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85585B1 - Method and apparatus for setting direction of mobile communication antenna - Google Patents

Method and apparatus for setting direction of mobile communication antenna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85585B1
KR102085585B1 KR1020130144555A KR20130144555A KR102085585B1 KR 102085585 B1 KR102085585 B1 KR 102085585B1 KR 1020130144555 A KR1020130144555 A KR 1020130144555A KR 20130144555 A KR20130144555 A KR 20130144555A KR 102085585 B1 KR102085585 B1 KR 1020855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tenna
characteristic information
beam pattern
target
poi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4455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50060308A (en
Inventor
김창규
김대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Priority to KR10201301445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85585B1/en
Publication of KR201500603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6030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55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558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3/00Arrangements for changing or varying the orientation or the shape of the directional pattern of the waves radiated from an antenna or antenna system
    • H01Q3/26Arrangements for changing or varying the orientation or the shape of the directional pattern of the waves radiated from an antenna or antenna system varying the relative phase or relative amplitude of energisation between two or more active radiating elements; varying the distribution of energy across a radiating aper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2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 H01Q1/2208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associated with components used in interrogation type services, i.e. in systems for information exchange between an interrogator/reader and a tag/transponder, e.g. in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systems
    • H01Q1/2225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associated with components used in interrogation type services, i.e. in systems for information exchange between an interrogator/reader and a tag/transponder, e.g. in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systems used in active tags, i.e. provided with its own power source or in passive tags, i.e. deriving power from RF sign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2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 H01Q1/24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 H01Q1/241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 H01Q1/24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specially adapted for hand-held u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안테나의 방향 설정 방법 및 그를 이용한 장치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착탈식 조준경이 구비된 안테나의 방향을 설정하는 방법은 상기 안테나에 대응하는 안테나 특성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와 상기 안테나 특성 정보를 이용하여 안테나 빔 패턴을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안테나 빔 패턴을 상기 조준경의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와 상기 조준경 화면을 통해 타켓 지향점을 입력 받는 단계 및 상기 타켓 지향점으로 상기 안테나의 지향 방향을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안테나 방향 설정 방법은 보다 효과적으로 안테나의 지향 방향을 설정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ntenna direction setting method and an apparatus and system using the sa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setting a direction of an antenna having a removable collimator, obtaining antenna characteristic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antenna, generating an antenna beam pattern using the antenna characteristic information, and The method may include displaying an antenna beam pattern on a screen of the scope, receiving a target direction point through the scope screen, and adjusting a direction of the antenna to the target direction point. Therefore, the antenna direction sett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more effectively set the direction of the antenna.

Description

이동 통신 안테나 방향 설정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setting direction of mobile communication antenna}Method and apparatus for setting direction of mobile communication antenna

본 발명은 이동 통신 안테나 방향 설정 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 이동 통신망에서의 셀 커버리지 설계 시 안테나 설치 방향을 직관화하는 것이 가능한 이동 통신 안테나 방향 설정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장치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communication antenna direction setting method and an apparatus thereof, and more particularly, to a mobile communication antenna direction setting method and an apparatus and system using the same that can be intuitive to the antenna installation direction when designing cell coverage in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It is about.

안테나는 전기 신호 및 전자파 신호를 변환하는 부품으로서 공중의 무선 주파수 신호를 수신하여 전기 신호로 변환하거나 기지국 또는 모바일 기기 내부의 전기 신호를 무선 주파수 대역에 실어 공중에 전파하는 기능을 수행한다.The antenna converts an electric signal and an electromagnetic wave signal and receives a radio frequency signal from the air and converts the signal into an electric signal, or carries an electric signal inside a base station or a mobile device in a radio frequency band and propagates to the air.

이동 통신 시스템에 사용하는 안테나는 크게 전방향성 안테나(Omni Directional Antenna)와 지향성 안테나(Sector Antenna)로 분류될 수 있다.Antennas used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can be broadly classified into omni directional antennas and sector antennas.

전방향성 안테나는 통화량이 적은 교외 중소 도시와 연계 도로 및 개방된 지형 등에 주로 사용되고 있다. 반면, 지향성 안테나는 도심지 중심으로 유동 인구가 많아 통화량이 밀집되고 커버리지가 좁은 지역에 주로 사용되고 있다. Omni-directional antennas are mainly used in suburban small cities, roads and open terrain with low traffic volume. On the other hand, directional antennas are mainly used in urban areas, with a large floating population, and in areas with high traffic volume and narrow coverage.

전방향성 안테나는 수평 빔 패턴이 360° 전 방향에 걸쳐 동일한 세기로 공간에 전파되는 무지향성 안테나로 도달 거리가 짧을 뿐만 아니라 인접 셀과의 간섭을 유발할 수 있다. 또한 이용자의 활동이 거의 없는 산악지형이나 들판 등 전파 불요 지역에까지 동일한 세기의 에너지가 전파되므로 자원의 낭비 요소가 될 수 있다.The omni-directional antenna is an omnidirectional antenna whose horizontal beam pattern propagates in space with the same intensity over 360 ° omnidirectional, which can shorten the reach and cause interference with adjacent cells. In addition, since the energy of the same intensity is transmitted to areas where radio waves are not required, such as mountainous terrain or fields with little user activity, it can be a waste of resources.

따라서, 기지국 및 중계기 당 발생되는 통화량이 증가하게 되면, 초기 시설된 전방향성 안테나를 대신하여 지향성 빔 패턴으로 이득이 높은 섹터 지향성 안테나가 사용되게 된다.Therefore, when the amount of calls generated per base station and repeater increases, a sector-gain antenna having a high gain in the directional beam pattern is used instead of the initially installed omni-directional antenna.

최근, 이동 통신 기술의 발달에 따라 현재 출시되고 있는 이동 통신 안테나는 그 용도와 목적에 따라 다양한 크기 및 형태를 가지고 있으며, 그 종류에 따라 상이한 전기적인 특성 및 빔 패턴을 보여준다.Recently, mobile communication antennas that are currently released according to the development of mobile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e various sizes and shapes according to their use and purpose, and show different electrical characteristics and beam patterns according to their types.

특히, 이동 통신 안테나는 이동 통신 서비스의 통화 품질을 결정하는 핵심 부품중의 하나로서, 이동 통신망의 셀 커버리지 설계 단계에서 매우 중요하게 다루어지고 있다.In particular, the mobile communication antenna is one of the key components to determine the call quality of the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which is very important in the cell coverage design stag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특히, 이동 통신망의 초기 셀 커버리지 설계 시, 기지국 안테나의 방향 설정은 통화 품질 유지 및 음영 지역 해소를 위해 매우 중요하다.In particular, in the initial cell coverage design of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orientation of a base station antenna is very important for maintaining call quality and eliminating shadow areas.

하지만 종래에는 셀 커버리지 설계가 해당 지역의 지형/지물 및 현재 상황이 고려되지 않고, 단순히 시뮬레이션 작업을 통해 수행되는 단점이 있었다.However, in the related art, the cell coverage design does not consider the terrain / feature and the current situation of the region, and has a disadvantage in that it is simply performed through a simulation operation.

따라서, 이동 통신 서비스 운영자는 셀 커버리지 설계에 따라 안테나가 설치되면, 실제 이동 단말기 및 시뮬레이션 장비 등을 이용하여 필드 테스트를 별도로 수행하는 것이 일반적이다.Therefore, when an antenna is installed according to a cell coverage design, a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operator generally performs field tests separately using an actual mobile terminal and simulation equipment.

하지만, 과도한 필드 테스트는 많은 비용과 노력이 요구될 뿐만 아니라 새로운 안테나가 추가 또는 제거되거나 그 위치가 변경될 때마다 반복되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Excessive field tests, however, are costly and labor intensive and inconvenient to be repeated each time a new antenna is added or removed or its position is changed.

특히, 기존의 안테나 지향점 설계 방법은 작업자의 경험에 의존하는 경향이 많아, 경험이 부족한 작업자가 정확히 설계하는데 많은 어려움이 있었다. In particular, the conventional antenna directing point design method has a lot of tendency to depend on the experience of the operator, there was a lot of difficulty to design accurately by the inexperienced operator.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고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이동 통신 안테나 방향 설정 방법 및 그를 이용한 장치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of the prior art,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obile communication antenna direction setting method and apparatus and system using the same.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안테나 특성 정보를 이용하여 정확한 지향점을 획득하는 것이 가능한 안테나 방향 설정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ntenna direction setting method capable of obtaining an accurate direction point using antenna characteristic information.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조준경을 통해 안테나의 빔 패턴을 직접 확인하여 정확한 안테나 지향점을 획득하는 것이 가능한 안테나 방향 설정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ntenna direction setting method capable of acquiring an accurate antenna directing point by directly checking a beam pattern of an antenna through an aiming mirror.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조준경을 통해 주변 셀의 빔 패턴을 직접 확인하고 이를 이용하여 안테나의 정확한 지향점을 획득하는 것이 가능한 안테나 방향 설정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ntenna direction setting method capable of directly checking a beam pattern of a neighboring cell through an aiming mirror and using the same to obtain an accurate directing point of the antenna.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간섭 및 음영 지역을 최소화시키는 것이 가능한 안테나 방향 설정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It is a fur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antenna orientation method which is capable of minimizing interference and shadow areas.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방법들을 지원하는 장치, 시스템 및 기록 매체를 제공하는 것이다.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apparatus, system and recording medium which support the above methods.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echnical problems to be achiev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technical problems, and other technical problems not mentioned above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Could be.

본 발명은 이동 통신 안테나 방향 설정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장치 및 시스템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obile communication antenna direction setting method and apparatus and system supporting the sam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착탈식 조준경이 구비된 안테나의 방향을 설정하는 방법은 상기 안테나에 대응하는 안테나 특성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와 상기 안테나 특성 정보를 이용하여 안테나 빔 패턴을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안테나 빔 패턴을 상기 조준경의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와 상기 조준경의 화면을 통해 타켓 지향점을 입력 받는 단계; 및 상기 타켓 지향점으로 상기 안테나의 지향 방향을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setting a direction of an antenna having a removable collimator, obtaining antenna characteristic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antenna, generating an antenna beam pattern using the antenna characteristic information, and Displaying an antenna beam pattern on a screen of the sight and receiving a target directing point through the screen of the sight; And adjusting the directing direction of the antenna with the target directing point.

