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85092B1 - Assembly-type table using structure for combining beams - Google Patents

Assembly-type table using structure for combining beam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85092B1
KR102085092B1 KR1020180063696A KR20180063696A KR102085092B1 KR 102085092 B1 KR102085092 B1 KR 102085092B1 KR 1020180063696 A KR1020180063696 A KR 1020180063696A KR 20180063696 A KR20180063696 A KR 20180063696A KR 102085092 B1 KR102085092 B1 KR 1020850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beams
support beam
connection
coup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6369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90092209A (en
Inventor
이윤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지누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CN201820150465.9U external-priority patent/CN208658153U/en
Priority claimed from CN201820193636.6U external-priority patent/CN208491164U/en
Priority claimed from CN201810113799.3A external-priority patent/CN108095303A/en
Priority claimed from CN201810127833.2A external-priority patent/CN108391936A/en
Priority claimed from CN201820223448.3U external-priority patent/CN208491165U/en
Priority claimed from CN201820304779.XU external-priority patent/CN208491166U/en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지누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지누스
Publication of KR201900922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9220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50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509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3/00Details of tables or desks
    • A47B13/02Underframes
    • A47B13/021Fastening devices of the feet or leg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3/00Details of tables or desks
    • A47B13/02Underfram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3/00Details of tables or desks
    • A47B13/003Connecting table tops to underfram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5/00Fittings for furni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26/00Working by laser beam, e.g. welding, cutting or boring
    • B23K26/36Removing material
    • B23K26/38Removing material by boring or cut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12/00Jointing of furniture or the like, e.g. hidden from exterior
    • F16B12/10Jointing of furniture or the like, e.g. hidden from exterior using pegs, bolts, tenons, clamps, clip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3/00Details of tables or desks
    • A47B13/02Underframes
    • A47B13/021Fastening devices of the feet or legs
    • A47B2013/022Fastening devices of the feet or legs with detachable connection of a tubular leg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00/00General construction of tables or desks
    • A47B2200/0011Underfram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20/00General furniture construction, e.g. fittings
    • A47B2220/0061Accessories
    • A47B2220/0069Hinges
    • A47B2220/0072Hinges for furni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ables And Desks Characterized By Structural Shap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lasma & Fusion (AREA)
  • Furniture Connec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서로 분리되는 부품의 수가 적으며, 조립 및 분해가 용이한 빔의 결합구조를 이용한 조립식 테이블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빔의 결합구조를 이용한 조립식 테이블은, 바닥 면과 평행하게 배치되는 판 형상으로 형성되는 테이블 상판; 상기 테이블 상판과 평행하게 배치되는 사각 빔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테이블 상판의 하면에 고정되며, 적어도 2개가 평행하게 배열되는 지지 빔; 상기 지지 빔에 일부분이 상방으로 삽입되어 결합되고, 상기 지지 빔과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테이블 상판과 평행하면서 상기 지지 빔과 직교하도록 배치되는 사각 빔 형상으로 형성되며, 적어도 2개가 평행하게 배열되는 연결 빔; 및 상기 연결 빔과 일체로 구성되어 상기 테이블 상판을 바닥 면에 수직으로 지지하도록 배치되는 사각 빔 형상으로 형성되는 다리 빔을 포함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refabricated table using a coupling structure of a beam having a small number of parts separated from each other and easy to assemble and disassemble.
Prefabricated table using a coupling structure of the bea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able top plate is formed in a plate shape parallel to the bottom surface; A support beam formed in a rectangular beam shape disposed in parallel with the table top plate and fixed to a bottom surface of the table top plate, and having at least two arranged in parallel; A part inserted into the support beam upwardly and coupled to the support beam and formed in a quadrangular beam shape parallel to the table top plate in a state coupled with the support beam and arranged to be orthogonal to the support beam, and at least two of which are arranged in parallel beam; And a bridge beam integrally formed with the connection beam and formed in a square beam shape disposed to support the table top plate perpendicularly to the floor surface.

Description

빔의 결합구조를 이용한 조립식 테이블{ASSEMBLY-TYPE TABLE USING STRUCTURE FOR COMBINING BEAMS}ASSEMBLY-TYPE TABLE USING STRUCTURE FOR COMBINING BEAMS

본 발명은 빔의 결합구조를 이용한 조립식 테이블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용이하게 조립 및 분해 가능한 빔의 결합구조를 이용한 조립식 테이블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refabricated table using a coupling structure of a beam, and more particularly to a prefabricated table using a coupling structure of a beam that can be easily assembled and disassembled.

일반적으로, 조립식 가구는 이송 및 보관의 편의성을 위하여 사용된다.In general, prefabricated furniture is used for convenience of transport and storage.

최근에는 가구 산업이 온라인 시장(e-market place)으로 영역을 넓혀감에 따라 상품을 받은 후에 조립하여 사용하는 조립식 가구의 개발이 활발해지고 있다.Recently, as the furniture industry expands to an e-market place, development of prefabricated furniture that is assembled and used after receiving a product has been actively developed.

구성요소들이 서로 고정된 완성품 가구는 분해된 상태의 조립식 가구에 비하여 차치하는 용적이 크기 때문에 적재 효율이 떨어지며, 배송 비용이 증가되고, 이송거리가 증가할수록 제품이 손상되는 빈도가 높아질 수 있다. 따라서, 조립식 가구가 주목 받고 있는 것이다.Finished furniture in which the components are fixed to each other has a larger loading capacity than prefabricated furniture in a disassembled state, thus reducing the loading efficiency, increasing the shipping cost, and increasing the transportation distance, thereby increasing the frequency of product damage. Therefore, prefabricated furniture is attracting attention.

이러한 조립식 가구 중, 조립식 테이블은 통상적으로 테이블 상판과 지지 다리가 분리된 상태에서 이들을 조립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테이블 상판과 지지 다리를 조립하기 위한 다양한 구성 및 방법이 제공되고 있으나, 볼트 및 피스와 같은 체결부재가 사용되는 경우에는 조립을 위한 부품 및 지지 다리의 밸런스를 조절하기 위한 부품 등 구성요소의 수가 많을 수 있다. 이처럼 구성요소의 수가 많아지면, 생산 공정이 복잡해지고, 생산비용이 증가하며, 부품의 분실 및 난해한 조립방법 등이 문제가 될 수 있다.Among such prefabricated furniture, the prefabricated table is usually adapted to assemble them with the table top and the support legs separated. Various configurations and methods are provided for assembling the table top and the support legs. However, when fastening members such as bolts and pieces are used, the number of components such as parts for assembly and parts for adjusting the balance of the support legs There can be many. As the number of components increases, the production process becomes complicated, the production cost increases, and the loss of parts and difficult assembly methods may be a problem.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서로 분리되는 부품의 수가 적으며, 조립 및 분해가 용이한 빔의 결합구조를 이용한 조립식 테이블을 제공하는 것이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was creat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refabricated table using a coupling structure of a beam having a small number of parts separated from each other and easy to assemble and disassemble.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빔의 결합구조를 이용한 조립식 테이블은, 바닥 면과 평행하게 배치되는 판 형상으로 형성되는 테이블 상판; 상기 테이블 상판과 평행하게 배치되는 사각 빔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테이블 상판의 하면에 고정되며, 적어도 2개가 평행하게 배열되는 지지 빔; 상기 지지 빔에 일부분이 상방으로 삽입되어 결합되고, 상기 지지 빔과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테이블 상판과 평행하면서 상기 지지 빔과 직교하도록 배치되는 사각 빔 형상으로 형성되며, 적어도 2개가 평행하게 배열되는 연결 빔; 및 상기 연결 빔과 일체로 구성되어 상기 테이블 상판을 바닥 면에 수직으로 지지하도록 배치되는 사각 빔 형상으로 형성되는 다리 빔을 포함할 수 있다.Prefabricated table using a coupling structure of the bea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is object, the table top plate formed in a plate shape parallel to the bottom surface; A support beam formed in a rectangular beam shape disposed in parallel with the table top plate and fixed to a bottom surface of the table top plate, and having at least two arranged in parallel; A part is inserted into the support beam and coupled upwardly, and is formed in a rectangular beam shape arranged parallel to the support beam while being in parallel with the table top plate in a state of being coupled with the support beam, and at least two of which are arranged in parallel. beam; And a bridge beam integrally formed with the connection beam and formed in a square beam shape disposed to support the table top plate perpendicularly to the floor surface.

