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84431B1 - 랙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 식기세척기 - Google Patents

랙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 식기세척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84431B1
KR102084431B1 KR1020130169567A KR20130169567A KR102084431B1 KR 102084431 B1 KR102084431 B1 KR 102084431B1 KR 1020130169567 A KR1020130169567 A KR 1020130169567A KR 20130169567 A KR20130169567 A KR 20130169567A KR 102084431 B1 KR102084431 B1 KR 1020844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support
basket
loading plate
loa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695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80384A (ko
Inventor
이재문
김재준
신지영
정헌호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695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84431B1/ko
Priority to EP14198765.1A priority patent/EP2888987B1/en
Priority to US14/578,839 priority patent/US10080478B2/en
Priority to CN201410841774.7A priority patent/CN104739349B/zh
Publication of KR201500803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803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44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44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50Racks ; Baske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50Racks ; Baskets
    • A47L15/502Cutlery baske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50Racks ; Baskets
    • A47L15/505Inserts, e.g. for holding baby bottles, stemware or cups

Landscapes

  • Washing And Drying Of Tableware (AREA)
  • Cleaning By Liquid Or Steam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랙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 식기세척기는 복수의 홀이 형성되어 있는 바스켓, 상부에 놓여지는 피세척물을 상기 바스켓으로부터 이탈시키기 위해, 상기 바스켓과 분리가능하게 마련되고, 변형가능하게 마련되는 로딩플레이트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으로 피세척물의 로딩과 언로딩을 손쉽게 할 수 있다.

Description

랙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 식기세척기{Rack assembly and dishwasher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랙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 식기세척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세척효율이 향상되도록 구조를 개선한 랙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 식기세척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식기세척기는 식기에 고압의 세척수를 분사하여 식기를 세척하는 장치로, 통상 예비세척, 본 세척, 헹굼, 건조단계를 거친다. 예비세척단계에서는 세제투입 없이 세척수를 분사하여 식기의 찌꺼기를 제거하고, 본 세척과정에서는 세척수를 분사함과 동시에 세제공급장치에 의해 세제가 투입되도록 함으로써 식기의 세정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일반적으로 식기 세척기는 내부에 세척조가 마련되어 있는 캐비닛과, 식기를 담으며 세척조 내부에 진퇴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랙어셈블리와, 랙어셈블리로 세척수를 분사하는 분사 유닛을 포함하며, 분사 유닛에서 분사된 세척수가 식기를 세척한다.
랙어셈블리에는 정해진 고정돌기에 맞추어 식기나 수저, 커트러리(cutlery)를 눌러서 꽂아야 하므로, 많은 양을 세척하는 경우에는 적재하는 시간이 많이 걸리는 등의 불편함이 있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피세척물의 로딩과 언로딩을 쉽게 할 수 있도록 구조를 개선한 랙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 식기세척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랙어셈블리는 세척조에서 피세척물의 세척이 이루어지는 랙어셈블리에 있어서, 복수의 홀이 형성되어 있는 바스켓; 상부에 놓여지는 피세척물을 상기 바스켓으로부터 이탈시키기 위해, 상기 바스켓과 분리가능하게 마련되고, 변형가능하게 마련되는 로딩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로딩플레이트는, 상기 바스켓에 안착되는 제 1 상태; 상기 바스켓으로부터 이탈되는 제 2 상태를 포함하고, 상기 로딩플레이트는 상기 제 1 상태에서 상기 제 2 상태로 탄성을 가지고 변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바스켓은, 바닥부와, 상기 바닥부로부터 돌출형성되는 복수의 지지홀더를 포함하고, 상기 로딩플레이트는, 상기 제 1 상태에서 상기 바닥부와 마주하도록 마련되는 로딩부; 상기 로딩부에 마련되어, 상기 제 1 상태에서 상기 복수의 지지홀더가 관통하도록 구성되는 복수의 안착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제 1 상태에서 상기 제 2 상태로 이동시에, 상기 로딩플레이트 상부의 피세척물 자중에 의해 상기 로딩플레이트가 변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로딩플레이트는, 피세척물이 배치되는 분산플레이트부; 상기 분산플레이트부와 인접하게 마련되어, 상기 제 2 상태에서 피세척물이 집합되는 집합플레이트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로딩플레이트는, 