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84779B1 - 컴퓨터용 입력장치 - Google Patents

컴퓨터용 입력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84779B1
KR102084779B1 KR1020190068866A KR20190068866A KR102084779B1 KR 102084779 B1 KR102084779 B1 KR 102084779B1 KR 1020190068866 A KR1020190068866 A KR 1020190068866A KR 20190068866 A KR20190068866 A KR 20190068866A KR 102084779 B1 KR102084779 B1 KR 1020847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tton
unit
section
input device
compu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688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예운
Original Assignee
고예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예운 filed Critical 고예운
Priority to KR10201900688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84779B1/ko
Priority to US17/414,553 priority patent/US11599202B2/en
Priority to EP19898334.8A priority patent/EP3901743A4/en
Priority to PCT/KR2019/007091 priority patent/WO2020130248A1/ko
Priority to CN201980081662.7A priority patent/CN113168245B/zh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47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47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06F3/03543Mice or puck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33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33
    • G06F2203/0333Ergonomic shaped mouse for one han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otary Switch, Piano Key Switch, And Lever Switc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컴퓨터용 입력장치에 구비된 버튼부의 누름 조작 시 급정지에 따른 충격을 제거하여 사용자의 손가락과 손목에 무리가 가지 않도록 한 컴퓨터용 입력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컴퓨터용 입력장치{INPUT DEVICE FOR COMPUTER}
본 발명은 컴퓨터용 입력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컴퓨터용 입력장치의 누름 조작 시 손가락과 손목에 무리가 가지 않도록 한 컴퓨터용 입력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컴퓨터용 입력장치는 마우스(Mouse), 키보드(Keyboard), 조이스틱(Joystick) 등 그 종류가 다양하다.
이 중 상기 마우스는 손바닥 안에 들어오는 둥글고 작은 몸체로 형성되며, 컴퓨터와 연결되는 긴 케이블이 구비되어 있다. 최근에는 케이블이 없는 무선 제품이 출시되기도 하였다.
이러한 마우스는 디스플레이 화면 속의 커서가 움직이고, 버튼을 클릭하면 명령이 실행되는 비교적 간단한 사용법으로 키보드(Keyboard)와 더불어 현재까지 대중적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최근 상기 마우스를 사용하는 시간이 점차 증가하게 됨에 따라, 사용자의 손가락과 손목의 긴장으로 인한 손목 터널 증후군(Carpal tunnel syndrome)이 발병할 수 있는 우려가 있다.
참고로, 손목 터널 증후군은 반복성 긴장 장애(Repetitive strain injuries)의 하나로, 컴퓨터 키보드나 마우스(이하 '컴퓨터용 입력장치'라 함)를 이용한 작업 등 긴장된 상태에서 장시간 반복 작업을 할 때 손이나 손목, 어깨 등에 발생하는 손상을 말한다. 일례로 올바르지 않은 자세로 장시간 타이핑을 할 때 손목, 어깨, 허리 등이 결리는 증상을 들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증상을 예방할 수 있는 컴퓨터용 입력장치에 대하여 종래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400707호(공고일: 2014.05.29) 등으로 선 출원된 바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일반적인 컴퓨터용 입력장치는 내부에 수용공간이 마련된 본체(1) 상부에 입력버튼(3)이 구비되고, 본체(1) 내에는 입력버튼(3)의 누름 조작에 의해 작동되는 스위치(5)가 구비된다.
이러한 컴퓨터용 입력장치는 손가락에 힘을 빼고 자연스럽게 구부린 상태에서 상기 본체(1)를 감싸쥐듯이 잡고 입력버튼(3)의 끝단(3a)을 누름 조작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 경우 종래의 컴퓨터용 입력장치는 스위치(5)가 기계식 마이크로스위치(Micro switch)가 적용된 경우가 대부분이다. 이러한 구조의 컴퓨터용 입력장치는 입력버튼(3)의 끝단(3a)을 누름(Click) 조작하는 힘(F)이 가해지는 경우 스위치(5)의 버튼(5a)이 눌려지면서 '온(On)' 상태가 됨과 동시에 입력버튼(3)이 급정지하게 되고, 이에 따라 사용자의 손가락 및 손목에 충격이 가해지게 된다.