상기 지지 빔은 상기 테이블 상판에 볼팅 결합될 수 있다.The support beam may be bolted to the table top plate.

상기 지지 빔, 상기 연결 빔, 및 상기 다리 빔은 균일한 단면을 갖도록 성형된 하나의 사각 빔을 커팅하여 제작될 수 있다.The support beam, the connecting beam, and the bridge beam may be manufactured by cutting one rectangular beam shaped to have a uniform cross section.

상기 연결 빔이 2개가 제공되는 경우에 상기 지지 빔과 상기 연결 빔이 분리된 후의 포장상태에서, 상기 2개의 연결 빔은 상기 지지 빔에 직교하고, 하면이 상기 적어도 2개의 지지 빔의 길이방향 양단에 각각 접촉되면서 일 측면이 상기 테이블 상판에 접촉되며, 상기 2개의 연결 빔의 양단에 각각 서로 평행하게 구비되어 두 쌍이 제공되는 상기 다리 빔은 일 측면이 상기 테이블 상판에 접촉되며, 상기 적어도 2개의 지지 빔과 평행하게 상기 연결 빔으로부터 상기 지지 빔을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두 쌍의 다리 빔 중 한 쌍의 하나, 상기 두 쌍의 다리 빔 중 다른 한 쌍의 하나, 및 상기 적어도 2개의 지지 빔 중 하나가 순차적으로 겹쳐지며, 상기 적어도 2개의 지지 빔 중 다른 하나, 상기 두 쌍의 다리 빔 중 한 쌍의 다른 하나, 및 상기 두 쌍의 다리 빔 중 다른 한 쌍의 다른 하나가 순차적으로 겹쳐지도록 배치될 수 있다.In the paving state after the supporting beam and the connecting beam are separated when two connecting beams are provided, the two connecting beams are orthogonal to the supporting beam, and a lower surface thereof is longitudinally opposite to the at least two supporting beams. The side beams are in contact with the table top plate, the side beams are provided in parallel to each other at both ends of the two connecting beams to provide two pairs, the one side is in contact with the table top plate, the at least two A pair of one of the two pairs of leg beams, one of the other pair of the two pairs of leg beams, and the at least two arranged to extend in a direction from the connecting beam toward the support beam in parallel with the support beam One of the two support beams sequentially overlaps, the other of the at least two support beams, the other one of the pair of the two pairs of leg beams, and the The other one of the other pair of two pairs of leg beams may be arranged so as to overlap sequentially.

상기 연결 빔에는, 상기 연결 빔의 상면 및 양 측면이 커팅되어 상기 연결 빔의 상면으로부터 하방으로 함몰된 형상을 가지며, 상기 연결 빔 하나마다 상기 적어도 2개의 지지 빔에 대응하는 수로 형성되는 지지 빔 수용부; 상기 지지 빔 수용부를 형성하도록 상기 연결 빔의 양 측면이 커팅되면서 형성되는 상기 연결 빔 측면의 일부분이며, 상기 지지 빔 수용부 하나마다 한 쌍이 상기 연결 빔의 길이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을 따라 상기 지지 빔 수용부를 기준으로 양측에 배열되는 삽입 판; 및 상기 지지 빔 수용부를 형성하도록 상기 연결 빔의 상면이 커팅되면서 남겨진 상기 연결 빔 상면의 일부분이며, 상기 한 쌍의 삽입 판의 사이에서 상기 지지 빔 수용부를 상기 연결 빔의 길이방향을 따라 가로지르도록 형성되는 리브가 형성될 수 있다.The connection beam has a shape in which an upper surface and both sides of the connection beam are cut and recessed downward from an upper surface of the connection beam, and each support beam has a support beam formed in a number corresponding to the at least two support beams. part; Both sides of the connection beam are formed while cutting both sides of the connection beam to form the support beam receiver, and each pair of support beam receivers supports the support beam along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onnection beam. Insertion plates arranged on both sides with respect to the receiving portion; And a portion of the upper surface of the connecting beam which is left while the upper surface of the connecting beam is cut to form the supporting beam receiving portion, and to cross the supporting beam receiving portion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onnecting beam between the pair of insertion plates. The rib to be formed may be formed.

상기 지지 빔에는, 상기 지지 빔의 하면 및 양 측면이 커팅되어 상기 지지 빔의 하면으로부터 상방으로 함몰된 형상을 가지며, 상기 지지 빔 하나마다 상기 적어도 2개의 연결 빔에 대응하는 수로 형성되는 연결 빔 수용부; 및 상기 지지 빔의 하면 및 양 측면이 커팅되어 상기 지지 빔의 하면으로부터 상방으로 함몰된 형상을 가지며, 상기 연결 빔 수용부 하나마다 한 쌍이 상기 지지 빔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연결 빔 수용부를 기준으로 양측에 배열되는 결합 슬릿이 형성될 수 있다.The support beam has a shape in which a lower surface and both sides of the support beam are cut and recessed upwardly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support beam, and each support beam has a connection beam formed in a number corresponding to the at least two connection beams. part; And a lower surface and both sides of the support beam are cut and recessed upwardly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support beam, wherein a pair of each of the connection beam receivers is based on the connection beam receiver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upport beam. Coupling slits arranged on both sides may be formed.

상기 연결 빔이 중공의 사각 빔 형상으로 형성됨에 따라 상기 지지 빔 수용부가 형성된 부분에서 상기 연결 빔의 상면 및 양 측면은 중공과 외부가 연통되도록 천공될 수 있다.As the connecting beam is formed in a hollow rectangular beam shape, the upper surface and both sides of the connecting beam may be perforated so that the hollow and the outside communicate with each other at the portion where the support beam receiver is formed.

상기 지지 빔이 중공의 사각 빔 형상으로 형성됨에 따라 상기 연결 빔 수용부가 형성된 부분에서 상기 지지 빔의 하면 및 양 측면은 중공과 외부가 연통되도록 천공될 수 있다.As the support beam is formed in a hollow rectangular beam shape, the bottom and both sides of the support beam may be perforated so that the hollow and the outside communicate with each other at the portion where the connection beam receiver is formed.

상기 지지 빔이 중공의 사각 빔 형상으로 형성됨에 따라 상기 결합 슬릿이 형성된 부분에서 상기 지지 빔의 하면 및 양 측면은 중공과 외부가 연통되도록 천공될 수 있다.As the support beam is formed in a hollow rectangular beam shape, the bottom and both sides of the support beam may be perforated to communicate with the outside in a portion where the coupling slit is formed.

상기 지지 빔과 상기 연결 빔이 결합될 때, 상기 리브는 상기 연결 빔 수용부에 삽입되어 안착되고, 상기 연결 빔의 삽입 판은 상기 결합 슬릿에 삽입되어 안착될 수 있다.When the support beam and the connecting beam are combined, the rib may be inserted into and seated in the connecting beam receiving portion, and the insertion plate of the connecting beam may be inserted into and mounted in the coupling slit.

상기 연결 빔에는 상기 결합 슬릿에 상기 삽입 판이 삽입된 후에 상기 연결 빔이 상기 삽입 판의 삽입방향으로 더 이동되어 상기 지지 빔의 상기 결합 슬릿 상부 측면이 삽입되도록 상기 삽입 판 하나마다 한 쌍이 상기 삽입 판을 기준으로 양측에 상기 연결 빔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열되는 보강 슬릿이 더 형성될 수 있다.The insertion plate has a pair of insertion plates for each insertion plate such that the connection beam is further moved in the insertion direction of the insertion plate after the insertion plate is inserted into the coupling slit so that the upper side of the coupling slit of the support beam is inserted. Reinforcing slits arrang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onnection beam may be further formed on both sides of the base line.

