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85269B1 - 정량 투여를 위한 용기 - Google Patents

정량 투여를 위한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85269B1
KR102085269B1 KR1020180110244A KR20180110244A KR102085269B1 KR 102085269 B1 KR102085269 B1 KR 102085269B1 KR 1020180110244 A KR1020180110244 A KR 1020180110244A KR 20180110244 A KR20180110244 A KR 20180110244A KR 102085269 B1 KR102085269 B1 KR 1020852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tton
fluid
body portion
container
button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102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왕제필
이종수
김동균
Original Assignee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801102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8526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52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52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9/00Methods or devices for treatment of the eyes; Devices for putting-in contact lenses; Devices to correct squinting; Apparatus to guide the blind; Protective devices for the eyes, carried on the body or in the hand
    • A61F9/0008Introducing ophthalmic products into the ocular cavity or retaining products there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0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 A61J1/14Details; Accessories therefor
    • A61J1/20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or mixing fluids, e.g. from vial to syringe
    • A61J1/22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or mixing fluids, e.g. from vial to syringe with means for metering the amount of fluid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정량 투여를 위한 용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 내부에 유체가 저장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유체가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주입부를 포함하고, 상기 몸체부는 상기 몸체부의 외주면에 구비되어, 가압 시 상기 유체가 상기 주입부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버튼부를 포함하여, 보관 시에 상기 버튼부는 상기 몸체부의 외부로 볼록하게 돌출된 형태로 구비되어 있고, 사용 시에 사용자가 상기 버튼부를 가압하면, 상기 버튼부가 상기 몸체부의 내부로 오목하게 들어가게 됨으로써 상기 몸체부 내부의 부피를 감소시켜 상기 유체를 가압함으로써 상기 주입부를 통해 상기 유체가 배출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량 투여를 위한 용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정량 투여를 위한 용기{Dispensing container for fixed amount discharge}
본 발명은 정량 투여를 위한 용기로써 더욱 자세하게는, 원터치 기능을 삽입하여 손가락으로 한번 누르면 적정량의 약액이 흘러나오도록 하는 정량 투여를 위한 용기에 관한 것이다.
생활이 고도화되고 산업이 발전하면서 사람들의 피로도가 증가하고 있다. 특히, 스마트폰이나 모니터 등 각종 디스플레이에 노출되어 잠시도 쉴 틈이 없는 눈의 건강은 악화되기 쉽다. 이로 인하여 안약의 사용량은 계속해서 증가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안약은 깔때기 형상의 용기캡을 갖는 안약용기에 수용되어 사용자가 눈을 뜬 상태에서 고개를 젖히고 상기 안약용기를 눌러 용기캡을 통해 안약이 낙하하여 눈에 주입되도록 하는 것이다. 그러나, 기존의 안약 용기는 정확한 양을 투여하기 위한 지표가 없기 때문에 단순히 환자가 감에 의존하여 안약 용기를 기울이거나 가압하여 눈에 주입해야 한다. 이 때문에 약액을 낭비하는 경우가 발생하거나 정량의 약액을 투여하지 못하여 약액의 효과가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일례로, 한국등록특허 제10-1258025호에 개시된 자동 안약 투여장치와 같이, 감지센서를 통해 안약 투여에 가장 적합한 사용자의 안구의 위치를 감지하여 적정량의 안약을 자동으로 투여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한국등록특허 제10-1258025호에 개시된 자동 안약 투여장치는 복잡한 내부 구성품들로 인해 원가가 상승하고 배터리를 충전해야하는 번거로움이 있다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258025호(2013.04.25.)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선행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간단한 조작을 통하여 정확한 양의 약액을 투입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간단한 구성으로 정확한 양의 약액을 투입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제조원가를 절감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여기에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정량 투여를 위한 용기에 있어서, 내부에 유체가 저장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유체가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주입부를 포함하고, 상기 몸체부는, 상기 몸체부의 외주면에 구비되어, 가압 시 상기 유체가 상기 주입부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버튼부를 포함하여, 보관 시에 상기 버튼부는 상기 몸체부의 외부로 볼록하게 돌출된 형태로 구비되어 있고, 사용 시에 사용자가 상기 버튼부를 