특히, 상기 컴퓨터용 입력장치의 입력버튼(3)을 누른 채 끄는 작업(Drag)을 하는 경우, 사용자는 무의식적으로 필요 이상의 힘을 주면서 입력버튼(3)을 누르게 됨에 따라 근육이 긴장될 수 있는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컴퓨터용 입력장치에 구비된 버튼부의 누름 조작 시 급정지에 따른 충격을 제거하여 사용자의 손가락과 손목에 무리가 가지 않도록 한 컴퓨터용 입력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구현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컴퓨터용 입력장치는, 내부에 수용공간이 마련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상부에 누름 조작 가능하게 구비되는 버튼부; 상기 버튼부의 누름 해제 시 상기 버튼부를 원상 복귀시켜주는 탄성부; 및 상기 수용공간 내에 구비되며, 상기 버튼부의 누름 조작 여부에 따라 온(On)/오프 작동되는 스위치부;를 포함하되, 상기 버튼부는 일측이 고정단이고 타측은 자유단인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스위치부는 상기 버튼부의 고정단과 손가락 누름 조작 지점인 상기 버튼부의 자유단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버튼부의 누름 조작 시 상기 스위치부가 온(On) 작동된 이후 온(On) 작동을 유지한 상태로 소정깊이 더 이동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스위치부는, 상기 버튼부의 누름 조작 시 상기 버튼부의 하단과 맞닿아 하측으로 눌림 작동되는 접촉식 버튼이 구비되는 마이크로스위치;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버튼부는, 상기 고정단과 상기 접촉식 버튼 사이의 이격 거리인 제1구간; 및 상기 접촉식 버튼과 상기 자유단 사이의 이격 거리인 제2구간;을 포함하되, 상기 제2구간은 상기 제1구간에 비해 길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버튼부는, 상기 제1구간과 제2구간의 두께를 서로 다르게 적용하여 상기 버튼부에 소정의 강성을 부여해줄 수 있다.
또한 상기 버튼부는, 좌측버튼; 상기 좌측버튼의 우측에 평행하게 배치되는 우측버튼; 및 상기 좌측버튼과 우측버튼 사이에 평행하게 배치되는 중간휠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버튼부를 구성하는 복수의 버튼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회전축을 매개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휠부재; 및 상기 휠부재의 회전을 감지해주는 엔코더;가 구비되며, 상기 휠부재가 구비된 버튼과 상기 엔코더는 일체로 승하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엔코더는, 기계식 또는 광학식 중 어느 하나가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휠부재는,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상기 휠부재의 몸체에 방사상으로 복수의 광슬릿이 관통 형성되며, 상기 엔코더는, 상기 휠부재의 일측에 이격 배치되도록 상기 중간휠버튼 저면에 설치되어 광빔을 발생시키는 광송신기; 및 상기 휠부재의 타측에 상기 광송신기와 대향되게 배치되도록 상기 중간휠버튼 저면에 설치되어, 상기 광송신기에서 발생한 후 상기 광슬릿을 통과하는 광빔을 수신해주는 광수신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중간휠버튼은, 상기 좌측버튼 및 우측버튼에 비해 상기 제1구간의 두께가 두껍게 형성되어 상기 좌측버튼 및 우측버튼에 비해 강성이 크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탄성부는, 외팔보 형상으로 형성된 상기 버튼부의 자체 탄성복원력을 이용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구성에 따른 본 발명은, 버튼부의 누름 조작 초기에는 가볍게 움직이고, 상기 버튼부의 누름 조작에 의해 스위치부가 온(On) 작동된 이후 온(On) 작동을 유지한 상태로 소정깊이 더 이동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상기 버튼부를 조작하는 사용자의 손가락과 손목에 충격이 가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버튼부를 이용하여 스위치부가 온(On) 작동된 이후 상기 버튼부를 누름 조작하는데 힘이 점점 더 필요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버튼부가 바닥에 부딪히면서 충격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해줄 수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컴퓨터용 입력장치를 보여주는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컴퓨터용 입력장치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컴퓨터용 입력장치의 작동상태를 보여주는 측면도,
도 4의 (a), (b)는 본 발명에 따른 버튼부의 다양한 실시예를 보여주는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컴퓨터용 입력장치의 작동원리를 적용하여 제품화한 일실시예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6은 도 5의 저면사시도,
도 7은 도 5의 분해사시도,
도 8은 도 5의 내부구조를 보여주는 측단면도,
도 9는 도 5의 버튼부 저면을 보여주는 부분 상세도,