상기 지지 빔 수용부, 상기 삽입 판, 상기 리브, 상기 보강 슬릿, 상기 연결 빔 수용부, 및 상기 결합 슬릿은 레이저 커팅에 의해 상기 연결 빔 및 상기 지지 빔이 커팅됨으로써 가공될 수 있다.The support beam receiver, the insertion plate, the rib, the reinforcement slit, the connection beam receiver, and the coupling slit may be processed by cutting the connection beam and the support beam by laser cutting.

상기 연결 빔의 하면으로부터 상기 삽입 판의 상단까지의 거리는 상기 연결 빔의 하면으로부터 상기 리브의 상단까지의 거리 및 상기 연결 빔 수용부의 함몰된 깊이보다 작을 수 있다.The distance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connecting beam to the top of the insertion plate may be less than the distance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connecting beam to the top of the rib and the recessed depth of the connecting beam receiver.

상기 결합 슬릿의 함몰된 깊이는 상기 연결 빔 수용부의 함몰된 깊이보다 작을 수 있다.The recessed depth of the coupling slit may be smaller than the recessed depth of the connecting beam receiver.

상기 지지 빔에는 상기 결합 슬릿의 하단부가 하측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넓어지도록 경사진 경사부가 더 형성될 수 있다.The support beam may further include an inclined portion inclined such that the lower end portion of the coupling slit gradually widens toward the lower side.

상기 연결 빔 수용부는 하측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넓어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The connecting beam receiver may be formed to gradually widen toward the lower side.

상기 지지 빔에는 상기 지지 빔을 상기 테이블 상판에 결합시키는 볼트가 삽입되도록 상기 한 쌍의 결합 슬릿을 기준으로 양측에 볼트홀이 더 형성될 수 있다.Bolting holes may be further formed at both sides of the support beam based on the pair of coupling slits so as to insert a bolt for coupling the support beam to the table top plate.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다수개의 볼트 및 피스와 같은 체결부재가 사용되지 않는 빔의 결합구조가 이용됨으로써, 구성 부품들의 손상이 저감되고, 부품의 분실이 방지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by using a coupling structure of the beam that does not use a plurality of fastening members such as bolts and pieces, damage of the component parts can be reduced, and loss of parts can be prevented.

또한, 지지 빔과 연결 빔의 결합 및 분리가 용이해짐으로써, 분해된 상태로의 이송 및 이송 후의 조립이 편리해질 수 있다.In addition, the coupling and separation of the support beam and the connecting beam can be facilitated, so that the assembly in the disassembled state and the assembly after the transfer can be facilitated.

나아가, 분해된 상태로의 포장 시에 다리 빔, 지지 빔, 및 연결 빔의 길이방향이 테이블 상판에 평행하도록 다리 빔이 엇갈려 배치됨으로써, 포장 상태에서 차치하는 용적이 최소화 될 수 있다.Furthermore, when the legs beams, the support beams, and the connecting beams are arranged in parallel so that the length directions of the legs beams, the support beams, and the connecting beams are parallel to the table top plate, the volume to be set in the packed states can be minimized.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빔의 결합구조를 이용한 조립식 테이블의 조립상태를 보여주는 하측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빔의 결합구조를 이용한 조립식 테이블의 분해된 포장상태를 보여주는 하측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결 빔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지 빔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지 빔의 일부 확대도이다.
1 is a lower perspective view showing an assembled state of a prefabricated table using a beam coupling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lower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ploded packaging state of the prefabricated table using the coupling structure of the bea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nnecting bea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perspective view of a support bea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partially enlarged view of a support bea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s follow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빔의 결합구조를 이용한 조립식 테이블의 조립상태를 보여주는 하측 사시도이다.1 is a lower perspective view showing an assembled state of a prefabricated table using a beam coupling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빔의 결합구조를 이용한 조립식 테이블은 테이블 상판(30), 지지 빔(20), 다리 빔(40), 및 연결 빔(10)을 포함한다.As shown in FIG. 1, a prefabricated table using a coupling structure of a bea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table top plate 30, a support beam 20, a bridge beam 40, and a connecting beam 10. do.

상기 테이블 상판(30)이 물건을 올려 놓고 받치기 위한 기능에 따라 널찍한 판 형상으로 형성됨은 물론이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구성요소의 배치 및 일부분을 설명하는 상하방향은 상기 조립식 테이블이 조립상태로 상기 테이블 상판(30)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비치된 상태에서 상기 테이블 상판(30)을 향하는 방향이 상방이고, 상기 조립식 테이블이 비치되는 바닥 면을 향하는 방향이 하방인 것을 기준으로 한다.Of course, the table top plate 30 is formed in a wide plate shape according to a function for supporting the object. On the other hand, the vertical direction for explaining the arrangement and part of the components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is the direction toward the table top plate 30 in the state where the prefabricated table is provided to perform the function of the table top plate 30 in the assembled state upwards It is based on the direction toward the bottom surface on which the prefabricated table is provided is downward.

상기 지지 빔(20)은 일정한 길이를 갖는 중공의 사각 빔 형상으로서, 길이방향이 상기 테이블 상판(30)과 평행하도록 상기 테이블 상판(30)의 하면에 고정된다. 또한, 상기 지지 빔(20)은 적어도 2개가 제공되고, 상기 적어도 2개의 지지 빔(20)은 서로 평행하게 배치된다. 한편, 상기 지지 빔(20)이 상기 테이블 상판(30)에 고정되도록 상기 지지 빔(20)과 상기 테이블 상판(30)을 결합시키는 방법에는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이하, 당업자)의 설계에 따라 볼팅(bolting), 용접, 피스 체결 등의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도면에는 상기 지지 빔(20)과 상기 테이블 상판(30)이 볼트(50)에 의해 볼팅 결합된 것이 도시되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다만, 이종 재질의 상기 지지 빔(20)과 상기 테이블 상판(30)의 결합을 위해서는 볼팅 및 피스 체결 등의 방법이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support beam 20 is a hollow rectangular beam shape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and is fix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table top plate 30 so that a longitudinal direction thereof is parallel to the table top plate 30. In addition, at least two support beams 20 are provided, and the at least two support beams 20 are arranged in parallel with each other. On the other hand, a method of combining the support beam 20 and the table top plate 30 so that the support beam 20 is fixed to the table top plate 30, those skilled in the art (hereinafter, those skilled in the art) Depending on the design of the method may be used, such as bolting (bolting), welding, piece fastening. In the drawings, the support beam 20 and the table top plate 30 are bolted to each other by the bolt 50,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However, in order to couple the support beam 20 and the table top plate 30 of different materials, a method such as bolting and piece fastening may be used.

상기 다리 빔(40)은 일정한 길이를 갖는 중공의 사각 빔 형상으로서, 상기 조립식 테이블의 조립상태에서 길이방향이 상기 테이블 상판(30)과 직교하도록 구비된다. 또한, 상기 다리 빔(40)은 적어도 두 쌍, 즉, 4개가 제공되고, 하나의 다리 빔(40)과 다른 하나의 다리 빔(40)은 서로 평행하게 배치된다.The leg beam 40 is a hollow rectangular beam shape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 the assembled state of the prefabricated table is provided so as to orthogonal to the table top plate 30. In addition, at least two pairs, i.e. four, of the leg beams 40 are provided, and one leg beam 40 and the other leg beam 40 are arranged in parallel with each other.