여기서, 상기 안테나 특성 정보는 상기 안테나의 방사 패턴을 식별하기 위한 방사 패턴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antenna characteristic information may include radiation pattern information for identifying the radiation pattern of the antenna.

특히, 상기 방사 패턴 정보는 수직 빔 폭(E-plane) 정보, 수평 빔 폭(H-plane) 정보, 전력 밀도, 지향도, 편파 특성, 상하좌우 틸트 값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In particular, the radiation pattern information may include at least one of vertical beam width (E-plane) information, horizontal beam width (H-plane) information, power density, directivity, polarization characteristics, up, down, left and right tilt values.

또한, 상기 안테나 빔 패턴은 메인 빔(Main Beam), 사이드 로브(Side Lobe), 널 지점(Null Point), 백 로브(Back Lobe)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antenna beam pattern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main beam, a side lobe, a null point, and a back lobe.

또한, 상기 조준경의 화면에 방위 정보, 현재 안테나의 지향 각도 정보, 메인 빔의 최대 도달 거리 정보, 상기 안테나와 상기 타켓 지향점 사이의 거리 정보 중 적어도 하나가 더 표시될 수 있다.In addition, at least one of orientation information, orientation angle information of the current antenna, maximum reach distance information of the main beam, and distance information between the antenna and the target orientation point may be further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scope.

또한, 상기 안테나의 일측에 부착된 태그로부터 제품 식별 코드를 추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안테나 특성 정보가 상기 제품 식별 코드에 대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extracting a product identification code from a tag attached to one side of the antenna, wherein the antenna characteristic information corresponds to the product identification code.

여기서, 상기 태그는 RFID 태그, 바코드 태그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Here, the tag may be any one of an RFID tag and a barcode tag.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의 방향을 설정하는 방법은 상기 안테나에 대응되는 셀의 인접 셀 리스트를 획득하는 단계와 상기 인접 셀 리스트에 대응하는 인접 셀 안테나 특성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와 상기 인접 셀 안테나 특성 정보를 이용하여 인접 셀 안테나 빔 패턴을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안테나의 빔 패턴 및 상기 인접 셀 안테나 빔 패턴을 이용하여 타켓 지향점을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타켓 지향점으로 상기 안테나의 지향 방향을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setting a direction of an antenna, the method comprising: acquiring a neighbor cell list of a cell corresponding to the antenna; acquiring neighbor cell antenna characteristic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neighbor cell list; Generating a neighboring cell antenna beam pattern using neighboring cell antenna characteristic information, calculating a target direction point using the beam pattern of the antenna and the neighboring cell antenna beam pattern, and directing the direction of the antenna to the target direction point. Adjusting may be included.

여기서, 상기 타켓 지향점은 상기 인접 셀 안테나 빔 패턴과 상기 안테나의 빔 패턴 사이의 중첩에 의한 간섭 현상과 음영 지역 발생이 최소화되도록 산출될 수 있다.Here, the target directing point may be calculated to minimize the occurrence of interference phenomenon and shadow area due to overlap between the adjacent cell antenna beam pattern and the beam pattern of the antenna.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의 방향을 설정하는 장치는 상기 안테나의 지향 방향과 동일 선상으로 설치되는 조준경과 상기 안테나에 대응하는 안테나 특성 정보를 이용하여 안테나 빔 패턴을 생성하는 안테나 빔 패턴 생성 모듈과 상기 안테나 빔 패턴을 상기 조준경의 화면에 표시하는 제어부와 및 상기 제어부의 제어 신호에 따라 타켓 지향점으로 상기 안테나의 지향 방향을 조정하는 안테나 방향 조정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An apparatus for setting the direction of an antenn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generates an antenna beam pattern for generating an antenna beam pattern by using a collimator installed in the same line as the direction of the antenna and antenna characteristic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antenna. The module may include a control unit for displaying the antenna beam pattern on the screen of the aiming mirror, and an antenna direction adjusting module for adjusting the directing direction of the antenna to a target directing point according to a control signal of the control unit.

특히, 상기 장치는 상기 안테나의 일측에 부착된 태그를 인식하여 상기 안테나에 대응하는 제품 식별 코드를 독출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안테나 특성 정보는 상기 제품 식별 코드를 이용하여 획득될 수 있다.In particular, the apparatus further includes a communication unit for recognizing a tag attached to one side of the antenna to read a product identification code corresponding to the antenna, the antenna characteristic information may be obtained using the product identification code. .

또한, 상기 통신부는 무선 통신 모듈을 포함하되, 상기 무선 통신 모듈을 통해 외부 서버에 접속하여 상기 제품 식별 코드에 대응하는 상기 안테나 특성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The communication unit may include a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and may access the external server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to obtain the antenna characteristic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product identification code.

또한, 상기 타켓 지향점은 상기 조준경의 일측에 구비된 입력 버튼을 통해 설정되며, 상기 설정된 타켓 지향점은 상기 제어부에 전달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target directing point may be set through an input button provided at one side of the aiming mirror, and the set target directing point may be transmitted to the controller.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방향 설정 시스템은 소정 안테나 특성 정보 코드에 대응되는 안테나 특성 정보를 유지하고, 외부 요청에 따라, 상기 안테나 특성 정보를 제공하는 안테나 특성 정보 제공 서버와 상기 안테나 특성 정보를 무선 통신망을 통해 수신하고, 상기 안테나 특성 정보를 이용하여 안테나 빔 패턴을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안테나 빔 패턴을 구비된 조준경의 화면상에 표시하고, 상기 조준경 화면을 통해 타켓 지향점을 입력 받아 안테나의 지향 방향을 제어하는 안테나 방향 설정 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안테나 방향 설정 장치의 일측에 부착된 태그로부터 상기 안테나 특성 정보 코드가 독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 antenna direction setting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intains antenna characteristic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a predetermined antenna characteristic information code, and according to an external request, an antenna characteristic information providing server and the antenna characteristic providing the antenna characteristic information according to an external request. Receives information through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generates an antenna beam pattern using the antenna characteristic information, displays the generated antenna beam pattern on a screen of the sight provided with the target, and receives a target direction point through the sight screen. Including an antenna direction setting device for controlling the direction of the antenna, characterized in that the antenna characteristic information code is read from a tag attached to one side of the antenna direction setting device.

여기서, 상기 안테나 방향 설정 시스템은 상기 무선 통신망에 연결되어 특정 셀에 대응하는 인접 셀 리스트, 상기 특정 셀에 설치된 안테나의 안테나 지향 각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제공하는 기지국 정보 제공 서버를 더 포함하되, 상기 안테나 지향 각도 정보를 더 이용하여 상기 안테나 빔 패턴이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antenna direction setting system may further include a base station information providing server connected to the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to provide at least one of a neighbor cell list corresponding to a specific cell and antenna orientation angle information of an antenna installed in the specific cell. The antenna beam pattern is generated by further using antenna orientation angle information.

상기 본 발명의 양태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 중 일부에 불과하며, 본원 발명의 기술적 특징들이 반영된 다양한 실시예들이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이하 상술할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을 기반으로 도출되고 이해될 수 있다.The above asp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merely some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various embodiments in which the technic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reflected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elow by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be derived and understood.

본 발명에 따른 이동 통신 안테나 방향 설정 방법 및 그 장치 및 시스템에 대한 효과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a method of setting a direction of a mobile communication antenna and an effect on the apparatus and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첫째, 본 발명은 안테나 특성 정보를 이용하여 정확한 안테나 지향점을 획득하는 것이 가능한 안테나 방향 설정 방법을 제공하는 장점이 있다.First,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advantage of providing an antenna direction setting method capable of obtaining an accurate antenna directing point using antenna characteristic information.

둘째, 본 발명은 작업자가 안테나의 일측에 구비된 조준경을 통해 안테나의 빔 패턴을 직접 확인함으로써, 보다 정확한 안테나 지향점을 획득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Second,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dvantage that the operator can obtain a more accurate antenna directing point by directly confirming the beam pattern of the antenna through the sight provided on one side of the antenna.

셋째, 본 발명은 작업자가 안테나의 일측에 구비된 조준경을 통해 주변 셀의 빔 패턴을 직접 확인하고, 이를 이용하여 안테나의 정확한 지향점을 획득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Third,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dvantage that the operator can directly check the beam pattern of the neighboring cell through the sight provided on one side of the antenna, to obtain the exact direction of the antenna using this.

넷째, 본 발명은 상기한 장점들을 통해 작업자가 안테나를 설치하는데 소용되는 시간 및 노력을 최소화함으로써, 셀 커버리지 설계에 소요되는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Fourth, the present invention can minimize the time and effort required for the operator to install the antenna through the above advantages,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cost required for cell coverage design.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Effects obtain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effects,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above may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will be.

이하에 첨부되는 도면들은 본 발명에 관한 이해를 돕기 위한 것으로,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에 대한 실시예들을 제공한다. 다만,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이 특정 도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각 도면에서 개시하는 특징들은 서로 조합되어 새로운 실시예로 구성될 수 있다.
도 1a 내지 1b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안테나의 종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a 내지 도 2c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안테나의 방사 패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안테나 방향 설정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이동 통신 안테나 방향 설정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안테나 방향 설정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에 조준경을 거치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안테나 방향 설정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안테나 방향 설정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accompanying drawings are provided to facilitate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provid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ogether with the detailed description. However, the technic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specific drawings, and the features disclosed in the drawings may be combined with each other to constitute a new embodiment.
1A to 1B are diagrams illustrating types of antennas to help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s 2a to 2c is a view showing the radiation pattern of the antenna to help the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block diagram of a mobile communication antenna direction sett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block diagram of a mobile communication antenna direction set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view for explaining a mobile communication antenna direction sett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diagram for describing a method of mounting an aiming mirror on an antenna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7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obile communication antenna direction sett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obile communication antenna direction setting metho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적용되는 장치 및 다양한 방법들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Hereinafter, an apparatus and various methods to which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applied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suffixes "module" and "unit" for components used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re given or mixed in consideration of ease of specification, and do not have distinct meanings or roles from each other.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이동 통신 시스템에 사용되고 있는 안테나 기술을 간단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the antenna technology used in the mobile communication system to help the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briefly described.