도 10은 도 5의 작동상태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한 구성 및 작용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대해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로 표기되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컴퓨터용 입력장치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측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컴퓨터용 입력장치의 작동상태를 보여주는 측면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컴퓨터용 입력장치는, 본체부(100), 버튼부(200), 탄성부(300), 스위치부(400)를 포함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구성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체부(100)는 컴퓨터용 입력장치의 주된 몸체를 구성하는 것으로, 이러한 본체부(100)는 내부에 수용공간을 마련해줄 수 있도록 상부케이스(110)와 하부케이스(120)(도 5 참조)로 분리 및 조립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본체부(100)는 컴퓨터용 입력장치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버튼부(200)는 본체부(100)의 상부에 누름 조작 가능하게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버튼부(200)의 누름 조작 여부에 따라 후술할 스위치부(400)를 온(On)/오프(Off) 작동시켜줄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버튼부(200)는 일측이 고정된 고정단(201)이고, 타측은 상기 고정단(201)을 중심으로 상하 선회 가능하도록 배치된 자유단(203)으로 구성된 외팔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버튼부(200)의 작동에 대해서는 후술할 스위치부(400)와 함께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탄성부(300)는 버튼부(200)의 누름 해제 시 버튼부(200)를 원상 복귀시켜주는 역할을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탄성부(300)는 외팔보 형상의 버튼부(200)가 가지고 있는 자체의 탄성 복원력을 이용할 수 있다. 상기 버튼부(200)는 탄성부(300)가 효율적으로 탄성 복원력을 발생시킬 수 있도록 합성수지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본 발명에서는 상기 탄성부(300)가 버튼부(200)의 구조적인 특징(외팔보 형상)을 이용한 경우의 일례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물론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버튼부(200)의 누름 해제 시 버튼부(200)를 원활하게 원상복귀시킬 수 있는 구조라면 상기 탄성부(300)를 다양하게 변경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일례로, 상기 탄성부(300)는 버튼부(200)를 상측으로 탄성 지지해줄 수 있도록 탄성스프링(미도시)이 설치된 경우로 변경 적용할 수 있다.
스위치부(400)는 본체부(100)의 수용공간 내에 구비되어 버튼부(200)의 누름 조작 여부에 따라 온(On)/오프(Off) 작동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스위치부(400)는 버튼부(200)의 누름 조작 시 버튼부(200)의 하단(저면)과 맞닿아 하측으로 눌림 작동되는 접촉식 버튼(411)이 구비되는 마이크로스위치(410)를 적용한 경우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스위치부(400)는 버튼부(200)의 고정단(201)과 손가락 누름 조작 지점인 버튼부(200)의 자유단(203)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버튼부(200)의 누름 조작 시 스위치부(400)가 온(On) 작동된 이후 온(On) 작동을 유지한 상태로 소정깊이 더 이동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버튼부(200)는 고정단(201)과 접촉식 버튼(411) 사이의 이격 거리인 제1구간(A)과, 상기 접촉식 버튼(411)과 자유단(203) 사이의 이격 거리인 제2구간(B)을 포함할 수 있다(도 2 참조). 이때 상기 제2구간(B)은 상기 제1구간(A)에 비해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외팔보 형상의 버튼부(200)는 제1구간(A)과 제2구간(B)의 강성에 따라 손으로 누르는 힘(F)(도 3 참조)과 버튼부(200)의 자유단(203)이 움직이는 거리의 함수 특성을 변화시킬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버튼부(200)는 제1구간(A)의 강성이 작은 경우와 제2구간(B)의 강성이 작은 경우 등을 고려할 수 있다. 즉 상기 버튼부(200)는 제1구간(A)과 제2구간(B)의 두께를 서로 다르게 적용함으로써 버튼부(200)에 소정의 강성을 부여해줄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4의 (a)는 제1구간(A)에 비해 제2구간(B)의 강성이 작은 경우로, 버튼부(200)의 자유단(203)에 힘(F)을 가해주게 되면, 스위치부(400)의 접촉식 버튼(411)이 작동하기 전에 제2구간(B)이 먼저 하방으로 휘어지게 된다.