상기 집합플레이트부가 상기 한 쌍의 분산플레이트부보다 낮게 배치되도록 변형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집합플레이트부는 상기 분산플레이트부보다 오목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로딩플레이트는, 상기 집합플레이트부의 양 단부에는 피세척물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상부로 돌출형성되는 가이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지지홀더는, 제 1 지지홀더와, 상기 제 1 지지홀더보다 높이가 낮은 제 2 지지홀더;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지지홀더와 상기 제 2 지지홀더는 상호 교번적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바닥부는, 제 1 바닥부; 상기 제 1 바닥부보다 높이가 낮게 형성되는 제 2 바닥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지지홀더는, 상기 제 1 바닥부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지지홀더는, 복수의 열로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안착홀은, 상기 지지홀더의 단면적보다 넓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로딩플레이트는, 상기 바닥부에 밀착되도록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로딩플레이트는, 상기 바스켓으로부터 이탈시킬 수 있도록 양 단부측에 구성되는 한 쌍의 손잡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로딩플레이트는, 고무와 실리콘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랙어셈블리는, 상기 바스켓이 적재되고, 상기 세척조로부터 인출가능하게 마련되는 이동프레임;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식기세척기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의 내부에 마련되며 피세척물의 세척이 이루어지는 세척조; 상기 세척조 내부에서 인출가능하게 마련되는 랙어셈블리;를 포함하고, 상기 랙어셈블리는, 바닥부와, 피세척물을 지지하도록 상기 바닥부로부터 돌출형성되는 복수의 지지홀더를 갖는 바스켓; 상기 바닥부에 대응되는 로딩부와, 상기 복수의 지지홀더가 관통하도록 상기 로딩부상에 마련되는 복수의 안착홀을 갖고, 상기 바스켓으로부터 이탈가능하게 마련되고, 변형가능하게 구성되는 로딩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로딩플레이트는, 상기 바스켓에 안착되며, 상기 복수의 지지홀더가 상기 복수의 안착홀에 삽입되는 제 1 상태; 상기 바스켓으로부터 이탈되며, 상기 복수의 지지홀더가 상기 복수의 안착홀로부터 벗어나는 제 2 상태;를 이동하며, 상기 로딩플레이트는, 피세척물이 배치되는 분산플레이트부; 상기 분산플레이트부와 인접하게 마련되어, 피세척물이 집합되는 집합플레이트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상태에서 상기 집합플레이트부는 상기 분산플레이트부보다 낮아지도록 상기 로딩플레이트가 변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바스켓은, 상기 집합플레이트부에 대응되며, 상기 복수의 지지홀더가 형성되는 제 1 바닥부; 상기 제 1 바닥부와 인접하게 마련되어, 상기 집합플레이트부에 대응되는 제 2 바닥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제 2 바닥부는, 상기 제 1 바닥부보다 낮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랙어셈블리는 피세척물이 배치되는 바스켓을 갖는 랙어셈블리에 있어서, 상기 바스켓은, 바닥부; 피세척물을 지지하도록 상기 바닥부로부터 돌출형성되는 복수의 지지홀더로서, 제 1 지지홀더와, 상기 제 1 지지홀더보다 상기 바닥부로부터의 높이가 낮으며 상기 제 1 지지홀더와 인접하게 배치되는 제 2 지지홀더를 갖는 복수의 지지홀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복수의 지지홀더는 격자형상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바닥부에 대응되는 로딩부와, 상기 복수의 지지홀더가 관통하도록 상기 로딩부상에 마련되는 복수의 안착홀을 갖고, 상기 바스켓으로부터 이탈가능하게 마련되고, 변형가능하게 구성되는 로딩플레이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랙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 식기세척기는 피세척물의 로딩과 언로딩을 편리하게 하여, 세척시간을 단축시켜준다.
또한 피세척물이 세척수에 닿는 표면적을 넓혀주도록 적재되는 구조를 개선하여 세척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랙어셈블리의 분해사시도.
도 4는 도 2의 A-A'의 단면도.
도 5는 도 2의 B의 확대도.
도 6은 도 3의 C의 확대도.
도 7, 8,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랙어셈블리의 동작에 관한 도면.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사시도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단면도, 도 2,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일부구성의 사시도이다.
식기 세척기(1)는 외관을 형성하는 캐비닛(10)와, 캐비닛(10)의 내부에 마련되는 세척조(12)와, 세척조(12)의 내부에 마련되고 식기를 수납하는 랙어셈블리(14a,14b,100)과, 세척수를 포집하고 저장하는 섬프(20)와, 세척수를 분사하는 분산유닛(41,42,43)을 포함한다.
세척조(12)는 대략 박스 형상으로 마련되고, 식기를 출납할 수 있도록 개방된 전면을 갖는다. 세척조(12)의 개방된 전면은 도어(11)에 의해 개폐될 수 있다. 도어(11)는 캐비닛(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랙어셈블리(14a,14b)은 상부 랙어셈블리(14a)과 하부 랙어셈블리(14b)을 포함할 수 있다. 상부 랙어셈블리(14a)은 상부 랙(13a)에 지지될 수 있고, 하부 랙어셈블리(14b)은 하부 랙(13b)에 지지될 수 있다. 상부 랙(13a)과 하부 랙(13b)은 세척조(12)의 내부에 전후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섬프(20)에는 저장된 물을 분산유닛(41,42,43)으로 펌핑하는 세척펌프(21)가 마련될 수 있다. 세척펌프(21)에 의해서 펌핑된 세척수는 제 1 공급관(31)을 통해서 제 1 분산유닛(41)과 제 2 분산유닛(42)으로 공급되거나, 제 2 공급관(32)을 통해서 제 3 분산유닛(43)으로 공급될 수 있다.