상기 연결 빔(10)은 일정한 길이를 갖는 중공의 사각 빔 형상으로서, 길이방향이 상기 테이블 상판(30)과 평행하도록 배치된다. 또한, 상기 다리 빔(40)은 한 쌍이 상기 연결 빔(10)의 양단에 하나씩 각각 고정 연결된다. 즉, 상기 다리 빔(40)과 상기 연결 빔(10)은 일체로 구성된다. 나아가, 상기 다리 빔(40)은 상기 연결 빔(10)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조립식 테이블이 비치되는 바닥 면에 하단이 지지되어 상기 테이블 상판(30)을 수직으로 지지한다. 다시 말해, 상기 한 쌍의 다리 빔(40) 및 이를 연결하는 상기 연결 빔(10)이 "U"자 형상으로 배치된다. 여기서, 상기 다리 빔(40)이 적어도 두 쌍이 제공됨에 따라 상기 연결 빔(10)은 적어도 2개가 평행하게 배치되도록 제공된다. 한편, 상기 다리 빔(40)이 상기 연결 빔(10)에 고정되도록 상기 다리 빔(40)과 상기 연결 빔(10)을 결합시키는 방법에는 당업자의 설계에 따라 다양한 방법이 사용될 수 있으나, 상기 다리 빔(40)과 상기 연결 빔(10) 사이의 유격(play)이 방지되도록 용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connecting beam 10 is a hollow rectangular beam shape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the longitudinal direction is disposed so as to be parallel to the table top plate (30). In addition, a pair of the bridge beam 40 is fixedly connected to each one of both ends of the connection beam (10). That is, the bridge beam 40 and the connection beam 10 are integrally formed. Furthermore, the leg beam 40 extends downwardly from the connection beam 10 to support a lower end on the bottom surface on which the prefabricated table is provided to vertically support the table top plate 30. In other words, the pair of leg beams 40 and the connecting beams 10 connecting them are arranged in a “U” shape. Here, as the bridge beam 40 is provided with at least two pairs, the connection beam 10 is provided such that at least two are arranged in parallel. Meanwhile, various methods may be used according to a design of a person skilled in the art in the method of combining the bridge beam 40 and the connection beam 10 so that the bridge beam 40 is fixed to the connection beam 10. It is preferable to weld so that play between the beam 40 and the connecting beam 10 is prevented.

이처럼 상기 지지 빔(20), 다리 빔(40), 및 연결 빔(10)은 모두 중공의 사각 빔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와 같은 관점에서 길이방향을 따라 균일한 단면을 갖도록 성형된 하나의 사각 빔을 커팅(cutting)하여 상기 지지 빔(20), 다리 빔(40), 및 연결 빔(10)을 모두 제작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상기 조립식 테이블의 생산공정이 단순해질 수 있다. 한편, 상기 조립식 테이블의 조립상태에서 상기 지지 빔(20)의 길이방향과 상기 연결 빔(10)의 길이방향은 직교하며, 상기 지지 빔(20)과 상기 연결 빔(10)이 빔의 결합구조를 이용하여 결합된다.As such, the support beam 20, the bridge beam 40, and the connection beam 10 are all formed in a hollow rectangular beam shape. From this point of view, it is possible to manufacture both the support beam 20, the bridge beam 40, and the connecting beam 10 by cutting one square beam shaped to have a uniform cross section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Do. Thus, the production process of the prefabricated table can be simplified. On the other hand, in the assembled state of the prefab table,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upport beam 20 and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onnection beam 10 is orthogonal, and the support beam 20 and the connection beam 10 is a combined structure of the beam Is combined using.

이하, 도 2 내지 도 4를 참조로 빔의 결합구조를 이용한 상기 지지 빔(20)과 상기 연결 빔(10)의 결합 및 분리를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the coupling and separation of the support beam 20 and the connection beam 10 using the beam coupling structur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2 to 4.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빔의 결합구조를 이용한 조립식 테이블의 분해된 포장상태를 보여주는 하측 사시도이다.Figure 2 is a lower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ploded packaging state of the prefabricated table using the coupling structure of the bea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빔의 결합구조를 이용한 조립식 테이블은 분해상태에서 포장 및 이송의 편의성을 위하여 구성요소들이 차치하는 용적이 최소화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조립식 테이블의 분해상태는 상기 지지 빔(20)과 상기 연결 빔(10)이 분리된 상태이다. 한편, 상기 조립식 테이블의 구성요소들이 차치하는 용적이 최소화되도록 배치된 상태를 포장상태로 정의하기로 한다.As shown in Figure 2, the prefabricated table using the coupling structure of the beam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rranged to minimize the volume of the components placed for ease of packaging and transport in the disassembled state. Here, the disassembled state of the assembled table is a state in which the support beam 20 and the connection beam 10 are separated. On the other hand, a state in which the arrangement is minimized to the volume of the components of the prefabricated table will be defined as a packaging state.

상기 조립식 테이블의 포장상태에서 상기 연결 빔(10)은 상기 지지 빔(20)에 직교하면서 하면이 상기 적어도 2개의 지지 빔(20)의 길이방향 끝 단에 접촉되도록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테이블 상판(30)에 면 접촉된다. 이 때, 상기 2개의 연결 빔(10)은 상기 지지 빔(20)의 길이방향 양단에 각각 접촉된다. 또한, 상기 다리 빔(40)은 상기 연결 빔(10)으로부터 상기 지지 빔(20)을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두 쌍의 다리 빔(40) 및 상기 적어도 2개의 지지 빔(20)은 모두 평행하게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두 쌍의 다리 빔(40)은 상기 테이블 상판(30)에 면 접촉된다. 나아가, 상기 두 쌍의 다리 빔(40) 중 한 쌍의 하나, 상기 두 쌍의 다리 빔(40) 중 다른 한 쌍의 하나, 및 상기 적어도 2개의 지지 빔(20) 중 하나가 순차적으로 겹쳐지며, 상기 적어도 2개의 지지 빔(20) 중 다른 하나, 상기 두 쌍의 다리 빔(40) 중 한 쌍의 다른 하나, 및 상기 두 쌍의 다리 빔(40) 중 다른 한 쌍의 다른 하나가 순차적으로 겹쳐진다.In the packaging state of the prefab table, the connection beam 10 is orthogonal to the support beam 20 while the bottom surface of the table is arranged to be in contact with the longitudinal ends of the at least two support beams 20. 30) are in surface contact. At this time, the two connecting beams 10 are in contact with both ends of the support beam 2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respectively. In addition, the bridge beam 40 is arranged to extend in the direction from the connecting beam 10 toward the support beam 20, the two pair of bridge beam 40 and the at least two support beams 20 The two pairs of leg beams 40 are in surface contact with the table top plate 30 in a state where all of them are arranged in parallel. Furthermore, one of one pair of the two pairs of leg beams 40, one of the other pair of two pairs of leg beams 40, and one of the at least two support beams 20 are sequentially stacked The other one of the at least two support beams 20, the other one of the pair of two pairs of leg beams 40, and the other one of the other pair of the two pairs of leg beams 40 sequentially Overlaps.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결 빔의 사시도이다.3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nnecting bea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결 빔(10)에는 지지 빔 수용부(11), 삽입 판(12), 및 리브(13)가 형성된다.As shown in FIG. 3, the support beam receiving portion 11, the insertion plate 12, and the rib 13 are formed in the connecting beam 10.

상기 지지 빔 수용부(11)는 상기 연결 빔(10)의 상면 및 양 측면이 커팅되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지지 빔 수용부(11)는 상기 연결 빔(10)의 상면으로부터 하방으로 함몰된 홈 형상일 수 있으며, 상기 연결 빔(10)이 중공의 사각 빔 형상으로 형성됨에 따라 상기 지지 빔 수용부(11)가 형성된 부분에서 상기 연결 빔(10)의 중공과 외부가 연통되도록 상기 연결 빔(10)의 상면 및 양 측면은 천공된다. 나아가, 상기 지지 빔 수용부(11)는 하나의 상기 연결 빔(10) 마다 상기 적어도 2개의 지지 빔(20)에 대응하는 수로 형성되며, 상기 적어도 2개의 지지 빔(20)이 평행하게 배열되는 거리에 대응하도록 서로 이격된다.The support beam receiving portion 11 is formed by cutting the upper surface and both sides of the connection beam 10. In addition, the support beam receiving portion 11 may have a groove shape recessed downward from an upper surface of the connection beam 10, and as the connection beam 10 is formed in a hollow rectangular beam shape, the support beam accommodation is accommodated. The upper surface and both sides of the connection beam 10 are perforated so that the hollow and the outside of the connection beam 10 communicate with each other at the portion 11. In addition, the support beam receiver 11 is formed in a number corresponding to the at least two support beams 20 for each of the connection beams 10, and the at least two support beams 20 are arranged in parallel.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o correspond to the distance.