즉 사용자는 버튼부(200)를 누름 조작하는 손가락을 소정 깊이까지 움직여야 스위치부(400)를 작동시킬 수 있다. 다시 말해, 이 경우 컴퓨터용 입력장치의 반응속도가 느려지게 된다.
도 4의 (b)는 제2구간(B)에 비해 제1구간(A)의 강성이 작은 경우로, 버튼부(200)의 자유단(203)에 힘(F)을 가해주게 되면 강성이 큰 제2구간(B)은 휘어지지 않으며 상기 자유단(203)을 누르는 손가락을 조금만 움직여도 스위치부(400)가 작동하게 된다. 스위치부(400)가 작동되고 난 이후에는 제1구간(A)이 휘어져서 손가락을 계속 누를 수 있게 된다.
즉 최초 버튼부(200)의 자유단(203)에 힘(F)을 가하여 누름 조작하는 경우 버튼부(200)는 고정단(201)을 힌지축으로 하향 선회되면서 강성이 작은 상태로 조작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버튼부(200)의 하향 선회에 의해 스위치부(400)의 접촉식 버튼(411)이 눌려지면서 온(On) 작동되고 난 이후, 상기 버튼부(200)는 온(On) 작동된 접촉식 버튼(411)을 힌지축으로 제2구간(B)이 하향 선회된다. 이때 제2구간(B)은 휘어지지 않고 제1구간(A)이 활처럼 휘어지면서 스프링 역할을 하게 된다.
이처럼 상기 스위치부(400)가 작동하기 전과 후에 버튼부(200)의 강성이 변하게 됨으로써, 상기 스위치부(400)를 작동시키기 전에는 버튼부(200)를 적은 힘으로 누름 조작할 수 있다.
즉 상기 버튼부(200)를 누름 조작하는 손가락의 이동거리가 비교적 짧은 상황에서도 스위치부(400)를 작동시킬 수 있다.
그리고 스위치부(400)가 작동되고 난 후에는 상기 스위치부(400)가 작동되기 이전에 비해 버튼부(200)에 점점 더 큰 힘을 가해야 버튼부(200)를 하향 선회시킬 수 있다.
다시 말해, 스위치부(400)가 온(On) 작동된 이후 상기 버튼부를 누름 조작하는 데 점점 힘이 필요하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버튼부(200)가 바닥을 치면서 생기는 충격을 방지해줄 수 있다.
또한 상기 버튼부(200)의 전체 길이와 제1구간(A)의 비율만큼 지렛대의 원리가 적용되어 스위치부(400)를 누름 조작하는 힘이 적어질 수 있다. 예컨대, 스위치부(400)를 누르는 키압(Key force)은 50gf ~ 100gf 정도인데, 버튼부(200)의 전체 길이와 제1구간(A)의 비율이 3:1이라면 상기 버튼부(200)를 이용하여 스위치부(400)를 1/3의 힘(F)으로 누름 조작할 수 있다.
즉 버튼부(200)의 누름 조작 초기에 손에 가해지는 힘은 제1구간(A)의 강성에 의한 힘과 마이크로스위치(410)의 키압 1/3과의 합이 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구간(A)의 강성이 작다면 아주 적은 힘으로도 마이크로스위치(410)를 작동시킬 수 있다.
