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85805B1 - 다중 스마트폰 환경 시스템 - Google Patents

다중 스마트폰 환경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85805B1
KR102085805B1 KR1020170177916A KR20170177916A KR102085805B1 KR 102085805 B1 KR102085805 B1 KR 102085805B1 KR 1020170177916 A KR1020170177916 A KR 1020170177916A KR 20170177916 A KR20170177916 A KR 20170177916A KR 102085805 B1 KR102085805 B1 KR 1020858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rtual machine
unit
smart terminal
terminal
mobile commun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779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76260A (ko
Inventor
이진
류선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트루네트웍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트루네트웍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트루네트웍스
Priority to KR10201701779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85805B1/ko
Publication of KR201900762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762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58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58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522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중 스마트폰 환경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가상머신 또는 집합형스마트폰풀을 사용하여 하나의 스마트폰상에서 두개 이상의 다중 모바일 전화번호를 유지하면서 다중의 스마트폰을 사용하게 하는 것을 통해 물리적으로 하나의 스마트폰만 있으면 되어 공간을 절약하고 하나의 스마트폰으로 마치 스마트폰의 앱을 사용하듯이 간편하게 여러 대의 스마트폰을 운영하는 다중 스마트폰 환경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다중 스마트폰 환경 시스템{Multiple Smartphone Environment System}
본 발명은 다중 스마트폰 환경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가상머신 또는 집합형스마트폰풀을 사용하여 하나의 스마트폰상에서 두개 이상의 다중 모바일 전화번호를 유지하면서 다중의 스마트폰을 사용하게 하는 다중 스마트폰 환경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현대 사회에서 스마트폰은 컴퓨터와 더불어 커뮤니케이션의 주요한 매체이며 향후 웨어러블 스마트 디바이스가 완전히 정착되기 전까지 그 중요성은 유지될 전망이다.
최신 스마트폰은 구글사의 안드로이드, 애플사의 IOS, 마이크로소프트사의 Windows Mobile, 블랙베리 의 블랙베리 OS 등의 주요한 운영체제 외에도 삼성전자의 타이젠과 바다, 심비안 재단의 심비안, Mobile Linux, 노키아와 인텔이 공동을 발표한 미고, 퀄컴사의 BREW 등 다양한 운영체제가 개발되었으나 안드로이드의 시장점유율이 2017년4월 현재 65%를 넘어서는 상황에서 구글의 안드로이드 및 샤오미의 MIUI 등 안드로이드 기반 변형 운영체제가 지닌 시장 장악력이 점차 높아지고 있다(출처 https://www.netmarketshare.com/operating-system-market-share.aspx?qprid=8&qpcustomd=1).
현대사회에서 스마트폰에 연동된 모바일 전화번호는 이메일과 더불어 개인의 아이덴티티를 나타내는 가장 중요한 기반 수단으로 사용되고 있으며, 사용자는 스마트폰에 연동한 전화번호와 이를 기반으로 설치된 메신저, SNS 등 다양한 통신용 앱을 이용해 다른 사용자들과 커뮤니케이션을 유지하고 있다.
그러나 기업 등에서 보안과 임직원의 원활한 업무지원을 위해 지급하는 스마트폰을 개인용도로 사용하는 경우 프라이버시 침해 우려가 있어 많은 수의 사람들이 개인 스마트폰을 추가로 유지하고 있으며 일부 사업가 등은 3개 이상의 스마트폰을 유지하는 경우도 있다.
이런 수요에 대응하기 위해 중국등지에선 듀얼 USIM과 듀얼 모뎀을 장착하여 두개의 전화번호를 동시에 사용 가능한 폰이 개발되 있으며 국내 통신 3사에서는 가상 전화번호 하나를 추가로 부여하여 듀얼넘버 서비스를 제공하기도 하지만 순수 통화 및 SMS만 지원하는 한계가 있고 발신시 특별한 식별 부호를 먼저 입력해야 하는 등 사용상 불편함을 감수해야 한다.
본 발명은 상기 불편함을 해결하기 위한 것이다.
공개특허 10-2012-0097860
http://www.serial-server.net/serial-over-ip/ https://ko.wikipedia.org/wiki/SIM_카드 https://ko.wikipedia.org/wiki/가상_머신 https://ko.wikipedia.org/wiki/그래픽_처리_장치 https://ko.wikipedia.org/wiki/기억_장치 https://ko.wikipedia.org/wiki/도커_(소프트웨어) https://ko.wikipedia.org/wiki/주기억장치 https://ko.wikipedia.org/wiki/중앙_처리_장치 https://ko.wikipedia.org/wiki/하이퍼바이저 https://en.wikipedia.org/wiki/Push_Notification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는, 상기 불편함을 극복하기 위한 것으로서, 하나의 스마트폰으로 여러 대의 스마트폰을 사용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다중 스마트폰 환경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다중 스마트폰 환경 시스템에 있어서, 집합형모뎀풀(200)의 이동통신모뎀(210)을 통해 이동통신 기지국과 통신하는 하나 이상의 가상머신(121)을 구동하는 단말기(100); 및 상기 단말기(100)의 상기 가상머신(121)과 상기 이동통신 기지국의 통신을 중계하는 하나 이상의 이동통신모뎀(210)으로 구성되는 집합형모뎀풀(200);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단말기(100)는 사용자로부터 사용자의 의도로 상기 가상머신(121)을 운용(運用)하기 위한 입력정보를 입력 받는 입력부(110); 하나 이상의 상기 가상머신(121)을 구동하고 상기 입력부(110)를 통해 입력 받은 입력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가상머신(121)을 제어하는 가상부(120); 상기 가상부(120)를 통해 구동 및 제어되는 상기 가상머신(121)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상기 사용자가 육안으로 확인 할 수 있도록 출력하는 출력부(130); 및 상기 가상부(120)에서 구동 및 제어 되는 상기 가상머신(121)이 상기 이동통신모뎀(210)을 통해 상기 이동통신 기지국과 통신하기 위해 상기 이동통신모뎀(210)과 통신하는 통신부(140);를 포함한다.