또한, 세척조(12)의 하부에는 세척수를 가열하기 위한 히터(15)와, 세척수를 배수하기 위한 배수 펌프(22)가 마련될 수 있다.
한편, 도 1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분사 유닛(41)은 상부 랙어셈블리(14a)의 상측에 마련되고, 제 2 분사 유닛(42)은 상부 랙어셈블리(14a)와 하부 랙어셈블리(14b)의 사이에 마련되고, 제 3 분사 유닛(43)은 하부 랙어셈블리(14b)의 아래에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제 1 분사 유닛(41)은 회전축(41a)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마련되고, 제 2 분사 유닛(42)은 회전축(42a)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 1 분사 유닛(41)은 상부 랙어셈블리(14a)에 수납된 식 기를 향해 세척수를 분사할 수 있고, 제 2 분사 유닛(42)은 상부 랙어셈블리(14a) 및 하부 랙어셈블리(14b)에 수납된 식기를 향해 세척수를 분사할 수 있다.
한편, 제 3 분사 유닛(43)은 제 1 분사 유닛(41)과 제 2 분사 유닛(42)과는 달리 세척조(12)의 일 측에 고정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 3 분사 유닛(43)은 대략 수평 방향으로 세척수를 분사하며, 따라서 제 3 분사 유닛(43)에서 분사된 세척수는 직접 식기를 향하지 않을 수 있다.
제 3 분사 유닛(43)은 세척수가 분사되는 노즐(44)을 포함할 수 있다. 노즐(44)은 대략 세척조의 일 측면에서 반대 측면까지 각각 소정 간격 이격되고 일렬로 배열될 수 있다.
제 3 분사 유닛(43)의 노즐에서 대략 수평 방향으로 분사된 세척수는 세척조(12)의 내부에 배치되는 전환어셈블리(60)에 의해 방향 전환되어 하부 랙어셈블리(14b)에 수납된 식기를 향해 나아갈 수 있다. 전환어셈블리(60)는 홀더(64)에 의해 가이드레일(62)에 구속되며, 가이드레일(62)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마련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랙어셈블리의 분해사시도, 도 4는 도 2의 A-A'의 단면도, 도 5는 도 2의 B의 확대도, 도 6은 도 3의 C의 확대도이다.
랙어셈블리(100)는 바스켓(110)을 포함한다.
바스켓(110)은 피세척물이 적재될 수 있도록, 피세척물을 지지하는 바닥부(120)와, 바닥부(120)로부터 돌출형성되는 복수의 지지홀더(130)를 포함할 수 있다. 피세척물은 식기, 커트러리(cutlery), 수저등을 포함할 수 있다.
바닥부(120)에는 세척수가 통과할 수 있도록 복수의 홀(140)이 형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복수의 와이어가 상호 직교하도록 마련되어, 바닥부(120)와 복수의 지지홀더(130)를 형성한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바닥부(120)에 홀(140)이 형성되고, 바닥부(120)로부터 돌출형성되어 피세척물을 지지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구성이면 만족한다.
바닥부(120)는 제 1 바닥부(121)와 제 2 바닥부(122)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바닥부(121)는 복수의 지지홀더(130)가 배치되고, 제 2 바닥부(122)는 제 1 바닥부(121)보다 높이가 낮게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지지홀더(130)는 제 2 바닥부(122)에도 형성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제 1 바닥부(121)에만 형성되도록 마련된다.
제 1 바닥부(121)에는 복수의 지지홀더(130)가 배치되어 피세척물이 지지되도록 구성되며, 제 2 바닥부(122)는 제 1 바닥부(121)보다 높이가 높은 피세척물이 배치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랙어셈블리(100)와, 랙어셈블리(100) 상단에 배치되는 구성과의 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어서, 세척조 내부의 공간활용도를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복수의 지지홀더(130)는 피세척물의 일부를 지지하여, 피세척물과 바닥부(120)가 접하는 면적을 줄임으로서, 세척수에 의해 세척되는 표면적을 높일 수 있도록 구성된다.
복수의 지지홀더(130)는 복수의 열을 가지고 나란하게 배열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복수의 지지홀더(130)는 제 1 지지홀더(131)와, 제 1 지지홀더(131)보다 높이가 낮은 제 2 지지홀더(132)를 포함한다. 제 1 지지홀더(131)와 제 2 지지홀더(132)의 배치형태는 한정되지 않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제 1 지지홀더(131)와 제 2 지지홀더(132)가 상호 교번적으로 배치되도록 마련된다.
즉, 지지홀더(130)는 격자모양으로 배치가 되고, 제 1 지지홀더(131)에 인접하도록 제 1 지지홀더(131)보다 높이가 낮은 제 2 지지홀더(132)가 배치되도록 마련된다.
