 데이터 분석 시스템에서 맬웨어를 분석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EP3834113B1 (en) Detecting security risks in binary software code
US11228910B2 (en) Mobile communication device and method of determining security status thereof
US10868814B2 (en) System and method for flow-based architecture
KR102086590B1 (ko) 전자통신기기를 보호하는 보호 시스템, 장치, 및 그 방법
KR102368208B1 (ko) 보안 기능을 지원하는 파일 시스템 및 공통적 파일 액세스 인터페이스에 기초한 파일 유출 방지
KR101591503B1 (ko) 자기 방어 보안 모듈을 포함하는 패키지 애플리케이션의 동작 방법, 및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CN110618967B (zh) 应用程序运行方法、安装包生成方法、装置、设备及介质
US20170237750A1 (en) Protective system, apparatus, and method for protecting electronic communication device
KR20170059584A (ko) 전자통신기기를 보호하는 보호 시스템, 장치, 및 그 방법
KR20170033213A (ko) 전자통신기기를 보호하는 보호 시스템, 장치, 및 그 방법
KR20170033217A (ko) 전자통신기기를 보호하는 보호 시스템, 장치, 및 그 방법
US10691447B2 (en) Writing system software on an electronic device
KR20160055049A (ko) 전자통신기기를 보호하는 보호 시스템, 장치, 및 그 방법
CN110750448A (zh) 基于符号执行的测试用例生成方法及装置
Anwar et al. Guess who is listening in to the board meeting: on the use of mobile device applications as roving spy bugs
US20220309151A1 (en) Method for providing remote service capable of multilingual input and server performing the same
US12008105B2 (en) Protected QR code scanner using operational system override
CN109271758B (zh) 防止So文件被盗用的方法、设备、装置及服务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