상기 삽입 판(12)은 상기 연결 빔(10) 측면의 일부분으로서, 하나의 상기 지지 빔 수용부(11) 마다 한 쌍이 배치된다. 또한, 상기 한 쌍의 삽입 판(12)은 상기 연결 빔(10)의 길이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을 따라 배열되며, 상기 지지 빔 수용부(11)를 기준으로 양측에 배치된다. 즉, 상기 삽입 판(12)은 상기 지지 빔 수용부(11)를 형성하도록 상기 연결 빔(10)의 양 측면이 커팅되면서 형성된다.The insertion plate 12 is a part of the side of the connecting beam 10, and a pair is disposed for each of the support beam receiving portions 11. In addition, the pair of insertion plates 12 are arranged along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onnection beam 10, and are disposed at both sides with respect to the support beam receiving unit 11. That is, the insertion plate 12 is formed while both sides of the connection beam 10 are cut to form the support beam receiver 11.

상기 리브(13)는 상기 연결 빔(10) 상면의 일부분으로서, 상기 한 쌍의 삽입 판(12)의 사이에 배치된다. 즉, 상기 리브(13)는 상기 지지 빔 수용부(11)를 상기 연결 빔(10)의 길이방향을 따라 가로지르도록 형성된다.The rib 13 is part of the upper surface of the connecting beam 10 and is disposed between the pair of insertion plates 12. That is, the rib 13 is formed to cross the support beam receiving portion 11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onnecting beam 10.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지 빔의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지 빔의 일부 확대도이다.4 is a perspective view of a support bea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5 is a partially enlarged view of the support bea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 빔(20)에는 연결 빔 수용부(22), 결합 슬릿(21), 경사부(23), 및 볼트홀(25)이 형성된다.As shown in FIGS. 4 and 5, the support beam 20 is provided with a connection beam receiver 22, a coupling slit 21, an inclined portion 23, and a bolt hole 25.

상기 연결 빔 수용부(22)는 상기 지지 빔(20)의 하면 및 양 측면이 커팅되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연결 빔 수용부(22)는 상기 지지 빔(20)의 하면으로부터 상방으로 함몰된 형상일 수 있으며, 상기 지지 빔(20)이 중공의 사각 빔 형상으로 형성됨에 따라 상기 연결 빔 수용부(22)가 형성된 부분에서 상기 지지 빔(20)의 중공과 외부가 연통되도록 상기 지지 빔(20)의 하면 및 양 측면은 천공된다. 나아가, 상기 연결 빔 수용부(22)는 하나의 상기 지지 빔(20) 마다 상기 적어도 2개의 연결 빔(10)에 대응하는 수로 형성되며, 상기 적어도 2개의 연결 빔(10)이 평행하게 배열되는 거리에 대응하도록 서로 이격된다. 한편, 상기 지지 빔(20)과 상기 연결 빔(10)이 결합될 때에 상기 연결 빔(10)의 리브(13)는 상기 연결 빔 수용부(22)에 삽입되어 안착된다.The connection beam receiver 22 is formed by cutting the lower surface and both sides of the support beam 20. In addition, the connection beam receiver 22 may have a shape recessed upwardly from a lower surface of the support beam 20, and as the support beam 20 is formed in a hollow rectangular beam shape, the connection beam receiver The lower surface and both sides of the support beam 20 are perforated so that the hollow and the outside of the support beam 20 communicate with each other at the portion 22. Further, the connection beam receiver 22 is formed in a number corresponding to the at least two connection beams 10 for each of the support beams 20, and the at least two connection beams 10 are arranged in parallel.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o correspond to the distance. Meanwhile, when the support beam 20 and the connection beam 10 are coupled, the rib 13 of the connection beam 10 is inserted into the connection beam receiver 22 to be seated.

상기 결합 슬릿(21)은 상기 지지 빔(20)의 하면 및 양 측면이 커팅되어 형성된다. 또한, 상기 결합 슬릿(21)은 상기 지지 빔(20)의 하면으로부터 상방으로 함몰된 형상일 수 있으며, 상기 지지 빔(20)이 중공의 사각 빔 형상으로 형성됨에 따라 상기 결합 슬릿(21)이 형성된 부분에서 상기 지지 빔(20)의 중공과 외부가 연통되도록 상기 지지 빔(20)의 하면 및 양 측면은 천공된다. 나아가, 상기 결합 슬릿(21)은 하나의 상기 연결 빔 수용부(22) 마다 한 쌍이 배치된다. 또한, 상기 한 쌍의 결합 슬릿(21)은 상기 지지 빔(20)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열되며, 상기 연결 빔 수용부(22)를 기준으로 양측에 배치된다. 한편, 상기 지지 빔(20)과 상기 연결 빔(10)이 결합될 때에 상기 연결 빔(10)의 삽입 판(12)은 상기 결합 슬릿(21)에 삽입되어 안착된다. 즉, 상기 한 쌍의 결합 슬릿(21) 사이의 거리는 상기 한 쌍의 삽입 판(12) 사이의 거리에 대응된다.The coupling slit 21 is formed by cutting the lower surface and both side surfaces of the support beam 20. In addition, the coupling slit 21 may have a shape recessed upwardly from a lower surface of the support beam 20, and the coupling slit 21 may be formed as the support beam 20 is formed in a hollow square beam shape. The bottom and both sides of the support beam 20 are perforated so that the hollow and the outside of the support beam 20 communicate with each other in the formed portion. Furthermore, a pair of the coupling slits 21 is disposed for each of the connection beam receivers 22. In addition, the pair of coupling slits 21 are arrang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upport beam 20, and are disposed at both sides with respect to the connection beam receiver 22. Meanwhile, when the support beam 20 and the connection beam 10 are coupled, the insertion plate 12 of the connection beam 10 is inserted into the coupling slit 21 to be seated. That is, the distance between the pair of coupling slits 21 corresponds to the distance between the pair of insertion plates 12.

상기 경사부(23)는 상기 삽입 판(12)이 상기 결합 슬릿(21)에 삽입되는 것을 가이드 하도록 상기 결합 슬릿(21)의 하단부에 경사지게 형성된다. 다시 말해, 상기 경사부(23)가 형성됨으로써, 상기 결합 슬릿(21)의 하단부는 하측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넓어진다. 따라서, 상기 지지 빔(20)과 상기 연결 빔(10)이 결합될 때, 상기 결합 슬릿(21)이 균일한 간격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과 비교하여 상기 삽입 판(12)이 상기 결합 슬릿(21)에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관점에서 상기 리브(13)가 상기 연결 빔 수용부(22)에 삽입되는 것이 용이하도록 상기 연결 빔 수용부(22)는 하측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넓어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도 5 참조). 한편, 도면에서와 같이 상기 경사부(23)가 상기 결합 슬릿(21)과 상기 연결 빔 수용부(22)의 사이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당업자의 설계에 따라 상기 결합 슬릿(21) 하단부의 양측 중 적어도 일측에 형성될 수 있다.The inclined portion 23 is formed to be inclined at the lower end of the coupling slit 21 to guide the insertion plate 12 is inserted into the coupling slit 21. In other words, as the inclined portion 23 is formed, the lower end of the coupling slit 21 gradually widens toward the lower side. Thus, when the support beam 20 and the connection beam 10 are coupled, the insertion plate 12 is coupled to the coupling slit 21 as compared with the coupling slit 21 is formed to have a uniform interval. It can be easily inserted into. In this regard, the connecting beam receiver 22 may be formed to gradually widen toward the lower side so that the rib 13 is easily inserted into the connecting beam receiver 22 (see FIG. 5). On the other hand, it is preferable that the inclined portion 23 is formed between the coupling slit 21 and the connection beam receiving portion 22 as shown in the drawing, but is not limited thereto. It may be formed on at least one side of both sides of the lower end of the slit 21.