이렇게 지지홀더(130)의 높이를 다르게 하여, 피세척물이 바닥부(120)와 나란하게 배치되지 않고, 세워서 배치가 되도록 마련된다. 예를 들면, 동일한 높이에 지지홀더(130)를 갖는 경우에는 바닥부(120)와 평행하도록 피세척물이 지지홀더(130)에 의해 지지되지만,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와 같이 인접한 지지홀더(130)의 높이에 차이를 두게 되면, 제 1 지지홀더(131)와, 제 1 지지홀더(131)보다 높이가 낮은 제 2 지지홀더(132)의 높이차만큼 피세척물이 기울어지게 되어 세척수의 세척표면을 넓힐 수 있게 된다.
랙어셈블리(100)는 로딩플레이트(150)를 포함한다.
로딩플레이트(150)는 바스켓(110)과 분리가능하게 마련되며, 이후 설명하는 것과 같이 피세척물의 언로딩이 용이하도록 마련된다.
로딩플레이트(150)는 변형가능하게 마련된다. 로딩플레이트(150)는 로딩부(150a)가 접히도록 마련될 수도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탄성을 가진 재질로 형성되어 구부러졌다 폈다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즉, 로딩플레이트(150)는 바스켓(110)에 안착되는 제 1 상태(p1)와, 바스켓(110)으로부터 이탈되는 제 2 상태(p2)를 포함할 수 있는 데, 제 1 상태(p1)에서 제 2 상태(p2)로 이동하는 경우 탄성을 가지고 변형될 수 있다. 로딩플레이트(150)의 변형은 외력에 의해서 발생할 수도 있으며, 상부에 배치되는 피세척물의 하중에 의해서 변형이 발생할 수도 있다. 즉, 로딩플레이트(150)는 탄성을 가지는 재질로 형성되어 변형가능하게 구성된다.
로딩플레이트(150)는 바스켓(110)의 바닥부(120)와 대응되도록 형성된다. 로딩플레이트(150)는 복수의 지지홀더(130)가 관통하도록 복수의 안착홀(150b)을 갖고, 바스켓(110)으로부터 이탈가능하게 마련된다.
자세하게는 로딩플레이트(150)는 바스켓(110)의 바닥부(120)와 대응되는 로딩부(150a)와, 바스켓(110)의 지지홀더(130)와 대응되는 안착홀(150b)을 포함할 수 있다. 로딩플레이트(150)가 제 1 상태(p1)에서는 지지홀더(130)가 복수의 안착홀(150b)을 관통하고, 바닥부(120)와 로딩부(150a)가 마주보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제 2 상태(p2)에서는 지지홀더(130)가 복수의 안착홀(150b)을 벗어나게 되고, 바닥부(120)와 로딩부(150a)가 이격된다.
로딩플레이트(150)가 바스켓(110)에 장착된 제 1 상태(p1)에서 피세척물이 적재가 되는 데, 이때는 지지홀더(130)가 안착홀(150b)을 통과하도록 배치되므로, 지지홀더(130)에 의해 피세척물이 지지된다. 지지홀더(130)에 의해 피세척물이 지지되므로, 피세척물은 지지홀더(130)에 걸려 로딩부(150a)의 상부를 쉽게 이동하지 않도록 구성된다. 세척과정이 끝난 후 로딩플레이트(150)가 바스켓(110)으로부터 이탈된 제 2 상태(p2)로 이동하는 경우 지지홀더(130)는 안착홀(150b)로부터 벗어나게 되고, 피세척물은 더 이상 지지홀더(130)에 의해 지지되지 않으므로, 로딩플레이트(150)의 로딩부(150a)를 미끄러져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이 때, 로딩플레이트(150)는 플렉시블하게 변형이 가능하므로, 피세척물의 하중에 의해 휘어지게 된다.
복수의 지지홀더(130)는 각각 대응되는 복수의 안착홀(150b)에 삽입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로딩플레이트(150)가 제 1 상태(p1)에서 바스켓(110)에 대해 뒤틀리지 않고 안착할 수 있게 된다. 이 때, 안착홀(150b)의 너비는 지지홀더(130)의 단면적보다 넓게 형성될 수 있다. 안착홀(150b)은 지지홀더(130)의 단면적보다 크게 형성되어, 세척수가 안착홀(150b)을 통해 배출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로딩플레이트(150)는 분산플레이트부(152)와 집합플레이트부(154)를 포함할 수 있다.
분산플레이트부(152)는 피세척물이 배치되며, 집합플레이트부(154)는 분산플레이트부(152)와 인접하게 마련되어, 로딩플레이트(150)가 제 2 상태(p2)에 배치될 때 피세척물이 집합되도록 마련된다. 자세하게는, 분산플레이트부(152)와 집합플레이트부(154)에 모두 피세척물이 올려질 수 있으며, 제 1 상태(p1)에서 제 2 상태(p2)로 로딩플레이트(150)를 이동시키는 경우 피세척물은 집합플레이트부(154)로 이동하도록 마련된다.