이동 통신 시스템은 셀 간 혹은 셀 내에서 발생되는 동일 채널 간섭 신호와 다중 경로 페이딩, 신호의 지연 및 도플러 확산, 음영 현상 등과 같은 무선 채널 특성에 의해 시스템의 성능과 용량이 제한될 수 있다.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performance and capacity of a system may be limited by radio channel characteristics such as co-channel interference signals and multipath fading, signal delay and Doppler spread, and shadowing occurring between cells.

상기한 성능 및 용량 제한 현상을 극복하기 위해, 최근에는 다양한 전력 제어 기술, 채널 코딩 기술, 레이크(RAKE) 수신 기술, 다이버시티(Diversity) 안테나 기술, 셀의 섹터화 기술, 주파수 분할 기술, 대역 확산 기술 등이 활용되고 있다.In order to overcome the above performance and capacity limitation, recently, various power control techniques, channel coding techniques, RAKE reception techniques, diversity antenna techniques, cell sectorization techniques, frequency division techniques, and band spreading Technology is used.

특히, 최근에는 무선 채널 특성에 의한 열화 및 주변 셀로부터의 간섭에 따른 용량 감소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유망 핵심 기술로서 스마트 안테나 기술이 각광받고 있다.In particular, smart antenna technology has been in the spotlight as a promising core technology for solving the problem of capacity reduction due to degradation due to radio channel characteristics and interference from neighboring cells.

종래에는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섹터화된 각 셀에 2개의 수신 안테나와 1개의 송신 안테나가 구비되어 고정 빔을 방사하는 다중 섹터 안테나(10) 또는 복수의 지향성 안테나에서 고정 빔을 방사하고 안테나의 스위칭이 가능한 멀티빔 스위치 안테나(15)가 일반적으로 사용되었다.Conventionally, as shown in FIG. 1A, two sector antennas and one transmit antenna are provided in each sectored cell to radiate a fixed beam from a multi-sector antenna 10 or a plurality of directional antennas that emit a fixed beam. A multibeam switch antenna 15 capable of switching of has been generally used.

하지만, 최근에는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열 안테나와 빔 형성기를 이용하여 각 사용자 단말기에 적응적으로 지향성 빔을 형성하고 이를 방사하는 것이 가능한 스마트 안테나(20)가 사용되고 있다.Recently, however, as shown in FIG. 1B, a smart antenna 20 capable of adaptively forming and radiating a directional beam in each user terminal using an array antenna and a beam former has been used.

일반적으로, 스마트 안테나는 송신단에서 두 개 이상의 안테나를 사용하고, 채널 정보를 능동적으로 이용하여 안테나의 효율성을 증대시켜 이득을 높일 수 있으며, 셀 내의 간섭을 줄일 수 있는 기술이다. In general, a smart antenna uses two or more antennas at a transmitting end and actively uses channel information to increase the efficiency of the antenna to increase gain and to reduce interference in a cell.

또한, 스마트 안테나 기술은 기지국이 모바일 기기로부터 수신되는 상향 링크 신호를 기반으로 사용자의 위치를 파악하고, 기지국 안테나의 전파 신호가 해당 사용자에게 집중되어 전송되게 제어함으로써, 송수신 성능을 높이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mart antenna technology can provide a function of improving the transmission and reception performance by determining the location of the user based on the uplink signal received from the mobile device, and control the radio signal of the base station antenna to be transmitted to the user. Can be.

스마트 안테나는 빔 형성 방식에 따라 여러 가지 방식으로 분류될 수 있다. 여기서, 빔은 각 안테나 별 가중치에 따라 그 모양이 결정된다. 이때, 가중치는 기지국과 단말기간의 채널을 추정하여 산출할 수 있다.Smart antennas can be classified in various ways according to the beam forming method. Here, the shape of the beam i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weight of each antenna. In this case, the weight may be calculated by estimating a channel between the base station and the terminal.

이하에서는 안테나의 빔 패턴을 도 2a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the beam pattern of the antenna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2A.

도 2a를 참조하면, 일반적인 안테나의 전력 패턴은 전 방향 복사 전력뿐만 아니라 후 방향 복사 전력을 포함한다. 특히, 후 방향 복사 전력은 동일 기지국의 인접 셀에 원치 않는 간섭을 유발시킬 수 있다. 특히, 각 방향의 복사 전력은 안테나의 특성에 따라, 상이한 방사 패턴(radiation pattern)을 보일 수 있다.Referring to FIG. 2A, the power pattern of a typical antenna includes not only forward radiation power but also backward radiation power. In particular, the backward radiant power can cause unwanted interference in adjacent cells of the same base station. In particular, the radiant power in each direction may show a different radiation pattern, depending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antenna.

여기서, 방사 패턴은 안테나의 방사 특성을 공간 좌표계의 형태로 수학적 함수나 도해적 표현으로 나타낼 수 있다. 이러한, 방사 패턴에는 전계 패턴, 전력 패턴, 위상 패턴 등이 있을 수 있으며, 주로 전계 패턴이 많이 이용되고 있다.Here, the radiation pattern may represent the radiation characteristics of the antenna in the form of a spatial coordinate system as a mathematical function or graphical representation. Such a radiation pattern may include an electric field pattern, a power pattern, a phase pattern, and the like, and a lot of electric field patterns are mainly used.

일반적으로 방사 패턴도(radiaton pattern plot)는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위각과 고도 중 한 각을 고정하고 다른 한 각만이 변화하는 E평면 또는 H평면과 같은 주평면 패턴도가 사용될 수 있다.In general, as shown in FIG. 2B, a radial pattern plot may use a main plane pattern diagram such as an E plane or an H plane in which one of the azimuth and the altitude is fixed and only the other is changed.

여기서, E평면은 전계 벡터를 포함하고 최대 방사 방향을 함께 갖는 단일 명을 의미하고, H평면은 자계 벡터를 포함하고 최대 방사 방향을 함께 갖는 단일 면을 의미한다. Here, the E plane means a single name including an electric field vector and having a maximum radial direction, and the H plane means a single plane including a magnetic field vector and having a maximum radial direction.

특히, 도 2b는 무지향성이 아닌 지향 특성이 있는 안테나에서의 방사 패턴을 구좌표계를 통해 3차원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여기서, 패턴도는 극좌표 기점법(polar plot), 선형 플롯(linear plot), 3차원 플롯(3-dimentional plot) 등을 포함한다.In particular, Figure 2b shows a radiation pattern in three-dimensional through the spherical coordinate system in the antenna having a non-directional orientation characteristic. Here, the pattern diagram includes a polar plot, a linear plot, a three-dimensional plot, and the like.

방사 패턴이 전력 패턴으로 표시되는 경우, 방사 패턴도는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로축과 세로축은 각각 각도(Angle)와 데시벨(dB)로 표시될 수 있다. 여기서, 데시벨은 전압(전계 강도)의 제곱을 의미한다.When the radiation pattern is represented by the power pattern, as shown in FIG. 2C, the horizontal axis and the vertical axis may be represented by angle (Angle) and decibel (dB), respectively. Here, the decibel means the square of the voltage (field strength).

방사 패턴의 각 부분을 로브(lobe)라 표현하며, 도 2a 도시된 바와 같이, 방사 패턴은 중앙에 위치한 주엽 또는 메인 빔(Main Beam), 메인 빔의 좌/우에 위치하는 반구형의 측엽 또는 사이드 로브(Side lobes), 안테나의 지향 방향의 반대쪽에 위치하는 후엽 또는 백 로브(Back Lobes)-도 2a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음- 및 각각의 사이드 로브를 구분하는 널(Null)들로 구성된다.Each part of the radiation pattern is referred to as a lobe, and as shown in FIG. 2A, the radiation pattern includes a main lobe or main beam centrally located, and a hemispherical side lobe or side lobe located left and right of the main beam. Side lobes, back lobes or back lobes located opposite to the direction of the antenna's direction (not shown in FIG. 2A) and nulls that distinguish each side lobe.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 통신 안테나 방향 설정 방법 및 그를 이용한 장치 및 시스템들을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a mobile communication antenna direction setting method and apparatus and systems using the s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방향 설정 시스템 구성도이다.3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n antenna direction sett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방향 설정 시스템은 안테나 방향 설정 장치(300), 안테나(310), 이동 통신 시스템(320), 기지국 정보 제공 서버(330), 안테나 특성 정보 제공 서버(340) 및 인터넷 망(35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3, the antenna direction sett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antenna direction setting device 300, an antenna 310,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320, a base station information providing server 330, and an antenna. I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feature information providing server 340 and the Internet network 350.

안테나 방향 설정 장치(300)는 안테나 특성 정보를 이용하여 안테나 빔 패턴을 생성하고, 생성된 안테나 빔 패턴을 안테나(310)의 일측에 착탈식으로 장착되는 조준경 화면에 표시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방향 설정 장치(300)는 안테나(300)의 내부 또는 외부의 일측에 설치되거나 소정의 유선 또는 무선 인터페이스를 통해 안테나(300) 및 조준경 화면을 제어할 수 있다.The antenna direction setting apparatus 300 may generate an antenna beam pattern by using antenna characteristic information, and display the generated antenna beam pattern on a sight screen mounted detachably to one side of the antenna 310. The antenna direction setting apparatus 3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nstalled at one side of the inside or outside of the antenna 300 or control the antenna 300 and the sight screen through a predetermined wired or wireless interface.

이때, 조준경 화면에는 안테나 방향 설정 장치(300)에 의해 생성된 안테나 빔 패턴뿐만 아니라 조준경의 접안 렌즈를 통해 보여지는 안테나 지향 방향의 실제 풍경이 함께 보여짐을 주의해야 한다.At this time, it should be noted that not only the antenna beam pattern generated by the antenna direction setting device 300 but also the actual landscape of the antenna orientation direction seen through the eyepiece of the scope is displayed on the scope screen.

