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86464B1 - Communication system, communication apparatus and handover method between heterogeneous networks thereof - Google Patents

Communication system, communication apparatus and handover method between heterogeneous networks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86464B1
KR102086464B1 KR1020130027419A KR20130027419A KR102086464B1 KR 102086464 B1 KR102086464 B1 KR 102086464B1 KR 1020130027419 A KR1020130027419 A KR 1020130027419A KR 20130027419 A KR20130027419 A KR 20130027419A KR 102086464 B1 KR102086464 B1 KR 1020864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relay server
communication
communication network
counterpa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2741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40112834A (en
Inventor
윤희태
백수진
문윤경
이해리
Original Assignee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274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86464B1/en
Publication of KR201401128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1283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64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646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14Reselecting a network or an air interfa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16Performing reselection for specific purposes
    • H04W36/18Performing reselection for specific purposes for allowing seamless reselection, e.g. soft resel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6Terminal devices adapted for operation in multiple networks or having at least two operational modes, e.g. multi-mode termin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통신 단말 및 상기 단말에서의 이종 네트워크간 핸드오버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종 네트워크간 핸드오버 방법은, 제1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생성된 접속 채널을 이용하여 상대방 단말과 통신을 수행하는 단말이 제2 통신 네트워크로 핸드오버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상기 단말에서 상기 상대방 단말과의 통신을 상기 릴레이 서버로 우회하는 단계, 상기 단말에서 상기 제2 통신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상기 접속 채널을 갱신하는 단계, 및 상기 단말에서 갱신된 상기 접속 채널을 이용하여 상기 상대방 단말과 통신을 재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Disclosed are a handover method between a communication terminal and a heterogeneous network at the terminal. The heterogeneous inter-network handover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method for handover to a second communication network by a terminal communicating with a counterpart terminal using an access channel generated through a first communication network. Bypassing, by the terminal, communication with the counterpart terminal to the relay server, updating, by the terminal, the access channel using the second communication network, and using the access channel updated by the terminal. Resuming communication with the counterpart terminal.

Description

통신 시스템, 통신 단말 및 상기 단말에서의 이종 네트워크간 핸드오버 방법{COMMUNICATION SYSTEM, COMMUNICATION APPARATUS AND HANDOVER METHOD BETWEEN HETEROGENEOUS NETWORKS THEREOF}A communication system, a communication terminal, and a handover method between heterogeneous networks in the terminal {COMMUNICATION SYSTEM, COMMUNICATION APPARATUS AND HANDOVER METHOD BETWEEN HETEROGENEOUS NETWORKS THEREOF}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복수 개의 서로 다른 네트워크에서 통신이 가능한 단말에서의 이종 네트워크간 핸드오버 기술과 관련된다.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 to a heterogeneous inter-network handover technique in a terminal capable of communicating in a plurality of different networks.

전세계적으로 무선 네트워크를 이용하는 스마트폰이 증가하면서 3G, LTE 네트워크 또는 무선랜(WiFi) 등을 이용한 인스턴트 메시징(Instant Messaging) 또는 VoIP(Voice over IP) 등의 피어-투-피어(Peer-To-Peer) 기반 서비스들이 확대되고 잇다. 또한, 최근의 스마트폰 등의 모바일 디바이스의 경우 3G, LTE, 와이브로망, 무선인터넷 네트워크 등 서로 다른 종류의 복수 개의 네트워크를 이용한 통신 기능을 제공하는 것이 일반적이다.As smartphones use wireless networks around the world, peer-to-peer such as Instant Messaging or Voice over IP (VoIP) using 3G, LTE networks, or WiFi (WiFi), etc. Peer-based services are expanding. In recent years, mobile devices such as smartphones generally provide communication functions using a plurality of different types of networks such as 3G, LTE, WiBro, and wireless Internet networks.

이와 같은 무선 네트워크 환경에서, 단말이 인스턴트 메시징 또는 VoIP 등의 피어-투-피어 기반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단말이 현재 접속 가능한 네트워크 중 자동으로, 또는 사용자의 선택에 의하여 접속된 특정 네트워크를 통하여 상대방 단말에 접속하게 된다. 그런데, 만약 상기 상대방 단말과의 피어-투-피어 통신 도중 현재 접속 중인 네트워크에 접속 단절 등의 문제가 발생할 경우에는 상기 상대방 단말과의 접속 또한 비정상적으로 종료되어 버리게 된다.In such a wireless network environment, in order for a terminal to use a peer-to-peer based service such as instant messaging or VoIP, the other party is automatically connected to a network to which the terminal is currently connected or through a specific network connected by a user's selection. It is connected to the terminal. However, if a problem such as disconnection occurs in the currently connected network during peer-to-peer communication with the counterpart terminal, the access with the counterpart terminal is also abnormally terminated.

물론, 최근의 모바일 디바이스의 경우 현재 접속 중인 네트워크에 문제가 발생할 경우, 가용한 다른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접속을 수행하는 기능(핸드오버 기능)을 제공하고 있다. 그러나, 모바일 디바이스와 관련된 기존의 핸드오버 기술들의 경우 대부분 동일 망 내에서의 핸드오버를 전제로 하고 있다. 즉, 종래의 핸드오버 방법들은 모바일 디바이스가 접속하는 액세스 포인트 또는 기지국만이 달라질 뿐 핸드오버 전후의 해당 모바일 디바이스의 네트워크 내 접속 주소는 동일하게 된다.Of course, recent mobile devices provide a function (handover function) for performing a connection using another available network when a problem occurs in a network currently being accessed. However, existing handover technologies related to mobile devices are premised on handover in the same network. That is, in the conventional handover methods, only the access point or base station to which the mobile device connects is different, and the access address in the network of the mobile device before and after the handover is the same.