또한 이때, 상기 이동통신모뎀(210)은 상기 단말기(100)의 통신부(140)를 통해 상기 단말기(100)의 상기 가상머신(121)과 통신하는 직렬통신부(211); 및 상기 단말기(100)의 상기 가상머신(121)이 상기 이동통신 기지국에 접속하여 통신하기 위해 상기 직렬통신부(211)를 통해 통신하는 상기 단말기(100)의 상기 가상머신(121)과 상기 이동통신 기지국의 통신을 중계하는 이동통신부(212);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다중 스마트폰 환경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다중 스마트폰 환경 시스템에 있어서, 서버(300)의 스마트단말가상머신(311)에 접속하여 상기 스마트단말가상머신(311)을 제어하는 단말기(100); 집합형모뎀풀(200)의 이동통신모뎀(210)을 통해 이동통신 기지국과 통신하는 하나 이상의 스마트단말가상머신(311)을 구동하는 서버(300); 및 상기 서버(300)의 상기 스마트단말가상머신(311)과 상기 이동통신 기지국의 통신을 중계하는 하나 이상의 이동통신모뎀(210)으로 구성되는 집합형모뎀풀(200);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단말기(100)는 사용자로부터 사용자의 의도로 상기 스마트단말가상머신(311)을 운용(運用)하기 위한 입력정보를 입력 받는 입력부(110); 상기 서버(300)의 상기 스마트단말가상머신(311)에 접속하여 상기 입력부(110)를 통해 입력 받은 신호를 바탕으로 상기 스마트단말가상머신(311)을 제어하는 가상원격부(150); 상기 가상원격부(150)를 통해 제어되는 상기 스마트단말가상머신(311)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상기 사용자가 육안으로 확인 할 수 있도록 출력하는 출력부(130); 및 상기 가상원격부(150)를 통해 상기 서버(300)의 상기 스마트단말가상머신(311)을 제어하기 위해 상기 서버(300)와 통신하는 통신부(140);를 포함한다.
또한 이때, 상기 서버(300)는 하나 이상의 상기 스마트단말가상머신(311)을 구동하고 상기 단말기(100)의 입력부(110)를 통해 입력 받은 입력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스마트단말가상머신(311)을 제어하는 스마트단말가상부(310); 상기 단말기(100)가 상기 스마트단말가상머신(311)에 접속하기 위해 상기 단말기(100)와 통신하는 서버통신부(320); 및 상기 스마트단말가상부(310)에서 구동 및 제어 되는 상기 스마트단말가상머신(311)이 상기 이동통신모뎀(210)을 통해 상기 이동통신 기지국과 통신하기 위해 상기 이동통신모뎀(210)과 통신하는 모뎀통신부(330);를 포함한다.
또한 이때, 상기 이동통신모뎀(210)은 상기 서버(300)의 모뎀통신부(330)를 통해 상기 서버(300)의 상기 스마트단말가상머신(311)과 통신하는 직렬통신부(211); 및 상기 서버(300)의 상기 스마트단말가상머신(311)이 상기 이동통신 기지국에 접속하여 통신하기 위해 상기 직렬통신부(211)를 통해 통신하는 상기 서버(300)의 상기 스마트단말가상머신(311)과 상기 이동통신 기지국의 통신을 통계하는 이동통신부(212);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다중 스마트폰 환경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다중 스마트폰 환경 시스템에 있어서, 집합형스마트단말풀(400)의 스마트단말(410)에 접속하여 상기 스마트단말(410)을 제어하는 단말기(100); 및 프로그램을 실행하고 이동통신부(414)를 통해 이동통신 기지국에 접속하여 통신하는 스마트폰의 기능을 수행하는 하나 이상의 스마트단말(410)로 구성되는 집합형스마트단말풀(400);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단말기(100)는 사용자로부터 사용자의 의도로 상기 스마트단말(410)을 운용(運用)하기 위한 입력정보를 입력 받는 입력부(110); 상기 집합형스마트단말풀(400)의 상기 스마트단말(410)에 접속하여 상기 입력부(110)를 통해 입력 받은 신호를 바탕으로 상기 스마트단말(410)을 제어하는 스마트단말원격부(160); 상기 스마트단말원격부(160)를 통해 제어되는 상기 스마트단말(410)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상기 사용자가 육안으로 확인 할 수 있도록 출력하는 출력부(130); 및 상기 스마트단말원격부(160)를 통해 상기 집합형스마트단말풀(400)의 상기 스마트단말(410)을 제어하기 위해 상기 스마트단말(410)과 통신하는 통신부(140);를 포함한다.