또한, 안테나 방향 설정 장치(300)는 조준경을 통해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타켓 지향점 또는 안테나 방향 설정 장치 내부(300)에 구비된 소정 기능 모듈에 의해 산출된 타켓 지향점을 이용하여 해당 안테나의 지향 방향을 조정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antenna direction setting device 300 adjusts the direction of the antenna using the target direction point set by the user through the sight or the target direction point calculated by the predetermined function module included in the antenna direction setting device 300. Can be.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안테나 방향 설정 장치(300)는 인접 셀의 안테나 방사 패턴을 분석하여 간섭 및 음영 현상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타켓 지향점을 산출할 수 있다. 즉, 안테나 방향 설정 장치(300)는 인접 셀의 안테나 방사 패턴과 설치할 안테나의 방사 패턴이 서로 중첩되지 않고, 음영 지역의 발생을 최소화시킬 수 있도록 타켓 지향점을 결정할 수 있다.In particular, the antenna direction setting apparatus 3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calculate a target direction point that may minimize interference and shadowing by analyzing antenna radiation patterns of adjacent cells. That is, the antenna direction setting apparatus 300 may determine the target direction point so that the antenna radiation pattern of the adjacent cell and the radiation pattern of the antenna to be installed do not overlap each other and minimize generation of the shadow area.

이때, 안테나 설치 작업자는 인접 셀 방사 패턴 및 설치할 안테나의 방사 패턴을 조준경 화면을 통해 직접 확인할 수 있다. 이때, 인접 셀 방사 패턴과 설치 안테나 방사 패턴의 조준경 화면상에서의 표시는 육안으로 식별이 가능하도록 서로 다른 색으로 표시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antenna installation operator can directly check the adjacent cell radiation pattern and the radiation pattern of the antenna to be installed through the sight screen. In this case, the display on the sight screen of the adjacent cell radiation pattern and the installation antenna radiation pattern may be displayed in different colors to be visually identified.

상기한 안테나 특성 정보는 안테나(310)의 일측에 부착된 바코드 태그 또는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태그로부터 독출된 안테나 특성 정보 코드를 이용하여 획득될 수 있다.The antenna characteristic information may be obtained using an antenna characteristic information code read from a barcode tag or a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tag attached to one side of the antenna 310.

예를 들면, 안테나 설치 작업자는 바코드 인식 기능이 구비된 정보 기기를 이용하여 안테나의 일측에 부착된 바코드 태그 또는 RFID 태그로부터 제품 코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 후, 정보 기기는 인터넷망(350)에 연결된 안테나 특성 정보 제공 서버(340)에 접속하여 제품 코드 정보에 대응하는 안테나 특성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연이어, 정보 기기는 안테나 특성 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안테나의 빔 패턴을 생성한 후 조준경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정보 기기는 상기한 안테나 방향 설정 장치(300)일 수 있다.For example, the operator of the antenna may obtain the product code information from the barcode tag or the RFID tag attached to one side of the antenna using an information device having a barcode recognition function. Thereafter, the information device may access the antenna characteristic information providing server 340 connected to the Internet network 350 to obtain antenna characteristic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product code information. Subsequently, the information device may generate a beam pattern of the corresponding antenna by using the antenna characteristic information and display it on the scope screen. Here, the information device may be the above-described antenna direction setting device 300.

안테나(310)는 이동 통신 시스템(320)의 기지국에 연결되며,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되는 신호를 공중에 전파하거나 모바일 기기로부터 수신되는 무선 신호를 전기 신호로 변환하여 기지국에 전달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안테나(310)는 안테나의 방향 설정을 위한 조준경이 부착될 수 있는 조준경 지지대가 일측에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조준경 지지대의 설치 방향은 조준경의 주시 방향과 안테나의 지향 방향이 서로 일치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antenna 310 is connected to the base st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system 320 and may propagate a signal received from the base station to the air or convert a wireless signal received from the mobile device into an electrical signal and transmit the signal to the base station. Antenna 3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ovided on one side of the scope support that can be attached to the scope for setting the direction of the antenna. At this time, the installation direction of the sight support is preferably configured so that the direction of the sight of the sight and the direction of the antenna coincide with each other.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방향 설정 장치(300)는 해당 안테나의 타켓 지향점을 산출한 후 안테나 지향 방향이 타켓 지향점과 일치되도록 조정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안테나(310)의 일측에는 안테나의 지향 방향을 조정할 수 있는 전기적인 구동 장치-이하, "안테나 방향 조정 모듈"이라 명함-가 구비될 수 있다.The antenna direction setting apparatus 3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calculate the target direction point of the antenna and adjust the antenna direction so that the antenna direction corresponds to the target direction point. To this end, one side of the antenna 310 may be provided with an electric drive device for adjusting the directing direction of the antenna hereinafter, a business card referred to as an "antenna direction adjustment module".

이동 통신 시스템(320)은 적용된 표준 규격에 따라 다양한 형상 및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이동 통신 시스템(320)은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등을 포함한 2세대 통신망,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2000 등을 포함한 3세대 통신망, HSPA(High Speed Packet Access) 등을 포함한 3.5세대 통신망, LTE(Long Term Evolution), LTE-Advanced 등을 포함한 4세대 통신망 중 어느 하나이거나 상기 언급된 적어도 하나의 통신망의 조합일 수 있다.The mobile communication system 320 may have various shapes and structures according to the applied standard. For example, the mobile communication system 320 may include a second generation communication network including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 a 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GSM), a third generation communication network including 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 a CDMA2000, and the like. , 3.5G communication network including HSPA (High Speed Packet Access), etc., 4G communication network including Long Term Evolution (LTE), LTE-Advanced, etc., or any combination of the above-mentioned communication networks.

기지국 정보 제공 서버(330)는 이동 통신 시스템(320)을 구성하는 기지국 관련 정보를 제공하는 장치로서, 특히, 특정 셀에 대응되는 인접 셀 리스트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이동 통신 시스템(320)을 구성하는 셀은 소정의 셀 식별자를 통해 고유하게 식별될 수 있으며, 인접 셀 리스트는 특정 셀 주변에 위치한 셀들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셀 식별자들로 구성될 수 있다.The base station information providing server 330 is an apparatus for providing base station related information constituting the mobile communication system 320, and in particular, may provide a neighbor cell list corresponding to a specific cell. Here, a cell constituting the mobile communication system 320 may be uniquely identified through a predetermined cell identifier, and the neighbor cell list may be configured with at least one cell identifier corresponding to cells located around a specific cell. .

본 발명에 따른 기지국 정보 제공 서버(330)는 해당 기지국 또는 셀의 위치 정보를 제공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기지국 정보 제공 서버(330)는 셀 식별자에 대응되는 위치 정보를 유지할 수 있으며, 외부 요청에 따라, 위치 정보에 대응하는 셀 식별자를 제공하거나, 해당 위치 정보에 대응하는 셀의 인접 셀 리스트를 제공할 수 있다.The base station information providing server 33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provide location information of a corresponding base station or cell. For example, the base station information providing server 330 may maintain loca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cell identifier, and may provide a cell identifier corresponding to the location information or an adjacent cell of the cell corresponding to the location information according to an external request. You can provide a list.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 정보 제공 서버(330)는 해당 셀에 대응되는 안테나의 현재 지향 각도 정보-이하, 안테나 지향 각도 정보-를 내부 메모리에 유지할 수 있으며, 외부 요청에 따라, 특정 셀 식별자에 대응하는 안테나 지향 각도 정보를 제공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base station information providing server 33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maintain the current orientation angle information hereinafter, antenna orientation angle information of the antenna corresponding to the cell in the internal memory, according to an external request In addition, antenna-oriented angl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a specific cell identifier may be provid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방향 설정 장치(300)는 특정 안테나가 위치한 셀의 위치를 측정할 수 있는 측위 모듈을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안테나 방향 설정 장치(300)는 해당 셀의 위치에 대응하는 셀 식별자 및 인접 셀 리스트를 기지국 정보 제공 서버(330)에 접속하여 획득할 수 있다. 여기서, 안테나 방향 설정 장치(3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터넷망(350) 또는 이동 통신 시스템(320)을 통해 기지국 정보 제공 서버(330)에 접속할 수 있다.The antenna direction setting device 3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positioning module that can measure the position of a cell in which a specific antenna is located. In this case, the antenna direction setting apparatus 300 may obtain the cell identifier and the neighbor cell list corresponding to the location of the corresponding cell by accessing the base station information providing server 330. Here, as shown in FIG. 3, the antenna direction setting apparatus 300 may access the base station information providing server 330 through the Internet network 350 or the mobile communication system 320.

안테나 특성 정보 제공 서버(340)는 외부 요청에 따라 특정 안테나의 방사 패턴을 식별하기 파라메터들로 구성된 안테나 특성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안테나 특성 정보는 제품 식별 코드 및 셀 식별자에 대응되도록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저장될 수 있다. 일 예로, 안테나 방향 설정 장치(300)는 소정의 제어 절차를 통해 바코드 태그 또는 RFID 태그로부터 독출한 제품 식별 코드에 대응하는 안테나 특성 정보를 안테나 특성 정보 제공 서버(340)에 접속하여 획득할 수 있다.The antenna characteristic information providing server 340 may provide antenna characteristic information configured with parameters for identifying a radiation pattern of a specific antenna according to an external request. Here, the antenna characteristic information may be stored in a database so as to correspond to the product identification code and the cell identifier. For example, the antenna direction setting apparatus 300 may obtain antenna characteristic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a product identification code read from a barcode tag or an RFID tag by accessing the antenna characteristic information providing server 340 through a predetermined control procedure. .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특성 정보는 해당 안테나의 방사 패턴뿐만 아니라 해당 안테나의 현재 지향 각도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Antenna characteristic inform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the current direction angle information of the antenna as well as the radiation pattern of the antenna.