상기 볼트홀(25)은 상기 지지 빔(20)이 상기 테이블 상판(30)에 볼팅 결합되도록 상기 볼트(50)가 삽입되는 홀이다. 여기서, 상기 볼트홀(25)은 상기 지지 빔(20)과 상기 연결 빔(10)의 반복적인 결합 및 분리에도 상기 지지 빔(20)과 상기 테이블 상판(30)의 견고한 결합을 유지하도록 상기 한 쌍의 결합 슬릿(21)을 기준으로 양측에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볼트(50)는 상기 결합 슬릿(21)에 근접하여 체결될 수 있다.The bolt hole 25 is a hole into which the bolt 50 is inserted such that the support beam 20 is bolted to the table top plate 30. Here, the bolt hole 25 is the one to maintain a firm coupling of the support beam 20 and the table top plate 30 even after repeated coupling and separation of the support beam 20 and the connection beam 10. The pair of coupling slits 21 may be formed at both sides. That is, the bolt 50 may be fastened close to the coupling slit 21.

상기 연결 빔(10)에는 보강 슬릿(15)이 더 형성된다.Reinforcing slits 15 are further formed in the connecting beam 10.

상기 보강 슬릿(15)은 상기 연결 빔(10)의 양 측면 중 하나마다 상기 삽입 판(12)을 기준으로 양측에 형성된다. 즉, 상기 보강 슬릿(15)은 하나의 상기 삽입 판(12) 마다 한 쌍이 상기 연결 빔(10)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열되도록 형성된다. 나아가, 상기 지지 빔(20)과 상기 연결 빔(10)이 결합될 때에 상기 결합 슬릿(21)에 상기 삽입 판(12)이 삽입된 후에 상기 연결 빔(10)이 상기 삽입 판(12)의 삽입방향으로 더 이동되어 상기 지지 빔(20)의 상기 결합 슬릿(21) 상부 측면(27)이 상기 보강 슬릿(15)에 삽입된다. 따라서, 상기 연결 빔(10)과 상기 지지 빔(20)의 결합이 더욱 견고해질 수 있다.The reinforcing slits 15 are formed at both sides of the insertion plate 12 on one of both sides of the connecting beam 10. That is, the reinforcing slit 15 is formed such that a pair is arrang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onnection beam 10 for each one of the insertion plate 12. Furthermore, when the supporting plate 20 and the connecting beam 10 are combined, the connecting plate 10 is inserted into the coupling slit 21 and then the connecting beam 10 is connected to the insertion plate 12. Further moving in the insertion direction, the upper side 27 of the coupling slit 21 of the support beam 20 is inserted into the reinforcing slit 15. Therefore, the coupling of the connection beam 10 and the support beam 20 can be more robust.

상기 연결 빔(10) 및 상기 지지 빔(20)은 금속재질이며, 상기 연결 빔(10)의 지지 빔 수용부(11), 삽입 판(12), 리브(13), 및 보강 슬릿(15) 그리고 상기 지지 빔(20)의 연결 빔 수용부(22), 결합 슬릿(21), 및 경사부(23)는 레이저 커팅에 의해 상기 연결 빔(10) 및 상기 지지 빔(20)이 커팅됨으로써 가공될 수 있다.The connecting beam 10 and the supporting beam 20 are made of metal, and the supporting beam receiving part 11, the insertion plate 12, the rib 13, and the reinforcing slit 15 of the connecting beam 10 are formed. The connection beam receiver 22, the coupling slit 21, and the inclination part 23 of the support beam 20 are processed by cutting the connection beam 10 and the support beam 20 by laser cutting. Can be.

이 때, 상기 연결 빔(10)의 하면으로부터 상기 삽입 판(12)의 상단까지의 거리가 상기 연결 빔(10)의 하면으로부터 상기 리브(13)의 상단까지의 거리보다 작도록 가공된다. 또한, 상기 연결 빔(10)의 하면으로부터 상기 삽입 판(12)의 상단까지의 거리가 상기 연결 빔 수용부(22)의 함몰된 깊이보다 작도록 가공된다. 나아가, 상기 결합 슬릿(21)의 함몰된 깊이는 상기 연결 빔 수용부(22)의 함몰된 깊이보다 작도록 가공된다. 이러한 가공은 상기 조립식 테이블의 조립상태에서 안정성을 향상시키기 위함이다. 한편, 상기 연결 빔(10)과 상기 지지 빔(20)의 결합을 위하여 상기 지지 빔(20)의 길이는 하나의 상기 연결 빔(10)과 다른 하나의 상기 연결 빔(10)이 배열되는 거리보다 길고, 상기 연결 빔(10)의 길이는 하나의 상기 지지 빔(20)과 다른 하나의 상기 지지 빔(20)이 배열되는 거리보다 긴 것은 물론이다.At this time, the distance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connecting beam 10 to the upper end of the insertion plate 12 is processed to be smaller than the distance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connecting beam 10 to the upper end of the rib 13. In addition, the distance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connecting beam 10 to the upper end of the insertion plate 12 is machined to be smaller than the recessed depth of the connecting beam receiving portion 22. Furthermore, the recessed depth of the coupling slit 21 is machined to be smaller than the recessed depth of the connecting beam receiver 22. This processing is to improve the stability in the assembled state of the prefabricated table. Meanwhile, the length of the support beam 20 is a distance at which one of the connection beams 10 and the other of the connection beams 10 are arranged to couple the connection beams 10 and the support beams 20. Longer, the length of the connecting beam 10 is of course longer than the distance that the support beam 20 and the other support beam 20 is arranged.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다수개의 볼트 및 피스와 같은 체결부재가 사용되지 않는 빔의 결합구조가 이용됨으로써, 구성 부품들의 손상이 저감되고, 부품의 분실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지지 빔(20)과 연결 빔(10)의 결합 및 분리가 용이해짐으로써, 분해된 상태로의 이송 및 이송 후의 조립이 편리해질 수 있다. 나아가, 분해된 상태로의 포장 시에 다리 빔(40), 지지 빔(20), 및 연결 빔(10)의 길이방향이 테이블 상판(30)에 평행하도록 다리 빔(40)이 엇갈려 배치됨으로써, 포장 상태에서 차치하는 용적이 최소화 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by using a coupling structure of the beam that does not use a plurality of fastening members such as bolts and pieces, damage of the component parts can be reduced, and loss of parts can be prevented. In addition, by facilitating the coupling and separation of the support beam 20 and the connection beam 10, the assembly in the disassembled state and after the transfer can be convenient. Furthermore, when the bridge beam 40, the support beam 20, and the connection beam 10 are arranged in parallel so that the longitudinal directions of the bridge beam 40 are parallel to the table top plate 30 at the time of packaging in the disassembled state, The volume set aside in packaging can be minimized.

이상으로 본 발명에 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로부터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한 용이하게 변경되어 균등하다고 인정되는 범위의 모든 변경을 포함한다.Although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 and easily changed and equaliz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from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ncludes all changes to the extent deemed acceptable.

10: 연결 빔 11: 지지 빔 수용부
12: 삽입 판 13: 리브
15: 보강 슬릿
20: 지지 빔 21: 결합 슬릿
22: 수용부 23: 경사부
25: 볼트홀 27: 결합 슬릿 상부 측면
30: 테이블 상판 40: 다리 빔
50: 볼트
10: connecting beam 11: support beam receiving portion
12: insert plate 13: rib
15: reinforcement slit
20: support beam 21: coupling slit
22: accommodating part 23: inclined part
25: bolt hole 27: coupling slit upper side
30: table tops 40: bridge beam
50: bolts

Claims (15)