이를 위해 로딩플레이트(150)는 집합플레이트부(154)가 분산플레이트부(152)보다 낮게 배치되도록 변형될 수 있다. 즉, 제 2 상태(p2)에서는 집합플레이트부(154)가 분산플레이트부(152)보다 낮게 배치되도록 로딩플레이트(150)가 변형되어, 피세척물이 집합하게 된다.
분산플레이트부(152)는 지지홀더(130)가 관통하도록 안착홀(150b)이 형성되고, 집합플레이트부(154)는 로딩플레이트(150)의 변형에 의해 피세척물이 집합된다. 분산플레이트부(152)와 집합플레이트부(154)의 배치는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양측에 한 쌍의 분산플레이트부(152)가 배치되고, 집합플레이트부(154)는 한 쌍의 분산플레이트부(152) 사이에 형성된다.
분산플레이트부(152)는 제 1 바닥부(121)에 대응되며, 집합플레이트부(154)는 제 2 바닥부(122)에 대응되도록 분산플레이트부(152)보다 높이가 낮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집합플레이트부(154)는 인접한 분산플레이트부(152)보다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로딩플레이트(150)는 보강지지부(15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보강지지부(156)는 로딩플레이트(150)가 변형시에 다방향으로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마련된다. 보강지지부(156)는 로딩플레이트(150)가 휘어지는 방향에 대해 이와 다른 방향으로 휘어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된다. 보강지지부(156)는 집합플레이트부(154)상에서 길게 형성되며, 이를 중심으로 로딩플레이트(150)가 휘어질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보강지지부(156)는 집합플레이트부(154)의 양측에 배치되어, 로딩플레이트(150)가 제 2 상태(p2)에 있는 경우 집합플레이트부(154)가 다른 방향으로 휘어져서 집합된 피세척물이 쏟아지지 않도록 구비될 수 있다.
로딩플레이트(150)는 가이드부(158)를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부(158)는 로딩플레이트(150)가 제 2 상태(p2)로 있는 경우 피세척물이 로딩플레이트(150)로부터 이탈하지 않도록 구성된다.
그러므로 가이드부(158)는 로딩플레이트(150)가 변형되는 부분의 양 단부에 배치되어, 집합되는 피세척물이 로딩플레이트(150)로부터 흘러내리지 않도록 배치된다. 가이드부(158)는 로딩플레이트(150)의 단부에서 상부를 향해 절곡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집합플레이트부(154)의 양단부측에 배치될 수 있다.
로딩플레이트(150)는 가이드측벽(16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측벽(160)은 바닥부(120)의 적어도 일부둘레를 따라 배치되며, 바닥부(120)로부터 피세척물이 이탈하지 않도록 가이드하는 구성이다. 가이드측벽(160)은 바닥부(120)로부터 상측으로 절곡되어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측벽(160)과 가이드부(158)의 사이, 즉 가이드부(158)의 양측면에는 가이드부(158)와 가이드측벽(160)이 상호간에 간섭되어 뒤틀리는 것을 방지하도록 변형방지홈이 마련될 수 있다.
로딩플레이트(150)는 손잡이(162)를 포함할 수 있다.
손잡이(162)는 로딩플레이트(150)와 피세척물을 바스켓(110)으로부터 이탈시키도록, 즉 로딩플레이트(150)를 제 1 상태(p1)에서 제 2 상태(p2)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마련된다. 그 형상과 배치는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로딩플레이트(150) 양단부측에 한 쌍이 마련된다. 자세하게는 피세척물과 로딩플레이트(150)의 하중을 고려하여, 분산플레이트부(152)의 양 단부에 배치된다.
로딩플레이트(150)부의 재질은 탄성을 가지는 재질이면 만족한다. 그 예로 고무와 실리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재질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랙어셈블리(100)는 이동프레임(17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동프레임(170)은 바스켓(110)을 지지하도록 마련되어, 세척조로부터 랙어셈블리(100)가 인출가능하도록 마련된다. 이동프레임(170)에는 이동롤러(172)가 적어도 하나 마련되어, 세척조 내부에서 이동레일(미도시)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이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랙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 식기세척기의 동작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7, 8,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랙어셈블리의 동작에 관한 도면이다.
도 7과 같이 바스켓(110)에 로딩플레이트(150)가 제 1 상태(p1)으로 안착이 된 후에 피세척물을 상부에 적재할 수 있다. 적재된 피세척물은 로딩플레이트(150)의 안착홀(150b)을 관통한 지지홀더(130)에 의해 지지된다.
지지홀더(130)는 제 1 지지홀더(131)와, 이보다 높이가 낮은 제 2 지지홀더(132)가 교번적으로 배치되므로, 피세척물을 일일히 적재하지 않고 그 위에 분산시켜놓기만 해도, 지지홀더(130)간에 높이차에 의해 옆으로 세워지도록 마련될 수 있다.