다른 일 예로, 안테나 방향 설정 장치(300)는 구비된 측위 모듈을 이용하여 위치 정보를 획득하고, 소정의 제어 절차를 통해 위치 정보에 대응하는 셀 식별자를 기지국 정보 제공 서버(33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As another example, the antenna direction setting apparatus 300 may acquire location information by using the positioning module, and receive a cell identifier corresponding to the location information from the base station information providing server 330 through a predetermined control procedure. have.

연이어, 안테나 방향 설정 장치(300)는 소정의 제어 절차를 통해 셀 식별자에 대응하는 안테나 특성 정보를 안테나 특성 정보 제공 서버(34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Subsequently, the antenna direction setting apparatus 300 may receive antenna characteristic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cell identifier from the antenna characteristic information providing server 340 through a predetermined control procedure.

이후, 안테나 방향 설정 장치(300)는 안테나 특성 정보를 이용하여 안테나 빔 패턴을 생성한 후 조준경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안테나 방향 설정 장치(300)는 기지국 정보 제공 서버(330)로부터 안테나 지향 각도 정보를 더 수신할 수 있으며, 수신된 안테나 지향 각도 정보를 이용하여 조준경에 표시되는 안테나 빔 패턴의 모양을 적응적으로 변경할 수 있다.Subsequently, the antenna direction setting apparatus 300 may generate an antenna beam pattern using the antenna characteristic information and then display the antenna beam pattern on the sight screen. In this case, the antenna direction setting apparatus 300 may further receive antenna orientation angle information from the base station information providing server 330, and adaptively shapes the shape of the antenna beam pattern displayed on the scope using the received antenna orientation angle information. Can be changed.

일 예로, 안테나의 지향 각도에 따라 조준경 화면에 표시되는 안테나 빔 패턴은 그 크기가 변경될 수 있다. 즉, 안테나의 지향 방향이 지면에 가까울수록 안테나 빔의 크기는 작아질 수 있다. 반면, 안테나의 지향 방향이 지면에서 멀어질수록 안테나 빔의 크기는 커질 수 있다.For example, the size of the antenna beam pattern displayed on the scope screen may be changed according to the orientation angle of the antenna. That is, the closer the direction of the antenna is to the ground, the smaller the size of the antenna beam can be. On the other hand, as the direction of the antenna moves away from the ground, the size of the antenna beam may increas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특성 정보는 안테나의 방사 패턴을 식별하기 위한 정보로서, 수직 빔 폭(E-plane) 정보, 수평 빔 폭(H-plane) 정보, 전력 밀도, 지향도, 편파 특성, 상하좌우 틸트 값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Antenna characteristic inform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formation for identifying the radiation pattern of the antenna, vertical beam width (E-plane) information, horizontal beam width (H-plane) information, power density, directivity, polarization Information on at least one of a characteristic and a tilt value may be included.

이때, 빔 폭의 크기는 반전력 빔 폭(Half Power Beam Width)이 사용될 수 있다. 여기서, 반전력 빔 폭은 상기한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최대 빔(Main Beam) 방향의 전력을 기준으로 전력이 반으로 줄어드는 지점-이하,"3dB 지점"이라 명함- 까지의 각도를 의미한다.In this case, a half power beam width may be used as the size of the beam width. Here, as shown in FIG. 2A, the half-power beam width refers to an angle up to a point at which the power is reduced in half based on the power in the direction of the main beam (hereinafter referred to as “3 dB point”). do.

지향도는 안테나의 방사 패턴이 특정 방향으로 얼마나 더 많이 집중되었는지를 확인하기 위한 정보로서, 크게 등방성, 전방향성, 지향성 등으로 구분될 수 있다.The directivity is information for confirming how much the radiation pattern of the antenna is concentrated in a specific direction, and may be largely classified into isotropic, omnidirectional, and directivity.

등방성 안테나는 다이폴 안테나와 같이 지향성 없이 모든 방향으로 동일하게 전파를 보내는 안테나를 의미한다.Isotropic antenna refers to an antenna that transmits the same radio waves in all directions without directivity, such as a dipole antenna.

전방향성 안테나는 수평면에서 지향 특성이 무지향성인 안테나를 의미하고, 지향성 안테나는 특정 방향으로의 지향성을 가지는 안테나를 의미한다.The omnidirectional antenna refers to an antenna whose directivity is nondirectional in the horizontal plane, and the directional antenna refers to an antenna having directivity in a specific direction.

편파 특성은 전자파의 전계(E-Field) 방향성을 의미하며, 전계의 방향과 모양에 따라, 크게 선형 편파, 원형 편파, 타원 편파가 있을 수 있다. 특히, 선형 편파는 다시 수직 편파와 수평 편파로 구분될 수 있다.    Polarization characteristic refers to the direction of the electromagnetic field of the electromagnetic wave (E-Field), depending on the direction and shape of the electric field, there may be a large linear polarization, circular polarization, elliptic polarization. In particular, the linear polarization may be further divided into a vertical polarization and a horizontal polarization.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방향 설정 장치(300)는 내부 데이터베이스에 제품 식별 코드에 상응하는 안테나 특성 정보를 미리 유지할 수도 있다. 따라서, 안테나 방향 설정 장치(300)는 별도의 서버 접속 없이 안테나 특성 정보에 상응하는 안테나 빔 패턴을 생성할 수 있다.The antenna direction setting apparatus 300 according to another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previously maintain antenna characteristic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a product identification code in an internal database. Therefore, the antenna direction setting apparatus 300 may generate an antenna beam pattern corresponding to the antenna characteristic information without a separate server connection.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방향 설정 장치의 구성도이다.4 is a block diagram of an antenna direction set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안테나 방향 설정 장치(300)는 제어부(410), 안테나 빔 패턴 생성 모듈(420), 인접 셀 빔 패턴 생성 모듈(430), 타켓 지향점 산출 모듈(440), 안테나 방향 조정 모듈(450), 통신부460), 측위 모듈(470)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4, the antenna direction setting apparatus 3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ntrol unit 410, an antenna beam pattern generation module 420, an adjacent cell beam pattern generation module 430, a target directing point calculation module 440, The antenna may include at least one of the antenna direction adjusting module 450, the communication unit 460, and the positioning module 470.

제어부(410)는 장치의 전체적인 제어 및 조준경(490) 화면 출력을 제어할 수 있다. 특히, 제어부(410)는 장치에서 생성된 안테나 빔 패턴을 조준경 화면에 표시하거나, 조준경(490)으로부터 수신되는 입력 신호에 따라 하부 모듈을 제어 할 수 있다. 여기서, 하부 모듈은 안테나 빔 패턴 생성 모듈(420), 인접 셀 빔 패턴 생성 모듈(430), 타켓 지향점 산출 모듈(440), 안테나 방향 조정 모듈(450), 통신 모듈(460), 측위 모듈(470)을 포함할 수 있다.The controller 410 may control the overall control of the device and the screen output of the sight 490. In particular, the controller 410 may display the antenna beam pattern generated by the device on the scope screen or control the lower module according to an input signal received from the scope 490. Here, the lower module is an antenna beam pattern generation module 420, an adjacent cell beam pattern generation module 430, a target directing point calculation module 440, an antenna direction adjustment module 450, a communication module 460, and a positioning module 470. ) May be included.

안테나 빔 패턴 생성 모듈(420)은 설치할 안테나에 대응하는 안테나 특성 정보를 이용하여 조준경(490) 화면에 표시될 안테나 빔 방사 패턴을 생성하는 기능을 수행한다.The antenna beam pattern generation module 420 performs a function of generating an antenna beam radiation pattern to be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scope 490 using antenna characteristic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antenna to be installed.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빔 패턴 생성 모듈(420)은 안테나 특성 정보뿐만 아니라 안테나 지향 각도를 더 고려하여 안테나 빔 패턴을 생성할 수도 있다. 즉, 안테나 빔 패턴 생성 모듈(420)은 안테나 지향 각도 변화에 따라 조준경 화면상에 표시되는 안테나 빔 패턴을 적응적으로 변화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한, 안테나 빔 패턴 생성 모듈(420)은 해당 안테나의 지향 각도를 측정하는 수단이 더 구비될 수도 있다.The antenna beam pattern generation module 42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generate the antenna beam pattern by further considering the antenna directivity angle as well as the antenna characteristic information. That is, the antenna beam pattern generation module 420 may adaptively change the antenna beam pattern displayed on the scope image according to the change of the antenna orientation angle. For this purpose, the antenna beam pattern generation module 420 may be further provided with a means for measuring the direction angle of the antenna.

인접 셀 빔 패턴 생성 모듈(430)은 인접 셀 리스트에 대응하는 안테나 특성 정보를 이용하여 인접 셀 빔 방사 패턴을 생성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인접 셀 빔 패턴 생성 모듈(430)은 인접 셀들의 안테나 특성 정보뿐만 아니라 인접 셀들의 안테나 지향 각도를 더 고려하여 안테나의 빔 패턴을 생성할 수도 있다. 여기서, 인접 셀들의 안테나 지향 각도에 대한 정보는 기지국 정보 제공 서버(330)로부터 획득될 수 있다.The neighbor cell beam pattern generation module 430 generates a neighbor cell beam radiation pattern by using antenna characteristic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neighbor cell list. The neighbor cell beam pattern generation module 43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generate the beam pattern of the antenna by considering the antenna directivity angles of the neighbor cells as well as the antenna characteristic information of the neighbor cells. Here, the information on the antenna directivity angle of the neighbor cells may be obtained from the base station information providing server 330.