가압하면, 상기 버튼부가 상기 몸체부의 내부로 오목하게 들어가게 됨으로써 상기 몸체부 내부의 부피를 감소시켜 상기 유체를 가압함으로써 상기 주입부를 통해 상기 유체가 배출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버튼부는, 탄성소재로 형성되어, 사용 후에 상기 사용자가 가압을 해체하면 상기 몸체부의 외부 방향으로 볼록하게 돌출된 형태로 되돌아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몸체부는, 상기 버튼부의 외주연에 구비되어, 상기 버튼부가 가압되어 상기 몸체부의 내부로 오목하게 들어가거나 가압이 해제되어 상기 몸체부의 외부 방향으로 볼록하게 돌출되는 것을 용이하게 하는 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버튼부는 상기 버튼부를 제외한 상기 몸체부의 나머지 부분보다 얇은 두께를 가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버튼부에 대한 가압이 이루어지더라도 상기 몸체부의 변형은 최소화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몸체부는, 상기 몸체부의 내부에 저장된 유체의 양이 기준량을 초과하는 경우에 사용될 수 있도록 상기 몸체부의 일면에 형성되는 제1버튼부와 상기 몸체부의 내부에 저장된 유체의 양이 기준량 이하인 경우에 사용될 수 있도록 상기 몸체부의 타면에 형성되는 제2버튼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버튼부의 변형에 의한 부피 변화량이 상기 제1버튼부의 변형에 의한 부피 변화량보다 클 수 있도록, 상기 제2버튼부가 상기 제1버튼부에 비하여 더 큰 크기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과제의 해결 수단에 의해, 본 발명의 정량 투여를 위한 용기는, 간단한 조작을 통하여 정확한 양의 약액을 투입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간단한 구성으로 정확한 양의 약액을 투입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제조원가를 절감하는데 그 효과가 있다.
도 1의 (a)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정량 투여를 위한 용기의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1의 (b)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정량 투여를 위한 용기의 사용시의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정량 투여를 위한 용기의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정량 투여를 위한 용기의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4의 (a)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정량 투여를 위한 용기의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4의 (b)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정량 투여를 위한 용기의 제1버튼부 사용시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4의 (c)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정량 투여를 위한 용기의 제2버튼부 사용시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5의 (a)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정량 투여를 위한 용기의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5의 (b)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정량 투여를 위한 용기의 제1버튼부 사용시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5의 (c)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정량 투여를 위한 용기의 제2버튼부 사용시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6의 (a)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정량 투여를 위한 용기의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6의 (b)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정량 투여를 위한 용기의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고, 본 발명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대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과제의 해결 수단, 발명의 효과를 포함한 구체적인 사항들은 다음에 기재할 실시 예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정량 투여를 위한 용기는, 도 1을 참조하면, 내부에 유체가 저장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몸체부(100)와 상기 몸체부(100)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유체가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주입부(110)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몸체부(100)는 상기 몸체부(100)의 외주면에 구비되어 가압 시 상기 유체가 상기 주입부(11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버튼부(120)를 포함한다. 보관 시에 상기 버튼부(120)는 상기 몸체부(100)의 외부로 볼록하게 돌출된 형태로 구비되어 있고, 사용 시에 사용자가 상기 버튼부(120)를 가압하면, 상기 버튼부(120)가 상기 몸체부(100)의 내부로 오목하게 들어가게 됨으로써 상기 몸체부(100) 내부의 부피를 감소시켜 상기 유체를 가압함으로써 상기 주입부(110)를 통해 상기 유체가 배출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유체는 예를 들면, 약액 등과 같이 상기 용기에 수용될 수 있는 다양한 물질이 될 수 있다.
먼저, 상기 몸체부(100)가 마련된다. 상기 몸체부(100)는 내부에 유체를 보관할 수 있는 공간이 마련된다. 상기 몸체부(100)는 내부에 상기 유체가 어느 정도 구비되어 있는지 쉽게 알 수 있도록 내부가 보이는 투명한 재질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상기 몸체부(100)의 상부 일측에는 상기 몸체부(100) 내부의 유체가 상기 몸체부(100)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상기 주입부(110)가 마련된다. 상기 주입부(110)는 보관 시에는, 상기 몸체부(100)를 뒤집어 상기 주입부(110)가 지면을 향하도록 위치시켜도 상기 몸체부(100) 내부의 유체가 상기 몸체부(100)의 외부로 배출되지 않도록 한다.