그러나 이종 망 사이의 핸드오버의 경우에는 핸드오버 이전에 접속된 네트워크에서의 단말 주소(IP 주소 등)와 핸드오버 이후 새로 접속된 네트워크에서의 단말 주소가 서로 상이하므로, 단순히 접속된 네트워크만을 변경하는 것 뿐만 아니라, 새로 접속된 네트워크에서 새로 할당된 단말의 네트워크상 주소를 이용하여 이전에 형성되었던 피어-투-피어 접속 채널을 처음부터 별도로 구성하여야 한다. 그러나 종래의 핸드오버 기술들은 이와 같은 접속 채널 재구성 과정에서 수 초 내지 수십 초의 시간이 추가적으로 소요되므로, 특히 VoIP 등의 실시간 피어-투-피어 서비스의 경우, 현재 접속중인 네트워크에 문제 발생 시 사용자의 의사와 관계 없이 해당 서비스가 종료되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However, in the case of handover between heterogeneous networks, since the terminal address (IP address, etc.) in the network connected before the handover and the terminal address in the newly connected network after the handover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simply change only the connected network. In addition, the peer-to-peer access channel previously formed using the newly assigned terminal's network address in the newly connected network must be separately configured from the beginning. However, the conventional handover techniques require additional time from several seconds to several tens of seconds in the access channel reconfiguration process. Therefore, in case of a real-time peer-to-peer service such as VoIP, a user's intention when a problem occurs in the currently connected network There was a problem that the service is terminated irrespective of this.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복수 개의 네트워크에 접속 가능한 단말에서 이종 네트워크간 심리스(seamless)한 핸드오버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eamless handover between heterogeneous networks in a terminal that can be connected to a plurality of networks.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종 네트워크간 핸드오버 방법은, 제1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생성된 접속 채널을 이용하여 상대방 단말과 통신을 수행하는 단말이 제2 통신 네트워크로 핸드오버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상기 단말에서 상기 상대방 단말과의 통신을 상기 릴레이 서버로 우회하는 단계, 상기 단말에서 상기 제2 통신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상기 접속 채널을 갱신하는 단계, 및 상기 단말에서 갱신된 상기 접속 채널을 이용하여 상기 상대방 단말과 통신을 재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In a heterogeneous network handover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a terminal communicating with a counterpart terminal using an access channel generated through a first communication network is handed to a second communication network. A method for overwriting, the method comprising: bypassing, by the terminal, communication with the counterpart terminal to the relay server, updating, by the terminal, the access channel using the second communication network, and the updated terminal by the terminal. Resuming communication with the counterpart terminal using an access channel.

한편,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 단말은, 제1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생성된 접속 채널을 이용하여 상대방 단말과 통신을 수행하는 제1 통신 모듈, 상기 제1 통신 네트워크를 통한 상기 상대방 단말과의 통신을 상기 릴레이 서버로 우회하며, 상기 제2 통신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상기 접속 채널을 갱신하는 핸드오버 모듈, 및 갱신된 상기 접속 채널을 이용하여 상기 상대방 단말과 통신을 재개하는 제2 통신 모듈을 포함한다.On the other hand, th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the first communication module to communicate with the other terminal using the access channel generated through the first communication network, the first communication network A handover module for bypassing communication with the counterpart terminal through the relay server, updating the access channel using the second communication network, and resuming communication with the counterpart terminal using the updated access channel. It includes a second communication module.

한편,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통신 단말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메모리, 제1 통신 네트워크 및 제2 통신 네트워크를 포함하는 복수 개의 네트워크를 통한 통신이 가능한 통신 모듈, 및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단말로서,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은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고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프로그램은, 상기 통신 모듈에서, 상기 제1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생성된 접속 채널을 이용하여 상대방 단말과 통신을 수행하는 도중 상기 제2 통신 네트워크로 핸드오버하기 위하여, 상기 상대방 단말과의 통신을 상기 릴레이 서버로 우회하는 과정, 상기 제2 통신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상기 접속 채널을 갱신하는 과정, 및 갱신된 상기 접속 채널을 이용하여 상기 상대방 단말과 통신을 재개하는 과정을 수행하기 위한 명령어들을 포함한다.On the other hand, a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a communication module capable of communication through a plurality of networks including at least one processor, a memory, a first communication network and a second communication network, and A terminal comprising one or more programs, wherein the one or more programs are stored in the memory and configured to be executed by the one or more processors, wherein the program comprises, in the communication module, an access channel created via the first communication network. Bypassing communication with the counterpart terminal to the relay server in order to hand over to the second communication network while performing communication with the counterpart terminal using the second communication network, updating the access channel using the second communication network. And the counterpart using the updated access channel. It includes instructions for performing the step of resuming the communication terminal.