타켓 지향점 산출 모듈(440)은 인접 셀 빔 패턴 생성 모듈(430)에 의해 생성된 인접 셀 빔 방사 패턴 및 안테나 빔 생성 모듈(420)에 의해 생성된 안테나 빔 방사 패턴을 분석하여 설치 안테나를 위한 타켓 지향점을 산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타켓 지향점은 인접 셀에 의한 간섭 현상을 최소화하고 음영 지역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산출될 수 있다. 즉, 인접 셀들의 빔과 설치될 안테나의 빔이 서로 중첩되는 않으면서, 음영 지역이 최대한 커버할 수 있도록 타켓 지향점이 결정되는 바람직하다.The target direction calculation module 440 analyzes the adjacent cell beam radiation pattern generated by the adjacent cell beam pattern generation module 430 and the antenna beam radiation pattern generated by the antenna beam generation module 420 to target the installed antenna. Perform the function of calculating the direction point. Here, the target orientation point may be calculated to minimize the interference phenomenon by the adjacent cell and minimize the occurrence of the shadow area. That is, it is preferable that the target orientation point is determined so that the shadow area can cover as much as possible without overlapping beams of adjacent cells and beams of the antenna to be installed.

안테나 방향 조정 모듈(450)은 사용자 입력된 타켓 지향점 또는 타켓 지향점 산출 모듈(440)에 의해 산출된 타켓 지향점으로 설치 안테나 지향 방향을 조정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안테나 방향 조정 모듈(450)은 안테나의 지향 방향을 상하좌우로 미세 조정할 수 있는 전기적 구동 장치가 포함될 수 있다.The antenna direction adjustment module 450 adjusts the installation antenna direction by the target direction point calculated by the user input target direction point or the target direction point calculation module 440. Here, the antenna direction adjustment module 450 may include an electric driving device that can fine-adjust the direction of the antenna up, down, left and right.

이때, 사용자는 조준경(490)의 일측에 구비된 타켓 지향점 입력 버튼(495)을 이용하여 원하는 타켓 지향점을 입력할 수 있다. 입력된 타켓 지향점은 제어부(410)를 통해 안테나 방향 조정 모듈(450)에 전달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user may input a desired target directing point using the target directing point input button 495 provided at one side of the aiming mirror 490. The input target direction point may be transmitted to the antenna direction adjustment module 450 through the control unit 410.

통신부(460)는 외부 장치와의 통신 수단을 제공하는 모듈로서, 이동 통신 모듈, 무선 인터넷 모듈, 근거리 통신 모듈 등을 포함할 수 있다.The communication unit 460 is a module that provides a communication means with an external device, and may include a mobile communication module, a wireless internet module, a short range communication module, and the like.

이동 통신 모듈은 이동 통신망의 무선 인터페이스를 통해 기지국, 중계기, 리피터, 펨토셀 등과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무선 신호는 음성 및 화상 통화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The mobile communication module performs a function of transmitting / receiving a radio signal with a base station, a repeater, a repeater, a femtocell, and the like through an air interface of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Here, the wireless signal may include various types of data signals according to transmission and reception of voice and video call signals or text / multimedia messages.

무선 인터넷 모듈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송/수신 모듈을 의미하며, 무선 인터넷 모듈은 장치에 내장되거나 소정의 인터페이스 단자를 통해 외장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WLAN(Wireless LAN)(Wi-Fi), Wibro(Wireless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등이 이용될 수 있다.The wireless internet module refers to a transmission / reception module for wireless internet access, and the wireless internet module may be embedded in the device or externally through a predetermined interface terminal. Wireless Internet technologies may include Wireless LAN (Wi-Fi), Wireless Broadband (Wibro), and 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Wimax).

근거리 통신 모듈은 근거리 통신을 위한 모듈을 말한다. 근거리 통신 기술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Wideband), ZigBee 등이 이용될 수 있다.The short range communication module refers to a module for short range communication. As a short range communication technology, Bluetooth,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ltraWideband (UWB), and ZigBee may be us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방향 설정 장치(300)는 통신부(460)를 통해 기지국 정보 제공 서버(330) 및 안테나 특성 정보 제공 서버(340)에 접속하여 셀 식별자, 인접 셀 리스트, 셀 별 안테나 지향 각도 정보, 안테나 특성 정보 등을 수집하거나 안테나의 일측에 장착된 RFID 태크로부터 제품 식별 코드를 획득할 수 있다. 이때, 셀 식별자, 인접 셀 리스트 및 셀 별 안테나 지향 각도 정보는 기지국 정보 제공 서버(330)에 의해 제공되고, 안테나 특성 정보는 안테나 특성 정보 제공 서버(340)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The antenna direction setting apparatus 3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ccesses the base station information providing server 330 and the antenna characteristic information providing server 340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460 to identify a cell identifier, a neighbor cell list, and a cell. The product identification code may be acquired from the antenna tag including the antenna orientation angle information, the antenna characteristic information, or the RFID tag mounted on one side of the antenna. In this case, the cell identifier, the adjacent cell list, and antenna-oriented angle information for each cell may be provided by the base station information providing server 330, and the antenna characteristic information may be provided by the antenna characteristic information providing server 340.

상기한 도 4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방향 설정 장치(300)는 바코드 태그로부터 제품 식별 코드를 독출하는 바코드 인식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안테나 방향 설정 장치(300)는 제품 식별 코드에 상응하는 안테나 특성 정보를 안테나 특성 정보 제공 서버(340)에 접속하여 획득할 수 있다.Although not shown in FIG. 4, the antenna direction setting apparatus 3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barcode recognition module that reads a product identification code from a barcode tag. Therefore, the antenna direction setting apparatus 300 may obtain antenna characteristic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product identification code by accessing the antenna characteristic information providing server 340.

또한, 안테나 방향 설정 장치(300)는 통신부(460)에 탑재된 근거리 통신 모듈을 통해 조준경(490)과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antenna direction setting apparatus 300 may transmit and receive data to and from the sight scope 490 through a short range communication module mounted in the communication unit 460.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방향 설정 장치(300)는 유선 연결을 통해 조준경(490)과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유선 통신은 시리얼 케이블(Serial Cable), 동축 케이블, RGB 케이블, HDMI 케이블, DVI-D 케이블, 컴포넌트 케이블, S-VIDEO 케이블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The antenna direction setting apparatus 3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transmit and receive data to and from the sight 490 through a wired connection. Here, the wired communication may be any one of a serial cable, a coaxial cable, an RGB cable, an HDMI cable, a DVI-D cable, a component cable, and an S-VIDEO cable.

측위 모듈(470)은 안테나의 위치 정보를 측정하는 모듈로서, 내장된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수신 수단을 통해 현재 안테나의 위치를 측정할 수 있다.Positioning module 470 is a module for measuring the position information of the antenna, it is possible to measure the position of the current antenna through the built-in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receiving means.

도 5는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안테나 방향 설정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5 is a view for explaining a mobile communication antenna direction sett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기기(500)는 상기한 도 4에서 상술한 통신부(460)의 기능 및 바코드 인식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모바일 기기(500) 사용자는 RFID 리더 기능 또는 바코드 인식 기능이 탑재된 모바일 기기를 이용하여 안테나(510)의 일측에 부착된 RFID 태그 또는 바코드 태그로부터 제품 식별 코드를 획득할 수 있다.The mobile device 5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provide a function and a barcode recognition function of the communication unit 460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 4. Accordingly, the user of the mobile device 500 may obtain a product identification code from an RFID tag or a barcode tag attached to one side of the antenna 510 using a mobile device equipped with an RFID reader function or a barcode recognition function.

이후, 모바일 기기(500)는 제품 식별 코드에 대응하는 안테나 특성 정보를 미리 저장된 안테나 특성 정보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하여 추출할 수 있다. 여기서, 안테나 특성 정보 데이터베이스는 모바일 기기(500)에 미리 유지될 수 있으며, 제품 식별 코드 별 안테나 특성 정보가 기록될 수 있다.Thereafter, the mobile device 500 may extract antenna characteristic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product identification code with reference to a previously stored antenna characteristic information database. Here, the antenna characteristic information database may be maintained in advance in the mobile device 500, and antenna characteristic information for each product identification code may be recorded.

연이어, 모바일 기기(500)는 추출된 안테나 특성 정보를 이용하여 안테나 빔 패턴을 생성한 후, 생성된 안테나 빔 패턴을 조준경(530)의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이때, 모바일 기기(500)는 유선 연결 또는 근거리 통신 연결을 통해 생성된 안테나 빔 패턴을 조준경(530)에 전송할 수 있다.Subsequently, the mobile device 500 may generate an antenna beam pattern using the extracted antenna characteristic information, and then display the generated antenna beam pattern on the screen of the collimator 530. In this case, the mobile device 500 may transmit the antenna beam pattern generated through the wired connection or the short-range communication connection to the aiming mirror 530.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기기(500)는 무선 통신 모듈을 구비할 수 있다. 모바일 기기(500)는 제품 식별 코드를 획득하면, 무선 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안테나 특성 정보 제공 서버(340)로부터 제품 식별 코드에 대응하는 안테나 특성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후, 모바일 기기(500)는 안테나 특성 정보를 이용하여 안테나 빔 패턴을 생성한 후 조준경(530)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Mobile device 5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ovided with a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When the mobile device 500 obtains the product identification code, the mobile device 500 may obtain antenna characteristic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product identification code from the antenna characteristic information providing server 340 using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Subsequently, the mobile device 500 may generate an antenna beam pattern using the antenna characteristic information and then display it on the screen of the scope 530.

상기한 예들을 통해, 안테나 설치 작업자는 정확한 안테나의 지향 방향뿐만 아니라 수평 및 수직 빔 폭에 의한 셀 커버리지를 조준경 화면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안테나 설치 작업자는 조준경 화면에 표시된 안테나 빔 패턴을 통해 풀질 열화 지점-예를 들면, 안테나 빔 패턴의 Null Point을 통해 식별할 수 있음- 및 후엽(Back Lobe)에 의한 간섭 위치 등도 확인할 수 있다.Through the above examples, the antenna installation operator can confirm the cell coverage by the horizontal and vertical beam width as well as the direction of the correct antenna through the sight screen. In addition, the antenna installation operator can check the deterioration point to be identified through the antenna beam pattern displayed on the sight screen, for example, by identifying the null point of the antenna beam pattern, and the location of interference caused by the back lobe. .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에 조준경을 거치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FIG. 6 is a diagram for describing a method of mounting an aiming mirror on an antenna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600)는 별도의 조준경 거치대를 구비하지 않고, 일측에 V자의 홈(620)을 형성하여 조준경(610)을 거치할 수 있다. 이때, V자의 홈(620)은 안테나의 지향 방향과 평행이 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조준경(610)은 안테나(600)상에 고정 시키기 위한 별도의 거치대가 형성될 필요가 없으며, 그에 따라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6, the antenna 6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not be provided with a separate collimator holder, and may form a V-shaped groove 620 on one side to mount the collimator 610. At this time, the V-shaped groove 620 is preferably formed to be parallel to the direction of the antenna. Therefore, the collimator 61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does not need to be formed a separate cradle for fixing on the antenna 600, thereby reducing the cost.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안테나 방향 설정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7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obile communication antenna direction sett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안테나 방향 설정 장치(300)는 안테나 특성 정보 제공 서버(340)에 접속하여 제품 식별 코드에 상응하는 안테나 특성 정보를 획득한다(S710).Referring to FIG. 7, the antenna direction setting apparatus 3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ccesses the antenna characteristic information providing server 340 to obtain antenna characteristic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a product identification code (S710).