또한 이때, 상기 스마트단말(410)은 상기 단말기(100)가 상기 스마트단말(410)을 제어하기 위해 상기 단말기(100)의 통신부와(140)와 통신하는 단말통신부(411); 상기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처리부(413)를 통해 프로그램을 실행하기 위해 처리부(413)에서 즉시 사용가능한 정보를 저장하는 기억부(412); 상기 기억부(412)에 저장된 상기 프로그램을 불러와 실행하고 상기 프로그램을 실행하기 위해 즉시 사용가능한 정보를 상기 기억부(412)에 저장하며 불러오는 처리부(413); 및 상기 이동통신 기지국에 접속하여 통신하는 스마트단말이동통신부(414);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하나의 스마트폰으로 여러 대의 스마트폰을 사용할 수 있어, 물리적으로 하나의 스마트폰만 있으면 되어 공간을 절약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하나의 스마트폰으로 마치 스마트폰의 앱을 사용하듯이 간편하게 여러 대의 스마트폰을 운영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일반적인 스마트폰의 구성 중 일부가 집합형스마트단말풀의 스마트단말이 수행하는 제3 실시예를 통해 일반적으로 단말기인 스마트폰에 필요한 공간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다중 스마트폰 환경 시스템의 블록도 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다중 스마트폰 환경 시스템에 단말기(100)의 블록도 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및 2 실시 예에 따른 다중 스마트폰 환경 시스템에 집합형모뎀풀(200)의 블록도 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및 2 실시 예에 따른 다중 스마트폰 환경 시스템에 이동통신모뎀(210)의 블록도 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다중 스마트폰 환경 시스템의 구체적인 블록도 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다중 스마트폰 환경 시스템의 블록도 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다중 스마트폰 환경 시스템에 단말기(100)의 블록도 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다중 스마트폰 환경 시스템에 서버(300)의 블록도 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다중 스마트폰 환경 시스템의 구체적인 블록도 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다중 스마트폰 환경 시스템의 블록도 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다중 스마트폰 환경 시스템에 단말기(100)의 블록도 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다중 스마트폰 환경 시스템에 집합형스마트단말풀(400)의 블록도 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다중 스마트폰 환경 시스템에 스마트단말(410)의 블록도 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다중 스마트폰 환경 시스템에 기억부(412)의 블록도 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다중 스마트폰 환경 시스템에 처리부(413)의 블록도 이다.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설명하기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항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관련된 공지 기능 및 그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하였음에 유의해야 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 예에 따른 다중 스마트폰 환경 시스템에 관하여 도 1 내지 5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다중 스마트폰 환경 시스템의 블록도 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및 2 실시 예에 따른 다중 스마트폰 환경 시스템에 집합형모뎀풀(200)의 블록도 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다중 스마트폰 환경 시스템의 구체적인 블록도 이다.
도 1 및 3 및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중 스마트폰 환경 시스템에 있어서, 집합형모뎀풀(200)의 이동통신모뎀(210)을 통해 이동통신 기지국과 통신하는 하나 이상의 가상머신(121)을 구동하는 단말기(100)와 상기 단말기(100)의 상기 가상머신(121)과 상기 이동통신 기지국의 통신을 중계하는 하나 이상의 이동통신모뎀(210)으로 구성되는 집합형모뎀풀(200)로 이루어진다.
아울러, 상기 가상머신(121)의 바람직한 실시 예는 스마트폰이 가상화 된 가상머신이다.
또한 아울러, 상기 단말기(100)의 바람직한 실시 예는 일반적인 스마트폰이다.
또한 아울러, 상기 이동통신모뎀(210)은 이동통신 기지국에서 이동통신사에 가입한 가입자를 구별하기 위한 USIM(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을 장착할 수 있다.
또한 아울러, 상기 단말기(100)의 상기 가상머신(121)과 상기 이동통신모뎀(210)은 1:1로 매칭(matching)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다중 스마트폰 환경 시스템에 단말기(100)의 블록도 이다.
이때,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단말기(100)는 사용자로부터 사용자의 의도로 상기 가상머신(121)을 운용(運用)하기 위한 입력정보를 입력 받는 입력부(110)와 하나 이상의 상기 가상머신(121)을 구동하고 상기 입력부(110)를 통해 입력 받은 입력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가상머신(121)을 제어하는 가상부(120)와 상기 가상부(120)를 통해 구동 및 제어되는 상기 가상머신(121)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상기 사용자가 육안으로 확인 할 수 있도록 출력하는 출력부(130)와 상기 가상부(120)에서 구동 및 제어 되는 상기 가상머신(121)이 상기 이동통신모뎀(210)을 통해 상기 이동통신 기지국과 통신하기 위해 상기 이동통신모뎀(210)과 통신하는 통신부(140)로 이루어진다.
아울러, 상기 입력부(110)의 바람직한 실시 예는 터치패널 또는 버튼 또는 음성인식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구성되는 것이다.
또한 아울러, 상기 가상부(120)가 상기 가상머신(121)을 구동하는 바람직한 실시 예는 하이퍼바이저 또는 도커 또는 일반적인 가상머신 중 어느 하나로 구동하는 것이다.
또한 아울러, 상기 가상부(120)는 하나 이상의 상기 가상머신(121)을 동시에 구동할 수 있다.
또한 아울러, 상기 출력부(130)의 바람직한 실시 예는 일반적인 디스플레이 장치를 사용하는 것이다.
또한 아울러, 상기 출력부(130)는 사용자가 음성 또는 촉감으로 상기 가상머신(121)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확인 할 수 있도록 음성 또는 촉감으로도 출력하고, 이러한 경우 상기 출력부(130)는 음성을 출력하는 스피커와 촉감을 출력하는 시각장애인용 촉감출력장치가 사용된다.
또한 아울러, 상기 가상부(120)가 하나 이상의 상기 가상머신(121)을 동시에 구동하는 경우 상기 출력부(130)도 분할하여 상기 가상머신(121)의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출력한다.
또한 아울러, 상기 통신부(140)의 바람직한 실시 예는 인터넷또는 인터넷을 기반으로 하는 네트워크를 통한 직렬(serial)통신인 Serial over IP 방식으로 상기 이동통신모뎀(210)과 통신하는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및 2 실시 예에 따른 다중 스마트폰 환경 시스템에 이동통신모뎀(210)의 블록도 이다.
또한 이때,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이동통신모뎀(210)은 상기 단말기(100)의 통신부(140)를 통해 상기 단말기(100)의 상기 가상머신(121)과 통신하는 직렬통신부(211)와 상기 단말기(100)의 상기 가상머신(121)이 상기 이동통신 기지국에 접속하여 통신하기 위해 상기 직렬통신부(211)를 통해 통신하는 상기 단말기(100)의 상기 가상머신(121)과 상기 이동통신 기지국의 통신을 중계하는 이동통신부(212)로 이루어진다.