한편,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은, 제1 단말로부터 단말 정보를 등록받고, 상기 제1 단말이 제1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제2 단말과 통신을 수행하는 도중 제2 통신 네트워크로 핸드오버를 수행하는 동안, 상기 제2 단말로부터 수신되는 메시지를 상기 제1 단말로 전달하는 제1 릴레이 서버, 및 상기 제1 단말이 핸드오버를 수행하는 동안, 상기 제1 단말로부터 수신되는 메시지를 상기 제2 단말로 전달하는 제2 릴레이 서버를 포함한다.
On the other hand, the communic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while receiving the terminal information from the first terminal, the first terminal during the communication with the second terminal through the first communication network A first relay server that delivers a message received from the second terminal to the first terminal during handover to a second communication network, and the first terminal while the first terminal performs handover It includes a second relay server for transmitting a message received from the second terminal.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를 경우, 단말이 현재 접속 중인 제1 통신 네트워크 이외에 별도의 제2 통신 네트워크로의 접속을 생성해 두었다가 제1 통신 네트워크에 이상이 발생할 경우 곧바로 상기 제2 통신 네트워크로의 핸드오버를 수행함으로써, 단말 사용자가 현재 접속 중인 네트워크의 단절에도 불구하고 끊김 없이(seamless) 피어-투-피어 기반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erminal creates a connection to a second communication network in addition to the first communication network to which the terminal is currently connected, and immediately goes to the second communication network when an error occurs in the first communication network. By performing the handover,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terminal user can be provided with a seamless peer-to-peer based service despite the disconnection of the currently connected network.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를 경우 단말의 이종망간 핸드오버 이후 상대방 단말과의 접속 채널을 갱신하는 과정에서 상대방 단말과의 통신을 릴레이 서버로 우회함으로써 접속 채널 갱신 과정에서도 상대방 단말과의 통신을 계속 유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핸드오버 수행중에도 이를 인식하지 않고 지속적으로 피어-투-피어 기반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게 된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fter the handover between the heterogeneous networks of the terminal, the communication channel with the counterpart terminal is updated in the access channel update process by bypassing the communication with the counterpart terminal to the relay server in the process of updating the access channel with the counterpart terminal. You can keep it. Accordingly, the user can continuously receive the peer-to-peer based service even without performing the handover.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반 통신 시스템(100)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종망 간 핸드오버 방법(200)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릴레이 서버로의 단말 정보 등록 절차(204)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 단말의 상세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base communication system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for handover between heterogeneous networks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view for explaining a terminal information registration procedure 204 to a relay ser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detailed configuration of a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며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Hereinafter, specific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However, this is only an example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known technology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In addition, terms to be described below are terms defined in consideration of functions in the present invention, which may vary according to intention or custom of a user or an operator. Therefore, the definition should be made based on the cont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며, 이하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일 수단일 뿐이다.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termined by the claims, and the following embodiments are merely means for efficiently explaining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100)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100)은 제1 단말(102), 제2 단말(104), 제1 릴레이 서버(106), 제2 릴레이 서버(108) 및 제3 릴레이 서버(110)를 포함한다.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ommunication system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the communication system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terminal 102, a second terminal 104, a first relay server 106, a second relay server 108 and a first terminal. Three relay server 110 is included.

제1 단말(102) 및 제2 단말(104)은 네트워크상에서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단말이다. 제1 단말(102) 및 제2 단말(104)은 예를 들어, 휴대폰, 스마트폰, 또는 태블릿 등의 휴대 디바이스, 또는 데스크탑 컴퓨터, 랩탑 컴퓨터 등의 개인용 컴퓨터일 수 있다. 즉, 제1 단말(102) 및 제2 단말(104)은 네트워크망을 통한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한 컴퓨터 장치를 포괄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The first terminal 102 and the second terminal 104 are terminals for performing communication on the network. The first terminal 102 and the second terminal 104 may be, for example, a portable device such as a mobile phone, a smartphone, or a tablet, or a personal computer such as a desktop computer or a laptop computer. That is, the first terminal 102 and the second terminal 104 may comprehensively include a computer device capable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through a network.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1 단말(102)은 적어도 2개 이상의 서로 다른(heterogenous) 통신 네트워크를 통한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통신 네트워크는, 예를 들어 무선 인터넷망, 3G망, 와이브로망, LTE망, GSM 망 등 무선 데이터통신이 가능한 통신망이라면 제한 없이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단말(102)은 와이파이망 및 LTE망에 각각 접속하여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단말일 수 있다. 또한, 제2 단말(104)은 제1 단말(102)과 같이 복수의 서로 다른 네트워크에 접속 가능한 단말일 수도 있고, 하나의 네트워크에만 접속 가능한 단말일 수도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terminal 102 is configured to enable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through at least two different (heterogenous) communication networks. The communication network may be included without limitation, for example, a communication network capable of wireless data communication such as a wireless Internet network, a 3G network, a WiBro network, an LTE network, and a GSM network. For example, the first terminal 102 may be a terminal capable of performing data communication by connecting to a Wi-Fi network and an LTE network, respectively. In addition, the second terminal 104 may be a terminal that can be connected to a plurality of different networks like the first terminal 102, or may be a terminal that can be connected to only one network.

제1 릴레이 서버(106) 및 제2 릴레이 서버(108)는 제1 단말(102)이 자신의 단말 정보를 등록하기 위한 서버이다. 일 실시예에서, 제1 단말(102)은 자신이 접속 가능한 네트워크 별로 서로 다른 릴레이 서버에 단말 정보를 등록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제1 단말(102)은 자신이 접속 가능한 통신 네트워크 중 제1 통신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제1 릴레이 서버(106)에 단말 정보를 등록하고, 제2 통신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제2 릴레이 서버(108)에 단말 정보를 등록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제1 릴레이 서버(106) 및 제2 릴레이 서버(108)는 각각 별개의 네트워크 주소를 가지도록 구성된다.The first relay server 106 and the second relay server 108 are servers for the first terminal 102 to register its own terminal information. In one embodiment, the first terminal 102 may be configured to register the terminal information to different relay server for each network to which it is accessible. That is, the first terminal 102 registers the terminal information to the first relay server 106 using the first communication network among the communication networks to which the first terminal 102 can connect, and the second relay server 108 using the second communication network. In this case, the first relay server 106 and the second relay server 108 are configured to have separate network addresses.