비록 상기 마이크로스위치(410)를 온(On) 작동시키고 난 이후에는 제2구간(B)의 강성에 의해 버튼부(200)를 누름 조작하는데 비교적 큰 힘이 필요하지만, 이러한 구조를 통해 스위치부(400)가 온(On) 작동된 이후 소정 깊이 더 누름 조작되는 버튼부(200)의 자유단(203)이 바닥에 부딪히는 것을 방지해줄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컴퓨터용 입력장치의 작동원리를 적용하여 제품화한 일실시예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저면사시도이며, 도 7은 도 5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컴퓨터용 입력장치의 본체부(100) 상부에는 복수 개의 버튼부(20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버튼부(200)는 좌측버튼(210)과, 좌측버튼(210)의 우측에 평행하게 배치되는 우측버튼(220)과, 좌측버튼(210)과 우측버튼(220) 사이에 평행하게 배치되는 중간휠버튼(230)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복수 개의 버튼부(200) 중 어느 하나, 바람직하게는 중간휠버튼(230)에는 컴퓨터 모니터상에서 문서 등을 읽어 내려갈 수 있도록 스크롤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휠부재(231)가 일체로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휠부재(231)는 중간휠버튼(230)의 자유단(203) 부근에 형성된 설치공 내에 회전축(231a)을 매개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도 6 참조).
아울러 휠부재(231)의 일측에는 휠부재(231)의 회전을 감지해주는 엔코더(240)가 일체로 구비될 수 있다.
이처럼 휠부재(231)의 일측에 엔코더(240)가 일체로 구비됨에 따라 상기 중간휠버튼(230)의 누름 조작 시 상기 엔코더(240)가 일체로 승하강 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종래의 마우스휠에 비해 승하강되는 거리를 늘릴 수 있다.
즉 종래의 마우스휠에 구비된 엔코더는 마우스 본체 내의 바닥에 고정 설치된 인쇄회로기판(PCB)에 고정되는 구성이다. 이처럼 상기 종래의 엔코더가 인쇄회로기판(PCB)에 고정되어 있음에 따라, 마우스휠의 누름 조작 시 가동범위가 좁을 수밖에 없다.
이에 반해, 본 발명의 중간휠버튼(230)과 일체로 구비된 엔코더(240)는 상기 휠부재(231)의 누름 조작 시 일체로 승하강 됨에 따라, 종래의 마우스휠에 비해 가동범위가 넓어질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엔코터(240)는 기계식 또는 광학식 중 어느 하나가 적용될 수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상기 엔코더(240)가 광학식으로 적용된 경우의 일례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기로 한다. 물론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구체적으로, 상기 엔코더(240)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해보면, 먼저 상기 휠부재(231)의 몸체에 회전축(231a)을 중심으로 복수의 광슬릿(241)이 방사상으로 관통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중간휠버튼(230)의 저면에는 휠부재(231)의 일측에 지지대(232)를 매개로 이격 설치되어 광빔을 발생시키는 광송신기(243)와, 상기 휠부재(231)의 타측에 광송신기(243)와 대향되도록 지지대(232)를 매개로 설치되어 광송신기(243)에서 발생한 후 광슬릿(241)을 통과하는 광빔을 수신해주는 광수신기(245)가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휠부재(231)를 회전 작동시켜 휠부재(231)의 회전 정보를 광수신기(245)에 도달하도록 하여 해당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 구성은 공개된 기술임에 따라, 이에 대한 자세한 작동원리는 생략하기로 한다.
이러한 구조의 엔코더(240)가 일체로 구비된 중간휠버튼(230)은 휠부재(231)를 회전 조작하거나, 마이크로스위치(410)의 누름 조작하는 등 두 가지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중간휠버튼(230)은 휠부재(231)의 회전 조작 시 중간휠버튼(230)이 누름 조작되지 않아야 스위치부(400)의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다.
이를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중간휠버튼(230)의 제1구간(A) 두께를 좌, 우측버튼(210, 220)에 비해 두껍게 형성하여 강성을 크게 해줄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휠부재(231)를 회전 조작하는 경우 중간휠버튼(230)이 누름 조작되는 것을 방지해줄 수 있다.
다른 방법으로는, 회전축(231a)에 휠부재(231)를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되, 상기 회전축(231a)에 끼움 결합되는 휠부재(231) 구멍 사이의 마찰력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따라서, 적은 힘을 가지고 휠부재(231)을 회전 조작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중간휠버튼(230)이 누름 조작되는 것을 방지해줄 수 있다.