아울러, 상기 직열통신부(211)의 바람직한 실시 예는 인터넷 또는 인터넷을 기반으로하는 네트워크를 통한 직렬(serial)통신인 Serial over IP 방식으로 상기 단말기(100)의 통신부(140)와 통신하는 것이다.
또한 아울러, 상기 이동통신부(212)의 바람직한 실시 예는 WCDMA 또는 LTE 등 이동통신사가 사용하는 방식으로 통신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 예에 따른 다중 스마트폰 환경 시스템에 관하여 도 3 내지 4 및 6 내지 9를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및 2 실시 예에 따른 다중 스마트폰 환경 시스템에 집합형모뎀풀(200)의 블록도 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다중 스마트폰 환경 시스템의 블록도 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다중 스마트폰 환경 시스템의 구체적인 블록도 이다.
도 3 및 6 및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중 스마트폰 환경 시스템에 있어서, 서버(300)의 스마트단말가상머신(311)에 접속하여 상기 스마트단말가상머신(311)을 제어하는 단말기(100)와 집합형모뎀풀(200)의 이동통신모뎀(210)을 통해 이동통신 기지국과 통신하는 하나 이상의 스마트단말가상머신(311)을 구동하는 서버(300)와 상기 서버(300)의 상기 스마트단말가상머신(311)과 상기 이동통신 기지국의 통신을 중계하는 하나 이상의 이동통신모뎀(210)으로 구성되는 집합형모뎀풀(200)로 이루어진다.
아울러, 상기 스마트단말가상머신(311)의 바람직한 실시 예는 스마트폰이 가상화 된 가상머신이다.
또한 아울러, 상기 단말기(100)의 바람직한 실시 예는 일반적인 스마트폰이다.
또한 아울러, 상기 단말기(100)가 상기 서버(300)의 상기 스마트단말가상머신(311)을 제어하는 바람직한 실시 예는 물리적으로 원격에서 인터넷을 통해 서버(300)에 접속하여 상기 스마트단말가상머신(311)을 제어하는 것이다.
또한 아울러, 상기 이동통신모뎀(210)은 이동통신 기지국에서 이동통신사에 가입한 가입자를 구별하기 위한 USIM(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을 장착할 수 있다.
또한 아울러, 상기 서버(300)의 상기 스마트단말가상머신(311)과 상기 이동통신모뎀(210)은 1:1로 매칭(matching)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다중 스마트폰 환경 시스템에 단말기(100)의 블록도 이다.
이때,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단말기(100)는 사용자로부터 사용자의 의도로 상기 스마트단말가상머신(311)을 운용(運用)하기 위한 입력정보를 입력 받는 입력부(110)와 상기 서버(300)의 상기 스마트단말가상머신(311)에 접속하여 상기 입력부(110)를 통해 입력 받은 신호를 바탕으로 상기 스마트단말가상머신(311)을 제어하는 가상원격부(150)와 상기 가상원격부(150)를 통해 제어되는 상기 스마트단말가상머신(311)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상기 사용자가 육안으로 확인 할 수 있도록 출력하는 출력부(130)와 상기 가상원격부(150)를 통해 상기 서버(300)의 상기 스마트단말가상머신(311)을 제어하기 위해 상기 서버(300)와 통신하는 통신부(140)로 이루어진다.
아울러, 상기 입력부(110)의 바람직한 실시 예는 터치패널 또는 버튼 또는 음성인식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구성되는 것이다.
또한 아울러, 상기 가상원격부(150)는 하나 이상의 상기 스마트단말가상머신(311)을 동시에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아울러, 상기 출력부(130)의 바람직한 실시 예는 일반적인 디스플레이 장치를 사용하는 것이다.
또한 아울러, 상기 출력부(130)는 사용자가 음성 또는 촉감으로 상기 스마트단말가상머신(311)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확인 할 수 있도록 음성 또는 촉감으로도 출력하고, 이러한 경우 상기 출력부(130)는 음성을 출력하는 스피커와 촉감을 출력하는 시각장애인용 촉감출력장치가 사용된다.
또한 아울러, 상기 가상원격부(150)가 하나 이상의 상기 스마트단말가상머신(311)을 동시에 제어하는 경우 상기 출력부(130)도 분할하여 상기 스마트단말가상머신(311)의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출력한다.
또한 아울러, 상기 통신부(140)가 상기 서버(300)와 통신하는 바람직한 실시 예는 인터넷 또는 인터넷을 기반으로 하는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하는 것이다.
또한 아울러, 상기 단말기(100)는 평소에는 원격접속을 위한 프로그램 또는 앱(어플리케이션)이 구동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배터리 소모가 극히 적거나 없으며 스마트단말가상머신(311)에 메세지나 음성전화가 착신되는 경우 푸쉬 알림(Push Notification)을 통해 사용자가 실제 휴대중인 단말기(100)에 해당 원격접속을 위한 프로그램 또는 앱(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하기 시작하면서 배터리를 사용하기 시작하여 데이터 소모나 배터리 소모를 최소화 하고, 반대로 사용자가 휴대중인 단말기(100)에서 설치된 원격접속을 위한 프로그램 또는 앱(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을 통해 원격의 스마트단말가상머신(311)을 선택하여 접속하면서 데이터와 배터리를 소모하기 시작한다.
또한 아울러, 스마트단말가상머신(311)의 음성 착신의 경우 즉시 푸쉬 알림(Push Notification)를 통해 상기 스마트단말가상머신(311)에 연결된 프로그램 또는 앱(어플리케이션)이 상기 단말기(100)에서 구동되면서 음성통화 등을 한다.