다음으로, 상기 몸체부(100)의 외주면에 구비되어 가압 시 상기 유체가 상기 주입부(11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상기 버튼부(120)가 마련된다. 상기 버튼부(120)는 일정한 두께를 가지고 상기 몸체부(100)의 외측으로 볼록하게 돌출되는 곡면으로 형성된다. 즉, 상기 버튼부(120)는 외력을 받으면 내측으로 오목하게 함몰 변형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버튼부(120)는 상기 몸체부(100)의 외주면 어디에든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버튼부(120)는 상기 몸체부(100)의 외주면에 다수개로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용기의 사용 과정을 설명하면, 먼저 상기 버튼부(120)는 보관 시에는, 상기 몸체부(100)의 외부로 볼록하게 돌출된 형태로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사용 시에 사용자가 상기 버튼부(120)를 가압하면, 상기 버튼부(120)가 상기 몸체부(100)의 내부로 오목하게 들어가게 된다. 이로 인하여, 상기 버튼부(120)의 변형량 만큼 상기 몸체부(100) 내부의 부피를 감소시켜 상기 유체를 가압함으로써 상기 주입부(110)를 통해 상기 유체가 배출되도록 한다. 즉, 상기 버튼부(120)가 가압되면, 상기 몸체부(100) 내부의 유체가 가압되어 상기 주입부(110)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것이다.
다음으로, 상기 버튼부(120)는 탄성소재로 형성되어, 사용 후에 상기 사용자가 가압을 해체하면 상기 몸체부(100)의 외부 방향으로 볼록하게 돌출된 형태로 되돌아가게 된다. 즉, 상기 버튼부(120)는 보관 시에는 상기 도 1의 (a)와 같이 상기 몸체부(100)의 외부로 볼록하게 돌출된 형태로 구비되어 있고, 사용 시에는 상기 도 1의 (b)와 같이 상기 몸체부(100)의 내부로 오목하게 들어간 상태로 변화하고, 사용이 끝난 후에는 상기 도 1의 (a)와 같이 상기 몸체부(100)의 외부로 볼록하게 돌출된 형태가 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가 상기 버튼부(120)를 가압하는 방식으로 일정한 양의 유체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용기가 안약 용기인 경우에, 기존의 안약용기는 압력을 가할 시 상기 안약용기 내부의 약액이 배출되는 양을 컨트롤하기 힘들다는 단점이 있다. 즉, 상기 안약용기에 강한 압력을 가할 시에는 많은 양의 약액이 배출되고, 약한 압력을 가할 시에는 적은 양의 약액이 배출되는 것이다. 이와 달리 본 발명은, 상기 버튼부(120)가 가압되는 방식으로 일정한 양의 약액이 투여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다음으로, 상기 버튼부(120)를 1회 가압시 상기 몸체부(100)로부터 일정한 양의 유체가 외부로 배출될 수 있으므로, 상기 버튼부(120)의 가입 횟수를 조절하여 필요한 양만큼 유체가 배출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예를 들어, 상기 용기가 안약 용기로 사용되는 경우에는, 사용자가 상기 버튼부(120)를 가압하여 투약이 가능하고, 투약량이 부족한 경우에는 필요한 횟수만큼 추가적으로 가압 및 해제를 반복함으로써 적정량만큼 투약이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정량 투여를 위한 용기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실시예는, 제1실시예와 비교하여 주입부(210)의 단부에 구비되어, 외부로부터 몸체부(200)의 내부로 이물질이 침투되지 않도록 하는 차폐부(900)를 구비한다는 점과, 버튼부(220)가 가압되어 상기 몸체부(200)의 내부로 오목하게 들어가거나 가압이 해제되어 상기 몸체부(200)의 외부 방향으로 볼록하게 돌출되는 것을 용이하게 하는 홈부(230)를 포함한다는 점과, 상기 버튼부(220)는 상기 버튼부(220)를 제외한 상기 몸체부(200)의 나머지 부분보다 얇은 두께를 가지도록 형성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1실시예와 중첩되는 구성에 대해서는 제1실시예의 설명을 원용한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몸체부(200)는 상기 버튼부(220)의 외주연에 구비되어, 상기 버튼부(220)가 가압되어 상기 몸체부(200)의 내부로 오목하게 들어가거나 가압이 해제되어 상기 몸체부(200)의 외부 방향으로 볼록하게 돌출되는 것을 용이하게 하는 상기 홈부(230)를 포함한다.