이상과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른 컴퓨터용 입력장치는, 도 10에서와 같이, 버튼부(200)의 누름 조작 시 스위치부(400)를 온(On) 작동시킨 이후에도 상기 버튼부(200)가 급정지하지 않고 하방으로 소정깊이(t) 더 이동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버튼부(200)를 조작하는 사용자의 손가락과 손목에 충격이 가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컴퓨터용 입력장치를 감싸쥐고 있는 손에 긴장이 발생하지 않음으로써 손가락 및 손목을 보호해줄 수 있다.
또한 상기 버튼부(200)의 제1구간(A)과 제2구간(B)(도 8 참조)의 강성을 서로 다르게 적용하여 스위치부가 온(On) 작동된 이후 상기 버튼부(200)를 누름 조작하는 데 점점 힘이 필요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버튼부(200)가 바닥에 부딪히면서 충격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해줄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0 : 본체부 110 : 상부케이스
120 : 하부케이스 200 : 버튼부
201 : 고정단 203 : 자유단
210 : 좌측버튼 220 : 우측버튼
230 : 중간휠버튼 231 : 휠부재
231a : 회전축 240 : 엔코더
241 : 광슬릿 243 : 광송신기
245 : 광수신기 300 : 탄성부
400 : 스위치부 410 : 마이크로스위치
411 : 접촉식 버튼 A : 제1구간
B : 제2구간

Claims (10)

  1. 내부에 수용공간이 마련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상부에 누름 조작 가능하게 구비되는 버튼부;
    상기 버튼부의 누름 해제 시 상기 버튼부를 원상 복귀시켜주는 탄성부; 및
    상기 수용공간 내에 구비되며, 상기 버튼부의 누름 조작 여부에 따라 온(On)/오프 작동되는 스위치부;를 포함하되,
    상기 버튼부는 일측이 고정단이고 타측은 자유단인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스위치부는 상기 버튼부의 고정단과 손가락 누름 조작 지점인 상기 버튼부의 자유단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버튼부의 누름 조작 시 상기 스위치부가 상기 버튼부와 맞닿아 온(On) 작동된 이후 온(On) 작동을 유지한 상태로 상기 버튼부의 자유단이 소정깊이 상기 누름 방향으로 더 이동할 수 있도록 한 것인 컴퓨터용 입력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부는,
    상기 버튼부의 누름 조작 시 상기 버튼부의 하단과 맞닿아 하측으로 눌림 작동되는 접촉식 버튼이 구비되는 마이크로스위치;인 것인 컴퓨터용 입력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부는,
    상기 고정단과 상기 접촉식 버튼 사이의 이격 거리인 제1구간; 및
    상기 접촉식 버튼과 상기 자유단 사이의 이격 거리인 제2구간;을 포함하되,
    상기 제2구간은 상기 제1구간에 비해 길게 형성되는 것인 컴퓨터용 입력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부는,
    상기 제1구간과 제2구간의 두께를 서로 다르게 적용하여 상기 버튼부에 소정의 강성을 부여해준 것인 컴퓨터용 입력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부는,
    좌측버튼;
    상기 좌측버튼의 우측에 평행하게 배치되는 우측버튼; 및
    상기 좌측버튼과 우측버튼 사이에 평행하게 배치되는 중간휠버튼;을 포함하는 컴퓨터용 입력장치.
  6. 제1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부를 구성하는 복수의 버튼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회전축을 매개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휠부재; 및
    상기 휠부재의 회전을 감지해주는 엔코더;가 구비되며,
    상기 휠부재가 구비된 버튼과 상기 엔코더는 일체로 승하강되는 것인 컴퓨터용 입력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엔코더는,
    기계식 또는 광학식 중 어느 하나가 적용되는 것인 컴퓨터용 입력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휠부재는,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상기 휠부재의 몸체에 방사상으로 복수의 광슬릿이 관통 형성되며,
    상기 엔코더는,
    상기 휠부재의 일측에 이격 배치되도록 중간휠버튼 저면에 설치되어 광빔을 발생시키는 광송신기; 및
    상기 휠부재의 타측에 상기 광송신기와 대향되게 배치되도록 상기 중간휠버튼 저면에 설치되어, 상기 광송신기에서 발생한 후 상기 광슬릿을 통과하는 광빔을 수신해주는 광수신기;를 포함하는 컴퓨터용 입력장치.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휠버튼은,
    상기 좌측버튼 및 우측버튼에 비해 상기 제1구간의 두께가 두껍게 형성되어 상기 좌측버튼 및 우측버튼에 비해 강성이 크도록 한 것인 컴퓨터용 입력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는,
    외팔보 형상으로 형성된 상기 버튼부의 자체 탄성복원력을 이용한 것인 컴퓨터용 입력장치.