또한 아울러, 단순히 단문메세지, 메신저, 페이스북 등의 스마트단말가상머신(311)에 설치된 프로그램 또는 앱(어플리케이션)에 메세지가 수신되는 경우에는 푸쉬 알림(Push Notification)을 통해 실제 사용자가 휴대중인 단말기(100)에 해당 스마트단말가상머신(311)과 연결된 프로그램 또는 앱(어플리케이션)의 아이콘 상에 작은 숫자로서 수신메세지가 있음을 표시한다.
또한 아울러, 상기 단말기(100)는 상기 스마트단말가상머신(311)과의 통신을 종료함으로서 상기 스마트단말가상머신(311)과 데이터 사용를 종료하게 되어 배터리 소모 및 데이터 소모를 최소화 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다중 스마트폰 환경 시스템에 서버(300)의 블록도 이다.
이때,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서버(300)는 하나 이상의 상기 스마트단말가상머신(311)을 구동하고 상기 단말기(100)의 입력부(110)를 통해 입력 받은 입력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스마트단말가상머신(311)을 제어하는 스마트단말가상부(310)와 상기 단말기(100)가 상기 스마트단말가상머신(311)에 접속하기 위해 상기 단말기(100)와 통신하는 서버통신부(320)와 상기 스마트단말가상부(310)에서 구동 및 제어 되는 상기 스마트단말가상머신(311)이 상기 이동통신모뎀(210)을 통해 상기 이동통신 기지국과 통신하기 위해 상기 이동통신모뎀(210)과 통신하는 모뎀통신부(330)로 이루어진다.
아울러, 상기 스마트단말가상부(310)가 상기 스마트단말가상머신(311)을 구동하는 바람직한 실시 예는 하이퍼바이저 또는 도커 또는 일반적인 가상머신 중 어느 하나로 구동하는 것이다.
또한 아울러, 상기 스마트단말가상부(310)는 하나 이상의 상기 스마트단말가상머신(311)을 동시에 구동할 수 있다.
또한 아울러, 상기 서버통신부(320)가 상기 단말기(100)와 통신하는 바람직한 실시 예는 인터넷 또는 인터넷을 기반으로 하는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하는 것이다.
또한 아울러, 상기 모뎀통신부(330)의 바람직한 실시 예는 인터넷 또는 인터넷을 기반으로 하는 네트워크를 통한 직렬(serial)통신인 Serial over IP 방식으로 상기 이동통신모뎀(210)과 통신하는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및 2 실시 예에 따른 다중 스마트폰 환경 시스템에 이동통신모뎀(210)의 블록도 이다.
또한 이때,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이동통신모뎀(210)은 상기 서버(300)의 모뎀통신부(330)를 통해 상기 서버(300)의 상기 스마트단말가상머신(311)과 통신하는 직렬통신부(211)와 상기 서버(300)의 상기 스마트단말가상머신(311)이 상기 이동통신 기지국에 접속하여 통신하기 위해 상기 직렬통신부(211)를 통해 통신하는 상기 서버(300)의 상기 스마트단말가상머신(311)과 상기 이동통신 기지국의 통신을 통계하는 이동통신부(212)로 이루어진다.
아울러, 상기 직열통신부(211)의 바람직한 실시 예는 인터넷 또는 인터넷을 기반으로 하는 네트워크를 통한 직렬(serial)통신인 Serial over IP 방식으로 상기 단말기(100)의 통신부(140)와 통신하는 것이다.
또한 아울러, 상기 이동통신부(212)의 바람직한 실시 예는 WCDMA 또는 LTE 등 이동통신사가 사용하는 방식으로 통신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3 실시 예에 따른 다중 스마트폰 환경 시스템에 관하여 도 10 내지 15를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다중 스마트폰 환경 시스템의 블록도 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다중 스마트폰 환경 시스템에 집합형스마트단말풀(400)의 블록도 이다.
도 10 및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중 스마트폰 환경 시스템에 있어서, 집합형스마트단말풀(400)의 스마트단말(410)에 접속하여 상기 스마트단말(410)을 제어하는 단말기(100)와 프로그램을 실행하고 이동통신부(414)를 통해 이동통신 기지국에 접속하여 통신하는 스마트폰의 기능을 수행하는 하나 이상의 스마트단말(410)로 구성되는 집합형스마트단말풀(400)로 이루어진다.
아울러, 상기 스마트단말(410)의 바람직한 실시 예는 스마트폰 기능을 수행하는 단말기로 스마트폰과 같이 프로그램(어플리케이션, 앱)을 실행하고 이동통신 기지국에 접속하여 통신을 수행하는 단말기이다.
또한 아울러, 상기 스마트단말(410)은 일반적인 스마트폰에 있는 스피커와 마이크와 스크린(디스플레이)과 터치부(입력부)와 블루투스와 와이파이와 지문인식 등 원격에서 스마트폰 환경을 구동하기 위해 불필요한 장치가 모두 배제될 수 있고 유선랜을 통해 단말기(100)와 통신하고 상기 스마트단말(410)에 내장된 USIM과 연동된 이동통신 모듈인 스마트단말이동통신부(414)를 통해 이동통신사의 이동통신 기지국과 통신하게 된다.
이를 통해 일반적으로 단말기인 스마트폰에 필요한 공간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습니다.
또한 아울러, 상기 단말기(100)의 바람직한 실시 예는 일반적인 스마트폰이다.
또한 아울러, 상기 단말기(100)가 상기 서버(300)의 상기 스마트단말가상머신(311)을 제어하는 바람직한 실시 예는 물리적으로 원격에서 인터넷을 통해 서버(300)에 접속하여 상기 스마트단말가상머신(311)을 제어하는 것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다중 스마트폰 환경 시스템에 단말기(100)의 블록도 이다.