상기 홈부(230)는 상기 버튼부(220)의 외주연을 따라 원을 그리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홈부(230)는 사용자가 상기 버튼부(220)를 가압할 때, 상기 버튼부(220)가 용이하게 상기 몸체부(200)의 내부로 오목하게 들어가게 되는 것이다.
다음으로, 상기 버튼부(220)는 상기 버튼부(220)를 제외한 상기 몸체부(200)의 나머지 부분보다 얇은 두께를 가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버튼부(220)에 대한 가압이 이루어지더라도 상기 몸체부(200)의 변형은 최소화될 수 있도록 한다. 즉, 상기 버튼부(220)가 가압되더라도 상기 몸체부(200)의 변형은 최소화될 수 있도록, 상기 버튼부(220)가 용이하게 상기 몸체부(200)의 내부로 오목하게 들어가게 되는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정량 투여를 위한 용기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실시예는, 제1실시예와 비교하여 몸체부(300)의 내부에 저장된 유체의 양이 기준량을 초과하는 경우에 사용될 수 있도록 버튼부(120)가 상기 몸체부(300)의 일면에 형성되는 제1버튼부(320)와 상기 몸체부(300)의 내부에 저장된 유체의 양이 기준량 이하인 경우에 사용될 수 있도록 상기 몸체부(300)의 타면에 형성되는 제2버튼부(330)를 포함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1실시예와 중첩되는 구성에 대해서는 제1실시예의 설명을 원용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버튼부(120)는 상기 몸체부(300)의 내부에 저장된 유체의 양이 기준량을 초과하는 경우에 사용될 수 있도록 상기 몸체부(300)의 일면에 형성되는 제1버튼부(320)와 상기 몸체부(300)의 내부에 저장된 유체의 양이 기준량 이하인 경우에 사용될 수 있도록 상기 몸체부(300)의 타면에 형성되는 제2버튼부(330)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제2버튼부(330)의 변형에 의한 상기 몸체부(300) 내부의 부피 변화량이 상기 제1버튼부(320)의 변형에 의한 상기 몸체부(300) 내부의 부피 변화량보다 클 수 있도록, 상기 제2버튼부(330)가 상기 제1버튼부(320)에 비하여 더 큰 크기로 형성된다. 즉, 상기 제2버튼부(330)가 상기 제1버튼부(320)에 비하여 더 큰 지름과 더 긴 원주길이를 가지는 것이다. 상기 기준량은 상기 몸체부(300) 내부의 유체와 공기 간의 압축비 차이로 인하여 상기 제1버튼부(320)의 가압시 유체의 배출량이 정량을 벗어날 염려가 있는 유체의 잔량을 의미한다. 일례로, 상기 몸체부(300)의 내부에 저장된 유체가 상기 몸체부(300)의 내부 공간에 반을 의미할 수 있다. 즉, 상기 몸체부(300)의 내부에 저장된 유체의 양이 상기 몸체부(300)의 내부 공간에 반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제1버튼부(320)를 가압하여 정량의 유체가 배출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몸체부(300)의 내부에 저장된 유체의 양이 상기 몸체부(300)의 내부 공간에 반 이하인 경우, 상기 제2버튼부(330)를 가압하여 정량의 유체가 배출될 수 있도록 하여, 1회 가압에 의한 유체의 배출량이 유체의 잔량에 관계없이 일정해질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제1버튼부(320)와 제2버튼부(330)를 이용하여, 사용자에 따른 배출량을 달리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일례로, 사용자가 어린이인 경우 상기 제1버튼부(320)를 사용하고, 어른인 경우 상기 제2버튼부(330)를 사용함으로써, 필요에 따라 배출되는 유체의 양을 달리 할 수 있는 것이다.
다른 한편으로는, 상기 몸체부(300)에 다양한 유체를 교체하여 저장하고 사용하는 경우에는, 저장된 유체의 종류에 따라 상기 제1버튼부(320) 및 제2버튼부(330)를 선택적으로 사용함으로써 배출되는 유체의 양을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정량 투여를 위한 용기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실시예는, 제1실시예와 비교하여 버튼부가 제1단 버튼부(420)와 제2단 버튼부(430)로써 다단으로 구비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1실시예와 중첩되는 구성에 대해서는 제1실시예의 설명을 원용한다.