또한, 실시예에 따라 제1 단말(102)은 서로 다른 통신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동일한 릴레이 서버(106)에 자신의 접속 정보를 등록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제1 단말(102)은 자신이 접속 가능한 통신 네트워크 중 제1 통신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제1 릴레이 서버(106)에 단말 정보를 등록한 이후, 제2 통신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제1 릴레이 서버(106)에 단말 정보를 재차 등록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제2 릴레이 서버(108)는 생략될 수 있다. 다만, 이와 같이 제1 단말(102)이 동일한 릴레이 서버에 접속 정보를 등록할 경우, 제2 단말(104)은 릴레이 서버로 메시지 전송 시 릴레이 서버가 해당 메시지를 어떠한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제1 단말(102)로 전달할 것인지에 대한 정보를 메시지에 포함시켜야 할 필요가 있다. 그렇지 않으면, 예를 들어 릴레이 서버가 제2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제1 단말(102)로 전송하여야 할 메시지를 제1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전송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first terminal 102 may be configured to register its connection information with the same relay server 106 using different communication networks. In this case, the first terminal 102 registers the terminal information to the first relay server 106 using the first communication network among the communication networks to which the first terminal 102 can connect, and then uses the first relay server ( Terminal information can be registered again in 106). In this case, the second relay server 108 may be omitted. However, when the first terminal 102 registers the access information in the same relay server, the second terminal 104 transmits the message to the relay server when the message is transmitted to the relay server through a communication network. It is necessary to include information in the message as to whether or not to forward it to 102). Otherwise, for example, a problem may occur such that the relay server transmits a message to be transmitted to the first terminal 102 through the second communication network through the first communication network.

제3 릴레이 서버(110)는 제2 단말(104)이 자신의 단말 정보를 등록하기 위한 서버이다. 즉, 제2 단말(104)은 자신이 접속 가능한 통신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제3 릴레이 서버(110)에 자신의 단말 정보를 등록할 수 있다. 만약 제2 단말(104) 또한 제1 단말(102)과 마찬가지로 복수 개의 서로 다른 통신 네트워크에 접속 가능한 단말일 경우, 해당 통신 네트워크를 통한 단말 정보 등록을 위하여 제3 릴레이 서버(110) 이외에 추가적인 릴레이 서버가 더 구비될 수 있다.The third relay server 110 is a server for the second terminal 104 to register its own terminal information. That is, the second terminal 104 may register its own terminal information to the third relay server 110 using a communication network to which it can connect. If the second terminal 104 is also a terminal capable of accessing a plurality of different communication networks like the first terminal 102, an additional relay server other than the third relay server 110 for registering terminal information through the corresponding communication network. May be further provided.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단말간의 통신이란 단말간의 직접 연결을 통한 데이터 송수신 뿐만 아니라 릴레이 서버를 경유한 데이터 송수신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제1 단말(102)은 제2 단말(104)로 직접 메시지를 송신할 수도 있으나, 만약 제2 단말(104)로의 직접 메시지 송신이 불가능한 경우 제2 단말(104)과 연결된 제3 릴레이 서버(110)를 경유하여 메시지를 송신할 수도 있다. 마찬가지로, 제2 단말(102)은 제1 단말(102)로 직접 메시지를 송신할 수도 있고, 제1 단말(102)과 연결된 제1 릴레이 서버(106) 또는 제2 릴레이 서버(108)를 경유하여 메시지를 전송할 수도 있다.
Meanwhile,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munication between terminals includes not only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through a direct connection between terminals, but also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via a relay server. For example, the first terminal 102 may transmit a message directly to the second terminal 104, but if the direct message transmission to the second terminal 104 is not possible, the third terminal connected to the second terminal 104 may be used. The message may be transmitted via the relay server 110. Similarly, the second terminal 102 can also send a message directly to the first terminal 102, via the first relay server 106 or the second relay server 108 connected with the first terminal 102. You can also send a message.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단말(102)에서의 이종망 간 핸드오버 방법(200)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제1 단말(102)이 제1 통신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제2 단말(104)과 통신을 수행하던 중, 제1 통신 네트워크에 이상을 감지하여 제1 통신 네트워크와 구별되는 제2 통신 네트워크로의 핸드오버를 수행하는 것으로 가정한다. 이때 네트워크의 이상이란 네트워크 품질의 이상, 네트워크 단절 등 해당 네트워크를 통해 정상적인 통신이 불가능한 모든 종류의 상황을 의미한다.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for handover between heterogeneous networks 200 in a first terminal 102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while the first terminal 102 communicates with the second terminal 104 using the first communication network, the first terminal 102 detects an abnormality in the first communication network and distinguishes it from the first communication network. 2 Assume that handover to a communication network is performed. In this case, the abnormality of the network refers to all kinds of situations in which normal communication is impossible through the corresponding network, such as an abnormality in network quality or network disconnection.

먼저, 제1 단말(102)은 제1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생성된 접속 채널을 이용하여 상대방 단말과 통신을 수행한다(202).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상대방 단말과의 통신은 상대방 단말과의 직접 연결을 통한 데이터 송수신 뿐만 아니라 릴레이 서버를 경유한 간접적인 메시지 송수신을 포함한다. First, the first terminal 102 communicates with a counterpart terminal using an access channel generated through the first communication network (202). As described above, the communication with the counterpart terminal includes not only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through a direct connection with the counterpart terminal, but also indirect message transmission and reception via a relay server.

한편, 이 과정에서 제1 단말(102)은 별도의 제2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제2 릴레이 서버(108)에 단말 정보를 등록할 수 있다(204). 즉, 제1 단말(102)은 제1 통신 네트워크를 통한 통신을 수행하면서, 그와 동시에 제2 통신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사전 등록 작업을 진행하게 된다.In this process, the first terminal 102 may register the terminal information with the second relay server 108 through a separate second communication network (204). That is, the first terminal 102 performs a pre-registration operation for performing communication using the second communication network while simultaneously performing communication through the first communication network.