KR1020190068866A 2018-12-21 2019-06-11 컴퓨터용 입력장치 KR1020847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8866A KR102084779B1 (ko) 2019-06-11 2019-06-11 컴퓨터용 입력장치
US17/414,553 US11599202B2 (en) 2018-12-21 2019-06-12 Input device for computer
EP19898334.8A EP3901743A4 (en) 2018-12-21 2019-06-12 INPUT DEVICE FOR CALCULATOR
PCT/KR2019/007091 WO2020130248A1 (ko) 2018-12-21 2019-06-12 컴퓨터용 입력장치
CN201980081662.7A CN113168245B (zh) 2018-12-21 2019-06-12 计算机用输入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8866A KR102084779B1 (ko) 2019-06-11 2019-06-11 컴퓨터용 입력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84779B1 true KR102084779B1 (ko) 2020-03-04

Family

ID=697832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68866A KR102084779B1 (ko) 2018-12-21 2019-06-11 컴퓨터용 입력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8477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495636A (zh) * 2020-03-20 2021-10-12 可赛尔内存股份有限公司 可零间隙切换反馈弹力的鼠标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81773A (ko) * 2000-02-18 2001-08-29 조성연 마우스 클릭장치
KR20020000372A (ko) * 2000-06-24 2002-01-05 이광웅 휠마우스의 휠엔코더 장치
KR200276574Y1 (ko) * 2002-02-16 2002-05-24 손동현 광차단 센서에 의한 마우스의 클릭스위치
JP2017079049A (ja) * 2015-10-20 2017-04-27 株式会社Susa Inc. マウス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81773A (ko) * 2000-02-18 2001-08-29 조성연 마우스 클릭장치
KR20020000372A (ko) * 2000-06-24 2002-01-05 이광웅 휠마우스의 휠엔코더 장치
KR200276574Y1 (ko) * 2002-02-16 2002-05-24 손동현 광차단 센서에 의한 마우스의 클릭스위치
JP2017079049A (ja) * 2015-10-20 2017-04-27 株式会社Susa Inc. マウス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495636A (zh) * 2020-03-20 2021-10-12 可赛尔内存股份有限公司 可零间隙切换反馈弹力的鼠标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128393B1 (en) Electronic apparatus
US9214293B2 (en) Key structure with scissors-type connecting member
US20110279371A1 (en) Mouse device operable with variable button-pressing force
US20070247337A1 (en) Condensed keyboard for electronic devices
US10410804B2 (en) Multi-stage input device
JP5559727B2 (ja) 電子機器
JP2011187298A (ja) 保護シート、およびそれを備えた入力装置
US20190244772A1 (en) Keyboard device
KR102084779B1 (ko) 컴퓨터용 입력장치
US8564537B2 (en) Wheel module for input device
EP3663896B1 (en) Key structure and switching method thereof
US9030435B2 (en) Touch input device with button function
KR100802456B1 (ko) 고정형 마우스
US11599202B2 (en) Input device for computer
US20140078062A1 (en) Mouse device
JP2011107824A (ja) キーボード装置
CN117377931B (zh) 设置有拇指操作光鼠标的计算机键盘
JP5579211B2 (ja) マウス装置
KR200439202Y1 (ko) 컴퓨터용 무소음 마우스
US9001043B2 (en) Mouse device
US9141203B2 (en) Key free mouse device
US6778166B2 (en) Keyless pointer input device
JPS6077231A (ja) カ−ソル移動制御装置
JP5654441B2 (ja) 入力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た情報処理装置
KR102142404B1 (ko) 컴퓨터용 입력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