세척과정이 끝난 후에는 도 8과 같이 로딩플레이트(150)의 손잡이(162)를 잡고 들어올리게 된다. 로딩플레이트(150)의 안착홀(150b)은 지지홀더(130)로부터 벗어나게 되고, 제 2 상태로서 바스켓(110)에 구속받지 않게 된다.
로딩플레이트(150)는 변형가능하게 구비되므로 도 9와 같이 구부리는 경우 로딩플레이트(150) 상부에 적재된 피세척물이 집합플레이트부(154)로 모이게 되어, 손쉽게 피세척물을 수거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는 특정의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다. 그러나, 상기한 실시예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1 : 식기세척기 10 : 캐비닛
11 : 도어 12 : 세척조
15 : 히터 20 : 섬프
21 : 세척펌프 22 : 배수펌프
41 : 제 1 분사유닛 42 : 제 2 분사유닛
43 : 제 3 분사유닛
100 : 랙어셈블리 110 : 바스켓
120 : 바닥부 121 : 제 1 바닥부
122 : 제 2 바닥부 130 : 지지홀더
131 : 제 1 지지홀더 132 : 제 2 지지홀더
140 : 홀
150 : 로딩플레이트 150a : 로딩부
150b : 안착홀 p1 : 제 1 상태
p2 : 제 2 상태 152 : 분산플레이트부
154 : 집합플레이트부 156 : 보강지지부
158 : 가이드부 160 : 가이드측벽
161 : 변형방지홈 162 : 손잡이
170 : 이동프레임 172 : 이동롤러
174 : 이동레일

Claims (24)

  1. 세척조에서 피세척물의 세척이 이루어지는 랙어셈블리에 있어서,
    복수의 홀이 형성되어 있는 바스켓;
    상부에 놓여지는 피세척물을 상기 바스켓으로부터 이탈시키기 위해, 상기 바스켓과 분리가능하게 마련되고, 변형가능하게 마련되는 로딩플레이트로서, 상기 바스켓에 안착되는 제1상태 및 상기 바스켓으로부터 이탈되는 제2상태를 포함하고 상기 제1상태에서 상기 제2상태로 탄성을 가지고 변형되는 로딩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로딩 플레이트는,
    피세척물이 배치되는 분산플레이트부;
    상기 분산플레이트부와 인접하게 마련되어, 상기 제 2 상태에서 피세척물이 집합되는 집합플레이트부;
    상기 로딩 플레이트의 다방향 변형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집합플레이트부의 양측에 배치되는 보강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랙어셈블리.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바스켓은,
    바닥부와, 상기 바닥부로부터 돌출형성되는 복수의 지지홀더를 포함하고,
    상기 로딩플레이트는,
    상기 제 1 상태에서 상기 바닥부와 마주하도록 마련되는 로딩부;
    상기 로딩부에 마련되어, 상기 제 1 상태에서 상기 복수의 지지홀더가 관통하도록 구성되는 복수의 안착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랙어셈블리.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상태에서 상기 제 2 상태로 이동시에, 상기 로딩플레이트 상부의 피세척물 자중에 의해 상기 로딩플레이트가 변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랙어셈블리.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로딩플레이트는,
    상기 집합플레이트부가 상기 분산플레이트부보다 낮게 배치되도록 변형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랙어셈블리.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집합플레이트부는 상기 분산플레이트부보다 오목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랙어셈블리.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로딩플레이트는,
    상기 집합플레이트부의 양 단부에는 피세척물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상부로 돌출형성되는 가이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랙어셈블리.
  9.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지지홀더는,
    제 1 지지홀더와, 상기 제 1 지지홀더보다 높이가 낮은 제 2 지지홀더;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지지홀더와 상기 제 2 지지홀더는 상호 교번적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랙어셈블리.
  10.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부는,
    제 1 바닥부;
    상기 제 1 바닥부보다 높이가 낮게 형성되는 제 2 바닥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랙어셈블리.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지지홀더는,
    상기 제 1 바닥부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랙어셈블리.
  12.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지지홀더는,
    복수의 열로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랙어셈블리.
  13.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홀은,
    상기 지지홀더의 단면적보다 넓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랙어셈블리.
  1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로딩플레이트는,
    상기 바닥부에 밀착되도록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랙어셈블리.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로딩플레이트는,
    상기 바스켓으로부터 이탈시킬 수 있도록 양 단부측에 구성되는 한 쌍의 손잡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랙어셈블리.
  1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로딩플레이트는,
    고무와 실리콘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랙어셈블리.
  1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랙어셈블리는,
    상기 바스켓이 적재되고, 상기 세척조로부터 인출가능하게 마련되는 이동프레임;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랙어셈블리.