도 5를 참조하면, 몸체부(400)의 외주면에는 상기 제1단 버튼부(420)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제2단 버튼부(430)는 상기 제1단 버튼부(420)의 중앙에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제2단 버튼부(430)의 변형에 의한 상기 몸체부(400) 내부의 부피 변화량이 상기 제1단 버튼부(420)의 변형에 의한 상기 몸체부(400) 내부의 부피 변화량보다 클 수 있도록, 상기 제2단 버튼부(430)가 상기 제1단 버튼부(420)에 비하여 더 큰 크기로 형성된다. 즉, 상기 제2단 버튼부(430)가 상기 제1단 버튼부(420)에 비하여 더 큰 지름과 더 긴 원주길이를 가지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제1단 버튼부(420)와 제2단 버튼부(430)는 가압 시 배출되는 유체의 양을 조절할 수 있다. 일례로, 어린이의 경우 상기 제1단 버튼부(420)를 가압하여 배출되는 유체를 사용하고, 어른의 경우 상기 제1단 버튼부(420)와 제2단 버튼부(430)를 동시에 가압하여 배출되는 유체를 사용함으로써, 필요에 따라 배출되는 유체의 양을 달리 할 수 있는 것이다. 또 다른 예로, 상기 몸체부(300)에 저장된 유체의 종류에 따라 배출되는 유체의 양을 조절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정량 투여를 위한 용기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실시예는, 제1실시예와 비교하여 버튼부(520)가 구면이 아니라 평면 형태라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1실시예와 중첩되는 구성에 대해서는 제1실시예의 설명을 원용한다.
상기 버튼부(520)는 상기 중앙부(530)와 테두리부(540)를 포함하며, 상기 중앙부(530)와 상기 테두리부(540)의 위치가 상대적으로 반전될 수 있는 형태로 형성된다. 보다 상세하게, 상기 중앙부(530)는 상기 버튼부(520)의 편평한 중심 부위를 형성하며, 상기 테두리부(540)보다 상대적으로 융기되어 있다. 이때, 상기 중앙부(530)가 사용자에 의해 가압을 받아 눌러지게 되면 상기 중앙부(530)가 상기 테두리부(540)보다 하방으로 침강될 수 있도록 반전 변형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이에 따라, 상기 경사부(140)는 변형 전에는 상향 경사지는 모습이었다가, 가압을 받은 후에는 하향 경사지는 모습으로 변하게 됨은 당연하다. 이를 통하여, 상기 버튼부(520)의 강성을 높일 수 있다.
이와 같이, 상술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당업자가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나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L : 유체
100 : 몸체부
110 : 주입부
120 : 버튼부
200 : 몸체부
210 : 주입부
220 : 버튼부
230 : 홈부
300 : 몸체부
310 : 주입부
320 : 제1버튼부
330 : 제2버튼부
400 : 몸체부
410 : 주입부
420 : 제1단 버튼부
430 : 제2단 버튼부
500 : 몸체부
510 : 주입부
520 : 버튼부
530 : 중앙부
540 : 테두리부
900 : 차폐부

Claims (5)

  1. 내부에 유체가 저장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몸체부; 및
    상기 몸체부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유체가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주입부;를 포함하고,
    상기 몸체부는,
    상기 몸체부의 외주면에 구비되어, 가압 시 상기 유체가 상기 주입부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버튼부;를 포함하여,
    보관 시에 상기 버튼부는 상기 몸체부의 외부로 볼록하게 돌출된 형태로 구비되어 있고, 사용 시에 사용자가 상기 버튼부를 가압하면, 상기 버튼부가 상기 몸체부의 내부로 오목하게 들어가게 됨으로써 상기 몸체부 내부의 부피를 감소시켜 상기 유체를 가압함으로써 상기 주입부를 통해 상기 유체가 배출되도록 하고,
    상기 버튼부는, 탄성소재로 형성되어, 사용 후에 상기 사용자가 가압을 해체하면 상기 몸체부의 외부 방향으로 볼록하게 돌출된 형태로 되돌아가며,
    상기 몸체부의 내부에 저장된 유체의 양이 기준량을 초과하는 경우에 사용될 수 있도록 상기 몸체부의 일면에 형성되는 제1버튼부; 및
    상기 몸체부의 내부에 저장된 유체의 양이 기준량 이하인 경우에 사용될 수 있도록 상기 몸체부의 타면에 형성되는 제2버튼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버튼부의 변형에 의한 부피 변화량이 상기 제1버튼부의 변형에 의한 부피 변화량보다 클 수 있도록, 상기 제2버튼부가 상기 제1버튼부에 비하여 더 큰 크기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량 투여를 위한 용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는,
    상기 버튼부의 외주연에 구비되어, 상기 버튼부가 가압되어 상기 몸체부의 내부로 오목하게 들어가거나 가압이 해제되어 상기 몸체부의 외부 방향으로 볼록하게 돌출되는 것을 용이하게 하는 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량 투여를 위한 용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부는 상기 버튼부를 제외한 상기 몸체부의 나머지 부분보다 얇은 두께를 가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버튼부에 대한 가압이 이루어지더라도 상기 몸체부의 변형은 최소화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량 투여를 위한 용기.