이때,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단말기(100)는 사용자로부터 사용자의 의도로 상기 스마트단말(410)을 운용(運用)하기 위한 입력정보를 입력 받는 입력부(110)와 상기 집합형스마트단말풀(400)의 상기 스마트단말(410)에 접속하여 상기 입력부(110)를 통해 입력 받은 신호를 바탕으로 상기 스마트단말(410)을 제어하는 스마트단말원격부(160)와 상기 스마트단말원격부(160)를 통해 제어되는 상기 스마트단말(410)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상기 사용자가 육안으로 확인 할 수 있도록 출력하는 출력부(130)와 상기 스마트단말원격부(160)를 통해 상기 집합형스마트단말풀(400)의 상기 스마트단말(410)을 제어하기 위해 상기 스마트단말(410)과 통신하는 통신부(140)로 이루어진다.
아울러, 상기 입력부(110)의 바람직한 실시 예는 터치패널 또는 버튼 또는 음성인식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구성되는 것이다.
또한 아울러, 상기 스마트단말원격부(160)는 하나 이상의 상기 스마트단말(410)을 동시에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아울러, 상기 출력부(130)의 바람직한 실시 예는 일반적인 디스플레이 장치를 사용하는 것이다.
또한 아울러, 상기 출력부(130)는 사용자가 음성 또는 촉감으로 상기 스마트단말(410)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확인 할 수 있도록 음성 또는 촉감으로도 출력하고, 이러한 경우 상기 출력부(130)는 음성을 출력하는 스피커와 촉감을 출력하는 시각장애인용 촉감출력장치가 사용된다.
또한 아울러, 상기 스마트단말원격부(160)가 하나 이상의 상기 스마트단말(410)을 동시에 제어하는 경우 상기 출력부(130)도 분할하여 상기 스마트단말(410)의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출력한다.
또한 아울러, 상기 통신부(140)가 상기 스마트단말(410)과 통신하는 바람직한 실시 예는 인터넷 또는 인터넷을 기반으로 하는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하는 것이다.
또한 아울러, 상기 단말기(100)는 평소에는 원격접속을 위한 프로그램 또는 앱(어플리케이션)이 구동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배터리 소모가 극히 적거나 없으며 스마트단말(410)에 메세지나 음성전화가 착신되는 경우 푸쉬 알림(Push Notification)을 통해 사용자가 실제 휴대중인 단말기(100)에 해당 원격접속을 위한 프로그램 또는 앱(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하기 시작하면서 배터리를 사용하기 시작하여 데이터 소모나 배터리 소모를 최소화 하고, 반대로 사용자가 휴대중인 단말기(100)에서 설치된 원격접속을 위한 프로그램 또는 앱(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을 통해 원격의 스마트단말(410)을 선택하여 접속하면서 데이터와 배터리를 소모하기 시작한다.
또한 아울러, 스마트단말(410)의 음성 착신의 경우 즉시 푸쉬 알림(Push Notification)를 통해 상기 스마트단말(410)에 연결된 프로그램 또는 앱(어플리케이션)이 상기 단말기(100)에서 구동되면서 음성통화 등을 한다.
또한 아울러, 단순히 단문메세지, 메신저, 페이스북 등의 스마트단말(410)에 설치된 프로그램 또는 앱(어플리케이션)에 메세지가 수신되는 경우에는 푸쉬 알림(Push Notification)을 통해 실제 사용자가 휴대중인 단말기(100)에 해당 스마트단말(410)과 연결된 프로그램 또는 앱(어플리케이션)의 아이콘 상에 작은 숫자로서 수신메세지가 있음을 표시한다.
또한 아울러, 상기 단말기(100)는 상기 스마트단말(410)과의 통신을 종료함으로서 상기 스마트단말(410)과 데이터 사용를 종료하게 되어 배터리 소모 및 데이터 소모를 최소화 한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다중 스마트폰 환경 시스템에 스마트단말(410)의 블록도 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다중 스마트폰 환경 시스템에 기억부(412)의 블록도 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다중 스마트폰 환경 시스템에 처리부(413)의 블록도 이다.
또한 이때, 도 13 내지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스마트단말(410)은 상기 단말기(100)가 상기 스마트단말(410)을 제어하기 위해 상기 단말기(100)의 통신부와(140)와 통신하는 단말통신부(411)와 상기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처리부(413)를 통해 프로그램을 실행하기 위해 처리부(413)에서 즉시 사용가능한 정보를 저장하는 기억부(412)와 상기 기억부(412)에 저장된 상기 프로그램을 불러와 실행하고 상기 프로그램을 실행하기 위해 즉시 사용가능한 정보를 상기 기억부(412)에 저장하며 불러오는 처리부(413)와 상기 이동통신 기지국에 접속하여 통신하는 스마트단말이동통신부(414)로 이루어진다.
아울러, 상기 단말통신부(411)가 상기 단말기(100)의 통신부(140)와 통신하는 바람직한 실시 예는 인터넷 또는 인터넷을 기반으로 하는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하는 것이다.
또한 아울러, 상기 기억부(412)는 일반적으로 스마프폰과 같이 프로그램(어플리케이션 또는 앱)을 실행하기 위해 필요한 기억장치이고, 상기 처리부(413)은 일반적으로 스마프폰과 같이 프로그램(어플리케이션 또는 앱)을 실행하기 위해 필요한 저장장치이다. 따라서 상기 기억부(412)는 램(RAM)과 같은 주기억장치에 해당하는 주기억부(412a)와 Flash 메모리와 같은 보조기억장치에 해당하는 보조기억부(412b)로 이루어지고, 상기 처리부(413)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와 같은 중앙처리장치에 해당하는 중앙처리부(413a)와 GPU(Graphics Processing Unit)와 같은 그래픽처리장치에 해당하는 그래픽처리부(413b)로 이루어진다.