  18. 캐비닛;
    상기 캐비닛의 내부에 마련되며 피세척물의 세척이 이루어지는 세척조;
    상기 세척조 내부에서 인출가능하게 마련되는 랙어셈블리;를 포함하고,
    상기 랙어셈블리는,
    바닥부와, 피세척물을 지지하도록 상기 바닥부로부터 돌출형성되는 복수의 지지홀더를 갖는 바스켓;
    상기 바닥부에 대응되는 로딩부와, 상기 복수의 지지홀더가 관통하도록 상기 로딩부상에 마련되는 복수의 안착홀을 갖고, 상기 바스켓으로부터 이탈가능하게 마련되고, 변형가능하게 구성되는 로딩플레이트로서, 상기 바스켓에 안착되며 상기 복수의 지지홀더가 상기 복수의 안착홀에 삽입되는 제1상태 및 상기 바스켓으로부터 이탈되며 상기 복수의 지지홀더가 상기 복수의 안착홀로부터 벗어나는 제2상태를 이동하는 로딩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로딩플레이트는,
    피세척물이 배치되는 분산플레이트부;
    상기 분산플레이트부와 인접하게 마련되어, 피세척물이 집합되는 집합플레이트부;
    상기 로딩 플레이트의 다방향 변형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집합플레이트부의 양측에 배치되는 보강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상태에서 상기 집합플레이트부는 상기 분산플레이트부보다 낮아지도록 상기 로딩플레이트가 변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바스켓은,
    상기 집합플레이트부에 대응되며, 상기 복수의 지지홀더가 형성되는 제 1 바닥부;
    상기 제 1 바닥부와 인접하게 마련되어, 상기 집합플레이트부에 대응되는 제 2 바닥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바닥부는, 상기 제 1 바닥부보다 낮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
  22. 피세척물이 배치되는 바스켓을 갖는 랙어셈블리에 있어서,
    상기 바스켓은,
    바닥부;
    피세척물을 지지하도록 상기 바닥부로부터 돌출형성되는 복수의 지지홀더로서, 제 1 지지홀더와, 상기 제 1 지지홀더보다 상기 바닥부로부터의 높이가 낮으며 상기 제 1 지지홀더와 인접하게 배치되는 제 2 지지홀더를 갖는 복수의 지지홀더;
    상기 바닥부에 대응되는 로딩부와, 상기 복수의 지지홀더가 관통하도록 상기 로딩부상에 마련되는 복수의 안착홀을 갖고 상기 바스켓으로부터 이탈가능하게 마련되고, 변형가능하게 구성되는 로딩플레이트로서, 상기 바스켓에 안착되며 상기 복수의 지지홀더가 상기 복수의 안착홀에 삽입되는 제1상태 및 상기 바스켓으로부터 이탈되며 상기 복수의 지지홀더가 상기 복수의 안착홀로부터 벗어나는 제2상태를 이동하는 로딩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로딩플레이트는,
    피세척물이 배치되는 분산플레이트부;
    상기 분산플레이트부와 인접하게 마련되어, 피세척물이 집합되는 집합플레이트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랙어셈블리.
  23.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지지홀더는 격자형상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랙어셈블리.
  24. 삭제
KR1020130169567A 2013-12-31 2013-12-31 랙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 식기세척기 KR1020844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69567A KR102084431B1 (ko) 2013-12-31 2013-12-31 랙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 식기세척기
EP14198765.1A EP2888987B1 (en) 2013-12-31 2014-12-18 Rack assembly for a dishwasher
US14/578,839 US10080478B2 (en) 2013-12-31 2014-12-22 Rack assembly and dishwasher having the same
CN201410841774.7A CN104739349B (zh) 2013-12-31 2014-12-30 机架组件以及具有该机架组件的洗碗机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69567A KR102084431B1 (ko) 2013-12-31 2013-12-31 랙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 식기세척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80384A KR20150080384A (ko) 2015-07-09
KR102084431B1 true KR102084431B1 (ko) 2020-03-04

Family

ID=522926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69567A KR102084431B1 (ko) 2013-12-31 2013-12-31 랙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 식기세척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0080478B2 (ko)
EP (1) EP2888987B1 (ko)
KR (1) KR102084431B1 (ko)
CN (1) CN104739349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364636B2 (en) 2010-03-12 2020-08-12 Electrolux Home Products Corporation N.V. Cutlery tray, dishwasher basket and dishwasher
PL2934275T3 (pl) * 2012-12-21 2021-06-14 Electrolux Home Products Corporation N.V. Moduł tacy na sztućce do zmywarki oraz zmywarka zawierająca co najmniej jeden moduł tacy na sztućce
US9763556B2 (en) 2012-12-21 2017-09-19 Electrolux Home Products Corporation N.V. Cutlery rack
PL3188642T3 (pl) * 2014-09-01 2018-10-31 Electrolux Appliances AB Zespół wspornikowy
US10561297B2 (en) * 2017-11-07 2020-02-18 Prince Castle LLC Wire frame drying rack
US10602910B2 (en) 2018-03-29 2020-03-31 Bsh Home Appliances Corporation Modular dishwasher rack with interchangeable and customizable basket inserts