안테나 방향 설정 장치(300)는 획득된 안테나 특성 정보를 이용하여 안테나 빔 패턴을 생성한다(S720). The antenna direction setting apparatus 300 generates an antenna beam pattern using the obtained antenna characteristic information (S720).

연이어, 안테나 방향 설정 장치(300)는 생성된 안테나 빔 패턴을 현재 안테나의 지향 방향과 일치되도록 조준경 화면에 표시한다(S730).Subsequently, the antenna direction setting apparatus 300 displays the generated antenna beam pattern on the sight screen so as to match the direction of the current antenna (S730).

사용자는 조준경 화면에 표시된 안테나 빔 패턴을 확인한 후, 소정의 타켓 지향점 입력 버튼을 이용하여 원하는 위치에 타켓 지향점을 설정할 수 있다(S740).After checking the antenna beam pattern displayed on the scope screen, the user may set a target directing point at a desired position by using a predetermined target directing point input button (S740).

즉, 사용자는 조준경 화면을 통해 보여지는 안테나 빔 패턴을 육안으로 직접 확인하여 최적의 안테나 지향 방향을 설정할 수 있다.That is, the user can directly determine the antenna beam pattern seen through the sight screen to set the optimal antenna directing direction.

이때, 조준경 화면에는 안테나 빔 패턴뿐만 아니라 방위 정보, 현재 안테나의 지향 각도 정보, 메인 빔의 최대 도달 거리 정보, 안테나부터 타켓 지향점까지의 거리 정보 등이 더 표시될 수 있다.In this case, not only the antenna beam pattern but also the azimuth information may further display azimuth information, current orientation angle information of the antenna, maximum reach distance information of the main beam, and distance information from the antenna to the target orientation point.

사용자는 메인 빔의 최대 도달 거리를 참조하여 안테나의 타켓 지향점을 입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는 메인 빔의 최대 도달 거리와 동일 선상의 어느 지점을 타켓 지향점으로 결정할 수 있다. 따라서, 타켓 지향점이 전파의 도달 거리밖에 설정되어 음영 지역이 발생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The user may input the target directing point of the antenna with reference to the maximum reach of the main beam. For example, the user may determine the target direction point at a point on the same line as the maximum reach of the main beam. Therefor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target directing point from being set outside the reach of the radio wave to generate the shadowed area.

이후, 안테나 방향 설정 장치(300)는 설정된 타켓 지향점과 안테나의 지향 방향이 일치되도록 방향을 조정한다(S750).Thereafter, the antenna direction setting device 300 adjusts the direction so that the set target direction point and the direction of the antenna coincide (S750).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안테나 방향 설정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8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obile communication antenna direction setting metho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보다 상세하게, 도 8은 인접 셀의 안테나 빔 패턴 정보를 이용하여 안테나의 방향을 제어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In more detail, FIG. 8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controlling the direction of an antenna by using antenna beam pattern information of an adjacent cell.

도 8을 참조하면, 안테나 방향 설정 장치(300)는 인접 셀 리스트에 상응하는 안테나 특성 정보(들)을 안테나 특성 정보 제공 서버(340)에 접속하여 획득할 수 있다(S810). 상기한, 도 3 내지 도 4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안테나 방향 설정 장치(300)는 기지국 정보 제공 서버(330)로부터 인접 셀 리스트를 획득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8, the antenna direction setting apparatus 300 may obtain antenna characteristic information (s) corresponding to the neighbor cell list by accessing the antenna characteristic information providing server 340 (S810). As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S. 3 to 4, the antenna direction setting apparatus 3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obtain a neighbor cell list from the base station information providing server 330.

안테나 방향 설정 장치(300)는 인접 셀 리스트에 대응하는 인접 셀 안테나 특성 정보를 획득한다(S813).The antenna direction setting apparatus 300 obtains neighbor cell antenna characteristic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neighbor cell list (S813).

연이어, 안테나 방향 설정 장치(300)는 인접 셀 안테나 특성 정보를 이용하여 인접 셀 안테나 빔 패턴을 생성한다(S815).Subsequently, the antenna direction setting apparatus 300 generates adjacent cell antenna beam patterns using the adjacent cell antenna characteristic information (S815).

이후, 안테나 방향 설정 장치(300)는 생성된 인접 셀 안테나 빔 패턴을 조준경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S817).Thereafter, the antenna direction setting apparatus 300 may display the generated adjacent cell antenna beam pattern on the sight screen (S817).

안테나 방향 설정 장치(300)는 설치 대상 안테나의 안테나 특성 정보를 이용하여 안테나 빔 패턴을 생성한다(S819).The antenna direction setting apparatus 300 generates an antenna beam pattern by using antenna characteristic information of an installation target antenna in operation S819.

연이어, 안테나 방향 설정 장치(300)는 상기한 815 단계에서 생성된 인접 셀 안테나 빔 패턴 및 상기한 819 단계에서 생성된 안테나 특성 정보를 이용하여 타켓 지향점을 산출한다(S821).Subsequently, the antenna direction setting apparatus 300 calculates a target direction point using the adjacent cell antenna beam pattern generated in step 815 and the antenna characteristic information generated in step 819 (S821).

안테나 방향 설정 장치(300)는 산출된 타켓 지향점으로 안테나의 지향 방향을 조정한다(S823).The antenna direction setting apparatus 300 adjusts the direction of the antenna to the calculated target direction point (S823).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방향 설정 장치(300)는 메모리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제품 식별 코드 별 안테나 특성 정보가 매핑된 소정의 안테나 특성 정보 데이터베이스를 메모리에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안테나 방향 설정 장치(300)는 별도의 서버 접속 없이 내부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안테나 특성 정보를 추출하여 해당 안테나에 대한 안테나 빔 패턴을 생성할 수 있다.The antenna direction setting apparatus 3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memory, and may maintain a predetermined antenna characteristic information database in which antenna characteristic information for each product identification code is mapped in the memory. Accordingly, the antenna direction setting apparatus 300 may generate antenna beam pattern for the corresponding antenna by extracting antenna characteristic information from an internal database without a separate server connection.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정신 및 필수적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It is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mbodi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essenti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Accordingly, the above detailed descrip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ing in all aspects and should be considered as illustrativ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reasonable interpretation of the appended claims, and all changes within the equivalent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300 : 안테나 방향 설정 장치 330 : 기지국 정보 제공 서버
340 : 안테나 특성 정보 제공 서버 410 : 제어부
420 : 안테나 빔 패턴 생성 모듈 430 : 인접 셀 빔 패턴 생성 모듈
440 : 타켓 지향점 생성 모듈 450 : 안테나 방향 조정 모듈
480 : 안테나 490 : 조준경
300: antenna direction setting device 330: base station information providing server
340: antenna characteristic information providing server 410: control unit
420: antenna beam pattern generation module 430: adjacent cell beam pattern generation module
440: target orientation point generation module 450: antenna direction adjustment module
480: antenna 490: sight

Claims (16)