도 3은 상기 204 단계에서 제1 단말(102)의 단말 정보 등록 과정을 좀 더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단말(102)은 필요한 경우 먼저 STUN 서버(300)에 Stun Test를 수행하여 STUN 서버(300)로부터 제2 통신 네트워크에서의 제1 단말(102)의 NAT 타입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후, 제1 단말(102)은 수신된 자신의 NAT 타입 정보 및 자신의 사설 주소(Private Address)를 포함하는 등록 요청 메시지를 제2 릴레이 서버(108)로 송신함으로써, 제2 릴레이 서버(108)에 단말 정보를 등록할 수 있다. 이때 STUN 서버(300)는 제2 릴레이 서버(108)와 동일한 물리적 서버 장치 내에 위치할 수도 있으며, 제2 릴레이 서버(108)와 별도의 장치로 네트워크상에 존재할 수도 있다.3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terminal information registration process of the first terminal 102 in step 204 in more detail. As illustrated, the first terminal 102 first performs a Stun Test on the STUN server 300 to receive NAT type information of the first terminal 102 in the second communication network from the STUN server 300. can do. Subsequently, the first terminal 102 transmits a registration request message including the received NAT type information and its private address to the second relay server 108 to thereby transmit the second relay server 108. Terminal information can be registered in. In this case, the STUN server 300 may be located in the same physical server device as the second relay server 108 or may exist on the network as a separate device from the second relay server 108.

또한, 실시예에 따라 통신 시스템(100)은 로케이션 서버(30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로케이션 서버(302)는 제1 단말(102)과 통신을 수행하고자 하는 타 단말이 제1 단말(102)의 정보를 요청할 경우 이를 제공하기 위한 서버이다. 이 경우, 제2 릴레이 서버(108)는 제1 단말(102)의 정보를 로케이션 서버(302)에 등록할 수 있다. 이 경우, 제2 릴레이 서버(108)가 로케이션 서버(302)로 전송하는 등록 메시지에는 제1 단말(102)의 사설 주소, 공인 주소(Public Address), 제2 릴레이 서버(108)의 네트워크 주소 및 제1 단말(102)의 NAT 타입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단말(102)의 공인 주소는 제1 단말(102)이 제2 릴레이 서버(108)로 전송하는 등록 메시지로부터 얻어질 수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communication system 100 may further include a location server 302. The location server 302 is a server for providing information when the other terminal that wants to communicate with the first terminal 102 requests the information of the first terminal 102. In this case, the second relay server 108 may register the information of the first terminal 102 with the location server 302. In this case, the registration message transmitted by the second relay server 108 to the location server 302 includes a private address of the first terminal 102, a public address, a network address of the second relay server 108, and a registration message. It may include NAT type information of the first terminal 102. In this case, the public address of the first terminal 102 may be obtained from a registration message transmitted by the first terminal 102 to the second relay server 108.

상기와 같은 과정을 거쳐 제1 단말(102)의 제2 릴레이 서버(108)로의 등록이 완료된 이후 현재 통신 중인 제1 통신 네트워크의 이상을 감지한 경우, 제1 단말(102)은 제2 단말(104)로 핸드오버 수행을 통지하고, 제2 단말(104)과의 통신을 릴레이 서버로 우회한다. 이를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After the registration of the first terminal 102 to the second relay server 108 is completed, the first terminal 102 detects an abnormality in the current communication network. Notify the handover performed by 104, and bypass the communication with the second terminal 104 to the relay server. This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as follows.

먼저 제1 단말(102)은 제2 단말(104)과 연결된 제3 릴레이 서버(110)를 경유하여, 제2 단말(104)로 핸드오버 수행 통지 메시지를 송신한다(206, 208). 이때 상기 핸드오버 수행 통지 메시지에는 현재 제1 단말(102) 및 제2 단말(104)간에 형성된 접속 채널을 식별하기 위한 채널 식별 코드 및 자신이 사용할 릴레이 서버(즉, 제2 릴레이 서버(108))의 네트워크 주소를 포함한다.First, the first terminal 102 transmits a handover performance notification message to the second terminal 104 via the third relay server 110 connected to the second terminal 104 (206 and 208). In this case, the handover performance notification message includes a channel identification code for identifying a connection channel currently formed between the first terminal 102 and the second terminal 104 and a relay server (that is, the second relay server 108) to be used by the handover. Contains the network address.

상기 핸드오버 수행 통지 메시지를 수신한 제2 단말(104)은 이에 대한 응답 메시지를 제2 릴레이 서버(108)를 경유하여 제1 단말(102)로 전송한다(210, 212). 이때 상기 응답 메시지는 상기 접속 채널의 채널 식별 코드 및 제2 단말(104)이 접속 중인 제3 릴레이 서버(110)의 네트워크 주소를 포함한다. 즉, 상기 과정을 통해 제1 단말(102) 및 제2 단말(104)은 서로간의 메시지 송수신을 우회하기 위한 각각의 릴레이 서버 정보를 서로 교환하게 된다.Upon receiving the handover performance notification message, the second terminal 104 transmits a response message to the first terminal 102 via the second relay server 108 (210, 212). In this case, the response message includes the channel identification code of the access channel and the network address of the third relay server 110 to which the second terminal 104 is connected. That is, through the above process, the first terminal 102 and the second terminal 104 exchange respective relay server information for bypassing message transmission and reception between each other.

이후, 제1 단말(102)의 핸드오버가 완료될 때까지, 제1 단말(102) 및 제2 단말(104) 간의 통신은 릴레이 서버로 우회하여 전송된다. 예를 들어, 제1 단말(102)로부터 제2 단말(104)로 송신되는 송신 메시지는 제2 단말(104)과 연결된 제3 릴레이 서버(110)를 경유하여 제2 단말(104)로 전송된다(214, 216). 마찬가지로, 제2 단말(104)로부터 제1 단말(102)로 수신되는 수신 메시지는 제1 단말(102)과 연결된 제2 릴레이 서버(108)를 경유하여 제1 단말(102)로 전송된다(218, 220).
Then, communication between the first terminal 102 and the second terminal 104 is bypassed and transmitted to the relay server until the handover of the first terminal 102 is completed. For example, the transmission message transmitted from the first terminal 102 to the second terminal 104 is transmitted to the second terminal 104 via the third relay server 110 connected to the second terminal 104. (214, 216). Similarly, the received message received from the second terminal 104 to the first terminal 102 is transmitted to the first terminal 102 via the second relay server 108 connected with the first terminal 102 (218). , 220).