바닥 면과 평행하게 배치되는 판 형상으로 형성되는 테이블 상판;
상기 테이블 상판과 평행하게 배치되는 사각 빔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테이블 상판의 하면에 고정되며, 적어도 2개가 평행하게 배열되는 지지 빔;
상기 지지 빔에 일부분이 상방으로 삽입되어 결합되고, 상기 지지 빔과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테이블 상판과 평행하면서 상기 지지 빔과 직교하도록 배치되는 사각 빔 형상으로 형성되며, 적어도 2개가 평행하게 배열되는 연결 빔; 및
상기 연결 빔과 일체로 구성되어 상기 테이블 상판을 바닥 면에 수직으로 지지하도록 배치되는 사각 빔 형상으로 형성되는 다리 빔;
을 포함하되,
상기 연결 빔에는,
상기 연결 빔의 상면 및 양 측면이 커팅되어 상기 연결 빔의 상면으로부터 하방으로 함몰된 형상을 가지며, 상기 연결 빔 하나마다 상기 적어도 2개의 지지 빔에 대응하는 수로 형성되는 지지 빔 수용부;
상기 지지 빔 수용부를 형성하도록 상기 연결 빔의 양 측면이 커팅되면서 형성되는 상기 연결 빔의 측면의 일부분이며, 상기 지지 빔 수용부 하나마다 한 쌍이 상기 연결 빔의 길이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을 따라 상기 지지 빔 수용부를 기준으로 양측에 배열되는 삽입 판; 및
상기 지지 빔 수용부를 형성하도록 상기 연결 빔의 상면이 커팅되면서 남겨진 상기 연결 빔의 상면의 일부분이며, 한 쌍의 상기 삽입 판의 사이에서 상기 지지 빔 수용부를 상기 연결 빔의 길이방향을 따라 가로지르도록 형성되는 리브;
가 형성되고,
상기 지지 빔에는,
상기 지지 빔의 하면 및 양 측면이 커팅되어 상기 지지 빔의 하면으로부터 상방으로 함몰된 형상을 가지며, 상기 지지 빔 하나마다 상기 적어도 2개의 연결 빔에 대응하는 수로 형성되는 연결 빔 수용부; 및
상기 지지 빔의 하면 및 양 측면이 커팅되어 상기 지지 빔의 하면으로부터 상방으로 함몰된 형상을 가지며, 상기 연결 빔 수용부 하나마다 한 쌍이 상기 지지 빔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연결 빔 수용부를 기준으로 양측에 배열되는 결합 슬릿;
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빔의 결합구조를 이용한 조립식 테이블.
Table top plate formed in a plate shape disposed parallel to the bottom surface;
A support beam formed in a rectangular beam shape disposed in parallel with the table top plate and fixed to a bottom surface of the table top plate, and having at least two arranged in parallel;
A part inserted into the support beam upwardly and coupled to the support beam and formed in a quadrangular beam shape parallel to the table top plate in a state coupled with the support beam and arranged to be orthogonal to the support beam, and at least two of which are arranged in parallel beam; And
A bridge beam integrally formed with the connection beam and formed into a square beam shape disposed to support the table top plate perpendicularly to a floor surface;
Including,
In the connecting beam,
A support beam receiver having a shape in which an upper surface and both sides of the connection beam are cut and recessed downward from an upper surface of the connection beam, and each of the connection beams has a number corresponding to the at least two support beams;
Both sides of the connecting beam are formed while cutting both sides of the connecting beam to form the supporting beam receiver, and each pair of support beam receiving units is supported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onnecting beam. Insertion plates arranged on both sides with respect to the beam receiving portion;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connecting beam is a portion of the upper surface of the connecting beam that is left while being cut to form the supporting beam receiving portion, and between the pair of insertion plates to cross the supporting beam receiving portion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onnecting beam. Rib formed;
Is formed,
The support beam,
A connection beam receiver having a shape in which a lower surface and both sides of the support beam are cut and recessed upwardly from a lower surface of the support beam, and each support beam has a number corresponding to the at least two connection beams; And
A lower surface and both sides of the support beam are cut and recessed upwardly from a lower surface of the support beam, and a pair of each of the connection beam receivers is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support beam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upport beam. Coupling slits arranged in the;
Prefabricated table using a coupling structure of the beam,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빔은 상기 테이블 상판에 볼팅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빔의 결합구조를 이용한 조립식 테이블.
The method of claim 1,
Prefabricated table using a coupling structure of the beam, characterized in that the support beam is bolted to the table top pla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빔, 상기 연결 빔, 및 상기 다리 빔은 균일한 단면을 갖도록 성형된 하나의 사각 빔을 커팅하여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빔의 결합구조를 이용한 조립식 테이블.
The method of claim 1,
The support beam, the connection beam, and the bridge beam is a prefabricated table using a coupling structure of the beam, characterized in that the fabricated by cutting a square beam shaped to have a uniform cross sec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빔이 2개가 제공되는 경우에 상기 지지 빔과 상기 연결 빔이 분리된 후의 포장상태에서,
상기 2개의 연결 빔은 상기 지지 빔에 직교하고, 하면이 상기 적어도 2개의 지지 빔의 길이방향 양단에 각각 접촉되면서 일 측면이 상기 테이블 상판에 접촉되며,
상기 2개의 연결 빔의 양단에 각각 서로 평행하게 구비되어 두 쌍이 제공되는 상기 다리 빔은 일 측면이 상기 테이블 상판에 접촉되며, 상기 적어도 2개의 지지 빔과 평행하게 상기 연결 빔으로부터 상기 지지 빔을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배치되고,
두 쌍의 상기 다리 빔 중 한 쌍의 하나, 두 쌍의 상기 다리 빔 중 다른 한 쌍의 하나, 및 상기 적어도 2개의 지지 빔 중 하나가 순차적으로 겹쳐지며, 상기 적어도 2개의 지지 빔 중 다른 하나, 두 쌍의 상기 다리 빔 중 한 쌍의 다른 하나, 및 두 쌍의 상기 다리 빔 중 다른 한 쌍의 다른 하나가 순차적으로 겹쳐지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빔의 결합구조를 이용한 조립식 테이블.
The method of claim 1,
In the paving state after the supporting beam and the connecting beam are separated when two connecting beams are provided,
The two connecting beams are orthogonal to the support beams, and one side thereof contacts the table top plate while a lower surface contacts each of both ends of a length direction of the at least two support beams.
The bridge beams provided at both ends of the two connection beams in parallel to each other and provided with two pairs have one side contacting the table top plate, and the two beams face the support beams from the connection beam in parallel with the at least two support beams. Arranged to extend in the direction,
One of a pair of two pairs of the bridge beams, one of the other pair of two pairs of the bridge beams, and one of the at least two support beams sequentially overlap, the other of the at least two support beams, And a pair of the other one of the two pairs of the bridge beams, and the other one of the other pair of the two pairs of the bridge beams are arranged so as to overlap in sequenc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빔이 중공의 사각 빔 형상으로 형성됨에 따라 상기 지지 빔 수용부가 형성된 부분에서 상기 연결 빔의 상면 및 양 측면은 중공과 외부가 연통되도록 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빔의 결합구조를 이용한 조립식 테이블.
The method of claim 1,
As the connecting beam is formed in a hollow rectangular beam shape, the upper surface and both sides of the connecting beam in the portion where the support beam receiving portion is formed are perforated so that the hollow and the outside communicate with each other.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빔이 중공의 사각 빔 형상으로 형성됨에 따라 상기 연결 빔 수용부가 형성된 부분에서 상기 지지 빔의 하면 및 양 측면은 중공과 외부가 연통되도록 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빔의 결합구조를 이용한 조립식 테이블.
The method of claim 1,
As the support beam is formed in a hollow rectangular beam shape, a lower surface and both sides of the support beam are perforated to communicate with the outside in the portion where the connection beam receiver is formed.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빔이 중공의 사각 빔 형상으로 형성됨에 따라 상기 결합 슬릿이 형성된 부분에서 상기 지지 빔의 하면 및 양 측면은 중공과 외부가 연통되도록 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빔의 결합구조를 이용한 조립식 테이블.
The method of claim 1,
As the support beam is formed in a hollow rectangular beam shape, the lower surface and both sides of the support beam in the portion where the coupling slit is formed to be perforated to communicate the hollow and the outside, the prefabricated table using a beam coupling structur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빔과 상기 연결 빔이 결합될 때,
상기 리브는 상기 연결 빔 수용부에 삽입되어 안착되고, 상기 연결 빔의 삽입 판은 상기 결합 슬릿에 삽입되어 안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빔의 결합구조를 이용한 조립식 테이블.
The method of claim 1,
When the support beam and the connecting beam are combined,
The rib is inserted into the connection beam receiving portion is seated, and the insertion plate of the connection beam is inserted into the coupling slit, the prefabricated table using a coupling structure of the beam.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빔에는 상기 결합 슬릿에 상기 삽입 판이 삽입된 후에 상기 연결 빔이 상기 삽입 판의 삽입방향으로 더 이동되어 상기 지지 빔의 상기 결합 슬릿 상부 측면이 삽입되도록 상기 삽입 판 하나마다 한 쌍이 상기 삽입 판을 기준으로 양측에 상기 연결 빔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열되는 보강 슬릿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빔의 결합구조를 이용한 조립식 테이블.
The method of claim 9,
The insertion plate has a pair of insertion plates for each of the insertion plates so that the connection beam is further moved in the insertion direction of the insertion plate after the insertion plate is inserted into the coupling slit so that the upper side of the coupling slit of the support beam is inserted. Prefabricated table using a coupling structure of the beam, characterized in that the reinforcement slit is further formed on both sides based o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onnecting beam.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빔 수용부, 상기 삽입 판, 상기 리브, 상기 보강 슬릿, 상기 연결 빔 수용부, 및 상기 결합 슬릿은 레이저 커팅에 의해 상기 연결 빔 및 상기 지지 빔이 커팅됨으로써 가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빔의 결합구조를 이용한 조립식 테이블.
The method of claim 10,
The support beam receiver, the insertion plate, the rib, the reinforcement slit, the connection beam receiver, and the coupling slit are processed by cutting the connection beam and the support beam by laser cutting. Prefabricated table using joining structure.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빔의 하면으로부터 상기 삽입 판의 상단까지의 거리는 상기 연결 빔의 하면으로부터 상기 리브의 상단까지의 거리 및 상기 연결 빔 수용부의 함몰된 깊이보다 작고,
상기 결합 슬릿의 함몰된 깊이는 상기 연결 빔 수용부의 함몰된 깊이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빔의 결합구조를 이용한 조립식 테이블.
The method of claim 11,
The distance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connecting beam to the top of the insertion plate is smaller than the distance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connecting beam to the top of the rib and the recessed depth of the connecting beam receiver,
Prefabricated table using the coupling structure of the beam, characterized in that the recessed depth of the coupling slit is smaller than the recessed depth of the connection beam receiving por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빔에는 상기 결합 슬릿의 하단부가 하측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넓어지도록 경사진 경사부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빔의 결합구조를 이용한 조립식 테이블.
The method of claim 1,
The support beam is a prefabricated table using a coupling structure of the beam, characterized in that the inclined portion is further inclined so that the lower end portion of the coupling slit gradually widens toward the lower sid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빔 수용부는 하측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넓어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빔의 결합구조를 이용한 조립식 테이블.
The method of claim 1,
Prefabricated table using a coupling structure of the beam,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necting beam receiving portion is formed to gradually widen toward the lower sid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빔에는 상기 지지 빔을 상기 테이블 상판에 결합시키는 볼트가 삽입되도록 한 쌍의 상기 결합 슬릿을 기준으로 양측에 볼트홀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빔의 결합구조를 이용한 조립식 테이블.
The method of claim 1,
The support beam is a prefabricated table using a beam coupling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the bolt holes are further formed on both sides of the pair of coupling slits so that the bolt for coupling the support beam to the table top plate is inserted.
KR1020180063696A 2018-01-29 2018-06-01 Assembly-type table using structure for combining beams KR102085092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820150465.9 2018-01-29
CN201820150465.9U CN208658153U (en) 2018-01-29 2018-01-29 A kind of rectangular tube connected structure and desk
CN201820193636.6U CN208491164U (en) 2018-02-05 2018-02-05 Removable desk
CN201810113799.3A CN108095303A (en) 2018-02-05 2018-02-05 Dismantled and assembled desk and its assemble method
CN201810113799.3 2018-02-05
CN201820193636.6 2018-02-05
CN201810127833.2A CN108391936A (en) 2018-02-08 2018-02-08 Fast demountable desk and its assemble method
CN201820223448.3U CN208491165U (en) 2018-02-08 2018-02-08 Fast demountable desk
CN201820223448.3 2018-02-08
CN201810127833.2 2018-02-08
CN201820304779.XU CN208491166U (en) 2018-03-06 2018-03-06 Combined desk
CN201820304779.X 2018-03-0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2209A KR20190092209A (en) 2019-08-07
KR102085092B1 true KR102085092B1 (en) 2020-03-05