또한 아울러, 상기 스마트단말이동통신부(414)의 바람직한 실시 예는 WCDMA 또는 LTE 등 이동통신사가 사용하는 방식으로 통신하는 것이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하고 도시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에만 국한되는 것이 아니며, 기술적 사상의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해 다수의 변경 및 수정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하여야 할 것이다.
100: 단말기
110: 입력부
120: 가상부
121: 가상머신
130: 출력부
140: 통신부
150: 가상원격부
160: 스마트단말원격부
200: 집합형모뎀풀
210: 이동통신모뎀
211: 직렬통신부
212: 이동통신부
300: 서버
310: 스마트단말가상부
311: 스마트단말가상머신
320: 서버통신부
330: 모뎀통신부
400: 집합형스마트단말풀
410: 스마트단말
411: 단말통신부
412: 기억부
412a: 주기억부
412b: 보조기억부
413: 처리부
413a: 중앙처리부
413b: 그래픽처리부
414: 스마트단말이동통신부

Claims (10)

  1. 다중 스마트폰 환경 시스템에 있어서,
    집합형모뎀풀(200)의 이동통신모뎀(210)을 통해 이동통신 기지국과 통신하는 하나 이상의 가상머신(121)을 구동하는 단말기(100); 및
    상기 단말기(100)의 상기 가상머신(121)과 상기 이동통신 기지국의 통신을 중계하는 하나 이상의 이동통신모뎀(210)으로 구성되는 집합형모뎀풀(20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단말기(100)는
    사용자로부터 사용자의 의도로 상기 가상머신(121)을 운용(運用)하기 위한 입력정보를 입력 받는 입력부(110);
    하나 이상의 상기 가상머신(121)을 구동하고 상기 입력부(110)를 통해 입력 받은 입력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가상머신(121)을 제어하는 가상부(120);
    상기 가상부(120)를 통해 구동 및 제어되는 상기 가상머신(121)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상기 사용자가 육안으로 확인 할 수 있도록 출력하는 출력부(130); 및
    상기 가상부(120)에서 구동 및 제어 되는 상기 가상머신(121)이 상기 이동통신모뎀(210)을 통해 상기 이동통신 기지국과 통신하기 위해 상기 이동통신모뎀(210)과 통신하는 통신부(14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이동통신모뎀(210)은
    상기 단말기(100)의 통신부(140)를 통해 상기 단말기(100)의 상기 가상머신(121)과 통신하는 직렬통신부(211); 및
    상기 단말기(100)의 상기 가상머신(121)이 상기 이동통신 기지국에 접속하여 통신하기 위해 상기 직렬통신부(211)를 통해 통신하는 상기 단말기(100)의 상기 가상머신(121)과 상기 이동통신 기지국의 통신을 중계하는 이동통신부(212);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되,
    상기 단말기(100)의 상기 가상머신(121)과 상기 이동통신모뎀(210)은 1:1로 매칭(matching)되며,
    상기 출력부(130)는 사용자가 음성 또는 촉감으로 상기 가상머신(121)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확인 할 수 있도록 음성 또는 촉감으로도 출력하도록 음성을 출력하는 스피커와 촉감을 출력하는 시각장애인용 촉감출력장치가 사용되고,
    상기 가상부(120)가 하나 이상의 상기 가상머신(121)을 동시에 구동하는 경우 상기 출력부(130)도 분할하여 상기 가상머신(121)의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스마트폰 환경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다중 스마트폰 환경 시스템에 있어서,
    서버(300)의 스마트단말가상머신(311)에 접속하여 상기 스마트단말가상머신(311)을 제어하는 단말기(100);
    집합형모뎀풀(200)의 이동통신모뎀(210)을 통해 이동통신 기지국과 통신하는 하나 이상의 스마트단말가상머신(311)을 구동하는 서버(300); 및
    상기 서버(300)의 상기 스마트단말가상머신(311)과 상기 이동통신 기지국의 통신을 중계하는 하나 이상의 이동통신모뎀(210)으로 구성되는 집합형모뎀풀(20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단말기(100)는
    사용자로부터 사용자의 의도로 상기 스마트단말가상머신(311)을 운용(運用)하기 위한 입력정보를 입력 받는 입력부(110);
    상기 서버(300)의 상기 스마트단말가상머신(311)에 접속하여 상기 입력부(110)를 통해 입력 받은 신호를 바탕으로 상기 스마트단말가상머신(311)을 제어하는 가상원격부(150);
    상기 가상원격부(150)를 통해 제어되는 상기 스마트단말가상머신(311)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상기 사용자가 육안으로 확인 할 수 있도록 출력하는 출력부(130); 및
    상기 가상원격부(150)를 통해 상기 서버(300)의 상기 스마트단말가상머신(311)을 제어하기 위해 상기 서버(300)와 통신하는 통신부(14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서버(300)는
    하나 이상의 상기 스마트단말가상머신(311)을 구동하고 상기 단말기(100)의 입력부(110)를 통해 입력 받은 입력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스마트단말가상머신(311)을 제어하는 스마트단말가상부(310);
    상기 단말기(100)가 상기 스마트단말가상머신(311)에 접속하기 위해 상기 단말기(100)와 통신하는 서버통신부(320); 및
    상기 스마트단말가상부(310)에서 구동 및 제어 되는 상기 스마트단말가상머신(311)이 상기 이동통신모뎀(210)을 통해 상기 이동통신 기지국과 통신하기 위해 상기 이동통신모뎀(210)과 통신하는 모뎀통신부(33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이동통신모뎀(210)은
    상기 서버(300)의 모뎀통신부(330)를 통해 상기 서버(300)의 상기 스마트단말가상머신(311)과 통신하는 직렬통신부(211); 및
    상기 서버(300)의 상기 스마트단말가상머신(311)이 상기 이동통신 기지국에 접속하여 통신하기 위해 상기 직렬통신부(211)를 통해 통신하는 상기 서버(300)의 상기 스마트단말가상머신(311)과 상기 이동통신 기지국의 통신을 통계하는 이동통신부(212);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되.