  4. 삭제
  5. 삭제
KR1020180110244A 2018-09-14 2018-09-14 정량 투여를 위한 용기 KR1020852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0244A KR102085269B1 (ko) 2018-09-14 2018-09-14 정량 투여를 위한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0244A KR102085269B1 (ko) 2018-09-14 2018-09-14 정량 투여를 위한 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85269B1 true KR102085269B1 (ko) 2020-03-05

Family

ID=698039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10244A KR102085269B1 (ko) 2018-09-14 2018-09-14 정량 투여를 위한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85269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7812Y1 (ko) * 2003-12-08 2004-04-17 강성일 화장품 정량 토출 사용이 가능한 화장품용기 구조
JP3783840B2 (ja) * 2000-10-31 2006-06-07 株式会社吉野工業所 液体注出容器
KR101258025B1 (ko) 2011-11-21 2013-04-25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자동 안약 투여장치
KR101508499B1 (ko) * 2013-08-13 2015-04-06 (주)연우 탄성버튼을 이용한 압출식 화장품 용기
KR20170000053U (ko) * 2015-06-25 2017-01-04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화장품 용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783840B2 (ja) * 2000-10-31 2006-06-07 株式会社吉野工業所 液体注出容器
KR200347812Y1 (ko) * 2003-12-08 2004-04-17 강성일 화장품 정량 토출 사용이 가능한 화장품용기 구조
KR101258025B1 (ko) 2011-11-21 2013-04-25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자동 안약 투여장치
KR101508499B1 (ko) * 2013-08-13 2015-04-06 (주)연우 탄성버튼을 이용한 압출식 화장품 용기
KR20170000053U (ko) * 2015-06-25 2017-01-04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화장품 용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926044B2 (en) Pen needle hub having increased contact area
JP4317454B2 (ja) 薬剤カートリッジ及びその改良
US2764979A (en) Medicament dispensing unit
KR101764813B1 (ko) 커버체 및 이를 구비한 약액 주입 장치
KR100844031B1 (ko) 조절 가능한 투약 주사기
NO117264B (ko)
JPH10511573A (ja) 特定容量用ディスペンサー
US10299959B2 (en) Eyedropper with improved stability and method of administering a liquid onto the surface of an eye
WO2015155229A1 (en) A cartridge for a medical injection device
KR20150048176A (ko) 주사바늘
US20080249462A1 (en) Disposable Dispensers for Personal Use
JP2017088195A (ja) 計量注出塗布容器
KR200469855Y1 (ko) 스포이드 결합형 분말 혼합 화장용기
KR102085269B1 (ko) 정량 투여를 위한 용기
MXPA04005274A (es) Mejoras en y relacionadas con un cartucho de medicamento.
KR20160062637A (ko) 투입이 용이한 안약 용기
KR20050044703A (ko) 의약 카트리지
KR100810158B1 (ko) 약품 분배 장치에 사용하기 위한 카트리지
TWI270512B (en) Pouring container
JP4705328B2 (ja) 薬剤カートリッジ及びアダプタトップのアセンブリ
EP2620124A1 (en) Injection syringe
EP1559443A1 (en) Dosing spacer for a syringe
US20120245559A1 (en) Grip for self-injectable device
US2861571A (en) Multiple dose disposable syringe
KR20160001595U (ko) 점안액 투약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점안액 투약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