Family

ID=67621232

Famil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63697A KR102085093B1 (en) 2018-01-29 2018-06-01 Assembly-type table and assembly method thereof
KR1020180063696A KR102085092B1 (en) 2018-01-29 2018-06-01 Assembly-type table using structure for combining beams
KR1020180063694A KR102105337B1 (en) 2018-01-29 2018-06-01 Assembly-type table and assembly method thereof
KR1020180063695A KR102085068B1 (en) 2018-01-29 2018-06-01 Assembly-type table and assembly method thereof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63697A KR102085093B1 (en) 2018-01-29 2018-06-01 Assembly-type table and assembly method thereof

Family Applications After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63694A KR102105337B1 (en) 2018-01-29 2018-06-01 Assembly-type table and assembly method thereof
KR1020180063695A KR102085068B1 (en) 2018-01-29 2018-06-01 Assembly-type table and assembly method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4) KR102085093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6478Y1 (en) 2021-04-02 2023-02-07 이도환 Table Having Weldless Structur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70314Y1 (en) * 2004-09-30 2004-12-10 전현주 Collapsible Table used in a memorial service
KR200484808Y1 (en) * 2017-03-17 2017-10-26 이창환 Structure of linking with table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66888A (en) * 1994-10-19 1997-09-16 Herman Miller Inc. Adjustable work surface
KR20070104321A (en) * 2007-10-05 2007-10-25 김성출 Stone table
KR20100085507A (en) * 2009-01-21 2010-07-29 임재용 Device for fixing fiber glass to desk board having a lifting
KR101300631B1 (en) * 2012-08-20 2013-09-10 주식회사 한샘이펙스 Table
KR101373146B1 (en) * 2012-09-27 2014-03-13 (주)토템 Multipurpose coupling device for furniture assembly
EP3256024A4 (en) * 2015-02-13 2018-10-03 Poppin, Inc. Desk system with expandable benching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70314Y1 (en) * 2004-09-30 2004-12-10 전현주 Collapsible Table used in a memorial service
KR200484808Y1 (en) * 2017-03-17 2017-10-26 이창환 Structure of linking with tabl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6478Y1 (en) 2021-04-02 2023-02-07 이도환 Table Having Weldless Structur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85093B1 (en) 2020-03-05
KR102085068B1 (en) 2020-03-05
KR20190092208A (en) 2019-08-07
KR20190092207A (en) 2019-08-07
KR20190092209A (en) 2019-08-07
KR102105337B1 (en) 2020-04-28
KR20190092210A (en) 2019-08-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647080A (en) Structural element and structure
US6938559B2 (en) Metal and plastic pallet assembly
KR101139853B1 (en) A slab formwork system
CN102811645A (en) Drawer Which Can Be Dismantled And Stacked
US20070256614A1 (en) Platform-Type Shelf and Assembling Method thereof
US20050039644A1 (en) Modular workbench
KR102085092B1 (en) Assembly-type table using structure for combining beams
CN101302777A (en) Building frame structure
US6659410B1 (en) Leg of a metallic table
KR102168248B1 (en) frame structured shelves
JP6514927B2 (en) Transport pallet
CN216710042U (en) Full tenon fourth of twelve earthly branches packing carton that variably becomes tea table
KR102266787B1 (en) Furniture metal leg assembly
US20130126271A1 (en) Support structure
US11627802B1 (en) Modular rack assembly
US20230358032A1 (en) Stack-It Bracket
JP6155350B1 (en) Rack unit connection bracket, rack unit connection structure and connection method using the same bracket
CN215502078U (en) Bamboo stool
KR20200056678A (en) Assembly type stacking rack
KR102419845B1 (en) Floor supporting structur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JP3214589U (en) Pallet rack
KR102532858B1 (en) Prefabricated table with frame structure by three-way fitting
JP7388039B2 (en) palette
US11882931B1 (en) Expandable shelf assembly
JP3242970U (en) nesting rack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