    상기 스마트단말가상머신(311)과 상기 이동통신모뎀(210)은 1:1로 매칭(matching)되며,
    상기 출력부(130)는 사용자가 음성 또는 촉감으로 상기 스마트단말가상머신(311)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확인 할 수 있도록 음성 또는 촉감으로도 출력하도록 음성을 출력하는 스피커와 촉감을 출력하는 시각장애인용 촉감출력장치가 사용되고,
    상기 가상원격부(150)가 하나 이상의 상기 스마트단말가상머신(311)을 동시에 제어하는 경우 상기 출력부(130)도 분할하여 상기 스마트단말가상머신(311)의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출력하며,
    상기 단말기(100)는 평소에는 원격접속을 위한 프로그램 또는 앱(어플리케이션)이 구동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배터리 소모가 극히 적거나 없으며 스마트단말가상머신(311)에 메세지나 음성전화가 착신되는 경우 푸쉬 알림(Push Notification)을 통해 사용자가 실제 휴대중인 단말기(100)에 해당 원격접속을 위한 프로그램 또는 앱(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하기 시작하면서 배터리를 사용하기 시작하여 데이터 소모나 배터리 소모를 최소화 하고, 반대로 사용자가 휴대중인 단말기(100)에서 설치된 원격접속을 위한 프로그램 또는 앱(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을 통해 원격의 스마트단말가상머신(311)을 선택하여 접속하면서 데이터와 배터리를 소모하기 시작하고,
    상기 스마트단말가상머신(311)의 음성 착신의 경우 즉시 푸쉬 알림(Push Notification)를 통해 상기 스마트단말가상머신(311)에 연결된 프로그램 또는 앱(어플리케이션)이 상기 단말기(100)에서 구동되면서 음성통화를 하며,
    상기 스마트단말가상머신(311)에 설치된 프로그램 또는 앱(어플리케이션)에 메세지가 수신되는 경우에는 푸쉬 알림(Push Notification)을 통해 실제 사용자가 휴대중인 단말기(100)에 해당 스마트단말가상머신(311)과 연결된 프로그램 또는 앱(어플리케이션)의 아이콘 상에 작은 숫자로서 수신메세지가 있음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스마트폰 환경 시스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KR1020170177916A 2017-12-22 2017-12-22 다중 스마트폰 환경 시스템 KR1020858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7916A KR102085805B1 (ko) 2017-12-22 2017-12-22 다중 스마트폰 환경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7916A KR102085805B1 (ko) 2017-12-22 2017-12-22 다중 스마트폰 환경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6260A KR20190076260A (ko) 2019-07-02
KR102085805B1 true KR102085805B1 (ko) 2020-03-06

Family

ID=672580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77916A KR102085805B1 (ko) 2017-12-22 2017-12-22 다중 스마트폰 환경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85805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570593B2 (ja) * 2009-06-26 2014-08-13 ヴイエムウェア インク 仮想モバイル機器の機能移行
KR101652194B1 (ko) * 2015-02-24 2016-08-30 닉스테크 주식회사 클라이언트 단말을 이용한 원격 가상 머신의 제어 시스템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35627B1 (ko) * 2005-07-20 2006-10-17 (주)와이드엑세스 휴대폰에 저장된 데이터 공유 방법 및 그 시스템
KR20120097860A (ko) 2011-02-25 2012-09-05 (주)세븐코아 가상화 기술 기반 스마트폰과 입출력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570593B2 (ja) * 2009-06-26 2014-08-13 ヴイエムウェア インク 仮想モバイル機器の機能移行
KR101652194B1 (ko) * 2015-02-24 2016-08-30 닉스테크 주식회사 클라이언트 단말을 이용한 원격 가상 머신의 제어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6260A (ko) 2019-07-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653486B (zh) 移动终端和其处理器的usb接口复用的方法
US10853102B2 (en) Android-based pop-up prompt method and device
US20170134567A1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providing information thereof
EP3091719B1 (en) Method for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and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KR102161200B1 (ko) 슬립 모드 제어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KR20170086801A (ko) 전자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CN104754563A (zh) 一种无线热点接入共享方法、移动终端及系统
CN104992096A (zh) 一种数据保护方法及移动终端
CN112055424A (zh) 电子装置以及切换电子装置的方法
CN105718405B (zh) 移动终端和其处理器的usb接口复用的方法
CN103076977A (zh) 一种在待机状态下触发信息传输的方法及系统
CN104793991B (zh) 一种音频输出设备切换方法及装置
US10764726B2 (en) Electronic messaging device and electronic messaging method
EP2928163A1 (en) Messaging system and method thereof
WO2018176297A1 (en) Multi-window displaying apparatus and method and mobile electronic equipment
CN108632454B (zh) 信息处理方法和装置、计算机可读存储介质、终端
CN105204891B (zh) 移动终端关机时的下载方法、装置及移动终端
CN104252388A (zh) 移动设备中的非可信环境与可信环境之间的切换
KR102085805B1 (ko) 다중 스마트폰 환경 시스템
EP3001652B1 (en) Method for providing information and an electronic device thereof
US10853098B2 (en) Interface processing method, electronic device,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CN103716910A (zh) 实现移动通信的系统、智能终端、移动终端和方法
CN107395900A (zh) 未接来电的多次提醒方法
CN109992368B (zh) 应用程序处理方法和装置、电子设备、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203219381U (zh) 用于移动终端的外围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