EP3613325B1 (en) 2018-08-07 2024-03-20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hwasher
KR102641374B1 (ko) * 2018-08-07 2024-02-28 삼성전자주식회사 식기세척기
KR102590134B1 (ko) * 2018-11-13 2023-10-18 삼성전자주식회사 랙 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 식기세척기
US20220296740A1 (en) * 2021-03-17 2022-09-22 The Nemours Foundation Sanitiz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medical devices
US11712148B2 (en) * 2021-08-13 2023-08-01 Haier Us Appliance Solutions, Inc. Collapsible rack for dishwasher appliance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98676B2 (en) * 1991-01-04 1997-11-25 Poly Vac Inc Sterilization and storage container tray
US5407648A (en) * 1993-09-29 1995-04-18 Paragon Group Of Plastics Companies, Inc. Combination sterilization tray and mat
US20040079713A1 (en) * 2002-10-24 2004-04-29 Wendt Karl R.C. Dishwasher utility basket
CN1552277A (zh) 2003-06-07 2004-12-08 乐金电子(天津)电器有限公司 洗碗机用网篮架
US20050095169A1 (en) * 2003-10-31 2005-05-05 Wu Su-Syin Sterilization tray and mat
SE0400469D0 (sv) 2004-02-26 2004-02-26 Electrolux Home Prod Corp Dishwasher
US20070056919A1 (en) * 2005-09-15 2007-03-15 Sean Moore Flexible rubber retaining net for light-weight items
EP1787568A1 (en) * 2005-11-16 2007-05-23 Electrolux Home Products Corporation N.V. Cutlery basket and basket set for a dishwashing machine comprising quick access zone
DE202006011942U1 (de) * 2006-08-04 2006-10-26 Aesculap Ag & Co. Kg Siebkorb
KR20080062620A (ko) * 2006-12-29 2008-07-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식기세척기
KR101318361B1 (ko) * 2006-12-29 2013-10-15 엘지전자 주식회사 식기세척기
US20080179264A1 (en) * 2007-01-25 2008-07-31 Abrams Franklin J Glassware or stemware drying mat with stainless steel serving tray
US20090038656A1 (en) * 2007-08-08 2009-02-12 Quadion Corporation Resiliently flexible dishwasher appliance container
DE102008062761B3 (de) * 2008-12-18 2010-03-25 Miele & Cie. Kg Besteckschublade für eine Geschirrspülmaschine
KR101764294B1 (ko) * 2011-01-19 2017-08-04 삼성전자주식회사 식기세척기
ITTO20110745A1 (it) 2011-08-05 2013-02-06 Indesit Co Spa Cassetto per una vasca di una lavastoviglie comprendente un telaio perimetrale estraibile da detta vasca
US8915363B2 (en) * 2012-12-06 2014-12-23 Symmetry Medical Manufacturing, Inc. Apparatus for retaining medical instruments and related methods
US9107552B2 (en) * 2013-03-15 2015-08-18 Lifetime Brands, Inc. Collapsible drying rack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0080478B2 (en) 2018-09-25
US20150182104A1 (en) 2015-07-02
KR20150080384A (ko) 2015-07-09
CN104739349B (zh) 2019-09-10
EP2888987B1 (en) 2022-02-16
EP2888987A1 (en) 2015-07-01
CN104739349A (zh) 2015-07-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84431B1 (ko) 랙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 식기세척기
KR100879573B1 (ko) 식기 세척기용 랙 및 이를 구비한 컴팩트형 식기세척기
US20120056519A1 (en) Dishwasher
US20080110480A1 (en) Dishwasher having rack assembly with movable shelves
KR102001912B1 (ko) 식기세척기
KR20060058298A (ko) 식기 세척기의 랙구조
KR20050105711A (ko) 식기 세척기의 랙구조
EP2898814A1 (en) Cutlery basket for a dishwasher
KR20090025076A (ko) 식기 세척기의 랙 장치
US20150196189A1 (en) Dishwasher appliance
KR102021823B1 (ko) 식기세척기
CN101309628A (zh) 用于洗碗机的存放装置
KR20080067128A (ko) 식기세척기
EP3089648B1 (en) Dishwasher rack accessory
KR100854998B1 (ko) 식기세척기
KR101330839B1 (ko) 식기 세척기의 랙
KR20220028958A (ko) 랙 어셈블리와 이를 포함하는 식기세척기
KR102091187B1 (ko) 식기세척기
KR20140033693A (ko) 식기 세척기 및 식기 세척기용 바스켓
KR101210124B1 (ko) 식기 세척기의 랙구조
WO2015101879A1 (en) Dishwasher rack accessory
JP2015160028A (ja) 食器洗い機
KR101801573B1 (ko) 식기세척기
KR101844220B1 (ko) 식기세척기
KR100780357B1 (ko) 식기세척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