다음으로, 제1 단말(102)은 제2 통신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제2 단말(104)간의 접속 채널을 갱신한다(222 내지 226). 먼저, 제1 단말(102)은 제2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제2 단말(102)로 접속 채널 갱신 요청(REINVITE)을 송신하며, 이때 송신측 홀이 생성된다(222). 상기 222 단계에서 송신되는 상기 접속 채널 갱신 요청은 제2 단말(102)의 NAT 타입에 따라 제2 단말(102)로 전송되지 않을 수도 있다.Next, the first terminal 102 updates the access channel between the second terminals 104 using the second communication network (222 to 226). First, the first terminal 102 transmits an access channel update request (REINVITE) to the second terminal 102 through the second communication network, where a transmitting side hall is generated (222). The access channel update request transmitted in step 222 may not be transmitted to the second terminal 102 according to the NAT type of the second terminal 102.

이후, 제1 단말(102)은 제2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제2 단말(104)이 접속 중인 제3 릴레이 서버(110)로 접속 채널 갱신 요청을 재송신하며(224), 이를 수신한 제3 릴레이 서버(110)는 상기 접속 채널 갱신 요청을 제2 단말(104)로 전송한다(226). 상기 접속 채널 갱신 요청을 수신한 제2 단말(104)은 제1 단말(102)로 상기 갱신 요청에 대한 응답(REINVITE_ACK)을 전송하며, 이 과정에서 수신측 홀이 생성됨으로써 접속 채널 갱신이 완료된다(228). 상기 응답 메시지는 기 생성된 송신측 홀을 통하여 제1 단말(102)로 전달된다.Thereafter, the first terminal 102 retransmits the access channel update request to the third relay server 110 to which the second terminal 104 is connected through the second communication network (224), and receives the third relay server. 110 transmits the access channel update request to the second terminal 104 (226). Upon receiving the access channel update request, the second terminal 104 transmits a response (REINVITE_ACK) to the first terminal 102 in response to the update request. In this process, a reception side hole is generated to complete the access channel update. (228). The response message is transmitted to the first terminal 102 through the previously generated transmitting side hall.

상기와 같은 과정을 거쳐 제1 단말(102) 및 제2 단말(104) 간의 접속 채널이 갱신되면, 제1 단말(102)은 갱신된 접속 채널을 이용하여 제2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제2 단말(104)과 통신을 재개하게 된다(230). 그러나 만약 본 단계에서 제1 단말(102) 또는 제2 단말(104)의 네트워크 환경에 따라 상기 접속 채널의 갱신에 실패할 경우에는 계속해서 제2 릴레이 서버(108) 또는 제3 릴레이 서버(110)를 이용한 통신을 수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When the access channel between the first terminal 102 and the second terminal 104 is updated through the above process, the first terminal 102 uses the updated access channel to establish a second terminal (eg. 104, communication is resumed (230). However, if the update of the access channel fails according to the network environment of the first terminal 102 or the second terminal 104 in this step, the second relay server 108 or the third relay server 110 continues. It is also possible to perform communication using.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 단말(400)의 상세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통신 단말(400)은 적어도 2개 이상의 통신 네트워크(이하에서 제1 통신 네트워크 및 제2 통신 네트워크로 지칭)를 통한 패킷 데이터 통신이 가능한 단말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통신 모듈(402), 핸드오버 모듈(404) 및 제2 통신 모듈(406)을 포함한다.4 is a diagram showing a detailed configuration of a communication terminal 4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mmunication terminal 400 is a terminal capable of packet data communication through at least two or more communication networks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first communication network and a second communication network). Communication module 402, handover module 404, and second communication module 406.

제1 통신 모듈(402)은 제1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상대방 단말(미도시)와 접속 채널을 형성하고, 생성된 상기 접속 채널을 이용하여 상대방 단말과 통신을 수행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상대방 단말과의 통신은 단말간의 직접적인 통신 뿐만 아니라 릴레이 서버를 경유한 통신을 모두 포함한다.The first communication module 402 forms an access channel with a counterpart terminal (not shown) through the first communication network, and communicates with the counterpart terminal using the generated access channel. As described above, the communication with the counterpart terminal includes not only direct communication between terminals, but also communication via a relay server.

핸드오버 모듈(404)은 제1 통신 모듈(402)을 통한 상기 상대방 단말과의 정상적인 데이터 통신이 불가능하다고 판단되는 경우, 상기 제1 통신 네트워크를 통한 상기 상대방 단말과의 통신을 상기 릴레이 서버로 우회하며, 상기 제2 통신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상기 접속 채널을 갱신함으로써 제1 통신 네트워크로부터 제2 통신 네트워크로의 핸드오버를 수행한다.When it is determined that normal data communication with the counterpart terminal through the first communication module 402 is impossible, the handover module 404 bypasses communication with the counterpart terminal through the first communication network to the relay server. And performing a handover from the first communication network to the second communication network by updating the access channel using the second communication network.