안테나 방향 설정 장치에서 착탈식 조준경이 구비된 안테나의 방향을 설정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에 대응하는 안테나 특성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안테나 특성 정보를 이용하여 안테나 빔 패턴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안테나 빔 패턴을 상기 조준경의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
상기 조준경 화면을 통해 타켓 지향점을 입력 받는 단계; 및
상기 타켓 지향점으로 상기 안테나의 지향 방향을 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안테나 방향 설정 방법.
In the antenna direction setting apparatus for setting the direction of the antenna equipped with a removable scope,
Obtaining antenna characteristic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antenna;
Generating an antenna beam pattern using the antenna characteristic information;
Displaying the antenna beam pattern on a screen of the sight;
Receiving a target direction point through the sight screen; And
Adjusting the directing direction of the antenna with the target directing point
Antenna direction setting method comprising a.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 특성 정보는 상기 안테나의 방사 패턴을 식별하기 위한 방사 패턴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방향 설정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And the antenna characteristic information includes radiation pattern information for identifying a radiation pattern of the antenna.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방사 패턴 정보는 수직 빔 폭(E-plane) 정보, 수평 빔 폭(H-plane) 정보, 전력 밀도, 지향도, 편파 특성, 상하좌우 틸트 값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방향 설정 방법.
The method of claim 2,
The radiation pattern information includes at least one of vertical beam width (E-plane) information, horizontal beam width (H-plane) information, power density, directivity, polarization characteristics, and vertical tilt values. How to set up.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 빔 패턴은 메인 빔(Main Beam), 사이드 로브(Side Lobe), 널 지점(Null Point), 백 로브(Back Lobe)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방향 설정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The antenna beam pattern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main beam, a side lobe, a null point, and a back lob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준경의 화면에 방위 정보, 현재 안테나의 지향 각도 정보, 메인 빔의 최대 도달 거리 정보, 상기 안테나와 상기 타켓 지향점 사이의 거리 정보 중 적어도 하나가 더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방향 설정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And at least one of orientation information, orientation angle information of the current antenna, maximum reach distance information of the main beam, and distance information between the antenna and the target orientation point on the screen of the aiming mirro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 방향 설정 장치는 외부 서버로부터 상기 안테나 특성 정보를 획득하는 통신부를 포함하고,
상기 통신부가 상기 안테나의 일측에 부착된 태그를 인식하여 제품 식별 코드를 독출하고, 상기 제품 식별 코드에 대응하는 상기 안테나 특성 정보를 상기 외부 서버로부터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방향 설정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The antenna direction setting device includes a communication unit for obtaining the antenna characteristic information from an external server,
And the communication unit reads a product identification code by recognizing a tag attached to one side of the antenna, and obtains the antenna characteristic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product identification code from the external server.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태그는 RFID 태그, 바코드 태그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방향 설정 방법.
The method of claim 6,
The tag is any one of an RFID tag, a barcode tag, the direction setting method of the antenna.
안테나의 방향을 설정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에 대응되는 셀의 인접 셀 리스트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인접 셀 리스트에 대응하는 인접 셀 안테나 특성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인접 셀 안테나 특성 정보를 이용하여 인접 셀 안테나 빔 패턴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안테나의 빔 패턴 및 상기 인접 셀 안테나 빔 패턴을 이용하여 타켓 지향점을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타켓 지향점으로 상기 안테나의 지향 방향을 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안테나 방향 설정 방법.
In the method of setting the direction of the antenna,
Obtaining a neighbor cell list of cells corresponding to the antennas;
Obtaining neighbor cell antenna characteristic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neighbor cell list;
Generating a neighbor cell antenna beam pattern using the neighbor cell antenna characteristic information;
Calculating a target directing point using the beam pattern of the antenna and the adjacent cell antenna beam pattern; And
Adjusting the directing direction of the antenna with the target directing point
Antenna direction setting method comprising a.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타켓 지향점은 상기 인접 셀 안테나 빔 패턴과 상기 안테나의 빔 패턴 사이의 중첩에 의한 간섭 현상과 음영 지역 발생이 최소화되도록 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방향 설정 방법.
The method of claim 8,
The target direction point is the antenna direction setting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alculated to minimize the occurrence of the interference phenomenon and the shadow area due to the overlap between the adjacent cell antenna beam pattern and the beam pattern of the antenna.
안테나의 방향을 설정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의 지향 방향과 동일 선상으로 설치되는 조준경;
상기 안테나에 대응하는 안테나 특성 정보를 이용하여 안테나 빔 패턴을 생성하는 안테나 빔 패턴 생성 모듈;
상기 안테나 빔 패턴을 상기 조준경의 화면에 표시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의 제어 신호에 따라 타켓 지향점으로 상기 안테나의 지향 방향을 조정하는 안테나 방향 조정 모듈
을 포함하는 안테나 방향 설정 장치.
In the apparatus for setting the direction of the antenna,
An aiming mirror which is installed in the same line as the direction of the antenna;
An antenna beam pattern generation module configured to generate an antenna beam pattern using antenna characteristic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antenna;
A controller configured to display the antenna beam pattern on a screen of the aiming mirror; And
An antenna direction adjusting module for adjusting a direction of the antenna to a target direction point according to a control signal of the controller
Antenna direction setting device comprising a.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의 일측에 부착된 태그를 인식하여 상기 안테나에 대응하는 제품 식별 코드를 독출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안테나 특성 정보는 상기 제품 식별 코드를 이용하여 획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방향 설정 장치.
The method of claim 10,
And a communication unit configured to recognize a tag attached to one side of the antenna and read a product identification code corresponding to the antenna, wherein the antenna characteristic information is obtained by using the product identification code. Device.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무선 통신 모듈을 포함하되, 상기 무선 통신 모듈을 통해 외부 서버에 접속하여 상기 제품 식별 코드에 대응하는 상기 안테나 특성 정보를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방향 설정 장치.
The method of claim 11,
And the communication unit includes a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and accesses an external server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to obtain the antenna characteristic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product identification code.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타켓 지향점은 상기 조준경의 일측에 구비된 입력 버튼을 통해 설정되며, 상기 설정된 타켓 지향점은 상기 제어부에 전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방향 설정 장치.
The method of claim 10,
The target target point is set through the input button provided on one side of the scope, the set target direction point, characterized in that the antenna is transmitted to the control unit.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 빔 패턴 생성 모듈은 안테나의 지향 각도를 측정하는 수단을 더 포함하되, 상기 안테나 지향 각도를 더 이용하여 상기 안테나 빔 패턴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방향 설정 장치.
The method of claim 10,
The antenna beam pattern generation module further comprises means for measuring the directivity angle of the antenna, wherein the antenna direction sett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for generating the antenna beam pattern by further using the antenna directivity angle.
소정 안테나 특성 정보 코드에 대응되는 안테나 특성 정보를 유지하고, 외부 요청에 따라, 상기 안테나 특성 정보를 제공하는 안테나 특성 정보 제공 서버; 및
상기 안테나 특성 정보를 무선 통신망을 통해 수신하고, 상기 안테나 특성 정보를 이용하여 안테나 빔 패턴을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안테나 빔 패턴을 구비된 조준경의 화면상에 표시하고, 상기 조준경 화면을 통해 타켓 지향점을 입력 받아 안테나의 지향 방향을 제어하는 안테나 방향 설정 장치
를 포함하되, 상기 안테나 방향 설정 장치의 일측에 부착된 태그로부터 상기 안테나 특성 정보 코드가 독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방향 설정 시스템.
An antenna characteristic information providing server which maintains antenna characteristic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a predetermined antenna characteristic information code and provides the antenna characteristic information according to an external request; And
Receiving the antenna characteristic information through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generating an antenna beam pattern using the antenna characteristic information, and displays the generated antenna beam pattern on the screen of the scope equipped with the aiming, through the scope screen target target point Direction setting device to control the directing direction of the antenna
The antenna direction setting system of claim 1, wherein the antenna characteristic information code is read from a tag attached to one side of the antenna direction setting device.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통신망에 연결되어 특정 셀에 대응하는 인접 셀 리스트, 상기 특정 셀에 설치된 안테나의 안테나 지향 각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제공하는 기지국 정보 제공 서버를 더 포함하되, 상기 안테나 지향 각도 정보를 더 이용하여 상기 안테나 빔 패턴이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방향 설정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5,
And a base station information providing server connected to the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to provide at least one of an adjacent cell list corresponding to a specific cell and antenna orientation angle information of an antenna installed in the specific cell, further using the antenna orientation angle information. And the antenna beam pattern is generated.
KR1020130144555A 2013-11-26 2013-11-26 Method and apparatus for setting direction of mobile communication antenna KR10208558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44555A KR102085585B1 (en) 2013-11-26 2013-11-26 Method and apparatus for setting direction of mobile communication antenna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44555A KR102085585B1 (en) 2013-11-26 2013-11-26 Method and apparatus for setting direction of mobile communication antenna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60308A KR20150060308A (en) 2015-06-03
KR102085585B1 true KR102085585B1 (en) 2020-03-06

Family

ID=535049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44555A KR102085585B1 (en) 2013-11-26 2013-11-26 Method and apparatus for setting direction of mobile communication antenna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85585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9223B1 (en) * 2017-08-24 2020-02-19 주식회사 케이티 An apparatus for checking a beam coverage
KR102429432B1 (en) 2018-03-07 2022-08-04 삼성전자주식회사 Base station and method thereof for communicating using a plurality of antennas
WO2022119400A1 (en) * 2020-12-04 2022-06-09 주식회사 케이엠더블유 Method and system for managing orientation direction of mobile communication base station antenna
KR20220107404A (en) * 2021-01-25 2022-08-02 삼성전자주식회사 Electronic device for providing guide of installation of an antenna and operation method of the electronic device
CN113095519B (en) * 2021-04-09 2023-11-10 北京东方博泰正通通信工程有限责任公司 Integrated base station antenna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7014B1 (en) * 2006-02-01 2007-09-07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Apparatus and Method for Prediction of Wireless Network Service Coverage
KR20150014696A (en) * 2013-07-30 2015-02-09 삼성전기주식회사 Device for wireless communication and mehtod for wireless communic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60308A (en) 2015-06-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00411B2 (en) Radiating closures
CA2802332C (en) Controlling a beamforming antenna using reconfigurable parasitic elements
US10341983B2 (en) Locating customer premises equipment in a narrow beamwidth based radio access network
JP6900311B2 (en) Methods for adaptive beam placement in wireless systems
KR102085585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etting direction of mobile communication antenna
KR102314602B1 (en) Antenna apparatus and method for beam forming thereof
US11778486B2 (en) Antenna device and base station comprising the same
CN103281711B (en) A kind of short-distance wireless broadband connections method and system
WO2015113649A1 (en) Methods and apparatuses for testing wireless communication to vehicles
CA2780196A1 (en) Antenna apparatus and antenna selection method
JP2017143467A (en) Radio communication device and display method in radio communication device
Honda et al. Development of a circular phased array 4× 4 MIMO antenna for ad hoc connected car system
Diez et al. A highly efficient Car2Car-multiband rooftop automotive antenna
Abbasi et al. Double-directional channel measurements for urban THz microcellular communications in a street canyon
Roy An overview of smart antenna technology: the next wave in wireless communications
Ferrante et al. mm Wave initial cell search analysis under UE rotational motion
US20210278527A1 (en) Radio frequency (rf)-based ranging and imaging in a wireless communications circuit, particularly for a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 (wcs)
Fokin Model for SINR Evaluation in 5G mm Wave Ultra-Dense Network with Location-Aware Beamforming
JP5683385B2 (en) Base station and base station autonomous setting method
KR102128400B1 (en) Control method for radiation beam direction of wireless transmission device
US20200137590A1 (en) Considerations in wireless networks that support beam steering mobile devices
Bechta et al. Impact of effective antenna pattern on radio frequency exposure evaluation for 5G base station with directional antennas
Ichkov et al. Empirical study of mobility support in millimeter-wave outdoor urban deployments
US10855344B1 (en) Reducing massive multiple-input multiple-output/5G interference with an adjacent band
WO2021253400A1 (en) Beam processing method, device and system, and storage mediu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