제2 통신 모듈(404)은 제2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상대방 단말과 통신이 가능한 모듈로서, 핸드오버 모듈(404)을 통하여 갱신된 상기 접속 채널을 이용하여 상기 상대방 단말과 통신을 재개한다.
The second communication module 404 is a module capable of communicating with the counterpart terminal through the second communication network, and resumes communication with the counterpart terminal using the access channel updated through the handover module 404.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 명세서에서 기술한 방법들을 컴퓨터상에서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로컬 데이터 파일, 로컬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는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DVD와 같은 광 기록 매체, 플로피 디스크와 같은 자기-광 매체, 및 롬, 램,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including a program for performing the methods described herein on a computer.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may include program instructions, local data files, local data structures, etc. alone or in combination. The media may be those specially designed and constructed for the purposes of the present invention, or they may be of the kind well-known and available to those skilled in the computer software arts. Examples of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a include magnetic media such as hard disks, floppy disks and magnetic tape, optical recording media such as CD-ROMs, DVDs, magnetic-optical media such as floppy disks, and ROM, RAM, flash memory, and the like. Hardware devices specifically configured to store and execute program instructions are included. Examples of program instructions may include high-level language code that can be executed by a computer using an interpreter, as well as machine code such as produced by a compiler.

이상에서 대표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한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exemplary embodiments above,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can make various modification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 will understand.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ut should be defined by the claims below and equivalents thereof.

100: 통신 시스템
102: 제1 단말
104: 제2 단말
106: 제1 릴레이 서버
108: 제2 릴레이 서버
110: 제3 릴레이 서버
300: STUN 서버
302: 로케이션 서버
100: communication system
102: first terminal
104: second terminal
106: the first relay server
108: second relay server
110: third relay server
300: STUN server
302: location server

Claims (10)

제1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생성된 접속 채널을 이용하여 상대방 단말과 통신을 수행하는 단말이 제2 통신 네트워크로 핸드오버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상기 단말에서, 상기 상대방 단말과의 통신을 릴레이 서버로 우회하는 단계;
상기 단말에서, 상기 제2 통신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상기 접속 채널을 갱신하는 단계; 및
상기 단말에서, 갱신된 상기 접속 채널을 이용하여 상기 상대방 단말과 통신을 재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상대방 단말과의 통신을 상기 릴레이 서버로 우회하는 단계는,
상기 상대방 단말로 핸드오버 수행 통지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 및
상기 상대방 단말로부터 상기 핸드오버 수행 통지 메시지에 대한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이종 네트워크간 핸드오버 방법.
A method for handover to a second communication network by a terminal communicating with a counterpart terminal using an access channel generated through a first communication network,
At the terminal, bypassing communication with the counterpart terminal to a relay server;
Updating, at the terminal, the access channel using the second communication network; And
At the terminal, resuming communication with the counterpart terminal using the updated access channel;
Bypassing the communication with the counterpart terminal to the relay server,
Transmitting a handover performance notification message to the counterpart terminal; And
And receiving a response message to the handover performance notification message from the counterpart terminal.
청구항 1에 있어서,
상대방 단말과의 통신을 상기 릴레이 서버로 우회하는 단계의 수행 전,
상기 단말에서, 상기 제2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릴레이 서버에 단말 정보를 등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이종 네트워크간 핸드오버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Before performing the step of bypassing the communication with the other terminal to the relay server,
And registering, at the terminal, terminal information with a relay server through the second communication network.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릴레이 서버에 단말 정보를 등록하는 단계는,
스턴 서버(Stun Server)로부터 상기 제2 통신 네트워크에서의 상기 단말의 NAT 타입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수신된 상기 NAT 타입 정보 및 상기 단말의 사설 주소를 포함하는 등록 요청을 상기 릴레이 서버로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이종 네트워크간 핸드오버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Registering the terminal information to the relay server,
Receiving NAT type information of the terminal in the second communication network from a stun server; And
And transmitting a registration request including the received NAT type information and a private address of the terminal to the relay server.
삭제delet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핸드오버 수행 통지 메시지는, 상기 접속 채널의 채널 식별 코드 및 상기 릴레이 서버의 네트워크 주소를 포함하며,
상기 응답 메시지는, 상기 접속 채널의 채널 식별 코드 및 상기 상대방 단말이 접속 중인 상대방 릴레이 서버의 네트워크 주소를 포함하는, 이종 네트워크간 핸드오버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handover performance notification message includes a channel identification code of the access channel and a network address of the relay server.
The response message includes a channel identification code of the access channel and a network address of a counterpart relay server to which the counterpart terminal is accessing.
청구항 5에 있어서,
상대방 단말과의 통신을 상기 릴레이 서버로 우회하는 단계는, 상기 상대방 릴레이 서버를 경유하여 상기 상대방 단말로의 발신 메시지를 송신하고, 상기 릴레이 서버를 경유하여 상기 상대방 단말로부터의 수신 메시지를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이종 네트워크간 핸드오버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5,
The step of bypassing communication with the other party terminal to the relay server may include transmitting an outgoing message to the other party terminal via the other party relay server and receiving a received message from the other party terminal via the relay server. The handover method between heterogeneous networks.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접속 채널을 갱신하는 단계는,
상기 제2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상기 상대방 단말로 접속 채널 갱신 요청을 송신하는 단계;
상기 제2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상기 상대방 단말이 접속 중인 상대방 릴레이 서버로 상기 접속 채널 갱신 요청을 송신하는 단계; 및
상기 상대방 릴레이 서버로부터 상기 접속 채널 갱신 요청을 수신한 상기 상대방 단말로부터 상기 접속 채널 갱신 요청에 대한 응답을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이종 네트워크간 핸드오버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Updating the access channel,
Transmitting an access channel update request to the counterpart terminal through the second communication network;
Transmitting the access channel update request to the counterpart relay server to which the counterpart terminal is connecting through the second communication network; And
And receiving a response to the access channel update request from the counterpart terminal having received the access channel update request from the counterpart relay server.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메모리;
제1 통신 네트워크 및 제2 통신 네트워크를 포함하는 복수 개의 네트워크를 통한 통신이 가능한 통신 모듈; 및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단말로서,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은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고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프로그램은,
상기 통신 모듈에서, 상기 제1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생성된 접속 채널을 이용하여 상대방 단말과 통신을 수행하는 도중 상기 제2 통신 네트워크로 핸드오버하기 위하여,
상기 상대방 단말과의 통신을 릴레이 서버로 우회하는 과정;
상기 제2 통신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상기 접속 채널을 갱신하는 과정; 및
갱신된 상기 접속 채널을 이용하여 상기 상대방 단말과 통신을 재개하는 과정을 수행하기 위한 명령어들을 포함하고,
상기 상대방 단말과의 통신을 상기 릴레이 서버로 우회하는 과정은,
상기 상대방 단말로 핸드오버 수행 통지 메시지를 송신하는 과정; 및
상기 상대방 단말로부터 상기 핸드오버 수행 통지 메시지에 대한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통신 단말.
One or more processors;
Memory;
A communication module capable of communicating via a plurality of networks including a first communication network and a second communication network; And
A terminal comprising one or more programs,
The one or more programs are stored in the memory and configured to be executed by the one or more processors,
The program,
In the communication module, in order to handover to the second communication network while performing communication with a counterpart terminal using an access channel generated through the first communication network,
Bypassing communication with the counterpart terminal to a relay server;
Updating the access channel using the second communication network; And
Instructions for performing a process of resuming communication with the counterpart terminal using the updated access channel;
Bypassing the communication with the counterpart terminal to the relay server,
Transmitting a handover performance notification message to the counterpart terminal; And
And receiving a response message to the handover performance notification message from the counterpart terminal.
제1 단말로부터 단말 정보를 등록받고, 상기 제1 단말이 제1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제2 단말과 통신을 수행하는 도중 제2 통신 네트워크로 핸드오버를 수행하는 동안, 상기 제2 단말로부터 수신되는 메시지를 상기 제1 단말로 전달하는 제1 릴레이 서버; 및
상기 제1 단말이 핸드오버를 수행하는 동안, 상기 제1 단말로부터 수신되는 메시지를 상기 제2 단말로 전달하는 제2 릴레이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릴레이 서버는, 상기 제1 단말로부터 핸드오버 수행 통지 메시지를 수신하여 상기 제2 단말로 전달하고,
상기 제1 릴레이 서버는, 상기 제2 단말로부터 상기 핸드오버 수행 통지 메시지에 대한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여 상기 제2 단말로 전달하는, 통신 시스템.
Message received from the second terminal while receiving terminal information from the first terminal and performing a handover to the second communication network while the first terminal is communicating with the second terminal through the first communication network. A first relay server transferring a to the first terminal; And
While the first terminal is performing the handover, a second relay server for transmitting a message received from the first terminal to the second terminal,
The second relay server receives a handover performance notification message from the first terminal and delivers it to the second terminal.
And the first relay server receives a response message for the handover performance notification message from the second terminal and delivers the response message to the second terminal.
삭제delete
KR1020130027419A 2013-03-14 2013-03-14 Communication system, communication apparatus and handover method between heterogeneous networks thereof KR10208646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7419A KR102086464B1 (en) 2013-03-14 2013-03-14 Communication system, communication apparatus and handover method between heterogeneous networks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7419A KR102086464B1 (en) 2013-03-14 2013-03-14 Communication system, communication apparatus and handover method between heterogeneous networks thereof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12834A KR20140112834A (en) 2014-09-24
KR102086464B1 true KR102086464B1 (en) 2020-03-09

Family

ID=517575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27419A KR102086464B1 (en) 2013-03-14 2013-03-14 Communication system, communication apparatus and handover method between heterogeneous networks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86464B1 (en)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0824B1 (en) * 2007-05-16 2014-03-07 삼성전자주식회사 Method and apparatus of performing handover for mobile node to reduce latency for setting address
KR100918386B1 (en) * 2007-08-23 2009-09-2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Apparatus and Method for Handover based Mobile IP Network Using Layer-2 Trigger
US8559957B2 (en) * 2010-01-28 2013-10-15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biasing a handoff decision based on a blackhaul link
KR101176144B1 (en) * 2010-11-30 2012-08-22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System and method for peer-to-peer connection in multiple network environm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12834A (en) 2014-09-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736927B2 (en) Network assisted device-to-device discovery for peer-to-peer applications
EP3409044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mplementing mobile edge application session connectivity and mobility
US10136363B2 (en) Facilitation of mobility management across various radio technologies
US8526944B2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network access to electronic devices
US9125119B2 (en) Transitioning of a packet-switched emergency call between first and second types of wireless access networks
US9736767B2 (en) Identification-assisted wireless network connections
US20160157084A1 (en) Communication control apparatus, communication system, and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KR101176144B1 (en) System and method for peer-to-peer connection in multiple network environment
US20070291694A1 (en) Seamless Multimedia Session Handoff Across Multiple Devices in a Mobile Networking Environment
US20190037080A1 (en) Ip carrier peering
US20150271725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handover between content servers for transmission path optimization
US20150207774A1 (en) Method and System of APP for Obtaining MAC Address of Terminal
WO2015110080A1 (en) Data processing method, device and system
WO2018018631A1 (en) Anchor gateway switching method, apparatus and system
WO2019057140A1 (en) Application context processing method and device
WO2016101791A1 (en) Fault processing method, device and system
US11089641B2 (en) Session continuity between software-defined network-controlled and non-software-defined network-controlled wireless networks
US8260312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location request tracking
WO2018006359A1 (en) Method for establishing tunnel between local gateways, and gateway
US11811856B2 (en) Determining a common application context relocation method for edge computing
KR102086464B1 (en) Communication system, communication apparatus and handover method between heterogeneous networks thereof
JP6655508B2 (en) Wireless terminal connection management device, wireless terminal connection management method, and program
US20230403761A1 (en) Non-service initiated emergency call device parameters
US9843553B2 (en) Method and device for sending message
CN117119562A (en) Remote access private network method, device, terminal, storage medium and program produc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